KR102430632B1 - 광커넥터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커넥터 키트,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광배선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커넥터 키트,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광배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632B1
KR102430632B1 KR1020187027583A KR20187027583A KR102430632B1 KR 102430632 B1 KR102430632 B1 KR 102430632B1 KR 1020187027583 A KR1020187027583 A KR 1020187027583A KR 20187027583 A KR20187027583 A KR 20187027583A KR 102430632 B1 KR102430632 B1 KR 102430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waveguide
holding
optical fib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991A (ko
Inventor
유이치 츠지타
나오토 고네가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0Optical coupling means for use between fibre and thin-film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44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coupling means being through-holes or wall aper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일단측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광도파로 유지부가 설치되고, 타단측에,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된 광파이버 유지부가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한 광커넥터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의 공간부에 유지되는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유지되는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이,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대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도파로와 광파이버를 동시에 유지하여 간단히 광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커넥터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커넥터 키트,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광배선
본 발명은 광도파로와 다른 도광로를 광학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광커넥터 부재와, 상기 광커넥터 부재를 이용한 광커넥터 키트와,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광배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집적화나 대규모화에 의해, 기기 내의 보드 사이나 보드 상의 칩 사이 등을 접속하기 위해서 다용되고 있는 전기 배선의 발열이나 그 소비 전력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이들 전기 배선을, 경량, 저발열이며 플렉시블한 광도파로나 광파이버로 치환한 광배선(광인터커넥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광배선에 있어서, 각 보드 사이 등의 연결에 이용되는 광커넥터는, 형상이나 치수, 시험법의 JIS 등에 의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고, 광커넥터 사이의 조심(調芯) 연결 양식도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종류가 상이한 다른 광커넥터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 등을 참조).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도파로(1)의 단부(종단)에 PMT 페룰(광도파로용 범용형 페룰)(2)을 부착한 제1 광커넥터와, 다심(多芯)의 광파이버(3)의 단부에 MT 페룰(광파이버용 범용형 페룰)(4)을 부착한 제2 광커넥터를, 2개의 가이드 핀(5)을 이용하여 서로의 광축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간단히 접속(광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광도파로와 광파이버를 총칭하여 「도광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광커넥터로서는,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광커넥터 부재를 조립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이 광커넥터 부재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먼저, PMT 부트부(6)에 광도파로(1)를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PMT 페룰 본체부(7)의 상면에 형성된 광도파로 감합(嵌合)용의 홈(8) 내에, 상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광도파로(1)의 단부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광도파로(1)의 선단면(1a)이 PMT 페룰 본체부(하우징이라고도 함)(7)의 선단면(7a)으로부터 노출되도록(동일면이 되도록)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PMT 페룰 본체부(7)의 후단면(7b)의 개구 내에 PMT 부트부(6)를 압입하고, 위로부터 PMT 덮개부(9)를 밀어붙인다. 이 상태를 유지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켜, 전체를 일체화한다. 그리고, 광결합면이 되는 PMT 페룰 본체부(7)의 선단면(7a)에 접착제가 버어로서 비어져 나오거나 광도파로(1)의 선단면(1a)이 더러워지거나 하고 있으면, 적정한 광결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PMT 페룰 본체부(7)의 선단면(7a)을 연마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광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커넥터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기판 상에 설치된 광도파로(1)의 단부면에, 직접, 광파이버(3)의 단부면을 맞대어 고정하는 접속 방법[무조심(無調芯) 접속 방법]도 행해지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예컨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상에 형성된 광도파로(1)의 선단에, 클래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11)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11)에, 광파이버(3)를 적정한 간격으로 감합할 수 있는 홈(12)을 형성한 것이 이용된다. 그리고,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도파로(1)의 각 홈(12) 내에 광파이버(3)를 감입(嵌入)하여, 고정함으로써, 양자를 광결합할 수 있다(특허문헌 2를 참조).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 JPCA 규격 「PMT 광커넥터의 상세 규격 JPCA-PE03-01-07S-2006」, 사단법인 일본 전자 회로 공업회 2006년 5월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4773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47945호 공보
그러나, PMT 페룰 등의 광커넥터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PMT 페룰 본체부의 선단면을 연마하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PMT 페룰 본체부의 선단면을 연마함으로써 광도파로의 단부면에 상처가 생기거나 이물이 잔류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광접속 손실로 이어지기 쉽다. 또한, 광파이버 접속용의 광커넥터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접속 단부면에 있어서, 광파이버가 수 ㎛ 정도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광커넥터와 광도파로의 접속을 반복하면, 광파이버의 돌출 선단이 광도파로의 단부면에 반복해서 닿아 광도파로의 단부면에 상처가 생겨 광접속 손실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게다가, 2개의 광커넥터를 맞대어 광접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쪽의 광커넥터의 각 부품의 치수 공차와, 다른쪽의 광커넥터의 각 부품의 치수 공차가 누적되어, 양자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저하되어, 광접속 손실이 상승할 우려도 있다.
한편, 광도파로에 직접 광파이버를 접속하는 경우, 광파이버를 감합시키는 홈의 두께가, 광도파로의 클래드층의 두께로 한정되기 때문에, 광파이버의 직경에 따라서는, 그 고정이 불충분해져 광접속 손실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 또한, 광파이버의 선단부가 드러나기 때문에, 이 부분을 피복하는 구조에 대해, 한층 더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도파로의 단부와 광파이버의 단부를, 서로의 광축이 일치한 상태로 유지하여 광결합시킬 수 있는, 우수한 광커넥터 부재와, 상기 광커넥터 부재를 이용한 광커넥터 키트와,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광배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파이버 유지부와,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을 광결합시키기 위한 광결합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 광커넥터 부재로서,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오목형 혹은 구멍형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광파이버 유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와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가, 각각,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의 공간부와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유지되고,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대치하도록 되어 있는 광커넥터 부재를 제1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에 있어서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구멍형이고, 이 구멍형 공간부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광커넥터 부재를 제2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이,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광커넥터 부재를 제3 요지로 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의 거리(d)가, 5 ㎛∼50 ㎛로 설정되어 있는 광커넥터 부재를 제4 요지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광도파로와 광커넥터 부재를 포함한 광커넥터 키트로서,
상기 광커넥터 부재가,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파이버 유지부와,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을 광결합시키기 위한 광결합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오목형 혹은 구멍형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광파이버 유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와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가, 각각,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의 공간부와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유지되고,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대치하도록 되어 있는 광커넥터 키트를 제5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커넥터 부재의 광도파로 유지부에 있어서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구멍형이고, 이 구멍형 공간부에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광커넥터 키트를 제6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이,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광커넥터 키트를 제7 요지로 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의 거리(d)가, 5 ㎛∼50 ㎛로 설정되어 있는 광커넥터 키트를 제8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도파로와 광파이버와 광커넥터 부재를 포함한 광배선으로서,
상기 광커넥터 부재가,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도파로 유지부와,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파이버 유지부와,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을 광결합시키기 위한 광결합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에,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오목형 혹은 구멍형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에,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광파이버 유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의 공간부에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고,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가 유지되며,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대치하고 있는 광배선을 제9 요지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커넥터 부재의 광도파로 유지부에 있어서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구멍형이고, 이 구멍형 공간부에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어 있는 광배선을 제10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이,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광배선을 제11 요지로 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의 거리(d)가, 5 ㎛∼50 ㎛로 설정되어 있는 광배선을 제12 요지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광축이 일치한 상태」란, 광도파로의 광축과, 광파이버의 광축이, 광신호의 전송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조심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이들 광축끼리가 1개의 축 상에 완전히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물론, 다소의 어긋남이 있어도 실용상 지장이 없는 광접속이 유지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즉, 본 발명의 광커넥터 부재는, 광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일단측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오목형 혹은 구멍형의 공간부가 형성된 광도파로 유지부가 설치되고, 타단측에,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된 광파이버 유지부가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의 공간부에 유지되는 광도파로의 단부와,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유지되는 광파이버의 단부가,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대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한 광커넥터와,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한 광커넥터를 맞대어 접속하지 않아도, 단일의 하우징의, 일단측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시키고, 타단측에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양자를 광결합시킬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광커넥터 부재와 같이, 광커넥터 조립 후, 그 선단면을 연마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광접속 작업의 효율화뿐만이 아니라, 저비용화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광도파로와 광파이버의 접속에 있어서, 광파이버가 수 ㎛ 정도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된 광커넥터와의 접속을 반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파이버의 돌출 선단이 광도파로의 단부면을 반복해서 상처를 입혀 경시적으로 광접속 손실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2개의 광커넥터를 맞대어 광접속하는 경우와 같은, 누적 공차에 의한 위치 결정 정밀도의 저하라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광도파로의 단부와 광파이버의 단부의 양방이, 하우징에 형성된 공간부 및 관통 구멍에 의해 각각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종래의 무조심 접속의 경우와 같이, 광파이버의 고정이 불충분, 불안정해져 광접속 손실이 상승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신뢰성이 있는 광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광커넥터 부재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에 있어서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구멍형이고, 이 구멍형 공간부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은, 광도파로의 단부의 유지를, 광파이버의 단부를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유지하는 것과 동일한 감각으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광접속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공간부가 구멍형인 것이, 광도파로의 단부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보다 품질이 안정된 광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커넥터 부재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이,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은, 조립 시에,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과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이,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서로의 단부면에 상처가 생기지 않아, 광접속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사용 시에 있어서, 열변형에 의해 서로의 단부면이 상처를 입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광접속 손실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커넥터 부재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의 거리(d)가, 5 ㎛∼50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의 양자의 거리(d)가, 광접속 손실에 주는 영향을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기 때문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는, 광도파로와 광커넥터 부재를 포함한 것이며, 상기 광커넥터 부재의 하우징에 의해, 광도파로의 단부와 광파이버의 단부를, 직접 동시에 유지하여 광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광커넥터 세트의 광도파로와 광커넥터 부재를 조합하고, 또한 광파이버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광도파로와 광파이버의 광접속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광커넥터와 같이, 조립 후에 광커넥터의 선단면을 연마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광접속 작업의 효율화뿐만이 아니라, 저비용화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광커넥터 키트에 의해 얻어지는 광커넥터는, 광파이버가 수 ㎛ 정도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된 광커넥터와의 접속을 반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파이버의 돌출 선단이 광도파로의 단부면을 반복해서 상처를 입혀 경시적으로 광접속 손실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2개의 광커넥터를 맞대어 광접속하는 경우와 같은, 누적 공차에 의한 위치 결정 정밀도의 저하라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광도파로의 단부와 광파이버의 단부의 양방이, 하우징에 형성된 공간부 및 관통 구멍에 의해 각각 안정적으로 유지된 광커넥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무조심 접속의 경우와 같이, 광파이버의 고정이 불충분, 불안정해져 광접속 손실이 상승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신뢰성이 있는 광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커넥터 부재의 광도파로 유지부에 있어서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구멍형이고, 이 구멍형 공간부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은, 광도파로의 단부의 유지를, 광파이버의 단부를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유지하는 것과 동일한 감각으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광접속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공간부가 구멍형인 것이, 광도파로의 단부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보다 품질이 안정된 광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이,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은, 조립 시에,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과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이,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서로의 단부면에 상처가 생기지 않아, 광접속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사용 시에 있어서, 열변형에 의해 서로의 단부면이 상처를 입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광접속 손실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의 거리(d)가, 5 ㎛∼50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의 양자의 거리(d)가, 광접속 손실에 주는 영향을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기 때문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배선에 의하면, 저비용이며 접속 작업 효율이 좋고, 광접속 손실이 작은, 고품질의 광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도파로의 단부도, 광파이버의 단부도, 안정된 상태로 광커넥터 부재의 하우징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광접속 손실이 상승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배선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커넥터 부재의 광도파로 유지부에 있어서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구멍형이고, 이 구멍형 공간부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어 있는 광배선은, 광도파로의 단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경시적으로, 보다 품질이 안정된 광접속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배선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이,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은, 조립 시에,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과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이,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서로의 단부면에 상처가 생기지 않아, 광접속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사용 시에 있어서, 열변형에 의해 서로의 단부면이 상처를 입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광접속 손실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배선 중에서도, 특히,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의 거리(d)가, 5 ㎛∼50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광결합부에 있어서의 양자의 거리(d)가, 광접속 손실에 주는 영향을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기 때문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평면도, (b)는 (a)의 A-A' 단면도, (c)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광도파로의 단부와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b)는 (a)의 B-B'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b)는 그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하우징의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광도파로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일반적인 광커넥터에 의한 접속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광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의 (a)는 종래의 무조심 접속 구조에 이용되는 광도파로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적인 평면도, (b)는 상기 광도파로에 광파이버를 감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적인 확대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각 부분은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의 두께, 크기 등과는 상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의 일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광커넥터 부재(이하 「커넥터 부재」라고 약기함)를 도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 부재는, 하우징(20)과, 덮개(2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20)은, 도면 전방측의 부분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도파로 유지부(22)가 설치되고, 도면 안쪽측의 부분에,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파이버 유지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20)의 광도파로 유지부(22)에는, 그 평면도인 도 2의 (a)와, 그 A-A' 단면도인 도 2의 (b)와, 도 2의 (a)의 우측면도인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부(31)와 좌우의 측벽부(32)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형의 공간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33) 내에 광도파로(15)의 단부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3의 (a)를 참조]. 한편, 도 1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전방측의 단부면(20a)에 개구되는 공간부(33)의 개구(33a)는, 광도파로(15)의 단부가 들어가기 위한 개구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덮개(21)는, 이 공간부(33)의 상면 개구를 막아 광도파로(15)의 단부를 고정하는 데 이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의, 광도파로 유지부(22)와는 반대측에 설치되는 광파이버 유지부(23)에는, 하우징(20)의 안쪽측 단부면(20b)으로부터 광도파로 유지부(22)의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에 이르는 관통 구멍(34)이, 복수 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 구멍(34)에 광파이버(40)의 단부가 삽입 관통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3의 (a)를 참조].
그리고,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22)의 공간부(33)의 바닥면, 즉 바닥벽부(31)의 상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23)의 관통 구멍(34)의 중심축이, 기준면에 대해 소정 높이로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33)에 유지되는 광도파로(15)의 코어(51)[도 3의 (b)를 참조]의 광축과, 상기 관통 구멍(34)에 유지되는 광파이버(40)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에 있어서,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과 광파이버(40)의 단부 선단면을 맞댐으로써, 양자가 광결합되도록 되어 있다[도 3의 (a) 참조]. 한편, 이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과 광파이버(40)의 단부 선단면이 맞대어지는 부분, 즉,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에 있어서의, 공간부(33)와 관통 구멍(34)의 연통부가, 하우징(20) 내에 있어서의 광결합부가 된다.
이 광커넥터 키트에 의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부재의 하우징(20)의 공간부(33) 내에 광도파로(15)의 단부를 감입하고, 덮개(21)(도 1 참조)를 위로부터 압입하여 고정함으로써, 간단히, 광도파로(15)의 단부를 하우징(20)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20)의 관통 구멍(34)에 광파이버(40)의 단부를 삽입 관통시키고, 그 선단면이, 상기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으로부터 동일면으로 노출되는 배치로 고정함으로써, 간단히, 광파이버(40)의 단부를 하우징(20)에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의 도면에서는, 광도파로(15)에 성긴 해칭을 붙여, 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한 광커넥터와,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한 광커넥터를 맞대어 접속하지 않아도, 단일의 하우징(20)에 있어서, 일단측에 광도파로(15)의 단부를 유지시키고, 타단측에 광파이버(40)의 단부를 유지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양자를 광결합시킬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커넥터 부재와 같이, 광커넥터 조립 후, 그 선단면을 연마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광접속 작업의 효율화뿐만이 아니라, 저비용화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광도파로(15)와 광파이버(40)의 접속에 있어서, 광파이버(40)가 수 ㎛ 정도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된 광커넥터와의 접속을 반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파이버(40)의 돌출 선단이 광도파로의 단부면을 반복해서 상처를 입혀, 경시적으로 광접속 손실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2개의 광커넥터를 맞대어 광접속하는 경우와 같은, 누적 공차에 의한 위치 결정 정밀도의 저하라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광도파로(15)의 단부와 광파이버(40)의 단부의 양방이, 하우징(20)의 공간부(33) 및 관통 구멍(34)에 의해 각각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종래의 무조심 접속의 경우와 같이, 광파이버(40)의 고정이 불충분, 불안정해져 광접속 손실이 상승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신뢰성이 있는 광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커넥터에 의한 접속 구조를 포함한 광배선은, 저비용이며 접속 작업 효율이 좋고, 광접속 손실이 작은, 고품질의 광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도파로(15)의 단부도, 광파이버(40)의 단부도, 안정된 상태로 커넥터 부재의 하우징(20)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광접속 손실이 상승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광커넥터 키트에 이용되는 하우징(20)과 덮개(21)는, 광 불투과성의 수지, 혹은 광 투과성의 수지에 안료 등의 색소나 티탄 등의 증량재를 첨가해서, 농색(濃色) 또는 흑색 등의 광 불투과성으로 한 수지를 이용하여, 트랜스퍼 성형, 몰드 성형, 인젝션 성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커넥터 키트에 이용되는 광도파로(15)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도 3의 (a)의 B-B' 단면도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회로 기판이 되는 절연층(50)과, 복수의 코어(51)와, 이들을 협지(挾持)하도록 상하로 형성된 클래드층(52)(언더 클래드층+오버 클래드층)을 포함한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절연층(50)을 갖는 광도파로(15)는, 절연층(50)의 한쪽 면에, 예컨대 에폭시 수지 등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노광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등에 의해, 클래드층(52)과 코어(51)를, 순차 패터닝하면서 적층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한편, 코어(51)에 입사한 광신호는, 코어(51) 내만을 통과하여 전달되도록, 코어(51)의 굴절률(광 굴절률)이, 상기 클래드층(52)의 굴절률보다 높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광커넥터 키트에는, 커넥터 부재의 부속품으로서, 하우징(20)에 광도파로(15)를 고정하기 위한 부트부가 설치되는데, 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며,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커넥터 부재에 따라서는, 하우징(20)의 단부면(20a)측에, 부트부를 일체 형성한 것이 있다. 그 경우에는, 별도의 부재로서 부트부를 조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이 광커넥터 키트는, 상기 하우징(20) 내에 있어서, 광도파로(15)와 광파이버(40)의 광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 필요했던 다른 광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가이드 핀 구멍과, 이 가이드 핀 구멍에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핀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한 예에서는,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과 광파이버(40)의 단부 선단면이, 직접 맞대어진 상태에서, 광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양자 사이에, 광접속 손실 상승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좁은 간극을 형성해도 좋다. 즉, 양자 사이에 간극이 있으면, 조립 시에, 광파이버(40)의 단부 선단면과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서로의 단부면에 상처가 생기지 않아, 광접속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사용 시에 있어서, 열변형에 의해 서로의 단부면이 상처를 입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광접속 손실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광결합부에 있어서, 이러한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공간부(33)에 광도파로(15)의 단부를 감입할 때,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까지 도달하지 않는 것과 같은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례를 평면도인 도 4의 (a) 및 부분적인 사시도인 도 4의 (b)에 도시한다.
이 하우징(20)의 좌우의 측벽부(32)에는, 그 전방측(도면에서는 마주 보아 좌측)의 단부면(20a)측의 내측면의 서로 대치하는 부분에, 공간부(33)를 향해, 평면에서 보아 반원형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33)의 상면을 덮는 덮개(21)에는, 상기 돌출부(37)에 대응하는 평면에서 보아 반원형의 절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부재에 조합되는 광도파로(15)에도, 광도파로(15)의 단부 중, 상기 하우징(20)의 돌출부(37)에 대응하는 부분에, 평면에서 보아 반원형의 절결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결부(39)를, 하우징(20)측의 돌출부(37)에 감합시킨 상태로 공간부(33) 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과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한 예와 동일하고, 도 4의 (a)에 있어서 마주 보아 우측의 광파이버 유지부(23)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34)을 통해 광파이버(40)[도 3의 (a)를 참조]의 단부가, 그 선단면을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의 개구에 동일면으로 위치 결정시킨 상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의 하우징(20)에 부착된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을, 상기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과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광커넥터의 조립 시에, 광파이버(40)의 단부 선단면과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서로의 단부면에 상처가 생기지 않아, 광접속 손실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사용 시에 있어서, 열변형에 의해 서로의 단부면이 상처를 입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광접속 손실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예에서는, 하우징(20)의 측벽부(32)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7)를 형성하고, 하우징(20)의 공간부(33)에 배치하는 광도파로(15)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37)와 감합하는 절결부(39)를 형성하였으나, 양자를 감합하여 위치 결정하는 구조는,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하우징(20)의 측벽부(32)에, 서로 대치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광도파로(15)의 단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오목부에 감합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도시를 생략). 상기 오목부와 돌출부의 감합에 의해,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로,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을,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과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커넥터 키트에 있어서, 커넥터 부재의 하우징(20)의 측벽부(32)와 광도파로(15)의 측가장자리부를 감합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20)의 바닥벽부(31)에 요철을 형성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요철을 광도파로(15)의 하면에 형성하여, 양자를 감합시킴으로써,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바닥벽부(31)에, 광도파로(15)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돌출부(41)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41)에 대응하는 광도파로(15)의 하면에, 돌출부(41)와 감합하는 오목부(42)를 형성함으로써, 광도파로(15)의 위치 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목부(42)는, 광도파로(15)의 제조 시에 있어서, 코어(51)[도 3의 (b)를 참조]를 형성 후, 이것을 덮는 클래드층(오버 클래드층)(52)을 형성할 때에, 상기 오목부(42)를 패터닝 형성함으로써, 높은 치수 정밀도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벽부(31)에 형성되는 돌출부(41)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1)는, 광도파로(15)의 폭 방향이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가늘고 길게 연장된 형상이 아니라, 평면에서 보아 작은 원형이나 작은 각형(角形)의 돌출부여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도,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로, 광도파로(15)의 하면에, 돌출부(41)와 감합하는 오목부(42)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벽부(31)에, 광도파로(15)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도파로(15)의 하면에, 광로가 되는 코어(51)와는 상이한 더미 코어(60)를 설치하고, 이 더미 코어(60)를, 클래드층(52)으로 덮지 않고 드러냄으로써, 광도파로(15)를, 하우징(20)의 단부면(20a)측으로부터 삽입할 때의 스토퍼로서 이용할 수 있다〔코어(51), 클래드층(52)에 대해서는 도 3의 (b)를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코어(51)와 함께 높은 치수 정밀도로 더미 코어(60)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련의 예는, 커넥터 부재의 하우징(20)측에 형성한 돌출부(37) 등과, 광도파로(15)측에 형성된 절결부(39) 등을 감합시킴으로써,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을,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과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하도록 하였으나, 공간부(33)의 상면을 덮는 덮개(21)(도 1을 참조)의 하면에 돌출부 혹은 오목부를 형성하고, 광도파로(15)의 상면[상기 일련의 예에서는 절연층(50)의 상면]에, 상기 돌출부 혹은 오목부와 감합하는 오목부 혹은 돌출부를 형성하여, 덮개(21)와 광도파로(15)를 감합 상태로 한 것을, 하우징(20)의 공간부(33) 내에 삽입 혹은 배치해도 좋다(도시를 생략).
또한, 커넥터 부재의 하우징(20)측에만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하고, 광도파로(15)에는 특별한 가공 등을 실시하지 않고,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을,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과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7에 있어서, 작은 원(P)으로 둘러싸는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의 양측에,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과 안쪽 단부면(33b) 사이에 거리(d)의 간극을 만들기 위한 스토퍼(61)를 설치함으로써, 광도파로(15)가 그 이상, 하우징(20)의 안쪽 단부면(33b)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제한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61)는,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에 있어서, 이 광도파로(15)와, 상대가 되는 광파이버(40)[도 3의 (a)를 참조]의 광결합을 방해하지 않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스토퍼(61)를 대신하여,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좌우의 측벽부(32)의 내측면을,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측으로 갈수록 서로 접근하는 테이퍼면(62)으로 하고, 하우징(20)의 안쪽 단부면(33b)에 대해 거리(d)의 간극이 생기는 위치로부터 전방으로는,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진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좌우의 측벽부(32)에 테이퍼면(62)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해서, 전술한 스토퍼(61)를, 도 8에 있어서 P'로 둘러싸는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련의 예와 같이, 하우징(20)측에 스토퍼(61)나 테이퍼면(62)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덮개(21)(도 1을 참조)의 하면에,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그 이상 하우징(20)의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측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나 테이퍼면을 형성해도 좋다(도시를 생략). 그 경우에는, 하우징(20) 내에 광도파로(15)를 삽입하기 전에, 하우징(20)의 공간부(33)의 상면에 덮개(21)를 고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하우징(20)에 있어서, 광파이버 유지부(23)에 형성되는, 광파이버(40)를 유지하기 위한 관통 구멍(34)은, 반드시 하우징(20)의 단부면(20b)으로부터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까지를 관통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단부면(20b)으로부터 공간부(33)측을 향해 연장되는 오목홈(63)을 형성하고, 이 오목홈(63)의 단부면(63a)으로부터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까지의 사이에, 광파이버 유지용의 관통 구멍(34)을 형성해도 좋다. 관통 구멍(34)의 거리가 짧을수록, 광파이버(40)의 삽입 공정이 간단해져, 보다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높은 정밀도로 광파이버(40)와 광도파로(15)의 광결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부재에 이용되는 하우징(20)은, 상기 일련의 예와 같이, 광도파로 유지부(22)에 있어서의 공간부(33)가, 좌우의 측벽부(32)와 바닥벽부(31)로 둘러싸인 오목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모식적인 종단면도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부분이 통형이며, 구멍형의 공간부(33)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 예에서는, 상기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까지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들어가 있고, 이 단부 선단면(15a)이, 광파이버 유지부(23)의 관통 구멍(34)에 감입된 광파이버(40)(도시하지 않음)의 단부 선단면과 직접 맞대어져, 광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간부(33)가 구멍형이고, 주위가 통형의 벽부로 둘러싸여 있는 것은, 광도파로(15)의 단부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보다 품질이 안정된 광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광도파로 유지부(22)가 통형으로 된 하우징(20)에 있어서,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의 광도파로 유지부(22)의 천장벽부(70)의 내측면을,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측으로 갈수록 바닥벽부(31)측에 접근하는 테이퍼면(71)으로 함으로써, 상기 도 8 등에 도시된 예와 마찬가지로,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그 이상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측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여, 그 단부 선단면(15a)을,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으로부터 간극을 둔 상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의 주연부(周緣部)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토퍼(61)를 동시에 설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광도파로 유지부(22)가 통형으로 된 상기 하우징(20)에 있어서, 하우징(20)의 천장벽부(70)뿐만이 아니라, 바닥벽부(31)측도 테이퍼면으로 함으로써, 공간부(33)가 상하 방향의 양방으로부터 서서히 좁아지도록 하여, 광도파로(15)를 위치 결정해도 좋다. 혹은, 도 8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좌우의 측벽부(32)에 테이퍼를 형성하여, 공간부(33)가 좌우 방향으로 서서히 좁아지도록 해도 좋고, 공간부(33)가 상하 좌우의 사방으로부터 서서히 좁아지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일련의 예에 있어서, 하우징(20)이나 덮개(21), 광도파로(15)에 형성되는,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요철부나 테이퍼면은, 반드시 광도파로(15)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한쪽에만 형성해도 좋다. 단,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이, 광도파로(15)를 보다 안정된 형태로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일련의 커넥터 부재는,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을,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보다 전방에 위치 결정하여, 광파이버(40)의 단부 선단면과의 사이에 간극(d)을 형성하는 예이지만,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은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까지 감입하고, 광파이버(40)의 단부 선단면을 후퇴시킴으로써, 양자 사이에 간극(d)을 형성해도 좋다. 예컨대, 광파이버(40)를 감입하는 관통 구멍(34)의, 안쪽 단부면(33b)측에 개구되는 개구 가장자리를, 거리(d)가 되는 부분만큼 약간 직경 축소시켜, 광파이버(40)가 안쪽 단부면(33b)의 전방까지밖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혹은, 관통 구멍(34)의 내주면 자체를, 안쪽 단부면(33b)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하여, 그 이상 광파이버(40)가 안쪽 단부면(33b)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과, 광파이버(40)의 단부 선단면 사이에 간극을 두고 광결합시키는 경우, 그 간극의 거리(d)[도 4의 (a)를 참조]는, 5 ㎛∼50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 ㎛∼20 ㎛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거리(d)가 지나치게 크면, 접속하고자 하는 양자의 거리(d)가 지나치게 멀어져 광접속 손실이 상승하고, 그 상승률이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거리(d)가 지나치게 작으면,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손상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커넥터용의 커넥터 부재 중, 예컨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 부재는, 커넥터 부재의 하우징(20)에 설치된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서만 광도파로(15)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광도파로와 조합할 필요가 없고, 커넥터 부재 단독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 부재의 하우징(20)측에 형성된 돌출부(37) 등과, 광도파로(15)측에 형성된 절결부(39) 등을 감합함으로써, 광도파로(15)를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이들 위치 결정 수단이 형성된 커넥터 부재와 광도파로(15)를 조합한, 광커넥터 키트로서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하우징(20)에 있어서, 광파이버(40)를 감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34)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하지 않고,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비교예와 아울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재료 조성에 있어서, 「부」는, 중량 기준이다.
먼저, 광도파로의 형성 재료로서, 하기의 것을 조제하였다.
[언더 클래드층 및 오버 클래드층의 형성 재료]
성분 a: 에폭시 수지(미쓰비시 가가쿠사 제조, jER1001) 60부.
성분 b: 에폭시 수지(다이셀사 제조, EHPE3150) 30부.
성분 c: 에폭시 수지(DIC사 제조, EXA-4816) 10부.
성분 d: 광산 발생제(산아프로사 제조, CPI-101A) 0.5부.
성분 e: 산화 방지제(교도 야쿠힌사 제조, Songnox1010) 0.5부.
성분 f: 산화 방지제(산코사 제조, HCA) 0.5부.
성분 g: 젖산에틸(용제) 50부.
이들 성분 a∼g를 혼합함으로써, 언더 클래드층 및 오버 클래드층의 형성 재료를 조제하였다.
[코어의 형성 재료]
성분 h: 에폭시 수지(신닛테츠 스미킨 가가쿠사 제조, YDCN-700-3) 50부.
성분 i: 에폭시 수지(미쓰비시 가가쿠사 제조, jER1002) 30부.
성분 j: 에폭시 수지(오사카 가스 케미컬사 제조, 오그솔 PG-100) 20부.
성분 k: 광산 발생제(산아프로사 제조, CPI-101A) 0.5부.
성분 l: 산화 방지제(교도 야쿠힌사 제조, Songnox1010) 0.5부.
성분 m: 산화 방지제(산코사 제조, HCA) 0.125부.
성분 n: 젖산에틸(용제) 50부.
이들 성분 h∼n을 혼합함으로써, 코어의 형성 재료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 2]
<커넥터 부재의 준비>
먼저, 실시예 1용의 커넥터 부재로서,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를, 소정의 금형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하우징(20)과, 덮개(21), 그리고 부트부를 제작하였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에 있어서의 광도파로(15)의 단부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부(33)의 폭은 3.0 ㎜, 길이는 4.0 ㎜, 높이는 1.4 ㎜이다. 또한, 덮개(21)는, 이 공간부(33)에 들어가는 평면에서 본 형상을 갖고, 두께는 1.2 ㎜이다. 그리고, 하우징(20)의 광파이버 유지부의 길이는 3.0 ㎜이고, 광파이버(40)를 유지하기 위한, 직경 0.127 ㎜의 12개의 관통 구멍(34)을, 그 중심축이 광도파로(15)측의 코어(51)의 광축과 일치하는 배치가 되도록, 광도파로 유지부(22)의 바닥벽부(31)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0.05 ㎜가 되는 위치에, 0.25 ㎜ 피치로, 광파이버 유지부에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2용의 커넥터 부재로서, 동일한 사출 성형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공간부(33)가 구멍형이고, 광도파로 유지부(22)가 통형으로 형성된 하우징(20)과, 부트부를 제작하였다. 구멍형의 공간부(33)의 높이는 0.115 ㎜이다. 그 이외의 치수는, 상기 실시예 1용의 하우징(20)과 동일하다.
<광도파로의 준비>
절연층(50)으로서, 두께 15 ㎛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준비하고, 이 절연층(50)의 한쪽 면에, 상기 각 형성 재료를 이용하여, 언더 클래드층, 코어, 오버 클래드층을, 모두 소정의 마스크 노광에 의한 패터닝을 행함으로써 적층 형성하여, 도 12에 도시된 치수(단위는 ㎜)의 광도파로(15)를 제작하였다(전체 길이 5 ㎝). 한편, 한쪽 면에는 45도 미러를 형성하였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51은 코어, 부호 52는 언더 클래드층과 오버 클래드층이 일체화된 클래드층이다. 단, 도 12에 도시된 형상은 모식적이고, 치수에 맞춘 형상이 아니다.
<광커넥터의 조립>
광도파로(15)의 상면에 에폭시계 열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하우징(20)의 오목형 혹은 구멍형의 공간부(33) 내에 세트하였다. 실시예 1의, 공간부(33)가 오목형인 것에서는, 위로부터 덮개(21)를 씌워 고정하였다. 한편, GI형 50 ㎛의 멀티 모드 파이버 리본(하쿠산 세이사쿠쇼사 제조, 양단 12MT-M 부착 테이프 심선)을 준비하고, 광파이버 단부의 피복재를 제거하여 하나하나로 나눈 후, 후지쿠라사 제조의 파이버 커터로 12심(芯; core)의 선단을 커트하였다. 그리고, 각 광파이버(40)의 단부에, 에폭시계 열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하우징(20)의 관통 구멍(34)에 삽입하여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에 충돌했을 때 고정하였다[도 3의 (a)를 참조]. 그 상태에서, 가열하여, 에폭시계 열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광도파로(15)와 광파이버(40)가 광접속된 광커넥터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4]
<커넥터 부재의 준비>
먼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를, 소정의 금형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도 4의 (a), 도 4의 (b)에 도시된 돌출부(37)를 갖는 하우징(20)과, 절결부(38)를 갖는 덮개(21), 그리고 부트부를 제작하였다. 한편, 상기 돌출부(37)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반경 0.25 ㎜의 반원형이다. 또한, 하우징(20)에 있어서의 광도파로(15)의 단부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부(33)의 폭은 3.0 ㎜, 높이는 1.4 ㎜이다. 또한, 덮개(21)는, 이 공간부(33)에 들어가는 평면에서 본 형상을 갖고, 두께는 1.2 ㎜이다.
<광도파로의 준비>
실시예 1, 2와 동일한 광도파로(15)를 제작하였다. 단, 이들 광도파로(15)에는, 상기 커넥터 부재의 하우징(20)[도 4의 (a), 도 4의 (b)를 참조]에 형성된 돌출부(37)와 감합시키기 위한 절결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9)의 위치는, 상기 하우징(20)의 돌출부(37)와 절결부(39)가 감합했을 때에,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이 하우징(20)의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과 이루는 거리(d)가, 실시예 3에서는 5 ㎛, 실시예 4에서는 50 ㎛가 되도록,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으로부터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광커넥터의 조립>
먼저, 상기 하우징(20)의 공간부(33)의 안쪽 단부면(33b)에, 광파이버 유지용의 관통 구멍(34)의 개구를 막기 위한 덧댐판을 대었다. 그리고, 실시예 1, 2와 동일하게 하여 준비된 12개의 각 광파이버(40)의 단부에, 에폭시계 열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하우징(20)의 관통 구멍(34)에 삽입하여, 상기 덧댐판에 충돌했을 때 고정하였다. 다음으로, 이 덧댐판을 떼어내고, 하우징(20)의 공간부(33) 내에, 상면에 에폭시계 열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광도파로(15)를, 하우징(20)측의 돌출부(37)와 광도파로(15)측의 절결부(39)를 감합시킨 상태로 세트하였다. 그리고, 그 상면을 덮개(21)로 덮어 고정하였다. 그 상태에서, 가열하여, 에폭시계 열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광도파로(15)와 광파이버(40)가 광접속된 광커넥터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시판의 PMT 커넥터 부재(하쿠산 세이사쿠쇼사 제조, PMT 페룰)를 이용하고, 이것에, 실시예 1, 2와 동일한 광도파로(15)를 부착하여 광커넥터로 하였다. 단, 광도파로(15)의 단부는, 종래와 같이, 커넥터 부재의 선단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세트한 후, 단부면에 대해 연마 가공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1∼4품과 비교예 1품에 대해, 후기하는 표 1에 나타내는 항목에 대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내었다. 한편, 표 1에는, 각 실시예, 비교예의 구성의 특징도 간단히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각 평가 항목에 있어서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광접속 손실]
850 ㎚의 VCSEL 광원(미키사 제조, OP-250LS-850-MM-50-SC)에 접속한 GI형 50 ㎛의 멀티 모드 파이버(미키사 제조, FFP-GI20-0500)의 광을, 수광기에 접속한 SI형 105 ㎛의 멀티 모드 파이버(솔라보(thorlabs)사 제조, AFS105/125Y)로 수광하고, 그 강도를 I0으로 하였다.
한편, 상기와 동일한 850 ㎚의 VCSEL 광원에 접속한 GI형 50 ㎛의 멀티 모드 파이버의 광을, 실시예품, 비교예품의 각 광커넥터의 광도파로(15)에 형성된 45도 미러에 입사하였다. 그리고, 각 광커넥터의 광파이버(40)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수광기로 측정한 강도를 I로 하였다.
한편, 비교예 1품(PMT 커넥터 부재를 이용한 것)은, 실시예 1∼4와 동일한 광파이버(40)를 부착한 시판의 MT 커넥터 부재(하쿠산 세이사쿠쇼사 제조, 12MT-PF-M 페룰)와 접속한 상태로,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광파이버(40)로부터 검출되는 광을 수광기로 측정한 강도를 I로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값으로부터, [-10×log(I/I0)]을 산출하여 광접속 손실로 하였다.
[광접속 손실(열시험 후)]
또한, 상기 실시예 1∼4품과 비교예 1품의 각 광커넥터에 대해, 히트 사이클(-40℃∼85℃×500 사이클)을 행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광접속 손실을 구하였다.
[종합 평가]
상기 2가지 평가 항목의 평가를 종합하여, A(매우 양호), B(양호), C(불량)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18112762754-pct00017
상기한 결과로부터, 실시예품은 모두, 광접속 손실의 값이 작고, 우수한 품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3, 4의 것은, 광결합되는 광도파로(15)의 단부 선단면(15a)과 광파이버(40)의 단부 선단면 사이에, 간극(d)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혹한 히트 사이클 시험 후에도, 양자의 열변형이 광결합부에 주는 영향이 작아, 광접속 손실의 상승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비교예 1품은, 광도파로(15)를 부착한 광커넥터와, 광파이버(40)를 부착한 광커넥터를 준비하고, 이들을 접속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수고와 비용이 들 뿐만이 아니라, 부품 개수가 많기 때문에, 당초부터 광접속 손실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나타내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여러 가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이 기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얻어지는, 고품질의 광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는 커넥터 부재, 혹은 광커넥터 키트, 나아가서는 이들을 이용한 광배선으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5: 광도파로 15a: 단부 선단면
20: 하우징 22: 광도파로 유지부
23: 광파이버 유지부 33: 공간부
34: 관통 구멍 40: 광파이버

Claims (12)

  1.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파이버 유지부와,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을 광결합시키기 위한 광결합부를 갖는 단일 하우징을 포함한 광커넥터 부재로서,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오목형 혹은 구멍형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 내에 있어서의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오목형인 경우, 상기 공간부의 상면 개구를 막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광파이버 유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오목형인 경우,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 내에 감입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상기 덮개로 압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유지되고,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구멍형인 경우,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가,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유지되고,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와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가, 서로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대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광커넥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에 있어서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는 구멍형이고, 이 구멍형 공간부에 광도파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광커넥터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이,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광커넥터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의 거리(d)는, 5 ㎛∼50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인 광커넥터 부재.
  5. 광도파로와 광커넥터 부재를 포함한 광커넥터 키트로서,
    상기 광커넥터 부재가,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파이버 유지부와,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을 광결합시키기 위한 광결합부를 갖는 단일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오목형 혹은 구멍형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 내에 있어서의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오목형인 경우, 상기 공간부의 상면 개구를 막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광파이버 유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오목형인 경우,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 내에 감입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상기 덮개로 압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유지되고,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구멍형인 경우,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가,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유지되고,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와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가, 서로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대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광커넥터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커넥터 부재의 광도파로 유지부에 있어서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는 구멍형이고, 이 구멍형 공간부에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광커넥터 키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이,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광커넥터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결합부에 위치 결정되는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의 거리(d)는, 5 ㎛∼50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인 광커넥터 키트.
  9. 광도파로와 광파이버와 광커넥터 부재를 포함한 광배선으로서,
    상기 광커넥터 부재가,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도파로 유지부와,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광파이버 유지부와,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와 광파이버 유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을 광결합시키기 위한 광결합부를 갖는 단일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광도파로 유지부에,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오목형 혹은 구멍형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오목형인 경우, 상기 공간부의 상면 개구를 막는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에,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광결합부에 이르는 광파이버 유지용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 내에 있어서의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오목형인 경우,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에 감입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상기 덮개로 압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유지되고,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가 구멍형인 경우,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상기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가 상기 광파이버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유지되며,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와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가, 서로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대치하고 있는 것인 광배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커넥터 부재의 광도파로 유지부에 있어서의 광도파로 유지용의 공간부는 구멍형이고, 이 구멍형 공간부에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가 유지되어 있는 것인 광배선.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은, 상기 광결합부에 있어서, 서로 거리(d)만큼 간극을 둔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인 광배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단부 선단면과,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 선단면의 거리(d)는, 5 ㎛∼50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인 광배선.
KR1020187027583A 2016-04-12 2017-04-06 광커넥터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커넥터 키트,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광배선 KR102430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9377A JP6694206B2 (ja) 2016-04-12 2016-04-12 光コネクタ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キット、並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光配線
JPJP-P-2016-079377 2016-04-12
PCT/JP2017/014359 WO2017179483A1 (ja) 2016-04-12 2017-04-06 光コネクタ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キット、並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光配線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991A KR20180127991A (ko) 2018-11-30
KR102430632B1 true KR102430632B1 (ko) 2022-08-08

Family

ID=6004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583A KR102430632B1 (ko) 2016-04-12 2017-04-06 광커넥터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커넥터 키트,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광배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02582B2 (ko)
JP (1) JP6694206B2 (ko)
KR (1) KR102430632B1 (ko)
CN (1) CN108885313A (ko)
TW (1) TWI705273B (ko)
WO (1) WO2017179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8617A (zh) * 2018-07-12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光耦合装置及其封装方法、光模块及通讯设备
US20230333329A1 (en) * 2020-09-11 2023-10-1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ulti-fiber opt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7878A (ja) * 2005-11-04 2007-05-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導波路接続構造
JP2007333959A (ja) 2006-06-14 2007-12-27 Fuji Xerox Co Ltd 光コネクタ
JP2011017933A (ja) * 2009-07-09 2011-01-27 Fujikura Ltd 光コネクタ
JP2014164270A (ja) * 2013-02-27 2014-09-08 Sumitomo Bakelite Co Ltd フェルール、光電気混載基板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9595A (en) * 1986-03-25 1988-07-26 Apa Optics, Inc. Integrated optic switch
US5018817A (en) * 1987-07-24 1991-05-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optically coupling optical fiber to waveguide on substrate, and optical device produced by the method
US4973127A (en) * 1989-05-31 1990-11-27 At&T Bell Laboratories Multifiber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590266B2 (ja) * 1989-06-23 1997-03-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EP0840153A3 (en) * 1994-07-21 1999-03-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waveguide module having waveguide substrate made of predetermined material and ferrule made of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waveguide substrate
JP3853866B2 (ja) * 1995-02-21 2006-12-06 日本碍子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固定用基板
US6085003A (en) * 1998-07-28 2000-07-04 Us Conec Ltd Multifiber connector having a free floating ferrule
JP2000180649A (ja) * 1998-12-10 2000-06-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レセプタクル型光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46868B2 (en) * 2000-03-28 2006-05-16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Optical waveguide transmitter-receiver module
US6722791B2 (en) * 2002-04-19 2004-04-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ulti-fiber ferrule
JP3858995B2 (ja) * 2002-07-02 2006-12-20 オムロン株式会社 光導波路装置の製造方法
JP3960330B2 (ja) * 2004-11-12 2007-08-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デバイスの接続構造、光デバイス、電子機器
JP5165872B2 (ja) 2006-10-11 2013-03-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ェルール及び該フェルールを用いた光導波路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光導波路用コネクタ
US8104973B2 (en) * 2007-02-09 2012-01-31 Us Conec, Ltd. Ferrule-to-ferrule adapter and ferrule adapter assembly
US8052334B2 (en) * 2008-02-21 2011-11-08 US Conec, Ltd Field installable ferrule and tool and method for installing optical fibers in the ferrule using the tool
JP2011022198A (ja) 2009-07-13 2011-02-03 Molex Inc 光コネクタ
JP5401399B2 (ja) 2010-05-24 2014-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接続構造およびこれに用いる光導波路の製法
JP2012247732A (ja) 2011-05-31 2012-12-13 Hakusan Mfg Co Ltd 光導波路用フェルール及び光導波路用コネクタ
US9201201B2 (en) 2012-04-20 2015-12-01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trays, fiber optical modules, and methods of processing optical fibers
US10114174B2 (en) 2012-05-31 2018-10-3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connectors and optical coupling systems having a translating element
US20150010268A1 (en) * 2013-07-04 2015-01-08 Mellanox Technologies Ltd. Polymer-based interconnection between silicon photonics devices and optical fib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7878A (ja) * 2005-11-04 2007-05-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導波路接続構造
JP2007333959A (ja) 2006-06-14 2007-12-27 Fuji Xerox Co Ltd 光コネクタ
JP2011017933A (ja) * 2009-07-09 2011-01-27 Fujikura Ltd 光コネクタ
JP2014164270A (ja) * 2013-02-27 2014-09-08 Sumitomo Bakelite Co Ltd フェルール、光電気混載基板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9483A1 (ja) 2017-10-19
US11402582B2 (en) 2022-08-02
US20200326477A1 (en) 2020-10-15
JP2017191156A (ja) 2017-10-19
TWI705273B (zh) 2020-09-21
JP6694206B2 (ja) 2020-05-13
TW201809770A (zh) 2018-03-16
KR20180127991A (ko) 2018-11-30
CN108885313A (zh)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309B1 (ko) 광 도파로용 커넥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광 커넥터 키트와, 이에 의해 얻어지는 광 배선
US9201201B2 (en) Fiber trays, fiber optical modules, and methods of processing optical fibers
US20110026882A1 (en) Lensed optical connector with passive alignment features
JP5734709B2 (ja) 光コネクタ及び電子情報機器
US10025040B2 (en) Connector for multilayered optical waveguide
JP2007256372A (ja) 光ファイバ接続部品
KR102430632B1 (ko) 광커넥터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커넥터 키트,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광배선
JP4749317B2 (ja) 光路変換型光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回路基板
US8926194B2 (en) Optical board having separated light circuit holding member and optical layer
WO2017208285A1 (ja) 光コネクタ
JP4901654B2 (ja) 光コネクタ
JP2010066474A (ja) 光学接続構造
TWI504957B (zh) 光纖耦合連接器
TWI483020B (zh) Fiber optic plug and fiber optic connection components
WO2016175126A1 (ja) 光伝送モジュール
EP3401717A1 (en) Optical receptacle, optical module, and measurement method
JP2016090858A (ja) 光アセンブリ
JP5949317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akezaki et al. Design for PMT Connector (Polymer waveguides connected with MT connector)
KR20130126489A (ko) 광전송 모듈
CN118355304A (zh) 一种插芯、光连接器以及光连接器的制造方法
JP2013045018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光モジュール
JP2012047943A (ja) 光ファイバ保持部材
JP2010066472A (ja) 光学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