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137B1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 lens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137B1
KR102430137B1 KR1020200101347A KR20200101347A KR102430137B1 KR 102430137 B1 KR102430137 B1 KR 102430137B1 KR 1020200101347 A KR1020200101347 A KR 1020200101347A KR 20200101347 A KR20200101347 A KR 20200101347A KR 102430137 B1 KR102430137 B1 KR 10243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tact lens
information
us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0696A (en
Inventor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이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근 filed Critical 이영근
Priority to KR102020010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137B1/en
Publication of KR20220020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6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구매한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에 등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콘택트렌즈 선호도를 분석하여 콘택트렌즈를 추천하는 단계; 및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의 교체 시기에 기초하여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의 교체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contact lens,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comprising: registering information about a contact lens or a lens case purchased by a user to the computing device; recommending a contact lens by analyzing a user's contact lens pre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omputing device; and displaying a contact lens or lens case replacement notification based on the contact lens or lens case replacement timing.

Description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 lens} Contact len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 및/또는 렌즈 케이스의 정보 등록, 사용시간 관리, 맞춤형 렌즈 추천, 및 구매대행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contact lens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supporting contact lens and/or lens case information registration, usage time management, customized lens recommendation, and purchase agency, etc. It's about the system.

콘택트 렌즈는 시력을 교정하는 시력 교정용 렌즈 또는 미용을 위한 미용 렌즈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미용 렌즈는 눈동자를 선명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것이 목적인데 렌즈의 중앙 즉, 홍채 부분을 착색한 홍채 렌즈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컬러 렌즈들이 있다. 콘택트렌즈는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에 따라 각기 하루 권장 착용시간이 다르고 렌즈 종류나 렌즈 특성에 따라 사용기간도 일일 착용, 연속 착용, 겸용 착용 등으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여러 개의 콘택트렌즈를 번갈아 착용하는 경우 각 렌즈별 사용시간과 교체주기를 일일이 구별하여 관리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There are several types of contact lenses, such as vision correction lenses for correcting eyesight or cosmetic lenses for cosmetic purposes. The purpose of cosmetic lenses is to make the pupils look clear and beautiful, and there are iris lenses that color the center of the lens, that is, the iris part, and there are various color lenses in addition. For contact lenses, the recommended wearing time per day is different for each type of contact lens, and the period of us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lens or lens characteristics, such as daily wear, continuous wear, or combined wear. In many case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nd manage the usage time and replacement cycle for each lens.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약사법에 의해 사용자가 온라인상에서 단순히 렌즈정보 입력만으로 콘택트렌즈를 구매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어 사용자가 렌즈 판매점이나 안경점을 직접 방문하여 구매해야 하는데 콘택트렌즈는 안경과는 달리 1주일, 1개월 등 일정한 교체주기가 있기 때문에 매번 매장을 방문하여 구매하기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users are prohibited from purchasing contact lenses online simply by inputting lens information, so users must visit a lens store or an optician's store to purchase them. Since there is a certain replacement cycle, such as, it is cumbersome to visit the store every time to purchase.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03078호 (2020년 1월 8일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03078 (published on January 8, 2020)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콘택트 렌즈와 렌즈 케이스를 매칭하여 종합 관리하고 각각의 사용기한과 교체 알림을 제공하고 렌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렌즈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렌즈를 추천하고 적절한 교체시기에 콘택트렌즈를 대행으로 구매하여 배송하는 렌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comprehensively manages contact lenses and lens cases by matching them, provides expiration dates and replacement notifications for each, and recommends customized lenses according to the user's lens preference based on lens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purchases and delivers contact lenses on an agent's behalf at an appropriate replacement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구매한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에 등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콘택트렌즈 선호도를 분석하여 콘택트렌즈를 추천하는 단계; 및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의 교체 시기에 기초하여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의 교체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ct lens management method executed in a computing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gistering information about a contact lens or lens case purchased by a user to the computing device; recommending a contact lens by analyzing a user's contact lens pre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omputing device; and displaying a contact lens or lens case replacement notification based on the contact lens or lens case replacement tim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을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disclos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act lens management method in a computing device is recorded.

기존에는 약사법으로 인해 사용자가 직접 안경점이나 렌즈 판매점을 방문하여 콘택트렌즈를 구매하였지만 교체주기가 짧은 콘택트렌즈 특성상 매번 매장을 방문하여 렌즈를 구매하기가 번거로웠고 또한 여러 개의 렌즈를 번갈아 착용하는 경우 각 렌즈와 렌즈 케이스의 사용시간과 교체시기를 일일이 구별하여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렌즈와 케이스와 교체 알림 및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렌즈 추천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렌즈를 구매 대행하여 배송하기 때문에 렌즈 및 케이스의 관리가 용이하고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In the past, due to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users directly visited an optician or lens store to purchase contact lenses. Although it was not easy to separately manage the use time and replacement time of the lens and the lens case, according to the contact len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suitable for the user through notification of lens and case replacement and customized lens recommendation according to preferen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and convenient to manage the lens and case because it is delivered on behalf of the purchaser.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및 렌즈 케이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및 렌즈 케이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입력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6 및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ct lens and a lens c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ct lens and a lens cas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formation input scree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n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이루어진다', 및 '~로 구성된다'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The expressions 'comprising', 'consisting of', and 'consisting of'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s.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앱'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앱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software' refers to a technology that moves hardware in a computer, and the term 'hardware' refers to a tangible device or device (CPU, memory, input device, output device, peripheral device, etc.) constituting the computer. and the term 'step' means a series of processes or operations connected in a time series to achieve a predetermined goal, and the term 'program', 'application' or 'app' means a set of instructions that are combined to be processed by a computer And, the term 'program recording medium' mean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or app used to install, execute, or distribute a program or app is recorded.

본원 명세서에서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물리적, 기능적, 또는 논리적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erms such as '~ unit', '~ module', and '~ unit' used in this specification to refer to elements of the invention may mean a physical, functional, or logical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in one or more hardware or software or firmware, or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hardware, software, and/or firmware.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 또는 '컴퓨팅 장치'는 윈도우, 맥, 또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응용프로그램들, 기억장치(예를 들면, HDD, SDD),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또는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서버 장치 등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PDA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 중 하나일 수도 있다. As used herein, a 'computer' or 'computing device' refers to an operating system such as Windows, Mac, or Linux, a computer processor, a memory, applications, a storage device (eg HDD, SDD), and a device having a display can be The computer or comput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ny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server device, etc., and may also be one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PDA.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임의의 신호나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한다는 것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at component A transmits any signal, data, or information to component B means component A directly transmits to component B or component A transmits any signal, data or information to component B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It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transmission.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또는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구성요소 A 및 B가 서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at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operatively' related to (or connected to) each other means that components A and B are wired and/or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 and/or receive data. can mea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및/또는 렌즈 케이스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및/또는 렌즈 케이스 관리 시스템(이하 간단히 "관리 시스템"이라고도 함)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 하나 이상의 렌즈 판매점(20), 관리서버(30), 및 데이터베이스(40)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 구성요소(10,20,30,40)는 임의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ct lens and/or lens ca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ntact lens and/or lens case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one or more user terminals 10 , one or more lens retailers 20 , and a management server 30 . ), and a database 40 , and these components 10 , 20 , 30 ,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y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사용자 단말기(10)는(이하 간단히 "단말기"라고도 함)는 관리서버(3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또는 웨어러블 기기이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erminal") is a portable or wearabl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smartphone, tablet, or notebook computer. have.

렌즈 판매점(20)은 콘택트렌즈(이하 간단히 "렌즈"라고도 함) 및/또는 렌즈 케이스(이하 간단히 "케이스"라고도 함)를 판매하는 매장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콘택트렌즈에 관한 정보("렌즈 정보") 또는 렌즈 케이스에 관한 정보("케이스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렌즈 판매점(20)에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 입력할 수 있고, 이렇게 입력된 정보가 관리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lens store 20 is a store that sells contact lense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lenses”) and/or lens case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cases”). In one embodiment, information about a contact lens purchased by the user (“lens information”) or information about a lens case (“cas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may be input to the computing device installed in the lens store 20 , , the information input in this way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

관리서버(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및/또는 케이스의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서버(30)는 구매자가 구매한 렌즈와 케이스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나 렌즈 판매점(20)으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렌즈나 케이스의 교체일 관리, 렌즈 선호도 분석, 맞춤형 렌즈 추천, 렌즈 구매대행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불러와서 이용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30 is a computing device executing software for managing a lens and/or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the lens and case purchased by the purchaser from the user terminal 10 or the lens dealer 20, and based on this, management of the replacement date of the lens or case, the lens It is possible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preference analysis, customized lens recommendation, lens purchase agency, and the like, and for this purpose, data necessary for this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40 or retrieved from the database 40 and used.

도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관리서버(30)는 정보관리모듈(31), 분석모듈(32), 및 구매대행모듈(33)을 포함한다. 정보관리모듈(10)은 고객(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구매한 렌즈의 정보 및 렌즈케이스의 정보를 관리(저장, 수정, 변경, 삭제 등)하는 기능부이다. 고객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명,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에 관한 정보는 콘택트렌즈의 제품명, 구입처, 가격, 렌즈종류, 컬러, 무늬(패턴), 직경, 도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렌즈에 관한 정보 중 제품명, 렌즈유형, 구매일, 및 교체주기(권장 사용일)에 관한 정보는 필수 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고, 콘택트렌즈의 제조사, 구입처, 가격, 색상, 패턴, 직경, 및 도수에 관한 정보는 선택 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필수 정보와 선택 정보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the management server 30 includes a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 , an analysis module 32 , and a purchase proxy module 33 . Th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0 is a functional unit that manages (stores, modifies, changes, deletes, etc.) customer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on lenses purchased by the user, and information on lens cases. The customer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name, age, gender, address, and phone number. The information about the lens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product name, purchase place, price, lens type, color, pattern (pattern), diameter, and frequency of the contact lens. In one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product name, lens type, purchase date, and replacement cycle (recommended use date) among the information about the lens may be included as essential information, and the contact lens manufacturer, place of purchase, price, color, pattern, Information regarding the diameter and the frequency may be included as optional information. Of course,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types of the essential information and the optional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분석모듈(32)은 사용자의 렌즈 선호도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렌즈를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석모듈(32)은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가 구매한 렌즈의 렌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렌즈 선호도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선호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렌즈들을 맞춤형 렌즈로서 추천할 수 있다. The analysis module 32 may analyze a user's lens preference and recommend a user-customized le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 one embodiment, the analysis module 32 determines the user's lens preferenc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lens information of the lens purchased by the user, and recommends lenses expected to be preferred by the user as a customized lens based on the determined preference. can do.

구매대행모듈(33)은 사용자가 렌즈나 케이스를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구매대행모듈(33)은 사용자에게 판매 상품(콘택트렌즈 및 렌즈 케이스)을 보여주고 비용 결제, 배송 관리, 구매이력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대행모듈(33)을 통해 렌즈나 케이스의 비용을 결제하고 구매를 위탁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자가 사용자를 대리하여 렌즈판매점에서 해당 렌즈나 케이스를 구매하고 사용자에게 배송할 수 있다. The purchase proxy module 33 is a functional unit that allows a user to purchase a lens or a case online. For example, the purchase proxy module 33 may show products for sale (contact lenses and lens cases) to the user and provide services such as payment, delivery management, and purchase history management. If the user pays the cost of the lens or case through the purchase proxy module 33 and entrusts the purchase, for example, the system op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chase the lens or case on behalf of the user at the lens store and deliver it to the user. have.

대안적 실시예에서, 관리서버(30)의 정보관리모듈(31), 분석모듈(32), 및 구매대행모듈(33)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기(10)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렌즈 및 렌즈케이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이하 간단히 “관리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함)을 설치할 수 있고 이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사용자의 렌즈 선호도를 분석하거나 구매대행을 지원하는 기능(예컨대 상품을 보여주고 비용을 결제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는 데이터베이스(40)와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 , the analysis module 32 , and the purchase proxy module 33 of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10 . For example, a user may install a lens and lens case management applica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management application”), which may, for example, analyze a user's lens preferences or assist with purchasing (eg, display products and cost money). payment function, etc.)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 may communicate with the database 40 to exchange necessary information or data.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저장장치(130), 카메라(140), NFC 리더기(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컴퓨팅 기기인 경우 도2에 도시한 기능부 외에 다른 기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관련된 구성요소만 도시하였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 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a processor 110 , a memory 120 , a storage device 130 , a camera 140 , an NFC reader 150 , a display 160 , and a communication unit ( 170) may be included. If the terminal 10 i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functional units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units shown in FIG. 2 ,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범용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 이거나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의미할 수 있으며 메모리(120)에 로딩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 is a device that interprets and executes computer instructions, and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a general general computer o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in the cas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is loaded into the memory 120 . application can be run.

메모리(12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단말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운영체제(OS),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메모리(120)에 로딩된 후 실행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저장장치(130)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로서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플래시 메모리,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렌즈 및 렌즈케이스 관리 애플리케이션(2000을 포함하며,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예컨대 저장장치(13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memory 120 may be implemented as a storage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may be executed or used after an operating system (OS), applications, data, etc. necessary for driving the terminal 100 are loaded into the memory 120 . have. The storage device 130 is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for storing programs or data,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a flash memory, or a secure digital (SD) memory c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a lens and lens case management application 2000 , and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in the storage device 130 .

카메라(140)는 피사체의 스틸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 포장지나 렌즈 케이스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NFC 리더기(15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위한 기능부이며 예를 들어 렌즈 케이스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읽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는 NFC 라이터(writer)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예컨대 렌즈 케이스의 NFC 태그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와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이며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도 기능한다. 통신부(170)는 단말기(10)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 등 외부기기와 유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하는 기능부이며, 단말기(10)는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무선 통신망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다. The camera 140 is a device that takes a still image or a moving picture of a subject, and may be used to scan a barcode printed on a lens wrapper or a lens ca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FC reader 150 is a functional unit f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for example, can read the NFC tag attached to the lens case. Optionally, the user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n NFC writer, and in this case, for example, may write data to an NFC tag of a lens case. The display 160 is an output interface for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to the user, and when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lso functions as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input. The communication unit 170 is a functional unit that allows the terminal 10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server 30 through a network in a wired/wireless manner, and the terminal 10 is a server ( 30) can be communicated with.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및 렌즈 케이스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ct lens and a lens cas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렌즈판매점(20)을 방문하여 렌즈나 렌즈 케이스를 구매한다(S10).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나 관리서버(30)를 통해 온라인으로 렌즈나 렌즈 케이스를 구매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a user visits a lens store 20 and purchases a lens or a lens case (S10). Alternatively, a user may purchase a lens or a lens case online through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렌즈나 렌즈 케이스를 구매하면, 단계(S20)에서, 구매한 렌즈나 렌즈 케이스에 대한 렌즈 정보 및/또는 케이스 정보를 등록한다. 이 단계에 의해, 렌즈 정보와 케이스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기(10)에도 저장될 수 있다. When the user purchases a lens or a lens case, in step S20, lens information and/or case information for the purchased lens or lens case is registered. By this step, lens information and case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database 40 , and preferably, at least a part of these information can also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 .

일 실시예에서 콘택트렌즈에 관한 정보(렌즈 정보)는 콘택트렌즈의 제품명, 렌즈유형, 구매일, 및 권장 사용일에 관한 정보 및 콘택트렌즈의 제조사, 구입처, 가격, 색상, 패턴, 직경, 및 도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 lens (len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oduct name, lens type, date of purchase, and recommended use date of the contact lens, and the manufacturer, place of purchase, price, color, pattern, diameter, and frequency of the contact lens.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렌즈판매점(20)에서 렌즈나 렌즈 케이스를 구매한 경우, 이 단계(S20)에서, 예컨대 판매점(20)의 안경사가 렌즈 및/또는 렌즈 케이스의 정보를 판매점(20)의 단말기에 등록할 수 있고, 이 등록된 렌즈 정보 및/또는 케이스 정보가 관리서버(3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를 구매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의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정보 및/또는 케이스 정보를 관리서버(30)에 요청할 수 있고, 요청을 받은 관리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상기 렌즈 정보 및/또는 케이스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purchases a lens or a lens case from the lens store 20, in this step (S20), for example, an optician of the store 2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lens and/or lens case to the terminal of the store 20 may be registered, and the registered lens information and/or cas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stored in the database 40 . In addition, a user who has purchased the corresponding lens or lens case may request the lens information and/or cas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 using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 30 ) may transmit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s information and/or c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 to the user terminal 10 .

대안적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렌즈 및/또는 렌즈 케이스를 구매한 후 사용자가 단말기(10)의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을 이용하여 렌즈 정보 및/또는 케이스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정보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도4에서 '보관명칭'은 해당 렌즈를 다른 렌즈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으로, 에컨대 렌즈의 제품명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선정한 명칭일 수도 있다. '블록색상'은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의 화면상에서 해당 렌즈의 정보를 나타낼 때 배경색을 의미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렌즈 유형'은 렌즈의 종류로서 예컨대 미용렌즈, 서클렌즈, (시력 교정용) 일반렌즈 등의 미리 구분된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after the user purchases the lens and/or lens case, the user may directly input the lens information and/or case information using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of the terminal 10 . For example, Fig. 4 shows an exemplary information input scree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FIG. 4 , the 'storage name' is a name for distinguishing the corresponding lens from other lenses, for example, a product name of the lens or a nam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user. The 'block color' refers to a background color whe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len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lens type' may be input by selecting one of pre-divided types such as a cosmetic lens, a circle lens, and a general lens (for vision correction) as a type of lens.

'렌즈 정보'는 렌즈 가격, 구매처, 제조사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권장 사용일'은 렌즈 유형이나 렌즈 특성에 따라 권장되는 사용기한이며 렌즈마다 예컨대 1주일, 한달 등 권장 사용기간이 정해져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이 항목에 사용기한을 입력할 수도 있고 '렌즈 유형' 등 소정 정보에 기초하여 권장 사용일이 자동으로 결정되어 채워질 수도 있다. '렌즈교체 알람' 및 '케이스 교체 알람'은 렌즈나 케이스의 사용기한 임박을 알리는 알람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고, 그 외에 예컨대 '메모'란을 더 두어서 사용자의 시력 등 렌즈 사용에 필요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en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lens price, a purchase place, and a manufacturer. The 'recommended use date of the lens' is the recommended expiration date depending on the lens type or lens characteristics, and each lens has a recommended period of use, for example, one week or one month. In an embodiment, the user may input an expiration date in this item, or a recommended usage date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nd filled based on predetermined information such as 'lens type'. 'Lens replacement alarm' and 'case replacement alarm' can turn on/off the alarm function notifying the imminent expiration date of the lens or case. Allow information to be entered.

다시 도3를 참조하면, 구매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20)의 또 다른 대안적 방법으로 렌즈 케이스에 부착된 바코드나 QR 코드 또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구매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 및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3 , as another alternative method of registering purchase information ( S20 ), purchas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40 and the user terminal 10 using a barcode or QR code or NFC tag attached to the lens case. ) can be transmitted.

이와 관련하여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케이스의 예시적 구성을 나타내며 도5(a)와 도5(b)는 각각 렌즈 케이스(100)의 상부와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5(b)에 도시한 것처럼 일 실시예에서 렌즈 케이스(100)의 하부에 NFC 태그(110)가 부착된다. 사용자가 판매점(20)에서 렌즈와 렌즈 케이스를 구매한 경우 판매점(20)에서 렌즈 정보와 렌즈 케이스 정보를 NFC 태그(110)에 기록할 수 있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의 NFC 리더기(150)를 이용하여 NFC 태그(110)를 읽어서 렌즈 정보나 렌즈 케이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단말기(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판매점(20)에서 케이스(100)의 NFC 태그(110)에 렌즈 정보와 케이스 정보에 관한 식별번호만 기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매점(20)는 해당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렌즈 정보와 케이스 정보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0)는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그 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로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로(40)로부터 해당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다운로드하여 단말기(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In this regard, Fig. 5 show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len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s. 5 (a) and 5 (b) are perspective views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ens case 10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5 (b), the NFC tag 11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case 100 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purchases the lens and the lens case from the store 20 , the store 20 may record the lens information and the lens case information in the NFC tag 110 , and the user may use the NFC reader 150 of the mobile terminal 10 . ) to read the NFC tag 110 and store at least a portion of lens information or lens case information in the terminal 10 . Alternatively, the sales store 20 may record only the lens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related to the case information in the NFC tag 110 of the case 100 . In this case, the dealer 20 transmits lens information and ca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management server 30 ,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stores this information in the database 40 . Thereafter, the user may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downloa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40 , and store it in the terminal 10 .

단말기(10)의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단말기(10) 또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렌즈 정보 및 렌즈 케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렌즈와 케이스의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6 및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of the terminal 10 provides a lens and case management function to the user by using the lens information and the lens c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10 or the database 40 . For example, FIGS.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6을 참조하면,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렌즈와 케이스의 관리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도6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구매한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렌즈를 각각 블록(210,220,230,240)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for displaying the management state of the lens and the case. As shown in FIG. 6 , the user interface may display at least one contact lens purchased by the user by dividing it into blocks 210 , 220 , 230 , and 240 , respectively.

각 블록(210~240)은 렌즈 정보와 렌즈 케이스 정보 중 일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6의 실시예에서 제1 블록(210)은 렌즈 직경 정보를 포함하는 렌즈 제품명(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명칭)(211), 렌즈 케이스 사용기한(교체시기)(212), 렌즈 사용기한(213), 렌즈 착용여부 표시부(214)를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각각의 블록(210~240)도 각 콘택트렌즈에 대한 상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렌즈 케이스는 최대 3개월 사용이 권장되며,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렌즈 케이스 정볼 중 렌즈 케이스 사용일로부터 기산하여 남은 날짜를 케이스 사용기한(21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렌즈는 각각 종류에 따라 1주일, 1개월 등 미리 정해진 권장 사용기한이 있으며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예컨대 렌즈 정보 중 렌즈 구매일로부터 기산하여 남은 날짜를 렌즈 사용기한(213)에 표시할 수 있다. Each block 210 to 240 includes some of lens information and lens case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 6 , the first block 210 includes a lens product name (or a name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user) 211 including lens diameter information, a lens case expiration date (replacement time) 212, and a lens usage period. One 213 and a lens wear display unit 214 are included, and similarly, each block 210 to 24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for each contact lens. In general,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lens case for up to 3 months, and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may display the remaining days counted from the use date of the lens case among the lens case information in the case expiration date 212 . In addition, each lens has a predetermined recommended expiration date, such as one week or one month, depending on the type. .

일 실시예에서 각 블록(210~240)은 각기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블록(210~240)의 색상은 각 렌즈를 보관하는 각 렌즈 케이스(100)의 실제 색상과 동일한 색으로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각 렌즈 케이스에 보관한 렌즈의 식별이 한층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렌즈를 추가 구매한 경우 화면상의 블록추가 버튼(300)을 터치하여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여 해당 렌즈를 관리할 수 있고 화면상에서 블록(210~240)의 배열 순서도 변경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each block 210 to 240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Preferably, the color of each block 210 to 240 can be set to the same color as the actual color of each lens case 100 that stores each lens, so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lenses stored in each lens case can be further facilitated. can In addition, when the user additionally purchases a lens, a new block can be added by touching the block add button 300 on the screen to manage the corresponding lens,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blocks 210 to 240 on the screen can also be changed.

한편 도7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예컨대 제1 블록(210)의 렌즈를 착용할 경우 사용자가 제1 블록(210)의 착용여부 표시부(214)를 터치하면 착용상태가 “ON”이 되고 이 때부터 렌즈의 하루 착용기한(214)이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용렌즈나 서클렌즈는 하루에 4시간, 일반 시력교정 용렌즈는 하루에 8시간의 권장 사용시간을 가지며, 따라서 이러한 미리 설정된 하루 사용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해당 렌즈를 착용상태로 표시했을 때 렌즈의 하루 사용기한을 블록(210)에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7 , when the user wears the lens of the first block 210,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wearing or not display unit 214 of the first block 210, the wearing state is “ON”, and at this time A one-day wearing period 214 of the lens may be displayed. In general, cosmetic lenses or circle lenses have a recommended usage time of 4 hours a day and general vision correction lenses 8 hours a day. When done, the one-day expiration date of the lens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in the block 210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사용자가 구매한 복수의 콘택트렌즈의 각각에 대해 각 렌즈와 이 렌즈를 보관하는 케이스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렌즈와 케이스를 한층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의 화면상에서 각 케이스를 서로 상이한 색상이나 패턴의 블록(210~240)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렌즈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블록(210~240)에 렌즈와 케이스의 각각의 사용기한 및 렌즈의 하루 착용시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시기에 렌즈와 케이스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more easily manage the lenses and cases by matching and managing each lens and the case storing the lens on a one-to-one basis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ntact lenses purchased by the user. make it possible That is, each case is displayed as blocks 210 to 240 of different colors or patterns on the screen of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lens, and each block 210 to 240 shows the lens and the case. By independently displaying each expiration date and wearing time of each lens, the user can replace the lens and case at an appropriate time.

다시 도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S20)에서 렌즈나 케이스의 구매에 의해 렌즈 정보와 렌즈 케이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와 데이터베이스(40)에 등록하면, 단계(S30)에서 관리 애플리케이션(200) 및/또는 관리서버(30)가 사용자의 렌즈 선호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렌즈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애플리케이션(200) 또는 관리서버(30)는 사용자가 그동안 구매한 콘택트렌즈의 렌즈 정보(예컨대 렌즈 제품명, 가격, 직경, 컬러, 무늬 등) 및 사용자 정보(예컨대 나이, 성별 등)에 기초하여 렌즈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3 , as described above, when lens information and lens case information are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database 40 by purchasing a lens or case in step S20 , management is performed in step S30 . The application 200 and/or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analyze the user's lens preference and recommend a customized lens accordingly. For example,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30 includes lens information (eg, lens product name, price, diameter, color, pattern, etc.) and user information (eg, age, gender, etc.) of the contact lens purchas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ens preference based on the .

렌즈 선호도를 결정하는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렌즈를 실제로 착용횟수나 착용시간에 기초하여 렌즈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 블록(210~240)의 착용여부 표시부(214)를 통해 렌즈의 착용 여부를 입력할 때마다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 해당 렌즈의 착용횟수와 누적 착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선호도 분석에 착용횟수나 착용시간을 사용할 경우, 단순히 렌즈를 구매한 것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렌즈를 착용한 것을 고려하기 때문에 더 높은 정확도로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lens preference, the lens preferen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lens is actually worn or the wearing time.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ever the user inputs whether to wear the lens through the wearing or not display unit 214 of each block 210 to 240,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calculates the number of times the lens is worn and the accumulated wearing time. In this way, when the number of wearing or wearing time is used for preference analysis, user preference can be determined with higher accuracy because the lens is actually worn rather than based on the purchase of the lens.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한 후 관리 애플리케이션(200) 또는 관리서버(30)는 이 선호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렌즈를 추천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추천대상 렌즈를 선정하는 과정은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상에서 이용되는 공지의 선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렌즈 판매점이나 안경원에서 판매율이 높은 제품이나 신제품, 기타 렌즈 추천 사이트나 인터넷 블로그나 까페 등에서 크롤링된 제품, 소셜미디어나 SNS 등 온라인 상에서 키워드로 언급된 제품 등과 같이 특정 기준이나 검색조건에 따라 추천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 After determining the user preference,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select at least one contact lens as a recommendation target and recommend it to the user based on the preference.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recommended target lens, a known selection method used online or offline may be used. For example, products or new products with a high sales rate at major lens stores or opticians, products crawled on other lens recommendation sites, internet blogs, cafes, etc., products mentioned as keywords online such as social media or social media, etc. Recommendations can be selected accordingly.

다음으로, 단계(S40)에서,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나 관리서버(30)는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의 교체 시기에 기초하여 렌즈 또는 케이스의 교체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각 블록(210~240)의 케이스 사용기한(212)과 렌즈 사용기한(213)에 표시되는 날짜에 기초하여 렌즈나 케이스의 사용기한 만료날짜 이전에 교체 알림을 표시할 수 있고, 이 때 교체 알림과 함께 선호도에 기초한 맞춤형 렌즈를 추천할 수도 있다. Next, in step S40,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30 may display a replacement notification of the lens or the case based on the replacement time of the contact lens or the lens case. For example, the management application 200 sends a replacement notification before the expiration date of the lens or case based on the date displayed in the case expiration date 212 and the lens expiration date 213 of each block 210 to 240 . can be displayed, and at this time, a customized lens can be recommended based on preference along with a replacement notification.

교체 알림이나 맞춤형 렌즈 추천을 받은 사용자가 렌즈 애플리케이션(200)이나 관리서버(30)를 통해 렌즈를 구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매대행 절차가 수행된다(단계 S50). A user who has received a replacement notification or a customized lens recommendation can purchase a lens through the lens application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a purchase proxy procedure is performed accordingly (step S50).

이 때 구매대행을 위해, 렌즈를 판매점(20)에서 직접 구매하는 자(예컨대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나 운영자)가 사용자로부터 미리 위탁구매 동의를 받아 안경사로부터 구매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고 가정한다.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a person who directly purchases a lens from the store 20 (eg, a system administrator or op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titled to purchase from an optician by obtaining a consignment purchase agreement from the user in advance for the proxy purchase.

구매대행 절차는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절차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현재 판매중인 콘택트렌즈나 추천대상 렌즈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 렌즈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면 구매한 렌즈에 관한 정보 및 결제정보를 관리서버(30)로 전송되고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purchase agency procedure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general online shopping. For example, when a currently sold contact lens or a recommended len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user selects a specific lens and pays for it, information on the purchased lens and payment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30 ) and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40 .

그 후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나 운영자 등 렌즈의 직접 구매자가 판매점(20)에서 렌즈를 구매한 후 사용자에게 배송하게 되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 시스템이 구매대행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안경점이나 렌즈 판매점을 방문하여 렌즈를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After that, the direct purchaser of the lens, such as the system manager or op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urchases the lens from the dealer 20 and then delivers it to the user. You can eliminate the hassle of visiting a lens store and purchasing a lens.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디스크, ROM, RAM, CD-ROM,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device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s, ROMs, RAMs, CD-ROMs, hard disk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etc., and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specifica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사용자 단말기 20: 렌즈 판매점
30: 관리서버 40: 데이터베이스
100: 렌즈 케이스 200: 관리 애플리케이션
10: user terminal 20: lens store
30: management server 40: database
100: lens case 200: management application

Claims (7)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구매한 콘택트렌즈와 렌즈 케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하는 단계(S20);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콘택트렌즈 선호도를 분석하여 콘택트렌즈를 추천하는 단계(S30); 및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의 교체 시기에 기초하여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의 교체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렌즈와 렌즈 케이스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콘택트렌즈와 렌즈 케이스를 판매한 판매점의 단말기에서 렌즈 케이스에 부착된 NFC 태그에 상기 콘택트렌즈와 렌즈 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점의 단말기에서 상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의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콘택트렌즈 또는 렌즈 케이스의 관리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구매한 복수개의 콘택트렌즈 각각에 대한 제품명, 잔여 사용기한, 착용여부, 착용시간 및 렌즈 케이스의 잔여 사용기한을 표시하고,
상기 콘택트렌즈 선호도를 분석하여 콘택트렌즈를 추천하는 단계는,
실제로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착용횟수 및 착용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콘택트렌즈 선호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콘택트렌즈 선호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렌즈를 추천대상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
As a contact lens management method executed in a user terminal,
register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 lens and lens case purchased by the user in the user terminal (S20);
Recommending a contact lens by analyzing a user's contact lens pre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S30); and
Displaying a contact lens or lens case replacement notification based on the contact lens or lens case replacement time (S40); includes;
The step of register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 lens and the lens case to the user terminal,
record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 lens and the lens case in an NFC tag attached to the lens case in a terminal of a store that sold the contact lens and the lens cas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store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application for the management of contact lenses or lens cases, the application has a user interface (UI) for displaying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contact lenses or lens cases,
The user interface displays a product name, a remaining expiration date, whether to wear, a wearing time, and a remaining expiration date of the lens cas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ct lenses purchased by the user,
The step of recommending a contact lens by analyzing the contact lens preference,
determining the preference of the contact len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and time of wearing the contact lens in fact; and
Selecting at least one contact lens as a recommendation target based on the determined contact lens preferen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에 관한 정보는 콘택트렌즈의 제품명, 렌즈유형, 구매일, 및 권장 사용일에 관한 정보 및 콘택트렌즈의 제조사, 구입처, 가격, 색상, 패턴, 직경, 및 도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 lens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oduct name, lens type, date of purchase, and recommended use date of the contact lens, and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contact lens manufacturer, place of purchase, price, color, pattern, diameter, and power. A method for managing contact lenses,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구매대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매대행 처리는,
판매중인 복수개의 콘택트렌즈 중 구매할 콘택트렌즈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콘택트렌즈에 대한 비용결제 단계; 및
구매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정보 및 결제정보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ecuting a purchase proxy processing of the contact lens by the user,
The purchase agency processing is,
selecting a contact lens to be purchased from among a plurality of contact lenses being sold;
payment for the selected contact lens; and
Transmitting the purchased contact lens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to the server device; Contact lens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제1항, 제3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을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act lens management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3 or 6 in a computing device is recorded.
KR1020200101347A 2020-08-12 2020-08-12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 lens KR102430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347A KR102430137B1 (en) 2020-08-12 2020-08-12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347A KR102430137B1 (en) 2020-08-12 2020-08-12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696A KR20220020696A (en) 2022-02-21
KR102430137B1 true KR102430137B1 (en) 2022-08-08

Family

ID=8047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347A KR102430137B1 (en) 2020-08-12 2020-08-12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1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141B1 (en) * 2022-05-09 2023-03-07 (주)테온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purchasing platform service of it infrastructure equipment based on chat between seller and buy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2189A (en) * 2010-03-16 2011-09-29 Nikon Corp Glasses vending system, lens company terminal, frame company terminal, glasses vending method, and glasses vend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414A (en) * 2010-10-08 2012-04-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lothes by user personalized type and server having function therefore
SG10201703534XA (en) 2017-04-28 2018-11-29 D Newman Stephen Evaluation of Prescribed Optical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2189A (en) * 2010-03-16 2011-09-29 Nikon Corp Glasses vending system, lens company terminal, frame company terminal, glasses vending method, and glasses vending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696A (en)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6961B2 (en) Determining pricing information from merchant data
US11120419B1 (en) Prescient and adaptive point-of-sale systems
US202002581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add-on purchase
US10318569B1 (en) Smart inventory tags
US20170236182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recommendation of a product or service based on inferring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a customer
US20180239173A1 (en) Optical eyeglasses lens and frame selecting and fitting system and method
US11887173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store product recommendations
US10832307B1 (en) Systems for analyzing and updating data structures
US10650422B1 (en) Augmented project lists with price information
KR10243013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 lens
US11403646B2 (en) Secure pin entry via mobile device
US202303513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in a computing system based on verified event record
US11126985B1 (en) Integrating functionality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US202303167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rdering image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30410137A1 (en) Methods for managing virtual shopping carts
US202400785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age-conditioned access control based on a blockchain wallet
US119079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our-based image analysis and search
US20240087251A1 (en) Methods for calibrating augmented reality scenes
JP7433807B2 (en) Product recommend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product recommendation method
US202303600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update to access control rules in a computing system based on blockchain monitoring
US202303535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in a computing system
US202303163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duct data on mobile user interfaces
US202400132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age-conditioned access control based on a blockchain wallet
CN11776971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8026156A (en) Sale display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