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788B1 - Touch Pressure Sensor - Google Patents

Touch Pressur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788B1
KR102427788B1 KR1020160013079A KR20160013079A KR102427788B1 KR 102427788 B1 KR102427788 B1 KR 102427788B1 KR 1020160013079 A KR1020160013079 A KR 1020160013079A KR 20160013079 A KR20160013079 A KR 20160013079A KR 102427788 B1 KR102427788 B1 KR 102427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member
substrate
touch pressure
elastic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2048A (en
Inventor
진병수
서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6001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788B1/en
Publication of KR2017009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압력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탄성 멤브레인부재,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 상면에 배치되는 제1전극부재,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전극부재,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는 섬유 내에 도전성 분말이 분포된 섬유체이며,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 구분되거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을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 차이로 구분되는 복수의 압력세기모드 및 상기 나노섬유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제1전극부재, 상기 도전성분말, 상기 제2전극부재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통로가 형성되는 쇼트모드를 포함하여 터치압력의 차이를 더 세분화하여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을 더 다양하게 구분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ressure sensor, and relates to an elastic membrane member, a first electrode memb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 second electrode memb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and a pressure sens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member to sense a touch pressure, wherein the elastic membrane member is a fibrous body in which conductive powder is distributed in the fiber,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is electrostati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plurality of pressure intensity modes divided by a change in capacity or a difference in resistance values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nanofiber member is pressed, the first electrode member, the conductive powder, the second electrode The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can be further subdivided and accurately detected, including the short mode in which a conductive passage made of a two-electrode member is formed.

Figure R1020160013079
Figure R1020160013079

Description

터치압력 감지 센서{Touch Pressure Sensor}Touch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터치압력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쇼트모드가 추가되어 터치압력의 차이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터치압력을 더 세분화하여 감지할 수 있는 터치압력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by adding a short mode, and further subdividing the touch pressure to detect the touch pressure.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투명 필름에 투명 전극이 구비된 터치센서를 커버 유리(Cover Glass)에 합착하여 제작되고 있다.In general, a touch screen panel is manufactured by bonding a touch sensor having a transparent electrode on a transparent film to a cover glass.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터치센서를 이용한 정전 용량방식으로 화면 상의 터치를 감지하고 있다.The touch screen panel senses a touch on the screen in a capacitive manner using the touch sensor.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터치센서로 2차원적인 감지 즉, 화면의 평면 상에서 터치의 감지와 감지된 평면상의 위치만을 감지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panel senses only the two-dimensional sensing with the touch sensor, that is, the sensing of a touch on the plane of the screen and the detected position on the plane.

이에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터치압력을 감지하여 터치압력에 따라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분하여 실행하도록 터치 스크린 패널용 터치압력 감지 센서가 제안된 바 있다.Accordingly, a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for a touch screen panel has been proposed so as to detect a touch pressure in order to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 user, and to separately execute an installed program o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그러나,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용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터치압력의 차이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렵고, 감지되는 터치압력을 세분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ouch pressure sensor for a touch screen panel has problems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a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and it is difficult to subdivide the sensed touch pressure.

또한,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이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which causes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rketability of the touch screen panel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쇼트모드가 추가되어 터치압력의 차이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터치압력을 더 세분화하여 감지할 수 있는 터치압력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by adding a short mode, and further subdividing the touch press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조과정 및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터치압력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that has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structur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improving the commercial properties of a touch screen panel.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 복원력을 증대시킨 터치압력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n air layer therein, and to provide a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with increased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탄성 멤브레인부재,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 상면에 배치되는 제1전극부재,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전극부재,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는 섬유 내에 도전성 분말이 분포된 섬유체이며,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 구분되거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을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 차이로 구분되는 복수의 압력세기모드 및 상기 나노섬유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제1전극부재, 상기 도전성분말, 상기 제2전극부재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통로가 형성되는 쇼트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uch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elastic membrane member, a first electrode memb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nd a second electrode memb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nd a pressure sens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to sense a touch pressure, wherein the elastic membrane member is a fibrous body in which conductive powder is distributed in the fiber,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is the second electrode member. A plurality of pressure intensity modes divided by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r a difference in resistance valu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nanofiber member is pressurized to make the first electrode and a short mode in which a conductive passage made of one electrode member, the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is formed.

본 발명에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 터치 압력을 감지하거나,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를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 차이로 터치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ing unit senses a touch pressure due to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or touches a touch by a difference in resistance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pressure can be sensed.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체는 나노섬유의 내부에 도전성 분말이 분포된 나노섬유부재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rous body may be a nanofiber member in which conductive powder is distributed inside the nanofiber.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섬유부재는 내화학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와 도전성분말을 혼합하고 도전성분말이 혼합된 고분자 재료를 전기방사 공법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 형태로 방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fiber member may be formed by mixing a chemical resistant polymer material and conductive powder, and spinning the polymer material in which the conductive powder is mixed in the form of nanofibers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섬유체의 섬유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gel member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bers of the fibrous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제1기재와 제2기재, 상기 제1기재를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에 접착시키는 제1접착부재,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와 상기 제2기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재를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에 접착시키는 제2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touch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 first adhesive member for bonding the first substrate to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 second adhesiv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nd the second substrate to adhere the second substrate to the elastic membrane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 사이에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를 접착시키는 기재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to adher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It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adhesive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접착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전극부재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2접착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전극부재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재 또는 상기 제2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의 사이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or the second substrate may have an air exhaust hole for discharging air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공기 배출구멍을 막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for blocking the air discharge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제2기재의 하부 측에 적층되어 상기 멤브레인부재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late member lamin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bstrate to support the membrane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전극부재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하면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도전성 플레이트부재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ctrode member may be a conductive plate member that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by a conductive adhesive.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압축 전 두께가 d2이고, 압축 후 두께가 d1일 때 압축 후 두께는 0.2×d2 ≤ d1 ≤0.9×d2을 만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before compression is d 2 and the thickness after compression is d 1 , the thickness after compression may satisfy 0.2×d 2 ≤ d 1 ≤ 0.9×d 2 .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두께는 10 ~ 20㎛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may be 10 ~ 20㎛.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섬유는 600 ~ 700nm의 선경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may have a wire diameter of 600 to 700 nm.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두께(d1)과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섬유 선경(d3)은 d1:d3 = 1~2 : 0.03~0.007을 만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d 1 )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nd the fiber wire diameter (d 3 )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may satisfy d 1 : d 3 = 1 to 2: 0.03 to 0.007.

본 발명은 터치압력의 차이를 더 세분화하여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을 더 다양하게 구분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can be more subdivided and accurately detected, so that the operation of a program or application can be more diversely classified and the user's satisfaction is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은 두께를 최대한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확보하여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반복된 터치압력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터치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can be formed as thin as possible, and while the thickness is formed as thin as possible,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by securing sufficient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touch pressure can be sensed quickly and accurately even with repeated touch pressure.

본 발명은 터치압력의 차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멀티 터치된 위치에서의 각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즉, 멀티 압력 감지가 가능하여 터치압력에 따른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을 병확하게 구분하여 실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멀티 압력 감지에 따른 더 다양한 UI를 구현할 수 있어 터치압력에 따른 작동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ct the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and can detect each touch pressure at the multi-touched position, that is, multi-pressure detection is possible, so that the operation of a program o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can be accurately classified and execu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diverse UI according to multi-pressure sensing, which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and ease of use according to touch pressure.

본 발명은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확보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erchantability of the touch screen panel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to secure economic feasibility.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전극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제1기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전극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제2기재의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1 to 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substrate showing the shap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substrate showing the shape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schematic views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탄성 멤브레인부재(30),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 상면에 배치되는 제1전극부재(70),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전극부재(80)를 포함한다.1 to 4 and 7 to 9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different embodiments of a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ring to FIGS. 1 to 4 and 7 to 9 , a t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or includes an elastic membrane member 30 , a first electrode member 7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and a second electrode member 80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11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ing unit 1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to sense the touch pressure.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는 섬유체이고, 더 상세하게는 나노섬유(31)로 형성된 나노섬유부재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상기 나노섬유(31)의 내부에는 도전성 분말(31a)이 분포되어 있다.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is a fibrous body, and more specifically, it is a nanofiber member formed of nanofibers 31 as an example, and conductive powder 31a is distributed inside the nanofiber 31 . .

상기 나노섬유부재는 내화학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와 도전성분말을 혼합하고 도전성분말이 혼합된 고분자 재료를 전기방사 공법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 형태로 방사하여 형성한 것을 일 예로 한다.As an example, the nanofiber member is formed by mixing a polymer material having chemical resistance and conductive powder, and spinning the polymer material in which the conductive powder is mixed in the form of nanofibers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더 상세하게 상기 나노섬유부재는 폴리머수지와 도전성분말, 용매를 포함한 폴리머 방사액을 사용하여 전기 방사하여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In more detail, for example, the nanofiber member is manufactured by electrospinning using a polymer spinning solution including a polymer resin, conductive powder, and a solvent.

상기 폴리머수지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S(polystyren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A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As an example, the polymer resin may be any one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styrene (PS), poly (methylmethacrylate) (PMMA), and PAN.

상기 도전성분말은 구형의 은분말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구리분말, 알루미늄분말, 금분말일 수 있고, 두개 이상의 도전성분말이 혼합된 것일 수도 있다. The conductive powder may be spherical silver powder as an example, and may be copper powder, aluminum powder, gold powder, or a mixture of two or more conductive powders.

상기 도전성 분말(31a)은 상기 폴리머 방사액 내에 포함되어 전기 방사 공정에 의한 상기 나노섬유(31) 내에 삽입되어 고르게 분포되는 것이다. The conductive powder 31a is included in the polymer spinning solu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nanofiber 31 by an electrospinning process and evenly distributed.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는 상기 제1전극부재(70)가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압축되어 압축되기 전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이 최초 상태 즉, 압축되기 전 제조된 상태에서 압축되어 두께가 감소되어 탄성 복원력이 증대되는 것이다.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is com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before compression, so tha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in the initial state, that is, the state manufactured before compression. It is compressed at the bottom to decrease the thickness and increas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압축 전 두께가 d2이고, 압축 후 두께가 d1일 때 압축 후 두께는 0.2×d2 ≤ d1 ≤0.9×d2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before compression is d 2 and the thickness after compression is d 1 , the thickness after compression preferably satisfies 0.2×d 2 ≤ d 1 ≦0.9×d 2 .

또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두께는 10 ~ 20㎛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섬유는 600 ~ 700nm의 선경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is 10 to 20 μm as an example, and the fiber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have a wire diameter of 600 to 700 nm as an example.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두께(d1)과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섬유 선경(d3)은 d1:d3 = 1~2 : 0.03~0.007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d 1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and the fiber wire diameter d 3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preferably satisfy d 1 :d 3 = 1 to 2: 0.03 to 0.007.

상기 제1전극부재(70)는 복수의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상기 전극패턴은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압축 시 가압되어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된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and the electrode pattern is pressed when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is compressed and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to be positioned. .

또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는 섬유체의 섬유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젤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젤부재(90)는 실리콘젤인 것을 일 예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gel member 90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bers of the fibrous body. The elastic gel member 90 is made of silicone gel as an example.

상기 압력 감지부(110)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As an example, the pressure sensing unit 110 senses a touch pressure by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

본 발명은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 사이에서 상기 나노섬유부재의 탄성적인 변화로 일정한 수준의 정전용량(Capacitance) 변화 값을 가지게 되며, 상기 압력 감지부(110)는 외부에서 가한 압력에 따른 전기적인 변화치 즉, 상기 정전용량(Capacitance) 변화 값을 이용하여 다단계의 구간을 정하여 다단계의 객체(Object)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tant level of capacitance change value due to the elastic change of the nanofiber member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 110) uses an electrical change value according to an externally applied pressure, that is, the capacitance change value to define a multi-step section so that a multi-step object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압력 감지부(110)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저항값의 변화로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ing unit 110 measur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nd detects the touch pressure by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do for example

상기 제1기재(10)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눌리게 되면 압력에 의해 상기 제1기재(10)가 휘어지면서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나노섬유부재에 분포된 상기 도전성 분말(31a)과 접촉되어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이 작아지게 된다.When the first substrate 10 is pressed by the user's touch, the first substrate 10 is bent by the pressure, and the conductive powder 31a distributed i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nanofiber member. )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decreases.

이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짐은 물론 상기 제1전극부재(70)가 상기 나노섬유부재에 분포된 상기 도전성 분말(31a)과의 접촉면적의 증대로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이 작아지면서 전류가 더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This means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s reduced, as well as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is formed with the conductive powder 31a distributed in the nanofiber member. A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de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contact area, the current flows more smoothly.

그리고, 상기 제1기재(10)가 눌려지는 압력이 커지면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사이의 간격이 더 작아짐은 물론 상기 제1전극부재(70)가 상기 나노섬유부재에 분포된 상기 도전성 분말(31a)과의 접촉면적이 더 증대되어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이 더 작아지면서 전류가 더욱 더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by which the first substrate 10 is pressed increases, the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becomes smaller and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is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ductive powder 31a distributed in the nanofiber member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becomes smaller. will flow more smoothly.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제1기재(10)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터치압력에 따라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사이 간격의 변화 및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도전성 분말(31a)과의 접촉 면적 변화에 의한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 차이로 터치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That is, in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ubstrate 10 is pressed by a user's touch,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A difference in resistance value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due to a change in the distance and a change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conductive powder 31a to sense the touch pressure.

상기 압력 감지부(110)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차이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상기 터치압력의 다단계의 구간을 정하고 다단계의 객체(Object)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sure sensing unit 110 divides the difference in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by section to determine the section of the touch pressure in the multi-step process, and sets the multi-step object. (Object) to be executed.

상기 나노 섬유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터치 압력을 받아 압축되어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거리가 변하게 되면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 사이 정전용량(Capacitance) 또는 전류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상기 압력 감지부(110)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 구분되거나,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 차이로 구분되는 상기 터치압력의 다단계의 구간인 복수의 압력세기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세기모드에 해당되는 터치압력이 가해질 때 해당 터치압력에 대한 다단계의 객체(Object)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nanofiber member has elasticity and is compressed by a touch pressure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nd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capacitance or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changes between the members 80 ,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110 changes the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ure intensity modes that are multi-step sections of the touch pressure divided by a difference in resistance values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 and the pressure intensity When a touch pressure corresponding to a mod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ulti-step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ouch pressure.

또한, 상기 압력 감지부(110)는 상기 나노 섬유부재가 일정한도 이상 수축할 경우 상기 제1전극부재(70), 상기 나노섬유부재 내 도전성분말, 상기 제2전극부재(80)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통로가 생겨 Off => On 동작 즉, 쇼트모드에 대한 객체(Object)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ing unit 110 is a conductive passage consisting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the conductive powder in the nanofiber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when the nanofiber member contracts more than a certain degree. is created so that Off => On operation, that is, object for short mode can be performed.

상기 쇼트모드는 상기 제1전극부재(70), 상기 나노섬유부재 내 도전성분말, 상기 제2전극부재(80)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통로가 생기는 것으로 다른 정전용량 또는 전류의 저항값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압력세기모드 대비 가장 확실한 하나의 모드를 가진다.In the short mode, a conductive passage mad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the conductive powder in the nanofiber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s generated, and a plurality of different capacitances or current resistance values are distinguished. Compared to the pressure intensity mode, it has one most certain mode.

따라서, 터치압력에 의해 구분되는 다단계 객체 수행에 대한 단계수가 정해진 경우 다른 복수의 압력세기모드를 더 넓은 범위로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steps for performing a multi-step object divided by touch pressure is determined, a plurality of different pressure intensity modes can be divided into a wider range.

일 예로 쇼트모드가 없이 다단계 객체 수행이 4개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범위 또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 차이범위를 4개의 범위로 구분하여 각 객체 수행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더 미세하게 즉, 아주 세밀하게 압력을 구분해야지만 정확한 객체수행이 가능한 것이다. For example, when multi-step object execution is divided into four without a short mode, the range of capacitance chang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or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Since each object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resistance value difference rang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nto four ranges, the user must distinguish the pressure more finely, that is, very finely, to accurately perform the object.

반면에 본 발명은 터치압력에 의해 구분되는 다단계 객체 수행이 4개로 구분되는 경우 확실하게 구분되는 쇼트모드가 1개의 객체 수행을 수행하고, 나머지 3개의 객체 수행에 대해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범위 또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 차이범위를 3개의 범위로 구분하여 각 객체 수행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압력범위를 여유있게 구분해도 정확한 객체수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ulti-step object execution divided by the touch pressure is divided into four, the clearly divided short mode performs one object execution, and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for the remaining three object executions. The range of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or the range of the difference in resistanc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s divided into three ranges for each object. Since it is performed, accurate object execution is possible even if the user distinguishes the pressure range to a certain ext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섬유부재의 나노섬유에 분포된 상기 도전성 분말(31a)에 의해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 사이의 정전용량 범위 또는 전류의 저항값 범위가 넓고 터치압력에 따라 정전용량값 또는 전류의 저항값의 변화가 확실하므로 사용자의 터치압력에 대해 미세하고 정확한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nge of capacitance or resistance of curren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by the conductive powder 31a distributed in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member. It is wide and the change of the capacitance value or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is certain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so it is possible to make a fine and accurate judgment about the user's touch pressure.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의 일 실시 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An embodiment of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각각 복수의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직접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each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and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respectively.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의 다른 실시 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Another embodiment of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제1기재(10)와 제2기재(20), 상기 제1기재(10)를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에 접착시키는 제1접착부재(40),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와 상기 제2기재(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재(20)를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에 접착시키는 제2접착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 and a second substrate 20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and the first substrate 10 with the elastic membrane member ( 30),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to adhere the second substrate 20 to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dhesive member (50).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0 and 20 It should be noted that each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사이에는 제1접착부재(4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접착부재(40)는 상기 제1기재(10)를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에 접착시킨다. A first adhesive member 4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and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attaches the first substrate 10 to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dhere to (30).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와 상기 제2기재(20)의 사이에는 제2접착부재(5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접착부재(50)는 상기 제2기재(20)를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에 접착시킨다.A second adhesive member 50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attaches the second substrate 20 to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dhere to (30).

상기 제1접착부재(40)는 상기 제1전극부재(7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접착부재(50)는 상기 제2전극부재(8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양면에 각각 밀착된다.The first adhesive member 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s 70 ,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members 80 , and the first electrode member (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urface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respectively.

상기 제1접착부재(40)와 상기 제2접착부재(5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양면에 각각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를 접착시킬 뿐 아니라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를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사이에서 탄성 지지하여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탄성 복원력을 보강한다.The first adhesive member 4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not only adhere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to both surface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respectively, but also th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is reinforced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 do.

상기 제1기재(10) 또는 상기 제2기재(20)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의 사이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멍(10a, 20a)이 형성된다.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0 or the second substrate 20 has an air exhaust hole (10a, 20a) for discharging air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is formed

상기 공기 배출구멍(10a, 20a)은 상기 제2기재(20), 상기 제2접착부재(50),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 상기 제1접착부재(40), 상기 제1기재(10)를 차례로 적층한 후 가압하여 압축할 때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 사이의 공기를 배출시켜 제거함으로써 압축탄성력과 복원력을 극대화한다.The air outlet holes 10a and 20a are the second substrate 20 ,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 and the first substrate 10 . ) are stacked sequentially and then compressed by pressing to maximize the compressive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by discharging and removing the ai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0 and 20 .

상기 공기 배출구멍(10a, 20a)은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 중 어느 한 측에 복수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기재(10) 및 상기 제2기재(20)에 각각 복수로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기재(20), 상기 제2접착부재(50),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 상기 제1접착부재(40), 상기 제1기재(10)를 차례로 적층한 후 가압하여 압축할 때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 사이의 공기를 더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discharge holes 10a and 20a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either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and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The second substrate 20,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and the first substrate by being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lurality of the substrate 20 It is preferable to more smoothly discharge the air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when the (10) is sequentially stacked and then compressed by pressing.

상기 제2기재(20), 상기 제2접착부재(50),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 상기 제1접착부재(40), 상기 제1기재(10)는 차례로 적층된 후 상기 제1기재(10)의 상면 또는 상기 제2기재(2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가압롤(미도시)이 접촉하여 구르면서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의 사이를 가압하여 압축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The second substrate 20,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and the first substrate 10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n the first substrate A pressure roll (not shown) roll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1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0 while rolling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 Compression by pressing is taken as an example.

상기 공기 배출구멍(10a, 20a)은 상기 제1기재(10)에 형성되는 제1공기배출공(10a) 및 상기 제2기재(20)에 형성되는 제2공기배출공(20a)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공기배출공(10a)은 상기 가압롤이 굴러 이동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전극부재(70)의 전극패턴 끝단 측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2공기배출공(20a)은 상기 가압롤이 굴러 이동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전극패턴 끝단 측에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air outlet holes (10a, 20a) may include a first air outlet hole (10a) formed in the first substrate (10) and a second air outlet hole (20a) formed in the second base material (20) The first air outlet hole 10a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roll rolls, or the second air outlet hole 20a may be As an example, the pressure roll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n the rolling direction.

상기 공기 배출구멍(10a, 20a)은 상기 가압롤의 이동속도 및 가압압력에 따라 크기가 조절될 수 있고, 0.03mm ~ 5m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size of the air discharge holes 10a and 20a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and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pressing roll, and for example, having a diameter of 0.03 mm to 5 mm.

상기 제1공기배출공(10a)은 상기 가압롤이 굴러 이동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전극부재(70)의 전극패턴 끝단 측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전극부재(70)의 전극패턴과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기배출공(20a)은 상기 가압롤이 굴러 이동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전극패턴 끝단 측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전극의 전극패턴과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The first air discharge hole 10a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pattern end sid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overlaps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roll rolls. is formed, and the second air outlet hole 20a is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verlaps with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first electrode at the end of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roll rolls become an example.

상기 제1접착부재(40)로 구분되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의 각 셀의 전극패턴에서 상기 가압롤이 가장 늦게 도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접착부재(50)로 구분되는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각 셀의 전극패턴에서 상기 가압롤이 가장 늦게 도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Preferably, the pressure roll is formed in the last part of the electrode pattern of each cell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divided by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In the electrode pattern of each cell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divided by

이는 상기 가압롤이 이동하면서 공기가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탄성 구조에서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가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압축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인 것이다.This is so that the air can be sequentially discharged while the pressure roll moves, and in the elastic structur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are the elastic membrane member. It is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mpression of (30).

상기 제1기재(10)에 형성되는 상기 제1공기배출공(10a)은 상기 가압롤이 굴러 이동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전극부재(70)의 전극패턴(11)과 상기 제1접착부재(4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재(20)에 형성되는 상기 제2공기배출공(20a)은 상기 가압롤이 굴러 이동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전극패턴과 상기 제2접착부재(50)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air discharge hole 10a formed in the first base 10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 11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roll rolls and the first adhesive member ( 40) and formed in the second substrate 20, the second air discharge hole 20a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roll rolls and moves.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adhesive members 50 .

이는 상기 가압롤이 이동하면서 공기가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탄성 구조에서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가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압축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인 것이다. This is so that the air can be sequentially discharged while the pressure roll moves, and in the elastic structur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are the elastic membrane member. It is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mpression of (30).

또한, 상기 공기 배출구멍(10a, 20a)은 상기 제2기재(20), 상기 제2접착부재(50),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 상기 제1접착부재(40), 상기 제1기재(10)가 차례로 적층되어 압축되는 압축단계 후 밀봉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outlet holes (10a, 20a) are the second substrate 20,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the first substrat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10) is sequentially stacked and sealed after a compression step in which it is compressed.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공기 배출구멍(10a, 20a)을 막는 밀봉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압축단계에서 상기 제1접착부재(40)와 상기 제2접착부재(50) 중 일부가 상기 제1공기배출공(10a) 또는 상기 제2공기배출공(20a) 내로 채워져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상기 압축단계(S300) 후 상기 공기 배출구멍(10a, 20a)을 막을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도 변형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Although not shown, the touch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not shown) for blocking the air discharge holes 10a and 20a. The sealing member is formed by filling a portion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into the first air outlet hole 10a or the second air outlet hole 20a in the compression step. As an example, it should be noted that any structure that can block the air discharge holes 10a and 20a can be modified after the compression step (S300).

또한, 상기 제1접착부재(40)와 상기 제2접착부재(50)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사이에만 배치되어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가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양면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며,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와의 사이에 공기층이 없고,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탄성력을 직접 전달받게 되므로 터치 압력이 가해진 후 터치 압력이 해제되면 1초 이내로 빠르게 원위치로 복귀되어 반복되는 터치 압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are disposed only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to provide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to make the thickness as thin as possible, and there is no air layer between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and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touch pressure is directly transmitted, if the touch pressure is released after the touch pressure is applied, it is quick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in 1 second, so that the repeated touch pressure can be detected quickly and accurately.

또한, 상기 제1접착부재(40)의 두께(t2)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의 두께(t1)보다 작고, 상기 제2접착부재(50)의 두께(t2)는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두께(t1)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가 압축되면서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에 각각 원활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t 2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t 1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thickness t 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is the It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t 1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so that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is compressed so that it can be smoothly attached to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respectively. do.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 사이에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를 접착시키는 기재 접착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 the touch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base adhesive member 60 for adhering the first base 10 and the second base 20 .

상기 기재 접착부재(6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둘레에서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를 직접 서로 접착시키는 것이다.The substrate adhesive member 60 directly bonds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to each other around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가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둘레에서 직접 접착되므로 터치 영역 내에서의 탄성 지지력이 보강됨은 물론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여 터치 압력에 의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터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2기재(20)의 변형을 방지하여 터치 압력에 의한 상기 제2기재(20)의 변형에 의해 압력 감지가 부정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are directly bonded around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the elastic support force in the touch area is reinforced as well as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By supporting the gap between the two substrates 20,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due to touch pressure is prevented, the durability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is increased, and the second substrate when a touch pressure is applied. 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 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inaccurate pressure sensing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substrate ( 20 ) due to the touch pressure.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하부 측에 적층되어 상기 멤브레인부재(30)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late member 100 stack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to support the membrane member 30 .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10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20)의 하부면 또는 상기 제2기재(2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기 멤브레인부재(30)를 지지한다. The lower plate member 10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2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0 to support the membrane member 30 .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100)는 상기 제1기재(10)의 상부에서 터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2기재(2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터치 압력을 지지하여 상기 제2기재(20)의 변형을 방지하여 터치 압력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ower plate member 100 prevents the second substrate 20 from being bent when a touch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10 and supports the touch pressure to deform the second substrate 20 . to accurately detect the touch pressure.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100)는 상기 제2기재(20)의 하부면에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As an example, the lower plate member 100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0 with an adhesiv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와 별개로 후면에 배치되어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는 투명 또는 불투명 기재이고,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투명 또는 불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는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투명과 불투명과 관계 없이 제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ouch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a display panel such as an LCD on the touch screen panel and is arranged on the rear side separately from the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to sense the touch pressure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are transparent or opaque substrates, and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re form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electrode,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material. That is, in this case, it can be manufactured regardless of transparency and opacity.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터치 시 터치압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nse touch pressure when a touch is made on the touch screen panel.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에서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는 투명기재이고,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는 투명재질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일 예로 한다. In this case, in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are transparent substrates, and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re transparent. It is formed as an electrode, and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can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touch screen panel as an example.

상기 제1접착부재(40)와 상기 제2접착부재(50)는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member 4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may have conductiv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커버기재 즉, 강화유리 또는 강화코팅필름의 베젤부분에서 각 모서리부분에 장착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화면에서의 터치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기재(10)와 상기 제2기재(20)는 불투명 기재도 가능하고,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불투명 전극도 가능한 것임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each corner portion of the bezel portion of the cover substrate of the touch screen panel, that is, tempered glass or tempered coating film to sense the touch pressure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panel,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may be an opaque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may be an opaque electrode.

상기 제1기재(10)는 투명 PI필름일 수 있고, PEN(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PC(Polycarbonate)필름, PSS(Poly styrene sulfonate) 필름 중 하나일 수도 있고, 이외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투명재질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The first substrate 10 may be a transparent PI film, and may be one of a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a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PC (Polycarbonate) film, and a PSS (Poly styrene sulfonate) film. The use of a film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engineering plastic is an example.

또한, 상기 제1기재(10)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최상층에 배치되는 강화유리 또는 강화코팅 필름일 수도 있다. 상기 강화코팅 필름은 필름기재의 표면에 경도를 증대시키는 강화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필름기재는 투명 PI필름일 수 있고, PEN(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PC(Polycarbonate)필름, PSS(Poly styrene sulfonate) 필름 중 하나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강화코팅이 가능한 어떠한 것으로도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first substrate 10 may be a tempered glass or a tempered coating film dispos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touch screen panel. The reinforcing coating film is an example in which a reinforcing coating layer for increasing hardness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substrate. The film substrate may be a transparent PI film, and may be one of a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a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PC (Polycarbonate) film, and a PSS (Poly styrene sulfonate) film, in addition to a film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inforcing coating may be modified with anything possible.

상기 제2기재(20)는 투명 PI필름일 수 있고, PEN(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PC(Polycarbonate)필름, PSS(Poly styrene sulfonate) 필름 중 하나일 수도 있고, 이외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투명재질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substrate 20 may be a transparent PI film, and may be one of 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carbonate (PC) film, and a polystyrene sulfonate (PSS) film. Film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s such as engineering plastics can be used.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극으로 상기 제1기재(10)의 전면과 상기 제2기재(20)의 전면에서 각각 사용자가 터치하는 터치영역에 고르게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de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and a user can use each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0 , respectively. It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current can flow evenly in the touched area.

또한,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안착되는 경우 시인성 확보를 위해 상기 제1기재(10)의 전면과 상기 제2기재(20)의 전면에 각각 고르게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패턴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re seat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touch screen panel,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 20), it is preferable to design to have a pattern shape that can evenly flow each current and ensure visibility.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터치센서의 X축센서와 Y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may be at least one of an X-axis sensor and a Y-axis sensor of a touch sensor.

즉, 상기 제1전극부재(70)는 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X축 전극을 포함한 X축 센싱회로부일 수 있고,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Y축 전극을 포함한 Y축 센싱회로부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may be an X-axis sensing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X-axis electrodes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ncludes a plurality of Y-axis electrodes spaced a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a Y-axis sensing circuit including

또한, 상기 X축 전극 및 상기 Y축 전극은 마름모 형상의 메탈 메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X축 센싱회로부는 마름모 형상의 메탈 메쉬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X축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Y축 센싱회로부는 마름모 형상의 메탈 메쉬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Y축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X-axis electrode and the Y-axis electrode are formed in a rhombic metal mesh shape, and the X-axis sensing circuit part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e X-axis electrodes formed in a rhombic metal mesh shap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Y-axis sensing circuit unit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plurality of Y-axis electrodes formed in a rhombic metal mesh shape are electrically connected.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1전극부재(70)의 형상을 도시한 제1기재(10)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전극부재(80)의 형상을 도시한 제2기재(20)의 평면도로써,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전극부재(70)의 전극패턴과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전극패턴은 다각프레임 형태를 가지고, 복수의 열과 행을 가지도록 이격되게 배치된다.Meanwhile,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substrate 10 showing the shap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ond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lan view of the substrate 20,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have a polygonal frame shape, and a plurality of rows and They are spaced apart to have rows.

상기 제1접착부재(40)와 상기 제2접착부재(50)는 상기 전극패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전극부재(70)와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하나의 전극패턴을 포함한 다수의 셀로 구분하고, 상기 제2전극부재(80)를 하나의 전극패턴을 포함한 다수의 셀로 구분하여 각각의 셀에서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adhesive member 4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50 ar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s to form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as one electrode pattern.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ells,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ells including one electrode pattern so that a change in pressure can be sensed in each cell.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압력 감지 센서는 멀티 터치된 부분에 해당된 각 셀에서 상기 제1전극부재(70)의 전극패턴과 상기 제2전극부재(80)의 전극패턴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값 또는 저항 변화값을 통해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어 멀티 압력 감지가 가능한 것이다. That is, in the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ance chang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and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n each cell corresponding to the multi-touched portion. Alternatively, the touch pressure can be sensed through the resistance change value, so that multi-pressure sensing is possible.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하면에 접착층(81a)으로 접착되는 도전성 플레이트부재(81)일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may be a conductive plate member 81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with an adhesive layer 81a.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와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부재(81)를 접착시키는 상기 접착층(81a)은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81a bonding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and the conductive plate member 81 may have conductivity.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하면에 접착되는 도전성 플레이트부재(81)이고, 상기 제1전극부재(7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상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s a conductive plate member 81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and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is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전극부재(8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하면에 접착층(81a)에 의해 접착되는 도전성 플레이트부재(81)이고, 상기 제1전극부재(7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1기재(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극부재(70)는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3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기재(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econd electrode member 80 is a conductive plate member 81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by an adhesive layer 81a, and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is It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member 7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30 or may have a structu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 .

본 발명은 터치압력의 차이를 더 세분화하여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을 더 다양하게 구분하며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subdivide the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to accurately detect the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so that the operation of a program or application can be more diversely classified and the user's satisfaction is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은 두께를 최대한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확보하여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반복된 터치압력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터치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can be formed as thin as possible, and while the thickness is formed as thin as possible,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by securing sufficient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touch pressure can be sensed quickly and accurately even with repeated touch pressure.

본 발명은 터치압력의 차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멀티 터치된 위치에서의 각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즉, 멀티 압력 감지가 가능하여 터치압력에 따른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을 병확하게 구분하여 실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멀티 압력 감지에 따른 더 다양한 UI를 구현할 수 있어 터치압력에 따른 작동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ct the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and can detect each touch pressure at the multi-touched position, that is, multi-pressure detection is possible, so that the operation of a program o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can be accurately classified and execu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ore diverse UI according to multi-pressure sensing, which greatly improves operation reliability and ease of use according to touch pressure.

본 발명은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확보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품성을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es the productivity of the touch screen panel by securing economic feasibilit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0 : 제1기재 10a : 제1공기배출공
20 : 제2기재 20a : 제2공기배출공
30 : 탄성 멤브레인부재 31 : 나노섬유
31a : 도전성 분말 40 : 제1접착부재
50 : 제2접착부재 60 : 기재 접착부재
70 : 제1전극부재 80 : 제2전극부재
81 : 도전성 플레이트 90 : 탄성젤부재
100 : 하부 플레이트부재 110 : 압력 감지부
10: first substrate 10a: first air exhaust hole
20: second substrate 20a: second air exhaust hole
30: elastic membrane member 31: nanofiber
31a: conductive powder 40: first adhesive member
50: second adhesive member 60: substrate adhesive member
70: first electrode member 80: second electrode member
81: conductive plate 90: elastic gel member
100: lower plate member 110: pressure sensing unit

Claims (16)

탄성 멤브레인부재,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 상면에 배치되는 제1전극부재,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전극부재,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는 나노섬유의 내부에 도전성 분말이 분포된 나노섬유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터치압력에 따른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를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 차이를 구간별로 복수의 압력세기모드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나노섬유부재가 일정한도 이상 수축하는 경우, 상기 제1전극부재, 상기 도전성 분말, 상기 제2전극부재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통로가 형성되는 쇼트모드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압력 감지 센서.
An elastic membrane member, a first electrode memb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 second electrode memb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to apply a touch pressure It comprises a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rane member is a nanofiber member in which a conductive powder is distributed inside the nanofiber,
The pressure sens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ressure intensity modes for each section,
When the nanofiber member contracts more than a certain degre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short mode in which a conductive passage mad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the conductive powd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is formed,
Touch pressur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 터치 압력을 감지하거나, 상기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전극부재를 흐르는 전류의 저항값 차이로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sensing unit senses a touch pressure by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or senses a touch pressure by a difference in resistance valu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second electrode member.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부재의 섬유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gel member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bers of the nanofib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제1기재와 제2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재 또는 상기 제2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의 사이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or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or the second substrate is formed with an air exhaust hole for discharging air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멤브레인부재의 압축 전 두께가 d2이고, 압축 후 두께가 d1일 때 압축 후 두께는 0.2×d2 ≤ d1 ≤0.9×d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압력 감지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membrane member before compression is d 2 and the thickness after compression is d 1 , the thickness after compression is 0.2×d 2 ≤ d 1 ≤ 0.9×d 2 Touch pressure sensing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13079A 2016-02-02 2016-02-02 Touch Pressure Sensor KR102427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79A KR102427788B1 (en) 2016-02-02 2016-02-02 Touch Pressur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79A KR102427788B1 (en) 2016-02-02 2016-02-02 Touch Pressur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48A KR20170092048A (en) 2017-08-10
KR102427788B1 true KR102427788B1 (en) 2022-08-02

Family

ID=5965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079A KR102427788B1 (en) 2016-02-02 2016-02-02 Touch Pressur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7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766B1 (en) 2017-11-20 2024-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essure sens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75734B1 (en) * 2018-01-24 2020-11-0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battery and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748B1 (en) * 2013-04-24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ensor for sensing touch location and intensity of force according to multi-touch input and method manufacturing thereof
WO2015119211A1 (en) * 2014-02-06 2015-08-13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Sheet for pressure sensor,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producing sheet for pressure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748B1 (en) * 2013-04-24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ensor for sensing touch location and intensity of force according to multi-touch input and method manufacturing thereof
WO2015119211A1 (en) * 2014-02-06 2015-08-13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Sheet for pressure sensor,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producing sheet for pressur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48A (en)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464B (en) Touch pressure sensing device
US9395830B2 (en) Wired electrode of touch screen panel
JP6643647B2 (en) Pressure sensitive element
JP6643629B2 (en) Pressure sensitive element
CN107533396B (en) Cover substrate and touch window including the same
US10394339B2 (en) Sensor, input device, keyboard,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000565A (en) Liquid crystal display integrated with capacitive touch devices
CN107505067A (en) Sensor device, input equipment and electronic installation
CN101329609B (en) Touch control panel with touch control press key
EP25696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transparent and flexible force-sensitive touch panel
KR20140120811A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855764B (en) Touch display device
US10372252B2 (en) Force touch display device
KR102427788B1 (en) Touch Pressure Sensor
EP3336670A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219597B1 (en)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WO2017169974A1 (en) Sensor,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206115404U (en) Touch display device
KR20170096476A (en) Touch Pressure Sensor for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the Touch Pressure Sensor
KR20170096473A (en) Touch Sensor for Touch Screen Panel, Manufacturing Method of Cover for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the Cover Film
KR20170096477A (en) Touch Pressure Sensor for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the Touch Pressure Sensor
KR102622607B1 (en) Touch pressure detecting device
KR20170060524A (en) Touch Pressure Sensor
KR20170060529A (en) Touch Pressure Sensor
JP7232263B2 (en) Force touch sensor and force touch senso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