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374B1 - 무인 취사 밥솥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취사 밥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374B1
KR102422374B1 KR1020210058521A KR20210058521A KR102422374B1 KR 102422374 B1 KR102422374 B1 KR 102422374B1 KR 1020210058521 A KR1020210058521 A KR 1020210058521A KR 20210058521 A KR20210058521 A KR 20210058521A KR 102422374 B1 KR102422374 B1 KR 10242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shing
cooking
cag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순정
Original Assignee
고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순정 filed Critical 고순정
Priority to KR102021005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374B1/ko
Priority to JP2023558696A priority patent/JP2024516351A/ja
Priority to CN202280029644.6A priority patent/CN117241713A/zh
Priority to PCT/KR2022/005357 priority patent/WO20222349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사재료인 쌀이나 잡곡 등의 공급, 세척 및 취사가 이루어지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사재료를 일정한 분량으로 분할 저장하여 공급하는 곡물공급기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정역회전하면서 내부에 공급된 취사재료를 세척하는 세척기 및 세척기에서 세척된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취사하는 밥솥으로 이루어지는 조리기로 구성되어, 재료의 세척 및 취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부품수를 줄이고 위생상태를 제고할 수 있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취사 밥솥 장치 {Unmanned Cooker System}
본 발명은 취사재료인 쌀이나 잡곡 등의 공급, 세척 및 취사가 이루어지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사재료를 일정한 분량으로 분할 저장하여 공급하는 곡물공급기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정역회전하면서 내부에 공급된 취사재료를 세척하는 세척기 및 세척기에서 세척된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취사하는 밥솥으로 이루어지는 조리기로 구성되어, 재료의 세척 및 취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부품수를 줄이고 위생상태를 제고할 수 있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사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쌀통에서 필요한 양의 쌀을 꺼내 용기에 담고, 물로 여러 번 세척을 한 후 일반 전기밥솥이나 압력밥솥에 옮겨 담고, 밥의 종류에 따라 물을 맞춘 다음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취사토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취사방법은 사람이 일일이 쌀을 옮겨 담아야 하고 쌀 세척도 해야 하며, 단순히 취사만 전기밥솥 등에 의해 행하게 되므로 맞벌이 부부나 독신자 및 노약자, 어린이 등은 많은 불편과 어려움을 갖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쌀통과 밥솥을 결합한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며, 근자에 들어 쌀통과 쌀통에서 정량으로 쌀을 공급하고, 공급된 쌀을 세미(洗米)수단에 의해 세척한 후, 세척된 쌀과 밥을 안치하기 위한 물을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밥솥에 공급토록 하여 쌀의 공급에서부터 세척과 밥을 안치하기까지 사람의 손이 가지 않도록 하는 무인 자동 취사장치가 다수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 취사 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회전날개 등의 세미수단의 작동으로 쌀을 세척 시 쌀눈 등이 떨어져 나가 영양소가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무인 취사 장치는 밥솥의 뚜껑부나 내솥 몸체에 압력밸브나 물과 취사재료를 위한 밸브 등이 함께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밸브는 고온과 고압에 약하기 때문에 수시로 교환 및 수리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취사재료를 보관하는 쌀통에는 취사재료의 변질 방지 또는 쌀벌레의 퇴치를 위한 수단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취사재료의 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워 최상의 밥의 맛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무인 취사 장치는 학교, 군대 등 다수가 동시에 취사하는 대규모 시설용이 대부분이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48872호(등록일:2019.11.20.) "무인 취사 밥솥"을 발명하였으며, 상기 무인 취사 밥솥은 쌀을 세척하는 세척드럼이 밥솥의 뚜껑이 되도록 한 것으로, 세척드럼의 몸체부 자체가 밥솥 뚜껑이 되도록 함으로써 뚜껑에 물과 곡물의 공급을 위한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지 않고 취사할 수 있도록 취사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였다.
KR 10-2048872호 (B1) 2019.11.20. KR 20-2000-0012862 (U) 2000.07.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취사재료인 쌀이나 잡곡 등을 분할 저장하여 공급하는 곡물공급기와 상기 곡물공급기로부터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정역회전하면서 내부에 공급된 재료를 세척하는 세척기 및 상기 세척기에서 세척된 재료를 공급받아 취사하는 조리기를 포함하되, 취사재료가 인입된 후 상기 조리기를 상부측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세척기를 하강시켜 세척기의 몸체 자체가 내솥 뚜껑(캡)이 되도록 함으로써 뚜껑에 조리기의 증기압력을 제어하거나 물과 곡물의 유입을 위한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지 않고 취사할 수 있도록 하여 취사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매우 경제적인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리기를 상부측으로 상승시에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기도 더불어 상승되어 내솥과 가열기의 간극발생을 방지하여 열전도율을 향상시켜 취사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드럼에 연결되는 입,출수호스가 신축 가능하여 세척드럼이 상하운동 또는 회전운동에 따라 이동하므로 세척드럼의 위치가 가변하더라도 항상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물공급기, 세척기 및 조리기를 바디프레임으로부터 서랍식으로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여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상기 세척기의 청소와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분리 구조로 이루어지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기 내부로 공급되는 취사재료를 세척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되 취사재료를 섞어주면서 쌀눈 등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최소화하여 세척시키는 세척블레이드와 세척된 취사재료를 내솥으로 쓸어 공급하는 스퀴즈블레이드로 양분하여 구성함으로써 취사 재료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세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의 내,외부에서 세척수가 분출되도록 하여 블레이드에 붙은 취사재료를 씻어냄으로써 내솥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세척드럼에 남은 잔여 곡물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사시에 발생되는 내솥의 취사열에 의해 세척드럼이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세척드럼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켜 세균의 번식을 차단하는 위생적인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사재료의 세척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출수호스가 막히지 않고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하여 세척된 곡물에 잔여 이물질의 침착을 최소화하고,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사 재료를 분할 저장하며 필요한 양만큼 공급하여 취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사양이 적은 가정은 물론 1인 가구에 사용하기 적합한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기 상부에 개방된 입구슬릿을 통해 취사재료가 유입되며, 또한 상기 입구슬릿을 하방으로 위치시켜 취사재료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한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물을 저장하는 저장드럼의 상부에 곡물을 측정할 수 있는 곡물측정기가 각 카트리지에 담겨있는 곡물을 측정하여 곡물의 종류와 양을 확인함으로써 복수 곡물의 계량 및 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드럼 내부에 취사재료를 저장시에 그 취사재료의 품질 유지 및 벌레 발생 억제를 위해 내부를 진공압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취사된 밥의 맛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수필터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상수를 정수시킴으로써 깨끗한 세척수와 취사수 공급은 물론, 정수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별도의 관으로 유도하고 정수꼭지를 통해 인출시켜 정수기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취사재료의 세척이 완료된 세척수를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함으로써 쌀뜨물을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향상된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부를 구비하여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필요한 양의 곡물을 배합하고, 세척하여 밥을 지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취사재료를 수납 저장하는 저장드럼(110)을 포함하는 곡물공급기(100); 상기 곡물공급기(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취사재료를 세척하는 세척기(200); 상기 세척기(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취사가 행해지는 조리기(300); 및 상기 곡물공급기(100), 세척기(200), 및 조리기(300)가 배치되는 바디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기(200)는 상기 곡물공급기(100)에서 배출된 취사재료를 입구슬릿(211)으로 공급받고 취사재료를 세척하는 블레이드(220)가 배치되는 세척드럼(210)과, 상기 세척드럼(210)의 외부에 배치되는 드럼케이지(230)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300)는 세척된 취사재료를 상기 세척드럼(210)의 입구슬릿(211)으로부터 공급받는 내솥(310)과, 상기 내솥(310)을 가열하는 가열기(331)가 구비된 조리기케이지(330)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프레임(400)은 상기 곡물공급기(100)와 세척기(2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입구슬릿(211)으로 취사재료를 유도하도록 경사진 공급가이드(410)와, 상기 세척기(200)와 조리기(300)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어댑터(414)를 포함하며, 취사재료가 세척드럼(210)으로 공급 및 세척드럼(210)에서 배출시에 상기 드럼케이지(230)는 제1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케이지(230)가 제2높이에 위치시에 상기 내솥(310)은 밀폐되고, 상기 드럼케이지(230)가 제3높이에 위치시에 상기 저장드럼(110)은 밀폐되며,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1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3높이는 상기 제1높이보다 높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케이지(230)의 제3높이에서 세척드럼(210)의 외주연은 상기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밀착되며; 드럼케이지(230)의 제2높이에서 세척드럼(210)의 외주연은 상기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세척드럼(210)은 제1외주연(218)에서 상기 밀폐어댑터(414)의 상부와 밀착되고, 제2외주연(219)에서 상기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밀착되되, 제1외주연(218)과 제2외주연(219)은 서로 다른 위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척드럼(210) 외부에는 외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스크린(236)이 구비되며, 상기 드럼케이지(230)의 제2높이에서 상기 회전스크린(236)의 제3외주연(238a)이 상기 밀폐어댑터(414)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기 드럼케이지(230)의 제3높이에서 상기 회전스크린(236)의 제4외주연(238b)이 상기 공급가이드(410)의 하단에 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스크린(236)은 길이방향으로 뚫린 개방면(237)과 막힌 밀폐면(238)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세척드럼중심축(212)이 관통하는 장홀(239a)이 형성되고, 세척드럼(210)으로 세척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드럼호스(640)가 관통하는 호스관통구(239)가 상기 장홀(239a)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스크린(236)은 드럼케이지(230)의 제1높이에서 회전하며, 세척드럼(210)이 취사재료의 유입 및 배출시에 상기 회전스크린(236)의 개방면(237)이 상기 입구슬릿(211)과 동일한 방향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급가이드(410)의 일측에는 공기가 이동되는 진공흡입구(412)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케이지(230)의 제3높이에서 진공펌프(413)의 작동으로 공급가이드(4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진공흡입구(412)로 흡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세척드럼(210)의 일측에는 취사재료를 세척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드럼출수구(215)가 구비되며, 상기 드럼출수구(215) 안쪽에는 취사재료의 배출을 방지하는 필터망(216)이 장착되되, 상기 필터망(216)은 상기 드럼출수구(215)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망(216)과 드럼출수구(215)가 이격되어 형성된 필터챔버(217)가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220)의 내부 또는 상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분리유수구(213a)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유수구(213a)에서 세척드럼(210) 내부로 세척수를 배출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솥(310)은 일측에 손잡이(311)가 구비되며, 상단에 돌기(312a)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조리기케이지(330)는 상면에 상기 돌기(312a)와 결합되는 돌기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내솥(310)의 돌기(312a)와 상기 조리기케이지(330)의 돌기홈(333)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리기(300)에서 상기 내솥(310)은 손잡이(311)가 구비되며, 상기 조리기케이지(330)는 전면에 밀착레버(336)가 구비되고, 상단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상승레일(338)이 구비되며, 상기 밀착레버(336)의 가압으로 상승 회전하는 상승캠(337)이 구비되고, 상기 내솥(310)이 상기 상승레일(338)로 삽입시에 테두리(312)가 상기 조리기케이지(330)의 상단과 접촉되고, 상기 상승캠(337)이 상기 상승레일(338)을 상승시켜 테두리(312)가 조리기케이지(330)의 상단과 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럼케이지(230)가 상기 제2높이로 하강 시에 상기 가열기(331)와 내솥(310)이 동시에 상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리기(300)에서 상기 조리기케이지(330)는 상기 가열기(331)와 양측벽 사이에 슬라이딩홈(33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돌출된 돌출면(323)이 상기 슬라이딩홈(332)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솥(310)의 손잡이(311)가 안착되는 손잡이홈(321)이 형성되는 내솥서랍(320);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럼케이지(230) 또는 조리기케이지(330)에는 측면에서 연장된 승강날개(235)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날개(235)와 결합되는 승강프레임(511)이 바디프레임(400)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511)을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기는 선형모터(517), 실린더(516) 또는 스크류(518)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디프레임(400)에 파이프라인(600)이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라인(60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필터(610); 상기 정수필터(61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인출하는 정수꼭지(630); 및 상기 정수필터(61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상기 세척드럼(210)으로 공급하는 입수호스(641)와 세척드럼(210)에서 발생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출수호스(642)를 포함하는 신축되는 드럼호스(640);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호스(641) 및 출수호스(642)는 세척드럼(210)의 전방에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무선통신모듈이 배치되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취사 또는 세척 명령을 전송받아 곡물선택, 취사 제어, 세척 제어 또는 세척드럼 회전제어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무인 취사 밥솥 장치는 취사재료인 쌀이나 잡곡 등을 분할 저장하여 공급하는 곡물공급기와 상기 곡물공급기로부터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정역회전하면서 내부에 공급된 재료를 세척하는 세척기 및 상기 세척기에서 세척된 재료를 공급받아 취사하는 조리기를 포함하되, 취사재료가 인입된 후 상기 조리기를 상부측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세척기를 하강시켜 세척기의 몸체 자체가 내솥 뚜껑(캡)이 되도록 함으로써 뚜껑에 조리기의 증기압력을 제어하거나 물과 곡물의 유입을 위한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지 않고 취사할 수 있도록 하여 취사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리기를 상부측으로 상승시에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기도 더불어 상승되어 내솥과 가열기의 간극발생을 방지하여 열전도율을 향상시켜 취사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드럼에 연결되는 입,출수호스가 신축 가능하여 세척드럼이 상하운동 또는 회전운동에 따라 이동하므로 세척드럼의 위치가 가변하더라도 항상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공급기, 세척기 및 조리기를 바디프레임으로부터 서랍식으로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여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상기 세척기가 청소와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분리 구조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기 내부로 공급되는 취사재료를 세척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되 취사재료를 섞어주면서 쌀눈 등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최소화하여 세척시키는 세척블레이드와 세척된 취사재료를 내솥으로 쓸어 공급하는 스퀴즈블레이드로 양분하여 구성함으로써 취사 재료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세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내,외부에서 세척수가 분출되도록 하여 블레이드에 붙은 취사재료를 씻어냄으로써 내솥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세척드럼에 남은 잔여 곡물을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사시에 발생되는 내솥의 취사열에 의해 세척드럼이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세척드럼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켜 세균의 번식을 차단하므로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사재료의 세척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출수호스가 막히지 않고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하여 세척된 곡물에 잔여 이물질의 침착을 최소화하고,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사 재료를 분할 저장하며 필요한 양만큼 공급하여 취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사양이 적은 가정은 물론 1인 가구에 사용하기 적합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기 상부에 개방된 입구슬릿을 통해 취사재료가 유입되며, 또한 상기 입구슬릿을 하방으로 위치시켜 취사재료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드럼의 상부에 곡물을 측정할 수 있는 곡물측정기가 각 카트리지에 담겨있는 곡물을 측정하여 곡물의 종류와 양을 확인함으로써 복수 곡물의 계량 및 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드럼 내부에 취사재료를 저장시에 그 취사재료의 품질 유지 및 벌레 발생 억제를 위해 내부를 진공압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취사된 밥의 맛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필터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상수를 정수시킴으로써 깨끗한 세척수와 취사수 공급은 물론, 정수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별도의 관으로 유도하고 정수꼭지를 통해 인출시켜 정수기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취사재료의 세척이 완료된 세척수를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함으로써 쌀뜨물을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부를 구비하여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필요한 양의 곡물을 배합하고, 세척하여 밥을 지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곡물 공급기, 세척기 및 조리기가 바디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바디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곡물공급기로서, (a)는 위에서 바라본 분리도, (b)는 아래에서 바라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세척기로서, (a)는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b)는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세척기의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다단모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세척드럼 내부의 취사재료를 조리기로 공급 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세척드럼이 밀폐어댑터와 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세척드럼이 공급가이드와 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회전스크린이 구비된 세척기의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회전스크린이 구비된 세척기의 분리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회전스크린이 구비된 세척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원형으로 형성된 내솥을 구비하는 조리기로서, (a)는 분리도, (b)는 결합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내솥을 구비하는 조리기로서, (a)는 분리도, (b)는 결합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내솥을 구비하는 조리기로서, (a)는 내솥이 상승 전 상태의 단면도, (b)는 내솥이 상승 후 상태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승강이 이루어지는 조리기로서, (a)는 위에서 바라본 분리도, (b)는 아래에서 바라본 분리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승강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승강기가 실린더로 구비된 승강체의 사시도, (b)는 승강기가 선형모터로 구비된 승강체의 사시도, (c)는 승강기가 스크류로 구비된 승강체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바디프레임에 파이프라인이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파이프라인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전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b)는 후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바디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는 취사재료를 저장하며, 취사 시작시에 취사재료를 세척하고, 세척된 취사재료를 가열하여 자동으로 인력의 도움없이 취사가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취사재료인 쌀이나 잡곡 등을 내부에 수납 저장하고, 취사시에 저장된 취사재료를 공급하는 곡물공급기(100);와,
상기 곡물공급기(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곡물공급기(100)에서 공급된 취사재료와 함께 물도 공급받아 상기 취사재료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기(200);와,
상기 세척기(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세척기(200)에서 세척완료된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내부에 담고 밀폐한 후 가열하여 취사를 진행하는 조리기(300);와
상기 곡물공급기(100), 세척기(200), 조리기(300)가 배치되고 지지되도록 프레임을 제공하며, 취사재료의 저장, 공급, 세척 및 조리 과정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들이 결합되는 바디프레임(400), 승강체(500) 및 파이프라인(600);을 포함하며,
상기 곡물공급기(100)는 내부에 취사재료를 저장하며 하부에 위치한 곡물토출구(114)를 통해 세척기(200)로 취사재료를 공급하는 저장드럼(110), 상기 저장드럼(110) 내부에 담겨있는 곡물의 종류와 양을 측정하여 복수 곡물의 계량 및 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곡물측정기(120) 및 상기 저장드럼(110) 하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구비된 트레이힌지(132)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저장드럼(110)의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드럼트레이(130)로 구성되며,
상기 세척기(200)는 취사재료를 입구슬릿(211)을 통해 공급받아 세척한 후 하방 회전하여 세척된 취사재료를 조리기(300)에 공급하는 세척드럼(210), 상기 세척드럼(210) 내부에서 정역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취사재료에 붙은 이물질을 쓸면서 세척하는 블레이드(220) 및 상기 세척드럼(210)의 외부에 배치되고 보관, 세척 및 취사시에 어느 일정한 높이로 승강하는 드럼케이지(230)로 구성되고,
상기 조리기(300)는 상기 세척드럼(210)으로부터 세척된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담는 내솥(310), 상기 내솥(310)의 하부에서 열을 가해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열기(331) 및 상기 가열기(331)가 구비되고 상기 내솥(310)을 지지하는 프레임인 조리기케이지(330)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400)은 곡물공급기(100)와 세척기(200) 사이에 배치되며 저장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취사재료가 세척드럼(210) 내부로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공급가이드(410), 상기 저장드럼(110) 내부를 진공압으로 유지하는 진공펌프(413), 세척기(200)와 조리기(300)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은 세척드럼(210)의 외주연과 일치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내솥(310)의 테두리(312)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밀폐어댑터(414) 및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보관, 세척, 취사 등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앱통신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체(500)는 상기 바디프레임(400)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케이지(230) 또는 조리기케이지(330)가 승강하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파이프라인(600)은 상기 세척드럼(210)에 정수된 세척수를 공급하고 세척드럼(21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활용하도록 라인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무인 취사 밥솥 장치는 상부에 있는 저장드럼(110)의 내부에 취사재료를 담아 저장하며, 취사조리가 진행되면 취사재료를 공급가이드(410)를 통해 세척드럼(210)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저장드럼(110)의 하부에 위치한 세척드럼(210)은 취사재료를 공급받을 시에는 입구슬릿(211)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위치하며, 내부에 취사재료를 담아 파이프라인(600)에서 공급된 세척수와 함께 세척하게 된다. 이때 블레이드(220)를 정역회전함으로 취사재료에 붙은 이물질을 쓸면서 제거하며, 세척 이후 세척수를 파이프라인(600)을 통해 세척드럼(210)에서 배출한다. 이후 세척완료된 취사재료를 내솥(310)으로 공급시에 상기 세척드럼(210)은 회전하여 입구슬릿(211)은 하측으로 향하도록 위치하며 블레이드(220)가 회전하여 잔여 취사재료의 발생없이 내솥(310)으로 공급한다.
세척완료된 취사재료를 공급받은 내솥(310)에 가열기(331)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하여 취사를 진행한다. 상기 내솥(310)은 조리기케이지(330) 또는 밀폐어댑터(414)에 밀착되면서 밀폐되며, 압력누수없이 고온, 고압으로 취사를 진행할 수 있다.
저장드럼(110) 내부에 저장된 취사재료를 세척기(200)에 형성된 입구슬릿(211)을 통해 공급받으며, 세척기(200) 내부에서 취사재료가 세척이 완료된 후 세척기(200)를 회전시켜 입구슬릿(211)을 하방으로 위치시키며 내솥(310)으로 취사재료가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세척기(200)에서 취사재료의 공급 및 배출이 입구슬릿(211)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취사재료 이동을 위한 구성을 단순화하여 유지보수 및 수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곡물 공급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같이 취사재료를 저장하며 하부에 위치한 세척기(200)로 공급하는 곡물공급기(100)에서, 저장드럼(110)은 취사재료를 담아 저장하는 드럼으로서, 내부가 중공이고 상,하부가 개방되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곡물공급기(100)에서 상기 저장드럼(110)은 단일 또는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중공의 내부에서 다수의 격벽(111)은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분할된 공간인 카트리지(112)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112)에 쌀이나 잡곡 등 취사재료를 담아 수납할 수 있다. 분할된 상기 카트리지(112)에 취사재료를 분할 저장하여 필요한 양만큼 공급하도록 하여 취사량이 적은 가정과 1인 가구에서도 사용하기 적합하다. 이때,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112)는 폐쇄되어 있어 취사재료를 담을 수 없다.
상기 저장드럼(110)의 하부에는 판 형상의 개폐플레이트(113)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플레이트(113)는 하부가 개방된 상기 저장드럼(110)이 폐쇄되도록 하며 내부에 저장된 취사재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개폐플레이트(113)의 외주연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바디프레임(400)의 일측에 구비된 개폐구동기어(116)와 치합되므로 개폐플레이트(113)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개폐플레이트(113)의 일측에는 상기 카트리지(112)에 저장된 취사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곡물토출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곡물토출구(114)는 상기 개폐플레이트(113)가 개폐구동기어(116)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하여 위치가 이동되며,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112)에서 다른 카트리지(112)로 이동하여 해당되는 카트리지(112)에 저장된 취사재료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기어(116)를 가동하여 상기 곡물토출구(114)를 배출하려는 취사재료가 저장된 카트리지(11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112)에 저장된 곡물이 배출됨으로써 정량으로 공급이 가능하다. 각 카트리지(112)에 단일 종류의 곡물을 담아 저장하더라도 상기 곡물토출구(114)의 위치를 이동시켜 다른 종류의 곡물이 담긴 카트리지(112)를 개방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잡곡밥의 취사시에도 곡물의 배합을 정량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폐플레이트(113)의 중앙부에는 드럼트레이(130)의 드레이중심축(131)이 삽입되는 중심축삽입구(115)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저장드럼(110)의 상부에는 각 카트리지(112)에 담겨있는 곡물을 측정할 수 있는 곡물측정기(120)가 구비된다.
상기 곡물측정기(120)는 각 카트리지(112)에 저장된 곡물의 종류와 양을 측정하는 측정인식모듈(122) 및 상기 측정인식모듈(122)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조명등(121)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인식모듈(122)은 각 카트리지(112)에 저장된 곡물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종류를 인식하고, 높이를 측정하여 양을 인식하는 모듈로서, 카메라 또는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인식모듈(122)은 다수 구비되어 각 카트리지(112)의 상부에 위치한 후, 고정된 위치에서 각 카트리지(112)에 저장된 곡물의 종류와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단일의 측정인식모듈(122)과 상기 측정인식모듈(122)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일(123)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123)을 따라 상기 측정인식모듈(122)이 각 카트리지(112)를 순환하며 저장된 곡물의 종류와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측정인식모듈(122)이 레일(123)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모습이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드럼(110)의 각 카트리지(112)에 구비된 센서(117)를 통해 각 카트리지(112)에 담겨있는 곡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117)를 각 카트리지(112)에 배치하여 곡물의 양을 파악하고, 카트리지(112)의 상부에 1개 이상의 측정인식모듈(122)을 두어 상기 센서(117)와 측정인식모듈(122)를 통하여 곡물의 종류를 인식한다.
상기 측정인식모듈(122)이 각 카트리지(112)의 곡물을 정확하게 촬영 및 측정할 수 있도록 발광수단인 조명등(121)이 구비된다. 상기 조명등(121)이 빛을 조사하여 상기 측정인식모듈(122)이 곡물을 촬영 및 측정시에 고품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어,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곡물측정기(120)는 상기 측정인식모듈(122)에서 각 카트리지(112)에 저장된 곡물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내부메모리(미도시) 또는 서버에 저장된 곡물 대표 이미지와 비교하는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측정인식모듈(122)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곡물을 추출함으로써 카트리지(112)에 저장된 곡물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곡물측정기(120)를 통해 곡물의 종류와 양을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토대로 개폐플레이트(113)의 회전을 제어하여 배출되는 곡물의 종류와 양을 조절할 수 있어, 복수 곡물이 정량으로 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드럼(110)과 접촉되는 하부 가장자리에는 패킹을 더 구비하여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드럼(110)을 차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드럼(110)의 하부에는 바디프레임(400)으로부터 인출 및 삽입을 보조하는 드럼트레이(1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드럼트레이(130)는 저장드럼(110) 내부로 곡물 투여시에 저장드럼(110)이 바디프레임(400)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가이드하며 곡물 투입 후 증가된 저장드럼(110)의 무게를 지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드럼(110)의 하부 가장자리를 지탱하는 지지판(133), 중앙부에 상기 개폐플레이트(113)의 중심축삽입구(115)에 삽입 결합되는 드레이중심축(131) 및 중심축으로 회전되도록 일측에 구비되는 트레이힌지(13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33)은 가장자리에서 저장드럼(110)을 지지하며, 내측은 카트리지(112)에서 곡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저장드럼(110)과 맞닿는 가장자리 부분에 밀폐력을 강화하기 위해 패킹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럼트레이(130)의 드레이중심축(131)을 개폐플레이트(113)에 형성된 중심축삽입구(115)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저장드럼(110)에 드럼트레이(13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힌지(132)를 바디프레임(400)의 일측에 결합한다. 트레이힌지(132)를 중심축으로 저장드럼(110)이 회전하며 바디프레임(400)에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고, 그 이동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드럼트레이(130)는 저장드럼(110) 내부에 곡물 투여시에 증가되는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지지구조물이 되는 동시에 저장드럼(110)의 삽입, 인출 동작을 가이드한다.
드럼트레이(130)를 통해 저장드럼(110)을 인출하여 내부에 취사재료를 투여하며, 곡물측정기(120)로 내부에 저장되는 곡물의 종류와 양을 측정하여 배합비율을 설정하고, 배합비율에 맞추어 개폐플레이트(113)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곡물토출구(114)를 통해 취사재료는 아래로 배출된다.
아래로 배출된 취사재료는 일차적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공급가이드(410)를 통과한다. 상기 공급가이드(410)는 곡물공급기(100)에서 배출된 취사재료가 세척기(200)의 입구슬릿(211)을 통하여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것으로서, 곡물공급기(100)와 세척기(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공급가이드(410)는 공급슬릿(41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공급가이드(410)로 떨어진 취사재료는 개방된 공급슬릿(411)으로 유도되고, 세척드럼(210)의 입구슬릿(211)쪽으로 떨어져 세척드럼(2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슬릿(411)의 하단은 세척드럼(210) 또는 후술할 회전스크린(236)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전체높이를 줄이기 위해, 내측으로 하향 기울어진 경사도는 수평보다 약간 더 크면 충분하다. 진동모터(미도시)와 결합하여 공급가이드(410)를 진동시켜 취사재료의 이동을 보조함으로써 크지 않은 경사도에도 취사재료의 유도와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나아가 낮은 경사도로 공급가이드(410)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켜 소형으로 제작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세척기(200)와 조리기(300)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밀폐어댑터(414)가 배치된다. 밀폐어댑터(414)의 상단은 세척드럼(210) 또는 회전스크린(236)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밀착될 수 있다. 밀폐어댑터(414)의 하단은 내솥(310)의 테두리(312)가 밀착되어 밀폐될 수 있다. 일측에는 내솥(310) 내부에 승압되어 발생한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415)가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기(200)는 곡물공급기(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곡물공급기(100)에서 공급되는 취사재료를 조리기(300)에서 가열하기 이전에 세척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취사재료를 입구슬릿(211)을 통해 공급받아 세척한 후 하방 회전하여 세척된 취사재료를 조리기(300)에 공급하는 세척드럼(210), 상기 세척드럼(210) 내부에서 정역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취사재료에 붙은 이물질을 쓸면서 세척하는 블레이드(220) 및 상기 세척드럼(210)의 외부에 배치되고 보관, 세척 및 취사시에 어느 일정 높이로 승강하는 드럼케이지(230)로 구성된다.
취사재료가 세척이 이루어지는 상기 세척드럼(210)은 일측에 개방되어 형성된 입구슬릿(211)을 통하여 취사재료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며, 중공인 내부로 취사재료 및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세척드럼(210)의 양단에 세척드럼중심축(212)이 형성되되, 후면에 형성된 세척드럼중심축(212)은 다단모터(232)의 세척드럼구동기어(234)와 결합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고, 전면에는 세척드럼(210)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드럼입수구(214)와 세척완료된 후 이물질과 함께 세척수가 배출되는 드럼출수구(215)가 형성된다.
상기 드럼입수구(214)에 결합되는 입수호스(641)와 드럼출수구(215)에 결합되는 출수호스(642)로 구성되는 드럼호스(640)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세척드럼(210)이 상하 또는 회전하여 이동하여도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세척드럼(210)의 상부에는 상기 드럼입수구(214)와 연통되는 드럼유수관(213)이 형성되며, 상기 드럼유수관(213)에 다수 형성되는 분리유수구(213a)를 통해 세척수가 세척드럼(210)의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세척드럼(210)의 내부에 취사재료를 세척하는 블레이드(220)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220)는 취사재료에 붙은 이물질을 쓸며 제거하도록 간격로드가 형성된 세척블레이드(221), 세척된 취사재료를 쓸어줄 수 있도록 판 형상의 스퀴즈블레이드(222) 및 상기 세척블레이드(221)와 상기 스퀴즈블레이드(222)가 고정되는 블레이드회전축(2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회전축(223)은 세척드럼(2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척드럼중심축(2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회전축(223)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중공인 내부로 세척수가 이동하면서 분리유수구(213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회전축(223)과 스퀴즈블레이드(222)에 분리유수구(213a)가 더 형성된다. 중공인 블레이드회전축(223) 내부에 흐르는 세척수가 상기 분리유수구(213a)를 통해 배출되어, 세척된 취사재료를 조리기(300)로 공급시에 세척드럼(210) 내부 및 블레이드(220)에 남아있는 잔여 취사재료를 씻어줄 수 있다.
세척드럼(210)은 곡물공급기(100)에서 취사재료를 입구슬릿(211)을 통해 공급받고, 드럼유수관(213) 또는 블레이드(220)에 형성된 분리유수구(213a)에서 세척수가 공급된다. 취사재료와 세척수가 세척드럼(210)에 담기게 되고, 상기 세척블레이드(221)가 정,역회전을 반복하며 취사재료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이 끝난 후 취사재료 및 세척수를 조리기(300)로 공급하기 위해 세척드럼(210)을 회전시켜 입구슬릿(211)을 하방으로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스퀴즈블레이드(222)는 상기 입구슬릿(211)을 통해 조리기(300) 상부에서만 취사재료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세척드럼(210)의 회전시 상기 입구슬릿(211)에 수직으로 배치되지 않고 입구슬릿(211) 안쪽으로 들어가 취사재료가 쏟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진동모터(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세척드럼(210)과 블레이드(220)를 진동시킴으로써 세척드럼(210) 내부에 잔류하는 취사재료를 떨어뜨려 모두 조리기(30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세척드럼(210)의 일측에는 드럼출수구(215)에 일정 이격되어 형성되는 필터망(216)이 배치된다. 상기 필터망(216)은 상기 드럼출수구(215)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좁은 드럼출수구(215) 크기의 필터를 직접 통과하는 유량보다 훨씬 더 많은 유량을 일시에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망(216)은 취사재료에서 제거된 이물질만 세척수와 함께 배출되게 하며, 또한 취사재료가 드럼출수구(215)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럼출수구(215)의 단면에 필터가 배치될 경우, 상기 드럼출수구(215)의 한정된 단면으로 인해 이물질의 거름과 세척수의 투과하는 유속이 상당히 더디게 되며, 더욱이 필터에 달라붙은 이물질이 누적되면 필터에서 투과 가능한 면적이 감소하여 배수효율이 상당히 악화되므로 취사 완료시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된다.
이로 인해 세척드럼(210) 내에서 세척완료되어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세척수가 세척드럼(210) 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세척수 속의 이물질이 취사재료에 재침착되어 세척횟수를 늘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세척효율이 악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필터망(216)의 면적을 드럼출수구(215)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터망(216)을 통과하는 유량을 증가시켜 더욱 빠르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망(216)이 드럼출수구(215)와 일정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인 필터챔버(217)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챔버(217)는 상기 필터망(216)을 투과한 세척수가 드럼출수구(215)로 진입하기 전에 통과하는 공간으로서, 필터망(216)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세척수만이 필터챔버(217)에 존재한다. 드럼출수구(215)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의 필터망(216)을 많은 유량으로 투과할 수 있다. 필터망(216)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세척수는 필터챔버(217)를 통과한 뒤, 필터가 구비되지 않은 드럼출수구(215)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챔버(217)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세척수가 일정 시간 머물도록 하여 드럼출수구(215)의 직경보다 더 큰 수심이 형성되므로, 드럼출수구(215)에서 이동하는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배수속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수가 취사재료와 함께 공존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취사재료에 재짐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필요한 세척수와 세척횟수를 줄여 세척효율이 증가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다단모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세척드럼중심축(212)과 블레이드회전축(223)은 동축으로 형성되어 동축 상에서 회전하며, 세척드럼(210)의 후면에 위치한 다단모터(232)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다단모터(232)에서 블레이드구동기어(233)가 세척드럼구동기어(234)의 중공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두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M)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세척드럼구동기어(234)에서 세척드럼구동축(234a)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세척드럼구동축(234a)은 세척드럼중심축(212)과 요철(凹凸)과 같은 기계적인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블레이드구동기어(233)에서 블레이드구동축(233a)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구동축(233a)은 상기 세척드럼구동축(234a)의 중공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블레이드구동축(233a)은 블레이드회전축(223)과 요철(凹凸)와 같은 기계적인 구조로 결합된다.
세척드럼(210)과 블레이드(220)는 다단모터(232)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요철(凹凸)과 같은 기계적 결합구조를 통해 전달받는다. 이러한 결합으로, 세척드럼(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우면서도 치합시에는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세척드럼(210)을 전면으로 인출시에 구성을 복잡하게 해제할 필요없이 쉽게 인출이 가능하며, 전기적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물로 간단히 청소가 가능하다.
상기 세척드럼(210)의 외부에는 상하로 승강하는 드럼케이지(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드럼케이지(230)는 후면에 세척드럼(210)과 블레이드(220)를 회전시키는 다단모터(232)가 배치되고, 양측면에는 승강체(500)의 날개삽입구(512)에 삽입되는 승강날개(235)가 형성되며, 내측에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받침대(231)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받침대(231)는 롤러, 베어링 등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교체될 수 있는 것으로, 받침대(231)는 이러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럼케이지(230)의 받침대(231)에 세척드럼(210)의 외주연이 지지된다. 승강체(500)에 의해 상기 드럼케이지(230)가 승강하면 상기 세척드럼(210)도 상기 드럼케이지(230)를 따라 승강한다.
드럼케이지(230)가 승강하기 전 초기 높이에서는 세척드럼(210)과 공급가이드(410) 하단 사이의 간극과, 세척드럼(210)과 밀폐어댑터(414) 상단 사이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 높이를 제1높이로 정의한다.
드럼케이지(230)의 제1높이에서 세척드럼(210)이 취사재료를 세척하며 세척드럼(210)의 원활한 정,역회전을 위해 공급가이드(410) 하단 및 밀폐어댑터(414) 상단 사이 간극이 존재하여 접촉 및 마찰없이 회전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취사 과정에 따른 세척기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세척드럼(210) 내에서 취사재료를 세척 후에 도 8과 같이 세척드럼(210)을 회전하여 입구슬릿(211)을 하방에 위치시켜 취사재료를 내솥(310)으로 배출한다. 이후 세척드럼(210)은 도 9와 같이 일정 각으로 회전하여 밀폐된 외주연이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조리기(300)에서 내솥(310)을 가열하여 취사가 시작되는데, 드럼케이지(230)는 승강체(500)에 의해 하강하여 세척드럼(210)이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하여 간극이 없어진다. 이 높이를 제2높이로 정의하며,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하는 세척드럼(210)의 외주연을 제1외주연(218)으로 정의한다.
세척드럼(210)이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하여 밀폐어댑터(414) 상단은 밀폐된다. 따라서 세척드럼(210)은 내솥(310)의 뚜껑이 되며, 취사되는 내솥(310) 내부를 승압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드럼(210)이 내솥(310)의 뚜껑이 되어 구성이 단순해지는 동시에, 하부에서 높은 취사열로 세척드럼(210)을 가열하여 내부의 잔여 수분을 건조시키고 멸균시킬 수 있어 위생상태가 제고되는 장점이 있다.
취사가 종료된 후, 상기 드럼케이지(230)는 도 10와 같이 승강체(500)에 의해 상승하여 세척드럼(210)이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밀착되어 세척드럼(210)과 공급가이드(410)의 하단 사이의 간극이 없어진다. 이 높이를 제3높이로 정의하며, 공급가이드(410) 하단과 밀착되는 세척드럼(210)의 외주연을 제2외주연(219)으로 정의한다.
곡물공급기(100)는 밀폐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없다. 또한 진공펌프(413)를 가동하여 곡물공급기(100) 내부의 공기를 진공흡입구(412)를 통해 흡입하여 내부를 진공압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곡물공급기(100) 내에 저장되는 취사재료는 변질의 위험이 감소하며 쌀벌레 등 해충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예방할 수 있다. 취사재료의 품질을 최상으로 유지함으로써 더욱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밀폐어댑터(414)의 상단을 막는 세척드럼(210)의 제1외주연(218)과 공급가이드(410)의 하단을 막는 세척드럼(210)의 제2외주연(219)이 각각 다른 면으로 구성된다. 내솥(310)을 밀폐시키는 제1외주연(218)은 수분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이 수분을 곡물공급기(100)에 전해지면 취사재료의 변질이 쉽게 일어난다. 따라서 밀폐어댑터(414)과 공급가이드(410)를 밀폐시키는 외주연을 각각 제1외주연(218), 제2외주연(219)으로 구분함으로써, 곡물공급기(100)와 조리기(3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아 위생상태를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세척기(200)에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밀폐어댑터(414)와 공급가이드(410)에 밀착되는 회전스크린(236)이 드럼케이지(23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크린(236)은 상기 세척드럼(210)의 외부에서 외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전스크린(236)은 세척드럼(210)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그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스크린(236)은 외주연에 막힌 밀폐면(238)과 뚫린 개방면(23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전면에는 세척드럼중심축(212)이 관통하는 장홀(239a)이 형성되며, 드럼호스(640)가 관통하는 호스관통구(239)가 상기 장홀(239a)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홀(239a)과 호스관통구(239)를 통해 회전스크린(236)의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에도 세척드럼중심축(212)과 드럼호스(640)가 회전스크린(236)에 간섭되지 않는다.
또는, 상기 회전스크린(236)의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회전스크린(236)의 회전시에 세척드럼중심축(212)과 호스관통구(239)가 어느 구조물에도 걸리지 않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드럼케이지(230)의 받침대(231)가 회전스크린(236)의 외주연을 지지하며, 받침대모터(231a)가 받침대(231)를 회전시켜 회전스크린(236)은 회전된다.
상기 회전스크린(236)은 드럼케이지(230)가 승강체(500)에 의해 승강함에 따라 함께 승강한다. 드럼케이지(230)가 제1높이에 위치시에 상기 회전스크린(236)은 밀폐어댑터(414) 및 공급가이드(410)와 접촉되지 않는다.
드럼케이지(230)가 승강체(500)에 의해 하강하여 제2높이에 위치시에 회전스크린(236)의 밀폐면(238)은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되어, 내솥(310)은 밀폐되어 취사과정에서 승압된다.
드럼케이지(230)가 승강체(500)에 의해 상승하여 제3높이에 위치시에 회전스크린(236)의 밀폐면(238)은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밀착되어, 곡물공급기(100)는 밀폐된다. 이때, 회전스크린(236)의 승강 이동하면서 세척드럼(210)은 드럼케이지(230)를 따라 움직이지 않고 제1높이에 고정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회전스크린(236)이 구비된 실시예에서 세척기(200)의 작동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초기 상태는 도 13(a)와 같이 곡물공급기(100)에서 취사재료를 공급받기 위해 입구슬릿(211)이 상방을 향하여 있는 위치이며, 이에 따라 회전스크린(236)의 개방면(237)도 상방을 향하는 위치이고, 드럼케이지(230)는 승강되지 않고 초기위치인 제1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회전스크린(236)은 밀폐어댑터(414)의 상단 및 공급가이드(410)의 하단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또한, 회전스크린(236)의 내면과 세척드럼(2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세척드럼(210)의 회전이 간섭받지 않는다.
이 위치에서 곡물공급기(100)로부터 세척드럼(210)으로 취사재료가 공급되고 내부에서 세척이 이루어진다.
세척이 완료된 후, 세척드럼(210)의 입구슬릿(211)과 회전스크린(236)의 개방면(237)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회전한다. 도 13(b)는 입구슬릿(211)이 하방으로 회전하는 중에 수평방향에 위치하였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b)에서는 회전스크린(236)도 함께 회전하는 과정 중에 개방면(237)이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였을 때를 도시하였으나, 세척드럼(210)의 입구슬릿(211)이 회전하는 중에 수평방향에 위치하였을 때 회전스크린(236)은 회전하지 않아 개방면(237)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세척드럼(210)이 회전하면서 전면에 결합된 드럼호스(640)는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세척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신축하면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드럼호스(640)는 호스관통구(239)의 라인을 따라 이동한다.
도 13(c)와 같이 입구슬릿(211)과 개방면(237)이 하방에 위치하여 내부의 세척된 취사재료를 쏟아 내솥(310)으로 배출한다.
배출이 완료된 후 세척드럼(210)은 도 13(b)와 같이 회전하여 입구슬릿(211)이 수평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스크린(236)의 개방면(237)도 수평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때, 밀폐면(238)은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도 13(d)와 같이 드럼케이지(230)가 승강체(500)에 의해 하강하여 제2높이에 위치한다. 회전스크린(236)도 함께 하강하여 밀폐면(238)이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되어 내솥(310)은 밀폐된다.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되는 회전스크린(236)의 외주연을 제3외주연(238a)으로 정의한다. 밀폐된 내솥(310)은 가열되어 내부에서 승압이 이루어진다. 이때, 세척드럼(210)은 제1높이에 고정되어 승강하지 않으며, 세척드럼(210)의 상부가 회전스크린(236)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취사가 끝난 후 드럼케이지(230)는 도 13(b)와 같이 다시 제1높이로 상승한다. 세척과 취사 의외의 과정에서 저장드럼(110)에 저장되는 취사재료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밀폐되도록 드럼케이지(230)가 승강체(500)에 의해 도 13(e)와 같이 제3높이로 상승한다. 이때 입구슬릿(211)과 회전스크린(236)의 개방면(237)은 수평방향으로 놓여있는 상태이고, 회전스크린(236)의 밀폐면(238)은 상방을 향하여 위치한다. 세척드럼(210)은 제1높이에서 고정되어 승강하지 않으며, 세척드럼(210)의 하부가 회전스크린(236)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회전스크린(236)의 밀폐면(238)이 밀착되며 저장드럼(110)이 밀폐되어 외부의 공기가 차단된다. 이때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밀착되는 회전스크린(236)의 밀폐면(238)을 제4외주연(238b)으로 정의한다.
이후 진공펌프(413)가 작동하여 진공흡입구(412)를 통해 곡물공급기(100) 내에 있는 공기를 흡입함으로 내부를 진공압 상태로 유지한다. 내부 진공압 상태에서 쌀벌레 등의 해충 서식을 예방할 수 있고 곡물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드럼케이지(230)가 제1높이에 위치함에 따라 세척드럼(210)과 회전스크린(236)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세척드럼(210)의 원활한 회전을 도우며, 회전스크린(236)의 개방면(237)이 상,하부에 위치하여 취사재료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진다.
드럼케이지(230)가 제2높이에 위치하여 회전스크린(236)의 밀폐면(238)은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되며, 세척드럼(210)의 상부가 회전스크린(236)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내솥(310)은 밀폐되어 가열 조리과정에서 승압된다.
드럼케이지(230)가 제3높이에 위치하여 회전스크린(236)의 밀폐면(238)은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밀착되며, 세척드럼(210)의 하부가 회전스크린(236)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곡물공급기(100)는 차폐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없어 취사재료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다.
드럼케이지(230)가 다수의 높이에 위치하면서 더욱 효과적으로 취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밀폐어댑터(414) 또는 공급가이드(410)와 밀착되는 회전스크린(236)의 외주연도 제3외주연(238a)과 제4외주연(238b)으로 구분하여 위생상태를 제고할 수 있다.
상기 세척기(200)에서 세척된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가열 및 취사를 행하는 상기 조리기(300)는 상기 세척기(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세척드럼(210)으로부터 세척된 취사재료를 공급받아 담는 내솥(310), 상기 내솥(310)의 하부에서 열을 가해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열기(331) 및 상기 가열기(331)가 구비되고 상기 내솥(310)을 지지하는 프레임인 조리기케이지(330)로 구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조리기가 원형으로 형성된 내솥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내솥(310)은 도 14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상의 내솥(310)은 일측에 손잡이(311)가 형성되고 상단의 테두리(312)에는 돌기(312a)가 형성된다.
원형상의 내솥(310)이 수납되는 조리기케이지(330)는 전면이 개방되어 내솥(310)의 삽입, 인출이 가능한 가열기(331)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기(331)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내솥상승체(335)가 구비된다. 상부에는 내솥(310)의 돌기(312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333)을 회전시키는 걸림레버(334)가 전면에 형성된다.
내솥(310)을 조리기케이지(330)에 삽입하게 되면 내솥상승체(335)가 내솥(310)을 상승시키고 테두리(312)의 돌기(312a)가 돌기홈(333)에 걸린다. 내솥(310)의 손잡이(311)를 잡아 회전시키거나 또는 걸림레버(334)를 이동시켜 돌기홈(333)이 돌기(312a)에 걸리게 하여 내솥(310)과 조리기케이지(33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내솥(310)의 테두리(312)는 조리기케이지(330)의 상단에 밀착된다.
또는 본 발명에서 내솥(310)은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각형상의 내솥(310)은 전,후면에 손잡이(311)가 형성된다.
상기 사각형상의 내솥(310)이 수납되는 조리기케이지(330)는 전면이 개방되어 내솥(310)의 삽입, 인출이 가능한 가열기(331)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기(331)의 상부에는 내솥(310)의 삽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고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상승레일(338)이 구비된다. 양측에는 상기 상승레일(338)을 상승시키는 상승캠(337)과, 전면에는 상기 상승캠(337)을 가압하여 상승 회전시키는 밀착레버(336)가 구비된다.
사각형상의 내솥(310)을 상승레일(338)을 따라 조리기케이지(330)로 밀어넣게 되면 도 16(a)와 같이 내솥(310)의 테두리(312)는 조리기케이지(330)의 상단과 접촉된다. 여기서 밀착레버(336)를 아래로 가압하여 상승캠(337)을 상승회전시키고, 상승캠(337)에 의해 상승레일(338)이 상승하며 내솥(310)의 전체 테두리(312)가 도 16(b)와 같이 조리기케이지(330)의 상단에 밀착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조리기(300)가 승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7과 같이, 내솥(310)은 전,후면에 손잡이(311)가 형성된다.
상기 내솥(310)을 감싸는 내솥서랍(320)은 전면에 도어(322)가 형성되어 손으로 잡아 상기 내솥(310)을 삽입 및 인출시킬 수 있다. 양측벽은 조리기케이지(330)의 슬라이딩홈(332)에 삽입되는 돌출면(323)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내솥(310)을 안착할 수 있는 손잡이홈(321)이 형성된다.
조리기케이지(330)에는 전면이 개방되어 내솥(310)이 삽입, 인출될 수 있는 가열기(331)가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열기(331)와 양측벽이 이격되어 형성된 간극은 상기 내솥서랍(320)의 돌출면(323)이 삽입, 인출되는 슬라이딩홈(332)으로 형성된다. 양측면에는 승강체(500)의 날개삽입구(512)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승강날개(235)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솥(310)의 손잡이(311)가 내솥서랍(320)의 손잡이홈(321)에 놓이도록 안착시킨 후, 돌출면(323)을 조리기케이지(330)의 슬라이딩홈(332)에 끼워 밀어 넣는다. 내솥(310)의 바닥면이 가열기(331)에 놓이게 된다.
세척기(200)로부터 세척된 취사재료를 내솥(310)으로 공급받아 담고, 취사를 진행한다. 승강날개(235)가 승강체(500)의 날개삽입구(512)에 삽입되어, 승강체(500)에 의해 조리기케이지(330)가 상승하게 된다. 밀폐어댑터(414)의 하단에 내솥(310)의 테두리(312)가 밀착되고 상기 드럼케이지(230)가 제2높이로 하강하여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되어 내솥(310)은 밀폐된다.
내솥(310)이 가열기(331)와 밀착된 채로 함께 승강하여 이격거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열전도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취사효율이 향상되어 취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승강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드럼케이지(230) 또는 조리기케이지(330)를 승강시키는 승강체(500)는 바디프레임(400)을 따라 형성되어 승강되는 승강프레임(511), 상기 승강프레임(511)에 결합되어 승강날개(235)가 삽입되는 날개삽입구(512) 및 상기 승강프레임(511)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기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는 선형모터(517), 실린더(516) 또는 스크류(518)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8(a)와 같이 승강기가 실린더(516)로 구동되는 승강체(500)는 승강프레임(511)에 결합되는 이동활주대(514)가 구비되며, 바디프레임(400)에 결합되는 고정활주대(515)가 구비된다.
승강기에서 실린더(516)가 연장되어 이동활주대(514)를 밀어주게 되면, 상기 이동활주대(514)는 고정활주대(515)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한다. 이동활주대(514)가 결합되는 승강프레임(511)도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날개삽입구(512) 또한 이동한다. 드럼케이지(230) 또는 조리기케이지(330)에 형성된 승강날개(235)가 날개삽입구(51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럼케이지(230) 또는 조리기케이지(330)도 상하로 승강하면서 이동된다.
승강탄성체(513)는 승강프레임(511)과 바디프레임(400)을 연결하는 탄성체로서, 이동활주대(514)와 고정활주대(515)의 경사면이 항상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승강기에서 동력이 제거되더라도 상기 승강탄성체(513)에 의해 상기 이동활주대(514)와 고정활주대(515)는 경사면이 상호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8(b)와 같이 승강기가 선형모터(517)로 구동되는 승강체(500)는 선형모터(517)의 승강기가 승강프레임(511)과 바디프레임(400)을 연결하면서 결합되며, 선형모터(517)의 작동으로 승강프레임(511)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승강프레임(511)이 이동함에 따라 승강날개(235)가 날개삽입구(512)에 삽입되어 있는 드럼케이지(230) 또는 조리기케이지(3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8(c)와 같이 승강기가 스크류(518)로 구동되는 승강체(500)는 스크류(518)의 승강기가 승강프레임(511)과 바디프레임(400)을 연결하면서 결합되며, 스크류(518)가 회전하면 승강프레임(511)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승강프레임(511)이 이동함에 따라 승강날개(235)가 날개삽입구(512)에 삽입되어 있는 드럼케이지(230) 또는 조리기케이지(3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체(500)가 드럼케이지(230) 또는 조리기케이지(330)를 승강시켜, 내솥(310)과 저장드럼(110)이 밀폐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취사 밥솥 장치에서 파이프라인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 및 도 20과 같이, 본 발명은 세척드럼(210)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라인(6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라인(600)은 외부에서 상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필터(610), 상기 정수필터(610)에서 정수된 세척수를 정수꼭지(630)와 입수호스(641)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1밸브(620), 상기 정수필터(610)에서 정수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정수꼭지(630), 상기 정수꼭지(630)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담는 퇴수트레이(670), 세척수가 공급되는 입수호스(641)와 배출되는 출수호스(642)로 구성되는 드럼호스(640), 세척드럼(210)에서 세척수 배출을 제어하는 배수펌프(650), 상기 출수호스(642)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를 저장하는 출수저장탱크(680),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출수저장탱크(680) 또는 배수구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2밸브(660)를 포함한다.
먼저, 외부로부터 상수를 공급받아 정수필터(610)로 이동된다. 정수필터(610)는 단일 또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정수필터(610)를 통해 정수처리된 세척수는 제1밸브(620)를 통해 정수꼭지(630)로 이동하거나 또는 세척드럼(210)의 드럼입수구(214)와 연결된 입수호스(641)로 이동한다.
정수꼭지(630)로 이동한 세척수는 음용 등 여러 목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버려지는 정수(음용수)는 퇴수트레이(670)에 담긴 후 외부로 배출된다.
세척드럼(210)으로 이동한 세척수는 세척드럼(210) 내에서 취사재료 세척 및 취사에 필요한 물로 공급되며,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펌프(650)의 가동으로 출수호스(642)를 통해 배출된다.
세척드럼(210)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제2밸브(660)의 제어로 출수저장탱크(680)로 이동하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출수저장탱크(680)는 세척완료된 세척수를 담아 저장하는 탱크로, 탱크배출구(681)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쌀뜨물을 배출하여 별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출수저장탱크(680)와 연통된 별도의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인 취사 밥솥 장치의 일측에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와 연동되어 통신하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취사 또는 세척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미도시)에서 수신한 명령을 제어모듈(미도시)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모듈(미도시)에서 곡물선택, 취사 제어, 세척 제어 및 세척드럼(210) 회전제어를 실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무인 취사 밥솥 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취사과정을 설명한다. 회전스크린(236)이 구비된 세척기(200)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저장드럼(110)을 인출시켜 내부에 취사재료를 저장하고, 취사를 진행하고자 할 때, 개폐플레이트(113)를 회전시켜 카트리지(112)에 저장된 취사재료를 곡물토출구(114)를 통해 배출시킨다. 취사재료는 공급가이드(410)의 공급슬릿(411)과 세척드럼(210)의 입구슬릿(211)을 통과하여 세척드럼(21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드럼케이지(230)는 제1높이에 위치한다. 세척드럼(210) 내부에 드럼입수구(214)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블레이드(221)가 정,역회전하며 취사재료의 이물질을 쓸면서 제거한다.
세척이 완료된 후, 세척드럼(210)은 입구슬릿(211)이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조리기(300)의 내솥(310) 내부로 취사재료와 세척수가 쏟아지고, 스퀴즈블레이드(222)가 작동하며 세척드럼(210) 내부에 남은 잔여 취사재료를 쓸면서 공급한다.
세척드럼(210)은 제1외주연(218)이 하방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승강체(500)에 의해 제2높이로 하강하여 상기 제1외주연(218)이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된다. 또한, 조리기케이지(330)가 승강체(500)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내솥(310)의 테두리(312)가 밀폐어댑터(414)의 하단과 밀착된다. 내솥(310)은 밀폐된 상태로 가열기(331)가 가열하므로 내부에서 승압이 이루어진다.
취사가 완료되면 조리기케이지(330)는 하강하여 내솥(310)의 테두리(312)와 밀폐어댑터(414)의 하단과의 밀착 상태가 해제되고 내솥(310)이 내솥서랍(320)에 의해 인출이 가능하고, 드럼케이지(230)는 세척드럼(210)과 함께 제1높이로 상승한다.
취사재료의 취사 및 세척 의외의 과정에서 저장드럼(110)에 저장된 취사재료를 더욱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드럼케이지(230)는 제3높이로 상승한다. 세척드럼(210)의 제2외주연(219)이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밀착되어 곡물공급기(100)는 차폐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없다. 진공펌프(413)가 작동하여 곡물공급기(100) 내부를 진공압 상태로 유지하여, 해충의 서식을 막고 취사재료의 변질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100:곡물공급기
110:저장드럼 111:격벽 112:카트리지 113:개폐플레이트
114:곡물토출구 115:중심축삽입구 116:개폐구동기어 117:센서
120:곡물측정기 121:조명등 122:측정인식모듈 123:레일
130:드럼트레이 131:트레이중심축 132:트레이힌지 133:지지판
200:세척기
210:세척드럼 211:입구슬릿 212:세척드럼중심축 213:드럼유수관
213a:분리유수구 214:드럼입수구 215:드럼출수구 216:필터망
217:필터챔버 218:제1외주연 219:제2외주연
220:블레이드 221:세척블레이드 222:스퀴즈블레이드 223:블레이드회전축
230:드럼케이지 231:받침대 231a:받침대모터 232:다단모터
233:블레이드구동기어 233a:블레이드구동축 234:세척드럼구동기어
234a:세척드럼구동축 M:모터 235:승강날개 236:회전스크린
237:개방면 238:밀폐면 238a:제3외주연 238b:제4외주연
239:호스관통구 239a:장홀
300:조리기
310:내솥 311:손잡이 312:테두리 312a:돌기
320:내솥서랍 321:손잡이홈 322:도어 323:돌출면
330:조리기케이지 331:가열기 332:슬라이딩홈 333:돌기홈
334:걸림레버 335:내솥상승체 336:밀착레버 337:상승캠 338:상승레일
400:바디프레임
410:공급가이드 411:공급슬릿 412:진공흡입구 413:진공펌프
414:밀폐어댑터 415:증기배출구
500:승강체 511:승강프레임 512:날개삽입구 513:승강탄성체
514:이동활주대 515:고정활주대 516:실린더 517:선형모터 518:스크류
600:파이프라인 610:정수필터 620:제1밸브 630:정수꼭지
640:드럼호스 641:입수호스 642:출수호스
650:배수펌프 660:제2밸브 670:퇴수트레이 680:출수저장탱크
681:탱크배출구

Claims (16)

  1. 취사재료를 수납 저장하는 저장드럼(110)을 포함하는 곡물공급기(100);
    상기 곡물공급기(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취사재료를 세척하는 세척기(200);
    상기 세척기(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취사가 행해지는 조리기(300); 및
    상기 곡물공급기(100), 세척기(200), 및 조리기(300)가 배치되는 바디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기(200)는 상기 곡물공급기(100)에서 배출된 취사재료를 입구슬릿(211)으로 공급받고 취사재료를 세척하는 블레이드(220)가 배치되는 세척드럼(210)과, 상기 세척드럼(210)의 외부에 배치되는 드럼케이지(230)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300)는 세척된 취사재료를 상기 세척드럼(210)의 입구슬릿(211)으로부터 공급받는 내솥(310)과, 상기 내솥(310)을 가열하는 가열기(331)가 구비된 조리기케이지(330)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프레임(400)은 상기 곡물공급기(100)와 세척기(2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입구슬릿(211)으로 취사재료를 유도하도록 경사진 공급가이드(410)와, 상기 세척기(200)와 조리기(300)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어댑터(414)를 포함하며,
    취사재료가 세척드럼(210)으로 공급 및 세척드럼(210)에서 배출시에 상기 드럼케이지(230)는 제1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드럼케이지(230)가 제2높이에 위치시에 상기 내솥(310)은 밀폐되고, 상기 드럼케이지(230)가 제3높이에 위치시에 상기 저장드럼(110)은 밀폐되며,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1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3높이는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무인 취사 밥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케이지(230)의 제3높이에서 세척드럼(210)의 외주연은 상기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밀착되며;
    드럼케이지(230)의 제2높이에서 세척드럼(210)의 외주연은 상기 밀폐어댑터(414)의 상단과 밀착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드럼(210)은
    제1외주연(218)에서 상기 밀폐어댑터(414)의 상부와 밀착되고, 제2외주연(219)에서 상기 공급가이드(410)의 하단과 밀착되되, 제1외주연(218)과 제2외주연(219)은 서로 다른 위치인
    무인 취사 밥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드럼(210) 외부에는 외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스크린(236)이 구비되며,
    상기 드럼케이지(230)의 제2높이에서 상기 회전스크린(236)의 제3외주연(238a)이 상기 밀폐어댑터(414)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기 드럼케이지(230)의 제3높이에서 상기 회전스크린(236)의 제4외주연(238b)이 상기 공급가이드(410)의 하단에 밀착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크린(236)은 길이방향으로 뚫린 개방면(237)과 막힌 밀폐면(238)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세척드럼중심축(212)이 관통하는 장홀(239a)이 형성되고, 세척드럼(210)으로 세척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드럼호스(640)가 관통하는 호스관통구(239)가 상기 장홀(239a)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스크린(236)은 드럼케이지(230)의 제1높이에서 회전하며,
    세척드럼(210)이 취사재료의 유입 및 배출시에 상기 회전스크린(236)의 개방면(237)이 상기 입구슬릿(211)과 동일한 방향인
    무인 취사 밥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410)의 일측에는 공기가 이동되는 진공흡입구(412)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케이지(230)의 제3높이에서 진공펌프(413)의 작동으로 공급가이드(4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진공흡입구(412)로 흡기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드럼(210)의 일측에는 취사재료를 세척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드럼출수구(215)가 구비되며,
    상기 드럼출수구(215) 안쪽에는 취사재료의 배출을 방지하는 필터망(216)이 장착되되, 상기 필터망(216)은 상기 드럼출수구(215)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망(216)과 드럼출수구(215)가 이격되어 형성된 필터챔버(217)가 배치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20)의 내부 또는 상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분리유수구(213a)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유수구(213a)에서 세척드럼(210) 내부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310)은 일측에 손잡이(311)가 구비되며, 상단에 돌기(312a)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조리기케이지(330)는 상면에 상기 돌기(312a)와 결합되는 돌기홈(333)이 형성되고, 상기 내솥(310)의 돌기(312a)와 상기 조리기케이지(330)의 돌기홈(333)이 결합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300)에서
    상기 내솥(310)은 손잡이(311)가 구비되며,
    상기 조리기케이지(330)는 전면에 밀착레버(336)가 구비되고, 상단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상승레일(338)이 구비되며, 상기 밀착레버(336)의 가압으로 상승 회전하는 상승캠(337)이 구비되고,
    상기 내솥(310)이 상기 상승레일(338)로 삽입시에 테두리(312)가 상기 조리기케이지(330)의 상단과 접촉되고, 상기 상승캠(337)이 상기 상승레일(338)을 상승시켜 테두리(312)가 조리기케이지(330)의 상단과 밀착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케이지(230)가 상기 제2높이로 하강 시에 상기 가열기(331)와 내솥(310)이 동시에 상승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300)에서
    상기 조리기케이지(330)는 상기 가열기(331)와 양측벽 사이에 슬라이딩홈(33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돌출된 돌출면(323)이 상기 슬라이딩홈(332)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솥(310)의 손잡이(311)가 안착되는 손잡이홈(321)이 형성되는 내솥서랍(320);을 더 포함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13.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케이지(230) 또는 조리기케이지(330)에는 측면에서 연장된 승강날개(235)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날개(235)와 결합되는 승강프레임(511)이 바디프레임(400)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511)을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가 구비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선형모터(517), 실린더(516) 또는 스크류(518)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400)에 파이프라인(600)이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라인(60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필터(610);
    상기 정수필터(61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인출하는 정수꼭지(630); 및
    상기 정수필터(61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상기 세척드럼(210)으로 공급하는 입수호스(641)와 세척드럼(210)에서 발생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출수호스(642)를 포함하는 신축되는 드럼호스(640);
    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호스(641) 및 출수호스(642)는 세척드럼(210)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 무선통신모듈이 배치되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취사 또는 세척 명령을 전송받아 곡물선택, 취사 제어, 세척 제어 또는 세척드럼 회전제어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무인 취사 밥솥 장치.

KR1020210058521A 2021-05-06 2021-05-06 무인 취사 밥솥 장치 KR102422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521A KR102422374B1 (ko) 2021-05-06 2021-05-06 무인 취사 밥솥 장치
JP2023558696A JP2024516351A (ja) 2021-05-06 2022-04-13 無人炊飯装置
CN202280029644.6A CN117241713A (zh) 2021-05-06 2022-04-13 一种全自动电饭锅装置
PCT/KR2022/005357 WO2022234971A1 (ko) 2021-05-06 2022-04-13 무인 취사 밥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521A KR102422374B1 (ko) 2021-05-06 2021-05-06 무인 취사 밥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374B1 true KR102422374B1 (ko) 2022-07-19

Family

ID=8260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521A KR102422374B1 (ko) 2021-05-06 2021-05-06 무인 취사 밥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16351A (ko)
KR (1) KR102422374B1 (ko)
CN (1) CN117241713A (ko)
WO (1) WO202223497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728A (ja) * 1991-10-16 1993-04-27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洗米機
KR20000012862U (ko) 1998-12-18 2000-07-15 박언규 정미기용 여과망.
KR20030063028A (ko) * 2002-01-22 2003-07-28 (주)리빙하이텍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구동 장치
KR20050117955A (ko) * 2004-06-11 2005-12-15 목영래 서랍 온장고와 정수기가 포함된 서랍식 자동밥솥
KR102048872B1 (ko) 2018-05-10 2019-11-27 고순정 무인 취사 밥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154B1 (ko) * 2001-11-27 2004-07-30 김재근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3728A (ja) * 1991-10-16 1993-04-27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洗米機
KR20000012862U (ko) 1998-12-18 2000-07-15 박언규 정미기용 여과망.
KR20030063028A (ko) * 2002-01-22 2003-07-28 (주)리빙하이텍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구동 장치
KR20050117955A (ko) * 2004-06-11 2005-12-15 목영래 서랍 온장고와 정수기가 포함된 서랍식 자동밥솥
KR102048872B1 (ko) 2018-05-10 2019-11-27 고순정 무인 취사 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6351A (ja) 2024-04-15
WO2022234971A1 (ko) 2022-11-10
CN117241713A (zh)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5721B2 (en) Rotisserie oven with shooter tube cleaning system
JP2010505583A (ja) 無人自動炊飯装置
EP1275334A2 (de) Multifunktionaler Deckel für ein Gargerät
CA3052633C (en) Rotisserie oven with improved trap system
KR102422374B1 (ko) 무인 취사 밥솥 장치
US20220386801A1 (en) Unattended-cooking rice cooker device
KR102028301B1 (ko) 밥 제조장치
JP2010063595A (ja) 飲料供給装置
CN205608894U (zh) 一种豆浆制售一体机
JP2010069188A (ja) 飲料供給装置
CN111035157A (zh) 一种智能橱柜
CN111103808A (zh) 智能橱柜工作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0063521A (ja) 飲料供給装置
KR20170022606A (ko) 자동튀김기
JP2010057799A (ja) 飲料供給装置
JP2010069187A (ja) 飲料抽出装置
KR100733260B1 (ko) 음식물 조리 및 분배장치
KR100559075B1 (ko) 자동취사장치
KR20180106051A (ko) 쌀 세척 장치
KR101955849B1 (ko) 수유식 튀김기
US20200281407A1 (en) Easily cleanable water and oil fryer
JP2582449Y2 (ja) 洗米給水装置
CN213997014U (zh) 一种软胶囊清洗机
DE102015207169A1 (de) Trocknungseinrichtung für Geschirrspülmaschinen
KR20220140155A (ko) 전자동 쌀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