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231B1 - Device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 Google Patents

Device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231B1
KR102421231B1 KR1020210062709A KR20210062709A KR102421231B1 KR 102421231 B1 KR102421231 B1 KR 102421231B1 KR 1020210062709 A KR1020210062709 A KR 1020210062709A KR 20210062709 A KR20210062709 A KR 20210062709A KR 102421231 B1 KR102421231 B1 KR 102421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ade
food
microorganism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수용
고서영
Original Assignee
(주)헬로준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로준넷 filed Critical (주)헬로준넷
Priority to KR102021006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2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2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comprises: a crush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a sink,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and crushes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microorganism supply unit which supplies microorganism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 crushing unit sieving unit which receives the crushed food from the crush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provides high cutting efficiency by using multi-blades to maximize food processing efficiency.

Description

음식물 처리 장치{DEVICES FOR DISPOSING OF FOOD WASTE}DEVICE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본 개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다중날을 통해 분쇄하여 배출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that provides convenience in food waste treatment by pulverizing and discharging food waste input through a drain hole of a sink through multiple blades.

산업이 발전하고 문화 수준이 향상되어 식생활이 풍요로워짐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양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패되고, 토양에 매립되는 경우 침출수의 생성을 야기하여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하천에 방류되는 경우, 부패로 인해 각종 가스와 악취를 유발하여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소각도 용이하지 않아, 음식물 처리에 많은 노력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는 종류가 다양한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폐기 처리 시,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The amount of food waste is increasing day by day as the industry develops and the level of culture improves and the diet becomes more abundant. Food waste discharged from homes and restaurants contains a large amount of moisture and is easily decomposed. In addition, when food waste is discharged into a river, it can caus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by causing various gases and odors due to decay. can be For example, since food waste is of various types and has a large volume, a large amount of labor is required when disposing of the food waste, which may result in economic loss.

한편,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나 비료 등으로 활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다양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various attempts to utilize food waste as feed or fertilizer have been steadily progressing.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es for treating food waste generated in homes or restaurants have been widely used.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처리 방법에 따라 발효분해식, 건조식, 미세분립식 등으로 나뉠 수 있다. Such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may be divided into a fermentation decomposition type, a dry type, a fine granularity type, etc. according to a processing method.

발효분해식 음식물 처리 장치는,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 발효제를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킨 후,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시키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다만, 발효분해식 음식물 처리 장치는, 발효시간이 길고 발효 중간에 새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The fermentation decomposition food processing apparatus may ferment the food waste by adding a microbial fermentation agent to the generated food waste, and then process the food waste in a manner that minimizes the volume of the food waste. However, the fermentation decomposition type food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long fermentation time and may be difficult to process newly generated food waste in the middle of fermentation.

또한, 건조식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공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한 상태로 히터로 건조시키는 방식을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식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난 후의 잔여 쓰레기 발생률, 즉, 감용률이 80% 정도로, 사용자가 잔여 쓰레기를 자주 배출해야 하여 다소 번거로울 우려가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시 발생하는 악취 때문에 실내에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ry food processing apparatus can minimize the volume of food waste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food waste by using a method of drying the food waste with a heater in a state in which the food waste is accommodated in the food waste storage space. Such a dry food treatment apparatus has a residual waste generation rate after food waste treatment, that is, a reduction rate of about 80%, so that the user has to frequently dispose of the residual waste, which may be a bit cumberso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doors because of the odor.

또한, 미세분립식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 저장 공간 내부에 분쇄기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미세분립식 음식물 처리 장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되면서 악취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섬유질이 비교적 많은 한국 음식에 적합한 분쇄 절삭력을 제공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다시 말해, 섬유질이 비교적 많은 음식에는 적절한 분쇄 동작이 수행되지 않아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최소화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the fine granular food processing apparatus can reduce the volume of food waste by providing a grinder inside the food storage space to finely pulverize the food waste. However, such a fine granular food processing apparatus may cause a bad odor as the pulverized food waste decays, and may not provide a crushing cutting power suitable for Korean food having a relatively high fiber content. In other words, there is a fear that the amount of food waste discharged may not be minimized because an appropriate grind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on food hav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fiber.

따라서, 당 업계에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가 가능하며, 다중 날을 구비하여 높은 절삭 효율을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처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음식물 처리 장치에 대한 수요가 존재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art, there may be a demand for a food processing apparatus for maximizing food processing efficiency by installing it in the drain hole of a sink throug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providing high cutting efficiency by having multiple blade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4093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3-0140933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중날을 활용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높은 절삭 효율을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처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food processing apparatus that maximizes food processing efficiency by providing high cutting efficiency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using multiple blades.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는, 싱크대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분쇄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는 분쇄부거름부 및 상기 분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a sink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and includes a crushing unit for crushing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microorganism supply unit supplying microorganisms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crushing unit. It may include a pulverizing unit that receives the pulverized food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lverizing unit.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음식물을 거르기 위한 거름용기가 지지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칼날부가 구비되는 분쇄날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칼날부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하우징이 구비되는 제2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rushing unit includes a first body part on which a filter container for filtering the food is supported, and is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to form a grinding blade receiving space provided with a blade part, and the blade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motor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driving motor.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바디부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미생물공급부지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공급부지지턱은, 상기 미생물공급부에 구비된 배선들을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측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배선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cond body part includes a microbial supply part support jaw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and the microorganism supply part support jaw connects the wires provided in the microorganism supply part to the inside of the motor housing.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wiring through hole is provided.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바디부는, 상기 제1바디부의 외측과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는 홀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미생물분사홀 및 상기 제1바디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생물분사홀로 상기 미생물을 전달하는 미생물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first body par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e penetrating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receiving space and the microorganism through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It may further include a microbial linkage to deliver.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미생물공급부는, 상기 미생물을 저장하는 미생물저장부, 상기 미생물저장부에서 상기 미생물분사홀로 상기 미생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펌프전원선, 상기 펌프와 상기 미생물연결부 및 상기 펌프와 상기 미생물저장부 각각을 연결하는 제1공급관 및 제2공급관 및 상기 미생물공급부의 구성요소들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a microorganism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icroorganism, a pump for generating a flow of the microorganism from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to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a pump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ump, the It may include a first supply pipe and a second supply pipe connecting the pump and the microorganism connection unit, respectively, the pump and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and a protective cover provided to surround the components of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의 상단에 구비되며 센서부가 위치하는 보호커버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헤드부는, 상기 보호커버헤드부의 외측과 내측을 연결하는 홀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보호커버관통홀 및 상기 센서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센서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protective cover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and includes a protective cover head in which a sensor is located, and the protective cover head is in the shape of a hol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over head. It may include a protective cover through-hole provided and a sensor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sensor part,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part.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바디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부 방향에서 공급된 액체를 하부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홀, 상기 원판의 지름을 따라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신호는,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센서모듈이 제1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한 감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head portion provided in a disk shape, the head por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 delivering the liquid supplied from the upper direction in the lower direction, the It includes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protruding along the diameter of the disk and a sensor modul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protrusion, wherein the sensing signal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sensor module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분쇄날 수용공간 상에 상기 제1바디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칼날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중심축에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 및 상기 중심축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cond body portion is provided on the crushing blade receiving spac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axis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blade portion, the crushing unit, the central axis It may further include a bearing fitted to and a fastening nut coupl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central shaft.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칼날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아치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절단홈 및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내측돌출날을 포함하는 원형칼날, 상기 원형칼날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며, 두 개의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중심칼날, 상기 원형칼날의 내부직경 보다 적은 외부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을 통해 구비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삼각칼날, 상기 고정판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 영역에 톱니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중심칼날 및 상기 제2중심칼날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며 복수의 회전절단홀이 형성된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blade portion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 circular blade comprising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provided in an arcuate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n inner protruding blade provided to protrude in the inner center direction, the circular blade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central blade provided including two blades, a fixed plate provided through a disk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lar blad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A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provided in the second central blad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ed plate and including a toothed portion in at least one region, and a rotating plate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econd central blade and having a plurality of rotating cutting holes may include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원판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측날 및 상기 외측날의 일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삼각칼날은,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홈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외곽칼날 및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칼날 각각은, 상기 고정판의 회전 시, 편심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fixing plate further comprises an outer blad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k and one or more concave grooves formed in a part of the outer blade, wherein the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are in each of the one or more concave grooves. Comprising one or more outer blades provided correspondingly and one or more inner blade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ixed plate, each of the one or more inner blades is provided opposite to each other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ccentricity when the fixed plate is rotated can be characterized.

본 개시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중날을 활용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높은 절삭 효율을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처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od processing apparatus maximizing food processing efficiency by providing high cutting efficiency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using multiple blades.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을 투입함으로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악취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troducing microorganisms in the process of pulverizing the food was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decomposing the pulverized food waste to prevent odor generation.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개략도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싱크대에 설치된 음식물 처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음식물 처리 장치의 블록구성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쇄부 및 미생물공급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1바디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름부 및 헤드부의 활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헤드부 및 보호커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2바디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칼날부, 베어링 및 체결너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원형칼날 및 제1중심칼날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고정판 및 복수의 삼각칼날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2중심칼날 및 회전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쇄물거름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Various aspects are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collectively. In the following example,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It will be evident, however,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1 show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verall schematic view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food processing apparatus installed in a sink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shows an exemplary view viewed from the side of the pulverization unit and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n exemplary view of the first body p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viewed from various angles.
6 is a view exemplarily shown in order to explain a process of utilizing a filter unit and a head uni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head unit and a protective cover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n exemplary view viewed from various angles of a second body par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blade unit, a bearing, and a fastening nu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circular blade and a first central blad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fixed plate and a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second center blade and rotating plat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pulverized material filter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however,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s of various aspects may be employed, and the descriptions set forth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Specifically, 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vantage or advantage of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It may not be.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r elements, these elements or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or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or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rather than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context, "X employ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mplicit substitutions. That is, X employs A; X employs B; or when X employs both A and B, "X employs A or B" may apply to either of these case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refers to and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related items.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as not Also,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unless it is clear from context to refer to a singular form, the singular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References to an element or layer “on” or “on” another component or layer mean that another layer or other component is directly above as well as intervening another component or layer. Including all intervening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immediately on", it indicates that another component or layer is not interposed therebetwee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 or a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개략도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음식물 처리 장치(1)는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 즉, 배출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음식물 처리 장치(1)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사료나 비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1 show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verall schematic view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minimize the volume of food waste, that is, the amount of discharge, by finely pulverizing the food waste. In an embodiment, the food waste pulverized by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used as feed or fertiliz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 장치(1)는 싱크대의 하부면에 위치한 배수구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싱크대의 배수구는, 액체가 빠져나가는 구멍 또는 홀을 의미할 수 있다. 음식물 처리 장치(1)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분쇄부(20)는 배수구에 관련한 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쇄부(20)는 싱크대의 배수구 위치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쇄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하부면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a drain hol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For example, the drain hole of a sink may mean a hole or hole through which liquid exits.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pulverizer 20 for pulverizing food waste, and the pulverizer 20 may be provided in a hole related to a drain hole. That is, the crushing unit 20 may be provided at the location of the drain port of the sink to accommodate the food waste. More specifically, the crushing unit 20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as shown in FIG. 2 .

이러한 분쇄부(20)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음식물(즉,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싱크대에서 설거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물을 통해 잔반이 씻겨져 내려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수구 위치에 구비된 분쇄부(20)의 수용공간 상에 음식물이 공급될 수 있다. The crushing unit 2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may allow input of food (ie, food waste)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For example, the leftovers may be washed down through water while the user washes the dishes in the sink, and accordingly, food may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ing unit 20 provided at the drain position.

분쇄부(20)는 복수 개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날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칼날부(230)는 모터에 구동력에 기반하여 회전됨에 따라 수용공간 상에 투입된 음식물을 미세하게 분쇄시킬 수 있다.The crushing unit 20 may include a blade unit 230 including a plurality of blades, and the blade unit 230 is rotated based on a driving force of a motor to finely crush food put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ca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 장치(1)는 분쇄부(20)의 상부 면에서의 헤드부(10)의 안착 방향에 기반하여 분쇄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10)는 외부로 음식물이 분출되거나 또는 칼날부(230)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어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쇄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20 based on the seating direction of the head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 can do. Here, the head unit 10 may be provided by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in order to prevent food from being ejected to the outside or the user's bod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lade unit 230 to prevent injury. .

구체적으로, 분쇄부(20)의 외측 일부에는 센서부(351a)가 구비될 수 있으며, 헤드부(10)의 일 영역에는 센서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센서부(351a)는 헤드부(10)에 구비된 센서모듈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351a)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20)의 외측 일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헤드부(10)에 구비된 센서모듈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헤드부(10)는 지름을 따라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헤드부(10)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센서모듈은 돌출부(12)의 일 영역 즉, 도 7의 (a)와 같은 센서모듈삽입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sensor unit 351a may be provided on an outer portion of the crushing unit 20 , and a sensor module may be provided at one region of the head unit 10 . The sensor unit 351a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sense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head unit 10 . As shown in (a) of FIG. 7 , the sensor unit 351a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 and may sense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head unit 10 . can The head part 10 may include a protrusion part 12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upper surface along the diameter. The protrusion 12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10 in order to be easily gripped by a user. The sensor module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protrusion 12 , that is, in the sensor module insertion area as shown in FIG. 7A .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음식물 처리 장치(1)는 센서부(351a)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분쇄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신호는 센서부(351a)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센서모듈이 제1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한 감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영역은 센서부(351a)와 센서모듈 간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간격 이하인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20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351a. Here, the sensing signal may be sensing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sensor module 351a is positioned in the first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n this case, the first region may mean a region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sensor unit 351a and the sensor modu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nterval.

예를 들어, 음식물 처리 장치(1)는 센서부(351a)의 센싱 신호(예컨대, 헤드부(10)에 구비된 센서모듈이 제1영역에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2초) 이상 위치하였다는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분쇄부(2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예컨대, 약 25초) 동작 시킬 수 있다. 분쇄부(20)의 동작은 칼날부(230)의 회전을 통해 음식물을 절삭시키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indicates that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351a (eg,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head unit 10 has been positioned in the first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eg, 2 seconds) or longer). sensing signal), the crushing unit 20 may be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about 25 seconds).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20 may refer to an operation of cutting foo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blade unit 230 .

즉, 사용자는 헤드부(10)의 센서모듈삽입영역(13)이 센서부(351a)에 근접하도록 해당 헤드부(10)를 분쇄부(20)의 상면에 안착시킴으로써, 칼날부(230)의 회전을 통한 절삭 동작을 야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돌출부(12)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센서모듈삽입영역(13)과 센서부(351a)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 처리 장치(1)는 칼날부(230)의 회전을 통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용공간 상에 투입된 음식물에 대한 분쇄를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may seat the head unit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so that the sensor module insertion region 13 of the head unit 10 is close to the sensor unit 351a, so that the It can cause cutting action through rotation. In other words, the user can make the sensor module insertion region 13 and the sensor unit 351a align through rotation while holding the protrusion 12, and accordingly,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230), it is possible to pulverize the food put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for a predetermined time.

다시 말해, 헤드부(10)의 센서모듈삽입영역(13)을 센서부(351a)의 구비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경우, 칼날부(230)가 회전을 통해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다. 즉, 헤드부(10)가 분쇄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지 않거나 또는 헤드부(10)의 센서모듈삽입영역(13)이 센서부(351a)에 근접하도록(즉, 센서모듈과 센서부가 정렬되도록) 안착되지 않는 경우, 본 개시의 칼날부(230)는 회전을 통해 절삭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칼날부(230)는 복수의 칼날을 포함하여 구비됨에 따라 절삭 동작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경우, 큰 부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페달식, 버튼식 또는 리모콘식 등을 통한 작동 방식의 경우, 의도와는 상이한 사용자의 조작 오류로 인해 부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sensor module insertion region 13 of the head unit 10 is alig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unit 351a is provided, the blade unit 230 may rotate to grind food. That is, the head unit 10 is not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or the sensor module insertion area 13 of the head unit 10 is close to the sensor unit 351a (ie, the sensor module and the sensor). If the part is not seated (so that the part is aligned), the blade part 23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not perform a cutting operation through rotation. For example, as the blade part 2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when the user's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 during the cutting operation, there is a risk of causing a serious injury. In the case of an operation method through a pedal type, a button type, or a remote control type, there is a risk of causing an injury due to a user's operation error different from the intended one.

다만, 본 개시의 음식물 처리 장치(1)는 헤드부(10)의 안착 방향을 기반으로 칼날부(23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유아/어린이들의 호기심에 따른 조작 오류 또는 의도치 않은 조작 오류로 인한 부상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However,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operate the blade unit 230 based on the seating direction of the head unit 10, thereby causing a manipulation error or unintentional manipulation error according to the curiosity of infants/children.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njuries in advance.

일 실시예에서, 분쇄부(20)의 외측 일부에는 미생물공급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공급부(30)는 분쇄부(20)의 외측 일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분쇄부(2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 상에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쇄부(20)의 칼날부(230)가 회전을 통해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동안 미생물공급부(30)는 해당 분쇄부(20)의 수용공간 상에 액체 상태의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미생물은, 음식물을 분해하는 생물학적 제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생물은 음식물에 공급되어 해당 음식물의 빠른 분해를 통해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미생물은 증식 과정에서 기체 상의 악취 오염물질을 흡수, 분해, 탈착시킴에 따라 악취 발생을 저감될 수 있다. 예컨대, 미생물은 수분함량과 염분도가 높은 상태에도 잘 성장하며,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통해 구성되는 리퀴백(liqui bac)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생물은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단백질, 지방, 섬유도, 녹말 등의 분해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er part of the pulverizing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an out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 and may supply microorganisms o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crushing unit 20 . . In other words, while the blade unit 230 of the crushing unit 20 grinds food through rotation,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may supply microorganisms in a liquid state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rresponding crushing unit 20 . The microorganism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fer to a biological agent that decomposes food. Specifically, the microorganisms can be supplied to the foo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bad odors through the rapid decomposition of the food. By absorbing, decomposing, and desorbing odor pollutants in the gas phase during the growth process, microorganisms can reduce odor generation. For example, microorganisms grow well even in a state of high water content and salinity, and can be constituted through a liquid bac composed of a strain with excellent activity. Accordingly, microorganisms can remove odors generated from food and decompose proteins, fats, fibers, starches, and the like.

즉, 분쇄부(20)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공급부(30)를 통해 액체 상태의 미생물이 분쇄부(20)의 수용공간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이 부패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pulverizing food through the pulverizer 20 , microorganisms in a liquid state may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pulverizer 20 through the microbe supply unit 30 , and accordingly, as the food decompo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odors that may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는 분쇄부(20)의 하부 측에 연결되는 분쇄물이송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이송관(40)은, 제2바디부배출홀(222)에 연결되어 분쇄부(20)에서 잘게 분쇄된 음식물을 분쇄물거름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분쇄물이송관(40)은 분쇄부(20)와 분쇄물거름부(50)를 연결하는 배관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쇄부(20)는 분쇄물거름부(50)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물거름부(50)는 분쇄부(20)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쇄부(20)에 잘게 분쇄된 음식물(즉, 분쇄물)은 분쇄물이송관(40)을 통해 분쇄물거름부(50)로 이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crushed material conveying pipe 4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rushing unit 20 . The pulverized material transport pipe 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art discharge hole 222 to deliver the food pulverized in the pulverizing unit 20 to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 That is, the pulverized material transport pipe 40 may refer to a pipe connecting the pulverized material 20 and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 In one embodiment, the pulverizing unit 2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 As shown in FIG. 2 ,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pulverizing unit 20 . Accordingly, the food (i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in the pulverizing unit 20 is pulverized. It may be moved to the pulverized water filter 50 through the water transfer pipe 40 .

일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는 분쇄물거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거름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쇄부(20)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여 분쇄부(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즉, 분쇄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분쇄물은 작게 갈린 음식물과 액체(즉,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거름부(50)는 분쇄부(20)로부터 전달받은 분쇄물에서 잘게 갈린 음식물과 액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물거름부(50)의 내측에는 분쇄물에서 음식물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5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름망(530)은 분쇄물이송관(40)이 연결된 투입구(520)의 하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거름망(530)은 미리 정해진 격자 크기의 그물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즉, 분쇄물)에서, 이물질(즉, 잘게 갈린 음식물)을 걸러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 As described above,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may be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pulverizing unit 20 to receive the food pulverized by the pulverizing unit 20, that is, the pulverized material. The pulverized produ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ground food and liquid (ie, water).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may separate finely ground food and liquid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received from the pulverizing unit 20 . Specifically, a sieve 530 for filtering food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may be provided inside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 Such a sieve 5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let 520 to which the pulverized material transport pipe 40 is connected. The sieve 530 is provided in a mesh shape of a predetermined lattice size, and may filter foreign substances (ie, finely ground food) from a liquid (ie, pulverized product)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즉, 분쇄물은 분쇄물이송관(40)과 연결된 투입구(520)를 통해 분쇄물거름부(50)의 내측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투입구(520)의 하부 측에 위치한 거름망(53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걸러지고 액체는 통과될 수 있다. 거름망(530)을 통과한 액체는 분쇄물거름부(50)의 하부 측에 구비된 배출구(5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잘게 분쇄된 음식물만이 분쇄물거름부(50)에 잔여하게 되며, 액체(예컨대, 물과 세제 등)는 배출구(560)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분쇄물거름부(50)는 거름망(530)에 의해 걸러진 음식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분쇄물거름부(50)는 온풍을 공급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히터를 통해 거름망에 잔여하는 음식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즉, 걸러진 음식물에 수분을 추가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ulverized material may be deliver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through the inlet 520 connected to the pulverized material transfer pipe 40, and by the sieve 530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let 520 . The ground food is filtered and the liquid can be passed through. The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ieve 53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6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ulverized sieve 50 . That is, only the finely pulverized food remains in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 and liquid (eg, water and detergent) may be discharged to the sewer through the outlet 560 . In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may perform drying of the food filtered by the strainer 530 .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may include a heater for supplying warm air, and may dry the food remaining in the sieve through the heater. That 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of food waste discharged by additionally removing moisture from the filtered food.

따라서, 본 개시의 음식물 처리 장치(1)는 싱크대에 일체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음식물 처리 및 배출 동작이 간소화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을 잘게 분쇄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쇄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헤드부(10)의 안착 방향을 기반으로 분쇄부(2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유아/어린이들의 호기심에 따른 조작 오류 또는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조작 오류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음식물의 분쇄 과정에서 액상의 미생물을 자동 분사함으로써, 음식물의 분해, 발효 및 악취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분쇄부에서 수행되는 절삭(또는 분쇄) 과정, 이를 위한 칼날부의 구조적 특징, 칼날부를 구동시키는 과정 및 음식물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기재는 이하의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Accordingly, as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integrally in the sink, food process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are simplified,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by finely pulverizing the fo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minimizing the amount of food waste discharged. In addition, by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crushing unit 20 based on the seating direction of the head unit 10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an operation error or user's intentional value according to the curiosity of infants/children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injuries that may occur through unintentional operation errors. Additionally, by automatically spraying liquid microorganisms during the grinding process of food, it is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effects in decomposing, fermenting, and removing odors of food. The cutting (or grinding) process performed in the grinding un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blade unit for this, the process of driving the blade unit, and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음식물 처리 장치의 블록구성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 장치(1)는 헤드부(10), 분쇄부(20), 미생물공급부(30), 분쇄물이송관(40), 분쇄물거름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존재하거나 또는, 도 3에서 도시되는 컴포넌트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 3 ,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head unit 10 , a pulverizing unit 20 , a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 a pulverized material transfer pipe 40 , a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and a control unit ( 60) may be included.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3 are exemplary, and additional components may exist or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3 may be omitt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 장치(1)는 해당 음식물 처리 장치(1)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헤드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헤드부(10)는 분쇄부(20)에서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과정에서 분쇄부(20)의 외부로 음식물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쇄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는 분쇄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칼날부(230)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head unit 10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 The head unit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in order to prevent the food from being ejected to the outside of the crushing unit 20 in the process of crushing the food in the crushing unit 20 . have. In addition, the head unit 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to block the user's access to the blade unit 230 for crushing food to prevent injury.

이러한 헤드부(10)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원판의 크기는 분쇄부(20)의 개방된 상면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헤드부(10)는 분쇄부(20)에 형성된 제1돌출턱(211)을 통해 분쇄부(20)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제1돌출턱(211)은, 분쇄부(20)의 내측 일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의 분쇄부(20)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드부(10)의 직경은, 분쇄부(20)의 개방된 상면의 직경 보다 작으며, 제1돌출턱(211)에 관련한 직경 보다는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드부(10)는 제1돌출턱(211)에 지지된 상태로 분쇄부(20)의 상면에 덮개식으로 씌어질 수 있다.The head unit 1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disk, and the size of the disk may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open top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 The head unit 10 may be support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through the first protruding jaws 211 formed in the crushing unit 20 .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is provided on an inner portion of the crushing unit 20 , and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crushing unit 20 . In other words, the diameter of the head part 1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part 20 , and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related to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 In other words, the head unit 10 may be covered with a cov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

일 실시예에서, 분쇄부(20)의 내측에 형성된 제1돌출턱(211)에는 거름용기(210b)가 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를 참고하면, 거름용기(210b)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될 수 있다. 거름용기(210b)는 제1돌출턱(211)을 통해 분쇄부(2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 상의 일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거름용기(210b)가 분쇄부(20)의 수용공간 상에 지지된 상태(즉, 제1돌출턱에 지지된 상태)에서, 해당 거름용기(210b)에 음식물을 투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은 거름용기를 통해 걸러지며, 액체는 복수의 타공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 거름용기(210b)에 음식물이 축적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거름용기(210b)를 뒤집어 내부에 위치한 음식물들을 분쇄부(20)의 수용공간 상에 털어낼 수 있다. 이후, 거름용기(210b)를 분쇄부(20)에서 제거한 상태로 헤드부(10)를 분쇄부(20)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분쇄부(20)를 작동시켜 음식물의 절삭을 야기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container 210b may be seated on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formed inside the crushing unit 20 .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A , the filter container 210b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may be formed therein. The filter container 210b may be supported on a part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crushing unit 20 through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pours food into the filter container 210b in a state in which the manure container 210b is supported o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ing unit 20 (that is, the state supported by the first protruding jaw). can be put in. In this case, the food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container, and the liquid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When food is accumulated in the filter container 210b, the user may turn over the filter container 210b and shake off the food located inside the filter container 210b o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er 20 . After that, the head unit 10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with the filter container 210b removed from the crushing unit 20, and the crushing unit 20 is operated to cause cutting of food. can

일 실시예에서, 헤드부(10)는 상부 방향에서 공급된 액체를 하부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홀(1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부(20)가 음식물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일정 이상의 수분 공급이 요구될 수 있다. 분쇄부(20)에 포함된 칼날부(230)가 음식물을 절삭하기 위해 회전되는 경우, 일정 이상의 액체가 공급되어야 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이상의 액체(즉, 수분)가 분쇄부(20)로 공급되는 경우, 분쇄된 음식물이 하부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어 절삭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수분을 통해 음식물의 이동성이 확보됨(즉, 잘 씻겨내려 갈 수 있음)에 따라 음식물의 분쇄가 보다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ead unit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1 for transferring the liquid supplied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Specifically, a certain amount or more of moisture may be required while the grinding unit 20 grinds the food. When the blade unit 230 included in the crushing unit 20 is rotated to cut food,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liquid may have to be supplied. For example, when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liquid (ie, moisture) is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20 , the crushed food can be more easily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cut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at is, as the mobility of food is secured through moisture (ie, it can be washed away well), the pulverization of food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본 개시의 분쇄부(20)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관련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쇄부(20)의 상부 방향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도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쇄부(20)의 절삭 동작이 수행되는 시점에 수도를 통해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2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related to the drain hole of the sink, and accordingly, a water supply for supplying water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rushing unit 20 . That is,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when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20 is performed.

이 경우, 분쇄부(20)의 상부 면에는, 분쇄부(20)에서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과정에서 분쇄부(20)의 외부로 음식물이 분출되거나, 또는 분쇄부(20)의 칼날부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부(10)가 안착될 수 있다. In this cas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lverizing unit 20 , food is ejected to the outside of the pulverizing unit 20 in the process of pulverizing the food in the pulverizing unit 20 , or the user's The head 10 may be seated to prevent body contact.

헤드부(10)에는 상부 방향 즉, 수도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하부 방향 즉, 분쇄부(20)의 수용공간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홀(11)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는 상부 방향에서 공급되는 액체를 하부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홀(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1 for delive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direction, that is, the water supply, in the lower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ing unit 20 . 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6 , the head unit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1 for transferring the liquid supplied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즉, 헤드부(10)는 분쇄부(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외부로 음식물이 분출되거나 또는 칼날부(230)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어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쇄부(20)의 분쇄 작업이 원활하도록 복수의 배출홀(11)을 통해 분쇄부(20)로 수분을 전달할 수 있다.That is, the head unit 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to prevent food from being ejected to the outside or the user's bod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lade unit 230 to prevent injury, and at the same time, the crushing unit Moisture may be delivered to the crushing unit 20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1 so that the crushing operation of (20) is smooth.

또한, 헤드부(10)는 원판의 지름을 따라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돌출부(12) 및 돌출부(12)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0)는 지름을 따라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의 일 영역에는 센서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모듈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의 내측 일 영역, 즉, 센서모듈삽입영역(13)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은 센서부(351a)의 감지 대상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부(20)의 외측 일부에는 센서부(351a)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센서부(351a)는 센서모듈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351a)가 센서모듈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분쇄부(20)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를 분쇄부(20)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돌출부(12)를 파지하여 회전을 통해 센서모듈삽입영역(13)과 센서부(351a)를 정렬시키는 경우, 분쇄부(20)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음식물을 절삭시키기 위해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10 may include a protrusion 12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long the diameter of the disk and a sensor module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protrusion 12 . Specifically, the head part 10 may include a protrusion part 12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upper surface along the diameter. The protrusion 1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in order to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s hand. A sensor module may be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protrusion 12 .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as shown in (a) of FIG. 7 , may be provided in an inner region of the protrusion 12 , that is, the sensor module insertion region 13 . Here, the sensor module may be related to the sensing target of the sensor unit 351a. Specifically, a sensor unit 351a may be provided on an outer portion of the crushing unit 20 , and the corresponding sensor unit 351a may sense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rushing unit 20 operates based on a sensing signal by which the sensor unit 351a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 the user grips the protrusion 12 in a state where the head 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and inserts the sensor module through rotation. When the region 13 and the sensor unit 351a are aligned, the crushing unit 20 may be driven to cut food for a predetermined time.

즉, 본 개시의 헤드부(10)는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분쇄부(20)의 상부 면에서의 회전 조작(즉, 안착되는 방향에 관련한 조작)을 통해 분쇄부(2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절삭 동작 과정에서 조작 오류 등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여 안정성 확보를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장치 구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s the head unit 1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including a sensor module, it allows the user to rotate the crushing unit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that is, through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seating direction) through the crushing unit ( 20) to decide whether or not to work. This can provide the effect of securing stability by preventing user injuries that may occur through manipulation errors in the course of the cutting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convenience of driving the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 장치(1)는 분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부(20)는 싱크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수용공간 상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시킬 수 있다. 분쇄부(20)는 배수구에 관련한 홀에 구비될 수 있다. 분쇄부(20)는 싱크대의 배수구 위치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분쇄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하부면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crusher 20 . The crushing unit 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and may crush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rushing unit 20 may be provided in a hole related to the drain hole. The crushing unit 20 may be provided at a drain position of the sink to accommodate food waste. As a specific example, the crushing unit 20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as shown in FIG. 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부(20)는 제1바디부(210) 및 제2바디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부(20)는 음식물을 거르기 위한 거름용기(210b)가 지지되며, 헤드부(10)가 안착되는 제1바디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부(210)는 제1바디부수용공간(210a)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거름용기(210b) 및 헤드부(10) 중 적어도 하나를 안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rushing unit 20 may include a first body unit 210 and a second body unit 220 . Specifically, the crushing unit 20 may include a first body unit 210 on which a filter container 210b for filtering food is supported and the head unit 10 is seated. The first body part 210 may form a first body part accommodating space 210a, and may seat at least one of the manure container 210b and the head part 10 in at least a part of the accommodating space.

제1바디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제1돌출턱(211) 및 제1돌출턱(211)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제2돌출턱(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부(210)의 제1돌출턱(211)은 거름용기(210b) 또는 헤드부(10)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거름용기(210b)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턱(211)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해당 거름용기(210b)는 복수의 타공을 통해 음식물은 거르며, 액체는 하부 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거름용기(210b)에 뒤집어 해당 거름용기(210b)에 걸러진 음식물들을 분쇄부(20)의 수용공간 상에 털어낼 수 있다. 이후, 거름용기(210b)를 제거한 상태에서 헤드부(10)를 제1돌출턱(211)에 안착시켜 분쇄부(20)의 작동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분쇄부(20)의 작동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10)가 안착되는 방향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돌출부(12)를 파지하고 회전을 통해 센서모듈삽입영역(13)과 센서부(351a)를 정렬시키는 경우, 분쇄부(20)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음식물을 절삭시키기 위해 구동될 수 있다. 즉, 제1돌출턱(211)은 헤드부(10)가 분쇄부(20)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해당 헤드부(10)를 지지하거나 또는 거름용기(210b)가 분쇄부(2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도록 해당 거름용기(210b)를 지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first body part 21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211 and the first protrusion 211 provided through a stepped shape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n the inside. It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212 that is.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of the first body part 21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container 210b or the head part 10 is seated therein. For example, the filter container 210b may be supported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211 as shown in FIG. 6A . The filtering container 210b filters food throug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nd allows the liquid to pass in a downward direction. The user may shake off the food filtered in the filter container 210b over the filter container 210b o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er 20 . Thereafter, the head unit 10 may be seated on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container 210b is removed, thereby causing the grinding unit 20 to operate. In this case, whether the crushing unit 20 operates or no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unit 10 is seated, as described above. 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when the user grips the protrusion 12 and aligns the sensor module insertion region 13 and the sensor unit 351a through rotation, the crushing unit ( 20) can be driven to cut food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supports the head portion 10 so that the head portion 10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 or the sieve container 210b is formed with the crushing unit 20 .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filter container (210b) so as to be located on the receiving space.

또한, 제1돌출턱(211) 및 제2돌출턱(212)은 제1바디부(210)의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됨에 따라, 음식물의 절삭 또는 분쇄 과정에서, 음식물 또는 분쇄물 등이 하부 방향(즉, 칼날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즉, 외측 방향)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돌출턱(211)과 제2돌출턱(212)은, 내측 방향으로 2단 돌출된 구조로 구비되어, 각각의 하면을 통해 음식물 분쇄 과정에서 사방으로 분출되는 음식물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식물의 분쇄 또는 절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and the second protruding jaw 212 ar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body part 210 , in the process of cutting or grinding food, food or pulverized material is removed. It can be prevented from bouncing from the lower direction (ie, the blade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ie, the outer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first protruding jaw 211 and the second protruding jaw 212 ar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protrudes in two steps in the inward direction,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food ejected in all directions during the process of crushing the food through each lower surface. By doing so, the crushing or cutting efficiency of food can be improved.

또한, 제1바디부(210)는 제1바디부(210)의 외측과 수용공간(즉, 제1바디부수용공간)을 관통하는 홀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미생물분사홀(213) 및 제1바디부(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미생물분사홀(213)로 미생물을 전달하는 미생물연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바디부(21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과 내측을 연결하는 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미생물분사홀(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생물분사홀(213)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부(210)의 외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미생물연결부(214)와 연결될 수 있다. 미생물연결부(214)는 미생물공급부(30)로부터 전달되는 미생물을 제1바디부(210)의 내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미생물공급부(30)의 제1공급관(31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미생물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미생물은 미생물연결부(214)를 거쳐 미생물분사홀(213)을 통해 분사됨에 따라 음식물에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생물공급부(30)는 분쇄부(20)의 절삭 동작이 수행되는 시점에 미생물연결부(214) 및 미생물분사홀(213)로 미생물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쇄부(20)의 칼날부(230)가 회전을 통해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동안 미생물공급부(30)는 미생물연결부(214)에 미생물을 전달하여 제1바디부(210)의 수용공간 상에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분쇄부(20)를 통해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공급부(30)로부터 전달된 미생물이 미생물연결부(214) 및 미생물분사홀(213)을 거쳐 제1바디부(210)의 수용공간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을 분해 효율이 향상되며, 이와 동시에 악취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part 21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e penetrating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receiving space (ie, the first body part receiving space) and the microbe injection hole 213 and the first body. It may include a microorganism connection part 214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art 210 to deliver the microorganism to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213). Specifically, the first body part 210 may include a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213 provided through the shape of a hol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as shown in (b) of FIG. 5 . In this case,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213, as shown in FIG. The microorganism connection unit 214 is provided to deliver the microorganisms delivered from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to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unit 210 ,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pipe 310 of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 can be done with That is, the microorganisms supplied from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may be injected into the food as they are injected through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213 through the microorganism connection unit 214 . In one embodiment,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may deliver microorganisms to the microorganism connection unit 214 and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213 at the time when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20 is performed. In other words, while the blade unit 230 of the crushing unit 20 grinds food through rotation,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delivers the microorganisms to the microorganism connection unit 214 o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body unit 210 . microbes can be supplied to That is, in the process of crushing food through the crushing unit 20 , the microorganisms delivered from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pass through the microorganism connection unit 214 and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213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body unit 210 . can be supplied to, and thus, the efficiency of decomposing food is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odors.

또한, 제1바디부(210)는 외측 일 영역에 구비된 보호커버연결홈(215)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연결홈(215)은, 제1바디부(210)와 보호커버(350)를 연결 또는 결합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연결홈(215)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연결부(214)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part 210 may include a protective cover connection groove 215 provided in one area outside. The protective cover connection groove 215 may be for connecting or coupling 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protective cover 350 . The protective cover connection groove 215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icroorganism connection part 214, as shown in FIG. 5 (a).

구체적으로, 보호커버(35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과 내측을 연결하는 홀을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보호커버관통홀(3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커버(350)에 구비된 보호커버관통홀(352)과 제1바디부(210)에 구비된 보호커버연결홈(215)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나사(215a)가 보호커버관통홀(352)을 관통하여 보호커버연결홈(215)에 끼워짐에 따라, 보호커버(350)가 제1바디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tective cover 350 may include a protective cover through-hole 352 provided through the shape of a hol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as shown in (c) of FIG. In this case, the protective cover through hole 352 provided in the protective cover 350 and the protective cover connection groove 215 provided in the first body part 210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screw ( As the 215a) penetrates the protective cover through hole 352 and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ver connection groove 215 , the protective cover 350 may be fixed to the first body portion 210 .

또한, 제1바디부(210)는 원형칼날지지턱(2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형칼날지지턱(216)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턱(212)의 하부 방향에 단턱 형상으로 구비되며, 원형칼날(231)의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칼날(231)은 제1바디부(210)의 원형칼날지지턱(216)과 제2바디부(220)의 바닥면을 통해 제1바디부(210)와 제2바디부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돌출턱(212)은 원형칼날지지턱(216)의 상부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칼날부(230)에 포함된 복수의 칼날들 보다 상부 측에, 제1바디부(210)의 내측에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돌출턱(212)은, 하부에 위치한 칼날부(230)를 활용하여 음식물의 절삭 또는 분쇄 과정에서, 음식물 또는 분쇄물 등이 하부 방향(즉, 칼날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즉, 외측 방향)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돌출턱(212)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통해 구비되어, 하면을 통해 음식물 분쇄 과정에서 사방으로 분출되는 음식물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식물의 분쇄 또는 절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portion 210 may include a circular blade support jaw (216). For example, the circular blade support jaw 216 is provided in a stepped shap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econd protruding jaw 212 as shown in FIG. can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circular blade 231 is the first body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r blade support jaw 216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20 of the first body portion (210). It may be fixed between the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protruding jaw 2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lar blade support jaw 216, and the first body portion ( 21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Accordingly, the second protruding jaw 212 uses the knife blade 23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n the process of cutting or pulverizing food, so that the food or pulverized material moves from the lower direction (ie, the blade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 That 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ouncing in the outward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second protruding jaw 212 is provided through a shape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to minimize the amount of food ejected in all directions during the food grinding process through the lower surface, thereby improving the grinding or cutting efficiency of food. can

또한, 제1바디부(21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217)는 나사 체결이 가능한 홀 형상이며, 제2바디부(2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225)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나사가 제2결합부(225)를 관통하여 제1결합부(217)에 회전을 통해 체결됨에 따라 제1바디부(210)와 제2바디부(220)가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part 21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21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s shown in FIG. 5C . The first coupling part 217 has a hole shape that can be screwed, and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22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220 . That is, as the screw passes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225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217 through rotation, 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220 may be coupled or fixed. .

또한, 분쇄부(20)는 제1바디부(210)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칼날부(230)가 구비되는 분쇄날 수용공간(220a)을 형성하는 제2바디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바디부(220)는 제1바디부(210)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제1바디부(210)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식물을, 회전을 통해 분쇄하기 위한 복수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날부(230)가 수용되는 분쇄날 수용공간(220a)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분쇄날 수용공간(220a)은 제1바디부(210)가 형성하는 제1바디부 수용공간(210a)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칼날부(230)에 포함된 다양한 칼날들은 제2바디부(220)가 형성하는 분쇄날 수용공간(220a) 상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ushing unit 20 may include a second body unit 22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unit 210 to form a crushing blade receiving space 220a in which the blade unit 230 is provided. have. Specifically, the second body part 22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2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for grinding food delivered from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210 through rota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crushing blade receiving space 220a in which the blade portion 230 is accommodated. For example, the grinding blade accommodating space 220a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accommodating space 210a formed by the first body part 210 . That is, various blades included in the blade portion 23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ovided on the crushing blade receiving space 220a formed by the second body portion 220 .

또한, 제2바디부(220)는 칼날부(230)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하우징(224)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하우징(224)은 칼날부(230)의 하부측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모터하우징(224)의 내부에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터하우징(224)의 내부에는 모터 뿐만 아니라,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메모리 또는 제어부(60)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portion 220 may include a motor housing 224 for accommodating the motor for driving the blade portion (230). The motor housing 22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lade part 230 , and a motor may be provided in the motor housing 224 . Additionally, the motor housing 224 may include a battery, a memory, or a control unit 60 for supplying power as well as a motor.

또한, 제2바디부(220)는 분쇄날 수용공간 상에 제1바디부(210)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며, 칼날부(23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축(2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축(221)의 외형은 칼날부(230)의 포함된 칼날들의 중심홀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축(221)에 회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칼날부(230)에 포함된 칼날들 중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축(221)은 제2바디부(220)의 바닥면 즉, 모터하우징(224)의 상면으로부터 제1바디부(210)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축(221)은 모터하우징(224)의 내부에 위치한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들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발생된 역학적 에너지를 통해 중심축(221)에 회전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모터는 제어부(6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중심축(221)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중심축(221)이 회전됨에 따라 중심축(221)이 관통한 칼날부(230)의 적어도 일부 칼날들에 회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터에서 발생된 역학적 에너지가 중심축의 회전을 야기시키고, 이에 따라, 칼날부(230)의 회전이 발생되어 음식물의 분쇄 또는 절삭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part 220 is provid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210 on the crushing blade receiving space, and may include a central shaft 221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blade part 230 . For example, the outer shape of the central shaft 221 may be provided throug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holes of the blades included in the blade portion 230, and as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central shaft 221, the blade portion 230. It is possible to rotate at least some of the blades included in the. Specifically, the central axis 221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220 ,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224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210 . The central shaft 221 may be connected to a motor located inside the motor housing 224 . The motor refers to a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by using the forces received by a conductor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in a magnetic field, a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rotation is applied to the central shaft 221 through the generated mechanical energy. That is, the motor may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central shaft 221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60 , and as the central shaft 221 rotates, the central shaft 221 passes through the blade portion 230 . A rotational force may be applied to at least some of the blades. In other words, the mechanical energy generated by the motor causes the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and accordingly, the blade unit 230 is rotated to perform a crushing or cutting operation of food.

또한, 제2바디부(220)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은 제2바디부(220)의 외측 방향에 돌출된 단턱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은 제2바디부(2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1바디부(210)로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부(3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part 220 may include a microorganism supply part supporting jaw 223 that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7 ( b ) and 8 ( b ), the microbial supply part supporting jaw 223 may be provided in a stepped shape protrud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220 . . Such a microorganism supplying part supporting jaw 223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part 220 to support a part of the microorganism supply part 30 for supplying microorganisms to the first body part 21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은 보호커버(350)의 하부면이 끼워지는 보호커버고정홈(223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의 상부면에는 보호커버(35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보호커버고정홈(223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해당 보호커버고정홈(223a)에 보호커버(350)의 하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나사(215a)가 보호커버관통홀(352)을 관통하여 보호커버연결홈(215)에 끼워짐에 따라, 보호커버(350)가 제1바디부(210) 및 제2바디부(220)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보호커버(350)가 고정됨에 따라, 보호커버(350)는 내측에 위치한 센서부(351a), 센서전원선(351b), 제1공급관(310), 펌프(320) 및 펌프전원선(321) 등을 외부의 충격 또는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기대 수명이 향상되는 등 운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icroorganism supply part supporting jaw 223 may include a protective cover fixing groove 223a into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350 is fitted. That is, a protective cover fixing groove 223a corresponding to the lower shape of the protective cover 3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croorganism supply part supporting jaw 223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ive cover 350 is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protective cover fixing groove 223a, the fastening screw 215a penetrates the protective cover through hole 352 and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ver connection groove 215. , the protective cover 350 may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220 . As the protective cover 350 is fixed, the protective cover 350 has a sensor unit 351a located inside, a sensor power line 351b, a first supply pipe 310, a pump 320, and a pump power line 321. It can protect the back from external impact or moisture. Accordingly, the operating efficiency may be improved, such as the life expectancy of the device is improved.

일 실시예에서,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은 미생물공급부(30)에 구비된 배선들을 모터하우징(224)의 내측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배선관통홀(223b)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음식물 처리 장치(1)는 음식물에 대한 분쇄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수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식물 처리 장치(1)에 구비되는 전기 배선들은 수분과의 접촉에 취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배선관통홀(223b)은 도 7의 (b)에 구비된 바와 같이,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과 제2바디부(220)가 접촉하는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커버(350)가 제1바디부(210) 및 제2바디부(220)의 외측에 고정되는 경우, 배선관통홀(223b)을 통해 센서전원선(351b) 및 펌프전원선(321)이 모터하우징(224)의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고 않을 수 있다. 즉, 보호커버(350)의 내측에 배선관통홀(223b)이 구비됨에 따라 센서부(351a)와 펌프(3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배선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수분과의 접촉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됨에 따라 장치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icroorganism supply support jaw 223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wiring through hole 223b for connecting the wires provided in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to the inside of the motor housing 224 .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for grinding food and may be easily exposed to moisture. In other words, the electrical wires provided in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be vulnerable to contact with moisture. The wiring through-hole 223b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ormed at a boundary where the microorganism supplying part supporting jaw 223 and the second body part 220 contact each other, as provided in (b) of FIG. 7 . Accordingly, when the protective cover 35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20, the sensor power line 351b and the pump power line ( 321 )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otor housing 224 , and thus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at is, as the wiring through hole 223b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over 350, the electrical wires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part 351a and the pump 32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possibility of contact with moisture is reduced. As it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st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부(20)는 복수의 칼날들이 구비된 칼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칼날부(230)는 회전력에 기반하여 음식물을 분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칼날부(230)는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부식성에 우수한 재질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적인 충격에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칼날부(2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칼날부, 베어링 및 체결너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원형칼날 및 제1중심칼날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고정판 및 복수의 삼각칼날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2중심칼날 및 회전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rushing unit 20 may include a blade unit 23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The blade unit 23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rush food based on rotational force. Such a blade portion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excellent in abras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thus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even with continuous impac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lade unit 230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 9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blade unit, a bearing, and a fastening nu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circular blade and a first central blad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fixed plate and a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second center blade and rotating plat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부(230)는 원형칼날(231), 제1중심칼날(232), 고정판(233), 복수의 삼각칼날(234), 제2중심칼날(235) 및 회전판(23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칼날부(230)에 포함된 칼날들은 회전 시, 각 칼날들 간의 상호 연계를 통해 음식물을 잘게 분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칼날(231)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다른 칼날들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원형칼날(231)의 내측에 제1중심칼날(232), 고정판(233), 복수의 삼각칼날(234), 제2중심칼날(235) 및 회전판(236)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칼날(231)의 내측에 회전판(236), 제2중심칼날(235), 고정판(233), 복수의 삼각칼날(234) 및 제1중심칼날(232) 순으로 차례대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lade part 230 is a circular blade 231, a first central blade 232, a fixed plate 233, a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234, a second central blade 235 and A rotating plate 236 may be included. When the blades included in the blade unit 230 of the present disclosure rotate, it is possible to finely pulverize food through interconnection between the blad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ircular blade 23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o include other blades therein. That is, a first central blade 232 , a fixed plate 233 , a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234 , a second central blade 235 and a rotating plate 236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ircular blade 231 . 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plate 236,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the fixed plate 233, the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234 and the first central blade 232 on the inside of the circular blade 231 in this order It may be provided stacked.

본 개시의 칼날부(230)는 다양한 형상의 칼날들이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음식물을 분쇄시킬 수 있다. 즉, 칼날부(230)는 6종류의 칼날 분쇄 방식의 통해 분쇄 절삭력이 극대화되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칼날부(2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칼날들 각각을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The blade unit 23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ulverize food through organic coupling of blades of various shapes. That is, the blade unit 230 may have an efficient structure in which the crushing cutting force is maximized through six types of blade crushing methods. Hereinafter,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constituting the blade portion 2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부(230)는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원형칼날(2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형칼날의 미리 정해진 직경은, 제1바디부(210) 및 제2바디부(220)의 내부 직경 대응하는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원형칼날(231)은 제2바디부(220)에 형성된 중심축(221)에 끼움 결합되는 구성이 아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형칼날(231)은 중심축(221)에 발생하는 회전에 대응하여 일체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닌, 제1바디부(210) 및 제2바디부(220)에 의해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중심축(221)에 연계된 다른 칼날들의 회전되는 경우, 고정된 원형칼날(231)은 다른 칼날들의 연계를 통해 음식물을 잘게 분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lade unit 230 may include a circular blade 231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Here, the predetermined diameter of the circular blade may mean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portion 2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20). The circular blade 231 may not be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central shaft 221 formed on the second body part 220 . Accordingly, the circular blade 231 is not rotated integrally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ccurring on the central shaft 221 , but is fixed by 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220 . can That is, when the other blades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221 are rotated, the fixed circular blade 231 may crush food finely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other blades.

본 개시의 원형칼날(231)은 제1원형칼날(231a) 및 제2원형칼날(231b)을 포함하며, 해당 제1원형칼날(231a)과 제2원형칼날(231b) 간의 인접 배치를 통해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ircular blade 231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circular blade 231a and a second circular blade 231b, and the first circular blade 231a and the second circular blade 231b through the adjacent arrangement between the cylinder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본 개시의 원형칼날(231)은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홈(231c) 및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내측돌출날(231d)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형칼날(231)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을 따라 아치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절단홈(231c)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절단홈(231c)이 형성되는 높이는, 원형칼날(231)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판(233)의 형성 높이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절단홈(231c)은 고정판(233) 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되어 구비되므로, 고정판(233)이 중심축(221)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고정판(233)과 복수의 절단홈(231c) 간의 간격을 통해 음식물이 잘게 분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판(233)과 원형칼날(231)의 상호 연계를 통해 음식물이 잘게 분쇄될 수 있다. The circular blade 231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utting groove 231c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n inner protruding blade 231d provided to protrude in the inward direction. Specifically, the circular blade 2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c provided in an arcuate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height at which the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c are formed may be higher than the formation height of the fixing plate 233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ircular blade 231 . 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c are fix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xing plate 233 , when the fixing plate 233 is rotated by the central axis 221 , the fixing plate 233 and the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c are fixed. ), the food can be crushed into small pieces. In other words, food can be finely pulverized through the interconnection of the fixed plate 233 and the circular blade 231 .

또한, 원형칼날(231)은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내측돌출날(231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내측돌출날(231d)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절단홈(231c)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내측돌출날(231d)은, 다수의 칼날들이 음식물의 분쇄를 위한 회전 과정에서 음식물이 상부 방향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내측돌출날(231d)은 날카로운 날로 구성됨에 따라, 분쇄 과정에서 음식물이 튀어오르는 경우, 튀어오른 음식물을 절삭시킬 수 있다. 즉, 내측돌출날(231d)을 통해, 튀어오르는 음식물을 최소화하여 복수의 절단홈(231c)과 고정판(233)을 상호 연계를 통한 절삭 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상부면으로 튀어오르는 음식물에 대한 2차 절삭이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ircular blade 2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ner protruding blades (231d) provided to protrude in the inner center direction. The plurality of inner protruding blades 231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c as shown in FIG. 10A . The plurality of inner protruding blades 231d may prevent food from bouncing upward while the plurality of blades rotate for crushing the food. In addition, since each inner protruding blade 231d is composed of a sharp blade, when food bounces off during the crushing process, the protruding food can be cut. That is, through the inner protruding blade 231d, the food that bounces off is minimized to maximize the cutting efficiency through interconnection of the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c and the fixing plate 233, and at the same time, the food that jumps to the upper surface is reduced. Tea cutting may be perform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부(230)는 제1중심칼날(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중심칼날(232)은 원형칼날(231)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며, 두 개의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중심칼날(232)은 원형칼날(231)의 내측에서, 원형칼날(231)의 제외한 다른 칼날들 중 가장 최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lade part 230 may include a first central blade 232 . The first central blade 232 is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ircular blade 231, it may be provided including two wings. The first central blade 232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other blades other than the circular blade 231 on the inside of the circular blade 231.

구체적으로, 제1중심칼날(232)은 제1중심홀(232a), 제1날개부(232b) 및 제2날개부(23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중심홀(232a)은 중심축(221)이 관통되는 홀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중심홀(232a)은 중심축(2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축(221)이 삼각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1중심홀(232a)은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221)이 회전에 따라 제1중심칼날(232)이 회전될 수 있다. 제1중심칼날(232)의 제1날개부(232b)와 제2날개부(232c)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부(232b)와 제2날개부(232c) 각각은 서로 상이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중심칼날(232)이 회전되는 경우,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는 각 날개부를 통해 음식물을 다방향으로의 절삭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entral blade 232 may include a first central hole 232a, a first wing portion 232b, and a second wing portion 232c. The first central hole 232a may mean a hole through which the central axis 221 passes. In this case, the first central hole 232a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entral shaft 221 . For example, when the central axis 221 is provid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the first central hole 232a may be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Accordingly, as the central shaft 221 rotates, the first central blade 232 may be rotated. The first wing portion 232b and the second wing portion 232c of the first central blade 232 may be provided through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ure 10, each of the first wing portion 232b and the second wing portion 232c may be provided to form different angles from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first central blade 232 is rotated, food can be cut in multiple directions through each of the wing portions forming various angle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부(230)는 고정판(23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233)은 제1중심칼날(232)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원형칼날(231)의 내부직경 보다 적은 외부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판(233)은 복수의 홀(23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고정판(2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되어 구비되는 원형칼날(23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축(221)을 통해 회전됨에 따라, 원형칼날(231)의 복수의 절단홈(231c)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음식물을 절삭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lade unit 230 may include a fixing plate (233). The fixing plate 233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entral blade 232 and may be provided through a disk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lar blade 231 . The fixing plate 233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233b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late 233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ircular blade 231 which is fixedly provided, and as it rotates through the central axis 221 ,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c of the circular blade 231 . ) can cut food through interaction with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판(233)은 고정판중심홀(233a), 복수의 홀(233b), 외측날(233c), 하나 이상의 오목홈(233d)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xing plate 233 may include a fixing plate center hole 233a, a plurality of holes 233b, an outer blade 233c, and one or more concave grooves 233d.

고정판중심홀(233a)은 중심축(221)이 관통하는 홀을 의미하는 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판중심홀(233a)은 중심축(2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축(221)이 오각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고정판중심홀(233a)은 오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221)이 회전에 따라 고정판(233)이 회전될 수 있다.The fixed plate center hole 233a may mean a hole through which the central axis 221 passes. In this case, the fixed plate center hole 233a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entral shaft 221 . For example, when the central shaft 221 is provided in a pentagonal column shape, the fixing plate center hole 233a may be provided in a pentagonal shape. Accordingly, as the central shaft 221 rotates, the fixing plate 233 is to be rotated. can

고정판(233)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233b)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복수의 홀(233b)읜 잘게 갈린 음식물 또는 액체를 하부 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판(233)은 복수의 삼각칼날(234)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a plurality of holes 233b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late 233 , and the plurality of holes 233b serve to transfer the ground food or liquid in a downward direction. In addition, the fixing plate 233 may be provided to fix the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234 .

고정판(233)은 원판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측날(233c)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날(233c)은 고정판(233)의 외측을 형성하는 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해당 외측날(233c)과 원형칼날(231)의 복수의 절단홈(231c)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음식물이 절삭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233 may include an outer blade 233c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late. The outer blade 233c may mean a blade forming the outside of the fixing plate 233 . That is, food may be cut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outer blade 233c and the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c of the circular blade 231 .

또한, 고정판(233)은 하나 이상의 오목홈(233d)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오목홈(233d) 각각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날(233c)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날카로운 날의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오목홈(233d)이 외주면에 형성됨에 따라 음식물의 절삭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lso, the fixing plate 233 may include one or more concave grooves 233d. Specifically, each of the one or more concave grooves 233d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outer edge 233c, as shown in FIG. 11A . As one or more concave grooves 233d having a sharp edge shap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utting efficiency of food may be improved.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오목홈(233d) 각각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오목홈(233d-1), 제2오목홈(233d-2) 및 제3오목홈(233d-3) 각각의 간격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각 오목홈 간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은, 고정판(233)이 회전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편심을 억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칼날부(230)의 회전 시, 무개중심이 뒤틀려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 장치의 고장이 야기되는 등 운용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고정판(233)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홈(233d) 각각의 간격을 동일하게 구비함으로써 편심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pacing between the one or more concave grooves 233d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concave groove 233d-1, the second concave groove 233d-2, and the third concave groove 233d-3 may each have the same spacing. The reason why the intervals between the respective concave grooves are the same may be to suppress eccentricity that may occur when the fixing plate 233 is rotated. When the blade part 230 of the present disclosure rotates,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twisted and eccentricity occurs, there is a fear that the operat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such as causing a malfunction of the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ccentricity by providing the same spacing between the one or more concave grooves 233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33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부(230)는 복수의 삼각칼날(23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삼각칼날(234)은 고정판(233)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공(234-3)이 삼각칼날(234)의 내부홀(234a)과 고정판의 홀(233b)을 관통한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압착됨에 따라, 삼각칼날을 고정판(233)의 상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삼각칼날(234)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과 사각형이 만나는 부분이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lade part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234 . The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23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33 . Specifically, as the connection hole 234-3 is pressed in both directions while penetrating the inner hole 234a of the triangular blade 234 and the hole 233b of the fixing plate, the triangular bla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33. can be fixed to The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234 may be provided in a bent shape where a triangle and a quadrangle meet, as shown in (b) of FIG. 11 .

복수의 삼각칼날(234)은 하나 이상의 외곽칼날(234-1) 및 하나 이상의 내부칼날(234-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외곽칼날(234-1)은 하나 이상의 오목홈(233d)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곽칼날(234-1)은 제1오목홈(233d-1)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제2외곽칼날(234-1)은 제2오목홈(233d-2)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그리고 제3외곽칼날(234-1)은 제3오목홈(233d-3)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외곽칼날의 삼각형 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됨에 따라, 고정판(233)의 회전 시, 각 외곽칼날과 각 오목홈 그리고 원형칼날(231)에 형성된 복수의 절단홈(231c)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절삭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234 may include one or more outer blades 234-1 and one or more inner blades 234-2. The one or more outer blades 234-1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ne or more concave grooves 233d. Specifically, as shown in (b) of Figure 11, the first outer blade 234-1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cave groove (233d-1), the second outer blade (234-1) The second concave groove 233d-2 may be provided, and the third outer blade 234-1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cave groove 233d-3. In this case, as the triangular portion of each outer blade is bent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the fixing plate 233 is rotated, each outer blade, each concave groove, and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c formed in the circular blade 231 are provided. Cutting efficiency by interaction can be maximized.

하나 이상의 내부칼날(234-2) 각각은, 편심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판(233)의 회전 시, 무개중심이 뒤틀려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 장치의 고장이 야기되는 등 운용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내부칼날(234-2) 각각을,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33)의 상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편심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내부칼날(234-2)들은 고정판(233)의 상면에서 무개중심을 저해시키지 않는 위치에 각각에 대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Each of the one or more inner blades 234-2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ccentricity. For example, when the fixed plate 233 is rotated,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twisted and eccentricity occurs, there is a risk that the operat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such as malfunction of the device. Accordingly, by providing each of the two inner blades 234-2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33, as shown in Fig. 11 (b),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ccentricity. That is, the inner blades 234 - 2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mpede the open cen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33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부(230)는 제2중심칼날(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중심칼날(235)은 고정판(233)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 영역에 톱니부(235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2중심칼날(235)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중심홀(235a) 및 톱니부(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중심홀(235a)은 중심축(221)이 관통되는 홀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중심홀(235a)은 중심축(2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축(221)이 삼각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2중심홀(235a)은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221)이 회전에 따라 제2중심칼날(235)이 회전될 수 있다. 톱니부(235b)는 제2중심칼날(235)의 회전 방향에 관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중심칼날(23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톱니부(235b)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lade part 230 may include a second central blade 235 .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late 233,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area is formed with a sawtooth portion (235b).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may include a second central hole 235a and a toothed portion 235b, as shown in FIG. 12A . The second central hole 235a may mean a hole through which the central axis 221 passes. In this case, the second central hole 235a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entral shaft 221 . For example, when the central axis 221 is provid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the second central hole 235a may be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Accordingly, as the central shaft 221 rotates,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may be rotated. The toothed portion 235b may be formed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is rotated clockwise, the toothed portion 235b may be formed in the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a).

일 실시예에서, 분쇄부(20)는, 중심축(221)에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2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240)은 중심부가 통공된 원기둥 형상이며, 칼날부(230)에 포함된 칼날들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어링(2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33)과 제2중심칼날(235) 사이에 중심축(221)을 통해 관통되어 끼워질 수 있다. 베어링(240)의 상면은 고정판(233)의 하부면에 인접하며, 베어링(240)의 하면은 제2중심칼날(235)의 상부면과 인접할 수 있다. 베어링(240)은 고정판(233)과 제2중심칼날(235)의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판(233)과 제2중심칼날(235)의 간격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판(233)과 제2중심칼날(235)의 간격이 베어링(240)에 의해 확보됨에 따라, 칼날부(230)는 2단 구조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판(233)과 제2중심칼날(235)의 회전을 통한 음식물의 절삭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베어링(240)을 통해 고정판(233)과 제2중심칼날(235) 간의 간격이 확보됨에 따라, 회전되는 칼날들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rushing unit 20 may include a bearing 240 fitted to the central shaft 221 . The bearing 24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e in the center,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lades included in the blade part 230 . Specifically, the bearing 24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central shaft 221 between the fixing plate 233 and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as shown in FIG. 9 . The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240 may be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33 ,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earing 240 may be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 The bearing 240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plate 233 and the second center blade 235 , and serve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plate 233 and the second center blade 235 .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plate 233 and the second center blade 235 is secured by the bearing 240, the blade portion 230 has a two-stage structure, and accordingly, the fixed plate 233 and the second center blade ( 235), the cutting efficiency of food through the rot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plate 233 and the second center blade 235 is secured through the bearing 240, direct contact between the rotating blades is prevented, thereby ensuring stability.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칼날부(230)는 회전판(236)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236)은, 회전판중심홀(236a)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중심홀(236a)을 통해 중심축(221)이 회전판(236)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판(236)은 제2중심칼날(235)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회전절단홀(236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회전판(236)은 칼날부(230)의 최하단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중심칼날(235)과의 상호 연계를 통해 음식물을 잘게 분쇄시킬 수 있다. 즉, 제2중심칼날(235)의 톱니부(235b)가 회전판(236)의 상단에서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236)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절단홀(236b)과 톱니부(235b)의 상호 연계를 통해 음식물이 잘게 분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lade part 230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236 . The rotating plate 236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center hole 236a. The central shaft 221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rotating plate 236 through the rotating plate center hole 236a. The rotating plate 236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a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otating cutting holes 236b are formed. The rotating plate 236 may be fixedly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blade unit 230 , and may grind food finely through interconnection with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 That is, as the toothed portion 235b of the second central blade 235 is rotated at the top of the rotary plate 236, a plurality of rotational cutting holes 236b and the toothed portion 235b formed in the rotary plate 236 are interconnected. Food can be crushed finely.

또한, 분쇄부(20)는 중심축(221)의 최상단에 결합되어 칼날부(230) 및 베어링(240)을 고정시키는 체결너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체결너트(250)를 통해 본 개시의 칼날부(230) 및 베어링(240)이 중심축(221)을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ushing unit 20 may include a fastening nut 250 coupl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central shaft 221 to fix the blade unit 230 and the bearing 240 . That is, the blade portion 230 and the bearing 24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ixed through the fastening nut 250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central axis 221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 장치(1)는 미생물공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부(20)의 외측 일부에는 미생물공급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공급부(30)는 분쇄부(20)의 외측 일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분쇄부(2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 상에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 Specifically, the microbial supply unit 30 may be provid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crushing unit 20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an outer surface of the crushing unit 20 , and may supply microorganisms o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crushing unit 20 . .

미생물공급부(30)는 분쇄부(2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 상에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미생물은, 음식물을 분해하는 생물학적 제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생물은 음식물에 공급되어 해당 음식물의 빠른 분해를 통해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미생물은 증식 과정에서 기체 상의 악취 오염물질을 흡수, 분해, 탈착시킴에 따라 악취 발생을 저감될 수 있다. 예컨대, 미생물은 수분함량과 염분도가 높은 상태에도 잘 성장하며,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통해 구성되는 리퀴백(liqui bac)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생물은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단백질, 지방, 섬유도, 녹말 등의 분해시킬 수 있다.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may supply microorganisms to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crushing unit 20 . The microorganism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fer to a biological agent that decomposes food. Specifically, the microorganisms can be supplied to the foo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bad odors through the rapid decomposition of the food. By absorbing, decomposing, and desorbing odor pollutants in the gas phase during the growth process, microorganisms can reduce odor generation. For example, microorganisms grow well even in a state of high water content and salinity, and can be constituted through a liquid bac composed of a strain with excellent activity. Accordingly, microorganisms can remove odors generated from food and decompose proteins, fats, fibers, starches,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미생물공급부(30)는 미생물저장부(340), 펌프(320), 펌프전원선(321), 제1공급관(310), 제2공급관(330) 및 보호커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저장부(340)는 미생물을 저장할 수 있다. 미생물저장부(340)는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의 하부면에 회전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즉, 미생물저장부(340)에 저장된 미생물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의 하면에 회전 체결을 통해 사용자는 미생물저장부(340) 분리 또는 고정시킴으로써 미생물저장부(340)에 미생물을 용이하게 재공급 또는 재충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includes a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 a pump 320 , a pump power line 321 , a first supply pipe 310 , a second supply pipe 330 , and a protective cover 350 . can do.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may store microorganisms.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may be rotated to be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supporting jaw 223 . That is, when all of the microorganisms stored in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are used, the user can separate or fix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through rota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support jaw 223 to store the microorganisms in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 Microorganisms can be easily replenished or recharged.

펌프(320)는 미생물저장부(340)에서 미생물분사홀(213)로 미생물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펌프전원선(321)은 펌프(3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에 형성된 배선관통홀(223b)을 통해 모터하우징(224)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터하우징(224)의 내부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으며, 펌프전원선(321)은 해당 배터리에 연결되어 펌프(32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ump 320 may generate a flow of microorganisms from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to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213 . The pump power line 321 may supply power to the pump 32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otor housing 224 through a wiring through hole 223b formed in the microbial supply support jaw 223 . In one embodiment,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tor housing 224 , and the pump power line 321 may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attery to supply power to the pump 32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공급관(310) 및 제2공급관(330)은 미생물저장부(340)에 저장된 미생물이 분쇄부(20)의 수용공간 상으로 배출되도록 미생물을 이송하는 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공급관(310) 및 제2공급관(330)은 유지보수에 용이하도록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공급관(310) 및 제2공급관(330)은, 노후화되어 누수가 발생되거나 위생상의 문제점이 생길 경우를 대비하여 분리하여 세척 및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공급관(310)은 펌프(320)와 미생물연결부(214)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공급관(330)은 펌프(320)와 미생물저장부(340)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ly pipe 310 and the second supply pipe 330 may mean a pipe for transporting microorganisms so that the microorganisms stored in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are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ing unit 20 . can The first supply pipe 310 and the second supply pipe 330 may be separated from the device for easy maintenance. That is, the first supply pipe 310 and the second supply pipe 330 may be separated to be washed and replaced in case of deterioration and leakage or sanitary problems. The first supply pipe 310 may mean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pump 320 and the microorganism connection unit 214 , and the second supply pipe 330 is a connection connecting the pump 320 and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 It could mean a tub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커버(350)는 미생물공급부(30)의 구성요소들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은 보호커버(350)의 하부면이 끼워지는 보호커버고정홈(223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미생물공급부지지턱(223)의 상부면에는 보호커버(35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보호커버고정홈(223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해당 보호커버고정홈(223a)에 보호커버(350)의 하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나사(215a)가 보호커버헤드부(351)를 관통하는 홀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보호커버관통홀(352)을 관통하여 보호커버연결홈(215)에 끼워짐에 따라, 보호커버(350)가 제1바디부(210) 및 제2바디부(220)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보호커버(350)가 고정됨에 따라, 보호커버(350)는 내측에 위치한 센서부(351a), 센서전원선(351b), 제1공급관(310), 펌프(320) 및 펌프전원선(321) 등을 외부의 충격 또는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기대 수명이 향상되는 등 운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ective cover 35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components of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icroorganism supply part supporting jaw 223 may include a protective cover fixing groove 223a into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350 is fitted. That is, a protective cover fixing groove 223a corresponding to the lower shape of the protective cover 3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croorganism supply part supporting jaw 223 . That is, the protective cover through hole 352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screw 215a passes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head part 351 in a state where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ive cover 350 is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protective cover fixing groove 223a. As it passes through and is fitted into the protective cover connection groove 215 , the protective cover 350 may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220 . As the protective cover 350 is fixed, the protective cover 350 has a sensor unit 351a located inside, a sensor power line 351b, a first supply pipe 310, a pump 320, and a pump power line 321. It can protect the back from external impact or moisture. Accordingly, the operating efficiency may be improved, such as the life expectancy of the device is improved.

보호커버(350)는 보호커버(350)의 상단에 구비되며 센서부가 위치하는 보호커버헤드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헤드부(351)는 내측 방향에 및 센서부(351a)를 안착시키기 위한 센서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체결나사(215a)가 보호커버관통홀(352)을 관통하여 보호커버연결홈(215)에 끼워짐에 따라, 보호커버(350)가 제1바디부(210) 및 제2바디부(220) 외측에 고정되는 경우, 보호커버헤드부(351)는 제1바디부(210)의 상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커버헤드부(351)의 내측과 제1바디부(210)의 외측 사이 공간에 센서부(351a)가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즉, 센서부(351a)는 헤드부(10)의 안착 방향에 관련하여 구비됨으로써, 헤드부(10)의 안착 시, 헤드부(10)에 구비된 센서모듈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rotective cover 35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350 and may include a protective cover head portion 351 in which the sensor unit is located. The protective cover head part 351 may include a sensor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sensor part 351a in the inner direction. That is, as the fastening screw 215a penetrates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through hole 352 and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ver connection groove 215, the protective cover 35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 220) When fixed to the outside, the protective cover head part 351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210. In this case, the inner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head part 351 and the first body part ( The sensor unit 351a may be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ides of the 210 . That is, since the sensor unit 351a i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seating direction of the head unit 10 ,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head unit 10 can be detected when the head unit 10 is seat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는 분쇄부(20)의 하부 측에 연결되는 분쇄물이송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이송관(40)은 제2바디부배출홀(222)에 연결되어 분쇄부(20)에서 잘게 분쇄된 음식물을 분쇄물거름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분쇄물이송관(40)은 분쇄부(20)와 분쇄물거름부(50)를 연결하는 배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쇄물거름부(50)의 투입구(52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쇄부(20)는 분쇄물거름부(50)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물거름부(50)는 분쇄부(20)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쇄부(20)에 잘게 분쇄된 음식물(즉, 분쇄물)은 분쇄물이송관(40)을 통해 분쇄물거름부(50)로 이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pulverized material transport pipe 4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ulverizing unit 20 . The pulverized material transport pipe 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art discharge hole 222 to deliver the food pulverized by the pulverizer 20 to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 That is, the pulverized material transport pipe 40 means a pipe connecting the pulverized material 20 and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unit 5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520 of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unit 50 . In one embodiment, the pulverizing unit 2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 As shown in FIG. 2 ,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pulverizing unit 20 . Accordingly, the food (i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in the pulverizing unit 20 is pulverized. It may be moved to the pulverized water filter 50 through the water transfer pipe 40 .

일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는 분쇄물거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거름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쇄부(20)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여 분쇄부(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즉, 분쇄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분쇄물은 작게 갈린 음식물과 액체(즉,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물거름부(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520)를 통해 분쇄부(20)로부터 전달받은 분쇄물에서 잘게 갈린 음식물과 액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쇄물거름부(50)의 내측에는 분쇄물에서 음식물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5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름망(530)은 분쇄물이송관(40)이 연결된 투입구(520)의 하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거름망(530)은, 분쇄물거름부(50)의 내측에 형성된 거름망걸림부(540)를 통해 분쇄물거름부(50)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거름망(530)은 미리 정해진 격자 크기의 그물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즉, 분쇄물)에서, 이물질(즉, 잘게 갈린 음식물)을 걸러낼 수 있다. 이 경우, 거름망(530)을 통과한 액체는 배출액 수용공간(550) 상에 저장되었다가 배출구(560)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름망(530)을 통과한 액체는 배출구(560)에 연결된 배출관(561)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 As described above,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may be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pulverizing unit 20 to receive the food pulverized by the pulverizing unit 20, that is, the pulverized material. The pulverized produ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ground food and liquid (ie, water). As shown in FIG. 13 ,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unit 50 may separate the ground food and liquid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received from the pulverizer 20 through the inlet 520 . Specifically, a sieve 530 for filtering food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may be provided inside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 Such a sieve 5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let 520 to which the pulverized material transport pipe 40 is connected. The sieve 530 may be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through a sieve catching part 540 formed on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 The sieve 530 is provided in a net shape of a predetermined grid size, and may filter foreign substances (ie, finely ground food) from a liquid (ie, pulverized product)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In this case,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sieve 530 may be stored in the discharge liquid receiving space 550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560 . Specifically,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sieve 530 may be discharged to the sew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561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560 .

즉, 분쇄물은 분쇄물이송관(40)과 연결된 투입구(520)를 통해 분쇄물거름부(50)의 내측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투입구(520)의 하부 측에 위치한 거름망(53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걸러지고 액체는 통과될 수 있다. 거름망(530)을 통과한 액체는 분쇄물거름부(50)의 하부 측에 구비된 배출구(5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잘게 분쇄된 음식물만이 분쇄물거름부(50)에 잔여하게 되며, 액체(예컨대, 물과 세제 등)는 배출구(560)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분쇄물거름부(50)는 거름망(530)에 의해 걸러진 음식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분쇄물거름부(50)는 온풍을 공급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히터를 통해 거름망에 잔여하는 음식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즉, 걸러진 음식물에 수분을 추가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pulverized material may be deliver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through the inlet 520 connected to the pulverized material transfer pipe 40, and by the sieve 530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let 520 . The ground food is filtered and the liquid can be passed through.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sieve 53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6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ulverized material sieve 50 . That is, only the finely pulverized food remains in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 and liquid (eg, water and detergent) may be discharged to the sewer through the outlet 560 . In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may perform drying of the food filtered by the strainer 530 .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may include a heater for supplying warm air, and may dry the food remaining in the strainer through the heater. That 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of food waste discharged by additionally removing moisture from the filtered food.

또한, 분쇄물거름부(50)는 상부면을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뚜껑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뚜껑부(510)의 일부에는 개폐수단(511)이 구비되어 있어, 분쇄물거름부(50)의 상부면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3의 (a)는 뚜껑부(510)가 폐쇄된 상태이며, 도 13의 (b)는 뚜껑부(510)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뚜껑부(510)가 개방되는 경우, 거름망(530)에 걸러진 음식물들이 사용자에 의해 분쇄물거름부(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쇄물거름부(50)의 외부로 배출된 음식물은, 사료나 비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50 may include a lid unit 510 that can move the upper surface in an open or closed position. A part of the lid part 5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means 511 to open or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part 50 . For example, (a) of FIG. 13 is a state in which the lid part 510 is closed, and (b) of FIG. 13 may be a state in which the lid part 510 is opened. When the lid part 51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opened, the food filtered by the sieve 53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lverized sieve part 50 by the user. In an embodiment, the foo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lverized material filter 50 may be used as feed or fertiliz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는 음식물 처리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센서부(351a)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신호는 센서부(351a)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센서모듈이 제1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한 감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영역은 센서부(351a)와 센서모듈 간의 간격이 미리 정해진 간격 이하인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6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 .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6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351a. Here, the sensing signal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351a is sensing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sensor module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first region may mean a region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sensor unit 351a and the sensor modu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nterval.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어부(60)는 센서부(351a)의 센싱 신호(예컨대, 헤드부(10)에 구비된 센서모듈이 제1영역에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2초) 이상 위치하였다는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칼날부(230)의 회전을 야기시킴으로써, 음식물을 분쇄 또는 절삭시킬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control unit 60 senses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351a (eg, sensing that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head unit 10 has been located in the first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eg, 2 seconds) or longer) signal), by driving the motor to cause the blade unit 230 to rotate, it is possible to grind or cut food.

또한, 제어부(60)는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칼날부(230)에 회전력이 인가되는 시점에, 미생물공급부(30)에 포함된 펌프(3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펌프(320)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구동됨에 따라 미생물저장부(340)에서 미생물분사홀(213)로 미생물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분쇄부(20)의 수용공간 내에서 음식물이 절삭되는 시점에 펌프(320)를 구동시켜 해당 수용공간 상에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may drive the pump 320 included in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30 at the time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blade unit 230 as the motor is driven. The pump 320 may generate a flow of microorganisms from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340 to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213 as it is driv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60 . That is, the control unit 60 drives the pump 320 at the time when food is cu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ing unit 20 by driving the motor to supply microorganisms 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space.

다시 말해, 제어부(60)는 헤드부(10)의 센서모듈삽입영역(13)이 센서부(351a)에 근접하도록 위치되는 경우, 모터를 작동시켜 음식물이 수용공간 내에서 분쇄 또는 절삭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펌프를 구동하여 해당 수용공간 내에 미생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음식물에 대한 분쇄 또는 절삭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생물을 공급하여 추가적인 분해를 수행하여 음식물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그리고 미생물로 인해 부패에 따라 발생하는 악취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sensor module insertion region 13 of the head unit 10 is positioned close to the sensor unit 351a,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motor so that the food is crushed or cut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t the same time, by driving the pump, it is possible to supply microorganisms in the corresponding accommodation spac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maximizing food processing efficiency by performing additional decomposition by supplying microorganisms while grinding or cutting food, and preventing bad odors caused by decay due to microorganisms.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헤드부(10)에 상부방향에 위치한 수도를 제어하여 액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수도에는 제어밸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제어밸브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수도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In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to the head unit 10 to supply the liquid. Specifically, a control valve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valve ma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60 .

예컨대, 분쇄부(20)를 활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일정 이상의 수분 공급이 요구될 수 있다. 분쇄부(20)에 포함된 칼날부(230)가 음식물을 절삭하기 위해 회전되는 경우, 일정 이상의 액체가 공급되어야 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이상의 액체(즉, 수분)가 분쇄부(20)로 공급되는 경우, 분쇄된 음식물이 하부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어 절삭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수분을 통해 음식물의 이동성이 확보됨(즉, 잘 씻겨내려 갈 수 있음)에 따라 음식물의 분쇄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칼날부(230)가 회전을 통해 음식물을 절삭하는 시점에 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수도를 개방함으로써 분쇄부(20)의 상부 방향에는 수분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60)를 통해 절삭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분 공급 동작을 자동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pulverizing food by using the pulverizer 20 , it may be required to supply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When the blade unit 230 included in the crushing unit 20 is rotated to cut food,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liquid may have to be supplied. For example, when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liquid (ie, moisture) is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20 , the crushed food can be more easily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cut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at is, as the mobility of the food is secured (that is, it can be washed away well) through moisture, the pulverization of the food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That is, 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control valve to open the water supply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blade unit 230 cuts food through rotation, so that moisture is supplied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crushing unit 20 . In other words, by automating a water supply operation for improving cutting efficiency through the control unit 60 ,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ari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may be referred to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ly",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esented processes is an example of exemplary approaches. Based on design prioriti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ocesses may be rearr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ppended method claims present elements of the various steps in a sample order, but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present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disclosur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us,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 음식물 처리 장치
10: 헤드부 11: 배출홀
12: 돌출부 13: 센서모듈삽입영역
20: 분쇄부 210: 제1바디부
210a: 제1바디부수용공간 210b: 거름용기
211: 제1돌출턱 212: 제2돌출턱
213: 미생물분사홀 214: 미생물연결부
215: 보호커버연결홈 215a: 체결나사
216: 원형칼날지지턱 217: 제1결합부
220: 제2 바디부 220a: 분쇄날 수용공간
221: 중심축 222: 제2바디부배출홀
223: 미생물공급부지지턱 223a: 보호커버고정홈
223b: 배선관통홀 224: 모터하우징
225: 제2결합부 230: 칼날부
231: 원형칼날 231a: 제1원형칼날
231b: 제2원형칼날 231c: 복수의절단홈
231d: 내측돌출날 232: 제1중심칼날
232a: 제1중심홀 232b: 제1날개부
232c: 제2날개부 233: 고정판
233a: 고정판중심홀 233b: 복수의 홀
233c: 외측날 233d: 하나 이상의 오목홈
233d-1: 제1오목홈 233d-2: 제2오목홈
233d-3: 제3오목홈 234: 복수의 삼각칼날
234a: 내부홀 234-1: 외곽칼날
234-1a: 제1외곽날 234-1b: 제2외곽날
234-1c: 제3외곽날 234-2: 내부칼날
234-3: 연결공 235: 제2중심칼날
235a: 제2중심홀 235b: 톱니부
236: 회전판 236a: 회전판중심홀
236b: 회전절단홀 240: 베어링
250: 체결너트 30: 미생물공급부
310: 제1공급관 320: 펌프
321: 펌프전원선 330: 제2공급관
340: 미생물저장부 350: 보호커버
351: 보호커버헤드부 352: 보호커버관통홀
351a: 센서부 351b: 센서전원선
40: 분쇄물이송관 50: 분쇄물거름부
510: 뚜껑부 511: 개폐수단
520: 투입구 530: 거름망
540: 거름망걸림부 550: 배출액수용공간
560: 배출구 561: 배출관
60: 제어부
1: Food processing device
10: head part 11: discharge hole
12: protrusion 13: sensor module insertion area
20: crushing unit 210: first body unit
210a: first body sub-accommodating space 210b: manure container
211: first protruding jaw 212: second protruding jaw
213: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214: microorganism connection part
215: protective cover connection groove 215a: fastening screw
216: circular blade support jaw 217: first coupling part
220: second body portion 220a: crushing blade receiving space
221: central axis 222: second body part discharge hole
223: microorganism supply unit support jaw 223a: protective cover fixing groove
223b: wiring through hole 224: motor housing
225: second coupling part 230: blade part
231: circular blade 231a: first circular blade
231b: second circular blade 231c: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231d: inner protruding blade 232: first central blade
232a: first center hole 232b: first wing portion
232c: second wing portion 233: fixed plate
233a: fixed plate center hole 233b: a plurality of holes
233c: outer edge 233d: one or more concave grooves
233d-1: first concave groove 233d-2: second concave groove
233d-3: third concave groove 234: a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234a: inner hole 234-1: outer blade
234-1a: the first outer blade 234-1b: the second outer blade
234-1c: third outer blade 234-2: inner blade
234-3: connection hole 235: second center blade
235a: second central hole 235b: toothed part
236: rotating plate 236a: rotating plate center hole
236b: rotary cut hole 240: bearing
250: fastening nut 30: microorganism supply unit
310: first supply pipe 320: pump
321: pump power line 330: second supply pipe
340: microorganism storage 350: protective cover
351: protective cover head portion 352: protective cover through hole
351a: sensor unit 351b: sensor power line
40: pulverized material transfer pipe 50: pulverized material filter
510: lid portion 511: opening and closing means
520: inlet 530: strainer
540: sieve catcher 550: discharge liquid receiving space
560: outlet 561: outlet pipe
60: control unit

Claims (10)

싱크대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분쇄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는 분쇄물거름부; 및
상기 분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음식물을 거르기 위한 거름용기가 지지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칼날부가 구비되는 분쇄날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칼날부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분쇄날 수용공간 상에 상기 제1바디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칼날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제2바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부는,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상에 연결되되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삼각칼날; 상기 고정판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양 끝단이 비대칭적으로 절곡되며 상기 중심축과 회전축을 공유하는 제1중심칼날; 및 상기 고정판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중심칼날;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은, 원판 형상으로,
상기 원판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측날; 및
상기 외측날의 일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삼각 칼날은,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홈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외곽칼날;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내부칼날;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부칼날은, 상기 고정판의 회전 시, 상기 제1중심칼날로부터 야기되는 편심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중심칼날의 양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 crushing unit installed in the sink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and crushing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microorganism supply unit for supplying microorganisms to the receiving space;
a pulverized material filtering unit receiving the pulverized food from the pulveriz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includes,
The crushing unit,
a first body part in which a filter container for filtering the food is supported;
It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to form a grinding blade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with a blade part, and a motor housing for accommodating a motor driving the blade part is provided, and the first body part is provided on the grinding blade accommodating space. a second body par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and including a central axis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blade part;
includes,
The blade part,
a fixing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a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and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central blade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plate and has both ends bent asymmetrically and shares the central axis and the rotation axis; and a second central blade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plate;
includes,
The fixing plate is in the shape of a disk,
an outer blad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k; and
one or more concave grooves formed in a portion of the outer blade;
further comprising,
The plurality of triangular blades,
a plurality of outer blade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ne or more concave grooves;
a plurality of inner blade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ixing plate;
including,
The plurality of inner blade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first central blad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ccentricity caused by the first central blade when the fixed plate is rotated,
food process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부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미생물공급부지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공급부지지턱은, 상기 미생물공급부에 구비된 배선들을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측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배선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part,
It includes a microbial supply part supporting jaw that protrudes outwardly,
The microorganism supply part supporting jaw,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ing through hole for connecting the wires provided in the microorganism supply part to the inside of the motor housing is provided,
food proces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는,
상기 제1바디부의 외측과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는 홀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미생물분사홀; 및
상기 제1바디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생물분사홀로 상기 미생물을 전달하는 미생물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part,
a microbe injection hol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e penetrating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receiving space; and
a microorganism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art to deliver the microorganism to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further comprising,
food process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공급부는,
상기 미생물을 저장하는 미생물저장부;
상기 미생물저장부에서 상기 미생물분사홀로 상기 미생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펌프전원선;
상기 펌프와 상기 미생물연결부 및 상기 펌프와 상기 미생물저장부 각각을 연결하는 제1공급관 및 제2공급관; 및
상기 미생물공급부의 구성요소들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a microorganism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icroorganism;
a pump for generating a flow of the microorganisms from the microorganism storage unit to the microorganism injection hole;
a pump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ump;
a first supply pipe and a second supply pipe connecting the pump and the microorganism connection part, and the pump and the microorganism storage part, respectively; and
a protective cover provided to surround the components of the microorganism supply unit;
containing,
food process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의 상단에 구비되며 센서부가 위치하는 보호커버헤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헤드부는,
상기 보호커버헤드부의 외측과 내측을 연결하는 홀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보호커버관통홀; 및
상기 센서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센서안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tective cover is
a protective cover head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and positioned with a sensor portion; includes,
The protective cover head portion,
a protective cover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e connecting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protective cover head; and
a sensor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sensor part;
includes,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food process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헤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부 방향에서 공급된 액체를 하부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홀;
상기 원판의 지름을 따라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일 영역에 구비되는 센서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 신호는,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센서모듈이 제1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한 감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head portion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provided in a disk shape; further comprising,
The head part,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 transferring the liquid supplied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long the diameter of the disk; and
a sensor module provided in an area of the protrusion;
includes,
The sensing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is detection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sensor module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food proces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분쇄날 수용공간 상에 상기 제1바디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칼날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상기 중심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중심축에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 및
상기 중심축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체결너트;
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part,
the central axi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on the crushing blade receiving space an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blade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crushing unit,
a bearing fitted to the central shaft; and
a fastening nut coupl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central shaft;
further comprising,
food proces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아치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절단홈 및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내측돌출날을 포함하는 원형칼날; 및
상기 제2중심칼날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며 복수의 회전절단홀이 형성된 회전판;
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lade part,
a circular blad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provided in an arcuate shape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an inner protruding blade protruding toward the inner center; and
a rotating plate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econd central blade and having a plurality of rotating cutting holes;
comprising,
food processing device.
삭제delete
KR1020210062709A 2021-05-14 2021-05-14 Device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24212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709A KR102421231B1 (en) 2021-05-14 2021-05-14 Device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709A KR102421231B1 (en) 2021-05-14 2021-05-14 Device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231B1 true KR102421231B1 (en) 2022-07-18

Family

ID=8270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709A KR102421231B1 (en) 2021-05-14 2021-05-14 Device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23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323A (en)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Refuse treatment equipment for a sink
KR20120088193A (en) * 2011-01-31 2012-08-08 에스앤제이클린텍(주) Food waste disposer
KR20130003373U (en) * 2011-11-29 2013-06-07 김이교 Food garbage pulverization machine for sink
KR20130140933A (en) 2012-05-08 2013-12-26 코웨이 주식회사 Food waste disposer including handy type power transmission member for combining to sink
KR101413810B1 (en) * 2013-10-02 2014-08-06 주식회사 우먼파워 Food sweepings annihilating apparatus to use microbe
KR101470323B1 (en) * 2014-02-24 2014-12-12 주식회사 케이에스상사 Grinder for food waste
KR101814189B1 (en) * 2017-02-13 2018-01-04 주식회사 세인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323A (en)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Refuse treatment equipment for a sink
KR20120088193A (en) * 2011-01-31 2012-08-08 에스앤제이클린텍(주) Food waste disposer
KR20130003373U (en) * 2011-11-29 2013-06-07 김이교 Food garbage pulverization machine for sink
KR20130140933A (en) 2012-05-08 2013-12-26 코웨이 주식회사 Food waste disposer including handy type power transmission member for combining to sink
KR101413810B1 (en) * 2013-10-02 2014-08-06 주식회사 우먼파워 Food sweepings annihilating apparatus to use microbe
KR101470323B1 (en) * 2014-02-24 2014-12-12 주식회사 케이에스상사 Grinder for food waste
KR101814189B1 (en) * 2017-02-13 2018-01-04 주식회사 세인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7266B2 (en) Garbage separating apparatus and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821571B1 (en) System for resource conversion of food waste
CN106673719A (en) Kitchen waste treatment device
KR101664437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2421231B1 (en) Device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CN202570293U (en) Grinding mechanism in food waste disposer
KR101389577B1 (en) A crusher for waste food
KR101309388B1 (en) Solid and liquid separator for food waste
KR101314870B1 (en) foodwaste reduced an apparatus
KR101663980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1559781B1 (en) Food waste treatment machine
WO2001062404A1 (en) Green garbage treatment apparatus
KR102453198B1 (en) Food waste-dispenser unit for microbial effluent
KR101940625B1 (en) Food waste treatment system
KR200901166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ood waste
KR101598839B1 (en) Crusher
KR100776021B1 (en) Processing system of food wastes
KR20120050863A (en) Disposal equipment for food waste matters
KR102068262B1 (en) Food Waste Recycling System
KR102659228B1 (en) Food waste centralized treat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es
KR1009247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ood waste
JP2001029829A (en) Garbage treating device
KR101407540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CN220345242U (en) Anti-blocking solid-liquid separator
KR102339772B1 (en) device for Crushing and decomposition of food garbage using liquefied fermentation by microorg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