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517B1 - Coffee drink brewing device - Google Patents

Coffee drink brew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517B1
KR102419517B1 KR1020220033148A KR20220033148A KR102419517B1 KR 102419517 B1 KR102419517 B1 KR 102419517B1 KR 1020220033148 A KR1020220033148 A KR 1020220033148A KR 20220033148 A KR20220033148 A KR 20220033148A KR 102419517 B1 KR102419517 B1 KR 10241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asing
angle
coffee beverag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to KR102022003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5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1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8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provide a higher-quality coffee beverage. The disclosed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frame; a casing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main body frame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a cylinder accommodated inside the casing, forming an upwardly open brewing space therein,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on the outside,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 supply unit positioned at a first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and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an extraction unit fixed to the casing, positioned at a second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including an extraction head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and including an inlet formed at the center of a face surface facing the cylinder from the extraction head; a crank configured to rotate around a rotating shaft while rotating the cylinder between a first angle and a second angle in a first section of a rotation range and moving the cylinder in a straight line, in a second section, along the second angle so that the extraction head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a locking unit configured such that a locking member is placed in a locked or unlocked state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by manipulation of a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engaged with a part of the body frame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ewing space in the locked state.

Description

커피음료 제조장치{COFFEE DRINK BREWING DEVICE}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COFFEE DRINK BREWING DEVICE}

본 발명은 커피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편리하고 더 높은 품질의 커피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커피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provide a coffee beverage of higher quality.

에스프레소는 커피음료의 일종으로서, 곱게 분쇄한 커피 분말에 물을 매우 높은 온도 및 압력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근래에 커피를 음미할 줄 아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커피음료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였고, 시중에는 에스프레소 등의 커피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가정용 및 상업용 기기가 유통되고 있다. Espresso is a type of coffee drink and is manufactured by passing water through a finely ground coffee powder at a very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In recent years, as the population who knows how to taste coffee increases, the consumption of coffee drinks has greatly increased, and home and commercial devices that automatically manufacture coffee drinks such as espresso are distributed in the market.

높은 품질의 에스프레소는 특징적으로 표면에 크레마가 형성된다. 크레마는 분쇄된 커피 분말 내의 이산화탄소가 높은 온도 및 압력 하에서 물에 용해되었다가 압력이 강하되면서 기포를 형성하는 동시에 커피 분말의 다른 고체 성분과 함께 콜로이드를 이루며 생성되는 거품층이다. 크레마는 커피 원두의 신선도, 커피 분말의 균질도, 에스프레소 제조 시의 온도 및 압력 조건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그 생성되는 양이 결정되는데, 크레마의 양이 반드시 에스프레소의 맛과 직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커피 원두의 신선도 및 커피 제조의 기술과 관련되므로, 크레마가 많을수록 에스프레소의 품질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동일한 신선도의 커피 분말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한 많은 양의 크레마가 형성되도록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high-quality espresso characteristically forms a crema on the surface. Crema is a foam layer produced by dissolving carbon dioxide in the ground coffee powder in water under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forming bubbles as the pressure drops, and forming a colloid with other solid components of the coffee powder. The amount of crema produced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freshness of coffee beans, homogeneity of coffee powder,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during espresso production, etc. The amount of crema is not necessarily directly related to the taste of espresso, but As it relates to freshness and the technology of coffee making, the more crema,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espresso. Therefore, when using coffee powder of the same freshness,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coffee beverage to form as much crema as possible.

한편, 가정용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경우 커피분말에 물을 통과시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유닛은 양호한 위생을 위해 자주 세척되어야 하는 특징이 있으며, 따라서 커피음료 제조장치 전체에 대해 추출유닛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커피 분말 공급, 물 주입 등을 위한 다양한 동작이 일어나는 추출유닛이 커피음료 제조장치 전체에 대해 견고히 고정되지 않는다면 과도한 진동 및 소음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커피음료 제조장치가 제조 과정 중에 전원 차단 등으로 갑작스럽게 중단된 경우 추출유닛을 무분별하게 분리하는 경우 더 큰 고장을 유발하거나 심지어 안전사고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hom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the unit for extracting espresso by passing water through coffee powder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must be washed frequently for good hygiene, and thus the extraction unit is detachably mounted for the entir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it is common If the extraction unit in which various operations for coffee powder supply, water injection, etc. occur is not firmly fixed to the entir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 is a risk of causing excessive vibration and noise. In addition, when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is suddenly stopped due to power cut off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f the brewing unit is indiscriminately separated, there is a risk of causing a larger failure or even causing a safety accid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크레마의 양을 증가시켜 더 높은 품질의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manufacturing a coffee beverage of higher qualit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rema.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추출유닛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가진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that allows the extraction unit to be stably fixed and safely separa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외측에 구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 각도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공급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각도에 위치하고,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헤드에서 상기 실린더를 향하는 페이스면의 중앙에 형성된 유입구를 포함하는 추출부;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회전 범위의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실린더를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 사이에서 회전시키고 제2 구간에서는 상기 추출헤드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상기 제2 각도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크랭크; 및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서 잠금부재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배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브류잉공간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부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rame; a casing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body frame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therein; a cylinder accommodated in the casing, forming a brewing space open upwardly therein,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n the outside; a supply portion positioned at a first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Extraction comprising an extraction head fixed to the casing and positioned at a second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and an inle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ce surface facing the cylinder from the extraction head wealth; Rotating around a rotating shaft but rotating the cylinder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range of rotation and rotating the cylinder at the second angle so that the extraction head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in the second section a crank configured to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and a locking member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is disposed in a locked state or unlocked state by manipulation of a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and in the locked state, the locking member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ewing space.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configured to engage a portion of the body frame.

위와 같은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부는,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스위치돌기; 상기 스위치돌기가 삽입되는 경사진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상기 잠금부재; 및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서 상기 잠금부재가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재를 둘러싸고 표면에 관통윈도우가 형성된 잠금부재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슬릿 하부에 형성된 여유홈 및 상기 여유홈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유홈 내에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의 하단부는 하부를 향할수록 증가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가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돌기가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스위치돌기와 상기 슬릿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위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걸림편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윈도우의 하단에 걸릴 수 있고, 상기 케이싱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사전결정된 위치로 삽입되면 상기 본체 프레임의 돌기가 상기 관통윈도우를 통해 상기 걸림편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관통윈도우의 하단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잠금부재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switch protrusion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manipulation of the handle; the locking member having an inclined slit into which the switch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locking member guide that surrounds the locking member so that the locking member is movabl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and has a through window formed on a surface thereof, wherein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spare groove formed under the slit and the A locking piec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pare groove and elastically movable within the spare groove is included, and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ece has a thickness that increases as it goes downward, and the handle is operated so that the switch protrusion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moving along, the locking member moves upwar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witch protrusion and the slit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body fram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ece may be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window, and the casing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en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rame, the protrusion of the main frame presses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ece through the through window to release the lock on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window, and the locking member may move downwar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에서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힌지에 의해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공급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가 상기 제2 각도에서 상기 제1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피스톤의 상면을 접촉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스크레이퍼; 및 일단은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공급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 스크레이퍼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 스크레이퍼를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ston configured to mov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relative to the cylinder in the brewing space; a piston scraper rotatably secured to the casing or to the supply portion by a hinge and configured to contact an upper surface of the piston when the cylinder rotates from the second angle to the first angle; and one end of the casing or the supply part It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piston scrap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contacting the piston scrap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형태로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상기 제1 각도에서 상기 제2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추출헤드에 장착된 스크린을 접촉하며 이동하도록 구성된 헤드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ylinder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form to contact the screen mounted on the brewing head when the cylinder rotates from the first angle to the second angle. and may further include a head scraper configured to move.

상기 회전샤프트에는 지시돌기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원호 형상의 지시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시돌기는 상기 지시홈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일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An indication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nd an arc-shaped indication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ing, and the indication protrusion may be exposed to one side of the casing through the indication groov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상측으로 개방된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 각도에 위치하는 공급부;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각도에 위치하고,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추출헤드를 포함하는 추출부; 및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회전 범위의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실린더를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 사이에서 회전시키고 제2 구간에서는 상기 추출헤드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상기 제2 각도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크랭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추출부는, 상기 실린더를 향하는 페이스면의 중앙에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추출헤드;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페이스면에 중첩되어 배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추출헤드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을 상기 추출헤드에 고정하는 헤드캡을 포함할 수 있다.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er forming a brewing space open upwardly therein; a supply unit positioned at a first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an extraction unit positioned at a second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and including an extraction head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and rotating about the rotary shaft, but rotates the cylinder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rotation range, and rotates the cylinder so that the extraction head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in the second section. A crank configured to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an angle; may include, wherein the extraction unit includes: the extraction head having an inlet in the center of the face surface facing the cylinder; a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overlapping the face surface; And i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raction head may include a head cap for fixing the screen to the extraction head.

위와 같은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헤드의 상기 페이스면에는 상기 실린더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cylinder may be formed on the face surface of the extraction head,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ribs may have a circular arc shape centered on the inlet port. .

상기 추출헤드의 내부에는 양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유입구에 연통하는 직선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직선유로의 내부에는 밸브부재 및 코일스프링이 배치되되, 상기 코일스프링은 그 일단은 상기 밸브부재를 가압하고 타단은 상기 직선유로 타단의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근접한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브류잉공간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유입구가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inside the extraction head, and a straight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a valve member and a coil spring are disposed inside the linear flow path, the coil spring having one end The valve member is pressurized,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of the other end of the straight flow path, and the valve member is disposed at one end close to the inlet and pressed by the coil spring, and the inlet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brewing space.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valve memb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형태로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상기 제1 각도에서 상기 제2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스크린을 접촉하며 이동하도록 구성된 헤드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ylinder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form and a head configured to move in contact with the screen when the cylinder rotates from the first angle to the second angle. It may further include a scrap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서 잠금부재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배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브류잉공간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부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frame; a casing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body frame and accommodating the cylinder therein; and a locking member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is disposed in a locked state or unlocked state by manipulation of a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and in the locked state, the locking member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ewing space.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configured to engage a portion of the body frame in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only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커피음료가 더욱 균일한 조건으로 제조 및 토출되게 함으로써 더 높은 크레마 함량을 가진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manufacturing a coffee beverage having a higher crema content by allowing the coffee beverage to be manufactured and discharged under more uniform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현저히 감소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significantly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정면 및 우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배면 및 좌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제1 케이싱부재의 내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제2 케이싱부재 및 잠금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추출헤드에서 헤드캡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추출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nd the right side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and the left side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ing member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econd casing member and the lock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cap is separated from the extraction head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traction head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정면 및 우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배면 및 좌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and right, respectively, and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ack and the left side, and FIG. 3 is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4 and 5 are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주로 케이싱(100), 공급부(200), 피스톤 스크레이퍼(250), 실린더(300), 헤드 스크레이퍼(350), 피스톤(400), 추출부(500), 피스톤레버(600), 크랭크(700) 및 잠금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추출유닛(10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추출유닛(1000)은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1 to 5,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a casing 100, a supply unit 200, a piston scraper 250, a cylinder 300, a head scraper 350, It may include a piston 400 , an extraction unit 500 , a piston lever 600 , a crank 700 , and a locking unit 800 . The above components may form one extraction unit 1000, and the extraction unit 1000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body frame (not shown).

케이싱(100)은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면에는 가이드홈(110, 115, 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케이싱(100)이 제1 케이싱부재(101) 및 제2 케이싱부재(10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케이싱(100)은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asing 100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body frame (not shown), and guide grooves 110 , 115 , and 1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In the drawings, a case in which the casing 100 is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casing member 101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02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the casing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케이싱(100)의 가이드홈에는 제1 및 제2 직선가이드홈(110, 115)과 원호가이드홈(120)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직선가이드홈(110)과 원호가이드홈(120)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실린더(300)에 형성된 제1 가이드돌기(310)의 이동 및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직선가이드홈(115)은 실린더(300)에 형성된 제2 가이드돌기(3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싱(100)에는 또한 크랭크(700)의 회전샤프트(750)를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홀(170) 및 샤프트홀더(17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부(800)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of the casing 1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traight guide grooves 110 and 115 and an arc guide groove 120 . The first straight guide groove 110 and the arc guide groove 120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an guide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310 formed in the cylinder 300 . Similarly, the second straight guide groove 115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guide protrusion 320 formed in the cylinder 300 . A shaft hole 170 and a shaft holder 175 for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750 of the crank 700 may also be formed in the casing 100 , and components constituting a part of the locking unit 800 are provided. can be

공급부(200)는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에 분말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면에 도시된 호퍼(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급부(200)는 원두를 분쇄하는 장치, 분쇄되어 형성된 분말재료를 호퍼(210)에 투입하는 장치 및 기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ly unit 200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the powder material to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cylinder 300, and may include a hopper 210 shown in the drawing. Although not shown, the supply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for pulverizing coffee beans, a device for putting the pulverized powder material into the hopper 210, and other devices.

호퍼(210)는 공급부(200)의 일부로서 케이싱(1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케이싱(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공급부(200)의 일부인 호퍼(210)는 실린더(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 각도에 위치할 수 있다. 각도를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이 개방된 방향인 수직 상향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호퍼(210)가 실린더(300)에 대하여 이루는 제1 각도가 0도에 해당한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각도가 0도 이외의 각도일 수도 있다.The hopper 21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100 as a part of the supply unit 200 , and at least a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0 . The hopper 210 which is a part of the supply unit 200 may be positioned at a relatively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300 . When the angle is based on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cylinder 300 is opened, in the example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hopper 210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300 is 0 corresponds to the figure. Of course,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ngle may be an angle other than 0 degre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잠금부(800)와 상호작용하는 일부 구성요소가 호퍼(2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components interacting with the locking part 800 may be provided in the hopper 210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피스톤 스크레이퍼(250)는 힌지(260)에 의해 케이싱(100) 또는 호퍼(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실린더(300)가 회전할 때 피스톤(400)의 상면을 접촉하여 후술되는 헤드(410) 상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스크레이핑할 수 있다. 피스톤 스크레이퍼(250)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70)가 결합될 수 있는데, 탄성부재(270)는 일단은 케이싱(100) 또는 호퍼(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피스톤 스크레이퍼(250)에 고정되어 피스톤 스크레이퍼(250)이 피스톤헤드(410)의 상면에 밀착하게 할 수 있다.The piston scraper 250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casing 100 or the hopper 210 by a hinge 260, and a head to be described later b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400 when the cylinder 300 rotates. (410) It is possible to scrap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ne or more elastic members 270 may be coupled to the piston scraper 250 ,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70 is attached to the casing 100 or the hopper 210 . It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piston scraper 250 so that the piston scraper 2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head 410 .

실린더(300)는 케이싱(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분말재료 및 물이 투입되는 브류잉공간(330)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실린더(300)는 공급부(200)로부터 분말재료를 공급받은 후 브류잉공간(330)에 고온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분말재료를 통과한 물이 추출부(500) 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cylinder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ing 100 , and may form a brewing space 330 into which the powder material and water are put. The cylinder 300 may serve to supply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to the brewing space 330 after receiving the powder material from the supply unit 200 so that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powder material moves to the extraction unit 500 side. have.

브류잉공간(330)은 실린더(300)의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실린더(300)에 구비된 호스연결부(340)를 통해 커피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고온 고압 상태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브류잉공간(330)에는 피스톤(400)이 설치되는데, 후술되는 크랭크(700)의 동작에 따라 실린더(300) 및 피스톤(400)가 회전 및 이동하면서 커피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The brewing space 330 may be op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300 and may be supplied with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for manufacturing a coffee beverage through the hose connection part 340 provided in the cylinder 300 . A piston 400 is installed in the brewing space 330, and a coffee beverage can be manufactured while the cylinder 300 and the piston 400 rotate and m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rank 700 to be described later.

실린더(300)의 외부에는 전술한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310, 320)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310, 320)는 가이드홈(110, 115, 120)에 맞물리는 크기를 가져 가이드홈(110, 115, 120)을 따라서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실린더(300)가 회전하게 될 때 제1 가이드돌기(310)는 원호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실린더(300)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고, 실린더(300)가 직선을 따라 이동하게 될 때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310, 320)가 각각 제1 및 제2 직선가이드홈(110, 115)을 따라 이동하면서 실린더(300)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guide protrusions 310 and 3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300 .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otrusions 310 and 320 have sizes to engage with the guide grooves 110 , 115 , and 120 , and may be configured to move only along the guide grooves 110 , 115 , 120 . That is, when the cylinder 300 rotates, the first guide protrusion 310 can guide the rotation path of the cylinder 300 while moving along the arc guide groove 120 , and the cylinder 300 moves along a straight line. When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otrusions 310 and 320 may guide the linear movement path of the cylinder 300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guide grooves 110 and 115, respectively.

실린더(300)의 하부에는 레버지지부(36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레버지지부(360)에는 피스톤레버(600)의 일부가 삽입되어 피스톤레버(600)가 실린더(30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실린더(300)가 특정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레버(600)는 피스톤(400)을 가압하여 브류잉공간(330) 내에서 피스톤(400)이 상승하게 할 수 있다.A lever support part 360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300 , and a part of the piston lever 600 is inserted into the lever support part 360 so that the piston lever 6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ylinder 300 . can b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ylinder 300 is in a specific position, the piston lever 600 may press the piston 400 to cause the piston 400 to rise in the brewing space 330 .

또한, 실린더(300)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375)에 삽입된 형태의 슬라이더(370)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370)에는 크랭크(700)의 결합돌기(730)가 삽입되고 제2 가이드돌기(320)는 크랭크(700)의 치합부(740)가 이루는 개방홈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은 크랭크(700)의 회전으로 인해 실린더(300)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 및 회전하게 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Also, a slider 370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375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300 . The coupling protrusion 730 of the crank 700 is inserted into the slider 370,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320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 groove formed by the meshing portion 740 of the crank 700. This coupling is the crank Due to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300 may form a structure that moves and rotat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한편, 실린더(300)의 후측에는 사용된 후의 분말 찌꺼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39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390)는 하향 경사를 가져 분말 찌꺼기가 피스톤의 피스톤헤드(410)에서 밀어지면 별도의 찌꺼기 저장용기를 향해 미끄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ar side of the cylind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unit 390 for discharging the powder residue after being used. The discharge unit 390 has a downward slope so that when the powder residue is pushed from the piston head 410 of the piston, it may be configured to slide toward a separate residue storage container.

헤드 스크레이퍼(350)는 실린더(300)가 회전할 때 추출헤드(510)의 스크린(545)을 접촉하여 스크린(545)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스크레이핑할 수 있다. 헤드 스크레이퍼(350)는 양단이 실린더(300)에 고정되되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조를 가져 추출헤드(510)의 스크린(545)과 최대한의 접촉면적을 갖고 스크린(545) 전체를 스크레이핑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ead scraper 350 may scrap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creen 545 by contacting the screen 545 of the extraction head 510 when the cylinder 300 rotates. The head scraper 350 has both ends fixed to the cylinder 300 and has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so that it has a maximum contact area with the screen 545 of the extraction head 510 and scrapes the entire screen 545 can be configured.

피스톤(400)은 피스톤헤드(410) 및 피스톤스템(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300)에 결합되어 브류잉공간(330)에서 분말재료를 압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피스톤헤드(410)는 브류잉공간(330) 내에 위치할 수 있고, 피스톤헤드(410)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피스톤스템(420)은 그 단부가 피스톤레버(600)의 가압부(630)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iston 400 may include a piston head 410 and a piston stem 420 , and is coupled to the cylinder 300 to serve to compress the powder material in the brewing space 330 . The piston head 410 may be located in the brewing space 330 , and the piston stem 4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iston head 410 has its end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630 of the piston lever 600 . can be configured.

추출부(500)는 케이싱(100)에 고정되되 피스톤(400)에 의해 압축되는 분말재료를 고온 고압의 물이 통과함에 따라 제조되는 커피음료를 추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추출부(500)의 추출헤드(510)는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500 may serve to extract a coffee beverage manufactured as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passes through the powder material that is fixed to the casing 100 and compressed by the piston 400 . The extraction head 510 of the extraction unit 500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cylinder 300 .

추출부(500)의 일부인 추출헤드(510)는 실린더(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2 각도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호퍼(210)가 실린더(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 각도에 위치하고, 추출헤드(510)가 이로부터 경사진 제2 각도에 위치한다. 커피음료 제조 과정 중에 실린더(300)는 크랭크(700)의 회전에 의해 제1 각도 또는 제2 각도를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추출헤드(510)에서 실린더(300)를 향하는 표면인 페이스면(520)에는 제조된 커피음료가 진입하는 유입구(530)가 그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The extraction head 510 which is a part of the extraction unit 500 may be positioned at a relatively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300 .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s, the hopper 210 is positioned at a first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300 , and the extraction head 510 is positioned at a second angle inclined therefrom. During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process, the cylinder 300 may be rotated toward the first angle or the second angle by the rotation of the crank 700 . An inlet 530 through which the prepared coffee beverage enters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ce surface 520, which is a surface facing the cylinder 300 from the extraction head 510.

피스톤레버(600)는 실린더(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실린더(300)가 특정 위치에 도달할 때 피스톤(4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피스톤레버(600)는 그 일부가 실린더(300) 하부의 레버지지부(360)에 삽입되어 실린더(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레버(600)는 실린더(300)가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케이싱(100)의 특정 부위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걸림부(610, 620) 및 피스톤(400)의 피스톤스템(420)의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가압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ston lever 6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300 and may serve to move the piston 400 when the cylinder 300 reaches a specific position. The piston lever 6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ylinder 300 by being inserted into the lever support part 360 of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300 . The piston lever 60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arts 610 and 620 and the piston stem 420 of the piston 400 configured to contact a specific portion of the casing 100 when the cylinder 300 is in a specific position. It may include a configured pressing unit (630).

크랭크(700)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샤프트(750)를 중심으로 회전되되 필요에 따라 실린더(300)를 회전 및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크랭크(700)는 양측에 형성된 회전로드(710), 양측의 회전로드(710)를 연결하는 연결바(720), 회전로드(71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730) 및 상부에 형성된 치합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치합부(740)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700)는 전체 회전 범위의 제1 구간에서는 실린더(300)를 제1 각도와 제2 각도 사이에서 회전시키고 제2 구간에서는 추출헤드(510)가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에 삽입되도록 실린더를 제2 각도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rank 700 is rotated about the rotary shaft 750 by a driving unit (not shown), and may serve to rotate and move the cylinder 300 as necessary. The crank 700 includes a rotating rod 710 formed on both sides, a connecting bar 720 connecting the rotating rods 710 on both sides, a coupling protrusion 730 formed at an end of the rotating rod 710, and a mesh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740 may be included. An open groove opened upwardly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740 . The crank 700 rotates the cylinder 300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entire rotation range, and in the second section, the extraction head 510 is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cylinder 300 . The cylinder may be mov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second angle to be inserted into the .

잠금부(800)는 케이싱(100)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220)의 조작에 의해 케이싱(100)의 타측에 구비된 잠금부재(810)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부재(810)는 잠금 상태에 있을 때 브류잉공간(330)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일부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잠금부재(810)와 본체 프레임(미도시)이 맞물리는 위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작동이 시작되기 이전의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의 위치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The locking unit 800 may be configured to dispose the locking member 81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100 in a locked state or unlocked state by manipulation of the handle 2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100 . . Here, the locking member 810 may be configured to engage a portion of the body frame (not sh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ewing space 330 when in the locked state.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locking member 810 and the body frame (not shown) are engaged has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position of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cylinder 300 before the operation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starts. can

추출유닛(1000)은 식물성 원료 및 물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높은 위생 상태 유지를 위해 잦은 세척이 필요하므로, 커피음료 제조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필요하다. 추출유닛(1000)의 장착 및 이탈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 바로 잠금부(800)인데, 잠금부(800)의 잠금부재(810)가 브류잉공간(330)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짐에 따라, 추출유닛(1000)이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는 위치가 추출유닛(1000)의 무게중심 근처에 위치하게 하여 추출유닛(1000)이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추출유닛(1000)이 무게중심 근처에서 견고히 고정됨에 따라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작동시 추출유닛(10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특히 브류잉공간(330)에서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extraction unit 1000 is a part in contact with vegetable raw materials and water, frequent washing is required to maintain a high sanitary state, it is necessary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part that enables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of the extraction unit 1000 is the locking part 800, since the locking member 810 of the locking part 800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ewing space 330. Accordingly, the extraction unit 1000 may be more firmly fixed by making the extraction unit 1000 coupled to the body frame (not shown) be located nea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xtraction unit 1000 . As the brewing unit 1000 is firmly fixed near the center of gravity,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in the brewing unit 1000 during operation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in particular, vibration in the brewing space 330 can be reduced. It can provide a minimization effect.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케이싱(100)을 이루는 제1 케이싱부재(101)와 제2 케이싱부재(102) 중 제1 케이싱부재(101)는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구비된 커버(미도시)를 개방하면 사용자를 향하는 케이싱(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케이싱부재(102)는 추출유닛(1000)이 커피음료 제조장치에 장착되면 사용자를 향하지 않는 케이싱(100)의 타측에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미도시)를 개방하면 케이싱(100) 일측, 즉 제1 케이싱부재(101) 측에서 호퍼(201) 또는 기타 부재에 구비된 손잡이(220)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잡이(220)를 조작하면 잠금부(800)의 잠금부재(810)가 이동하여 추출유닛(1000)이 본체 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casing member 101 of the first casing member 101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02 constituting the casing 100 is provided in the body frame (not shown)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When the cover (not shown) is opened,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asing 100 facing the user,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02 is not facing the user when the extraction unit 1000 is mounted on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t has a structur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refore, when the user opens the cover (not shown), the handle 220 provided in the hopper 201 or other members from one side of the casing 100, that is, the first casing member 101 side may be exposed to the user, When the handle 220 is manipulated, the locking member 810 of the locking part 800 may be moved to separate the extraction unit 1000 from the body frame (not show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추출유닛(1000)의 구조 및 동작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추출유닛(1000)에서 케이싱(100)과 호퍼(21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제1 케이싱부재(101)의 내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extraction unit 10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ing 100 and the hopper 210 are removed from the extraction unit 1000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ing member 101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실린더(300)는 제1 각도에 위치하여 도 6에서와 같이 브류잉공간(330)의 개방된 상측이 공급부(200)의 호퍼(210)를 향하는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공급부(200)는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에 분말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분말재료(미도시)는 공급부(200)의 일부인 호퍼(21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7 , first, the cylinder 300 is positioned at a first angle so that the open upper side of the brewing space 330 faces the hopper 210 of the supply unit 200 as shown in FIG. 6 . have. In this state, the supply unit 200 may provide a powder material to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cylinder 300 . The powder material (not show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hopper 210 which is a part of the supply unit 200 .

브류잉공간(3300에 적정량의 분말재료가 투입된 후, 구동부(미도시)가 작동하면서 크랭크(700)가 회전샤프트(750)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수 있다. 추출유닛(1000)이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장착되면, 케이싱(100) 타측에 위치하는 구동부(미도시)가 제2 케이싱부재(102)에 형성된 샤프트홀(170)을 통해 크랭크(700)의 회전샤프트(750)와 결합될 수 있다. 크랭크(700)는 우선 실린더(300)를 호퍼(210)를 향하는 제1 각도에서 추출헤드(510)를 향하는 제2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After an appropriate amount of powder material is put into the brewing space 3300, the crank 700 may start to rotate around the rotating shaft 750 while the driving unit (not shown) operates. When mounted on the casing 100, the driving part (not show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100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750 of the crank 700 through the shaft hole 170 formed in the second casing member 102. The crank 700 may first rotate the cylinder 300 from a first angle toward the hopper 210 to a second angle toward the extraction head 510 .

실린더(300)가 제2 각도를 향하기 이전의 상태에서는 실린더(300)의 제2 가이드돌기(320)가 크랭크(700)의 치합부(740)의 개방홈에 삽입된 상태에 있으며, 크랭크(700)가 회전할 때 치합부(740)는 제2 가이드돌기(320)를 가압하여 실린더(300)가 함께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실린더(300)가 회전하는 중에 제1 가이드돌기(310)는 케이싱(100)에 형성된 원호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In the state before the cylinder 300 faces the second angle, the second guide protrusion 320 of the cylinder 300 is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open groove of the engaging portion 740 of the crank 700, and the crank 700 ) is rotated, the engaging portion 740 may press the second guide protrusion 320 to cause the cylinder 300 to rotate together. While the cylinder 300 is rotating, the first guide protrusion 310 moves along the arc guide groove 120 formed in the casing 100 .

한편, 실린더(300)가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전되는 중에, 실린더(300)에 결합된 헤드 스크레이퍼(350)는 실린더(300)와 함께 회전하면서 추출헤드(510)의 페이스면(520)에 장착된 스크린(545)을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545)이란 추출헤드(510)의 페이스면(520)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크린 및 필터를 총괄하는 개념이다. 실린더(300)가 회전함에 따라 헤드 스크레이퍼(350)는 스크린(545)을 스크레이핑하여 추출헤드(510)에 잔류하는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cylinder 300 is rotated from the first angle to the second angle, the head scraper 350 coupled to the cylinder 300 rotates together with the cylinder 300 while the face surface 520 of the extraction head 510 is rotated. ) can be in contact with the mounted screen 545. Here, the screen 545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one or more screens and filters mounted on the face surface 520 of the extraction head 510 . As the cylinder 300 rotates, the head scraper 350 scrapes the screen 545 to remove the residue remaining in the extraction head 510 .

헤드 스크레이퍼(350)가 회전하면서 그리는 궤적이 추출헤드(510)의 페이스면(520) 및 스크린(545) 표면의 곡률반경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헤드 스크레이퍼(350)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질 및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최대한 스크린(545)의 표면과 접촉을 유지하며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Even if the trajectory drawn by the head scraper 350 while rotating does not exactly match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ace surface 520 and the screen 545 surface of the extraction head 510, the head scraper 350 is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As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t can move smoothly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creen 545 as much as possible.

실린더(300)가 제2 각도에 도달한 후에는 원호가이드(120)의 제한 및 케이싱(100) 내의 공간 제약으로 인해 실린더(300)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는데, 이때부터는 크랭크(700)의 회전이 더 이상 실린더(300)를 회전시키지 않고, 제2 각도를 따라 실린더(300)를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크랭크(700)가 계속 회전하면, 회전로드(710)의 결합돌기(730)가 결합된 슬라이더(370)가 가이드레일(375)을 따라 움직이고, 이는 실린더(300)를 추출헤드(510)를 향해 직선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치합부(740)의 개방홈은 제2 각도를 향하므로 실린더(300)의 제2 가이드(720)를 더 이상 구속하지 않고, 제2 가이드(720)는 제2 직선가이드(115)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After the cylinder 300 reaches the second angle, the cylinder 300 can no longer rotat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ircular arc guide 120 and the space limitation in the casing 100. From this point on, the The rotation may no longer rotate the cylinder 300 and may move the cylinder 300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second angle. That is, when the crank 700 continues to rotate, the slider 370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730 of the rotating rod 710 is coupled moves along the guide rail 375 , which moves the cylinder 300 to the extraction head 510 . move in a straight line towards At this time, since the open groove of the engaging portion 740 faces the second angle, the second guide 720 of the cylinder 300 is no longer constrained, and the second guide 720 is the second straight guide 115 . can move along

이와 같이 크랭크(700)가 회전 동작만을 수행하더라도 실린더(300)와 크랭크(700) 사이의 결합구조는 실린더(300)가 제1 구간에서는 회전운동을 하고 제2 구간에서는 직선운동을 하게 할 수 있다. As such, even if the crank 700 performs only a rotational operatio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ylinder 300 and the crank 700 allows the cylinder 300 to rotate in the first section and to perform a linear motion in the second section. .

결국, 크랭크(700)가 어느 정도 회전하였는가에 따라 실린더(3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추출유닛(1000)이 커피음료 제조 과정 중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에서는 회전샤프트(750)에 지시돌기(770)를 구비하고 케이싱(100)에는 지시홈(150)을 형성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ylinder 300 according to how much the crank 700 has rotated,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stage the extraction unit 1000 is in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e, in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shaft 750 is provided with an indicator protrusion 770 and the casing 100 has an indicator groove 150 .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회전샤프트(750)의 단부에 지시돌기(770)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케이싱부재(101)에서 크랭크(700)의 회전샤프트(750)를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홀더(175) 부위에는 지시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케이싱부재(101, 102)가 서로 결합되어 케이싱(100)을 이루면, 회전샤프트(750)의 지시돌기(770)는 지시홈(150)을 통해 케이싱(100)의 일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지시돌기(770)는 회전샤프트(750) 단부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더 외측으로 돌출하여 지시홈(15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외부에서 충분히 인지가능할 정도라면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아도 무방하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6 and 7 , an indicator protrusion 77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750 , and the rotating shaft 750 of the crank 700 in the first casing member 101 . An indication groove 150 is formed in the shaft holder 175 portion for supporting the . When the first and second casing members 101 and 10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casing 100 , the indicating protrusion 770 of the rotary shaft 750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casing 100 through the indicating groove 150 . can be The indication protrusion 770 may be located inside the indication groove 150 by protruding more outward than the rest of the end of the rotary shaft 750, but may not protrude outward if it is sufficiently recognizable from the outside.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상태를 참조하면, 실린더(300)는 호퍼(210)를 향하는 제1 각도에 있으며, 크랭크(700)는 실린더(300)가 이 각도에 있게 하는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에 고온의 물이 주입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추출유닛(1000)을 본체 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비교적 안전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직 크랭크(700)가 회전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시돌기(770)가 지시홈(150)의 끝에 위치할 것이다.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state shown in FIG. 2 , the cylinder 300 is at a first angle toward the hopper 210 , and the crank 700 is in a position that allows the cylinder 300 to be at this angle. In this state, since high-temperature water is not injected into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cylinder 300, it can be expected that it is relatively safe to separate the extraction unit 1000 from the body frame (not shown). As such, in a state in which the crank 700 has not yet started to rotate, the indicating protrusion 770 will b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indicating groove 150 .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유닛(1000)을 분리해도 안전한 경우에 해당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마커(775)가 제1 케이싱부재(101)에 형성될 수 있다. 지시돌기(770)가 마커(775)에 의해 표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추출유닛(1000)을 분리해도 안전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As shown, a marker 775 indicat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ase where it is safe to separate the extraction unit 1000 may be formed on the first casing member 101 . When the indicator protrusion 770 is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marker 775, the user can recognize that it is safe to separate the extraction unit 1000.

이와는 달리 크랭크(700)가 어느 정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브류잉공간(330) 내에 내용물이 있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고온의 물이 수용될 수 있으므로, 추출유닛(1000)을 함부로 분리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커피음료 제조장치가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 등에 의해 중간에 멈춘 경우, 사용자는 지시홈(150)을 통해 노출된 지시돌기(770)의 위치를 통해 추출유닛(1000)의 현재 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안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추출유닛(1000)이 분리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Contrary to this, in a state in which the crank 700 is rotated to some extent, there may be contents in the brewing space 330, and in some cases, high-temperature water may be accommodated, so the extraction unit 1000 should not be recklessly separated. . Therefore, when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is stopped in the middle due to a sudden power cut off, the user can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the brewing unit 1000 through the position of the indication protrusion 770 exposed through the indication groove 150 and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raction unit 1000 from being separated in an unsafe state.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케이싱부재(101)에는 지시홈(150)을 따라 추가의 마커(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해당 마커들은 실린더(300)의 위치 및 커피음료 제조 과정 중의 단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300)가 하강하면서 분말 찌꺼기에서 물이 제거되는 단계, 탬핑(tamping)이 수행되는 단계, 실린더(300)가 상사점에 도달하는 단계 등의 단계에 대응하는 지시돌기(77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가 제1 케이싱부재(101)에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an additional mark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asing member 101 along the indication groove 150 as necessary. Corresponding markers may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cylinder 300 and a stage during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indicator protrusion 770 corresponding to a step in which water is removed from the powder residue while the cylinder 300 descends, a step in which tamping is performed, a step in which the cylinder 300 reaches top dead center, and the like. ) A marker for indicating the position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asing member 101 .

한편, 제2 케이싱부재(102)에는 호스연결부(340)의 회전 및 이동 궤적을 따라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호스연결부(340)가 실린더(300)의 회전 및 이동을 방해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02 has a through hole 130 formed along the rotation and movement trajectory of the hose connection part 340 to prevent the hose connection part 340 from interfering with the rotation and movement of the cylinder 300 . have.

실린더(300)가 추출부(500)를 향해 직선으로 이동하게 될 때, 추출부(500)의 추출헤드(510)는 브류잉공간(330) 내에 삽입되는데, 추출헤드(510)의 외주면에 결합된 오링(555) 등으로 인해 브류잉공간(330)에는 밀폐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실린더(300)가 추출부(500)를 향해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브류잉공간(330)으로 연통하는 호스연결부(340)에 결합되는 호스 등을 통해 고온 고압의 물을 주입하고, 이와 같이 주입된 물은 추출헤드(510)와 브류잉공간(330) 내의 피스톤헤드(410) 사이에서 압축된 분말재료를 통과하면서 커피음료를 이루고, 커피음료는 추출헤드(510)의 페이스면(520)에 형성된 유입구(530)를 진입하고 연결통로(562), 허브(565) 및 기타 통로를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When the cylinder 300 moves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extraction unit 500 , the extraction head 510 of the extraction unit 500 is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330 , and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raction head 510 . Due to the O-ring 555, etc., a closed environment can be created in the brewing space 330. In a state in which the cylinder 300 has moved as much as possible toward the extraction unit 500,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injects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through a hose coupled to the hose connection unit 340 communicating with the brewing space 330, and , the water injected in this way passes through the compressed powder material between the extraction head 510 and the piston head 410 in the brewing space 330 to form a coffee beverage, and the coffee beverage is the face surface of the extraction head 510 . It enters the inlet 530 formed in the 52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562 , the hub 565 and other passages.

설정된 양의 물이 공급되고 대응하는 양의 커피음료가 추출되면, 크랭크(70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크랭크(700)가 다시 반대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더(370)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300)는 다시 직선을 따라 원위치로 하강할 수 있는데, 이 때 실린더(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스템(420)의 하단부에 결합된 피스톤레버(600)가 작동하게 된다. When a se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and a corresponding amount of coffee beverage is extracted, the crank 700 may start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crank 70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gain, the slider 370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cylinder 300 can descend to the original position along a straight line again. At this time,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ylinder 300 and the piston stem ( The piston lever 60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420 is operated.

즉, 실린더(300)가 하강 중에 특정 위치에 도달할 때, 피스톤레버(600)의 걸림부(610)가 케이싱(100)의 걸림돌기(160)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피스톤레버(600)가 레버지지부(36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피스톤레버(600)가 회전하면서 가압부(630)는 피스톤스템(420)을 위로 가압하고, 그 결과 피스톤헤드(410)가 브류잉공간(330) 내에서 상승하게 된다. 피스톤(400)은 피스톤헤드(410)의 상면이 브류잉공간(330)의 개방된 상측 위로 노출될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피스톤헤드(410)가 상승하면 브류잉공간(330)에서 커피 브류잉에 사용되고 남은 분말 찌꺼기는 압축된 퍽(puck)의 형태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That is, when the cylinder 300 reaches a specific position during descent, the locking part 610 of the piston lever 600 may be press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60 of the casing 100, thereby causing the piston lever ( 600 may be rotated around the lever support 360 . As the piston lever 600 rotates, the pressing unit 630 presses the piston stem 420 upward, and as a result, the piston head 410 rises in the brewing space 330 . The piston 400 may rise until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head 410 is exposed above the open upper side of the brewing space 330 . When the piston head 410 rises, the powder residue remaining used for coffee brewing in the brewing space 330 is lifted in the form of a compressed puck.

실린더(300)가 제2 각도를 향하는 상태에서 가장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면, 크랭크(700)의 회전은 치합부(740)와 제2 가이드(720)의 맞물림에 의해 다시 실린더(300)를 제1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피스톤(400)은 상승한 상태로서 피스톤헤드(410)가 브류잉공간(330)의 개방된 상측 위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실린더(300)가 회전할 때 피스톤 스크레이퍼(250)는 피스톤헤드(410)의 상면을 스크레이핑할 수 있다. When the cylinder 300 descends to the lowest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ylinder 300 faces the second angle, the rotation of the crank 700 moves the cylinder 300 back to the first by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740 and the second guide 720 . rotated at an angle. At this time, since the piston 400 is raised and the piston head 410 is exposed above the open upper side of the brewing space 330 , the piston scraper 250 rotates the piston head 410 when the cylinder 300 rotates. ) can be scraped.

탄성부재(270)에 의해 가압되면서 피스톤헤드(410)의 상면과 최대한 접촉을 유지하는 피스톤 스크레이퍼(250)는 피스톤헤드(410) 상의 분말 찌꺼기를 스크레이핑하여 분말 찌꺼기가 배출부(390)를 따라 찌꺼기 저장용기로 배출되게 한다. 이와 같이 피스톤 스크레이퍼(250)는 탄성부재(270)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피스톤(400) 상의 불순물, 즉 브류잉공간(330) 내부의 불순물을 철저하게 제거할 수 있고, 헤드 스크레이퍼(350) 역시 탄성력을 이용하여 추출헤드(510) 상의 불순물을 철저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2중의 스크레이퍼 구조로 인해 매차례의 브류잉에는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고 순수한 커피 분말재료만으로 커피음료가 추출되므로 더 효과적으로 크레마를 형성할 수 있다.The piston scraper 250 that maintains maximum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head 410 while being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270 scrapes the powder residues on the piston head 410 so that the powder residues discharge part 390. It is then discharged to the waste storage container. As such, the piston scraper 250 can thoroughly remove impurities on the piston 400, that is, impurities inside the brewing space 330 by us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70, and the head scraper 350 also has elastic force. It is possible to thoroughly remove impurities on the extraction head 510 by using. Due to this double scraper structure, the coffee beverage is extracted only with pure coffee powder material without impurities in each brewing, so that crema can be formed more effectively.

한편, 피스톤 스크레이퍼(250)가 피스톤(400)의 상면을 스크레이핑한 후에는 피스톤레버(600)의 걸림부(620)가 케이싱(100)의 내부에 접촉하며 피스톤레버(600)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피스톤(400)은 다시 하강하고, 브류잉공간(330)에는 피스톤헤드(410)의 위로 새 분말재료의 투입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piston scraper 250 scrapes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400 , the engaging part 620 of the piston lever 600 contacts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and returns the piston lever 600 to its original position. return to As a result, the piston 400 descends again, and in the brewing space 330 , a space for the input of the new powder material can be secured above the piston head 410 .

이하, 도 1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잠금부(800)의 구조 및 동작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제2 케이싱부재(102) 및 잠금부(800)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8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d 8 .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econd casing member 102 and the locking unit 800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잠금부(800)는 손잡이(220), 스위치돌기(230), 잠금부재(810), 잠금부재가이드(180) 및 보호브라켓(185)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20)와 스위치돌기(230)는 도면에서와 같이 호퍼(210)의 양측에 구비되거나 기타 구성요소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잠금부재가이드(180) 및 보호브라켓(185)은 제2 케이싱부재(102)에 구비될 수 있다.1 to 5 and 8 , the locking part 800 may include a handle 220 , a switch protrusion 230 , a locking member 810 , a locking member guide 180 and a protective bracket 185 . can The handle 220 and the switch protrusion 23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pper 210 or on both sides of other components,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locking member guide 180 and the protective bracket 185 are the second It may be provided on the casing member 102 .

잠금부재(810)에는 경사진 형상의 슬릿(820)이 형성될 수 있고, 슬릿(820)의 하부에는 걸림편(830)이 여유홈(8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릿(820)은 도 6에서와 같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스위치돌기(230)가 슬릿(8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A slit 820 having an inclined shape may be formed in the locking member 810 , and a locking piece 830 may be disposed in the allowance groove 840 at a lower portion of the slit 820 . The slit 820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as in FIG. 6 , and the switch protrusion 230 may be disposed in the slit 820 .

걸림편(830)은 그 상단이 여유홈(840)의 상부에 연결되어 걸림편(830)의 하부에 약간의 탄성적 변형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편(830)의 하단부(850)는 하부를 향할수록 증가하는 두께를 가져 직각삼각형과 유사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locking piece 8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lief groove 840 to allow a slight elastic deforma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830 . The lower end 850 of the locking piece 830 may have a thickness that increases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may have a cross section similar to that of a right-angled triangle.

잠금부재가이드(180)는 잠금부재(810)가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도록 잠금부재(81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잠금부재가이드(180)의 표면에는 걸림편(830)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의 관통윈도우(190)가 도 6에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cking member guide 180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locking member 810 so that the locking member 810 is movabl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 through window 190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ocking piece 83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guide 180 as shown in FIG. 6 .

보호브라켓(185)은 잠금부재가이드(18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돌기(230)를 에워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브라켓(185)은 추출유닛(1000)이 본체 프레임(미도시)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도 스위치돌기(2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스위치돌기(2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돌기(230)가 손상되면 추출유닛(1000)을 본체 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The protective bracket 185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guide 180 ,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witch protrusion 230 . The protective bracket 185 prevents the switch protrusion 23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extraction unit 1000 is separated from the body frame (not shown) to prevent the switch protrusion 230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can If the switch protrusion 230 is damaged, it may be difficult to separate the extraction unit 1000 from the body frame (not shown).

도 1 및 도 5는 추출유닛(1000)이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퍼(210)의 타측에 구비된 스위치돌기(230)는 잠금부재(810)의 경사진 슬릿(820) 내에 삽입되어 있는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진 슬릿(820)의 상단부가 스위치돌기(230)에 걸쳐져 있다. 이 상태에서 잠금부재(810)는 그 하부가 잠금부재가이드(180) 아래로 소정 거리 내려와 있는데, 이 부분은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일부에 걸쳐지는 부분에 해당한다. 즉, 추출유닛(1000)을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장착할 때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일부는 잠금부재가이드(180)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잠금부재(810) 중 잠금부재가이드(180) 아래로 연장된 부분은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일부에 걸리면서 추출유닛(1000)이 커피음료 제조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1 and 5 show a state when the extraction unit 1000 is mounted on the body frame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protrusion 23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pper 210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slit 820 of the locking member 810, and as shown in FIG. 5 ,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lit 820 is is spanned over the switch protrusion 230 . In this state,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810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locking member guide 180, and this portion corresponds to a portion spanning a part of the body frame (not shown). That is, when the extraction unit 1000 is mounted on the body frame (not shown), a part of the body frame (not shown) may be located under the lock member guide 180 , and among the lock member 810 , the lock member guide ( 180) The portion extending down is caught on a part of the body frame (not shown) while the extraction unit 1000 may be mounted on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810)는 잠금 상태에 있을 때 브류잉공간(330)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일부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작동시 추출유닛(10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브류잉공간(330)에서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크레마 형성에 더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member 8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engage a part of the body frame (not sh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ewing space 330 when in the locked state. can This can significantly reduc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in the extraction unit 1000 during operation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inimize vibration in the brewing space 330 to create a more favorable environment for crema formation.

사용자는 추출유닛(1000)을 분리하기 위해 손잡이(22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220)는 호퍼(210) 또는 기타 부품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스위치돌기(230)는 해당 부품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부재(101)에 피벗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고, 손잡이(220)는 피벗부재(24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220)를 당기면, 손잡이(220)는 피벗부재(240)를 받침점으로 하는 일종의 지렛대 구조를 이루어 반대측의 스위치돌기(230)가 가로 방향을 따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The user may operate the handle 220 to separate the extraction unit (1000). 2 to 4 , the handle 22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pper 210 or other parts, and the switch protrusion 23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responding part. 2 and 4 , the pivot member 24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asing member 101 , and the handle 22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pivot member 240 .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220, the handle 220 forms a kind of lever structure using the pivot member 240 as a fulcrum so that the switch protrusion 230 on the opposite side moves in a specific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220)를 도 4의 우측 방향으로 당기면, 손잡이(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호퍼(210)가 약간 이동하면서 호퍼(210)의 타측에 형성된 스위치돌기(230)가 특정 방향(도 4에서는 좌측 방향, 도 5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220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4 , the hopper 210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220 slightly moves while the switch protrusion 2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pper 210 is specific. direction (left direction in FIG. 4, right direction in FIG. 5).

손잡이(220)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돌기(230)가 도 5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성된 잠금부재(810)는 경사진 슬릿(820) 내에 삽입된 스위치돌기(230)의 이동에 의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부재(810)의 하부가 더 이상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걸리지 않으므로, 잠금부(800)는 해제 상태에 있게 되고, 추출유닛(1000)은 본체 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switch protrusion 230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5 by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220 , the lock member 810 configured to move only in the up-down direction is the switch protrusion 230 inserted into the inclined slit 820 . ) is moved upwards. In this state, since the lower part of the locking member 810 is no longer caught on the body frame (not shown), the locking part 800 is in the unlocked state, and the extraction unit 100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frame (not shown). can

이 때, 삼각형 단면을 가진 걸림편(830)의 하단부(850)는 잠금부재가이드(180)의 하부를 통과한 후 관통윈도우(190)의 하부에 걸쳐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220)에 가한 힘을 제거하더라도 잠금부(800)는 계속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850 of the locking piece 830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may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guide 180 and then spa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window 190 .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220, the locking unit 800 may continue to maintain the released state.

도면에는 스위치돌기(230)의 이동 방향이 손잡이(220)의 조작 방향과 반대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위치돌기(23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는 변경될 수 있다. Although the drawing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witch protrusion 230 is opposite to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220 ,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switch protrusion 230 may be changed in various embodiments.

분리된 추출유닛(1000)을 다시 커피음료 제조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사용자는 추출유닛(1000)을 설계 위치로 밀어 넣을 수 있다. 본체 프레임(미도시)에는 잠금부재가이드(180)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부재(8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부분이 구비될 수 있고, 관통윈도우(190)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편(830)의 하단부(85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추출유닛(1000)이 정해진 위치로 삽입되면, 관통윈도우(190)의 하부에 걸쳐져 있는 걸림편(830)의 하단부(850)가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일부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걸림편(830)의 하단부(850)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잠금부재(810)가 다시 하강할 수 있다. 하강한 잠금부재(810)는 잠금부재가이드(180) 하부에 위치한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일부에 맞물리면서 추출유닛(10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ed extraction unit 1000 is mounted on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gain, the user may push the extraction unit 1000 to the design position. The body frame (not shown) may be provided with a portion configured to engage the locking member 8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guide 180 , and the engaging piece 8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window 190 . ) may be provided with a portion configured to press the lower end (850). When the extraction unit 1000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lower end 850 of the engaging piece 830 spanned under the through window 190 may be pressed by a part of the body frame (not shown), and the engaging piece As the locking of the lower end 850 of the 830 is released, the locking member 810 may descend again. The lowered locking member 810 may be engaged with a portion of the body frame (not shown) located under the locking member guide 180 , and the extraction unit 1000 may be firmly fixed.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추출헤드(510)의 구조 및 동작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추출헤드(510)에서 헤드캡(550)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추출헤드(5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extraction head 5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cap 550 is separated from the extraction head 510,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traction head 510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추출헤드(510)는 추출부(500)의 일부로서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 내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브류잉공간(330)에서 분말재료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물은 추출헤드(510)의 페이스면(520)의 중앙에 형성된 유입구(530)에 유입되어 직선유로(570)를 통과한 후, 연결구(575), 연결통로(562), 허브(565) 및 기타 통로를 거쳐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추출헤드(510)에는 내측의 유로 및 통로들을 밀폐하기 위한 오링(555) 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The extraction head 510 is a part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330 of the cylinder 300 as a part of the extraction unit 500 .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owder material in the brewing space 330 flows into the inlet 53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ce surface 520 of the extraction head 510 and passes through the straight flow path 570, then the connector 575, the connection passage 562, the hub 565 and other passage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extraction head 510 may be equipped with an O-ring 555 for sealing the inner passages and passages.

도 9를 참조하면, 추출부(500)는 추출헤드(510)의 페이스면(520) 측에 장착되는 스크린(545) 및 헤드캡(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500)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스크린(545)에 대한 언급은 일반적으로 이들 스크린 및/또는 필터를 총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9 , the extraction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545 and a head cap 550 mounted on the face surface 520 side of the extraction head 510 . Extractor 500 may include one or more screens and/or filters, and reference to screen 545 herein generally refers to those screens and/or filters collectively.

추출헤드(510)에서 실린더(300)를 향하는 표면을 페이스면(520)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페이스면(520)에는 유입구(530)가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유입구(530) 주위로 복수의 리브(52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525) 중 적어도 일부는 유입구(530)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 surface facing the cylinder 300 from the extraction head 510 will be referred to as a face surface 520 . An inlet 53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ce surface 520 , and a plurality of ribs 525 may be formed around the inlet 530 .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ribs 525 may have a circular arc shape centered on the inlet 530 .

스크린(545)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페이스면(520)에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린(540, 545)이 배치되는 경우, 각 스크린(540, 545)에 형성된 홀은 서로 다른 크기 및/또는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스크린(540, 545)은 필터 기능을 하여 물이 유입구(530)로 유입될 때 분말재료가 함께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screen 545 , and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ace surface 520 . When a plurality of screens 540 and 545 are disposed, the holes formed in each screen 540 and 545 may have different sizes and/or arrangements. The screens 540 and 545 may serve as a filter to filter so that the powdered material is not introduced together when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530 .

헤드캡(550)은 스크린(545)을 페이스면(52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헤드캡(550)은 추출헤드(5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을 이용한 나사결합 또는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head cap 550 may serve to couple the screen 545 to the face surface 520 . The head cap 55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raction head 510, for example, may be coupled by a method such as screw coupling or thermal fusion using a screw thread that engages each other.

종래기술에 따른 일부 장치에서는 페이스면(520)의 중앙에 결합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스크린(545)을 결합하는데, 그 결과 유입구(530)를 중앙에 형성하지 못하고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유입구(530)를 형성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헤드캡(550)이 추출헤드(5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면서 스크린(545)을 페이스면(520)에 고정하고, 이로 인해 유입구(530)를 페이스면(520)의 중앙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some devic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creen 545 is coupled using a screw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ace surface 520. As a result, the inlet 530 cannot b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let 530 is located off the center. to form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cap 550 is fixed to the face surface 520 while the head cap 55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raction head 510, thereby fixing the inlet 530 to the face surface. It becomes possible to form in the center of 520 .

유입구(530)가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와 대비하여 유입구(530)가 페이스면(520)의 중앙에 형성되면, 브류잉공간(330)을 통과하여 제조된 커피음료가 더 균일한 경로를 거쳐 유입구(530)로 진입하게 되며, 커피음료에 크레마가 더 잘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inlet 5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ce surface 520 in contrast to the case where the inlet 530 is formed at a position off-center, the coffee beverage produced through the brewing space 330 is a more uniform path It enters the inlet 530 through the , crema can be better formed in the coffee drink.

또한, 유입구(530)가 중앙에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리브(525)가 동심원의 원호 형상으로 페이스면(5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로 인해 더욱 효과적으로 스크린(545)을 지지할 수 있다. 스크린(545)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지지하는 구성은 커피음료가 지나는 경로의 균일성을 증가시키는 데 일조하여 크레마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let 530 is formed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ribs 525 may be provided on the face surface 520 in a concentric arc shape, and the screen 545 can be supported more effectively due to this arrangement. . A configuration that uniformly supports the screen 545 as a whole may help to increase the uniformity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coffee beverage passes, thereby promoting crema formation.

도 10을 참조하면, 추출헤드(510)는 하부에 페이스면(520)을 포함할 수 있고, 페이스면(520) 위로 길게 연장된 연결파이프(560) 내부에는 직선유로(57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파이프(560)는 연결구(575)에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연결구(575)에 형성된 홈에 오링을 개재하여 연결파이프(560)의 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직선유로(570)는 유입구(530)에 연통하고 연결구(575) 내의 유로에 연통하되, 이들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직선유로(570)의 일단에는 제1 걸림턱(57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걸림턱(574)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extraction head 510 may include a face surface 520 at the lower portion, and a straight flow path 570 may be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560 elongated above the face surface 520 . have. The connecting pipe 56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575 by screw coupling, or the like, and the end of the connecting pipe 56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connector 575 with an O-ring interposed therebetween. The linear flow path 570 communicates with the inlet 530 and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in the connector 575, but is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se, and a first engaging protrusion 57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inear flow path 570 and the other e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574 may be formed.

추출헤드(510)는 직선유로(570) 내부에 배치된 밸브부재(580)와 코일스프링(5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590)은 그 일단은 밸브부재(580)를 가압하고 타단은 제2 걸림턱(574)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밸브부재(580)는 제1 걸림턱(572)에 배치되어 유입구(53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extraction head 510 may further include a valve member 580 and a coil spring 590 disposed inside the linear flow path 570 . The coil spring 590 may be arranged such that one end of the coil spring 590 presses the valve member 580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74 . The valve member 58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572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530 .

코일스프링(590)은 커피음료 제조에 적합한 압력으로 밸브부재(580)를 가압할 수 있게 하는 탄성 계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코일스프링(590)은 밸브부재(580)를 가압하여 유입구(530)를 차단할 수 있고, 브류잉공간(330)에 주입되는 물이 코일스프링(590)의 가압력보다 큰 압력으로 제공하게 되면 물의 압력이 코일스프링(590)을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밸브부재(580)가 유입구(530)를 개방하게 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를 제조하는 경우 물이 7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590)은 이에 대응하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탄성계수가 결정될 수 있다.The coil spring 590 may be designed to have an elastic modulus that allows the valve member 580 to be pressed to a pressure suitable for coffee beverage production. That is, the coil spring 590 can block the inlet 530 by pressing the valve member 580 , and when water injected into the brewing space 330 is provided at a pressure greater than the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590 , The pressure of water may elastically deform the coil spring 590 so that the valve member 580 opens the inlet 530 . When preparing espresso, it may be preferable that water be provided at a pressure of 7 to 10 bar, and the elastic modulus of the coil spring 590 may be determined to provide a corresponding pressure.

한편, 코일스프링(590)은 직선유로(570)를 통과하는 커피음료가 나선류를 이루도록 도울 수 있다. 즉, 그 자체가 나선 형상을 가진 코일스프링(590)이 직선유로(570) 내에 구비됨에 따라, 직선유로(570)를 통과하는 커피음료는 그 점성에 의해 코일스프링(590)의 나선 형상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유체는 나선류를 이룰 때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커피음료는 더 신속하게 브류잉공간(330)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il spring 590 may help the coffee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straight flow path 570 form a spiral flow. That is, as the coil spring 590 itself having a spiral shape is provided in the straight flow path 570, the coffee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straight flow path 570 follows the spiral shape of the coil spring 590 by its viscosity. will move Since the fluid can move at a higher speed when forming a spiral flow, the coffee beverage can be discharged from the brewing space 330 to the outside more quickly.

커피음료에 많은 양의 크레마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물이 균일한 조건으로 분말재료를 통과하고, 높은 압력 하에서 분말재료를 통과하고, 압력이 높은 수준에서 낮은 수준으로 신속하게 강하하여야 한다. In order to form a large amount of crema in a coffee beverage, water must pass through the powder material under uniform conditions, pass through the powder material under high pressure, and the pressure must rapidly drop from a high level to a low level.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추출헤드(510)의 유입구(530)가 페이스면(520)의 중앙에 있게 하고 동심원 원의 원호 형상 리브(525)에 의해 스크린(545)이 균일하게 지지되게 함으로써, 브류잉공간(330)의 분말재료를 통과하는 물이 균일한 조건으로 커피 성분을 추출하여 높은 크레마 함량의 커피음료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530 of the extraction head 510 is at the center of the face surface 520 and the screen 545 is uniform by the arc-shaped ribs 525 of concentric circles. By being supported so that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powder material of the brewing space 330 extracts the coffee component under uniform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ffee beverage with a high crema content.

또한, 추출헤드(510) 내부의 코일스프링(590)은 브류잉공간(330)의 물이 필요한 수준의 압력에 도달해야만 밸브부재(580)가 개방되게 함으로써 브류잉공간(330)에 필요한 압력이 조성되게 하고 압력이 급격히 강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높은 크레마 함량의 커피음료가 제조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코일스프링(590)은 커피음료가 나선류를 이루며 토출되게 함으로써 용해된 이산화탄소가 크레마를 형성하지 못하고 손실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il spring 590 inside the extraction head 510 allows the valve member 580 to open only when the water in the brewing space 330 reaches a required level of pressure, so that the pressure required for the brewing space 330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ffee drink with a high crema content 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ressure can drop rapidly. Furthermore, the coil spring 590 may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will not form crema and be lost by allowing the coffee beverage to be discharged in a spiral flow.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피스톤 스크레이퍼(250)와 헤드 스크레이퍼(350)가 이중으로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높은 순도의 분말재료로부터 높은 품질의 커피음료가 제조되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ston scraper 250 and the head scraper 350 double remove impuriti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high-quality coffee beverage from a high-purity powder materi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부(800)는 추출유닛(1000)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추출유닛(1000)을 고정함으로써 커피음료 제조장치의 진동 및 소음을 줄일 뿐만 아니라 브류잉공간(330)이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하여 제조되는 커피음료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The locking part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brewing unit 10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rewing unit 1000, thereby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of th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s well as the brewing space. By making the 330 in a stable sta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coffee beverage produc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00: 추출유닛
100: 케이싱 200: 공급부
250: 피스톤 스크레이퍼 300: 실린더
350: 헤드 스크레이퍼 400: 피스톤
500: 추출부 600: 피스톤레버
700: 크랭크 800: 잠금부
1000: extraction unit
100: casing 200: supply part
250: piston scraper 300: cylinder
350: head scraper 400: piston
500: extraction unit 600: piston lever
700: crank 800: lock

Claims (10)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외측에 구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 각도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공급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각도에 위치하고,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추출헤드를 포함하는 추출부;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회전 범위의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실린더를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 사이에서 회전시키고 제2 구간에서는 상기 추출헤드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상기 제2 각도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크랭크; 및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서 잠금부재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배치하도록 구성된 잠금부;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스위치돌기;
상기 스위치돌기가 삽입되는 경사진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상기 잠금부재; 및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서 상기 잠금부재가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재를 둘러싸고 표면에 관통윈도우가 형성된 잠금부재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슬릿 하부에 형성된 여유홈 및 상기 여유홈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유홈 내에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한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의 하단부는 하부를 향할수록 증가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가 조작되어 상기 스위치돌기가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스위치돌기와 상기 슬릿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위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걸림편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윈도우의 하단에 걸리고,
상기 케이싱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사전결정된 위치로 삽입되면 상기 본체 프레임의 돌기가 상기 관통윈도우를 통해 상기 걸림편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관통윈도우의 하단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잠금부재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
body frame;
a casing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body frame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therein;
a cylinder accommodated in the casing, forming a brewing space open upwardly therein,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n the outside;
a supply part positioned at a first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an extraction unit fixed to the casing and positioned at a second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and including an extraction head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Rotating around the rotating shaft but rotating the cylinder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range of rotation and in the second section, the cylinder is rotated at the second angle so that the extraction head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a crank configured to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and
A locking part configured to dispose the locking member in a locked or unlocked state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by manipulation of a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The lock is
a switch protrusion moving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by manipulation of the handle;
the locking member having an inclined slit into which the switch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locking member guide surrounding the locking member so that the locking member is movabl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and having a through window formed on its surface;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spare groove formed under the slit and a locking piec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pare groove and elastically movable within the spare groove, and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ece has a thickness that increases toward the bottom, ,
When the handle is manipulated and the switch protrusion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cking member moves upwar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witch protrusion and the slit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body fram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piece is the through window hung at the bottom of the
When the casing is inserted in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frame, the protrusion of the body frame presses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ece through the through window to release the lock on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window,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member moves downward.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외측에 구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 각도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는 공급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각도에 위치하고,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추출헤드를 포함하는 추출부;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회전 범위의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실린더를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 사이에서 회전시키고 제2 구간에서는 상기 추출헤드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상기 제2 각도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크랭크; 및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서 잠금부재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배치하도록 구성된 잠금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샤프트에는 지시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원호 형상의 지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시돌기는 상기 지시홈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
body frame;
a casing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body frame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therein;
a cylinder accommodated in the casing, forming a brewing space open upwardly therein,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n the outside;
a supply part positioned at a first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an extraction unit fixed to the casing and positioned at a second angle relative to the cylinder, and including an extraction head inserted into the brewing space;
Rotating around the rotating shaft but rotating the cylinder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range of rotation and in the second section, the cylinder is rotated at the second angle so that the extraction head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a crank configured to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and
A locking part configured to dispose the locking member in a locked or unlocked state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by manipulation of a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The rotary shaft is provided with an indicator protrusion, and an arc-shaped indicator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ing, and the indicator protrusion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casing through the indicator groove.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에서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힌지에 의해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공급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가 상기 제2 각도에서 상기 제1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피스톤의 상면을 접촉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스크레이퍼; 및
일단은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공급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 스크레이퍼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 스크레이퍼를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piston configured to mov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relative to the cylinder in the brewing space;
a piston scraper rotatably secured to the casing or to the supply portion by a hinge and configured to contact an upper surface of the piston when the cylinder rotates from the second angle to the first angle; and
One end is the casing or the supply part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fix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piston scraper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adhering the piston scrap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형태로 상기 실린더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상기 제1 각도에서 상기 제2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추출헤드에 장착된 스크린을 접촉하며 이동하도록 구성된 헤드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further comprising a head scraper fixed to the cylinder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form and configured to move in contact with a screen mounted on the brewing head when the cylinder rotates from the first angle to the second angle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브류잉공간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부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In the locked state, the locking member is a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ngage a part of the main frame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ewing sp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실린더를 향하는 페이스면의 중앙에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추출헤드;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페이스면에 중첩되어 배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추출헤드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을 상기 추출헤드에 고정하는 헤드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extraction unit,
The extraction head with an inle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ce surface facing the cylinder;
a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overlapping the face surface; and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head cap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raction head for fixing the screen to the extraction hea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헤드의 상기 페이스면에는 상기 실린더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호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cylinder are formed on the face surface of the extraction head,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ribs have a circular arc shape centered on the inlet port.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헤드의 내부에는 양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유입구에 연통하는 직선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직선유로의 내부에는 밸브부재 및 코일스프링이 배치되되, 상기 코일스프링은 그 일단은 상기 밸브부재를 가압하고 타단은 상기 직선유로 타단의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근접한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브류잉공간 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유입구가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interior of the extraction head, 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and a straight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is formed at one end, and a valve member and a coil spring are disposed inside the linear flow path, the coil spring having one end of the The valve member is pressurized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of the other end of the straight flow path, and the valve member is disposed at one end close to the inlet and pressed by the coil spring, and the inlet port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brewing space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opened and closed by the valve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33148A 2022-03-17 2022-03-17 Coffee drink brewing device KR102419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148A KR102419517B1 (en) 2022-03-17 2022-03-17 Coffee drink brew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148A KR102419517B1 (en) 2022-03-17 2022-03-17 Coffee drink brew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517B1 true KR102419517B1 (en) 2022-07-11

Family

ID=8239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148A KR102419517B1 (en) 2022-03-17 2022-03-17 Coffee drink brew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5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937B1 (en) 2023-04-17 2023-11-06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Twin coffee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671A (en) * 2003-03-12 2004-09-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or coffee machine
KR20090112956A (en) * 2008-04-25 2009-10-29 주식회사 동구전자 Brew mechanism for coffee ma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671A (en) * 2003-03-12 2004-09-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or coffee machine
KR20090112956A (en) * 2008-04-25 2009-10-29 주식회사 동구전자 Brew mechanism for coffee ma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937B1 (en) 2023-04-17 2023-11-06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Twin coffee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170B1 (en) Coffee mak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5600738B2 (en) Infusion unit for making beverages from single-use sachets and apparatus having the unit
JP6929263B2 (en) Beverage making equipment and extraction device
US7059239B2 (en)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EP1707088B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KR100924447B1 (en) Espresso coffee extractor
KR102419517B1 (en) Coffee drink brewing device
KR20140011427A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KR20140093751A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KR20070119661A (en) Device and disposable capsule for producing liquid products, in particular beverages
KR20180122598A (en) Dispensing group for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filter holder in front
US20110017071A1 (en) Machine for dispensing infusions from a pod preparation having a resetting device
JP2004504874A (en) Percolator device with movable leach chamber that can be removed without tools
CN101125056A (en) Beverage pouring and boiling device
JP6655836B2 (en) Beverage supply device
US8528464B2 (en) Brewing facility for a coffee machine
CA2822936C (en) Head assembly for brewing apparatus
CN104720549A (en) Juicer with improved juicing cylinder fastening structure
CN110636786A (en) Beverage supply device
WO2021032190A1 (en) Cup and beverage brewer
KR20090112956A (en) Brew mechanism for coffee maker
KR102259987B1 (en)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ontaining raw material for beverage
CA3001083C (en) Collection receptacle for collecting insoluble material that is used for preparing beverages, as well as infusion device with such a collection receptacle
KR101185590B1 (en) Brewing apparatus for coffee maker
CN113520158B (en) Easy-to-clean grinding and pressurizing extraction integrated coffee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