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641B1 - 연결 조인트 구조 - Google Patents

연결 조인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641B1
KR102417641B1 KR1020200131790A KR20200131790A KR102417641B1 KR 102417641 B1 KR102417641 B1 KR 102417641B1 KR 1020200131790 A KR1020200131790 A KR 1020200131790A KR 20200131790 A KR20200131790 A KR 20200131790A KR 102417641 B1 KR102417641 B1 KR 10241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frame
expansion
ca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655A (ko
Inventor
이홍구
이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호스
Priority to KR102020013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6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72Joints for pipes of dissimi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16L27/12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with means for locking the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in the final moun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신축배관과 멀티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압착 및 끼움결합을 통해 기밀성이 향상되며, 추후 외력에 의해 연결 조인트와 결합된 신축배관 및 멀티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조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방용 신축배관과 멀티관의 외부를 감싸는 캡이 메인프레임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과, 신축배관 및 멀티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Description

연결 조인트 구조 {CONNECTION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소방용 신축배관과 멀티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압착 및 끼움결합을 통해 기밀성이 향상되며, 추후 외력에 의해 연결 조인트와 결합된 신축배관 및 멀티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조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방용 신축배관과 멀티관의 외부를 감싸는 캡이 메인프레임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과, 신축배관 및 멀티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일반적으로 신축배관은 소방용 스프링쿨러에 적용되어 화재 발생시 물을 화재가 발생된 내부 공간으로 급수하게 된다.
급수를 위한 일반배관은 실내공간에 구비되어 스프링쿨러와 연결된 신축배관과 연결되어 스프링쿨러로 소화(消火)를 위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급수를 위한 배관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에도 부식되지 않아야 하며, 화재 발생시에도 원활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갖는 배관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일 재질로 제작된 관(pipe)로는 다양한 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다수개의 복합피복층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멀티관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배관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양측 배관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패킹이 개재된 조임구를 양측에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를 통해 관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나 최근 열과 충격, 부식 등에 강해 소방용 스프링쿨러나 산업용 특수 배관 등에 PVC보다 더욱 각광받고 있는 CPVC 재질의 멀티관의 경우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기 매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설치된 신축배관에 급수용 멀티관을 결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결합되는 부분에 용접을 하여 연결하게 되는데 용접작업 중 통전의 충격이나 스파크 등으로 인해 파열된다는 우려가 존재하였고, 용접작업을 수행하면서 작업시간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되어 초기 설치비용 및 설치기간이 상승된다는 문제 또한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접이 아닌 신축배관과의 연결방법을 에 관한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82920호에는 "고정브래킷 이동장치를 갖춘 가지배관의 CPVC 접착용 신축배관"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레듀싱 엘보우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 조절을 원활하게 하고, 시공 시 배관에 의해 상기 레듀싱 엘보우가 밀리는 현상을 막아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를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하게 해주는 고정브래킷을 가지며 스프링쿨러용 가지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스프링쿨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를 포함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스프링쿨러용 가지배관(B)과 신축배관(A)의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맞닿게 배치한 상태에서 외부를 어댑터(2)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연결되는 관들끼리 기밀한 연결이 어려워 누수의 우려가 존재하고,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되지 않아 외력에 취약하다는 우려 또한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2920호 (2016.12.20.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소방용 신축배관과 멀티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압착 및 끼움결합을 통해 기밀성이 향상되며, 추후 외력에 의해 연결 조인트와 결합된 신축배관 및 멀티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조인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방용 신축배관과 멀티관의 외부를 감싸는 캡이 메인프레임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과, 신축배관 및 멀티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 조인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신축배관과 멀티관을 연결시키는 연결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양단 외측면에 나사산 형상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며, 양단에 신축배관과 멀티관의 내측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상기 신축배관 및 멀티관과 내부가 연통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단에 끼워진 신축배관과 멀티관의 외측면에 각각 끼움결합된 후 압착되는 캡 및 반호 형상을 가지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프레임 중앙 외둘레를 따라 합형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중앙과 상기 캡의 내삽방향측 말단과 밀착되어 상기 캡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밀착시켜 결합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중앙에는 외둘레를 따라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 및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함몰홈 중앙에 수직돌출형성된 밀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시 상기 밀착돌기가 상기 함몰부에 내삽되어 밀착결합된다.
또한, 결합부의 함몰된 골에 내삽되는 오링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로 상기 신축배관과 상기 멀티관이 각각 끼워질 때 상기 오링은 압착되어 상기 신축배관 및 상기 멀티관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기밀성이 향상된다.
또한, 밀착돌기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함몰부에 내삽시 이격된 공간이 좁혀져 내삽되고, 내삽후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함몰부 내측면에 밀착결합된다.
또한, 캡의 내경은 결합되는 상기 신축배관 또는 상기 멀티관의 외경과 대응되며, 상기 캡의 내삽방향측 일단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경과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되는 내경이 좁아지는 밀착부가 형성된다.
이때, 밀착부 말단을 따라 외측으로 수직돌출된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시 상기 함몰홈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함몰홈 내측면과 밀착결합된다.
또한, 고정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함몰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캡과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고정프레임의 양측 말단에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말단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제1 체결구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 말단에 상기 제1 체결구의 형상과 대응되게 함몰형성된 제2 체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이 합형시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1 체결구가 다른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2 체결구로 내삽되어 끼움결합된다.
또한, 캡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시 내삽되는 방향측에 관통형성되며,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는 신축배관 또는 멀티관의 내삽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는, 소방용 신축배관과 멀티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압착 및 끼움결합을 통해 기밀성이 향상되며, 추후 외력에 의해 연결 조인트와 결합된 신축배관 및 멀티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용 신축배관과 멀티관의 외부를 감싸는 캡이 메인프레임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과, 신축배관 및 멀티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의 결합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를 분해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의 적용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A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3의 B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서리와 함몰홈의 결합예를 나타내기 위하여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인 신축배관과 멀티관을 연결시키는 연결 조인트 구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의 결합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를 분해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의 적용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3의 B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모서리와 함몰홈의 결합예를 나타내기 위하여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신축배관과 멀티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압착 및 끼움결합을 통해 기밀성이 향상되며, 추후 외력에 의해 연결 조인트와 결합된 신축배관 및 멀티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조인트 구조(1)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 구조(1)는 메인프레임(100), 캡(200) 및 고정프레임(300)으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연결 조인트 구조(1)와 결합되는 신축배관(2)과 멀티관(3)은 결합되는 방향에 따른 차이가 없기 때문에 명세서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신축배관(2)과 멀티관(3)을 '배관'으로 통합하여 설명함을 미리 밝힌다.
메인프레임(100)은 양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될 배관들과 결합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단에는 결합부(110)가 각각 일정길이만큼 형성되어 배관의 내측과 끼움결합된다.
결합부(110)는 메인프레임(100)의 외둘레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외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돌출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부(110)는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단으로 각각 결합될 배관들이 끼워지면 배관의 내측면과 결합부(110)가 밀착되어 기밀성과 결합력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결합부(110)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오링(111)이 외둘레에 끼워져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오링(111)은 메인프레임(100)의 외둘레와 대응되는 링 형상을 가지며, 탄성 복원력을 가진 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메인프레임(100) 중 결합부(110)를 따라 끼워진 배관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배관 내측면과 메인프레임(100) 외측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밀성이 향상되어 배관 및 메인프레임(100) 내측을 따라 이동하는 소화용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멀티관(3)과 밀착되는 오링(111)이 나타나있으나 신축배관(2)의 내측면과도 동일하게 밀착된다.
메인프레임(100)의 정중앙에는 내측면으로 일정하게 함몰된 함몰부(120)가 형성된다.
함몰부(120)는 후술된 고정프레임(300)의 밀착돌기(310)가 함몰된 내측으로 구비되는 공간으로, 캡(200)과 결합된 고정프레임(300)이 메인프레임(100)에 견고하게 밀착결합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함몰부(120)의 양측 외둘레는 캡(200)의 삽입되는 방향측 말단과 밀착되어 결합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캡(200)은 메인프레임(100)과 결합된 배관의 결합부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메인프레임(100)과 결합된 배관들을 좀 더 압착시켜 기밀성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캡(200)은 양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메인프레임(100) 양측에 결합된 배관 외측에 각각 결합되고, 내경이 결합되는 배관의 외경과 대응되며, 결합부(110)에 내측이 끼움결합된 관의 결합위치를 보호하기 위해 충분히 외부를 감쌀 수 있도록 연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캡(200)의 말단 중 결합시 함몰부(120)와 인접한 일단에는 외주면이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메인프레임(100)의 외측면, 즉 결합부(110)와 함몰부(120)간의 이격된 공간에 밀착되는 밀착부(210)가 형성된다.
밀착부(210)는 캡(200)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내경이 캡(200)의 내경보다 작아져 메인프레임(100) 외둘레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캡(200)은 결합부(110)에 끼움결합된 배관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되, 밀착부(210)는 내삽되어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 위치한 함몰부(120)와 인접한 곳에 형성됨으로써 메인프레임(100)과 캡(200)이 직접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밀착부(210)는 고정프레임(300)과도 결합되어 고정력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00)의 양단에 캡(200)을 각각 끼우고, 배관을 내삽하는 경우 배관의 끝단이 밀착부(210)가 형성된 곳까지만 인입되도록함으로써 연결시 배관이 충분히 인입될 수 있게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캡(200)을 통해 내측으로 메인프레임(100)과 결합될 배관이 인입되면 추후 기밀성 향상을 위해 캡(200)을 압착기로 압착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누수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캡(200)은 신축배관(2)이나 멀티관(3)이 메인프레임(100)과 결합시 외측면을 감싸 밀착됨으로써 신축배관(2)이나 멀티관(3)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로부터 신축배관(2)이나 멀티관(3)을 보호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300)과의 결합을 통해 메인프레임(100), 신축배관(2) 및 멀티관(3)과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100)에 먼저 캡(200)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캡(200) 내부 사이에 발생된 이격공간으로 신축배관(2)이나 멀티관(3)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캡(200)은 불투명 소재이기 때문에 신축배관(2)이나 멀티관(3)이 충분히 메인프레임(100)의 결합부(110)와 끼움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신축배관(2)이나 멀티관(3)의 내삽정도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분만 결합부(110) 외주면에 끼움결합되거나 아예 끼워지지 않을 경우 누수가 발생함은 물론, 추후 외력등에 의해 쉽게 신축배관(2)이나 멀티관(3)이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소화용 배수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비상시 신축배관(2)이 소화용 배수를 제공받지 못해 화재진압이 안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캡(200)은 밀착부(210)와 인접한 곳에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내부가 확인되는 식별홀(22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된 캡(200) 내측으로 배관을 내삽시켜 메인프레임(100)과 배관이 끼움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설치자는 결합될 배관이 일정 부분 내삽되면 메인프레임(100) 및 캡(200)이 충분히 내삽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여 배관의 말단이 밀착부(210)측으로 충분히 내삽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을 마무리하거나 캡(200)을 압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력에 의해 결합된 배관이 쉽게 휘거나 빠질 수 있고, 내부의 소방용수가 누수될 우려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배관을 충분히 내삽하여 끼움결합될 필요가 존재한다.
따라서, 캡(200) 내측으로 배관을 내삽하여 메인프레임(100)과 끼움결합시 식별홀(220)을 통해 외부에서 배관의 인입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배관이 충분히 인입된 후에 압착작업을 진행하도록 하여 배관이 완성도높게 연결 및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캡(200)은 고정프레임(300)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프레임(300)은 캡(200)이 양단에 결합된 메인프레임(100)의 중앙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며,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 구비되어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을 포함한 캡(200)의 말단, 즉 밀착부(210)가 위치한 일단과도 결합되어 캡(200)의 일단을 메인프레임(100)에 견고하게 밀착결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추후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300)은 반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300a, 300b)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한 쌍의 고정프레임(300a, 300b)은 양단이 결합됨으로써 합형 시 메인프레임(100)의 중앙 외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합형된 고정프레임(300)의 내경은 메인프레임(100)의 중앙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고정프레임(300)은 메인프레임(100)의 함몰부(120) 내측으로 인입되어 밀착되는 밀착돌기(310), 고정프레임(300)의 내측 중앙을 따라 함몰되며 함몰된 부분의 중앙에는 함몰된 방향과 반대측으로 돌출된 밀착돌기(310)가 형성되는 함몰홈(320)으로 구성된다.
밀착돌기(310)는 고정프레임(300)의 내측면 중앙을 따라 구비되며, 고정프레임(300)의 내측 중앙에서 수직돌출되어 형성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메인프레임(100)과 결합시 함몰부(120)로 내삽되어진다.
이때, 한 쌍의 밀착돌기(310)의 말단에서 각각 캡(200)이 위치한 측으로 수직돌출된 걸림턱(311)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311)은 밀착돌기(310)가 함몰부(120)로 내삽시 밀착돌기(310)가 함몰부(120) 내측면과 밀착되어 고정결합된다.
또한, 밀착돌기(310)는 탄성복원력을 가져 걸림턱(311)을 포함한 밀착돌기(310) 말단 측이 함몰부(120)에 내삽될 때 사용자는 밀착돌기(310)간의 이격된 공간을 좁혀 함몰부(120)에 쉽게 내삽될 수 있도록 하고, 도 4와 같이 결합된 후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밀착돌기(310)가 결합된 방향으로 함몰부(120)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고정력이 향상된다.
함몰홈(320)의 함몰된 내측 중앙에는 밀착돌기(310)가 구비되고, 함몰홈(320)을 중심으로 양측, 즉 고정프레임(300)의 내측 가장자리는 캡(200)의 밀착부(210) 외측면과 밀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00)과 결합된 캡(200)의 일단과 메인프레임(100) 중앙과 직접 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고정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메인프레임(100)과 결합된 캡(200)의 일단을 외부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캡(200)이 쉽게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연결 조인트 구조(1)는 상기 연결 조인트 구조(1)를 이루는 각 구성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연결 조인트 구조(1)를 통해 연결되는 신축배관(2) 및 멀티관(3) 또한 견고하게 결합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누수를 방지하고, 외력으로부터 신축배관(2) 또는 멀티관(3)이 결합위치를 벗어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조인트 구조(1)의 기밀성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캡(200) 및 고정프레임(300)에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도 6 내지 8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캡(200)의 다양한 실시예를 사시도와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고정프레임(3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7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300) 중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7에 도시된 하나의 고정프레임(300)과 다른 고정프레임(300)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합형되거나 수직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합형됨을 미리 밝힌다.
먼저 도 6의 (a)는 상술된 바와 같이 캡(200)의 일단에 내경이 좁아지는 밀착부(210)가 형성되는데, 이때 밀착부(210)는 메인프레임(100)의 중앙부분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밀착부(210)의 내경은 메인프레임(10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도 6의 (b)와 같이 밀착부(210)의 말단, 즉 메인프레임(100)과 결합시 함몰부(120)와 인접한 캡(200)의 끝단에는 밀착부(210) 말단에서 수직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모서리(211)가 밀착부(210) 말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모서리(211)는 도 6의 (b)에서 측면도와 같이 밀착부(210)의 말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확장되어 측면에서는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모서리(211)는 도 8과 같은 형태로 캡(200)과 고정프레임(300)이 결합할 때 모서리(211)가 고정프레임(300)의 함몰홈(320) 내측으로 인입되어 걸림으로써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서리(211) 외에도 고정프레임(300)과 캡(20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프레임(300)의 내측, 즉 캡(200)의 밀착부(210)와 맞닿는 부분에는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30)가 형성되고(도 7의 (b) 참조), 상기 결합돌기(330)와 대응되는 밀착부(210)에는 내측으로 결합돌기(330)가 내삽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결합홀(230)이 형성된다(도 6의 (c) 참조).
따라서, 캡(200)의 외측으로 고정프레임(300)이 결합 및 설치될 때 고정프레임(300)의 결합돌기(330)가 캡(200)의 결합홀(230)로 내삽되어 캡(200)과 고정프레임(30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주고, 결합시 고정프레임(300)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홀(230)은 결합돌기(330)와 대응되는 크기로 함몰되는 것이 아닌 밀착부(21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돌기(330)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30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프레임(300)의 양측 말단에는 체결부(34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40)는 고정프레임(300)의 일측 말단에는 수직돌출된 제1 체결구(341)와 고정프레임(300)의 타측 말단에는 상기 제1 체결구(34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직함몰된 제2 체결구(34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부(340)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300)이 서로 합형시 하나의 고정프레임(300)의 일측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구(341)는 다른 하나의 고정프레임(300)의 타측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구(342)로 내삽되어 끼움결합되고, 반대측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고정프레임(300)의 타측 말단에 형성된 제2 체결구(342)로 다른 하나의 고정프레임(300) 일측 말단에 형성된 제1 체결구(341)가 내삽되어 끼움결합되어진다.
따라서, 체결부(340)를 통해 한 쌍의 고정프레임(300)이 메인프레임(100) 및 캡(200)의 외둘레를 따라 합형시 합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고정프레임(300)의 합형을 도와주는 가이드 역할 또한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캡(200) 및 고정프레임(300)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캡(200)과 고정프레임(300)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정프레임(300) 또한 합형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연결 조인트 구조(1)를 이루는 구성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외력에도 최초 조립 형태를 벗어나지 않고, 기밀성 또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8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연결 조인트 구조 2: 신축배관
3: 멀티관
100: 메인프레임 110: 결합부
111: 오링 120: 함몰부
200: 캡 210: 밀착부
211: 모서리 220: 식별홀
230: 결합홀 300,300a,300b: 고정프레임
310: 밀착돌기 311: 걸림턱
320: 함몰홈 330: 결합돌기
340: 체결부 341: 제1 체결구
342: 제2 체결구

Claims (8)

  1. 신축배관과 멀티관을 연결시키는 연결 조인트 구조에 있어서,
    양단 외측면에 나사산 형상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며, 양단에 신축배관과 멀티관의 내측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상기 신축배관 및 멀티관과 내부가 연통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단에 끼워진 신축배관과 멀티관의 외측면에 각각 끼움결합된 후 압착되는 캡; 및
    반호 형상을 가지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프레임 중앙 외둘레를 따라 합형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중앙과 상기 캡의 내삽방향측 말단과 밀착되어 상기 캡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밀착시켜 결합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중앙에는 외둘레를 따라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 및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함몰홈 중앙에 수직돌출형성된 밀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시 상기 밀착돌기가 상기 함몰부에 내삽되어 밀착결합되고,
    상기 캡의 내경은 결합되는 상기 신축배관 또는 상기 멀티관의 외경과 대응되며,
    상기 캡의 내삽방향측 일단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경과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되는 내경이 좁아지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함몰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캡과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함몰된 골에 내삽되는 오링;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로 상기 신축배관과 상기 멀티관이 각각 끼워질 때 상기 오링은 압착되어 상기 신축배관 및 상기 멀티관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돌기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함몰부에 내삽시 이격된 공간이 좁혀져 내삽되고, 내삽후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함몰부 내측면에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 말단을 따라 외측으로 수직돌출된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시 상기 함몰홈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함몰홈 내측면과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구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 말단에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말단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제1 체결구;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 말단에 상기 제1 체결구의 형상과 대응되게 함몰형성된 제2 체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이 합형시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1 체결구가 다른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2 체결구로 내삽되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시 내삽되는 방향측에 관통형성되며,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는 신축배관 또는 멀티관의 내삽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구조.
KR1020200131790A 2020-10-13 2020-10-13 연결 조인트 구조 KR10241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90A KR102417641B1 (ko) 2020-10-13 2020-10-13 연결 조인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90A KR102417641B1 (ko) 2020-10-13 2020-10-13 연결 조인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55A KR20220048655A (ko) 2022-04-20
KR102417641B1 true KR102417641B1 (ko) 2022-07-06

Family

ID=8140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790A KR102417641B1 (ko) 2020-10-13 2020-10-13 연결 조인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6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8157A (ja) * 1998-09-17 2000-03-31 Inax Corp 管体接続構造
KR200390697Y1 (ko) * 2005-04-22 2005-07-22 (주) 영남메탈 배관 보호커버
KR101096809B1 (ko) * 2009-11-23 2011-12-22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파이프의 부식 방지 장치
KR102117915B1 (ko) * 2019-10-07 2020-06-02 이홍구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3647B2 (ja) * 1995-01-27 1998-03-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イプ接続装置
KR101682920B1 (ko) 2015-10-08 2016-12-2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고정브래킷 이동장치를 갖춘 가지배관의 cpvc 접착용 신축배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8157A (ja) * 1998-09-17 2000-03-31 Inax Corp 管体接続構造
KR200390697Y1 (ko) * 2005-04-22 2005-07-22 (주) 영남메탈 배관 보호커버
KR101096809B1 (ko) * 2009-11-23 2011-12-22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파이프의 부식 방지 장치
KR102117915B1 (ko) * 2019-10-07 2020-06-02 이홍구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55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43B2 (en)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JP4241827B2 (ja) フランジを用いた管継手装置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2243874B1 (ko) 관통 체결 유닛
KR102417641B1 (ko) 연결 조인트 구조
JP2007321885A (ja) 継手への二重管の接続構造
JP3682666B2 (ja)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配管の管体構造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KR102417642B1 (ko) 배관 연결용 구조
KR10177810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857027B1 (ko)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JP2008230578A (ja) 燃料タンク装着部品
JP2632102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巻下げ配管ユニット
JP4514053B2 (ja) ヘッダー及びヘッダーの止水方法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200254112Y1 (ko) 스프링클러용 주름관 연결장치
CN109282104A (zh) 连接器及其相关布置结构
JP7419954B2 (ja) ケーブル保護管用継手
KR101917607B1 (ko) 소방용 배관
JP2501303Y2 (ja) 分岐接続管継手の接続構造
JPH1141770A (ja) 接続部への地中埋設管の接続構造
KR10180637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182905Y1 (ko)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KR10207901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JP2022070700A (ja) 管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