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648B1 -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648B1
KR102416648B1 KR1020220005756A KR20220005756A KR102416648B1 KR 102416648 B1 KR102416648 B1 KR 102416648B1 KR 1020220005756 A KR1020220005756 A KR 1020220005756A KR 20220005756 A KR20220005756 A KR 20220005756A KR 102416648 B1 KR102416648 B1 KR 10241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faceted
movable prefabricated
prefabricated mul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돈출
신혜미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이스에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이스에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이스에이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two or more proj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프로젝터 모델에 따른 맞춤형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에 따라 미리 계산된 수치로 제작된 복수의 프레임을 조립하는 형태로 체결하여 최소공간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며, 각 프레임의 복수의 면에 복수의 영상을 고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Movable Prefabricated Multi-Faceted Cave Apparatus for Fixing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 중요해짐에 따라 건설업에서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VR(Virtual Reality) 등을 포함하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기술들의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BIM은 디지털 방식으로 건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확한 가상 모델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BIM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유지 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 모델링이 가능하다. BIM은 설계를 단계별로 지원하고 수동 프로세스보다 효과적인 분석 및 제어가 가능하다. 완성된 가상 모델은 정교한 지오메트리와 건설 기간동안 시공, 제작, 조달 활동 등의 지원을 위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BIM은 건축물을 대상으로 건설사업 전 생애주기 단계의 정보를 모델링하는 것으로 간접 체크, 물량 산출, 공사비산정, 3D 시각화 등을 핵심적으로 다뤄 건축물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BIM 모델을 일반 프로젝터와 컴퓨터 모니터로 활용하는 시각화 방법은 단순 3D 시각화만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VR투자 전망 및 관심도 증가에 따라 안전 교육, 건설 현장 등을 VR로 체험할 수 있는 저렴하고 구축이 편리하며 연동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실시예는 프로젝터 모델에 따른 맞춤형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에 따라 미리 계산된 수치로 제작된 복수의 프레임을 조립하는 형태로 체결하여 최소공간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며, 각 프레임의 복수의 면에 복수의 영상을 고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평면을 형성하며, 조립되는 형태로 체결되어 기 설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가공 프레임; 상기 복수의 평면 중 상기 가공 프레임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후면 투사 스크린; 상기 후면 투사 스크린으로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송출하는 복수의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젝터 모델에 따른 맞춤형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에 따라 미리 계산된 수치로 제작된 복수의 프레임을 조립하는 형태로 체결하여 최소공간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며, 각 프레임의 복수의 면에 복수의 영상을 고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을 고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상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우측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좌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후면 투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측면 투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측면 및 후면 투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 프레임 조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설치 위치 조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투사 스크린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d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원단 고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e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위치 조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f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단 보정 및 형태 조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g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 및 마무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h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i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 투사 스크린으로 컨텐츠 투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HMD 착용 관련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빠른 속도의 화면주사율, 인체 반응 속도, 현실 환경 인식 가능, 1:1 스케일을 통한 공간감을 제공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가공 프레임(110)을 이용하여 복수의 프로젝터(120,130,140,150)에 따른 맞춤형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미리 계산된 수치를 통해 제작되는 프레임으로 최소공간(예컨대, 가로(5,100) × 세로(4,000) × 높이(2,000))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각 프레임별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배럴 왜곡 없는 이동식 몰입형 장비를 제공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다면 케이브 장비, 소프트웨어, 콘텐츠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제공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1:1 스케일의 몰입형 환경에서 개인 또는 여러 사람이 가상 체험 가능하도록 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장소 제약을 최소화하고, 언제 어디서든 재사용 가능하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상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정면 프레임(210), 좌측면 프레임(220), 우측면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정면 프레임(210)은 상면도를 기준으로 직사각형인 ‘□ ’형태를 갖는다. 정면 프레임(210)은 좌측면 프레임(220)과 우측면 프레임(230)과 연결된다. 정면 프레임(210)은 좌측면 프레임(220), 우측면 프레임(230)과 일부 프레임을 공유할 수 있다.
좌측면 프레임(220)은 상면도를 기준으로 직사각형인 ‘□ ’형태를 갖는다. 좌측면 프레임(220)과 정면 프레임(210)과 일부 프레임을 공유할 수 있다. 좌측면 프레임(220)은 후면으로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240)이 연장되고, 측면으로 좌측면 연장 프레임(222)이 연장된다.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240)은 좌측면 프레임(220)은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최좌측면에서 연장된다. 좌측면 연장 프레임(222)으로 좌측면 프레임(220)의 짧은 길이를 갖는 면 중 상면에서 연장된다.
우측면 프레임(230)은 상면도를 기준으로 직사각형인 ‘□ ’형태를 갖는다. 우측면 프레임(230)과 정면 프레임(210)과 일부 프레임을 공유할 수 있다. 우측면 프레임(230)은 후면으로 연장된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250), 측면으로 연장된 우측면 연장 프레임(232)으로 연장된다.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250)은 우측면 프레임(230)의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최우측면에서 연장된다. 우측면 연장 프레임(232)으로 우측면 프레임(230)은 짧은 길이를 갖는 면 중 상면에서 연장된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240)은 좌측면 프레임(220)은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최좌측면에서 연장된다. 좌측면 연장 프레임(222)은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중앙에 좌측면 상단 지지 프레임(262), 좌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64)이 연결된다. 좌측면 상단 지지 프레임(262), 좌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64)은 한 쌍의 지지대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에 좌측면 프로젝터(150)가 배치된다.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250)은 우측면 프레임(230)은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최우측면에서 연장된다. 우측면 연장 프레임(232)은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중앙에 우측면 상단 지지 프레임(272), 우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74)이 연결된다. 우측면 상단 지지 프레임(272), 우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74)은 한 쌍의 지지대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에 우측면 프로젝터(140)가 배치된다.
도 3a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우측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250)은 우측면 프레임(230)은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최우측면에서 연장된다.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250)은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중앙에 우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82), 우측 후면 하단 지지 프레임(284)이 연결된다. 우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82), 우측 후면 하단 지지 프레임(284)은 한 쌍의 지지대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에 제2 정면 프로젝터(130)가 배치된다.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좌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240)은 좌측면 프레임(220)은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최좌측면에서 연장된다.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240)은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중앙에 좌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92), 좌측 후면 하단 지지 프레임(294)이 연결된다. 좌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92), 좌측 후면 하단 지지 프레임(294)은 한 쌍의 지지대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에 제1 정면 프로젝터(120)가 배치된다.
도 4a,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안전 교육, 건설 현장 등을 포함하는 VR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적어도 네 개의 면을 갖는다. 다시 말해,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제1 정면 스크린(152), 제2 정면 스크린(154), 우측면 스크린(156), 좌측면 스크린(158)을 포함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적어도 네 개 이상을 면(정면에 2개, 좌측면에 1개, 우측면에 1개)을 상면도를 기준으로 ‘┎┒’형태로 배치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제1 정면 스크린(152), 제2 정면 스크린(154)을 정면에 배치하고, 우측면 스크린(156)을 우측면에 배치하고, 좌측면 스크린(158)을 좌측면에 배치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기 설정된 사이즈로 형성된 네 개의 면을 각각을 ‘┎┒’형태로 배치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제1 정면 스크린(152)과 좌측면 스크린(158)이 직각(90˚)이 되도록 배치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제2 정면 스크린(154)과 우측면 스크린(156)이 직각(90˚)이 되도록 배치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시청자가 HMD(Head Mounted Display)를 미착용한 상태로 VR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재생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복수의 스크린 후면에서 전면으로 투사하는 후면 투사 방식으로 영상을 송출하면, ‘┎┒’형태를 갖는 복수의 면에 형성된 스크린 각각의 앞면으로 영상이 투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네 개의 스크린 각각에 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측면에 연장된 프레임 상에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2개의 프로젝터를 배치하여 정면 스크린을 향해 후면 투사 방식으로 영상을 송출하도록 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후면에 연장된 프레임 상에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2개의 프로젝터를 배치하여 좌측면 스크린 및 우측면 스크린을 향해 후면 투사 방식으로 영상을 송출하도록 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형태의 각 면에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된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송출한 각각의 화면을 후면 투사 방식으로 스크린의 앞면에서 합쳐져서 하나의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시청자가 3방향으로 하나의 영상이 투사되도록 하여 입체감을 느껴지면서 VR 컨텐츠를 체험하도록 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형태의 각각의 면과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후면 투사 방식 영상을 투사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프레임이 ‘┎┒’ 각 면을 형성한 스크린과 대응되는 프로젝터와 동일한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갖도록 한다.
복수의 프로젝터(120,130,140,150)는 한 쌍의 형태로 설계된 지지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일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프로젝터(120,130,140,150)는 지지 프레임 상에 세로로 설치된다.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후면 투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정면 프로젝터(120)는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제1 정면 스크린(152)으로 후면 투사한다. 제2 정면 프로젝터(130)는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제2 정면 스크린(154)으로 후면 투사한다.
제1 정면 프로젝터(120)와 제2 정면 프로젝터(130)가 투사하는 투사면은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우측면 프로젝터(140)는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우측면 스크린(156)으로 후면 투사한다. 좌측면 프로젝터(150)는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좌측면 스크린(158)으로 후면 투사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복수의 프로젝터(120,130,140,150)를 세로투사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1:1 스케일감 제공을 위하여 인체비율에 근거하여 정확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는 2m 높이제공이 가능하며, 바닥에서의 이격을 최소하기 위하여 세로 투사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 가로 투사의 경우, 바닥면에서 이격해야 하는 필수 거리(예컨대, 158mm)가 존재하여 몰입환경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복수의 프로젝터(120,130,140,150)를 세로 투사하여 바닥과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한다.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측면 투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정면 프레임(210)을 기준으로 중앙에 서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제1 정면 스크린(152), 제2 정면 스크린(154)에서 VR 컨텐츠를 정면에서 재생한다.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100)는 좌측면 스크린(158)에서 VR 컨텐츠를 측면에서 재생하고, 우측면 스크린(156)에도 VR 컨텐츠를 측면에서 재생하여 사용자가 공간감을 느끼도록 한다.
도 5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측면 및 후면 투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정면 프로젝터(120)는 좌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92), 좌측 후면 하단 지지 프레임(294) 상의 일측에 배치되며,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VR 컨텐츠를 제1 정면 스크린(152)으로 후면 투사한다.
제2 정면 프로젝터(130)는 우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82)과 우측 후면 하단 지지 프레임(284) 상의 일측에 배치되며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제2 정면 스크린(154)으로 VR 컨텐츠를 후면 투사한다.
제1 정면 프로젝터(120)와 제2 정면 프로젝터(130)가 투사하는 투사면은 일부 중첩된다.
우측면 프로젝터(140)는 우측면 상단 지지 프레임(272), 우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74) 상의 일측에 배치되며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우측면 스크린(156)으로 VR 컨텐츠를 후면 투사한다.
좌측면 프로젝터(150)는 좌측면 상단 지지 프레임(262), 좌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64) 상의 일측에 배치되며,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좌측면 스크린(158)으로 VR 컨텐츠를 후면 투사한다.
도 6a 내지 도 6i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가능한 공간으로 가공 프레임(110)을 이동시킨 후 가공 프레임(110)을 조립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가능한 공간의 사이즈에 따라 가공 프레임(11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투사 스크린을 가공 프레임(110)에 배치한다. 후면 투사 스크린은 제1 정면 스크린(152), 제2 정면 스크린(154), 좌측면 스크린(158), 우측면 스크린(156)을 포함하며, 가공 프레임(110) 내에 배치된다. 제1 정면 스크린(152)과 제2 정면 스크린(154)은 정면 프레임(2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좌측면 스크린(158)은 좌측면 프레임(2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우측면 스크린(156)은 우측면 프레임(230)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투사 스크린 원단은 가공 프레임(110) 내에 고정된다. 제1 정면 스크린(152)의 스크린 원단과 제2 정면 스크린(154)의 스크린 원단은 정면 프레임(210)의 내측에 고정된다. 제1 정면 스크린(152)의 스크린 원단과 제2 정면 스크린(154)의 스크린 원단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정면 프레임(2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좌측면 스크린(158)의 스크린 원단은 좌측면 프레임(220)의 내측에 고정된다. 좌측면 스크린(158)의 스크린 원단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좌측면 프레임(22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우측면 스크린(156)의 스크린 원단은 우측면 프레임(230)의 내측에 고정된다. 우측면 스크린(156)의 스크린 원단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우측면 프레임(23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투사 스크린이 고정된 가공 프레임(110)을 설치 가능한 공간 내에서 설치 위치를 조정한다.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투사 스크린이 고정된 가공 프레임(110)을 설치 가능한 공간 내에서 원단 보정 및 형태를 조정한다.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프레임(110)을 설치 가능한 공간에 고정 및 마무리한다.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 프레임(220)에 설치된 좌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64)과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240)에 설치된 좌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92)은 동일한 선상에서 교차되며, 좌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64)과 좌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92) 사이에 보강 프레임(610)이 체결된다. 보강 프레임(610)은 좌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64)과 좌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92) 사이에 조립 형태로 체결되어 체결력을 증가시킨다.
우측면 프레임(230)에 설치된 우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74)과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250)에 설치된 우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82)은 동일한 선상에서 교차되며, 우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74)과 우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82) 사이에 보강 프레임(610)이 체결된다. 보강 프레임(610)은 우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274)과 우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282) 사이에 조립 형태로 체결되어 체결력을 증가시킨다.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프레임(110)에 고정된 후면 투사 스크린과의 투사거리, 각도, 투사비율에 따라 미리 계산된 수치상에 복수의 프로젝터를 배치한다.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프레임(110)에 고정된 후면 투사 스크린으로 VR 컨텐츠가 투사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110: 가공 프레임
120: 제1 정면 프로젝터
130: 제2 정면 프로젝터
140: 우측면 프로젝터
150: 좌측면 프로젝터
152: 제1 정면 스크린
154: 제2 정면 스크린
156: 우측면 스크린
158: 좌측면 스크린
210: 정면 프레임
220: 좌측면 프레임
230: 우측면 프레임
222: 좌측면 연장 프레임
232: 우측면 연장 프레임
240: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
250: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
262: 좌측면 상단 지지 프레임
264: 좌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
272: 우측면 상단 지지 프레임
274: 우측면 하단 지지 프레임
282: 우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
284: 우측 후면 하단 지지 프레임
292: 좌측 후면 상단 지지 프레임
294: 좌측 후면 하단 지지 프레임

Claims (5)

  1. 복수의 평면을 형성하며, 조립되는 형태로 체결되어 기 설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가공 프레임;
    상기 복수의 평면 중 상기 가공 프레임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후면 투사 스크린;
    상기 후면 투사 스크린으로 VR(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송출하는 복수의 프로젝터;
    를 포함하되, 상기 가공 프레임은 정면 프레임, 우측면 프레임, 좌측면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정면 프레임은 직사각형인 ‘□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정면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측에 직각형태로 상기 좌측면 프레임이 체결되고, 상기 정면 프레임을 기준으로 우측에 직각형태로 상기 우측면 프레임이 체결되며, 상기 좌측면 프레임, 상기 우측면 프레임, 상기 정면 프레임의 일부 프레임을 공유하는 형태로 체결되며,
    상기 좌측면 프레임은 후면으로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으로 연장되고, 상기 좌측면 프레임은 측면으로 좌측면 연장 프레임으로 연장되고, 상기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은 좌측면 프레임의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최좌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좌측면 연장 프레임으로 상기 좌측면 프레임의 짧은 길이를 갖는 면 중 상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좌측 후면 연장 프레임과 상기 좌측면 연장 프레임 일측에 상기 프로젝터가 배치되고,
    상기 우측면 프레임은 후면으로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이 연장되고, 측면으로 우측면 연장 프레임으로 연장되고, 상기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은 상기 우측면 프레임의 긴 길이를 갖는 면의 최우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우측면 연장 프레임으로 상기 우측면 프레임의 짧은 길이를 갖는 면 중 상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우측 후면 연장 프레임과 상기 우측면 연장 프레임 일측에 상기 프로젝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1 정면 스크린, 제2 정면 스크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면 프레임의 내측면에 따라 우측면 스크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 프레임의 내측면에 따라 좌측면 스크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KR1020220005756A 2021-11-22 2022-01-14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KR102416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1218 2021-11-22
KR1020210161218 2021-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648B1 true KR102416648B1 (ko) 2022-07-06

Family

ID=8240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756A KR102416648B1 (ko) 2021-11-22 2022-01-14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6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105A (ja) * 1995-02-21 1996-09-03 Mori Bill Kk 多面形ディスプレイの作成方法及び装置
JPH1164975A (ja) * 1997-08-13 1999-03-05 Hitachi Ltd 画像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105A (ja) * 1995-02-21 1996-09-03 Mori Bill Kk 多面形ディスプレイの作成方法及び装置
JPH1164975A (ja) * 1997-08-13 1999-03-05 Hitachi Ltd 画像表示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6280A (en) 3D dynamic image production system with automatic viewpoint setting
US5754189A (en) Virtual environm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01262848B1 (ko)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장치
KR101390383B1 (ko)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관리 장치
Stavness et al. pCubee: a perspective-corrected handheld cubic display
CN108806357A (zh) 一种具有评价功能的消防教学训练***
Hirose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CABIN immersive multiscreen display
Creagh 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KR20190080692A (ko) 2d 도면과 bim모델을 기반으로, 건설용 골조 3d도면·3d형상을 생성하고 건설정보를 운용하는 가상·증강현실 시스템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US20060114171A1 (en) Windowed immersive environment for virtual reality simulators
CN107168534B (zh) 一种基于cave***的渲染优化方法及投影方法
CN107809628B (zh) 多方向环幕全覆盖的投影方法、投影仪及投影***
CN107659801B (zh) 交叉布置多方向环幕全覆盖的投影方法、***及投影仪
US10732493B2 (en) Immersive all-in-one PC system
WO2011132205A2 (en) Process for creating earthquake disaster simulation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N106959731B (zh) 沉浸式一体电脑显示器***
CN106023301A (zh) 建筑物信息展示方法和***
KR102416648B1 (ko) 영상을 고정하기 위한 이동형 조립식 다면케이브 장치
Hudák et al. On architecture and performance of LIRKIS CAVE system
KR20180112270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KR20110108713A (ko) 체감형 시뮬레이터 기반의 대규모 인터랙티브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
Horan et al. Feeling your way around a cave-like reconfigurable VR system
JP6253834B1 (ja) 仮想作業表示方法、仮想作業データ作成方法、及び3次元空間けがきデータ作成方法
US11733772B2 (en) Viewing a virtual world through a virtual window
KR20230113881A (ko) 몰입형 가상현실 체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