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950B1 -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950B1
KR102415950B1 KR1020220049751A KR20220049751A KR102415950B1 KR 102415950 B1 KR102415950 B1 KR 102415950B1 KR 1020220049751 A KR1020220049751 A KR 1020220049751A KR 20220049751 A KR20220049751 A KR 20220049751A KR 102415950 B1 KR102415950 B1 KR 10241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hrysanthemum
quince
longan mea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두하
Original Assignee
백두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두하 filed Critical 백두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0Ophthalmic agents for accommodation disorders, e.g. myop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국화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안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백국화 꽃 추출물의 경우 부교감신경작용이 우수하여 노안 치료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항염증 활성도 있어 부교감 신경양 작용제 사용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염증 반응도 개선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노안과 관련된 다양한 의약, 건강식품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국화에 함유된 클로로겐산을 최적의 조건으로 다량 추출하고, 또한 모과와 용안육에 각각 함유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눈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Health functional food for eye comprising mixture of chrysanthemum extract, quince extract, and longan mea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백국화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안 치료용 조성물과,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 곳을 보다가 가까운 사물을 보려면 눈의 굴절력이 변해야 한다. 그러나 각막과 안구 전후의 길이는 변화할 수 없으므로 수정체의 굴절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가까운 사물을 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조절이라고 한다.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가 딱딱해지고 탄력이 떨어지게 되면 이로 인해 조절력이 감소되어 근거리 작업이 장애를 받게 되는데 이를 노안이라고 한다.
노안은 나이가 들어가는 정상적이고 불가피한 효과이며 많은 40대에서 나이가 들었다는 첫 번째 명백한 신호이다. 2005년도의 한 연구는 전세계의 10억명이 넘는 사람들이 노안인 것을 발견하였다. 이 같은 연구는 2050년에 이 숫자가 거의 두 배가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45세 이상의 모든 사람들이 노안으로 간주되는 경우, 2010년에 미국에서만 1억2천2백만명의 사람들이 노안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베이비 붐 세대가 임계 나이에 도달함에 따라, 그 숫자는 더 증가할 것이다.
한편, 눈의 조절 반사는 부교감 신경계에 의해 제어되며 동공의 변화, 수정체 모양의 변화 및 수렴의 세 가지 동작을 포함한다. 동공 괄약근 수축의 메커니즘은 아세틸 콜린이 M3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이는 Gq 계열의 G-protein을 통해 Phospholipase C β (PLC-β)의 활성화로 이어진다. 차례로 활성화된 PLC β는 Phosphatidylinositol biphosphate로부터 D-myo-inositol 1,4,5-triphosphate(IP3) 및 Diacylglycerol(DAG)을 생성하기 시작하며, IP3의 농도 증가는 IP2와 IP1로 빠르게 분해되기 전에 Ca2+ 이온의 방출을 유도한다. Ca2+ 이온은 Endoplasmic Reticulum (ER)에서 방출되고 세포 외 Ca2+ 이온도 유입된다. 결과적으로 Ca2+ 이온 농도의 증가는 동공 괄약근의 평활근에 수축을 일으킨다. 부교감성 콜린성 자극은 초점 깊이를 증가시키고 수정체의 모양과 위치를 변경하며 적응력을 발달시키므로 노안 치료는 동공 크기를 줄이는데 기반을 두고 있다.
다만, 전방 포도막계의 무스카린성 자극에 의한 부교감 신경양 작용제는 만성 염증, 후부 유착증 등을 유발한다. 이러한 부작용은 눈의 조절 반사 기능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또는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일부 추가 약물을 국소 염증 제거를 위해 무스카린 자극과 함께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있어 개선된 노안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은 기초출원(출원번호 제10-2021-0091563호)에 대한 우선권 출원으로, 본 출원 발명의 IPC분류 코드는 기초출원 발명의 IPC분류 코드와 동일한 A61K, A61P 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45147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백국화 꽃 추출물의 부교감신경작용 및 항염증 특성을 밝혀낸 다음, 이러한 추출물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강력한 노안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백국화에 함유된 클로로겐산을 최적의 조건으로 다량 추출하고, 또한 모과와 용안육에 각각 함유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눈 건강에 효과가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백국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안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백국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안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백국화 추출물 100 중량부, 모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부 및 용안육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안육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은 1 : 1.5~2.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국화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백국화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백국화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국화 추출물은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국화 추출물은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과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모과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모과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안육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용안육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정제수에 용안육을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40brix 내지 50brix의 당도를 가지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상기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이 모두 동일한 당도를 가지는 상태에서, 용안육 추출물에 백국화 추출물을 먼저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후 용안육 추출물과 백국화 추출물의 혼합물에 모과 추출물을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국화를 이용하여 일정 조건에서 백국화 추출물을 추출, 여과 및 농축하는 백국화 추출물 제조단계; 모과를 이용하여 일정 조건에서 모과 추출물을 추출, 여과 및 농축하는 모과 추출물 제조단계; 용안육을 이용하여 일정 조건에서 용안육 추출물을 추출, 여과 및 농축하는 용안육 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을 제조하는 식품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백국화 추출물 제조단계에서는 추출용매로 백국화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백국화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백국화 추출물을 추출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시키고, 상기 모과 추출물 제조단계에서는 추출용매로 모과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모과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모과 추출물을 추출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시켜며, 상기 용안육 추출물 제조단계에서는 추출용매로 용안육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정제수에 용안육을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용안육 추출물을 추출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에서는 40brix 내지 50brix의 당도를 가지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되, 상기 혼합물은 백국화 추출물 100 중량부, 모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부 및 용안육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용안육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은 1 : 1.5~2.5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상기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모두 동일한 당도를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용안육 추출물에 백국화 추출물을 먼저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후 용안육 추출물과 백국화 추출물의 혼합물에 모과 추출물을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국화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안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백국화 꽃 추출물의 경우 부교감신경작용이 우수하여 노안 치료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항염증 활성도 있어 부교감 신경양 작용제 사용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염증 반응도 개선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노안과 관련된 다양한 의약, 건강식품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에 의하면, 백국화에 함유된 클로로겐산을 최적의 조건으로 다량 추출하고, 또한 모과와 용안육에 각각 함유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눈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세포 독성 평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효과에 대한 제 1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는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효과에 대한 제 2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백국화꽃과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cyclooxygenase (COX2)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mRNA 발현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백국화꽃과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사이토카인 IL-6, TNFα, IL-1β의 발현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백국화꽃과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MAP kinase 인산화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백국화꽃, 용안육,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IP1 분비능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백국화꽃, 용안육,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Ca2+ 분비능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백국화 추출 용매별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의 함량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백국화 추출 시간별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의 함량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눈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방법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백국화 꽃 추출물의 부교감신경작용 및 항염증 특성을 밝혀낸 다음, 이러한 추출물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강력한 노안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백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안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국화 의 꽃봉오리로,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픈 것, 신경을 지나치게 써서 머리가 아픈 것, 눈이 충혈되고 아픈 것, 위의 열을 제거하여 복통, 소화불량, 입 냄새 제거에 쓰이는 약재이다.
본 발명의 백국화 꽃 추출물은 백국화를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이다. 상기 백국화 꽃 추출물은 백국화의 꽃을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C1내지 C4의 알코올, 헥산(Hexane)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백국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안과용 점안액,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점안제, 주사제 또는 경구 섭취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안제의 경우 점증제, 가용화제, 등장화제 및 pH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점증제는 임상 적용 시 약물이 체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첨가제로서 사용에는 제한이 없으나,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가용화제란 약물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폴리옥실 35 하이드로제네이트 피마자유, 폴록사머 및 폴리소르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등장화제는 점안제 개발 시 체내 세포액과 유사한 삼투압을 나타낼 정도의 분량이 추가될 수 있으며 염화 화합물, 당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생체(안구)에 적용 가능하며 각결막에 손상을 주지 않는 범위의 pH로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로서 무기산 또는 유기산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점막, 정맥 내, 피하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 경로, 질환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부교감신경작용(parasympathomimetic) 및 항염증(anti-inflammatory) 활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세포에 CME를 처리시 IP1 생산 및 Ca2+ 방출이 증가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M3 수용체(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3)를 자극하여 소포체에서 Ca2+ 이온 방출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콜린성/아세틸콜린 수용체 M3로도 알려져 있는 무스카린성수용체 M3는 신체 안의 여러 부위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평활근, 내분비샘, 외분비샘, 폐, 이자, 그리고 뇌에 분포해 있다. M3 수용체는 Gq 단백질과 협업하며 세포 내 칼슘 농도 증가를 통해 평활근의 수축을 야기하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통해 노안 치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는 염증반응에서 급격히 유도되며, 이를 통해 NO(nitric oxide)가 대량으로 합성되므로 염증 반응에 대한 표지자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IL-1β 및 IL-6 분비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IL-1β 및 IL-6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종상, 조직손상 등에 따른 염증반응에 깊이 관여하는 물질이므로 염증 반응에 대한 표지자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꽃 추출물의 농도는 50 내지 500μg/ml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점안제,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 시럽, 현탁제, 유제, 점적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우리 몸은 공기를 들이마셔 숨을 쉬고 음식을 섭취하며 살아가는 과정에서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 작용이 일어나고, 그로 인해 세포가 손상되고 노화가 일어나는 등 다양한 병리적 상황이 일어난다.
클로로겐산은 이런 산화 작용을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로 작용하여 우리 몸의 건강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클로로겐산은 혈압을 낮추는 효능이 있고, 혈당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으며, 뇌졸중 예방 등 심혈관 건강을 돕는 효능이 있다. 또한 클로로겐산은 항염 및 소염 효능이 있고, 체중 감량 다이어트를 돕는 효능이 있으며, 노화 방지 및 노안 치료에 효능이 있다.
일반적으로, 백국화는 이러한 클로로겐산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천연물로, 본 발명에서는 백국화에 함유된 클로로겐산을 최적의 조건으로 다량 추출하고, 또한 모과와 용안육에 각각 함유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 혼합함으로써 눈 건강 기능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모과는 장미과에 속한 교목으로, 소화를 돕고, 근육 통증과 경련을 완화하며, 소염작용으로 기관지염, 관절염 등 염증성 질환을 완화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용안육은 무환자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의 큰 키나무인 용안(Euphoria longan STEUD)의 과육으로, 자양강장과 부종완화에 좋고 불면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발명자는 천연물 중 이러한 백국화, 모과, 용안육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과 부교감신경학제제 효능을 평가하여 해당 추출물들의 이용하여 눈 건강 기능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천연물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 분화능 검증>
1. 세포독성 평가
Raw264.7 대식세포를 24 well plate에 5×104 cells/well로 분주한 다음 시료를 처치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에 다양한 농도에서 각 시료를 처리한 후에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고, 배양 후 생존세포에 MTT (0.5 mg/ml)를 넣고 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생성된 formazan crystal을 DMSO에 녹여 micro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도 1은 세포 독성 평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조사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 농도 500 ug/ml 까지 백국화꽃, 용안육열매, 모과열매에 의한 세포 성장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아 이 세 추출물에 의한 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2.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효과 측정
NO 양의 측정은 마우스의 대식세포 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지시세포로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264.7 세포는 10%의 FBS가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Griess reagent [1% (w/v) sulfanilamide in 5% (v/v) phosphoric acid와 0.1% (w/v) naphtylethylenediamine-HCl]를 이용하여 RAW 264.7 세포로부터 생성된 NO의 양을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서 측정하였다. Griess reagent를 100 ㎕씩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는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효과에 대한 제 1결과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3는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효과에 대한 제 2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실험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국화꽃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O의 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용안육 열매 추출물에 의한 NO농도의 변화는 없었으며 모과열매 추출물의 경우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NO의 증가가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모과에 의한 항염증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백국화꽃과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효과를 재실험하였다.
재실험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실험과 유사하게 백국화꽃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O의 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모과열매 추출물의 경우에도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NO의 감소가 나타났다. 재실험 결과 같은 결과를 얻음에 따라 모과열매 추출물도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3.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 측정
염증반응 (M1 분화, 세포독성, 조직손상)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cyclooxygenase-2 (COX-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NF-α, IL-1β 및 IL-6의 mRNA를 RT-PCR을 수행하여 정량하였다.
도 4는 백국화꽃과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cyclooxygenase (COX2)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mRNA 발현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수행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국화꽃 추출물에 의한 COX-2의 발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iNOS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또한 모과열매 추출물 처리에 의해 COX-2와 iNOS의 변화에 현저한 감소가 일어났다. 따라서 이 두 추출물에 의한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백국화꽃과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사이토카인 IL-6, TNFα, IL-1β의 발현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국화꽃 추출물에 의한 사이토카인 IL-6, TNFα, IL-1β의 발현변화는 발견할수 없었으나 모과열매에 의해 IL-6와 IL-1β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 염증반응에 의한 사이토카인 생산에 대해 모과열매 추출물이 탁월한 효능을 가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4. MAP kinase 신호전달 활성화 측정
천연물 추출물을 Raw264.7 세포에 4시간 동안 처리하고 LPS (100 ng/ml)을 16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를 Protease inhibitor cocktail과 phosphatase inhibitor를 포함한 lysis buffer에 넣어 단백질 농도를 BCA 분석법을 이용해 정량하였다. 세포 분쇄액 내 단백질 20 μg을 SDS gel에 loading하여 전기영동하고 PVDF에 transfer하였다. JNK, p38, ERK와 p-JNK, p-p38, p-ERK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MAP kinase의 인산화를 측정하였다. Enhanced chemiluminescence kit와 Chemiluminescence detection equipment를 이용해 염증반응에 대한 신호전달의 활성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6은 백국화꽃과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MAP kinase 인산화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측정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S 가 처리되었을 때 p38, ERK, JNK의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나 백국화꽃 추출물에 의한 p38, JNK의 인산화에 대한 저해가 농도의존적으로 일어났다.
반면 ERK의 인산화는 오히려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모과열매 추출물은 p38, ERK, JNK의 인산화가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백국화꽃이 MAP kinase의 인산화를 감소시켜 염증반응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교감신경학제제 효능 분석>
1.IP1 accumulation assay
1×104 human lens epithelium cell line (HLE-B3) 세포를 96-well plate의 한 well에 24시간 배양하고 다음날 세포를 IP3 stimulation buffer (10 mM HEPES, 1mM CaCl2, 0.5 mM MgCl2, 4.2 mM KCl, 146 mM NaCl, 5.5 D-glucose, 50 mM LiCl, pH 7.4)에 처리하고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천연물 추출물을 넣고 1시간동안 더 반응시킨 후 세포를 lysis buffer (50 mM HEPES-NaOH pH 7.0, 15 mM KF, 1.5% (v/v), Triton X-100)에 넣고 세포를 분쇄한 후 14 μl를 384-well Optiplates에 옮겼다. 이때 IP3 standard curve도 동시에 측정하였다.
Homogenous time-resolved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reagent (cryptate-labeled anti-IP1 antibody, the d2-labeled IP1 analog,; diluted 20 times in lysis buffer)를 넣고 한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시료를 340 nm excitation시키고 emission을 590과 665 nm에서 Envision multi-label plate rader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IP1 농도는 표준 직선에서 외삽하여 측정하였다.
도 7은 백국화꽃, 용안육,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IP1 분비능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각 추출물을 HLE-B3 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하고 30분, 1시간, 2시간 처리한 후 부교감 신경계의 자극 산물인 IP1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국화꽃 추출물의 경우 모든 처리시간에서 농도 의존적인 IP1의 증가가 발견되었다.
반면 용안육의 경우 고농도 (400~500 μg/ml)에서만 IP1의 생성이 관찰되었으며 모과열매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변화가 없었다. 이 결과로 백국화꽃 추출물은 부교감계신경 자극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Ca 2+ 분석
부교감계신경이 자극되었을 경우 세포 내 IP1 농도가 증가하고 이 영향으로 인하여 소포체에 보관되어 있던 Ca2+ 가 방출되어 세포질에서 Ca2+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질내의 Ca2+를 Fluo-4 direct calcium assay kit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LE-B3 세포를 poly-D-lysine coated 96-well plate에 배양하고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시간별로 상대적인 형광 단위 (relative fluorescence unit)를 측정하였다.
도 8은 백국화꽃, 용안육,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Ca2+ 분비능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각 추출물을 HLE-B3 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하고 시간별로 부교감 신경계의 자극 산물인 Ca2+를 측정한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국화꽃 추출물의 경우 400과 500 μg/ml의 고농도에서 AUC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반면 용안육과 모과열매 추출물에 의한 Ca2+ 분비는 변화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IP1 생성능과 일치하는 것으로, 해당 결과로 백국화꽃 추출물은 부교감계신경 자극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백국화, 모과, 용안육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과 부교감신경학제제 효능에 대한 평가 결과로, 해당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눈 건강 기능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해당 추출물을 이용한 눈 건강 기능 식품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눈 건강 기능 식품은 그 유효성분으로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혼합물은 백국화 추출물 100 중량부, 모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부 및 용안육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백국화 추출물 100 중량부에 모과 추출물 35 중량부 및 용안육 추출물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안육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은 1 : 1.5~2.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용안육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은 1 : 2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데 있어서, 추출용매로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등 다양한 유기용매를 사용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추출의 용이성 및 용매잔류로 인한 제품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각 원료 별로 70% 에탄올, 30% 에탄올, 물 3가지를 사용하여 수득률을 확인하였다.
먼저 백국화의 경우, 그 실험결과,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백국화 추출물의 수득률은 15.52%이고, 3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그 수득률은 12.8%이며,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그 수득률은 9.54%인 것으로 나타난 바,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수득률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과의 경우, 그 실험결과,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모과 추출물의 수득률은 24.8%이고, 3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그 수득률은 19.1%이며,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그 수득률은 17.3%인 것으로 나타난 바, 모과는 백국화와 동일하게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수득률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용안육의 경우, 그 실험결과,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용안육 추출물의 수득률은 29.64%이고, 3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그 수득률은 34.11%이며,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그 수득률은 37.25인 것으로 나타난 바, 용안육은 모과 및 백국화와는 상이하게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수득률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백국화 추출 용매별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의 함량을 보여주는 도이다.
한편, 백국화의 경우 주성분이자 효능성분인 클로로겐산의 함량실험에서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수득률과 동일하게 70%에탄올에서 월등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백국화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데 있어서, 추출시간은 주성분인 클로로겐산을 함유하고 있는 백국화를 기준으로 정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백국화 추출물을 0.5, 1, 2, 3, 4 시간으로 나눠서 추출한 후, 해당 추출물에 함유된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의 함량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백국화 추출 시간별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의 함량을 보여주는 도이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시간이 2시간인 경우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그 이후 시간대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으므로 추출시간을 2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백국화 추출물을 최적의 수득률로 획득하여 클로로겐산의 함량을 다량으로 추출하기 위해, 추출용매로 백국화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백국화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백국화를 70%의 에틸 알코올에 침지한 후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7kg의 백국화를 해당 백국화 중량의 10배인 70L의 70% 에틸 알코올에 침지한 후 80℃의 추출온도 및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과 추출물을 최적의 수득률로 추출하기 위해, 모과를 추출용매인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과를 70%의 에틸 알코올에 침지한 후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5kg의 모과를 해당 모과 중량의 10배인 25L의 70% 에틸 알코올에 침지한 후 80℃의 추출온도 및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용안육 추출물을 최적의 수득률로 추출하기 위해, 용안육을 추출용매인 정제수에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안육을 정제수에 침지한 후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25kg의 용안육을 해당 용안육 중량의 10배인 12.5L의 정제수에 침지한 후 100℃의 추출온도 및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일정 조건의 추출용매와 추출온도로 각각 추출된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각각 여과과정을 거쳐 별도의 저장탱크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각각 200mesh 여과망을 통해 여과될 수 있는데, 천연물 추출물의 특성상 점도가 높아 대기압에서는 여과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해당 여과과정에서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로 여과를 진행함으로써 해당 추출물들의 원활한 여과와 여과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에 각각 저장된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농축과정을 거쳐 농축될 수 있는데, 이러한 농축과정에서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이 각각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농축과정에서는 감압상태를 형성하여 끓는점을 낮춤으로써 60도 이하에서 농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이처럼 감압을 통해 농축온도를 60도 이하로 설정하여 빠른 시간 안에 농축이 가능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파괴에 따른 영양분 손실 및 성상의 변형 등을 예방할 수 있고, 투입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농축 온도와 진공도는 용매의 끓은 점을 고려하여 지정한 수치로, 적정한 압력과 온도로 진행하지 않을 시 농축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거나, 제품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농축과정을 완료한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각각 일정한 당도를 가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각각 40brix 내지 50brix의 당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당도가 40brix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수득률이 너무 낮고 부피가 증가하여 음용이 어려울 수 있고, 또한 당도가 50brix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관리의 용이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당도를 가지는 상태에서, 혼합과정을 거쳐 서로 혼합됨으로써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백국화 추출물 100 중량부, 모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부 및 용안육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백국화 추출물 100 중량부에 모과 추출물 35 중량부 및 용안육 추출물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용안육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은 1 : 1.5~2.5의 중량비로 혼합되되, 바람직하게는 용안육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이 1 : 2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안육 추출물에 백국화 추출물을 먼저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후 용안육 추출물과 백국화 추출물의 혼합물에 모과 추출물을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처럼, 용안육, 백국화, 모과의 순으로 혼합하는 것은 동일한 당도에서 해당 순으로 점도가 높아지므로 낮은 점도의 추출물부터 혼합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혼합과정에는 원활한 혼합 및 살균을 위해 가열을 진행하는데, 이때 가열온도는 90℃로 20~30분간 혼합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결과, 90℃가 아닌 다른 온도로 혼합할 경우보다 90℃가 가장 혼합 및 살균의 효과가 뛰어났고, 20~30분간 혼합을 진행하면 혼합이 잘 되지만, 더 많은 시간을 혼합하는 경우, 에너지만 소모할 뿐 20~30분보다 혼합과 살균에 비효율적이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눈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눈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방법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눈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국화 추출물 제조단계(S10), 모과 추출물 제조단계(S20), 용안육 추출물 제조단계(S30), 혼합물 제조단계(S40) 및 식품 제조단계(S50)를 포함한다.
백국화 추출물 제조단계(S10)는 백국화를 이용하여 일정 조건에서 백국화 추출물을 추출,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백국화 추출물 제조단계(S10)에서는 추출용매로 백국화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백국화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백국화 추출물을 추출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시킬 수 있다.
모과 추출물 제조단계(S20)는 모과를 이용하여 일정 조건에서 모과 추출물을 추출,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모과 추출물 제조단계(S20)에서는 추출용매로 모과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모과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모과 추출물을 추출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시킬 수 있다.
용안육 추출물 제조단계(S30)는 용안육을 이용하여 일정 조건에서 용안육 추출물을 추출,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용안육 추출물 제조단계(S30)에서는 추출용매로 용안육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정제수에 용안육을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용안육 추출물을 추출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시킬 수 있다.
한편, 백국화 추출물 제조단계(S10), 모과 추출물 제조단계(S20), 용안육 추출물 제조단계(S30)은 상기한 순서 외에 다양한 순서로 진행되어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혼합물 제조단계(S40)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혼합물 제조단계(S40)에서는 40brix 내지 50brix의 당도를 가지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되, 상기 혼합물은 백국화 추출물 100 중량부, 모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부 및 용안육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용안육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은 1 : 1.5~2.5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상기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모두 동일한 당도를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용안육 추출물에 백국화 추출물을 먼저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후 용안육 추출물과 백국화 추출물의 혼합물에 모과 추출물을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식품 제조단계(S50)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식품 제조단계(S50)에서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립이나 환 등 다양한 건강 기능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백국화에 함유된 클로로겐산을 최적의 조건으로 다량 추출하고, 또한 모과와 용안육에 각각 함유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눈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S10:백국화 추출물 제조단계
S20:모과 추출물 제조단계
S30:용안육 추출물 제조단계
S40:혼합물 제조단계
S50:식품 제조단계

Claims (14)

  1. 삭제
  2.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백국화 추출물 100 중량부, 모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부 및 용안육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안육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은 1 : 1.5~2.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백국화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백국화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백국화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백국화 추출물은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백국화 추출물은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과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모과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모과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용안육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용안육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정제수에 용안육을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추출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40brix 내지 50brix의 당도를 가지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이 모두 동일한 당도를 가지는 상태에서,
    용안육 추출물에 백국화 추출물을 먼저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후 용안육 추출물과 백국화 추출물의 혼합물에 모과 추출물을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12. 제 2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눈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백국화를 이용하여 일정 조건에서 백국화 추출물을 추출, 여과 및 농축하는 백국화 추출물 제조단계;
    모과를 이용하여 일정 조건에서 모과 추출물을 추출, 여과 및 농축하는 모과 추출물 제조단계;
    용안육을 이용하여 일정 조건에서 용안육 추출물을 추출, 여과 및 농축하는 용안육 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을 제조하는 식품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백국화 추출물 제조단계에서는 추출용매로 백국화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백국화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백국화 추출물을 추출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시키고,
    상기 모과 추출물 제조단계에서는 추출용매로 모과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65% 내지 75%의 에틸 알코올에 모과를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모과 추출물을 추출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시켜며,
    상기 용안육 추출물 제조단계에서는 추출용매로 용안육 중량의 9배수 내지 11배수 중량을 가지는 정제수에 용안육을 침지한 후 1시간 50분 내지 2시간의 추출시간으로 용안육 추출물을 추출하고, 대기압 보다 낮은 감압상태에서 여과한 후, 50℃ 내지 60℃의 농축온도에서 -0.07Mpa 내지 0.09Mpa의 진공도로 농축시키는 눈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에서는
    40brix 내지 50brix의 당도를 가지는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되,
    상기 혼합물은 백국화 추출물 100 중량부, 모과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부 및 용안육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용안육 추출물과 모과 추출물은 1 : 1.5~2.5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상기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모두 동일한 당도를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용안육 추출물에 백국화 추출물을 먼저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후 용안육 추출물과 백국화 추출물의 혼합물에 모과 추출물을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220049751A 2021-07-13 2022-04-21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5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563 2021-07-13
KR20210091563 2021-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950B1 true KR102415950B1 (ko) 2022-07-05

Family

ID=8240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751A KR102415950B1 (ko) 2021-07-13 2022-04-21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95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37A (zh) * 1992-08-05 1993-04-28 马兴源 养目清神口服液的制备方法
CN1267525A (zh) * 2000-03-17 2000-09-27 赵慧 中老年人的护目保健营养粉剂
CN102441072A (zh) * 2010-10-11 2012-05-09 夏陆富 老花眼康复的保健粉剂
KR101447121B1 (ko) * 2014-01-06 2014-10-06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모과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용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20160045147A (ko) 2013-08-28 2016-04-26 프레스바이오피아 세라피스, 엘엘씨 노안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190091768A (ko) * 2018-01-29 2019-08-07 이승찬 성장 촉진용 건강보조식품
CN110101774A (zh) * 2019-05-31 2019-08-09 北京中创视界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中老年老花眼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00086792A (ko) * 2019-01-09 2020-07-20 (주)동의허브앤바이오 성장 촉진 및 눈 건강 개선 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약 제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37A (zh) * 1992-08-05 1993-04-28 马兴源 养目清神口服液的制备方法
CN1267525A (zh) * 2000-03-17 2000-09-27 赵慧 中老年人的护目保健营养粉剂
CN102441072A (zh) * 2010-10-11 2012-05-09 夏陆富 老花眼康复的保健粉剂
KR20160045147A (ko) 2013-08-28 2016-04-26 프레스바이오피아 세라피스, 엘엘씨 노안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1447121B1 (ko) * 2014-01-06 2014-10-06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모과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용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20190091768A (ko) * 2018-01-29 2019-08-07 이승찬 성장 촉진용 건강보조식품
KR20200086792A (ko) * 2019-01-09 2020-07-20 (주)동의허브앤바이오 성장 촉진 및 눈 건강 개선 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약 제제
CN110101774A (zh) * 2019-05-31 2019-08-09 北京中创视界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中老年老花眼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amah A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aqueous extract of Alhagi maurorum
ES2732559T3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extractos ácidos de almáciga
EP2191836B1 (en) Prophylactic or alleviating agent for peripheral nerve disorder induced by anti-cancer agent
KR101986229B1 (ko)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u et al. Third-degree hindpaw burn injury induced apoptosis of lumbar spinal cord ventral horn motor neurons and sciatic nerve and muscle atrophy in rats
JP2007143452A (ja) オートファジー誘導用飲食品
KR101807953B1 (ko)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28602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TW201200137A (en) Use of isoacteosid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n inhibiting formation, accumulation or aggregation of amyloid beta peptides, and in fabrication of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amyloid beta peptide-associated diseases or conditions
WO2008047880A1 (fr) Agent thérapeutique pour la polyarthrite rhumatoïde
KR101219551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1904838A (zh) 藁本内酯在制备防治老年痴呆病症组合物中的应用
KR102415950B1 (ko) 백국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기능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4093B1 (ko) 알러지 유발 물질을 저감시킨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1437323A (zh) 藤茶提取物在防治阿尔茨海默病药物中的应用
JP7317309B2 (ja) オートファジー性細胞死誘導剤
EP1283047B1 (de) Methode zur herstellung einer bioaktiven substanz aus blutserum
KR101638258B1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6266A (ko)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944635A (zh) 氨基噻唑衍生物在制备免疫性炎症药物中的用途
KR20170019399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장애 치료용 조성물
Li et al. Efficacy of albendazole combined with a marine fungal extract (m2-9) against Angiostrongylus cantonensis-induced meningitis in mice
KR20210020818A (ko) 초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감소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4847B1 (ko) 병풀, 벌사상자 및 영하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 또는 신경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524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장애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