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705B1 - Coling and heating vest - Google Patents

Coling and heating v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705B1
KR102415705B1 KR1020190171106A KR20190171106A KR102415705B1 KR 102415705 B1 KR102415705 B1 KR 102415705B1 KR 1020190171106 A KR1020190171106 A KR 1020190171106A KR 20190171106 A KR20190171106 A KR 20190171106A KR 102415705 B1 KR102415705 B1 KR 102415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rm
housing
ves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9040A (en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넥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넥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넥스트
Priority to KR102019017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705B1/en
Publication of KR2021007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0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H01L35/2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2Heat retention or warming using temperature-controll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감 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표면 또는 발열표면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등에 접촉되어 냉감 또는 온감을 발생시키는 냉온감 제어 모듈;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 and warm feeling ves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the cold or warm ai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ack through a heat absorbing surface or a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generate a cold or warm feeling control modul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 and a wear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oling/warming control module and the control unit and worn on the user's upper body.

Description

냉온감 조끼{COLING AND HEATING VEST}Cool and Warm Vest {COLING AND HEATING VEST}

본 발명은 냉온감 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등을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온감을 발생시키는 냉온감 조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ling of coolness and warm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eling of coldness and warmth, which generates a feeling of coolness and warmth by cooling or heating the back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최근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와 함께 기상 이변이 속출하고 있다. 사계절이 뚜렷하였던 우리나라는 점점 게릴라성 집중호우의 빈도가 증가하고있고 한 여름이 길어지며 아열대 기후로 전환 중이라는 우려가 있다. 지난 100년간 지구의 평균 기온은 0.74℃ 상승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배가 넘는 1.5℃가 상승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In recent years, extreme weather events are occurring one after another along with global warming that has been widely progressed. In Korea, which had four distinct seasons, the frequency of guerrilla torrential rains is increasing and there are concerns that midsummer is getting longer and the climate is changing to a subtropical climate. It is reported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earth has risen by 0.74℃ over the past 100 years, and in Korea, it has risen by 1.5℃ more than double.

이러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의류 분야에서는 기후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신체의 온도를 낮추어 신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신체에 냉감을 주는 기능성 의류의 개발이 활발하다.In response to such climate change,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lothing that can effe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in the clothing field. It is actively.

종래에는 상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s)이 내장된 냉장팩 등을 얼려 의류에 부착하고 착용자에게 사용자에게 시원함을 느끼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변화 물질은 상변환이 이루어지는 시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냉동시킨 상태에서 그 사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점차 그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a refrigeration pack having a phase change material embedded therein is frozen and attached to clothing, and the wearer feels cool to the user. However, these phase change materials cannot be used for a long time due to time constraints for phase transformation, and since they are used in a frozen st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ir performance gradually deteriorates as time goes by.

한편, 두 종류의 도체를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도록 하면, 한 쪽의 접점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쪽의 접점에서는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펠티어 효과가 있다.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흡열 또는 발열을 일으키도록 구성한 것이 열전 소자인데, 최근에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냉온감을 수행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작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wo types of conductors are combined and a current flows, one contact point heats up and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other contact point absorbs heat to lower the temperature. A thermoelectric element is a thermoelectric element configured to cause heat absorption or heat generation by using the Peltier effec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4428호 (2005.01.1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04428 (2005.01.12)

본 발명은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등을 냉각 또는 가열함으로써 몸에 냉온감을 느끼며 활동할 수 있는 냉온감 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ling of coolness and warmth in the body b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o cool or heat the user's back, so that he/she can feel cool and warm in the bod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덜미 쪽으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하여 냉온감을 더욱 느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냉온감 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ling of cool and warm vest having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more cool and warm by blowing toward the nape of the user's ne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표면 또는 발열표면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등에 접촉되어 냉감 또는 온감을 발생시키는 냉온감 제어 모듈;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and warm feeling v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ld or warm ai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 through a heat absorbing surface or a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generate a cold or warm feeling. control modul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 and a wear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oling/warming control module and the control unit and worn on the user's upper body.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흡열표면 및 발열표면을 가지는 상기 열전소자; 상기 발열표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열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사용자의 목덜미를 향하여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The cold/warm control module includes: a hous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a heat generating surface; a heat sink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urface; and a blower fan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housing to the outside, and an exhaust hole is formed in the housing toward the nape of the user so that the internal air of the housing can be discharged.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사용자의 목덜미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rib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toward the nape of the user's neck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to protrude outward.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리브가 사용자의 목덜미 쪽에 가깝게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인접하게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lower housing in which the guide rib is formed close to the user's nape; and an upper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and having the discharge hole formed adjacent to the guide rib.

상기 배출홀은 좌우 방향으로 긴 슬릿 형태일 수 있다.The discharge hole may be in the form of a long sli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표면 또는 발열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외부로 전도하는 열전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heat conduction plat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surface or the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conduct cold or warmth to the outside.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conduction plate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열전도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열전도 개구부가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A heat conductio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heat conduction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은 한 쌍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 pair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착용부는 사용자의 양 어깨에 걸쳐지는 밴드 형태로서, 한 쌍의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에서 사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견착부; 및 상기 견착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aring part is in the form of a band that is draped over both shoulders of the user, and a coupling part to which a pair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 is coupled to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between the coupling parts; a shoulder attachm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portion to surround the user's shoulder;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houlder attachment parts.

상기 견착부에는 상기 제어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ulder attachment portion.

상기 제어부의 일면에는 상기 견착부에 착탈하기 위한 클립이 구비될 수 있다. A clip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o the shoulder attachment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상기 착용부는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사용자의 가슴 및 등에 착용되는 상의 형태일 수 있다.The wearing part may be in the form of a top worn on the chest and back of the user so that the cold/warm control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등을 냉각 또는 가열함으로써 몸에 냉온감을 느끼며 활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to cool or heat the user's back, he/she can feel cool and warm in the bod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덜미 쪽으로 송풍이 가능하도록 하여 냉온감을 더욱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low air toward the nape of the user's neck, so that a feeling of coolness and warmth can be further fel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를 구성하는 냉온감 제어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온감 조끼의 반대편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의 착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냉온감 제어 모듈의 개구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냉각 컨트롤러의 측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 and warm control module constituting a cool and warm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eeling of cold and warmth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pposite side of the cold and warm feeling vest shown in FIG. 2 .
4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a cold and warm feeling v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opening of a cold/warm control module;
6 is a side view of the cooling controller;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온감 조끼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cool and warm v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overlapped therewith.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를 구성하는 냉온감 제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온감 조끼의 반대편을 보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eeling of coolness control module constituting a feeling of coolness and warm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feeling of coolness and warm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FIG. 2 It is a view showing the opposite side of the cold and warm vest shown in .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는 열전소자(20)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소자(20)의 흡열표면 또는 발열표면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등에 접촉되어 냉감 또는 온감을 발생시키는 냉온감 제어 모듈(10);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10) 및 상기 제어부(50)가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cold/warm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20, and cold or warm ai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 through the heat absorbing surface or the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to feel cold or a cool/warm control module 10 for generating a sense of warmth;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 10; The cold/warm control module 10 and the control unit 50 may include a wearing part 30 coupled to one side and worn on the user's upper body.

냉온감 제어 모듈(10)은, 하우징(12,16); 상기 하우징(12,16)의 내부에 설치되고, 흡열표면 및 발열표면을 가지는 상기 열전소자(20); 상기 발열표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12,16)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열판(24); 상기 하우징(12,16)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28)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2,16)에는 사용자의 목덜미를 향하여 배출홀(17)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2,16)의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The cool/warm control module 10 includes: housings 12 and 16;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 16) and having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a heat generating surface; a heat sink (24)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 1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urface; and a blower fan 28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housings 12 and 16 to the outside. 16) of the internal air can be exhausted.

신체의 등 뒤 부분에는 신체의 체온을 조절하는 여러가지 혈(血)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는 등에 위치하는 신체의 체온을 조절하는 혈 자리를 냉각 또는 가열함으로써 냉각 또는 가열된 피가 신체를 이동하면서 온 몸이 시원해지는 냉감 또는 온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known that there are various acupoints that control body temperature in the back of the body, and the cold/warm feeling v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ols or heats the acupoints that control body temperature located on the back. As the heated blood moves through the body, the whole body feels cool or warm.

하우징(12,16)은 크게 하부 하우징(12)과 상부 하우징(16)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는 본 실시예에서 일 예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고 하우징(12,16)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좌우로 분리된 형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housings 12 and 16 are largely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lower housing 12 and the upper housing 16 . Of course, this is only presented a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and the housings 12 and 16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combined in a form separated from left and right.

하부 하우징(12)에는 열전도 개구부(14)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열전도 개구부(14)는 하부 하우징(12)의 일부를 대략 사각형태로 절개한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열전도 개구부(14)에는 후술할 열전도판(22)이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A heat conduction opening 14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12 to be opened. The heat conduction opening 14 is a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2 cut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eat conduction plate 22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through the heat conduction opening 14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하부 하우징(12)의 일측에는 가이드 리브(15)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15)는 인접하게 형성된 배출홀(17)과 서로 협력하여 송풍팬(28)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이드 리브(15)는 배출홀(17)로 배출되는 공기가 목덜미 쪽으로 잘 불어나가도록 목덜미 쪽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guide rib 15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12 . The guide rib 15 serves to guide the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28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cooperation with the discharge hole 17 formed adjacently.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rib 15 is formed close to the nape of the neck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7 blows well toward the nape.

상부 하우징(16)은 하부 하우징(1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부 하우징(12)과 결합하여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에는 각종 구성부품들이 설치된다. The upper housing 16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2, and is combined with the lower housing 12 to form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various components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16)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목덜미를 향하여 배출홀(17)이 형성된다. 배출홀(17)은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긴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7)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15)와 함께 협력하여 사용자의 목덜미 쪽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온감 조끼를 착용하여 냉감으로 사용할 때 하우징(16)의 배출홀(17)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사용자의 목덜미 쪽으로 배출되는데, 사용자의 등에서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냉기에 추가하여 목덜미 쪽으로 배출되는 공기로 인해 냉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16)의 상면에는 마감판(18)이 더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discharge hole 1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16 toward the nape of the user's neck. The discharge hole 17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sli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discharge the air. The discharge hole 17 serves to exhaust air toward the nape of the user in cooperation with the guide rib 15 as described abov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7 of the housing 16 is discharged toward the nape of the user when using a feeling of coolness while wearing a feeling of coolness vest. You can feel the cooling effect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a finishing plate 18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6 .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열전소자(20)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전자 소자로서 흡열표면과 발열표면을 갖는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is an electronic element manufactured using the Peltier effect and has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a heat generating surface.

펠티어 효과는 두 종류의 도체를 결합하고 전류를 흘려주면 한 쪽의 접점에서는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쪽의 접점에서는 흡열이 이루어져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이다. 열전소자(20)는 이러한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흡열 또는 발열을 일으키는 전자 소자인데, 알루미나(Al2O3) 등의 세라믹 기판 위에 N형 및 P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열전물질을 형성하여, N형 열전물질 및 P형 열전물질이 전극으로 직렬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현재 열전소자(20)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제작되고 있는데 의류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The Peltier effect is a phenomenon in which, when two types of conductors are combined and current flows, one contact point generates heat and the temperature rises, and at the other contact point, heat is absorbed and the temperature lowers.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is an electronic element that absorbs heat or generates heat by using the Peltier effect. A thermoelectric material made of N-type and P-type semiconductors is formed on a ceramic substrate such as alumina (Al 2 O 3 ) to form an N-type thermoelectric element. It is a general form that the material and the P-type thermoelectric material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an electrode. Current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has been developed and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but it is also produced in a flexible form so as to be applied to clothes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소자(20)의 형태를 한정하지 않고,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한 쪽 면에서는 흡열이 이루어지고 다른 쪽 면에서는 발열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다양한 형태의 열전소자(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is not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thermoelectric elements 20 of a form in which heat is absorbed on one side and heat is generated on the other side when a current is applied may be included. hav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소자(2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무더운 날씨에는 외부로 냉기가 전달되도록 하고 추운 날씨에는 외부로 온기가 전달되도록 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는 주로 냉감을 위한 조끼로 활용이 되는데, 필요에 따라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제어하여 열전소자(20)의 하면(발열표면)을 통해 외부로 온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cold ai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hot weather and warmth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cold weather. That is, the cold and warm v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mainly used as a vest for a sense of cold, and if necessary,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is contro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he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surface (he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 You may.

열전도판(22)은 열전소자(20)의 일면(본 도면에서 하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흡열표면 또는 발열표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외부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열전도판(22)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성의 재질로서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전도판(22)은 열전도 개구부(14)를 통해 하부 하우징(12)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더 냉온감을 잘 느낄 수 있도록 한다. The heat conduction plate 22 is installed to contact one surface (lower surface in this drawing)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 It transfers the cold or warmth of the heat-absorbing surface or the heat-generating surface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heat conduction plate 22 may be a metallic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aluminum, stainless stee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heat conduction plate 22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 through the heat conduction opening 14 so that the user can better feel the cold and warm feeling.

다음으로, 열전소자(20)의 일면에는 방열판(24)이 접촉하게 설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열전소자(20)의 상면에 방열판(24)이 설치된다. 방열판(24)은 열전소자(20)의 발열표면에서 열을 용이하게 발산할 수 있도록 한다. 열전소자(20)의 발열표면에서 효과적으로 열을 방열하여야 흡열표면에서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판(24)은 복수개의 핀이 직립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방열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Next, the heat dissipation plate 24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 In this figure, a heat sink 24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 The heat sink 24 allows heat to be easily dissip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 When heat is effectively radi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efficient cooling can be achieved at the heat absorbing surf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sink 24 is illustrated as having a plurality of fins disposed uprigh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capable of dissipating heat.

방열판(24)의 상부에는 방열 하우징(26)이 설치되고, 하우징(12,16)의 내부의 방열 하우징(26)의 후단에는 송풍팬(28)이 설치된다. 송풍팬(28)은 방열 하우징(26)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방열판(24)을 거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열전소자(20)의 흡열표면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경우 반대면인 발열표면에서는 발열이 이루어지는데, 발열된 공기는 방열판(24)을 거치면서 빠르게 방열되고 방열된 공기는 송풍팬(28)에 의해 배출홀(17)로 배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등으로 냉감을 느낌과 동시에 목덜미 쪽으로 배출되는 방열된 공기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냉감을 느낄 수 있다.A heat dissipation housing 26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24 , and a blower fan 28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heat dissipation housing 26 inside the housings 12 and 16 . The blowing fan 28 serves to inject air into the heat dissipation housing 26 and discharg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plate 24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when cooling is performed on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 heat is gener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eating surface. by the discharge hole 17 . Then, the user can feel the cooling sensation on the back and at the same time feel the cooling sensation more effectively by the radiated air discharged toward the nape of the neck.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착용부(30)는 사용자의 가슴 및 등에 밀착될 수 있도록 양 어깨에 걸쳐지는 밴드 형태를 가진다. 착용부(30)는, 한 쌍의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32); 상기 결합부(32)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34); 상기 결합부(32)의 상부 및 하부에서 사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견착부(36); 및 상기 견착부(36)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wearing unit 30 has a band shape that is draped over both shoulder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and back. The wearing unit 30 includes: a coupling unit 32 to which a pair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s are respectively coupled; a first connection part 34 connecting the coupling parts 32; a shoulder attachment portion 36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portion 32 to surround the user's shoulder;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40 connecting between the shoulder attachment parts 36 .

결합부(32)는 냉온감 제어 모듈(1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냉온감 제어 모듈(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부(32)의 사이에는 제1 연결부(34)가 연결되는데, 제1 연결부(34)는 양측에 각각 배치된 냉온감 제어 모듈(10)를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냉온감 제어 모듈(10)은 도면에서와 같이 한 쌍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등의 좌측 및 우측 부위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냉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The coupling part 32 is a part to which the cool/warm control module 10 is coupled,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ol/warm control module 10 . A first connection part 34 is connected between the coupling parts 32,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34 serves to substantially connect the cold/warm control module 10 dispos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ld and warm control module 1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user can more effectively feel the cool and warm feeling in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back.

결합부(3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견착부(36)가 사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견착부(36)의 단부에는 벨크로부(38)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어깨에 맞게 잡아당긴 후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shoulder attachment portion 36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portion 32 to surround the user's shoulder,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shoulder attachment part 36, a Velcro part 38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attach it after pulling it to fit his or her shoulder.

제2 연결부(40)는 제1 연결부(34)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어깨를 감싸는 견착부(36)의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연결부(40)는 실제로는 사용자의 가슴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된다. The second connection part 4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4 and serves to connect between the shoulder attachment parts 36 surrounding the user's shoulder. The second connection part 40 actually crosses the chest of the us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상에서 살펴본 착용부(30)에 의하면, 사용자가 냉온감 제어 모듈(10) 및 제어부(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 어깨에 착용부(30)를 걸치고 견착부(36)를 조여줌으로써 가슴 및 등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냉온감 제어 모듈(10)이 등에 밀착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효과적으로 냉온감을 느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earing unit 30 described above, the user puts the wearing unit 30 on both shoulders in a state in which the cold/warm control module 10 and the control unit 50 are coupled, and tightens the shoulder attachment unit 36 to reduce the chest and Make sure to keep it close to your back. As such, the cold/warm control module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o that the user can more effectively feel the cold/warm feelin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감 조끼는 사용자의 가슴 및 등에 착용되는 상의 형태일 수 있다. 상의부(60)에는 사용자가 냉감을 느낄 때 열이 외부로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메쉬망(62)이 일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의부(60)의 후면 쪽에는 냉온감 제어 모듈(10)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냉온감 제어 모듈(10)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홀(17)을 통해 내부 공기가 사용자의 목덜미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cold and warm v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a top worn on the chest and back of the user. A mesh network 62 may be partially formed in the upper part 60 so that heat can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when the user feels a cooling sensation. In addition,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 10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part 60 so that only the cool/warm control module 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lso, in this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rnal air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user's neck through the discharge hole 17 .

도 5를 참조하면, 견착부(36)에는 냉온감 제어 모듈(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냉온감 제어 모듈(10)과 제어부(50)는 전선(42)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본 도면에서 제어부(50)는 견착부(36)에 하나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견착부(36) 각각에 2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ulder attachment part 36 . In addition, the cold/warm control module 10 and the controller 50 are connected by an electric wire 42 to electrically transmit signals to each other. In this drawing, the control unit 50 is illustrated as being coupled to the shoulder attachment part 3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shoulder attachment parts 36.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0)에는 엘이디 등으로 표시되는 상태 표시부(52)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전원 버튼(54)이 슬라이딩되게 결합된다. 또한, 제어부(50)의 후면에는 클립(56)이 구비됨으로써 클립(56)을 통해 견착부(36)의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제어부(5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 unit 50 is provided with a status display unit 52 displayed by an LED or the like, and a power button 54 is slidably coupled to the side thereof. In addition, a clip 56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50 so that the control unit 50 can be easily coupled to a desired position of the shoulder attachment part 36 through the clip 56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10 : 냉온감 제어 모듈 12 : 하부 하우징
14 : 열전도 개구부 15 : 가이드 리브
16 : 하부 하우징 17 : 배출홀
18 : 마감판 20 : 열전소자
22 : 열전도판 24 : 방열판
26 : 방열 하우징 28 : 송풍팬
30 : 착용부 32 : 결합부
34 : 제1 연결부 36 : 견착부
38 : 벨크로부 40 : 제2 연결부
42 : 전선 50 : 제어부
52 : 상태 표시부 54 : 전원 버튼
56 : 클립 60 : 상의부
62 : 메쉬망
10: cool and warm control module 12: lower housing
14: heat conduction opening 15: guide rib
16: lower housing 17: exhaust hole
18: finish plate 20: thermoelectric element
22: heat conduction plate 24: heat sink
26: heat dissipation housing 28: blower fan
30: wearing part 32: coupling part
34: first connection part 36: shoulder attachment part
38: Velcro part 40: second connection part
42: wire 50: control unit
52: status display unit 54: power button
56: clip 60: upper part
62: mesh network

Claims (13)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표면 또는 발열표면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등에 접촉되어 냉감 또는 온감을 발생시키는 냉온감 제어 모듈;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열표면 또는 발열표면이 사용자의 등을 향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흡열표면 및 발열표면을 가지는 상기 열전소자;
상기 발열표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열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사용자의 목덜미를 향하여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a cold or warm feeling control module inclu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wherein cold air or warm ai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 through a heat absorbing surface or a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generate a cold or warm feel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 and
The cold and warm control module and the control unit are coupled to one side, and a wearable part worn on the user's upper body so that the heat absorbing surface or the heat generating surface faces the user's back;
The cold and warm control module,
hous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a heat generating surface;
a heat sink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surface;
and a blower fan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housing to the outside;
Cooling and warm feeling v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exhaust hole toward the user's neck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hous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사용자의 목덜미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has a guide rib for guiding a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toward the nape of the user's neck, and a guide rib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리브가 사용자의 목덜미 쪽에 가깝게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인접하게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4. The method of claim 3,
The housing is
a lower housing in which the guide rib is formed close to the user's nape; and
and an upper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and having the discharge hole formed adjacent to the guide ri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좌우 방향으로 긴 슬릿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ling v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hole is a long sli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표면 또는 발열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외부로 전도하는 열전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The method of claim 1,
Cooling and warm feeling ves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 conduction plate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surface or the heat generat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conduct cold or warmth to the out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t conduction plate is cold and warm feeling ves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열전도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열전도 개구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7. The method of claim 6,
Cooling and warm feeling v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conduction opening is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heat conduction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은 한 쌍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d and warm feeling control module is a cold and warm v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사용자의 양 어깨에 걸쳐지는 밴드 형태로서,
한 쌍의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에서 사용자의 어깨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견착부; 및
상기 견착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ing part is in the form of a band that is draped over both shoulders of the user,
a coupling unit to which a pair of the cold/warm control modules are respectively coupled;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between the coupling parts;
a shoulder attachm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portion to surround the user's shoulder; and
A feeling of cold and warmth vest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between the shoulder attachment part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부에는 상기 제어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11. The method of claim 10,
Cooling and warm feeling v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ulder attachment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일면에는 상기 견착부에 착탈하기 위한 클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12. The method of claim 11,
Cooling and warm feeling vest, characterized in that a clip for attaching and detaching from the shoulder attachment port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냉온감 제어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사용자의 가슴 및 등에 착용되는 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감 조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d and warm feeling v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ring part is in the form of an upper worn on the chest and back of the user so that the cool and warm control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KR1020190171106A 2019-12-19 2019-12-19 Coling and heating vest KR102415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06A KR102415705B1 (en) 2019-12-19 2019-12-19 Coling and heating v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06A KR102415705B1 (en) 2019-12-19 2019-12-19 Coling and heating v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40A KR20210079040A (en) 2021-06-29
KR102415705B1 true KR102415705B1 (en) 2022-07-04

Family

ID=7662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106A KR102415705B1 (en) 2019-12-19 2019-12-19 Coling and heating v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7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742A (en) 2023-03-30 2023-08-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ad circulating cold or hot flui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644B1 (en) * 2023-10-13 2024-03-07 조하경 Apparatus for temperature control and clothing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984B1 (en) * 2018-02-05 2019-06-27 주식회사 디자인넥스트 Cooling controlling module, wrist cooling band and wearable coo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20B1 (en) * 2001-06-16 2003-09-26 주식회사 고려인삼금연연구회 Coldness and warmth pack wear-belt
KR100519343B1 (en) 2003-07-02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wearable cooler
KR20100007295U (en) * 2009-01-08 2010-07-16 이상복 electric cool warm ve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984B1 (en) * 2018-02-05 2019-06-27 주식회사 디자인넥스트 Cooling controlling module, wrist cooling band and wearable coo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742A (en) 2023-03-30 2023-08-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ad circulating cold or hot flui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40A (en)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705B1 (en) Coling and heating vest
WO2004070852A3 (en) Peltier cooler integrated with electronic device(s)
KR100666413B1 (en) The air vest with fans and pockets
JP2005023506A (en) Functional clothing using thermoelectric module
CN104224429A (en) Eye massager
JPH09296319A (en) Cooling and heating hat using peltier element
US11045007B2 (en) Foothold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
KR101990984B1 (en) Cooling controlling module, wrist cooling band and wearable coo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29523B1 (en) Facial fomentation device for both coldness and warmth having peltier element
JPH0827610A (en) Headgear furnished with cooling radiator fan
JP6080237B1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clothes
KR102202348B1 (en) Neck cooling band
JPH1181007A (en) Body application material having adjustable heating and cooling capability
KR20190025336A (en) A bag
KR20170027964A (en) Pillow to provide a chill or warmth
KR20210000100U (en) Neck cooler-warmer using peltier element
CN215992832U (en) Labor protection clothes with heat dissipation function for oilfield operation
KR102619435B1 (en) Functional mask with thermoelectric device
JP3142672U (en) Helmet cooling unit
KR200496816Y1 (en) Endothelial Cap Having A Hair Mounting Structure
CN109832703A (en) A kind of cap to freeze
CN219271292U (en) Portable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KR20220161759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lothing
CN213098699U (en) Head-mounted cooling instrument
CN220713014U (en) Head-mounted temperature adju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