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814B1 - disposable mask - Google Patents

disposable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814B1
KR102413814B1 KR1020177033881A KR20177033881A KR102413814B1 KR 102413814 B1 KR102413814 B1 KR 102413814B1 KR 1020177033881 A KR1020177033881 A KR 1020177033881A KR 20177033881 A KR20177033881 A KR 20177033881A KR 102413814 B1 KR102413814 B1 KR 102413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overlapping portion
vertical direction
dim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0961A (en
Inventor
게이 와가스기
아키라 시바타
류이치 가미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9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8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마스크 본체의 변형을 억제하여, 안면 형상을 따르는 만곡형을 나타낼 수 있고,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는 일회용 마스크의 제공. 마스크 본체(20)는, 부직포제의 시트(21)로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귀걸이부(30)의 기단부(31)가 위치하는 상하 단부(22, 23)와, 상하 단부(22, 23) 사이에 위치하는 입덮개부(24)와, 양측 가장자리(20c, 20d)를 따라서 상하 방향(Y)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합부(41)가 배치된 시일 영역(44)을 갖는다. 입덮개부(24)는, 시트(21)가 겹쳐서 포개어진 중첩 부분(29A)으로 이루어진 주름부(28)와, 상하 방향(Y)에서 주름부(28) 사이에 위치하는 비중첩 부분(29B)을 가지며, 비중첩 부분(29B)은, 횡단 중심선(Q)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절곡 유도부(51, 90)를 갖는다. Provision of a disposable mask capable of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mask body to exhibit a curved shape conforming to the shape of the face and giving a clean impression. The mask body 20 is formed of a sheet 21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includes upper and lower ends 22 and 23 in which the base ends 31 of the pair of earring portions 30 are located, and upper and lower ends 22 and 23 . It has a mouth cover part 24 located in between, and the sealing area|region 44 in which the several joining part 41 is arrange|positioned, extending intermittently in the up-down direction Y along both edge|side edge 20c, 20d. The mouth lid portion 24 is a pleated portion 28 composed of an overlapping portion 29A in which the sheets 21 are overlapped, and a non-overlapping portion 29B positioned between the pleated portion 28 in the vertical direction Y. ), and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has bending guide portions 51 and 90 positioned below the transverse center line Q.

Figure R1020177033881
Figure R1020177033881

Description

일회용 마스크disposable mask

본 발명은 일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mask.

특허문헌 1에는, 섬유 부직포제의 시트로 형성된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귀걸이부와,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 시트를 겹쳐 포갠 중첩 부분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주름부(플리츠)를 갖는 일회용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plurality of pleats ( Disposable masks with pleats) are disclosed.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8-55035호 공보(P2008-55035A)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55035 (P2008-55035A)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일회용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칼집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마스크 본체에는, 귀걸이부가 귀부에 걸렸을 때에, 귀걸이부의 기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향하는 마스크 본체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중앙 부분에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칼집 부분에 의해 그것을 분산, 흡수하여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e disposable mask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1, the scabbard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both-side edge of a mask main body. Normally, when the earring part is caught on the ear part, a force to deform the mask body from the base end of the earr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ts on the mask body, but even if the force applied to the central part acts, it is dispersed by the sheath part, It can absorb and suppress deformation.

그러나, 칼집 부분이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귀걸이부의 고정 단부로부터 칼집 부분까지의 이격 거리가 비교적 커져, 귀걸이부의 기단부로부터 칼집 부분에 힘을 전달하여 그것을 분산, 흡수할 수 없고, 기단부와 칼집 부분 사이에서 변형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하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어, 가령 칼집 부분에서 마스크 본체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힘을 분산, 흡수할 수 있다 하더라도, 정면에서 볼 때, 안면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된 것 같은 양태를 이루어, 착용자의 안면이 작게 보이는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없다.However, since the sheath part i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mask body,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xed end of the earring part to the sheath part is relatively large, and it is impossible to distribute and absorb force by transmitting a force from the base end of the earring part to the sheath part, and to dissipate and absorb 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formation may occur between the sheath portions. In addition, both edges of the mask body extend stra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even if, for example, the sheath portion can distribute and absorb the force to deform the mask body, it protrudes from the fac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same manner, it is impossible to give a neat impression that the wearer's face looks small.

본 발명은, 종래의 일회용 마스크를 개량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의 변형을 억제하여, 안면 형상을 따르는 만곡형을 나타낼 수 있고,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는 일회용 마스크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This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conventional disposable mask, It suppresses the deformation|transformation of a mask main body, can show the curved shape which follows a facial shape, and makes it a subject to provide the disposable mask which can give a neat impress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 방향 및 폭방향을 가지며,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횡단 중심선과,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tic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and a transverse center line that bisects the dimens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ask body, and a pair of earrings extending annularly from both edges of the mask body It relates to a disposable mask comprising a part.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본체는, 부직포제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귀걸이부의 기단부가 위치하는 상하 단부와, 상기 상하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입덮개부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합부가 배치된 시일 영역을 가지며, 상기 입덮개부는, 상기 시트가 겹쳐서 포개어진 중첩 부분으로 이루어진 주름부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주름부 사이에 위치하는 비중첩 부분을 가지며, 상기 비중첩 부분은, 상기 횡단 중심선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절곡 유도부를 갖는다. In the disposabl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body is formed of a sheet made of a non-woven fabric, the upper and lower ends where the base ends of the pair of ear-ears are positioned, the mouthpiec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the both edges has a seal region intermittentl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ridge, in which a plurality of joint portions are disposed, wherein the mouth cover portion includes a pleated portion formed of an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sheets are overlapped, and between the pleated por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has a non-overlapping portion positioned, and the non-overlapping portion has a bending guide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transverse center line.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복수의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시일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마스크에서는, 비시일 영역에서 마스크 본체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힘을 분산, 흡수할 수 있다. The bending guide portion is formed by a non-sealed reg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joint portions are not disposed. In such a mask, the force to deform the mask body in the non-sealed region can be dispersed and absorbed.

상기 비시일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는, 상기 복수의 접합부 사이의 상기 상하 방향의 이격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크에서는, 복수의 접합부 사이가 아니라, 비시일 영역에서 확실하게 마스크 본체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힘을 분산, 흡수할 수 있다.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non-sealed region is larger than the vertical spacing dimension between the plurality of joint portions. In such a mask, the force to deform the mask body can be reliably distributed and absorbed in the non-sealed region, not between the plurality of joint portions.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상기 시트의 열용착 부분이며, 상기 폭방향의 치수가 2 mm 이하,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의 이격 치수가 7 mm 이하이기 때문에, 복수의 접합부가 마스크 본체의 측가장자리로부터 크게 이격되지 않는다. 이러한 마스크에서는, 측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부상하도록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joint portions are heat-welded portions of the sheet, and since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2 mm or less and the distance from both edges of the mask body in the width direction is 7 mm or less, the plurality of joint portions are It is not greatly separated from the side edge of the mask body. In such a mask, it can suppress that the edge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from a side edge separates so that it may float from a wearer's face.

상기 비시일 영역은, 상기 시트를 단면 Ω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이격 대향하는 한쌍의 상기 주름부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마스크에서는, 비시일 영역이 주름부 사이에 위치하는 단층 구조를 갖는 비중첩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중첩 부분에서 마스크 본체의 일부를 굴곡시킬 수 있다. The non-sealed region is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wrinkled portion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ed by bending the sheet to have a cross-section Ω-shaped. In such a mask, since the non-sealed region is located in a non-overlapping portion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located between the pleats, a part of the mask body can be bent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상기 마스크 본체는,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주름부와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기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 부분에서, 제2 비시일 영역을 더 갖는다. 이러한 마스크에서는, 제2 비시일 영역도 제1 시일 영역과 함께, 마스크 본체의 일부를 굴곡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The mask body further has a second non-sealed region in a spaced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lowermost wrinkle portion and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ear-ring portion. In such a mask, the second unsealed region, together with the first sealed region, may act to bend a portion of the mask body.

상기 비시일 영역은,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횡단 중심선으로부터 약 2.0∼4.0 mm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크에서는, 비시일 영역이 마스크 본체의 하측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귀걸이부의 기단부를 기점으로 하는 마스크 본체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위로 향하는 힘을 분산, 흡수할 수 있다. The unsealed region is spaced apart from the transverse centerline by about 2.0 to 4.0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such a mask, since the non-sealed region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sk body, it is possible to disperse and absorb an upward force to deform the mask body, starting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ear-ring part.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하 단가장자리와, 상기 상하 단가장자리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가 교차하는 모서리부를 더 가지며, 상기 모서리부는 곡형이다. 이러한 마스크에서는, 모서리부가 곡형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라운딩된 외관을 나타내며, 의장성이 우수하다. The mask body further includes an upper and lower end edge, a corner portion at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 edge and the both sides cross each other, and the corner portion is curved. In such a mask, the corners are curved to show a rounded appearance as a whole, and the designability is excellent.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절결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마스크에서는, 절결부에 의해 마스크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힘을 분산, 흡수하여, 마스크를 안면에 따라서 만곡시킬 수 있다. The bending guide portion is formed by a cutout portion extending in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edges of the mask body. In such a mask, the cut-out portion disperses and absorbs the force to deform the mask, so that the mask can be curved along the face.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마스크에 의하면, 착용 상태에 있어서, 비중첩 부분에서 마스크 본체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힘을 분산,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가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것에 의해, 마스크 본체의 하측 부분이 안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정면에서 볼 때 종래의 마스크에 비교해서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posabl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orn state, since it is possible to disperse and absorb the force to deform the mask body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at both edges of the mask body are separated from the face . Moreover, thereby, the lower part of a mask main body moves toward a face,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mask, when seen from the front, it can give a clean impression.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마스크를 정면에서 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서 절단하고, 마스크의 일방측을 외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III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착용 상태에서의 마스크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착용 상태에서의 마스크의 정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도 6과 동일한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의 도 1과 동일한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rawings represent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 optional and preferred embodiments, as well as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top view which looked at the disposable mask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fro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1 and viewed from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mask.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gion shown in Fig. 2 surrounded by line III;
4 is a side view of the mask in a worn state.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shown in Fig. 4;
7 is a front view of the mask in a worn stat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dentical to Fig. 6 in another embodiment.
Fig. 9 is a plan view similar to Fig. 1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하기의 실시형태는, 도 1∼도 9에 나타내는 일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The following embodiment relates to the disposable mask shown in FIGS.

<제1 실시형태> <First embodiment>

도 1∼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회용 마스크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마스크(10)는, 상하 방향(Y) 및 폭방향(X)을 가지며, 피부 대향면 및 그것에 대향하는 피부 비대향면과, 상하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횡단 중심선(Q)과, 마스크 본체(20)와,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20c, 20d)로부터 연장되는 고리형의 한쌍의 귀걸이부(30)를 포함한다. 1 to 4, the mask 10 shown as an example of the disposable mask of this invention has an up-down direction (Y) and a width direction (X), and has a skin-facing surface and a skin non-facing surface opposing it, and , a transverse center line Q bisecting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Y, the mask body 20, and a pair of annular earring portions 30 extending from both edges 20c and 20d of the mask body 20 ) is included.

마스크 본체(20)는, 섬유 부직포제의 기재 시트(21)로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X)으로 곧게 연장되는 상단 가장자리(20a)와, 하측으로 약간 볼록하게 구부러져 폭방향(X)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20b)와, 상하 단가장자리(20a, 20b) 사이에서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20c, 20d)를 갖는다. 또한, 마스크 본체(20)는, 한쌍의 귀걸이부(30)의 기단부(고정 양단부)(31)가 위치하는 상하 단부(22, 23)와, 상하 방향(Y)에서 상하 단부(22, 23)의 사이에 위치하는, 착용자의 입과 대향하는 입덮개부(중간부)(24)를 더 갖는다. 또한, 마스크 본체(20)는, 상하 단가장자리(20a, 20b)와 양측 가장자리(20c, 20d)가 교차하는 곡형의 모서리부(27)를 갖는다. 모서리부(27)가, 끝이 뾰족하지 않고 곡형을 갖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이 모서리부(27)에 닿더라도 자극을 주지는 않는다.The mask body 20 is formed of a base material sheet 21 made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and has an upper edge 20a extending straight in the width direction (X), and slightly convexly bent downward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It has a lower edge 20b used as the upper and lower edges 20a and 20b and both edges 20c and 20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dge edges 20a and 20b. In addition, the mask body 20 has the upper and lower ends 22 and 23 where the base ends (fixed both ends) 31 of the pair of earring parts 30 are located,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22 and 23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t further has a mouth covering portion (middle portion) 24 positioned between the wearer's mouth and facing. Moreover, the mask main body 20 has the curved corner|angular part 27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 edges 20a, 20b and both side edges 20c, 20d intersect. Because the corner portion 27 has a curved shape without a sharp tip, even if the wearer's face touches the corner portion 27, no stimulation is given.

마스크 본체(20)(마스크(10))의 상하 방향(Y)의 치수(양측 가장자리(20c, 20d)의 길이 치수)(W1)는 60∼100 mm, 폭방향(X)의 치수(상하 단가장자리(20a, 20b)의 길이 치수)(L1)는 140∼180 mm이다. 마스크 본체(20)의 상하 방향(Y)의 치수(L1)가 140 mm 이하인 경우에는, 어른 착용자의 표준 크기의 턱을 충분히 피복할 수 없고, 폭방향(X)의 치수(L1)가 180 mm 이상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입덮개부(24)의 비중첩 부분(29B)에서 마스크 본체(20)를 굴곡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The dimension (length dimension of both edges 20c, 20d) W1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mask body 20 (mask 10) is 60 to 100 mm, and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X (top and bottom ends) The length dimension of the edges 20a, 20b) L1 is 140 to 180 mm. When the dimension L1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mask body 20 is 140 mm or less, it is not possible to sufficiently cover the chin of an adult wearer's standard size, and the dimension L1 in the width direction (X) is 180 mm In the above case, there is a fear that the mask body 20 cannot be bent at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of the mouth cover portion 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마스크 본체(20)를 형성하는 기재 시트(21)는,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내층 시트(25)와,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외층 시트(26)로 구성되어 있다. 내층 시트(25)와 외층 시트(26)는, 마스크 본체(2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외주 시일 영역(40)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외주 시일 영역(40)은, 그 연장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41)로 형성된다. 외주 시일 영역(40)은, 마스크 본체(20)의 상단 가장자리(20a)를 따라서 폭방향(X)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2개의 라인으로 이루어진 상측 시일 영역(42)과, 하단 가장자리(20b)를 따라서 폭방향(X)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하측 시일 영역(43)과, 양측 가장자리(20c, 20d)를 따라서 상하 방향(Y)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시일 영역(시일 영역)(44)을 갖는다. The base material sheet 21 forming the mask body 20 is comprised from the inner-layer sheet 25 locat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nd the outer-layer sheet 26 located on the skin-non-facing surface side. The inner layer sheet 25 and the outer layer sheet 26 are joined to each other by an outer peripheral seal region 40 intermittently extend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mask body 20 . The outer periphery seal region 4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joint portions 41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mens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of. The outer periphery seal region 40 includes an upper seal region 42 consisting of two lines intermittently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along the upper edge 20a of the mask body 20, and a lower edge 20b. Accordingly, it has a lower seal region 43 intermittently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and a side seal region (seal region) 44 intermittentl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long both edges 20c and 20d. .

내층 시트(25)와 외층 시트(26)는, 예컨대,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질량 10∼40 g/m2의 통기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 시트이며, 멜트 블로운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 SMS 섬유 부직포 및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의 섬유 부직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층 시트(25)에는, 촉감이 양호한 섬유 부직포, 외층 시트(26)에는, 비교적 시트 강도가 강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하지 않지만, 이들 사이에 미립자의 필터 기능을 갖는 시트를 개재시켜도 좋다. 귀걸이부(30)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것이며, 부직포나 직포, 플라스틱 필름, 고무끈 등의 공지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The inner layer sheet 25 and the outer layer sheet 26 are, for example, a fibrous nonwoven fabric sheet having a mass of 10 to 40 g/m 2 containing heat-sealable fibers and air permeability, a melt blown fiber nonwoven fabric, a spunbond fiber nonwoven fabric, It can be formed of various well-known fiber nonwoven fabrics, such as SMS fiber nonwoven fabric and air-through fiber nonwoven fabric.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good tactile feel for the inner layer sheet 25 and a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a relatively strong sheet strength for the outer layer sheet 26. Although not shown, a sheet having a filter function of fine particles is interposed therebetween. You may intervene. The earring part 30 is preferably elastically expandable and stretchable, and is formed of a known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a woven fabric, a plastic film, or a rubber string.

외주 시일 영역(40)은, 단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합부(41)에서 내층 시트(25)와 외층 시트(26)를 서로 용착하는 용착 시일 라인이며, 양 시트(25, 26)는 외주 시일 영역(40)에서만 접합되고, 다른 부분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양 시트(25, 26)의 내면 전체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마스크(10) 전체는 유연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다. The outer periphery seal region 40 is a welding seal line for welding the inner layer sheet 25 and the outer layer sheet 26 to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intermittently arranged joint portions 41, and both sheets 25 and 26 are the outer periphery seal regions. It is joined only at (40), and is not joined to each other in other parts.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ntire inner surface of both sheets 25 and 26 is bonded to each other, the entire mask 10 has excellent flexibility and air permeability.

도 3을 참조하면, 외주 시일 영역(40)의 접합부(41)는, 한쌍의 짧은 변과 한쌍의 긴 변으로 구획된 대략 장방형상이며, 상측 시일 영역(42)과 하측 시일 영역(43)에서는, 긴 변이 폭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접합부(41)가 배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되는 2개의 시일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측 시일 영역(42)의 시일 라인 사이의 상하 방향(Y)의 이격 치수는, 하측 시일 영역(43)의 시일 라인 사이의 상하 방향(Y)의 이격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사이드 시일 영역(44)은, 복수의 접합부(41)로 구성된 외측 라인(44A)과, 입덮개부(24)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접합부(41)로 구성된 내측 라인(44B)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시일 영역(44)은, 내측 라인의 접합부(41)와 외측 라인의 접합부(41)가 폭방향(X)에서 나란히, 사이드 시일 영역(44) 중에서 가장 접합 강도가 강한 광폭 접합부(45)를 갖는다. 또한, 외측 라인(44A)의 접합부(41) 사이의 이격 치수(피치)는, 입덮개부(24)의 하방측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되어 있고, 사이드 시일 영역(44)은, 접합부(4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1 비시일 영역(절곡 유도부)(51)과, 광폭 접합부(45)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비시일 영역(52)을 더 갖는다. Referring to FIG. 3 , the joint portion 41 of the outer periphery seal region 4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divided by a pair of short sides and a pair of long sides, and in the upper seal region 42 and the lower seal region 43 , , the junction part 41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a long side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X, and two seal lines extended in the up-down direction Y are formed. In addition, the separation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Y between the seal lines of the upper seal region 42 is larg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Y between the seal lines of the lower seal region 43 . The side seal region 44 is formed by an outer line 44A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joint portions 41 and an inner line 44B constituted by two joint portions 41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uth lid portion 24 . has been In the side seal region 44, the junction part 41 of the inner line and the junction part 41 of the outer line are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X, and the wide junction part 45 with the strongest bonding strength among the side seal regions 44 is formed. have In addition, the spacing dimension (pitch) between the joint portions 41 of the outer line 44A is larger than the other portions on the lower side of the mouth lid portion 24 , and the side seal region 44 is formed at the joint portion 41 . ) further includes a first unsealed area (bending guide portion) 51 not disposed thereon, and a second unsealed area 52 positioned below the wide bonding portion 45 .

도 2를 참조하면, 상측 시일 영역(42)의 시일 라인 사이에는, 폭방향(X)으로 연장되는 탄성대편(60)이 배치되어 있다. 탄성대편(60)은, 내층 시트(25)와 외층 시트(26)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측 시일 영역(42)을 형성하는 2개의 시일 라인 사이에 형성된 통형상의 공간 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탄성대편(60)의 양단의 폭방향의 외측에는, 탄성대편(60)의 폭방향(X)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접합부(41C)가 배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 an elastic large piece 60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is disposed between the seal lines of the upper seal region 42 . The elastic counterpiece 6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layer sheet 25 and the outer layer sheet 26 , and specifically, sandwiched in a cylindrical space formed between two seal lines forming the upper seal region 42 . It is fix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elastic large piece 60, a joint portion 41C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elastic large piece 60 in the width direction X is disposed.

내층 시트(25)의 상하 단가장자리는, 외층 시트(26)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상하 방향(Y)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부(25a, 25b)가 상하 방향(Y)의 내측으로 곡형으로 절곡되어, 상측 시일 영역(42)과 하측 시일 영역(43)에 의해 외층 시트(26)의 비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20)의 하단 가장자리(20b)는, 그 연장부(25b)가 곡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하측을 향해 완만하게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곡형의 하단 가장자리(20b)와 마스크 본체(20)의 곡형의 모서리부(27)가 맞물려, 마스크(10)는 전체적으로 라운딩된 외관을 나타낸다. The upper and lower end edges of the inner layer sheet 25 extend out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from the lower edge of the outer layer sheet 26, and the extension portions 25a and 25b are curved i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is fixed to the non-facing side of the outer layer sheet 26 by the upper seal region 42 and the lower seal region 43 . In addition, the lower edge 20b of the mask main body 20 has the shape which curves gently toward the lower side when the extension part 25b is bent in a curved shape. The curved lower edge 20b and the curved edge portion 27 of the mask body 20 engage, so that the mask 10 exhibits a generally rounded appearance.

귀걸이부(30)는,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2)와 하단부(23)에 위치하는 한쌍의 고정 단부(기단부)(31)와, 고정 단부(31) 사이에서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자유부(32)를 갖는다. 기단부(31)는, 각각, 마스크 본체(20)의 상하 단부(22, 23)에 용착되어 있고, 상하 단부(22, 23)에는, 기단부(31)를 고정하는 직사각형의 시일 영역(34)이 형성되어 있다. 시일 영역(34)은, 기단부(31)의 외형보다 한층 큰 직사각형을 갖는다. 시일 영역(34)이, 기단부(31)의 외형보다 큰 것에 의해, 기단부(31)는 마스크 본체(20)에 대하여 필요한 박리 강도를 가지며, 착용중에 기단부(31)에 그것을 박리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용이하게 박리되지는 않는다.The earring part 30 is a pair of fixed ends (base ends) 31 positioned on the upper end 22 and the lower end 23 of the mask body 20, and the freedom extending in an annular shape between the fixed end 31 . It has a part 32 . The base end 31 is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22 and 23 of the mask body 20,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22 and 23 have rectangular seal regions 34 for fixing the base end 31 . is formed The seal region 34 has a rectangle one size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base end 31 . Because the seal area 34 is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base end 31, the base end 31 has a peeling strength necessary for the mask body 20, and a force to peel it off the base end 31 is applied to the base end 31 during wearing. Even so, it does not peel off easily.

도 1∼도 3을 참조하면, 하측 시일 영역(43)은, 마스크 본체(20)의 하단 가장자리(20b)를 따라서 곡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양단부는 하단부(23)에 위치하는 시일 영역(34)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시일 영역(44)은, 상단부(22)에 위치하는 시일 영역(34)과 하단부(23)에 위치하는 시일 영역(34)과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 시일 영역(44)의 접합부(41)와 하측 시일 영역(43)의 접합부(41)가, 마스크(10)를 평면에서 봤을 때, 시일 영역(34)과 서로 중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일 영역(34)에서는, 시트의 용착 부분이 집중적으로 접합 강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강성이 비교적 높아져 피부에 닿으면 강하게 자극을 줄 우려가 있지만, 시일 영역(34)이 위치하는 모서리부(27)가 R 형상이기 때문에, 피부에 닿더라도 강하게 자극을 줄 우려는 없다. 1 to 3 , the lower seal region 43 extends along the lower edge 20b of the mask body 20 in a curved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the seal region 34 positioned at the lower end 23 . ) has been extended to Moreover, the side seal area|region 44 overlaps with the seal area|region 34 located in the upper end part 22, and the seal area|region 34 located in the lower end part 23, and is located. Therefore, the joint part 41 of the side seal area|region 44 and the joint part 41 of the lower seal area|region 43 overlap with the seal area|region 34 mutually when the mask 10 is planarly viewed. Therefore, in the seal region 34, not only the welded portion of the sheet intensively increases the bonding strength, but also the rigidity is relatively high and there is a risk of strong irritation when contacted with the skin. Since (27) is R-shaped, there is no fear of strongly stimulating the skin even if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마스크 본체(20)의 입덮개부(24)는, 기재 시트(21)를 플리츠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폭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부(28)를 갖는다. 주름부(28)는, 상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마스크 본체(20)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위쪽으로 볼록한 제1∼제3 주름부(28A∼28C)와, 제3 주름부(28C)의 하측에서 아래쪽으로 볼록한 제4 주름부(28D)를 갖는다. 기재 시트(21)는, 제3 주름부(28C)와 제4 주름부(28D)에서 단면이 Ω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입덮개부(24)는, 이러한 플리츠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에 의해, 기재 시트(21)가 겹쳐서 포개어져 그것이 복수로 적층된 중첩 부분(29A)과, 제3 주름부(28C)와 제4 주름부(28D)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 시트(21)가 겹쳐서 포개어지지 않은 단층 구조를 갖는 비중첩 부분(29B)을 갖는다. 사이드 시일 영역(44)의 접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1 비시일 영역(51)은, 입덮개부(24)의 비중첩 부분(29B)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비시일 영역(52)은, 제4 주름부(28D)로부터 기단부(31)가 위치하는 하단부(23)까지 연장되어 있다. The mouth cover portion 24 of the mask body 20 has a plurality of pleats 28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formed by bending the base sheet 21 into a pleat shape. The pleats 28 are, in order from the top, the first to third pleats 28A to 28C convex upward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of the mask body 20, a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hird pleat 28C. It has a fourth wrinkle portion 28D convex downward. The base sheet 21 is bent in a Ω shape in cross section at the third pleats 28C and the fourth pleats 28D. The mouth lid part 24 is subjected to such pleat processing, so that the base material sheets 21 are superimposed on top of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overlapping portions 29A, the third pleats 28C and the fourth pleat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The base sheet 21 positioned between the portions 28D has a non-overlapping portion 29B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that is not overlapped. The first unsealed region 51 in which the junction portion of the side seal region 44 is not disposed is located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of the mouth lid portion 24 . Further, the second non-sealed region 52 extends from the fourth pleat 28D to the lower end 23 where the base end 31 is located.

도 4∼도 6을 참조하면, 마스크(10)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비중첩 부분(29B)에서는, 그 일부가 전후 방향에서 겹쳐서 포개어지도록 굴곡되고, 비중첩 부분(29B)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측 부분(70)이 착용자의 안면 형상을 따르도록 후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중첩 부분(29B)은, 마스크(10)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안면에 면형으로 접하도록 절곡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의 상하 방향(Y)의 치수(W1)가 작아졌다.4 to 6, in the wearing state of the mask 10,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a portion thereof is bent so as to overl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 tha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The lower part 70 is moving backwards to follow the shape of the wearer's face. Specifically,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s bent so as to be in planar contact with the face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mask 10 , and has a dimension W1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both edges of the mask body 20 . has become smaller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10)를 착용할 때에는, 귀걸이부(30)를 착용자의 귀부에 건 상태에 있어서, 귀걸이부(30)가 비스듬히 후방으로 인장되는 것에 의해,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하 방향(Y)으로 향하는 그것을 변형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20)의 상단부(22)에서는 귀걸이부(30)의 기단부(31)로부터 아래로 향하는 힘(F1)이 작용하고, 하단부(23)에서는 기단부(31)로부터 위로 향하는 힘(F2)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Y)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향하는 힘(F1, F2)이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에 작용함으로써,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가 안면으로부터 부상하여, 간극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착용 상태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는 만곡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아래로 향하는 힘(F1)은, 양측 가장자리의 형상을 따라서 비스듬히 하측으로(위로 향하는 힘(F2)은 비스듬히 상측으로) 작용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5 , when wearing the mask 10 , in a state in which the earring unit 30 is attached to the wearer's ear, the earring unit 30 is stretched obliquely backward, so that the mask body 20 is At both edges, a force to deform it in the up-down direction (Y) acts. Specifically, at the upper end 22 of the mask body 20, a downward force F1 from the proximal end 31 of the earring unit 30 acts, and at the lower end 23, the upward force from the proximal end 31 (F2) works. In this way, as the forces F1 and F2 dir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ct on both edges of the mask body 20, both edges of the mask body 20 rise from the face, which may cause a gap there is Moreover, in a wearing state, since the both sides edge of the mask main body 20 has comprised the curved shape, the downward force F1 is diagonally downward along the shape of both sides edge (upward force F2 is obliquely) upward) is working.

또한, 통상의 마스크에서는, 양측 가장자리가 곧게 연장된 직사각형을 가지며, 마스크 본체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에서 폭치수가 동일하다. 한편, 착용자의 안면은, 아래쪽 볼에 있어서 위쪽 볼에 비해 폭치수가 작아졌기 때문에, 아래쪽 볼을 피복하는 마스크 본체의 하측 부분은, 안면으로부터 가로로 돌출된 형태가 되어, 안면과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웠다. 또한, 마스크 본체의 하측 부분이 이와 같이 가로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정면에서 볼 때, 착용자의 아래쪽 볼 전체가 완전히 피복된 상태가 되어, 착용자의 안면이 실제 사이즈보다 큰 것 같은 인상을 줄 우려가 있었다. Moreover, in a normal mask, it has a rectangle in which both edges extend straight, and the width dimension is the same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a mask main bod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wearer's face has a smaller width in the lower cheek than in the upper cheek, the lower part of the mask body covering the lower cheek becomes horizontally protruding from the face, and both sides of the face and the mask body It was easy to create gaps between the edges. In addition, when the lower part of the mask body protrudes horizontally in this way,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entire lower cheek of the wearer is completely covered, and there is a risk of giving the impression that the wearer's face is larger than the actual size there was.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0)에서는, 비중첩 부분(29B)에서 하단부(23)의 기단부(31)로부터 위로 향하는 힘(F2)을 흡수, 분산함으로써, 이러한 위로 향하는 힘(F2)과 상단부(22)의 기단부(31)로부터 아래로 향하는 힘(F1)이 서로 상반되게 작용하여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가 안면으로부터 부상하도록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비중첩 부분(29B)은, 위로 향하는 힘(F2)을 분산, 흡수함으로써, 상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마스크 본체(20)의 피부 대향면측을 향해 절곡되고, 그 일부가 전후 방향에서 중복되어 플리츠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10)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비중첩 부분(29B)으로 신전(伸展) 가능한 플리츠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하 방향(Y)의 치수가 줄어들어, 마스크 본체(20)가 안면 형상을 따르는 만곡형을 나타낸다. In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absorbing and dispersing the upward force F2 from the proximal end 31 of the lower end 23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the upward force F2 and the upper end ( 22) from the proximal end 31 of the downward force (F1) acts opposite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both edges of the mask body 20 from being spaced apart so as to float from the face.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s bent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mask body 20 so as to be convex upward by dispersing and absorbing the upward force F2, and a part thereof overlap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form pleats. are doing In this way, in the wearing state of the mask 10, by forming the stretchable pleats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both edges of the mask body 20 are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dimension. , the mask body 20 exhibits a curved shape following the shape of the face.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20)의 하단 가장자리(20b)는, 하측으로 약간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갖기 때문에, 그것이 폭방향(X)으로 곧게 연장되는 경우에 비하여,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귀걸이부(30)의 기단부(31)는, 하단 가장자리(20b)와 상하 방향(Y)에서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단부(31) 근방이 귀걸이부(30)의 인장 응력에 의해 안면에 피트되는 한편, 그것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양측 가장자리의 제2 하측 부분(72)은, 마스크(10)의 외관에 있어서, 안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비스듬히 전방으로 돌출된 것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비중첩 부분(29B)으로부터 기단부(31)까지 연장되는 제1 하측 부분(71)이 안면을 향하여 피트되는 한편, 기단부(31)로부터 하단 가장자리(20b)까지 연장되는 제2 하측 부분(72)이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비스듬히 전방으로 입체적으로 돌출된 것 같은 양태가 되기 때문에, 마스크(10)를 정면에서 볼 때, 마스크 본체(20)의 하측 부분(70) 전체가 폭이 좁아져 안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마스크 본체(20)에 안면 전체가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착용자의 안면이 작은 것 같은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since the lower edge 20b of the mask body 20 has a shape slightly convexly curved downward, compared to the case where it extends straight in the width direction X, the mask body 20 The proximal end 31 of the earring part 30 positioned at both edges of th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dge 20b in the vertical direction (Y). For this reason, while the vicinity of the base end 31 is fitted to the face by the tensile stress of the ear-ring portion 30, the second lower portions 72 of both edges located below it are on the outer appearance of the mask 10. Therefore, it is in a state as if it is spaced apart from the face and protrudes obliquely forward. As such, the first lower portion 71 extending from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to the proximal end 31 is fitted toward the face, while the second low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proximal 31 to the lower edge 20b ( 72) is obliquely protruded forward three-dimensional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ace, so when the mask 10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entire lower portion 70 of the mask body 20 is narrowed in width A portion of the face is exposed, an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ntire face is covered by the mask body 20 , it is possible to give a neat impression that the wearer's face is small.

예컨대, 위로 향하는 힘(F2)의 기점이 되는 귀걸이부(30)의 기단부(31)와 강성 변화점인 비중첩 부분(29B)의 이격 치수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힘(F2)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아, 안면의 움직임 등의 영향에 의해 마스크 본체(20)가 비중첩 부분(29B)에서 굴곡되지 않고 다른 부분에서 굴곡되고, 마스크 본체(20)의 하측 부분(70)을 변형시킬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0)에서는, 비중첩 부분(29B)이 하단부(23)의 기단부(31) 근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힘(F2)이 비중첩 부분(29B)에 충분히 작용하여, 그것을 굴곡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roximal end 31 of the ear-ring portion 30,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upward force F2, and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which is the point of change in stiffness, is relatively large, the force F2 does not sufficiently act. Therefore, the mask body 20 is not bent in the non-overlapping part 29B but is bent in another part due to the influence of facial movement, etc., and the lower part 70 of the mask body 20 cannot be deformed. In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roximal end 31 of the lower end 23, the force F2 sufficiently acts o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thereby can be bent.

이와 같이, 비중첩 부분(29B)에서 힘(F2)을 분산, 흡수하여 굴곡 기점으로 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본체(20)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20)의 상하 방향(Y)의 치수가 약 60∼100 mm인 경우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20)의 횡단 중심선(Q)으로부터 상하 방향(Y)에서 약 2.0∼4.0 mm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단 중심선(Q)으로부터의 비중첩 부분(29B)의 상하 방향(Y)에서의 이격 치수(R3)가 약 2.0∼4.0 mm인 것에 의해, 귀걸이부(30)의 기단부(31)로부터 위로 향하는 힘(F2)이 비중첩 부분(29B)에서 분산, 흡수되어, 착용 상태에 있어서 그것을 기점으로 하여 굴곡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in order to disperse and absorb the force F2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and set it as a bending origin, it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sk body 20 , and specifically, the In the case where the dimension in the up-down direction (Y) is about 60 to 100 mm,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verse center line (Q) of the mask body 20 by about 2.0 to 4.0 mm in the up-down direction (Y). Since the distance R3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from the transverse center line Q is about 2.0 to 4.0 mm, the upward force from the proximal end 31 of the earring portion 30 is (F2) is dispersed and absorbed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and can be bent by using it as a starting point in a worn stat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비중첩 부분(29B)에서 입덮개부(24)의 일부를 굴곡시키기 위해서는, 비교적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강성을 높이는 사이드 시일 영역(44)의 접합부(41)가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중첩 부분(29B)에 있어서, 접합부(41)가 배치되지 않은 제1 비시일 영역(51)이 위치함으로써, 그것이 절곡 유도부로서 작용하여, 비중첩 부분(29B)의 강성은 소정의 비교적 낮은 강성을 가지며, 보다 확실하게 위로 향하는 힘(F2)을 흡수, 분산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제1 비시일 영역(51)의 상하 방향(Y)의 치수(L3)가, 사이드 시일 영역(44)의 복수의 접합부(41) 사이의 이격 치수(피치)(R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L3)가 이격 치수(R2)와 동등 또는 그것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 비시일 영역(51)이 아니라, 사이드 시일 영역(44)에서의 접합부(41) 사이의 이격 부분에서 위로 향하는 힘(F2)이 흡수, 분산되어 굴곡될 우려가 있고, 마스크 본체(20) 전체를 소정 형상으로 만곡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Referring back to FIG. 3 , in order to bend a portion of the mouth cover portion 24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t is preferable that the rigidity is relatively low, and the joint portion 41 of the side seal region 44 to increase the rigidity is formed. It is preferable not to place them.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since the first non-sealing region 51 in which the joint portion 41 is not disposed is located, it acts as a bending guide portion, so that the rigidity of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s It has a predetermined relatively low rigidity, and can absorb and disperse the upward force F2 more reliably. In order to exhibit such an effect, the dimension L3 of the up-down direction Y of the 1st non-sealed area|region 51 is the space|separation dimension (pitch) R2 of the some junction part 41 of the side-sealed area|region 44. ) is preferred. When the dimension L3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pacing dimension R2 , the upward force is not in the first unsealed region 51 , but at the spacing between the abutments 41 in the side seal region 44 . It is becaus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F2) may be absorbed and disperse|distributed,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bending,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mask main body 20 whole may not be able to curve into a predetermined shape.

구체적으로는, 제1 비시일 영역(51)은, 비중첩 부분(29B)의 상하 방향(Y)의 치수보다 크고, 그 상하 방향(Y)의 치수(L2)는 약 8∼1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비시일 영역(51)과 비중첩 부분(29B)의 상측에 위치하는 중첩 부분(29A)이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는 부분(75)의 상하 방향(Y)의 치수(L5)는, 약 1∼3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비시일 영역(51)과 비중첩 부분(29B)에 인접하는 중첩 부분(29A)이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는 것에 의해, 제3 주름부(28C)와 비중첩 부분(29B)의 시트의 적층 매수에 따른 급격한 강성의 변화에 의해 깊은 개더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비중첩 부분(29B) 근방을 안면을 따라서 만곡형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non-sealed region 51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and the dimension L2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s about 8 to 12 mm. desirable.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non-sealed area 51 and the overlapping portion 29A positioned above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portion 75 in plan view. ), the dimension L5 is preferably about 1 to 3 mm. The first non-sealed region 51 and the overlapping portion 29A adjacent to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overlap in plan view, whereby the sheet of the third pleated portion 28C and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s form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deep gathers due to a sudden change in rigid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minations, and to bend the vicinity of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n a curved shape along the face.

도 3을 참조하면, 접합부(41)는, 폭방향(X)의 치수(W2)가,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 적어도 약 2 mm 이하, 상하 방향(Y)의 치수(L4)가 바람직하게는 약 1.5 mm, 적어도 약 2.0 mm 이하이며, 폭방향(X)에서의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20c, 20d)로부터의 이격 치수(R1)가, 바람직하게는 4 mm 이하, 적어도 7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41)가 이러한 폭치수(W2), 상하 방향(Y)의 치수(L4)를 갖는 것에 의해, 사이드 시일 영역(44)에서 마스크 본체(20)의 측가장자리가 착용자의 피부에 피트되어, 안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접합부(41)의 폭치수가 2 mm 이상인 경우에는, 사이드 시일 영역(44)이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가지며, 마스크 본체(20)의 측가장자리가 안면 형상을 따르는 만곡형을 나타낼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joint 41 has a dimension W2 in the width direction X, preferably 1 mm or less, at least about 2 mm or less, and a dimension L4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s about 1.5 mm, at least about 2.0 mm or less, and the distance R1 from both edges 20c and 20d of the mask body 20 in the width direction X is preferably 4 mm or less, at least 7 mm or less. Since the joint portion 41 has such a width dimension W2 and a dimension L4 in the vertical direction Y, the side edge of the mask body 20 in the side seal region 44 is fitted to the wearer's ski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face and the f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dimension of the joint portion 41 is 2 mm or more, the side seal region 44 has relatively high rigidity, and the side edge of the mask body 20 may not exhibit a curved shape following the shape of the face. there is

또한, 접합부(41)의 이격 치수(R2)가 7 mm 이상인 경우에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20)의 접합부(41)로부터 폭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가장자리 부분이,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안면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극이 생길 우려가 있다. 각 주름부(28A∼28D)와 중복되는 접합부(41)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주름부(28A∼28D)가 전개될 때에, 그것을 전개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작용점이 될 우려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주름부(28A∼28D)의 중심측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접합부(41)의 폭치수(W2)가 클 때에는, 이러한 변형의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가능한 한 치수(W2)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dimension R2 of the junction part 41 is 7 mm or more, in a wearing state, the side edge part located outside the junction part 41 of the mask body 20 in the width direction (X), It is bent in the direction away from a face,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gap may arise between a face and a mask body. The joint portion 41 overlapping each of the pleats 28A to 28D is a portion that may become an action point that deforms the pleats 28A to 28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unfolding direction when the pleats 28A to 28D are deployed in a worn sta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it as far as possible from the center side of the pleats 28A to 28D, and when the width W2 of the joint portion 41 is large, the degree of such deformation increases, so that the size ( It can be said that the smaller W2) is preferable.

비중첩 부분(29B)의 하측에 위치하는 주름부(28D)에는, 사이드 시일 영역(44)의 내측 라인(44B)과 외측 라인(44A)의 접합부(41)가 폭방향(X)으로 나열된 광폭 접합부(45)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름부(28D)에 폭방향(X)의 넓은 범위에 접합부(41)에 의한 고강성 부분을 배치함으로써, 위로 향하는 힘(F2)을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비중첩 부분(29B)에서 분산, 흡수할 수 있고,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를 굴곡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20)는, 주름부(28D)와 귀걸이부(30)의 기단부(31)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 부분에서 제2 비시일 영역(52)을 가지며, 제1 비시일 영역(51)과 함께, 제1 하측 부분(71)을 후방으로 굴곡시키는 기점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다만, 제2 비시일 영역(52)은, 위로 향하는 힘(F2)의 기점이 되는 기단부(31)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기단부(31)에 부여되는 인장 응력의 영향을 받는 것에 의해, 그것을 기점으로 하여 굴곡되지는 않는다.In the wrinkle portion 28D located below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the junction portion 41 of the inner line 44B and the outer line 44A of the side seal region 44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X. A junction 45 is located. In this way, by arranging the high rigidity portion by the joint portion 41 in the wide range in the width direction X in the wrinkle portion 28D, the upward force F2 is dispersed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n a relatively wide range. , can be absorbed, and both edges of the mask body 20 can be bent. In addition, the mask body 20 has a second unsealed area 52 at a spaced apart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wrinkle portion 28D and the proximal end 31 of the earring portion 30 , and a first unsealed area 51 . ) together, it can act as a starting point for bending the first lower part 71 backward. However, since the second non-sealed region 52 is adjacent to the base end 31 serving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upward force F2, it is affected by the tensile stress applied to the base end portion 31, so that it is the starting point. It is not bent by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중첩 부분(29B)이, 기재 시트(21)를 Ω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주름부(28C, 28D)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첩 부분(29A)과 비중첩 부분(29B)의 강성차가 비교적 커져, 비중첩 부분(29B)이 굴곡 기점이 되기 쉬워졌다. 즉, 기재 시트(21)를 Ω형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비중첩 부분(29B)이 기재 시트(21)의 단층 구조를 갖는 데 비해, 그 상하방측에 위치하는 중첩 부분(29A)은, 기재 시트(21)가 3개 꺾여서 형성된 3층 구조를 갖는 것이며, 예컨대, 후자가 2층 구조인 경우에 비하여, 강성차가 더 생겨, 비중첩 부분(29B)이 굴곡 기점이 되기 쉽다고 할 수 있다. As already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s formed between the pleats 28C and 28D formed by bending the base sheet 21 in an Ω shape, and thus the overlapping portion 29A and The difference in stiffness of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became relatively large, and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became a bending origin easily. That is, by bending the base sheet 21 in an Ω shape,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has a single-layer structure of the base sheet 21, whereas the overlapping portion 29A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is the base material. The sheet 21 has a three-layer structure formed by bending three, 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latter having a two-layer structure, a difference in stiffness occurs mor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tends to become a bending origin.

이와 같이, 기재 시트(21)를 Ω형으로 절곡하여 비중첩 부분(29B)과 중첩 부분(29A)의 시트 매수를 상이하게 하는 것 외에, 각종 공지의 절곡 방법을 채용해도 좋고, 중첩 부분(29A)과 비중첩 부분(29B)의 매수가 동등하더라도 시트의 총질량을 상이하게 하는 것 등에 의해, 비중첩 부분(29B)을 굴곡 기점으로서 작용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예컨대, 마스크 본체(20)의 피부 비대향면측에서, 주름부(28A∼28D)를 전부 아래쪽으로 볼록해지도록 기재 시트(21)를 절곡한 경우라 하더라도, 주름부(28C)와 주름부(28D)의 상하 방향(Y)에서의 이격 치수를 약 4 mm로 하는 것에 의해, 굴곡 기점이 되는 비중첩 부분(29B)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비중첩 부분(29B)에서, 위로 향하는 힘(F2)을 확실하게 흡수, 분산하기 위해, 비시일 영역(51)의 존재 영역에 절결부를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라 하더라도, 절결부에서 위로 향하는 힘(F2)이 분단되어 마스크 본체(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addition to bending the base sheet 21 in an Ω shape to make the number of sheets of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and the overlapping portion 29A different, various known bending methods may be employed, and the overlapping portion 29A ) and the number of non-overlapping portions 29B are equal, the non-overlapping portions 29B may act as a bending starting point by differentiating the total mass of the sheets or the like. Therefore, for example, on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mask body 20, even when the base sheet 21 is bent so that all of the pleats 28A to 28D are convex downward, the pleats 28C and the pleats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serving as the bending origin can also be formed by making the spacing dimension of (28D) about 4 mm in the up-down direction (Y). Further,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in order to reliably absorb and disperse the upward force F2, a notch may be provided in the existence region of the non-sealed region 51 . Even in this case, the upward force F2 at the cut-out portion is divided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mask body 20 .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 본체(20)의 하측 부분의 피부 대향면과 착용자의 안면이 접촉하는 부분(P1)으로부터 하단 가장자리(20b)를 향해 수직으로 떨어진 수선(K1)과, 접촉하는 부분(P1)과 마스크 본체(20)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최하점(P2)을 잇는 가상선(K2)에 의한 교각(α)은, 약 10∼2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교각(α)이 20도 이상인 경우에는, 마스크 본체(20)가 비교적 작은 사이즈(예컨대, 폭치수가 150 mm 이하)인 경우에는, 입체적으로 굴곡된 하측 부분(70)이 눈에 띄어, 마스크(10)의 외관에 있어서, 착용자의 안면이 실제보다 세로로 긴 인상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Referring back to FIG. 5 , the water line K1 vertically separated from the portion P1 in which the skin-facing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sk body 20 and the wearer's face contact the lower edge 20b and the contact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ier angle (alpha) by the imaginary line K2 which connects (P1) and the lowest point P2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sk main body 20 is about 10-20 degree|times. When the pier α is 20 degrees or more, when the mask body 20 is of a relatively small size (eg, the width dimension is 150 mm or less), the three-dimensionally curved lower part 70 is conspicuous, and the mask ( This is because, in the appearance of 1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earer's face may give an impression that is longer than it actually is.

도 8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도 6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도 6의 절곡 양태와 달리, 아래쪽으로 볼록해지도록 마스크 본체(20)의 피부 대향면측을 향해 절곡되고, 신전 가능한 플리츠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절곡 양태에 의해서도, 마스크 본체(20)의 상하 방향(Y)의 치수(W1)가 줄어들어, 마스크 본체(20)가 안면을 따르도록 피트된다. Fig. 8 is the same view as Fig. 6 in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8,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worn state, unlike the bending aspect of Fig. 6, the mask body 20 is bent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so as to be convex downward to form extensible pleats. . Also by such a bending aspect, the dimension W1 of the up-down direction Y of the mask main body 20 is reduced, and the mask main body 20 is fitted so that it may follow a face.

<제2 실시형태> <Second embodiment>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0)의 도 1과 동일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0)의 기본적 구성은, 제2 실시형태의 마스크(1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9 : is a front view similar to FIG. 1 of the mask 10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Since the basic structure of the mask 10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mask 10 of 2nd Embodiment, only a different point is demonstrated below.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0)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10)와 달리, 입덮개부(24)에 복수의 주름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마스크 본체(20) 전체가 내외층 시트(25, 26)로 형성된 요철형상이 없는 평면적인 외형을 갖고 있다. 마스크 본체(2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횡단 중심선(Q)보다 하측에는, 양측 가장자리(20c, 20d)로부터 폭방향(X)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대략 V자형의 절결부(절곡 유도부)(90)가 위치하고 있다. 횡단 중심선(Q)보다 하측에 절결부(90)가 위치함으로써, 착용했을 때에, 그것이 횡단 중심선(Q) 상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마스크 본체(20)로부터 위로 향하는 힘(F2)을 확실하게 흡수, 분산할 수 있어, 마스크 본체(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횡단 중심선으로부터 절결부(90)까지의 상하 방향(Y)에서의 이격 치수(R3)는 약 2.0∼4.0 mm이다. 절결부(90)는, 대략 V자형 외에, 단수 또는 복수의 직형, 곡형 등의 각종 공지의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입덮개부(24)에 복수의 주름부(28)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경우에는, 비중첩 부분(29B)에 절결부(90)가 위치함으로써 절곡 유도부로서 보다 기능할 수 있다. In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mask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plurality of wrinkle portions are not formed in the mouth cover portion 24, and the mask body 20 as a whole is an inner and outer layer sheet. It has a planar external shape with no concavo-convex shape formed by (25, 26). At both edges of the mask body 20, below the transverse center line Q, from the both edges 20c and 20d to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X, the width is gradually narrowed in a substantially V-shaped cutout (bending guide part). ) (90) is located. Since the cut-out 90 is located below the transverse center line Q, when worn, the force F2 directed upward from the mask body 20 compared to the case where it is located on or near the transverse center line Q. can be reliably absorbed and dispersed, and deformation of the mask body 20 can be suppressed. The separation dimension R3 in the vertical direction Y from the transverse center line to the cut-out 90 is about 2.0 to 4.0 mm. The notch 90 may have various well-known shapes, such as a single|single or multiple straight shape, a curved shape, other than a substantially V shape. In addition,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pleats 28 may be formed in the mouth lid portion 24, and in that case, the notch 90 is positioned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29B, thereby inducing bending. can function more as

또한, 귀걸이부(30)의 기단부(31)는, 시일 영역(34)을 통해 마스크 본체(30)의 피부 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귀걸이부(30)의 기단부(31)가 마스크 본체(30)의 피부 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기단부(31)가 마스크 본체(30)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귀걸이부(30)의 가동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개별 포장할 때에, 모서리부(27)를 절곡하지 않고, 귀걸이부(30)를 마스크 본체(20)의 피부 대향면측에 적층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ximal end 31 of the earring part 30 is being fixed to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mask body 30 via the sealing area|region 34. As shown in FIG. In this way, when the proximal end 31 of the earring part 30 is fixed to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mask body 30 , the proximal end 31 is fixed to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mask body 30 . In comparison, the movable range of the earring part 30 can be widened. Therefore, for example, when individually packaging, the earring part 30 can be accommodated in a laminated state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mask body 20 without bending the corner part 27 .

마스크(10)를 구성하는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이외에, 이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재료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다.For the member constituting the mask 10, well-known materials commonly used in this kind of field other than the materials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simply distinguish the same element, position, and the like.

10 : 일회용 마스크
20 : 마스크 본체
20a : 마스크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
20b : 마스크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
20c, 20d : 마스크 본체의 측가장자리
22 : 상단부
23 : 하단부
24 : 입덮개부
27 : 모서리부
28A∼28D : 주름부
29A : 중첩 부분
29B : 비중첩 부분
30 : 귀걸이부
31 : 귀걸이부의 기단부(고정 단부)
40 : 외주 시일 영역
41 : 접합부
42 : 사이드 시일 영역(시일 영역)
51 : 제1 비시일 영역(절곡 유도부)
52 : 제2 비시일 영역
90 : 절결부(절곡 유도부)
L1 : 마스크 본체의 상하 방향의 치수
L4 : 접합부의 상하 방향의 치수
Q : 횡단 중심선
R1 : 접합부와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와 폭방향에서의 이격 치수
R3 : 비시일 영역과 횡단 중심선의 상하 방향에서의 이격 치수
X : 폭방향
Y : 상하 방향
10: disposable mask
20: mask body
20a: top edge of the mask body
20b: bottom edge of the mask body
20c, 20d: the side edge of the mask body
22: upper part
23: lower part
24: mouth cover
27: corner
28A-28D: Wrinkles
29A: overlapping part
29B: non-overlapping part
30: earring part
31: the base end of the earring part (fixed end)
40: outer seal area
41: junction
42: side seal area (seal area)
51: first non-sealed area (bending induction part)
52: second non-sealed area
90: cutout (bending guide part)
L1: Dimens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sk body
L4: Dimens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joint
Q: transverse centerline
R1: The distance between the joint and both edges of the mask body and th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R3: The separation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non-sealed area and the transverse center line
X: width direction
Y: up and down

Claims (7)

상하 방향 및 폭방향을 가지며,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횡단 중심선과,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부직포제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귀걸이부의 기단부가 위치하는 상하 단부와, 상기 상하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입덮개부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합부가 배치된 시일 영역을 가지며,
상기 입덮개부는, 상기 시트가 겹쳐서 포개어진 중첩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주름부와, 상기 횡단 중심선의 하측에서 상기 주름부 사이에 위치하는 비중첩 부분을 가지며,
상기 비중첩 부분은 비시일 영역을 가지며,
상기 비시일 영역의 상기 상하 방향의 치수는, 상기 복수의 접합부 사이의 상기 상하 방향의 이격 치수보다 크고,
상기 비중첩 부분의 하측에서 상기 비중첩 부분에 인접하는 주름부에만, 상기 복수의 접합부가 상기 폭방향으로 나열되어 이루어진 광폭 접합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마스크.
In the disposable mask having a vertic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and comprising a transverse center line that bisects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ask body, and a pair of earring parts extending in an annular shape from both edges of the mask body,
The mask body is formed of a sheet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includes upper and lower ends at which the base ends of the pair of earring parts are positioned, a mouth cover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intermittent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long the both edges. extending, having a seal area disposed with a plurality of abutments;
The mouth cover portion is composed of an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sheets are overlapped, and has a plurality of pleat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non-overlapp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pleats below the transverse center line,
the non-overlapping portion has a non-sealed area;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non-sealed region is larger than the vertical spacing dimension between the plurality of junctions,
The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e bonding portion formed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bonding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is located only in a wrinkle portion adjacent to the non-overlapping portion under the non-overlapp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합부는, 상기 시트의 열용착 부분이며, 상기 폭방향의 치수가 2 mm 이하,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의 이격 치수가 7 mm 이하인 마스크. The mas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onding portions are heat-welded portions of the sheet, and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2 mm or less and the distance from both edges of the mask body in the width direction is 7 mm or less.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시일 영역은, 상기 시트를 단면 Ω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이격 대향하는 한쌍의 상기 주름부 사이에만 위치하는 마스크. The mas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non-sealed region is positioned only between a pair of wrinkled portion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ed by bending the sheet into a Ω-shaped cross-s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시일 영역은,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횡단 중심선으로부터 2.0∼4.0 mm 이격되어 있는 마스크. The mas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non-sealed region is spaced apart from the transverse center line by 2.0 to 4.0 mm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치수는 60∼100 mm인 마스크. The mas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dimension of the mask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60 to 100 m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하 단가장자리와, 상기 상하 단가장자리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가 교차하는 모서리부를 더 가지며, 상기 모서리부는 곡형인 마스크. The mas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sk body further has an upper and lower end edge, a corner portion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 edge and the both sides cross each other, and the corner portion is curv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시일 영역은, 상기 비중첩 부분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주름부와 상기 귀걸이부의 상기 기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 부분에만 배치되는 마스크. The mas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non-sealed region is disposed only in the non-overlapping portion and the spaced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lowermost fold portion and the base end of the ear-ring portion.
KR1020177033881A 2015-06-30 2015-07-29 disposable mask KR1024138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2135A JP6499032B2 (en) 2015-06-30 2015-06-30 Disposable mask
JPJP-P-2015-132135 2015-06-30
PCT/JP2015/071474 WO2017002271A1 (en) 2015-06-30 2015-07-29 Disposable ma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961A KR20180020961A (en) 2018-02-28
KR102413814B1 true KR102413814B1 (en) 2022-06-28

Family

ID=5760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881A KR102413814B1 (en) 2015-06-30 2015-07-29 disposable mask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99032B2 (en)
KR (1) KR102413814B1 (en)
CN (1) CN107708458B (en)
TW (1) TWI693902B (en)
WO (1) WO201700227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7746B1 (en) * 2015-09-04 2016-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mask
JP2019039099A (en) * 2017-08-24 2019-03-14 株式会社ミンラック Disposable mask
CN110301698A (en) * 2018-03-21 2019-10-08 宣德医材科技股份有限公司 More Origuchi covers
JP7264579B2 (en) * 2018-04-13 2023-04-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mask
JP2019203217A (en) * 2018-05-23 2019-11-28 株式会社重松製作所 Disposable mask
EP3871748A4 (en) * 2018-10-23 2022-08-03 Teijin Limited Filter for filtering, container with filter, and method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n cell suspension
KR200493359Y1 (en) * 2019-02-15 2021-03-18 (주)진선메디칼 Disposable medical mask
KR20220060420A (en) 2020-11-04 2022-05-11 이화영 lifting zipper mask
KR102249388B1 (en) 2020-11-17 2021-05-07 허근회 Mask with Identification
KR102309571B1 (en) * 2021-01-19 2021-10-05 윤진목 Disposable flat rectangular type mask equipping overlapping wrinkled with preventing air leakage
CN112806641B (en) * 2021-02-09 2023-12-22 江苏盛纳凯尔医用科技有限公司 Mask
WO2022170462A1 (en) * 2021-02-09 2022-08-18 江苏盛纳凯尔医用科技有限公司 Face mask
KR102387116B1 (en) 2021-03-02 2022-04-15 친환경대한민국 주식회사 Wireless health and medical mas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I738628B (en) * 2021-03-16 2021-09-01 中國衛生材料生產中心股份有限公司 Mask
KR102402996B1 (en) 2021-09-15 2022-05-30 주식회사 영창에스엔티 Disposable mask
CN217065474U (en) * 2022-03-28 2022-07-29 供应大王商用物资供应有限公司 Five-pleat physical guide faced mas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500B2 (en) 1991-09-03 2000-12-11 富士通株式会社 Driving method of AC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197113B2 (en) 1993-05-26 2001-08-13 アルゼ株式会社 Slot machine handle device
WO2015080228A1 (en) 2013-11-29 2015-06-04 興和株式会社 Mas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500U (en) * 2005-10-11 2006-01-05 玉川衛材株式会社 mask
CN200951271Y (en) * 2006-08-31 2007-09-26 玉川卫生用品(上海)有限公司 Folding mouth-piece
JP2008055035A (en) * 2006-09-01 2008-03-13 Iris Ohyama Inc Mask
JP5280943B2 (en) * 2009-06-05 2013-09-04 優 今泉 Sanitary mask
JP5676090B2 (en) * 2009-07-29 2015-02-25 大王製紙株式会社 mask
TWM426412U (en) * 2011-11-03 2012-04-11 San Huei United Co Ltd Folded three-dimensional mouth mask
TWI581825B (en) * 2014-10-27 2017-05-11 宣德醫材科技股份有限公司 Airtight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3197113U (en) * 2014-12-09 2015-04-2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mas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500B2 (en) 1991-09-03 2000-12-11 富士通株式会社 Driving method of AC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197113B2 (en) 1993-05-26 2001-08-13 アルゼ株式会社 Slot machine handle device
WO2015080228A1 (en) 2013-11-29 2015-06-04 興和株式会社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08458B (en) 2019-10-18
TWI693902B (en) 2020-05-21
KR20180020961A (en) 2018-02-28
CN107708458A (en) 2018-02-16
TW201714537A (en) 2017-05-01
JP6499032B2 (en) 2019-04-10
JP2017014659A (en) 2017-01-19
WO2017002271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814B1 (en) disposable mask
JP5901900B2 (en) mask
JP3117500U (en) mask
KR102498457B1 (en) disposable mask
KR20180048781A (en) Disposable Mask
US20200163392A1 (en) Mask
JP4794291B2 (en) mask
US20170049639A1 (en) Underpants-type absorbent article
WO2016103837A1 (en) Disposable worn article
JP2011194067A (en) Mask with leak preventing section
KR20180050678A (en) Disposable Mask
JP6356370B1 (en) Disposable mask
JP5837252B1 (en) Disposable mask
KR20190000375U (en) Mask
JP3156690U (en) mask
EP3318233A1 (en) Underpants-type disposable diaper
JP3203072U (en) Disposable mask
KR20200141024A (en) Disposable mask
JP3203087U (en) Disposable mask
WO2013002225A1 (en) Mask
CN218960120U (en) Disposable mask
EP4309531A1 (en) Mask
JP7401893B2 (en) 3D mask
JP6356371B1 (en) Disposable mask
EP3603429B1 (en)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