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558B1 -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558B1
KR102413558B1 KR1020210057802A KR20210057802A KR102413558B1 KR 102413558 B1 KR102413558 B1 KR 102413558B1 KR 1020210057802 A KR1020210057802 A KR 1020210057802A KR 20210057802 A KR20210057802 A KR 20210057802A KR 102413558 B1 KR102413558 B1 KR 10241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ackaging
delivery
storage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5936A (en
Inventor
최동호
최지성
최주리아
Original Assignee
최동호
최지성
최주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호, 최지성, 최주리아 filed Critical 최동호
Publication of KR20210135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9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장용기를 구비하는 포장용품으로 상품을 포장하여 배송하고 상기 포장용품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장용품과 상기 포장용품으로 포장된 상품을 구비하는 배송품이 보관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상기 배송품에서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이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보관되는 회수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배송거점에 설치되는 거점 보관장치; 공동주택의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되어서 상기 상품이 보관되는 상품 수령장치; 상기 배송품을 운반하여 상기 거점 보관장치 또는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가 사용하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 상기 배송품을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까지 운반한 후 상기 상품을 상기 포장용품과 분리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고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을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상기 거점 보관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을 관리하고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재활용하기 위해 처리하며, 상품 공급자로부터 공급받은 상품을 상기 포장용품으로 포장하여 상기 배송품을 준비하는 포장용품 관리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가 운영하고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한 상기 상품의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구매자 단말기;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출고하여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및 상기 거점 보관장치, 상기 배송자 단말기, 상기 상품 수령장치, 상기 전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 서버 및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상기 상품과 상기 포장용품의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품 구매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를 산출하며, 상기 배송비를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안내하고, 상기 구매자에 의해 상기 배송비가 확정된 후 결정된 판매 확정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판매 사전정보는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포장용품의 반납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비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구매자의 상기 포장용품 반납 실적에 따라 설정된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을 포함하며, 상기 판매 확정정보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확정된 배송비를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logistics system for packaging and shipping a product with a packaging product having a packaging container, and recovering and recycling the packaging product, Providing a product storage space in which a delivery product including the packaging product and a product packaged with the packaging product is stored, and a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in which the packaging product separated from the product in the delivery product is stored as a packaging product after use, a base storage device installed at a delivery base; a product receiving device installed at the door of each household in the apartment house to store the product; a product delivery terminal used by a product delivery person who transports the delivered product and puts it into the base storage device or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After leaving the base storage device and transporting the product 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the product is separated from the packaging product and put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and the packaging product separated from the product is used as the packaging product a forwarder terminal used by a product forwarder to be stored in a base storage device; a packaging goods manager terminal used by a packaging goods manager to manage the packaging goods and to process the packaging goods for recycling after use, and to prepare the delivery goods by packaging the goods supplied from the goods supplier with the packaging goods; a purchaser terminal used by a purchaser to access a product sales server operated by the packaging manager and providing a product sales system to perform a purchase procedure for the product through the product sales system; a packaging article collector terminal used by a packaging article collector who releases the used packaging article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and delivers it to the packaging article manager; and the base storage device, the delivery device terminal,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the forwarder terminal, the packaging product collector terminal, the product sales server, and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store the product and the packaging product.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logistics,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pre-sal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from the product purchase server, calculates a shipping cost based on the pre-sale information, and sets the shipping cost to the product sales server to inform the purchaser, confirm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determined after the delivery cost is confirmed by the purchaser, and the sales advance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nd delivery of the product check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to return the packaging product selected by the purchaser, the shipping cost includes the pre-sale information and the usage cost of packaging products set according to the purchaser's return performance of the packaging product, and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includes A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delivery base is provided, including the pre-sale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delivery cost.

Description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er-tailored service through recycling and reuse of cold chain packaging products }

본 발명은 물류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소 건물 및 공공장소 등의 거점에 설치되어서 배송품들 각각이 수령인에게 최종적으로 전달되기 전에 보관되는 배송거점 보관장치를 이용한 물류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ogistics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logistics management using a delivery base storage device that is installed in bases such as apartments, officetels, office buildings and public places and stored before each of the deliveries is finally delivered to the recipient It's about technology.

콜드체인(Cold Chain)은 농산물 등의 신선식품을 산지에서 수확하거나 제조공장에서 가공하여 다음 최종 소비지까지 저장 및 운송되는 과정에서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는 물류 시스템이다. 콜드체인 물류 시스템에서 배송품은 일반적으로 냉장 차량에 의해 배송되어서 저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배송 마지막 단계에서 배송품이 수령인에게 바로 전달되지 못하고 장시간 방치될 경우 배송품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된다.Cold chain is a logistics system that maintains freshness and quality by maintaining low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harvesting fresh food such as agricultural products at the production site or processing it at the manufacturing plant and storing and transporting it to the next final consumption destination. In a cold chain logistics system, shipments are generally delivered by refrigerated vehicles to maintain a stable low temperature state, but in the final stage of delivery, if the shipment is not delivered immediately to the recipient and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the freshness of the shipment deteriorates.

콜드체인 물류 시스템에서 배송품이 최종적으로 수령인에게 전달될 때까지 저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9816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송품이 보관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단열성이 우수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서 내부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보냉 수단을 구비하는 포장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와 보냉 수단이 재활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포장용기의 사용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배송에 사용된 포장용기를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In order to maintain a low temperature state until the delivered goods are finally delivered to the recipient in the cold chain logistics system, a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981688,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the delivered goods is provided and the container body with excellent insulation properties. And, a packaging container equipped with a cool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inner space at a low temperature by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body has been developed. Such a packaging contain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oling means can be recycled.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packaging containers, a system for effectively recovering and reusing packaging containers used for delivery is required.

또한, 신선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반도체, 화학물질 등은 배송 조건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분실 등의 위험성이 낮아야 한다. 특히, 이러한 배송품의 포장용기는 고가이고 다른 용도로는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사용률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not only fresh food, but also medicines, semiconductors, chemicals, etc. must have very strict delivery conditions and a low risk of loss. In particular, since packaging containers for such delivered products are expensive and difficult to utilize for other purposes, a technology capable of easily collecting and reusing them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81688 "보냉 용기" (2019.05.2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81688 "Cold container" (2019.05.23.)

본 발명의 목적은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으로 포장재 및 냉매의 환경쓰레기 발생을 감소시키며, 증가하고 있는 생활물류 최종 배송에서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하고, 공급자의 회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occurrence of environmental waste in packaging materials and refrigerants through resource circulation through recycling and reuse of cold chain packaging products,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in the increasing final delivery of household logistics, and to minimize the recovery cost of suppliers. It is to provide an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based on delivery bases that ca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장용기를 구비하는 포장용품으로 상품을 포장하여 배송하고 상기 포장용품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장용품과 상기 포장용품으로 포장된 상품을 구비하는 배송품이 보관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상기 배송품에서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이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보관되는 회수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배송거점에 설치되는 거점 보관장치; 공동주택의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되어서 상기 상품이 보관되는 상품 수령장치; 상기 배송품을 운반하여 상기 거점 보관장치 또는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가 사용하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 상기 배송품을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까지 운반한 후 상기 상품을 상기 포장용품과 분리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고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을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상기 거점 보관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을 관리하고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재활용하기 위해 처리하며, 상품 공급자로부터 공급받은 상품을 상기 포장용품으로 포장하여 상기 배송품을 준비하는 포장용품 관리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가 운영하고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한 상기 상품의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구매자 단말기;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출고하여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및 상기 거점 보관장치, 상기 배송자 단말기, 상기 상품 수령장치, 상기 전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 서버 및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상기 상품과 상기 포장용품의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품 구매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를 산출하며, 상기 배송비를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안내하고, 상기 구매자에 의해 상기 배송비가 확정된 후 결정된 판매 확정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판매 사전정보는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포장용품의 반납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비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구매자의 상기 포장용품 반납 실적에 따라 설정된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을 포함하며, 상기 판매 확정정보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확정된 배송비를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gistics system for packaging and shipping a product with a packaging product having a packaging container, and recovering and recycling the packaging product, the packaging product and the Provided is a product storage space in which a delivery product including a product packaged with a packaging product is stored, and a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in which the packaging product separated from the product in the delivery product is stored as a packaging product after use, and installed at a delivery base Node storage; a product receiving device installed at the door of each household in the apartment house to store the product; a product delivery terminal used by a product delivery person who transports the delivered product and puts it into the base storage device or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After leaving the base storage device and transporting the product 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the product is separated from the packaging product and put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and the packaging product separated from the product is used as the packaging product a forwarder terminal used by a product forwarder to be stored in a base storage device; a packaging goods manager terminal used by a packaging goods manager to manage the packaging goods and to process the packaging goods for recycling after use, and to prepare the delivery goods by packaging the goods supplied from the goods supplier with the packaging goods; a purchaser terminal used by a purchaser to access a product sales server operated by the packaging manager and providing a product sales system to perform a purchase procedure for the product through the product sales system; a packaging article collector terminal used by a packaging article collector who releases the used packaging article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and delivers it to the packaging article manager; and the base storage device, the delivery device terminal,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the forwarder terminal, the packaging product collector terminal, the product sales server, and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store the product and the packaging product.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logistics,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pre-sal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from the product purchase server, calculates a shipping cost based on the pre-sale information, and sets the shipping cost to the product sales server to inform the purchaser, confirm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determined after the delivery cost is confirmed by the purchaser, and the sales advance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nd delivery of the product check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to return the packaging product selected by the purchaser, the shipping cost includes the pre-sale information and the usage cost of packaging products set according to the purchaser's return performance of the packaging product, and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includes A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delivery base is provided, including the pre-sale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delivery cost.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 등의 배송거점에 배송자가 포장용품으로 포장된 상품을 보관하는 거점 보관장치가 설치되고, 구매자에 의해 상품이 수령된 후 상품과 분리된 사용후 포장용품은 거점 보관장치에 보관되며, 거점 보관장치에 보관된 사용후 포장용품은 회수자에 의해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운송되어서 재활용 및 재사용되므로, 콜드 체인 시스템에서 포장재 및 냉매의 환경쓰레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Specifically, a base storage device is installed at a delivery base such as an apartment house, where the delivery person stores the packaged product, and after the product is received by the buyer, the used packaging product separated from the product is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Since the used packaging products stored and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are transported to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by the collector for recycling and reu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environmental waste of packaging materials and refrigerants in the cold chain system.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은 구매자에 의해 수령되기 전까지 거점 보관장치 또는 상품 수령 장치에 보관되어서 저온으로 유지되므로,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이 최소화되어서 과대포장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duct is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or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until it is received by the buyer and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the tim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s minimized, so that the problem of overpackaging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을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출고하여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는 전달자가 필요하므로,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되고 고용이 확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orwarder is required to leave the product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and put it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the effect of creating new business and expanding employment is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에 적합한 포장비용이 산출되어서 배송비가 계산되므로, 상품 공급업자는 물류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매자는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ipping cost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packaging cost suitable for the product, the product supplier can reduce the logistics cost and the buyer can save the purchase cos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판매 정보에 따라 포장용품의 사용이 확정되어서 배송료가 산출되므로 구매자가 합리적인 구매 결정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packaging product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 sales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fee is calculated, so that the purchaser can make a rational purchase decisio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의 포장용품 반납 성향을 고려하여 배송료가 산출되므로, 구매자의 포장용품 반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livery fee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buyer's tendency to return the packaging good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turn rate of the packaging goods by the bu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배송물품 거점 보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배송물품 상품 수령장치의 일예가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송물품 상품 수령장치에 배송물품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물류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in which the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ure 1 is applied.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elivery article base storage devi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ample of a delivery article product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door of each househol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livered article is stored in the delivery article product receiving device shown in FIG. 4 .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logistics management serv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
7 and 8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shown in FIG. 1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은 상품을 포장용품으로 포장하여 상품의 구매자에게 배송하고 상품 배송 완료 후 포장용품을 회수하여 효율적으로 재사용하고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송거점(A)에 설치되어서 배송 상품들이 보관되는 거점 보관장치(110)와, 배송거점(A)에 설치되고 배송 상품이 구매자에 의해 수령되기 전까지 보관되는 복수개의 상품 수령장치(120)와, 거점 보관장치(110) 및 상품 수령장치(1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전체적인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190)와, 판매 대상 상품을 공급하는 상품 공급자가 사용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190)와 연결되는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품을 구매하고 수령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구매자 단말기(13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품을 관리하고 상품을 포장용품으로 포장하여 배송품을 준비하는 포장용품 관리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와, 포장용품 관리자가 상품 판매를 위해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버(17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포장용품 관리자가 준비한 배송품을 운반하여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가 사용하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배송품을 출고하여 상품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상품과 분리된 사용후 포장용품을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16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사용후 포장용기를 출고하여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을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운송하는 상품 운송자가 사용하는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ages the product as a packaging product and delivers it to the purchaser of the product, collects the packaging product after delivery of the product, and efficiently reuses the product. As for recycling, the base storage device 110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A) to store delivered products, and a plurality of product receiving devices installed at the delivery base (A) and stored until the delivered products are received by the purchaser 120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that is connected to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d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manage the overall logistics, and a product supplier supplying products to be sold and used by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190) and the packaging goods manager terminal 170 used by the packaging goods manager who manages the packaging products used for packaging the goods and prepares the shipment by packaging the goods with packaging goods, and the packaging goods manager A product used by a product delivery person connected to the product sales server 170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provided for product sales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ransporting the delivery product prepared by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and putting it into the base storage device 110 . The deliverer terminal 150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elivered goods are delivered to the base storage device 110, the goods are put into the goods receiving device 120, and the goods are separated from the goods after use. It is connected to the forwarder terminal 160 used by the forwarder who puts packaging goods in the storage unit 110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leases the packaging container after use tha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at the node. It is connected to 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terminal 181 used by 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to deliver it to the packaging goods manager,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supplied by the product supplier. and a product transporter terminal 185 used by a product transporter who transports the product to the packaging manag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물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품(G)을 생산·제조하는 상품 공급자(E)는 상품(G)을 포장용품 관리자(M)에게 공급한다. 포장용품 관리자(M)는 상품(G)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품을 관리하고, 상품(G)을 판매하기 위한 상품 판매 서버(175)을 운영하며, 상품 배송자(H)로부터 배송받은 상품(G)을 포장용품으로 포장하여 배송품(P)을 준비한다. 구매자(R)는 포장용품 관리자(M)가 운영하는 상품 판매 서버(175)에 접속하여 상품 판매 서버(175)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175)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G)을 구매한다. 여기서 상품(G)은 신선식품과 같이 저온 보관이 요구되는 상품인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품 운송자(H)는 구매자(R)가 구매한 상품(G)을 상품 공급자(E)로부터 제공받아서 포장용품 관리자(M)에게 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용품은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구비한다. 배송품(P)은 저온용 포장용기(B)와, 저온용 포장용기(B)의 내부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보냉수단(C)과, 저온용 포장용기(B)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상품(G)을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온용 포장용기(B)는 상품(G)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몸체와, 용기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용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한다. 저온용 포장용기(B)는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도록 단열재가 내부 공간을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보냉수단(C)은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이용한 것 또는 아이스팩 등으로서, 저온용 포장용기(B)의 내부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보냉수단(C)은 저온용 포장용기(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저온용 포장용기(B)의 덮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품(G)이 상온 보관 가능한 것일 경우에는, 단열이 요구되지 않는 일반적인 상온용 포장용기가 사용되고 보냉수단(C)은 필요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용기가 등록번호 10-1646059에 개시된 구성과 같은 용기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품 배송자(D)는 포장용품 관리자(M)가 준비한 배송품(P)을 운반하여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하거나, 배송품(P)에서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 보관장치(120)에 입고한다. 전달자(T)는 거점 보관장치(110)에서 배송품(P)을 출고하여 포장용기(B), 보냉수단(C) 및 상품(G) 중 상품(G)만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남은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여 보관한다. 포장용품 회수자(S)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회수하여 포장용품 관리자(M)에게 전달한다. 포장용품 관리자(M)는 회수한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재활용하기 위해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포장용기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용기로서, 포장용기의 위치가 관리 서버(도 1의 290)에 의해 실시간으로 확인된다. 포장용기는 복수개가 쌓여서 적재(네스팅, nesting)될 수 있는 구조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in which the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shown in FIG. 1 is applied. With reference to FIG. 2, when the logistics by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shown in FIG. 1 is schematically described, the product supplier (E) producing and manufacturing the product (G) sells the product (G) as a packaging product. It is supplied to the manager (M).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manages packaging products used for packaging of the product (G), operates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for selling the product (G), and receives the product delivered from the product distributor (H). (G) is packaged as a packaging product to prepare a delivery product (P). The purchaser R accesses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operated by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and purchases the product G to be purchased through the product sales system 175 provided by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 . Here, the product (G) is described as a product requiring low temperature storage, such as fresh foo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duct transporter (H) receives the product (G) purchased by the buyer (R) from the product supplier (E) and transports it to the packaging manager (M). In this embodiment, the packaging product includes a packaging container (B) and a cooling means (C). The delivery product (P) is a product stored in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the cooling means (C)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t low temperature,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G) included. Although not shown, the packaging container for low temperature (B) provide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product (G) is accommodated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 container body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the contain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Provide a cover. The packaging container for low temperature (B) is configured so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surrounds the inner space so as to have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The cooling means (C) is one using a phase change material (PCM) or an ice pack, and includes all means for maintaining the inner space of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t a low temperature. The cooling means (C) is preferably used by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of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If the product (G)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a general room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that does not require insulation is used and the cooling means (C) is not required. In this embodiment, the packaging container is described a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disclosed in Registration No. 10-1646059,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duct deliverer (D) transports the delivery product (P) prepared by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and stores it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or separates the product (G) from the delivery product (P) and stores the product (P) in the product storage device 120 to wear on The forwarder (T) releases the delivery product (P)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d puts only the product (G) out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the cooling means (C) and the product (G)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the remaining after-use packaging container (B) and cooling means (C) ar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The packaging product collector (S) collects the used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d delivers it to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processes the recovered used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for recycling. All packaging containe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rnet-of-Things-based containers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and the loc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s is checked in real time by the management server (290 in FIG. 1). A packaging container is a structure that can be stacked and stacked (nesting).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을 각 구성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거점 보관장치(110)는 배송거점(A)에 설치되고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거점 보관장치(110)에는 상품 배송자(D)에 의해 배송된 배송품(P)이 보관된다. 배송거점(A)은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 마을 회관과 같은 마을의 공공건물, 주유소와 같은 다중 이용 시설 또는 지하철역 등 주요 교통 거점 등의 공공지역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거점 보관장치(11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거점들 각각에 설치되어서 복수개의 거점 보관장치(110)들이 구비된다. 도 3에는 거점 보관장치(110)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거점 보관 장치(110)는 내부에 배송품(P)을 보관하기 위한 상품 보관 공간(111)과, 회수 대상인 회수품을 보관하기 위한 회수품 보관 공간(115)을 제공한다.Now,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is installed in the delivery base A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base storage device 110 includes a delivery product delivered by the product distributor (D) ( P) is kept. Delivery bases (A) include public area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of apartment complexe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public buildings in towns such as town halls, multi-use facilities such as gas stations, or major transportation hubs such as subway stations. Although only one base storage device 110 i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base storage devices 110 are provided by being installed at each of a plurality of bases. 3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the base storage device 110 . Referring to FIG. 3 , the base storage device 110 provides a product storage space 111 for storing a delivery product P therein, and a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115 for storing a recovered product to be recovered.

상품 보관 공간(111)은 저온 보관 상품(G)을 포함하는 저온 배송품(P)을 보관하기 위하여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온 보관 공간(112)과, 상온 보관 상품(G')을 포함하는 상온 배송품(P')을 보관하기 위해 상온으로 유지되는 상온 보관 공간(113)으로 분리된다. 저온 배송품(P)은 저온용 포장용기(B)과, 저온용 포장용기(B)에 수납된 저온 보관 상품(G)과, 보냉수단(C)을 구비한다. 저온용 포장용기(B)는 저온용 용기 몸체(B1)와, 보냉수단(C)이 결합된 저온용 용기 덮개(B2)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냉수단(C)이 용기 덮개(B2)에 결합된 상태를 확인하는 접촉 센서와 같은 결합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기반인 포장용기(B)는 보냉수단(C)의 결합상태를 확인하여, 관리서버(19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90)는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결합상태를 전달자 단말기(160) 및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에 전송하여, 사용후 포장용기(B)의 운반시 보냉수단(C)의 분실을 방지하고, 전달자(T)에 의한 입고 작업성 및 회수자(S)에 의한 회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온 배송품(P')은 상온용 포장용기(B'), 상온용 포장용기(B')에 수납된 상온 보관 상품(G')을 구비한다. 상온용 포장용기(B')는 상온용 용기 몸체(B1')와, 상온용 용기 덮개(B2')를 구비한다. 상품 보관 공간(111)은 배송품(P, P')을 개별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복수개의 배송품 보관 구역들로 분할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점 보관 장치(110)는 보관 구역 별로 배송품(P, P')의 보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보관 구역 별 사용 상태를 관리 서버(190)로 전송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점 보관장치(110)는 배송품(P, P')에 부착된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에 저장된 물품 정보를 읽어들이는 전자 태그 리더기를 구비할 수 있다. 배송품(P, P')이 상품 배송자(D)에 의해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되거나, 전달자(T)에 의해 거점 보관장치(110)으로부터 출고될 때, 그 내역이 관리서버(190)로 전송되어서 저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온 보관 공간(112)은 냉장 보관 공간과 냉동 보관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점 보관장치(110)는 상품 보관 공간(111)을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온 보관 공간(112)에 PCM 모듈과 같은 수동형 저온 유지 수단이 장착되어 있어서, 정전 시에도 일정시간 냉장/냉동 온도가 유지될 수 있고, 축냉기능을 통하여 전력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채소류의 냉해로 인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약 5℃로 보관 공간의 온도를 유지하는 PCM 모듈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product storage space 111 includes a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112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to store a low-temperature delivery product P including a low-temperature storage product (G), and a room-temperature delivery product including a room-temperature storage product (G') ( It is separated into a room temperature storage space 113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to store P'). The low-temperature delivery product (P) includes a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 low-temperature storage product (G) accommodated in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nd a cooling means (C). The low-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includes a low-temperature container body (B1) and a low-temperature container cover (B2) to which the cooling means (C) is coupled. Although not shown, a coupling detection sensor such as a contact sensor for confirming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means (C) is coupled to the container cover (B2) may be provided. The IoT-based packaging container (B) checks the coupling state of the cooling means (C)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and the management server 190 connects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is transmitted to the forwarder terminal 160 and the packaging article collector terminal 181 to prevent the loss of the cooling means (C) when transporting the packaging container (B) after use, and to improve warehousing workability by the forwarder (T) and The collection workability by the collector S can be improved. The room temperature delivery product (P') includes a room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and a room temperature storage product (G') stored in the room temperature packaging container (B'). The packaging container for room temperature (B') includes a container body (B1') for room temperature and a container cover (B2') for room temperature. The product storage space 11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livery product storage areas to individually store the delivered products P and P'. Although not show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storage state of the delivered goods (P, P') for each storage area, and transmits the usage state for each storage area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 Although not show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may include an electronic tag reader that reads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an electronic tag such as an RFID tag attached to the delivered products P and P'. When the delivered goods (P, P') ar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by the product deliverer (D) or are shipped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110 by the forwarder (T), the details ar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90 ) and stored. Although not shown, the low temperature storage space 112 may be divided into a cold storage space and a frozen storage space. Although not show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maintaining the product storage space 111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lthough not shown, a passive low-temperature maintaining means such as a PCM module is mounted in the low-temperature storage space 112, so that the refrigeration/freezing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during a power outage, and power energy use can be reduced through the cooling function. can In particular, a PCM module that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at about 5° C. may be use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quality due to the cold damage of vegetables.

회수품 보관 공간(115)은 회수 대상인 회수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다. 회수품은 포장용기(B, B')를 구성하는 용기 몸체(B1, B1') 및 용기 덮개(B2, B2')와, 보냉수단(C)을 포함한다. 회수품 보관 공간(115)은 회수품을 종류별로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품 보관 공간(115)은 복수개의 저온용 용기 몸체(B1)들이 적층되어서 보관될 수 있는 제1 회수 공간(115a)과, 복수개의 상온용 용기 몸체(B1')들이 적층되어서 보관될 수 있는 제2 회수 공간(115b)와, 복수개의 상온용 용기 덮개(B2')들과 보냉수단(C)이 결합된 복수개의 저온용 용기 덮개(B2)들이 함께 적층되어서 보관될 수 있는 제3 회수 공간(115c)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점 보관장치(110)는 회수 공간(115a, 115b, 115c) 별로 회수품의 보관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예를 들어서, 회수품 보관량은 회수품의 무게를 감지하거나 적층된 회수품의 높이를 감지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측정된 회수품 보관량은 실시간으로 보관서버(190)로 전송되어서 저장된다.The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115 is a space for storing recovered products to be recovered. The recovered product includes the container body (B1, B1') and the container cover (B2, B2') constituting the packaging container (B, B'), and the cooling means (C). The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115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covery spaces for storing recovered products by type. For example, as shown, the collection storage space 115 includes a first recovery space 115a in which a plurality of low-temperature container bodies B1 can be stacked and stored, and a plurality of room-temperature container bodies B1'. ), a second recovery space (115b) that can be stacked and stored, a plurality of container covers for room temperature (B2') and a plurality of container covers for low temperature (B2) combined with a cooling means (C) are stacked together It may be divided into a third recovery space 115c that can be stored. Although not show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measures the storage amount of the recovered product for each recovery space 115a, 115b, and 115c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amount of collected items stored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by sensing the weight of the recalled items or sensing the height of the stacked items. The stored amount of collected products measured in real time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storage server 190 in real tim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상품 수령장치(120)들 각각은 배송거점(A)에 설치되고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수령장치(120)에는 상품(G)이 구매자(R)에 의해 수령되기 직전까지 보관된다. 전달자(T)는 거점 보관장치(110)로부터 배송품(P)을 출고하고, 배송품(P)에서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상품 수령장치(12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상품의 최종 수령장소인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품 수령장치(120)에 상품(G)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수령장치(120)는 세대별 출입문(K)에 고정되는 장치 설치부(121)와, 장치 설치부(12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품 보관부(122)를 포함한다.1 and 2 , each of the plurality of product receiving devices 120 is installed in the delivery base A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stores the product G until just before it is received by the purchaser R. The forwarder T releases the delivered product P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110 , separates the product G from the delivered product P, and puts it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is installed at the door of each household, which is the final receiving place of the product, and FIG. 5 is a product (G) stor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4 and 5 ,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includes a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fixed to the door K for each household, and a product storage unit 122 movably installed in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 ) is included.

장치 설치부(121)는 세대별 출입문(K)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장치 설치부(121)에 상품 보관부(122)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품 보관부(122)는 장치 설치부(121)에 의해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된다. 장치 설치부(121)에 상품 보관부(122)는 경우에 따라 이동이 불가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is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door K for each household.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is movably coupled to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is guided to be movable with the door K interposed therebetween by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 In some cases,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may be fixed to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so that it cannot be moved.

상품 보관부(122)는 장치 설치부(121)에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안쪽과 바깥쪽을 오갈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품 보관부(122)는 내부에 상품(G)이 수용되는 상품 수용 공간(125)을 제공하는 보관 몸체(123)와, 보관 몸체(123)에서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 도어(124)와, 보관 몸체(123)에서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도어(미도시)를 구비한다.The product storage unit 122 is movably coupled to the device installation unit 121 to mov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with the door K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includes a storage body 123 that provides a product accommodating space 125 in which the product G is accommodated, and is installed outside the storage body 123 with the door K interposed therebetween. It includes an outer door 124 and an inner door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body 123 with the door K interposed therebetween.

보관 몸체(123)는 내부에 상품(G)이 수용되는 상품 수용 공간(125)을 제공한다. 상품 수용 공간(125)는 세대 외부에서 출입문(K)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도어(124)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세대 내부에서 출입문(K)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도어(미도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보관 몸체(123)는 장치 설치부(121)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세대 외부 쪽 또는 세대 내부 쪽으로 이동한다.The storage body 123 provides a product accommodating space 125 in which the product G is accommodated. The product accommodating space 125 can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through the outer door 124 located outside the door K, and accessed through the inner door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door K from the inside of the household. can do. The storage body 123 is slidably coupled to the device installation part 121 to move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or the inside of the household.

외측 도어(124)는 보관 몸체(123)에서 세대 외부인 출입문(K) 바깥쪽에 위치한다. 외측 도어(124)를 통해 전달자(도 2의 T)는 상품(G)을 상품 수용 공간(125)에 입고할 수 있다.The outer door 124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K) that is outside the household in the storage body (123). Through the outer door 124 , the transmitter (T in FIG. 2 ) may put the product G into the product accommodation space 125 .

내측 도어(미도시)는 보관 몸체(123)에서 세대 내부인 출입문(K) 안쪽에 위치한다. 내측 도어(미도시)를 통해 구매자(도 2의 R)는 상품(G)을 상품 수용 공간(125)으로부터 출고할 수 있다.The inner door (not shown) is located inside the entrance door K, which is the inside of the household in the storage body 123 . Through the inner door (not shown), the purchaser (R in FIG. 2 ) may release the product G from the product accommodating space 125 .

본 실시예에서는 상품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하여 외측 도어(124)와 내측 도(미도시)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보관 몸체(123)의 상부 또는 측면에 하나의 도어 만이 구비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달자(도 2의 T)가 상품(G)을 입고할 때는 보관 몸체(123)가 세대 외부 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출입문(K)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세대 내부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출고할 때는 보관 몸체(123)가 세대 내부 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출입문(K)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outer door 124 and the inner diagram (not shown) are separately provided for stocking and leaving the product, but, unlike this, only one door is provided on the upper or side of the storage body 123 . and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when the delivery person (T in Fig. 2) receives the product (G), the storage body 123 moves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so that the door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K, and the buyer can release the product from inside the household. When the storage body 123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ehold, the door is located inside the door K.

상품 수령장치(120)는 상품 보관 공간(125)의 온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9)를 더 포함한다.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further includes a display 129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product storage space 125 .

상품 수령장치(120)는 상품 보관부(1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127)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캐스터(127)가 세대 외측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세대 내측에 설치되거나, 세대 외측과 내측 모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further includes a caster 127 for facilitating movement while stably supporting the product storage unit 122 . In the drawings, the casters 127 are shown to be installed only on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but unlike this, the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ehold or both outside and inside the household,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품 수령장치(120)는 내부 공간의 온도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further includes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세대의 출입문(K)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세대의 출입문(K)과는 구조적으로 분리되어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인접한 복수의 세대들 하나의 상품 수령장치(120)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S. 4 and 5 ,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at the door K of the household, but unlike this, it may be installed structurally separated from the door K of the household, and thi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on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may be shared and used by a plurality of adjacent households,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기(130)는 상품(G)을 구매하고 최종적으로 수령하는 구매자(R)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매자 단말기(130)는 거점 보관장치(110), 상품 판매 서버(175),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및 전달자 단말기(16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매자(R)는 구매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포장용품 관리자(M)가 운영하는 상품 판매 서버(175)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G)을 구매하며, 구매자 단말기(130)를 통해 구매한 상품(G)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13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 the purchaser terminal 130 is a terminal used by the purchaser R who purchases the product G and finally receives the product G,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The purchaser terminal 13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base storage device 110 ,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 and the delivery terminal 16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urchaser R purchases the product G to be purchased by accessing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operated by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using the purchaser terminal 130 , and purchases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130 .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one product (G) may be provided. The purchaser terminal 130 may include any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는 상품(G)을 생산·제조하는 상품 공급자(E)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 및 상품 판매 서버(175)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공급자(E)가 공급하는 상품(G)은 상품 운송자(H)에 의해 포장용기 관리자(M)에게 운송된다.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is a terminal used by the product provider E that produces and manufactures the product G,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and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may include any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The product (G) supplied by the product supplier (E) is transport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by the product transporter (H).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는 포장용품 관리자(M)가 준비한 배송품(P)을 운반하여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거나, 배송품(P)에서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 보관장치(120)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D)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는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 및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품 배송자(D)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를 통해 관리서버(190) 또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로부터 배송 정보를 제공받고 관리서버(190)로부터 거점 보관장치(110)의 이용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transports the delivery product P prepared by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and puts it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or separates the product G from the delivery product P to the product storage device 120 ) as a terminal used by the product deliverer (D) to be stored in the warehouse,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and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17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deliverer (D) receives delivery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190 or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170 through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 and uses information of the base storage device 110 from the management server 190 . are provided with An easily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as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

전달자 단말기(160)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배송품(P)을 출고하여 상품(G)을 구매자(R)가 사용하는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상품(G)과 분리된 사용후 포장용기(B)를 보냉 수단(C)과 함께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전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자 단말기(160)는 구매자 단말기(13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달자(T)는 전달자 단말기(160)를 통해 배송품(P)의 거점 보관장치(110) 입고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자(T)는 공동주택에서 고용한 인력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 서버(190)의 운영자가 고용한 인력일 수도 있다. 전달자 단말기(160)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The forwarder terminal 160 releases the delivered product (P)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puts the product (G)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used by the purchaser (R), and separates the product (G) from the product (G). It is a terminal used by a forwarder who puts the packaging container (B) together with the cooling means (C)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fter use,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forwarder terminal 160 may als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urchaser terminal 13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forwarder (T) checks whether the delivery goods (P) ar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through the forwarder terminal (16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warder (T) is described as a manpower employed in the apartment house, but may be manpower employed by the operator of the management server 190 differently from this. An easily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as the transmitter terminal 160 .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는 상품(G)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품인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관리하고 상품(G)을 포장용기(B)에 보냉수단(C)과 함께 포장하여 배송품(P)을 준비하는 포장용품 관리자(M)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장용기 관리자 단말기(170)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 및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포장용품 관리자(M)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를 통해 관리서버(190)로부터 포장용기(B)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는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에 대한 정보를 종류, 용량 및 사용 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다. 포장용기(B)는 소재에 따라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소재가 아닌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로 구분된다.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는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용품 관리자(M)는 포장용기(B)의 재사용을 위하여 회수된 포장용기(B)를 세척하며, 보냉수단(C)의 재활용을 위하여 보냉수단(C)의 냉매 물질을 냉각시키거나 재포장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상태로 처리한다.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170 manages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which are packaging products used for packaging of the product (G), and puts the product (G) in the packaging container (B), the cooling means (C) It is a terminal used by the packaging goods manager (M) who prepares the delivery product (P) by packaging it together, and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o enable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terminal 170 may als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ackaging article collector terminal 181 ,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 the product transporter terminal 185 , and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packaging goods manager (M)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from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the packaging goods manager terminal (170). The packaging goods manager terminal 170 classifies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ccording to the type, capacity, and use state. The packaging container (B) is divided into a packaging container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and a packaging container made of a non-biodegradable material according to the material. Packaging containers made of biodegradable materials are relatively expensive compared to packaging containers made of general materials. The packaging manager terminal 170 may include any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washes the recovered packaging container (B) for reuse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cools or repackages the refrigerant material of the cooling means (C) for recycling of the cooling means (C) so that it can be recycled.

상품 판매 서버(175)는 포장용품 관리자(M)에 의해 운영되며, 상품 판매를 위한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고,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판매 서버(175)는 구매자 단말기(130),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및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매자(R)는 구매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서버(175)에 접속하여 상품 판매 서버(175)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G)을 구매하고 주문하게 된다. 상품 판매 서버(175)는 판매 상품(G)에 대한 판매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9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및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 전송한다. 상품 판매 서버(175)가 생성하는 판매 정보는 판매 물품 정보(물품명, 중량, 크기, 보관 온도 등), 배송 정보(배송 주소, 수령 방식 등) 및 배송품(P)의 외부 환경 노출 추정 시간을 포함한다. 배송 정보에서 수령 방식은 직접 수령 방식과, 간접 수령 방식을 포함한다. 직접 수령 방식은 구매자(R)가 배송품(P)을 거점 보관장치(110)에 출고하거나, 상품 배송자(D)가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한 상품(G)을 구매자(R)가 출고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간접 수령 방식은 전달자(T)가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한 상품(G)을 구매자(R)가 출고하는 경우이다. 구매자(R)가 배송품(P)을 거점 보관장치(110)로부터 출고하여 수령하는 경우는, 구매자(R)가 상품(G)을 상품 보관장치(120)로부터 출고하여 수령하는 경우에 비해 보냉수단의 사용량이 줄어들며, 이는 배송비 산출에 영향을 준다. 구매자(R)는 상품 판매 서버(175)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구매 절차를 수행한다. 구매 절차 과정에서 직접 수령 방식과 간접 수령 방식 중 하나의 수령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절차 과정에서 직접 수령 방식에서도 거점 보관장치(110)로부터의 직접 수령과 상품 수령장치(120)로부터의 직접 수령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R)는 구매 절차 구매 과정에서 포장용기(B)의 종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품 판매 서버(175)은 복수의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가 제공하는 상품 정보를 전달받는다.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is operated by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provides a product sales system for product sales,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urchaser terminal 130 ,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170 , and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85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urchaser R accesses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using the purchaser terminal 130 to purchase and order the product G to be purchased through the product sales system provided by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generates sales information on the product G for sale,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170 , and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 The sale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includes sales product information (item name, weight, size, storage temperature, etc.), delivery information (delivery address, receipt method, etc.), and the estimated time of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elivered product (P). do. In the delivery information, the receiving method includes a direct receiving method and an indirect receiving method. In the direct receipt method, the buyer (R) delivers the product (P) to the base storage device (110) by the buyer (R) or the buyer (R) It is classified as a case of delivery. The indirect receiving method is a case in which the buyer R releases the product G that the forwarder T has stor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When the buyer (R) receives the delivery product (P)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110),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urchaser (R) ships and receives the product (G) from the product storage device (120), the cooling means usage is reduced, which affects the calculation of shipping costs. The purchaser R performs a purchase procedure through the product sales system provided by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 During the purchase process, you can select one of the direct receipt method and the indirect receipt method. Also, in the direct receiving method in the course of the purchase procedure, one of direct receipt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d direct receipt from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may be selected. In addition, the purchaser (R) may select the type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in the purchase process purchase process.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product provider terminals 140 .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사용후 포장용품인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출고하여 포장용품 관리자(M)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S)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는 거점 보관장치(110) 및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포장용기 회수자(M)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를 통해 관리서버(190)가 제공하는 포장용품 회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terminal 181 delivers the packaging goods manager (M) by shipping the used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which are used packaging goods, which ar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 It is a terminal used by the collector (S), and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communication. 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terminal 181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d the packaging goods manager terminal 17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ackaging container collector M checks the packaging article coll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the packaging article collector terminal 181 . As 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terminal 181, an easy-to-carry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는 상품 공급자(E)가 공급하고 구매자(R)에 의해 구매된 상품(G)을 포장용품 관리자(M)에게 운송하는 상품 운송자(H)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및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와도 통신이 가능하게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상품 운송자(H)는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를 통해 상품(G)의 운송에 필요한 상품 운송 정보를 관리서버(190)로부터 제공받는다.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The product transporter terminal 185 is a terminal used by the product transporter (H) that transports the product (G) supplied by the product supplier (E) and purchased by the buyer (R) to the packaging manager (M), and is a management server I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19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transporter terminal 185 is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170 and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 The goods transporter (H) receives the goods transport information necessary for transporting the goods (G) from the management server 190 through the goods transporter terminal 185 . As the goods transporter terminal 185, an easily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관리서버(190)는 거점 보관장치(110), 상품 수령장치(120), 구매자 단말기(130),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상품 판매 서버(175),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 및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거점 보관장치(110)와 상품 수령장치(120)를 이용한 상품(G)의 배송 및 포장용품(B, C)의 회수와 공급을 포함한 전체적인 물류를 관리한다. 관리서버(19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된 도 6를 참조하면, 관리서버(190)는 제어부(191)와,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와,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와,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와,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와,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와, 통신부(198)를 포함한다.The management server 190 includes a base storage device 110 , a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a purchaser terminal 130 , a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 a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 a delivery terminal 160 , and a packaging manager. The terminal 170,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terminal 181, and the product transporter terminal 185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d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Manage the overall logistics, including delivery of goods (G) using Referring to FIG. 6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190 is shown as a block diagram, the management server 190 includes a control unit 191, a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a sales information database 193, and a packaging product. It includes an information database 194 , a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 a packaging product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6 , a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 and a communication unit 198 .

도 1, 도 2 및 도 6를 참조하면, 제어부(191)는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와 데이터를 주고받고, 통신부(198)를 통해 거점 보관장치(110), 상품 수령장치(120), 구매자 단말기(130),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 및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191)는 메모리에 저장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91)의 기능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물류관리 방법을 통해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1, 2 and 6 , the control unit 191 includes a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 a sales information database 193 , a packaging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94 , a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 and a packaging product. Data is exchanged with the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6 and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 and the base storage device 110 ,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the purchaser terminal 130 , and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8 . ),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the delivery terminal 160, the packaging goods manager terminal 170, 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terminal 181, and the goods transporter terminal 185 while exchanging data and executing a logistics management program . In terms of hardware, the control unit 191 may be configur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in which a material management program stored in a memory is executed.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9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rough the logistics management method shown in FIGS. 7 and 8 .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는 거점 보관장치(110)와 상품 수령장치(120)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 저장되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대한 정보는 거점 보관장치(110)의 식별번호, 설치위치(주소), 복수개의 배송품 보관 구역들 각각에 대한 실시간 사용 상태 및 회수품 보관 공간에 보관된 실시간 회수품 보관량 등을 포함한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 저장되는 상품 수령장치(120)에 대한 정보는 상품 수령장치(120)의 식별번호, 설치위치(주소) 및 사용 상태 등을 포함한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data related to information of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d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r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 The information o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 installation location (address), a real-time usage state and number of each of a plurality of delivery storage areas. Including the amount of real-time recovered item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space, etc.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an installation location (address), a usage state, and the like. Data input/output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는 구매자(R)가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가 운영하는 상품 판매 서버(175)에 접속하여 상품(G)을 구매하면서 생성된 판매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191)는 상품 배송에 필요한 배송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sales information database 193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in the sales information database 193, the purchaser (R) accesses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operated by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170 to access the product (G). ), data related to sales information generated while purchasing is stored. Based on the sales information, the controller 191 generates delivery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duct delivery. Data input/output in the sales information database 19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에는 포장용기(B) 및 보냉수단(C)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에 저장되는 포장용기(B)의 정보는 포장용기의 용도, 크기, 소재, 실시간 위치 및 사용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packaging information database 194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the packaging information database 194 stores data related to inform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The inform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stored in the packaging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94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use, size, material, real-time location, and use state of the packaging container. Data input/output in the packaging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9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에는 상품 공급자(E)의 기본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등이 저장된다.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basic information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product supplier E is stored in the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 Data input/output in the product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에는 포장용품 관리자(M)의 기본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등이 저장된다.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6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basic information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is stored in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6 . Data input/output in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는 구매자(R)의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상품 배송자(D)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전달자(T)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포장용품 회수자(S)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및 상품 운송자(H)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부(191)는 구매자(R), 상품 운송자(H), 상품 배송자(D) 및 전달자(T)에게 배송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게 되고, 포장용품 회수자(S)에게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회수 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게 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is configured as a hardware memory device, and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contains information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buyer (R) and information (name, conta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delivery person (D). etc.), data related to the information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forwarder (T), the information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package collector (S) and the information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goods transporter (H) are stored do.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the control unit 191 guides the buyer (R), the product transporter (H), the product deliverer (D), and the forwarder (T) the information necessary in the delivery pro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covery process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will be guided to the packaging product collector (S). Data input/output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

통신부(198)는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되어서 거점 보관장치(110), 상품 수령장치(120), 구매자 단말기(130), 상품 공급자 단말기(140),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 및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와의 통신에 사용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9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1 to control the base storage device 110 ,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the purchaser terminal 130 , the product provider terminal 140 ,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 and the delivery terminal. 160 , the packaging goods manager terminal 170 , 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terminal 181 , and the goods transporter terminal 185 are used for communication.

도 7과 도 8에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품(G)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가 확인되는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와,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를 통해 확인된 상품(G)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를 산출하는 배송비 산출 단계(S105)와, 배송비 산출 단계(S105)를 통해 산출된 배송비를 구매자(R)에게 안내하는 배송비 안내 단계(S110)와, 상품(G)에 대한 판매 확정정보가 확인되는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와,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를 통해 확인된 판매 확정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운송자(H)에게 상품(G)의 운송이 지시되는 상품 운송 지시 단계(S120)와, 배송품(P)의 준비 완료가 확인되는 포장 완료 확인 단계(S125)와,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를 통해 확인된 판매 확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거점 보관장치(110) 중에서 배송품(P)이 보관될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가 선정되는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와,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를 통해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가 선정된 후 상품 배송자(D)에게 배송품(P)의 배송이 지시되는 배송 지시 단계(S135)와, 배송품(D)이 보관장치 선정 단계(S20)를 통해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는지가 확인되는 배송품 입고 확인 단계(S140)와, 배송품(P)의 수령방식이 확인되는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와,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를 통해 수령방식이 직접 수령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구매자(R)에게 수령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는 직접 수령 안내 단계(S150)와,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직접 수령이 확인되는 직접 수령 확인 단계(S155)와,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를 통해 수령방식이 간접 수령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전달자(T)에게 상품(G)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할 것을 지시하는 상품 전달 지시 단계(S160)와, 상품(G)이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되는 상품 입고 확인 단계(S165)와,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간접 수령이 확인되는 간접 수령 확인 단계(S170)와,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수령이 확인된 후 구매자(R)에게 사용후 포장용품에 대한 거점 보관장치(110)로의 입고를 안내하는 포장용품 입고 안내 단계(S175)와, 사용후 포장용품이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는지가 확인되는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와,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를 통해 확인된 포장용품의 입고 여부에 따라 구매자(R)의 포장용품 반납 성향이 업데이트되는 반납 성향 업데이트 단계(S185) 및 재활용 포인트 적립 단계(S188)와,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품의 수량이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와,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에서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포장용품 회수자에게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에 대한 회수가 지시되는 포장용품 회수 지시 단계(S195)를 포함한다.7 and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shown in FIG. 1 . 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elivery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shown in FIG. 1 , and sales of goods (G) A pre-sale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S100) in which prior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a shipping cost calculation step (S105) of calculating a shipping cost based on the pre-sal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G) confirmed through the pre-sale information check step (S100) and , A delivery cost guidance step (S110) of guiding the purchaser R of the delivery cost calculated through the delivery cost calculation step (S105), and a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S115) of confirming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product (G); The product transport instruction step (S120) in which the transport of the product (G) is instructed to the product transporter (H) based on the confirmed sales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S115), and the preparation of the delivery product (P) is completed A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in which the delivery product (P) is to be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base storage devices 110 based on the confirmed sales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confirmed packing completion confirmation step (S125) and the confirmed sales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S115) ( 110) is selec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30) and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30), after the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is selected, the delivery of the product (P) is instructed to the product deliverer (D) A delivery instruction step (S135), a delivery confirmation step (S140) in which it is checked whether the delivered product (D) is stocked in a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selected through a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20), and a delivery product (P) A direct receipt guidance step in which a receipt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buyer (R) when the receipt method is confirmed as a direct receipt method through the receipt method confirmation step (S145), in which the receipt method is confirmed, and the receipt method confirmation step (S145) When the receipt method is confirmed as an indirect receipt method through (S150), the direct receipt confirmation step (S155) in which the direct receipt of the product (G) by the buyer (R) is confirmed, and the receipt method confirmation step (S145)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for the product (G) to the forwarder (T) A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step (S160) instructing to be stocked in a product delivery confirmation step (S165) in which it is confirmed that the product (G) has been receiv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nd a product (G) by the purchaser (R) ) of the indirect receipt confirmation step (S170) in which the indirect receipt is confirmed, and after the receipt of the product (G) by the buyer (R) is confirmed to the buyer (R) to the base storage device 110 for the used packaging A packing goods wearing guidance step (S175) to guide wearing, a packing goods wearing confirmation step (S180) in which it is checked whether the packaging goods ar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fter use (S180), and a packing goods wearing confirmation step (S180) After the return propensity update step (S185) and the recycling point accumulation step (S188) in which the buyer (R)'s packing article return propensity is upd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acking goods are worn, after us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In the recovery standard checking step (S190) in which it is checked whether the quantity of packaging products meets the recovery standard, and in the recovery standard checking step (S190), when the recovery standard is satisfied, the packaging article collector is sent to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d a packaging article recovery instruction step (S195) in which the collection for the stored packaging is instructed.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에서는 구매자(R)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G)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가 확인된다. 판매 사전정보는 판매 상품 정보(상품명, 중량, 크기, 보관 온도 등), 배송 정보(배송 주소, 수령 방식 등),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포장용품의 반납 여부 및 배송품(P)의 외부 환경 노출 추정 시간을 포함한다.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는 구매자(R)가 상품 판매 서버(175)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판매 정보를 제어부(191)가 상품 판매 서버(175)로부터 전송받아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배송품(P)의 외부 환경 노출 추정 시간은 선택된 수령 방식, 거점 보관장치(110)와 상품 수령장치(120) 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제어부(19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를 통해 확인된 판매 사전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190)의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 저장된다.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를 통해 확인된 판매 확정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190)의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 저장된다.In the pre-sale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S100), pre-sal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G) that the buyer (R) wants to purchase is confirmed. Pre-sale information includes sales product information (product name, weight, size, storage temperature, etc.), delivery information (delivery address, receipt method, etc.), whether or not the packaging items selected by the buyer are returned, and the estimated time of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elivered product (P). includes The pre-sale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 S100 )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91 receiving and confirming the sales information that the buyer R accesses to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and checks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 The estimated time of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elivered product P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191 in consideration of the selected receiving method,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nd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and the like. The pre-sale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pre-sale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S100 is stored in the pre-sale information database 193 of the management server 190 as shown in FIG. 6 .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confirmation of sales information step S115 is stored in the sales information database 193 of the management server 190 as shown in FIG. 6 .

배송비 산출 단계(S105)에서는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를 통해 확인된 상품(G)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가 산출된다. 배송비는 판매 사전정보에 따라 설정된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을 포함한다. 배송비 산출 단계(S105)는 제어부(191)가 판매 사전정보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 저장된 구매자(R)의 포장용품의 반납 성향을 고려하여 배송비를 산출함으로써 수행된다. 포장용품의 반납 실적이 우수한 구매자(R)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저가인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배송비가 산출되고, 포장용품의 반납 실적이 저조한 구매자(R)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배송비가 산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는 구매자(R)에 의해 선택되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 사전정보에 포함되어서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송비는 포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In the shipping cost calculation step (S105), the shipping cost is calculated based on the pre-sale information on the product (G) confirmed through the pre-sale information checking step (S100). The shipping cost includes the cost of using the packaging set according to the pre-sale information. The shipping cost calculation step S105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91 calculating the shipping cost in consideration of the purchaser R's tendency to return the packaging products stored in the pre-sale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 For the buyer (R) with excellent return of packaging products, the delivery cost is calculated by using a relatively inexpensive packaging container made of general material, and relatively expensive biodegradability for the buyer (R) with poor return of packaging products. Shipping costs can be calculated by using the packaging of the material. Alternatively, a packaging container made of a general material and a packaging container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may be selected by the purchaser R and stored in the sales information database 193 as shown in FIG. 6 , included in the pre-sale information. In this embodiment, the shipping cost is a concept including the packaging cost.

배송비 안내 단계(S110)에서는 배송비 산출 단계(S105)를 통해 산출된 배송비가 구매자(R)에게 안내된다. 배송비 안내 단계(S110)는 배송비 산출 단계(S105)에서 산출된 배송비 정보를 제어부(191)가 상품 판매 서버(175)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구매자(R)는 상품 판매 서버(175)를 통해 배송비 안내 단계(S110)를 통해 안내된 배송비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상품의 구매를 확정하게 된다.In the delivery cost guidance step S110, the delivery cost calculated through the delivery cost calculation step S105 is informed to the purchaser R. The delivery cost guidance step S110 is performed when the control unit 191 transmits the delivery cost information calculated in the delivery cost calculation step S105 to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 The purchaser R confirms the delivery cost guided through the delivery cost guidance step S110 through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and finally confirms the purchase of the product.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에서는 상품(G)에 대한 판매 확정정보가 확인된다. 판매 확정정보는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에서 확인된 판매 사전정보와 배송비 안내 단계(S110)를 통해 확정된 포장 정보를 포함하며, 상품 판매 서버(175)에 의해 생성된다.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00)는 제어부(191)가 상품 판매 서버(175)기 생성한 판매 확정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confirmation of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 S115 ),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product (G) is confirmed.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pre-sale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pre-sale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S100 and the packaging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delivery cost guidance step S110, and is generated by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 The confirmation of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 S100 )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91 receiving and confirming the sale confirm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duct sales server 175 .

상품 운송 지시 단계(S120)에서는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를 통해 확인된 판매 확정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운송자(H)에게 상품(G)의 운송이 지시된다. 상품 운송 지시 단계(S120)는 제어부(191)가 판매 확정정보에 포함된 배송정보를 상품 운송자 단말기(185)를 통해 상품 운송자(H)에게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상품 운송 지시를 받은 상품 운송자(H)는 상품(G)을 포장용품 관리자(M)에게 운송하게 된다.In the product transportation instruction step S120 , the transportation of the product G is instructed to the product transporter H based on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step S115 . The product transportation instruction step S120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91 transmitting the deliver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product transporter H through the product transporter terminal 185 . The goods transporter (H) who has received the goods transport instruction transports the goods (G) to the packaging goods manager (M).

포장 완료 확인 단계(S125)에서는 배송품(P)의 준비 완료가 확인된다. 포장용품 관리자(M)는 상품 운송자(H)로부터 운송된 상품(G)을 판매 확정정보에 포함된 포장 정보에 따라 상품(G)을 포장하여 배송품(P)을 준비한다. 포장 완료 확인 단계(S125)는 제어부(191)가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81)로부터 전송된 배송품(P)의 준비 완료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packing completion confirmation step ( S125 ), the completion of the preparation of the delivery product (P) is confirmed.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M prepares the delivery product P by packing the product G transported from the product transporter H according to the packag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The packing completion confirmation step (S125)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91 confirming the ready message of the delivery product P transmitted from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181 .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에서는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를 통해 확인된 판매 확정정보에 포함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거점 보관장치(110) 중에서 배송품(P)이 보관될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가 선정된다.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에서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의 이용 정보(식별정보 또는 위치(주소))는 관리서버(190)의 제어부(191)에 의해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 전달된다.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에서는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의 선택과 함께,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에서 배송품(P)이 보관되는 보관 위치(보관 구역)도 함께 선정되며, 선정된 보관 위치도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 전달된다.I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30), based on the deliver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S115), a specific base storage in which the delivery product (P) is to be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base storage devices (110) Device 110 is selected. The use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 (address)) of the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selected i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30) is transferred to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by the control unit 191 of the management server 190. is transmitted I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30), along with the selection of the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the storage location (storage area) where the delivery product P is stored in the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is also selected, and the selected storage location It is also transmitted to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

배송 지시 단계(S135)에서는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를 통해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가 선정된 후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를 통해 상품 배송자(D)에게 배송품(P)의 배송이 지시된다. 배송 지시 단계(S135)는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를 통해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 및 보관 위치 정보를 관리서버(190)의 제어부(191)가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를 통해 상품 배송자(D)에게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배송 지시 단계(S135)를 통해 상품 배송자(D)는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에서 배송품(P)의 보관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배송 지시 단계(S135)를 통해 안내되는 배송품(P)의 보관 정보는 구매자 단말기(130) 및 전달자 단말기(140)로도 전송된다.In the delivery instruction step (S135), after the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is selec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30), the delivery of the delivered product (P) to the product shipper (D) through the product delivery device terminal 150 is directed In the delivery instruction step (S135), the control unit 191 of the management server 190 transmits the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and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through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step (S130) through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It is carried out by sending it to the product deliverer (D). Through the delivery instruction step (S135), the product deliverer (D) checks the storage location of the delivered product (P) in the selected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delivered product P guided through the delivery instruction step S135 is also transmitted to the purchaser terminal 130 and the forwarder terminal 140 .

배송품 입고 확인 단계(S140)에서는 배송품(P)이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의 보관 위치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다. 배송품(P)의 입고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의해 확인되며, 확인된 입고 정보는 관리서버(190)에 저장된다. 배송품 입고 확인 단계(S140)는 배송품(P)이 입고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 또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된 상품 입고 확인 메시지를 제어부(191)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delivery product arrival confirmation step ( S140 ), it is confirmed that the delivery product P has been stocked in the storage location of the selected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 The warehousing of the delivery product P is confirmed by the base storage device 110 , and the confirmed warehous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90 . The delivery confirmation step S140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91 checking the goods receipt confirm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base storage device 110 or the product delivery terminal 150 in which the delivery product P is stocked.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에서는 판매 확정정보에 포함된 수령방식 정보 또는 판매 확정정보의 생성 이후 구매자(R)에 의해 변경된 수령방식 정보에 따라 구매자(R)가 선택한 수령 방식(직접 수령 또는 간접 수령)이 제어부(191)에 의해 확인된다.In the receipt method confirmation step (S145), the receipt method (direct receipt or indirect receipt) selected by the buyer (R) according to the receip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or the receipt method information changed by the purchaser (R) after the generation of the sale confirmation information ) is confirmed by the control unit 191 .

직접 수령 안내 단계(S150)에서는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를 통해 수령방식이 직접 수령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구매자 단말기(130)로 수령 안내 메시지가 제어부(191)에 의해 전송된다.In the direct receipt guide step S150 , when the receipt method is confirmed as the direct receipt method through the receipt method confirmation step S145 , a receipt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purchaser terminal 130 by the controller 191 .

직접 수령 확인 단계(S155)에서는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직접 수령이 확인된다. 직접 수령 확인 단계(S155)는 거점 보관장치(110) 또는 구매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수령 확인 메시지를 제어부(191)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direct receipt confirmation step (S155), direct receipt of the product (G) by the purchaser (R) is confirmed. The direct receipt confirmation step S155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91 checking the receipt confirm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110 or the purchaser terminal 130 .

상품 전달 지시 단계(S160)에서는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를 통해 수령방식이 간접 수령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전달자(T)에게 상품(G)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할 것이 지시된다. 상품 전달 지시 단계(S160)는 관리서버(190)의 제어부(191)가 전달자 단말기(160)로 상품 전달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상품 전달 지시 메시지를 확인한 전달자(T)는 거점 보관장치(110)에서 해당 배송품(P)을 출고하여 구매자(R)에 대응하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운반하고 포장용품(B, C)으로부터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G)은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남은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은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한다.In the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step S160 , when the receipt method is confirmed as the indirect receipt method through the receipt method confirmation step S145 , the delivery person T is instructed to put the product G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 . The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step ( S160 ) is performed when the control unit 191 of the management server 190 transmits a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message to the forwarder terminal 160 . The forwarder (T), who has confirmed the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message, releases the corresponding delivery product (P)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110), transports it to the point where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r (R) is located, and delivers the packaging product (B) , C) is separated from the product (G), the product (G) is stor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nd the remaining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r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상품 입고 확인 단계(S165)에서는 상품(G)이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다. 상품 입고 확인 단계(S165)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상품(G)의 입고를 확인하고 이 신호를 관리서버(19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거나, 전달자 단말기(160)를 통해 전달자(T)가 상품(G)의 입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goods receipt confirmation step (S165), it is confirmed that the goods (G) have been received in the goods receiving device (120). The goods receipt confirmation step (S165) is performed by the goods receiving device 120 confirming the stocking of the goods (G) and transmitting this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or the transferor (T) through the forwarder terminal (160) It can be performed by sending a confirmation message wearing the product (G).

간접 수령 확인 단계(S170)에서는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간접 수령이 확인된다. 간접 수령 확인 단계(S170)는 상품 수령장치(120) 또는 구매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수령 확인 메시지를 제어부(191)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indirect receipt confirmation step (S170), the indirect receipt of the product (G) by the purchaser (R) is confirmed. The indirect receipt confirmation step S170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91 checking the receipt confirm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or the purchaser terminal 130 .

포장용품 입고 안내 단계(S175)에서는 직접 수령 확인 단계(S155) 및 간접 수령 확인 단계(S170)를 통해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수령이 확인된 후 구매자(R)에게 사용후 포장용품에 대한 거점 보관장치(110)로의 입고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제어부(191)에 의해 전송된다.In the packaging goods arrival guidance step (S175), after the receipt of the product (G) by the buyer (R) is confirmed through the direct receipt confirmation step (S155) and the indirect receipt confirmation step (S170), the purchaser (R) is packaged after use A message guiding the storage of goods to the base storage device 110 is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191 .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에서는 상품(G)이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된 후 남은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이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다.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는 거점 보관장치(110)가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입고를 확인하고 이 신호를 관리서버(19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거나, 전달자 단말기(160)를 통해 전달자(T)가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입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In the packing goods receipt confirmation step (S180), it is confirmed that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remaining after the product (G) is stor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120 ar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do. The packing goods arrival confirmation step (S180) is performed by the base storage device 110 confirming the stocking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fter use and transmitting this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190, or the delivery terminal Through ( 160 ), the forwarder (T) can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 confirmation message of the packing container (B) and the cold storage means (C) after use.

반납 성향 업데이트 단계(S185)에서는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를 통해 확인된 포장용품의 입고 여부에 따라 해당 구매자(R)의 포장용품 반납 성향이 제어부(191)에 의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 업데이트된다.In the return propensity update step (S185), the purchaser (R)'s packing article return propensity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91 according to whether the packing article is worn, which is confirmed through the packing article wearing confirmation step (S180), into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updated on

재활용 포인트 적입 단계(S188)에서는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를 통해 확인된 포장용품의 입고 여부에 따라 해당 구매자(R)의 재활용 포인트가 제어부(191)에 의해 적립되어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 저장된다.In the recycling point loading step (S188), the recycling points of the purchaser (R) are accumulated by the control unit 191 according to whether the packaging goods are worn or not, which is confirmed through the packaging product wearing confirmation step (S180), and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97 is stored in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에서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품(B, C)의 수량이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는 거점 보관장치(110) 또는 관리서버(190)가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수량이 회수 기준 수량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에서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수량이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포장용품 회수 지시 단계(S195)가 수행되고, 회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가 계속 수행된다.In the recovery standard checking step ( S190 ), it is checked whether the quantity of the used packaging products B and C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satisfies the recovery standard. In the recovery standard confirmation step (S190), the quant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after us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or the management server 190 is the recovery standard quantity. This is done by checking whether it has been reache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quant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in the collection standard confirmation step (S190) satisfies the recovery standard, the packaging article recovery instruction step (S195) ) is performed,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llection criteria are not satisfied, the packaging article stock confirmation step (S180) is continuously performed.

포장용품 회수 지시 단계(S195)에서는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에서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에 대한 회수가 포장용품 회수자(S)에게 지시된다. 포장용품 회수 지시 단계(S195)는 관리서버(190)가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로 회수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포장용품 회수자(S)가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를 통해 회수 지시 메시지를 확인하면,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출고하여 포장용기 관리자(M)에게 전달한다.In the packaging article recovery instruction step (S195), if the recovery standard is satisfied in the recovery standard confirmation step (S190), the recovery of the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fter use It is directed to the packaging article collector (S). The packaging article collection instruction step ( S195 ) is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190 sending a collection instruction message to the packaging article collector terminal 181 . When 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S) confirms the collection instruction message through the packaging goods collector terminal 181, the used packaging container (B) and the cooling means (C)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110 are shipped out. It is deliver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manager (M).

본 발명에서 상품은 백신, 의약품, 반도체 소자 등 저온 운송이 요구되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물품의 운송을 위한 물류관리에 활용되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s may include vaccines, pharmaceuticals, semiconductor devices, etc. that require low-temperature transportation.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nd used for logistics management for the transportation of various items,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or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lso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110 : 거점 보관장치
120 : 상품 수령장치
130 : 구매자 단말기
140 : 상품 공급자 단말기
150 : 상품 배송자 단말기
160 : 전달자 단말기
170 :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
175 : 상품 판매 서버
181 :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185 : 상품 운송자 단말기
190 : 관리서버
191 : 제어부
192 :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193 :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
194 :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195 :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96 :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97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98 : 통신부
100: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10: base storage device
120: product receiving device
130: buyer terminal
140: product provider terminal
150: product delivery terminal
160: forwarder terminal
170: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175: product sales server
181: packaging goods collector terminal
185: goods transporter terminal
190: management server
191: control unit
192: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93: Sales information database
194: Packaging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95: commodity supplier information database
196: Packaging product manager information database
197: user information database
198: Ministry of Communications

Claims (10)

포장용기를 구비하는 포장용품으로 상품을 포장하여 배송하고 상기 포장용품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장용품을 재활용하기 위해 상기 포장용품을 관리하고 상기 상품을 상기 포장용품으로 포장하여 배송품을 준비하는 포장용품 관리자에 의해 운용되고 상기 상품의 판매를 위한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버;
상기 배송품이 보관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상기 배송품에서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이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보관되는 회수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배송거점에 설치되는 거점 보관장치;
상기 상품의 최종 수령 장소에 설치되어서 상기 상품이 보관되는 상품 수령장치;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에 의해 준비된 상기 배송품을 운반하여 상기 거점 보관장치 또는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가 사용하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
상기 거점 보관장치에 보관된 상기 배송품을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까지 운반한 후 상기 상품을 상기 포장용품과 분리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고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을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상기 거점 보관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한 상기 상품의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구매자 단말기;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출고하여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및
상기 거점 보관장치, 상기 배송자 단말기, 상기 상품 수령장치, 상기 전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 서버 및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상기 상품과 상기 포장용품의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를 산출하며, 상기 배송비를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안내하고, 상기 구매자에 의해 상기 배송비가 확정된 후 결정된 판매 확정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포장용기는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소재가 아닌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로 구분되며,
상기 판매 사전정보는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 상기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와 상기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에 대한 상기 구매자의 선택을 포함하며,
상기 배송 정보는 상기 구매자에 의한 상품의 수령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수령 방식은 직접 수령 방식과 간접 수령 방식을 포함하며,
상기 직접 수령 방식은 상기 상품 배송자가 상기 거점 보관장치에 입고한 상기 배송품을 상기 구매자가 출고하거나, 상기 상품 배송자가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한 상기 배송품을 상기 구매자가 출고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상기 간접 수령 방식은 상기 상품 전달자가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한 상품을 상기 구매자가 출고하는 경우이며,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은 상기 수령 방식에 따라 상기 구매자에 의해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 반납되거나 상기 상품 전달자에 의해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 반납되어서, 상기 구매자의 반납 실적으로 산출되며,
상기 배송비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구매자의 반납 실적에 따라 설정된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을 포함하며,
상기 판매 확정정보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확정된 배송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의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의 입고를 확인하여 상기 구매자의 반납 실적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구매자의 반납 실적에 따라 상기 구매자를 우수 구매자와 일반 구매자로 구분하여, 상기 우수 구매자에게는 상대적으로 저가인 상기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를 포장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송비를 결정하고, 상기 일반 구매자에게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상기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를 포장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송비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의 반납률을 향상시키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A logistics system for packaging and shipping a product with a packaging product having a packaging container, and recovering and recycling the packaging product,
a product sales server that manages the packaging product to recycle the packaging product and is operated by a packaging product manager who prepares a delivery product by packaging the product with the packaging product, and provides a product sales system for selling the product;
a base storage device that provides a product storage space in which the delivered product is stored, and a recovered product storage space in which the packaging product separated from the product in the delivered product is stored as a packaging product after use, and is installed at a delivery base;
a product receiving device installed at the final receiving place of the product to store the product;
a product deliverer terminal used by a product deliverer who transports the delivered product prepared by the packaging manager and puts it into the base storage device or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After the delivery product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is shipped out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and transported 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the product is separated from the packaging product and put into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and the packaging product separated from the product is stor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a forwarder terminal used by a product forwarder to be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as the post-used packaging product;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used by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a purchaser terminal used by a purchaser to access the product sales server and perform a purchase procedure for the product through the product sales system;
a packaging article collector terminal used by a packaging article collector who releases the used packaging article from the base storage device and delivers it to the packaging article manager; and
It is connected to the base storage device, the delivery terminal,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the forwarder terminal, the packaging product collector terminal, the product sales server, and the packaging product manag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distribute the product and the packaging product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pre-sale information on the product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calculates a shipping cost based on the pre-sale information, transmits the shipping cost to the product sales server, and informs the buyer, Confirm the sales confirmation information determined after the delivery cost is confirmed by the buyer,
The packaging container is divided into a packaging container of a biodegradable material and a packaging container of a general material that is not a biodegradable material,
The pre-sale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confirm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shipping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the purchaser's selec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biodegradable material and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general material,
The deliver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how the product is received by the purchaser,
The receiving method includes a direct receiving method and an indirect receiving method,
The direct receipt method is divided into a case in which the purchaser releases the delivered product that the product deliverer has stored in the base storage device, or the purchaser releases the delivered product that the product deliverer has stored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The indirect receipt method is a case in which the purchaser releases the product that the product forwarder has put in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The used packaging product is returned to the base storage device by the buyer or returned to the base storage device by the product forwarder according to the receipt method, and is calculated as the return performance of the buyer,
The shipping cost includes the cost of using packaging products set according to the pre-sale information and the return results of the buyer,
The sale confirm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sale advance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delivery cost,
The management server updates the return performance of the buyer by confirming the receipt of the used packaging product to the base storage device,
The management server divides the buyer into a good buyer and a general buyer according to the return performance of the buyer, and determines the delivery cost by using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general material, which is relatively cheap for the good buyer, for packaging, By determining the delivery cost by using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biodegradable material, which is relatively expensive for general buyers, for improving the return rate of the packaging product after use,
Distribution base-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상품의 중량, 크기 및 보관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weight, size and storag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roduct,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 사전정보는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배송품의 외부 환경 노출 추정 시간을 더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al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n estimated time of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elivered product determined by the management server,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품은 보냉수단을 더 구비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ckaging article further comprises a cooling means,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령장치는 공동주택의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duct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door of each household in the apartment house,
Distribution base 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KR1020210057802A 2020-05-06 2021-05-04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KR1024135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3823 2020-05-06
KR1020200053823 2020-05-06
KR20200062229 2020-05-25
KR1020200062229 2020-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936A KR20210135936A (en) 2021-11-16
KR102413558B1 true KR102413558B1 (en) 2022-06-27

Family

ID=7871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802A KR102413558B1 (en) 2020-05-06 2021-05-04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5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837B1 (en) * 2022-02-28 2022-07-28 (주)에프엠에스코리아 A recyclable product collection apparatus, a smart logistics apparatus and a smart logistics system including the recycling product recovery apparatus
CN115626408B (en) * 2022-11-03 2023-11-14 江苏中博通信有限公司 Full life cycle management system of communication material intelligent supply chain
KR102612728B1 (en) * 2022-11-29 2023-12-12 주식회사 시크한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cold chain lcl prodcu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684A (en) * 2004-10-25 2006-06-15 Ricoh Co Ltd Transport control method of circulating packing vessel
KR102006623B1 (en) * 2018-11-09 2019-08-02 최동호 Cold-chain delivery and retrieval system based on blockchai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88B1 (en) 2018-09-28 2019-05-23 (주)에프엠에스코리아 Cool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684A (en) * 2004-10-25 2006-06-15 Ricoh Co Ltd Transport control method of circulating packing vessel
KR102006623B1 (en) * 2018-11-09 2019-08-02 최동호 Cold-chain delivery and retrieval system based on block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936A (en)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558B1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KR102368672B1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KR101095705B1 (en) A broadband electronical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using rf-id tags
KR102413557B1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US7848964B2 (en) Method for shopping in a store
US9378479B2 (en) Last mile logistics
JP5185533B2 (en) Item level visualization technology for nested and adjacent containers
US10949801B1 (en) Inventory item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KR101876721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anding cold chain solution
CN101014517A (en) Commodity incoming/outgoing management system
Paul et al. Study of smart invento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JP2020080197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server
KR20210101889A (en) Optimal service method and packaging device considering temperature condition of delivery product through big data
KR102352944B1 (en) Recycled ice pack,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cycled ice pack, and system for recycling ice packs
KR102317088B1 (en) System for recycling ice pack
JP5213689B2 (en) Lunch box manufacturing and sale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20220033461A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robot
KR20210067856A (en)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delivery goods low temperature keeping device
KR102278723B1 (en)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movable goods keeping device
JP2003118842A (en)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Dose et al. Implementation of RFID technology in perishable goods transport
JP2005212913A (en) Returnable container logistics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returnable container logistics management server
AU2019200581A1 (en) Last mile logistics
GB2565883A (en) Smart container and multi-layer supply chain automation thereof
KR10230889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management of trackable and reusable shipping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