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457B1 -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457B1
KR102413457B1 KR1020200102430A KR20200102430A KR102413457B1 KR 102413457 B1 KR102413457 B1 KR 102413457B1 KR 1020200102430 A KR1020200102430 A KR 1020200102430A KR 20200102430 A KR20200102430 A KR 20200102430A KR 102413457 B1 KR102413457 B1 KR 102413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supply cycle
detection sensor
bubble detection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1632A (en
Inventor
송기풍
Original Assignee
송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풍 filed Critical 송기풍
Priority to KR102020010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457B1/en
Publication of KR2022002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6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는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세정액에 거품을 발생시켜 내조로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내조의 상부측에 마련되어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1 높이에 도달할 때 제1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거품감지센서와, 내조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2 높이에 도달할 때 제2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거품감지센서 및 제1 거품감지센서 및 제2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거품감지신호에 따라 거품공급주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제1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거품공급주기를 그 거품공급주기의 오프시간을 증가시킨 거품공급주기로 변경하고, 변경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감소시켜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제2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지 않으면, 변경된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키고, 복귀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증가시켜 거품의 부족을 방지한다.The forensic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forged toilet in which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cleaning liquid by a bubble generating pump and supplied to the inner tub. 1 A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for outputting a bubble detection signal, a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and a first bubbl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tub to output a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when the foam of the inner tub reaches a preset second height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bubble supply cycle according to the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receives the first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for a preset time, Changes the bubble supply cycle stored in the memory to a bubble supply cycle that increases the off 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and reduces the bubble supply by ope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according to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to prevent bubbles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2 If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from the bubble detection sensor is not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and the bubble supply amount by ope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according to the returned bubble supply cycle increase to prevent the lack of foam.

Description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세정수로 발생시킨 거품을 이용하여 오물을 씻어버리고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cloth toilet which can wash away dirt and block odors using foam generated by washing wat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포세식 변기는 기포발생펌프를 이용하여 물에 세정액이 혼합된 세정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고 일정한 수준의 거품량이 변기 내에 지속적으로 잔류되도록 거품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변기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In general, a toilet-type toilet uses a bubble-generating pump to supply air to the washing water mixed with water to generate bubbles, and to control the foam supply so that a certain level of foam is continuously left in the toilet, thereby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toilet. It can be kept clean and can block odors.

이러한 포세식 변기는 물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공사장, 공원 등의 이동식 화장실에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These four-fold toilets tend to be used in portable toilets such as construction sites and parks where water supply is not easy.

기존의 포세식 변기는 변기 내부로 일정량의 거품이 지속적으로 잔류시키기 위하여 거품을 주기적으로 공급한다. 기존의 포세식 변기는 설치된 장소의 사용 패턴에 맞게 메모리에 저장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를 온 시키거나 오프시킨다. 거품공급주기의 온 시간 동안에는 기포발생펌프를 온시키고, 오프 시간 동안에는 기포발생펌프를 오프시킨다.Existing flush toilets periodically supply foam to keep a certain amount of foam continuously inside the toilet. Existing flush toilets turn on or off the foaming pump according to the foam supply cycle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of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During the on 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the bubble generating pump is turned on, and during the off time, the bubble generating pump is turned off.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서 포세식 변기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거품공급주기로는 충분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없어 거품 부족으로 세정 능력이 떨어지고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If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 to use the toilet seat at once, the existing foam supply cycle cannot generate enough foam.

최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거품공급주기를 조절하여 거품 공급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변기가 자주 이용될 경우엔 대응 가능하지만, 변기 이용 빈도가 낮아질 경우 과다한 거품을 발생시켜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쳐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Recently,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bubble supply is increased by adjusting the bubble supply cycle. Howev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spond if the toilet is frequently used, but if the frequency of toilet use is low, excessive foam is generated, and the foam overflows out of the toilet, making it impossible to maintain a clean state.

기존에는 거품공급주기가 고정되어 있고, 거품의 넘침을 감지할 감지수단이 없기 때문에 거품 넘침을 방지할 수 없어 성능 및 사용자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다.In the past, since the bubble supply cycle is fixed and there is no detection means to detect the overflow of the bubble, the overflow of the bubble cannot be prevented, and thus the performance and user satisfaction may decrease.

등록특허공보 제10-1590158호(2016.01.25.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90158 (2016.01.25. Registered)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변기 이용 빈도가 감소하더라도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기 내에 일정한 거품량을 잔류시킬 수 있는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sh toilet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amount of foam in the toilet while preventing the foam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even when the frequency of toilet use is reduced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세정액에 거품을 발생시켜 내조로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상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1 높이에 도달할 때 제1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거품감지센서; 상기 내조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2 높이에 도달할 때 제2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거품감지신호에 따라 거품공급주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거품공급주기를 그 거품공급주기의 오프시간을 증가시킨 거품공급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감소시켜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2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변경된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키고, 복귀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증가시켜 거품의 부족을 방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품공급주기의 변경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 동안 기준횟수보다 많으면, 거품공급주기를 오프시간이 더 길게 조정된 거품공급주기로 변경시키는 포세식 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a flush toilet for generating bubbles in a cleaning solution by a bubble generating pump and supplying it to an inner tub. a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for outputting a bubble detection signal; a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tub to output a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when the bubbles in the inner tub reach a preset second height;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bubble supply cycle according to the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When is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the bubble supply cycle stored in the memory is changed to a bubble supply cycle with an increased off 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and the bubble supply amount is increased by ope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according to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to prevent the bubbles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bowl, and if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is not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returns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and returns By ope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according to the bubble supply cycle, the bubble supply amount is increased to prevent the shortage of bubbles,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bubble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change and return of the bubble supply cycle.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and when the counted numb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number for a preset time limit, the bubble supply cycle is changed to a bubble supply cycle with a longer off time A flush toilet may be provided.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는 2개의 전극을 가지고 하나의 전극은 접지 전극의 기능을 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감지 전극의 기능을 하고, 감지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의 저항 변화로부터 거품을 감지하는 전기저항형 레벨센서일 수 있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have two electrodes, one electrode functions as a ground electrode and the other electrode functions as a sensing electrode, and resistance chang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It may be an electrical resistance type level sensor that detects bubbles from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는 2개의 동심원통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부터 거품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레벨센서일 수 있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may be a capacitive level sensor for detecting a bubble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wo concentric cylindrical electrodes.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후 프리즘을 경유하여 광센서로 입사되는 광량의 변화로부터 거품을 감지하는 프리즘 타입의 광학식 레벨센서일 수 있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may be a prism-type optical level sensor that detects bubbles from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and incident to the optical sensor via a prism.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품공급주기를 변경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킬 수 있다.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changing the bubble supply cycle, the control unit may restore the bubble supply cycle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삭제delete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세정액에 거품을 발생시켜 내조로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상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1 높이에 도달할 때 제1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거품공급주기를 그 거품공급주기의 오프시간을 증가시킨 거품공급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감소시켜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거품공급주기를 변경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상기 내조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2 높이에 도달할 때 제2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2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변경된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키고, 상기 복귀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증가시켜 거품의 부족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거품공급주기를 변경시키는 것은, 상기 거품공급주기의 변경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 동안 기준횟수보다 많으면, 거품공급주기를 오프시간이 더 길게 조정된 거품공급주기로 변경시키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flush toilet in which bubbles are generated in a cleaning liquid by a bubble generating pump and supplied to an inner tub, wherein the foam of the inner tub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ub to reach a preset first height. When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outputting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for a preset time, the bubble supply cycle stored in the memory is set to the bubble supply by increasing the off 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Change to the cycle and operate the bubble generating pump according to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to reduce the bubble supply amount to prevent bubbles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and to change the bubble supply cycle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or If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is not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from a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tha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outputs a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when the foam of the inner tub reaches a preset second height, the returning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and increasing the bubble supply amount by ope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according to the returned bubble supply cycle to prevent shortage of bubbles, and changing the bubble supply cycle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change and return of the bubble supply cycle,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for a preset time is counted, and the counted number is a preset limit If more than the reference number of times during the time, the control method of the forcing toilet to change the foam supply period to the foam supply period adjusted to be longer off time may be provided.

삭제delete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변기 이용 빈도가 감소하더라도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기 내에 일정한 거품량을 잔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even i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oilet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am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and to leave a certain amount of foam in the toilet.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1 거품감지센서와 제2 거품감지센서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거품공급주기를 도시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1 거품감지센서와 제2 거품감지센서를 도시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1 거품감지센서와 제2 거품감지센서를 도시한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shows a control block of the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and 4 show a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a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shows a foam supply cycle in the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se-typ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shows a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a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of the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shows a first foam sensor and a second foam sensor of the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isclosed invention pertains or content overlapping between the embodiments is omitted. The term 'part, module, member, block'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part, module, member, block'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for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to include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1st, 2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the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hav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는 변기 본체(10), 변기 본체(10)에 연결된 본체 수조(20) 및 전장부품이 마련된 컨트롤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flush toilet may include a toilet body 10 , a body water tank 20 connected to the toilet body 10 , and a control unit 30 provided with electrical components.

본체 수조(20) 내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다. 본체 수조(20) 내에는 저장된 물에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세정액이 저장된 세정액 탱크(21)가 마련될 수 있다.Water is stored in the body water tank 20 . A cleaning liquid tank 21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stored may be provided in the body water tank 20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to the stored water.

본체 수조(20)에는 변기 본체(10)와 연통되어 본체 수조(20)에서 발생된 거품을 변기 본체(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거품 공급부(22)가 마련되어 있다.The body water tank 20 is provided with a foam supply unit 22 communicating with the toilet body 10 and supplying foam generated in the body water tank 20 to the inside of the toilet body 10 .

컨트롤 유닛(30)은 포세식 변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1)와 이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기포발생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may include a control unit 31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flush toilet and a bubble generating pump 32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1 .

기포발생펌프(32)는 공기 공급관(33)에 의해 본체 수조(20)의 하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provided to supply air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water tank 20 through the air supply pipe 33 .

기포발생펌프(32)가 공기 공급관(33)을 통해 본체 수조(20)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본체 수조(20)의 상부에서 거품이 발생한다. 발생된 거품은 거품 공급부(22)를 따라 변기 본체(10)의 외조(11)와 내조(12) 사이로 안내된 후 내조면을 따라 흘러내린다.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supplies air to the body water tank 20 through the air supply pipe 33 , thereby generating bubbles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water tank 20 . The generated bubbles are guided between the outer tub 11 and the inner tub 12 of the toilet body 10 along the foam supply unit 22 and then flow down along the inner tub surface.

상기한 구성을 갖는 포세식 변기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변기 내부로 일정량의 거품을 지속적으로 잔류시킨다.The flush toile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ontinuously leaves a certain amount of foam inside the toilet in the same way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경우, 용변은 내조(12)에 체류하는 거품(B)에 의해 내조(12)에 닿지 않으면서 변 배출구(13)로 이동한다. 변 배출구(13)로 이동된 변은 자중에 의해 변 배출구(13)를 개방하여 하측의 오물통으로 낙하한다.When the user sees the toilet in this state, the toilet moves to the stool outlet 13 without touching the inner tub 12 by the bubbles B remaining in the inner tub 12 . The stool moved to the stool outlet 13 opens the stool outlet 13 due to its own weight and falls into the waste container at the lower side.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블록을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control block of the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포세식 변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toilet seat includes a control unit 31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제어부(31)의 입력측에는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제2 거품감지센서(4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control unit 31 .

제어부(31)의 출력측에는 기포발생펌프(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control unit 31 .

제어부(31)는 프로세서(31a)와 메모리(3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1 may include a processor 31a and a memory 31b.

메모리(31b)는 프로세서(31a)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포세식 변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31b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31a, and various data for operation of the pose-type toilet.

메모리(31b)는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31b includes not only volatile memories such as S-RAM and D-RAM, but also flash memory,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etc. of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31a)는 포세식 변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1a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lush toilet.

제1 거품감지센서(41)는 변기 본체(10)의 내조(12)의 상부측에 마련되어 내조(12)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상부 높이에 도달할 때 제1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1 거품감지센서(41)에 의해 출력된 제1 거품감지신호는 제어부(31)에 전달된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ub 12 of the toilet body 10 and outputs a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when the foam of the inner tub 12 reaches a preset upper height.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by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1 .

제2 거품감지센서(42)는 내조(12)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내조(12)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하부 높이에 도달할 때 제2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2 거품감지센서(42)에 의해 출력된 제2 거품감지신호는 제어부(31)에 전달된다.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tub 12 and outputs a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when the bubbles of the inner tub 12 reach a preset lower height.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by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1 .

도 3 및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1 거품감지센서와 제2 거품감지센서를 도시한다.3 and 4 show a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a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of the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제2 거품감지센서(41)는 전기저항식 레벨센서일 수 있다.3 and 4,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1 may be an electrical resistance type level sensor.

제1 거품감지센서(41)는 변기 본체(10)의 내조(12)의 상부측에 마련된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ub 12 of the toilet body 10 .

제1 거품감지센서(41)는 내조(12)의 상단부에 내장되며 내조(12) 내의 거품과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일단이 내조(12)를 관통하여 내조(12) 내에 위치한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is embedded 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tub 12 and has one end penetrating the inner tub 12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ubbles in the inner tub 12 and is located in the inner tub 12 .

제1 거품감지센서(41)는 내조(12) 내의 거품과 접촉할 때와 접촉하지 않을 때의 저항 변화로 인해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거품의 높이(상한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can detect the height (upper limit height) of the bubble by outputting different signals due to a change in resistance when in contact with the bubble in the inner tub 12 and when not in contact.

제1 거품감지센서(41)는 두 개의 전극(41a, 41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전극(41a)은 접지 전극의 기능을 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41b)은 감지 전극의 기능을 한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may include two electrodes 41a and 41b. One electrode 41a functions as a ground electrode, and the other electrode 41b functions as a sensing electrode.

두 개의 전극(41a, 41b) 중 접지 전극(41a)은 접지되고 감지 전극(41b)은 거품의 하한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된다.Among the two electrodes 41a and 41b, the ground electrode 41a is grounded, and the sensing electrode 41b is installed at a position for detecting the lower limit height of the bubble.

두 개의 전극(41a, 41b) 사이에 거품이 존재하면, 거품이 없을 때와 달리 전극들 사이에 일정한 값의 전압 차가 발생하게 된다. 제어부(31)는 이러한 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거품이 존재함을 인식하고, 제1 거품감지센서(41)의 설치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과다 발생한 거품의 상한 높이를 인식할 수 있다.When a bubble exists between the two electrodes 41a and 41b, a voltage difference of a certain value is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s, unlike when there is no bubble. The control unit 31 detects this voltage change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bubbles, and since it know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it can recognize the upper limit height of excessively generated bubbles.

한편, 제2 거품감지센서(42)는 변기 본체(10)의 내조(12)의 하부측에 마련된다.Meanwhile,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tub 12 of the toilet body 10 .

제2 거품감지센서(42)는 내조(12)의 하단부에 내장되며 내조(12) 내의 거품과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일단이 내조(12)를 관통하여 내조(12) 내에 위치한다.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is embedded in the lower end of the inner tub 12 and has one end penetrating the inner tub 12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ubbles in the inner tub 12 and is located in the inner tub 12 .

제2 거품감지센서(42)는 내조(12) 내의 거품과 접촉할 때와 접촉하지 않을 때의 저항 변화로 인해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거품의 높이(하한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can detect the height of the bubble (lower limit height) by outputting different signals due to the change in resistance when in contact with the bubble in the inner tank 12 and when not in contact.

제2 거품감지센서(42)는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전극(42a, 42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전극(42a)은 접지 전극의 기능을 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42b)은 감지 전극의 기능을 한다.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may include two electrodes 42a and 42b like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 One electrode 42a functions as a ground electrode, and the other electrode 42b functions as a sensing electrode.

두 개의 전극(42a, 42b) 중 접지 전극(42a)은 접지되고 감지 전극(42b)은 거품의 상한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에 설치된다.Of the two electrodes 42a and 42b, the ground electrode 42a is grounded, and the sensing electrode 42b is installed at a position for detecting the upper limit height of the bubble.

제1 거품감지센서(41)의 접지 전극(41a)과 제2 거품감지센서(42)의 접지 전극(42a)은 동일한 하나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ground electrode 41a of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and the ground electrode 42a of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may be composed of the same single electrode.

두 개의 전극(42a, 42b) 사이에 거품이 존재하면, 거품이 없을 때와 달리 전극들 사이에 일정한 값의 전압 차가 발생하게 된다. 제어부(31)는 이러한 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거품이 존재함을 인식하고, 제2 거품감지센서(42)의 설치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부족한 거품의 하한 높이를 인식할 수 있다.When a bubble exists between the two electrodes 42a and 42b, a voltage difference of a certain value is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s, unlike when there is no bubble. The controller 31 detects this voltage change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bubbles, and know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so it can recognize the lower limit height of insufficient bubbles.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에서 거품공급주기를 도시한다.Figure 5 shows a foam supply cycle in the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변경 전 거품공급주기와 변경 후 거품공급주기가 나타나 있다.5, the bubble supply cycle before the change and the bubble supply cycle after the change are shown.

변경 전 거품공급주기는 t1 온 시간 동안 기포발생펌프(32)를 온시키고, t2 오프 시간 동안 기포발생펌프(32)를 오프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변경 전 거품공급주기는 기포발생펌프(32)를 3초 동안 온 시키고, 5초 동안 오프시킨다.The foam supply cycle before change is configured to turn on the foaming pump 32 for t1 on time and turn off the foaming pump 32 for t2 off time. For example, the bubble supply cycle before change turns on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for 3 seconds and turns it off for 5 seconds.

변경 후 거품공급주기는 변경 전 거품공급주기의 오프시간을 증가시킨 거품공급주기이다. 예를 들면, 변경 후 거품공급주기는 기포발생펌프(32)를 3초 동안 온 시키고, 30초 동안 오프시킨다.The bubble supply cycle after the change is the bubble supply cycle in which the off 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before the change is increased. For example, after changing the bubble supply cycle,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turned on for 3 seconds and turned off for 30 seconds.

제어부(31)는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제2 거품감지센서(42)로부터 출력된 거품감지신호에 따라 거품공급주기를 변경한다.The control unit 31 changes the bubble supply cycle according to the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은 제1 거품감지센서(41)로부터 출력된 제1 거품감지신호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100), 제1 거품감지신호가 지속되면, 거품공급주기를 변경전 거품공급주기에서 변경후 거품공급주기로 변경하고(102), 변경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키고(104),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106),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키고(108), 복귀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키고(110),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2 거품감지센서(42)로부터 출력된 제2 거품감지신호가 지속 수신되지 않는지를 판단하고(112), 제2 거품감지신호가 지속 수신되지 않으면,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키고(108), 복귀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키는 것(1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forged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continues ( 100 ), and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is If it continues, change the bubble supply cycle from the bubble supply cycle before the change to the bubble supply cycle after the change (102), operate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according to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104), and determine wheth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nd (106), when the preset time has elapsed, the bubble supply cycl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108), and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returned bubble supply cycle (110), and the preset time If this has not elaps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is not continuously received ( 112 ), and if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is not continuously received, the bubble supply cycle is set to the original returning the bubble supply cycle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108), and ope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according to the returned bubble supply cycle (110).

제어부(31)는 제1 거품감지센서(41)로부터 출력된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면, 메모리(32b)에 저장된 거품공급주기(변경 전 거품공급주기)를 그 거품공급주기의 오프시간을 증가시킨 변경된 거품공급주기(변경 후 거품공급주기)로 변경한다. 제어부(31)는 변경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감소시켜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is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31 sets the bubble supply cycle (the bubble supply cycle before change) stored in the memory 32b to the bubble Change to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foam supply cycle after change) that increases the off time of the supply cycle. The control unit 31 operates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according to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to reduce the bubble supply amount to prevent the bubbles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bowl.

예를 들면, 3초 ON/ 5초 OFF의 거품공급주기로 거품 공급하는 중에 변기 이용 빈도가 줄어들 경우 소비되지 않고 누적된 과다한 거품이 계속해서 상승하여 제1 거품감지센서(41)에 감지된다. 이럴 경우, 제어부(31)는 과다 발생된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품공급주기를 3초 ON / 5초 OFF 에서 3초 ON/ 30초 OFF 로 변경하고, 변경된 거품공급주기인 3초 ON / 30초 OFF를 근거로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거품 발생 및 공급이 줄어듬과 함께 거품의 자연 소멸로 인해 거품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 거품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제1 거품감지센서(41)에 거품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다.For example, if the frequency of using the toilet decreases during bubble supply with a bubble supply cycle of 3 sec ON / 5 sec OFF, excess bubbles accumulated without consumption continue to rise and are detected by the first bubble sensor 41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1 changes the bubble supply cycle from 3 sec ON / 5 sec OFF to 3 sec ON / 30 sec OFF to prevent excessively generated bubbles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bowl, and changes the bubble supply cycle to 3 sec. On the basis of ON / 30 sec OFF,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is operated. Accordingly, the bubble's height is gradually lowered due to the natural disappearance of the bubble along with the decrease in the generation and supply of the bubble. As the height of the bubble decreases, the bubble is no longer detected by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

제어부(31)는 거품공급주기를 변경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거품공급주기를 변경 전의 원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키고, 복귀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다시 증가시켜 변기 내에 일정한 거품량을 잔류시킬 수 있다.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changing the bubble supply cycle, the control unit 31 restores the bubble supply cycle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before the change, and operates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according to the returned bubble supply cycle to increase the amount of bubble supply. By increasing again, a certain amount of foam can be left in the toilet bowl.

제어부(31)는 거품공급주기의 변경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제1 거품감지센서(41)로부터 출력된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횟수(거품 넘침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동안 기준횟수보다 많으면, 변경될 거품공급주기의 오프시간을 그전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즉, 거품공급주기를 변경했음에도 과다한 거품이 자주 발생하면, 거품공급주기의 오프시간을 길게 하여 그러한 현상을 줄인다.The control unit 31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number of bubbles overflow) that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is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change and return of the bubble supply cycle And, if the counted numb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number during the preset time limit, the off 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to be changed can be set longer than before. That is, if excessive bubbles frequently occur even after changing the bubble supply cycle, the off-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is lengthened to reduce such a phenomenon.

한편, 제어부(31)는 제1 거품감지센서(41)로부터 출력된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지 않으면, 변경된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다시 변경한다. 제어부(31)는 재변경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기포발생펌프(32)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증가시켜 거품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is not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31 changes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back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The control unit 31 operates the bubble generating pump 32 according to the re-changed bubble supply cycle, thereby increasing the bubble supply amount, thereby preventing the bubble shortage.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1 거품감지센서와 제2 거품감지센서를 도시한다.7 shows a first foam sensor and a second foam sensor of the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제2 거품감지센서(42′) 둘 다 혹은 어느 하나는 정전용량식 레벨센서일 수 있다.Both or either of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 may be a capacitive level sensor.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제2 거품감지센서(42′)는 감지전극을 내조(12) 내에 삽입하고, 접지전극과 감지전극 사이의 정전용량값을 검출하여 거품을 검출한다.The first bubble detecting sensor 41 ′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ng sensor 42 ′ insert a sensing electrode into the inner tank 12 , and detect a bubble by detecting a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sensing electrode.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제2 거품감지센서(42′)는 접지전극과 감지전극 사이에 거품이 없는 경우의 유전율과 거품이 있는 경우의 유전율이 다르므로 정전용량값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거품을 검출한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 use different capacitance values because the dielectric constant when there is no bubble between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sensing electrode is different from the dielectric constant when there is a bubble. to detect bubbles.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제2 거품감지센서(42′)는 외부 전극과 내부 전극의 2중 동심원통형 정전용량식 레벨센서의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 may have a structure of a double concentric cylindrical capacitive level sensor of an external electrode and an internal electrode.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변기의 제1 거품감지센서와 제2 거품감지센서를 도시한다.8 shows a first foam sensor and a second foam sensor of the toilet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제2 거품감지센서(42″) 둘 다 혹은 어느 하나는 프리즘 타입의 광학식 레벨센서일 수 있다.Both or either of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may be a prism-type optical level sensor.

제1 거품감지센서(41″)와 제2 거품감지센서(42″)는 프리즘을 내조(12) 내에 삽입하고, 프리즘(41a″, 42a″), 광원(41b″, 42b″) 및 광센서(41c″, 42c″)를 입사광과 반사광의 통로를 제공하는 광섬유로 연결하여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광센서로 수신되는 과정에서 거품이 프리즘에 닿을 때 생기는 굴절율 차이로 인한 광량 변화를 검출하여 거품을 검출한다.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1″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42″ insert a prism into the inner shell 12, prisms 41a″, 42a″, light sources 41b″, 42b″, and an optical sensor. (41c″, 42c″) is connected with an optical fiber that provides a path for incident and reflected light to detec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that occurs when the bubble hits the prism while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received by the optical sensor detect

이상과 같이, 개시된 발명은 변기 이용 빈도가 감소하더라도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기 내에 일정한 거품량을 잔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losed invention can keep a certain amount of foam in the toilet while preventing the foam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even when the frequency of toilet use is reduced.

10 : 변기 본체 20 : 수조
30 : 컨트롤 유닛 31 : 제어부
32 : 기포발생펌프 41 : 제1 거품감지센서
42 : 제2 거품감지센서
10: toilet body 20: water tank
30: control unit 31: control unit
32: bubble generating pump 41: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42: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Claims (8)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세정액에 거품을 발생시켜 내조로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상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1 높이에 도달할 때 제1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거품감지센서;
상기 내조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2 높이에 도달할 때 제2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거품감지신호에 따라 거품공급주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거품공급주기를 그 거품공급주기의 오프시간을 증가시킨 거품공급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감소시켜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2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변경된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키고, 복귀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증가시켜 거품의 부족을 방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품공급주기의 변경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 동안 기준횟수보다 많으면, 거품공급주기를 오프시간이 더 길게 조정된 거품공급주기로 변경시키는 포세식 변기.
In the foaming toilet that generates bubbles in the cleaning liquid by a bubble generating pump and supplies it to the inner tub,
a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ub to output a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when the bubbles in the inner tub reach a preset first height;
a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tub to output a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when the bubbles in the inner tub reach a preset second height;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bubble supply cycle according to the bubbl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When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bubble supply cycle stored in the memory to the bubble supply cycle in which the off 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is increased, By ope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according to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the bubble supply amount is reduced to prevent the bubbles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If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is not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and the bubble generating pump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returned bubble supply cycle. Increase the amount of foam supply by operating to prevent the lack of foam,
The control unit,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change and return of the bubble supply cycle,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for a preset time, and the counted number is preset If more than the standard number of times during the set time limit, the foam supply cycle is changed to a foam supply cycle with a longer off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는 2개의 전극을 가지고 하나의 전극은 접지 전극의 기능을 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감지 전극의 기능을 하고, 감지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의 저항 변화로부터 거품을 감지하는 전기저항형 레벨센서인 포세식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have two electrodes, and one electrode functions as a ground electrode and the other electrode functions as a sensing electrode, and resistance change betwee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An electric resistance-type level sensor that detects bubbles from a pose-type toi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는 2개의 동심원통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부터 거품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레벨센서인 포세식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are capacitive level sensors for detecting bubbles from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wo concentric cylindrical electr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거품감지센서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후 프리즘을 경유하여 광센서로 입사되는 광량의 변화로부터 거품을 감지하는 프리즘 타입의 광학식 레벨센서인 포세식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are prism-type optical level sensors that detect bubbles from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and incident to the optical sensor via a pris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품공급주기를 변경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키는 포세식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changing the bubble supply cycle, the control unit returns the bubble supply cycle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삭제delete 기포발생펌프에 의해 세정액에 거품을 발생시켜 내조로 공급하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상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1 높이에 도달할 때 제1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거품공급주기를 그 거품공급주기의 오프시간을 증가시킨 거품공급주기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감소시켜 거품이 변기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거품공급주기를 변경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상기 내조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조의 거품이 미리 설정된 제2 높이에 도달할 때 제2 거품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2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해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변경된 거품공급주기를 원래의 거품공급주기로 복귀시키고,
상기 복귀된 거품공급주기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거품 공급량을 증가시켜 거품의 부족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거품공급주기를 변경시키는 것은, 상기 거품공급주기의 변경과 복귀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거품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 거품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 동안 기준횟수보다 많으면, 거품공급주기를 오프시간이 더 길게 조정된 거품공급주기로 변경시키는 포세식 변기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forged toilet in which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cleaning liquid by a bubble generating pump and supplied to an inner tub,
When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from a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tha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ub and outputs a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when the bubbles of the inner tub reach a preset first height , change the bubble supply cycle stored in the memory to the bubble supply cycle that increases the off time of the bubble supply cycle,
By ope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according to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the bubble supply amount is reduced to prevent the bubbles from overflowing out of the toilet,
From a second bubble detection sensor that outputs a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when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changing the bubble supply cycle, or when the bubble of the inner tank reaches a preset second height If the second bubble detection signal is not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returning the changed bubble supply cycle to the original bubble supply cycle,
By ope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ump according to the returned bubble supply cycle, increasing the bubble supply amount to prevent the shortage of bubbles,
The changing of the bubble supply cycle includes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bubble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set time from the first bubble detection sensor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change and return of the bubble supply cycle, and If the counted number of time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number for a preset time limit, the control method of the forged toilet is to change the foam supply cycle to the foam supply cycle with a longer off time.
삭제delete
KR1020200102430A 2020-08-14 2020-08-14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13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30A KR102413457B1 (en) 2020-08-14 2020-08-14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30A KR102413457B1 (en) 2020-08-14 2020-08-14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32A KR20220021632A (en) 2022-02-22
KR102413457B1 true KR102413457B1 (en) 2022-06-28

Family

ID=8049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430A KR102413457B1 (en) 2020-08-14 2020-08-14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45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360U (en) * 2009-05-13 2010-11-23 조성현 Automatic toilet bowl with water saving feature
KR101318410B1 (en) * 2011-07-11 2013-10-16 송기풍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0158B1 (en) 2015-08-21 2016-01-29 김성화 Foam washable ur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32A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447852A1 (en) Cleaning device and dirt detection method
WO2014192230A1 (en) Proximity sensor and automatic faucet
KR102413457B1 (en)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57419B2 (en) dishwasher
KR200423761Y1 (en) Bidet that have human body perception distance cybernetics
US10337181B2 (en) Toilet usage sensing system
KR101050247B1 (en) Foam-type toilet foam gen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KR101318410B1 (en)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22336A (en)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330613A (en) Dishwasher
KR100863246B1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Method
KR100685125B1 (en) Water saving func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idet
CN113616121B (en) Cleaning robot control method, cleaning robo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24660B1 (en) Foam washable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9959B1 (en) Water saving device for sink
TWM479331U (en) Automatic flusher toilet
JP2021188343A (en) Drainage system and drainage method
KR0156133B1 (en) Density detection apparatus of washing water of washing machine
JP2782820B2 (en) Washing machine control device
KR20190009597A (en) Foam flush toil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95000405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le in tableware washing machine
JP2009084779A (en) Toilet bowl apparatus
JP2022091580A (en) Water closet bowl
KR100192263B1 (en) Method for water supplying control of a washing machine
JP2002339432A (en) Urinal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