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523B1 -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523B1
KR102411523B1 KR1020200113097A KR20200113097A KR102411523B1 KR 102411523 B1 KR102411523 B1 KR 102411523B1 KR 1020200113097 A KR1020200113097 A KR 1020200113097A KR 20200113097 A KR20200113097 A KR 20200113097A KR 102411523 B1 KR102411523 B1 KR 10241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ignal
flame
power
criterion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1315A (ko
Inventor
소병수
소영주
Original Assignee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5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충전기에서 전기 차단 방법은 불꽃 감지부가 충전부 상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단계와 불꽃 감지부가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충전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셧-다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충전부는 AC 전원 및 DC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Electronic safety device including cut off function of electronic vehicle charger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시 전기화재의 위험을 줄이고,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정부 부처는 온실 가스를 줄이기 위해 전기차 보급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전기차 보급에 대한 노력 중 하나가 전기차 충전기의 설치이다. 자동차를 주로 주차하는 공공시설, 주거 및 직장 내에 전기차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전기차 보급을 위해 필요하다.
정부에서도 전기차의 주력 수출 산업화를 위한 선제적인 충전 설비 확충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공공부문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시민, 전기택시, 전기 렌터카 등 모든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공 급속 충전 인프라를 늘리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차 충전기의 확보와 함께 전기차 충전기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기존의 급유 시설은 주유소를 통해 별도로 관리가 진행되었으나, 전기차 충전기의 경우 공공 장소 또는 거주지에 설치되기 때문에 충전기의 전기화재 및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문제가 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안전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기 화재 및 감전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기 화재의 주원인인 단락, 접촉 불량 등에 의한 스파크, 아크 등의 불꽃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고, 누전, 접지 상태를 감지하여 전기차 충전시 발생할 수 있는 전기 관련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 방법은 불꽃 감지부가 충전부 상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불꽃 감지부가 상기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셧-다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충전부는 AC(alternative current) 전원 및 DC(direct current)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불꽃 감지부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AC 전원 및 상기 DC 전원의 공급시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AC)를 기준으로 상기 A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A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A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DC)를 기준으로 상기 D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D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DC전원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부 및 불꽃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불꽃 감지부가 상기 충전부 상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충전부는 AC(alternative current) 전원 및/또는 DC(direct current) 전원을 상기 전기차로 공급하고, 상기 불꽃 감지부가 상기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셧-다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불꽃 감지부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AC 전원 및 상기 DC 전원의 공급시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AC)를 기준으로 상기 A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A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A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DC)를 기준으로 상기 D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D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DC 전원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차 충전기의 전기 화재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차 충전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기 화재의 주원인인 단락, 접촉불량 등에 의한 스파크, 아크 등의 불꽃을 기계 학습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여 전기차 충전시 발생할 수 있는 전기 관련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꽃 결함시 나타나는 전기 신호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꽃 결함시 나타나는 전기 신호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전기 신호 패턴의 학습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의 패턴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의 패턴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 충전소에 위치하며 이용하는 차량이 많고 운전자가 접근이 용이한 빌딩 외부의 주차장, 휴게소, 다중 이용 시설, 상가, 아파트 지하 주차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는 설치 장소에 따라 태풍, 장마, 천둥, 번개, 폭풍우, 눈, 비, 안개, 미세먼지, 먼지, 습기 등과 같은 환경 조건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에 의한 화재 발생, 감전에 취약한 장치이다. 전기차 충전기에는 누전에 대한 보호 장치는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교류용 충전기와 직류용 충전기에서 전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기 화재의 주원인인 단락, 접촉불량 등에 의한 스파크, 아크 등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 감지 장치가 전기차 충전기에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스파크, 아크에 대한 정확한 검출/예방 알고리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정확한 불꽃 감지를 할 수 있는 장치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전기차 및 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전기 화재 예방을 위한 불꽃 감지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불꽃 감지를 통해 전기차 충전시 발생할 수 있는 전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기가 개시된다. 불꽃 감지는 단락,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꽃(예를 들어, 아크나 스파크)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부(100), 불꽃 감지부(120) 및 프로세서(190)를 포함할 수 있고, 불꽃 감지부(120)는 검출부(125), 신호 변환부(130), 필터링 및 증폭부(135), A/D(analog/digital) 변환부(140), 분석부(145), 판단부(150), 경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00)는 AC(alternative current) 단상 전원, AC 3상 전원, DC(direct current) 전원을 전기차로 공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제조사에 따라 AC 단상 전원, AC 3상 전원 또는 DC 전원을 통해 전기차에 대한 충전이 수행될 수 있고, 충전 방식으로 급속 충전 방식, 중속 충전 방식 또는 완속 충전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기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은 AC 단상 전원 또는 AC 3상 전원일 수 있다. DC 전원은 전기차 충전기 상에서 AC 전원을 DC(450V~)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불꽃 감지부(120)는 전기차 충전시 발생한 수 있는 전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아크나 스파크를 감지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25)는 전원(AC 단상 전원, AC 3상 전원 또는 DC 전원)을 통해 전력이 공급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검출부(125)는 전기차 충전기에 인가되는 입력측 전원인 단상 또는 3상에 각각 설치되는 CT(current transformer), ZCT(zero 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25) 상의 CT, ZCT를 통해 전원 공급시 발생된 전기 신호(전류 신호, 전압 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C 전류 단상에 대해 CT1 및 ZCT1을 통한 전기 신호의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AC 잔류 3상에 대해 3상 각각에 연결되는 (CT2, CT3, CT4) 및 ZCT2를 통한 전기 신호의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DC에 대해 CT5, CT6 및 ZCT3을 통한 전기 신호의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 변환부(130)는 검출된 전기 신호에 대한 신호 변환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신호 변환부(130)에서는 전기 신호를 시간을 기준으로 한 전류 및/또는 전압의 크기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필터링 및 증폭부(135)는 신호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신호에 대한 필터링 및 증폭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A/D 변환부(140)는 필터링 및 증폭부(135)를 통해 변환 및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분석부(145)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분석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분석부(145)는 전기 화재의 주원인인 단락, 접촉 불량 등에 의한 스파크, 아크 등의 불꽃 발생시 나타나는 물리량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입력 전원과 출력 전원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45)는 AC 전원 및/또는 DC전원을 사용시 발생되는 현재 부하에서의 물리량 신호인 임펄스 신호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45)는 임계 시간(예를 들어, 0.25초) 이내의 피크(peak) 값, 발생 빈도, 크기, 주기, 불꽃 결함 패턴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AC 전원에 대한 전기 신호의 경우, 전파 n 개 파형(예를 들어, 15개 파형)의 n개 피크값(예를 들어, 피크값1 내지 피크값15)를 현재 전압 정현파 또는 현재 전류 정현파를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다.
분석부(145)의 불꽃 분석 방법은 구체적으로 후술된다.
판단부(150)는 AC 선로 또는 DC 선로의 결함을 종합 분석하여 종합 분석 판단 결과를 정상과 위험과 같이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종합 분석 판단 결과가 위험일 경우 충전을 중지하도록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경보부(155)는 분석부의 종합 분석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경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충전부(100) 및 불꽃 감지부(120)를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불꽃 감지부가 충전부 상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단계, 불꽃 감지부가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셧-다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충전부는 AC(alternative current) 전원 및 DC(direct current) 전원을 포함하고 불꽃 감지부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분석부는 AC 전원 및 DC 전원의 공급시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AC)를 기준으로 A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A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A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DC)를 기준으로 D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D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D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꽃 결함시 나타나는 전기 신호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AC 전원을 공급시 발생되는 불꽃 결함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AC 전원 상에서 불꽃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4개의 예시적인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의 패턴이 개시된다.
전기차 충전기에서 AC 전원 공급시 발생되는 전기 신호는 불꽃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와 불꽃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와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는 임계 시간 이내의 전기 신호의 피크(peak) 값, 발생 빈도, 크기, 주기, 패턴 등과 같은 전기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꽃 결함시 나타나는 전기 신호의 패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DC 전원을 공급시 발생되는 불꽃 결함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DC 전원 상에서 불꽃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4개의 예시적인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의 패턴이 개시된다.
마찬가지로 전기차 충전기에서 DC 전원 공급시 발생되는 전기 신호는 불꽃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정상 패턴 전기 신호(DC)와 불꽃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DC)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상 패턴 전기 신호(DC)와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DC)는 임계 시간 이내의 전기 신호의 피크(peak) 값, 발생 빈도, 크기, 주기, 패턴 등과 같은 전기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전기 신호 패턴의 학습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전기차 충전기에서 전기 신호 패턴을 학습하기 위한 구성부가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불꽃(예를 들어, 아크 또는 스파크)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모든 전기 신호 패턴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 신호 데이터 수집부(420) 및 불꽃 발생 판단부(400)를 포함하고, 전기 신호 데이터 수집부(420) 및 불꽃 발생 판단부(400)를 기반으로 전기 신호를 수집하고 불꽃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전기 신호 데이터 수집부(420)의 전기 신호에 대한 수집 결과 및 불꽃 발생 판단부(400)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불꽃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전기 신호에 대한 수집 결과 및 불꽃 발생 판단부(400)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한 전기 신호에 대한 기계 학습은 전기차 충전기 자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전기 신호에 대한 수집 결과 및 불꽃 발생 판단부(400)의 판단 결과가 통신부를 통해 학습 서버로 전달되고, 학습 서버에 의해 학습된 결과가 전기차 충전기의 분석부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정상 패턴 전기 신호와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구체적인 학습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의 패턴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AC 전원에서 발생되는 A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 전기 신호 패턴 분석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와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의 구분을 위해 전기 신호를 분석을 위한 1차 학습 방법이 개시된다. 1차 학습은 기존에 존재하는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와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를 기반으로 한 학습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와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를 구분하기 위한 1차 학습 데이터로서 AC 전원 각각에 대한 전기 신호 데이터가 입력되어 별도의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학습 데이터는 실제 불꽃(아크 또는 스파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기 신호인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 정상적인 AC 전원 공급시의 전기 신호인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전기 신호에 대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가 동일한 시간 스케일 상에 표현되고,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1차 판단 기준이 추출될 수 있다. 1차 판단 기준(530)은 동일한 시간 스케일 단위로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를 표현하고,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 이전에 존재하던 정상 패턴과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를 매칭하여 그래프를 중첩하였을 때 수학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 복수의 변수(기울기, 변화도, 피크값, 미분값, 적분값 등) 중 변수별로 설정된 변수 임계값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변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는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전기 신호의 크기(전류값 또는 전압값)의 변화가 다를 수 있다. 또한,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의 피크값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차 판단 기준(530)으로서 시간당 전기 신호 크기 변화값 및 전기 신호 피크값이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에서 제1 시간 단위당 전기 신호 크기 변화값(정상)이 추출될 수 있다. 제1 시간 단위당 전기 신호 크기 변화값(정상)을 기준으로 제1 시간 단위당 전기 신호 크기 변화값(정상)과 차이를 가지는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에서 제1 시간 단위당 전기 신호 크기 변화값(비정상)이 추출될 수 있다. 제1 시간 단위당 전기 신호 크기 변화값(비정상)은 전기 신호의 비정상을 판단하기 위한 1차 판단 기준(530)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20)에서 제2 시간 구간 상에서 전기 신호 크기 피크값(정상)이 추출될 수 있다. 제2 시간 단위당 전기 신호 크기 피크값(정상)을 기준으로 제2시간 단위당 전기 신호 크기 피크값(정상)과 차이를 가지는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510)에서 제2 시간 단위당 전기 신호 크기 피크값(비정상)이 추출될 수 있다. 제2 시간 단위당 전기 신호 크기 피크값(비정상)은 전기 신호의 비정상을 판단하기 위한 1차 판단 기준(530)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1차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1차 판단 기준(530)을 기반으로 불꽃 발생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이후, 전기차 충전기에서 실제로 생성되는 전기 신호 및 불꽃 신호를 기반으로 한 2차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서 개시된 절차는 설명의 편의상 AC 전원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DC 전원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AC)를 기준으로 A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A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A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DC)를 기준으로 D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D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D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의 패턴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AC 전원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 전기 신호 패턴 분석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와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의 보다 정확한 구분을 위해 전기 신호를 분석을 위한 2차 학습 방법이 개시된다.
1차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추출된 1차 판단 기준(AC)(610)을 사용하여 실제 불꽃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1차 판단 기준(AC)(610)을 기준으로 한 판단 결과 정확한 불꽃 발생에 대한 판단이 된 경우, 1차 판단 기준(AC)(610)에 대한 추가적인 보정없이 1차 판단 기준(AC)(610)이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1차 판단 기준(AC)(610)을 기준으로 한 판단 결과 정확한 불꽃 발생에 대한 판단이 되지 않은 경우(판단 오류), 2차 학습을 통해 1차 판단 기준(AC)의 수정 또는 2차 판단 기준(AC)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 오류는 아래와 같이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판단 오류(AC)(630): 불꽃이 실제로 발생되지 않은 경우, 1차 판단 기준(AC)(610)을 기반으로 불꽃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제2 판단 오류(AC)(640): 불꽃이 실제로 발생하였으나, 1차 판단 기준(AC)(610)을 기반으로 불꽃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1 판단 오류(AC)(630)가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는 제1 전기 신호(AC)(정상)(635), 제2 판단 오류(AC)(640)가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는 제2 전기 신호(AC)(비정상)(645)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전기 신호(정상)(AC)(635) 및 제2 전기 신호(비정상)(AC)(645)은 2차 학습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제1 전기 신호(정상)(AC)(635)은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650)를 기준으로 신호 간 차이점을 추출할 수 있다. 신호간 차이점은 1차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추출된 1차 판단 기준(AC)(610)이 아닌 다른 2차 판단 기준(AC)(670)을 기준으로 한 차이점이 추출될 수 있다. 제1 전기 신호(정상)(AC)(635)은 1차 판단 기준(AC)(610)을 기반으로 기존에 불꽃 신호로 판단되었던 전기 신호의 이상 범위에 포함되어 불꽃 발생으로 판단되었으나, 실제로 불꽃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다. 따라서, 1차 판단 기준(AC)(610)이 아닌 새로운 2차 판단 기준(AC)(670)으로 새로운 판단 기준을 추출할 수 있다. 2차 판단 기준(670)(AC)은 제1 전기 신호(정상)(AC)(635)와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AC)(650)를 기준으로 추출될 수 있다.
제2 전기 신호(비정상)(AC)(645)은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660)를 기준으로 신호 간 차이점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전기 신호(비정상)(AC)(645)은 기존에 불꽃 신호로 판단되었던 신호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아서 불꽃 미발생으로 판단되었으나, 실제로는 불꽃이 발생된 경우이다. 만약, 1차 판단 기준(AC)(610)을 기반으로 한 판단 결과, 정상 범위를 벋어나나 1차 판단 기준 값에 미치지 못하여 불꽃 미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1차 판단 기준(AC)(610)의 범위가 조정될 수 있다. 반대로 1차 판단 기준(AC)(610)을 기반으로 한 판단 결과, 정상 범위 내인 경우에도 불구하고, 불꽃이 발생된 경우, 1차 판단 기준(AC)(610)이 아닌 새로운 2차 판단 기준(AC)(670)으로 새로운 판단 기준을 추출할 수 있다. 2차 판단 기준(AC)(670)은 제2 전기 신호(비정상)(AC)(645)와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AC)(660)를 기준으로 추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 판단 기준(AC)(670)은 동일한 시간 스케일 단위로 비교 대상 전기 신호를 표현하고, 제1 전기 신호(정상)(AC)(635) 또는 제2 전기 신호(비정상)(AC)(645) 이전에 존재하던 정상 패턴을 기준으로 그래프를 매칭하여 그래프를 중첩하였을 때 수학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 복수의 변수(기울기, 변화도, 피크값, 미분값, 적분값 등) 중 변수별로 설정된 변수 임계값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변수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2차 판단 기준(AC)(670)이 추출되는 경우, 2차 판단 기준(AC)(670)이 새롭게 설정되어 전기차 충전기의 분석부로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위와 같은 방식으로 2차 판단 기준(AC)(670)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 전기 신호에 대한 패턴 자체가 저장되어 판단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전기 신호 패턴이 판단 기준으로서 활용되는 경우, 전기 신호 패턴을 기준으로 패턴 전체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불꽃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AC 전원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DC 전원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불꽃을 발생시키는 전기 신호에 대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AC 전원 및 DC 전원에 대한 학습은 개별적으로 수행되고, AC 전원에 대한 학습 결과, DC 전원에 대한 학습 결과에 대한 연관도가 추출되어 불꽃 감지에 활용될 수 있다.
즉, DC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독립적으로 1차 판단 기준(DC), 제1 판단 오류(DC), 제1 판단 오류(DC), 제1 전기 신호(정상)(DC), 제2 전기 신호(비정상)(DC),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DC),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DC), 2차 판단 기준(DC)가 적용되어 2차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AC 전원에서 발생되는 불꽃과 DC 전원에서 발생되는 불꽃 간의 연관도를 추출하여 AC 전원 및 DC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기에 사용되는 DC 전원(720)이 AC 전원(710)을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AC 전원(710)의 불꽃 발생과 DC 전원(720) 사이의 불꽃 발생 간의 연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AC 전원(710)에서 불꽃 발생시 DC 전원(720)에 대한 셧-다운(shut down) 여부, DC 전원(720)에서 불꽃 발생시 AC 전원(710)에 대한 셧-다운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위해 전기 신호에 대한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전기 신호 수집 결과 AC 전원(710)의 불꽃 발생시 DC 전원(720)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DC 전원(720)의 불꽃 발생시 AC 전원(710)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독립 불꽃 전기 신호), AC 전원(710)과 DC 전원(720)과의 불꽃 발생은 독립적이라고 볼 수 있다.
반대로, 전기 신호 수집 결과 AC 전원(710)의 불꽃 발생시 DC 전원(720)에서 불꽃이 발생하거나 DC 전원(720)의 불꽃 발생시 AC 전원(710)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하는 경우(종속 불꽃 전기 신호), AC 전원(710)과 DC 전원(720)과의 불꽃 발생은 독립적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전기 신호 수집 결과 AC 전원(710)의 불꽃 발생시 DC 전원(720)에서 불꽃이 발생하거나 DC 전원(720)의 불꽃 발생시 AC 전원(710)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경우의 전기 신호를 수집하여 별도의 3차 판단 기준(730)을 추출할 수 있다. 3차 판단 기준(730)은 독립 불꽃 전기 신호와 종속 불꽃 전기 신호 간의 차이를 기준으로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3차 판단 기준(730)을 만족하는 경우, AC 전원(710)에서 불꽃이 탐지되는 경우, AC 전원(710)뿐만 아니라, DC 전원(720)도 셧-다운으로 전환할 수 있고, 반대로 DC 전원(720)에서 불꽃이 탐지되는 경우, DC 전원(720)뿐만 아니라, AC 전원(710)도 셧-다운으로 전환할 수 있다.
3차 판단 기준(730)은 1) AC 전원(710)의 불꽃 발생시 DC 전원(720)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2) DC 전원(720)의 불꽃 발생시 AC 전원(710)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로 나누어 학습을 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1) AC 전원(710)의 불꽃 발생시 DC 전원(720)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를 위한 3차 판단 기준(730), 2) DC 전원(720)의 불꽃 발생시 AC 전원(710)에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를 위한 3차 판단 기준(730)이 별도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AC/DC 전원에 대한 판단 기준을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1차 판단 기준과 같은 판단 기준을 생성하기 위해 정상 범위의 값과 비정상 범위 값이 특정 좌표 범위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신호의 피크값에 대한 정상 범위에서의 값이 9~10 사이이고, 비정상 범위값이 30~5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차 판단 기준으로 피크값을 30이상으로 잡는 경우, 피크값이 30 이하인 경우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대한 감지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비정상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서 정상 범위의 최대값(850)과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실제값)(860)을 기준으로 하나의 값을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판단 기준)(8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판단 기준)(800)은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실제값)(860)과 비정상 범위의 최대값(실제값)(865)의 제1 차이값(810)과 정상 범위의 최대값(850)과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실제값)(860)의 제2 차이값(820)을 기준으로 1차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차이값(810)보다 제2 차이값(820)이 클수록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판단 기준)(800)은 상대적으로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실제값)(860)에 가깝게 설정되고, 반대로 제2 차이값보다 제1 차이값(810)이 클수록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판단 기준)(800)은 상대적으로 정상 범위의 최대값(850)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정상 범위의 범위가 클수록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판단 기준)(800)은 상대적으로 비정상 범위의 최소값(실제값)(860)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설정을 통해 실제값만을 활용한 판단 기준 설정을 통해 발생되는 비정상 범위 밖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막고,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값에 대해 불필요한 알람을 방지할 수 있다.
위의 판단 기준의 값은 계속적인 전기 신호의 데이터 수집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전기차 충전기에서 전기 차단 방법은,
    불꽃 감지부가 충전부 상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불꽃 감지부가 상기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셧-다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부는 AC(alternative current) 전원 및 DC(direct current)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불꽃 감지부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AC 전원 및 상기 DC 전원의 공급시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AC)를 기준으로 상기 A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A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A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DC)를 기준으로 상기 D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D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D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
    1차 판단 기준은 상기 1차 판단 기준(AC) 및 상기 1차 판단 기준(DC)를 포함하고,
    상기 1차 판단 기준은 동일한 시간 스케일 단위로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와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를 표현하고, 상기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 이전에 존재하던 정상 패턴과 상기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를 매칭하여 그래프를 중첩하였을 때 추출될 수 있는 복수의 변수 중 상기 복수의 변수 각각에 설정된 변수 임계값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AC 전원에서 불꽃 발생시 상기 DC 전원에 대한 셧-다운(shut down) 여부, 상기 DC 전원에서 불꽃 발생시 상기 AC 전원에 대한 셧-다운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위해 전기 신호에 대한 수집을 기반으로 3차 판단 기준을 추출하고,
    상기 3차 판단 기준은 독립 불꽃 전기 신호와 종속 불꽃 전기 신호 간의 차이를 기준으로 추출되고,
    상기 독립 불꽃 전기 신호는 상기 AC 전원과 상기 DC 전원 간의 불꽃이 독립적으로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이고,
    상기 종속 불꽃 전기 신호는 상기 AC 전원과 상기 DC 전원 간의 불꽃이 종속적으로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이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3차 판단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AC 전원에서 불꽃이 탐지되는 경우, 상기 AC 전원뿐만 아니라, 상기 DC 전원도 셧-다운으로 전환하고, 상기 DC 전원에서 불꽃이 탐지되는 경우, 상기 DC 전원뿐만 아니라, 상기 AC 전원도 셧-다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한 판단 결과 정확한 불꽃 발생에 대한 판단 오류가 발생된 경우, 2차 학습을 통해 상기 1차 판단 기준의 수정 또는 2차 판단 기준이 생성되고,
    상기 판단 오류는 제1 판단 오류 및 제2 판단 오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단 오류는 불꽃이 실제로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불꽃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이고,
    상기 제2 판단 오류는 불꽃이 실제로 발생하였으나,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불꽃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이고,
    상기 제1 판단 오류가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는 제1 전기 신호(정상), 상기 제2 판단 오류가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는 제2 전기 신호(비정상)으로 분류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정상)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비정상)은 상기 2차 학습 데이터 또는 상기 1차 판단 기준의 수정을 위해 활용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정상)은 상기 2차 학습 데이터로서 상기 2차 판단 기준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전기 신호(비정상)은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한 판단 결과, 정상 범위를 벋어나나 상기 1차 판단 기준 값에 미치지 못하여 불꽃 미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1차 판단 기준의 범위가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전기 신호(비정상)은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한 판단 결과, 정상 범위 내인 경우에도 불구하고, 불꽃이 발생된 경우, 상기 2차 학습 데이터로서 상기 2차 판단 기준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전기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부 및 불꽃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불꽃 감지부가 상기 충전부 상에서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충전부는 AC(alternative current) 전원 및/또는 DC(direct current) 전원을 전기차로 공급하고, 상기 불꽃 감지부가 상기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셧-다운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불꽃 감지부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AC 전원 및 상기 DC 전원의 공급시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AC)를 기준으로 상기 A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A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A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부는 1차 판단 기준(DC)를 기준으로 상기 DC 전원의 공급시 발생되는 DC 전기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DC 전원 상에서 불꽃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고,
    1차 판단 기준은 상기 1차 판단 기준(AC) 및 상기 1차 판단 기준(DC)를 포함하고,
    상기 1차 판단 기준은 동일한 시간 스케일 단위로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와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를 표현하고, 상기 1차 비정상 패턴 전기 신호 이전에 존재하던 정상 패턴과 상기 1차 정상 패턴 전기 신호를 매칭하여 그래프를 중첩하였을 때 추출될 수 있는 복수의 변수 중 상기 복수의 변수 각각에 설정된 변수 임계값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변수인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AC 전원에서 불꽃 발생시 상기 DC 전원에 대한 셧-다운(shut down) 여부, 상기 DC 전원에서 불꽃 발생시 상기 AC 전원에 대한 셧-다운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위해 전기 신호에 대한 수집을 기반으로 3차 판단 기준을 추출하고,
    상기 3차 판단 기준은 독립 불꽃 전기 신호와 종속 불꽃 전기 신호 간의 차이를 기준으로 추출되고,
    상기 독립 불꽃 전기 신호는 상기 AC 전원과 상기 DC 전원 간의 불꽃이 독립적으로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이고,
    상기 종속 불꽃 전기 신호는 상기 AC 전원과 상기 DC 전원 간의 불꽃이 종속적으로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이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3차 판단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AC 전원에서 불꽃이 탐지되는 경우, 상기 AC 전원뿐만 아니라, 상기 DC 전원도 셧-다운으로 전환하고, 상기 DC 전원에서 불꽃이 탐지되는 경우, 상기 DC 전원뿐만 아니라, 상기 AC 전원도 셧-다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차 충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한 판단 결과 정확한 불꽃 발생에 대한 판단 오류가 발생된 경우, 2차 학습을 통해 상기 1차 판단 기준의 수정 또는 2차 판단 기준이 생성되고,
    상기 판단 오류는 제1 판단 오류 및 제2 판단 오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단 오류는 불꽃이 실제로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불꽃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이고,
    상기 제2 판단 오류는 불꽃이 실제로 발생하였으나,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불꽃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이고,
    상기 제1 판단 오류가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는 제1 전기 신호(정상), 상기 제2 판단 오류가 발생한 경우의 전기 신호는 제2 전기 신호(비정상)으로 분류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정상) 및 상기 제2 전기 신호(비정상)은 상기 2차 학습 데이터 또는 상기 1차 판단 기준의 수정을 위해 활용되고,
    상기 제1 전기 신호(정상)은 상기 2차 학습 데이터로서 상기 2차 판단 기준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전기 신호(비정상)은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한 판단 결과, 정상 범위를 벋어나나 상기 1차 판단 기준 값에 미치지 못하여 불꽃 미발생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1차 판단 기준의 범위가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전기 신호(비정상)은 상기 1차 판단 기준을 기반으로 한 판단 결과, 정상 범위 내인 경우에도 불구하고, 불꽃이 발생된 경우, 상기 2차 학습 데이터로서 상기 2차 판단 기준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KR1020200113097A 2020-09-04 2020-09-04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KR10241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097A KR102411523B1 (ko) 2020-09-04 2020-09-04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097A KR102411523B1 (ko) 2020-09-04 2020-09-04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315A KR20220031315A (ko) 2022-03-11
KR102411523B1 true KR102411523B1 (ko) 2022-06-21

Family

ID=8081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097A KR102411523B1 (ko) 2020-09-04 2020-09-04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964B1 (ko) * 2023-03-13 2023-09-20 (주)에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35120A0 (en) * 2000-03-16 2001-05-20 Sapir Michael Apparatus for the detection and early warning of electrical arcing fault
KR101708005B1 (ko) * 2015-01-19 2017-02-17 소병수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KR102012420B1 (ko) * 2017-06-21 2019-08-20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감시기능을 포함하는 직류 아크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315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1690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улучшенной функцией повторного замыкания
US8680872B2 (en) Identification of false positives in high impedance fault detection
US10447030B2 (en) Method for protection in a mixed power transmission line
Bo et al. A new technique for transformer protection based on transient detection
EP3271985A1 (en) Secured fault detection in a power substation
WO2006093926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loss of a current transformer connection coupling a current differential relay to an element of a power system
Ashok et al. MODWT-based faul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scheme for cross-country and evolving faults
Gonzalez et al. Directional, high-impedance fault detection in isolated neutral distribution grids
CN103529358A (zh) 用电流信息检测中压配电***持续性高阻接地故障的方法
US20120182657A1 (en) Rate of change differential protection
KR102411523B1 (ko)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US10985695B2 (en) DC arc detection and photovoltaic plant profiling system
US11435411B2 (en) Time domain distance protection based on polarity comparison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CN103558460A (zh) 一种中压***弧光故障检测装置
KR20170031564A (ko) 고장전류 방향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6573A (ko) 비정형파 검출회로를 구비하는 누전차단기
KR100699221B1 (ko) 혼합 송전 선로 보호용 고장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090211B (zh) 一种配电线路高阻接地故障的在线检测方法
KR101030593B1 (ko) 거리 계전 장치, 거리 계전 처리 시스템 및 거리 계전 처리 방법
KR102350387B1 (ko) 고장 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JPH08172719A (ja) 送電線事故検出方法
JPH11355955A (ja) 多分岐配電線における地絡検出装置
Huang et al. Detection of incipient faults in distribution cables based on mathematical morphology
Hassan et al. Threshold-free localized scheme for DC fault identification in multiterminal HVDC systems
KR102539823B1 (ko) 지능형 분전함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