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650B1 - Untac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 Google Patents

Untac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650B1
KR102410650B1 KR1020210134501A KR20210134501A KR102410650B1 KR 102410650 B1 KR102410650 B1 KR 102410650B1 KR 1020210134501 A KR1020210134501 A KR 1020210134501A KR 20210134501 A KR20210134501 A KR 20210134501A KR 102410650 B1 KR102410650 B1 KR 102410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ace
managed
subjec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전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현 filed Critical 전상현
Priority to KR102021013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6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3Detecting or evaluating cough ev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10L15/183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using context dependencies, e.g. language models
    • G10L15/187Phonemic context, e.g. pronunciation rules, phonotactical constraints or phoneme n-gr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0Pattern transformations or operations aimed at increasing system robustness, e.g. against channel noise or different working condi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6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xtracting parameters related to health cond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관리 대상자의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취합하는 (a)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가 (a)단계에 의해 취합된 복합 데이터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b)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수신된 상기 복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c)단계,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d)단계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건강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가 대응되는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Th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llecting health-related complex data of a subject to be managed through one or more data collecting devices, and the data collecting device is a complex collected by step (a) (b) transmitting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c) storing the received complex data in a database by the management server, a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complex data stored in the database to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d) and (e) in which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s a corresponding follow-up ac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health state of the data analysis unit.

Description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Untac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Untac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강 관리 대상자의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취합하고, 이를 분석하여 건강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를 제공할 수 있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hensive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that can collect health-related complex data of health care subjects, analyze it, and provide follow-up measures according to health status determination results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management services.

국내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노년층을 포함하여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시장의 확대 및 의료 비용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As we face an aging society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interest in personal health, including the elderly,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related market is expected to expand and medical costs to increase.

특히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개인의 건강 상태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건강 관리 서비스 역시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various devices that can easily measure an individual's health status are being developed. In addition, as various online services are activated, an era in which health management services can also be provided online is entering.

이에 온라인으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원격 의료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이용자가 실제로 병원 등의 의료 시설에 방문하여 건강 관리를 받는 것에 비해 미약한 의료 서비스만이 제공되고 있으며, 또한 노년층에게는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 실제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구는 매우 적은 상황이다.Accordingly, various remote medical services have been proposed to provide health management services online, but only weak medical services are provided compared to users actually visiting medical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to receive health care. Because they are not used to using online services, the number of people who actually use the service is very small.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106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31067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건강 관리 대상자에 대한 다양한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취합하고, 이를 분석하여 건강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누구나 쉽게 이용이 가능한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collects various health-related complex data for health care subjects, analyzes it, and provides follow-up measure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health status. Accordingly, it aims to provide a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that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관리 대상자의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취합하는 (a)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가 (a)단계에 의해 취합된 복합 데이터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b)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수신된 상기 복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c)단계,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d)단계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건강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가 대응되는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In a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llecting health-related complex data of a subject to be managed through one or more data collecting devices, the data collecting device (a) (b) transmitting the complex data collected by the steps to the management server, (c) storing the received complex data in a database by the management server, a data analysis unit analyzes and manages the complex data stored in the database Step (d) of determining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and step (e) of performing a corresponding follow-up action by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health status of the data analysis unit.

이때 상기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는, 관리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하도록 제공되어 관리 대상자의 신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측정부, 관리 대상자와 관련하여 입력된 의료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는 의료 이력 수집부 및 관리 대상자의 음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성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ata collection device is provided to be worn on the body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a wearable measuring unit collecting body data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a medical history collecting unit collecting medical history data input in relation to the subject to be managed, and the voice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It may include a voice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related data.

그리고 상기 음성 관련 데이터는, 관리 대상자의 음성 시그널 데이터 및 관리 대상자의 음성 내용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related data may include voice signal data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and text data of voice content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관리 대상자가 건강한 상태에서 취합된 기초 시그널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d)단계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기초 시그널 데이터와 상기 음성 시그널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인 음성의 크기 정보, 음의 높낮이 정보, 받침이 있는 발음의 정확도 정보 및 기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기 설정된 불일치도 기준에 의거하여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base stores basic signal data collected in a healthy state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and in step (d), the data analysis un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volume of voice, which i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sic signal data and the voice signal data, At least one of pitch information, pronunciation accuracy information with a support, and cough informat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based on a preset discrepancy standard.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침 정보를 토대로 관리 대상자의 마른 기침과 젖은 기침을 구분하여, 마른 기침 횟수 정보, 젖은 기침 횟수 정보 및 총 기침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기침 횟수 정보를 추가 도출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Also, in step (d), the data analysis unit divides dry cough and wet cough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based on the cough information, and comprehensive cough number information including dry cough number information, wet cough number information, and total cough number information can be further derived to perform the analysis.

그리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침 정보에 포함된 기침의 초기 오프닝 버스트, 잡음성 기류 및 성문 폐쇄의 단계 별 세그먼트를 분석하여 상기 종합 기침 횟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unit may derive the comprehensive cough number information by analyzing segments for each stage of an initial opening burst of a cough, a noisy airflow, and a glottal closure included in the cough information.

더불어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침 정보에 포함된 기침의 평균 지속시간 및 신호 대 잡음비(SNR)을 기반으로 마른 기침과 젖은 기침을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analyzer may distinguish a dry cough from a wet cough based on an average duration of cough and a signal-to-noise ratio (SNR) included in the cough information.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신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후속 조치로서 관리 대상자에게 비대면 안부 연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body data in step (d) and determines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is normal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in step (e), the management server is managed as a follow-up measure A non-face-to-face contact service may be provided to the subject.

더불어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신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후속 조치로서 미리 저장된 외부 단말기 및 제휴 의료기관의 의료서버에 안내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body data in step (d) and determines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is abnormal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in step (e), the management server is A guide alert can be performed on the stored external terminal and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한편 상기 (c)단계 이후에는, 상기 관리서버가 의료기관의 의료서버로부터 발신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f)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서비스 요청을 송신한 의료기관이 허가된 제휴 의료기관인지를 판단하는 (g)단계 및 상기 (g)단계에 의해 서비스 요청을 송신한 의료기관이 제휴 의료기관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합 데이터를 제휴 의료기관의 의료서버에 제공하는 (h)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step (c),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service request sent from the medical serv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f), and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medical institution that sent the service request is an authorized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al institution that has transmitted the service request by the steps g) and (g) is an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the (h) step of the management server providing the complex data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is further can be perform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건강 관리 대상자에 대한 다양한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관리서버 측에 송신함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여 건강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건강 관리 대상자에 대해 비대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an collect various health-related complex data for health care subjects through a data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n addition, as such health-related complex data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side, the data is analyz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health care subject and provide follow-up measures according to the result, effe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health care subject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non-face-to-face health care services.

특히 본 발명은 종래 온라인 접근성이 떨어지는 노년층 등을 대상으로도 거부감 없이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들 대상에게 부담없는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누구나 쉽게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objection even for the elderly, who have conventional online accessibility, etc.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의료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서비스 요청 및 데이터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each process of a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services in a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request and data provision process between a medical server and a management server in a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each process of a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건강 관리 대상자의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취합하는 (a)단계,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가 (a)단계에 의해 취합된 복합 데이터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b)단계, 관리서버가 수신된 상기 복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c)단계, 데이터 분석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d)단계 및 데이터 분석부의 건강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관리서버가 대응되는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1, th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a) of collecting health-related complex data of a health care subject through one or more data collection devices, data (b) the collection device transmits the composite data collected in step (a) to the management server, (c) the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received composite data in a database, and the data analysis unit stores the composit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d) of analyzing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and (e) of performing a corresponding follow-up action by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health status of the data analysis unit.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각 단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and 3 are diagrams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services in a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자(10)는 본인에 대한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취합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를 보유할 수 있다.2 and 3 , the managed subject 10 may have a data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health-related complex data about the person.

이때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는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한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관리 대상자(10)의 신체에 착용하도록 제공되어 관리 대상자(10)의 신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측정부(100)와, 관리 대상자(10)와 관련하여 입력된 의료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는 의료 이력 수집부와, 관리 대상자(10)의 음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성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 collection devic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evices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arable measurement unit 100 is provided to be worn on the body of the person to be managed 10 and collects body data of the person to be managed 10 . ), a medical history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medical history data input in relation to the managed subject 10 , and a voice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voice related data of the managed subject 10 .

여기서 웨어러블 측정부(100)는 관리 대상자(10)의 활동/수면 상태, 맥박, 호흡, 혈중 산소 포화도 등과 같은 다양한 신체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 대상자(10)의 손목에 착용하는 리스트 밴드, 관리 대상자(10)가 착의하는 의류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wearable measuring unit 100 is for measuring various body data such as activity/sleep state, pulse, respiration, blood oxygen saturation, etc.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a wrist band worn on the wrist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It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such as clothing worn by the person to be managed 10 .

그리고 의료 이력 수집부는, 관리서버(200) 또는 의료기관(300)의 의료서버 등으로부터 관리 대상자(10)와 관련하여 입력된 의료 이력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는 관리 대상자(10)가 소유한 모바일 단말기(50) 또는 자택에 구비된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cal history collection unit is provided to collect medical history data input in relation to the managed subject 10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medical serv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300 , which is owned by the managed subject 10 . It may be a mobile terminal 50 or a personal computer provided at home.

또한 음성 수집부는, 관리 대상자(10)의 음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웨어러블 측정부(100) 또는 모바일 단말기(50)일수도 있으며, 별도의 녹음 기능이 구비된 녹음기기일 수도 있다. 또는, 관리서버(200)를 보유한 관리자 측에서 음성 수집부를 보유하여, 후술할 안부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관리자가 직접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oice collection unit is for collecting voice-related data of the person to be managed 10 , and may be the aforementioned wearable measurement unit 100 or the mobile terminal 50 , or may be a recording device equipped with a separate recording function. Alternatively, the manager having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have a voice collection unit in which the manager directly records the contents of the call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call ser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음성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음성 관련 데이터는, 관리 대상자(10)의 음성 시그널 데이터 및 관리 대상자(10)의 음성 내용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oice-related data collected by the voice collecting unit may include voice signal data of the managed subject 10 and voice content text data of the managed subject 10 .

음성 시그널 데이터의 경우 목소리의 주파수 등을 분석하여 관리 대상자(10)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음성 내용 텍스트 데이터는 추후 의료 이력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voice signal data,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voice and use it to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and the voice content text data can be used as medical history data in the future.

즉 본 발명의 (a)단계에서는, 상술한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관리 대상자(10)의 다양한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health-related complex data of the person to be managed 10 may be collected by using at least any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data collection devices.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가 (a)단계에 의해 취합된 복합 데이터를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는 (b)단계와, 관리서버(200)가 수신된 복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는 (c)단계가 이루어진다.Next, (b) the data collection device transmits the composite data collected by step (a)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the received composite data in the database 210 Step (c) takes place.

(b)단계 및 (c)단계는 관리자 측이 보유한 관리서버(200)에서 취합된 복합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여 데이터화하는 과정이다.Steps (b) and (c) are a process of receiving the composite data collec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owned by the manager, storing it in the database 210 and converting it into data.

이어 데이터 분석부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 대상자(10)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d)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데이터 분석부는 관리서버(210)에 포함되어 있는 연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또는 관리서버(200)와 연동된 별도의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일 수 있다.Then,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complex data stored in the database 210 to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d) is performed. Here, the data analysis unit may be a processor for arithmetic processing included in the management server 210 or a processor provided in a separate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

그리고 데이터 분석부에는 복합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은 누적된 복합 데이터를 통해 딥러닝을 수행하도록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gram for analyzing complex data may be installed in the data analysis unit, and the program may perform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o perform deep learning through the accumulated complex data.

즉 본 단계에서는 이와 같은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복합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리 대상자(10)의 건강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치매 등의 중요 질환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in this step, the complex data is analyzed by such a data analysis uni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is precisely analyzed, and important diseases such as dementia can be identified.

한편 데이터베이스(210)에는 관리 대상자가 건강한 상태에서 취합된 기초 시그널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와 같은 경우 (d)단계는 데이터 분석부가, 기초 시그널 데이터와 음성 시그널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인 음성의 크기 정보, 음의 높낮이 정보, 받침이 있는 발음의 정확도 정보 및 기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기 설정된 불일치도 기준에 의거하여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base 210 stores the basic signal data collected in a healthy state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and in this case, step (d) is performed by the data analysis unit, the basic signal data and the voice signal data included in the voice signal data; At least one of pitch information, pronunciation accuracy information with a support, and cough informat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based on a preset discrepancy standard.

또한 (d)단계에서, 데이터 분석부는 기침 정보를 토대로 관리 대상자의 마른 기침과 젖은 기침을 구분하여, 마른 기침 횟수 정보, 젖은 기침 횟수 정보 및 총 기침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기침 횟수 정보를 추가 도출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Also, in step (d), the data analysis unit separates the dry cough and wet cough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based on the cough information, and additionally derives comprehensive cough count information including dry cough count information, wet cough count information, and total cough count information analysis can be performed.

여기서 데이터 분석부는 종합 기침 횟수 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기침 정보에 포함된 기침의 초기 오프닝 버스트, 잡음성 기류 및 성문 폐쇄의 단계 별 세그먼트를 분석할 수 있다. Here, as a method for deriving comprehensive cough number information, the data analysis unit may analyze the segment by stage of the initial opening burst of cough, noisy airflow, and glottal closure included in the cough information.

더불어 데이터 분석부는 마른 기침과 젖은 기침을 구분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기침 정보에 포함된 기침의 평균 지속시간 및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을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ethod for distinguishing a dry cough from a wet cough, the data analyzer may perform an analysis based on an average duration of cough and a signal-to-noise ratio (SNR) included in cough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e)단계에서는, (d)단계에서 수행된 데이터 분석부의 건강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관리서버(200)가 대응되는 후속 조치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는 크게 관리 대상자(10)의 건강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에 따라 구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nd in step (e), the management server 200 performs a corresponding follow-up 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health state of the data analysis unit performed in step (d). This can be largely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the health state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is a normal state or an abnormal state.

예컨대, (d)단계에서 데이터 분석부가 신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관리 대상자(10)의 건강 상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후속 조치로서 관리 대상자(10)에게 비대면 안부 연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body data in step (d) and determines that the health state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is normal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as shown in FIG. 2, management in step (e) The server 200 may provide a non-face-to-face contact service to the person to be managed 10 as a follow-up measure.

이와 같은 비대면 안부 연락 서비스는, 관리자 측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피고용인(20)이 직접 관리 대상자(10)의 모바일 단말기(50)에 전화를 걸어 통화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자동 연락 수행부(220)를 통해 미리 입력된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관리 대상자(10)의 모바일 단말기(50)에 전화를 걸어 안부 멘트를 송출하고, 관리 대상자(10)의 음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할 수도 있다.Such a non-face-to-face contact service may be provided in such a way that the employee 20 performing the job on the manager's side directly calls the mobile terminal 50 of the person to be managed 10 and makes a call, or is provid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lgorithm input in advance through the automatic contact performing unit 220 to automatically send a call to the mobile terminal 50 of the subject 10 to send a greeting, and to collect the voice-related data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You may.

더불어 관리서버(200)는 관리 대상자(10)의 모바일 단말기(50) 측으로 현재까지 취합된 건강 리포트를 송신하여, 관리 대상자(10)가 이를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the health report collected so far to the mobile terminal 50 side of the person to be managed 10, so that the person to be managed 10 can utilize it usefully.

또한 (d)단계에서 데이터 분석부가 신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관리 대상자(10)의 건강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후속 조치로서 미리 저장된 외부 단말기 및 제휴 의료기관(300)의 의료서버에 안내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body data in step (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10 is abnormal according to the preset criterion, as shown in FIG. 3, management in step (e) As a follow-up action, the server 200 may perform a guide alert to the pre-stored external terminal and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

여기서 외부 단말기는 제휴 의료기관(300)에 종사하고 있는 의료인이 소유한 단말기, 또는 관리 대상자(10)의 가족이 소유한 단말기 등일 수 있다.Here, the external terminal may be a terminal owned by a medical person working in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or a terminal owned by the family of the person to be managed 10 .

그리고 제휴 의료기관(300)의 의료서버에서 안내 경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황의 심각성에 따라 제휴 의료기관(300) 측에서 구급차를 호출하여 관리 대상자(10)의 위치로 출동하도록 하거나, 관리자 측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또 다른 피고용인이 관리 대상자(10)를 방문하여 병원 등과 같은 의료기관(300)에 동행하는 동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nd, when a guidance alert is received from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calls an ambulance to the location of the person to be managed 10,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situation, or the manager Another employee who performs the visits to the management target 10 may provide an accompanying service to accompany the medical institution 300, such as a hospital.

한편 제휴 의료기관(300)의 의료서버는, 요청에 따라 또는 정기적으로 관리 대상자(10)의 모바일 단말기(50) 측으로 의료 이력 데이터를 송신하여, 관리 대상자(10)가 이를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transmits medical history data to the mobile terminal 50 of the person to be managed 10 according to a request or periodically, so that the person to be managed 10 can utilize it usefully. .

또한 제휴 의료기관(300)은 관리자 측이 운영하는 본 발명의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제휴를 위해, 관리서버(200)를 통해 운용되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회원가입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서비스료를 지불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performs membership registration through a website operate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200, etc. for alliance with th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management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by the administrator, and service fees for this can make you pay

이와 같은 경우, 관리서버(200) 측에서는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고, 제휴 의료기관(300)과 협약을 통한 제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200 side performs a guide on the service provided, and enables the alliance through the alliance with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to be performed.

그리고 제휴 의료기관(300)에 구비된 의료서버는 관리서버(200) 측에 전술한 관리 대상자(10)의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cal server provided in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may make a request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o inquire the health-related complex data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200)가 수신된 복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는 (c)단계 이후에는, 관리서버(200)가 의료기관(300)의 의료서버로부터 발신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f)단계, 관리서버(200)가 서비스 요청을 송신한 의료기관(300)이 허가된 제휴 의료기관인지를 판단하는 (g)단계 및 (g)단계에 의해 서비스 요청을 송신한 의료기관(300)이 제휴 의료기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관리서버(200)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복합 데이터를 제휴 의료기관(300)의 의료서버에 제공하는 (h)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5 , after the step (c) in which the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the received complex data in the database 210, the management server 200 is transmitted from the medical serv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300. The service request is transmitted by the step (f) of receiving the requested service request, the steps (g) and (g) of the management server 200 determining whether the medical institution 300 that has transmitted the service request is an authorized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one medical institution 300 is an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step (h) of the management server 200 providing the complex data stored in the database 210 to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may be perform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관리자 측의 데이터 분석부는 (d)단계에서 데이터 분석부가 신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관리 대상자(10)의 건강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수의 제휴 의료기관(300) 중에서 가장 신속하게 관리 대상자(10) 측에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의료기관(300)을 분석하여 선별하도록 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analysis unit on the manager's side analyzes the body data in step (d) and determines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10 to be managed is abnorm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 plurality of partnerships Among the medical institutions 300 ,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select a medical institution 300 that can take action on the management target 10 side most quickly.

이를 위해 각 제휴 의료기관(300)의 의료서버에서는 해당 의료기관(300)의 위치, 현재 시점에서 업무의 종사하고 있는 의료진의 수, 현재 시점에서 해당 의료기관(300)이 운용할 수 있는 구급차의 출동 가능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취합할 수 있으며, 이들을 종합하여 각 제휴 의료기관(300)을 우선순위 별로 정렬한 뒤, 순차적으로 안내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medical server of each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medical institution 300 , the number of medical staff engaged in business at the present time, and whether an ambulance that can be operated by the corresponding medical institution 300 at the present time is available etc.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and by synthesizing them, each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can be sorted by priority, and then a guide alert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이때 안내 경보를 수신한 제휴 의료기관(300)에서는 출동 여부를 응답할 수 있으며, 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아닐 경우 출동 불가 메시지를 관리서버(200) 측에 송신하고, 관리서버(200)는 이를 수신하여 차순위의 제휴 의료기관(300) 측에 안내 경보를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that has received the guidance alert may respond to whether or not to be dispatched, and if it is not a situation in which dispatch can be made, a message that cannot be dispatched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side,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this Upon reception, a guidance alert is performed on the side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of the next priority.

또한 이후에는, 제휴 의료기관(300) 별로 출동 이력 및 출동 불가 사유 등을 취합한 뒤 기 설정된 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제휴 의료기관(300)에 포인트를 부여하거나 회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제휴 의료기관(300) 별로 서비스료의 할인 또는 혜택 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after, after collecting the dispatch history and reasons for not being able to dispatch for each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 points may be given or collected to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through a preset evaluation algorithm, and through this, each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For each service charge, discounts or benefits may be provided.

또한 사안이 매우 위급한 경우, 관리서버(200)는 상위 우선순위에 있는 복수의 제휴 의료기관(300)들에 동시에 안내 경보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가장 먼저 출동이 이루어진 제휴 의료기관(300)의 의료서버는 출동 후 출동 완료 메시지를 관리서버(200)에 송신하고, 관리서버(200)는 이를 수신 후 나머지 제휴 의료기관(300)에 송신함으로써 출동이 이미 이루어졌음을 공지하여 중복 출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tter is very urgent,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simultaneously perform a guide alert to a plurality of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s 300 in higher priority, and in this case,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300 that is dispatched first of the medical server sends a dispatch completion message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after dispatch,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remaining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s 300 to notify that the dispatch has already been made to prevent duplicate dispatch. can do.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fac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관리 대상자
20: 피고용인
50: 모바일 단말기
100: 웨어러블 측정부
200: 관리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20: 자동 연락 수행부
300: 의료기관
10: To be managed
20: Employee
50: mobile terminal
100: wearable measurement unit
200: management server
210: database
220: automatic contact execution unit
300: medical institution

Claims (10)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를 통해 관리 대상자의 건강 관련 복합 데이터를 취합하는 (a)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가 (a)단계에 의해 취합된 복합 데이터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b)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수신된 상기 복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c)단계;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d)단계;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건강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가 대응되는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e)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신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복수의 제휴 의료기관의 의료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취합되는 해당 의료기관의 위치, 현재 시점에서 업무의 종사하고 있는 의료진의 수, 현재 시점에서 해당 의료기관이 운용할 수 있는 구급차의 출동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종합하여, 각 제휴 의료기관을 우선순위 별로 정렬한 뒤 순차적으로 안내 경보를 수행하며,
안내 경보를 수신한 제휴 의료기관의 의료서버에서는 출동 여부를 응답하되, 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아닐 경우 출동 불가 메시지를 상기 관리서버 측에 송신하도록 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차순위의 제휴 의료기관 측에 안내 경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d)단계에서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가 매우 위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위 우선순위에 있는 복수의 제휴 의료기관들에 동시에 안내 경보를 수행하며, 가장 먼저 출동이 이루어진 제휴 의료기관의 의료서버는 출동 후 출동 완료 메시지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출동 완료 메시지를 수신 후 나머지 다른 제휴 의료기관에 송신함으로써 출동이 이미 이루어졌음을 공지하여 중복 출동을 방지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제휴 의료기관 별로 출동 이력 및 출동 불가 사유 등을 취합한 뒤 기 설정된 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제휴 의료기관에 포인트를 부여하거나 회수하며, 각 제휴 의료기관 별로 서비스료의 할인 또는 혜택을 제공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a) collecting health-related complex data of a subject to be managed through one or more data collection devices;
(b) transmitting, by the data collection device, the composite data collected by step (a) to a management server;
(c) storing,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received composite data in a database;
(d) determining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by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ing the complex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e) perform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 corresponding follow-up ac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health state of the data analysis unit;
includes,
In the step (d), when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body data and determines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is abnormal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The data analysis unit, the loc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collected in real time from the medical servers of a plurality of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medical staff engaged in work at the current time, and whether an ambulance that can be operated by the medical institution at the present time is available By synthesizing the information included, each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is sorted by priority and then a guide alert is sequentially performed.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that has received the guidance alert responds to whether or not to be dispatched, but if it is not possible to be dispatched, sends a message that cannot be dispatched to the management server side, and the management server informs the next-priority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to be able to perform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in step (d) is very critical,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s a guide alert to a plurality of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s with higher priority at the same time, and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that has been dispatched first sends a dispatch completion message to the management server after dispatching, and the management server After receiving the dispatch completion message, it is sent to other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s to notify that the dispatch has already been made to prevent duplicate dispatches,
The management server,
After collecting the dispatch history and reasons for not being able to dispatch for each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points are given or collected to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s through a preset evaluation algorithm, and discounts or benefits for service fees are provided for each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는,
관리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하도록 제공되어 관리 대상자의 신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측정부;
관리 대상자와 관련하여 입력된 의료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는 의료 이력 수집부; 및
관리 대상자의 음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성 수집부;
를 포함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collection device,
A wearable measurement unit provided to be worn on the body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to collect body data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a medical history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medical history data input in relation to a subject to be managed; and
a voice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voice-related data of a subject to be managed;
containing,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관련 데이터는,
관리 대상자의 음성 시그널 데이터 및 관리 대상자의 음성 내용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oice-related data is
Containing the voice signal data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and the voice content text data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관리 대상자가 건강한 상태에서 취합된 기초 시그널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d)단계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기초 시그널 데이터와 상기 음성 시그널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인 음성의 크기 정보, 음의 높낮이 정보, 받침이 있는 발음의 정확도 정보 및 기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기 설정된 불일치도 기준에 의거하여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atabase stores basic signal data collected in a healthy state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Step (d) is,
The data analysis unit compares and analyzes at least one of the basic signal data and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oice signal data, such as volume information, pitch information, pronunciation accuracy information with a support, and cough information, with each other, Determining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based on the set inconsistency standard,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침 정보를 토대로 관리 대상자의 마른 기침과 젖은 기침을 구분하여, 마른 기침 횟수 정보, 젖은 기침 횟수 정보 및 총 기침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기침 횟수 정보를 추가 도출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step (d),
The data analysis unit divides the dry cough and wet cough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based on the cough information, and further derives comprehensive cough number information including dry cough number information, wet cough number information, and total cough number information to perform analysis ,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침 정보에 포함된 기침의 초기 오프닝 버스트, 잡음성 기류 및 성문 폐쇄의 단계 별 세그먼트를 분석하여 상기 종합 기침 횟수 정보를 도출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ing the segment by stage of the initial opening burst, noisy airflow, and glottal closure of the cough included in the cough information to derive the comprehensive cough number information,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기침 정보에 포함된 기침의 평균 지속시간 및 신호 대 잡음비(SNR)을 기반으로 마른 기침과 젖은 기침을 구분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ata analysis unit,
distinguishing dry cough from wet cough based on the average duration of cough and signal-to-noise ratio (SNR) included in the cough information,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신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후속 조치로서 관리 대상자에게 비대면 안부 연락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tep (d), when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body data and determines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is norm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the step (e), the management server provides a non-face-to-face contact service to the person to be managed as a follow-up measure,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신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건강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후속 조치로서 미리 저장된 외부 단말기 및 제휴 의료기관의 의료서버에 안내 경보를 수행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tep (d), when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body data and determines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to be managed is abnorm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the step (e),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s a guide alert to the pre-stored external terminal and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as a follow-up action,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는,
상기 관리서버가 의료기관의 의료서버로부터 발신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f)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서비스 요청을 송신한 의료기관이 허가된 제휴 의료기관인지를 판단하는 (g)단계; 및
상기 (g)단계에 의해 서비스 요청을 송신한 의료기관이 제휴 의료기관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합 데이터를 제휴 의료기관의 의료서버에 제공하는 (h)단계;
가 더 수행되는,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step (c),
(f) receiv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 service request sent from a medical server of a medical institution;
(g) determining, by the management server, whether the medical institution that has transmitted the service request is an authorized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and
(h) providing,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complex data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medical server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al institution that has transmitted the service request in step (g) is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is further performed,
How to provide non-face-to-face comprehensive health care services.
KR1020210134501A 2021-10-09 2021-10-09 Untac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KR102410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501A KR102410650B1 (en) 2021-10-09 2021-10-09 Untac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501A KR102410650B1 (en) 2021-10-09 2021-10-09 Untac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650B1 true KR102410650B1 (en) 2022-06-17

Family

ID=8226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501A KR102410650B1 (en) 2021-10-09 2021-10-09 Untac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650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474A (en) * 2005-01-19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ceeding voice analysis medical examination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KR20070050549A (en) * 2005-11-11 2007-05-16 주식회사강산넷 A remote moniter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KR20130115706A (en) * 2012-04-13 2013-10-22 김만회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hysical condition based on user voice using smart device
KR20140142330A (en) * 2012-03-29 2014-12-11 더 유니버서티 어브 퀸슬랜드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tient sounds
KR20160030736A (en)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server for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KR20170131067A (en) 2016-05-20 2017-11-29 정택진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tergrated health care service
KR20180076910A (en) * 2016-12-28 2018-07-06 (주)메디컬로직 A method of transferring medical records to the third part in an emergency
KR20200045137A (en) * 2018-10-22 2020-05-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KR20210028768A (en) * 2019-09-04 2021-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Optimal transportation hospital decision method and serv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474A (en) * 2005-01-19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ceeding voice analysis medical examination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KR20070050549A (en) * 2005-11-11 2007-05-16 주식회사강산넷 A remote moniter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KR20140142330A (en) * 2012-03-29 2014-12-11 더 유니버서티 어브 퀸슬랜드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tient sounds
KR20130115706A (en) * 2012-04-13 2013-10-22 김만회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hysical condition based on user voice using smart device
KR20160030736A (en)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server for emergency situation notifying
KR20170131067A (en) 2016-05-20 2017-11-29 정택진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tergrated health care service
KR20180076910A (en) * 2016-12-28 2018-07-06 (주)메디컬로직 A method of transferring medical records to the third part in an emergency
KR20200045137A (en) * 2018-10-22 2020-05-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KR20210028768A (en) * 2019-09-04 2021-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Optimal transportation hospital decision method and ser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9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health information using big data
US10692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monitoring hand hygiene
CN108778097A (en) Device and method for assessing heart failure
CN108701496A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isk level for determining breathing breaking-out
EP29597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exceptions of people behavior
JP2011238215A (en) Mental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 management system
US10410750B1 (en) Predicting respiratory distress
CN110177132A (en) A kind of medical treatment & health endowm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Norman et al. Evaluation of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interRAI Falls Clinical Assessment Protocol, Scott Fall Risk Screen, and a supplementary falls risk assessment tool used in residential long-term care: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JP2013148996A (en) Seriousness determination device, and seriousness determination method
KR101711886B1 (en) Health care system using a smart healthycheck apparatus and method at the same
Brondeel et al. Converting raw accelerometer data to activity counts using open-source code: Implementing a MATLAB code in Python and R, and comparing the results to ActiLife
JP2004157614A (en) Behavior analysis system
KR102410650B1 (en) Untact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JP2019198695A (en) Notification system,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15376692A (en) Health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90066138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odeling of a user activity
Bravetti et al. The assessment of the complexity of care through the clinical nursing information system in clinical practice: a study protocol
US11717217B2 (en) Stress monitor and stress-monitoring method
KR101924599B1 (en) Preliminar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ability evaluation
KR102650936B1 (en) Mental health risk signal detection system, and mental health risk signal dete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2429188B1 (en) INTELLIGENT ENVIRONMENT(Aml=AI/ML) CONFIGURATION USING INSENSITIVE IoT SENSOR AND DIGITAL BIOMARKER GENERATION TECHNOLOGY AND ITS SYSTEM
KR102578011B1 (en) Devic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
Sunny et al. TeleVital: Enhancing the quality of contactless health assessment
KR102663622B1 (en) Refugee and Disaster Relief Center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