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215B1 - Abnormality check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 - Google Patents

Abnormality check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215B1
KR102408215B1 KR1020190105641A KR20190105641A KR102408215B1 KR 102408215 B1 KR102408215 B1 KR 102408215B1 KR 1020190105641 A KR1020190105641 A KR 1020190105641A KR 20190105641 A KR20190105641 A KR 20190105641A KR 102408215 B1 KR102408215 B1 KR 10240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es data
time series
equipment
unit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5823A (en
Inventor
김대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드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10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215B1/en
Publication of KR2021002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2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점검하여 보완할 수 있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비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노드부와, 상기 복수의 노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노드부로부터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통합하는 게이트웨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부로부터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오류 또는 결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상황실 서버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bnormality inspection system for equipment and facilities that can be supplemented by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in time series data.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node units for receiving time series data from at least one of equipment and sensors, and the plurality of node uni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node units to receive the time series data from the plurality of node units to generate the time series data based on time It includes a gateway unit that integrates, and a situation room server unit that receives the time series data from the gateway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error or a defect in the time series data.

Description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Abnormality check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Abnormality check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점검하여 보완할 수 있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in equipment and facilities that can be supplemented by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in time series data.

일반적으로 수처리 시스템은 처리할 원수에 따라 정수 처리 시스템,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수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고, 여건이 수처리 장소, 처리량 등에 따라 다양하여서 여러 방식으로 구성, 설치, 운용 및 관리하고 있다.In general, a water treatment system can be divided into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a wa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aw water to be treated, and the conditions vary depending on the water treatment place and the amount of water to be treated, so it is configured, installed, operated and managed in various ways.

또한, 수처리 시스템은 프로그램화한 수처리 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되게 하고, 이상 상태를 판별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원격 감시하게 구성하여서,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reatment system is controlled by a programmed water treatment control system, and an abnormal condition is determined and notified to the manager or configured to be remotely monitored, so that it can be operated stably.

이러한 수처리 시스템은 운용 중단시에 피해가 광범위하여 어떤 경우이든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운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이상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모니터링 기술이 개발되었다.Such a water treatment system has a wide range of damage when operation is stopped, and must be operated continuously and stably in any case. To this end, various monitoring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identify abnormal conditions early.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점검하여 보완할 수 있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normality inspection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 that can be supplemented by insp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in time series data. There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장비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노드부와, 상기 복수의 노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노드부로부터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통합하는 게이트웨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부로부터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오류 또는 결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상황실 서버부를 포함하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node units for receiving time series data from at least one of equipment and sensors, and a plurality of node uni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node units to receive the time series data from the plurality of node units based on time A gateway unit for integrating the time series data, and a situation room server unit for receiving the time series data from the gateway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rror or a defect in the time series data.

상기 상황실 서버부는 상기 시계열 데이터가 연속되는지 판단하고, 연속되지 않고 불연속되면 상기 시계열 데이터의 결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time series data is continuous, and if it is not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it may be determined that a defect of the time series data exists.

상기 상황실 프로세서는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전/후를 비교하여,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 측정값이 전/후의 측정값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에는,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room processor compares the time series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ime before/after, and when the measur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ime shows a large difference from the measured value before/afte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ata. have.

상기 상황실 서버부는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오류나 결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부에 오류나 결손된 시계열 데이터를 재전송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When an error or a defect exists in the time series data,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may instruct the gateway unit to retransmit the error or the missing time series data.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오류나 결손된 시계열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을 경우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상황실 서버부로 전송하고, 보관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노드부에게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상황실 서버부로 전송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The gateway unit may instruct the node unit to transmit the time series data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if the error or missing time series data is stored, and to transmit the time series data to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and if not, the node unit may transmit the time series data to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상기 상황실 서버부는 상기 장비에서 출력되는 논리 자료형 불리언(Boolean)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장비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situation room server does not receive a logical data type Boolean signal output from the equipment, it may determine that the equipment is abnormal.

상기 상황실 서버부는 수신하는 동일한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반복하여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노드부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repeatedly receives the same time series data received, it may determine that the node unit is abnormal.

게이트웨이부는 마스터 게이트웨이, 슬레이브 게이트웨이 및 가상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ateway unit may include a master gateway, a slave gateway, and a virtual gateway.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은 시계열 데이터의 오류 및 결손을 판단하고, 데이터를 보완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ystem for inspecting equipment and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reliability by determining errors and deficiencies in time series data and supplementing the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은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를 HMI를 통해 용이하게 발견하여 보완할 수 있다. The system for inspecting equipment and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etect and supplement equipment and equipment through HMI.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은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점검할 수 있다. The system for inspecting equipment and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eck equipment and equipment in various ways.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의 시계열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의 통합 시계열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의 시계열 데이터 오/결손 판단 및 보완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checking whether equipment and facilities are abnor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able schematically illustrating time series data of a system for checking equipment and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able schematically showing integrated time series data of the system for checking equipment and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nd supplementing time-series data error/defect in the system for checking equipment and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e related detailed description is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and/or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dicate the existence of a disclosed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and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etc. are not limi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or” include any and all combinations of words listed together. For example, "A or B" may include A, may include B, or may include both A and B.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of various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components. does not For example, the abov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or importance of corresponding components. The above express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both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are user devices, and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e component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new components may exis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element exists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should be able to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only used to describe one specific embodiment,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deal or excessively formal terms not interpreted as meaning

이하에서 시스템은 장치들의 구성, 이들 장치들의 작동 방법, 장치들의 작동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일부, 또는 이들 모두일 수도 있다. Hereinafter, a system may be at least any one, some of, or both of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configuration of devices, a method of operating these devices, a computer program executing the method of operating the devices, and a medium in which the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은 노드부, 게이트웨이부 및 현장 서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은 본부 서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부, 게이트웨이 및 현장 서버부가 설비일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checking whether equipment and facilities are abnor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checking equipment an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node unit, a gateway unit, and an on-site server unit. In addition, the equipment and equipment abnormality inspe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headquarters server unit. Here, the node unit, the gateway, and the on-site server unit may be facilities.

노드부는 장비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한다. 노드부는 연결 지점을 말하며, 데이터 전송을 인식하고 처리(process)하거나 전달(forward)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 또한 노드부는 네트워크에 붙어서 전송할 정보를 만들고, 통신 채널 상으로 이를 주고받는 활성화된 전자 기기를 일컫는다. 물론 노드부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node unit receives time series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equipment and the sensor. The node part refers to a connection point and is programmed to recognize and process or forward data transmission. Also, the node unit refers to an activated electronic device that attaches to the network, create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exchanges it over a communication channel. Of course, the node uni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장비는 수도밸브, 펌프, 공기압축기, 열교환기 등일 수 있다. 또한, 장비는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수도설비일 수 있다. 물론 장비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장비는 플랜트 등에 설치되고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일 수 있다. Here, the equipment may be a water valve, a pump, an air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equipment may be a water facility installed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a sewage treatment plant. Of course, the equip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quipment may be a facility installed in a plant or the like and consuming energy.

그리고 센서는 압력계, 온도계, 유량계 등일 수 있다. 물론 센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는 장비 또는 배관 등에 부착되어 장비 또는 배관의 압력, 온도, 유량을 측정한다. And the sensor may be a pressure gauge, a thermometer, a flow meter, or the like. Of course, the sensor is not limited thereto. Sensors are attached to equipment or piping to measure pressure,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equipment or piping.

이러한 장비와 센서는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한다.These devices and sensors generate time-series data.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장비 및 센서가 생성하는 시계열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시계열 데이터는 행 버전이고,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시계열 데이터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열 버전일 수도 있다. Hereinafter, time series data generated by equipment and senso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illustrated time series data is a row version, and is exemplary and not limited thereto. The time series data may be a column version differently from the illustration.

장비는 장비별로 에너지 소비량 등의 정보를 특정 시간단위로 측정한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한다. 장비는 Device ID, 시간(Timestamp), 측정값(value01. value 02...)을 시계열 데이터로 생성한다. 이때 시간 순서대로 별도의 넘버링으로 일련번호를 매길 수도 있다. The equipment generates time series data in which information such as energy consumption for each equipment is measured in a specific time unit. The device generates the Device ID, Time (Timestamp), and the measured value (value01. value 02...) as time series data. In this case, serial numbers may be assigned by separate numbering in chronological order.

여기서 Device ID는 장비별로 고유한 아이디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수처리장에 설치된 여러 장비 중 첫 번째 펌프인 장비는 1001로 Device ID가 부여되고, 두 번째 펌프는 1002로 Device ID가 부여되며, 세 번째 펌프는 1003으로 고유한 아이디가 부여된다. Here, Device ID is given a unique ID for each device. For example, among the various equipment installed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the device that is the first pump is given a Device ID of 1001, the second pump is given a Device ID of 1002, and the third pump is given a unique ID of 1003.

센서는 압력, 온도, 유량 등을 특정 시간단위로 측정한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한다. 센서는 Device ID, 측정 시각(Timestamp), 측정값을 시계열 데이터로 생성한다. 이때 시간 순서대로 별도의 넘버링으로 일련번호를 매길 수도 있다. The sensor generates time series data in which pressure, temperature, flow rate, etc. are measured in a specific time unit. The sensor generates Device ID, measurement time (Timestamp), and measurement value as time series data. In this case, serial numbers may be assigned by separate numbering in chronological order.

여기서 Device ID는 센서별 고유 아이디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압력센서는 2001, 두 번째 압력센서는 2002, 세 번째 압력센서는 2003으로 고유한 아이디가 부여된다. 또한, 첫 번째 온도센서는 3001, 두 번째 온도센서는 3002, 등으로 고유한 아이디가 부여된다.Here, Device ID is given a unique ID for each sensor. For example, a unique ID is assigned to the first pressure sensor as 2001, the second pressure sensor as 2002, and the third pressure sensor as 2003. In addition, a unique ID is assigned to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s 3001,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as 3002, and the like.

이때, Device ID는 정수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보다 간소화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vice ID is composed of an integer, so that data can be further simplified.

이러한 장비 및 센서는 아날로그로 통신하거나 디지털로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장비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로 통신하여, 생성된 시계열 데이터를 노드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장비가 자체적으로 통신하지 못하는 경우 PLC(PROGRAMMERBLE LOGIC CONTROLLER)를 통해 시계열 데이터를 노드부로 전송할 수 있다. These devices and sensors may communicate analogously or digitally. Alternatively, the equipment may communicate in analog and digital formats to transmit the generated time series data to the node unit. At this time, if the equipment cannot communicate by itself, time series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node unit through a PLC (PROGRAMMERBLE LOGIC CONTROLLER).

시간(Timestamp)는 측정 시간이며, 측정값(value01...)는 시간(Timestamp)에 측정한 측정값이다. 예컨대, 펌프의 경우 측정값은 에너지 소비량이 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의 경우 압력수치가 될 수 있다. Time (Timestamp) is a measurement time, and measurement value (value01...) is a measurement value measured at Time (Timestamp).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ump, the measured value may be energy consumption, and in the case of a pressure sensor, it may be a pressure value.

그리고 노드부는 장비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노드부는 장비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센서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노드부는 장비와 센서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현장의 상황에 따를 수 있다. And the node unit receives time series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equipment and the sensor. For example, the node unit may receive time series data from the equipment or may receive time series data from a sensor. Alternatively, the node unit may receive time series data from the equipment and the sensor. This may depend on the situation in the field.

또한, 노드부는 전송받은 시계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노드부의 용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최신 시계열 데이터를 위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시간 순서대로 별도의 넘버링으로 일련번호를 매길 수도 있다. Also, the node unit may store the received time series data. Since the capacity of the node part is limited, it is possible to mainly store the latest time series data. In this case, serial numbers may be assigned by separate numbering in chronological order.

이러한 노드부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드부는 장비를 그룹별로 관리하고, 장비가 많아질수록 노드부도 많아질 수 있다. A plurality of such node units may be formed. The node unit manages equipment by group, and as the number of equipment increases, the number of node units may also increase.

그리고 노드부는 전송받은 시계열 데이터를 후술할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node unit transmits the received time series data to a gateway to be described later.

장비, 센서 PLC, 노드부는 수처리장 등의 현장에 설치된다. Equipment, sensor PLC, and node units are installed at sites such as water treatment plants.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부는 노드부와 연결되어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고, 노드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전송받아 시간 기준으로 통합시킨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부는 어느 한 노드부에서 온 데이터와 다른 한 노드에서 온 데이터를 동일 시간에 온 데이터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시간(Timestamp)를 기준으로 Device ID를 순서대로 배치하고, Device ID별로 측정값을 다른 셀로 배치한다. 도 3에 도시된 통합된 시계열 데이터는 예시일 뿐이며,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때 시간 순서대로 별도의 넘버링으로 일련번호를 매길 수도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gateway unit is connected to the node unit to receive time series data, and receives time series data from the node and integrates the time series data. For example, if the gateway unit receives data from one node and data from another node at the same time, the device ID is sequentially arranged based on the same time (Timestamp) as shown in FIG. 3, Arrange the measured values in different cells by Device ID. The integrated time series data shown in FIG. 3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modified in other forms. In this case, serial numbers may be assigned by separate numbering in chronological order.

이러한 게이트웨이부는 노드부와 현장 서버부 사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노드부가 설치되는 현장과 현장 서버부가 설치되는 현장 상황실 사이에 구비된다. 또는 게이트웨이부는 현장 상황실에 설치될 수도 있다. Such a gateway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node unit and the field server unit. For example, it is provided between a site in which the node unit is installed and a field situation room in which the site server unit is installed. Alternatively, the gateway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on-site control room.

그리고 상황실 서버부는 게이트웨이로부터 통합된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고, 시계열 데이터에 오류 또는 결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상황실 서버부는 상황실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자가 여러 가지 명령 및 제어를 처리하는 상황실 프로세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상황실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receives the integrated time series data from the gateway, and determines whether an error or a defect exists in the time series data.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includes a situation room database, a situation room processor that an administrator processes various commands and controls, and a situation room human-machine interface (HMI)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이러한 상황실 서버부는 현장 상황실에 구비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현장 상황실이 본부 관제실과 통합운영되는 경우에는 상활실 서버부는 본부 관제실에 구비될 수도 있다. Such a situation room server unit is provided in the on-site situation room.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on-site situation room is integrated with the headquarters control room, the living room server unit may be provided in the headquarters control room.

상황실 데이터베이스는 게이트웨이부로부터 수신한 통합된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The control room database receives and stores the integrated time series data received from the gateway unit.

상황실 HMI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HMI(Human Machine Interface) 프로그램을 통해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실 HMI는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장비 또는 현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그래픽적으로 공정을 모사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수집된 통합 시계열 데이터와 오/결손 데이터를 소팅하여 사용자(관리자)에게 영상으로 제공한다. The control room HMI is output through the HMI (Human Machine Interface) progra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it.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room HMI includes a program that graphically simulates the process so that the status of equipment or sites can be checked from the collected time series data, and the collected integrated time series data and error/defect data are sorted to provide the user (administrator) provided in video.

상황실 프로세서는 상황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계열 데이터를 소팅하여, 시계열 데이터에 오류 또는 결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The control room processor sorts the time series data stored in the control room database, and determines whether an error or a defect exists in the time series data.

도 4를 참조하여, 상황실 프로세서의 오/결손 판단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 4 , a method of determining an error/defect of the control room process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황실 프로세서는 상황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계열 데이터를 시간 순으로 소팅하는 시계열 데이터 소팅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황실 프로세서는 시계열 데이터를 일정 주기 간격으로 소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열 데이터는 시간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The control room processor performs a time series data sorting step of sorting time series data stored in the control room database in chronological order. In this case, the control room processor may sort the time series data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time series data is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상황실 프로세서는 시계열 데이터에 오류 또는 결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하는 오/결손 존재 여부 판단 단계를 수행한다.The control room processor performs an error/dele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error or a defect exists in the time series data.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실 프로세서는 소팅된 시계열 데이터에 시계열 데이터가 연속되는지 판단하고, 연속되지 않고 불연속되면 데이터의 결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컨대, 시간(Timestamp)의 개수가 부족하거나 불연속적이면 시계열 데이터에 결손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일련번호가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 데이터의 결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room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ime series data is continuous in the sorted time series data, and if it is not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it is determined that data loss exists.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imestamps is insufficient or discontinuou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defect in the time series data. Alternatively, when the above-described serial numbers are not consecutive, it may be determined that data loss exists.

또는 상황실 프로세서는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 시계열 데이터를 전/후를 비교하여,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 측정값이 전/후의 측정값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에는,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room processor compares the time series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ime before/after, and when the measur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ime shows a large difference from the measured value before/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ata.

만약 오/결손 시계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황실 서버부(예컨대, 상황실 프로세서)는 시계열 데이터를 일정 주기 간격으로 소팅한다. If there is no error/defective time series data,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eg, the control room processor) sorts the time series data at regular intervals.

상황실 프로세서는 시계열 데이터에 오류나 결손이 존재하는 경우, 게이트웨이부에 오류나 결손된 시계열 데이터를 재전송하라고 명령하는 해당 시계열 데이터 전송 명령 단계를 수행한다. When an error or defect exists in the time series data, the control room processor performs a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transmission command step of instructing the gateway unit to retransmit the error or missing time series data.

게이트웨이부는 상황실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오류나 결손된 시계열 데이터에 대응하는 해당 시계열 데이터의 존부를 판단하는 해당 시계열 데이터 존부여부 판단 단계를 수행한다. The gateway unit performs a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existenc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the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corresponding to the error or missing time series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 room processor.

여기서 게이트웨이부는 오류나 결손된 시계열 데이터에 대응하는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면,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상황실 서버부(상황실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부의 해당 시계열 데이터 전송 단계를 수행한다. Here, if the gateway unit has the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corresponding to the error or missing time series data, the gateway unit performs the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to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control room processor).

그러나 게이트웨이부가 오/결손된 시계열 데이터에 대응하는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상황실 서버부(상황실 프로세서)로 전송하라는 명령을 노드부로 전송하고, 노드부는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서버부(상황실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노드부의 해당 시계열 데이터 전송 단계를 수행한다. However, if the gateway unit does not have the time series data corresponding to the erroneous/defective time series data, it sends a command to transmit the time series data to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control room processor) to the node unit, and the node unit transmits the time series data to the server unit The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transmission step of the node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room processor) is performed.

상황실 서버부(예컨대 상황실 데이터베이스)는 게이트웨이부 또는 노드부로부터 전송받은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저장하는 해당 시계열 데이터 저장 단계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실 서버부(예컨대 상황실 데이터베이스)는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시계열 데이터에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추가한다. 또는 상황실 서버부(예컨대 상황실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오/결손 시계열 데이터에 덮어쓴다.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eg, the situation room database) performs a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unit or the node unit.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eg, the control room database) adds the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to the existing time series data. Alternatively,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eg, the control room database) overwrites the corresponding time series data with the incorrect/defective time series data.

그리고 상황실 서버부(예컨대, 상황실 프로세서)는 다시 상황실 데이터베이스의 시계열 데이터를 소팅하는 시계열 데이터 소팅 단계를 수행한다. 즉, 전술한 단계들을 다시 수행한다. And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eg, the control room processor) performs a time series data sorting step of sorting the time series data of the control room database again. That is, the above steps are performed again.

한편, 전술한 본부 서버부는 전국 수처리 설비 현장으로 부터 데이터를 취합하여 장비 및 공정 운전을 관제한다. 이러한 본부 서버부는 본부 프로세서, 본부 데이터베이스, 본부 HMI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forementioned headquarters server unit collects data from water treatment facility sites across the country to control equipment and process operation. The headquarters server unit may include a headquarters processor, a headquarters database, and a headquarters HMI.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은 장비 이상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비는 사용자가 정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논리 자료형 불리언(Boolean)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 간격은 수 초 또는 수 마이크로 초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ystem for inspecting equipment and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eck whether equipment is abnormal. More specifically, the equipment outputs a logical data type Boolean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determined by the user. Here,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be several seconds or several microseconds.

논리 자료형 불리언(Boolean)신호는 노드부 및 게이트웨이부를 거쳐 상황실 서버부로 전송된다. The logical data type Boolea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through the node unit and the gateway unit.

상황실 서버부는 장비에서 출력되는 논리 자료형 불리언(Boolean)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장비 이상으로 판단하고, 상황실 HMI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If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does not receive the logical data type Boolean signal output from the equipment, it may determine that the equipment is abnormal and notify the manager through the control room HMI.

또는, 시계열 데이터의 측정값의 범위가 일정 범위(예컨대 0~10)이어야 하는데, 상황실 데이터베이스에 이 일정범위를 넘는 범위의 측정값(예컨대 100)이 지속적으로 저장되면, 상황실 서버부는 장비 이상으로 판단하고, 상황실 HMI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range of the measured values of the time series data should be within a certain range (eg 0 to 10). If the measurement values (eg, 100) in the range exceeding this predetermined range are continuously stored in the control room database,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determines that the equipment is abnormal. and can notify the manager through the control room HMI.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은 장비 이상 및 통신 이상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비는 자신의 상태에 관한 이상유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True/False형태의 체크데이터로 출력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 간격은 수 초 또는 수 마이크로 초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ystem for inspecting equipment and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eck equipment and communication errors. More specifically, the equipment outpu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regarding its own state as check data in the form of True/False at regular time intervals. Here,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be several seconds or several microseconds.

True/False형태의 체크데이터는 노드부 및 게이트웨이부를 거쳐 상황실 서버부로 전송된다. True/False type check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through the node unit and the gateway unit.

상황실 서버부는 장비에서 출력되는 True/False형태의 체크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통신 이상으로 판단하고, 상황실 HMI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If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does not receive the True/False type check data output from the equipment, it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communication error and notify the manager through the control room HMI.

또는 상황실 서버부는 장비에서 출력되는 False형태의 체크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장비 이상으로 판단하고, 상황실 HMI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 room server receives false check data output from the device, it may determine that the device is abnormal and notify the manager through the control room HMI.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은 노드부의 이상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실 서버부는 수신하는 동일한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반복하여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노드부의 이상으로 판단한다. Meanwhile, the system for checking whether equipment and facilities are abnorm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eck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node unit. In more detail, when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repeatedly receives the same time series data received, it is determined that the node unit is abnormal.

예를 들어, 시계열 데이터의 시간(Timestamp)은 장비별로 또는 센서별로 중복되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의 장비에서 동일한 시간 값이 중복되어 수신된다면, 시간에 관해 관장하는 노드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For example, the timestamp of time series data is not duplicated for each device or sensor. However, if the same time value is repeatedly received in one devic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node in charge of time.

따라서 상황실 서버부는 동일한 시간 값을 가진 시계열 데이터를 반복하여 수신하는 경우 노드부의 이상으로 판단하고, 상황실 HMI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repeatedly receives time series data having the same time value, it may determine that the node is abnormal and notify the manager through the control room HMI.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의 게이트웨이부는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의 이중화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gateway unit of the system for checking equipment and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ter gateway and a slave gateway. Through the duplication of the gateway, it can be operated stably.

노드부는 마스터 게이트웨이의 고장 상태를 대비하여, 평소에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시계열 데이터를 전송한다. The node unit normally transmits time series data to the slave gateway in preparation for the failure of the master gateway.

또한, 게이트웨이부는 가상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여, 3중으로 게이트웨이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게이트웨이는 클라우드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tew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virtual gateway to form a triple gateway. Here, the virtual gateway may be a cloud gatewa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현장에 위치하며, 현장에 설치된 장비 및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노드부;
상기 복수의 노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노드부로부터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통합하는 게이트웨이부; 및
현장 상황실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부로부터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오류 또는 결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상황실 서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복수의 노드부와 상기 상황실 서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
a plurality of node units located in the field and receiving time series data from at least one of equipment and sensors installed in the field;
a gatewa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node units to receive the time series data from the plurality of node units and integrating the time series data based on time; and
a situation room server unit located in the on-site situation room, receiving the time series data from the gateway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an error or a defect exists in the time series data;
including,
The gateway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node units and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equipment and equipment abnormality inspec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 서버부는 상기 시계열 데이터가 연속되는지 판단하고, 연속되지 않고 불연속되면 상기 시계열 데이터의 결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ime series data is continuous, and if it is not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it is determined that a defect of the time series data exis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 서버부는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전/후를 비교하여,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 측정값이 전/후의 측정값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에는,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room server unit compares before/after the time series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ime, and when the measur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ime shows a large difference from the measured value before/after determining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ata, Equipment and equipment abnormality inspection system.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 서버부는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오류나 결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부에 오류나 결손된 시계열 데이터를 재전송하라고 명령하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when there is an error or a defect in the time series data, instructs the gateway unit to retransmit the error or the missing time series data, equipment and equipment abnormality inspec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오류나 결손된 시계열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을 경우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상황실 서버부로 전송하고, 보관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노드부에게 해당 시계열 데이터를 상황실 서버부로 전송하라고 명령하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ateway unit transmits the time series data to the control room server if it is storing error or missing time series data, and if not, instructs the node unit to transmit the time series data to the control room server. check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 서버부는 상기 장비에서 출력되는 논리 자료형 불리언(Boolean)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장비 이상으로 판단하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f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does not receive a logical data type Boolean signal output from the equipm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equipment is abnorm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 서버부는 수신하는 동일한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반복하여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노드부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ituation room server unit repeatedly receives the same time-series data received, it is determined that the node unit is abnormal.
제1항에 있어서,
게이트웨이부는 마스터 게이트웨이, 슬레이브 게이트웨이 및 가상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장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gateway unit includes a master gateway, a slave gateway and a virtual gateway, and an abnormality check system for equipment and facilities.
KR1020190105641A 2019-08-28 2019-08-28 Abnormality check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 KR1024082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41A KR102408215B1 (en) 2019-08-28 2019-08-28 Abnormality check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41A KR102408215B1 (en) 2019-08-28 2019-08-28 Abnormality check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23A KR20210025823A (en) 2021-03-10
KR102408215B1 true KR102408215B1 (en) 2022-06-13

Family

ID=7514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641A KR102408215B1 (en) 2019-08-28 2019-08-28 Abnormality check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2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8900B (en) * 2021-09-22 2024-04-12 中国国家铁路集团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high-speed rail inspection robot,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0721A (en) * 2011-01-20 2012-08-09 Tokyo Electron Ltd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abnormality of processor
JP2015005025A (en) * 2013-06-19 2015-01-08 株式会社明電舎 Minus compensation method for estimation type time series data
JP2018190124A (en) * 2017-05-01 2018-11-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Data collection found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032A (en) * 1993-12-22 1995-07-21 Toshiba Corp Monitoring device for plant dat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0721A (en) * 2011-01-20 2012-08-09 Tokyo Electron Ltd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abnormality of processor
JP2015005025A (en) * 2013-06-19 2015-01-08 株式会社明電舎 Minus compensation method for estimation type time series data
JP2018190124A (en) * 2017-05-01 2018-11-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Data collection foun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23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50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ordination between control and safety systems
US7504961B2 (en) Emergency isolation valve controller with integral fault indicator
RU2398260C2 (en) Assessement of process equipment reliability
CN110159929B (en) Intelligent control big data processing method for underground drainage pipe network
US104105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 management using smart alarms
US11030829B2 (en) Hyper-redundant sensor nodes
JP5915627B2 (en) Process control system
KR101057047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diagnosing remote devices
KR1020956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bnormal operation state judgment using neural network model
US9671778B2 (en) Process control system and managing method therefor
JP2017117267A (en) Process control system
JP5961326B2 (en) Device monitoring system, device monitoring program, and device monitoring method
CN105323017A (en) Communication abnormality detecting apparatus, communication abnormality detecting method and program
KR102408215B1 (en) Abnormality check system of equipment and facilities
JP63353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process control equipment integrity
CN113093670A (en) Instrument control state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monitoring platform
KR102320743B1 (en)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equipment
WO2005013098A2 (en) Continuous online safety and reliability monitoring
KR101361423B1 (en) Rtu with embedded module checking its own condition and trouble diagnosis system thereof
KR20220041527A (en)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IoT for Device
JP61326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xecution process monitor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execution process monitoring program
KR20020065747A (en) The solenoid valve monitoring system
JP2704005B2 (en) Man-machine system design support equipment
JP2005234925A (en) Field apparatus and abnormality diagnostic system for the same
JP2010257361A (en) Duplex fiel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