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040B1 -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040B1
KR102407040B1 KR1020200061251A KR20200061251A KR102407040B1 KR 102407040 B1 KR102407040 B1 KR 102407040B1 KR 1020200061251 A KR1020200061251 A KR 1020200061251A KR 20200061251 A KR20200061251 A KR 20200061251A KR 102407040 B1 KR102407040 B1 KR 10240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liquid chamber
liquid
container
centrifu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44224A (en
Inventor
황의재
Original Assignee
황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재 filed Critical 황의재
Priority to KR102020006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040B1/en
Publication of KR2021014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2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1Adjust spacings in an array of wells, pipettes or holders, format transfer between arrays of different size or geometry
    • B01L2200/022Variable spac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3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adapted for different sizes of tubes, tips or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 지방조직 또는 골수 등과 같은 생리학적 복합 유체에 원심력을 가하고, 이를 통해 성분별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원심분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시 챔버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 내부에서 자전하도록 하여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의 성분별 분리율을 향상시켜 얻고자하는 성분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원심분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that applies a centrifugal force to a physiological complex fluid such as blood, adipose tissue or bone marrow using a centrifuge, and separates it by using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for each component. During centrifugation using It relates to a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to provide.

Description

원심분리용 용기{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Container for centrifugation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 지방조직 또는 골수 등과 같은 생리학적 복합 유체에 원심력을 가하고, 이를 통해 성분별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원심분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시 챔버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 내부에서 자전하도록 하여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의 성분별 분리율을 향상시켜 추출하고자 하는 성분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원심분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that applies a centrifugal force to a physiological complex fluid such as blood, adipose tissue or bone marrow using a centrifuge, and separates it by using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for each component. During centrifugation using It relates to a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to provide.

혈액은 각종 질병이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부분도 있지만, 혈액 내에 성장 인자가 풍부하게 들어 있는 혈소판은 치료목적으로 사용된다. 혈소판은 주로 혈장에 존재하고, 혈장은 PRP(Platelet Rich Plasma)와 PPP(Platelet Poor Plasma)로 분류된다. 이 중 농축 혈소판인 PRP는 통증 부분, 특히 무릎 안좌, 인대 또는 근육 등에 이식되고, 이식되는 부분의 줄기세포를 자극하여 세포가 생성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치료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Although blood is sometimes used as a major indicator for judging various diseases or health conditions, platelets rich in growth factors in blood are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Platelets are mainly present in plasma, and plasma is classified into PRP (Platelet Rich Plasma) and PPP (Platelet Poor Plasma). Among them, PRP, a concentrated platelet, has been widely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because it is implanted in pain areas, particularly knee seat, ligaments, or muscles, and helps to generate cells by stimulating stem cells in the transplanted area.

하지만, PRP는 추출량이 채취된 혈액의 1% 정도로 소량이고, 점도가 높아 적혈구로부터 분리가 어렵다. 적혈구는 인체에 투여되는 경우 상당한 고통을 야기하고,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어 PRP로부터 적혈구를 분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PRP를 적혈구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 추출하기 위해 원심분리기가 사용된다. However, the extraction amount of PRP is small, about 1% of that of the collected blood, an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from red blood cells because of its high viscosity. Red blood cells cause considerable pain when administered to the human body and may cause inflammation, so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separate red blood cells from PRP. Therefore, a centrifuge is used to stably separate and extract PRP from red blood cells.

도 1은 일반적인 원심분리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추출된 버피코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centrifugal separation vessel,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extracted buffy coa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원심분리용 용기(10)는 상부액실(12)과 하부액실(13)로 분할되는 본체(11)와, 상부액실(12)의 상부를 덮는 상부마개(15)와, 하부액실(13)의 하부를 밀폐하고 상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외주면이 하부액실(13)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는 하부마개(16)와, 상부액실(12)과 하부액실(13)을 분할하고 중앙부에 상부액실(12)과 하부액실(13)을 연통시키는 유체통로(14a)가 상부로 돌출된 구조로 마련된 집액실(1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 미설명된 '17'은 패킹부재, '18'은 원심 분리기에 걸림되는 걸림턱을 나타낸다. 1 and 2, a typical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10 has a main body 11 divided into an upper liquid chamber 12 and a lower liquid chamber 13, and an upper stoppe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upper liquid chamber 12 ( 15), a lower stopper 16 that seals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liquid chamber 13 and rise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liquid chamber 13 by a force applied upward, and the upper liquid chamber 12 It consists of a liquid collection chamber 14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liquid chamber 12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1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fluid passage 14a that divides the lower liquid chamber 13 and the upper liquid chamber 13 protrudes upward. '17', which is not described in FIG. 1, denotes a packing member, and '18' denotes a locking jaw caught in the centrifugal separator.

이러한 원심분리용 용기(10)를 이용한 버피코트 추출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escription of the buffy coat extraction method using the centrifuge vessel 10 is as follows.

인체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하부액실(13)에 주입한 후 혈액이 주입된 원심분리용 용기(10)를 원심 분리기에 안착시켜 원심 분리를 수행한다. 이후, 원심 분리가 완료되면 비중차에 의해 하부액실(13)에는 순차적으로 적혈구(2), PRP 및 혈장(3)이 3단으로 분리된다. 이때, PRP는 혈소판과 백혈구로 형성된 흰색의 층으로 구분되는 경계층인 버피코트(1)를 포함한다. 이렇게 3단으로 분리된 구조에서 버피코트(1)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승부재를 이용하여 버피코트(1)를 집액실(14)로 상승시킨 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버피코트(1)를 선택적으로 흡입 추출한다.After the blood collected from the human body is injected into the lower liquid chamber 13 using a syringe, the centrifugation vessel 10 into which the blood is injected is placed in the centrifuge to perform centrifugation. Thereafter, when the centrifugation is completed, the red blood cells (2), PRP, and plasma (3) are sequentially separated into three stages in the lower axillary chamber 13 due to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t this time, the PRP includes a buffy coat (1), which is a boundary layer that is divided into a white layer formed of platelets and white blood cells. In order to extract the buffy coat 1 from the three-tiered structure, the buffy coat 1 is raised into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14 by using a lifting member, and then the buffy coat 1 is selectively sucked using a syringe. extract

한편, 원심분리기는 일반적으로 물체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장치로서, 액체와 혼합되어 있는 세포 또는 액체보다 높은 비중과 부착력을 갖는 물질을 비중에 의해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심분리기는 혈액 이외에도 지방조직 또는 골수 등과 같은 생리학적 복합 유체에 원심력을 가하여 성분별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성분을 서로 분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centrifugal separator is a device that separates substance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an object is generally rotated. is being used Such a centrifuge is used to separate components from each other by applying a centrifugal force to a physiological complex fluid such as adipose tissue or bone marrow in addition to blood, and using a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for each component.

원심분리기는 시료의 양, 회전속도 및 로터의 유형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기본적으로 원심분리기 내에는 원심분리 대상물질이 수용된 원심분리용 용기가 안착되는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는 로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 그 내부에 안착된 원심분리용 용기에 수용된 원심분리 대상물질, 즉 복합 유체의 각 성분별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복수 개의 층으로 원심분리한다. Centrifuge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sample, rotational speed, and type of rotor. Basically, the centrifuge includes a chamber in which a centrifuge container in which a material to be centrifuged is accommodated. The chamber is rotated at a constant speed by the rotor and centrifug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each component us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of each component of the centrifugation target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entrifugation container seated therein, that is, the complex fluid. .

원심분리 대상물질의 성분 분리시간은 원심분리 대상물질의 시료의 양, 그리고, 원심분리기 챔버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 때문에 분리하고자하는 시료의 양이 많거나, 혹은 챔버의 회전속도가 느린 저성능의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심분리하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The separation time of the components of the material to be centrifug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sample of the material to be centrifuged, and the rotation speed and rotation time of the centrifuge chamber. For this reason, when the amount of sample to be separated is large or a low-performance centrifuge with a slow chamber rotation speed is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perform centrifuga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0-1848869호에서는 원심분리시 챔버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 내부에서 자전하는 원심분리용 용기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의 성분별 분리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얻고자하는 성분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8869 provides a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that rotates inside the chamber while revolving around the central ax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mber during centrifugation. By improving the separation rate for each component of the target material, the desired component could be obtain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한국 등록특허 제10-1848869호에서 제안된 원심분리용 용기는 상단 둘레에 날개편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고 챔버의 회전시 공기 저항으로 본체를 상기 챔버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뚜껑을 포함하여 원심분리시 챔버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 내부에서 자전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원심분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8869 has a main body having a blade piece formed around the upper end, sealing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rotating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hamber by air resistance when the chamber is rotated. Including a lid having a rotating connecting member, the centrifugal separation rate could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by rotating around the central ax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mber during centrifugation and at the same time rotating inside the chamber.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제10-1848869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Howev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8869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원심분리시 원심분리용 용기를 자전시키기 위해 뚜껑에 밀폐부재, 이탈방지부재 및 연결부재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뚜껑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Firs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lid becomes complicat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form a sealing member,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on the lid in order to rotate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during centrifugation.

둘째, 원심분리시 공기 저항이 뚜껑의 연결부재에 집중되어 원심분리용 용기의 무게 중심이 상부에 집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원심분리용 용기의 회전시 보호용기 내에서 안정적으로 자전하지 못하고 하단부가 보호용기에 충돌하여 원심분리용 용기의 자전을 방해함으로써 원심분리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Seco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ir resistance during centrifugation wa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li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entrifugation container was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Due to this, when the centrifugal container is rotated, it cannot rotate stably in the protective container, and the lower end collides with the protective containe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container, thereby limiting the improvement of the centrifugation rate.

셋째, 본체를 부상시키기 위해 상단 둘레에 날개편이 형성됨에 따라 원심분리용 용기를 일정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원심분리용 용기가 보호용기로부터 빠져나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원심분리기의 회전속도를 일정 속도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원심분리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Third, as the blades are formed around the upper end to float the body, when the centrifugal container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or more, the centrifugal container comes out of the protective container and separates. Accordingly,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centrifuge cannot be increased above a certain speed, there is a limit in improving the centrifugation rate.

KR 10-1848869 B1, 2018. 04. 09.KR 10-1848869 B1, 2018. 04. 09. KR 10-1197908 B1, 2012. 10. 30.KR 10-1197908 B1, 2012. 10. 30. KR 10-1197974 B1, 2012. 10. 30.KR 10-1197974 B1, 2012. 10. 30. KR 20-0462858 Y1, 2012. 09. 26.KR 20-0462858 Y1, 2012. 09. 26.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고속 회전시에도 보호용기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보호용기 내에서 안정적으로 공전과 자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심분리 대상물질의 원심분리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원심분리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does not separate from the protective container even during high-speed rotation, and stably rotates and rotates in the protective container at the same time, thereby allowing centrifugal sepa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capable of maximizing the centrifugation rate of a materi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상부액실과, 하부가 개방된 하부액실과, 상기 상부액실과 상기 하부액실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상부액실과 상기 하부액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액실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액실의 상단부에 연결된 집액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마개;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원심분리기의 챔버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챔버의 회전에 의해 공전할 때 상기 챔버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에 의해 상기 챔버 내에서 자전하도록 상기 집액실의 양측부에 서로 대칭하개 형성된 날개편을 더 포함하는 원심분리용 용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upper liquid chamber with an open upper portion, a lower liquid chamber with an open lower portion,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ose of the upper liquid chamber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the upper liquid chamber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are a body including a liquid collecting chamber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liquid chamber and an upper end of the lower liquid chamb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 upper stopper sealing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stopper seal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s seated in the chamber of the centrifuge and revolv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chamber. It provides a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symmetrically formed wing pieces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to rotate in the chamber by the .

또한, 상기 본체에 혈액을 투입한 후 상기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할 때 상기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적혈구는 상기 하부액실에 위치되고, 혈장은 상기 상부액실에 위치되고, 버피코트는 상기 집액실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액실과 상기 하부액실은 체적비가 5.5~6.5(상부액실):3.5~4.5(하부액실)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blood is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centrifuged using the centrifuge, the red blood cells separated from the blood are located in the lower liquid chamber, the plasma is located in the upper liquid chamber, and the buffy coat is located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The upper liquid chamber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may be formed so that a volume ratio of 5.5 to 6.5 (upper liquid chamber):3.5 to 4.5 (lower liquid chamber) is possible.

또한, 상기 집액실은 3mm 내지 7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Also,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may have a diameter of 3 mm to 7 mm.

또한, 상기 날개편은 상기 집액실을 중심으로 상기 집액실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판상 구조로, 외측 단부는 상하로 상기 상·하부액실의 외측부와 정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g pieces may have a plate-like structu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with respect to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and the outer ends may b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out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liquid chambers.

또한, 상기 본체는 보호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원심분리기의 챔버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가 상기 보호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용기의 내경은 상기 하부마개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액실의 둘레에는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보호용기의 내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상기 보호용기의 상단에 걸림되는 원형 띠 형상으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seated inside the chamber of the centrifuge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ntainer,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ective container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topper so that the main body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protective container.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and around the upper liquid chamber,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band shape to be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ve container so that the lower stopper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protective container.

또한, 상기 하부액실의 하부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부액실의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하부액실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밀폐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i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liquid chamber to seal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liquid chamber, and a pedestal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lower liquid chamber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시 챔버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 내부에서 자전하는 원심분리용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본체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의 성분별 분리율을 향상시켜 종래기술에 비해 원심분리용 용기의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추출하고자 하는 성분을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that rotates inside the chamber while revolving around the central ax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hamber during centrifugation using a centrifuge,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By improving the separation rate for each component of the target material for centrifugation contained in the centrifug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obtain the component to be extracted stably without separation of the centrifuge container compared to the prior art.

도 1은 일반적인 원심분리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심분리용 용기를 통해 추출된 버피코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심분리용 용기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본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가 원심분리기의 챔버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원심분리기의 챔버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를 통해 추출된 버피코트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centrifugal separation vessel.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buffy coat extracted through the centrifugation vessel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vessel for centrifugation shown in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ody shown in FIG. 3;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ody shown in Fig. 3;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body shown in Fig. 3;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ody shown in FIG. 3 ;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rifugal separ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 the chamber of the centrifuge.
Figure 10 is a view from above of the chamber of the centrifuge.
11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buffy coat extracted through the centrifuga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syring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심분리용 용기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shown in FIG. 3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20)는 상·하부액실(21a, 21b), 집액실(21c) 및 날개편(21d)으로 이루어진 본체(21)를 포함한다. 3 and 4,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21 including upper and lower liquid chambers 21a and 21b, a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and a wing piece 21d. ) is included.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정면도이고, 도 7은 측면도이고, 도 8은 단면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3 , FIG. 6 is a front view, FIG. 7 is a side view,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2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추출하고자 하는 성분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3 to 8, the body 21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ynthetic resin material. Preferably, 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omponent to be extracted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상부액실(21a)은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에는 상부마개(22)가 결합되어 밀폐된다. 하부액실(21a)은 하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하부에는 하부마개(23)가 결합된다.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has an open upper portion, and an upper stopper 22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portion to be sealed. The lower liquid chamber 21a has an open lower portion, and a lower stopper 23 is coupled to the open lower portion.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은 집액실(21c)과 함께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고, 혈액, 지방조직 또는 골수 등과 같은 생리학적 복합 유체, 예를 들면 혈액이 집액실(21c)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집액실(21c)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are integrally formed together with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through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a physiological complex fluid such as blood, adipose tissue or bone marrow, for example, blood is stored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 21c)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그리고,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may have the same diameter.

상부액실(21a)은 원심분리 후 원심분리용 용기(20) 내에서 분리된 추출 성분, 예를 들면 버피코트(1, 도 2 참조)가 자동으로 하부액실(21b)과 상부액실(21a) 사이의 집액실(21c)에 위치되도록 하부액실(21b)에 비해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In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fter centrifugation, an extraction component separated in the centrifugation container 20, for example, a buffy coat (see FIG. 1, FIG. 2) is automatically placed between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and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It is formed to have a larger volume than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so as to be located in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of the .

이와 같이, 혈액으로부터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되는 버피코트(1)가 원심분리 후 자동으로 하부액실(21b)과 상부액실(21a) 사이의 집액실(21c)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부액실(21a)의 상단부와 집액실(21c)의 중앙 사이의 길이(L1)와, 하부액실(21b)의 하단과 집액실(21c)의 중앙 사이의 길이(L2) 간의 비율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5.5~6.5(L1):3.5~4.5(L2)가 되도록 본체(21)를 형성한다. In this way, in order for the buffy coat 1 to be separated from blood through centrifugation to be automatically located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between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and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fter centrifugation,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The ratio between the length L1 between the upper end of , and the center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and the length L2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and the center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is important.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21 is formed such that 5.5 to 6.5 (L1): 3.5 to 4.5 (L2).

도 2와 같이, 인체에서 채취한 혈액은 원심분리 후 순차적으로 적혈구(2)/PRP(버피코트)(1)/혈장(3)이 3단으로 적층된 구조로 분리된다. 이때, 전체 혈액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체적 비율은 대략 40% 정도이고, 나머지는 PRP와 혈장이 차지한다. As shown in FIG. 2 , after centrifugation, the blood collected from the human body is sequentially separated into a three-layered structure in which red blood cells (2)/PRP (buffy coat) (1)/plasma (3) are stacked. At this time, the volume ratio of red blood cells in the whole blood is about 40%, and the rest is occupied by PRP and plasma.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원심분리용 용기(20)의 전체 체적을 원심분리를 하고자 하는 혈액의 양에 110% 내지 120%으로 형성하고, 이때,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의 체적비는 대략 5.5~6.5(L1):3.5~4.5(L2)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를 통해 원심분리와 동시에 버피코트(1)가 자동으로 집액실(21c)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volume of the centrifugation container 20 is formed to be 110% to 120% of the amount of blood to be centrifuged, and at this time, the volume ratio of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5.5~6.5(L1):3.5~4.5(L2). Through this, the buffy coat 1 can be automatically positioned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at the same time as centrifugation.

집액실(21c)은 도 3과 같이,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원심분리용 용기(20)의 내부로 주입된 혈액이 유동하는 연결통로로서, 상단이 상부액실(21a)의 하단과 연결되고, 하단이 하부액실(21b)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is a connect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blood injected into the centrifugal separation vessel 20 flows by integrally connecting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이러한 집액실(21c)은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혈액에서 채취되는 버피코트의 양은 대략 전체 혈액에서 1% 내외로 비교적 적은 양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집액실(21c)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at of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Since the amount of buffy coat collected from blood is relatively small, about 1% of the total blood, it is preferable to form a small diameter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in consideration of this.

하지만, 집액실(21c)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 간에 혈액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원심분리시 상부액실(21a)에 채워진 혈액과 하부액실(21b)에 채워진 혈액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However, when the diameter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is small, the blood flow is not smooth between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so the blood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 The centrifugal force applied to the blood filled in 21b) becomes different.

이로 인해, 원심분리용 용기(20) 내의 혈액에 대해 균일한 원심분리가 어려워 버피코트의 회수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버피코트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챔버의 회전수나 회전속도, 시간 등을 증가시켜 원심분리를 수행함에 따라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원심분리 시간이 증가하여 효율성이 저하되었다.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centrifuge the blood in the centrifugation container 20, so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of the buffy coat. For this reason,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very rate of the buffy coat, the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by increasing the rotation speed, rotation speed, and time of the chamber.

따라서, 본 발명에서 집액실(21c)은 3mm 내지 7m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4.6mm로 형성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3 mm to 7 mm. Preferably, it is formed to be 4.6 mm.

그 이유는, 집액실(21c)의 직경이 3mm 미만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균일한 원심분리가 어려워 버피코트의 분리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7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심분리 후 집액실(21c)에 비교적 얇은 두께로 버피코트가 분리됨에 따라 주사기(6, 도 11참조)를 이용한 추출시 적혈구(2)나 혈장(3)이 섞여 버피코트(1)의 회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The reason is that when the diameter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is less than 3 mm, as described above, uniform centrifugation is difficult and the separation rate of the buffy coat is low. When the thickness exceeds 7 mm, the buffy coat is separated in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after centrifugation, so when extraction using a syringe (6, see FIG. 11), red blood cells (2) or plasma (3) are mixed and the buffy coat is The recovery rate of (1) may be lowered.

실제로, 집액실(21c)의 직경이 3mm로 미만인 원심분리용 용기를 사용하여 동일 조건 하에서 원심분리를 수행한 경우 정상적인 원심분리용 용기(집액실의 직경이 3mm 내지 7mm)에 비해 버피코트의 회수율이 10% 가량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fact, when centrifugation i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using a centrifugation container having a diameter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less than 3 mm, the recovery rate of the buffy coat compared to a normal centrifugation container (the diameter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is 3 mm to 7 mm) It was confirmed that this decreased by about 10%.

또한, 집액실(21c)의 직경이 7mm를 초과한 원심분리용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심분리하고자 하는 혈액의 양이 적은 경우, 예를 들면, 15cc인 경우 집액실(21c) 내에서 분리된 버피코트 층이 적혈구(2)와 혈장(3)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주사기(6)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버피코트(1)를 추출하는 작업이 어려웠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centrifugation container with a diameter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exceeding 7 mm, if the amount of blood to be centrifuged is small, for example, 15 cc, separation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Since the applied buffy coat layer is relatively thin compared to red blood cells (2) and plasma (3), it was difficult to selectively extract the buffy coat (1) between them using a syringe (6).

그리고, 집액실(21c)은 그 직경이 3mm 내지 7mm 내에서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의 직경에 비해 1/4~1/3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하거나, 체적이 1/4~1/3 정도로 형성한다. 또한, 상부액실(21a)과 집액실(21c), 그리고 하부액실(21b)과 집액실(21c) 사이의 경계부는 원심분리시 혈액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이들 사이의 경계부에서 60°~ 85°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has a diameter of about 1/4 to 1/3 of the diameter of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within 3 mm to 7 mm, or has a volume of 1/4 About 1/3 of the way. In add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and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is formed to have a certain curvature for smooth flow of blood during centrifugation. Preferably, it is formed to have an angle of 60° to 85° at the boundary between them.

한편, 집액실(21c)은 원심분리 후 그 내부에 자동 분리된 버피코트(1)를 육안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버피코트 확인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a buffy coat confirmation window (not shown) may be formed in at least part of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so that the automatically separated buffy coat 1 can be easily recognized with the naked eye after centrifugation.

상기 버피코트 확인창은 집액실(21a)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버피코트 확인창은 집액실(21c)의 하단으로부터 20mm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The buffy coat confirmation window may be formed in all or part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a. For example, the buffy coat confirmation window may be formed to a height of 20 mm from the lower end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상기 버피코트 확인창은 집액실(21c)이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다른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투명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the buffy coat confirmation window is form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thereby improving transparency.

또한, 상기 버피코트 확인창은 집액실(21c)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형상(볼록 렌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액실(21c)의 내부에서 분리된 버피코트는 볼록렌즈로 인해 실제 크기보다 크게 확대된 상태로 외부로 표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y coat confirmation window may have a convex shape (convex le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Through this, the buffy coat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n enlarged state larger than the actual size due to the convex lens.

또한, 상기 버피코트 확인창은 적어도 일부가 주사기를 꽂아 직접 집액실(21c)의 측면에서 버피코트를 추출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buffy coat confirmation window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buffy coat can be directly extracted from the side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by inserting a syringe.

도 4 및 도 6과 같이, 날개편(21d)은 집액실(21c)의 양측부에 형성된다. 이때, 날개편(21d)은 집액실(21c)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하도록 형성되고, 상부액실(21a) 및 하부액실(21b)와 동일한 직경으로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4 and 6, the blade piece 21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At this time, the blade pieces 21d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and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and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이러한 날개편(21d)은 집액실(21c)의 양측부, 즉 본체(21)의 중앙부에 형성됨에 따라 원심분리시 원심분리용 용기(20)의 무게 중심이 중앙에 위치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용기의 상단부에 무게 중심이 쏠리는 구조에 비해 안정적인 원심분리가 가능하다. These blade pieces 21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that i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21,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is located in the center during centrifugation. Compar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stable centrifugation is possibl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가 원심분리기의 챔버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원심분리기의 챔버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entrifu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 the chamber of the centrifuge, and FIG. 10 is a view of the chamber of the centrifuge as viewed from abov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날개편(21d)은 집액실(21c)의 양측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집액실(21c)의 양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9 and 10 , a pair of blade pieces 21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and have a plate-like structure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그리고, 날개편(21d)은 원심분리기(4)의 챔버(4a)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원심분리시 원심분리용 용기(20)의 공전과 자전을 유도할 수 있다. And, the blade piece 21d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mber 4a of the centrifuge 4 to induce revolution and rotation of the centrifuge container 20 during centrifugation.

이러한 날개편(21d)은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에 비해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집액실(21c)의 양측부에 대칭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집액실(21c)의 양측부의 강도를 보강하여 원심분리시 집액실(21c)이 부러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These blade pieces 21d are form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mpared to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there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Thus, it also serves to prevent damage such as the liquid collecting chamber 21c being broken during centrifugation.

한편, 날개편(21d)은 집액실(21c)의 양측부에 대칭 구조로 한 쌍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적어도 3개 이상이 일정한 각도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a pair of wing pieces 21d is provid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this is an example, and at least three or more may be formed radially at a predetermined angle.

도 9 및 도 10과 같이, 원심분리용 용기(20)는 챔버(4a) 내부에 직접 안착시키거나, 혹은 보호용기(5)의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로 챔버(4a)의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9 and 10, the centrifugal separation vessel 20 can be seated directly inside the chamber 4a, or seated inside the chamber 4a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vessel 5. have.

보호용기(5)는 본체(21)가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일반적인 시험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원심분리용 용기(20)가 보호용기(5)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챔버(4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자전)으로 회전하도록 보호용기(5)의 내경은 원심분리용 용기(20)에 구비된 하부마개(2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The protective container 5 may have a general test tube structure so that the body 21 is stably inserted therein.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ective container 5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rota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hamber (4a)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ntainer (5) for centrifugation I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topper 23 provided in (20).

예를 들면, 보호용기(5)는 내경이 하부마개(23)의 외경에 비해 2mm 내지 5mm 정도 크게 형성한다. 이를 통해, 챔버(4a) 회전시, 공기 저항에 의해 원심분리용 용기(20)가 보호용기(5)의 내부에서 챔버(4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보호용기(5)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protective container 5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topper 23 by 2mm to 5mm. Through this, when the chamber (4a) rotates, when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mber (4a) inside the protective container (5) due to air resistance, the protective container (5) It is close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tor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it so that it rotates smoothly.

도 10과 같이, 원심분리용 용기(20)를 보호용기(5)에 삽입시킨 상태로 챔버(4a)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원심분리기(4)의 로터를 구동시켜 챔버(4a)를 설정된 속도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챔버(4a) 내부에 수용된 원심분리용 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적혈구(2), 버피코트(1) 및 혈장(3)을 서로 분리한다.As shown in Figure 10,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4a)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ntainer (5). Then, by driving the rotor of the centrifuge 4 to rotate the chamber 4a in one direction at a set speed, the blood contained in the centrifugation vessel 20 accommodated in the chamber 4a is centrifuged to centrifuge the red blood cells 2 ), buffy coat (1) and plasma (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심분리용 용기(20)가 챔버(4a)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날개편(21d)에는 원심력에 대응하여 챔버(4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관성)이 가해져 회전(자전)한다. 즉, 원심분리용 용기(20)는 도 10과 같이, 챔버(4a)의 회전으로 인해 원심분리기(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챔버(4a)의 회전방향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4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날개편(21d)에 관성이 걸려 보호용기(5) 내에서 챔버(4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전한다. As shown in Figure 10,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entrifugal container 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chamber 4a, the wing piece 21d has a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mber 4a in response to the centrifugal force. (Inertia) is applied and it rotates (rotates). That is, the centrifuge container 20 revolv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mber 4a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centrifuge 4 due to the rotation of the chamber 4a as shown in FIG. 10 , and at the same time the chamber 4a rotates. Inertia is applied to the blade piece (21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hamber (4a) in the protective container (5).

한편, 도 4 및 도 9와 같이, 본체(21)의 상부 둘레, 즉 상부액실(21a)의 상부 둘레에는 원심분리를 위해 원심분리용 용기(20)를 보호용기(5)의 내부에 삽입시켜 안착시킬 때 원심분리용 용기(20)의 하단부가 보호용기(5)의 내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보호용기(5)의 상단(5a)에 걸림되는 원형 띠 형상으로 걸림턱(a)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4 and 9, the upp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21, that is, the upper periphery of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for centrifugation, the centrifugal separation vessel 20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vessel 5 for centrifugation. When seated, the locking jaw (a) is formed in a circular band shape that is caught on the upper end (5a) of the protective container (5)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does not touch the inner bottom of the protective container (5).

이러한 걸림턱(a)은 원심분리용 용기(20)가 보호용기(5)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심분리용 용기(20)의 하단부가 보호용기(5)의 내부 바닥면과 닿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원심분리용 용기(20)가 보호용기(5)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원심분리용 용기(20)의 하단부가 보호용기(5)의 바닥에 닿는 경우에는 원심분리시 원심분리용 용기(20)와 보호용기(5) 간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원심분리시 원심분리용 용기(20)가 원활하게 보호용기(5)의 내부에서 자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Such a stopping protrusion (a) is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from contacti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ontainer 5 in a state in which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ntainer 5. plays a role That is, when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ntainer 5 and the lower end of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touches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container 5,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 This is becau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20) and the protective container 5 increases, and due to this,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does not rotate smoothly inside the protective container 5 during centrifuga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를 이용하여 집액실에 분리된 버피코트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xtracting a buffy coat separated in a liquid collection chamber using a syringe using a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20)는 원심분리시 원심분리기(4)를 이용한 챔버(4a)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4a) 내부에서 자전함으로써 본체(21) 내부에 수용된 원심분리용 대상물질, 즉 혈액을 적혈구(2), 버피코트(1) 및 혈장(3)으로 분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volves around a central ax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hamber 4a using the centrifuge 4 at the time of centrifugation. (4a) By rotating inside the body 21,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target material for centrifugation, ie, blood, into red blood cells (2), buffy coat (1) and plasma (3).

버피코트(1)는 상부액실(21a)과 하부액실(21b) 사이의 집액실(21c)에 안정적으로 분리된다. 이렇게 집액실(21c)에 분리된 버피코트(1)는 주사기(6)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The buffy coat 1 is stably separated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between the upper liquid chamber 21a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The buffy coat 1 separated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21c in this way is extracted using a syringe 6 .

도 4와 같이, 상부마개(22)는 본체(21)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체(22a)와, 결합체(22a)에 일측이 연결되고 결합체(22a)를 덮는 커버(22b)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upper stopper 22 includes a coupling body 22a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21, and a cover 22b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22a and covering the coupling body 22a.

커버(22b)는 결합체(22a)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결합체(22a)에 형성된 주입구를 개폐한다. 예를 들어, 커버(22b)를 결합체(22a)로부터 분리시켜 결합체(22a)의 주입구를 개방시킨 후 본체(21)의 내부로 원심분리하고자 하는 유체, 예를 들면 혈액을 투입시키고, 커버(22b)를 결합체(22a)에 조립한 후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The cover 22b is installed detachably from the assembly 22a to open and close the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assembly 22a. For example, after separating the cover 22b from the assembly 22a to open the inlet of the assembly 22a, a fluid to be centrifuged, for example, blood, is introduced into the body 21, and the cover 22b )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22a) and then centrifuged.

그리고, 본체(21)의 하부 내측에는 본체(21)의 하부를 밀폐하는 패킹부재(24)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21)의 하부 내측에는 패킹부재(24)의 하부를 지지하여 패킹부재(24)가 본체(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받침대(25)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cking member 24 for sea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 . In addition, a pedestal 25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1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acking member 24 so that the packing member 24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1 .

패킹부재(24)는 본체(21)의 하부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하부액실(21b) 내에 수용된 원심분리 대상물질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패킹부재(24)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본체(21)의 하부 내측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The packing member 24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1 to prevent the centrifugal separation target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lower liquid chamber 21b from flowing out to the lower side. The packing member 24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n be coupled 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1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또한, 본체(21)의 하단부에는 하부마개(23)가 나사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1, the lower stopper 23 is screw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용기(20)는 원심분리기(4)를 이용한 원심분리시 챔버(4a)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챔버(4a) 내부에서 자전함으로써 본체(21)의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된 원심분리용 대상물질의 성분별 분리율을 향상시켜 종래기술과 같이 공전만을 이용한 원심분리 방식에 비해 얻고자하는 성분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volves around the central ax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hamber 4a during centrifugation using the centrifuge 4 and at the same time the inside of the chamber 4a. By rotating in the body 21, the separation rate for each component of the target material for centrifuga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21 is improved, and the desired component can be obtain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compared to the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using only revolution as in the prior art.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ferr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for limitation.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through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버피코트 2 : 적혈구
3 : 혈장 4 : 원심분리기
4a : 챔버 5 : 보호용기
6 : 주사기 20 : 원심분리용 용기
21 : 본체 21a : 상부액실
21b : 하부액실 21c : 집액실
21d : 날개편 22 : 상부마개
22a : 결합체 22b : 커버
23 : 하부마개 24 : 패킹부재
25 : 받침대 a : 걸림턱
1: buffy coat 2: red blood cells
3: Plasma 4: Centrifuge
4a: chamber 5: protective container
6: Syringe 20: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21: body 21a: upper liquid chamber
21b: lower liquid chamber 21c: liquid collection chamber
21d: wing piece 22: top cap
22a: assembly 22b: cover
23: lower stopper 24: packing member
25: pedestal a: locking jaw

Claims (6)

상부가 개방된 상부액실과, 하부가 개방된 하부액실과, 상기 상부액실과 상기 하부액실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상부액실과 상기 하부액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액실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액실의 상단부에 연결된 집액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마개;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마개;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원심분리기의 챔버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챔버의 회전에 의해 공전할 때 상기 챔버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에 의해 상기 챔버 내에서 자전하도록 상기 집액실의 양측부에 서로 대칭하개 형성된 날개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보호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원심분리기의 챔버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가 상기 보호용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용기의 내경은 상기 하부마개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액실의 둘레에는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보호용기의 내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상기 보호용기의 상단에 걸림되는 원형 띠 형상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원심분리용 용기.
an upper liquid chamber with an open upper portion, a lower liquid chamber with an open lower portion, a lower end of the upper liquid chamber and an upper end of the lower liquid chamber, each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upper liquid chamber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so that the upper liquid chamber and the lower liquid chamb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body including a liquid collection chamber connected to;
an upper stopper sealing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stopper sealing the open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ncluding,
The main body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so that the body rotates in the chamber by inertia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hamber when it revolves by the rotation of the chamber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chamber of the centrifuge. Further comprising a wing piece formed haha,
The body is seated inside the chamber of the centrifug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ontain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ective container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topper so that the main body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protective container. It is formed larger than that, and around the upper liquid chamber,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circular band shape to be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ve container so that the lower stopper does not touch the inner bottom of the protective container,
vessel for centrifug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혈액을 투입한 후 상기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할 때 상기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적혈구는 상기 하부액실에 위치되고, 혈장은 상기 상부액실에 위치되고, 버피코트는 상기 집액실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액실은 상기 하부액실보다 큰 체적으로 형성된 원심분리용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n blood is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centrifuged using the centrifuge, the red blood cells separated from the blood are located in the lower liquid chamber, the plasma is located in the upper liquid chamber, and the buffy coat is located in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The upper liquid chamber is a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formed with a larger volume than the lower liquid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액실은 3mm 내지 7mm의 직경을 갖는 원심분리용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is a vessel for centrifugation having a diameter of 3 mm to 7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은 상기 집액실을 중심으로 상기 집액실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판상 구조로, 외측 단부는 상하로 상기 상·하부액실의 외측부와 정렬되는 원심분리용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g piece has a plate-like structu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around the liquid collection chamber, and the outer ends ar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out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liquid chamber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액실의 하부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부액실의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하부액실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밀폐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원심분리용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ifugal separation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lower liquid chamber to seal the lower part of the lower liquid chamber; and a pedestal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lower liquid chamber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sealing member.

KR1020200061251A 2020-05-22 2020-05-22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KR102407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51A KR102407040B1 (en) 2020-05-22 2020-05-22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51A KR102407040B1 (en) 2020-05-22 2020-05-22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24A KR20210144224A (en) 2021-11-30
KR102407040B1 true KR102407040B1 (en) 2022-06-08

Family

ID=7872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251A KR102407040B1 (en) 2020-05-22 2020-05-22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0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73B1 (en) * 2010-01-05 2012-03-21 방시열 One body type apparatus for separation of liquid mixture
KR200462858Y1 (en) 2011-12-06 2012-10-05 이정민 Container for centrifuge
KR101848869B1 (en) 2016-08-19 2018-04-13 (주) 굿모닝 바이오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908B1 (en) 2011-10-31 2012-11-05 박현정 A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KR101197974B1 (en) 2011-11-01 2012-11-05 박현정 A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or capable of rapid centrifugal separation
KR20140058032A (en) * 2012-11-06 2014-05-14 전민용 Extract kit of buffy co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73B1 (en) * 2010-01-05 2012-03-21 방시열 One body type apparatus for separation of liquid mixture
KR200462858Y1 (en) 2011-12-06 2012-10-05 이정민 Container for centrifuge
KR101848869B1 (en) 2016-08-19 2018-04-13 (주) 굿모닝 바이오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24A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58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lating platelets from blood
KR101125073B1 (en) One body type apparatus for separation of liquid mixture
ES2426172T3 (en) Plasma concentrator device
EP20915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composite liquid into at least two components
KR1016092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isolating components of a biological fluid
KR101197974B1 (en) A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or capable of rapid centrifugal separation
KR101466923B1 (en)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KR101197908B1 (en) A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KR20110009651A (en) A blood separating vial, a blood concentrating vial for extracting platelet rich plasma and a method for extracting prp using the same
JP2015502851A (en) Centrifuge container
KR102407040B1 (en)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KR101504819B1 (en) Tube for centrifugation
EP338013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WO1994000169A1 (en) Device and system for blood separation
US11896984B2 (en)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US11786894B2 (en) Whole blood separator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722223B1 (en) Centrifugal separator
KR101848869B1 (en) Container for centrifugal separation
KR101291386B1 (en) Tube
KR102671137B1 (en) Vessel for centrifugation to extract buffycoat
CN212632736U (en) Centrifugal tube
US20210086200A1 (en) Centrifuge having tube holders
KR20230062731A (en) Vessel for centrifigation to extract buffycoat
WO2024039424A1 (en) Float securement apparatu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