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268B1 -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268B1
KR102406268B1 KR1020170123798A KR20170123798A KR102406268B1 KR 102406268 B1 KR102406268 B1 KR 102406268B1 KR 1020170123798 A KR1020170123798 A KR 1020170123798A KR 20170123798 A KR20170123798 A KR 20170123798A KR 102406268 B1 KR102406268 B1 KR 10240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ot
various embodiments
request
curren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042A (ko
Inventor
임한성
김혜정
백종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268B1/ko
Priority to PCT/KR2018/010992 priority patent/WO2019059615A2/ko
Priority to US16/644,572 priority patent/US11076263B2/en
Publication of KR2019003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 요청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확인 요청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제1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제1 확인 응답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확인 요청이 수신된 시점 이전에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A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본 문서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통신 환경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광범위한 보급과 더불어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의 보급 또한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낮은 전력 소비와 안정적인 네트워크 연결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LTE 또는 LTE-Advanced 통신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의 증가할 수 있다. 불필요한 전력 소모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저전력 광역 통신 (LPWA, low-power wide-area)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종래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따르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위치의 변경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위치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와 연결된 스마트 폰)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기능/동작은, 저전력 광역 통신, 예를 들면, NB-IoT 통신 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도, 전력 소모가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위치의 변경이 없었던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더라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아니하여, 상기 응답에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위치의 변경이 없었던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모니터링 하지 아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모니터링 및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에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면, 서버)가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한 전자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 폰)에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 요청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확인 요청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제1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제1 확인 응답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확인 요청이 수신된 시점 이전에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기록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1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 요청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확인 요청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제1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제1 확인 응답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확인 요청이 수신된 시점 이전에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에 위치하는 통신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에 위치하여 상기 통신 모듈과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의 내에 위치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위치의 변경이 없었던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더라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아니하여, 상기 응답에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위치의 변경이 없었던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모니터링 하지 아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모니터링 및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에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한 전자 장치에 특정한 시점에서 획득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사물 인터넷 다바이스의 전력 절감 효과와 함께,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효과가 본 문서 상에 내재되어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1 내지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정된 지리적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b 및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이동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응답 모드에 따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임계 거리 이하로 이동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응답 스킵 모드에 따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따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d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소비 전력이 절감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응답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위치 정보의 전송 예상 시점을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이 차단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통신 모듈(220), 센서 모듈(230), 메모리(240) 및 배터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210)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을 구동하여 상기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통신 모듈(220)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상기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유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220)은, 저전력 광역 통신(예: NB-IoT)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220)은,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및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센서 모듈(230)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상기 센서 모듈(176)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모듈(230)은,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및 가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메모리(240)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240)에는, 상기 전자 장치(200)가 현재 접속중인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 현재의 위치 정보, 과거의 위치 정보, 위치 정보가 획득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배터리(250)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5)는, 메모리(215), 상기 메모리(215)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25), 및 상기 메모리(215) 및 상기 프로세서(225)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통신 모듈(23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메모리(215)는, 상기 전자 장치(205)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215)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a의 전자 장치(200))의 현재의 위치 정보, 과거의 위치 정보, 위치 정보가 획득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225)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을 구동하여 상기 프로세서(225)에 연결된 상기 전자 장치(205)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통신 모듈(235)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a의 전자 장치(200))와 상기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유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235)은, 저전력 광역 통신(예: NB-IoT)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235)은,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및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환경은 협대역 IoT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300)는, IoT UE(310), IoT 서버(320), 클라이언트(330), WPS(Wi-Fi Positioning System) 서버(340) 및 인증 서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IoT UE(310)는, 저전력 광역 통신(예: NB-IoT, RoLa, SigFox 등)을 통하여 상기 IoT 서버(320)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33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IoT UE(310)는, 상기 IoT 서버(320)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은, 셀룰러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또는 전력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IoT UE(310)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WPS 서버(3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WPS 서버(340)와 연결되어 WPS 방식을 통하여(다른 말로, 이용하여) 상기 IoT UE(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IoT 서버(120)와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표준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GNSS 통신을 통하여 상기 IoT UE(3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IoT 서버(320)는, 상기 IoT UE(310) 및 상기 클라이언트(330)와 상기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유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IoT 서버(320)는, IoT 서비스 서버(322), 위치 기반 서버(324) 및 IoT 클라우드 서버(3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비스 서버(322), 위치 기반 서버(324) 및 IoT 클라우드 서버(326)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비스 서버(322), 위치 기반 서버(324) 및 IoT 클라우드 서버(326)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IoT 서비스 서버(322)는, 상기 IoT UE(310)에 대한 지오 펜스(Geo-fence)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IoT UE(310) 및/또는 상기 클라이어트(330)에 상기 지오 펜스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서버(324)는, 상기 IoT UE(31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예: IoT UE(310)의 좌표 정보, IoT UE(310)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이 상기 IoT UE(31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IoT UE(310)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상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기반 서버(324)는, 상기 IoT UE(31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예: (년/월/일) 또는(시/분/초) 정보 중 적어도 한 그룹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IoT UE(310)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상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간략히 "위치 정보"라는 용어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IoT UE(310)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는, 간략히 "시간 정보"라는 용어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라는 용어는, 상기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의미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IoT 클라우드 서버(326)는, 상기 인증 서버(350)와 연결되어 상기 IoT UE(310)와 상기 클라이언트(330)와의 상호간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예: 인증을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 인증을 위해 설정된 암호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클라이언트(330)는, 상기 IoT 서버(320)와 상기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유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330)에는, 상기 IoT 서버(32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IoT 플러그 인(33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330)에는, 상기 인증을 위한 인터페이스(예: 삼성® 커넥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330)의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334)를 통하여 상기 IoT UE(310)와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WPS 서버(340)는, 상기 IoT UE(310)와 상기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유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WPS 서버(340)는, 상기 IoT UE(310)로부터 위치 정보의 전송을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WPS 서버(340)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IoT UE(310)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P)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채널정보, 네트워크 타입(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상기 IoT UE(310) 또는 상기 IoT UE(310)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상기 WPS 서버(34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WPS 서버(340)는, 상기 획득된 액세스 포인트(AP)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와 대응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기반하여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MAC Address, SSID, 채널정보, 네트워크 타입(network type), 액세스 포인트의 의 위경도 좌표, 액세스 포인트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액세스 포인트 소유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WPS 서버(34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반하여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IoT UE(310)가 현재 연결 중인 액세스 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WPS 서버(34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WPS 서버(340)는, 상기 획득된, 상기 결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IoT UE(3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인증 서버(350)는, 상기 IoT 서버(320)와 상기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유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서버(350)는,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334)의 제공자와 동일한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서버(350)는, 상기 IoT UE(310)와 상기 클라이언트(330)와의 상호간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예: 인증을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 인증을 위해 설정된 암호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라이언트(330)는, 동작 405에서,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IoT 서버(320))에 IoT UE(31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는, 동작 410에서,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의 전송을 위한 요청을 상기 클라이언트로(330)부터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요청을 상기 IoT UE(3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동작 415에서, 상기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를 이용하여, WPS 방식에 기초하여(다른 말로, WPS 방식을 통해)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상기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동작 420에서, 상기 W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정보 획득에 실패(예: IoT UE(310)가 실외에 위치한 경우 등)한 경우,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를 이용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또는, GNSS 방식)을 통해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415 및 동작 420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동작이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30)는, 상기 동작 420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에 실패한 경우, 상기 WPS 방식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재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30)는, 상기 동작 420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의 수행을 종료하고, 지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동작 415 이후의 동작(상기 동작 415를 포함한다)을 재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동작 425 및 동작 430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 서버(320)는, 동작 435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IoT UE(310)로부터 획득하면,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는, 동작 440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는, 동작 440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정된 지리적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500) 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예를 들면, eNB(500a, 500b, 500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500)는, NB-IoT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510a, 510b, 510c)는 예를 들어, 300m 일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IoT UE(310)에 대해서 특정 지점(예를 들면, 학교(520))을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예를 들면, 100m)을 가지는 지오 펜스(geo-fence) 영역(530)이 설정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이동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b및 도 5c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 UE(310)는, 설정된 지오 펜스 영역(530)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oT UE(310)와 연결된 클라이언트(예: 클라이언트 (330))는 상기 IoT UE(310)가 상기 설정된 지오 펜스 영역(530)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54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 UE(330)는, 상기 IoT UE(310)의 위치 이동 여부에 기반한 3가지 동작 모드에 따라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IoT UE(33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IoT UE(330)가 이동한 경우,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예: IoT 서버(320) 및/또는 클라이언트(330))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응답(response)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IoT UE(3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oT UE(310)가 이동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신호(본 문서에서, 페이징(paging) 신호로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를 무시(다른 말로, 상기 페이징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생략)하는 응답 스킵(skip)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IoT UE(3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IoT UE(310)가 이동하지 않은 경우, 상기 페이징 신호를 무시하고, 이후에,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monitoring) 하지 않는 모니터링 스킵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응답 스킵 모드와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의 차이는, 상기 수신된 페이징 신호를 무시한 이후에,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지 또는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지 여부에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페이징 신호는, 예를 들면, 상기 IoT UE(310)가 유휴(Idle) 상태에 진입한 경우에, DRX(Discontinous Reception) 사이클(다른 말로, 주기) 또는 eDRX(extended DRX) 사이클에 따라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상기 DRX 사이클은, 예를 들어, 10.24초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상기 DRX 사이클은, 수 초부터 수십 시간(hour)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DRX 사이클 또는 상기 eDRX 사이클에 관한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IoT UE에 전송(다른 말로, 할당)되거나, 상기 IoT UE(3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eNB(500a, 500b, 500c) 및/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IoT UE(310)는, 상기 IoT UE(310)의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센서 모듈(예: 도 2a의 센서 모듈(230))(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을 이용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의 상기 IoT UE(310)의 이동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을 이용하여 상기 IoT UE(310)의 현재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면, 상기 IoT UE(310)의 현재 위치 좌표에 관한 정보, 주변 건물에 대한 정보 또는 위치 정보가 IoT UE(310)에 제공된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획득한 후, 과거에 획득한 위치 정보(예를 들면, 상기 IoT UE(310)에 저장된, 과거의 위치 정보 중에서 가장 최근에(다른 말로, 마지막으로) 획득한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IoT UE(310)의 이동 거리를 판단(다른 말로, 연산)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 및/또는 상기 판단된 이동 거리가 지정된 임계 속도 및/또는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임계 속도는, 5km/h일 수 있고, 상기 지정된 임계 거리는 50m일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이동 속도 및 상기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즉, 상기 이동 속도 또는 상기 이동 거리)가 지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IoT UE(310)가 이동 중인(또는, 이미 이동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의 표 1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IoT UE(310)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지정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의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oT UE(310)가 이동 중인(또는, 이미 이동한)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응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의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oT UE(310)가 이동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가 모두 임계 값 이하인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112017093638067-pat00001
이하의 표 2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IoT UE(310)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지정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의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oT UE(310)가 이동 중인(또는, 이미 이동한)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응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의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oT UE(310)가 이동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가 모두 임계 값 이하인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112017093638067-pat00002
상기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이동 속도 또는 상기 이동 거리 중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반으로 상기 IoT UE(31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대응하는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IoT UE(310)의 이동 속도가 상기 임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IoT UE(310)는, 상기 IoT UE(310)가 이미 이동하였거나, 또는 적어도 이동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응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oT UE(310)는, 상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IoT UE(310)의 이동 속도가 상기 임계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IoT UE(310)는, 상기 IoT UE(310)가 이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응답 스킵 모드 또는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 중 지정된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oT UE(310)는, 상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상기 표 1 및 표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상기 IoT UE(310)가 이동 속도 및/또는 이동 거리의 크기(다른 말로, 정도(degree))에 따라 모드를 결정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가 제1 임계 속도(예를 들면, 3km/h) 이하(제1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가 상기 제1 임계 속도를 초과하고, 제2 임계 속도(예를 들면, 5km/h) 이하(제2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가 상기 제2 임계 속도를 초과(제3 구간)하는 경우에는 상기 응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임계 속도는, 상기 IoT UE(310)가 이동 중 또는 이미 이동한 경우로 판단되지 않는 임계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판단된 이동 거리가 제1 임계 거리(예를 들면, 25m) 이하(제1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판단된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임계 거리를 초과하고, 제2 임계 거리(예를 들면, 50m) 이하(제2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판단된 이동 거리가 상기 제2 임계 거리를 초과(제3 구간)하는 경우에는 상기 응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임계 거리는, 상기 IoT UE(310)가 이동한 경우로 판단되지 않는 임계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이동 속도 및 상기 이동 거리 모두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거리가 제1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제2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IoT UE(310)는,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거리가 제2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제3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IoT UE(310)는, 응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가 모두 제1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IoT UE(310)는,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표 1, 표2, 상기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설명된, 상기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동작 및/또는 상기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동작은, 지정된 주기(예를 들면, 30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기 IoT UE(310)의 이동 속도는 상기 임계 속도 이하인 경우라는 가정하에, 상기 IoT UE(3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IoT UE(31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들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상기 이동 속도에 관한 실시예와 교환적으로 또는 상기 이동 속도에 관한 실시예가 추가적으로 적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응답 모드에 따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a에서는, IoT UE(310)가 상기 임계 거리(예를 들면, 50m)를 초과하여 이동(60m 이동)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상기 IoT UE(310)는, 상기 IoT UE(310)가 이동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330)는, 동작 700에서,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IoT 서버(320) 에 상기 IoT UE(330)의 위치 정보에 대한 전송 요청(간략히,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예를 들면, 상기 IoT UE(31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는, 동작 700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235))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00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이 상기 클라이언트(330)로부터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되고, 상기 IoT 서버(320)가 상기 전송된 위치 정보 요청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하는 동작이 하나의 화살표로 간략하게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에 전송되어 상기 IoT 서버(320)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IoT 서버(320)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된 후,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701)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되지 않고(또는 경유(via)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바로(directly)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예를 들면, eNB(Node B) 및/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705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신호(예를 들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3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710에서,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DRX 사이클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715에서,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 220))을 이용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동작 715 시점 이전의 시점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720에서,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oT UE(31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 (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725에서, 상기 동작 720에서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IoT UE(310)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여 이동한 경우에(예:도 7a), 상기 IoT UE(310)의 동작 모드를 응답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730에서,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715에서 획득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를 경유하여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를 통하여(또는, 경유하여(via))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되는 동작이 하나의 화살표로 간략하게 도시된다. 상기 동작 730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에 전송되어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 후,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에서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에서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도 2b의 프로세서(225))는, 동작 735에서, 메모리(예: 도 2b의 메모리(215))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730에 따라 획득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저장(또는, 갱신)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도 2b의 프로세서(225))는, 동작 740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235))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735에 따라 저장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 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모드", "특정한 모드로 설정" 또는 "특정한 모드로 전환"이라는 용어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들/동작들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언급되는 용어일 수 있다. 즉,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드"라는 용어는, 특정한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이 수행되는 상태 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를 들어, "특정한 모드로 설정"한다는 용어는, 단지 그러한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로 진입한다는 의미일 뿐, 반드시 "특정한 모드를 설정" 또는 "특정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며, 특정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도 아닐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도 2b의 프로세서(225))는,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동작 793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235))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780에 따라 저장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임계 거리 이하로 이동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a에서는, IoT UE(310) 가 상기 임계 거리(예를 들면, 50m)이하로 이동(30m 이동)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상기 IoT UE(310)는, 상기 IoT UE(310)가 이동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상기 IoT UE(310)가, 임계 거리 이하로 이동한 경우(예: 도 8a)에, 응답 스킵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지정된 경우가 도시된다. 도 8c에서는, 상기 IoT UE(310)가, 임계 거리 이하로 이동한 경우(예: 도 8a)에,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지정된 경우가 도시된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응답 스킵 모드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IoT 서버((320))는, 동작 800에서, 메모리(예: 도 2b의 메모리(215))를 이용하여, 과거의 특정한 시점으로부터 IoT UE(310) 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라이언트((330))는, 동작 802에서, 통신 모듈(예: eh 1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상기 IoT 서버(320)에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도 2b의 프로세서(225))는, 동작 802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235))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02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이 상기 클라이언트(330)로부터 상기 IoT 서버(320)를 경유(via)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동작이 하나의 화살표로 간략하게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802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에 전송되어 상기 IoT 서버(320)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IoT 서버(320)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된 후,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701)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되지 않고(또는 경유(via)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바로(directly)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804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신호(예를 들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3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806에서,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DRX 사이클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프로세서(210))는, 동작 808에서,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을 이용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 (예: 프로세서(210))는, 동작 810에서,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oT UE(31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 (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812에서, 상기 동작 810에서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IoT UE(310)가 임계 거리 이하로 이동한 경우(예: 도 8a)로서, 상기 IoT UE(310)의 동작 모드를 지정된 동작 모드인 응답 스킵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상기 IoT UE(310)의 제조 과정에서 미리 지정된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IoT UE(310)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33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라 상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페이징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 및/또는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804에 따라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210)에 전송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이 만료(804a)되면, 동작 814에서, 상기 IoT 서버(320)에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도 2b의 프로세서(225))는, 동작 816에서, 상기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 800에 따라 저장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 UE(310)가 모니터링 스킵 모드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IoT 서버(320) 는, 동작 830에서, 메모리(예: 도 2b의 메모리(215))를 이용하여, 과거의 특정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IoT UE(31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라이언트(330)는, 동작 832에서,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상기 IoT 서버(320)에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프로세서(210))는, 동작 832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235))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c에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이 상기 클라이언트(330)로부터 상기 IoT 서버(320)를 경유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되는 동작은, 동작 832와 같이, 하나의 화살표로 간략하게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832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에 전송되어 상기 IoT 서버(320)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IoT 서버(320)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701)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되지 않고(또는 경유(via)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바로(directly)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834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신호(예를 들면,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3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836에서,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DRX 사이클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838에서,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220))을 이용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840에서,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oT UE(31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842에서, 상기 동작 840에서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IoT UE(310)가 임계 거리 이하로 이동한 경우(예: 도 8a)로서, 상기 IoT UE(310)의 동작 모드를 지정된 동작 모드인 모니터링 스킵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상기 IoT UE(310)의 제조 과정에서 미리 지정된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IoT UE(310)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33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시간(예를 들면, 페이징 타임 윈도우(PTW) 구간 또는 온 듀레이션(on duration) 구간)에서도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하지 아니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838에 따라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310)에 전송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이 만료(834a)되면, 동작 844에서, 상기 IoT 서버(320)에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도 2b의 프로세서(225))는, 동작 846에서, 상기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 830에 따라 저장된 위치 정보 중에서 가장 최근의 위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846에서,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된 시간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로 설정된 이후에, 상기 동작 848 및 동작 850과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330)로부터의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페이징 신호가 상기 IoT UE(310)에 전송되더라도, 상기 페이징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페이징 신호를 검출(detect)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페이징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IoT UE(310)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IoT UE(310)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작 838은,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획득된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IoT UE(31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d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d에 도시된, 동작 855 내지 동작 880은 전자 장치(예: IoT UE(310))에 포함된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예: 프로세서(210))를 통해서 실행될 수 있다. 도 8d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페이징 신호의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전자 장치가 주기적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또는, 업데이트)하도록 설정된 실시예에 관한 플로우 차트가 도시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855에서,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을 이용하여, 지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86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87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응답 스킵 모드 또는 모니터링 스킵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880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응답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d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와 교환적으로 또는 상기 위치 정보에 추가적으로,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속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룰 판단하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330) 는, 동작 900에서,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를 이용하여, IoT 서버(320) 에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도 2b의 프로세서(225))는, 동작 900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235))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상기 클라이언트(330)로부터 상기 IoT 서버(320)를 경유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되는 동작이, 동작 900과 같이, 하나의 화살표로 간략하게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900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에 전송되어 상기 IoT 서버(320)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IoT 서버(320)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된 후,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701)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은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되지 않고(또는 경유(via)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 바로(directly)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910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신호(예를 들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3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 (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920에서, 상기 IoT UE(310) (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DRX 사이클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930에서,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220))을 이용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940에서,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oT UE(31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상기 동작 940의 판단에 기반하여, 동작 950에서, 이동 정도에 따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oT UE(310)는, 상기 판단된 이동 거리가 제1 임계 거리(예를 들면, 25m) 이하(도 6a의 제1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판단된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임계 거리를 초과하고, 제2 임계 거리(예를 들면, 50m) 이하(도 6a의 제2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판단된 이동 거리가 상기 제2 임계 거리를 초과(도 6a의 제3 구간)하는 경우에는 상기 응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위치 정보 대신에 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IoT UE(31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oT UE(310)는,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가 제1 임계 속도(예를 들면, 3km/h) 이하(도 6b의 제1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가 상기 제1 임계 속도를 초과하고, 제2 임계 속도(예를 들면, 5km/h) 이하(도 6b의 제2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가 상기 제2 임계 속도를 초과(도 6b의 제3 구간)하는 경우에는 상기 응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 UE(310)의 경우에는, IoT UE(310)의 위치 변화가 판단된 경우에만 페이징 타임 윈도우 구간(1000a)에서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IoT UE(310)의 위치 변화가 없거나 그 이동의 정도가 적은 경우에는(즉,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모니터링 스킵 모드(1010)로 전환하고,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하지 아니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 및 상기 페이지 신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a에서, "RRC(Radio Resource Control)_connected(1020)" 상태는 상기 IoT UE(310)의 RRC가 E-UTRAN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 상태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고, "RRC_Idle(1030)" 상태는 E-UTRAN의 RRC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슬리핑(sleeping)(1040) 상태는, 상기 IoT UE(310)가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지 않는 시간 구간 또는 그러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IoT UE(310)는, "RRC_Idle"상태에서 페이징 타임 윈도우(PTW)(1000a) 구간 동안 상기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의 위치 변화가 없거나 그 이동의 정도가 적은 경우(예: 도 10b)에는, 상기 페이징 타임 윈도우 구간(1000a, 1000b) 중 적어도 일부의 구간(예를 들면, 페이징 타임 윈도우 구간(1000b))은 지정된 시간보다 감소된 시간에 따라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 중 일부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보다 감소된 시간을 가지는 페이징 타임 윈도우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할당 받을 수 있거나, 상기 IoT UE(31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로부터 할당받은 정보를 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하거나,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응답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IoT UE(310)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IoT UE(310)의 이동성이 없는 경우로 판단되어 응답을 하지 아니하는 실시예들과의 구별을 위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상기 IoT UE(310)가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서 동작하는 실시예가, 도 11c에서는 상기 IoT UE(310)가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서 동작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상기 도 8b 및 도 8c와 관련하여 도시된 내용 중 적어도 일부의 내용은 생략되어 도시된다.
도 11a를 참조하면, IoT 서버(320) 는, 동작 1100에서, 메모리(예: 도 2b의 메모리(215))를 이용하여, 과거의 특정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IoT UE(31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라이언트(330)는, 동작 1102에서,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상기 IoT 서버(320)에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1104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신호(예를 들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3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도 2a의 프로세서(210))는, 동작 1106에서,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DRX 사이클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라, 동작 1104에 따른, 수신된 페이징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동작 1104에 따라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310)에 전송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이 만료(1104a)되면, 동작 1108에서, 상기 IoT 서버(323)에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도 2b의 프로세서(225))는, 동작 1110에서, 상기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 1100에 따라 저장된 위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1110에서,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된 시간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330), 상기 IoT 서버(320),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 및 상기 IoT UE(310)는, 상기 동작 1102 내지 1110에 따른 동작이 지정된 횟수(예를 들면, 3회)만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동작 1112 내지 1130).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서, 상기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 페이징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IoT UE(310)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로 판단된 경우에도, 상기 IoT UE(310)의 동작 모드를 응답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응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동작 1138 내지 1146).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페이징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 횟수와, 상기 페이징 신호를 검출한 횟수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 횟수와 상기 검출한 횟수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지정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IoT UE(310)는, 상기 IoT UE(310)의 동작 모드를 응답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동작 1138 내지 동작 1146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7b와 관련하여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와 같은 응답 모드로의 전환 기능/동작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IoT UE(31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와 구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IoT 서버(320) 는, 동작 1101에서, 메모리(예: 도 2b의 메모리(215))를 이용하여, 과거의 특정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IoT UE(31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라이언트(330) 는, 동작 1103에서,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상기 IoT 서버(320)에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1105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에 따른 신호(예를 들면,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3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예: 프로세서(210))는, 동작 1107에서, 상기 페이징 신호를 상기 DRX 사이클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 따라, 동작 1105에 따른, 수신된 페이징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1105에 따라 페이징 신호를 상기 IoT UE에 전송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제1 시간)이 만료(1105a)되면, 동작 1109에서, 상기 IoT 서버(320)에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예: 프로세서(225))는, 동작 1113에서, 상기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 1101에 따라 저장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작 1113에서,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된 시간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동작 1107에 따른,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제2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페이징 신호의 검출(또는, 수신) 횟수와 무관하게,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응답 스킵 모드에서 응답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제2 시간이 만료(1107a)하기 전에, 동작 1117에서, 위치 정보 요청(1115)에 따른 페이징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IoT UE(310)는, 상기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동작 1119에서,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동작 1117에 따른 페이징 신호가 상기 제2 시간이 만료(1107a)되기 전에 검출되어, 상기 페이징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상기 페이징 신호를 전송한 후, 미리 지정된 시간(제1 시간)이 만료(1117a)되면, 동작 1121에서, 상기 IoT 서버(320)에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를 상기 IoT 서버(3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 서버(320)는, 상기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동작 1123에서, 상기 동작 1101에 따라 저장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123에서, 상기 IoT 서버(320)는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시간이 만료(1107a)된 후, 상기 IoT UE(310)는, 동작 1125에서, 상기 동작 모드를 응답 모드로 설정(또는, 전환)할 수 있다. 동작 1125 이후의 동작, 즉, 동작 1127 내지 동작 1139에 대해서는, 응답 모드에 대하여 설명된, 상기 도 7b와 관련하여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와 같은 응답 모드로의 전환 기능/동작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330)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IoT UE(31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와 구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IoT 서버(320) 는, 동작 1150에서, 메모리(예: 도 2b의 메모리(215))를 이용하여, 과거의 특정한 시점으로부터, IoT UE(310) 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동작 1152에서, 상기 동작 모드를 모니터링 스킵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시간(예를 들면, 페이징 타임 윈도우(PTW) 구간 또는 온 듀레이션(on duration) 구간)에서도 상기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11c에서 도시된 "제1 시간"은 상기 IoT UE(310) 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기 위하여 지정된, 최대 응답 대기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1c에서 도시된 "제2 시간"은, 상기 IoT UE(310)가 모니터링 스킵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응답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지정된, 모니터링 스킵 모드의 최대 유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154 내지 동작 1168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스킵 모드에 대하여 설명된, 도 8c에 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상기 모니터링 스킵 모드로 설정된 이후에, 지정된 시간(제2 시간)이 만료(1152a)되면, 상기 동작 모드를 응답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172 내지 동작 1184에 대한 설명은, 응답 모드에 대하여 설명된, 상기 도 7b와 관련하여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와 같은 응답 모드로의 전환 동작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IoT UE(31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와 구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a에 도시된, 동작 1200 내지 동작 1230은 전자 장치(예: IoT 서버(320)에 포함된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예: 프로세서(225))를 통해서 실행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1200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235))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 요청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1210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235))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제1 확인 요청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1220에서, 상기 전송된 제1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제1 확인 응답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1230에서, 통신 모듈(예: 도 2b의 통신 모듈(235))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메모리(예: 메모리 (215))에 저장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b에 도시된, 동작 1205 내지 동작 1235는 전자 장치(예: IoT UE(310)에 포함된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예: 프로세서(210))를 통해서 실행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1205에서,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를 이용하여, 제1 동작 모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1215에서, 통신 모듈(예: 도 2a의 통신 모듈(220)) 및/또는 센서 장치(예: 센서 모듈(430))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1225에서,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1235에서, 상기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저전력 광역 통신에서 전력 소비를 절감(saving)하기 위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위치 정보의 전송 예상 시점을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IoT 서버(320)는, 동작 1300에서, 메모리(예: 메모리(215))를 이용하여, 과거의 특정한 시점으로부터 IoT UE(310) 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라이언트(330)는, 동작 1310에서, 통신 모듈(예: 도 1의 통신 모듈(190))를 이용하여, 상기 IoT 서버(320)에 상기 IoT UE(310)의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서버(320)는, 동작 1320에서, 상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동작 1300에 따라,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된 IoT UE(310)의 위치 정보 중에서 가장 최근의 위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장 최근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시간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현재의 IoT UE(310)의 위치 정보의 수신에 대한 최대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330)는, 상기 최대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림 메시지(1301)를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최대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는, 지정된 의무 전송 시간(예: 30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의무 전송 시간은, 상기 IoT UE(310)가 상기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IoT UE(310)의 현재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IoT 서버(320)로 전송해야 하는 최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b에서는, 상기 의무 전송 시간이 30초인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IoT UE(310)로부터의 전송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의무 전송 시간은 상기 최대 대기 시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무 전송 시간은 25초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디스플레이 되는 최대 대기 시간은 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무 전송 시간에 관한 정보 및/또는 최대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IoT UE(310)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701)로부터 상기 IoT UE(310)가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서버(320)에도 상기 의무 전송 시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는, 동작 1330에서, 상기 의무 전송 시간이 만료되기 이전에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를 통하여 상기 IoT 서버(320)에, 획득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밖에, 도 13a에서 도시된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본 문서에서 설명된 내용 중 적어도 일부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IoT UE(310)는, 동작 1400에서, 페이징 신호의 수신에 따라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oT UE(310)가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에, 네트워크 불안정과 같은 통신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상기 IoT 서버(320)에 일정한 시간 동안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는, 동작 1410에서, 상기 IoT UE(310)로부터 상기 페이징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여 상기 IoT 서버(320)에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IoT UE(310)가 현재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획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된 과거의 위치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의 불안정으로 인한 통신 연결의 차단이 해제(1430)된 경우, 상기 IoT UE(310)는, 동작 1430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를 통하여 상기 IoT 서버(320)에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 서버(320)는, 동작 1450에서,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IoT 서버(320)가, 동작 146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330)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IoT UE(310)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IoT 서버(320)는, 동작 1470에서,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3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들에서, 설명의 편의상, 특정한 정보가 제1 디바이스를 경유하여(다른 말로, 통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언급은 생략되고 상기 특정한 정보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된다고 간략하게 언급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상기 IoT UE(310)가 일정한 보고 주기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701), 상기 IoT 서버(320) 및 상기 클라이언트(330)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상기 IoT UE(3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보고하도록 설정된 경우, 즉, 상기 클라이언트로(330)부터의 위치 정보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된, 상기 클라이언트(320)의 정보 요청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다.
본 문서에서는, 상기 IoT UE(310)가, 예를 들면,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상기 IoT UE(310)와 연결된 상기 클라이언트(330)에 전송할 수 있는 디바이스인 경우로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기 IoT UE(310)가 가스 검침과 같은 기능/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예: 센서 모듈(230))은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가스의 변화량이 임계 값 이하인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330)로부터 가스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더라도, 상기 가스 정보의 전송 요청을 무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oT UE(310)와 연결된 IoT 서버(320)는, 가장 최근에 상기 IoT 서버(320)에 저장된 가스 정보(예를 들면, 상기 IoT UE(310)에 의하여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 메탄 가스 농도, 가스 정보가 획득된 시점 등)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스 센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 UE(310)는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센서 모듈 및/또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 요청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확인 요청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제1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제1 확인 응답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확인 요청이 수신된 시점 이전에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인스트럭션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송된 제1 확인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확인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시스템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확인 응답은, 상기 제1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획득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1 확인 응답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 확인 응답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협대역 IoT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확인 요청이 수신된 후 상기 수신된 제1 확인 요청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확인 요청에 따른 위치 정보의 예상 수신 시점에 관한 정보를 함께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송된 제1 확인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시간 만료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확인 응답이 수신된 이후에 상기 제1 확인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 확인 응답을 저장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확인 요청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재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제1 확인 응답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명령들(instructions)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computer readable)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제1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확인 요청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확인 요청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제1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제1 확인 응답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제1 확인 요청이 수신된 시점 이전에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내에 위치하는 통신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에 위치하여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의 내에 위치하여 작동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따른 인스트럭션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 따른 인스트럭션은,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지 않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 따른 인스트럭션은,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모니터링 하지 않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획득된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수신한 시점 이전에 마지막으로 획득한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와의 차이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 후에,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 후에,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에 위치하는 통신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에 위치하여 상기 통신 모듈과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의 내에 위치하여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저전력 장거리 통신에서 전력 소비를 절감(saving)하기 위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따른 인스트럭션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에 따른 인스트럭션은,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지 않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에 따른 인스트럭션은,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모니터링 하지 않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획득된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수신한 시점 이전에 마지막으로 획득한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와의 차이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 후에,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 후에,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동작 모드에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저전력 장거리 통신에서 전력 소비를 절감(saving)하기 위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모니터링 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수신한 시점 이전에 마지막으로 획득한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와의 차이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 후에,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 후에,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을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123798A 2017-09-25 2017-09-25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0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98A KR102406268B1 (ko) 2017-09-25 2017-09-25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PCT/KR2018/010992 WO2019059615A2 (ko) 2017-09-25 2018-09-18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6/644,572 US11076263B2 (en) 2017-09-25 2018-09-18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98A KR102406268B1 (ko) 2017-09-25 2017-09-25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42A KR20190035042A (ko) 2019-04-03
KR102406268B1 true KR102406268B1 (ko) 2022-06-13

Family

ID=658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798A KR102406268B1 (ko) 2017-09-25 2017-09-25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76263B2 (ko)
KR (1) KR102406268B1 (ko)
WO (1) WO20190596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0656A (ja) * 2019-03-26 2020-10-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配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サーバー及びネットワークサーバーの制御方法
KR102681846B1 (ko) * 2019-06-28 202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788557B (zh) * 2019-11-08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联网传感器管理方法以及无线访问点
CN111770440B (zh) * 2020-06-28 2023-0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KR102418881B1 (ko) * 2020-11-13 2022-07-07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026A (ko) 2008-08-04 2010-02-12 생크 주식회사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0318B1 (ko) 2009-08-28 201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제공방법
US9119153B2 (en) 2012-02-10 2015-08-2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network
KR20140023773A (ko) 2012-08-17 2014-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입자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10051068B2 (en) 2013-11-14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s to route IoT notifications according to user activity and/or proximity detection
WO2016010347A1 (ko) * 2014-07-14 2016-01-21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le(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53248B1 (ko) 2014-07-17 2014-10-22 고창용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KR20170085806A (ko) 2016-01-15 2017-07-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IoT 디바이스의 위치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608996B1 (ko) * 2016-12-16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탐색 대상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126274B1 (ko) * 2017-09-26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42A (ko) 2019-04-03
WO2019059615A2 (ko) 2019-03-28
US11076263B2 (en) 2021-07-27
WO2019059615A3 (ko) 2019-05-09
US20210067912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268B1 (ko)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8321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cycle of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83627B1 (en) Multi-device sensor subsystem joint optimization
US11102645B2 (en) Network registration method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device therefor
TWI548254B (zh) 操作模式切換方法
US111159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operation mode of electronic device
US11251887B2 (en) Signal strength band-based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JP2013516938A (ja) ポータブル端末で近距離無線ネットワークの自動接続の方法及び装置
KR2018012117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근접 디스커버리 방법
KR102500347B1 (ko) Wi-Fi 통신 및 모바일 핫스팟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19136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2186552B1 (ko) 통신 모듈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07089A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채널 스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90107492A (ko)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0603B1 (ko) 제조물 및 정보 취급 시스템
KR20210049585A (ko)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2654354B1 (en) Providing a current position while reducing an overall power consumption
KR20150103595A (ko) 단말스캐닝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단말스캐닝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N116057965A (zh) 用于提供电子装置的位置确认服务的方法及用于其的装置
CN110971756A (zh) 一种通信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
US20180375937A1 (en) Information sharing support server, information sharing support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suppor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