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445B1 - 캐비닛 걸고리 - Google Patents

캐비닛 걸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445B1
KR102404445B1 KR1020220032132A KR20220032132A KR102404445B1 KR 102404445 B1 KR102404445 B1 KR 102404445B1 KR 1020220032132 A KR1020220032132 A KR 1020220032132A KR 20220032132 A KR20220032132 A KR 20220032132A KR 102404445 B1 KR102404445 B1 KR 10240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ase
hinge
r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순
Original Assignee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엠피에스 filed Critical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to KR102022003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2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movable, resilient or yie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는 캐비닛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자물쇠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제공하는 캐비닛 걸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되, 삽입홈을 형성하는 이동부; 및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슬라이딩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이동본체부;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을 형성하는 이동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리부는,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 상기 이동부와 연동되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되는, 캐비닛 걸고리 일 수 있다.

Description

캐비닛 걸고리{Hanging rings for cabinet}
본 발명은 캐비닛 걸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비닛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자물쇠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제공하는 캐비닛 걸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비닛이란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함으로서 대중이 모이는 독서실, 학교, 지하철 스포츠센터, 백화점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캐비닛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함체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된 도어와, 상기 본체와 도어에 각각 형성되며 함체의 전면을 폐쇄하도록 도어가 닫힌 경우 자물쇠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주하는 자물쇠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상기 도어로 닫은 후, 상기 본체와 도어의 자물쇠 고리를 자물쇠로 관통하여 잠그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사물함은 잠금 상태 및 해제상태에서 자물쇠 고리가 본체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사용자 또는 주변 보행자가 돌출된 자물쇠 고리에 부딪혀 상해를 입거나 옷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086756 A호(2015.07.29)에서는 자물쇠 고리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한 사물함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걸고리를 잠금장치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걸고리와 연동된 누름버튼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걸고리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걸고리 및 누름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사물함을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비닛 사용자가 고리부에 외력을 인가할 경우, 고리부가 케이스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캐비닛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캐비닛을 사용하도록 하는 캐비닛 걸고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는 캐비닛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자물쇠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제공하는 캐비닛 걸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되, 삽입홈을 형성하는 이동부; 및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슬라이딩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이동본체부;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을 형성하는 이동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리부는,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 상기 이동부와 연동되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되는, 캐비닛 걸고리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에 의하면, 캐비닛 사용자는 고리부에 외력을 인가할 경우, 고리부가 케이스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캐비닛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캐비닛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가 캐비닛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를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의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를 구성하는 고리부 및 힌지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의 슬라이딩 홈 및 슬라이딩 돌출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는 캐비닛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자물쇠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제공하는 캐비닛 걸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되, 삽입홈을 형성하는 이동부; 및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슬라이딩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이동본체부;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는 이동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리부는,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 상기 이동부와 연동되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되는, 캐비닛 걸고리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는 고리본체부;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삽입구를 형성하는 고리연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삽입구에 일부가 삽입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힌지본체부; 상기 힌지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힌지연장부; 및 상기 힌지연장부로부터 연장되되 돌출형성되는 힌지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힌지돌출부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한 상기 힌지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캐비닛 걸고리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걸고리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로의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탄성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연장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캐비닛 걸고리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본체부의 높이는,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리본체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캐비닛 걸고리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리연장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닛 걸고리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선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캐비닛 걸고리 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가 캐비닛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를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의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를 구성하는 고리부 및 힌지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의 슬라이딩 홈 및 슬라이딩 돌출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x방향은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 방향은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z방향은 폭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걸고리(10)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캐비닛(cabinet)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캐비닛 걸고리(10)의 구성요소인 고리부(2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자물쇠가 체결되는 체결공(S2)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캐비닛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는 손잡이부에 관통공(S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캐비닛 걸고리(10)의 고리부(200)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캐비닛 사용자는 고리부(200)가 형성하는 체결공(S2)을 통해 자물쇠를 체결함으로써 캐비닛을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캐비닛 사용자는 체결된 자물쇠를 열고 고리부(200)에 외력을 인가하여 캐비닛 걸고리를 구성하는 케이스(100)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손잡이부를 파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캐비닛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캐비닛 걸고리(10)는 작업자에 의해 케이스(100) 상측에 구비된 결합부(600)와 볼트 또는 피스 등이 결합되어, 캐비닛 내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케이스(100)는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로 구성되며,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의 결합에 의해 내부공간(S6)을 형성한다.
캐비닛 걸고리(10)를 구성하는 이동부(300)는 상기 내부공간(S6)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고리부(2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S4)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케이스(110)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부(300)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300)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돌출부(112)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 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112)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S5)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이동부(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상기 이동부(300)가 형성한 삽입홈(S4)에 삽입된 고리부(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외부로 노출된 고리부(200)가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 상기 고리부(200)는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되는 동시에, 삽입된 상기 삽입홈(S4)을 통해 접촉된 상기 이동부(300)로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이동부(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즉, 외부로 노출된 상기 고리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외력을 인가 받아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됨과 동시에, 상기 고리부(200)는 접촉된 상기 이동부(300)로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이동부(300) 또한, 슬라이딩 돌출부(112)와 접촉하는 슬라이딩 홈(S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리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는 경우, 접촉된 상기 이동부(300)와 연동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300)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삽입홈(S4)을 형성하는 이동본체부(310) 및 상기 제1 케이스(110)가 형성하는 슬라이딩 돌출부(112)와 대응하는 슬라이딩 홈(S5)을 형성하는 이동연장부(32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이동본체부(310)는 상기 삽입홈(S4)을 통해 상기 고리부(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접촉되며, 상기 이동연장부(320)는 슬라이딩 홈(S5)을 통해 슬라이딩 가이드(112)를 형성한 상기 제1 케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고리부(200)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홈(S5) 및 슬라이딩 돌출부(112)를 통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한편,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고리부(200)는 상기 체결공(S2)을 형성하는 고리본체부(210) 및 상기 삽입홈(S4)에 삽입되는 고리연장부(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고리연장부(220)는 상기 이동부(200)를 구성하는 이동본체부(31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본체부(310)와 접촉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부(200)는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 상기 이동부(300)와 연동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여기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삽입홈(S4)은 상기 고리연장부(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리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외력뿐 만 아니라, 상기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 받더라도, 상기 고리부(200)는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즉, 상기 고리부(200)는 상기 고리연장부(220)와 대응되는 형상인 상기 삽입홈(S4)에 삽입될 수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외력뿐 만 아니라, 상기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 받더라도, 높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는 것이 아닌,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공간(S6) 상의 상기 이동본체부(310)가 배치되는 공간의 높이(H2)와 상기 이동본체부(310)의 높이(H2)는 동일하게 형성 될 수 있고,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본체부(310)의 높이(H2)와 상기 고리본체부(210)의 높이(H1)는 동일하게 형성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외력 및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 받더라도,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 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300) 또한 상기 고리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 걸고리(10)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힌지부(400)를 더 구비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고리연장부(220)는 삽입구(S3)를 형성 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400)를 구성하는 힌지본체부(410)는 상기 삽입구(S3)에 삽입되어 상기 고리부(200)와 결합된다.
상기 고리연장부(220)는 상기 이동본체부(310)가 형성하는 삽입홈(S4)에 삽입 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상기 고리부(200), 상기 이동부(300) 및 상기 힌지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 받은 외력에 의해 연동되어 위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본체부(410)는 상기 힌지본체부(4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힌지연장부(42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힌지 일 수 있고, 힌지돌출부(430)는 상기 힌지연장부(420)로부터 연장되되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본체부(410)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연장부(420)의 일면에 형성 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돌출부(430)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연장부(420)의 타면에 형성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돌출부(4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 받은 외력에 의해 상기 힌지연장부(420)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케이스(110)가 구비한 가이드부(G)를 통해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최초 고리부(200)가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지 않은 상태인 도 5의 (a)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200)가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고리연장부(220)의 상기 삽입구(S3)에 삽입된 힌지본체부(410)는 상기 고리부(200)와 연동되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본체부(4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힌지연장부(420) 또한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부(G)를 구성하는 제1가이드홈(G1)에 삽입된 힌지돌출부(430) 또한 상기 힌지연장부(420)와 연동되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하게 된다.
여기서, 외력이 더 가해지는 경우, 도 5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힌지돌출부(430)는 제1 가이드부(G5)에 의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측인 제2 가이드홈(G2)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홈(G2)을 따라 위치 이동되게 되며, 상기 힌지돌출부(430)와 연동된 상기 힌지연장부(420) 또한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측인 제2 가이드홈(G2) 방향으로 회전 및 위치 이동 된다.
여기서 외력이 더 가해지는 경우, 도 5의 (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힌지돌출부(430)는 제 4가이드홈(G4)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돌출부(430)와 연동된 힌지연장부(420)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힌지부(400)와 연동된 고리부(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
즉, 고리부(200)는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만큼 이동 된 후, 상기 힌지돌출부(430)가 상기 제4 가이드홈(G4)에 삽입됨으로써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
다만,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도면 작성의 편의를 위해 상기 고리부(200) 및 상기 힌지부(400)와 연동된 이동부(300)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부(300) 또한, 상기 고리부(200)와 연동되어 외력에 의해 소정의 위치만큼 이동 된 후, 상기 힌지돌출부(430)가 상기 제4 가이드홈(G4)에 삽입됨으로써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 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캐비닛 걸고리(10)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탄성부(500)를 더 포함 할 수 있으며, 이는, 외력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된 고리부(200)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이동연장부(32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330)는 상기 이동부(300)로의 길이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돌출부(330)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300)는 일례로 스프링 일 수 있으며,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5의 (c)와 같이 상기 고리부(200)가 소정의 길이만큼 케이스(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리부(200)를 인출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고리부(200)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고리부(200)를 인출하게 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용자는 상기 고리부(200)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제4 가이드홈(G4)에 삽입 고정된 힌지돌출부(430)를 이탈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인가한다.
외력에 의해 상기 제4 가이드홈(G4)에서 이탈된 상기 힌지돌출부(430)는 상기 탄성부(50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 받을 수 있고,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힌지돌출부(430)는 제2 가이드부(G6)를 통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가이드홈(G2) 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3 가이드홈(G3)에 삽입되어 위치 이동이 구현된다.
이후, 상기 힌지돌출부(430)는 탄성부(500)가 인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도 5의 (a)와 같이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케이스(100)내에 삽입된 고리부(200)는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다.
상기 탄성부(500)는 결합된 상기 이동부(300)로의 탄성력을 인가하며,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이동부(300)와 연동된 상기 고리부(200) 및 상기 힌지부(400)로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다만, 상기 돌출부(330)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탄성부로부터 탄성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인가받도록, 상기 고리부(200), 상기 이동부(300)의 위치 이동과 동일한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케이스(110)가 형성하는 슬라이딩 돌출부(112) 및 상기 이동연장부(320)가 형성하는 슬라이딩 홈(S5)은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선(L1) 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리부(200)가 사용자에 의해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 받더라도, 상기 고리부(200)와 연동된 상기 이동부(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원활히 구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만약,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112) 및 상기 슬라이딩 홈(S5)이 상기 가상의 중심선(L1)과 동일 선상(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를 의미)에 형성된다고 가정한다면, 사용자에 의해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 상기 가상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측 또는 상대적으로 하측으로의 비틀림 외력이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112) 및 상기 슬라이딩 홈(S5)이 상기 가상의 중심선(L1)과 동일 선상(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를 의미)에 형성되면, 비틀림 외력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어서, 외력에 의한 상기 이동부(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용이하게 구현되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112) 및 상기 슬라이딩 홈(S5)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선(L1)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에도, 비틀림 외력이 발생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에도,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보다 원활히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캐비닛 걸고리
100: 케이스
110: 제1 케이스, 120: 제2 케이스
200: 고리부
210: 고리본체부, 220: 고리연장부
300: 이동부
310: 이동본체부, 320: 이동연장부, 330: 돌출부
400: 힌지부
410: 힌지본체부, 420: 힌지연장부, 430: 힌지돌출부
500: 탄성부
600: 결합부

Claims (6)

  1. 캐비닛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자물쇠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제공하는 캐비닛 걸고리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되, 삽입홈을 형성하는 이동부; 및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슬라이딩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이동본체부;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는 이동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리부는,
    외력을 인가 받을 경우,
    상기 이동부와 연동되어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되는,
    캐비닛 걸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는 고리본체부;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삽입구를 형성하는 고리연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삽입구에 일부가 삽입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힌지본체부;
    상기 힌지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힌지연장부; 및
    상기 힌지연장부로부터 연장되되 돌출형성되는 힌지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힌지돌출부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한 상기 힌지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캐비닛 걸고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로의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탄성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연장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캐비닛 걸고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본체부의 높이는,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리본체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캐비닛 걸고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리연장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닛 걸고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선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캐비닛 걸고리.

KR1020220032132A 2022-03-15 2022-03-15 캐비닛 걸고리 KR10240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132A KR102404445B1 (ko) 2022-03-15 2022-03-15 캐비닛 걸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132A KR102404445B1 (ko) 2022-03-15 2022-03-15 캐비닛 걸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445B1 true KR102404445B1 (ko) 2022-06-07

Family

ID=8198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132A KR102404445B1 (ko) 2022-03-15 2022-03-15 캐비닛 걸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4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40Y1 (ko) * 2009-04-15 2009-07-10 주식회사 시그너스 잠금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40Y1 (ko) * 2009-04-15 2009-07-10 주식회사 시그너스 잠금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8927A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20100102017A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KR102404445B1 (ko) 캐비닛 걸고리
JP2754041B2 (ja) 家具等の開閉扉
JPH0247489A (ja) 引出し等のラッチ機構
KR100747455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KR102593128B1 (ko) 가구 도어의 양방향 개폐 장치
KR102139371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39374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JP2006129919A (ja) ロッカー
KR200183395Y1 (ko) 집게의 시건 장치
KR102139368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1810979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JP7346768B1 (ja) 扉ロック装置
TWI831563B (zh) 鎖定裝置
JPH0810641Y2 (ja) 自動車用小物入れにおける蓋体のロック機構
JP2721135B2 (ja) 家具などの開閉体ロック装置
JP3981950B2 (ja) 落し錠
CN210581343U (zh) 具有双扳钮式锁具之箱体
SU1722426A1 (ru) Чемодан
KR102145729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JP3138907B2 (ja) 連動折り戸のフォールディングヒンジ
US6736468B1 (en) Lockable furniture article for storage of personal items
JP2576437Y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抽斗の安全係止装置
JP2587384B2 (ja) 扉等のラッ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