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409B1 -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409B1
KR102404409B1 KR1020210090818A KR20210090818A KR102404409B1 KR 102404409 B1 KR102404409 B1 KR 102404409B1 KR 1020210090818 A KR1020210090818 A KR 1020210090818A KR 20210090818 A KR20210090818 A KR 20210090818A KR 102404409 B1 KR102404409 B1 KR 10240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ire
closing plate
uni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90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71Detection of area conflagratio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4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opening air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부가 제어부와 정보통신 네트워크 시설을 이용하여 연결되면서 공동주택의 세대별 소방설비부에 대한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평상시 배기덕트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에 따른 제연팬의 동작에 따라 배출구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유독가스 등을 포함하는 화재연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MONITORING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부가 제어부와 정보통신 네트워크 시설을 이용하여 연결되면서 공동주택의 세대별 소방설비부에 대한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평상시 배기덕트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에 따른 제연팬의 동작에 따라 배출구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유독가스 등을 포함하는 화재연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소방시스템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 등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클러나 방화셔터 등의 소방설비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는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되어 제어부와 유선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소방설비부도 제어부와 유선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스프링클러는 소방수를 공급할 수 있는 탱크 등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에서 상기 감지부는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되므로 그 수가 많으며, 이를 상기 제어부와 모두 유선상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배선작업이 난해해 지며 설치공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49796호(2011.07.19.)에는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소방설비부가 제연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49796호(2011.07.19.)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부가 제어부와 정보통신 네트워크 시설을 이용하여 연결되면서 공동주택의 세대별 소방설비부에 대한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평상시 배기덕트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에 따른 제연팬의 동작에 따라 배출구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유독가스 등을 포함하는 화재연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며 신호의 근거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한 정보통신 모듈 및 건물내 화재상황을 감지하거나 다른 정보통신 모듈에서 발신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8)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부(110); 및 실내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110)와 근거리 무선으로 통신하는 정보통신 모듈이 구비되며, 감지부(110)의 근거리 무선 신호에 의해 소방설비부(13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일단부가 실내와 연통되고 타단부에 배출구(210)가 형성되어 공동주택의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덕트(20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연팬(134)으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배기덕트(20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제연팬(134)의 동작에 따라 배출구(210)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차단부(300)를 더 포함하며, 차단부(300)는 배출구(210)를 개폐하는 개폐판(310); 일단부가 공동주택의 벽체(W)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개폐판(310)을 통과하는 지지바(320); 지지바(32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330); 및 제연팬(134)의 동작에 따라 개폐판(310)이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수단(340)을 포함하고, 개방수단(340)은 배출구(2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벽체(W)에 설치되며 개폐판(310)과 접하는 스프링(341); 및 배출구(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스프링(341)이 수축된 상태로 개폐판(310)을 잠금하는 솔레노이드(342)를 포함하며, 솔레노이드(342)는 감지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면서 개폐판(310)을 잠금해제하고, 개폐판(310)은 잠금해제에 따라 스프링(341)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배출구(210)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부가 제어부와 무선 통신시설을 이용하여 연결되면서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소방설비부에 대한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덕트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재 발생에 따른 제연팬의 동작에 따라 배출구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면서 유독가스 등을 포함하는 화재연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이 가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에서 차단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조개폐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서 개방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은 감지부(110)와 제어부(120) 및 소방설비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10)는 화재가 발생되거나 화재 또는 질식의 위험이 있는 가스의 누출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가 발생될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112)와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감지기(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112)로는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차동식 감지기 또는 주위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되며 바이메탈을 이용하는 정온식 감지기 및 일정농도 이상의 연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으로 광전자소자에 접하는 광량의 변화에 의해 작동되는 광전식 감지기 또는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파장특성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파장특성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복합하여 자외선/적외선 불꽃감지기 등이 있으며, 건물의 사용 형태 등에 따라 적합한 방식의 화재감지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가스누출감지기(114)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서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LNG나 LPG가스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인체에 치명적인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재실자 감지기(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재실자 감지기(116)는 세대 내에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거나 또는 공간 내에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사람의 재실유무를 판단하는 적외선 감지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에는 정보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보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부(120)와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정보통신 모듈은 상기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에 공히 구비되며,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방식으로 무선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그비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이며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무선통신방식이다.
상기 지그비 방식은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전력소모량이 적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의 무선통신방식이 상기 지그비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110)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 등 위험 요인의 발생을 감지하면 이를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것과 상관없이 경보음 또는 경보광을 발생함으로써 재실자에게 경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보장치는 스피커 및 경광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것과 관련 없이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상황을 감지함과 즉시 재실자에게 경보가 이루어지므로, 제어부(120)에서 복잡한 제어단계를 거치는 시간이 생략되어 재실자에게 즉시 경보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경보하여 재실자가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화재나 가스의 누출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가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하며, 재실자의 대피를 도와주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물 내에 소방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 및 소화가스 또는 분말을 분출하는 소화가스분출기, 화염이나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번지지 않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방화셔터, 재실자에게 화재상황을 경보하는 사이렌, 비상벨, 청각 장애자를 위한 시각경보기, 대피통로를 안내하는 비상램프, 대피를 돕는 피난사다리 및 실내의 연기 및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팬 및 가스누설을 감지했을 때 가스밸브를 차단하는 가스누설차단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소방설비부(130)는 상기 제어부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 또는 가스누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대로 세대 내에 설치된 소방설비부 중에 감지된 상황에 적합한 소방설비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공동주택에 화재상황(화재발생 또는 가스누출발생)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0)의 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소방서 및 경찰서 등의 유관기관에게 자동적으로 통보하는 자동화재속보기이다.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화재상황을 유관기관에게 통보할 때 상기 감지부(110)로 감지한 정보들도 같이 송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110)로 감지한 화재발생 또는 가스누출여부 및 재실자 여부등의 정보를 유관기관에게 송신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대응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공동주택의 화재상황발생 및 정보를 유관기관뿐만 아니라 미리 등록된 관계인의 전화, 핸드폰 또는 PDA등으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가 외출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하여도 화재 발생 즉시 통보받을 수 있고, 거주자가 아닌 거주자의 가족 또는 관계인에게도 즉시 통보가 가능하여 보다 빠른 대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감지부(110)와 제어부(120)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120)와 소방설비부(130)도 필요에 따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에 구비되는 정보통신 모듈은 다른 감지기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감지부(110)는 세대 내의 곳곳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세대 내에 설치된 어느 한 감지부(110)에서 화재상황을 감지할 경우, 화재상황이 감지되었다는 화재감지 신호를 상기 정보통신 모듈을 통해 발신한다.
이러한 화재감지 신호를 다른 곳에 구비된 감지부(110)이 정보통신 모듈에서 수신하여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화재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를 거치지 않고도, 세대 내에 구비된 감지기끼리 서로 직접 화재감지신호를 송수신하므로, 화재경보를 보다 빨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공동주택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면, 세대 내의 거실 또는 각 방에 감지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감지부(110)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112) 또는 재실자의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자 감지기(116)일 수 있다.
그리고, 주방이나 보일러실 등 가스의 누출이 염려되는 곳에는 가스누출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감지기(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거실이나 현관 등 조작이 편리한 곳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와 감지부(110)는 서로 무선통신으로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유선으로 통신하는 방식에 비하여 설치가 자유로우며,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을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작동되는 소방설비부(130)가 설치된다. 본 형태의 설명에서는 상기 소방설비부(130)로서 스프링클러(132)가 적용된 예를 제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화셔터 및 제연팬 등 다른 소방설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132)는 각 거실 및 방에 소방수를 분무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수도에 직결되어 소방수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의 신호에 의해 화재상황을 유관기관에게 통보하는 화재통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상기 제어부(120)가 설치된 장소에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300)를 더 포함한다.
이때의, 소방설비부(130)는 일단부가 실내와 연통되고 타단부에 배출구(210)가 형성되어 공동주택의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덕트(20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연팬(134)으로 이루어진다.
차단부(300)는 배기덕트(200)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감지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제연팬(134)과 함께 배출구(210)가 개방되도록 하여 유독가스 등을 포함하는 화재연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배기덕트(200)는 일단부가 각 세대의 천장 등을 통해 실내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벽체(W) 등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차단부(300)는 배출구(210)를 개폐하는 개폐판(310), 일단부가 공동주택의 벽체(W)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개폐판(310)을 통과하는 지지바(320), 지지바(32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330) 및 제연팬(134)의 동작에 따라 개폐판(310)이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수단(340)을 포함한다.
개폐판(310)은 배출구(210)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가지며 사각 형태를 이룬다.
개폐판(310)에는 보조개방구(311)가 형성되며 차단부(300)는 보조개방구(311)를 개폐하는 보조개폐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개폐수단(350)은 보조개방구(3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개폐판(310)의 타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351) 및 상부가 힌지축(352)에 의해 한 쌍의 지지돌기(3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에 따라 보조개방구(311)를 개폐하는 보조개폐판(353)을 포함한다.
보조개폐판(353)은 배기덕트(200)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내부공기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보조개방구(311)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차단부(300)는 배기덕트(200)를 통한 실내 오염 공기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바(3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배출구(21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벽체(W)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개폐판(310)의 상,하부를 통과한다.
지지바(320)는 개방수단(340)의 동작에 따라 개폐판(310)의 개방을 가이드하며, 이탈방지부재(330)는 지지바(320)의 타단부에 구비되면서 지지바(320)로부터 개폐판(3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지지바(320)는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3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지바(320)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개방수단(340)은 배출구(2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벽체(W)로 매립되며 개폐판(310)과 접하는 스프링(341) 및 배출구(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스프링(341)이 수축된 상태로 개폐판(310)을 잠금하는 솔레노이드(342)를 포함한다.
스프링(341)은 배출구(210)의 위치되도록 벽체(W)로 수축,이완 가능하게 매립되면서 개폐판(310)과 접한다.
이를 위해, 벽체(W)는 배출구(210)를 이루는 외측에 스프링(341)이 인입되는 수용홈(W1)이 형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342)는 로드(342)가 구비되며 개폐판(3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벽체(W)로 고정되면서 개폐판(310)을 잠금한다.
솔레노이드(342)는 감지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면서 개폐판(310)을 잠금해제한다.
개폐판(310)은 잠금해제에 따라 스프링(341)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배출구(210)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차단부(300)는 배기덕트(200)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감지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제연팬(134)과 함께 배출구(210)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유독가스 등을 포함하는 화재 연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감지부 118 : 배터리
120 : 제어부 130 : 소방설비부
132 : 스프링클러 140 : 화재통보부
200 : 배기덕트 300 : 차단부
310 : 개폐판 320 : 지지바
330 : 이탈방지부재 340 : 개방수단
350 : 보조개폐수단

Claims (1)

  1.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며 신호의 근거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한 정보통신 모듈 및 세대 내의 화재상황을 감지하거나 다른 정보통신 모듈에서 발신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8)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부(110); 및 감지부(110)와 근거리 무선으로 통신하는 정보통신 모듈이 구비되며, 감지부(110)의 근거리 무선 신호에 의해 소방설비부(13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120)로 구성되고, 소방설비부(130)는 일단부가 실내와 연통되고 타단부에 배출구(210)가 형성되어 공동주택의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덕트(20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연팬(134)으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배기덕트(20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제연팬(134)의 동작에 따라 배출구(210)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차단부(300)를 더 포함하며,
    차단부(300)는 배출구(210)를 개폐하는 개폐판(310); 일단부가 공동주택의 벽체(W)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개폐판(310)을 통과하는 지지바(320); 지지바(32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330); 및 제연팬(134)의 동작에 따라 개폐판(310)이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수단(340)을 포함하고,
    개방수단(340)은 배출구(2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벽체(W)에 설치되며 개폐판(310)과 접하는 스프링(341); 및 배출구(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스프링(341)이 수축된 상태로 개폐판(310)을 잠금하는 솔레노이드(342)를 포함하며,
    솔레노이드(342)는 감지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면서 개폐판(310)을 잠금해제하고,
    개폐판(310)은 잠금해제에 따라 스프링(341)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배출구(210)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판(310)에는 보조개방구(311)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300)는 보조개방구(311)를 개폐하는 보조개폐수단(3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개폐수단(350)은 상기 보조개방구(3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폐판(310)의 타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351); 및
    상부가 힌지축(352)에 의해 한 쌍의 지지돌기(3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보조개방구(311)를 개폐하는 보조개폐판(353); 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W)는 상기 배출구(210)를 이루는 외측에 상기 스프링(341)이 인입되는 수용홈(W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KR1020210090818A 2021-07-12 2021-07-12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KR10240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818A KR102404409B1 (ko) 2021-07-12 2021-07-12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818A KR102404409B1 (ko) 2021-07-12 2021-07-12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409B1 true KR102404409B1 (ko) 2022-06-07

Family

ID=8198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818A KR102404409B1 (ko) 2021-07-12 2021-07-12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4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796B1 (ko) 2008-08-11 2011-07-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43368B1 (ko) * 2018-09-14 2019-01-30 (주)한신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2098659B1 (ko) * 2019-06-04 2020-04-08 주식회사 삼진인프라 도어용 연기 차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796B1 (ko) 2008-08-11 2011-07-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43368B1 (ko) * 2018-09-14 2019-01-30 (주)한신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2098659B1 (ko) * 2019-06-04 2020-04-08 주식회사 삼진인프라 도어용 연기 차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368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1049796B1 (ko)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2674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KR101803806B1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KR102212753B1 (ko)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KR101796308B1 (ko) 공동주택 정전시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방전원공급장치
KR10203576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JP6517075B2 (ja) 火災感知装置、火災自動消火装置、及び火災自動消火システム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KR101796054B1 (ko)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1825685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CN107924598A (zh) 安全自动化***
KR1016440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CN107924607A (zh) 安全自动化***
KR20010031437A (ko)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681032B1 (ko)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101663786B1 (ko)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KR102404409B1 (ko)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2379362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컨트롤장치
KR101880756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KR102153935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