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062B1 -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062B1
KR102403062B1 KR1020150066944A KR20150066944A KR102403062B1 KR 102403062 B1 KR102403062 B1 KR 102403062B1 KR 1020150066944 A KR1020150066944 A KR 1020150066944A KR 20150066944 A KR20150066944 A KR 20150066944A KR 102403062 B1 KR102403062 B1 KR 10240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server
list
ser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866A (ko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062B1/ko
Priority to EP16792930.6A priority patent/EP3295609B1/en
Priority to CN201680023153.5A priority patent/CN107534682B/zh
Priority to PCT/KR2016/004803 priority patent/WO2016182284A1/en
Priority to US15/153,210 priority patent/US20160337453A1/en
Publication of KR2016013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1Service on demand, e.g. definition and deployment of services in real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제1 디바이스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상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SERVICE}
본 개시는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의 컨텍스트(context) 정보에 따라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는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을 거쳐,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 초연결(Hyperconnectivity) 혁명을 진행 중이다.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전체 사물의 1% 미만이나 향후 연결 확대 과정에서 다양한 혁신과 사업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예시로서, 커넥티드 카 (connected car)의 등장으로 차량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긴급구난 메시지 자동 전송, 무인자율 주행 서비스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제품들이 신체의 심장박동, 운동량 등을 측정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홈의 태양으로는, 가전 기기의 원격제어 또는 홈 CCTV와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IoT의 주요 기술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및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센싱 기술은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 등으로부터 원격 감지, SAR(Synthetic Aperture Rad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인 센서에서의 감지를 의미한다. 물리적인 센서는 응용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을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이미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가상 센싱 기능도 포함되며 가상 센싱 기술은 실제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구현된다. IoT 센싱 기술은 기준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다분야) 센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면, IoT의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장치로는 기존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블루투스(Bluetooth), 이더넷(Ethernet),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 인간과 사물,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IoT의 주요 3대 구성요소(인간/사물/서비스)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아니라, 정보를 센싱, 가공/추출/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온톨러지 기반의 시맨틱, 오픈 센서 API, 가상화, 위치확인, 프로세서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웹 서비스 기술, 소셜네트워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저장, 처리, 변환 등)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센싱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판단하고, 판단된 서비스를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디바이스가 센싱한 데이터를 서버에서 수신하여, 디바이스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마다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없이, 디바이스에 기저장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서비스 UI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제1 디바이스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상기 디바이스에 기설정된 템플릿(template)을 이용하여 화면에 서비스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서비스 목록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비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압력 정보, 음향 정보, 모션 정보, 근접 센싱 정보, 가스 센싱 정보, 열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발견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목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기저장된 템플릿은,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 중 하나의 서비스가 새로운 템플릿에서 동작 가능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새로운 템플릿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새로운 템플릿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버에게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context)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는 통신부;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템플릿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 중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서비스 목록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되어 결정된 서비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압력 정보, 음향 정보, 모션 정보, 근접 센싱 정보, 가스 센싱 정보, 열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발견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목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템플릿은,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서비스 목록 중 하나의 서비스가 새로운 템플릿에서 동작 가능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새로운 템플릿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새로운 템플릿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context)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전송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리소스 점유율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리소스 점유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될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가공 방식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데이터 가공 방법에 따라 처리된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가공 방식은, 센싱 데이터를 취합하는 가공 방식, 센싱 데이터를 분리하는 가공 방식, 및 센싱 데이터들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가공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의 속성 및 상기 센싱 데이터의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가공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리소스 점유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들 중 일부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될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가공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게 상기 처리된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선택되지 않은 디바이스에게 센싱 데이터의 전송을 일시 정지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처리된 센싱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결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처리된 센싱 데이터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의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종류, 상기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의 속성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장치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중에서 기 설정된 필요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소스 점유율은, 상기 게이트웨이의 CPU 사용량 및 상기 게이트웨이의 메모리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판단된 리소스 점유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복귀되는 경우, 기 설정된 디폴트 규칙에 따라 상기 센싱 데이터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제1 기기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서버에서 수신한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서비스에 기초하여 물품 구입을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서비스에 기초하여 유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특정 공간의 점유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차장에서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간에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템플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IoT(Internet of Things)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또는 사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음향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냉장고, CCTV, TV, 세탁기, 제습기, 전등, 화재 경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device)는 “기기” 또는 “장치”와 혼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기기” 및 “장치”는 동일한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식별 값, 디바이스의 종류,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데이터의 종류 및 속성, 및 디바이스의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는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버 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기초한 서비스, 디바이스 내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서비스는 본 개시에 예로서 기재된 서비스 이외에도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는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게이트웨이와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 및/또는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범 서비스, 화재 경보 서비스, 전력 관리 서비스 및 콘텐트 공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서비스는, 게이트웨이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서비스의 식별 값,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의 종류 및 개수, 및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의 우선 순위, 서비스를 위한 센싱 데이터의 종류 및 개수, 및 서비스를 위한 센싱 데이터의 우선 순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전송 규칙은, 게이트웨이의 리소스 점유율에 따라 어떤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어떻게 전송 받을지에 관한 규칙일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규칙은, 예를 들어, 서비스를 위해 이용될 디바이스, 일시 정지될 디바이스,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가공 방식,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센싱 데이터의 예약 전송 여부에 관한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기술은 기기간 통신이 가능한 모든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통신(Internet of Things; IoT), 유비쿼터스(ubiquitous) 서비스, 스마트 홈(smart home) 및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서비스 등 기기간 통신이 가능하다면,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별도의 특별한 기기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기기간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다른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기기에 해당 기기의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기이면 충분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부(132) 및 유선 통신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상기 디바이스(100)의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서비스에 대하여, 디바이스(100)에 기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화면에 추천 서비스 UI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컨텍스트 정보는 현재의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예를 들어, 현재 디바이스 사용자의 위치, 해당 장소의 압력, 조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컨텍스트 정보로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디바이스의 성능, 디바이스 주변의 기기 정보 등이 해당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20)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서버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정보 또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템플릿(template)을 기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템플릿은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정보일 수 있다. 저장부(120)는, 수행되고 있는 서비스의 수행 이력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DB)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다른 기기 또는 센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망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센서 기기 등과 같은 기기의 센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통신할 수 있으며, 다른 디바이스에 해당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디바이스는 휴대용 단말로서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PC,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기기, 디지털방송용 기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으로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통신 또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그 예로, 전화, SMS(문자서비스), 인터넷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다양한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카메라, 프로젝터, 스캐너, 프린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 자체 OS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설치 또는 이용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예매 서비스, 센싱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들을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 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서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제어부(210), 저장부(220) 및 통신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제어부(21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상기 디바이스(100)가 전송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디바이스(100)의 기기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압력 정보, 음향 정보, 모션 정보, 근접 센싱 정보, 가스 센싱 정보, 열 센싱 정보 등에 기초하여, 현재 또는 가까운 시간 내에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또한 서버에서 직접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서버(200)에서 직접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100)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결정하기보다 많은 변수에 기초하여 필터링할 수 있으므로, 상기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의 수는 더 많거나, 오차 범위가 적을 수 있다.
상기 서버(200)의 저장부(220)는, 상기 서버(200)에서 처리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텍스트 정보 및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에 의해서 결정된 서비스 목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의 통신부(230)는 유선 통신부(232) 및 무선 통신부(2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230)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상기 디바이스(100)에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디바이스(100) 및 서버(200)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 및 서버(200)는, 예를 들어, 화재 경보 서비스, 방범 서비스 및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기기, 디지털방송용 기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100)는 게이트웨이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를 위한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온도센서(331)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수은을 이용하는 온도센서, 특정 온도에서 색상이 변하는 온도 패치, 적외선 온도센서 및 레이져 온도센서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온도센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습도센서(332)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견습식 습도센서, 고분자 습도센서, 금속산화물계 습도센서, 마그네타이트 콜로이드 습도센서, 마이크로파 습도센서, 산화철 소결막 습도 센서 및 세라믹 습도센서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습도 센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음향센서(333)는 음향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대표적으로는 마이크로폰과 같이 음파 또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발생하는 센서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음향센서(333)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복합적인 음파 중에서 특정 음파만 추출하는 센서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모션센서(334)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디바이스에 포함된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근접센서(335)는 디바이스 주변에서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전자기를 이용하거나 정전용량 방식 등으로 디바이스 주변의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바이스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가스감지센서(336)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특정 가스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적외선 가스감지기, 가스 분석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열감지센서(337)는 화재 등에 의한 열 등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적외선 열감지기, 신종플루 열감지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반드시 센서만을 제한적으로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냉장고(338), CCTV(339), TV(340), 세탁기(341), 제습기(342), 전등(343) 및 화재경보기(344)와 같이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기들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디바이스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1 기기(100)는 서버를 통하여 서비스 목록을 수신함으로써 자신이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제1 기기(100)는 서버(200)에게 자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기(100)은 서버(200)에게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요청하기 위하여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가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현재 제1 기기(100)의 위치 및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 제1 기기(100)에서 감지하지 못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디바이스 요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현재 제1 기기(100)에서 기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100)는 요청 메시지에 제1 기기(100)의 저장부에 기 저장된 템플릿은 디바이스의 ID 정보, 기기 종류, 데이터 타입, 데이터 속성 및 센싱 주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지시하는 템플릿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서버(200)는 제1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제1 기기(100)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기(100)의 현재 상황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목록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서비스 목록을 제1 기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기기(100)에 기저장되어 있는 템플릿 정보에 맞추어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기기(100)에서 표시할 수 없는 서비스의 경우, 새로운 템플릿을 제1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여, 현재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430에서, 제1 기기(100)는 확인된 서비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2 기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기기(100)가 디바이스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기기(100)가 디바이스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기기(100)가 직접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과, 다른 디바이스와 서버(200)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제1 기기(100)가 서버(200)로부터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500에서, 하나 이상의 제2 기기(300)는 제1 기기(100)에게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고, 제1 기기(100)는 제2 기기(3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2 기기(300)의 정보는 제2 기기(300) 자체의 정보가 될 수 있고, 제2 기기(300)에서 수신한 정보 또는 제2 기기(300)가 측정한 정보 또한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기(300) 정보는 디바이스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있는 넓은 범위의 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단계 S510에서, 제1 기기(100)는 서버(200)에게 제1 기기(100)의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기(100)는 서버(200)에게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요청하기 위하여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로부터 제1 기기(100)의 컨텍스트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서버(200)는 제1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제1 기기(100)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기(100)의 현재 상황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목록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서비스 목록을 제1 기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여, 현재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200)가 전송하는 서비스 목록 정보는,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와 관련된 디바이스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기기(100)에서 감지하지 못한 디바이스 중에서 서버에서 감지하거나 기저장하고 있는 기기 정보가 서비스 목록 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현재 제1 기기(100)의 컨텍스트 환경에 맞추어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만 선별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S530에서, 제1 기기(100)는 확인된 서비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디바이스인 제2 디바이스(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도 5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기기(100)는 스마트폰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는 에어컨(362), 컴퓨터(364), 전등(366) 및 공기청정기 (368)로부터 각 기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에어컨(362) 기기는 제1 기기(100)에 에어컨 기기의 정보(property)를 전송할 수 있다. 에어컨 기기의 정보로는 에어컨 자체의 사양, 에어컨에서 측정한 온습도 등의 정보 또는 에어컨이 타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컴퓨터(364) 기기는 제1 기기(100)에 컴퓨터 기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컴퓨터 기기의 정보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자체의 사양, 컴퓨터에서 처리되고 있는 프로그램,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 또는 컴퓨터에서 수신한 타 기기의 정보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전등(366) 기기도 제1 기기(100)에 전등 기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등 자체의 사양, 전등에서 측정한 조명 정보, 전등에서 수신한 정보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368) 기기 또한 제1 기기(100)에 공기청정기 기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 자체의 사양, 공기청정기가 측정한 공기 오염 정보, 공기청정기에서 수신한 정보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 제1 기기(100)는 제1 기기(100)의 위치, 실행 프로그램 등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200)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1 기기(100)에서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기가, 서버에서 수신한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700에서, 디바이스(300)들은 서버(200)에게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200)는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클라우드와 같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서버가 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각 디바이스들과 통신이 가능한 서버 기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각 디바이스 별로 수신되는 정보를 분류할 수 있고, 동종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는 서로 관련된 디바이스 간에 동작 순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사용자 디바이스)가 집으로 이동하면, 현관 조명 센서가 가장 먼저 동작을 하게 되고, 이후 실내 조명 센서 또는 가전 기기가 동작을 하게 되므로, 현관 조명 센서 이후에 가전 기기가 동작한다는 일련의 순서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제1 기기(100)는 서버(200)에게 제1 기기(100)의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기(100)는 서버(200)에게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요청하기 위하여 서비스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로부터 제1 기기(100)의 컨텍스트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서버(200)는 제1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제1 기기(100)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기(100)의 현재 상황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목록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서비스 목록을 제1 기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제1 기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여, 현재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730에서, 제1 기기(100)는 확인된 서비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와 같은 서버(200)는 다양한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제1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되는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에 대하여는 앞서 도 6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서비스에 기초하여 물품 구입을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백화점이나 마트와 같은 장소에서 다양한 물품을 구입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디바이스들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 사용자는 백화점이나 마트와 같은 장소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GPS 센서, 또는 무선랜 AP와의 통신 등에 의해서 현재 디바이스의 위치가 마트 내 또는 마트 근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GPS 센서 등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자체에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는 무선랜 AP와 같은 서버를 통해서도 디바이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이 마트 내에 위치할 때,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서버(200)에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는 서비스를 요청함과 동시에 디바이스 기기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는 디바이스가 마트 내에 위치한다는 위치 정보, 디바이스 기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또는 디바이스 자체의 사양 즉, 디바이스가 어떠한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의 용량 등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디바이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식재료를 카트에 담고 있는 중이며, 마트 내의 A 구역에서 B 구역으로 이동 중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에 저장된 음식 만들기 식재료가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로 생성되어 서버에서 이를 수신한 경우, 서버는 음식 만들기 식재료가 위치하고 있는 구역을 검색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게 현재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바이스가 마트 내 A 구역에서 B 구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한 서버는, 디바이스가 B 구역 내에서 구입한 물품에 대한 계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을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B 구역은 고객센터로서 디바이스가 고객의 멤버십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을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 사용자는 마트에서 식재료와 같은 물품을 구입을 할 경우 카트 등을 통하여 물건을 담은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하는 카트는 물품에 부착된 식별정보 또는 카트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어느 물품을 카트에 담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카트는 식별된 정보를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카트에 담긴 물품의 가격, 크기, 성분 및 구체적인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용가능한 서비스 목록 및 디바이스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하나의 템플릿으로 UI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현재 B 구역에서 계산을 준비 중에 있는 경우, 디바이스의 표시부는 구입한 물품의 가격 정보, 할인 정보, 결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마트 내 자동 계산대를 지나감으로써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 및 자동 계산대 기기 간에 통신을 함으로써 결제에 관련된 서비스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유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은 유아(baby)가 위치한 장소의 CCTV와 같은 이미지 센서(1010) 기기에서 획득된 유아 관련 이미지(1020)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가 직접 이러한 이미지를 획득하지 않고, CCTV로부터 유아와 관련된 상황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냉장고 기기로부터 냉장고 내에 우유가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1030)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젖병이 위치한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빌(1040)과 같은 기기의 정보 또한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상황이 유아와 관련된 상황임을 결정할 수 있고, 유아와 관련되어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유아와 관련되어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는 디바이스의 제어부에서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모빌(1040)과 같은 기기의 정보를 획득하였으므로, 모빌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유아와 관련되어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서버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해당 공간의 다양한 기기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한 상태일 수 있으며, 유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현재 유아가 수면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유아가 수면 중이라는 정보에 기초하여, 커튼을 닫는다거나, 오디오 볼륨을 줄이는 등의 서비스를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 사용자는 현재 상황에서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모빌을 동작하려는 서비스, 커튼을 닫는 서비스, 오디오 볼륨을 줄이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상기와 같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모빌을 작동시킬 수 있는 UI 화면 또는 취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모빌을 작동시킬 수 있는 UI 화면의 경우, 모빌 기기의 동작 on/off를 명령할 수 있는 템플릿일 수 있다. 취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UI 화면의 경우, 커튼을 닫는 동작, 실내등을 끄는 동작, 오디오 볼륨을 줄이는 동작이 일련의 그룹화된 동작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특정 공간의 점유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바이스는 주차장과 같은 특정 공간의 점유와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점유와 관련된 서비스라 함은, 빈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서비스, 점유 중인 공간에 대한 시간/비용 확인 서비스, 특정 공간에 대한 설명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은 주차장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주차장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주차 점유 센서, 디바이스의 GPS 센서, 또는 무선랜 AP와의 통신 등에 의해서 현재 디바이스의 위치가 주차장 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주차장 내에 위치할 때, 디바이스는 현재 디바이스가 주차장 내에 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텍스트 정보에는 주차장에 진입한 경우인지 주차장에서 진출하는 경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주차장에는 각 주차 공간마다 주차 점유 센서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주차 점유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주차 점유 센서로부터 점유 유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주차장 관리 서버에게,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 및 디바이스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서버는, 디바이스가 현재 주차장에 주차를 하기 위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집은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주차 점유 센서 간의 통신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주차장 관리 서버는 각 주차 공간마다의 점유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빈 주차 공간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 또한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관리 서버는 A 주차 공간은 주차된 지 210분이 경과되었으며, B 공간은 180분이 경과되었고, C 공간은 현재 주차 가용 공간 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주차장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기저장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주차장의 현재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빈 주차 공간의 유무만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혹은 모든 주차 공간이 점유 상태라면 앞으로의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주차장의 점유 공간 관련된 정보 또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주차 공간의 경우, 디바이스는 여성 전용 주차 공간 또는 장애인 전용 주차 공간인지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주차 공간의 시간당 비용, 할인 정보, 이용가능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식당에서도 빈 좌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의 GPS 센서 또는 무선랜 AP와의 통신 등에 의해서 현재 디바이스의 위치가 식당 주변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식당 관리 서버는 각 테이블 공간마다의 점유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빈 좌석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 또한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 관리 서버는 A 테이블은 4명이 정원인 테이블로서, 손님이 착석한지 210분이 경과되었으며, B 테이블 6명이 정원인 테이블로서, 손님이 착석한지 180분이 경과되었고, C 테이블은 8명이 정원인 테이블로서, 현재 빈 좌석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영화관, 버스, 지하철, 기차 등에서도 빈 좌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의 GPS 센서 또는 무선랜 AP와의 통신 등에 의해서 현재 디바이스의 위치가 영화관, 버스, 지하철, 기차 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좌석 관리 서버는 각 좌석에 앉은 승객들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여 각 승객들의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승객들의 누적 이동 정보, 일정 정보, 관심 지역 정보 등을 분석하여, 각 승객의 목적지를 예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석 관리 서버는, m 승객은 퇴근시간인 저녁 7시에 회사에서 지하철을 탑승하여 집에서 제일 가까운 지하철 역에서 하차하는 데까지의 소요 시간, 이동 경로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좌석 관리 서버는 각 좌석마다의 점유 센서를 이용하여, 점유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빈 좌석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 또한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좌석 관리 서버는 A 좌석은 m 승객의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데에 10분이 남았으며, B 좌석은 n 승객이 내리기까지 120분 남았으며, C 좌석은 o 승객의 도착지까지 3분이 남았으므로, 3분 뒤에는 빈 좌석임을 나타내는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차장 공간에서 주차 점유 센서와 디바이스 간의 정보 송수신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주차장에서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차 공간에는 주차 점유 센서들(1201 내지 1204)이 위치할 수 있다. 각 주차 점유 센서는 차량이 주차한 시간 및 차량의 정보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점유 센서(1201)는 주차한 시간이 오전 10:35:17이고, 해당 차량은 승용차로서 차량 번호는 XX허XXXX 임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점유 센서는 XX허XXXX 차량과 주차 점유 센서(1201)와의 통신에 의해서, 차주의 연락처 등과 같은 차주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주 관련 정보는 차주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공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차 점유 센서는 디바이스에게 주차 점유 센서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차 점유 센서의 정보는 기기 ID, 기기 종류, 데이터 타입, 데이터 속성 및 센싱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ID는 주차 점유 센서 고유의 ID 정보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주차 점유 센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기기 종류 정보는 해당 기기가 주차 점유 센서 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 타입 정보는 텍스트, 소리 등 정보의 타입을 구분하는 정보가 해당될 수 있으며, 데이터 속성 정보는 특정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속성 정보의 일 예로 7이라는 값이 이진화되어 표시되는 경우, 이는 7분의 주차 점유 시간을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센싱 주기 정보로는 주차 점유 센서가 차량이 주차되었는지를 센싱하는 주기로서 1분 간격으로 센싱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주차 점유 센서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주차 점유에 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주차장마다 주차 점유 센서에서 서로 다른 형식으로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주차장에 따른 모든 형식의 정보를 동일한 가공 형태로서 처리할 수 있으며, 주차장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도 해당 주차장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디바이스와 IoT 간에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IoT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의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 간에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게이트웨이가 중계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시큐리티 서비스를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400)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시큐리티 서비스를 위하여 게이트웨이(400)는 움직임 감지 센서 A(1301), 온도 센서 A(1302), 근접 센서 A(1303), 사용자 출입 감지 센서(1304), CCTV(1305)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센서(1306)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경보기(1351, 1352), 디바이스(100) 및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 A(1301)는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400)의 리소스 점유율이 낮고 디바이스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게이트웨이(400)는 움직임 감지 센서 A(1301), 온도 센서 A(1302), 근접 센서 A(1303), 사용자 출입 감지 센서(1304), CCTV(1305) 및 다른 서비스의 센서(1306) 모두로부터, 디폴트 규칙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웨이(400)의 리소스 점유율이 높아지고 디바이스와 원활하게 통신하기 힘든 경우에, 게이트웨이(400)는 근접 센서 A(1303), CCTV(1305), 및 다른 서비스의 센서(1306)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 시킬 수 있다. 또한, 움직임 감지 센서 A(1301), 온도 센서 A(1302) 및 사용자 출입 감지 센서(1304)의 센싱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센싱 데이터 가공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웨이(400)가 도둑이 침입했다고 판단되면, 모든 경보기(1351, 1352)가 동작하여 도둑의 침입을 알릴 수 있도록 경보기(1351, 135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도둑이 침입하였다고 판단되면, 도둑 침입을 알리기 위한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둑의 침입 여부는, 게이트웨이(400)에 의해 판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100) 및/또는 서버(200)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도둑의 침입을 다른 게이트웨이(미도시)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도둑의 침입을 디바이스(100) 및/또는 서버(200)에게 알림으로써, 도난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은 도둑의 침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도둑 침입이 감지됨”과 같은 텍스트 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진동이나, 소리 등과 같은 방식으로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각 표시 방식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것도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서비스에서, 게이트웨이(400)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화재 경보 서비스를 위하여 게이트웨이(400)는 온도 센서 A(1401), 온도 센서 B(1402), 가스 감지 센서 A(1403), 가스 감지 센서 B(1404), CCTV(1405)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의 센서(1406)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화재 경보기(1451 내지 1453), 디바이스(100) 및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400)의 리소스 점유율이 낮고 디바이스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게이트웨이(400)는 온도 센서 A(1401), 온도 센서 B(1402), 가스 감지 센서 A(1403), 가스 감지 센서 B(1404), CCTV(1405) 및 다른 서비스의 센서(1406) 모두로부터, 디폴트 규칙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웨이(400)의 리소스 점유율이 높아지고 디바이스와 원활하게 통신하기 힘든 경우에, 게이트웨이(400)는 온도 센서 B(1402), 가스 감지 센서 B(1404), 및 다른 서비스의 센서(1406)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 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 A(1401), 가스 감지 센서 A(143), 및 CCTV(1405)의 센싱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센싱 데이터 가공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웨이(400)가 가스 감지 센서 A(1403)로부터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스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게이트웨이(400)는 가스 감지 센서 A(1403) 및 가스 감지 센서 B(1404) 모두를 활성화시키고, 가스 감지 센서 A(1403) 및 가스 감지 센서 B(1404)로부터 더욱 짧은 주기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가스 감지 센서 A(1404) 및 가스 감지 센서 B(14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웨이(400)는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모든 화재 경보기(1451 내지 1453)가 동작하여 화재를 알릴 수 있도록 화재 경보기(1451 내지 145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화재 사실을 알리기 위한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화재 발생 여부는, 게이트웨이(400)에 의해 판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100) 및/또는 서버(200)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화재 발생을 다른 게이트웨이(미도시)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화재 발생을 디바이스(100) 및/또는 서버(200)에게 알림으로써,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은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에 기 저장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은,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상에 “도둑 침입이 감지됨”과 같은 텍스트 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진동이나, 소리 등과 같은 방식으로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각 표시 방식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것도 설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400)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하여 게이트웨이(400)는 온도 센서 A(1501), 온도 센서 B(1502), 습도 센서 A(1503), 냉장고(1505), 에어컨(미도시) 및 TV(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디바이스(100) 및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400)의 리소스 점유율이 낮고 디바이스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게이트웨이(400)는 온도 센서 A(1501), 온도 센서 B(1502), 습도 센서 A(1503), 냉장고(1505), 에어컨 및 TV 모두로부터, 디폴트 규칙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이 게이트웨이(400)를 통하여 TV에게 스트리밍 동영상을 제공하면, 게이트웨이(400)의 리소스 점유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 (400)가 디바이스와 원활하게 통신하기 힘든 경우에, 게이트웨이(400)는 에어컨과 가까운 곳에 설치된 온도 센서 B(1502)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 시킬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온도 센서 A(1501), 습도 센서 A(1503), 냉장고(1505), 에어컨 및 TV의 센싱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센싱 데이터 가공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댁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게이트웨이(400)는 에어컨이 동작하도록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은 에어컨을 동작시키기 전에 디바이스의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동작 명령을 내리도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댁 내의 온도 및 습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희망온도 및 희망습도를 조절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바이스는 에어컨의 세기 또는 패턴의 변화, 타이머 등 다양한 형태의 에어컨 조작 기능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구체적인 에어컨 제어가 가능하도록 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템플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의 디바이스(100)은 주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다양한 기기 정보 및 수행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디바이스 및 서버가 동일한 형식으로 디바이스에게 정보를 전송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종래의 경우에는 전송하는 기기 측의 정보 형식에 맞추어 디바이스에서 복호화 또는 부호화 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처리할 수 있었다.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서로 다른 형식의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공통된 템플릿으로서 표시하여, 디바이스와 처음 통신하는 디바이스의 정보 또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템플릿에는 공통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가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ID 정보, 디바이스의 종류, 데이터 타입 정보, 데이터 속성 정보 및 센싱 주기 등의 정보가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이를 템플릿에서 표시하기 위해서 온도센서 고유의 ID 정보, 온도센서 임을 나타내는 기기 종류 정보, 온도를 숫자로 나타낸다는 데이터 타입 정보, 숫자로 25℃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속성 정보, 해당 데이터는 1분 간격으로 측정되었다는 센싱 주기 정보 등이 요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창문 개폐 장치 정보의 경우에는 창문 개폐 장치 고유의 ID 정보로서 어떠한 창문을 닫을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고, 창문 개폐 장치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창문 개폐 장치 정보는 창문을 닫을 것인지 열 것인지 on/off 만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창문을 어느 정도 닫을 것인지 그 정량적인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고, 5분 간격으로 센싱한 값임을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서 어떻게 창문 개폐 장치를 제어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템플릿에 구성할 수 있다.
도 16은 유아 서비스에 관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표시부에 표시 영역(140) 및 조작 영역(15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140)은 디바이스가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조작 영역(150)은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영역이다.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유아 서비스 관련하여, 디바이스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설명하기로 한다. 유아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온도 및 습도 정보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에 의해서 획득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에서 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는, CCTV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서 해당 공간에 유아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수면 중임을 결정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현재 디바이스에서 유아 서비스 관련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유아가 위치한 공간의 실내 온도가 4℃ 이며, 습도가 30%임이 센서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는 유아가 위치한 공간의 실내 온도 및 습도를 높일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 이외의 서버에서 실내 온도 및 습도를 높일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실내 온도 및 습도를 높일 수 있는 주변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습도를 50%까지 올리고 온도를 16℃까지 올릴 것을 에어컨 또는 가습기 기기 등에 명령할 수 있다. 보다 빠른 환경의 변화를 위해서 블라인드 기기로 하여금 외부 빛을 가리도록 명령할 수 있으며, 창문 기기로 하여금 창문이 닫히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이렇게 디바이스의 표시 영역(140) 및 조작 영역(150)에서 다양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에서는 다양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여야 하며, 만일 온습도 센서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에어컨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 각각 고유한 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는 상황이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에 설치하는 시간/비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한 조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온습도 센서 또는 에어컨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디바이스의 공통된 템플릿에서 가공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템플릿을 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저장부는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을 기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템플릿을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유아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종류 및 개수와 디바이스가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종류 및 개수는 서로 목적이 다르므로 다른 템플릿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에서 모든 서비스의 종류별로 템플릿을 저장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필수적인 정보들만으로 구성 가능한 템플릿만을 저장하여 최소한의 자원 점유를 설정할 수 있다. 필수적인 정보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인 ID 정보, 기기 종류 정보, 데이터 타입 및 데이터 속성이 해당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센싱 주기의 경우, 디바이스별로 그 존재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디바이스에서 수없이 많은 디바이스들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모두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기저장된 템플릿만으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는 새로운 템플릿을 직접 구성하거나 외부 서버나 타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에 대해서 디바이스에 기저장된 템플릿으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서버는 해당 서비스를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템플릿을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새로운 템플릿으로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I를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스마트홈 서비스에 관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표시부에 표시 영역(142) 및 조작 영역(15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142)은 디바이스가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 안의 CCTV 또는 AP 등으로부터 현재 디바이스가 방 안에 침대 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현재 시간 정보 또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TV 기기로부터 현재 시간에 A 방송사에서 방영되는 AA 프로그램, B 방송사에서 방영되는 BB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내의 날씨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버를 통해서 내일 날씨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사용자의 차량이 위치하는 차고 CCTV 및 차량 자체 진단 센서로부터 현재 차량의 상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조작 영역(150)은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영역이다.
앞서 도 15에서 설명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하여, 디바이스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UI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조명 정보는 조명 센서에 의해서 획득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에서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는, CCTV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서 해당 공간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TV를 시청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현재 디바이스에서 댁내 가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TV를 시청하고 있는 방 안의 조도가 정상 수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디바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명 센서의 동작 유무를 제어함으로써 TV를 시청하는데 요구되는 조도로 조절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보고 있는 TV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다른 방에 위치한 TV의 전원을 끄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세탁기로부터 수신한 세탁물의 양에 대한 정보 및 내일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를 동작시킬 것인지 표시할 수 있으며, 그밖에 커피머신을 동작시킨다거나, 주차장의 CCTV를 시청할 수 있는 등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마트 결제 서비스에 관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표시부에 표시 영역(144) 및 조작 영역(154)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144)은 디바이스가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트의 CCTV 또는 카트 기기 등으로부터 현재 카트에 담긴 물품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카트에 담긴 물품의 가격이 계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앞서 도 9에서의 마트 결제 서비스 관련하여, 조작 영역(154)은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결제 수단으로서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신용카드를 이용할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으며, 마트 서버 등에 접속하여 직원을 호출할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현재까지 마트 내에서 움직임을 누적 저장하여 동선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는 결제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3분 뒤에 차량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현재 디바이스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일정 및 구입 예정 목록이 입력된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렇게 디바이스의 표시 영역(144) 및 조작 영역(154)에서 다양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에서는 다양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여야 하며, 만일 카트 센서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각각 고유한 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는 상황이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에 설치하는 시간/비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한 조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 센서 또는 엘리베이터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디바이스의 공통된 템플릿에서 가공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는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 정보 테이블은, 기기 ID 필드, 기기 종류 필드, 데이터 타입 필드, 데이터 속성 필드, 및 센싱 주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ID 필드에는 디바이스의 식별 값이 기록될 수 있으며, 기기 종류 필드에는 기기의 종류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종류 필드에는 온도 센서, 음향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시계, 냉장고, 세탁기 및 화재 경보기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타입 필드에는 디바이스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타입 필드에는 숫자, 소리, 문자,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속성 필드에는 디바이스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의 속성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속성 필드(46)에는 number value, data value, byte value 및 string value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센싱 주기 필드에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센싱하는 주기가 기록될 수 있다. 센싱 주기 필드에 기록되는 센싱 주기는, 디바이스에 디폴트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는 서비스 정보 테이블의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테이블은, 서비스 ID 필드, 필요 기기 필드, 우선 순위 1 필드, 우선 순위 2 필드 및 우선 순위 3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ID 필드에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 값이 기록될 수 있으며, 필요 기기 필드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필요한 디바이스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 기기 필드에는, “온도 센서 2개”, “가스 감지 센서 3개” 및 “화재 경보기 1개” 가 기록될 수 있다.
우선 순위 1 필드, 우선 순위 2 필드 및 우선 순위 3 필드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필요한 디바이스 중에서, 각각의 우선 순위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종류 및 개수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 1 필드에는 “온도 센서 1개”, “가스 감지 센서 1개” 및 “화재 경보기 1개” 가 기록될 수 있으며, 우선 순위 2 필드에는 “온도 센서 1개” 및 “가스 감지 센서 1개”가 기록될 수 있으며, 우선 순위 3 필드에는 “가스 감지 센서 1개”가 기록될 수 있다.
필요 장치 필드, 우선 순위 1 필드, 우선 순위 2 필드 및 우선 순위 3 필드에 기록된 정보는, 원활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최소한의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해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저장된 기기 정보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 테이블의 형식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서비스와 연관된 기기 정보 테이블은 기기 정보 테이블에 연관 서비스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관 서비스 필드에는 디바이스와 연관된 서비스의 식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디바이스 또는 서버는 기기 정보 테이블 및 서비스 정보 테이블을 비교함으로써, 연관 서비스 필드에 기록될 서비스의 식별 값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인 기기 A와 관련하여, 연관 서비스 필드에는 “스마트홈 서비스 B”, 및 “화재 경보 서비스 A”가 기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가 디바이스로부터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제어 메시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2byte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메시지는,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 데이터 가공 방식의 서브 규칙을 나타내는 4 bits의 값, 및 센싱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8 bits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은, 제어 메시지가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 시키기 위한 메시지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이 “1”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허여하고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이 “0”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의 센싱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제어 메시지의 타입을 나타내는 1bit의 값이 “0”이고, 제어 메시지 내의 나머지 bits 값이 모두 1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하되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은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어떻게 가공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0”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별도로 가공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1”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의 평균 값을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2”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3”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4”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새로이 수집된 센싱 데이터 중에서 이전의 센싱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경된 데이터만을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을 나타내는 3bits의 값이 “5”인 경우에, 제어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센싱 데이터의 평균 값을 취합하여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데이터 가공 방식의 서브 규칙을 나타내는 4 bits의 값은 데이터 가공에 관련된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가공 방식의 서브 규칙을 나타내는 4 bits의 값은 센싱 데이터를 분할하는 횟수, 센싱 데이터를 취합하는 횟수, 또는 몇 개의 센싱 데이터를 평균해야 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센싱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8 bits의 값은 센싱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바이스
200: 서버

Claims (18)

  1. 제1 디바이스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센서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획득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서비스들의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와 별개인, 서비스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서비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기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서비스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서비스들의 목록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비스로 구성되는, 서비스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압력 정보, 가스 센싱 정보, 및 열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들의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발견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들의 목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기저장된 템플릿은,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 영역을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수신한 서비스들의 목록 중 하나의 서비스가 새로운 템플릿에서 동작 가능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새로운 템플릿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새로운 템플릿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수신한 서비스들의 목록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기기 ID, 기기 종류, 데이터 타입, 데이터 속성 및 센싱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0.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디바이스에 있어서,
    센서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에게 상기 생성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서비스들의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와 별개인, 제1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서비스들의 목록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되어 결정된 서비스로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압력 정보, 가스 센싱 정보, 및 열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들의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발견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들의 목록 요청 메시지는,
    상기 서버에 의해 발견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5. 제10항에 있어서,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템플릿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템플릿은,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6. 제10항에 있어서,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템플릿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한 서비스들의 목록 중 하나의 서비스가 새로운 템플릿에서 동작 가능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새로운 템플릿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새로운 템플릿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디바이스.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수신한 서비스들의 목록 정보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되는 디바이스의 기기 ID, 기기 종류, 데이터 타입, 데이터 속성 및 센싱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8.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의 현재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와 별개인, 서비스 지원 서버.
KR1020150066944A 2015-05-13 2015-05-13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0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944A KR102403062B1 (ko) 2015-05-13 2015-05-13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6792930.6A EP3295609B1 (en) 2015-05-13 2016-05-09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CN201680023153.5A CN107534682B (zh) 2015-05-13 2016-05-09 用于提供通信服务的方法和装置
PCT/KR2016/004803 WO2016182284A1 (en) 2015-05-13 2016-05-09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US15/153,210 US20160337453A1 (en) 2015-05-13 2016-05-12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944A KR102403062B1 (ko) 2015-05-13 2015-05-13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866A KR20160133866A (ko) 2016-11-23
KR102403062B1 true KR102403062B1 (ko) 2022-05-27

Family

ID=5724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944A KR102403062B1 (ko) 2015-05-13 2015-05-13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337453A1 (ko)
EP (1) EP3295609B1 (ko)
KR (1) KR102403062B1 (ko)
CN (1) CN107534682B (ko)
WO (1) WO2016182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4522B2 (en) 2015-02-06 2017-10-17 Goog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coexistence of multiple transceiver devices by optimizing component layout
US10687184B2 (en) 2016-05-13 2020-06-16 Google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tilizing radar-based touch interfaces
JP2018037976A (ja) * 2016-09-02 2018-03-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356067B2 (en) * 2016-11-02 2019-07-16 Robert Bosch Gmbh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onfigured trust domains
US10623274B2 (en) * 2016-12-12 2020-04-14 Arris Enterprises Llc Mechanism and apparatus for set-top box power off to internet of things device status display
EP3506615B1 (en) 2017-12-29 2021-02-03 InContact, Inc. Contact centre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sensor equipped devices in a contact center network
US10850727B2 (en) * 2018-03-09 2020-12-01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arking assistance
CN110335362B (zh) * 2018-03-30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停车收费的方法、设备、购物车及***
CN108718330A (zh) * 2018-04-11 2018-10-30 国电中自(合肥)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用电早期预警***
US11321641B2 (en) * 2018-08-21 2022-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seat occupancy details of one or more passengers
GB2582735B (en) * 2019-02-01 2022-11-30 Arm Ip Ltd Template-based registration
US11973894B2 (en) 2019-04-30 2024-04-30 Apple Inc. Utilizing context inform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US11438452B1 (en) * 2019-08-09 2022-09-06 Apple Inc. Propagating context information in a privacy preserving man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5280A1 (en) * 2001-09-06 2003-03-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sensual service registration and delivery
US20100280637A1 (en) 2009-04-30 2010-11-04 Alan Wade Cohn Hardware configurable security, monitoring and automation controller having modular communication protocol interfaces
US20140244001A1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many different devices from a smart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6433B1 (en) * 1998-07-20 2008-05-20 Openwave Systems Inc. Subscriber delivered location-based services
US7339484B2 (en) * 2002-06-27 2008-03-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vent-driven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CN103975345B (zh) * 2011-09-27 2018-05-1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管理社交网络中的联网资源节点之间的数据流
KR101373612B1 (ko) * 2011-11-24 2014-03-13 전자부품연구원 Nui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12065A1 (en) * 2012-02-15 2013-08-15 Flybits, Inc. Zone Oriented Applications, Systems and Methods
KR101392868B1 (ko) * 2012-07-11 2014-05-09 전자부품연구원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60250B1 (ko) * 2013-02-06 2020-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객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4123341A1 (en) * 2013-02-06 2014-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object for service of service provider
US9292832B2 (en) * 2013-02-25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decision-making in an IoT device group
US9413827B2 (en) * 2013-02-25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aware actions among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10185934B2 (en) * 2013-07-09 2019-01-22 Qualcomm Incorporated Real-time context aware recommendation engine based on a user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WO2015056928A1 (en) * 2013-10-17 2015-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ualizing sensor, service and device data with mobile devices
CN103617075B (zh) * 2013-12-04 2017-02-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应用程序推荐方法、***和服务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5280A1 (en) * 2001-09-06 2003-03-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sensual service registration and delivery
US20100280637A1 (en) 2009-04-30 2010-11-04 Alan Wade Cohn Hardware configurable security, monitoring and automation controller having modular communication protocol interfaces
US20140244001A1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many different devices from a smart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866A (ko) 2016-11-23
EP3295609A4 (en) 2018-04-04
WO2016182284A1 (en) 2016-11-17
CN107534682B (zh) 2021-01-29
CN107534682A (zh) 2018-01-02
EP3295609B1 (en) 2019-10-09
US20160337453A1 (en) 2016-11-17
EP3295609A1 (en)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062B1 (ko)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2573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security questions via connected security system
US1010250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ate replacement of depleted batteries
AU2017410210B2 (en) Garage door controlle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861305B2 (en) Drone enabled street watch
US113747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20150350820A1 (en) Beacon additional ser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background arts
CN114342357B (zh) 基于事件的记录
US10033543B2 (en) Smart vacation
US10009452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94613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service by using the same
US10061990B2 (en) Entity detection
JP6788596B2 (ja) システムの状態を集約及び解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369901B2 (en)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349927B2 (en) Smart-device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event
WO2023051643A1 (zh) 设备控制方法、相关装置及通信***
US11893875B1 (en) Continuous active mode for security and automation systems
US20240160298A1 (en) Point and gesture control of remote devices
KR20220154914A (ko)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70131017A (ko)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ip 단말기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