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613B1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613B1
KR102402613B1 KR1020140158682A KR20140158682A KR102402613B1 KR 102402613 B1 KR102402613 B1 KR 102402613B1 KR 1020140158682 A KR1020140158682 A KR 1020140158682A KR 20140158682 A KR20140158682 A KR 20140158682A KR 102402613 B1 KR102402613 B1 KR 102402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yoke
cover member
housing
recess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7721A (en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613B1/en
Publication of KR2016005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7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보빈에 형성되는 함몰홈에 수용되는 요크; 및 상기 요크와 상기 함몰홈의 측면 사이의 마찰발생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the cover member;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over member; a bobbi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yoke bent inside the cover member and accommodated in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bobbin; and a friction reducing unit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yok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IT products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computer with a built-in micro digital camera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종래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되는 IT제품의 경우, 외부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렌즈 구동장치가 내장되어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IT product with a built-in miniature digital camera, an image sensor that converts external light into a digital image or digital image and a lens driving device that aligns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re built-in.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는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형성된 디지털 이미지의 선명성을 기준으로 이미지 센서에 가장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되는 지점을 찾는 오토 포커싱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pact digital camera is configured to execute autofocusing control that finds the point where the sharpest image is generated on the image sensor based on the sharpness of the digital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in order to perform the autofocus function can be

오토 포커싱 제어는, 렌즈가 설치되는 보빈이 상기 보빈을 감싸는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요크에 의해 가이드되어 광축방향 즉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토 포커싱 제어과정에서 보빈이 이동함에 따라 보빈과 상기 요크 사이의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The auto-focusing control may be performed while a bobbin on which a lens is installed is guided by a yoke formed on a cover member surrounding the bobbin and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However, as the bobbin moves in the auto-focusing control process, friction between the bobbin and the yoke may occur.

이러한 마찰의 발생은 렌즈 구동장치에 불필요한 진동발생, 열발생, 보빈 또는 요크의 마찰에 의한 마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generation of such friction has problems in that unnecessary vibration, heat, and wear due to friction of the bobbin or yoke occur in the lens driving device.

따라서, 실시예는, 보빈과 요크 사이의 마찰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remarkably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bobbin and the yok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보빈에 형성되는 함몰홈에 수용되는 요크; 및 상기 요크와 상기 함몰홈의 측면 사이의 마찰발생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the cover member;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over member; a bobbi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yoke bent inside the cover member and accommodated in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bobbin; and a friction reducing unit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yok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상기 커버부재는 제1방향으로 보아 외형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커버부재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cover member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yoke may be form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요크와 상기 함몰홈 측면의 마찰부위를 롤링하는 롤링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friction reducing unit may be provided as a rolling ball for rolling the friction portion of the yoke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상기 롤링볼은 상기 요크 및 상기 함몰홈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볼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일 수 있다.The rolling ball may be seated on a ball seating portion formed on any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yoke and the recessed groove.

상기 볼안착부는, 상기 요크에 관통형성되는 볼관통홀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ball seat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ball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yoke.

상기 볼관통홀은 삼각형, 마름모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ball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ny one shape of a triangle, a rhombus, or a square.

상기 볼관통홀은 하부가 개방된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형성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ball through hole may be formed by forming any one of a triangle or a square with an open bottom.

상기 함몰홈은 상기 보빈의 내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부는 상기 함몰홈의 측면에 함몰형성되는 볼수용홈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recessed groove may be formed in an open shap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bbin, and the ball se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viewing groove recessed in a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상기 볼수용홈은 삼각형, 마름모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viewing groove may be formed in any one shape of a triangle, a rhombus, or a square.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요크에 상기 함몰홈 측면에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돌출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friction reducing part may be one in which a protruding contact part that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yoke from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is formed.

상기 돌출접촉부는, 상기 요크를 물결형상으로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may be provided by forming the yoke in a wave shape.

상기 함몰홈은 상기 보빈의 내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recessed groove may be formed to be opened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bobbin.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에 코일이 장착되고, 상기 보빈의 외측에 상기 코일에 대응하는 제1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상기 보빈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코일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a coil is mounted on the housing, and a first magnet corresponding to the coil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and the bobbin is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coil.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y

상기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의 중앙부에는 상기 보빈의 제1방향 이동 변위값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coil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il.

상기 하우징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코일이 장착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코일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housing may have four side surfaces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coil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 surfaces, and the number of the first magnet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coils.

상기 어느 하나의 코일 중앙부에는 상기 보빈의 제1방향 이동 변위값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ne coil.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보빈의 외측에 코일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코일에 대응하는 제1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상기 보빈은 상기 제1마그네트와 상기 코일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a coil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a first magnet corresponding to the coil is mounted on the housing, and the bobbin is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coil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y

상기 보빈에는 제2마그네트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보빈의 제1방향 이동 변위값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상기 제2마그네트와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A second magnet may be mounted on the bobbin, and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mounted on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second magnet.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내측 프레임은 상기 보빈과 결합하고,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탄성부재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the inner frame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uter frame may include at least one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보빈에 형성되는 함몰홈에 수용되는 요크; 및 상기 요크와 상기 함몰홈 측면의 마찰부위를 롤링하는 롤링볼을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the cover member;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over member; a bobbi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yoke bent inside the cover member and accommodated in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bobbin; And it may include a rolling ball for rolling the friction portion of the yoke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렌즈 구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보빈에 형성되는 함몰홈에 수용되는 요크; 및 내측 프레임은 상기 보빈과 결합하고,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에는 상기 함몰홈 측면에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돌출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the cover member;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over member; a bobbi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yoke bent inside the cover member and accommodated in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bobbin; And the inner frame is coupled to the bobbin, the outer frame includes at least one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the yoke may be formed with a protruding contact portion sliding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각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 및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PCB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the lens driving device of each embodiment; and a PCB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mounted.

실시예에서, 보빈의 제1방향 이동시 보빈의 함몰홈 측면과 요크는 상기 롤링볼에 대해 구름접촉(rolling contact)을 하게 되므로 보빈의 함몰홈 측면과 요크가 면접촉을 하면서 슬라이딩하는 경우보다 마찰력의 크기, 열발생, 보빈 또는 요크의 마찰에 의한 마멸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when the bobbin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since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of the bobbin and the yoke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olling ball, the frictional force is lower than when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of the bobbin and the yoke slide while making surface contact. It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wear due to size, heat generation, and friction of the bobbin or yoke.

또한, 상기 요크의 일면과 타면에 돌출접촉부를 형성하여 요크와 함몰홈 측면 사이 슬라이딩 면적을 줄여 마찰력의 크기, 열발생, 보빈 또는 요크의 마찰에 의한 마멸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rotruding contact portion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yoke, the sliding area between the yoke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is reduc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gnitude of frictional force, heat generation, and abrasion due to friction of the bobbin or the yok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렌즈 구동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볼관통홀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링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볼수용홈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돌출접촉부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lens driving device of FIG. 3 in an assembled stat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rolling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olling ball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to 1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each embodiment of the ball through hole.
1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olling ball is moun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7 to 1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each embodiment of the groove for viewing.
20 to 2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each embodiment of the protruding contact par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up (up)" or "below (on or under)" of each element, on (on or under) ) includes both elements in which two elem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elements indirectly.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on or under)”,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may be included.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Also, as used hereinafter, relational terms such as "upper/upper/above" and "lower/lower/below" etc.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x, y, z) may be used in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x-axis and y-axis mea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a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s the third direction.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300)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렌즈 구동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memb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lens driving device of FIG. 3 in an assembled state.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가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에 위치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렌즈 구동장치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device that adjusts a distance between a lens and an image sensor in a camera module so that the image sensor is positioned at a focal length of the lens. That is, the lens driving device is a device that performs an auto-focusing func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커버부재(300), 요크(330), 탄성부재(150), 인쇄회로기판(170), 보빈(110),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코일(120), 위치감지센서(180), 베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cover member 300 , a yoke 330 , an elastic member 150 , a printed circuit board 170 , a bobbin 110 , and a first It may include a magnet 130 , a housing 140 , a coil 120 , a position sensor 180 , and a base 210 .

커버부재(300)는 전체적으로 상자 형태를 구비하고 제1방향으로 보아 외형이 대략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베이스(210)와 함께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 탄성부재(150), 보빈(110), 상기 보빈(110)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코일(120) 및 인쇄회로기판(170)을 수용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300 may have a box shape as a whole, may have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210 . The cover member 300 includes an elastic member 150 , a bobbin 110 , a first magnet 130 provided in the bobbin 110 , a housing 140 , and the inner space formed together with the base 210 . The coil 12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provided in the housing 140 may be accommodated.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부면에 보빈(110)에 결합되는 렌즈가 외부광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개구부에는 광투과성 물질로 구성된 윈도우가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300 may have an opening on its upper surface through which a lens coupled to the bobbin 110 can be exposed to external light. In addition, a window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opening,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camera module.

상기 커버부재(300)는 하부에서 제1 홈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210)는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210)가 결합될 때 상기 제1 홈부(310)와 맞닿는 부분 즉, 제1 홈부(31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2 홈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210)가 결합시 제1 홈부(310)와 제2 홈부(211)의 결합을 통해 일정 면적의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요홈부에는 점도를 갖는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300 may include a first groove portion 310 in the lower portion. At this time, the base 210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groove portion 310 when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210 are coupled, that is, a second groove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ortion 310 . (211) may be provided. When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210 are coupled, a concav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may b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first groove portion 310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211 . An adhesive member having a viscosity may be applied to the recess.

즉, 상기 요홈부에 도포된 접착부재는 상기 요홈부를 통해 커버부재(300)와 베이스(2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갭(gap)을 메워, 커버부재(300)가 베이스(210)와 결합되면서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21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210)가 결합되면서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That is, the adhesive member applied to the recessed portion fills a gap betwee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210 through the recessed portion, so that the cover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base 210 and While being coupled, it is possible to seal a space between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210 , and as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210 are coupled, the side surface may be sealed.

또한, 커버부재(300)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단자면과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단자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자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제3 홈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부(320)는 상기 단자면과 마주보는 면 전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3 홈부(320) 안쪽으로 상기 접착부재를 도포하여 커버부재(300)와 베이스(210) 및 인쇄회로기판(170)을 밀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210)가 결합되면서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groove portion 320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formed on the terminal surface. The third groove portion 320 may be concavely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facing the terminal surface, and the adhesive member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groove portion 320 to provide the cover member 300, the base 210, and printing. The circuit board 170 may be sealed, and the side surface may be sealed while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210 are coupled.

한편, 상기 제1 홈부(310) 내지 상기 제3 홈부(320)는 베이스(210)와 커버부재(300)에 각각 형성되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베이스(210)에만 형성되거나, 커버부재(300)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groove portion 310 to the third groove portion 320 are formed in the base 210 and the cover member 300, respectivel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formed only in the base 210 in a similar shape or ,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only on the cover member 300 .

요크(33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00) 내측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보빈(110)에 형성되는 함몰홈(110a, 도 4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300)는 제1방향으로 보아 외형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330)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4개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yoke 330 may be bent inside the cover member 300 and accommodated in a recessed groove 110a (refer to FIG. 4 ) formed in the bobbin 110 . Meanwhile, the cover member 3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four yokes 330 may be formed at corners of the cover member 300 .

보빈(110)은 상기 요크(3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요크(330)는 상기 보빈(110)에 형성되는 함몰홈(110a)의 측면과 서로 마찰을 일으킬 수 있고, 보빈(110)과 함몰홈(110a)의 측면이 서로 마찰을 일으키는 면적이 커질수록 소음발생, 렌즈 구동장치의 오토 포커싱 성능의 불량, 마찰열의 발생, 마찰로 인한 부품의 마멸발생 등 렌즈 구동장치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 bobbin 110 may be guided by the yoke 330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ly, the yoke 330 may cause friction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formed in the bobbin 110, and the area where the side surface of the bobbin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rub against each other will increase. It may advers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lens drive device, such as noise generation, poor autofocusing performance of the lens drive device, generation of frictional heat, and wear of parts due to friction.

따라서, 요크(330)와 함몰홈(110a) 측면이 서로 마찰을 일으키는 면적,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일 필요가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마찰저감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rea where the side surfaces of the yoke 330 and the recessed groove 110a rub against each other and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ich can be implemented by a friction reduc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베이스(21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300)(300)와 결합하여 보빈(110) 및 하우징(140)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base 21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cover members 300 and 30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for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

상기 베이스(210)의 하부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외측방향으로 소정 두께 돌출된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의 상기 소정 두께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상기 커버부재(300)의 측면은 상기 단턱부의 상부 또는 측면에 안착 또는 접촉 또는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단턱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00)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의 단부가 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300)의 단부는 밑면 또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와 커버부재(300)의 단부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 및 밀봉될 수 있다.A stepped portion protruding outwar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lower edge of the base 210 . The predetermined thickness of the stepped portion is the same as the side thickness of the cover member 300 , and when the cover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base 210 ,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member 300 is the upper portion of the stepped portion. Or it may be seated or contacted or disposed or coupled to the sid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guide the cover member 30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epped portion, and further, the end of the cover member 300 may be coupled to be in surface contact, and the end of the cover member 300 has a bottom surface. or sides. In this case, the step portion and the end of the cover member 300 may be adhesively fixed and seal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제1 홈부(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홈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홈부(211)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제1 홈부(310)와 결합하여 요홈부를 형성하며, 접착부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stepped portion, a second groove portion 2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ortion 310 of the cover member 300 .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groove portion 211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groove portion 310 of the cover member 300 to form a groove portion, and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adhesive member is filled.

상기 베이스(210)는 중앙부근에서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210 may have an opening near the center. The opening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n image sensor disposed in the camera module.

또한, 상기 베이스(210)는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직각으로 돌출된 네 개의 가이드부재(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다각기둥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16)는 후술할 하우징(140)의 하부 가이드홈(148)에 삽입 또는 체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부재(216)와 상기 하부 가이드홈(148)로 인해, 상기 베이스(210)부의 상부에 하우징(140)이 안착 또는 배치될 때, 상기 베이스(210) 상의 하우징(14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고, 동시에 하우징(140)이 렌즈 구동장치(100)의 작동과정 중 진동 등으로 인해 또는 결합과정 중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장착되어야 할 기준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210 may include four guide members 216 that protrude at right angles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four corners. The guide member may have a polygonal prism shape. The guide member 216 may be inserted, fastened, or coupled to a lower guide groove 148 of the housing 14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way, due to the guide member 216 and the lower guide groove 148 , when the housing 140 is seated o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210 , the housing 140 on the base 210 is coupled. It is possible to guide the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using 1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be mounted due to vibration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ens driving device 100 or the operator's mistake during the coupling process.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은 전체적으로 중공기둥 형상,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코일(1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보빈(110)이 상기 하우징(14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빈(110)을 수용할 수 있다.3 and 4, the housing 140 as a whole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low column,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shape of a hollow square column. The housing 140 is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one or more coils 120 , and can accommodate the bobbin 110 so that the bobbin 110 is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40 . have.

상기 하우징(140)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코일(120)이 장착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상기 코일(1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140 has four side surfaces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coil 120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 surfaces, and the first magnet 130 is equal to the number of coils 120 and the number of the coils 120 . The same number may be provided.

즉, 상기 하우징(140)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평평한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0)의 측면은 상기 코일(120)과 대응되는 면적 또는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housing 140 may have four flat side surfaces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40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or larger than that of the coil 12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의 4개의 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코일(120)이 장착되는 관통공 또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 또는 홈은 상기 코일(12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를 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4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or groove in which the coil 120 is mounted. The through hole or groove for the magnet may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il 120 , and may also have a shape capable of guiding.

상기 코일(120)은 대체적으로 타원형의 폐곡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코일(120)의 양 끝선은 인쇄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코일(1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20)과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보빈(110)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130)는 서로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고, 이에 따라 보빈(110)은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렌즈 구동장치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il 1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elliptical closed curve, and both ends of the coil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to receive current from the outsid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20 , the coil 120 and the first magnet 130 provided in the bobbin 110 corresponding thereto electromagnetic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bobbin 110 is the first direction, the lens driving device may perform an auto-focusing function.

도 3에서는 1개의 코일(120)과 이에 대응하는 1개의 제1마그네트(13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하우징(140)의 4개의 평평한 측면에는 각각 코일(120) 장착을 위한 관통공 또는 홈이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관통공 또는 홈에는 상기 코일(120)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하우징(140)에는 최대 4개의 코일(120)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보빈(110)의 외측에는 상기 코일(120)에 대응되는 개수의 제1마그네트(130)가 장착될 수 있다.In FIG. 3 , one coil 120 and one first magnet 130 corresponding thereto are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rough holes or grooves for mounting the coil 12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our flat sides of the housing 140 , and the coil 120 may be mounted in each of the through holes or grooves. Accordingly, a maximum of four coils 120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140 of the embodiment.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first magnets 13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irst magnets 130 corresponding to the coil 120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110 .

보빈(110)은 상기 하우징(140) 내부에 수용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은 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제1마그네트(130)가 상기 코일(1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함에 따라 제1방향으로 고정된 하우징(14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으로 인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보빈(11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다.The bobbin 1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40 and provid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bobbin 110 reciprocates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40 fixed in the first direction as the first magnet 130 fixedly mounted thereto interacts electromagnetically with the coil 120 . It can be configured to be possible. An auto-focusing function may be execu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The bobbin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마그네트(130)는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코일(120)(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빈(110)의 외측에는 제1마그네트(130)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 13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s 120 and 120 provided in the housing 140 . To this end,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magnet 130 is mounted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110 .

또한, 상기 보빈(110)에는 상기 하우징(140)에서 코일(120)이 장착되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평평한 측면과 대응되는 서로 수직한 4개 평평한 측면이 형성될 수 있고, 보빈(110)의 상기 4개의 측면 각각에 상기 코일(1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1마그네트(13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110 may have four flat side surfaces tha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on which the coil 120 is mounted in the housing 140 and four perpendicular flat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bobbin 110 . The number of first magnets 130 equal to the number of the coils 120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140)의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을 N극, 바깥쪽 면은 S극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제1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2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gnet 13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nd for example, the surface facing the coil 120 of the housing 140 may be an N pole, and the outer surface may be an S pole. ha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vers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the first magnet 130 may be divided into two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위치감지센서(180)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 변위값을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180)는 솔더링 또는 납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170)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The position sensor 18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13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detect a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can do. 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180 is electrical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by soldering or soldering method.

상기 위치감지센서(180)는 하우징(140)에 장착되는 제1마그네트(13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180)는 홀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홀센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자기력 이외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포토리플렉터 등을 이용한 방식도 가능하다.The position sensor 180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magnetic force emitted from the first magnet 130 mounted on the housing 140 . Also, the position sensor 180 may be a Hall sensor. However, as an example,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Hall sensor, and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can be used, and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position other than magnetic force is possible, for example For example, a method using a photoreflector or the like is also possib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감지센서(180)는 렌즈 구동장치 구조의 단순화, 조립작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면 코일(120)의 중앙부, 예를 들어 타원형의 폐곡선 형태로 코일(120)이 구비되는 경우 코일(120)의 내측 공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4 , the position sensor 180 has a central portion of the coil 120, for example, in the form of an elliptical closed curve, in consideration of the simplific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structure and the ease of assembly work. When provided, it is appropriate to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coil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예를 들어 코일(12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한 노이즈로 인해 위치감지센서(180)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우 상기 노이즈를 피하기 위해 코일(120)의 측부,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위치감지센서(180)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That is, for example, when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80 is lowered due to noise caused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coil 120, the position sensing sensor ( 180) can also be placed.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에서는 제1마그네트(13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1마그네트(130)가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구동시킴과 동시에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 변위값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3 and 4, in the lens driving devic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magnet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i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n this structure, the first magnet 130 may act as a means for driving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and sens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at the same time.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는 제1마그네트(13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고정된 구조이므로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 변위값을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제2마그네트(190)가 필요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5 , in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ince the first magnet 130 has a fixed structure that does not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he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sensed. In order to do this, a separate second magnet 190 is required.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인쇄회로기판(170)은 하우징(140)의 일측면에 결합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복수 개의 단자(17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보빈(110)의 코일(120) 및 위치감지센서(18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형성된 단자(171)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FPCB로 마련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may be coupled 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40 . As shown in FIG. 1 ,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171 disposed therein, and an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120 and the position sensor 180 of the bobbin 110 to supply current. can supply The number of terminals 171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types of components that need to be controlled.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may be provided as an FPCB.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상기 위치감지센서(180)에서 감지된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 변위값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120)의 인가전류량을 재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제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 상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실장되지 않고 별도의 다른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며, 이는 카메라모듈의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기판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 다른 기판일 수도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readjust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20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movement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180 . That is, the control unit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be mounted on a separate substrate rather than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which may be a substrate on which the image sensor of the camera module is mounted, or may be a separate substrate. .

탄성부재(150)는 상기 보빈(110)이 개루프 제어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빈(110)이 폐루프 제어 즉, 피드백 제어를 받는 경우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별도의 지지수단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드백 제어의 경우에도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본 중심이 제1방향 축인 z축과 수직한 x-y평면상에서 기 설정된 중심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탄성부재(150)가 사용될 수도 있다.When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open-loop control, the elastic member 150 may elastically support the ascending and/or lowering operation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bbin 110 is subjected to closed-loop control, that is, feedback control, a separate support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mov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may not be required. However, even in the case of such feedback control, the elastic member 150 may be used so that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does not deviate from a preset center on th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z-axis which is the first direction axis.

한편, 탄성부재(150)는 금속재질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50)는 인쇄회로기판(170)과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인쇄회로기판(170)과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15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Meanwhile, the elastic member 1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the same material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 Also, the elastic member 150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 or may be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 A specific structure of the elastic member 15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는 도 3의 렌즈 구동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제1마그네트(130)와 코일(120)의 장착위치가 서로 바뀌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보빈(110)의 외측에 코일(120)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40)에 상기 코일(120)에 대응하는 제1마그네트(130)가 장착되며, 상기 보빈(110)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상기 코일(1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Compared to the lens driving device of FIG. 3 , the lens driving device of the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coil 120 are chang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coil 120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110 , the first magnet 130 corresponding to the coil 120 is mounted on the housing 140 , and the bobbin 110 is the second 1 It may be provid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 130 and the coil 120 .

이때, 상기 하우징(140)의 4개의 측면은 제1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적 또는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40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130 or larger than that.

상기 하우징(140)의 4개의 측면 중에서 마주하는 양측면 각각에는 제1마그네트(130)가 장착되는 마그네트용 관통공 또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 또는 홈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를 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 각각에는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는 총 2개의 제1마그네트(130)가 장착될 수 있다.A through hole or groove for a magnet in which the first magnet 130 is mounted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40 . The through hole or groove for the magnet may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130 , and may also have a shape capable of guiding. For example, a total of two first magnets 130 facing each other may be mounted in each of the through-holes for the magnets.

또한, 상기 하우징(140)의 4개의 측면 중에서 상기 제1마그네트(130)가 장착되는 양측면에 직각인 일측면 또는 상기 양측면 이외의 면에는 후술할 위치감지센서(180)가 장착되는 센서용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용 관통공은 위치감지센서(18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In addition, among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40, one side orthogonal to both sides on which the first magnet 130 is mounted or a side other than the both sides has a through hole for a sensor to whic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can be provided. It is appropriate that the through hole for the sensor has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ensor 180 .

한편, 상기 제1마그네트(130)은 상기 하우징(140)에 고정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커버부재(300)의 내측에 고정될 수도 있고, 기타 보빈(110)에 구비되는 코일(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부품에도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별도의 제1마그네트용 고정부재가 상기 렌즈 구동장치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magnet 130 may be disposed in such a way that it is not fixed to the housing 140 . For example, the first magnet 13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member 300 , and if it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120 provided in the other bobbin 110 , it can be applied to any component. It may be fixedly disposed, and a separate fixing member for the first magne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lens driving device.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보빈(110)에 구비되는 코일(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빈(110)의 코일(120)을 마주보는 면을 N극, 바깥쪽 면은 S극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제1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2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magnet 13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120 provided in the bobbin 110 . In addition, the first magnet 13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for example, the surface facing the coil 120 of the bobbin 110 may be arranged to be an N pol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110 may be an S pole.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vers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the first magnet 130 may be divided into two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일정 폭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 또는 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넓은 면이 하우징(140)의 측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제1마그네트(130)들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 130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certain width, and is seated in a through hole or groove for the magnet so that the wide surface of the first magnet 130 form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40 . can In this case, the first magnets 130 facing each other may be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빈(110)에는 제2마그네트(190)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40)에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 변위값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80)가 상기 제2마그네트(190)와 대응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감지센서(180)는 제2마그네트(190)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보빈(110)의 변위값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a second magnet 190 is mounted on the bobbin 110 , and a position sensor 180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housing 140 . It may be mount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magnet 190 . Accordingly, the position sensor 180 may detect a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second magnet 190 .

상기 하우징(140)의 일측면에는 센서용 관통공 또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용 관통공에는 위치감지센서(180)가 장착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180)는 솔더링 또는 납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170)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하우징(140)의 4개의 측면 중에서 상기 센서용 관통공 또는 홈이 구비되는 일측면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A through hole or groove for a sens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40, a position sensor 180 is mounted in the through hole for the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180 is printed circuit by soldering or soldering method. It is electrical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70 . That is, the printed circuit board 17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140 on which the through hole or groove for the sensor is provided among fou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40 .

상기 위치감지센서(180)는 보빈(110)의 센싱용 제2마그네트(190)와 함께 상기 보빈(11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판단하는 변위감지부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180) 및 상기 센서용 관통공 또는 홈은 상기 제2마그네트(19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마그네트(19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80 may be a displacement detecting unit that determines a first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econd magnet 190 for sensing of the bobbin 110 . To this end, the position sensor 180 and the through hole or groove for the senso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magnet 190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gnet 19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코일(120)이 설치되는 코일용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으나, 안착부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a seating groove for a coil in which the coil 120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 but only a se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상기 코일(120)은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코일용 안착홈 또는 안착부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120)을 직접 보빈(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코일용 안착홈 또는 안착부에 권선할 수도 있다.The coil 120 may be provided as a ring-shaped coil block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or a seating groove or seating portion for the coi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il 1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bbin ( 110) may be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seating groove or seating portion for the coil.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만일 제1마그네트(130)가 제1방향에 수직한 면으로 2분할 되어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이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될 경우, 상기 코일(120) 역시 분할된 제1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f the first magnet 130 is divided into two plane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surface facing the coil 120 is divided into two or more, the coil 120 is also It is also possible to be divided into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first magnet 130 .

한편, 보빈(110)은 제2마그네트(1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마그네트(190)는 상기 보빈(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마그네트(190)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시에 상기 보빈(110)과 동일한 변위량만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the bobbin 110 may include a second magnet 190 . The second magnet 190 may be mounted on the bobbin 110 . Accordingly, the second magnet 190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same amount of displacement as the bobbin 110 when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빈(110)의 상부 방향이 N극, 보빈(110)의 하부 방향이 S극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2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gnet 13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nd for example, the upper direction of the bobbin 110 may be an N pole and a lower direction of the bobbin 110 may be an S po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vers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Also, the first magnet 130 may be divided into two plan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11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11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bbi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bobbi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기 보빈(110)은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120)과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으로 인해 보빈(110)은 제1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토 포거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bobbin 11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40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coil 120 and the driving magnet 130 , the bobbin 110 may reciprocate in the first direction, thereby performing an auto-focusing function.

또한, 보빈(110)의 상부면에는 탄성부재(150)와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지지돌기(1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50)가 상기 보빈(1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보빈(110)의 하부면에도 탄성부재(150)와 결합을 위한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13 for coupling with the elastic member 15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1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stic member 150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bbin 110 ,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for coupling with the elastic member 15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10 .

지지돌기(113)는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의 상기 지지돌기(11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 통공(151a)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돌기(113)와 제2 통공(151a) 또는 홈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돌기(113)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113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or prismatic shape, and may couple and fix the inner frame 151 and the bobbin 110 of the elastic member 15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second through hole 151a or a groov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113 of the inner frame 151 of the elastic member 150 . At this time, the support protrusion 11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1a or the groove may be fixed by thermal fusion, or may be fixed with an adhesive member such as epoxy.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13 may be provided.

이때, 각각의 지지돌기(113)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지지돌기(11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이들의 간격이 일정하지는 않으나, 보빈(110)의 중심을 지나는 특정 가상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support protrusions 113 may be appropriately arranged within a range that can avoid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components. That is, each of the support protrusions 113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 and their intervals are not constant, but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a specific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 It may be formed to become this.

상기 보빈(110)의 상부면에는, 탄성부재(150)의 연결부재(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피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An escape groove 1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member 153 of the elastic member 150 .

상기 도피홈(112)이 구비됨으로써, 보빈(110)이 하우징(14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부재(150)의 연결부재(153)와 보빈(110)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여 연결부재(153)의 탄성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피홈(112)의 위치는 실시예처럼 하우징(140)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탄성부재(150)의 연결부재(153) 형상 및/또는 위치에 따라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By providing the escape groove 112, when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40, spatial interferenc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53 of the elastic member 150 and the bobbin 110 is removed,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53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escape groove 112 may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housing 140 as in the embodiment, but may be disposed on the side according to the shape and/or loc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53 of the elastic member 150 . .

한편, 탄성부재(150)가 상기 보빈(1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보빈(110)의 하부면에도 도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stic member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110 , respectively, an escap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10 .

함몰홈(110a)은 요크(33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요크(330)는 상기 커버부재(300) 내측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보빈(110)에 형성되는 함몰홈(110a)에 수용될 수 있고, 함몰홈(110a)에 수용되는 요크(3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보빈(110)은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recessed groove 110a may serve to accommodate the yoke 330 . That is, the yoke 330 is bent inside the cover member 300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groove 110a formed in the bobbin 110, and the yoke 330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groove 110a. Guided by the bobbin 110, the bobbin 11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요크(330)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몰홈(110a)은 요크(33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보빈(11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Since a total of four yokes 330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cover member 300 , the recessed grooves 110a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yokes 330 at the corners of the bobbin 110 . A total of 4 each may be formed.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의 경우, 보빈(110)에는 제2마그네트(19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case of the lens driving devic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magnet 190 may be provided in the bobbin 110 .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빈(1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을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the bobbin 110 may include a lens barrel (not shown)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in various ways.

예컨대,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 female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110 , and a 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and 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by screwing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s barrel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by methods other than screw coupling without forming a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 Alternatively, the one or more lense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bbin 110 without a lens barrel.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ns coupled to the lens barrel may be configured as one sheet,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ystem.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5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탄성부재(150)(150)는 보빈(110)과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151)과 하우징(140)과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52) 및 내측 프레임(151)과 외측 프레임(15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8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astic memb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s 150 and 150 are an inner frame 151 coupled to the bobbin 110 , an outer frame 152 coupled to the housing 140 , and a connection connecting the inner frame 151 and the outer frame 152 . A member 153 may be included.

상기 연결부재(153)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은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53 may be bent at least once to form a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bobbin 110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53 and a minute deformation.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0)는 외측 프레임(152)에서 복수의 제1 통공(152a)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151)에서 복수의 제2 통공(151a)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 the elastic member 150 ha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holes 152a in the outer frame 152 ,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holes 151a in the inner frame 151 . can be provided

상기 제1 통공(152a)은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제2 통공(151a) 또는 홈은 보빈(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113)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52)은 제1 통공(152a)을 통하여 하우징(140)에 고정 및 결합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151)은 제2 통공(151a) 또는 홈을 통하여 보빈(110)에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152a is coupled to a support protrus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1a or groove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11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10 and can be combined That is, the outer frame 152 is fixed and coupled to the housing 14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52a, and the inner frame 151 is fixed to the bobbin 11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51a or groove. and may be combined.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내측 프레임(151)이 상기 외측 프레임(152)에 대해 제1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151)과 상기 외측 프레임(152)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보빈(110)의 상부면에 고정 또는 결합되는 상기 내측 프레임(151)과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고정 또는 결합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152)을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이로 인해 별개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있는 보빈(110)과 하우징(140)은 상부에서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53 may connect the inner frame 151 and the outer frame 152 such that the inner frame 151 is elastically deform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outer frame 152 in the first direction. have. 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153 rides on the inner frame 151 fixed o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10 and the outer frame 152 fixed o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which are sexually connected and thus separated as separate parts, can be elastically connected by the elastic member 150 at the upper part.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50)는 보빈(110)의 하측에도 구비할 수 있고, 보빈(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경우에도 보빈(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구조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member 15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110 , and even in the case of the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110 , the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110 . It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nd structure to (150).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볼(B)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볼(B)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rolling ball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ing ball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ounted.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330)와 상기 함몰홈(110a)의 측면 사이의 마찰발생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마찰저감부의 일 실시예로 상기 요크(330)와 상기 함몰홈(110a) 측면의 마찰부위를 롤링하는 롤링볼(B)로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a friction reducing part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yoke 33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may be included, and as an embodiment of the friction reducing part, the yoke 330 and It may be provided as a rolling ball (B) for rolling the friction portion on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이때, 일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330)에 형성되는 볼안착부에 안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링볼(B)은 상기 보빈(11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요크(330)에 형성되는 볼안착부에 대해 롤링을 하고 또한, 상기 함몰홈(110a)의 측면에 대해 롤링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롤링볼(B)의 재질은 내구성을 고려하여 마멸에 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In this case,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 it may be provided to be seated on a ball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yoke 330 . The rolling ball (B) rolls with respect to the ball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yoke 330 as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also rolls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can be provided to do so. At this time, it is appropriate to use a material resistant to abrasion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as the material of the rolling ball (B).

실시예에서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시 보빈(110)의 함몰홈(110a) 측면과 요크(330)는 상기 롤링볼(B)에 대해 구름접촉(rolling contact)을 하게 되므로 보빈(110)의 함몰홈(110a) 측면과 요크(330)가 면접촉을 하면서 슬라이딩하는 경우보다 마찰력의 크기, 열발생, 보빈(110) 또는 요크(330)의 마찰에 의한 마멸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when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of the bobbin 110 and the yoke 330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olling ball B, so the bobbin 11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frictional force, heat generation, and wear due to friction of the bobbin 110 or the yoke 330 than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and the yoke 330 slide while making surface contact. .

한편, 상기 볼안착부는 일 실시예로 상기 요크(330)에 관통형성되는 볼관통홀(3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안착부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함몰홈(110a)의 측면에 함몰형성되는 볼수용홈(110a-1)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볼관통홀(331)과 볼수용홈(110a-1)의 각 실시예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ball seat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ball through hole 331 formed through the yoke 330 in an embodimen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ll seating part, it may be provided with a ball groove (110a-1) which is recessed on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Each embodiment of the ball through hole 331 and the groove for seeing (110a-1)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롤링볼(B)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30)와 함몰홈(110a)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서는 1개 내지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요크(330)와 함몰홈(110a)의 개수가 5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에서는 상기 롤링볼(B)은 5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rolling balls (B)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yoke 330 and the recessed grooves 110a, and thus 1 to 4 may be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course, in the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number of the yoke 330 and the recessed grooves 110a is 5 or more, the rolling ball B may be provided in 5 or more.

롤링볼(B)은 보빈(110)의 안정적인 제1방향 이동을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실시예에서 제1마그네트(130)가 보빈(110)에 장착되고 코일(120)이 하우징(140)에 장착된 경우이며, 제1마그네트(130)와 코일(12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이용할 수 있는 자성재질의 롤링볼(B)을 사용하는 경우, 롤링볼(B)이 자기력에 의해 안정적인 롤링이 될 수 있도록, 롤링볼(B)을 제1마그네트(130)와 코일(120)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It is appropriate that the rolling ball (B) is provided in plurality for the stable mov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the first magnet 130 is mounted on the bobbin 110 and the coil 120 is mounted on the housing 140,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coil 120 is When using the available magnetic material rolling ball (B), the rolling ball (B) to be stable rolling by magnetic force, the rolling ball (B) to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coil 120 Adjacent placement is appropriate.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30)와 코일(120)이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에서 2개 이상의 롤링볼(B)을 사용하는 경우, 도 10에서 제1마그네트(130)와 코일(120)에 인접한 위치에 롤링볼(B1, B2)을 반드시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when two or more rolling balls B are used in the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coil 120 are provided one by one, the first magnet in FIG. It is appropriate to always arrange the rolling balls B1 and B2 at positions adjacent to 130 and the coil 120 .

도 11 내지 도 15는 볼관통홀(331)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관통홀(331)은 폐쇄된 형태 또는 요크(330)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11 to 1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each embodiment of the ball through hole (331). As shown, the ball through hole 331 may be provided in a closed form or in an open form at one side of the yoke 330 .

폐쇄된 형태의 볼관통홀(331)은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30)를 정면으로 보아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30)를 정면으로 보아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30)를 정면으로 보아 마름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closed ball through hole 331 may be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yoke 330 as shown in FIG. 11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 the yoke 33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 the yoke 330 may be provided in a rhombus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한편, 요크(330)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볼관통홀(331)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30)를 정면으로 보아 하부가 개방된 삼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30)를 정면으로 보아 하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ll through-hole 331 of the form in which one side of the yoke 330 is opened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triangle in which the lower part is opened when the yoke 330 is viewed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14 .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 the yoke 33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lower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이상에서 볼관통홀(331)의 몇가지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볼관통홀(331)은 롤링볼(B)을 장착하여 상기 롤링볼(B)이 상기 요크(330)와 상기 함몰홈(110a)의 측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롤링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Several embodiments of the ball through hole 331 have been present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ball through hole 331 is equipped with a rolling ball (B) so that the rolling ball (B) can be stably rolled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s of the yoke 330 and the recessed groove 110a. It can also be formed in a shape.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링볼(B)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홈(110a)은 상기 보빈(110)의 내측방향 즉, 보빈(110)의 중심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부는 상기 함몰홈(110a)의 측면에 함몰형성되는 볼수용홈(110a-1)으로 구비될 수 있다.1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ing ball (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mounted. As shown in FIG. 16 , the recessed groove 110a is formed in an open shap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bbin 110 , that is,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bobbin 110 , and the ball seating part is the recessed groove 110a. It may be provided as a groove for viewing (110a-1) that is recessed on the side of the.

상기 롤링볼(B)은 상기 보빈(11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요크(330)의 일면에 대해 롤링을 하고 또한, 상기 함몰홈(110a)의 볼수용홈(110a-1)에 대해 롤링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마찬가지로 롤링볼(B)의 재질은 내구성을 고려하여 마멸에 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The rolling ball (B) rolls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yoke 330 as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also with respect to the bobbin groove 110a-1 of the recessed groove 110a. It may be provided to roll. At this time, it is appropriate to use a material resistant to abrasion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as the material of the rolling ball (B) as described above.

실시예에서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시 함몰홈(110a)의 볼수용홈(110a-1)과 요크(330)의 일면은 상기 롤링볼(B)에 대해 구름접촉을 하게 되므로 보빈(110)의 함몰홈(110a) 측면과 요크(330)가 면접촉을 하면서 슬라이딩하는 경우보다 마찰력의 크기, 열발생, 보빈(110) 또는 요크(330)의 마찰에 의한 마멸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when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bobbin groove 110a-1 of the recessed groove 110a and one surface of the yoke 330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olling ball B, so the bobbin 11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frictional force, heat generation, and wear due to friction of the bobbin 110 or the yoke 330 than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and the yoke 330 slide while making surface contact. .

도 17 내지 도 19는 볼수용홈(110a-1)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수용홈(110a-1)은 함몰홈(110a)의 측면에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17 to 1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each embodiment of the groove for viewing (110a-1). As shown, the groove for viewing (110a-1)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on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볼수용홈(110a-1)은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홈(110a)의 측면에 삼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홈(110a)의 측면에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viewing groove (110a-1) may be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on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as shown in FIG. 17, for examp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8 , it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9 , it may be provided in a rhombus shape.

이상에서 볼수용홈(110a-1)의 몇가지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볼수용홈(110a-1)은 롤링볼(B)을 장착하여 상기 롤링볼(B)이 상기 요크(330)와 상기 함몰홈(110a)의 측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롤링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Several embodiments of the viewing groove (110a-1) have been present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f the groove for viewing (110a-1) is a form that can be stably rolled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yoke 330 and the recessed groove (110a) by mounting the rolling ball (B) the rolling ball (B) It can be formed in any shape.

상기 마찰저감부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요크(330)에 상기 함몰홈(110a) 측면에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돌출접촉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3은 돌출접촉부(332)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friction reducing part, a protruding contact part 332 that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yoke 330 from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may be formed. 20 to 2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each embodiment of the protruding contact part 332 .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30)의 일면과 타면은 각각 보빈(110)의 함몰홈(110a)의 양 측면과 면접촉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는데, 상기 요크(330)의 일면과 타면에 돌출접촉부(332)를 형성하여 요크(330)와 함몰홈(110a) 측면 사이 슬라이딩 면적을 줄여 마찰력의 크기, 열발생, 보빈(110) 또는 요크(330)의 마찰에 의한 마멸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20,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yoke 330 can slide in surfac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ecessed groove 110a of the bobbin 110, respectively,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yoke 330. By forming the protruding contact part 332 to reduce the sliding area between the yoke 330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the magnitude of frictional force, heat generation, and abrasion caused by friction of the bobbin 110 or the yoke 33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t works.

한편, 돌출접촉부(332)는 요크(330)와 함몰홈(110a) 측면의 접촉면적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 그 단부가 함몰홈(110a) 측면과 점접촉 또는 점접촉에 극히 가까운 면접촉을 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contact part 332 has a form in which the end of the yoke 330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makes a point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to a minimum, or a surface contact extremely close to the point contact. It is more appropriate to be provided with

돌출접촉부(332)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330)의 일부를 물결형상 즉, 지지재그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돌출접촉부(332)는 요크(330)와 함몰홈(110a) 측면의 접촉면적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 그 단부가 함몰홈(110a) 측면과 점접촉 또는 점접촉에 극히 가까운 면접촉을 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As shown in FIG. 20 , the protruding contact part 332 may be provided by forming a portion of the yoke 330 in a wavy shape, that is, a support zag shape. Even in this case, 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332 has an end of the yoke 330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to reduce the contact area to a minimum. It is more appropriate to be provided in the form.

따라서, 상기 요크(330)는 펀칭, 또는 프레스 작업 등을 통하여 그 일부에 상기 돌출접촉부(332)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요크(330)는 사출성형 등을 통하여 그 일부에 상기 돌출접촉부(332)를 형성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yoke 330 may form 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332 in a portion thereof through punching, press work,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yoke 330 may have 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332 formed in a portion thereof through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도 22,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홈(110a)은 상기 보빈(110)의 내측방향 즉, 보빈(110)의 중심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접촉부(332)는 상기 요크(330)의 일면에만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110a)의 측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22 and 23, the recessed groove 110a is formed in an open shap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bbin 110, that is,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bobbin 110, and the protruding contact part 332 is It is form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yoke 330 and may be provided in sliding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이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접촉부(332)는 접촉면적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 그 단부가 함몰홈(110a) 측면과 점접촉 또는 점접촉에 극히 가까운 면접촉을 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Eve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t is more appropriate for 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332 to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end of 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332 is in point contact or extremely close to the point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110a in order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do.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us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 camera module.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may be appli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1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 PCB(미도시) 및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barrel coupled to the bobbin 110 , an image sensor (not shown), a PCB (not shown), and an optical system.

렌즈배럴은 전술한 바와 같고, 상기 PCB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lens barrel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e PCB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from the portion where the image sensor is mounted.

또한,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보이스 코일 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100)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tical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lenses that transmit an image to the image sensor. In this case, an actuato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n auto-focusing function and a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optical system. The actuator module performing the auto-focusing func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a voice coil unit motor is generally used. The lens dr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serve as an actuator module that performs both an auto-focusing function and a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도 1에 예시된 베이스(21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는 홀더 부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cut filter (not shown). The infrared cut filter serves to block light in the infrared region from being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In this case, in the base 210 illustrated in FIG. 1 , an infrared cut filte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may be coupled to a holder member (not shown). In addition, the base 210 ma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member.

베이스(210)에는 상기 PCB와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베이스(21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 separate terminal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210 to conduct electricity with the PCB,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lly form the terminal using a surface electrode or the like. Meanwhile, the base 210 may function as a sensor holder to protect the image sensor, and in this case,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210 . However, this is not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sensor holder may be disposed under the base 210 to perform its role.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new embodiment through this.

110: 보빈
110a: 함몰홈
110a-1: 볼수용홈
120: 코일
130: 제1마그네트
140: 하우징
150: 탄성부재
170: 인쇄회로기판
180: 위치감지센서
190: 제2마그네트
300: 커버부재
330: 요크
331: 볼관통홀
332: 돌출접촉부
B: 롤링볼
110: bobbin
110a: recessed groove
110a-1: groove for viewing
120: coil
130: first magnet
140: housing
150: elastic member
170: printed circuit board
180: position sensor
190: second magnet
300: cover member
330: York
331: ball through hole
332: protruding contact part
B: Rolling ball

Claims (22)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보빈에 형성되는 함몰홈에 수용되는 요크; 및
상기 요크와 상기 함몰홈의 측면 사이의 마찰발생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요크에 관통 형성되는 볼관통홀 및 상기 볼관통홀 내에 배치되는 롤링볼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cover member;
a housing disposed inside the cover member;
a bobbi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yoke bent inside the cover member and accommodated in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bobbin; and
and a friction reducing part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yok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The friction reducing unit is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ball through-hole formed through the yoke and a rolling ball disposed in the ball through-hole.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보빈에 형성되는 함몰홈에 수용되는 요크; 및
상기 요크와 상기 함몰홈의 측면 사이의 마찰발생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홈은 상기 보빈의 내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함몰홈의 측면에 형성되는 볼수용홈 및 상기 볼수용홈에 안착되는 롤링볼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cover member;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over member;
a bobbi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yoke bent inside the cover member and accommodated in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bobbin; and
and a friction reducing part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yok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The recessed groove is formed in an open shap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bbin,
The friction reducing unit is a lens driving device comprising a rolling ball seated in the viewing groove and the view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보빈에 형성되는 함몰홈에 수용되는 요크; 및
상기 요크와 상기 함몰홈의 측면 사이의 마찰발생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함몰홈 측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요크에 형성되는 돌출접촉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cover member;
a housing disposed inside the cover member;
a bobbi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yoke bent inside the cover member and accommodated in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bobbin; and
and a friction reducing part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yok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The friction reducing part is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protruding contact part formed on the yoke for sliding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ecessed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관통홀은 폐쇄된 형태 또는 상기 요크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인 렌즈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 through hole is a lens driving device in a closed form or in an open form at one side of the yok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관통홀은 삼각형, 마름모,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all through hole is a lens driving device that is formed in any one of a triangle, a rhombus, or a quadrang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홈과 상기 요크의 일면은 상기 롤링볼에 대해 구름접촉하는 렌즈 구동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viewing groove and one surface of the yoke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olling bal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홈은 삼각형, 마름모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viewing groove is a lens driving device that is formed in any one shape of a triangle, a rhombus, or a squa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접촉부는 상기 요크의 일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휘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includes a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yoke is bent in a zigzag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접촉부는 상기 요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접촉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protruding contac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yok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접촉부는 상기 요크의 일측면의 반대면인 상기 요크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출접촉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includes a second protruding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yoke that is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yok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은 상기 보빈의 내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cessed groove is a lens driving device formed in an open shap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bbi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보아 외형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는 상기 커버 부재의 각 모서리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은 상기 요크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보빈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ver member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yoke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corn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The recessed groove is formed in a corner portion of the bobbi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yoke lens driving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부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개구부에 접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절곡되는 렌즈 구동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ver member includes a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yoke is a lens driving device that is bent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in contact with the open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보빈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보빈 중 나머지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oil disposed on one of the housing and the bobbin;
and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other one of the housing and the bobbin and configured to move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coi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제1방향 이동 변위값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position sensor disposed o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sense a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대향하여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bobbin to face the position sensing sensor, wherein the position sensing sensor detects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of the second magne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롤링볼은 상기 볼관통홀 및 상기 함몰홈의 측면에 대해 롤링하는 렌즈 구동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bobbin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rolling ball rolls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s of the ball through hole and the recessed groov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접촉부는 상기 함몰홈의 제1 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2 돌출접촉부는 상기 함몰홈의 제2측면과 접촉되는 렌즈 구동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protruding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first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and the second protruding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결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n elastic member including an inner frame coupled to the bobbin, an outer frame coupled to the housing, and a connector connecting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볼은 자성 재질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The rolling ball is a lens driving devic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 장치;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KR1020140158682A 2014-11-14 2014-11-1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02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82A KR102402613B1 (en) 2014-11-14 2014-11-1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82A KR102402613B1 (en) 2014-11-14 2014-11-1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721A KR20160057721A (en) 2016-05-24
KR102402613B1 true KR102402613B1 (en) 2022-05-27

Family

ID=5611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682A KR102402613B1 (en) 2014-11-14 2014-11-1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6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3447B1 (en) 2017-05-22 2023-08-0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457819B1 (en) * 2018-01-09 2022-10-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N111566557B (en) 2017-12-19 2022-07-29 Lg伊诺特有限公司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KR102589837B1 (en) * 2018-03-20 2023-10-17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614773B1 (en) * 2018-09-05 2023-1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28B1 (en) * 2009-12-07 2011-09-30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38272B1 (en) * 2011-02-14 2018-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079758B1 (en) * 2012-12-14 2020-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721A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274B1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322840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21070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159746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626951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02613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EP3040753A1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230966B1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295715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459777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145916B1 (en) Lens apparatus
KR20220059455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386927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smartphone having the same
KR20230110694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344454B1 (en) Lens moving apparatus
KR20230006430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059450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344455B1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573341B1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396345B1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414105B1 (en) Lens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619637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38446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062477A (en) Lens moving apparatus
KR20220047959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smartphon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