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613B1 -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 Google Patents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613B1
KR102400613B1 KR1020200012079A KR20200012079A KR102400613B1 KR 102400613 B1 KR102400613 B1 KR 102400613B1 KR 1020200012079 A KR1020200012079 A KR 1020200012079A KR 20200012079 A KR20200012079 A KR 20200012079A KR 102400613 B1 KR102400613 B1 KR 10240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agnification
rectified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8580A (en
Inventor
임도현
이상익
전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옵틱스
Priority to KR102020001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613B1/en
Publication of KR2021009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5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e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듀얼 배율을 갖는 조준경 광학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듀얼 배율을 갖는 조준경 광학계는,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대물 렌즈부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빔을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 집광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집광 렌즈의 전방에서 도립된 상을 정립시킴과 아울러 변배시키는 정립 렌즈부; 및 정립 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조준경 본체에 마련되어 상을 확대시키는 접안 렌즈부를 포함하고, 정립 렌즈부는 저배율과 고배율만을 구현하는 복수의 정립 렌즈를 포함하고, 저배율과 고배율의 배율 전환 시 복수의 정립 렌즈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ight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is disclosed. A sight optical system having a dual magn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enser lens provided inside a sight body to condense a beam incident through an objective lens unit; a sizing lens unit provided inside the collimator body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ondenser lens to establish and change the image inverted from the front of the condenser lens; and an eyepiece unit provided in the sight body to enlarge the image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ctified lens unit, and the rectified lens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ectified lenses that implement only low magnification and high magnification, and a plurality of rectified lenses when switching between low and high magnification magnificatio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interval.

Description

듀얼 배율을 갖는 조준경 광학계{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Sight sight optical system with dual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본 발명은, 조준경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배율 및 고배율만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 및 제품 디자인이 가능한 듀얼 배율을 갖는 조준경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ht optic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ht optical system having a dual magnification that enables a simpler and more compact structure and product design by implementing only low magnification and high magnification.

조준 광학계는 망원 광학계와 유사하게 소정의 렌즈들을 적절히 배치 설계하여 목표로 하는 원거리 사물에 대한 상을 크게 확대하여 광학계 내에 장착되어 있는 망선의 패턴에 일치시킴으로서 조준 사격이 가능하도록 하는 총기용 보조 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Similar to the telephoto optical system, the aiming optical system is also called an auxiliary device for firearms that enables aiming shooting by appropriately arranging and designing predetermined lenses to greatly enlarge the image of a target distant object to match the reticle pattern installed in the optical system. can do.

조준 광학 장치는 일반적으로 저배율에서 고배율까지의 연속적인 배율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변배 광학계(Zoom Lens System)를 적용하고 있지만, 군사작전 및 사냥에서와 같은 실사용 현장에서는 중간 배율 구간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바쁜 상황에서의 변배 동작이 또한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최저배률과 최고배율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흔하다고 할 수 있다.Aiming optics generally apply a zoom lens system that allows continuous magnification changes from low to high magnification, but in actual use sites such as military operations and hunting, the utilization of the intermediate magnification section is limited. In real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common to use only the lowest magnification and the highest magnification because it can be inconvenient to change the magnification operation in a busy situation.

도 1은 일반적인 조준경의 변배 광학계 렌즈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대물렌즈(10), 집광렌즈(20), 1번 정립렌즈(30), 2번 정립렌즈(40), 접안렌즈(50)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고, 대물렌즈(10)로부터의 빔이 1차 결상되는 제1 초점면 및 1번 및 2번 정립렌즈로부터(30,40)의 빔이 2차 결상되는 제2 초점면를 포함하게 된다.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ariable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lens of a general collimator. and a first focal plane on which the beam from the objective lens 10 is primarily imaged, and a second focal plane on which the beams 30 and 40 from the first and second orthogonal lenses 30 and 40 are secondaryly formed.

사물로부터 발산된 빔이 대물렌즈(10)을 통하여 투과한 후 제1 초점면에서 일차 포커싱 또는 결상되고, 포커싱된 이후 퍼져서 진행되는 빔을 집광시켜주는 집광렌즈(20) 및 상을 정립시켜면서 변배를 시키는 1번 정립렌즈(30)와 2번 정립렌즈(40)를 투과하게 되고 제2 초점면에서 2차 포커싱하게 된다. 2차 포커싱된 빔은 접안렌즈(50)에 의하여 눈의 망막에 영상으로 맺히게 된다. 제1 초점면 및 제2 초점면 중의 어느 한 곳에 패턴이 새겨져 있는 망선이 위치할 수 있다.After the beam emitted from the object is transmitted through the objective lens 10, it is primarily focused or imaged in the first focal plane, and after focusing, the focusing lens 20 for condensing the beam that spreads and progresses and the image is changed while establishing The first sizing lens 30 and the second sizing lens 40 are transmitted through, and secondary focusing is performed on the second focal plane. The secondary focused beam is focused as an image on the retina of the eye by the eyepiece 50 . A mesh line on which a pattern is engraved may be located on any one of the first focal plane and the second focal plane.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준경 광학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정립렌즈(30) 및 2번 정립렌즈(40)가 각각 커브 1 및 커브 2에 따라서 왕복(CAM) 동작을 하게 되고, 3개의 렌즈간 간격(d1, d2, d3)이 그에 따라서 적절히 변화하게 되면서 일정 배율 구간(1.0X ~ 4.0X)에서 변배를 구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in the sight optical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orthogonal lens 30 and the second orthogonal lens 40 perform a reciprocating (CAM) operation according to the curve 1 and the curve 2, respectively, As the distances (d1, d2, d3) between the three lenses ar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ly, variable magnification is implemented in a constant magnification section (1.0X to 4.0X).

따라서 전술한 광학계는 1.0X ~ 4.0X의 약 4배줌 변배를 구현하는 통상적인 조준 렌즈 광학계로 볼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optical system can be viewed as a typical collimating lens optical system that implements about 4x zoom magnification of 1.0X ~ 4.0X.

그런데 전술한 광학계의 변배 구간 중에 1배율 및 4배율을 제외한 중간 배율 구간의 사용 빈도 저하와 변배 동작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설계 자원(또는 장치 비용) 투자 대비 소비자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umer utilization is reduced compared to investment in design resources (or device cost) due to a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middle magnification section except for 1x magnification and 4x magnification among the magnification sections of the above-described optical system and inconvenience of the magnification operation.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75578호(주식회사 이오시스템) 2016. 11. 07.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75578 (EO System Co., Ltd.) 2016. 11. 07.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배율 및 고배율만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 및 제품 디자인이 가능한 듀얼 배율을 갖는 조준경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system with a dual magnification that enables a simpler and more compact structure and product design by implementing only low magnification and high magnific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대물 렌즈부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빔을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 상기 집광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광 렌즈의 전방에서 도립된 상을 정립시킴과 아울러 변배시키는 정립 렌즈부; 및 상기 정립 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조준경 본체에 마련되어 상을 확대시키는 접안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립 렌즈부는 저배율과 고배율만을 구현하는 복수의 정립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저배율과 상기 고배율의 배율 전환 시 상기 복수의 정립 렌즈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되는 조준경 광학계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densing lens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scope for condensing the beam incident through the objective lens unit; a sizing lens unit provided inside the sight body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ondenser lens to establish and change the image inverted from the front of the condenser lens; and an eyepiece unit provided on the sight body to enlarge an image so as to be disposed behind the sizing lens unit, wherein the sizing lens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ectifying lenses implementing only low magnification and high magnification, and switching magnifications between the low magnification and the high magnification When the plurality of orthogonal lenses are mov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 optical sight may be provided.

상기 정립 렌즈부는,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정립 렌즈; 및 상기 제1 정립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정립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tified lens unit may include: a first rectified lens disposed between the condensing lens and the eyepiece unit; and a second erected le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rected lens and the eyepiece unit.

상기 제1 정립 렌즈 및 상기 제2 정립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접합 렌즈로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erected lens and the second erected lens may be provided as a double junction lens.

상기 제1 정립 렌즈는, 상기 집광 렌즈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오목 렌즈; 및 상기 제1 오목 렌즈와 접합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오목 렌즈와 상기 제2 정립 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록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ctified lens may include a first concave lens disposed to face the condensing lens; and a first convex lens provided to be bonded to the first concave lens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cave lens and the second rectified lens.

상기 제2 정립 렌즈는, 상기 제1 볼록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록 렌즈; 및 상기 제2 볼록 렌즈와 접합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볼록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오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ctified lens may include a second convex le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lens and the eyepiece unit; and a second concave lens provided to be bonded to the second convex lens an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vex lens and the eyepiece unit.

상기 대물 렌즈부는 이중 접합 렌즈로 마련될 수 있다.The objective lens unit may be provided as a double junction lens.

상기 저배율에서 상기 고배율로 절환 시 상기 제1 정립 렌즈와 상기 제2 정립 렌즈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When switching from the low magnification to the high magnificatio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ctified lens and the second rectified lens may be constantly maintained.

상기 제1 정립 렌즈는, 상기 제1 오목 렌즈와 상기 제1 볼록 렌즈의 순서가 바뀌어 상기 제1 볼록 렌즈, 상기 제1 오목 렌즈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ectified lens may be disposed in the order of the first convex lens and the first concave lens by changing the order of the first concave lens and the first convex lens.

상기 제2 정립 렌즈는, 상기 제2 볼록 렌즈와 상기 제2 오목 렌즈의 순서가 바뀌어 상기 제2 오목 렌즈, 상기 제2 볼록 렌즈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rectified lens may be dispos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concave lens and the second convex lens by changing the order of the second convex lens and the second concave le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립 렌즈부가 저배율과 고배율만을 구현하는 복수의 정립 렌즈를 포함하고, 저배율과 고배율의 배율 전환 시 복수의 정립 렌즈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됨으로써 보다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 및 제품 디자인이 가능하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lurality of rectified lenses that implement only a low magnification and a high magnification, and a plurality of oriented lenses are mov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when the magnification of the low magnification and the high magnification is switched, thereby making a simpler and more compact structure and Product design is possible.

도 1은 이전 변배 방식의 조준 광학계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배율을 갖는 조준경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변배를 4 배율로 변환시킨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개략적인 작동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aiming optical system of the previous variable magnification method.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sight having a dual magn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version of the magnification shown in FIG. 1 to a magnification of 4; FIG.
4 is a schematic ope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배율을 갖는 조준경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변배를 4 배율로 변환시킨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개략적인 작동도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ght optical system having a dual magn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version of the variable magnification shown in FIG. 1 to 4 magnification, FIG. 4 is a schematic operation diagram of this embodimen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배율을 갖는 조준경 광학계는, 조준경 본체(S)의 내부에 마련되어 대물 렌즈부(100)와, 대물 렌즈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빔을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200)와, 집광 렌즈(2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조준경 본체(S)의 내부에 마련되어 집광 렌즈(200)의 전방에서 도립된 상을 정립시킴과 아울러 변배시키는 정립 렌즈부(300)와, 정립 렌즈부(3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조준경 본체(S)에 마련되어 상을 확대시키는 접안 렌즈부(4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ight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side the sight body S and is incident through the objective lens unit 100 and the objective lens unit 100 . The condensing lens 200 for condensing the , and the sizing lens unit provided inside the sight body (S)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ondenser lens 200 to establish an inverted image from the front of the condenser lens 200 and to change the magnification. 300 and an eyepiece unit 400 provided in the sight body (S) to enlarge the image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erection lens unit 300 .

대물 렌즈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경 본체(S)의 최전방에 배치되어 사물로부터 발산되는 빔을 제1 초점면에 포커싱 또는 결상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 , the objective lens unit 100 serves to focus or form a beam emitted from an object on the first focal plane, which is disposed at the forefront of the sight body S.

본 실시 예에서 대물 렌즈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 볼록 렌즈(110)와 대물 오목 렌즈(120)를 서로 접합시켜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대물 렌즈부(100)는 대물 볼록 렌즈(110)와 대물 오목 렌즈(120)의 이중 접합 렌즈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bjective lens unit 100 may be provided by bonding the convex objective lens 110 and the objective concave lens 120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2 to 4 .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bjective lens unit 100 may be provided as a double junction lens of the objective convex lens 110 and the objective concave lens 120 .

집광 렌즈(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 렌즈부(100)와 제1 정립 렌즈(31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조준경 본체(S)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초점면에서 포커싱된 후 확산해서 진행되는 빔을 집광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 , the condensing lens 200 is provided inside the scope body S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objective lens unit 100 and the first orthogonal lens 310 and is focused on the first focal plane. After diffusing, it serves to condense the proceeding beam.

본 실시 예에서 조준경 변배 배율을 변환시 집광 렌즈(200)는 조준경 본체(S)의 내부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cope variable magnification is changed, the condensing lens 200 may maintain a fixed position inside the scope body S.

정립 렌즈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 렌즈(200)와 접안 렌즈부(4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조준경 본체(S)의 내부에 마련되어 집광 렌즈(200)의 전방에서 도립된 상을 정립시킴과 아울러 저배율에서 고배율 또는 그 반대로 변배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 , the erected lens unit 300 is provided inside the sight body S to be disposed between the condensing lens 200 and the eyepiece unit 400 from the front of the condensing lens 200 . It serves to establish an inverted phase and to change the magnification from low magnification to high magnification or vice versa.

본 실시 예에서 정립 렌즈부(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 렌즈(200)와 접안 렌즈부(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정립 렌즈(310)와, 제1 정립 렌즈(310)와 접안 렌즈부(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정립 렌즈(32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rected lens unit 300, as shown in FIGS. 2 to 4, a first erected lens 310 disposed between the condensing lens 200 and the eyepiece 400, and the second It includes a second erected lens 3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erected lens 310 and the eyepiece 400 .

본 실시 예에서 제1 정립 렌즈(310) 및 제2 정립 렌즈(320)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접합 렌즈로 마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orthogonal lens 310 and the second orthogonal lens 320 may be provided as a double junction lens.

정립 렌즈부(300)의 제1 정립 렌즈(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 렌즈(20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오목 렌즈(311)와, 제1 오목 렌즈(311)와 접합되게 마련되어 제1 오목 렌즈(311)와 제2 정립 렌즈(3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록 렌즈(31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first erected lens 310 of the erected lens unit 300 includes a first concave lens 311 and a first concave lens 311 disposed to face the condensing lens 200 . and a first convex lens 312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cave lens 311 and the second orthogonal lens 320 and provided to be bonded to the first convex lens 312 .

본 실시 예에서 제1 정립 렌즈(310)는 제1 오목 렌즈(311)와 제1 볼록 렌즈(312)의 순서가 바뀌어서 제1 볼록렌즈(312), 제1 오목렌즈(311) 순으로 배치되는 것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in the first rectified lens 310, the order of the first concave lens 311 and the first convex lens 312 is reversed, so that the first convex lens 312 and the first concave lens 311 are arranged in the order. also includes

정립 렌즈부(300)의 제2 정립 렌즈(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록 렌즈(312)와 접안 렌즈부(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록 렌즈(321)와, 제2 볼록 렌즈(321)와 접합되게 마련되어 제2 볼록 렌즈(321)와 접안 렌즈부(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오목 렌즈(32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erected lens 320 of the erected lens unit 300 is a second convex lens 321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lens 312 and the eyepiece 400 . and a second concave lens 322 provided to be bonded to the second convex lens 321 an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vex lens 321 and the eyepiece unit 400 .

본 실시 예에서 제2 정립 렌즈(320)는 제2 볼록 렌즈(321)와 제2 오목 렌즈(322)의 순서가 바뀌어서 제2 오목렌즈(322), 제2 볼록렌즈(321)의 순으로 배치되는 것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in the second rectified lens 320, the order of the second convex lens 321 and the second concave lens 322 is reversed, so that the second concave lens 322 and the second convex lens 321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It also includes being

접안 렌즈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립 렌즈(32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조준경 본체(S)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을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eyepiece unit 400, as shown in FIG. 2, serves to enlarge the image provided inside the scope body (S)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sizing lens 320.

본 실시 예에서 접안 렌즈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목 렌즈(322)와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조준경 본체(S)의 내부에 배치되는 접안 오목 렌즈(410)와, 접안 오목 렌즈(410)와 접합되게 마련되는 접안 볼록 렌즈(420)와, 접안 볼록 렌즈(42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렌즈 부재(43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yepiece unit 400, as shown in FIG. 2, a concave eyepiece lens 410 disposed inside the scope body S so as to be disposed opposite to the second concave lens 322, and, It includes an eyepiece convex lens 420 provided to be bonded to the eyepiece concave lens 410 , and a lens member 43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yepiece convex lens 420 .

이하에서 도 4를 참고하여 본 실시 예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본 실시 예는 대물 렌즈부(100), 제1 초점면, 집광 렌즈(200), 제1 정립 렌즈(310), 제2 정립 렌즈(320), 제2 초점면, 접안 렌즈부(400)의 순서대로 빛이 진행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bjective lens unit 100 , the first focal plane, the condensing lens 200 , the first rectified lens 310 , the second oriented lens 320 , the second focal plane, and the eyepiece unit 400 are The light proceeds in order.

대물 렌즈부(100)에서 일정한 범위(시야 또는 Field Of View, FOV)의 사물의 상을 받아들여 제1 초점면에 1차 결상을 하게 되고, 1차 결상된 이후 빛이 퍼져 나가게 되는데 이 빛들을 집광시키는 역할을 집광 렌즈(200)가 하고, 집광 렌즈(200)에서 집광된 빛은 제1 정립 렌즈(310)로 전달된다.The objective lens unit 100 receives an image of an object in a certain range (field of view or Field Of View, FOV) and performs a primary image formation on the first focal plane, and after the primary image formation, light is spread out. The condensing lens 200 serves to condense the light, and the light collected by the condensing lens 2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ctifying lens 310 .

제1 정립 렌즈(310)와 제2 정립 렌즈(320)는 제1 초점면의 도립된 상을 제2 초점면에 정립된 상으로 맺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정립 렌즈(310)와 제2 정립 렌즈(320)는 집광 렌즈(200)와 접안 렌즈부(400)의 사이를 이동하면서 배율 변화를 발생시킨다. The first orthogonal lens 310 and the second orthogonal lens 320 serve to form an inverted image on the first focal plane into an erected image on the second focal plane. In addition, the first oriented lens 310 and the second oriented lens 320 generate a change in magnification while moving between the condensing lens 200 and the eyepiece unit 400 .

즉 제1 정립 렌즈(310)와 제2 정립 렌즈(320)의 위치 이동으로 인하여 대물 렌즈부(100)에서 제2 정립 렌즈(320)까지 이르는 광학계의 초점거리(Effective Focal length, EFL) 변화가 발생된다. 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접안 렌즈부(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것이 조준 광학계 전체의 배율이 되기 때문에 제1 정립 렌즈(310)와 제2 정립 렌즈(320)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배율 변화가 발생 된다고 할 수 있다.That is, the effective focal length (EFL) change of the optical system from the objective lens unit 100 to the second orthogonal lens 320 due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first oriented lens 310 and the second oriented lens 320 is occurs Since the focal length of this optical system divided by the focal length of the eyepiece unit 400 becomes the magnification of the entire aiming optical system, a change in magnific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s of the first orthogonal lens 310 and the second orthogonal lens 320 . it can be said that

최저/최고 배율의 2가지 모드로 변하는 제2 초점면의 결상된 상을 접안 렌즈부(400)를 통하여 돋보기처럼 눈에 확대된 상을 볼 수 있도록 눈의 망막에 상이 맺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초점면 및 제 2초점면 중의 어느 한 곳에 패턴이 새겨져 있는 망선이 위치할 수 있다.An image is formed on the retina of the eye so that the image magnified to the eye can be viewed like a magnifying glass through the eyepiece unit 400 of the formed image of the second focal plane, which is changed to the two modes of the lowest/highest magnific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sh line on which a pattern is engraved may be located on any one of the first focal plane and the second focal plane.

배경 기술에서 예시된 도 1의 이전 변배 조준 광학계에서 중간 배율 구간인 1.75X, 2.50X, 3.25X 등에 해당하는 변배 작동을 없애고, 최저 배율(1X)과 최고 배율(4X)만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듀얼 배율 조준 광학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Dual designed to implement only the lowest magnification (1X) and highest magnification (4X), eliminating the magnifica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magnification section of 1.75X, 2.50X, 3.25X, etc. in the previous variable magnification sighting optical system of FIG. A magnification aiming optical system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4 .

도 2에서 이중 접합렌즈 형태의 제1 정립 렌즈(310)와 제2 정립 렌즈(320)의 간격을 최저 배율(1X)과 최고 배율(4X) 두 곳 모두 일정하도록 렌즈 광학계를 설계하여 듀얼 가변 배율에 대한 기구적 작동 구조를 보다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FIG. 2, the lens optical system is design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ctified lens 310 and the second rectified lens 320 in the form of a double junction lens is constant at both the lowest magnification (1X) and the highest magnification (4X), thereby providing dual variable magnific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mechanical operation structure for the more conveniently.

즉, 최저 배율(1X)에서 최고 배율(4X)로의 배율 절환을 시행할 경우, 간격 d2가 고정된 상태에서 간격 d1, d3만 변하게 됨으로써 제1 정립 렌즈(310)와 제2 정립 렌즈(320)가 하나의 일체형인 그룹 렌즈가 되어 앞뒤 두 위치로만 왕복하면서 최저 배율(1X) 또는 최고 배율(4X)만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when switching the magnification from the lowest magnification (1X) to the highest magnification (4X), only the intervals d1 and d3 are changed while the interval d2 is fixed. becomes a single integrated group lens, and only the lowest magnification (1X) or the highest magnification (4X) can be realized while reciprocating only in two positions.

다음의 표 1에는 본 실시 예에 대한 렌즈 설계 데이터가 나타나 있다.Table 1 below shows lens design data for this embodiment.

Figure 112020010665510-pat00001
Figure 112020010665510-pat00001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정립 렌즈부(300)는 회전링을 사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정립 렌즈부(300)와 연결되도록 버튼 또는 레버를 마련한 후 버튼을 누르거나 레버를 조준경 본체(S)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시켜 정립 렌즈부(3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ing lens unit 300 may be moved by changing the rotational motion to a linear motion using a rotational ring. Alternatively, after providing a button or lever to be connected to the sizing lens unit 300 , the sizing lens unit 300 may be moved by pressing the button or moving the lever back and for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ght body (S).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정립 렌즈부가 저배율과 고배율만을 구현하는 복수의 정립 렌즈를 포함하고, 저배율과 고배율의 배율 전환 시 복수의 정립 렌즈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됨으로써 보다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 및 제품 디자인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rectified lenses that implement only a low magnification and a high magnification, and the plurality of rectified lenses are mov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when the magnification of the low magnification and the high magnification is switched, making it simpler and more compact. One structure and product design is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대물 렌즈부 110 : 대물 볼록 렌즈
120 : 대물 오목 렌즈 200 : 집광 렌즈
300 : 정립 렌즈부 310 : 제1 정립 렌즈
311 : 제1 오목 렌즈 312 : 제1 볼록 렌즈
320 : 제2 정립 렌즈 321 : 제2 볼록 렌즈
322 : 제2 오목 렌즈 400 : 접안 렌즈부
410 : 접안 오목 렌즈 420 : 접안 볼록 렌즈
430 : 렌즈 부재 S : 조준경 본체
100: objective lens unit 110: convex objective lens
120: concave objective lens 200: condensing lens
300: oriented lens unit 310: first oriented lens
311: first concave lens 312: first convex lens
320: second rectified lens 321: second convex lens
322: second concave lens 400: eyepiece unit
410: eyepiece concave lens 420: eyepiece convex lens
430: lens member S: scope body

Claims (9)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대물 렌즈부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빔을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
상기 집광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광 렌즈의 전방에서 도립된 상을 정립시킴과 아울러 변배시키는 정립 렌즈부; 및
상기 정립 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조준경 본체에 마련되어 상을 확대시키는 접안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립 렌즈부는 저배율과 고배율만을 구현하는 복수의 정립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저배율과 상기 고배율의 배율 전환 시 상기 복수의 정립 렌즈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되고,
상기 정립 렌즈부는,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정립 렌즈; 및 상기 제1 정립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정립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저배율에서 상기 고배율로 절환 시 상기 제1 정립 렌즈와 상기 제2 정립 렌즈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제1 정립 렌즈의 사이에 제1 초점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정립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부의 사이에 제2 초점면이 마련되는 조준경 광학계.
a condensing lens provided inside the sight body and condensing the beam incident through the objective lens unit;
a sizing lens unit provided inside the sight body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ondenser lens to establish and change the image inverted from the front of the condenser lens; and
and an eyepiece unit provided on the scope body to enlarge the image so as to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erection lens unit,
The rectified lens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oriented lenses that implement only low magnification and high magnification,
When the magnification of the low magnification and the high magnification are switched, the plurality of orthogonal lenses are mov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interval,
The rectified lens unit may include: a first rectified lens disposed between the condensing lens and the eyepiece unit; and a second sizing le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zing lens and the eyepiece unit,
When switching from the low magnification to the high magnific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riented lens and the second oriented lens is maintained constant,
A first focal plane is provided between the condensing lens and the first orthogonal lens,
A sight optical system in which a second focal plane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orthogonal lens and the eyepiece uni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립 렌즈 및 상기 제2 정립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접합 렌즈로 마련되는 조준경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oriented lens and the second oriented lens is a sighting optical system provided as a double junction le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립 렌즈는,
상기 집광 렌즈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오목 렌즈; 및
상기 제1 오목 렌즈와 접합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오목 렌즈와 상기 제2 정립 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록 렌즈를 포함하는 조준경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ctified lens,
a first concave lens disposed to face the condensing lens; and
and a first convex lens provided to be bonded to the first concave lens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cave lens and the second erected le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립 렌즈는,
상기 제1 정립 렌즈의 제1 볼록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록 렌즈; 및
상기 제2 볼록 렌즈와 접합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2 볼록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오목 렌즈를 포함하는 조준경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rectified lens,
a second convex le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lens of the first rectified lens and the eyepiece unit; and
and a second concave lens provided to be bonded to the second convex lens an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vex lens and the eyepiece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부는 이중 접합 렌즈로 마련되는 조준경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ive lens unit is an optical sight provided with a double junction lens.
삭제dele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립 렌즈는,
상기 제1 오목 렌즈와 상기 제1 볼록 렌즈의 순서가 바뀌어 상기 제1 볼록 렌즈, 상기 제1 오목 렌즈의 순으로 배치되는 조준경 광학계.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rectified lens,
A sighting scope optical system in which the order of the first concave lens and the first convex lens is changed and the first convex lens and the first concave lens are disposed in the ord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립 렌즈는,
상기 제2 볼록 렌즈와 상기 제2 오목 렌즈의 순서가 바뀌어 상기 제2 오목 렌즈, 상기 제2 볼록 렌즈의 순으로 배치되는 조준경 광학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rectified lens,
A sighting scope optical system in which the order of the second convex lens and the second concave lens is reversed, and the second concave lens and the second convex lens are arranged in the order.
KR1020200012079A 2020-01-31 2020-01-31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KR102400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079A KR102400613B1 (en) 2020-01-31 2020-01-31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079A KR102400613B1 (en) 2020-01-31 2020-01-31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580A KR20210098580A (en) 2021-08-11
KR102400613B1 true KR102400613B1 (en) 2022-05-24

Family

ID=7731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079A KR102400613B1 (en) 2020-01-31 2020-01-31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61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1821A1 (en) 2007-10-09 2009-04-09 Regan Rick R Optical sighting device with selective laser wavelength removal
US20110037967A1 (en) * 2009-08-11 2011-02-17 Shang-Yung Liang Optical sight
US20120224258A1 (en) * 2011-03-02 2012-09-06 Schmidt & Bender Gmbh & Co.Kg Sighting telescope with optimized exit pupil
US20130318853A1 (en) 2010-01-19 2013-12-05 Schmidt & Bender Gmbh & Co. Kg Sighting telescope
US20150323780A1 (en) 2013-09-06 2015-11-12 Sheltered Wings, Inc. Dual focal plane reticles for optical sight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8673A (en) * 1944-06-09 1945-11-13 Leo H Brown Dual power optical system
KR101675578B1 (en) 2014-12-08 2016-11-11 (주)이오시스템 Optical system for a compact sco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1821A1 (en) 2007-10-09 2009-04-09 Regan Rick R Optical sighting device with selective laser wavelength removal
US20110037967A1 (en) * 2009-08-11 2011-02-17 Shang-Yung Liang Optical sight
US20130318853A1 (en) 2010-01-19 2013-12-05 Schmidt & Bender Gmbh & Co. Kg Sighting telescope
US20120224258A1 (en) * 2011-03-02 2012-09-06 Schmidt & Bender Gmbh & Co.Kg Sighting telescope with optimized exit pupil
US20150323780A1 (en) 2013-09-06 2015-11-12 Sheltered Wings, Inc. Dual focal plane reticles for optical sigh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580A (en)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7588B2 (en) Imaging optical system, microscope apparatus and stereomicroscope apparatus having the imaging optical system
JP5102986B2 (en) Optical device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US5270859A (en) Optical instrument with micro-lenses
US20060092504A1 (en) Microscope system
IL149481A (en) Visual aid in the form of telescopic spectacles with an automatic focussing device
JPS5828713A (en) Annular illuminating device
JP2009009134A (en) Microscope with centered illumination
EP0844505A2 (en) Variable-inclination-angle lens-barrel for microscopes and microscope system
KR102400613B1 (en) Optical system having dual magnification
US20090153956A1 (en) Microscope illumination apparatus
JP5579969B2 (en) Microscope with centered illumination
KR20220136554A (en) Optical system for scope having alternating high and low magnification
JPH07140395A (en) Stereomicroscope
JP5522989B2 (en) Observation optical system and microscope equipped with the same
KR102555873B1 (en) Adapter lens for increasing magnification of scope and sight having the same
KR20240083083A (en) Optical system for scope having alternating high and low magnification
JPH07181384A (en) Optical zooming lens for endoscope and similar device
US7133199B2 (en) Transmission type illumination device for stereomicroscopes, and stereomicroscope
KR20110137454A (en) Star pointer telescope and astronomical having the same
US20110069380A1 (en) Variable microscope system
JP2002277749A (en) Microscope device
CN220526095U (en) Condensing lens, illumination light path and optical system
CN213690095U (en) Two-gear zooming large-target-surface low-light-level optical system
JPWO2011068185A1 (en) Imaging optical system and microscope apparatus
JP2000010025A (en) Telescopic opt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