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675B1 -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675B1
KR102399675B1 KR1020200164142A KR20200164142A KR102399675B1 KR 102399675 B1 KR102399675 B1 KR 102399675B1 KR 1020200164142 A KR1020200164142 A KR 1020200164142A KR 20200164142 A KR20200164142 A KR 20200164142A KR 102399675 B1 KR102399675 B1 KR 102399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ant
coloring
longitudinal direction
cartridge
tooth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진
손인수
김도연
허신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2Cosmetic aspects, e.g. inlays; Determination of th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는 착색제가 보관되는 카트리지유닛; 및 집게 형상의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거치부는 각각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고, 상기 거치부는 치아 표면에 사용되는 착색제가 함침되는 착색기구가 복수 개로 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착색제가 함침된 착색기구를 통해 치아 표면을 착색하여 세균 및 치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A COLOURING AGENT CARTRIDGE FOR COLORING THE SURFACE OF TEETH}
본 발명의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는 착색제가 보관되는 카트리지유닛; 및 집게 형상의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거치부는 각각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고, 상기 거치부는 치아 표면에 사용되는 착색제가 함침되는 착색기구가 복수 개로 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착색제가 함침된 착색기구를 통해 치아 표면을 착색하여 세균 및 치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명이다.
사회, 경제적인 변화와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인식이 높아짐으로써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연령대에 따른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치주질환 유병율은 20대 3.85%, 30대 14.7%, 50대 이상은 40%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주질환의 유병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비통계지표에 의하면 '질병 소분류별 다발생 순위별 요양급여실적'에서 최근 5년간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항상 3순위 이내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연평균 증가율 12.9%로 보험급여 진료 중 가장 높은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음식물을 섭취하고 나면 치아에는 치태라는 물질이 생성된다. 1g의 치태에는 약 1억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이 세균을 제때 제거하여 구강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행위를 칫솔질이라고 할 수 있다.
칫솔질을 하지 않거나 올바르게 하지 못했을 경우, 세균이 쌓이면서 잇몸과 치아 사이의 공간에 치주 포켓이 생기게 된다. 이 치주 포켓은 쉽게 말해서 세균들의 집단 덩어리라고 할 수 있다. 이 치주 포켓을 그대로 두면 염증이 생기며 치은질환이 발생한다. 치은질환이 발생하면 잇몸에서 출혈이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치은질환은 구강병의 감기 같은 단계이다.
즉, 경미한 염증 상태이므로 칫솔질을 평소보다 꼼꼼히 시행한다면 금세 완화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염증을 방치해두면 염증이 더 심해져 치주질환이 생겨 잇몸이 내려가며 치조골이 노출되고, 치조골이 녹으면 심각한 구강 상태까지 진전될 수 있다.
치은 및 치주질환이 발생 시 잇몸과 치아 사이의 치주 포켓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칫솔모를 잇몸 안에 넣고 세균을 제거하는 칫솔질을 시행해야 한다.
따라서, 양치습관 및 세균막의 유무를 살피기 위해 치과 진료에서는 착색제를 솜 또는 치과용 기구에 묻혀 치아에 도포하고 세균막의 유무에 따라 착색되어 치아에서 세균막이 염색된다.
이러한 세균막을 살피면서 치과 진료를 실시하지만, 착색제를 치아에 도포할 때, 솜 또는 치과용 기구에 지속적으로 착색제를 묻혀야 하는 불편함과 구강 내부에 사용되는 치과용 기구의 특징 상 크기가 작아 많은 양의 착색제를 묻히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착색제를 치아에 도포할 때 제대로 도포되지 않아 세균막의 유무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착색제를 솜 또는 치과용 기구에 손쉽게 착색제를 묻힐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은 면 또는 솜이 결합된 부재를 여러 개 사용할 때 일일이 묻힐 필요 없이 한번에 치아에 사용될 만큼 착색제를 묻힐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0-133851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기구에 착색제를 쉽게 묻혀 함침시킬 수 있도록 하며 착색기구에 일일이 착색제를 함침시킬 필요 없이 복수 개의 착색기구에 동시에 착색제를 묻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는 착색제가 보관되는 카트리지유닛; 및 집게 형상의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거치부는 각각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고, 상기 거치부는 치아 표면에 사용되는 착색제가 함침되는 착색기구가 복수 개로 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의 양쪽 모서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파여지되, 착색제가 유입되어 보관되는 한 쌍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의 양쪽 모서리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 경사를 지닌 제1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경사부와 동일한 형상이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는 착색제가 경사를 따라 유입되어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에 보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한 쌍의 거치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거치부와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치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폭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이되,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돌출부의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는 복수 개의 착색기구가 독립적으로 수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 거치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단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와 교차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수직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손잡이부를 상기 프레임부와 수직하도록 이동할 시, 상기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2 거치부는 각각 착색제가 보관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로 회전되어 복수 개로 위치한 착색기구에 동시에 착색제를 함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집게부는 착색기구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착색기구에 착색제를 함침시키기 위해 일일이 착색제를 묻히는 과정이 필요 없이 일괄적으로 동시에 착색제를 묻혀 착색기구에 착색제를 함침시킬 수 있어 치아표면을 염색시키기 위한 시술 시간이 감소하는 효과 및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손잡이부 및 제2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착색제가 보관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착색기구에 착색제가 함침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집게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을 의미하며 폭 방향이란 Y축을 의미하고, 수직 방향이란 Z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파여진, 파여지다 등의 표현은 일정 깊이를 지니며 형성된 홈과 같은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일단은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의 어느 단부 일부를 의미하며 타단은 일단과 반대되는 단부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는 치아 표면의 착색을 용이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착색기구(10)에 착색제를 손쉽게 함침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착색기구(10)에 일일이 착색제(S)를 도포할 필요 없이 동시에 도포시켜 함침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유닛(100), 거치부(120) 및 집게부(2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카트리지유닛(100)을 설명한다.
카트리지유닛(100)은, 프레임부(110), 한 쌍의 거치부(12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 시 캡과 같은 부재를 활용하여 상부를 밀폐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본 발명의 구성들이 위치, 결합 및 발명을 수행할 수 있는 프레임 즉 뼈대가 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부(110)는 착색제(S)가 유입되어 보관되는 한 쌍의 수용부(130) 및 보관부(111)를 포함한다.
한 쌍의 수용부(130)는 제1 수용부(131) 및 제2 수용부(132)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131)는 프레임부(110)의 길이방향의 양쪽 모서리 중 일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색제(S)가 보관 및 저장될 수 있도록 모서리로부터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파여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용부(131)의 일단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 경사를 지닌 제1 경사부(131a)가 형성된다.
제1 경사부(131a)는 제1 수용부(131)의 일단에서 경사를 통해 착색제(S)를 제1 수용부(131)로 용이하게 유입시키기 위해 형성되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수용부(132)는 제1 수용부(131)와 동일한 형상이되, 프레임부(110)의 길이방향의 양쪽 모서리 중 타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색제(S)가 보관 및 저장될 수 있도록 모서리로부터 일정간격 파여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수용부(132)의 일단에는 제1 경사부(131a)와 동일한 형태 및 역할을 하는 제2 경사부(132a)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 경사를 지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수용부(131)와 제2 수용부(132)의 사이에는 보관부(111)가 형성된다.
보관부(111)는 후술할 거치부(120) 및 착색기구(10)가 놓여 보관되는 구성으로 이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한 쌍의 거치부(120)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120)가 위치한다.
한 쌍의 거치부(120)는 제1 거치부(121) 및 제2 거치부(122)를 포함하고, 제1 거치부(121) 및 제2 거치부(122)는 상호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거치부(121)는 제1 수용부(131)와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지지부(121a), 제1 돌출부(121b), 제1 홈 및 제1 손잡이부(121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21a)는 길이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수용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121b)는 제1 지지부(121a)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121b)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톱니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121b)의 사이에는 제1 홈이 형성된다.
제1 홈은 복수 개의 제1 돌출부(121b)가 상호 이격되어 발생한 홈(빈 공간) 부분을 의미하여 제1 홈 또한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홈은 후šD할 착색기구(1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 손잡이부(121d)는 제1 지지부(121a)의 일단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보관부(111)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손잡이부(121d)는 막대 형상으로 사람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손잡이부(121d)를 파지하여 프레임부(110)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제1 거치부(121)는 제1 수용부(131)로 회전되어 복수 개의 제1 홈에 끼워진 착색기구(10)가 제1 수용부(131)에 보관된 착색제(S)에 닿아 착색제(S)가 착색기구(10)에 함침된다. 이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덧붙여, 착색기구(10)를 설명하면, 면봉과 같은 형태로 단부에 솜 또는 면과 같은 부재가 붙여진 가느다란 막대로 흔히 귀나 코 입 따위의 속에 약을 바르거나 액체와 같은 부재를 닦아낼 때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거치부(122)는 제1 거치부(121)와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프레임부(110)의 내부에서 제2 수용부(132)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제1 거치부(121)와 제2 거치부(122)는 동일한 형상이며, 형성되는 위치, 방향 및 명칭의 차이만 있을 뿐 구성과 형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거치부(122)는 제2 지지부(122a), 제2 돌출부(122b), 제2 홈(122c) 및 제2 손잡이부(122d)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122a)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제1 지지부(121a)와 폭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출부(122b)는 제1 돌출부(121b)와 동일한 형상이며, 제2 지지부(122a)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122b)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출부(122b)의 사이에는 제2 홈(122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홈(122c) 또한 착색기구(10)가 끼워져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손잡이부(122d)는 제2 지지부(122a)의 일단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손잡이부(121d)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착색기구(10)의 길이에 따라 상호 교차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손잡이부(122d)는 프레임부(110)와 수직되도록 이동할 시, 제2 거치부(122)는 제2 수용부(132)로 회전되어 제2 홈(122c)에 끼워진 착색기구(10)를 제2 수용부(132)에 보관된 착색제(S)에 담겨 착색기구(10)에 착색제(S)가 함침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10)의 하부면에는 본 발명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패킹부(140)가 형성된다.
패킹부(140)는 착색제(S)가 담기는 제1 수용부(131) 및 제2 수용부(132)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패킹부(140)는 도면부호는 기재되지 않았지만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바닥이나 치과진료 패드에 위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패킹부(14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제1 패킹부(141) 및 제2 패킹부(142)를 포함한다.
제1 패킹부(141)의 바닥과 맞닿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패킹부재(141a)가 형성되며 패킹부재는 고무, 실리콘 및 다양한 미끄럼방지 기능을 하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패킹부(142)는 제1 패킹부(141)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이며 제1 패킹부(141)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패킹부(142) 또한 미끄럼방지 기능을 하는 제2 패킹부재(142b)가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부(140)의 구성으로 인해 바닥이나 진료대에 본 발명을 놓아 사용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 및 시술자를 향해 착색제(S)가 쏟아져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이 미끄러져 환자 및 시술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집게부(200)를 설명한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집게부(200)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210), 헤드부(230) 및 홈부(22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210)는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230)는 손잡이부(210)의 일단에서 형성되며 손잡이부(210)를 가압하여 발생한 힘을 집중시키기 위해 첨예하게 형성되며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230)의 선두에는 헤드부(230)를 관통하는 홈부(220)가 형성된다.
집게부(200)는 손잡이부(210)를 손으로 가압 시, 헤드부(230)가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져 후술할 착색기구(10)를 용이하게 홈부(220)에 위치시킬 수 있다(도 8(b) 참조).
집게부(200)는 후술할 카트리지에서 착색제(S)가 함침된 착색기구(10)를 홈부(220)에 끼워 치아 표면에 착색제(S)를 묻혀 치아를 착색시킬 수 있다.
또한, 집게부(200)는 착색기구(10)를 집어 손쉽게 카트리지에서 착색기구(10)를 빼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염색이 잘되는 착색제(S)의 특징 상, 손으로 착색기구(10)를 파지 시, 사용자의 손에 착색제(S)가 묻어 오염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방식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착색기구(10)를 착색제(S)에 함침시키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착색기구(10)는 제1 홈 및 제2 홈(122c)에 각각 독립적으로 위치된다. 이때, 제1 돌출부(121b) 및 제2 돌출부(122b)는 각각의 착색기구(10)를 독립적으로 위치하도록 파티션(partition)의 및 착색기구(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거치부(121)와 제2 거치부(122)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2 거치부(12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착색기구(10)가 제2 홈(122c)에 독립적으로 끼워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제2 손잡이부(122d)를 프레임부(110)의 보관부(111)와 손잡이부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 제2 거치부(122)는 제2 수용부(13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착색기구(10)의 머리부분(솜 및 면이 결합된 부분)이 착색제(S)에 수용되어 도 6의 형태가 된다.
복수 개의 착색기구(10)는 제2 수용부(132)에 저장된 착색제(S)에 수용되어 착색제(S)가 착색기구(10)에 함침된다.
다시 말하면, 단순히 제2 손잡이부(122d)를 보관부(111)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만 하면 제2 거치부(122)는 제2 수용부(132)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수 개의 착색기구(10)에 착색제(S)를 함침시킬 수 있다.
이는, 착색기구(10)에 착색제(S)를 함침시키기 위해 일일이 착색제(S)를 묻히는 과정이 필요 없이, 일괄적으로 동시에 착색제(S)를 묻혀 착색기구(10)에 착색제(S)를 함침시킬 수 있어 치아표면을 염색시키기 위한 시술 시간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일이 착색기구(10)에 착색제(S)를 묻히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착색기구(10)를 거치부(120)에 고정시켜 필요한 개수만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사용된 착색기구(10)는 거치부(120)에서 이탈되며, 사용되지 않은 착색기구(10)는 카트리지에 위치하고 있어 재사용을 방지하며, 착색제(S)가 소진된 착색기구(10)를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실수로 착색제(S)가 소진된 착색기구(10)를 재사용하여 치아 표면의 염색을 누락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1 거치부(121) 또한 제1 손잡이부(121d)를 프레임부(110)와 수직되도록 이동 시, 제1 거치부(121)는 제1 수용부(131)로 회전되어 제1 홈에 끼워진 복수 개의 착색기구(10)에 착색제(S)를 함침시킬 수 있다. 제1 거치부(121)의 착색기구(10)에 착색제(S)를 함침시키는 설명은 제2 거치부(122)의 기능과 동일하여 중복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사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경사부(131a) 및 제2 경사부(132a)는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하며 중복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경사부(131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제1 경사부(131a) 및 제1 수용부(131)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착색기구(10)에 착색제(S)를 함침시키기 위해 수용부(130)에는 착색제(S)가 수용되어 유입되며 착색제(S)가 보관된다.
착색제(S)가 제1 수용부(131)에 수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수용부(131)의 일단에는 제1 수용부(131)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경사부(131a)가 형성되고 제1 경사부(131a)는 착색제(S)가 유입될 때, 경사를 통해 착색제(S)가 제1 수용부(131)로 수용되도록 가이드(guide)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경사부(131a)는 일정 경사를 지녀 착색제(S)를 흐르게 하여 착색제(S)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를 따라 착색제(S)가 유입되어 착색제(S)가 오버플로(overflow)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의 최고점까지 착색제(S)가 채워진다면 착색제(S)가 수용부(130)에 채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착색제(S)의 과도한 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제3 수용부(133) 및 제4 수용부(134)를 포함한다.
제3 수용부(133) 및 제4 수용부(134)는 상호 프레임부(110)의 폭 방향의 모서리 부근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수용부(133)와 제4 수용부(134)는 제1 수용부(131) 및 제2 수용부(132)와 착색제(S)를 공유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수용부(131)와 제2 수용부(132)와 같은 홈이 파져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3 수용부와 제4 수용부는 착색기구(10)가 착색제(S)에 묻혀지는 제1 수용부(131) 및 제2 수용부(132)에 착색제(S)를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착색제(S)가 소모되는 제1 수용부(131) 및 제2 수용부(132)에 착색제(S)가 소모되는 만큼 착색제(S)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 내부에 착색제(S)를 더 공급하여 착색제(S)를 자주 보충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에, 착색제(S)의 잦은 보충없이 다량으로 착색제(S)를 착색기구(10)에 함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수용부(131) 내지 제4 수용부(134)는 연결되어 있어 제1 수용부(131) 내지 제4 수용부(134) 중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 착색제(S)를 공급하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수용부(130)는 착색제가 보관되는 특징 상 부식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용부(130)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수용부(13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수용부(13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수용부(13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수용부(13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29050294-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용부(13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수용부(130)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수용부(13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수용부(130)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렌즈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29050294-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수용부(130)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수용부(13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착색기구,
100 : 카트리지유닛,
110 : 프레임부,
111 : 보관부,
120 : 거치부,
121 : 제1 거치부,
121a : 제1 지지부,
121b : 제1 돌출부,
121c : 제1 홈,
121d : 제1 손잡이부,
122 : 제2 거치부,
122a : 제2 지지부,
122b : 제2 돌출부,
122c : 제2 홈,
122d : 제2 손잡이부,
130 : 수용부,
131 : 제1 수용부,
131a : 제1 경사부,
132a : 제2 경사부,
132 : 제2 수용부,
133 : 제3 수용부,
134 : 제4 수용부,
140 : 패킹부,
141 : 제1 패킹부,
142 : 제2 패킹부,
141a : 제1 패킹부재,
142b : 제2 패킹부재,
200 : 집게부,
210 : 손잡이부,
220 : 홈부,
230 : 헤드부,
S : 착색제.

Claims (8)

  1. 착색제가 보관되는 카트리지유닛; 및
    집게 형상의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유닛은,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거치부는 각각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고,
    상기 거치부는 치아 표면에 사용되는 착색제가 함침되는 착색기구가 복수 개로 거치되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인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의 양쪽 모서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파여지되, 착색제가 유입되어 보관되는 한 쌍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의 양쪽 모서리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 경사를 지닌 제1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경사부와 동일한 형상이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는 착색제가 경사를 따라 유입되어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에 보관되도록 하는 것인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거치부와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치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폭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이되,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돌출부의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인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는 복수 개의 착색기구가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것인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단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와 교차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수직하도록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손잡이부를 상기 프레임부와 수직하도록 이동할 시, 상기 제1 거치부 및 상기 제2 거치부는 각각 착색제가 보관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로 회전되어 복수 개로 위치한 착색기구에 동시에 착색제를 함침시킬 수 있는 것인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착색기구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인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KR1020200164142A 2020-11-30 2020-11-30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KR102399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42A KR102399675B1 (ko) 2020-11-30 2020-11-30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42A KR102399675B1 (ko) 2020-11-30 2020-11-30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675B1 true KR102399675B1 (ko) 2022-05-18

Family

ID=8180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142A KR102399675B1 (ko) 2020-11-30 2020-11-30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6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2784A (en) * 1980-07-02 1983-05-10 Freller Robert T Custom dental shade guide selector and method for its use
JPH0231061Y2 (ko) * 1984-06-05 1990-08-22
JPH10250758A (ja) * 1997-03-12 1998-09-22 Hiroshi Ochiai 塗布液容器
KR200154928Y1 (ko) * 1997-07-02 1999-08-16 조원술 페인트가 자동공급되는 페인트 붓 홀더
KR101338515B1 (ko) 2011-12-15 2013-12-10 김동희 휴대용 치아 착색제 케이스
US20200306009A1 (en) * 2019-03-26 2020-10-01 Practicon, Inc. Device For Holding Medical Instruments And Method of Using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2784A (en) * 1980-07-02 1983-05-10 Freller Robert T Custom dental shade guide selector and method for its use
JPH0231061Y2 (ko) * 1984-06-05 1990-08-22
JPH10250758A (ja) * 1997-03-12 1998-09-22 Hiroshi Ochiai 塗布液容器
KR200154928Y1 (ko) * 1997-07-02 1999-08-16 조원술 페인트가 자동공급되는 페인트 붓 홀더
KR101338515B1 (ko) 2011-12-15 2013-12-10 김동희 휴대용 치아 착색제 케이스
US20200306009A1 (en) * 2019-03-26 2020-10-01 Practicon, Inc. Device For Holding Medical Instruments And Method of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56837A1 (en) Dispenser and method for applying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Prabhakar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length of resin tags, viscosity and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s–an in vitro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y
Arslan et al. The effect of a new-generation flowable composite resin on microleakage in Class V composite restorations as an intermediate layer
RU26020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светления зубов
Sharma et al.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dentin after application of cavity disinfectants–SEM study
MXPA01009344A (es) Formas para bandas de blanqueo dental.
KR102399675B1 (ko) 치아 표면을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카트리지
CN109820748B (zh) 一种用于口腔产品的无水分基质及其应用
Sharma et al. The effect of cavity disinfectants on the sealing ability of dentin bonding system: An: in vitro: study
US20220347068A1 (en) Bleaching Gel
Sarembe et al. Influence of the amount of toothpaste on cleaning efficacy: an in vitro study
ES2133938T3 (es) Composicion limpiadora que incluye poli-dimetil-siloxano cuaternizado y tensioactivo no ionico.
Swartz et al. Fluoride distribution in teeth using a silicate model
CN1368042A (zh) 对牙釉质无害的牙齿漂白液及其使用方法
KR102367022B1 (ko) 치아 착색기 카트리지 모듈
BR9910538A (pt) Implemento contendo composição de limpeza e corante de desaparecimento
CN108289801A (zh) 口腔护理凝胶
KR102649795B1 (ko) 2줄모 및 4줄모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멀티칫솔
KR102364015B1 (ko) 치아에 착색되는 착색제의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KR102658973B1 (ko) 샤프형 치실 및 치간칫솔
JP2005538901A (ja) 1回用量口腔処置製品、キット及び方法
BR112021007604B1 (pt) Composição para higiene bucal e método para clareamento de um dente
Kuhar et al. In vitro permeabilit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tudy of acid‐etched and ground enamel surfaces protected with dental adhesive coating
KR102538227B1 (ko) 편의성이 향상된 치간칫솔 키트
JP4874625B2 (ja) 変色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変色性筆記具、筆記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