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031B1 -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 Google Patents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031B1
KR102399031B1 KR1020210056860A KR20210056860A KR102399031B1 KR 102399031 B1 KR102399031 B1 KR 102399031B1 KR 1020210056860 A KR1020210056860 A KR 1020210056860A KR 20210056860 A KR20210056860 A KR 20210056860A KR 102399031 B1 KR102399031 B1 KR 102399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anpla
sheet
film
bas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창수
권오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서마이크론
함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서마이크론, 함창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서마이크론
Priority to KR102021005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격벅을 포함하는 중공구조를 갖는 단프라 시트; 상기 단프라 시트의 일면에 합지된 폴리올레핀계 데코시트; 및 상기 단프라 시트의 타면에 합지된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단프라 데코보드는 경량화된 소재로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방음, 단열 등의 기능성이 우수할 뿐만아니라 시공자의 의도대로 맞춤형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DANPLA DECORATION BOARD FOR FINISHING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 마감 소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면 및 벽면의 마감 부재로서 기능하고 경량, 방음 및 단열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맞춤형으로 시공면을 디자인할 수 있는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에 관한 기술이다.
단프라(DNAPLA)는 플라스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PP)을 원재료로 만든 소재로서, 종이상자의 단면과 같이 가운데 구멍이 뚫려있는 형태로 제조된 보드를 의미한다. 완충특성이 우수하여 주로 포장용 또는 이사용 박스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단프라는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가 용이하지 않아, 단프라 원료 수지 자체를 착색하여 성형된 단일 색상의 단프라 박스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프라의 활용 영역은 현제까지 극히 제한적이나 내재된 우수한 완충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소재의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건축용 자재로의 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프라 소재의 활용을 모색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단프라의 물성을 활용하여 경량이면서 우수한 방음 및 단열 효과를 가지며 바닥면, 벽면 등을 맞춤형(DIY)으로 디자인하여 마감할 수 있고 우수한 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는 내부에 격벅을 포함하는 중공구조를 갖는 단프라 시트; 상기 단프라 시트의 일면에 합지된 폴리올레핀계 데코시트; 및 상기 단프라 시트의 타면에 합지된 점착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은 수직 격벽 및 사선 격벽을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는 베이스 유닛 및 복수의 층상 구조를 갖는 기능성 유닛의 접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시트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면이 상기 단프라 시트의 상기 일면과 합지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 및 상기 기능성 유닛 중 적어도 한 유닛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단위층들이 복수개 연속하여 적층된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단위층; 및 각각 상기 제1 단위층의 양면에 형성되고,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수말레인산이 반응하여 생성된 극성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층 및 제3 단위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은 각 단위층들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들의 공압출에 의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필름은 폴리프로필렌 발포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발포수지층; 상기 발포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된 이형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프라 시트 및 점착필름은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을 매개로 열압착되어 합지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공압출되어 형성된 다중필름으로서, 제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로 이루어진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 상에 척층되며, 제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 및 메탈로센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m-LLDPE), 스티렌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부타디엔계 수지 및 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컴파운드를 포함하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2 필름층 상에 적층되며, 폴리에틸렌계 수지 블렌드; 및 상기 수지 컴파운드를 포함하는 제3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은 상기 제1 필름층은 단프라 시트에 대향하고, 상기 제3 필름층은 상기 점착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정적인 측면에서, 상기 단프라 시트 및 상기 데코시트 열압출되어 합지되고, 합지된 상기 단프라 시트 및 상기 데코시트가 별도로 준비된 상기 점착필름과 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는 단프라의 기본 특성인 완충 특성을 포함하고, 점착필름에 포함된 발포수지층의 발포특성에 기인하여 인테리어 마감을 위하여 바닥면, 벽면 등에 시공될 경우 경량 소재로서 우수한 작업성을 가지며 나아가 시공면의 방음 및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프라 데코보드는 단프라의 기본 물성에 더하여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적 특징을 갖는 데코시트를 노출면에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인쇄효과, 재질감 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코시트에 부가된 기능성에 따라 난연, 흡음, 내후성 등 다양한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프라 데코보드는, 데코시트, 단프라 시트 및 점착필름 간의 결합 강도가 매우 우수하여, 데코 보드 자체의 내구성만으로 바닥, 벽면 및 기타 열악한 환경에서의 마감재로서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프라 데코보드는 판상의 보드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시공자가 시공면을 다양하게 구획하고 상기 데코보드를 제단하여 시공면에 부착함으로써 맞춤형 시공면을 창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본적인 마감재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시공자는 단순히 제공되는 데코보드로부터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시공면에 부착하면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프라 데코보드의 활용 가능성은 무궁무진할 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으로 이루어져 기존 PVC 재질의 보드와 달리 친환경적인 건축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단프라 시트의 격벽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데코시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데코시트의 기능성 유닛의 층상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점착필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프라 데코보드의 합지 방식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단프라 데코보드의 합지 방식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을 층상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명들이며, 하기 설명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설명 이외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이 당연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오직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제한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하기 설명을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 내 각 층들의 스케일은 설명을 위하여 개념적으로 과장된 것일 수 있으므로, 도면의 스케일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단프라 데코보드가 갖는 크기나 두께의 기술요소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데코보드에 부착되는 데코시트는 데코보드의 용도 및 시공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10000)는 단프라 시트(1000), 데코시트(2000) 및 점착필름(3000)을 포함한다. 상기 단프라 시트(1000)는 내부에 격벽을 포함하는 중공으로 이루어진 시트(1000)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프라 시트(100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성형하여 제작된다. 상기 데코시트(2000)는 후술하겠으나, 상기 단프라 시트(1000)에 합지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기능적 특성 외에 다양한 디자인적인 요소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2000)의 세부 층상구조의 예시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점착필름(3000)은 바닥면, 벽면 등의 마감 부위에 상기 단프라 데코보드(10000)를 부착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단프라 데코보드(10000)는 단프라 시트(1000)가 갖는 기본 물성 외에, 데코시트(2000) 및 점착필름(3000)의 물성을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데코보드(10000)의 다양한 물성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시공되는 영역의 특수성, 단프라 데코보드(10000)의 용도를 고려하여 내구성 강화가 필요한 경우, 상기 단프라 시트(100)의 격벽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단프라 시트의 격벽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단프라 데코보드(10000)의 강도 등 기계적 물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프라 시트(1000)는 상지(1100) 및 하지(1200) 사이에 형성된 중공영역에 변화된 격벽(1300) 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프라 시트(1000)는 수직격벽(1310) 및 사선격벽(1320)이 규칙적 반복적으로 형성된 격벽 구조(1300)를 갖는다. 그러나, 특별히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마감 시공의 경우, 상기 격벽 구조(1300)로서 비용을 고려한 수직격벽(1310)의 반복 구조를 채용한다.
상기 단프라 데코보드(10000)는 판상의 보드로 제조되며, 사이즈 및 형상은 시공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시공자가 임의로 제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공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요소가 가미된 인테리어 마감이 가능하다.
본 단프라 데코보드(10000)는 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단프라 시트(1000), 폴리올레핀계 수지 베이스의 데코시트(2000)를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PVC 수지를 배제한 친환경 소재이며, 이로 인하여 작업 안정성 및 시공된 환경의 친환경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자재이다.
도 3은 도 2의 데코시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데코시트의 기능성 유닛의 층상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코시트(2000)는 베이스 유닛(2100), 기능성 유닛(2200) 및 베이스 유닛(2100) 및 기능성 유닛(2200)의 접착을 매개하는 접착층(2300)을 포함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유닛(2100)은 3중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유닛(2100) 자체가 3중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층에 대응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3중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층과 접착층(2300) 사이에는 추가적인 층상구조가 개입될 수도 있다.
상기 3중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층(2100)은 베이스 유닛(2100)과 동일 개념으로서, 이하 동일한 도면 부호 '2100'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층(2100)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단위층(2110) 및 상기 제1 단위층(211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단위층(2120) 및 제3 단위층(2130)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위층(2110, 2120, 2130)을 이루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본 실시예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사용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단일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자량, 융점 및 용융지수를 갖는 복수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블렌드를 포함한는 개념이다.
또한, 각각의 단위층(2110, 2120, 2130)들은 산화 방지제, 슬립제, 내열 안정제 등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제1 단위층(2110)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2 단위층(2120) 및 제3 단위층(2130)은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수말레인산이 반응하여 생성된 극성기를 함유한다. 상기 극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COO', '-COOH' 등이다.
상기 제3 단위층(2130)은 단프라 시트(1000)와 실질적으로 접합하는 대응 면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상기 단위층(2110, 2120, 2130)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230℃ 하에서 용융지수가 3.0g/10min 내지 12g/10min이고, 140℃ 내지 160℃의 융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단위층(2110, 2120, 2130)들은 적어도 800% 이상의 신율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성 유닛(2200)은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2210), 상기 수지필름층(2210)의 하부에 형성된 인쇄층(2220) 및 상기 수지필름층(2210)의 상부이자 데코시트의 노출면인 최외곽층에 형성된 열경화성 수지층(2230)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층(2220)은 상기 수지필름층(2210)의 일면에 인쇄되어 형성된 층으로서, 상기 인쇄는 패턴 및 다양한 시각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220)의 인쇄 방식에는 크게 국한되지 않으나, 다양한 패턴 효과를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필름층(2210) 및 열경화성 수지층(2230)을 투명한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인쇄층(2220)의 다양한 시각적, 색채적 특성이 단프라 데코보드(10000)에 구현될 수 있다. 종래 단프라 박스 등이 수지 성형 단계에서부터 마스터 배치 등의 방식으로 단일한 색채를 표현한 것과 달리, 본 단프라 데코보드(10000)는 의도하는 모든 디자인적 요소를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시각적으로 다양한 재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층(2230)은 상기 수지필름층(2210) 상에 열경화성 수지를 오버코팅하여 형성되어, 일종의 보호층으로 기능하며 전체적인 데코시트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수지필름층(2210)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4 단위층(2211), 역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되 UV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위층(2211) 상의 최외곽층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제5 단위층(2212) 및 제6 단위층(2213)을 포함한다. 상기 UV 안정제로서는 흡수와 반사 특성을 갖는 UV 안정제를 1:1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단위층(2211, 2212, 2213)을 이루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유닛(210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기능성 유닛(2200)의 데코시트 내에서의 위상이 베이스 유닛(2100)과 상이하므로 세부적인 수지 조성물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수지필름층(2210)은 이중의 UV 안정제 함유 단위층(2212, 2213)들이 최외각 방향으로 2중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데코시트의 내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필름층(2210)은 베이스 유닛(2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종의 수지 조성물들의 공압출에 의하여 성형될 수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 않으나, 상기 기능성 유닛(220)은 난연성 필름, 방오 필름 등 다양한 추가적인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층들은 공지기술로부터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지필름층(2210)을 이루는 조성물 내에, 난연, 방오 효과를 갖는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들을 도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데코시트(2000)로서, 베이스 유닛(2100) 및 기능성 유닛(2200)이 모두 3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들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기능성 유닛(2200)을 이루는 수지필름층(2210)은 경우에 따라서 단일필름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의 점착필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점착필름(3000)은 발포수지층(3100), 점착층(3200) 및 이형필름(3300)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필름(3000)은 상기 단프라 시트(1000)에 부착되어, 시공자가 단프라 데코보드(10000)을 시공할 때, 상기 이형필름(3300)을 제거하여 시공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착제층(3200) 이형필름(3300)에 도포되어 있다가, 상기 발포수지층(3100)과 롤러압착 과정에서 점착제 성분이 상기 발포수지층(3100)에 침투되어, 상기 발포수지층(3100)에 접착 특성을 부여한다.
상기 발포수지층(3100)은 폴리프로필렌 발포수지 또는 폴리에틸레 발포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포의 방식은 통상 발포제츨 활용한 화학적 발포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발포수지층(3100)은 발포폼(FOAM)으로 기능함으로써, 단프라 시트(1000)이 갖는 완충 특성에 더하여, 발포폼에 의한 완충 특성을 부가함으로써 단프라 데코보드(10000)의 방음, 단열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나아가 단프라 데코보드(10000)이 경량화된 건축자재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프라 데코보드의 합지 방식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우선적으로 합지된 단프라 시트(1000) 및 데코시트(2000)는의 결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체가 준비된 점착필름(3000)과 열압착되어 단프라 데코보드(100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프라 시트(1000)가 PP 수지로 이루어진 점을 고려하여,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전술한 발포수지층(3100) 역시 혼용성을 고려한 PP 발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합지 방식은 별도의 매개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방식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단프라 데코보드의 합지 방식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합지 방식은 전술한 도 6에서 설명한 방식과 달리,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4000)을 매개로 상기 결합체(1000, 2000)와 점착필름(3000)이 열압착 되어 결합되는 방식이다.
도 8은 도 7의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을 층상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압출 필름(4000)은 제1 필름층(4100), 제2 필름층(4200) 및 제3 필름층(4300)을 적층 형태로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제1 PP(4100)층은 제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는 열 융착성 등 2차 가공시의 성형성, 가공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랜덤한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필름층(4100)의 융점은 140 내지 150℃를 갖도록 하는 것이 2차 가공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상기 제1 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는 내열성 향상을 위하여, 3 내지 5 w%의 EPR(Ethylene Propylene Ruber)을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및 부타디엔 2 내지 5 w%를 포함하는 3원(ter)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층(4100) 상에는 제2 필름층(4200) 및 제3 필름층(43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제2 필름층(4200) 및 제3 필름층(4300)은 공압출에 의항 서로 융착하는 층들로서, 상기 제2 필름층(4200) 및 제3 필름층(4300)은 상호 결합력 향상을 위한 공통의 수지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결합력 향상을 위한 수지를 '컴파운드 수지'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컴파운드 수지는 미리 칩 형태 등으로 컴파운드화 된 후 공압출 공정에서 각 층의 수지 블렌드와 혼합되어 공압출 된다.
상기 컴파운드 수지는 메탈로센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m-LLDPE), 스티렌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부타디엔계 수지, 프로필렌계 수지 등을 포함하며, 상기 컴파운드 수지는 상기 나열된 수지들 중 적어도 2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컴파운드 수지는 스티렌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부타디엔계 수지 및 프로필렌계 수지 중 어느 한종의 수지와 상기 m-LLDPE 수지를 1:1로 포함하는 수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파운드 수지는 3g/10min 내지 10g/10min(230℃, 2.16Kg 하중)의 용융지수를 갖는 것이 PE/PP 간 박리현상 억제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필름층(4200)은 제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 및 전술한 컴파운드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는 융착성 강화를 고려하여, 블록공중합체 타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는 내열성 강화를 위하여 3 내지 5 w%의 EPR(Ethylene Propylene Ruber)을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및 부타디엔 2 내지 5 w%를 포함하는 3원(ter)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층(4200)은 융점이 148℃ 내지 158℃ 범위로 조절된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3 필름층(4300)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블렌드 및 전술한 컴파운드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 블렌드는 내한성 강화를 위하여, 용융지수가 3g/10min 내지 8.0g/10min(190℃, 2.16Kg 하중)인 에틸렌계 공중합체와 m-LLDP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필름층(4300)은 융점이 110℃ 내지 180℃ 범위로 조절된 필름이다.
이상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각 층(4100, 4200, 4300)은 제품의 필름이 투명성이 요구될 경우, 투명향상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최종 제품의 요구물성이나 용도 등을 고려하여 시중에서 입수 가능한 산화 방지제, 슬립제, 내열 안정제, 광 안정제 등을 첨가제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향상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톨 계열의 MILLARD3988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밖에 밀리켄사의 NX8000 제품 등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광 안정제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열의 UV 안정제가 사용되는 것이 포장 필름의 내구성 및 내식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4000)의 제1 필름층(4100)은 PP 수지로 이루어진 단프라 시트(100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필름층은 점착필름(300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경우, 상기 점착필름(3000)의 발포수지층(3100)은 폴리에틸렌계 발포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4000)을 사용함으로서, 단프라 데코보드(1000)의 접합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내부에 격벽을 포함하는 중공구조를 갖는 단프라 시트;
    상기 단프라 시트의 일면에 합지된 폴리올레핀계 데코시트; 및
    상기 단프라 시트의 타면에 합지된 점착필름
    을 포함하며,

    상기 데코시트는
    베이스 유닛복수의 층상 구조를 갖는 기능성 유닛의 접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시트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면이 상기 단프라 시트의 상기 일면과 합지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 및 상기 기능성 유닛 중 적어도 한 유닛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단위층들이 복수개 연속하여 적층된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단위층; 및
    각각 상기 제1 단위층의 양면에 형성되고,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수말레인산이 반응하여 생성된 극성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층제3 단위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은
    각 단위층들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들의 공압출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수직 격벽 및 사선 격벽을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포함하고,
    상기 점착필름
    폴리프로필렌 발포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발포수지층;
    상기 발포수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 상에 형성된 이형지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단프라 시트 및 점착필름은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을 매개로 열압착되어 합지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공압출되어 형성된 다중필름으로서,
    제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로 이루어진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 상에 척층되며, 제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블렌드, 및 메탈로센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m-LLDPE), 스티렌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부타디엔계 수지 및 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컴파운드를 포함하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2 필름층 상에 적층되며, 폴리에틸렌계 수지 블렌드; 및 상기 수지 컴파운드를 포함하는 제3 필름층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필름은
    상기 제1 필름층은 단프라 시트에 대향하고, 상기 제3 필름층은 상기 점착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프라 시트 및 상기 데코시트는
    열압출되어 합지되고,
    합지된 상기 단프라 시트 및 상기 데코시트가 별도로 준비된 상기 점착필름과 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KR1020210056860A 2021-04-30 2021-04-30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KR102399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860A KR102399031B1 (ko) 2021-04-30 2021-04-30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860A KR102399031B1 (ko) 2021-04-30 2021-04-30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031B1 true KR102399031B1 (ko) 2022-05-18

Family

ID=8180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860A KR102399031B1 (ko) 2021-04-30 2021-04-30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0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036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외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KR20160001904U (ko) * 2014-11-25 2016-06-02 권웅택 시공성 및 단열성을 높힌 모듈러하우스의 바닥재
KR20180107950A (ko) * 2017-03-23 2018-10-04 김윤환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65058B1 (ko) * 2020-02-24 2020-10-13 함창수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036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외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KR20160001904U (ko) * 2014-11-25 2016-06-02 권웅택 시공성 및 단열성을 높힌 모듈러하우스의 바닥재
KR20180107950A (ko) * 2017-03-23 2018-10-04 김윤환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65058B1 (ko) * 2020-02-24 2020-10-13 함창수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338B1 (ko) 양각된 그리고 고온-용융 적층된 멀티-레이어드 합성물 필름
KR102187250B1 (ko)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
KR100851599B1 (ko) 알루미늄 하니컴 판넬용 접착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399031B1 (ko)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KR101611949B1 (ko) 다층 구조의 단열재
KR20190063818A (ko)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투명층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2013169B1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102148271B1 (ko) 데코시트용 폴리올레핀계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접착성 데코시트
KR101996363B1 (ko)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102165058B1 (ko)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CN204566852U (zh) 包括共挤出的三层膜的家具膜
JP3143726U (ja) 梱包材
EP1974905A1 (en) Thermoformable stratified panel and method for obtaining it
KR102013168B1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JP4154767B2 (ja) 化粧シート
JP6790354B2 (ja) 床材
KR20080077844A (ko) 난연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장식용 합성수지 적층 시트, 및그 제조 방법
KR102380387B1 (ko) 데코시트용 폴리올레핀계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내후성 데코시트
JP6790355B2 (ja) 床材
CN204566851U (zh) 包括共挤出的三层膜的地板覆盖物
JP2003334892A (ja) 加飾性多層成形体
JP4387809B2 (ja) 凹凸感模様を有する加飾性多層成形体
JPH0346997Y2 (ko)
JP2003247327A (ja) 化粧材および建築内装材
KR200487238Y1 (ko) 요철이 형성된 이축연신된 불투명한 백색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