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447B1 -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 Google Patents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447B1
KR102395447B1 KR1020200143289A KR20200143289A KR102395447B1 KR 102395447 B1 KR102395447 B1 KR 102395447B1 KR 1020200143289 A KR1020200143289 A KR 1020200143289A KR 20200143289 A KR20200143289 A KR 20200143289A KR 102395447 B1 KR102395447 B1 KR 10239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main body
holding body
holder
spinal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030A (ko
Inventor
강국진
이상수
최선각
Original Assignee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200143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4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9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e.g.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3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us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87Mechanical guides for implantation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유합 케이지와 장착되서, 척추 유합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추체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지 홀더를 통하여, 척추 유합 케이지를 인접하는 척추체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케이지와 분리하여 이탈이 가능하므로 수술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척추 유합 케이지의 임플란트 사이의 높이를 외부에서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므로, 경험이 적은 의사에게 더욱 적합하다.
또한, 수술 중 케이지 홀더를 타격할 때에는 표시장치를 분리하여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타격으로 인한 표시장치의 손상을 방지하여 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분야에서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Description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Expandable Cage Holder for Spinal Fusion Cage}
본 발명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유합 케이지와 장착되서, 척추 유합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추체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는 케이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추체는 몸통을 이루는 32~35개의 척추골(vertebra)과 척추골 사이의 추간판 (intervertebral disk) 즉, 디스크로 이루어지며, 상단의 두개골과 하단의 골반을 연결하는 우리 몸의 중추를 이루는 부분이다.
척추골은 위로부터 7개의 경추(cervical), 12개의 흉추(thoracic), 5개의 요추(lumber), 5개의 천추(sacrum), 3~5개의 미추(coccyx)로 이루어지는데, 성인에서는 5개의 천추가 유합하여 1개의 천골이 되고, 3~5개의 미추가 유합하여 1개의 미골이 된다.
오랫동안 심각한 척추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 척추의 유합술이 있다. 이러한 척추 유합술은 추간판(디스크; intervertebral disc)을 제거하고 이를 대체하는 케이지(Cage)를 삽입하여 인접하는 추체를 서로 유합시키는 수술법이다.
이러한 척추 유합술은 요추에 시술될 경우, 케이지의 삽입방향에 따라, 후방추체 유합술(Posterial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횡추간공 추체유합술(Transformatio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측방 추체 유합술(Lateral 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LLIF), 사측방 추체유합술 (Oblique Lumbar Interbody Fusion, OLIF), 전방추체 유합술(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LIF)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후방추체 유합술(PLIF)은 척추의 중심선을 따라 절개를 하고, 척추체가 모두 노출되도록 개방하고 척추뼈의 후방측 일부를 제거한 후 디스크를 제거하고 PLIF 케이지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후방추체 유합술(PLIF)은 척추 유합술 중 가장 오래전부터 시행해온 것으로써, 두마디나 세마디 유합술을 할 때 꼭 필요한 방법이다. 하지만, 수술과정으로 인해 신경과 인대와 근육에 유착이 될 가능성이 많고, 절개영역이 커서 치유시간이 길며, 사람에 따라서는 후유증이 큰 단점이 있다.
PLIF 케이지는 한쌍의 작은 케이지가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모든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케이지 중에서 가장 작다.
횡추간공 추체 유합술(TLIF)은, 척추 근육 양옆을 따라 작게 절개를 하고 최소한으로 척추체를 노출시키고 난 이후 척추 관절 부위를 신경공이 나오는 방향으로 제거하면서 TLIF 케이지를 디스크를 삽입하는 수술 방법이다. 이 수술기법은 출혈도 적고, 수술 시간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한 마디 수술인 경우에 적합하지만 여러 부위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PLIF 수술을 해야 한다. TLIF 케이지는 대부분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추체에 넣고 회전시켜 TLIF 케이지의 볼록한 부분이 배쪽을 향하도록 한다. TLIF 케이지는 PLIF 케이지보다는 크지만 지지면적이 이후에 언급할 LLIF 케이지 또는 ALIF 케이지 보다는 작다.
전방추체 유합술(ALIF)은 수술회복도 빠르고 유착도 걱정할 필요가 없는 등의 여러가지 장점이 있지만, 전방(배쪽)을 절개하여 내장을 제치며 척추쪽으로 접근해서 시행하므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ALIF 케이지는 모든 척추 유합술 케이지 중에서 가장 큰 지지면적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ALIF, PLIF, TLIF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측방 추체유합술(LLIF)이다. 측방 추체 유합술은 옆구리 절개를 통해 수술을 진행하므로 기존 등을 절개하는 수술들에 비해 척추와 척추 사이 협착된 부위의 간격을 더욱 넓게 넓힐 수 있는 것을 물론이고 주위 조직의 손상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다만,수술하는 경로 주위에 대요근(Psoas muscle) 및 복막(peritoneum)이 있어서, 수술시 실수가 있으면 허벅지 근육 마비가 오는 등의 문제가 있다. LLIF 케이지는 ALIF 케이지보다는 작지만, PLIF 케이지나 TLIF 케이지보다는 작다.
이러한 측방 추체 유합술에 비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법이 사측방 추체 유합술(OLIF(Oblique Lumbar Interbody Fusion) 또는 ATP(Anterior To Psoas) fusion)이다. 사측방 추체 유합술은 옆구리에서 기술어진 방향으로 수술 경로가 이루어지며, 대요근(Psoas muscle) 및 복막(peritoneum)에 의해 수술이 DLIF으로는 수술이 어려운 4번요추(L4)와 5번요추(L5) 사이에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측방 추체 유합술에서 문제가 되는 신경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현저하게 적다.
기존의 척추 유합 케이지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PEEK와 같은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단면적 또는 높이의 변화가 없는 단체(one body)로 제작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체격, 신장, 인종, 성별 등을 고려하여 상당히 많은 수의 제품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제조자 입장에서는 가로, 세로, 높이의 3가지 변수를 조합하여 적게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백가지의 제품군을 제작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또한, 환자의 척추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커지는 것이 아니지만, 단체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미 존재하는 제품군에서 적절한 높이를 골라서 수술해야 하므로, 각각의 환자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에 사용되는 케이지 홀더가 함게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지 홀더들은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수술부위에서 주위근육의 방해 등으로 인하여 케이지 홀더가 척추 유합 케이지와 결합된 상태로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케이지 홀더에서는 케이지의 높이변화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 사용자의 경험에 의해 높이변화를 판단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US2017-0258605A 미국공개특허 US 2012-0226357A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 유합 케이지와 장착되서 척추 유합 케이지를 최저높이로 추체 사이에 삽입시키고, 수술 후 확실하게 척추 유합 케이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케이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에 장착되면, 척추 유합 케이지의 높이 변화량을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케이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탈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케이지 홀더를 타격했을 때, 타격으로 인한 표시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으로 한쌍의 엔드이펙터가 노출되는 홀딩바디; 상기 홀딩바디와 일체인 고정부; 및 상기 메인바디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바디에는 내측에 드라이버 및 골이식재 삽입기구를 각각 별도로 삽입할 수 있는 두개의 홀딩바디홀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홀더이다.
또,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량을 길이변화량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두개의 홀딩바디홀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홀딩바디홀 각각의 단면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홀과 홀 사이에는 연통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홀딩바디홀 각각의 단면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경우, 중첩되는 홀의 말단부는 평면으로 절삭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통부에서 상기 홀딩바디의 두께방향쪽 길이는 상기 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착탈이 가능하게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버튼은 탄성체가 결합할 수 있는 탄성체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홀더.
또, 상기 버튼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핀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홀더.
또, 상기 고정부는 별도의 타격기구를 연장하여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홀더.
또,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결착부; 상기 제1결착부에 연장되어 있는 마킹부; 상기 마킹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드라이버가 안착되는 드라이버 자리를 가지는 운동전환부; 및 상기 운동전환부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마킹부에 형성된 마킹부슬롯을 통해 외부에 노출돼서,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운동전환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킹부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엔드이펙터는 상기 홀딩바디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다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과 상기 다리에는 상기 다리를 강제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딩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단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엔드이펙터의 돌출량이 증가하면, 상기 한쌍의 엔드이펙터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고, 상기 홀딩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단 방향으로부터 후퇴하면 상기 엔드이펙터의 돌출량이 감소하면서 상기 한쌍의 엔드이펙터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다리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로드와,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로드에 삽입되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다리를 관통하는 길이방향으로 긴 가이드슬롯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는 가이드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다리에는 벤딩홈이 형성돼서, 상기 다리 사이의 폭의 변형량을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척추 유합 케이지의 높이증대량을 체크할 수있어서 의사에게 안정감을 줄 뿐 아니라, 더욱 정밀한 수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표시장치를 필요에 따라 착탈할 수 있어, 타격으로 인한 표시장치의 손상을 방지하여 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 홀더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지 홀더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 홀더에 표시장치가 더 포함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의 케이지 홀더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 홀더에 드라이버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1의 케이지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메인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홀딩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의 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홀딩 바디의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케이지 홀더의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3의 B-B'선의 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케이지 홀더의 고정부, 표시장치, 노브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17은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은 운동전환부의 사시도이다.
도 20는 이동표시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커버부의 사시도이다.
도 22은 드라이버의 사시도이다.
도 23는 골이식재 삽입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4은 척추 유합 케이지를 케이지 홀더에 체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의 케이지 홀더에 드라이버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6는 도 1의 케이지 홀더에 골이식재 삽입기구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폭방향"은 본 발명의 메인바디의 가로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두께방향"은 본 발명의 메인바디의 폭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5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 홀더(500)는 기본적으로, 메인바디(502), 상기 메인바디(502)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502)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메인바디(502)의 일단으로 한쌍의 엔드이펙터가 노출되는 홀딩바디(504), 상기 홀딩바디(504)와 일체인 고정부(508) 및 상기 메인바디(502)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508)에 대해 상기 메인바디(50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506)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바디(504)에는 내측에 드라이버(700) 및 골이식재 삽입기구(730)를 각각 별도로 삽입할 수 있는 두개의 홀이 포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502)는 내부에 메인바디홀(526)을 가지는 메인바디관(312)을 가지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홀(514)이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관(512)의 일측은 상기 메인바디홀(526)에 연통하는 개구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520)를 통해 엔드이펙터(544, 546)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메인바디관(512)의 일측에는 확장부(516)가 배치된다. 상기 확장부(516)는 상기 메인바디관(512)에 비해 폭방향(케이지의 폭방향과 일치)으로 확장되어 상기 다리(530,532)의 단부에 형성된 엔드이펙터(544, 546)가 폭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확장부(516) 측에 배치되며, 상기 다리(530,532)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로드와, 상기 메인바디(502)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로드에 삽입되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다리(530,532)를 관통하는 길이방향으로 긴 가이드슬롯(540, 542)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슬롯(540, 542)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502)에 고정되는 가이드핀(606, 60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관(512)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핀(606, 608)을 설치할 수 있는 가이드핀홀(518)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관(512)의 타단에는 노브체결핀홈(524)이 형성되어, 노브(506)를 통해 체결되는 노브체결핀(612)이 상기 노브체결핀홈(524)에 자리하여 상기 노브(506) 회전할 때 상기 메인바디관(512)이 노브(506)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502)는 걸림턱(522)이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노브(506)를 상기 메인바디(502)에 체결했을 때, 상기 노브(506)가 메인바디(502)에 과도하게 체결되지 않고 적절한 위치에서 상기 메인바디(50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홀딩바디(504)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502)에 삽입되는 홀딩바디관(528)을 가지고, 일단이 분기부(534)로부터 분기되는 2개의 다리(530,53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홀딩바디(504)에는 내측에 드라이버(700) 및 골이식재 삽입기구(730)를 각각 별도로 삽입할 수 있는 두개의 홀딩바디홀(548, 5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딩바디홀(548, 549)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며, 상기 홀딩바디홀(548,549)의 단면은 서로 이격되어 있거나 또는 단면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홀딩바디홀(548,549) 각각의 단면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홀과 홀 사이에는 연통부(547)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홀딩바디홀(548,549)의 단면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경우, 중첩되는 홀의 말단부는 평면으로 절삭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547)에서 상기 홀딩바디(504)의 폭방향쪽 길이는 상기 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부(547)의 상기 홀딩바디(504)의 폭방향쪽 길이를 상기 홀의 지름보다 작게 하므로써, 사용자가 상기 드라이버(700) 또는 골이식재 삽입기구(730)를 삽입할 때 각각의 홀(548, 549)에서 상기 드라이버(700) 또는 골이식재 삽입기구(730)를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도 25는 드라이버(700)가 상기 홀딩바디홀(548)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6는 골이식재 삽입기구(730)가 상기 홀딩바디홀(549)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와 같이 상기 연통부(547)에서 상기 홀딩바디(504)의 폭방향쪽 길이가 상기 홀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드라이버(700) 및 상기 골이식재 삽입기구(730)는 각각 삽입할 때, 삽입하는 홀을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다리(530,532)에는 외측으로 벤딩홈(536, 538)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530,532)의 벤딩량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리(530,532)의 단부에는 엔드이펙터(544, 546)가 배치되어 케이지를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530,532)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슬롯(540, 542)이 형성된다.
도 11은 상기 다리(530,532)가 상기 메인바디(502)의 확장부(516)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다리(530,532)에 형성된 가이드슬롯(540, 542)에 가이드핀(606, 608)이 삽입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홀딩바디(504)가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단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엔드이펙터(544, 546)의 돌출량이 증가하면 상기 한쌍의 엔드이펙터(544, 546)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고, 상기 홀딩바디(504)가 상기 메인바디(50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단 방향으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엔드이펙터(544, 546)의 돌출량이 감소하면, 상기 한쌍의 엔드이펙터(544, 546)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된다. 즉, 상기 다리(530,532)를 강제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이 상술한 상기 가이드핀(606, 608)과 상기 가이드슬롯(540, 542)에 의해 가능해진다.
상기 홀딩바디(504)의 타단에는 제2결착부(55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508)에 고정된다. 상기 제2결착부(550)의 결착방식은 나사선에 의한 나사결합, 용접, 핀고정, 에폭시 접착 등 공지의 기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506)는 상기 메인바디(502)에 대해 상기 홀딩바디(504)를 이동시키도록 회전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요철이 형성된 노브바디(552)와, 상기 메인바디(502)의 노브체결핀홈(524)에 대응되는 제3결착부(555)와, 하기하는 고정부(508)의 고정부나사(562)와 대응되는 노브나사(5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506)의 내부는 노브홀(558)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관의 형상을 가진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508)는 고정부몸체(560)의 일단에 고정부나사(56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나사(562)는 상기 노브(506)의 노브나사(556)와 서로 나사결합하여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508)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508)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부홀(56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508)는 별도의 타격기구를 연장하여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홈(59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592)은 상기 고정부(508)의 고정부몸체(560)에 포함되고, 상기 고정부(508)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592)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508)에 별도의 타격기구를 연장하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08)는 핸들결착부(572)가 형성되서, 핸들(582)이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핸들(582)에는 추가적인 손잡이를 결착할 수 있는 연결척(59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몸체(560)의 내측에는 후술하게될 버튼(74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체가 위치하기 위한 제1탄성체자리(563)가 형성되며, 버튼체결핀(748)이 삽입되기 위한 버튼체결핀홈(56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체자리(563) 및 상기 버튼체결핀홈(569)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후술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508)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표시장치(510)의 착탈이 가능하게 하는 버튼(740)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740)은 버튼홀(748)을 통하여 상기 표시장치(510)의 버튼결합부(567)에 대응되어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의 상기 버튼결합부(567)와 버튼홀(748)은 상기 고정부몸체(560)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버튼(740)은 탄성체가 결합할 수 있는 제2탄성체자리(744)를 포함한다. 탄성체(미도시)는 상기 버튼(740)이 상기 고정부몸체(560) 내부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2탄성체자리(563, 744)에 위치하여 상기 버튼(740)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버튼(74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740)의 일단에 핀수용부(7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핀수용부(746)에는 버튼체결핀(748)이 상기 고정부(508)의 버튼체결핀홈(569)을 통해 삽입되어 수용되며, 상기 탄성체(미도시)의 탄성으로 상기 버튼(74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홀더(500)는 상기 고정부(508) 및 상기 홀딩바디(504)의 내부를 통해 드라이버(700)가 삽입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508)에는 상기 드라이버(700)의 회전량을 길이변화량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510)는 상기 고정부(508)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508)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장치(510)는 상기 고정부(508)에 연결되는 제1결착부(570), 상기 제1결착부(570)에 연장되어 있는 마킹부(564), 상기 마킹부(564)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드라이버(700)가 안착되는 드라이버자리(578)를 가지는 운동전환부(576) 및 상기 운동전환부(576)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마킹부(564)에 형성된 마킹부슬롯(566)을 통해 외부에 노출돼서, 상기 드라이버(7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운동전환부(576)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킹부슬롯(566)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착부(570)는 상기 표시장치(510)의 일단에 형성되고 버튼결합부(567)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결합부(567)에는 후술하게될 버튼(740)이 체결된다.
상기 마킹부(564)에는 외부에 길이를 표현할 수 있는 스케일이 표시되며, 상기 이동표시부(580)에 표시된 마커에 의해 현재의 케이지의 높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장치(510)의 내부에는 상기 표시장치(5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표시장치홀(565)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장치홀(565)의 내측으로 운동전환부가 삽입되며, 회전지지부(574)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드라이버(700)가 삽입되어 드라이버결착부(716)와 드라이버자리(578)가 결착한 상태에서 회전하면, 그 회전량은 운동전환부(576)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전환부(576)와 나사결합된 이동표시부(580)가 상기 운동전환부(576)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외부에서 상기 이동표시부(580)의 이동표시돌출부(584)의 마킹이 일치하는 위치를 읽어서 현재의 케이지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전환부(576)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 나사산은 상기 이동표시부(580)의 이동표시나사부(586)와 나합된다. 상기 나사산은 케이지의 조절부재의 나사산의 피치와 동일하면, 상기 이동표시부(580)의 이동량이 작아서 시각적으로 파악이 어려우므로, 조절부재의 리드를 확대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의 나사산의 피치보다 크거나, 복수의 줄수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표시부(580)는 상기 마킹부슬롯(566)으로부터 돌출되어 안내되도록 이동표시부몸체(582)의 주위에 이동표시돌출부(584)가 형성된다.
끝으로, 상기 이동표시부(580)가 상기 표시장치(510)의 마킹부(564)에 삽입되고, 커버부(588)를 체결하여 상기 이동표시부(58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부(588)의 고정은 나사결합, 용접, 에폭시 등의 공지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마킹부(564)의 단부에 고정한다. 상기 커버부(588)에는 공구 등을 체결할 수 있는 커버부공구홈(59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메인바디(502)에 대해 상기 홀딩바디(504)를 이동하는 구동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바디(502)의 노브체결핀홈(524)과 상기 노브(506)의 노브체결핀 자리(554)에 노브체결핀(612)이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502)와 상기 노브(506)가 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노브(506)는 상기 메인바디(502)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홀딩바디관(528)의 제2결착부(550)는 상기 고정부(508)의 내부에 삽입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508)와 상기 홀딩바디관(528)은 하나의 몸체가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08)의 고정부나사(562)와 상기 노브(506)의 노브나사(556)가 서로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506)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나사(562)에 대해 상기 노브나사(556)가 회전하면서 상기 메인바디(502)를 상기 고정부(508)에 대해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고정부(508)와 일체인 홀딩바디(504)가 전후진하게 되고, 상기 홀딩바디(504)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다리(530,532)가 전후진하게 된다. 상기 다리(530,532)의 전후진 운동에 의한 엔드이펙터(544, 546)의 운동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와 상기 케이지 홀더(500)가 결착한 모습을 도 24에 나타내었다.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가 높이가 가장 낮은 상태로 케이지 홀더(500)에 근접시켜, 엔드이펙터(544, 546)가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의 측부에 형성된 케이지 체결부(116)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506)를 회전시켜, 상기 홀딩바디(504)를 후퇴시켜, 상기 엔드이펙터(544, 546)가 상기 케이지 체결부(116)에 삽입되어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를 고정한다.
상기 척추 유합 케이지(100)를 고정한 후에는 상기 드라이버(700)를 상기 홀딩바디홀(548)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근위이동블럭(170)과 상기 말단이동블럭(140)이 서로 근접하면서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02)와 제2엔드플레이트(202)가 서로 이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지 홀더를 통하여, 척추 유합 케이지를 인접하는 척추체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케이지와 분리하여 이탈이 가능하므로 수술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척추 유합 케이지의 임플란트 사이의 높이를 외부에서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므로, 경험이 적은 의사에게 더욱 적합하다.
또한, 수술 중 케이지 홀더를 적절한 자리에 위치시키기 위해 타격할 때에는 표시장치를 분리하여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타격으로 인한 표시장치의 손상을 방지하여 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분야에서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00 : 척추 유합 케이지 102 : 제1엔드플레이트
116 : 케이지 체결부 202 : 제2엔드플레이트
170 : 근위 이동블럭 140 : 말단이동블럭
500 : 케이지 홀더 502 : 메인바디
504 : 홀딩바디 506 : 노브
508 : 고정부 510 : 표시장치
512 : 메인바디관 514 : 세척홀
516 : 확장부 518 : 가이드핀홀
520 : 개구부 522 : 걸림턱
524 : 노브체결핀홈 526 : 메인바디 홀
528 : 홀딩바디관 530, 532 : 다리
534 : 분기부 536, 538 : 벤딩홈
540, 542 : 가이드슬롯 544, 546 : 엔드이펙터
547 : 연통부 548, 549 : 홀딩바디홀
550 : 제2결착부 552 : 노브바디
554 : 노브체결핀 자리 555 : 제3결착부
556 : 노브나사 558 : 노브홀
560 : 고정부 몸체 562 : 고정부 나사
563 : 제1탄성체자리 564 : 마킹부
565 : 표시장치홀 566 : 마킹부슬롯
567 : 버튼결합부 568 : 고정부홀
569 : 버튼체결핀홈 570 : 제1결착부
572 : 핸들결착부 574 : 회전지지부
576 : 운동전환부 578 : 드라이버자리
580 : 이동표시부 582 : 이동표시부 몸체
584 : 이동표시 돌출부 586 : 이동표시 나사부
588 : 커버부 590 : 커버부공구홈
582 : 핸들 592 : 체결홈
594 : 연결척 606, 608 : 가이드핀
612 : 노브체결핀 700 : 드라이버
712 : 드라이버팁 714 : 드라이버 샤프트
716 : 드라이버 결착부 718 : 연결부
720 : 드라이버척 730 : 골이식재 삽입기구
732 : 삽입기구 팁 734 : 삽입기구 샤프트
736 : 골이식재 주입부 740 : 버튼
742 : 버튼몸체 746 : 핀수용부
744 : 제2탄성체자리 748 : 버튼홀

Claims (15)

  1.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으로 한쌍의 엔드이펙터가 노출되는 홀딩바디;
    상기 홀딩바디와 일체인 고정부; 및
    상기 메인바디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바디에는 내측에 드라이버 및 골이식재 삽입기구를 각각 별도로 삽입할 수 있는 두개의 홀딩바디홀이 포함되며,
    상기 두개의 홀딩바디홀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고, 상기 두개의 홀딩바디홀 사이에는 연통부가 포함되고, 상기 연통부에서 상기 홀딩바디의 두께방향쪽 길이는 상기 홀딩바디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량을 길이변화량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착탈이 가능하게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탄성체가 결합할 수 있는 탄성체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핀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별도의 타격기구를 연장하여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결착부;
    상기 제1결착부에 연장되어 있는 마킹부;
    상기 마킹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드라이버가 안착되는 드라이버 자리를 가지는 운동전환부; 및
    상기 운동전환부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마킹부에 형성된 마킹부슬롯을 통해 외부에 노출돼서,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운동전환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킹부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이펙터는 상기 홀딩바디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다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과 상기 다리에는 상기 다리를 강제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딩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단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엔드이펙터의 돌출량이 증가하면, 상기 한쌍의 엔드이펙터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고, 상기 홀딩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단 방향으로부터 후퇴하면 상기 엔드이펙터의 돌출량이 감소하면서 상기 한쌍의 엔드이펙터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다리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로드와,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로드에 삽입되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다리를 관통하는 길이방향으로 긴 가이드슬롯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는 가이드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에는 벤딩홈이 형성돼서, 상기 다리 사이의 폭의 변형량을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KR1020200143289A 2020-10-30 2020-10-30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KR10239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89A KR102395447B1 (ko) 2020-10-30 2020-10-30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89A KR102395447B1 (ko) 2020-10-30 2020-10-30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30A KR20220058030A (ko) 2022-05-09
KR102395447B1 true KR102395447B1 (ko) 2022-05-10

Family

ID=8158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289A KR102395447B1 (ko) 2020-10-30 2020-10-30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96973B (zh) * 2024-03-01 2024-05-31 北京纳通医疗科技控股有限公司 显示器、用于腰椎融合器的持取植入器械及手术器械组件
CN117796974B (zh) * 2024-03-01 2024-05-31 北京纳通医疗科技控股有限公司 椎间植骨器械及手术器械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6741A1 (en) * 2000-02-04 2001-08-23 Burkus J. Kenneth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US20190008658A1 (en) * 2017-01-18 2019-01-10 Neuropro Technologies, Inc. Bone fusion system, device and method including a measuring mechanism
JP2019072481A (ja) 2017-10-11 2019-05-16 グローバ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椎間スペーサーおよびプレート
KR102154560B1 (ko) * 2019-09-11 2020-09-11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4712B2 (en) 2010-01-11 2014-11-25 Innova Spinal Technologies, Llc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and associated surgical method
US9668876B2 (en) 2013-12-05 2017-06-06 Spinal Elements, Inc. Expandable interbod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6741A1 (en) * 2000-02-04 2001-08-23 Burkus J. Kenneth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US20190008658A1 (en) * 2017-01-18 2019-01-10 Neuropro Technologies, Inc. Bone fusion system, device and method including a measuring mechanism
JP2019072481A (ja) 2017-10-11 2019-05-16 グローバ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椎間スペーサーおよびプレート
KR102154560B1 (ko) * 2019-09-11 2020-09-11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30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23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KR102154560B1 (ko)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US6743234B2 (en)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US6648895B2 (en)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EP1793770B1 (en) Intervertebral implant
US6575981B1 (en)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US92160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vertebral implant
US6428541B1 (en) Method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ES2806085T3 (es) Instrumental mínimamente invasivo para la entrega de un espaciador interespinoso
AU2023282316A1 (en) Sagittal balance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60116688A1 (en) Method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AU2002232959A1 (en)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AU3744699A (en) Method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KR102395447B1 (ko)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KR102416664B1 (ko) 척추 유합 케이지의 케이지 홀더
JP4326332B2 (ja) 椎体間固定術の方法及び器具
WO2003026514A1 (en)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AU2002330130A1 (en)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