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83B1 - Aerosol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83B1
KR102395183B1 KR1020190089205A KR20190089205A KR102395183B1 KR 102395183 B1 KR102395183 B1 KR 102395183B1 KR 1020190089205 A KR1020190089205 A KR 1020190089205A KR 20190089205 A KR20190089205 A KR 20190089205A KR 102395183 B1 KR102395183 B1 KR 10239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aerosol
generating device
passag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2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1826A (en
Inventor
이재민
이원경
한대남
이종섭
성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08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83B1/en
Publication of KR2021001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8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외부 공기와 상기 에어로졸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기류 통로, 제1 기류 통로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허용하고 공기 유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차단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disclose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heater configured to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 air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and the aerosol are mixed and discharged; a first air flow passage, a portion of the first air flow passage It is formed in, and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part that allows the passage of the air 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and blocks the passage of the air 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ir inlet.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Aerosol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DEVICE}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을 대체하는 흡연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a smoking method that replaces conventional cigarettes. For examp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as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the cigarette is heated rather than a method of burning a cigarette to produce an aerosol. Accordingly, research into a heated cigarette or a hea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유동성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에어로졸이 냉각됨에 따라 생성되는 액적은 센서 등을 포함한 장치의 내부 구성들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된 액적은 내부 구성들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내부 구성들을 파손시킬 수 있으므로, 액적의 유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In a device for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having flowability, droplets generated as the aerosol is cooled may flow into internal components of the device including a sensor and the like. Since the introduced droplet may cause malfunction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damage the internal component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nflow of the drople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액적이 역류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구성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ntended to provid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droplet from flowing back into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에어로졸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기류 통로; 상기 제1 기류 통로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허용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차단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heater for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 first air flow passage including an air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and the aerosol are mixed and discharged; and an opening/closing part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airflow passageway to allow passage of the airflow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let and block passage of the airflow in a direction toward the air inlet.

상기 개폐부는,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이 휘어지거나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기류의 통과를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two blades, and allow or block passage of an airflow by bending or coupling the at least two blades to each other.

상기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은,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소정의 유량 이상의 상기 외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The at least two blades are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let when a flow of the external air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low rate toward the outlet occurs, thereby allowing the passage of the air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상기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은, 상기 제1 기류 통로에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오목하게 휘어질 수 있다.The at least two blades may be bent concavely from one end fixed to the first airflow passage toward the outlet.

상기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은,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소정의 유량 이상의 상기 외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차단할 수 있다.The at least two blades may block the passage of the air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ir inlet by coupling with each other to form the same plane when the flow of the external air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low rate toward the outlet does not occur.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기류 통로; 상기 제2 기류 통로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류 통로의 유량 또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통한 에어로졸의 배출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에어로졸로부터 생성된 액적을 상기 제2 기류 통로의 외부로 유도하는 액적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es: a second airflow passag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a pressure sensor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way and sensing the discharge of the aerosol through the outlet by measuring a change in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way; and a droplet guide unit for guiding the droplets generated from the aerosol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액적 유도부에 의해 유도된 액적을 수용하는 액적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rople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droplet induced by the droplet inducing unit.

상기 액적 유도부는, 상기 제2 기류 통로의 측벽의 일 부분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상기 측벽의 일 부분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액적을 상기 액적 수용부로 유도하는 유도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oplet guide portion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that form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a portion of a sidewall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and protrudes inwardly from a portion of the sidewall; and an induction path for guiding the droplet flowing along the partition wall to the droplet receiving unit.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이 냉각됨에 따라 생성된 액적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역류 또는 낙하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들의 오동작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or damage of internal components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by blocking the droplets generated as the aerosol is cooled from flowing back or falling into the interior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1 to 3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A and 7B are partial enlarged views of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S. 4 to 6 ;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to 3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를 포함하고, 궐련(2)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궐련(2)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 및 궐련(2)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3)를 포함하지 않고, 배터리(11), 제어부(12) 및 증기화기(14)만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 battery 11 , a control unit 12 , a heater 13 and a vaporizer 14 , and a cigarette 2 can be inserted thereinto includes space. Referring to FIG. 3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does not include a heater 13 for heating the cigarette 2 and an inner space into which the cigarette 2 can be inserted, the battery 11 , the control unit 12 ) and vaporizer 14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shown in FIGS. 1 to 3 shows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1 to 3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there is.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include a display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d/or a motor for outputting tactil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comprise at least one sensor.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히터(13)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는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heater 13 i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 FIGS. 1 and 2 , if necessary, the heater 13 may be omitted.

도 1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및 증기화기(14)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1 , the battery 11 , the control unit 12 , the vaporizer 14 , and the heater 13 are shown arranged in a line. 2 shows the vaporizer 14 and the heater 13 arranged in parallel. Meanwhile, in FIG. 3 , the battery 11 , the control unit 12 , and the vaporizer 14 are illustrated as being arranged in a line. 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 to 3 .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the arrangement of the battery 11 , the control unit 12 , the heater 13 and the vaporizer 14 may be changed.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궐련(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를 작동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1 and 2 , when a cigarette 2 is inser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operates the heater 13 and/or the vaporizer 14 to release the aerosol can cause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heater 13 and/or vaporizer 14 passes through the cigarette 2 and is delivered to the user.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증기화기(14)를 작동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화기(14)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사용자에게 전달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3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operate the vaporizer 14 to generate an aerosol.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vaporizer 14 is delivered to the user.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히터(13) 또는 증기화기(14)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및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battery 11 supplies the power used to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For example, the battery 11 may supply electric power so that the heater 13 or the vaporizer 14 can be heated, and may supply electric power required for the control unit 12 to operate. In addition, the battery 11 may supply power required to operate a display, a sensor, a motor, etc. install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The battery 11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or a disposable battery. For example, the battery 11 may be a lithium iron phosphate (LiFePO4) battery, a lithium cobalt oxide (LiCoO2) battery, a lithium titanate battery, and a lithium polymer (LiPoly)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배터리(11), 히터(13) 및 증기화기(14)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11 , the heater 13 and the vaporizer 14 , as well as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Also, the control unit 12 may determine wheth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in an operable state by checking the state of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제어부(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able in the microprocessor is stored. In addition,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types of hardware.

히터(13)는 배터리(1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히터(13)는 궐련(2)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는 궐련(2)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heater 13 may be heated b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1 . For example, if the cigarette 2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the heater 13 may be located outside the cigarette 2 . Thus, the heated heater 13 can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 the cigarette 2 .

히터(13)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heater 13 may be an electrically resistive heater. For example, the heater 13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the heater 13 may be heated as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However, the heater 13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applicable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heated to a desired temperature. Here, the desired temperature may be preset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or may be set to a desired temperature by the user.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에는 궐련(2)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2)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heater 13 may be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 Specifically, the heater 13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il for heating the cigarette 2 in an induction heating manner, and the cigarette 2 may include a susceptor capable of being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heater. .

예를 들어, 히터(13)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ter 13 may include a tubular heating element, a plate-shaped heating element, a needle-type heating element, or a rod-shaped heating element, which can be heated inside or outside the cigarette 2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eating element. can be heated

증기화기(14)는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거나,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거나, 궐련(2)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aporizer 14 is operated by an electric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2, and converts the phase of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ccommodated therein into a gas phase to generate an aerosol. The generated aerosol may be passed through the cigarette 2 to the user, or may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user.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vaporizer 14 may travel along the airflow passag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The airflow path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vaporizer 14 is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cigarette 2 , or directly to the us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igarette 2 .

증기화기(14)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는 궐련(2)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3)와 구분되는 별도의 가열 요소를 의미한다.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히터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증기화기(14)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Vaporizer 14 may include a liquid reservoir, liquid delivery means and a heater. Here, the heater means a separate heating element separated from the heater 13 for heating the cigarette 2 . The liquid reservoir, liquid delivery means and heater may be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s independent modul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aporizer 14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한편, 증기화기(14)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의 기류 통로를 따라 배출구를 향하여 이동한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에어로졸은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생성된 에어로졸의 일부는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에어로졸은 다시 액화하여 액적(droplet)으로 변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vaporizer 14 moves along the airflow passage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oward the outlet. The aerosol discharged from the outlet may be inhaled by the user. However, a part of the generated aerosol is cooled while moving along the airflow passage, and the cooled aerosol may be liquefied again and changed into droplets.

이러한 액적은 기류 통로를 따라 역류(또는 낙하)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부의 구성요소들로 유입될 수 있고, 액적이 유입된 구성요소들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심한 경우 손상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적에 의한 내부 구성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These droplets may flow backwards (or fall) along the airflow passage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mponents in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nd the components into which the droplets have been introduced may cause malfunction or even damage in severe cas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ans to prevent damage to internal components by droplets.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액적에 의한 내부 구성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internal components by drople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일 수 있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FIG. 4 may be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액체 저장부(141), 액체 전달 수단(142) 및 히터(143)를 포함한다. 액체 저장부(141), 액체 전달 수단(142) 및 히터(143)는 증기화기(14)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 liquid reservoir 141 , a liquid delivery means 142 and a heater 143 . The liquid reservoir 141 , the liquid delivery means 142 and the heater 143 may form part of the vaporizer 14 .

액체 저장부(14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 액체 저장부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액체 저장부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액체 저장부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 솜, 천, 또는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liquid reservoir 141 contains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hat the liquid reservoir 'accommodates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herein means that the liquid reservoir performs a function of simply containing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such as for use in a container, and that the liquid reservoir performs a function of simply containing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 the interior of the liquid reservoir, for example a sponge. , cotton, cloth, or elements impregnated with (contain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such as a porous ceramic structure.

액체 저장부(141)는 외벽 및 외벽으로 둘러싸인 빈 공간을 포함하며, 빈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141)는 기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기류 통로(150)를 둘러싸며 포위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액체 저장부(141)는 제1 기류 통로(150)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liquid storage unit 141 includes an outer wall and an empty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and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may be accommodated in the empty space. The liquid storage unit 141 may have a shape that surrounds and encloses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through which the airflow may pass. At this time, the liquid storage unit 141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액체 저장부(141)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liquid reservoir 141 may include a liquid composition. The liquid composition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comprising a volatile tobacco flavor component, or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non-tobacco material.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ny one component of water, a solvent, ethanol, a plant extract, a fragrance, a flavoring agent, and a vitamin mixture, or a mixture of these components. The fragran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menthol, peppermint, spearmint oil, various fruit flavoring ingredients, and the like. Flavoring agents may include ingredients capable of providing a user with a variety of flavors or flavors. The vitamin mixture may be a mixture of at least one of vitamin A, vitamin B, vitamin C, and vitamin E, but is not limited thereto. Liquid compositions may also include aerosol formers such as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a solution of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in any weight ratio to which a nicotine salt has been added. 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two or more nicotine salts. Nicotine salts can be formed by adding to nicotine a suitable acid, including organic or inorganic acids. Nicotine is either naturally occurring nicotine or synthetic nicotine, and may have any suitable weight concentration relative to the total solution weight of the liquid composition.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cid for the formation of the nicotine sal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blood nicotine absorption rate,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flavor or flavor, solubility, and the like. For example, acids for the formation of nicotine salts include benzoic acid, lactic acid, salicylic acid, lauric acid, sorbic acid, levulinic acid, pyruv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valeric acid, caproic acid, caprylic acid, capric acid , cit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phenylacet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gluconic acid, saccharic acid, malonic acid or malic acid alone or the above It may be a mixture of two or more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액체 전달 수단(142)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142)은 액체 저장부(141)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히터(143)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서는 액체 전달 수단(142)이 하나의 축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liquid delivery means 142 can absorb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d keep it optimal for conversion to an aerosol. The liquid delivery means 142 may absorb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from the liquid reservoir 141 and deliver it to the heater 143 . For example, the liquid delivery means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of cotton fibers, ceramic fibers, glass fibers, and porous ceramics. Meanwhile, in FIG. 4 , the liquid delivery means 142 is shown as an elongate shape extending along one axi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히터(143)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히터(143)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전달 수단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구리, 니켈, 텅스텐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43)는 금속 열선(wire),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니크롬선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현되거나, 액체 전달 수단(142)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14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heater 143 heats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o generate an aerosol. The heater 143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nickel, or tungsten in order to heat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ransferred to the liquid delivery means by generating heat by electrical resistance. For example, the heater 143 may be implemented as a metal hot wire, a metal hot plate, a ceramic heating element, etc.,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nductive filament using a material such as a nichrome wire, or to the liquid delivery means 142 . It may be wound or disposed adjacent to the liquid delivery means 142 .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전달 수단(142) 및 히터(143)는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현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성(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발열체로 구현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liquid delivery means 142 and the heater 143 are not implemented as separate components, respectively, but have a function of absorb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and mai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an optimal state for conversion into an aerosol. It may be implemented as a heating element having a mesh shape or a plate shape that performs all functions of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제1 기류 통로(150)는 궐련(2)과 증기화기를 일렬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류 통로(150)는 공기 유입구(152) 및 배출구(154)를 포함한다. 외부 공기는 공기 유입구(152)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5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표면에 형성된 통공이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된 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igarette 2 and the vaporizer in a line.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includes an air inlet 152 and an outlet 154 .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rough an air inlet 152 . For example, the air inlet 152 may be a hol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or a gap formed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외부 공기는 제1 기류 통로(150)를 따라 증기화기로 유입되어, 히터(143)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될 수 있다. 에어로졸과 외부 공기가 혼합된 기류는 제1 기류 통로(150)를 따라 유동하여 배출구(15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54)를 통해 배출된 기류는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The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vaporizer alo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and may be mixed with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heater 143 . The airflow in which the aerosol and external air are mixed may flow alo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4 . Th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4 may pass through the cigarette 2 and be inhaled by the user.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1 기류 통로(150)의 일 부분에 형성된 개폐부(16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폐부(160)는 외부 공기가 증기화기로 유입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n opening/closing unit 160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unit 160 may be formed at a portion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vaporizer.

개폐부(160)는 제1 기류 통로(150)에서의 기류의 통과를 허용 또는 차단한다. 개폐부(160)는 배출구(154)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공기 유입구(152)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차단한다. 다시 말해, 개폐부(160)는 제1 기류 통로(150)의 일 부분을 개방하여 공기 유입구(152)로부터 배출구(154)로의 기류의 유동을 허용하고, 제1 기류 통로(150)의 일 부분을 폐쇄하여 배출구(154)로부터 공기 유입구(152)로의 기류의 유동을 차단한다.The opening/closing unit 160 permits or blocks the passage of the air flow in the first air flow passage 150 . The opening/closing portion 160 permits the passage of the air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154 , while blocking the passage of the air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ir inlet 152 . In other words, the opening/closing unit 160 opens a portion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to allow the flow of airflow from the air inlet 152 to the outlet 154 , and opens a portion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Close to block the flow of airflow from the outlet 154 to the air inlet 152 .

예를 들어, 개폐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흡입이 발생한 경우 제1 기류 통로(150)를 개방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 및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에 의한 흡입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개폐부(160)는 제1 기류 통로(150)를 폐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지 않은 일부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로 더욱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154)와 개폐부(160) 사이의 제1 기류 통로(150)에서 생성된 액적이 역류(또는 낙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에어로졸이 개폐부(160)를 통과하여 역류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부에서 추가적으로 액적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unit 160 may generate and discharge an aerosol by openi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when inhalation occurs by the user. On the other hand, when inhalation by the user does not occur, the opening/closing unit 160 closes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so that some aerosol not inhaled by the user further enters the interi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can be blocked Accordingly, the droplet generated in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between the outlet 154 and the opening/closing unit 160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ward (or falling). In addition, by blocking the backflow of the aerosol passing through the opening/closing unit 160 ,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additional droplets from being generated in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일 실시예에서, 개폐부(160)는 적어도 2개의 날개들(162, 164)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들(162, 164)은 휘어지거나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기류의 통과를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two wings 162 and 164 . The wings 162 , 164 may allow or block the passage of airflow by bending or engaging with each other.

날개들(162, 164)은 배출구(154)를 향하는 소정의 유량 이상의 외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 경우, 배출구(154)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배출구(154)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반면, 날개들(162, 164)은 배출구(154)를 향하는 소정의 유량 이상의 외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함으로써, 공기 유입구(152)를 향하는 방향(도시된 화살표의 역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차단할 수 있다.The wings 162 and 164 are ben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154 when a flow of external air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low rate toward the outlet 154 occurs, allowing the passage of the air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154 . can do. On the other hand, the wings 162 and 164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the same plane when the flow of external air above a predetermined flow rate toward the outlet 154 does not occur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ir inlet 152 (shown arrows). can block the passage of airflow in the reverse direction of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출구(154)로부터 마우스피스(미도시)로의 기류 유동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180) 및 배출구(154)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기류 통로(17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180 for sensing airflow flow from the outlet 154 to the mouthpiece (not shown) and a second airflow passage 170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154 . can

압력 센서(180)는 제2 기류 통로(17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180)는 제2 기류 통로(170)의 유량 또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배출구(154)를 통한 에어로졸의 배출을 감지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할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제1 기류 통로(150)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부로 유출된다. 이 때, 외부 공기 또한 제1 기류 통로(150)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증기화기로 유동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18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 The pressure sensor 180 detects the discharge of the aerosol through the outlet 154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 When the user inhales the aerosol, the aerosol genera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flows ou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rough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At this time, external air may also flow to the vaporiz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rough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생성된 에어로졸 및 외부 공기가 제1 기류 통로(150)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를 유동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제1 기류 통로(150)의 유량 또는 압력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류 통로(150)의 배출구(154)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기류 통로(170)의 유량 또는 압력 또한 변화할 수 있다.As the generated aerosol and external air flow in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rough the first air flow path 150 and then flow ou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e flow rate of the first air flow path 150 Alternatively, a change in pressure may occur. Accordingly,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154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may also change.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액적 유도부(190) 및 액적 수용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적 유도부(190)는 에어로졸로부터 생성된 액적을 제2 기류 통로(170)의 외부로 유도한다. 액적 수용부(200)는 액적 유도부(190)에 의해 유도된 액적을 수용한다.In an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droplet inducing unit 190 and a droplet receiving unit 200 . The droplet guide unit 190 guides the droplets generated from the aerosol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 The droplet receiving unit 200 receives the droplet guided by the droplet inducing unit 190 .

예를 들어, 액적 유도부(190)는 격벽(192) 및 유도로(194)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192)은 제2 기류 통로(170)의 측벽의 일 부분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측벽의 일 부분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연장 돌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oplet guide unit 19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192 and a guide path 194 . The partition wall 192 may form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a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and may extend and protrude from a portion of the sidewall toward the inside.

격벽(192)은 제2 기류 통로(170)에서 압력 센서(180)를 향하여 유동하는 액적을 차단함으로써, 압력 센서(180)로 액적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격벽(192)의 길이 및 격벽(192)과 제2 기류 통로(170)의 측벽의 일 부분이 이루는 소정의 경사는, 마우스피스부를 향하는 기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액적의 유입을 방지하기 적합한 임의의 길이 및 경사일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192 blocks the droplets flowing from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toward the pressure sensor 180 , thereby preventing the droplets from flowing into the pressure sensor 180 . The length of the partition wall 192 and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192 and a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are suitable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droplet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airflow toward the mouthpiece. It can be of any length and slope.

유도로(194)는 격벽(192)을 따라 유동하는 액적을 액적 수용부(200)로 유도할 수 있다. 유도로(194)에 의해 유도된 액적은 액적 수용부(200)에 도달하여 액적 수용부(2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된 액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발하여 액적 수용부(2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The induction path 194 may guide the droplets flowing along the partition wall 192 to the droplet receiving unit 200 . The droplet guided by the induction path 194 may reach the droplet accommodating part 200 and be accommodated in the droplet accommodating part 200 . The received droplets may evaporate over time to be removed from the droplet receiving unit 200 .

또한, 액적 유도부(190)는 액적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액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에어로졸도 액적 수용부(200)로 유도함으로써, 압력 센서(180) 부근에서 액적이 생성되어 압력 센서(18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plet inducing unit 190 induces not only droplets but also aerosols that can potentially change into droplets to the droplet receiving unit 200, so that droplets are generated near the pressure sensor 180 and ar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sensor 180. it can be prevented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일 수 있다.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FIG. 5 may be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2 .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액체 저장부(141), 액체 전달 수단(142) 및 히터(143)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압력 센서(180), 액적 유도부(190) 및 액적 수용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이러한 각 구성요소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각 구성요소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전술한 설명 중 도 5의 상기 각 구성요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 liquid reservoir 141 , a liquid delivery means 142 and a heater 143 .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180 , a droplet inducing unit 190 , and a droplet receiving unit 200 . Each of these components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each component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pplicabl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제1 기류 통로(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그 일부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류 통로(150)의 일부는 증기화기의 하부(예를 들어, 히터(143)의 하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may be formed such that a part thereof transversely travers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unlike that shown in FIG. 4 . A portion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may be formed to transversely cross a lower portion of the vaporizer (eg, a lower portion of the heater 143 ).

제1 기류 통로(15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미도시) 및 외부 공기와 에어로졸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배출구(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 유입구는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상측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는 궐련(2)이 삽입되는 삽입구 주변에 형성된 통공 또는 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includes an air inlet (not shown)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154 through which external air and aerosol are mixed and discharged. Here, the air inlet is omitted, but may b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For example, the air inlet may be a through hole or a gap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igarette 2 is inser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외부 공기는 제1 기류 통로(150)를 따라 개폐부(160)를 통과하여 증기화기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히터(143)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되어 제1 기류 통로(150)를 따라 유동하고, 배출구(15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54)를 통해 배출된 기류는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vaporizer through the opening/closing unit 160 alo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The outside air may be mixed with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heater 143 and flow alo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4 . Th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4 may pass through the cigarette 2 and be inhaled by the user.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1 기류 통로(150)의 일 부분에 형성된 개폐부(16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폐부(160)는 외부 공기가 증기화기로 유입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6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개폐부(160)와 배치 구조의 차이가 있으나 구성 및 효과는 동일하므로, 전술한 설명 중 본 실시예의 개폐부(16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n opening/closing unit 160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unit 160 may be formed at a portion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vaporizer. The opening/closing unit 160 is different from the opening/closing unit 1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but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are the same, so the description that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opening/closing unit 160 of this embodiment among the abov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개폐부(160)는 배출구(154)와 개폐부(160) 사이의 제1 기류 통로(150)에서 생성된 액적이 횡방향으로 유동하여 증기화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출된 액적이 낙하하여, 증기화기의 하부에 존재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160 may prevent the droplets generated in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between the outlet 154 and the opening/closing unit 160 from flow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flow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vaporizer.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illed droplets from falling and from entering the other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present at the bottom of the vaporizer.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일 수 있다.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FIG. 6 may be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3 .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액체 저장부(141), 액체 전달 수단(142) 및 히터(143)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압력 센서(180), 액적 유도부(190) 및 액적 수용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이러한 각 구성요소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각 구성요소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전술한 설명 중 도 6의 상기 각 구성요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 liquid reservoir 141 , a liquid delivery means 142 and a heater 143 .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180 , a droplet inducing unit 190 , and a droplet receiving unit 200 . Each of these components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pplicabl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제1 기류 통로(150)는 증기화기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공기 유입구(152) 및 배출구(154)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152)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 기류 통로(150)를 따라 증기화기로 유입되어, 히터(143)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될 수 있다. 에어로졸과 외부 공기가 혼합된 기류는 제1 기류 통로(150)를 따라 유동하여 배출구(15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구(15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마우스피스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배출구(154)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직접 흡입할 수 있다.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vaporizer and comprises an air inlet 152 and an outlet 154 .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52 may be introduced into the vaporizer alo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and may be mixed with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heater 143 . The airflow in which the aerosol and external air are mixed may flow alo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4 . In this embodiment, the outlet 154 may constitute a mouthpiece por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 and the user may directly inhale the aerosol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4 .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1 기류 통로(150)의 일 부분에 형성된 개폐부(16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폐부(160)는 외부 공기가 증기화기로 유입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부(160)는 배출구(154)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허용하고, 공기 유입구(152)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차단함으로써, 액적이 역류(또는 낙하)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an opening/closing unit 160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unit 160 may be formed at a portion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vaporizer.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closing unit 160 allows the passage of the air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154 and blocks the passage of the air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ir inlet 152, so that the droplet flows backward (or falls) and the aerosol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generating device (1).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출구(154)로의 기류 유동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180) 및 배출구(154)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기류 통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기류 통로(170)는 제1 기류 통로(150)와도 유체 연통하도록, 제1 기류 통로(150)의 일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180 that senses airflow flow to the outlet 154 and a second airflow passage 170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154 .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 portion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as well.

압력 센서(180)는 제2 기류 통로(17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180)는 제2 기류 통로(170)의 유량 또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배출구(154)를 통한 에어로졸의 배출을 감지한다.The pressure sensor 18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 The pressure sensor 180 detects the discharge of the aerosol through the outlet 154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

액적 유도부(190)는 제1 기류 통로(150)를 따라 유동하는 에어로졸로부터 생성된 액적이 제2 기류 통로(170)로 유입되어 압력 센서(180)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2 기류 통로(170)의 외부로 액적을 유도한다. 액적 수용부(200)는 액적 유도부(190)에 의해 유도된 액적을 수용한다.The droplet inducing unit 190 is configured to prevent droplets generated from the aerosol flowing alo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and not contacting the pressure sensor 180, the second airflow passage 170 . Guide the droplet to the outside of The droplet receiving unit 200 receives the droplet guided by the droplet inducing unit 190 .

도 7a 및 도 7b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편의상, 도 7a 및 도 7b는 2개의 날개들(162, 164)을 포함하는 개폐부(160)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7A and 7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S. 4 to 6 ; For convenience, FIGS. 7A and 7B illustrate the opening/closing unit 160 including two wings 162 and 16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7a를 참조하면, 2개의 날개들(162, 164)은 배출구(154)를 향하는 소정의 유량 이상의 외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 경우, 배출구(154)를 향하는 방향(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기류를 통과시킨다.Referring to FIG. 7A , the two wings 162 and 164 are bent in the direction (shown arrow direction) toward the outlet 154 when a flow of external air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low rate toward the outlet 154 occurs. , let the air flow through.

각 날개(162, 164)의 일단(162a, 164a)은 제1 기류 통로(150)의 내벽(150w)의 일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각 날개(162, 164)는 배출구(154)를 향하여 오목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날개(162, 164)의 타단(162b, 164b)이 서로 벌어짐으로써 제1 기류 통로(150)가 개방될 수 있다.One end (162a, 164a) of each of the wings (162, 164) may be fixed to a portion of the inner wall (150w)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Each of the wings 162 and 164 may be curved concavely toward the outlet 154 . Accordingly, as the other ends 162b and 164b of each of the wings 162 and 164 are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may be opened.

또한, 오목한 형태로 휘어진 각 날개(162, 164)는 제1 기류 통로(150)를 따라 역류(또는 낙하)하는 액적(70)을 제1 기류 통로(150)의 내벽(150w)으로 안내함으로써, 날개들(162, 164) 사이의 틈으로 액적(70)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wings 162 and 164 bent in a concave shape guides the droplet 70 flowing backward (or falling) along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to the inner wall 150w of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oplet 70 from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wings (162, 164).

도 7b를 참조하면, 2개의 날개들(162, 164)은 배출구(154)를 향하는 소정의 유량 이상의 외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함으로써, 기류를 차단한다.Referring to FIG. 7B , the two wings 162 and 164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oplanar plane when the flow of external air above a predetermined flow rate toward the outlet 154 does not occur, thereby blocking the airflow. .

날개들(162, 164)의 타단(162b, 164b)은 서로 결합하여 제1 기류 통로(150)를 폐쇄함으로써, 액적(70)이 역류(또는 낙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타단들(162b, 164b)에는 배출구(154)를 향하는 소정의 유량 이상의 외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동안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단들(162b, 164b)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맞춤 결합될 수 있다.The other ends 162b and 164b of the wings 162 and 164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lose the first airflow passage 150 , thereby preventing the droplet 70 from flowing backward (or falling). The other ends (162b, 164b)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structure so that the coupled state is maintained while the flow of external air above a predetermined flow rate toward the outlet 154 does not occur. For example, the other ends 162b and 164b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be custom-coupled.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궐련
11: 배터리 12: 제어부
13: 히터 14: 증기화기
70: 액적 141: 액체 저장부
142: 액체 전달 수단 143: 히터
150: 제1 기류 통로 152: 공기 유입구
154: 배출구 160: 개폐부
170: 제2 기류 통로 180: 압력 센서
190: 액적 유도부 192: 격벽
194: 유도로 200: 액적 수용부
162, 164: 날개
1: aerosol generating device 2: cigarette
11: battery 12: control
13: heater 14: vaporizer
70: droplet 141: liquid reservoir
142: liquid delivery means 143: heater
150: first airflow passageway 152: air inlet
154: outlet 160: opening and closing part
170: second air flow passage 180: pressure sensor
190: droplet guide 192: partition wall
194: taxiway 200: droplet receiving unit
162, 164: wings

Claims (8)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에어로졸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기류 통로;
상기 제1 기류 통로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허용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차단하는 개폐부;
상기 제1 기류 통로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기류 통로;
상기 제2 기류 통로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류 통로의 유량 또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기류의 유동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기류 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로졸로부터 생성된 액적을 상기 제2 기류 통로의 외부로 유도하는 액적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사용자의 흡입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기류 통로를 개방하고, 사용자의 흡입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기류 통로를 폐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 heater that heats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o generate an aerosol;
a first air flow passage including an air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and the aerosol are mixed and discharged;
an opening/closing unit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airflow passageway to allow passage of the airflow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let and block passage of the airflow in a direction toward the air inlet;
a second airflow passageway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flow passageway;
a pressure sensor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and sensing the flow of the airflow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and
a droplet induc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airflow passageway to guide the droplets generated from the aerosol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way; and
The opening/closing unit opens the first airflow passage when the user's inhalation occurs, and closes the first airflow passage when the user's inhalation does not occu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이 휘어지거나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기류의 통과를 허용 또는 차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vanes, wherein the at least two vanes permit or block passage of an airflow by flexing or engaging with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은,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소정의 유량 이상의 상기 외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허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t least two wings,
When the flow of the external air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low rate toward the outlet occur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ermits passage of the air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by ben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은,
상기 제1 기류 통로에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오목하게 휘어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t least two wing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is curved concavely from one end fixed to the first airflow passage toward the out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날개들은,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소정의 유량 이상의 상기 외부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의 통과를 차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t least two wings,
When the flow of the external air above a predetermined flow rate toward the outlet does not occu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locks the passage of the air stream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ir inlet by combining them to form the same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류 통로는 상기 배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배출구를 통한 에어로졸의 배출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irflow passage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wherein the pressure sensor senses the discharge of the aerosol through the outl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유도부에 의해 유도된 액적을 수용하는 액적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roplet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the droplet guided by the droplet guide s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유도부는,
상기 제2 기류 통로의 측벽의 일 부분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상기 측벽의 일 부분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액적을 상기 액적 수용부로 유도하는 유도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roplet induction unit,
a partition wall form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a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second airflow passage and extending inwardly from a portion of the sidewall; and
Including a; induction path for guiding the droplet flowing along the partition to the droplet receiving unit.
KR1020190089205A 2019-07-23 2019-07-23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3951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05A KR102395183B1 (en) 2019-07-23 2019-07-23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05A KR102395183B1 (en) 2019-07-23 2019-07-23 Aerosol 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826A KR20210011826A (en) 2021-02-02
KR102395183B1 true KR102395183B1 (en) 2022-05-06

Family

ID=7455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205A KR102395183B1 (en) 2019-07-23 2019-07-23 Aerosol gener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18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9Y1 (en) * 2005-09-29 2005-12-14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Quick-Connector in pipes having fluid isolation membrane
KR101682319B1 (en) * 2012-09-28 2016-12-12 킴르 하이테크 인코퍼레이티드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device thereof
KR101740254B1 (en) * 2013-01-05 2017-05-26 킴르 하이테크 인코퍼레이티드 Electronic cigarette
KR101994554B1 (en) * 2017-12-26 2019-06-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generating droplet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421B1 (en) * 2017-10-30 2020-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9Y1 (en) * 2005-09-29 2005-12-14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Quick-Connector in pipes having fluid isolation membrane
KR101682319B1 (en) * 2012-09-28 2016-12-12 킴르 하이테크 인코퍼레이티드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device thereof
KR101740254B1 (en) * 2013-01-05 2017-05-26 킴르 하이테크 인코퍼레이티드 Electronic cigarette
KR101994554B1 (en) * 2017-12-26 2019-06-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generating droplet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826A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9862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generating aerosols
JP7245241B2 (en) aerosol generator
RU2749067C2 (en)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single component and liquid transporting element containing porous monolith and related method
KR102353864B1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CN111050573B (en) Vaporizer and aerosol-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ES2613050T3 (en) Liquid vaporization device for inhalation
JP2023030216A (en) Aerosol-generating apparatus
CN110996694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generating method
KR20220002415A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detachable venturi element
JP7217042B2 (en) aerosol generator
KR20220054500A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liquid composition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210010182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420138B1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503276B1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KR102395183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00126611A (en) Disposabl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102354450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102270187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329282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12119B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first wrapper and a second wrapper,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20161307A1 (en) Smoking substitute apparatus
KR102259896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611999B1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KR102546288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7120709B2 (en)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