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876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876B1
KR102394876B1 KR1020200041735A KR20200041735A KR102394876B1 KR 102394876 B1 KR102394876 B1 KR 102394876B1 KR 1020200041735 A KR1020200041735 A KR 1020200041735A KR 20200041735 A KR20200041735 A KR 20200041735A KR 102394876 B1 KR102394876 B1 KR 10239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base
back cover
dispose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3915A (en
Inventor
김재군
백만인
유태훈
소현우
이인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876B1/en
Publication of KR2021012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237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L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백 커버(Back Cover)를 포함하고, 백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베이스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베젤 및 베이스와 베젤 사이에 위치하고 베이스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내부 홈을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and a back cover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back cover includes , a bas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bezel disposed on a corner of the base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an internal groov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bezel and formed long along the corner of the bas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is also increasing in various forms. Display) and various display devices have been researched and used.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Among them, an OLED panel can display an image by depositing an organic material layer capable of emitting light by itself on a substrate on which a transparent electrode is formed. The OLED panel may have a thin thickness as well as flexible characteristics.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having such an OLED panel.

한편, 종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백 커버를 공정시 발생되는 스프링백으로 인한 불균일한 형상 측벽 각도 및 높이 때문에 백 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패널 갭(Gap)을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에 종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균일한 백 커버의 형상을 가공하기 위해 가공 횟수 및 가공 시간에 의한 수율 저하, 가공비 증가로 전체적인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many difficulties occurred in managing the panel gap between the back cover and the display panel due to the non-uniform shape of the sidewall angle and height due to the springback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the back cover.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material cost is increased due to a decrease in yield and an increase in processing cost due to the number of processing times and processing time in order to process the uniform shape of the back cover.

본 명세서는 전술한 필요성 및/또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needs and/or problems.

본 명세서는 단조 공법을 이용하여 드로잉 성형 후 발생될 수 있는 스프링백을 억제하여 높은 치수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렝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high dimensional accuracy by suppressing springback that may occur after drawing molding using a forging method.

또한, 본 명세서는 드로잉 성형 후 단조공법을 적용함으로써 Sharp edge 베젤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렝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sharp edge bezel by applying a forging method after drawing molding.

본 명세서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백 커버(Back Cover); 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베젤;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베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내부 홈;을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and a back cover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nd disposed to cover side surfaces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back cover, the base facing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 bezel disposed at a corner of the base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an inner groov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bezel and formed long along an edge of the base.

또한,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상면; 상기 백 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면의 일측에 만곡하게 형성되는 내부 엣지; 및 상기 베이스의 후면과 상기 베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면의 타측과 이격되어 만곡하게 형성되는 외부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zel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form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 inner edg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the upper surface and curved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n outer edge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ezel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to be curved.

또한, 상기 베젤의 폭은, 상기 베이스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상면의 폭보다 큰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bezel may include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base and greater than a width of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내부 엣지는, 상기 내부 엣지의 원호의 반지름인 내부 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곡률은 상기 베젤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inner edge may form an inner curvature that is the radius of the arc of the inner edge, and the inner curvature may include a width equal to or smaller than a width of the bezel.

또한, 상기 외부 엣지는, 상기 외부 엣지의 원호의 반지름인 외부 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곡률은 상기 베젤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uter edge may form an outer curvature that is the radius of the arc of the outer edge, and the outer curvature may include a width equal to or smaller than a width of the bezel.

또한, 상기 내부 곡률은 상기 외부 곡률과 동일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urvature may include the same as the outer curvature.

또한, 상기 베젤은, 상기 베젤의 외측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면의 타측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공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zel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ing surface dispos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bezel and the upper surface and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내부 홈은, 상기 베젤의 내부면의 일부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면의 일부가 서로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inner groove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ezel and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상면은, 상기 베이스의 내부면과 동일한 도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may include the one formed by the same plating as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또한, 상기 베젤의 폭은, 상기 베젤의 상단으로 접급할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bezel may include gradually decreasing as it approaches the upper end of the bezel.

본 명세서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보안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intelligent secur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명세서는 단조 공법을 이용하여 드로잉 성형 후 발생될 수 있는 스프링백을 억제하여 보다 높은 치수 정밀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suppresses springback that may occur after drawing forming by using the forging method, so that higher dimensional accuracy can be implemented quickly and accurately.

또한, 본 명세서는 드로잉 성형 후 단조공법을 적용함으로써 Sharp edge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implement a sharp edge bezel by applying a forging method after drawing molding.

또한, 본 명세서는 품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improve quality stability.

본 명세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is specifica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which follow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 are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 예에 따라 백 커버를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백 커버를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ck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3 .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back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ack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ck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larged example of a part of FIG. 7 .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back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ack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the display panel, but the display panel applicable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OLED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 (PDP), Field Emission Display (FED), Liquid Crystal Display (LCD) may also be used.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isplay device 300 includes a first long side (LS1), a second long side (LS2) opposite to the first long side (LS1), a first long side (LS1), and It may include a first short side (SS1) adjacent to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a second short side (SS2) opposite to the first short side (SS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300 , the first short side area SS1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hort side area SS2 is a second side area facing the first side area. it can be said The display device 300 refers to the first long side area LS1 as a third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the second long side area LS2 is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opposite to the third side area, a fourth side area area).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nd LS2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but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The length of the LS2 may be approximate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Hereinafter, the first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side (Long Side, LS1, LS2)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is the short side ( Short Side, SS1, SS2) may be in a parallel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or the second direction DR2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를 바라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를 바라볼 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The sid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300 displays an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side or a front side. When the display device 300 displays an image, the side where the image cannot be observed may be referred to as a rear or rear surface. When the display device 300 is viewed from the front or front, the side of the first long side LS1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side or an upper surface, and the side of the second long side LS2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side or a lower side. When the display device 300 is viewed from the front or the front, the side of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a right or right side, and the side of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a left side or a left side.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ong side LS1 , the second long side LS2 , the first short side SS1 ,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edges of the display device 300 . Also, a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 the second long side LS2 , the first short side SS1 ,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For example, the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the first corner C1 , and the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is the second corner C2 ), the point where the second short side SS2 and the second long side LS2 meet is the third corner C3,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the fourth corner C4 can be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 또는 수평방향(DR1)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 또는 수직방향(DR2)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short side SS1 to the second short side SS2 or from the second short side SS2 to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LR or the horizontal direction DR1. there is. A direction from the first long side LS1 to the second long side LS2 or from the second long side LS2 to the first long side LS1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UD or a vertical direction DR2 .

그리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은 전후방향(DR3) 또는 두께방향(FB)이라 할 수 있다. 전후방향(DR3)은 좌우방향(DR1) 및/또는 상하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r the direction from the rear to the front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back direction DR3 or a thickness direction FB. The front-rear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ft-right direction DR1 and/or the vertical direction DR2.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프레임(130) 및 백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isplay device 3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 a frame 130 , and a back cover 150 .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 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device 300 and an image can be displayed. The display panel 110 may output an image by dividing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pixels and matching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pixel.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divided into an active area (AA)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de-active area (DA) in which an image is not displayed. The display panel 110 may generate light corresponding to a color of red, green, or blu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30)이 체결된 상태를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이라 칭할 수 있다.The frame 130 may be disposed behind the display panel 110 . The frame 130 may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10 . The frame 130 may support the display panel 110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10 .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frame 130 are fastened may be referred to as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프레임(130)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dge of the frame 130 may be bent at least o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프레임(130)은 백 커버(15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rame 130 may be coupled to the back cover 150 .

백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내부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The back cover 150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back cover 150 may protect the internal configuration from the out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back cover 15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130 .

프레임(130)과 백 커버(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구조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The frame 130 and the back cover 150 may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t least one fastening structure.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ck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larged example of a part of FIG. 3 .

도 3을 참조하면, 백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 도 2 참조)의 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10,130, 도 2 참조)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0,130, 도 2 참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back cover 15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see FIG. 2 ), and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see FIG. 2 )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from the outside (see FIG. 2 ). Reference) may be formed while surrounding the side and rear surfaces.

백 커버(150)는 적어도 한번 이상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50)는 드로잉 성형 후 단조 공법을 적용하여 네로우(narrow) 또는 샤프(sharp)한 엣지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The back cover 150 may be bent at least once or more. For example, the back cover 150 may implement a narrow or sharp edge bezel by applying a forging method after drawing molding.

백 커버(150)는 베이스(151), 베젤(152,153,154,155) 및 내부 홈(152d, 153d, 1534d, 155d)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ck cover 150 may include a base 151 , bezels 152 , 153 , 154 , and 155 , and internal grooves 152d, 153d, 1534d, and 155d.

베이스(151)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 도 2 참조)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10,130, 도 2 참조)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The base 151 may be disposed behind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refer to FIG. 2 ) to face the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refer to FIG. 2 ).

베젤(152,153,154,155)은 베이스(151)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10,130, 도 2 참조)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bezels 152 , 153 , 154 , and 155 may be disposed at corners of the base 151 and exten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refer to FIG. 2 ).

베젤(152,153,154,155)은 제1 베젤(152) 내지 제4 베젤(15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152,153,154,155)은 제1 베젤(152), 제1 베젤(152)에 대향하는 제2 베젤(153), 제1 베젤(152) 및 제2 베젤(153)에 인접하는 제3 베젤(154) 및 제3 베젤(154)에 대향하는 제4 베젤(1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bezels 152 , 153 , 154 , and 155 may include a first bezel 152 to a fourth bezel 155 . The bezels 152 , 153 , 154 , and 155 are a first bezel 152 , a second bezel 153 opposite to the first bezel 152 , and a third bezel 154 adjacent to the first bezel 152 and the second bezel 153 . and a fourth bezel 155 facing the third bezel 154 .

도 3에서는 제1, 2 베젤(152,153)의 길이가 제3, 4 베젤(154,155)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2 베젤(152,153)의 길이가 제3, 4 베젤(154,155)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In FIG. 3 ,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bezels 152 and 153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longer than those of the third and fourth bezels 154 and 155 , but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bezels 152 and 153 is not limited thereto. may be approximate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third and fourth bezels 154 and 155 .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백 커버(150)의 제1,2 베젤(152,153)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백 커버(150)의 제3,4 베젤(154,155)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bezels 152 and 153 of the back cover 150, and the second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is the back cover ( 150) may be oriented in parallel with the third and fourth bezels 154 and 155.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or the second direction DR2 .

전방 또는 전면에서 백 커버(150)를 바라볼 때, 제1 베젤(152)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베젤(153)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고, 제3 베젤(154)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4 베젤(155)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When the back cover 150 is viewed from the front or the front, the first bezel 152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side or an upper surface, the second bezel 153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side or a lower surface, and the third bezel 154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side or a lower surface. may be referred to as a right or right surface, and the fourth bezel 155 may be referred to as a left or left surface.

아울러, 제1 베젤(152), 제2 베젤(153), 제3 베젤(154), 그리고 제4 베젤(155)은 베이스(151)의 엣지(edge), 백 커버(150)의 측벽 또는 측벽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베젤(152) 내지 제4 베젤(155)은 베이스(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제1 베젤(152) 내지 제4 베젤(155)과 베이스(151)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소정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ezel 152 , the second bezel 153 , the third bezel 154 , and the fourth bezel 155 are an edge of the base 151 and a sidewall or a sidewall of the back cover 150 . can be called The first bezel 152 to the fourth bezel 15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151 . Since the first bezel 152 to the fourth bezel 155 and the base 151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ck cover 150, a predetermined rigidity may be secured.

제1 베젤(152) 내지 제4 베젤(155)은 베이스(151)의 엣지(edge)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베젤(152) 내지 제4 베젤(155)은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측면에 대향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움직임을 구속하거나 기설정된 범위에서 제한할 수 있다.The first bezel 152 to the fourth bezel 155 may extend from an edge of the base 151 to cover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first bezel 152 to the fourth bezel 155 may constrain the movement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to face the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or limit the movement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within a preset range.

내부 홈(152d, 153d, 1534d, 155d)은 베이스(151)와 베젤(152,153,154,155) 사이에 위치하고, 백 커버(150)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grooves 152d , 153d , 1534d , and 155d ar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151 and the bezels 152 , 153 , 154 , and 155 , and may be concavely formed into the back cover 150 .

내부 홈(152d, 153d, 1534d, 155d)은 베이스(151)의 모서리 또는 엣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홈(152d, 153d, 1534d, 155d)은 단조 성형하는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홈(152d, 153d, 1534d, 155d)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홈(152d, 153d, 1534d, 155d)은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홈(152d, 153d, 1534d, 155d)은 제1 내부 홈 내지 제4 내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홈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inner grooves 152d, 153d, 1534d, and 155d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a corner or an edge of the base 151 . The inner grooves 152d, 153d, 1534d, and 155d may be formed in a forging process. For example, the inner grooves 152d, 153d, 1534d, and 155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e inner grooves 152d, 153d, 1534d, and 155d may be formed in a bent shape. The inner grooves 152d, 153d, 1534d, and 155d may include first to fourth inner grooves. The description of the inner groov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서 A 영역은 제1 베젤(152)을 확대한 영역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에서 B 영역은 제2 베젤(153)을 확대한 영역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에서 C 영역은 제3 베젤(154)을 확대한 영역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에서 D 영역은 제4 베젤(155)을 확대한 영역을 보여주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4 , area A in FIG. 3 shows an enlarged area of the first bezel 152 , area B in FIG. 3 shows an enlarged area of the second bezel 153 , and area C in FIG. 3 . Region shows an enlarged region of the third bezel 154 , and region D in FIG. 3 shows an enlarged region of the fourth bezel 155 .

제1 베젤(152)은 베이스(151)의 상단에 형성되는 엣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젤(152)은 제1 상면(152a), 제1 내부 엣지(152b), 제1 외부 엣지(152c) 및 제1 내부 홈(15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젤(152)은 베이스(1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bezel 15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n edg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151 . The first bezel 152 may include a first upper surface 152a, a first inner edge 152b, a first outer edge 152c, and a first inner groove 152d. The first bezel 152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or width as the base 151 .

제1 상면(152a)은 베이스(151)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베젤(15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surface 152a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ezel 152 extending from the base 151 .

제1 상면(152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제1 장변(LS1)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면(152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면(152a)은 제1 베젤 상면(152a)이라 칭할 수 있다.The first upper surface 152a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ong side LS1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first upper surface 152a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first upper surface 152a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bezel upper surface 152a.

제1 내부 엣지(152b)는 제1 상면(152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엣지(152b)는 제1 상면(152a)의 일측과 백 커버(15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엣지(152b)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상단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엣지(152b)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엣지(152b)는 제1 베젤 상면(152a)의 모서리 또는 제1 베젤 상면(152a)의 내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first inner edge 152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152a. The first inner edge 152b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152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The first inner edge 152b may be disposed to face upper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first inner edge 152b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first inner edge 152b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first bezel upper surface 152a or an inner corner of the first bezel upper surface 152a.

제1 외부 엣지(152c)는 제1 상면(152a)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외부 엣지(152c)는 베이스(151)의 하부면과 백 커버(150)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외부 엣지(152c)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 엣지(152c)는 백 커버(150)의 모서리 또는 제1 베젤(152)의 외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first outer edge 152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152a. The first outer edge 152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The first outer edge 152c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first outer edge 152c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back cover 150 or an outer corner of the first bezel 152 .

제1 내부 홈(152)은 제1 베젤(152)과 베이스(1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groove 15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ezel 152 and the base 151 .

제1 내부 홈(152)은 베이스(151)의 엣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홈(152)은 제1 외부 엣지 또는 백 커버(1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groove 152 may be elongat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151 . The first inner groove 152 may be concave toward the first outer edg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제2 베젤(153)은 베이스(151)의 하단에 형성되는 엣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젤(153)은 제2 상면(153a), 제2 내부 엣지(153b), 제2 외부 엣지(152c) 및 제2 내부 홈(153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젤(153)은 베이스(1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bezel 15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n edg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151 . The second bezel 153 may include a second upper surface 153a, a second inner edge 153b, a second outer edge 152c, and a second inner groove 153d. The second bezel 153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or width as the base 151 .

제2 상면(153a)은 베이스(151)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베젤(15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surface 153a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ezel 153 extending from the base 151 .

제2 상면(153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제2 장변(LS2)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면(153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면(153a)은 제2 베젤 상면(153a)이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upper surface 153a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long side LS2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second upper surface 153a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second upper surface 153a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ezel upper surface 153a.

제2 내부 엣지(153b)는 제2 상면(153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엣지(153b)는 제2 상면의 일측(152)과 백 커버(15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엣지(153b)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하단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엣지(153b)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엣지(153b)는 제2 베젤 상면(153a)의 모서리 또는 제2 베젤 상면(153a)의 내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inner edge 153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153a. The second inner edge 153b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152 of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The second inner edge 153b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ower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second inner edge 153b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second inner edge 153b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second bezel upper surface 153a or an inner corner of the second bezel upper surface 153a.

제2 외부 엣지(152c)는 제2 상면(153a)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외부 엣지(152c)는 베이스(151)의 하부면과 백 커버(150)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외부 엣지(152c)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부 엣지(152c)는 백 커버(150)의 모서리 또는 제2 베젤(153)의 외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outer edge 152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153a. The second outer edge 152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The second outer edge 152c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second outer edge 152c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back cover 150 or an outer corner of the second bezel 153 .

제2 내부 홈(153d)은 제2 베젤(153)과 베이스(1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inner groove 153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bezel 153 and the base 151 .

제2 내부 홈(153d)은 베이스(151)의 엣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홈(153d)은 제2 외부 엣지(152c) 또는 백 커버(1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ner groove 153d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151 . The second inner groove 153d may be concave toward the second outer edge 152c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제3 베젤(154)은 베이스(151)의 우단에 형성되는 엣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베젤(154)은 제3 상면(154a), 제3 내부 엣지(154b), 제3 외부 엣지(154c) 및 제3 내부 홈(154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젤(154)은 베이스(1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bezel 15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n edg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base 151 . The third bezel 154 may include a third upper surface 154a, a third inner edge 154b, a third outer edge 154c, and a third inner groove 154d. The third bezel 154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or width as the base 151 .

제3 상면(154a)은 베이스(151)로부터 연장되는 제3 베젤(15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upper surface 154a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bezel 154 extending from the base 151 .

제3 상면(154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제1 단변(SS1)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상면(154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상면(154a)은 제3 베젤 상면(154a)이라 칭할 수 있다.The third upper surface 154a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hort side SS1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third upper surface 154a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third upper surface 154a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bezel upper surface 154a.

제3 내부 엣지(154b)는 제3 상면(154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 엣지(154b)는 제3 상면의 일측(152)과 백 커버(15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 엣지(154b)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우단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 엣지(154b)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부 엣지(154b)는 제3 베젤 상면(152)의 모서리 또는 제3 베젤 상면(152)의 내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third inner edge 154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hird upper surface 154a. The third inner edge 154b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152 of the third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The third inner edge 154b may be disposed to face right end sid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third inner edge 154b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third inner edge 154b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third bezel upper surface 152 or an inner corner of the third bezel upper surface 152 .

제3 외부 엣지(154c)는 제3 상면(154a)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외부 엣지(154c)는 베이스(151)의 하부면과 백 커버(150)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외부 엣지(154c)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외부 엣지(154c)는 백 커버(150)의 모서리 또는 제3 베젤(154)의 외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third outer edge 154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third upper surface 154a. The third outer edge 154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The third outer edge 154c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third outer edge 154c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back cover 150 or an outer corner of the third bezel 154 .

제3 내부 홈(154d)은 제3 베젤(154)과 베이스(1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third inner groove 154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bezel 154 and the base 151 .

제3 내부 홈(154d)은 베이스(151)의 엣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부 홈(154d)은 제3 외부 엣지(154c) 또는 백 커버(1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inner groove 154d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151 . The third inner groove 154d may be concave toward the third outer edge 154c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제4 베젤(155)은 베이스(151)의 우단에 형성되는 엣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베젤(155)은 제4 상면(155a), 제4 내부 엣지(155b) 및 제4 외부 엣지(155c) 및 제4 내부 홈(155d)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베젤(155)은 베이스(1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The fourth bezel 155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n edg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base 151 . The fourth bezel 155 may include a fourth upper surface 155a, a fourth inner edge 155b, a fourth outer edge 155c, and a fourth inner groove 155d. The fourth bezel 155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or width as the base 151 .

제4 상면(155a)은 베이스(151)로부터 연장되는 제4 베젤(15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ourth upper surface 155a may be disposed on the fourth bezel 155 extending from the base 151 .

제4 상면(155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제2 단변(SS2)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상면(155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4 상면(155a)은 제4 베젤 상면(155a)이라 칭할 수 있다.The fourth upper surface 155a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hort side SS2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fourth upper surface 155a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fourth upper surface 155a may be referred to as a fourth bezel upper surface 155a.

제4 내부 엣지(155b)는 제4 상면(155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내부 엣지(155b)는 제4 상면의 일측(152)과 백 커버(15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내부 엣지(155b)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좌단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내부 엣지(155b)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내부 엣지(155b)는 제4 베젤 상면(155a)의 모서리 또는 제4 베젤 상면(155a)의 내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fourth inner edge 155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ourth upper surface 155a. The fourth inner edge 155b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152 of the fourth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The fourth inner edge 155b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eft end sid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fourth inner edge 155b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fourth inner edge 155b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fourth bezel upper surface 155a or an inner corner of the fourth bezel upper surface 155a.

제4 외부 엣지(155c)는 제4 상면(155a)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외부 엣지(155c)는 베이스(151)의 하부면과 백 커버(150)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외부 엣지(155c)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외부 엣지(155c)는 백 커버(150)의 모서리 또는 제4 베젤(155)의 외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fourth outer edge 155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upper surface 155a. The fourth outer edge 155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The fourth outer edge 155c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fourth outer edge 155c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back cover 150 or an outer corner of the fourth bezel 155 .

제4 내부 홈(155d)은 제4 베젤(155)과 베이스(1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fourth inner groove 155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bezel 155 and the base 151 .

제4 내부 홈(155d)은 베이스(151)의 엣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내부 홈(155d)은 제4 외부 엣지(155c) 또는 백 커버(1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inner groove 155d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151 . The fourth inner groove 155d may be concave toward the fourth outer edge 155c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백 커버(150)는 베이스(151)와 베젤(152,153,154,155) 사이에 베이스(151)의 모서리를 따라 내부 홈(152d,153d, 154d,155d)을 길게 배치함으로써,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부 홈(152d,153d, 154d,155d)에 의해 베젤(152,153,154,155)의 응력(stress) 또는 응력도(stress intensity)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 cover 150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oncave by arranging the inner grooves 152d, 153d, 154d, and 155d along the edge of the base 151 between the base 151 and the bezels 152,153,154,155. The stress or stress intensity of the bezels 152 , 153 , 154 , and 155 may be constantly maintained by the internal grooves 152 d , 153 d , 154 d , and 155 d.

이에 베이스(151)와 베젤(152,153,154,155) 간의 측벽 각도는 베젤(152,153,154,155)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측벽 각도는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백 커버(150)를 절단하였을 경우 백 커버(150)의 베이스(151)와 베젤(또는 측벽(152,153,154,155)) 사이의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ngle of the sidewall between the base 151 and the bezels 152 , 153 , 154 and 155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angle regardless of the positions of the bezels 152 , 153 , 154 and 155 . The sidewall angle may be defined as an angle between the base 151 and the bezel (or the sidewalls 152 , 153 , 154 and 155 ) of the back cover 150 when the back cover 150 is cut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종래의 백 커버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이즈가 대형화됨으로써, 백 커버의 하부면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측벽들이 외부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종래의 백 커버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이즈가 대형화될수록 측벽의 위치에 따라 응력(stress) 또는 응력도(stress intensity)이 달라짐으로써, 내력(또는 응력)과 외력과의 평형이 유지되지 않아 측벽 각도가 일정하지 않았다.In the conventional back cover, as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increases, sidewalls extending from the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cover are inclined to the outside. In the conventional back cover, as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increases, the stress or stress intensity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idewall, so the balance between the internal force (or stress) and the external force is not maintained, so the sidewall angle is not constant. didn't

이에 종래의 백 커버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양 코너 주변의 측벽 각도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앙 영역의 측벽 각도가 일정하지 않으며, 이를 가공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였다.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back cover, the angle of the sidewall around both corners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angle of the sidewall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display device are not constant, and a lot of time and money are incurred in processing this.

이와 달리, 본 명세서의 백 커버(150)는 베이스(151)의 엣지 또는 모서리를 따라 내부 홈(152d,153d,154d,155d)이 길면서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오목하게 형성된 내부 홈(152d,153d,154d,155d)에 기초하여 베이스(151)의 엣지 또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베젤(152,153,154,155)의 위치에 무관하게 일정한 베젤(152,153,154,155)의 응력(stress) 또는 응력도(stress intensity)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back cover 150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ner grooves 152d, 153d, 154d, and 155d are long and concave along the edge or corner of the base 151, so that the concave inner grooves 152d and 153d are formed. , 154d, 155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bezels 152, 153, 154, 155 extending from the edge or corner of the base 151, constant stress or stress intensity of the bezels 152, 153, 154, 155 can be maintained.

이에 본 명세서의 백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양 코너 주변의 베이스(151)와 베젤(152,153,154,155) 간의 측벽 각도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중앙 영역의 베이스(151)와 베젤(152,153,154,155) 간의 측벽 각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ck cover 150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sidewall angle between the base 151 and the bezels 152,153,154,155 around both corners of the display device 300 and the base 151 and the bezels 152,153,154,155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display device 300 . ) can be maintai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angle.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back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A 영역은 제1 베젤(152)의 확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5 , area A in FIG. 4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 of the first bezel 152 .

제1 베젤(152)의 두께(w1) 또는 폭은 베이스(151)의 두께(t1) 또는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thickness w1 or the width of the first bezel 15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t1 or the width of the base 151 .

제1 상면(152a)은 일측에 제1 내부 엣지(152b)가 만곡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상면(152a)의 폭(w2)은 제1 베젤(152)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내부 엣지(152b)는 제1 내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inner edge 152b is curved on one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152a , the width w2 of the first upper surface 152a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bezel 152 . The first inner edge 152b may have a first inner curvature.

제1 내부 곡률은 제1 내부 엣지(152b)의 원호의 반지름이 R1일 때 1/R1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1 내부 곡률의 반지름(R1)은 제1 베젤(151)의 폭(w1)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제1 내부 곡률의 반지름(R1)은 제1 베젤(151)의 폭(w1)의 1/2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inner curvature may be expressed as 1/R1 when the radius of the arc of the first inner edge 152b is R1. The radius R1 of the first inner curvature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bezel 151 . Preferably, the radius R1 of the first inner curvature is smaller than 1/2 of the width w1 of the first bezel 151 .

제1 외부 엣지(152c)는 제1 내부 엣지(152c)와 같이 만곡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 엣지(152c)는 제1 외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edge 152c may be curved like the first inner edge 152c. The first outer edge 152c may have a first outer curvature.

제1 외부 곡률은 제1 외부 엣지(152c)의 원호의 반지름이 R2일 때 1/R2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1 외부 곡률의 반지름(R2)은 제1 베젤(151)의 폭(w1)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제1 외부 곡률의 반지름(R2)은 제1 베젤(151)의 폭(w1)의 1/2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외부 곡률은 제1 내부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outer curvature may be expressed as 1/R2 when the radius of the arc of the first outer edge 152c is R2. The radius R2 of the first outer curvature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bezel 151 . Preferably, the radius R2 of the first outer curvature is smaller than 1/2 of the width w1 of the first bezel 151 . The first outer curvature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inner curvature.

제1 내부 홈(152d)은 제1 베젤(152)과 베이스(1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홈(152d)은 제1 외부 엣지(152c) 또는 백 커버(1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내부 홈(152)을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부 홈(152d)은 제1 베젤(152)의 내부면과 베이스(151)의 내부면이 겹쳐져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홈(152d)은 제1 베젤(152)의 내부면의 일부와 베이스(151)의 내부면의 일부가 이격되어 마주한 형상이거나 서로 접하여 마주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내부 홈(152d)은 내측 코너 홈이라 칭할 수 있다. 내측 코너 홈은 꺽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groove 152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ezel 152 and the base 151 . The first inner groove 152d may be concave toward the first outer edge 152c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50 . 5 illustrates that the first inner groove 152 is concavely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inner groove 152d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ezel 15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151 . The first inner groove 152d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ezel 152 and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151 are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or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The first inner groove 152d may be referred to as an inner corner groove. The inner corner groove may be implemented in a bent shape.

도 5에서는 A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베젤(152)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B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베젤(153), C 영역에 배치되는 제3 베젤(154) 및 D 영역에 배치되는 제4 베젤(155)도 제1 베젤(15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기능 및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도 4 및 도 5를 통해 충분히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제2 베젤(153) 내지 제4 베젤(15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FIG. 5 , the description has been focused on the first bezel 152 disposed in the area A, but the second bezel 153 disposed in the B area, the third bezel 154 disposed in the C area, and the first bezel 152 disposed in the D area. The fourth bezel 155 may als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function, and effect as the first bezel 152 . Since these are sufficiently predictable through FIGS. 4 and 5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bezel 153 to the fourth bezel 155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 예에 따라 백 커버를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ack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백 커버(150)는 샤프한 엣지 베젤을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제조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back cover 150 may undergo at least one manufacturing process to implement a sharp edge bezel.

제1 공정 단계(도 6의 (a))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평판의 중앙 영역을 Z-형상 프레스하여 백 커버(150)를 z-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정 단계(도 6의 (a))는 z-형상 프레스 성형 단계 또는 z-형상 프레스 단계라 칭할 수 있다.In the first process step (FIG. 6(a)), the back cover 150 may be formed in a z-shape by Z-shaping the central region of the flat plate formed to a constant thickness. The first process step (FIG. 6(a)) may be referred to as a z-shape press forming step or a z-shape press step.

백 커버(150)는 제1 공정 단계(도 6의 (a))를 통해 베이스(151)와 베젤(152,153,154,155)을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정 단계(도 6의 (a))에서 베이스(151)의 폭(t1) 또는 두께와 베젤(152,153,154,155)의 폭(w1) 또는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back cover 150 may form the base 151 and the bezels 152 , 153 , 154 , and 155 through a first process step ( FIG. 6A ). In the first process step (FIG. 6(a)), the width t1 or thickness of the base 151 and the width w1 or thickness of the bezels 152, 153, 154, and 155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또한, 제1 공정 단계(도 6의 (a))에서 베젤(152,153,154,155)의 내부 엣지(152b,153b,154b,155b)를 측정한 내부 곡률의 반지름(R1)과 베젤(152,153,154,155)의 외부 엣지(152c,153c,154c,155c)를 측정한 외부 곡률의 반지름(R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들은 베이스(151)의 폭(t1) 또는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process step (FIG. 6(a)), the inner edges 152b, 153b, 154b, 155b of the bezels 152, 153, 154, 155 are measured, the radius R1 of the inner curvature, and the outer edges of the bezels 152, 153, 154, 155 ( The radius R2 of the outer curvature measured 152c, 153c, 154c, 155c is substantially equal, and they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t1 or thickness of the base 151 .

제2 공정 단계(도 6의 (b))는 z-형상으로 형성된 백 커버(150)를 상/하 단조 공정할 수 있다, 제2 공정 단계(도 6의 (b))는 백 커버(150)를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프레스하는 단조 금형함으로써, 베젤(152,153,154,155)의 내부 엣지(152b,153b,154b,155b)와 베젤(152,153,154,155)의 외부 엣지(152c,153c,154,c155c)를 보다 샤프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공정 단계(도 6의 (b))는 단조 금형 단계 또는 단조 성형 단계라 칭할 수 있다.In the second process step ((b) of FIG. 6), an upper/lower forg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 the back cover 150 formed in the z-shape. The second process step ((b) of FIG. 6) is the back cover 150 ), the inner edges 152b, 153b, 154b, 155b of the bezels 152, 153, 154, 155 and the outer edges 152c, 153c, 154, c155c of the bezels 152, 153, 154, 155 are sharper than can be formed The second process step (FIG. 6(b)) may be referred to as a forging die step or a forging forming step.

제2 공정 단계(도 6의 (b))에서 베젤(152,153,154,155)의 내부 엣지(152b,153b,154b,155b)를 측정한 내부 곡률의 반지름(R1)과 베젤(152,153,154,155)의 외부 엣지(152c,153c,154c,155c)를 측정한 외부 곡률의 반지름(R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들은 베이스(151)의 폭(t1) 또는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In the second process step (FIG. 6(b)), the inner edges 152b, 153b, 154b, 155b of the bezels 152, 153, 154, 155 are measured, and the radius R1 of the inner curvature and the outer edges 152c of the bezels 152, 153, 154, 155, The radii R2 of the outer curvature measured 153c, 154c and 155c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y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t1 or thickness of the base 151 .

백 커버(150)는 제2 공정 단계(도 6의 (b))인 단조 공법 후 내부 곡률의 반지름(R1)과 외부 곡률의 반지름(R2) 각각을 베이스(151)의 폭(t1) 또는 두께의 1/2 이하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베젤(152,153,154,155)을 샤프한 엣지로 구현할 수 있다.After the forging method, which is the second process step ((b) of FIG. 6), the back cover 150 measures the inner radius of curvature R1 and the outer radius of curvature R2 respectively as the width t1 or thickness of the base 151 Since it can be applied to less than 1/2 of , the bezels 152, 153, 154, and 155 can be implemented as sharp edges.

제3 공정 단계(도 6의 (c))는 베젤(152,153,154,155)의 외측을 절단할 수 있다. 제3 공정 단계(도 6의 (c))는 베젤(152,153,154,155)의 상단의 외측을 절단함으로써, 베젤(152,153,154,155)의 상면(152a,153a,154a,155a)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third process step (FIG. 6(c)), the outside of the bezels 152, 153, 154, and 155 may be cut. In the third process step (FIG. 6(c)), the upper surfaces 152a, 153a, 154a, and 155a of the bezels 152, 153, 154, and 155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outside of the upper ends of the bezels 152, 153, 154, and 155.

상술한 바와 같이, 베젤(152,153,154,155)의 상면(152a,153a,154a,155a)은 단조 금형 공정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가공면이 아닌 성형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베젤(152,153,154,155)의 상면(152a,153a,154a,155a)은 베이스(151)의 내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금 상태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surfaces 152a, 153a, 154a, and 155a of the bezels 152, 153, 154, and 155 are formed through a forging mold process, they may be implemented as a molding surface rather than a processing surface. The upper surfaces 152a, 153a, 154a, and 155a of the bezels 152 , 153 , 154 and 155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plating stat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151 .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ck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larged example of a part of FIG. 7 .

도 7을 참조하면, 백 커버(25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 도 2 참조)의 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10,130, 도 2 참조)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0,130, 도 2 참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back cover 25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refer to FIG. 2 ), and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see FIG. 2 )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see FIG. 2 ) from the outside. Reference) may be formed while surrounding the side and rear surfaces.

도 7에 도시된 백 커버(250)에 대한 설명은 도 3에 도시된 백 커버(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기능 및 효과를 가지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back cover 250 shown in FIG. 7 will be omitted because it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function, and effect as the back cover 150 shown in FIG. 3 .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 A 영역은 제1 베젤(252)을 확대한 영역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에서 B 영역은 제2 베젤(253)을 확대한 영역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에서 C 영역은 제3 베젤(254)을 확대한 영역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에서 D 영역은 제4 베젤(255)을 확대한 영역을 보여주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8 , area A in FIG. 7 shows an enlarged area of the first bezel 252 , area B in FIG. 3 shows an enlarged area of the second bezel 253 , and area C in FIG. 3 . Region shows an enlarged region of the third bezel 254 , and region D in FIG. 3 shows an enlarged region of the fourth bezel 255 .

제1 베젤(252)은 베이스(251)의 상단에 형성되는 엣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젤(252)은 제1 상면(252a), 제1 내부 엣지(252b), 제1 외부 엣지(252c), 제1 내부 홈(252d) 및 제1 가공면(252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젤(252)은 베이스(2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bezel 25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n edg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251 . The first bezel 252 may include a first upper surface 252a, a first inner edge 252b, a first outer edge 252c, a first inner groove 252d, and a first processing surface 252e. . The first bezel 252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or width as the base 251 .

제1 상면(252a)은 베이스(251)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베젤(25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surface 252a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ezel 252 extending from the base 251 .

제1 상면(252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제1 장변(LS1)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면(252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면(252a)은 제1 베젤 상면(252a)이라 칭할 수 있다.The first upper surface 252a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ong side LS1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bezel upper surface 252a.

제1 내부 엣지(252b)는 제1 상면(252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엣지(252b)는 제1 상면(252a)의 일측과 백 커버(25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엣지(252b)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상단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엣지(252b)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엣지(252b)는 제1 베젤 상면(252)의 모서리 또는 제1 베젤 상면(252)의 내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first inner edge 252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The first inner edge 252b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The first inner edge 252b may be disposed to face upper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first inner edge 252b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first inner edge 252b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first bezel upper surface 252 or an inner corner of the first bezel upper surface 252 .

제1 외부 엣지(252c)는 제1 상면(252a)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외부 엣지(252c)는 베이스(251)의 하부면과 백 커버(250)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외부 엣지(252c)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 엣지(252c)는 백 커버(250)의 모서리 또는 제1 베젤(252)의 외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first outer edge 252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The first outer edge 252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The first outer edge 252c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first outer edge 252c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back cover 250 or an outer corner of the first bezel 252 .

제1 내부 홈(252d)은 제1 베젤(252)과 베이스(2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groove 252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ezel 252 and the base 251 .

제1 내부 홈(252d)은 베이스(251)의 엣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홈(252)은 제1 외부 엣지(252c) 또는 백 커버(2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groove 252d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251 . The first inner groove 252 may be concave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edge 252c or the back cover 250 .

제1 가공면(252e)은 제1 상면(252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공면(252e)은 제1 상면(252a)의 타측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The first processing surface 252e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The first processing surface 252e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제1 가공면(252e)가 배치되는 제1 베젤(252)은 상부로 접근할수록 제1 베젤(252)의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As the first bezel 252 on which the first processing surface 252e is disposed approaches an upper portion, the width of the first bezel 252 may gradually decrease.

제2 베젤(253)은 베이스(251)의 하단에 형성되는 엣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젤(253)은 제2 상면(253a), 제2 내부 엣지(253b), 제2 외부 엣지(252c), 제2 내부 홈(253d) 및 제2 가공면(253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젤(253)은 베이스(2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bezel 25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n edg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251 . The second bezel 253 may include a second upper surface 253a, a second inner edge 253b, a second outer edge 252c, a second inner groove 253d, and a second processing surface 253e. . The second bezel 253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or width as the base 251 .

제2 상면(253a)은 베이스(251)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베젤(25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surface 253a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ezel 253 extending from the base 251 .

제2 상면(253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제2 장변(LS2)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면(253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면(253a)은 제2 베젤 상면(253a)이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upper surface 253a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long side LS2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second upper surface 253a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second upper surface 253a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ezel upper surface 253a.

제2 내부 엣지(253b)는 제2 상면(253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엣지(253b)는 제2 상면의 일측(252)과 백 커버(25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엣지(253b)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하단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엣지(253b)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엣지(253b)는 제2 베젤 상면(253a)의 모서리 또는 제2 베젤 상면(253a)의 내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inner edge 253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253a. The second inner edge 253b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252 of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The second inner edge 253b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ower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second inner edge 253b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second inner edge 253b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second bezel upper surface 253a or an inner corner of the second bezel upper surface 253a.

제2 외부 엣지(252c)는 제2 상면(253a)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외부 엣지(252c)는 베이스(251)의 하부면과 백 커버(250)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외부 엣지(252c)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부 엣지(252c)는 백 커버(250)의 모서리 또는 제2 베젤(253)의 외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outer edge 252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253a. The second outer edge 252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The second outer edge 252c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second outer edge 252c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back cover 250 or an outer corner of the second bezel 253 .

제2 내부 홈(253d)은 제2 베젤(253)과 베이스(2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inner groove 253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bezel 253 and the base 251 .

제2 내부 홈(253d)은 베이스(251)의 엣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홈(253d)은 제2 외부 엣지(252c) 또는 백 커버(2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ner groove 253d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251 . The second inner groove 253d may be concave toward the second outer edge 252c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제2 가공면(253e)은 제2 상면(253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공면(253e)은 제2 상면(253a)의 타측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The second processing surface 253e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253a. The second processing surface 253e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upper surface 253a.

제2 가공면(253e)가 배치되는 제2 베젤(253)은 상부로 접근할수록 제2 베젤(253)의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As the second bezel 253 on which the second processing surface 253e is disposed approaches an upper portion, the width of the second bezel 253 may gradually decrease.

제3 베젤(254)은 베이스(251)의 우단에 형성되는 엣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베젤(254)은 제3 상면(254a), 제3 내부 엣지(254b), 제3 외부 엣지(254c), 제3 내부 홈(254d) 및 제3 가공면(254e)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젤(254)은 베이스(2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bezel 25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n edg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base 251 . The third bezel 254 may include a third upper surface 254a, a third inner edge 254b, a third outer edge 254c, a third inner groove 254d, and a third processing surface 254e. . The third bezel 254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or width as the base 251 .

제3 상면(254a)은 베이스(251)로부터 연장되는 제3 베젤(254)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upper surface 254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bezel 254 extending from the base 251 .

제3 상면(254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제1 단변(SS1)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상면(254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상면(254a)은 제3 베젤 상면(254a)이라 칭할 수 있다.The third upper surface 254a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hort side SS1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third upper surface 254a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third upper surface 254a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bezel upper surface 254a.

제3 내부 엣지(254b)는 제3 상면(254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 엣지(254b)는 제3 상면의 일측(252)과 백 커버(25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 엣지(254b)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우단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 엣지(254b)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부 엣지(254b)는 제3 베젤 상면(252)의 모서리 또는 제3 베젤 상면(252)의 내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third inner edge 254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hird upper surface 254a. The third inner edge 254b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252 of the third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The third inner edge 254b may be disposed to face right end sides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third inner edge 254b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third inner edge 254b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third bezel upper surface 252 or an inner corner of the third bezel upper surface 252 .

제3 외부 엣지(254c)는 제3 상면(254a)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외부 엣지(254c)는 베이스(251)의 하부면과 백 커버(250)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외부 엣지(254c)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외부 엣지(254c)는 백 커버(250)의 모서리 또는 제3 베젤(254)의 외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third outer edge 254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third upper surface 254a. The third outer edge 254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The third outer edge 254c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third outer edge 254c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back cover 250 or an outer corner of the third bezel 254 .

제3 내부 홈(254d)은 제3 베젤(254)과 베이스(2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third inner groove 254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bezel 254 and the base 251 .

제3 내부 홈(254d)은 베이스(251)의 엣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부 홈(254d)은 제3 외부 엣지(254c) 또는 백 커버(2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inner groove 254d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251 . The third inner groove 254d may be concave toward the third outer edge 254c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제3 가공면(254e)은 제3 상면(254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가공면(254e)은 제3 상면(254a)의 타측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The third processing surface 254e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upper surface 254a. The third processing surface 254e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other side of the third upper surface 254a.

제3 가공면(254e)가 배치되는 제3 베젤(254)은 상부로 접근할수록 제3 베젤(254)의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As the third bezel 254 on which the third processing surface 254e is disposed approaches an upper portion, the width of the third bezel 254 may gradually decrease.

제4 베젤(255)은 베이스(251)의 우단에 형성되는 엣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베젤(255)은 제4 상면(255a), 제4 내부 엣지(255b) 및 제4 외부 엣지(255c), 제4 내부 홈(255d) 및 제4 가공면(255e)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베젤(255)은 베이스(2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The fourth bezel 255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an edg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base 251 . The fourth bezel 255 may include a fourth upper surface 255a, a fourth inner edge 255b and a fourth outer edge 255c, a fourth inner groove 255d, and a fourth processing surface 255e. . The fourth bezel 255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or width as the base 251 .

제4 상면(255a)은 베이스(251)로부터 연장되는 제4 베젤(25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ourth upper surface 255a may be disposed on the fourth bezel 255 extending from the base 251 .

제4 상면(255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제2 단변(SS2)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상면(255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전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4 상면(255a)은 제4 베젤 상면(255a)이라 칭할 수 있다.The fourth upper surface 255a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hort side SS2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fourth upper surface 255a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300 . The fourth upper surface 255a may be referred to as a fourth bezel upper surface 255a.

제4 내부 엣지(255b)는 제4 상면(255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내부 엣지(255b)는 제4 상면의 일측(252)과 백 커버(25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내부 엣지(255b)는 디스플레이 모듈(110,130)의 좌단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내부 엣지(255b)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내부 엣지(255b)는 제4 베젤 상면(255a)의 모서리 또는 제4 베젤 상면(255a)의 내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fourth inner edge 255b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ourth upper surface 255a. The fourth inner edge 255b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252 of the fourth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The fourth inner edge 255b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eft end side of the display modules 110 and 130 . The fourth inner edge 255b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fourth inner edge 255b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fourth bezel upper surface 255a or an inner corner of the fourth bezel upper surface 255a.

제4 외부 엣지(255c)는 제4 상면(255a)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외부 엣지(255c)는 베이스(251)의 하부면과 백 커버(250)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외부 엣지(255c)는 만곡 또는 라운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외부 엣지(255c)는 백 커버(250)의 모서리 또는 제4 베젤(255)의 외측 모서리라 칭할 수 있다.The fourth outer edge 255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upper surface 255a. The fourth outer edge 255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The fourth outer edge 255c may be curved or rounded. The fourth outer edge 255c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of the back cover 250 or an outer corner of the fourth bezel 255 .

제4 내부 홈(255d)은 제4 베젤(255)과 베이스(2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fourth inner groove 255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bezel 255 and the base 251 .

제4 내부 홈(255d)은 베이스(251)의 엣지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내부 홈(255d)은 제4 외부 엣지(255c) 또는 백 커버(2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inner groove 255d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251 . The fourth inner groove 255d may be concave toward the fourth outer edge 255c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50 .

제4 가공면(255e)은 제4 상면(255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가공면(255e)은 제4 상면(255a)의 타측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The fourth processing surface 255e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upper surface 255a. The fourth processing surface 255e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upper surface 255a.

제4 가공면(255e)가 배치되는 제4 베젤(255)은 상부로 접근할수록 제4 베젤(255)의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As the fourth bezel 255 on which the fourth processing surface 255e is disposed approaches upward, the width of the fourth bezel 255 may gradually decreas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공면(252e) 내지 제4 가공면(255e)은 제1 상면(252a) 내지 제4 상면(255a)의 타측 각각에 배치됨으로써, 소비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가공면(252e) 내지 제4 가공면(255e)이 형성됨으로써, 소비자 취급시 배임 방지 또는 모서리부 찍힘 방지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cessing surface 252e to the fourth processing surface 255e are disposed on each of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to the fourth upper surface 255a, thereby preventing the consumer from being injured. That is, since the first processing surface 252e to the fourth processing surface 255e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blemishes or dents at the corners when handling the consumer.

또한, 제1 가공면(252e) 내지 제4 가공면(255e)이 제1 상면(252a) 내지 제4 상면(255a)의 타측 각각에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베젤(252) 내지 제4 베젤(255)을 상대적으로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fourth processing surfaces 252e to 255e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and fourth upper surfaces 252a to 255a,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bezels 252 to the fourth bezels are formed. (255) can be formed relatively narrowly.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back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서 A 영역은 제1 베젤(252)의 확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9 , area A in FIG. 8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 of the first bezel 252 .

제1 베젤(252)의 두께(w3) 또는 폭은 베이스(251)의 두께(t2) 또는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thickness w3 or the width of the first bezel 25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t2 or the width of the base 251 .

제1 상면(252a)은 일측에 제1 내부 엣지(252b)가 만곡하게 형성되고, 타측에 제1 가공면(252e)가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상면(252a)의 폭(w4)은 제1 베젤(252)의 폭(w3)보다 작을 수 있다. Since the first inner edge 252b is formed to be curved on one side of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and the first processed surface 252e is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other side, the width w4 of the first upper surface 252a is the first I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bezel 252 .

제1 내부 엣지(252b)는 제1 내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edge 252b may be formed with a first inner curvature.

제1 내부 곡률은 제1 내부 엣지(252b)의 원호의 반지름이 R3일 때 1/R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1 내부 곡률의 반지름(R3)은 제1 베젤(251)의 폭(w3)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제1 내부 곡률의 반지름(R3)은 제1 베젤(251)의 폭(w3)의 1/2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inner curvature may be expressed as 1/R3 when the radius of the arc of the first inner edge 252b is R3. The radius R3 of the first inner curvature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first bezel 251 . Preferably, the radius R3 of the first inner curvature is smaller than 1/2 of the width w3 of the first bezel 251 .

제1 외부 엣지(252c)는 제1 내부 엣지(252c)와 같이 만곡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 엣지(252c)는 제1 외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edge 252c may be curved like the first inner edge 252c. The first outer edge 252c may be formed with a first outer curvature.

제1 외부 곡률은 제1 외부 엣지(252c)의 원호의 반지름이 R4일 때 1/R4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1 외부 곡률의 반지름(R4)은 제1 베젤(251)의 폭(w3)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제1 외부 곡률의 반지름(R4)은 제1 베젤(251)의 폭(w3)의 1/2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외부 곡률은 제1 내부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outer curvature may be expressed as 1/R4 when the radius of the arc of the first outer edge 252c is R4. The radius R4 of the first outer curvature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first bezel 251 . Preferably, the radius R4 of the first outer curvature is smaller than 1/2 of the width w3 of the first bezel 251 . The first outer curvature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inner curvature.

제1 내부 홈(252d)은 제1 베젤(252)과 베이스(25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홈(252d)은 제1 외부 엣지(252c) 또는 백 커버(250)의 외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내부 홈(252)을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부 홈(252d)은 제1 베젤(252)의 내부면과 베이스(251)의 내부면이 겹쳐져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홈(252d)은 제1 베젤(252)의 내부면의 일부와 베이스(251)의 내부면의 일부가 이격되어 마주한 형상이거나 서로 접하여 마주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내부 홈(252d)은 내측 코너 홈이라 칭할 수 있다. 내측 코너 홈은 꺽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groove 252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ezel 252 and the base 251 . The first inner groove 252d may be concave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edge 252c or the back cover 250 . 9 illustrates that the first inner groove 252 is conca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inner groove 252d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ezel 25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251 . The first inner groove 252d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ezel 252 and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251 are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or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The first inner groove 252d may be referred to as an inner corner groove. The inner corner groove may be implemented in a bent shape.

제1 가공면(252e)은 제1 베젤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경사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공면(252e)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크기, 백 커버(150)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The first processing surface 252e may be formed while being inclined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bezel.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processing surface 252e may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300 and the material of the back cover 150 .

도 9에서는 A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베젤(252)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B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베젤(253), C 영역에 배치되는 제3 베젤(254) 및 D 영역에 배치되는 제4 베젤(255)도 제1 베젤(25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기능 및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도 4 및 도 5를 통해 충분히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제2 베젤(253) 내지 제4 베젤(25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FIG. 9 , the first bezel 252 disposed in the A area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second bezel 253 disposed in the B area, the third bezel 254 disposed in the C area, and the first bezel 252 disposed in the D area. The fourth bezel 255 may als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function, and effect as the first bezel 252 . Since these are sufficiently predictable through FIGS. 4 and 5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bezel 253 to the fourth bezel 255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백 커버를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ack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0을 참조하면, 백 커버(250)는 샤프한 엣지 베젤을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한번 이상의 제조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back cover 250 may undergo at least one manufacturing process to implement a sharp edge bezel.

제1 공정 단계(도 9의 (a))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평판의 중앙 영역을 Z-형상 프레스하여 백 커버(250)를 z-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정 단계(도 9의 (a))는 z-형상 프레스 성형 단계 또는 z-형상 프레스 단계라 칭할 수 있다.In the first process step (FIG. 9(a)), the back cover 250 may be formed in a z-shape by Z-shaping the central region of the flat plate formed to a constant thickness. The first process step (FIG. 9(a)) may be referred to as a z-shape press forming step or a z-shape press step.

백 커버(250)는 제1 공정 단계(도 9의 (a))를 통해 베이스(251)와 베젤(252,253,254,255)을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정 단계(도 9의 (a))에서 베이스(251)의 폭(t1) 또는 두께와 베젤(252,253,254,255)의 폭(w1) 또는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back cover 250 may form the base 251 and the bezels 252 , 253 , 254 and 255 through a first process step ( FIG. 9A ). In the first process step (FIG. 9A), the width t1 or thickness of the base 251 and the width w1 or thickness of the bezels 252, 253, 254 and 255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또한, 제1 공정 단계(도 9의 (a))에서 베젤(252,253,254,255)의 내부 엣지(252b,253b,254b,255b)를 측정한 내부 곡률의 반지름(R1)과 베젤(252,253,254,255)의 외부 엣지(252c,253c,254c,255c)를 측정한 외부 곡률의 반지름(R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들은 베이스(251)의 폭(t1) 또는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process step (FIG. 9(a)), the inner edge (252b, 253b, 254b, 255b) of the bezel (252,253,254,255) was measured, the radius of inner curvature (R1) and the outer edge of the bezel (252,253,254,255) ( The radius R2 of the outer curvature measured 252c, 253c, 254c, 255c is substantially equal, and they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t1 or thickness of the base 251 .

제2 공정 단계(도 9의 (b))는 z-형상으로 형성된 백 커버(250)를 상/하 단조 공정할 수 있다, 제2 공정 단계(도 9의 (b))는 백 커버(250)를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프레스하는 단조 금형함으로써, 베젤(252,253,254,255)의 내부 엣지(252b,253b,254b,255b)와 베젤(252,253,254,255)의 외부 엣지(252c,253c,254,c255c)를 보다 샤프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공정 단계(도 9의 (b))는 단조 금형 단계 또는 단조 성형 단계라 칭할 수 있다.In the second process step (FIG. 9(b)), the upper/lower forging process of the back cover 250 formed in the z-shape may be performed. The second process step (FIG. 9(b)) is the back cover 250 ), the inner edge 252b, 253b, 254b, 255b of the bezel 252,253,254,255 and the outer edge 252c, 253c, 254,c255c of the bezel 252,253,254,255 are sharper can be formed The second process step (FIG. 9 (b)) may be referred to as a forging die step or a forging forming step.

제2 공정 단계(도 9의 (b))에서 베젤(252,253,254,255)의 내부 엣지(252b,253b,254b,255b)를 측정한 내부 곡률의 반지름(R1)과 베젤(252,253,254,255)의 외부 엣지(252c,253c,254c,255c)를 측정한 외부 곡률의 반지름(R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들은 베이스(251)의 폭(t1) 또는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In the second process step (FIG. 9 (b)), the inner edge 252b, 253b, 254b, 255b of the bezel 252,253,254,255 is measured, the radius of inner curvature R1 and the outer edge 252c of the bezel 252,253,254,255; The radius R2 of the outer curvature, measured 253c, 254c, 255c), is substantially the same, which may be less than the width t1 or thickness of the base 251 .

백 커버(250)는 제2 공정 단계(도 9의 (b))인 단조 공법 후 내부 곡률의 반지름(R1)과 외부 곡률의 반지름(R2) 각각을 베이스(251)의 폭(t1) 또는 두께의 1/2 이하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베젤(252,253,254,255)을 샤프한 엣지로 구현할 수 있다.The back cover 250 is the width (t1) or thickness of the base 251, respectively, the radius of the inner curvature (R1) and the radius of the outer curvature (R2) after the forging method of the second process step (FIG. 9 (b)) Since it can be applied to less than 1/2 of , the bezels 252, 253, 254, 255 can be implemented as sharp edges.

제3 공정 단계(도 9의 (c))는 베젤(252,253,254,255)의 외측을 절단할 수 있다. 제3 공정 단계(도 9의 (c))는 베젤(252,253,254,255)의 상단의 외측을 절단함으로써, 베젤(252,253,254,255)의 상면(252a,253a,254a,255a)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third process step (FIG. 9(c)), the outside of the bezels 252, 253, 254, and 255 may be cut. In the third process step (FIG. 9(c)), the upper surfaces 252a, 253a, 254a, and 255a of the bezels 252, 253, 254, 255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outside of the top of the bezels 252, 253, 254, 255.

제4 공정 단계(도 9의 (d))는 베젤(252,253,254,255)의 타측을 경사지게 절단할 수 있다. 제4 공정 단계(도 9의 (d))는 베젤(252,253,254,255)의 상단의 외측 모서리를 절단함으로써, 베젤(252,253,254,255)의 가공면(252e,253e,254e,255e)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fourth process step (FIG. 9(d)), the other side of the bezels 252, 253, 254, and 255 may be cut obliquely. The fourth process step (FIG. 9(d)) cuts the outer corners of the upper ends of the bezels 252, 253, 254, and 255, thereby forming the processed surfaces 252e, 253e, 254e, and 255e of the bezels 252, 253, 254, 255.

제4 공정 단계(도 9의 (d))는 제3 공정 단계(도 9의 (c)) 이후에도 편차에 의해 베젤(252,253,254,255)의 외측이 불균일한 부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4 공정 단계는 제3 공정 단계(도 9의 (c)) 이후 베젤(252,253,254,255)의 외측에 형성되는 뭉개진 형상이 잔존하는 것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4 공정 단계(도 9의 (d))는 휠 커트(Wheel cut) 방식을 이용하여 가공면(252e,253e,254e,255e)을 형성함으로써, 베젤(252,253,254,255)의 외측이 뭉개진 형상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the fourth process step (FIG. 9(d)), even after the third process step (FIG. 9(c)),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non-uniform outer side of the bezels 252, 253, 254, 255 due to deviation. In the fourth process step,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remaining crushed shap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ezels 252 , 253 , 254 and 255 after the third process step ( FIG. 9C ). The fourth process step (FIG. 9(d)) forms the processing surfaces 252e, 253e, 254e, and 255e using a wheel cut method, thereby removing the crushed shape of the outside of the bezels 252, 253, 254, 255. can do.

제5 공정 단계(도 9의 (e))는 가공면(252e,253e,254e,255e)에 의해 뭉개진 형상이 제거된 베젤(252,253,254,255)을 보여주는 것이다.The fifth process step (FIG. 9(e)) shows the bezels 252, 253, 254, 255 from which the shape crushed by the machining surfaces 252e, 253e, 254e, and 255e is rem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Als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re not limitedly applicable,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251: 베이스, 252: 제1 베젤
253: 제2 베젤, 254: 제3 베젤
255: 제4 베젤
251: base, 252: first bezel
253: second bezel, 254: third bezel
255: fourth bezel

Claims (10)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백 커버(Back Cover); 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베젤;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베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내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내부 홈에 삽입되지 않도록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isplay module (Display Module); and
a back cover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nd disposed to cover side surfaces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back cover is
a bas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bezel disposed at a corner of the base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and an inner groov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bezel and formed long along an edge of the base.
The display module is
A display device positioned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삭제delete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백 커버(Back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베젤;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베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내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상면;
상기 백 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면의 일측에 만곡하게 형성되는 내부 엣지; 및
상기 베이스의 후면과 상기 베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면의 타측과 이격되어 만곡하게 형성되는 외부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의 폭은,
상기 베이스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상면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isplay module (Display Module); and
I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es a back cover (Back Cover) disposed to cover the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The back cover,
a bas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bezel disposed at a corner of the base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and an inner groov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bezel and formed long along an edge of the base.
The bezel is
an upper surface form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 inner edg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the upper surface and curved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nd an outer edge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ezel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to be curved.
The width of the bezel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bas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백 커버(Back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베젤;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베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내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상면;
상기 백 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면의 일측에 만곡하게 형성되는 내부 엣지; 및
상기 베이스의 후면과 상기 베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면의 타측과 이격되어 만곡하게 형성되는 외부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엣지는,
상기 내부 엣지의 원호의 반지름인 내부 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곡률은 상기 베젤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isplay module (Display Module); and
I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es a back cover (Back Cover) disposed to cover the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The back cover is
a bas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bezel disposed at a corner of the base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and an inner groov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bezel and formed long along an edge of the base.
The bezel is
an upper surface form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 inner edg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the upper surface and curved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nd an outer edge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ezel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to be curved.
The inner edge is
Forming an inner curvature that is the radius of the arc of the inner edge,
The inner curvatur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width of the bezel.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엣지는,
상기 외부 엣지의 원호의 반지름인 외부 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곡률은 상기 베젤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outer edge is
Forming an outer curvature that is the radius of the arc of the outer edge,
The external curvatur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width of the beze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곡률은 상기 외부 곡률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urvature is the same as the outer curvature.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베젤의 외측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면의 타측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공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bezel is
and a processing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ezel and the upper surface and inclin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홈은,
상기 베젤의 내부면의 일부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면의 일부가 서로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inner groove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ezel and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re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기 베이스의 내부면과 동일한 도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upper surface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same plating as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폭은,
상기 베젤의 상단으로 접급할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idth of the bezel is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r to the upper end of the bezel is gradually reduced.
KR1020200041735A 2020-04-06 2020-04-06 Display device KR102394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35A KR102394876B1 (en) 2020-04-06 2020-04-0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35A KR102394876B1 (en) 2020-04-06 2020-04-06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15A KR20210123915A (en) 2021-10-14
KR102394876B1 true KR102394876B1 (en) 2022-05-09

Family

ID=7811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735A KR102394876B1 (en) 2020-04-06 2020-04-06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87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00B1 (en) * 2008-01-11 2009-05-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Cassette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586B1 (en) * 2016-03-14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552047B1 (en) * 2016-11-24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498621B1 (en) * 2017-12-29 2023-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00B1 (en) * 2008-01-11 2009-05-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Cassette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15A (en)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805B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CN110288904B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294219B2 (en) Quantum dot color filter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7303114B2 (en) backlight sourc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EP2508942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210407329A1 (en) Flexible display panel
US20150091953A1 (en) Display with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and display assembly
US20100315734A1 (en) Color filter array
EP3267243B1 (en) Display device
EP3781983B1 (en) Out-coupling structure for a light guide
US20190146263A1 (en) Display device
CN112997234A (en) Light source structur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7018061B2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KR102394876B1 (en) Display device
KR102301424B1 (en) Display apparatus
EP3267245A1 (en) Display device
CN108754419B (en) Mask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764155B1 (en) Display device
KR10258774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473397B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US20110068998A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Color Display Apparatus
CN108796433B (en) Mask sheet, mask shee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540857B1 (en) Light guide plate module having local dimming function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70048045A (en) Display device
CN111383545A (en) Lamp panel module for LED display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