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663B1 -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663B1
KR102394663B1 KR1020170083100A KR20170083100A KR102394663B1 KR 102394663 B1 KR102394663 B1 KR 102394663B1 KR 1020170083100 A KR1020170083100 A KR 1020170083100A KR 20170083100 A KR20170083100 A KR 20170083100A KR 102394663 B1 KR102394663 B1 KR 102394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cosmetic composition
solid cosmetic
dimethicone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863A (ko
Inventor
이수진
강유진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8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6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 실리카 및 오일을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압축 특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화장 지속성, 결보정 효과, 모공 커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 SEMISOLID TYP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우수한 안정도와 뛰어난 메이크업 효과를 나타내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메이크업 화장품 중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대표적인 제형 형태로는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수상부와 유상부를 유화한 리퀴드 파운데이션과 유상 성분에 파우더를 분산시킨 오일 분산형 파운데이션이 있다. 그 중, 고체 유형의 파운데이션은 앞서 언급한 리퀴드 파운데이션과 오일 분산형 파운데이션 등에 왁스 등의 제형 유지 원료를 첨가하여 고체 형태를 갖도록 제조한 것으로서, 리퀴드 파운데이션보다 유동성이 적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휴대성이 편리하므로 수정 화장 등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고체 유형의 파운데이션에는 유상 성분에 파우더를 분산시킨 분산형 고체 파운데이션과 파우더를 포함한 유상부에 수상 성분을 유화시킨 유화형 고체 파운데이션이 있다.
이러한 분산형 고체 파운데이션은 높은 커버력과 화장의 지속성을 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파우더 함유량이 많아서 화장료를 도포한 피부에서 건조함을 느끼거나, 압축성 부여 등 사용감을 다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고형 파운데이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압축 특성을 부여하여 반고형화하기 위한 시도는 있었으나 단순히 경도를 무르게 할 경우 와립 안정도 및 고온 안정도 하락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고형 파운데이션의 한계를 극복하여 높은 압축률과 높은 흡유력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안정도와 뛰어난 메이크업 효과를 가지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787000호,"유성 화장료"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건식 실리카와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를 사용하면, 이들의 높은 압축률과 높은 흡유력을 이용하여, 단순히 무르거나 질척이는 질감의 반고형 질감이 아닌, 우수한 안정도와 뛰어난 메이크업 효과를 나타내는 반고형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 특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화장 지속성, 결보정 효과, 모공 커버 효과를 갖는 반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 실리카 및 오일을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카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 내지 15 중량%로 포함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카는 건식 실리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은,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에스테르 계 오일;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및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탄화수소 계 오일;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및 디메치콘(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실리콘 계 오일 중 1종 이상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분산제 및 색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산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 세틸피이지 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비스-이소부틸피이지/피피지10/7/디메치콘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및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프라이머, 블러셔, 아이섀도, 썬크림, 스킨케어 크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식 실리카와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를 사용하면, 이들의 높은 압축률과 높은 흡유력을 이용하여, 단순히 무르거나 질척이는 질감의 반고형 질감이 아닌, 우수한 안정도와 뛰어난 메이크업 효과를 나타내므로, 반고형 제품 제조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축 특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화장 지속성, 결보정 효과, 모공 커버 효과를 갖는 반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수한 화장 지속성, 결보정 효과, 모공 커버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반고형 제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프라이머, 블러셔, 아이섀도, 썬크림, 스킨케어 크림 등과 같은 제품일 수 있으며, 이들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압축 특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화장 지속성, 결보정 효과, 모공 커버 효과를 갖는 반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 실리카 및 오일을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반고형 메이크업 파운데이션은 고객에게 양호한 질감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결보정 효과나 모공 커버 효과를 연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제품이다. 이러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기존의 제품의 경우, 왁스나 점증제 함량 저감을 통해 유상의 연속상을 가지면서 반고형의 제형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단순히 왁스를 포함하거나 점증제 함량을 저감하는 것만으로는 제품의 안정도가 하락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건식 실리카와,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유상의 연속상을 가지면서 압축 특성을 부여한 반고형 메이크업 파운데이션을 구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을 통해 고객에게 새로운 질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 제품의 특징인 결보정 효과, 모공 커버 효과 등을 보다 쉽게 연상시킬 수 있다는 파급 효과가 있다. 기존에도 유상의 연속상을 가지면서 반고형의 제형을 왁스나 점증제 함량 저감을 통해 제조는 할 수 있었으나 안정도 하락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식 실리카를 함유한 일반적인 제형들도 있었으나 본 발명처럼 특이한 압축 특징을 가지지는 않았다.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로 포함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5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하면 경도가 낮아져서, 제형 안정도 유지 및 와립 흐름성에 문제가 있으며, 25중량% 초과이면 경도가 높아져 제조에 어려움이 있으며, 제조된 화장료에서 양호한 질감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의 구체적인 예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실리카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 내지 15 중량%로 포함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2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하면 압축특성의 개선이 나타나지 않으며, 15중량% 초과이면 실리카가 오일을 지나치게 흡수하게 되어 양호한 사용감을 나타내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건식 실리카일 수 있다. 상기 건식 실리카는 저비중이고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입자간의 반발력이 극대화되어 자기들끼리 응집되지 않고 다른 조성의 재분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건식 실리카의 구체적인 예는 실리카, 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실리카실릴레이트, 실리카디메치콘실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 등의 탄화수소 계 오일;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등의 실리콘 계 오일 중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오일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오일은 점증제를 분산시키는 동시에 실리카 사이에 스며들어 화장료 조성물을 고점도의 반고형 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반고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상의 오일을 사용하여 실리카 및 색소의 오일 흡유량과 비슷한 오일 함량으로 포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에 있어서,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중량%가 바람직하다.
오일의 함량이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미만이라면 반고형 상태로 제조되지 않고, 50중량%를 초과한다면 오일 분산 타입과 같은 제형으로 만들어지게 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일이 주름사이에 모여들게 되어 색소가 뭉치는 현상이 일어나며, 제형이 슬러리(slurry)상으로 변하게 되거나 유동성이 있는 액체상태로 제형이 제조되어 반고형 상태를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성의 향상을 위하여 분산제 및 색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함께 배합되는 색소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분산제의 종류와 함량도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분산제의 종류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 세틸피이지 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비스-이소부틸피이지/피피지10/7/디메치콘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및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분산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성, 커버력, 색상 및 발림성 등을 위하여 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필요에 따라서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탈크, 알루미나, 아이런 옥사이드, 마이카, 실리카, 알루미나, 유기 색소 및 천연 색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색소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중량% 내지 7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화장 지속성, 결보정 효과, 모공 커버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반고형 제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프라이머, 블러셔, 아이섀도, 썬크림, 스킨케어 크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와 오일을 혼합한 후, 70 내지 100℃로 가온한 후, 여기에 색소 및 실리카를 투입한 후 함께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 1에서 제시된 조성에 따라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와 오일을 혼합한 후 80℃로 가온하여 고온을 유지하며 색소와 실리카를 투입한 후 분산시켜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A-1 8 8 8 8 8 7 - - 4
A-2 - - - - - - 7 - -
A-3 - - - - - - - 6 -
B - - - - - - - - -
C - - - - - - - -
D 2 2 2 2 2 2 2 2 2
E 18 18 18 18 18 18 18 18 18
F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G 25 25 25 25 25 25 25 25 25
H-1 7 - - - - 7 7 7 7
H-2 - 7 - - - - - - -
H-3 - - 7 - - - - - -
H-4 - - - 7 - - - - -
H-5 - - - - 7 - - - -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성분(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7 비교예8
A-1 8 - -
B - 3 3 - -
C - 4 4 - -
D 2 2 2 2 2 - -
E 18 18 18 18 18 - -
F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
G 25 25 25 25 25 - -
H-1 - - - 7 7 7 -
I - - - - - to 100 -
J - - - - - - to 100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A-1: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A-2: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5:5 비율)
A-3: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B: 폴리에칠렌 왁스
C: 벤토 나이트 무기점증제
D: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F: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G: 티타늄디옥사이드(TiO2) 색소
H-1: 실리카
H-2: 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
H-3: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H-4: 실리카실릴레이트
H-5: 실리카디메치콘실릴레이트
I: 일반 유중수형 액상 파운데이션 내용물 (이니스프리 미네랄 모이스처 파운데이션, 코스비전)
J: 파우더를 연속상으로 하는 반고형 파우더 팩트 내용물 (베리떼 익스테이 마블팩트, 아모레퍼시픽)
실험예
이하의 실험예에서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압축성 측정
"H. J. Choi, Rheological Properties of Chitosan-Buckwheat Gel Products, Inje University, Biohealth Products Research Center, 2005."의 내용에 따라서, Rheometer (Sun rheometer CR-500DX)의 Mastication test를 진행하여 cohesiveness(응집성) 를 측정하였다. 본 테스트를 통해 springiness(탄성), gumminess(검성), adhesiveness(점착성), brittleness(취성)도 % 단위로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2) 와립 안정도 측정
100g의 시료를 jar 용기에 적치하고 30도, 45도, 55도 항온조에 12시간 90도로 기울여 보관 후 익일 그 상태를 관찰하였다.
3) 지속성 측정
얼굴을 세안한 후 항온항습실(22±2°C, 50±5%)에서 15분 이상 대기하여 피부 안정을 취하였다. 시료 사용 전, 시료 사용 직 후 얼굴 정면을 영상 촬영(Visia CR)한 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Image pro+)을 이용하여 피부색 및 불균일도를 분석하였다. 4시간 후에 재측정하여 도포 직후와 4시간 후의 intensity 수치를 비교하여 지속성을 %로 계산하였다.
4) 결 보정 효과 측정
얼굴을 세안한 후 항온항습실(22±2°C, 50±5%)에서 15분 이상 대기하여 피부 안정을 취하였다. 시료 도포에 따른 피부결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RIMOS High Resolution (Phaseshift Rapid in vivo Measurement of Skin high resolution, GFMesstechnik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시험부위를 측정하고, PRIMOS High Resolution 전용 software (PRIMOS version 5.6E)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피부결 개선율을 %로 계산하였다.
5) 경도
각 시료를 30에서 보관한 후 레오미터(Rheometer: CR-500D)를 이용하여 probe가 시료를 침입할 때의 눈금을 읽어 기록하였다. 경도 측정은 1일 동안 보관 후에 실시하였으며, 측정시 속도는 20mm/min, 침입 깊이는 20mm로 설정하였다.
실험예 1: 점증제 종류 및 실리카의 유무에 따른 압축률 및 안정도 비교
건식 실리카와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를 모두 사용한 실시예 1과, 그 외의 다른 점증제를 사용한 비교예 2 내지 5,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압축률 및 안정도를 하기 표 3에서 비교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압축성 (%) 50 0 0 20 0 25
경도 180 60 90 80 150 130
와립 흐름성 양호 (흐름성 없음) 불량 (흐름) 불량 (흐름) 불량 (흐름) 양호 (흐름성 없음) 양호 (흐름성 없음)
55도 안정도 양호 (분리 없음) 오일 분리 양호 (분리 없음) 오일 분리 양호 (분리 없음) 오일 분리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와 건식 실리카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 양호한 안정도와 차별화된 압축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점증제 함량에 따른 압축률 및 안정도 비교
건식 실리카와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를 모두 사용한 실시예 1과, 그 외의 건식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의 사용량이 실시예 1보다 적은 실시예 9의 압축률 및 안정도를 하기 표 4에서 비교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9
압축성 (%) 50 0 20
경도 180 60 100
와립 흐름성 양호 (흐름성 없음) 불량 (흐름) 불량 (흐름)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일정량 이상의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를 포함함과 동시에 건식 실리카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 양호한 안정도와 차별화된 압축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건식 실리카 사용에 따른 압축률, 지속성 및 피부결 개선율 비교
건식 실리카를 사용한 실시예 1과, 건식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일반 유중수형 액상 파운데이션 내용물에 건식 실리카를 사용한 비교예 7 및 파우더를 연속상으로 하는 반고형 파우더 팩트 내용물인 비교예 8에 대하여 압축률, 지속성 및 결 보정 효과를 하기 표 5에서 비교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7 비교예8
압축성 (%) 50 0 0 43
메이크업 지속력
(4시간 후 intensity 비율)
85% 40% 80% 80%
피부결 개선율 (보정 효과) 26.3% 20% 8% 5%
우선 건식 실리카의 포함 유무가 가장 큰 영향으로, 압축성과 지속성 모두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인 파운데이션에 건식 실리카를 적용한 경우에는 압축 특징의 부재로 결 보정 효과가 미미하였다. 또한 유사한 압축 특징을 갖는 파우더 제형과 비교 시 지속력은 유사하였으나 연속상의 오일에서 기인하는 매끈한 피부결 보정 효과는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험예 4: 건식 실리카 종류에 따른 압축률 및 안정도 비교
위에서 확인한 가장 주요 인자인 건식 실리카를 종류별로 시험하여 표 6에 비교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압축성 (%) 50 55 47 45 50
경도 180 160 200 230 190
와립 흐름성 양호 (흐름성 없음) 양호 (흐름성 없음) 양호 (흐름성 없음) 양호 (흐름성 없음) 양호 (흐름성 없음)
상기 표 6을 비교해 보면, 비표면적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유사하게 압축성 및 우수한 안정도, 그리고 메이크업 효과 특성이 구현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 종류에 따른 압축률 및 안정도 비교
위에서 확인한 가장 주요 인자인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를 종류별로 시험하여 표 7에 비교하였다.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압축성 (%) 50 55 50
경도 180 160 190
와립 흐름성 양호 (흐름성 없음) 양호 (흐름성 없음) 양호 (흐름성 없음)
55도 안정도 양호 (분리 없음) 양호 (분리 없음) 양호 (분리 없음)
표 7을 비교해 보면, 세부 경도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안정한 압축성의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 실리카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고,
    Rheometer (Sun rheometer CR-500DX)의 Mastication test로 측정한 압축성이 45% 내지 55%인,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7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 점증제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및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건식 실리카인,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에스테르 계 오일;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및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탄화수소 계 오일;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및 디메치콘(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실리콘 계 오일 중 1종 이상 인,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분산제 및 색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 세틸피이지 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비스-이소부틸피이지/피피지10/7/디메치콘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및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프라이머, 블러셔, 아이섀도, 썬크림, 스킨케어 크림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제품에 사용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83100A 2017-06-30 2017-06-30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4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00A KR102394663B1 (ko) 2017-06-30 2017-06-30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00A KR102394663B1 (ko) 2017-06-30 2017-06-30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63A KR20190002863A (ko) 2019-01-09
KR102394663B1 true KR102394663B1 (ko) 2022-05-06

Family

ID=6501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00A KR102394663B1 (ko) 2017-06-30 2017-06-30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6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164B1 (ko) 2008-11-19 2011-08-08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559B1 (ko) 2015-10-19 2016-11-22 애경산업(주) 분체 함유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7000B2 (ja) 2005-11-09 2011-10-05 株式会社コーセー 弾性成形型およびそれを用いる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884480B1 (ko) * 2007-02-27 2009-0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성상의 왁스-프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FR3002449B1 (fr) * 2013-02-25 2015-04-0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type gel
KR102529579B1 (ko) * 2015-09-30 2023-05-09 (주)아모레퍼시픽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164B1 (ko) 2008-11-19 2011-08-08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559B1 (ko) 2015-10-19 2016-11-22 애경산업(주) 분체 함유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63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00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21211A (ko) 겔 유형 화장용 조성물
US20130171084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a silicon resin and an acrylic film forming agent
KR20070122564A (ko) 메이크업 화장재료
JP5657455B2 (ja) 油性化粧料基剤および油性化粧料
EP3603615A1 (en) Cosmetic
JP6307499B2 (ja) 皮膚及び/又は唇を明るくする化粧方法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US20210137818A1 (en) Oil-based hair coloring cosmetic
JP5822427B2 (ja) アスコルビン酸またはサリチル酸化合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286653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99886B1 (ko)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8435A (ko) 입술 화장료
KR20170001687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WO2017023691A1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minimizing skin imperfections
KR101060929B1 (ko) 고점도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61124B1 (ko)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663B1 (ko)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164413B2 (ja) ジェル状化粧料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25875B (zh) 包括乳化的亲水性胶凝剂的乳剂形式的变色组合物
JP2009029721A (ja) 1−ブテン単独重合体を含む化粧料
KR20200134872A (ko) 천연 유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