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470B1 -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470B1
KR102394470B1 KR1020210162909A KR20210162909A KR102394470B1 KR 102394470 B1 KR102394470 B1 KR 102394470B1 KR 1020210162909 A KR1020210162909 A KR 1020210162909A KR 20210162909 A KR20210162909 A KR 20210162909A KR 102394470 B1 KR102394470 B1 KR 10239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purified water
purifier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용
Original Assignee
이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용 filed Critical 이종용
Priority to KR102021016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8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vessels to be filled, e.g. using ultrasonic waves, optical reflexion,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the flow being started or stopped by means actuated by the vessel to be filled, e.g. by switches,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를 통해 정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출수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유속이 현저하게 저하됨에 따라 정수의 공급 시간이 증가되어 실질적으로 정수의 사용이 꺼려졌던 기존의 직수 설계식 정수기와는 달리, 설정량의 정수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정수통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정수 사용의 편의성이 확보되며, 나아가 정수통의 입수구와 출수구를 개별 차폐하여 정수의 오염을 적극 방지하면서 선택적으로 저장된 정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 제공되어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10);와, 급수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20);와, 사용자의 요청시 정수를 출수하는 노즐(50);로 이루어지되, 본체(10) 하단에 인·입출 가능하게 거치되고, 필터(20)로부터 연장되는 관체(1)를 통해 정수를 공급받아 설정기간 보관 내지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도록 정수통(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냉각 또는 가열시켜 개별 저장하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물이 출수되어 다양한 온도의 식수를 편리하게 공급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통해 정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출수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유속이 현저하게 저하됨에 따라 정수의 공급 시간이 증가되어 실질적으로 정수의 사용이 꺼려졌던 기존의 직수 설계식 정수기와는 달리, 설정량의 정수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정수통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정수 사용의 편의성이 확보되며, 나아가 정수통의 입수구와 출수구를 개별 차폐하여 정수의 오염을 적극 방지하면서 선택적으로 저장된 정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 제공되어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수기라 함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대상으로 하여 미세한 여과막을 이용하여 부유 입자를 흡착하고, 활성탄을 충전하여 유기 물질을 흡착하며, 이온 교환 수지에 통과시켜 오염 물질을 이온화하여 저감하고,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 처리하는 등 두 개 이상의 방식을 접목하여 정수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정수된 물 일부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개별 저장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맞춰 냉수와 온수를 출수함에 따라 식수 사용에 편의성을 적극 제공하고 있으며, 시대의 변화와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기능과 우수한 성능을 보유한 정수기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정수기와 관련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014호 "정수기용 순간온수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하우징 일 측의 상·하단에 유입수가 공급되는 입수구 및 유입된 유입수를 히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설치부에는 입수구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를 히팅하는 세라믹히터가 상하 2단으로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타고 유입된 유입수가 세라믹 히터에 의해 히팅되는 순간온수장치이다. 특히 하우징 일 측의 출수구 측면에는 히터가 설치되는 하우징 내부의 압을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써미스터의 감지를 통해 확인하고, 설정된 압에 따라 개폐되면서 하우징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개폐모듈을 설치하고, 입수구는 유입되는 유입수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입수구의 지름을 출수구의 지름보다 보다 작게 형성하였다.
상기 기술은 하우징의 출수구 측면에 써미스터의 감지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모듈을 장착하여 히터가 설치되는 하우징 내부의 압의 값이 설정된 값을 초과할 때, 자동적으로 밸브를 작동하여 증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내부의 압력이 초과됨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며, 개폐밸브를 히터 내부에 설치하여 즉각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발열체인 세라믹 자체에 은도금을 적용해 은 성분으로 인한 친환경적인 원적외선 방출과 더불어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의 입수구의 구멍을 출수구보다 작게 형성하여 유속이 빠르게 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을 낮추도록 함은 물론, 세라믹 히터의 표면 면적을 극대화하여 빠른 물의 흐름을 갖는 유로를 만들어 열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었다.
정수기와 관련된 기술 중 다른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742호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복수의 핑거 형상의 제빙핀을 가지는 증발기 및 증발기의 각 제빙핀을 중심으로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을 규정하는 얼음 형상 가이드를 포함하고, 얼음 형상 가이드는 정수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술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얼음 형상 가이드를 분리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최근 개발된 정수기들은 온수와 냉수를 빠르게 생성하거나, 제빙기가 일체화되는 등 다양한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충족시켜주고 있으며, 그 외에도 우수한 필터 및 살균 기술로 하여금 보다 깨끗한 식수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수도관에 직접 연결하여 수돗물을 급수받으면서 이를 즉시 정수하는 직수 정수기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직수 정수기는 식수는 물론 요리에 활용하기 편리하므로 가정용으로 많이 애용하고 있다. 그러나 직수 방식의 정수기는 정수를 획득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동반되므로 자주 사용하기 않는 불필요한 기능으로 전락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수통을 장착함으로써 정수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편리한 기능의 냉온정수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014호 "정수기용 순간온수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742호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정수를 지속적으로 공급,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정수통을 일체로 보유하도록 정수기의 제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정수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 유도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에 정수통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별도의 살균 처리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상시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게 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 공급, 냉수 공급, 온수 공급 등 정수 보충에 대한 다양한 루트 제공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하며, 나아가 정수통의 입출력 내지 수위에 기인한 다양한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정수의 보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통을 상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저장된 정수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본체(10);와, 급수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20);와, 사용자의 요청시 정수를 출수하는 노즐(50);로 이루어지며, 본체(10) 하단에 인·입출 가능하게 거치되고, 필터(20)로부터 연장되는 관체(1)를 통해 정수를 공급받아 설정기간 보관 내지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도록 정수통(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센서를 기반으로 정수통(60)의 인·입출 여부와 수위를 파악하여 정수의 자동 공급 내지 보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하부에 정수통(60)의 측부 개입 및 인출을 허용하는 삽입부(11);와, 삽입부 하단에 내장되며 일부는 외부 노출되어 정수통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정수의 보충 여부를 판단하는 무게감지센서(12);와, 삽입부 측면에 내장되어 정수통 내의 담수 높이를 감지함으로써 정수의 보충 여부를 판단하는 수위감지센서(12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하부에 정수통(60)의 측부 개입 및 인출을 허용하는 삽입부(11);와, 삽입부 측면에 내장되어 정수통의 인·입출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정수통의 거치 여부를 판단하는 거치감지센서(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는 상단에 필터(20)로부터 연장되어 정수를 공급하는 관체(1)가 배치되고, 상기 관체(1)는 정수통(60)으로의 급수 여부를 결정되게 하는 제1급수밸브(1a)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급수밸브(1a)는 무게감지센서(12) 또는 수위감지센서(12a) 또는 거치감지센서(13)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연동하여 무게 내지 수위 측정 정보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수통(60)은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통체(61);와, 통체의 파지를 허용하는 손잡이(62);와, 통체의 상부를 차폐하되 관체(1)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입수구(63a)와 저장된 정수를 출수하는 출수구(63b)가 구비된 커버체(6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는 상부에 커버체(63)의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개별차폐하는 덮개유닛(14)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유닛(14)은 삽입부(11)의 상단에서 승하강하여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개별 차폐하는 패드(14a);와, 양 패드를 잇는 지렛대(14b);와, 지렛대 상부에 설치되며 삽입부(11)의 삽입감지센서(13)와 연동하여 지렛대에 승하강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14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유닛(14)은 삽입부(11)의 상단에서 승하강하여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개별 차폐하는 패드(14a);와, 양 패드를 잇는 지렛대(14b);와, 삽입부 내측면에서 노출되게 설치되며 정수통의 측부 개입에 의해 눌림되는 거치감지센서(13);와, 거치감지센서와 지렛대를 연결하며 거치감지센서의 눌림 여부에 따라 회동하면서 지렛대와 패드를 하강시키는 연결대(14e);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유닛(14)은 삽입부(11) 상부와 패드(14a) 사이에 스프링(14f)이 권취됨에 따라 스프링의 인장력으로 하강된 패드가 원위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는 상단에 살균유닛(15)이 설치되고, 상기 살균유닛(15)은 UV램프가 내장되어 정수통(60)의 내·외부 및 정수통에 담수된 정수를 살균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는 정수통(60)이 개입되는 입구를 차폐 내지 개방되게 하는 도어(16)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는 전면 쪽에는 사방 돌출되는 테두리(14g)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통(60)은 통체(61)의 전면 쪽에는 차단막(64)이 사방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테두리(14g)와의 접촉을 유도함에 따라 도어 역할을 하고 삽입부에 거치될 위치를 안내하면서 외부의 오염물질이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관체(1)에 의해 필터(20)와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30)와, 관체에 의해 필터와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4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는 격벽에 의해 좌우 양분되고, 양분된 공간에는 급수된 물을 공급받는 정수통(60)과 냉수탱크(3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배수통(70)이 각각 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는 하단에 열선(17)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수통(60)에 담수된 정수를 가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수통(60)은 열선(17)의 온도 제어를 위한 스위치(18)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관체(1)에 의해 필터(20)와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30)와, 관체에 의해 필터와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4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는 격벽에 의해 좌우 양분되고, 양분된 공간에는 급수된 물을 공급받는 정수통(60)과 냉수탱크(3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온수통(90)이 각각 거치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온수통이 거치되는 공간에는 열선(17)이 내장되어 온수통에 공급된 물이 가열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선(17)은 삽입부(11)의 무게감지센서(12) 또는 거치감지센서(13)와 연동하여 정수통(60)의 거치 여부에 따라 자동 발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종래기술과 달리, 정수기의 하단부에 별도의 정수통이 입출력 가능하게 구비되고, 해당 정수통에는 각종 센서로 하여금 정수가 지속적으로 자동 보충되어 사용자가 정수를 편리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불편함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통을 정수기에 거치시킬 경우 정수기에 구비된 덮개유닛이 정수통의 상단에 형성된 입수구와 출수구를 자동으로 개별 차폐하므로 정수를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부에 구비된 살균유닛이 정수통을 지속적으로 살균 처리하므로 상시 안전한 식수가 제공되고, 또한 삽입부 하단에 구비된 열선과 정수통이 보유한 온도조절 기능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정수를 신속하게 공급받을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부에 도어가 구비되어 거치된 정수통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깔끔한 외관을 조성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직수 정수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냉온 정수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정수통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실린더 방식의 덮개유닛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6 내지 도 7은 지렛대 방식의 덮개유닛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살균유닛의 설치 사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도어의 설치 사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정수기의 테두리와 정수통의 차단막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정수 보충의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정수 보충과 냉수의 배수 기능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정수통의 온도 제어가 가능한 정수기의 단면도.
도 14는 정수의 다양한 보충 루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정수통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이 내장된 삽입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냉각 또는 가열시켜 개별 저장하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물이 출수되어 다양한 온도의 식수를 편리하게 공급하는 정수기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필터를 통해 정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출수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유속이 현저하게 저하됨에 따라 정수의 공급 시간이 증가되어 실질적으로 정수의 사용이 꺼려졌던 기존의 직수 설계식 정수기와는 달리, 설정량의 정수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정수통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정수 사용의 편의성이 확보되며, 나아가 정수통의 입수구와 출수구를 개별 차폐하여 정수의 오염을 적극 방지하면서 선택적으로 저장된 정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 제공되어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직수 정수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냉온 정수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정수통의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실린더 방식의 덮개유닛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지렛대 방식의 덮개유닛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살균유닛의 설치 사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도어의 설치 사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정수기의 테두리와 정수통의 차단막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정수 보충의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정수 보충과 냉수의 배수 기능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정수통의 온도 제어가 가능한 정수기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정수의 다양한 보충 루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정수통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이 내장된 삽입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와, 급수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20);와, 사용자의 요청시 정수를 출수하는 노즐(50);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직수 정수기와,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30);와, 급수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4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냉수와 온수 및 정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냉온 정수기를 전제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본체(10)의 하단에서 인·입출 가능하게 거치되는 정수통(60)이 더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정수통(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100)의 본체(10) 하단에 인·입출 가능하게 거치되고, 거치된 상태에서 정수가 공급되는 관체(1)를 통해 상시 일정량의 정수를 보충받아 안전하고 깨끗하게 보관한다.
상기 정수통(60)은 기존과 같이 사용자가 정수를 사용하기 위해 정수기(100) 앞에서 오랜시간 정수의 출수를 기다리지 않고도 즉시 정수기로부터 정수통을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10)는 센서를 기반으로 정수통(60)의 거치 여부와 정수의 수위가 실시간 파악되며, 상기 수위 정보를 통해 정수가 자동 보충된다.
상기 본체(10)는 하부에 정수통(60)의 측부 개입 및 인출을 허용하는 삽입부(11);와, 삽입부 하단에 내장되며 일부는 외부 노출되어 정수통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정수의 보충 여부를 판단하는 무게감지센서(12);와, 삽입부 측면에 내장되어 정수통 내의 담수 높이를 감지함으로써 정수의 보충 여부를 판단하는 수위감지센서(12a);로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관체(1)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 및 정수하는 필터(20)와, 또 다른 관체에 의해 필터와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 및 저장하며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으로 저장된 정수를 냉각하는 냉각탱크(30)와, 또다른 관체에 의해 필터와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 및 저장하며 외부 전력에 기인하여 저장된 정수를 가열하는 온수탱크(40) 및 냉각탱크, 온수탱크, 필터로부터 연장되는 관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냉수, 온수, 정수를 하는 노즐(50)로 이루어지고, 필터로부터 별도 분할된 관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수를 보충받는 정수통(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정수기(100)는 필터(20)에서 정수통(60)으로 이어진 관체(1)에 정수의 흐름을 차단 내지 해제시키는 제1급수밸브(1a)가 구비되고, 냉각탱크(30)에서 노즐(50)로 이어진 관체에는 제3급수밸브(1c)가 구비되며, 필터에서 노즐로 이어진 관체에는 제4급수밸브(1d)가 구비되고, 온수탱크(40)에서 노즐로 이러진 관체에는 제5급수밸브(1e)가 구비됨에 따라 냉수, 온수, 정수의 출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급수밸브(1a)는 무게감지센서(12) 또는 수위감지센서(12a) 또는 거치감지센서(13)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연동하여 무게 내지 수위 측정 정보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정수통(60)은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통체(61)와, 통체의 파지를 허용하는 손잡이(62)와, 통체의 상부를 차폐하여 저장된 정수를 보호하는 커버체(63)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체(63)는 상부에 입수구(63a)가 구비되어 관체(1)로부터 정수를 공급받고, 상부 가장자리 일측에는 출수구(63b)가 구비되어 저장된 정수를 외부로 출수되게 한다.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정수통(60)은 커버체(63)에 형성된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통해 외부 오염물질이 침투할 수 있고, 이로부터 안전한 식수 공급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0)의 삽입부(11) 내에 커버체(63)의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개별 차폐시키기 위한 덮개유닛(14)을 포함시켰다.
도 4 내지 도 5는 실린더를 매개로 작동하는 덮개유닛(14)으로써 삽입부(11)의 상단에서 승하강하여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개별 차폐하는 패드(14a);와, 양 패드를 잇는 지렛대(14b);와, 지렛대 상부에 설치되며 삽입부(11)의 삽입감지센서(13)와 연동하여 지렛대에 승하강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14c);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실린더(14c)는 무게감지센서(12)와 연동됨으로써 정수통(60)이 삽입부(11) 내에 거치됨을 감지하면 하강 작동하여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차폐하고, 정수통(60)이 탈거됨을 감지하면 승강 작동하여 입수구와 출수구가 개방된다.
덧붙여 상기 덮개유닛(14)은 삽입부(11)의 상부와 패드(14a) 사이에 인장형 스프링(14f)이 개재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14f)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연결대(14e)와 지렛대(14b) 및 패드(14a) 등이 연쇄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 6 내지 도 7은 지렛대 원리로 작동하는 덮개유닛(14)으로써 삽입부(11)의 상단에서 승하강하여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개별 차폐하는 패드(14a);와, 양 패드를 잇는 지렛대(14b);와, 삽입부 내측면에서 노출되게 설치되며 정수통의 측부 개입에 의해 가압되는 거치감지센서(13);와, 거치감지센서와 지렛대를 연결하며 거치감지센서의 가압 여부에 따라 회동하면서 지렛대와 패드를 하강시키는 연결대(14e);로 구성된다.
상기 지렛대 작동방식의 덮개유닛(14)은 정수통(60)이 삽입부(11)에 측부 개입되면서 삽입부 내측에 있는 거치감지센서(13)를 가압하게 되고, 거치감지센서가 가압되면서 거치감지센서와 연결된 연결대(14e)가 회동 작동하고, 연결대와 연결된 지렛대(14b)의 하향 움직임에 의해 지렛대 하단에 배치된 패드(14a)가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차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통(60)이 삽입부(11)로부터 이탈할 경우 가압된 거치감지센서(13)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이와 연결된 연결대(14e)와 지렛대(14b) 및 패드(14a) 등이 연쇄적으로 원위치된다.
도 8과 같이 상기 삽입부(11)는 정수통(60)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살균유닛(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살균유닛(15)은 삽입부(11)의 상단에 설치되며, 자체적으로 UV램프가 내장되어 정수통(60)을 조사함으로써 정수통(60)의 외관과 내관은 물론 정수통에 집수된 정수 또한 완벽하게 살균처리한다.
상기 살균유닛(15)은 삽입부(11)의 상부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수통(60)의 전면 내지 다양한 영역을 살균처리하며, UV램프의 성능에 따라 정수통의 외관 내지 내관은 물론 저장된 정수의 살균처리까지 도모할 수도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외부의 오염물질이 삽입부(11) 내에 거치된 정수통(60)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삽입부를 차폐하고, 나아가 본체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도어(16)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6)는 삽입부(11)의 입구측에서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삽입부(11)의 개폐를 허용한다.
예컨대, 삽입부(11)에 도어(16)가 설치될 경우 외부의 오염물질이 침투할 수 없으므로 삽입부 상에 별도의 덮개유닛(14)이 배제되어도 정수를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상기 삽입부(11)는 전면 쪽에는 사방 돌출되는 테두리(14g)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통(60)은 통체(61)의 전면 쪽에는 사방으로 노출되게 차단막(64)이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통(60)은 본체(10)의 삽입부(11)로 측부 개입이 이루어지면서 거치되는데, 측부 개입중인 정수통(60)의 차단막(64)이 삽입부(11)에 형성된 테두리(14g)에 접촉됨에 따라 더이상의 진입이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해당 위치가 정수통의 거치 위치가 되며, 테두리와 차단막의 겹침으로 삽입부가 차폐되어 외부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도어 역할을 한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필터(20)와 냉각탱크(30), 온수탱크(40), 노즐(50), 정수통(60) 사이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관체(1)가 구비되고, 각 관체마다 급수, 정수, 냉수, 온수의 흐름 및 출수 여부를 결정하는 밸브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20)에서 정수통(60)으로 이어진 관체(1)에 정수의 흐름을 차단 내지 해제시키는 제1급수밸브(1a)와, 냉각탱크(30)에서 노즐(50)로 이어진 관체에 냉수의 흐름을 차단 내지 해제시키는 제3급수밸브(1c)와, 필터에서 노즐로 이어진 관체에 정수의 흐름을 차단 내지 해제시키는 제4급수밸브(1d)와, 온수탱크(40)에서 노즐로 이러진 관체에 온수의 흐름을 차단 내지 해제시키는 제5급수밸브(1e)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들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어부(80)에 의해 개폐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제어부(80)는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며, 날짜와 시간을 안내함과 더불어, 정수기의 조작 및 정수 관련 예약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80)에 따르면 정수기(100)의 급수, 냉수, 배수 등의 기능 활성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냉각 온도와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원하는 시간에 냉각하거나 가열하거나 출수할 수 있는 예약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와 욕구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만 정수를 급수하여 냉각 모터의 작용으로 냉수를 공급하고, 야간이나 주말 및 공휴일에는 설정을 해제하여 정수, 급수, 냉각 모터의 작동을 개별 내지 전체적으로 정지 가능함에 따라 대기기간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전력을 적극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날 사용하고 남은 냉수통의 정수는 당일 사용하기 직전에 배수통(70)으로 전달하여 배수함으로써 상기 쾌적한 정수를 원하는 시간에 제공할 수도 있어 매우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이점이 있다.
도 12와 같이 상기 삽입부(11)는 격벽에 의해 내부공간이 좌우로 양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양분된 공간 중 어느 하나는 정수통(60)이 거치되고, 다른 공간은 배수통(70)이 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정수통(60)이 거치된 공간 상부에는 필터(20)로부터 연장된 관체(1)가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정수가 보충되고, 상기 배수통(70)이 거치된 공간 상부에는 냉각탱크(30)로부터 연장된 관체가 배치되어 냉각탱크에 저장된 물을 투입받는다. 상기 냉각탱크(30)로부터 연장된 관체(1)에는 제6급수밸브(1f)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밸브는 제어부(80)와 연동하여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 개폐되면서 냉각탱크(30)에 저장된 냉수가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탱크(30)에 저장된 물이 제어부(80)에 설정된 조건에 해당될 때마다 출수되고, 새로운 정수가 재공급되므로 냉각탱크의 냉수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도 13과 같이 상기 삽입부(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수통(60)에 담수된 정수를 가열하는 열선(17)이 내장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열선(17)은 삽입부(11)의 바닥면, 즉 정수통(60)이 거치되는 영역에 설치되며, 삽입부의 내측에 구비된 커넥터와 정수통의 정면에 형성된 접지부(17a)의 상호 결합으로 열선(17)의 발열이 실시된다.
상기 정수통(60)은 외측에 열선(17)과 연결되는 스위치(18)가 구비되어 열선의 발열 온도가 제어됨으로써 보충된 정수의 온도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정수통(60)에 저장된 정수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정수 버튼과 저장된 정수를 소정 가열하는 온수 버튼을 제공하고, 정수통에 정수의 저장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1L 버튼, 2L 버튼, 3L 버튼 등을 제공한다. 예컨대 정수 버튼을 눌러 활성화시킨 후 1L 버튼을 누르면 정수통에 정수량이 1L를 유지하게 되고, 정수 버튼을 눌러 활성화시킨 후 2L 버튼을 누르면 정수통에 정수량이 2L를 유지하게 되며, 정수 버튼을 눌러 활성화시킨 후 3L 버튼을 누르면 정수통에 정수량이 3L를 유지하게 된다. 당연하겠지만 온수 버튼을 눌러 활성화시킨 후 1L 버튼을 누르면 열선(17)이 발열하면서 정수통에 저장된 1L의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만들고, 온수 버튼을 눌러 활성화시킨 후 2L 버튼을 누르면 열선이 발열하면서 정수통에 저장된 2L의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만들며, 온수 버튼을 눌러 활성화시킨 후 3L 버튼을 누르면 열선이 발열하면서 정수통에 저장된 3L의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한다.
도 14와 같이 상기 삽입부(11)는 격벽에 의해 내부공간이 좌우로 양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양분된 공간 중 어느 하나는 정수통(60)이 거치되고, 다른 공간은 온수통(90)이 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정수통(60)이 거치된 공간 상부에는 필터(20)로부터 연장된 관체(1)가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정수가 보충되고, 상기 온수통(90)이 거치된 공간 상부에는 필터 내지 냉각탱크(30)로부터 연장된 관체가 배치되어 정수 똔느 냉각탱크에 저장된 물을 투입받는다. 상기 온수통(90)으로 배치된 관체(1)에는 제6급수밸브(1f)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밸브는 제어부(80)와 연동하여 제어부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 개폐되면서 정수 또는 냉각탱크(30)에 저장된 냉수가 배수된다.
특히, 상기 온수통(90)이 거치되는 삽입부(11) 공간에는 열선(17)이 내장되어 온수통을 가열하며, 온수통은 외측에 열선(17)과 연결되는 스위치(18)가 구비되어 열선의 발열 온도가 제어됨으로써 보충된 정수의 온도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삽입부(11)에서 온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본체(10) 내부에 온수탱크(40)가 배제되어 보다 경량화된 소형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상기 열선(17)은 삽입부(11)의 무게감지센서(12) 내지 거치감시센서(13)와 연동하여 정수통의 거치 여부에 따라 자동 발열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정수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종래기술과 달리, 정수기의 하단부에 별도의 정수통이 탈거 가능하게 구비되고, 해당 정수통에는 각종 센서로 하여금 정수가 지속적으로 자동 보충되어 사용자가 정수를 편리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불편함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정수통을 정수기에 거치시킬 경우 정수기에 구비된 덮개유닛이 정수통의 상단에 형성된 입수구와 출수구를 자동으로 개별 차폐하므로 정수를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에 구비된 살균유닛이 정수통을 지속적으로 살균 처리하므로 상시 안전한 식수가 제공되고, 또한 삽입부 하단에 구비된 열선과 정수통이 보유한 온도조절 기능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정수를 신속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삽입부에 도어가 구비되어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거치된 정수통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깔끔한 외관을 조성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필터
30. 냉각탱크 40. 온수탱크
50. 노즐 60. 정수통
70. 배수통 80. 제어부
90. 온수통 100. 정수기

Claims (17)

  1. 센서를 기반으로 정수통(60)의 인·입출 여부와 수위를 파악하여 정수의 자동 공급 내지 보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본체(10)와, 급수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20)와, 사용자의 요청시 정수를 출수하는 노즐(50)로 이루어지고, 본체(10) 하단에 인·입출 가능하게 거치되어 필터(20)로부터 연장되는 관체(1)를 통해 정수를 공급받아 설정기간 보관 내지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는 정수통(60)으로 구성되는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하부에 정수통(60)의 측부 개입 및 인출을 허용하는 삽입부(11);와, 삽입부 하단에 내장되며 일부는 외부 노출되어 정수통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정수의 보충 여부를 판단하는 무게감지센서(12);와, 삽입부 측면에 내장되어 정수통 내의 담수 높이를 감지함으로써 정수의 보충 여부를 판단하는 수위감지센서(12a);와, 삽입부 측면에 내장되어 정수통의 인·입출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정수통의 거치 여부를 판단하는 거치감지센서(13);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11)는 상단에 필터(20)로부터 연장되어 정수를 공급하는 관체(1)가 배치되고, 상기 관체(1)는 정수통(60)으로의 급수 여부를 결정되게 하는 제1급수밸브(1a)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급수밸브(1a)는 무게감지센서(12) 또는 수위감지센서(12a) 또는 거치감지센서(13)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과 연동하여 무게 내지 수위 측정 정보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수통(60)은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통체(61);와, 통체의 파지를 허용하는 손잡이(62);와, 통체의 상부를 차폐하되 관체(1)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입수구(63a)와 저장된 정수를 출수하는 출수구(63b)가 구비된 커버체(6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는 상부에 커버체(63)의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개별차폐하는 덮개유닛(14)이 더 포함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유닛(14)은,
    삽입부(11)의 상단에서 승하강하여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개별 차폐하는 패드(14a);
    양 패드를 잇는 지렛대(14b);
    지렛대 상부에 설치되며 삽입부(11)의 삽입감지센서(13)와 연동하여 지렛대에 승하강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14c);
    를 포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유닛(14)은,
    삽입부(11)의 상단에서 승하강하여 입수구(63a)와 출수구(63b)를 개별 차폐하는 패드(14a);
    양 패드를 잇는 지렛대(14b);
    삽입부 내측면에서 노출되게 설치되며 정수통의 측부 개입에 의해 눌림되는 거치감지센서(13);
    거치감지센서와 지렛대를 연결하며 거치감지센서의 눌림 여부에 따라 회동하면서 지렛대와 패드를 하강시키는 연결대(14e);
    를 포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유닛(14)은 삽입부(11) 상부와 패드(14a) 사이에 스프링(14f)이 권취됨에 따라 스프링의 인장력으로 하강된 패드가 원위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는 상단에 살균유닛(15)이 설치되고,
    상기 살균유닛(15)은 UV램프가 내장되어 정수통(60)의 내·외부 및 정수통에 담수된 정수를 살균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는 정수통(60)이 개입되는 입구를 차폐 내지 개방되게 하는 도어(16)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는 전면 쪽에는 사방 돌출되는 테두리(14g)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통(60)은 통체(61)의 전면 쪽에는 사방으로 노출되게 차단막(64)이 구비되어 테두리(14g)와의 겹침을 유도하여 도어 역할을 하고, 삽입부에 거치될 위치를 안내하면서 외부의 오염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관체(1)에 의해 필터(20)와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30)와, 관체에 의해 필터와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4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는 격벽에 의해 좌우 양분되고, 양분된 공간에는 급수된 물을 공급받는 정수통(60)과 냉수탱크(3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배수통(70)이 각각 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는 하단에 열선(17)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수통(60)에 담수된 정수를 가열되는 것을 포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통(60)은 열선(17)의 온도 제어를 위한 스위치(18)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관체(1)에 의해 필터(20)와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30)와, 관체에 의해 필터와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4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11)는 격벽에 의해 좌우 양분되고, 양분된 공간에는 급수된 물을 공급받는 정수통(60)과 냉수탱크(3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온수통(90)이 각각 거치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온수통이 거치되는 공간에는 열선(17)이 내장되어 온수통에 공급된 물이 가열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17)은 삽입부(11)의 무게감지센서(12) 또는 거치감지센서(13)와 연동하여 정수통(60)의 거치 여부에 따라 자동 발열되는 것을 포함하는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KR1020210162909A 2021-11-24 2021-11-24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KR10239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09A KR102394470B1 (ko) 2021-11-24 2021-11-24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09A KR102394470B1 (ko) 2021-11-24 2021-11-24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470B1 true KR102394470B1 (ko) 2022-05-03

Family

ID=8159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909A KR102394470B1 (ko) 2021-11-24 2021-11-24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6304A (zh) * 2022-05-19 2022-08-12 郭奇峰 一种物联网智能加热一体商务***
KR102626735B1 (ko) * 2023-08-24 2024-01-17 이종용 직수통을 구비한 이온수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445U (ko) * 1997-10-28 1999-05-25 윤홍구 정수기
KR20110000880U (ko) * 2009-07-20 2011-0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004114A (ko) * 2010-07-06 2012-0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200472014Y1 (ko) 2012-12-12 2014-04-04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정수기용 순간온수장치
KR101471864B1 (ko) * 2008-04-25 2014-1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KR200475742Y1 (ko) 2012-12-20 2014-12-31 정휘동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445U (ko) * 1997-10-28 1999-05-25 윤홍구 정수기
KR101471864B1 (ko) * 2008-04-25 2014-1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KR20110000880U (ko) * 2009-07-20 2011-0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004114A (ko) * 2010-07-06 2012-0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200472014Y1 (ko) 2012-12-12 2014-04-04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정수기용 순간온수장치
KR200475742Y1 (ko) 2012-12-20 2014-12-31 정휘동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6304A (zh) * 2022-05-19 2022-08-12 郭奇峰 一种物联网智能加热一体商务***
CN114886304B (zh) * 2022-05-19 2023-10-13 郭奇峰 一种物联网智能加热一体商务***
KR102626735B1 (ko) * 2023-08-24 2024-01-17 이종용 직수통을 구비한 이온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470B1 (ko)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US6582563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200801311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humidifying air with water vapor
KR20170142434A (ko) 정수기
US6872306B2 (en) Multifunctional pure water maker
KR100993891B1 (ko) 정수기
CN111943418A (zh) 一种带有清洗功能的净化加热一体机
KR101564133B1 (ko) 정수기
KR20110026842A (ko) 정수기
EP2610399B1 (en) Laundry drying domestic appliance having a liquid reservoir
JP3820377B2 (ja) 冷熱浄水供給装置
KR101291981B1 (ko) 빌트인 정수기
KR20090037325A (ko) 상방 역류형 정수 카트리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환형 정수장치
GB2389409A (en) Dual temperature water dispensing device
KR101584815B1 (ko) 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JP4084146B2 (ja) 高温浄水供給装置
JPH07102188B2 (ja) ジャーポット
KR200428136Y1 (ko) 단체 급수를 위한 대용량 분수형 정수기
CN217383181U (zh) 一种净污水分离式无雾加湿器
KR200230320Y1 (ko) 냉온수기
JP2000304311A (ja) 加湿器
CN217381813U (zh) 一种感应式水龙头
EP2610396B1 (en) Laundry drying domestic appliance having a liquid reservoir
JP2985726B2 (ja) 浴槽装置
EP2610397B1 (en) Laundry drying domestic appliance having a liquid reservoir with filling in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