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497B1 - IoT 서버, 통신 장치,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IoT 서버, 통신 장치,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497B1
KR102393497B1 KR1020200123978A KR20200123978A KR102393497B1 KR 102393497 B1 KR102393497 B1 KR 102393497B1 KR 1020200123978 A KR1020200123978 A KR 1020200123978A KR 20200123978 A KR20200123978 A KR 20200123978A KR 102393497 B1 KR102393497 B1 KR 10239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network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809A (ko
Inventor
이지영
김원모
서건
이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2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4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04L41/5064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은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와 통신 장치 정보를 맵핑한 맵핑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됨-; 및 상기 맵핑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서버, 통신 장치,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IOT SERVER, COMMUNICATION APPARATUS, OPERATING METHOD OF THE IOT SERV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본 개시는 IoT 서버 및 이와 무선 연결 가능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는 WiFi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선 먼저 IoT 디바이스가 AP(Access Point)에 접속되어야 한다. 하지만, IoT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나 입력 장치가 없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는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비밀번호를 IoT 디바이스에 입력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를 softAP로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AP 접속 정보를 IoT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이 사용자에게는 친근하지 않고, 사용자는 AP 접속 정보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9674호(발명의 명칭: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특허권자: ㈜삼성전자)가 있다. 해당 공개특허공보에는 가전기기를 복수의 통신망에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에 관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가전기기는 복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제1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전기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무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법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AP(Access Point)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방법을 통해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무선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신 방법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IoT 디바이스가 기기 등록을 위해 WiFi를 이용하여 IoT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친근하지 않고, AP의 SSID와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AP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다시 IoT 디바이스를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AP 정보를 청약서버에 미리 저장하고 청약서버는 IoT 서버와 연동한 후, IoT 디바이스는 AP의 Hidden SSID를 이용해 IoT 서버에 접속하여 AP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IoT 서버는,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와 통신 장치 정보를 맵핑한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 및 상기 데이터 저장소와 커플링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됨-; 및 상기 맵핑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함-를 수행한다.
일 측에 따른 통신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커플링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됨-;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로 접속한 경우, IoT 서버로 상기 통신 장치의 통신 장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함-; 를 수행하고, 상기 IoT 서버는 상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에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일 측에 따른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은,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와 통신 장치 정보를 맵핑한 맵핑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됨-; 및 상기 맵핑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됨-;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로 접속한 경우, IoT 서버로 상기 통신 장치의 통신 장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IoT 서버는 상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에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IoT 서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기 정보 및 변경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변경된 접속 정보를 상기 맵핑 데이터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맵핑 데이터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는 청약 서버에 고객 별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IoT 서버는 상기 청약 서버와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할 수 있다.
상기 제2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히든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히든 SSID와 다른 SSID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WiFi Protected Setup) 버튼에 대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IoT 디바이스에 AP 접속 정보를 번거롭게 입력하지 않아도 IoT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AP에 접속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AP 접속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도 IoT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AP에 접속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IoT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버와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종합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oT 서버>
도 1a는 일실시예에 따른 IoT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IoT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a 및 도 1b를 함께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IoT 서버(100), 통신 장치(200),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 및 청약 서버(400)가 도시되어 있다. IoT 서버(100)는 접속 정보(137)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138)와 통신 장치 정보(135)를 고객 정보(133) 별로 맵핑한 맵핑 데이터(131)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130) 및 데이터 저장소와 커플링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200)는 WiFi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 예를 들어,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장치(200)는 WiFi 통신 가능한 스마트 가전 또는 스마트 홈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통신 장치(200)를 이용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하여 IoT 서버(100)에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IoT 서버(100)는 데이터 저장소(130)에 통신 장치 정보(135)를 저장한다. 통신 장치 정보(135)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200)의 타입,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시리얼 번호(S/N),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AP(Access Point)에 해당한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히든 SSID 또는 서비스 접속용 SSID를 제공하여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서비스는, 예를 들어 IoT 서비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서비스 접속용 SSID는 히든 SSID와 구분 또는 분리된다.
통신 장치(200)에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히든 SSID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통신 장치(200)는 히든 SSID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특정 버튼을 누른 경우, 히든 SSID "1234"를 구동(또는 활성화)할 수 있다. 특정 버튼은, 예를 들어, WPS 버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앞서, 히든 SSID를 "1234"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히든 SSID는 "1234"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200)는 전원이 on되어 부팅된 경우, 서비스 접속용 SSID가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서비스 접속용 SSID가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SSID로 WiFi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접속용 SSID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자신의 메모리에 미리 정의된 히든 SSID "1234"를 스캐닝하고, 히든 SSID "1234"에 대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는 히든 SSID "1234"가 동작 또는 활성화되어 있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통신 장치(200)가 히든 SSID "1234" 통해 시도한 접속 요청을 허용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히든 SSID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고 통신 장치 정보(135)를 IoT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서버(100)는 맵핑 데이터(131)에서 통신 장치(200)의 정보(135)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정보(138)를 확인한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138)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서비스 접속용 SSID, 비밀번호, WiFi 암호화 방식 등을 포함하는 접속 정보(137)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암호화 방식은, 예를 들어, WEP(Wired Equivalent Policy), WPA(WiFi Protected Access), WPA 2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138)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시리얼 번호(S/N)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136)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서버(100)는 통신 장치 정보(135)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138)의 접속 정보(137)를 통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통신 장치(200)는 IoT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137)를 저장하고, 접속 정보(137)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해 IoT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접속 정보(137)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SSID, 비밀번호, 및 WiFi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IoT 서버(100)와의 연동 프로세스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로부터 IoT 서버(100)로 기기 정보(136) 및 변경된 접속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IoT 서버(100)는 기기 정보(136)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138)의 접속 정보(137)에 변경된 접속 정보를 반영한다. 접속 정보 변경시의 흐름은 도 3b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청약 서버(4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가 설치되기 전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청약으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정보(137)를 고객 별로 저장할 수 있다. IoT 서버(100)는 청약 서버(400)와 실시간으로 연동하고, 이러한 연동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137)를 동일 고객의 통신 장치(200) 정보(135)와 맵핑할 수 있어, 고객 정보(133), 통신 장치 정보(135), 및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138)가 맵핑된 맵핑 데이터(131)를 유지한다.
<통신 장치>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통신 장치(200)는 메모리(210) 및 메모리(210)와 커플링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제어부(220)는 통신 장치(200)가 on되는 경우 메모리(210)에 서비스 접속용 SSID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서비스 접속용 SSID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히든 SSID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한다. 통신 장치(200)가 히든 SSID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하는 과정은 도 1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히든 SSID로 접속한 후 IoT 서버(100)로 통신 장치(200)의 통신 장치 정보를 전송하고, IoT 서버(100)는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에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접속 정보를 통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통신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200)의 타입, MAC 주소, 시리얼 번호(S/N),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서비스 접속용 SSID, 비밀번호, WiFi 암호화 방식 등을 포함하는 접속 정보 및 MAC 주소, 시리얼 번호(S/N)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암호화 방식은, 예를 들어, WEP, WPA, WPA 2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200)는 서비스 접속용 SSID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IoT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접속 정보를 이용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하여 IoT 서버(100)에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IoT 서버(100)와의 연동 프로세스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로부터 IoT 서버(100)로 기기 정보 및 변경된 접속 정보가 전송되고, IoT 서버(100)는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의 접속 정보에 변경된 접속 정보를 반영한다. 접속 정보 변경시의 흐름은 도 3b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IoT 서버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버와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종합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IoT 서버(100), 통신 장치(200)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다. 310은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설치 전 청약 서버(400)에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350a는 통신 장치(200)가 IoT 서버(100)에 기기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우선 310을 살펴보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설치하기 전에 미리 청약 서버(400)에 청약(313)한다. 청약 서버(4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316)하고, IoT 서버(100)와 연동(319)한다. IoT 서버(100)는 고객 별 통신 장치 정보를 고객 별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와 맵핑하여 저장(320)한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서비스 접속용 SSID, 비밀번호, WiFi 암호화 방식 등을 포함하는 접속 정보 및 MAC 주소, 시리얼 번호(S/N)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50a는 통신 장치(200)를 IoT 서버(100)에 등록하는 경우의 흐름을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제1 식별자를 활성화(355a)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 버튼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된다. 제1 식별자는 상술한 히든 SSID에 해당한다.
통신 장치(200)는 제1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고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360a)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200)는 전원이 on되어 부팅된 경우 서비스 접속용 SSID가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서비스 접속용 SSID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된 제1 식별자를 스캐닝하고, 제1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는 제1 식별자가 동작 또는 활성화되어 있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통신 장치(200)가 제1 식별자를 통해 시도한 접속 요청을 허용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제1 식별자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360a)한 후, IoT 서버(100)로 통신 장치 정보를 전송(365a)한다. 통신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200)의 타입, MAC 주소, 시리얼 번호(S/N),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IoT 서버(100)는 수신한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맵핑 데이터로부터 확인(370a)하고,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접속 정보를 통신 장치(200)로 전송(375a)한다. 접속 정보는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 예를 들어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접속 정보를 저장(380a)하고, 제2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385a)한다. 통신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와 연결되면, IoT 서버(100)에 접속하여 기기를 등록(390a)한다.
도 3b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3b를 참고하면, 도 3b는 도 3a와 같이 310, 350a 과정을 거쳐 기기 등록까지 마친 통신장치(200)에 대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가 IoT 서버(100)에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즉 도 3b의 경우 도 3a의 310, 350a 과정을 거쳐 330, 350b 순서대로 과정이 진행된다. 330은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IoT 서버(100)에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변경된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350b는 변경된 이후 통신 장치(200)가 IoT 서버(100)에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접속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335). 이 경우,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IoT 서버(100)와의 연동 프로세스를 통해 IoT 서버(100)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기기 정보 및 변경된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340). IoT 서버(100)는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하고, 맵핑 데이터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의 접속 정보에 변경된 접속 정보를 업데이트(345)한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고 다시 통신 장치(200)가 IoT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은 350b에 도시되며, 이는 도 3a의 350a에서 설명한 바와 일부 과정이 유사하게 진행된다. 우선 통신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접속 정보가 변경된 것을 알 수 없고, 도 3a의 350a에서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저장(380a)했으므로 제2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351). 하지만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접속 정보는 변경되었으므로 제2 식별자를 통한 접속은 실패한다(352). 실시예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접속 실패를 통신 장치(200)에 알릴 수 있다(353). 단계(353)은 예시적인 사항일 뿐, 단계(353)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제1 식별자를 활성화(355b)한다.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대한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WPS 버튼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서 히든 SSID에 해당하는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360b)한다.
도 3b에 도시된 예와 다른 실시예로, 통신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화에 의해 통신 장치(200)에 저장된 제2 식별자와 제2 식별자에 상응하는 비밀번호는 삭제될 수 있으나 제1 식별자와 제1 식별자에 상응하는 비밀번호는 삭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통신 장치(200)는 사용자의 초기화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식별자와 제2 식별자에 상응하는 비밀번호를 삭제할 수 있다. 초기화된 통신 장치(200)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제1 식별자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360b)한 후, IoT 서버(100)로 통신 장치 정보를 전송(365b)한다. IoT 서버(100)는 맵핑 데이터를 확인(370b)하는데, 맵핑 데이터에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변경된 접속 정보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통신 장치(200)는 IoT 서버(100)로부터 변경된 접속 정보를 수신(375b)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변경된 접속 정보를 저장(380b)할 수 있고, 변경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b에 도시된 예와 같이, 서비스 접속용의 제2 식별자가 다른 식별자로 변경되었으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는 변경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385b)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와 연결되면, IoT 서버(100)에 접속(390b)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200)는 IoT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및 통신 장치 정보를 맵핑한 맵핑 데이터를 유지(410)한다. 도 3a의 3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 설치 전 청약 서버(400)에 청약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던 청약 서버(400)가 IoT 서버(100)와 연동하여 IoT 서버(100)가 저장한다. IoT 서버(100)는 고객 별 통신 장치 정보를 고객 별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와 맵핑한 맵핑 데이터를 유지한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접속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는 도 3b의 3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IoT 서버 연동 프로세스를 통해 IoT 서버(100)의 맵핑 데이터에 변경된 정보가 반영된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로부터 IoT 서버(100)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기기 정보 및 변경된 접속 정보가 전송되고, IoT 서버(100)는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하며, 맵핑 데이터의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의 접속 정보에 변경된 접속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IoT 서버 동작 방법의 420 내지 440 단계는 도 3a의 350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된다. IoT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제1 식별자로 접속한 통신 장치(200)로부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420)하고, 맵핑 데이터에서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정보를 확인(430)한다. 통신 장치(200)가 제1 식별자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oT 서버(100)는 제1 식별자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한 통신 장치(200)의 정보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접속 정보를 해당 통신 장치(200)로 전송(440)한다. 이 때 접속 정보는 제2 식별자, 예를 들어 서비스 접속용 SS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수신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하고, 최종적으로 IoT 서버(100)에 기기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통신 장치(200)는 메모리에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510). 통신 장치(200)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520)한다. 제1 식별자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의 히든 SSID이다. 통신 장치(200)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로 미리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에 접속(570)한다.
통신 장치(200)가 제1 식별자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와 연결되면, IoT 서버(100)로 통신 장치 정보를 전송(530)한다. IoT 서버(100)는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에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통신 장치(200)로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전송(540)한다.
통신 장치(200)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저장(550)하고, 제2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300)와 연결 후 IoT 서버(100)에 접속하여 기기 등록을 수행한다(560).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3b의 3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된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IoT 서버와의 연동 프로세스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IoT 서버로 기기 정보 및 변경된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IoT 서버는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의 접속 정보에 변경된 접속 정보를 반영한다. 따라서 IoT 서버의 맵핑 데이터에 변경된 접속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있으므로, 통신 장치가 IoT 서버로부터 자신의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의 접속 정보를 수신(540)할 때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변경된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 변경시에도 IoT 서버에 접속(560)이 가능하다.
IoT 서버의 맵핑 데이터와 관련하여, 도 3a의 3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약 서버가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설치 전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청약으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고객 별로 저장하고 있다. IoT 서버는 청약 서버와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동일 고객의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하여 고객 정보, 통신 장치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가 대응되는 맵핑 데이터를 유지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9)

  1. IoT(Internet of Things) 서버에 있어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와 통신 장치 정보를 맵핑한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 및
    상기 데이터 저장소와 커플링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됨-; 및
    상기 맵핑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함-
    를 수행하고,
    상기 맵핑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청약 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에 상기 통신 장치 정보를 맵핑함으로써 생성되는,
    IoT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기 정보 및 변경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변경된 접속 정보를 상기 맵핑 데이터에 반영하는,
    IoT 서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하는,
    IoT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히든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히든 SSID와 다른 SSID에 해당하는,
    IoT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인,
    IoT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WiFi Protected Setup) 버튼에 대한 입력을 포함하는,
    IoT 서버.
  8. 통신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커플링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됨-;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로 접속한 경우, IoT 서버로 상기 통신 장치의 통신 장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함-;
    를 수행하고,
    상기 IoT 서버는 상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맵핑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에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맵핑 데이터는, 상기 IoT 서버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청약 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에 상기 통신 장치 정보를 맵핑함으로써 생성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서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기 정보 및 변경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변경된 접속 정보를 상기 맵핑 데이터에 반영하는,
    통신 장치.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히든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히든 SSID와 다른 SSID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인,
    통신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WiFi Protected Setup) 버튼에 대한 입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5. IoT(Internet of Things)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청약 서버와 연동하고,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와 통신 장치 정보의 맵핑으로 생성된 맵핑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됨-; 및
    상기 맵핑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와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기 정보 및 변경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변경된 접속 정보를 상기 맵핑 데이터에 반영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히든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히든 SSID와 다른 SSID에 해당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인,
    IOT 서버의 동작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WiFi Protected Setup) 버튼에 대한 입력을 포함하는,
    IOT 서버의 동작 방법.
  22.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활성화됨-;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로 접속한 경우, IoT 서버로 상기 통신 장치의 통신 장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IoT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와 구분되는 제2 식별자를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IoT 서버는 상기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맵핑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통신 장치 정보에 맵핑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 내의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맵핑 데이터는, 상기 IoT 서버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청약 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 정보에 상기 통신 장치 정보를 맵핑함으로써 생성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서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기기 정보 및 변경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변경된 접속 정보를 상기 맵핑 데이터에 반영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24. 삭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히든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히든 SSID와 다른 SSID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인,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WiFi Protected Setup) 버튼에 대한 입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29. 제15항 내지 제16항, 제18항 내지 제23항 및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00123978A 2020-09-24 2020-09-24 IoT 서버, 통신 장치,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9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978A KR102393497B1 (ko) 2020-09-24 2020-09-24 IoT 서버, 통신 장치,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978A KR102393497B1 (ko) 2020-09-24 2020-09-24 IoT 서버, 통신 장치,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809A KR20220040809A (ko) 2022-03-31
KR102393497B1 true KR102393497B1 (ko) 2022-05-02

Family

ID=8093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978A KR102393497B1 (ko) 2020-09-24 2020-09-24 IoT 서버, 통신 장치,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4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046B1 (ko) * 2017-03-08 202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IoT 장치의 무선 라우터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라우터,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566786B1 (ko) * 2017-09-28 2023-08-14 주식회사 경동원 홈 네트워크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809A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1212B2 (ja) 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当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69417B1 (ko) 멀티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802478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JP634531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625552B2 (en) Wireless provisioning a device for a network using a soft access point
WO2016101729A1 (zh) 无线网络接入的方法、装置及***
US2013017695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JP6917474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のためのクレデンシャル情報の処理方法、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app
US20070047524A1 (en) Peripher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ng with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regarding settings applicable to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P3337219A1 (en) Carrier configur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30039213A1 (en) Simultaneous setup of a wireless network adapter and a network host device
US201501215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nauthorized access point
CN104125568A (zh) 无线接入点安全认证方法和***
US20150213138A1 (en) Thing device based on thing searching browser, and mashup method between things
US202301995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Devices, and Program Therefor
KR102292007B1 (ko) 단거리 통신을 사용한 네트워크 노드 보안
KR101747927B1 (ko) 기기 사용자 추가 등록 시스템
KR102393497B1 (ko) IoT 서버, 통신 장치,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US8588418B2 (en) User level security for an emulated removable mass storage device
JP4856700B2 (ja) トラステッド媒体を介した無線ユニバーサルシリアルバス(wusb)接続の確立
JP6470203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設定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851161B (zh) 一种智能家居设备的固件更新方法
US202202169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shared digital key
KR102379865B1 (ko) IoT 허브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19154028A (ja) モバイルデバイス用の動的データパッケージアクセ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