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274B1 - 여닫이 도어 - Google Patents

여닫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274B1
KR102393274B1 KR1020190074982A KR20190074982A KR102393274B1 KR 102393274 B1 KR102393274 B1 KR 102393274B1 KR 1020190074982 A KR1020190074982 A KR 1020190074982A KR 20190074982 A KR20190074982 A KR 20190074982A KR 102393274 B1 KR102393274 B1 KR 10239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door
gear
panel pa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722A (ko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주)열림기능성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열림기능성창호 filed Critical (주)열림기능성창호
Publication of KR2020001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3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96Door leaves with possibilities to alter the extension of th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어 패널은 도어 프레임의 한쪽 옆에 인접한 부위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여닫는다. 상측 힌지기구는 도어 패널의 상측 부위를 도어 프레임에 대해 회동 지지한다. 하측 힌지기구는 도어 패널의 하측 부위를 도어 프레임에 대해 회동 지지하되, 도어 패널의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서 도어 패널을 고정하며, 도어 패널의 여닫음 동작시 도어 패널을 승강시킨다.

Description

여닫이 도어{Hinged door}
본 발명은 건축물 등에서 사람이 드나드는 개구부나, 채광 등을 위한 개구부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여닫이 방식으로 여닫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등에서 사람이 드나드는 개구부나, 채광 등을 위한 개구부에는 각종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는 도어 패널이 개구부를 여닫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 도어, 미닫이 도어, 접이식 도어 등으로 구분된다. 개방율을 높일 필요가 있는 곳에는 여닫이 도어 또는 접이식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닫이 도어는 도어 패널이 개구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함에 따라 개구부를 여닫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여닫이 도어는 도어 패널이 열림 위치에서 고정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의도치 않게 도어 패널이 닫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어 패널에 별도의 도어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일 예로, 도어고정장치는 도어 패널에 결합되는 결합편과, 결합편에 한쪽 끝 부위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스토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고정장치는 도어 패널을 열림 위치에서 고정할 경우, 상향 회동된 상태의 스토퍼를 하향 회동시켜 스토퍼를 지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도어 패널을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고정장치는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도어 패널의 미관을 해칠 수 있으며, 도어 패널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해야 할 경우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손으로 스토퍼를 회동시키거나, 발로 스토퍼를 회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72789호(2009.07.08.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 패널을 여닫은 상태에서 편리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여닫이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도어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패널과, 상측 힌지기구, 및 하측 힌지기구를 포함한다. 도어 패널은 도어 프레임의 한쪽 옆에 인접한 부위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여닫는다. 상측 힌지기구는 도어 패널의 상측 부위를 도어 프레임에 대해 회동 지지한다. 하측 힌지기구는 도어 패널의 하측 부위를 도어 프레임에 대해 회동 지지하되, 도어 패널의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서 도어 패널을 고정하며, 도어 패널의 여닫음 동작시 도어 패널을 승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패널을 종래의 도어고정장치 없이도 열림 위치에서 편리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도어 패널이 갑작스런 바람 등에 의해 의도치 않게 닫힘 동작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도어고정장치 채용으로 인한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도어고정장치의 조작에 따른 번거로움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하측 힌지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조립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측 힌지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하측 힌지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하측 힌지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하측 힌지기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하측 힌지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어 패널에 틈새조절장치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 틈새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어 패널에 견인장치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6에 있어서, 견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견인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견인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은 도 21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견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견인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25에 도시된 견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하측 힌지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조립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측 힌지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여닫이 도어는 도어 프레임(110)과, 도어 패널(120)과, 상측 힌지기구(130), 및 하측 힌지기구(140)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110)은 건축물 등에서 사람이 드나드는 개구부나, 채광 등을 위한 개구부의 안쪽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0)은 가로 프레임들과 세로 프레임들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도어 패널(120)은 도어 프레임(110)의 한쪽 옆에 인접한 부위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여닫는다. 도어 패널(120)은 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힌지기구(130)는 도어 패널(120)의 상측 부위를 도어 프레임(110)에 대해 회동 지지한다. 하측 힌지기구(140)는 도어 패널(120)의 하측 부위를 도어 프레임(110)에 대해 회동 지지하되, 도어 패널(120)의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서 도어 패널(120)을 고정하며, 도어 패널(120)의 여닫음 동작시 도어 패널(120)을 승강시킨다.
일 예로, 하측 힌지기구(140)는 하측 힌지축(122)과, 하측 돌기편(124)과, 하측 고정판(141), 및 하측 밑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힌지축(122)은 도어 패널(120)의 하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된다. 하측 힌지축(122)은 도어 패널(120)에 체결된 하측 브래킷(122a)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측 돌기편(124)은 도어 패널(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폭을 갖고 연장되어 도어 패널(120)의 하면에 고정된다. 하측 돌기편(124)은 하측 힌지축(122)으로부터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하측 돌기편(124)은 하측 브래킷(122a)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측 고정판(141)은 도어 프레임(110)의 안쪽 옆면에 고정된다. 하측 고정판(141)은 도어 프레임(110)의 안쪽 옆면에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측 고정판(141)은 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밑판(142)은 하측 밑판 본체(142a)와, 하측 축부(142b)와,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과,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 및 하측 승강 안내부(142e)를 구비한다.
하측 밑판 본체(142a)는 하측 고정판(141)의 하단으로부터 도어 패널(12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하측 밑판 본체(142a)는 하측 고정판(14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밑판 본체(142a)의 하면은 하측 고정판(141)에 대해 직각을 이룰 수 있다. 하측 밑판 본체(142a)는 사각 형태를 이루되, 연장된 끝 부위의 양쪽이 각각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하측 축부(142b)는 하측 힌지축(122)을 끼워서 회동 지지하도록 하측 밑판 본체(142a)의 상면에 형성된다. 하측 축부(142b)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은 도어 패널(120)의 닫힘 위치에서 하측 돌기편(124)을 안착시켜 고정하도록 하측 밑판 본체(142a)의 상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120)은 닫힘 위치에서 정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측 돌기편(124)이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어 패널(120)의 하측 부위는 도어 프레임(110)의 인접 부위와 틈새를 차단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은 일정 폭을 갖고 하측 축부(142b)로부터 하측 밑판 본체(142a)의 끝 부위까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측 돌기편(124)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은 도어 패널(120)의 열림 위치에서 하측 돌기편(124)을 안착시켜 고정하도록 하측 밑판 본체(142a)의 상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120)은 열림 위치에서 정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은 일정 폭을 갖고 하측 축부(142b)로부터 하측 밑판 본체(142a)의 끝 부위까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측 돌기편(124)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은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은 도어 패널(120)의 최대 열림 각도 설정에 맞게 위치된다. 예컨대, 도어 패널(120)의 최대 열림 각도가 도어 패널(120)의 닫힘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프레임(110)의 앞쪽으로 90도로 설정되는 경우,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은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에 대해 도어 프레임(110)의 앞쪽으로 90도를 이루게 위치될 수 있다.
도어 패널(120)의 최대 열림 각도가 도어 패널(120)의 닫힘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프레임(110)의 뒤쪽으로 90도로 설정되는 경우,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은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에 대해 도어 프레임(110)의 뒤쪽으로 90도를 이루게 위치될 수 있다.
도어 패널(120)이 도어 프레임(110)의 앞뒤 양방향으로 -90도에서 90도 사이의 범위로 여닫음 동작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2개의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들이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에 대해 도어 프레임(110)의 앞뒤 양방향으로 -90도와 90도를 각각 이루게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도어 패널(120)의 열림 각도는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은 도어 패널(120)의 최대 열림 각도 설정에 맞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과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 사이에 추가적인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도어 패널(120)을 단계적으로 열림 동작시켜 고정할 수도 있다.
하측 승강 안내부(142e)는 도어 패널(120)의 여닫음 동작시 하측 돌기편(124)을 승강 안내함에 따라 도어 패널(120)을 승강시키도록 하측 밑판 본체(142a)의 상면에 형성된다. 하측 승강 안내부(142e)는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으로부터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까지 상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측 승강 안내부(142e)는 오목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측 승강 안내부(142e)는 하측 돌기편(124)이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으로부터 빠져 나와 상승한 후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으로 하강하는 동작을 원활하게 하며, 하측 돌기편(124)이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으로부터 빠져 나와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으로 하강하는 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상측 힌지기구(130)는 상측 힌지축(121)과, 상측 고정판(131), 및 상측 밑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힌지축(121)은 도어 패널(120)에 체결된 상측 브래킷(121a)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측 고정판(131)은 도어 프레임(110)의 안쪽 옆면에 고정된다. 상측 고정판(131)은 하측 고정판(141)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도어 프레임(110)의 안쪽 옆면에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측 밑판(132)은 상측 고정판(131)의 상단으로부터 도어 패널(12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측 밑판(132)은 상측 고정판(1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밑판(132)의 하면에는 상측 힌지축(121)을 끼워서 회동 지지하는 상측 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하측 힌지기구(140)의 작용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패널(120)은 닫힘 위치에서 하측 돌기편(124)이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에 안착됨에 따라 정위치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120)은 종래의 도어고정장치 없이도 닫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패널(120)을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어 패널(120)은 하측 돌기편(124)이 하측 승강 안내부(142e)의 안내를 받아 상승한 후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에 안착됨에 따라 정위치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120)은 종래의 도어고정장치 없이도 열림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도어 패널(120)이 갑작스런 바람 등에 의해 의도치 않게 닫힘 동작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고정장치 채용으로 인한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도어고정장치의 조작에 따른 번거로움도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패널(120)이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패널(120)을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어 패널(120)은 하측 돌기편(124)이 하측 승강 안내부(142e)의 안내를 받아 하강하여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에 안착됨에 따라 정위치되어 고정된다.
도 6은 하측 힌지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하측 힌지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하측 힌지기구(140')의 하측 축부(142b')는 하측 밑판 본체(142a')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축부(142b')는 일정 외경을 갖는 원기둥으로 이루어져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측 힌지축(122')은 중앙 수직 홀을 통해 하측 축부(142b')를 끼우도록 형성되어, 하측 축부(142b')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하측 힌지축(122')은 도어 패널(120)에 체결된 하측 브래킷(122a')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돌기편(124')은 도어 패널(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폭을 갖고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측 브래킷(122a')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돌기편(124')은 도어 패널(120)의 닫힘 위치에서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에 안착되도록 위치된다.
하측 힌지축(122')은 하측 돌기편(124')을 향한 부위의 반대쪽 부위에 힌지축용 경사홈(122b')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힌지축용 경사홈(122b')은 상측 내벽이 하측 힌지축(12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 힌지축(122')의 중앙으로 하향 경사지고 하측 내벽이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힌지축용 경사홈(122b')의 상측 내벽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대략 45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승강 안내부(142e')는 상부에 경사면을 갖고 하측 축부(142b')의 바깥 둘레를 따라 하측 밑판 본체(142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측 승강 안내부(142e')의 경사면은 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142c')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측 승강 안내부(142e')는 상측이 경사지게 절단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승강 안내부(142e')의 경사면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힌지축용 경사홈(122b')의 상측 내벽과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승강 안내부(142e')의 경사면은 도어 패널(120)의 앞뒤 양방향 여닫음 동작시 힌지축용 경사홈(122b')의 상측 내벽과 상호 작용하여 하측 돌기편(124')을 승강 안내함에 따라 도어 패널(120)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한다.
즉, 도어 패널(120)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하면, 힌지축용 경사홈(122b')의 상측 내벽이 하측 승강 안내부(142e')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 안내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120)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하면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어 패널(120)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동하면, 힌지축용 경사홈(122b')의 상측 내벽이 하측 승강 안내부(142e')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 안내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120)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동하면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142d')들은 도어 패널(120)의 열림 위치에서 도어 패널(120)의 하측 돌기편(124')을 안착시켜 고정하도록 하측 밑판 본체(142a')의 상면, 예컨대 하측 승강 안내부(142e')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하측 힌지기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하측 힌지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측 힌지기구(240)는 하측 힌지축(222)과, 하측 승강체(241)와, 하측 승강 받침대(243), 및 스프링(246)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힌지축(222)은 하단이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로 도어 패널(120)의 옆면과 마주하게 수직으로 세워진다. 하측 힌지축(222)은 육각형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힌지축(222)의 하단은 힌지 받침판(222a)을 매개로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 받침판(222a)은 육각형 홀에 하측 힌지축(222)의 하단을 끼움 결합한 상태로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됨으로써, 하측 힌지축(222)을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승강체(241)는 하측 힌지축(222)을 상하로 관통시킨 상태로 도어 패널(120)의 옆면에 고정된다. 하측 승강체(241)는 하측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도어 패널(120)을 회동 지지할 수 있게 한다. 하측 승강체(241)는 원형 중공을 통해 하측 힌지축(222)을 흔들림 없이 끼울 수 있다.
하측 승강체(241)는 힌지 프레임(242)을 매개로 도어 패널(120)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 프레임(242)은 하측 승강체(241)를 끼움 결합한 상태로 도어 패널(120)에 고정됨으로써, 하측 승강체(241)를 도어 패널(120)에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승강체(241)는 바깥 둘레 면에 복수의 슬라이드 끼움 편(241a)들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끼움 편(241a)들은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하측 승강체(24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힌지 프레임(242)은 내부공간을 갖고 상하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 프레임(242)은 내벽에 슬라이드 끼움 편(241a)들을 상하 방향으로 끼우는 슬라이드 끼움 홈(242a)들을 가질 수 있다.
하측 승강체(241)는 하단에 한 쌍의 승강 안내 돌기(241b)들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승강 안내 돌기(241b)는 양쪽 면이 각각 하향 경사지는 형태, 예컨대 대략 V자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승강 안내 돌기(241b)들은 그 사이에 대략 V자 형태로 함몰된 홈(241c)들을 가질 수 있다. 승강 안내 돌기(241b)들은 각 돌출된 하단이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승강 받침대(243)는 하측 승강체(241)보다 하측에서 하측 힌지축(222)을 상하로 관통시킨 상태로 하측 힌지축(222)에 고정된다. 하측 승강 받침대(243)는 고정 핀(245)에 의해 하측 힌지축(222)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핀(245)은 하측 승강 받침대(243)의 고정홀을 거쳐 하측 힌지축(222)의 고정홀에 끼워짐으로써, 하측 승강 받침대(243)를 하측 힌지축(222)에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승강 받침대(243)는 원형 중공 또는 육각형 중공을 통해 하측 힌지축(222)을 흔들림 없이 끼울 수 있다.
하측 승강 받침대(243)는 상단에 하측 승강 안내 홈부(244)가 형성된다. 하측 승강 안내 홈부(244)는 도어 패널(120)의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서 승강 안내 돌기(241b)들을 안착시켜 고정하고, 도어 패널(120)의 여닫음 동작시 승강 안내 돌기(241b)들을 승강 안내함에 따라 도어 패널(120)을 승강시킨다.
하측 승강 안내 홈부(244)는 하측 승강 받침대(243)의 상단에 한 쌍의 승강 안내 홈(244a)들이 승강 안내 돌기(241b)들을 각각 끼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강 안내 홈(244a)은 바닥 부위를 중심으로 양쪽 면이 경사진 형태, 예컨대 대략 V자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승강 안내 홈(244a)들은 그 사이에 대략 V자 형태로 돌출된 돌기(244b)들을 가질 수 있다. 승강 안내 홈(244a)은 도어 패널(120)의 앞뒤 양방향 여닫음 동작시 경사면에 의해 승강 안내 돌기(241b)를 승강 안내함에 따라 도어 패널(120)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한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120)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하면, 승강 안내 돌기(241b)가 승강 안내 홈(244a)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 안내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120)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전 동작하면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어 패널(120)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동하면, 승강 안내 돌기(241b)가 승강 안내 홈(244a)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 안내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120)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전 동작하면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승강 안내 홈(244a)의 경사 각도는 승강 안내 돌기(241b)의 경사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안내 홈(244a)은 승강 안내 돌기(241b)를 완전히 끼운 상태에서 양쪽 면이 승강 안내 돌기(241b)의 양쪽 면과 고르게 맞닿을 수 있다. 즉, 승강 안내 홈(244a)은 도어 패널(120)의 닫힘 위치시 승강 안내 돌기(241b)와 맞물린다. 이때, 하측 승강체(241)의 홈은 하측 승강 받침대(243)의 돌기(244b)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승강 안내 돌기(241b)가 승강 안내 홈(244a)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승강 안내 홈(244a)들은 각 바닥이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 안내 돌기(241b)는 승강 안내 홈(244a)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승강 안내 홈(244a)의 바닥 부위에 면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 승강 안내 홈(244a)들은 상호 연결되는 상단 부위가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 안내 돌기(241b)는 승강 안내 홈(244a)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승강 안내 홈(244a)들의 상단 연결 부위에 면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
도어 패널(120)이 도어 프레임(110)의 앞뒤 양방향으로 -90도에서 90도 사이의 범위로 여닫음 동작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승강 안내 돌기(241b)들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승강 안내 홈(244a)들도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246)은 하측 승강체(241)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하측 승강체(241)에 탄성력을 가한다. 스프링(246)은 탄성력에 의해 하측 승강체(241)를 하측 승강 받침대(243)에 가압해서 밀착시킨다. 따라서, 승강 안내 돌기(241b)는 승강 안내 홈(244a)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246)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안내 홈(244a)의 바닥 부위에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도어 패널(120)을 닫힌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승강 안내 돌기(241b)는 승강 안내 홈(244a)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스프링(246)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안내 홈(244a)들의 상단 연결 부위에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도어 패널(120)을 열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패널(120)은 열린 상태에서 닫힘 방향으로 약간의 힘이 가해지면, 스프링(246)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힘 동작할 수 있다.
스프링(246)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246)은 하측 힌지축(222)에 끼워져 하측 승강체(24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감 볼트(247)가 하측 힌지축(222)의 상단에 체결됨으로써, 스프링(246)의 상하단이 하측 승강체(241)와 마감 볼트(247)에 의해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246)은 도어 패널(120)의 열림 동작시 하측 승강체(241)의 상승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하측 승강체(24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3은 도어 패널에 틈새조절장치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 틈새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여닫이 도어는 도어 프레임(110)에 대한 도어 패널(120)의 하측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틈새조절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틈새조절장치는 틈새조절프레임(151), 및 고정기구(156)를 포함한다.
도어 패널(120)은 가장자리 부위가 섀시에 의해 감싸져 지지될 수 있다. 틈새조절프레임(151)은 도어 패널(120)의 하측 섀시(126)에 상측 부위가 상하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되어 인출입 높이에 따라 하측 섀시(126)와 도어 프레임(110) 사이의 틈새를 조절한다.
하측 섀시(126)는 내부 공간을 갖고 하단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섀시(126)는 섀시 본체(127)의 앞,뒤쪽 끝 부위에 섀시 고정편(128)들을 가질 수 있다. 앞쪽의 섀시 고정편(128)은 섀시 본체(127)의 앞쪽 끝 부위로부터 안쪽으로 절곡되어 수평 연장된 제1 섀시 절곡부(128a)와, 제1 섀시 절곡부(128a)의 연장 끝 부위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수직 연장된 제2 섀시 절곡부(128b)를 포함한다. 뒤쪽의 섀시 고정편(128)은 앞쪽의 섀시 고정편(128)과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틈새조절 프레임(151)은 프레임 본체(152)와, 조절 플랜지(153), 및 조절편(154)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152)는 경량화를 위해 내부 공간을 갖고, 상단 중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 플랜지(153)는 프레임 본체(152)의 상단 개구 주변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돌출되어 섀시 고정편(128)들 사이로 인출입된다. 앞쪽의 조절편(154)은 조절 플랜지(153)의 앞쪽 상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수평 연장된 제1 조절 절곡부(154a)와, 제1 조절 절곡부(154a)의 연장 끝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수직 연장된 제2 조절 절곡부(154b)를 포함한다. 제2 조절 절곡부(154b)는 틈새조절 프레임(151)의 높이 조절시 제2 섀시 절곡부(128b)의 안쪽 공간으로 인출입할 수 있게 제2 섀시 절곡부(128b)보다 바깥쪽에 위치된다. 뒤쪽의 조절편(154)은 앞쪽의 조절편(154)과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기구(156)는 틈새조절프레임(151)의 인출입 높이에 따라 틈새조절프레임(151)을 하측 섀시(126)에 고정한다. 고정기구(156)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섀시 절곡부(128b)들에는 고정핀을 끼울 수 있는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며, 섀시 본체(127)의 앞,뒷면에는 제2 섀시 절곡부(128b)들의 고정홀들과 매칭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조절 절곡부(154b)들에는 고정핀을 끼울 수 있는 조정홀이 상하로 복수 개로 배열될 수 있다. 조절 플랜지(153)의 앞,뒷면에는 제2 조절 절곡부(154b)들의 조절홀들과 매칭되는 조절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홀들은 틈새조절프레임(151)의 높이에 따라 고정핀을 선택적으로 끼움으로써, 틈새조절프레임(151)이 높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한편, 고정기구(156)는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러한 틈새조절장치(15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하측 힌지기구(140)가 설치되는 바닥 부분이 일률적으로 고르지 못하거나, 하측 힌지기구(140) 위에 올려지는 도어 패널(120)과 하측 힌지기구(140) 자체 높이로 인해, 도어 프레임(110)에 대한 도어 패널(120)의 하측 틈새에 생기면, 사용자는 도어 프레임(110)에 대한 도어 패널(120)의 하측 틈새를 최소화하도록 틈새조절프레임(15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깨기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도어 프레임(110)에 대한 도어 패널(120)의 하측 틈새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방음, 방풍 등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6은 도어 패널에 견인장치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2에 있어서, 견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어 패널(220)은 상,하측 힌지기구(130, 14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도어 패널부(220a)와,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대해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도어 패널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2 도어 패널부(220b)는 선형 가이드에 의해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대해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선형 가이드는 레일과, 레일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패널부(220a)와 제2 도어 패널부(220b)는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닫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일부 겹쳐지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좌우 폭은 제2 도어 패널부(220b)의 좌우 폭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견인장치(260)는 제2 도어 패널부(220b)가 제1 도어 패널부(220a)와 함께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닫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열림 동작과 연계하여 제2 도어 패널부(220b)를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으로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견인장치(260)는 상,하측 힌지기구(130, 140)의 상,하측 힌지축(121, 122)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261)와, 구동 베벨기어(261)와 치합되는 종동 베벨기어(262)와, 종동 베벨기어(262)와 동축으로 고정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로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류(263), 및 스크류(263)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제2 도어 패널부(220b)에 고정되는 가동 부재(26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베벨기어(261)와 종동 베벨기어(262)와 스크류(263)는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열림 동작시 가동 부재(264)가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어 패널(220)이 도어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앞뒤 양방향으로 열리도록 구성되는 경우, 종동 베벨기어(262)는 제1,2 종동 베벨기어부(262a, 262b)를 포함하고, 구동 베벨기어(261)는 제1,2 구동 베벨기어부(261a, 26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종동 베벨기어부(262a)와 제2 종동 베벨기어부(262b)는 샤프트(263)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구동 베벨기어부(261a)는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제1 종동 레벨기어부(262a)와 치합되기 시작해서 도어 패널(220)이 앞 방향으로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까지 제1 종동 레벨기어부(262a)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구동 베벨기어부(261a)와 제1 종동 레벨기어부(262a)는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에서 앞 방향으로 열림 위치까지 회동할 때 스크류(263)가 가동 부재(264)를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가깝게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제2 구동 베벨기어부(261b)는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제2 종동 레벨기어부(262b)와 치합되기 시작해서 도어 패널(220)이 뒤 방향으로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까지 제2 종동 레벨기어부(262b)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구동 베벨기어부(261b)와 제2 종동 레벨기어부(262b)는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에서 뒤 방향으로 열림 위치까지 회동할 때 스크류(263)가 가동 부재(264)를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가깝게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견인장치(260)의 작용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제2 도어 패널부(220b)는 제1 도어 패널부(220a)로부터 최대한 펼쳐져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닫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도어 패널부(220b)를 앞쪽으로 밀어서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 도어 패널부(220a)가 상,하측 힌지축(121, 122)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제1 종동 베벨기어부(262a)가 제1 구동 베벨기어부(261a)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스크류(26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종동 베벨기어부(262a)와 스크류(263)는 가동 부재(264)를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가깝게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그에 따라,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 패널부(220b)가 가동 부재(264)에 의해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으로 선형 이동하면서 접힘으로써,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열게 된다.
이후, 도어 패널(220)이 앞쪽으로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제2 도어 패널부(220b)를 뒤쪽으로 당겨서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 도어 패널부(220a)가 상,하측 힌지축(121, 122)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제1 종동 베벨기어부(262a)가 제1 구동 베벨기어부(261a)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스크류(26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종동 베벨기어부(262a)와 스크류(263)는 가동 부재(264)를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멀게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그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 패널부(220b)가 가동 부재(264)에 의해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선형 이동하면서 펼쳐짐으로써,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닫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제2 도어 패널부(220b)를 뒤쪽으로 당겨서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 도어 패널부(220a)가 상,하측 힌지축(121, 122)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제2 종동 베벨기어부(262b)가 제2 구동 베벨기어부(261b)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스크류(26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종동 베벨기어부(262b)와 스크류(263)는 가동 부재(264)를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가깝게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그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 패널부(220b)가 가동 부재(264)에 의해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으로 선형 이동하면서 접힘으로써,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열게 된다.
이후, 도어 패널(220)이 뒤쪽으로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제2 도어 패널부(220b)를 앞쪽으로 밀어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 도어 패널부(220a)가 상,하측 힌지축(121, 122)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제2 종동 베벨기어부(262b)가 제2 구동 베벨기어부(220b)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스크류(26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종동 베벨기어부(262b)와 스크류(263)는 가동 부재(264)를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멀게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그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 패널부(220b)가 가동 부재(264)에 의해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선형 이동하면서 펼쳐짐으로써,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닫게 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도어 패널(220)은 제1,2 도어 패널부(220a, 220b)가 여닫이 방식과 미닫이 방식이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도어 패널(220)의 회동 반경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장치(360)는 구동 기어(361)와, 종동 기어(362)와, 가이드 기어(363)와, 기어 벨트(364), 및 가동 부재(36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어(361)는 상,하측 힌지축(121, 122)과 동축으로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고정된다. 종동 기어(362)는 구동 기어(361)와 치합된 상태로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종동 기어(362)는 구동 기어(361)와 치합되는 제1 기어부와, 기어 벨트(364)와 치합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기어(363)는 종동 기어(362)로부터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이드 기어(363)는 종동 기어(36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 벨트(364)는 종동 기어(362)와 가이드 기어(363)에 걸쳐져 종동 기어(362)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기어(363)의 안내를 받아 주행한다.
가동 부재(365)는 기어 벨트(364)에 고정된 상태로 제2 도어 패널부(220b)에 고정된다. 가동 부재(365)는 기어 벨트(364)의 주행에 따라 제2 도어 패널부(220b)를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대해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가동 부재(365)는 도어 패널(220)이 열릴 때 기어 벨트(364)가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가깝게 이동하는 부위에 고정된다. 한편, 견인장치(360)는 기어 벨트(364) 대신 랙 기어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견인장치(360)는 사용자가 제2 도어 패널부(220b)를 앞쪽 또는 뒤쪽으로 회동시키면, 구동 기어(361)가 회전하여 종동 기어(362)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 벨트(364)가 가이드 기어(363)의 안내를 받아 주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도어 패널부(220b)가 가동 부재(365)에 의해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여닫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220)이 도어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앞뒤 양방향으로 열리도록 구성된 경우, 견인장치(460)는 한 쌍의 종동 기어들(462a, 462b)과, 한 쌍의 가이드 기어들(463a, 463b) 및 한 쌍의 기어 벨트들(464a, 464b)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의 종동 기어들(462a, 462b) 중 하나를 제1 종동 기어(462a)로 지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종동 기어(462b)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한 쌍의 기어 벨트들(464a, 464b) 중 하나를 제1 기어 벨트(464a)로 지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 기어 벨트(464b)로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2 종동 기어(462a, 462b)는 구동 기어(46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제1 종동 기어(462a)는 회전 위치에 따라 제1 기어부가 구동 기어(461)와 선택적으로 치합된다. 제1 종동 기어(462a)는 제2 기어부가 제1 기어 벨트(464a)에 치합된다. 제2 종동 기어(462b)는 회전 위치에 따라 제1 기어부가 구동 기어(461)와 선택적으로 치합된다. 제2 종동 기어(462b)는 제2 기어부가 제2 기어 벨트(464b)에 치합된다.
구동 기어(461)는 바깥 둘레 방향으로 절반에만 기어치가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에는 기어치가 생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동 기어(461)는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로부터 앞 방향으로 열릴 때 제1 종동 기어(462a)와 치합되기 시작해서 도어 패널(220)이 앞 방향으로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까지 제1 종동 기어(462a)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구동 기어(461)는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로부터 뒤 방향으로 열릴 때 제2 종동 기어(462b)와 치합되기 시작해서 도어 패널(220)이 뒤 방향으로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까지 제2 종동 기어(462b)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465)는 도어 패널(220)이 앞 방향으로 열릴 때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가깝게 이동하는 제1 기어 벨트(464a) 부위에 고정되고, 도어 패널(220)이 뒤 방향으로 열릴 때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가깝게 이동하는 제2 기어 벨트(464b) 부위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예에 따른 견인장치(460)는 전술한 예에 따른 견인장치(260)와 같이, 도어 패널(200)의 앞뒤 양방향 열림시 제2 도어 패널부(220b)의 열림 동작을 견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220)이 도어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앞뒤 양방향으로 열리도록 구성된 경우, 견인장치(560)는 종동 기어(561)와, 제1 구동 기어(562a)와, 제2 구동 기어(562b)와, 가이드 기어(563)와, 기어 벨트(564), 및 가동 부재(565)를 포함할 수 있다. 종동 기어(561)는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종동 기어(561)는 평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562a)는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종동 기어(561)와 치합되기 시작해서 도어 패널(220)이 앞 방향으로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까지 종동 기어(561)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제1 구동 기어(562a)는 제2 구동 기어(562b)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종동 기어(561)와 치합되는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생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구동 기어(562a)는 부채꼴 몸체의 외주를 따라 기어치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562b)는 도어 패널(22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종동 기어(561)와 치합되기 시작해서 도어 패널(220)이 뒤 방향으로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까지 종동 기어(561)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제2 구동 기어(562b)는 제1 구동 기어(562a)보다 큰 지름을 갖고, 종동 기어(561)와 치합되는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생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구동 기어(562b)는 부채꼴 몸체의 내주를 따라 기어치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기어(563)는 종동 기어(561)로부터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이드 기어(563)는 종동 기어(561)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기어 벨트(564)는 종동 기어(561)와 가이드 기어(563)에 걸쳐진다. 기어 벨트(564)는 종동 기어(561)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기어(563)의 안내를 받아 주행한다. 가동 부재(565)는 기어 벨트(564)에 고정된 상태로 제2 도어 패널부(220b)에 고정된다. 가동 부재(565)는 기어 벨트(564)의 주행에 따라 제2 도어 패널부(220b)를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대해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가동 부재(565)는 도어 패널(220)이 열릴 때 제1 도어 패널부(220a)의 회동 중심 쪽에 가깝게 이동하는 기어 벨트(564)의 부위에 고정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220)이 앞 방향으로 여닫음 동작할 때 종동 기어(561)가 제1 구동 기어(562a)와 치합되어 정역 회전하여 기어 벨트(564)를 주행시키며, 그에 따라 가동 부재(565)의 선형 왕복에 의해 제2 도어 패널부(220b)가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여닫게 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220)이 뒤 방향으로 여닫음 동작할 때 종동 기어(561)가 제2 구동 기어(562b)와 치합되어 정역 회전하여 기어 벨트(564)를 주행시키며, 그에 따라 가동 부재(565)의 선형 왕복에 의해 제2 도어 패널부(220b)가 제1 도어 패널부(220a)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여닫게 된다. 따라서, 본 예에 따른 견인장치(560)는 도어 패널(200)의 앞뒤 양방향 열림시 제2 도어 패널부(220b)의 열림 동작을 견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도어 프레임 120, 220..도어 패널
121..상측 힌지축 122..하측 힌지축
130..상측 힌지기구 140, 240..하측 힌지기구
142c..하측 닫힘 위치용 고정홈 142d..하측 열림 위치용 고정홈
142e..하측 승강 안내부 150..틈새조절장치
220a..제1 도어 패널부 220b..제2 도어 패널부
260, 360, 460, 560..견인장치

Claims (7)

  1.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한쪽 옆에 인접한 부위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여닫는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의 상측 부위를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해 회동 지지하는 상측 힌지기구; 및
    상기 도어 패널의 하측 부위를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해 회동 지지하되, 상기 도어 패널의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서 상기 도어 패널을 고정하며, 상기 도어 패널의 여닫음 동작시 상기 도어 패널을 승강시키는 하측 힌지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힌지기구는,
    하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도어 패널의 옆면과 마주하게 수직으로 세워진 하측 힌지축;
    상기 하측 힌지축을 상하로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도어 패널의 옆면에 고정되며, 하단에 한 쌍의 승강 안내 돌기들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하측 승강체;
    상기 하측 승강체보다 하측에서 상기 하측 힌지축을 상하로 관통시킨 상태로 상기 하측 힌지축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 패널의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서 상기 승강 안내 돌기들을 안착시켜 고정하고 상기 도어 패널의 여닫음 동작시 상기 승강 안내 돌기들을 승강 안내함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을 승강시키는 하측 승강 안내 홈부가 상단에 형성된 하측 승강 받침대; 및
    상기 하측 승강체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하측 승강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한 상기 도어 패널의 하측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틈새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틈새조절장치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측 섀시에 상측 부위가 상하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되어 인출입 높이에 따라 상기 하측 섀시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조절하는 틈새조절프레임, 및
    상기 틈새조절프레임의 인출입 높이에 따라 상기 틈새조절프레임을 상기 하측 섀시에 고정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상,하측 힌지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도어 패널부와,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에 대해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도어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도어 패널부가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와 함께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닫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의 열림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제2 도어 패널부를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의 회동 중심 쪽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견인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상,하측 힌지기구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구동 베벨기어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종동 베벨기어와,
    상기 종동 베벨기어와 동축으로 고정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도어 패널부에 고정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상,하측 힌지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도어 패널부와,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에 대해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도어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도어 패널부가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와 함께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닫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의 열림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제2 도어 패널부를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의 회동 중심 쪽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견인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상,하측 힌지기구와 동축으로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에 고정된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종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로부터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와 가이드 기어에 걸쳐지는 기어 벨트, 및
    상기 기어 벨트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 도어 패널부에 고정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상,하측 힌지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도어 패널부와,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에 대해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도어 패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도어 패널부가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와 함께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닫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의 열림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제2 도어 패널부를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의 회동 중심 쪽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견인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종동 기어와,
    상기 도어 패널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종동 기어와 치합되기 시작해서 상기 도어 패널이 앞 방향으로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까지 상기 종동 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도어 패널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종동 기어와 치합되기 시작해서 상기 도어 패널이 뒤 방향으로 최대 열림 위치에 있을 때까지 상기 종동 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제2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로부터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 도어 패널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와 가이드 기어에 걸쳐지는 기어 벨트, 및
    상기 기어 벨트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 도어 패널부에 고정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KR1020190074982A 2018-07-27 2019-06-24 여닫이 도어 KR102393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43 2018-07-27
KR20180087643 2018-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722A KR20200012722A (ko) 2020-02-05
KR102393274B1 true KR102393274B1 (ko) 2022-05-02

Family

ID=6951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982A KR102393274B1 (ko) 2018-07-27 2019-06-24 여닫이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147B1 (ko) * 2020-11-04 2023-02-06 조동식 문개폐용 기능성 경첩
KR102380188B1 (ko) * 2021-11-24 2022-03-29 박지우 회동문 힌지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11Y1 (ko) * 2008-03-07 2008-12-05 유범준 도어의 힌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789B1 (ko) 2008-01-04 2010-07-29 이흔 도어고정장치가 내장된 여닫이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11Y1 (ko) * 2008-03-07 2008-12-05 유범준 도어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722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274B1 (ko) 여닫이 도어
US3416183A (en) Roller assembly for a sliding closure
NL2020963B1 (en) Bottom rail assembly for a covering with adjustable roller position and related methods
KR950702479A (ko) 개선된 수직으로 이동하는 자동차 미닫이문(improvements in sliding auto-mobile door)
US9637966B1 (en) Cupboard with up-down louvered door
US1857756A (en) Vertically movable hinged panel door
TWI721676B (zh) 彈性伸縮模組及使用該模組之升降裝置
US20080230188A1 (en) Doorway screening apparatus
KR101567213B1 (ko) 전동식 커튼용 커버 개폐 장치
CN114059869A (zh) 汽车车门铰链结构
US6668899B1 (en) Laterally moving supports for horizontal blinds
JPH01304287A (ja) 間仕切壁
JP2881720B2 (ja) 吊り戸用戸車
US11359435B2 (en) Screen assembly
KR102182602B1 (ko) 접이식 도어시스템
KR102320233B1 (ko) 붙박이장의 자동 미닫이 도어
JP3073909B2 (ja) 上げ下げ障子の連結装置
JP6914572B1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040105108A (ko) 미닫이문
KR102389658B1 (ko) 손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도어 구조체
KR10220690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분리장치
TW201118233A (en) Pulley structure of screen window
CA2957948A1 (en) Adjustable casement window sash lifter
KR20110033673A (ko) 도어 개폐구조
JP2522531Y2 (ja) スライド折れ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