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767B1 -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767B1
KR102387767B1 KR1020170149414A KR20170149414A KR102387767B1 KR 102387767 B1 KR102387767 B1 KR 102387767B1 KR 1020170149414 A KR1020170149414 A KR 1020170149414A KR 20170149414 A KR20170149414 A KR 20170149414A KR 102387767 B1 KR102387767 B1 KR 102387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interest
image
instru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481A (ko
Inventor
김도곤
김경수
김성진
쿠마르 안킷
이강희
이형민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767B1/ko
Priority to CN201880077875.8A priority patent/CN111434118B/zh
Priority to PCT/KR2018/003972 priority patent/WO2019093599A1/ko
Priority to EP18877211.5A priority patent/EP3694220A4/en
Priority to US16/761,957 priority patent/US11678012B2/en
Publication of KR2019005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2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 H04N21/46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using neural networks, e.g. processing the feedback provid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F18/243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number of classes
    • G06F18/24323Tree-organised classif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G06V30/19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Clustering techniques;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30/19173Classific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인공지능(AI)에 관련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얻는 상황 인지 기반 인공지능 응용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결과로 생성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추출된 후보 객체에 대응되는 샘플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한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 중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관심 노드를 선정하되, 상기 인덱스 트리의 각 노드의 주제와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 사이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노드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EST INFORMATION GENERATION}
본 발명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 및 그 응용에 관련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얻는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 기반 인공지능 응용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시스템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며,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인식,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한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에 노출되는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feedback)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추정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상에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긍정 피드백을 취합하고, 긍정 피드백을 받은 컨텐츠들의 공통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얻는 등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때, 사용자에게 노출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에 어떠한 주제들이 담겨 있는지 분석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object recognition)하고, 인식 된 각각의 객체가 어떤 주제를 표현하는 것인지 식별하는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한편, 추출될 수 있는 관심 정보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기 위하여, 식별 대상 객체의 주제가 특정 범위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범위의 한정이 없는 객체 식별을 위한 컴퓨팅 부하는 컴퓨팅 성능이 매우 뛰어난 서버 등의 고사양 전자 장치가 아니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또한, 범위의 한정이 없는 객체 식별은 그 정확도에도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또한, 컴퓨팅 부하 및 정확도의 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현재의 기술은 이미지에서 인식된 객체 중 상기 이미지에 노출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관심 객체를 선정할 수 있는 방법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미지에 복수의 서로 다른 객체가 인식된 경우, 그 복수의 객체들 중 어느 객체가 관심 객체인지 선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얻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상당수의 이미지는 복수의 객체를 가지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현재 제공되는 기술은 사용자에 노출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핵심 구성을 누락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등의 비교적 컴퓨팅 성능이 뛰어나지 않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는, 이미지 내 관심 객체의 선정과 관련된 이러한 핵심 구성은 상황 인지 기반 인공지능 응용 기술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시점의 컨텍스트 데이터(context data)를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정보를 얻는 인공지능 응용 기술 구현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이미지에서 인식된 객체들 각각에 대응되는 샘플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한 인덱스 트리(index tree)의 관심 노드를 선정하고, 인식된 객체에 매칭되는 샘플 이미지의 탐색을 상기 관심 노드로부터 시작함으로써, 이미지 내의 관심 객체가 선정되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인공지능 응용 기술 구현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와 관련된 컨텍스트 데이터(context data)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후보 객체에 대응되는 샘플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한 인덱스 트리(index tree)의 노드들 중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관심 노드를 선정하되, 상기 인덱스 트리의 각 노드의 주제와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 사이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노드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인덱스 트리는 각 노드의 주제 간의 시맨틱(semantic) 관계에 따라 다른 노드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 노드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에 대응 되는 복수의 노드들 중 최하위 노드를 상기 관심 노드로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는 제1 컨텍스트 요소 및 제2 컨텍스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텍스트 요소에 대응되는 제1 노드 및 상기 제2 컨텍스트 요소에 대응되는 제2 노드 중 상기 최하위 노드는 제2 노드일 때, 상기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후보 객체 중 상기 제2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것을 실패하면,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 중 상기 제1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제1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인덱스 트리 상에서 깊이가 N(N는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인덱스 트리 상에서 깊이가 N+2(N는 1이상의 자연수) 이상이며,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 중 상기 제1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후보 객체 중 상기 제2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것을 실패하면,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존재하는 노드를 하나 이상 건너뛰고 상기 제1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후보 객체 중 상기 관심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것을 실패하면,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 중 상기 관심 노드의 상위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상위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은 단말 노드(leaf node) 및 비-단말 노드(non-leaf node)를 포함하고, 상기 비-단말 노드 각각은 특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를 가리키는 출력을 생성하는 분류기(classifier)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관심 노드가 상기 비-단말 노드인 경우, 상기 관심 노드의 분류기에 상기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분류기의 출력이 가리키는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을, 단말 노드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 노드는 이미지 아카이브(archive)의 각 샘플 이미지들 중, 상기 단말 노드에 할당된 주제에 매칭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매칭된 것이고,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단말 노드에 도달하면, 상기 단말 노드에 매칭된 샘플 이미지와 상기 후보 객체의 매칭 여부를 판정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단말 노드에 매칭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것으로 판정된 상기 후보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모든 후보 객체에 대하여, 현재 노드의 분류기의 출력이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현재 노드의 상위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노드의 상위 노드는, 상기 현재 노드의 상위 노드들 중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 중 하나와 매칭되는 가장 가까운 상위 노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 중 적어도 일부 노드의 주제와 매칭되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이미지와 동시에 표시된 텍스트를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위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보이스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를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관심 객체 선정 동작의 트리거(trigger)를 감지하면,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트리거는, 상기 전자 장치 사용자의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조작이 감지되는 것이거나,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도중,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키보드가 표시되는 것이거나, 스크린 캡처 조작이 감지되는 것이거나, 상기 트리거는, 시선 인식 센서를 통하여 기 지정된 시간 이상의 주시가 감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방법은,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시점의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인식된 복수의 후보 객체에 대응되는 샘플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한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 중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관심 노드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덱스 트리는 각 노드의 주제 간의 시맨틱 관계에 따라 다른 노드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이고, 상기 인덱스 트리의 비-단말 노드 각각은 고유의 분류기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의 분류기는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를 가리키는 출력을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말 노드는 상기 단말 노드의 주제에 매칭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매칭된 것이며, 이 때, 상기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노드가 상기 비-단말 노드인 경우, 상기 관심 노드의 분류기에 상기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분류기의 출력이 가리키는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을, 단말 노드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노드에 도달하면, 상기 단말 노드에 매칭된 샘플 이미지와 상기 후보 객체의 매칭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노드에 매칭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것으로 판정된 상기 후보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는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기의 출력이 가리키는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의 특징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상기 분류기의 출력은 상기 현재 노드의 자식 노드 중 하나로의 이동을 가리키고, 상기 제2 객체의 특징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상기 분류기의 출력은 상기 제2 객체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트리 탐색과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트리 탐색을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는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기의 출력이 가리키는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의 특징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상기 분류기의 출력은 상기 현재 노드의 자식 노드 중 하나로의 이동을 가리키고, 상기 제2 객체의 특징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상기 분류기의 출력은 상기 제2 객체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트리 탐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컨텍스트 데이터 기반 관심 객체 선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정보 기반 관심 객체 선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기반 관심 객체 선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텍스트 기반 관심 객체 선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 되는 인덱스 트리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관심 객체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스트럭션들이 서로 연동되어 실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심 객체 선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방법 중 관심 객체 선정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심 정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관심 객체 식별 지원 장치(10) 및 전자 장치(100a, 100b, 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a, 100b, 100c)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태블릿, 데스크톱, 노트북, 디지털 TV, 디지털 사이니지, 키오스크 등의 연산 프로세서가 구비된 컴퓨팅 장치 또는 컴퓨팅 수단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 등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관심 객체 식별 지원 장치(10)는 인덱스 트리(50) 및 분류기 ML(Machine Learning) 파라미터(51), 인덱스 트리(50)의 각 단말 노드 별로 그룹핑 된 샘플 이미지들의 특징 데이터(feature data) 셋(미도시) 등 전자 장치(100a, 100b, 100c)가 관심 객체의 식별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데이터에 업데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a, 100b, 100c)에 업데이트 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인덱스 트리(50)는 주제를 식별하고자 하는 객체에 매칭되는 샘플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이다. 상기 샘플 이미지는 주제를 기준으로 그룹핑 되어 있다. 이미지의 주제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샘플 이미지와의 비교 결과가 참조될 수 있다. 각 주제의 샘플 이미지들은, 인덱스 트리(50)의 해당 주제의 단말 노드(leaf node)를 통하여 억세스 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의 이미지들이 인식 될 수 있어야 하고, 각 주제는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는 바, 이미지에 대한 인식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샘플 이미지들의 개수가 점점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미지 간의 유사도 비교는 픽셀 간의 비교 방식에서, 특징 데이터 셋('특징 벡터'라고도 함)을 이용한 비교 방식으로 발전되었다. 따라서, 샘플 이미지 자체의 보유는 필수적이지 않다. 상기 샘플 이미지에 대한 특징 데이터가 사전에 추출되어, 각 샘플 이미지 자체가 아닌 각 샘플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만 관리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연산 속도를 증대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주제의 샘플 이미지 자체가 아니라 샘플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가, 인덱스 트리(50)의 해당 주제의 단말 노드에 링크(link)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a, 100b, 100c)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60)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미지(6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object)가 인식된다. 이러한 객체 인식은 인공지능 기술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 수행 장치에 의하여 트레이닝 데이터셋을 이용한 기계학습이 수행되고, 기계학습의 결과 생성된 객체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이미지(6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가 인식 될 수 있다. 이미지(60)에서 인식 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이하 '후보 객체'로 지칭한다. 또한, '후보 객체' 중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객체를 '관심 객체'로 지칭한다. 이미지(60)에서 객체를 인식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9 또는 도 11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후보 객체가 무엇을 표현하는 이미지인지를 인식하기 위해, 인덱스 트리(50)를 루트 노드(root node)로부터 단말 노드(leaf node)로의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순회(traverse)하고, 상기 순회 과정에서 상기 후보 객체와 유사한 샘플 이미지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 노드를 찾아낼 필요가 있다. 상기 순회 과정에서, 현재 노드가 복수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비-단말(non-leaf node) 노드인 경우, 어떤 자식 노드로 이동해야 하는 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 상기 비-단말 노드의 분류기(classifier)를 이용하여, 이동할 자식 노드가 선택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분류기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 분류 모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 트리(50)의 탐색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의 출력은 최종 목적지인 단말 노드로 향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가 된다. 상기 분류기는 분류기 ML 파라미터(5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a, 100b, 100c)에서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 노드에서 단말 노드를 향할 때, 현재 노드의 자식 노드들 중 어느 노드로 이동해야 할 지 결정해야 하는데, 현재 노드의 분류기의 출력 데이터가 가리키는 자식 노드로 이동하면 된다.
각각의 비-단말 노드는 자식 노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비-단말 노드는 각자 고유의 분류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관심 객체 식별 지원 장치(10)는 각각의 비-단말 노드를 위한 트레이닝 데이터(training data)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각 비-단말 노드 고유의 객체 이미지의 분류기를 생성한다.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타입의 기계학습이 수행되는 경우, 제1 비-단말 노드가 제1 자식 노드 및 제2 자식 노드를 가질 때, 상기 제1 비-단말 노드의 트레이닝 데이터는 제1 자식 노드의 하위 노드가 가지는 샘플 데이터의 특징 데이터 셋으로서, 제1 태그가 부여된 것들과, 제2 자식 노드의 하위 노드가 가지는 샘플 데이터의 특징 데이터 셋으로서, 제2 태그가 부여된 것들을 포함할 것이다.
물론, 관심 객체 식별 지원 장치(10)는 인덱스 트리(50)의 비-단말 노드(non-leaf node) 각각을 위한 분류기를 생성함에 있어서,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에 기반한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또는 반-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a, 100b, 100c)는, 이미지(60)를 표시하고, 관심 객체 식별 지원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60) 내부의 복수의 후보 객체들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한다. 이 때, 전자 장치(100a, 100b, 100c)는 이미지(60) 표시 시점의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객체를 선정할 수 있다. 관심 객체 선정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전자 장치(100a, 100b, 100c)는 선정된 관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관심 객체 관련 데이터(40)로 구성하여 서비스 서버(20)에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전자 장치(100a, 100b, 100c)에 디지털 광고 송신, 추천 컨텐츠 제공 등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이다. 서비스 서버(20)는 관심 객체 관련 데이터(40)를 이용하여 각 전자 장치(100a, 100b, 100c)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온라인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구성 및 동작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도 후술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현될 수 있는 컨텍스트 데이터 기반 관심 객체 선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후보 객체(61a, 61b, 61c, 61d)를 가지는 이미지(60)가 디스플레이 된다고 가정한다. 이미지(60)에서 복수의 후보 객체(61a, 61b, 61c, 61d)를 인식하는 것은, 공지의 다양한 객체 인식 방법(object recognition methodology)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을 통하여 생성된 객체 인식 모델에 이미지(60)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객체 인식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 모델은, 예를 들어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이미지(60)에서 후보 객체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에는 객체 인식을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공 신경망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이미지(60)의 표시 시점의 컨텍스트 정보(62)를 이용하여 복수의 후보 객체(61a, 61b, 61c, 61d) 중 관심 객체(61b)가 선정된다.
후술 하겠지만,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 중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관심 노드가 선정된다. 이 때, 상기 인덱스 트리의 각 노드의 주제와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 사이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노드가 선정된다. 그리고,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가 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 중 적어도 일부 노드의 주제와 매칭되는 컨텍스트 데이터가 관심 객체의 선정을 위하여 유의미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의 주제와 매칭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컨텍스트 데이터가 획득됨으로써, 불필요한 노이즈가 컨텍스트 데이터로서 수집되고, 그로 인해 컴퓨팅 부하가 소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는, 말 그대로 이미지(60)가 디스플레이 될 때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미지(60)가 디스플레이 될 때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주변 상황은, 상기 장치의 사용자가 접하는 상황과 거의 일치할 것이다. 이러한 착안에 따라,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관심 객체(61b)의 선정에, 이미지(60)가 디스플레이 되는 시점의, 이미지(60)가 디스플레이 되는 장치 주변의 컨텍스트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이미지(60)에 노출되는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한다.
다양한 종류의 컨텍스트 정보가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추정하기 위하여 참조될 수 있다. 이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60)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의 측위 정보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의 측위 정보에 따를 때 현재 위치가 운동화 매장인 것으로 판정되면, 제1 후보 객체인 벨트 이미지(61a), 제2 후보 객체인 시계 이미지(61b), 제3 후보 객체인 신발의 일부 이미지(61c) 및 제4 후보 객체인 신발 이미지(61d) 중 제4 후보 객체인 신발 이미지(61d)가 관심 객체로 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60)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의 마이크, 또는 상기 장치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장치의 마이크에 의하여 이미지(60)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감지 된 보이스(voice)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이스를 텍스트로 변환(STT; Speech To Text)한 결과, "벨트 예쁜데"라는 텍스트가 얻어지고, 얻어진 텍스트에서 "벨트"라는 인덱스 트리 노드의 주제가 감지되면, 제1 후보 객체인 벨트 이미지(61a), 제2 후보 객체인 시계 이미지(61b), 제3 후보 객체인 신발의 일부 이미지(61c) 및 제4 후보 객체인 신발 이미지(61d) 중 제1 후보 객체인 벨트 이미지(61a)가 관심 객체로 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60)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된 텍스트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60)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된 텍스트 전체가 이미지(60)와 관련된 것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를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60)의 표시 영역에 인접하여 표시된 텍스트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태그 등의 표시자가 연결된 텍스트가 상기 컨텍스트 정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60)와 동시에 #태그(62c) 들이 표시되면, 그 태그들 중 "시계", "가죽시계" 및 "손목시계"라는 인덱스 트리 노드의 주제들이 감지되고, 제1 후보 객체인 벨트 이미지(61a), 제2 후보 객체인 시계 이미지(61b), 제3 후보 객체인 신발의 일부 이미지(61c) 및 제4 후보 객체인 신발 이미지(61d) 중 제2 후보 객체인 시계 이미지(61b)가 관심 객체로 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3가지의 컨텍스트 정보 타입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측위 정보, 보이스 및 텍스트의 컨텍스트 정보 뿐 만 아니라, 그 의미가 식별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것에 미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냄새 인식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냄새도 컨텍스트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기계학습의 결과로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 생성 모델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 생성 모델은 예를 들어,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종류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컨텍스트 정보 생성 모델은 주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것이다.
도 5의 사례에서 시계 이미지(61b)가 관심 객체로 선정되는 구체적인 로직에 대하여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관심 객체의 선정을 위한 참조 데이터가 되는 인덱스 트리(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아카이브(70)의 샘플 이미지들과 시맨틱 계층 트리(72) 모두 이용하여 인덱스 트리(50)가 구성된다. 인덱스 트리(50)는, 도 1의 관심 객체 식별 지원 장치에 의하여 구성되고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다만, 인덱스 트리(50)는 컴퓨팅 수단을 가지는 모든 장치에 의하여 구성되고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즉, 인덱스 트리(5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에 의하여 구성되고, 업데이트 될 수도 있다.
이미지 아카이브(70)는 각 주제 별 샘플 이미지들의 집합체이다. 도 6에 도시된 가죽 시계 샘플 이미지(70a)는 "가죽 시계"라는 주제를 기준으로 그룹핑 된 다양한 이미지들이다. 캐주얼 시계 샘플 이미지(70b)도 마찬가지로 "캐주얼 시계"라는 주제를 기준으로 그룹핑 된 다양한 이미지들이다. 이미지 아카이브(70)는 샘플 이미지 자체가 아닌 샘플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들의 집합체일 수도 있다.
시맨틱 계층 트리(72)는, 각 주제의 의미론적 계층 관계를 표현하는 트리 형태의 데이터이다. 시맨틱 계층 트리(72)를 하나의 루트 노드(root node)를 가지는 단일 트리로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구성하는 경우, 세상의 모든 주제를 하나의 대주제 아래로 계층 구성해야 하므로, 트리의 깊이(depth)가 깊어지게 되는 등 데이터 처리 차원의 비효율을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지정된 몇몇 주제 별로 시맨틱 계층 트리들(72a, 72b, 72c)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덱스 트리(50)도 동일한 시맨틱 계층 트리의 주제와 동일한 주제 별로 인덱스 트리들(50a, 50b, 50c)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인덱스 트리(50a)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술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비-단말 노드들(50a-1, 50a-2, 50a-3, 50a-4, 50a-5)은 각자의 분류기(80a-1, 80a-2, 80a-3, 80a-4, 80a-5)를 가진다. 단말 노드들(50a-6, 50a-7)은 각 단말 노드의 주제의 샘플 이미지들(70a, 70b)에 링크 된다. 인덱스 트리(50a)의 모든 노드들은 주제를 가진다. 즉, 인덱스 트리(50a)의 모든 노드들은 주제 텍스트를 가진다. 상기 주제 텍스트는 컨텍스트와 비교된다. 상기 비교의 결과에 의하여 관심 노드가 선정되며, 상기 관심 노드로부터 샘플 이미지에 링크 된 단말 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인덱스 트리 순회가 시작된다. 이로 인하여, 인덱스 트리를 이용하여 샘플 이미지를 탐색하는데 소요되는 컴퓨팅 부하가 절감된다. 이하 상술한다.
도 8a는 텍스트 형태의 컨텍스트 정보(62c) 및 인덱스 트리(50a)를 도시한다. 컨텍스트 정보(62c)는 #태그들의 집합인 상황을 가정한다. 컨텍스트 정보(62c)는 각각의 #태그들(62c-1, 62c-2, 62c-3, 62c-4, 62c-5, 62c-6, 62c-7)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컨텍스트 정보는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컨텍스트 정보(62c)는 7개의 컨텍스트 요소들(62c-1, 62c-2, 62c-3, 62c-4, 62c-5, 62c-6, 62c-7)로 구분된다.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컨텍스트 정보는 분석을 통하여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로 분할된다.
일 실시예에서, 컨텍스트 정보는 이종의 컨텍스트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태그들(62c)이 이미지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를 본 사용자가 "와! 벨트 예쁜데?"라고 말하면, 그 보이스가 텍스트로 변환되고, 텍스트에서 "벨트"가 컨텍스트 요소로서 선정된다. "벨트"가 인덱스 트리 노드들 중 하나의 주제인 때문이다. 그러면, "벨트"도 컨텍스트 요소가 된다. 이 때, 각각의 #태그들(62c-1, 62c-2, 62c-3, 62c-4, 62c-5, 62c-6, 62c-7)이 텍스트 타입의 컨텍스트 요소라면, "벨트"는 보이스 타입의 컨텍스트 요소가 될 것이다. 이처럼, 컨텍스트 정보는 이종의 컨텍스트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컨텍스트 요소가 식별되면, 컨텍스트 요소의 의미와 동일 또는 기 지정된 수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주제를 갖는 인덱스 트리(50a)의 노드가 선정된다. 도 8a에 표시된 인덱스 트리(50a)의 노드들의 주제는 [시계, 벽시계, 손목시계, 디지털시계, 아날로그시계, 가죽시계, 캐주얼시계]인데, 그 중, 의미가 시계인 컨텍스트 요소(62c-2)와 동일한 주제의 노드(50a-1), 의미가 손목시계인 컨텍스트 요소(62c-7)와 동일한 주제의 노드(50a-2), 의미가 가죽시계인 컨텍스트 요소(62c-4)와 동일한 주제의 노드(50a-7)가 선정된다. 상기 선정된 노드들(50a-1, 50a-2, 50a-7)이 관심 노드이다.
일 실시예에서, 선정된 관심 노드가 복수개인 경우, 인덱스 트리의 순회를 시작하기 위한 순회 시작 노드가 선정된 관심 노드들 중에서 선정될 수 있다.
순회 시작 노드 선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회 시작 노드는 상기 관심 노드들 중 인덱스 트리(50a)의 깊이(depth) 값이 가장 큰 관심 노드이다. 상기 순회 시작 노드는, 컨텍스트 요소들 중 가장 세부적인 주제에 대응되는 것이다. 즉, 상기 순회 시작 노드는, 이미지에 노출된 사용자가 접한 상황 중 가장 세부적인 주제에 대응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순회 시작 노드로부터 트리 순회가 시작되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가장 세부적인 관심 객체를 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세부적인 관심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순회 시작 노드로부터 트리 순회가 시작되면, 단말 노드까지의 이동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동 횟수가 줄어든다는 것은, 그만큼 컴퓨팅 부하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순회 시작 노드 선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 노드들의 인덱스 트리(50a) 깊이 값의 대표 값이 연산된다. 상기 대표 값은, 예를 들어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이다. 상기 순회 시작 노드는 상기 관심 노드들 중 인덱스 트리(50a)의 깊이 값이 상기 대표 값에 가장 가까운 관심 노드이다. 순회 시작 노드 선정의 제1 실시예의 경우, 단말 노드에 도달했을 때, 단말 노드의 샘플 데이터와의 매칭이 실패할 리스크가 존재한다. 이 경우, 다시 루트 노드 방향으로 거슬러 이동하여 다른 단말 노드를 찾을 필요가 있다. 즉, 순회 시작 노드 선정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최초 도달 단말 노드의 샘플 데이터와 매칭 되면 빠른 시간 내에 관심 객체 선정이 가능하나, 그만큼의 리스크도 존재한다. 순회 시작 노드 선정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순회 시작 노드가 컨텍스트 요소들이 가진 주제들 중 중간 정도의 구체성에 대응되는 것이므로, 직전의 실시예가 가지는 상기 리스크를 상쇄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8b 내지 도 8f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이미지에서 인식된 총 4개의 후보 객체(61a, 61b, 61c, 61d) 중에서 관심 객체가 선정되는 것을 전제로 도시된 것이다.
이하, 순회 시작 노드 선정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된 것을 전제로,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총 3개의 관심 노드들(50a-1, 50a-2, 50a-7) 중 순회 시작 노드는 최하위의 노드(50a-7)이다. 도 8b에는 노드(50a-7)가 트리 순회의 현재 노드인 점이 도시되어 있다.
현재 노드가 단말 노드이므로, 링크 된 샘플 이미지와의 매칭이 수행된다. 상기 매칭을 위해, 후보 객체들(61a, 61b, 61c, 61d) 각각에 대한 특징 데이터 추출 동작이 수행되고, 그 결과로 후보 객체들(61a, 61b, 61c, 61d) 각각의 특징 데이터가 얻어질 것이다. 상기 얻어진 후보 객체들(61a, 61b, 61c, 61d) 각각의 특징 데이터와, 현재 노드(50a-7)에 연결된 샘플 이미지들(70a)의 특징 데이터 간에 매칭을 진행하여, 동일 또는 기준치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매칭이 발견되는지 확인된다.
도 8c에는 이러한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샘플 이미지들(70a)의 특징 데이터 셋(70a-1)에 포함된 특징 데이터 중,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ABCD)와 동일한 특징 데이터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 후보 객체(61b)가 관심 객체로 선정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관심 객체의 주제도 "가죽시계"로 결정된다. 이를 통해, 이미지를 보는 사용자가 "가죽시계"에 관심을 갖고 있음이 추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순회 시작 노드 선정의 제2 실시예가 적용된 것을 전제로, 도 8d 및 도 8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총 3개의 관심 노드들(50a-1, 50a-2, 50a-7) 중 순회 시작 노드는 비-단말 노드인 중간 노드(50a-2)이다. 도 8d에는 노드(50a-2)가 트리 순회의 현재 노드인 점이 도시되어 있다.
현재 노드가 비-단말 노드이므로, 현재 노드의 분류기(80a-2)에 입력된 각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에 따른 분류기 출력에 따라, 현재 노드의 자식 노드들(50a-4, 50a-5) 중 어느 노드로 이동할지가 결정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8d에는 분류기(80a-2)에 총 4개의 후보 객체들(61a, 61b, 61c, 61d)의 특징 데이터를 입력한 것에 따른 출력이 도시 되어 있다(80a-2'). 하나의 후보 객체(61b)를 제외 하고 다른 모든 후보 객체(61a, 61c, 61d)에 대하여 대응 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가리키는 출력(N/A)이 얻어 졌다. 따라서, 다음 노드는, 후보 객체(61b)의 특징 데이터가 가리키는 자식 노드인, 아날로그 시계 노드(50a-4)가 될 것이다.
도 8e를 참조하면, 아날로그 시계 노드(50a-4) 역시 비-단말 노드이므로, 손목 시계 노드(50a-2)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음 진행 노드가 결정된다.
도 8f에는, 아날로그 시계 노드(50a-4)의 다음 노드로 캐주얼 시계 노드(50a-6)가 결정되어, 현재 노드가 캐주얼 시계 노드(50a-6)인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캐주얼 시계 노드(50a-6)에 링크 된 샘플 이미지들(70b)의 특징 데이터 셋(70b-1)에 포함된 특징 데이터 중,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ABCD)와 동일한 특징 데이터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 후보 객체(61b)가 관심 객체로 선정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관심 객체의 주제도 "캐주얼시계"로 결정된다. 이를 통해, 이미지를 보는 사용자가 "캐주얼시계"에 관심을 갖고 있음이 추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d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노드가 아닌 다른 단말 노드에서 매치된 샘플 이미지가 발견될 수도 있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컨텍스트 요소의 주제가 관심 객체에 매치되는 샘플 이미지가 링크 된 노드의 주제와 다소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인덱스 트리(50a)의 순회를 통해, 관심 객체에 매치되는 샘플 이미지가 링크 된 단말 노드가 정확하게 탐색될 수 있다.
이하, 인덱스 트리(50a)의 순회 과정에서 고려될 수 있는 몇몇 실시예들을 추가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덱스 트리 순회 로직은 본 명세서를 통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d 및 도 8e에는 분류기의 출력을 표시한 테이블(80a-2', 80a-4')이 도시되어 있다. 테이블(80a-2', 80a-4')에는 적어도 하나의 특징 데이터에 대하여는 자식 노드를 가리키는 출력이 존재하였으나, 현재 노드의 주제와 후보 객체(61a, 61b, 61c, 61d) 모두의 주제가 서로 전혀 다르다면, 현재 노드의 분류기의 출력은 모든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에 대하여 대응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가리키는 값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현재 노드에서 루트 노드 방향으로 이동 해야 한다.
상위 노드로의 반대 방향 이동에 관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노드의 다음 노드는 현재 노드의 부모 노드이다. 관심 객체에 매칭되는 샘플 데이터를 가진 단말 노드(매칭 노드)가 현재 노드의 형제 노드(sibling node)라면, 본 실시예에 따라 신속하게 상기 매칭 노드에 도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위 노드로의 반대 방향 이동에 관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노드의 다음 노드는 현재 노드의 상위 노드들 중, 가장 가까운 관심 노드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관심 노드의 주제는 컨텍스트에 요소의 주제와 대응되는 것이다. 즉, 상기 관심 노드는 상기 매칭 노드를 찾아 감에 있어서, 중요한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높은 노드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한 본 실시예는, 상위 노드로의 반대 방향 이동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모든 비-단말 노드를 거쳐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컴퓨팅 부하가 절약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노드가 단말 노드이므로, 링크 된 샘플 이미지와의 매칭이 수행된다. 상기 매칭을 위해, 후보 객체들(61a, 61b, 61c, 61d) 각각에 대한 특징 데이터 추출 동작이 수행되고, 그 결과로 후보 객체들(61a, 61b, 61c, 61d) 각각의 특징 데이터가 얻어질 것이다. 상기 얻어진 후보 객체들(61a, 61b, 61c, 61d) 각각의 특징 데이터와, 현재 노드(50a-7)에 연결된 샘플 이미지들(70a)의 특징 데이터 간에 매칭을 진행하여, 동일 또는 기준치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매칭이 발견되는지 확인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은,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텍스트 데이터 획득, 인덱스 트리의 노드 중 관심 노드 선정, 인덱스 트리의 순회를 통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의 선정 등과 관련된 동작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및 디스플레이(104)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GPS 신호 리시버 등의 측위 수단(107), 시선 인식 센서(106), 마이크(105)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8)는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및 스토리지(103) 등, 전자 장치(100) 내부 요소 사이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102)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와 같은 휘발성 데이터 저장장치일 수 있다. 스토리지(103)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은 기능을 기준으로 묶인 일련의 명령어들로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것을 가리킨다.
스토리지(103)는 인덱스 트리 관련 데이터(131), 관심 객체 선정 이력 데이터(135), 관심 객체 선정 어플리케이션(136a)의 실행 코드 및 하나 이상의 응용 어플리케이션(137)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인덱스 트리 관련 데이터(131)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관심 객체 식별 지원 장치)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는 점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인덱스 트리(132)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덱스 트리(50)를 구성하는 데이터이다. 또한, 분류기 ML 파라미터 데이터(133)는 인덱스 트리(50)의 각 비-단말 노드가 가지는 분류기를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또한, 샘플 이미지 특징 데이터는 인덱스 트리(50)의 각 단말 노드에 링크된 주제 별 샘플 이미지들의 특징 데이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부팅 시, 관심 객체 선정 어플리케이션(136a)이 자동으로 실행 되고, 백그라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137)에서 이미지가 표시될 때, 특정 응용 어플리케이션(137)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관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응용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 물론, 관심 객체 선정 어플리케이션(136a)은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써, 사용자의 실행 명령이 있을 때에만 실행 될 수도 있고, 특정 응용 어플리케이션(137)의 내부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관심 객체 선정 어플리케이션(136a)이 메모리(102)에 로딩 되어 저장(136b)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관심 객체 선정 어플리케이션(136a)이 메모리(102)에 로딩 될 때, 인덱스 트리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인덱스 트리(132), 분류기 ML 파라미터 데이터(133) 및 샘플 이미지 특징 데이터(134)도 함께 메모리(102)에 로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메모리(102)에 로딩 되어 프로세서(101)를 통해 실행 되는 관심 객체 선정 어플리케이션(136b)의 다양한 인스트럭션들의 상호 연동 동작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관심 객체 선정 트리거 감지 인스트럭션(122)이 실행된다.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동작이 항상 수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전력 소모 등의 문제는 둘째 치고, 사용자 관심 정보를 생성하려면,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시점에 표시된 이미지로부터 관심 객체를 선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관심 객체 선정 트리거 감지 인스트럭션(122)은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요소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및 관련 연산 등을 통하여 현재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이미지를 보고 있으며, 그에 따라 관심 객체 선정을 진행해야 하는 시점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하, 다양한 관심 객체 선정 트리거에 대하여 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객체 선정 트리거는, 디스플레이(104)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는 것을 필수적인 요건으로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관심 객체의 선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객체 감지 트리거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조작을 하는 것이 감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조작은, 예를 들어 이미지에 대한 "좋아요" 입력, 줌-인/줌-아웃 입력, 이미지에 대한 "공유하기", "북마크" 조작, 더블 탭을 통한 이미지 확대,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의 온라인 서비스 업로드 조작,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조작 등과 같이, 이미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다양한 조작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객체 감지 트리거는,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도중, 디스플레이(104) 상에 키보드가 표시되는 것이 감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미지가 표시되는 도중 키보드가 표시된다는 것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글을 입력하는 행위를 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객체 감지 트리거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스크린 캡처 조작이 감지되는 것이 감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미지가 표시되는 도중 키보드가 표시된다는 것 역시,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를 보관하거나 타인에게 송부하고자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크린 캡처 된 화면에 포함된 이미지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객체 감지 트리거는, 시선 인식 센서를 통하여 기 지정된 시간 이상의 주시가 감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일정 시간 이상의 주시야 말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확실한 증거가 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객체 감지 트리거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도중에 가상 비서(또는 음성 인식 비서)가 호출 되고, 상기 가상 비서를 통하여 현재 화면에 대한 조작이 요청 되는 것일 수 있다. 가상 비서를 통한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조작 역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을 나타낼 수 있다.
관심 객체 선정 트리거 감지 인스트럭션(122)에 의하여 트리거 발생이 감지되면, 컨텍스트 데이터 획득 인스트럭션(123)이 실행된다. 컨텍스트 데이터 획득 인스트럭션(123)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 이미지와 관련된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한다.
한편, 상기 트리거 발생이 감지된 시점에 디스플레이(104)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에 대하여 후보 객체 추출 인스트럭션(126)이 실행되어, 상기 이미지에서 후보 객체가 감지된다.
후보 객체 추출 인스트럭션(126)은 기계학습의 결과로 생성된 객체 인식 모델(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후보 객체를 추출한다. 상기 객체 인식 모델은, 예를 들어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메모리(102)에는 상기 객체 인식 모델의 인공 신경망을 정의하기 파라미터 셋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 셋은 상기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레이어(layer)의 수, 각 레이어 별 노드 수, 각 노드 간 가중치(weight)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 모델은 상기 객체 인식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기계학습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를 통해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관심 객체 식별 지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기계학습 트레이닝은 인덱스 트리(132)의 각 단말 노드에 링크 된 샘플 데이터들을 트레이닝 데이터셋으로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객체 인식 모델은 입력된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전체 샘플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영역으로 추정되는 영역인 후보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후보 객체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에 있어서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후보 객체 추출 인스트럭션(126)은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를 통해 수신된 객체 인식 모델을 대상으로 증분 학습(incremental learning)에 의하여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 후보 객체 추출 인스트럭션(126)은, 상기 증분 학습을 위하여 이미지에서 인식된 후보 객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후보 객체 인식 결과가 맞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얻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후보 객체 추출 인스트럭션(126)은 상기 피드백을 이용하여 객체 인식 모델을 스스로 업데이트 할 것이다.
후보 객체 추출 인스트럭션(126)은 복수의 객체 인식 모델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후보 객체 추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객체 인식 모델은 이미지에서 제1 특징을 가진 객체를 추출하는 제1 객체 인식 모델, 이미지에서 제2 특징을 가진 객체를 추출하는 제2 객체 인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후보 객체 추출 인스트럭션(126)은 특정 특징을 가지는 영역을 전문적으로 추출하는 객체 인식 모델들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후보 객체가 누락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객체 인식 모델은 기계학습에 의하여 생성된 모델 및 이미지의 픽셀 값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모델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객체 인식 모델은 그 출력층(output layer)이 각각의 후보 객체 별 특징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관심 노드 선정 인스트럭션(124)이 실행된다. 관심 노드 선정 인스트럭션(124)은 도 8a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 등을 통하여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 중 컨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컨텍스트 요소와 그 주제가 매치 되는 관심 노드를 선정한다. 관심 노드 선정 인스트럭션(124)은 관심 노드 선정 과정에서 인덱스 트리(132)를 참조한다. 인덱스 트리(132)는 인덱스 트리 관련 데이터(131)가 메모리(102)로 로딩 되어 저장된 데이터이고, 인덱스 트리 관련 데이터(131)는 인덱스 트리 관련 데이터 업데이트 인스트럭션(125)에 의하여 업데이트 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관심 객체 선정 인스트럭션(127)이 실행된다. 관심 객체 선정 인스트럭션(127)은 도 8b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 등을 통하여 상기 후보 객체 중에서 관심 노드를 선정한다. 관심 객체 선정 인스트럭션(127)은 관심 노드의 선정을 위하여 인덱스 트리(132)를 참조한다.
관심 객체 선정 인스트럭션(127)의 실행에 따라 관심 객체가 선정되면, 그 선정 이력에 대한 데이터(135)가 저장된다. 관심 객체 선정 이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시간 별 관심 객체의 "주제"가 포함된 시계열 데이터일 수 있고,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에 송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심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관심 정보 생성 방법은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관심 정보 생성 방법은, 주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되, 상기 관심 정보 생성 방법 일부 동작은 다른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일 수 있다. 상기 관심 정보 생성 방법에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의 동작과, 상기 컴퓨터 장치의 동작 설명에 의하여 참조된 도 1 내지 도 8f의 설명이 적어도 일부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상기 관심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의 개시가 없더라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이 상기 관심 정보 생성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상기 방법들에 대한 설명에서, 동작의 주체에 대한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체는 상기 전자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관심 객체 선정 트리거의 발생 여부가 판정된다. 관심 객체 선정 트리거가 발생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트리거의 발생 시점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이미지가 획득될 것이나(S103),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계속하여 관심 객체 선정 트리거의 발생 여부가 판정될 것이다.
단계 S105에서, 획득된 이미지 내의 하나 이상의 객체가 감지된다. 이 때 감지된 객체들은 본 명세서에서 후보 객체로 지칭되고 있다. 상기 후보 객체 각각의 특징 데이터가 생성된다. 단계 S105의 동작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후보 객체 추출 인스트럭션의 동작이 참조될 수 있다.
단계 S107에서, 상기 트리거 발생 시점의 컨텍스트 데이터가 획득된다.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가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 단계 S109에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상기 컨텍스트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식별된다.
단계 S111에서, 상기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 중, 상기 컨텍스트 요소의 주제와 매칭 되는 주제를 가진 노드가 관심 노드로 선정된다.
단계 S113에서,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객체 중에서 관심 객체가 선정된다. 자세한 관련 동작은 후술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후보 객체 중에서 관심 객체가 선정되지 않을 수 있다(S115). 관심 객체가 선정되었다면, 관심 객체 선정의 이력이 기록되고(S117), 상기 기록된 이력은 서비스 서버에 제공되어 사용자에 대한 개인화 서비스의 기초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객체 중에서 관심 객체가 선정되는 자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심 객체의 선정을 위하여는 상기 인덱스 트리의 순회가 요구되고, 이러한 순회는 상기 관심 노드 중 하나인 순회 시작 노드로부터 시작된다.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관심 노드 중 최하위 노드를 상기 순회 시작 노드로 선정하는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S113a). 트리 순회에 있어서, 현재 판단되고 있는 노드를 의미하는 현재 노드는 상기 순회 시작 노드로 초기화 된다.
단계 S113b에서, 상기 현재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시작 시점의 순회 시작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은 가정하기 어려우므로, 단계 S113d에서 현재 노드가 단말 노드(leaf node)인지 여부가 다시 판단된다.
관심 노드 중 최하위 노드가 단말 노드라면, 단계 S113e에서,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와 현재 노드의 샘플 이미지 별 특징 데이터 사이의 매칭을 수행하여, 매칭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13f). 매칭이 존재한다면, 관심 객체는 샘플 이미지와 매칭된 후보 객체가 되고, 관심 객체의 주제는 현재 노드의 주제가 될 것이다(S113g).
매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S113f), 상기 인덱스 트리 상에서 루트 노드 방향으로 역방향 순회를 해서 올라가야 함을 뜻한다. 이 때, 다음 노드는 현재 노드의 상위 노드이다. 이 때, 옵션 1은 상기 현재 노드의 부모 노드로 이동하는 것이고, 옵션 2는 상기 현재 노드의 상위 노드 중 가장 가까운 관심 노드로 이동하는 것이다(S113j). 상기 옵션 1과 상기 옵션 2 각각의 효과는 상술한 바 있다.
단계 S113d에서, 상기 역방향 순회를 한 결과 이동된 현재 노드는, 단말 노드가 아닐 것이다. 따라서, 단계 S113h에서 분류기에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현재 노드가 업데이트 되고(S113i) 다시 단말 노드 방향으로 순회를 계속할 수 있다. 상기 순회의 결과 단말 노드에 도달하고, 단계 S113f에서 매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관심 객체의 선정(S113g)이 이뤄진다.
한편, 단계 S113h에서, 상기 분류기가 후보 객체 중 일부에 대하여는 대응 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출력하고, 다른 일부에 대하여는 대응 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출력한 경우, 자식 노드가 존재하는 후보 객체와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후보 객체에 대한 트리의 탐색이 분할 될 수 있다. 즉, 비-단말 노드인 현재 노드에서 자식 노드가 존재하는 후보 객체에 대하여는 단말 노드 방향 순회를 진행하고,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후보 객체에 대하여는 루트 노드 방향으로 트리 순회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단말 노드인 현재 노드에서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후보 객체에 대하여는, 관심 객체로 선정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보고, 더 이상의 트리 탐색을 진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S113i에서, 분류기의 출력이 모든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에 대하여 매칭되는 하위 노드가 없는 것을 가리키는 경우, 단계 S113b를 통해 현재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결과 후보 객체들 중에 관심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될 것이다(S113c).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매체(recording medium)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프로세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와 관련된 컨텍스트 데이터(context data)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후보 객체에 대응되는 샘플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한 인덱스 트리(index tree)의 노드들 중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관심 노드를 선정하되, 상기 인덱스 트리의 각 노드의 주제와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 사이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노드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관심 노드에 매칭된 샘플 이미지와 상기 후보 객체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트리는 각 노드의 주제 간의 시맨틱(semantic) 관계에 따라 다른 노드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인,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 노드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에 대응 되는 복수의 노드들 중 최하위 노드를 상기 관심 노드로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는 제1 컨텍스트 요소 및 제2 컨텍스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텍스트 요소에 대응되는 제1 노드 및 상기 제2 컨텍스트 요소에 대응되는 제2 노드 중 상기 최하위 노드는 제2 노드일 때,
    상기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후보 객체 중 상기 제2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것을 실패하면,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 중 상기 제1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1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인덱스 트리 상에서 깊이가 N(N는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인덱스 트리 상에서 깊이가 N+2(N는 1이상의 자연수) 이상이며,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 중 상기 제1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후보 객체 중 상기 제2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것을 실패하면,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존재하는 노드를 하나 이상 건너뛰고 상기 제1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후보 객체 중 상기 관심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것을 실패하면,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 중 상기 관심 노드의 상위 노드에 대응되는 객체를 찾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상위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은 단말 노드(leaf node) 및 비-단말 노드(non-leaf node)를 포함하고,
    상기 비-단말 노드 각각은 특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를 가리키는 출력을 생성하는 분류기(classifier)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관심 노드가 상기 비-단말 노드인 경우, 상기 관심 노드의 분류기에 상기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분류기의 출력이 가리키는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을, 단말 노드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노드는 이미지 아카이브(archive)의 각 샘플 이미지들 중, 상기 단말 노드에 할당된 주제에 매칭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매칭된 것이고,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단말 노드에 도달하면, 상기 단말 노드에 매칭된 샘플 이미지와 상기 후보 객체의 매칭 여부를 판정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단말 노드에 매칭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것으로 판정된 상기 후보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인스트럭션은,
    모든 후보 객체에 대하여, 현재 노드의 분류기의 출력이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현재 노드의 상위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되,
    상기 현재 노드의 상위 노드는,
    상기 현재 노드의 상위 노드들 중,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컨텍스트 요소 중 하나와 매칭되는 가장 가까운 상위 노드인,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 중 적어도 일부 노드의 주제와 매칭되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위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보이스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를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관심 객체 선정 동작의 트리거(trigger)를 감지하면,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는, 상기 전자 장치 사용자의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조작이 감지되는 것인,
    전자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관심 객체 선정 동작의 트리거(trigger)를 감지하면,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는,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도중,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키보드가 표시되는 것인,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은,
    관심 객체 선정 동작의 트리거(trigger)를 감지하면,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는, 스크린 캡처 조작이 감지되는 것인,
    전자 장치.
  15. 삭제
  16.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시점의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인식된 복수의 후보 객체에 대응되는 샘플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한 인덱스 트리의 노드들 중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관심 노드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노드에 매칭된 샘플 이미지와 상기 후보 객체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 중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트리는 각 노드의 주제 간의 시맨틱 관계에 따라 다른 노드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이고,
    상기 인덱스 트리의 비-단말 노드 각각은 고유의 분류기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의 분류기는 이미지의 특징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특징 데이터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를 가리키는 출력을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인덱스 트리의 단말 노드는 상기 단말 노드의 주제에 매칭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매칭된 것이며,
    상기 관심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노드가 상기 비-단말 노드인 경우, 상기 관심 노드의 분류기에 상기 후보 객체의 특징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분류기의 출력이 가리키는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인스트럭션을, 단말 노드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단계;
    상기 단말 노드에 도달하면, 상기 단말 노드에 매칭된 샘플 이미지와 상기 후보 객체의 매칭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노드에 매칭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것으로 판정된 상기 후보 객체를 상기 관심 객체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는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기의 출력이 가리키는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의 특징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상기 분류기의 출력은 현재 노드의 자식 노드 중 하나로의 이동을 가리키고, 상기 제2 객체의 특징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상기 분류기의 출력은 상기 제2 객체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트리 탐색과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트리 탐색을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 객체는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기의 출력이 가리키는 자식 노드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의 특징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상기 분류기의 출력은 현재 노드의 자식 노드 중 하나로의 이동을 가리키고, 상기 제2 객체의 특징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상기 분류기의 출력은 상기 제2 객체에 대응 되는 자식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트리 탐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방법.
  20.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6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항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49414A 2017-11-10 2017-11-10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2387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14A KR102387767B1 (ko) 2017-11-10 2017-11-10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N201880077875.8A CN111434118B (zh) 2017-11-10 2018-04-04 用户感兴趣信息生成的装置和方法
PCT/KR2018/003972 WO2019093599A1 (ko) 2017-11-10 2018-04-04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EP18877211.5A EP3694220A4 (en) 2017-11-10 2018-04-04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OF INTEREST OF A USER AND CORRESPONDING PROCESS
US16/761,957 US11678012B2 (en) 2017-11-10 2018-04-04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est information 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14A KR102387767B1 (ko) 2017-11-10 2017-11-10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481A KR20190053481A (ko) 2019-05-20
KR102387767B1 true KR102387767B1 (ko) 2022-04-19

Family

ID=6643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414A KR102387767B1 (ko) 2017-11-10 2017-11-10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78012B2 (ko)
EP (1) EP3694220A4 (ko)
KR (1) KR102387767B1 (ko)
CN (1) CN111434118B (ko)
WO (1) WO2019093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306B2 (en) * 2017-11-21 2020-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cus-object-determined communities for augmented reality users
US11500477B2 (en) * 2018-07-02 2022-11-15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and interfacing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US11874129B2 (en) * 2018-12-12 2024-01-1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personalized information based on user interest
CN112465075B (zh) * 2020-12-31 2021-05-25 杭银消费金融股份有限公司 元数据管理方法及***
CN115826816A (zh) * 2022-11-17 2023-03-21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采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7376652B (zh) * 2023-12-07 2024-04-09 深圳市优友互联股份有限公司 直播场景交互追溯的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053B1 (en) 1998-04-03 2001-07-24 Synapix, Inc. Time inheritance scene graph for re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US7725484B2 (en) * 2005-11-18 2010-05-25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Ukrf) Scalable object recognition using hierarchical quantization with a vocabulary tree
US10095985B2 (en) * 2008-07-24 2018-10-09 Hamid Hatami-Hanza Assisted knowledge discovery and publ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90297045A1 (en) 2008-05-29 2009-12-03 Poetker Robert B Evaluating subject interests from digital image records
US9195898B2 (en) 2009-04-14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recognition using mobile devices
EP2402867B1 (en) * 2010-07-02 2018-08-22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computer system for image processing
US8930391B2 (en) 2010-12-29 2015-01-06 Microsoft Corporation Progressive spatial searching using augmented structures
CN102324042B (zh) 2011-09-13 2013-11-27 盛乐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视觉识别***及视觉识别方法
KR101907414B1 (ko) 2011-12-13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이미지 기반의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US9158965B2 (en) * 2012-06-14 2015-10-1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ccuracy-specificity trade-offs in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US8873812B2 (en) 2012-08-06 2014-10-28 Xerox Corporation Image segmentation using hierarchical unsupervised segmentation and hierarchical classifiers
US9025811B1 (en) * 2013-01-02 2015-05-05 Google Inc. Performing image similarity operations using semantic classification
KR102083624B1 (ko) 2013-01-15 2020-03-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관심대상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0650264B2 (en) * 2013-05-31 2020-05-12 Nec Corporation Image recognition apparatus,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program
CN103679132B (zh) 2013-07-15 2016-08-24 北京工业大学 一种敏感图像识别方法及***
CN106462568A (zh) * 2014-02-13 2017-02-22 河谷控股Ip有限责任公司 全局视觉词汇、***和方法
US10474670B1 (en) * 2014-06-12 2019-11-12 Amazon Technologies, Inc. Category predictions with browse node probabilities
CN104036023B (zh) * 2014-06-26 2017-05-10 福州大学 一种融合上下文的树形视频语义索引建立方法
KR20160004739A (ko) 2014-07-04 2016-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7087B1 (ko) * 2014-08-21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분류 방법 및 전자 장치
US9554030B2 (en) * 2014-09-29 2017-01-24 Yahoo! Inc. Mobile device image acquisition using objects of interest recognition
CN105045907B (zh) 2015-08-10 2018-03-09 北京工业大学 一种用于个性化社会图像推荐的视觉注意‑标签‑用户兴趣树的构建方法
US9875548B2 (en) * 2015-12-18 2018-01-23 Ricoh Co., Ltd. Candidate list generation
US20170185670A1 (en) * 2015-12-28 2017-06-29 Google Inc. Generating labels for images associated with a user
KR101725501B1 (ko) 2016-07-13 2017-04-13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자 인식 방법 및 장치
CN106445995A (zh) * 2016-07-18 2017-02-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图片的分类方法和装置
US9928448B1 (en) * 2016-09-23 2018-03-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age classification utilizing semantic relationships in a classification hierarchy
WO2018106663A1 (en) * 2016-12-06 2018-06-14 Ebay Inc. Anchored search
KR102399673B1 (ko) * 2017-06-01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휘 트리에 기반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295669A (zh) * 2017-06-16 2020-06-16 马克波尔公司 图像处理***
WO2019046463A1 (en) * 2017-08-29 2019-03-07 Zhoa Tiancheng SYSTEM AND METHOD FOR THE DEFINITION OF DIALOGUE INTEN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INTENTION RECOGNITION MODELS WITHOUT PRIOR KNOWLEDGE
US10909166B1 (en) * 2017-11-03 2021-02-02 Shutterstock, Inc. Reverse search with manual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82558A1 (en) 2021-06-17
EP3694220A1 (en) 2020-08-12
WO2019093599A1 (ko) 2019-05-16
CN111434118B (zh) 2022-10-21
US11678012B2 (en) 2023-06-13
KR20190053481A (ko) 2019-05-20
EP3694220A4 (en) 2020-08-12
CN111434118A (zh)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767B1 (ko) 사용자 관심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2656620B1 (ko) 전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591583B1 (ko) 정황 이용 인텔리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1241A (ko)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9034203B (zh) 表情推荐模型的训练、表情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190047214A (ko) 관련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40504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3704388A (zh) 多任务预训练模型的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1188120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355152B1 (ko) 콘텐트 검색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30567B1 (ko)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0001013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8103834A (zh) 一种信息获取方法以及装置
CN114238690A (zh) 视频分类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90140519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90099153A (ko) 전자 장치
CN115952274B (zh) 基于深度学习模型的数据生成方法、训练方法和装置
CN111858898A (zh) 基于人工智能的文本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10248425A1 (en) Reinforced text representation learning
CN115114395A (zh) 内容检索及模型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642740A (zh) 模型训练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3642635A (zh) 模型训练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7540703A (zh) 文本生成方法、模型训练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712056A (zh) 视频语义分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5378890B (zh) 信息输入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