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718B1 -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718B1
KR102386718B1 KR1020200143036A KR20200143036A KR102386718B1 KR 102386718 B1 KR102386718 B1 KR 102386718B1 KR 1020200143036 A KR1020200143036 A KR 1020200143036A KR 20200143036 A KR20200143036 A KR 20200143036A KR 102386718 B1 KR102386718 B1 KR 102386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monitoring data
counting
logistics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저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저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저그
Priority to KR102020014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2Counting objects in im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계수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 설정된 계수 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에 설치됨으로써, 계수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객체 검출 카메라; 객체 검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부; 데이터베이스 상에 기 저장되어 있는 계수 대상 부품 정보를 기초로, 검출된 움직임 영역에서 계수 대상 부품이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추정 부품 영역을 파악하는 추정부;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면적 비율이 계수 대상 부품 정보에 설정된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계수 대상 부품을 인식함으로써 실제 부품에 대한 계수를 수행하는 계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TRIBUTION MANAGEMENT THEREOF}
본 발명은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전자 부품에 대한 객체의 특징점을 인식하도록 기능하는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하여 물류 관리 자동화 솔루션을 구현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제조 현장의 자동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 한국 등록특허 제10-2086451호와 같이 공장 내 비치된 다수의 장비들에 부착된 고유 식별마크나 실물 그대로를 인식하여 현장 작업자 단말에 장비에 관한 매뉴얼 정보와, 원격 협업 CMS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공장에서 제조되는 제품에 대한 실적 관리, 재고 관리, 제공 관리, 불출관리, 불량 정보 관리를 포함하는 제조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현업에 적용되면서 스마트팩토리의 실현에 한층 가까워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스마트팩토리 구현에는 상당한 경제적 자원이 요구되는 바, 물류 관리를 위한 설비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 제조기업에서는 여전히 여러 품목으로 생산되는 부품들을 현장 인력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집계하여 계수를 수행하고, 이를 직접 관리하고 있는 실정에 있고, 이러한 실정은 중소기업의 작업 환경을 열악하게 하여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까지 초래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저하의 주요 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에 비교적 적은 투자 자원으로 중소기업의 작업 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의 제조 공정을 구성하고 있는 소형 센서 장비들을 활용한 데이터 수집 기술로 효율적인 물류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기/전자 부품에 대한 객체의 특징점을 인식하여 이동하는 부품들에 대한 정밀도 높은 계수를 수행하는 부품 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하여 공장의 제조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물류 관리 자동화 솔루션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품 계수 장치는, 기 설정된 계수 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에 설치됨으로써, 계수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객체 검출 카메라; 객체 검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부; 데이터베이스 상에 기 저장되어 있는 계수 대상 부품 정보를 기초로, 검출된 움직임 영역에서 계수 대상 부품이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추정 부품 영역을 파악하는 추정부;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면적 비율이 계수 대상 부품 정보에 설정된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계수 대상 부품을 인식함으로써 실제 부품에 대한 계수를 수행하는 계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계수부는,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이동 궤적 추적을 수행하여,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추적 궤적이 계수 라인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될 시, 추정 부품 영역이 검출된 프레임 수와,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여 계수 대상 부품으로 인식된 프레임 수의 비율을 연산하고, 연산된 프레임 수의 비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실제 부품에 대한 계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는, 계수 대상 부품 정보로서, 실제 부품을 촬영한 부품 이미지를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실제 부품에서 추출되는 특징점 정보인 제1 특징점 정보가 저장되고, 유사도 조건의 만족 여부는, 제1 특징점 정보와, 추정 부품 영역에서 추출되는 특징점 정보인 제2 특징점 정보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추정부는, 움직임 영역에서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값이 최대가 되는 기준 픽셀을 추출한 뒤, 기준 픽셀과의 높이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내인 높이값을 갖는 주변 픽셀들을 추정 부품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은, 공장에서 제조되는 실제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로서 부품 계수 장치의 계수 결과를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단계;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공장에서 제조되는 실제 부품에 대한 물류 현황이 기재된 물류 보고서를 생성하는 물류 보고서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물류 보고서를 기 설정된 송신 대상 주체 단말로 제공하는 물류 보고서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물류 보고서 생성 단계는, 물류 보고서의 송신 대상으로 설정된 주체의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포맷으로 가공된 물류 보고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물류 보고서 생성 단계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에 따라 물류 보고서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관리하며,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의 경과 시까지 연속적으로 수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최종 갱신된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기초로 하는 물류 보고서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단계는, 공장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싱 수단 및 장비 제어 수단과 통신하여, 실제 부품에 대한 제조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더 수집되도록 기능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물류 보고서에 계수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 및 제조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조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는, 부품 계수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되, 위치 정보는, 부품 계수 장치가 구비된 공장에 대한 지리적 위치 정보가 지도 상에 매핑된 제1 위치 정보와, 공장에서 부품 계수 장치의 설치 영역이 설계 도면 상에 매핑된 제2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는 물류 보고서가 생성되기 이전 시점에, 접근 권한이 허여된 주체 단말로부터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의 조회 요청이 수신될 경우, 요청이 수신된 시점까지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 현황을 제공하도록 하고,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단계의 수행 시, 기 설정된 임계 기준에 벗어난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집될 경우, 접근 권한이 허여된 주체 단말에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부품이 인접하여 있거나, 부품과 유사한 형태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에도 계수 대상 부품의 특징점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정밀한 계수를 수행하는 부품 계수 장치의 제공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공장의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집계되는 제품의 수량을 객체 검출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를 통하여 자동으로 집계함에 따라서 바코드 스캔 등의 현장 작업자의 개입 없이도 공장 내 물류 관리 작업에 대한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 수단을 기반으로 연동된 여러 장비들과 통신하여 공장의 제조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중소 제조 기업에 걸맞는 물류 관리 자동화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 제조 기업의 생산성 효율 증가와 생산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품 계수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품 계수 장치의 개략적인 프로세스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추정 부품 영역이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품 계수 장치에서 수집되는 계수 결과가 실시간 차트로 구현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보고서가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품 계수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지도 및 설계 도면 상에 매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주체 단말의 성격에 따라 모니터링 수집 데이터가 상이하게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결과를 임계 기준과 비교하여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를 판별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이상이 감지되어 연동된 주체 단말에 알림이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의 도시 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부각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 분야에서 적용되는 일반적인 기기/구성/장치 등의 일부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이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목적으로, 일부 구성에 대한 도시가 확대되거나 과도하게 부각되어 도시되거나 그 도시가 축소 또는 생략될 수 있으나, 이러한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목적과 관련된 부품 계수 장치(10)에 대해 살펴보면, 도 1에는 부품 계수 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부품 계수 장치(10)는 주요하게 검출부(11), 추정부(12) 및 계수부(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부품 계수 장치(10)의 개략적인 프로세스 예를 동시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면, 상술한 부품 계수 장치(10)는, 공장에 구비된 객체 검출 카메라(2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그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술한 객체 검출 카메라(20)는, 이미지 센서가 탑재된 카메라 모듈로서, 촬영되고 있는 장면의 모든 지점까지의 객체를 출력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각 화소(pixel)마다 촬영되고 있는 대상의 객체 특징값을 갖는다.
즉, 객체 검출 카메라(20)는 기 설정된 계수 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에 설치되어 상술한 계수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으로부터 객체의 길이 등을 산출해내도록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 주변 환경 또는 장면(공간)을 촬영하고, 장면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객체(예를 들어, 바닥, 벽, 장애물 등의 정적 물체나 사람, 동물 등의 동적 물체)를 포함하여 장면의 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스테레오 방식, 구조광 방식, Time-of-Flight(ToF)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거리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객체 검출 카메라(20)에서 획득된 하나 이상의 정보들은, 주체 단말(40)과 통신하는 서버(30)로 전송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객체 검출 카메라(20)에 설정된 계수 영역은, 부품의 수량이 파악되는 영역인 개수 라인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앞서 객체 검출 카메라(20)가 서로 상이한 방향에 설치되는 것은, 계수 대상이 되는 부품을 상, 하, 좌, 우 및 사선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검출부(11)는, 객체 검출 카메라(2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도록 기능한다.
이때, 상술한 검출부(11)는 영상에서 움직임 영역의 탐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GMM(Gaussian Mixture Model) 및 코드북 모델(Codebook Model)등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움직임 영역을 검출해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술한 추정부(12)에 대해 살펴보면, 추정부(12)는 데이터베이스 상에 기 저장되어 있는 계수 대상 부품 정보를 기초로 검출된 움직임 영역에서 계수 대상 부품이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추정 부품 영역을 파악하도록 기능한다.
이때, 상술한 추정부(12)는 상술한 추정 부품 영역을 파악함에 있어서, 앞서 검출부(11)에서 검출된 움직임 영역에서,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값이 최대가 되는 기준 픽셀을 추출한 뒤, 추출된 기준 픽셀과의 높이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내인 높이값을 갖는 주변 픽셀들을 추정 부품 영역에 포함시키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추정 부품 영역이 설정되는 예를 살펴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는 검출된 움직임영역으로 컨베이어벨트가 파악될 때, 컨베이어벨트의 바닥면에서 임의의 부품에 대한 최대 높이값을 추출한 뒤, 높이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내인 주변 픽셀들을 추정 부품 영역으로 포함시켜 놓은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추정 부품 영역이 A와 B로 추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높이값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여러 부품들 중 동일한 부품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추정 부품 영역으로 식별해 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1의 추정부(12)는, 검출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해 둘 이상의 움직임 영역이 검출된 경우, 검출된 복수개의 움직임 영역들 중 판단의 대상이 되지 않은 움직임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검출된 모든 움직임 영역에 대한 추정 부품 영역이 설정되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술한 계수부(13)는 앞서 언급한 추정부(12)에서 파악된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면적 비율이 계수 대상 부품 정보에 설정된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계수 대상 부품을 인식함으로써, 실제 부품에 대한 계수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계수부(13)는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이동 궤적 추적을 수행하여,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추적 궤적이 계수라인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될 시, 추정 부품 영역이 검출된 프레임 수와,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여 계수 대상 부품으로 인식된 프레임 수의 비율을 연산함으로써, 연산된 프레임 수의 비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실제 부품에 대한 계수를 수행하도록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프레임 수의 비율로 계수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이동 궤적의 추적 중에, 간헐적으로 부품이 다른 물체에 가려지거나 노이즈 등의 이유로 특정 프레임에서 후보 부품 영역이 실제 부품으로 인식되지 않아 계수 결과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계수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부품 계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부품이 인접하여 이동하거나, 부품과 유사한 형상의 부품들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등의 복잡한 상황에서도 부품의 수를 정확하게 계수하는 부품 계수 장치(10)의 제공 효과까지 기대하여 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계수부(13)는, 계수 대상 부품의 인식을 위하여, 계수 라인을 통과한 직후의 프레임, 추정 부품 영역이 검출된 최초 프레임, 전체 프레임 또는 계수 라인을 통과한 직후의 모든 프레임에 대한 유사도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계수부(13)의 기능 수행과 관련하여,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는 계수 대상 부품 정보로서, 실제 부품을 촬영한 부품 이미지를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rom)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실제 부품에서 추출되는 특징점 정보인 제1 특징점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SIFT 알고리즘은 이미지의 크기와 회전에 불변하는 특징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으로, 서로 다른 두 이미지에서 SIFT 특징을 각각 추출한 다음 서로 가장 비슷한 특징끼리 매칭하여 두 이미지에서 대응되는 부분이 검출되도록 하는 알고리즘으로, 상술한 SIFT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실제 부품을 촬영한 원본 이미지를 두 배로 확대한 다음 점진적으로 블러 처리하고, 다음으로 원본 이미지를 점진적으로 블러 처리하며, 다음으로 원본 이미지를 반으로 축소시킨 이미지에서 점진적으로 블러 처리된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스케일-스페이스(Scale-Space)를 구현하게 된다.
그 다음 상술한 스케일-스페이스가 구현되면, Difference of Gaussian(DoG)를 연산하고, Laplacian of Gaussian(LoG)를 사용하여 이미지 내에서 극대값 및 극소값들의 대략적인 위치를 찾는 키포인트 찾기가 수행되고, 키포인트 주변의 그래디언트 방향과 크기를 수집하여 가장 두드러지는 방향을 찾아냄으로써 키포인트들에 방향을 할당함으로써, 실제 부품을 촬영한 이미지에 지문과 같은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제1 특징점 정보를 구해낼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를 통해 계수부(13)의 유사도 조건의 만족 여부는, 앞서 설명한 제1 특징점 정보와, 영상에서 검출된 추정 부품 영역에서 추출되는 제2 특징점 정보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을 만족시키는지에 의해 상술한 유사도 조건의 만족 여부에 대한 결과값이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한 예로서, 기 설정된 문턱값이 특징점 8개가 일치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특징점과, 제2 특징점 정보의 특징점이 8개 이상으로만 일치되면, 부품으로 인식되도록 기능할 수 있어 계수 결과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고, 수작업에 의한 계수 공정이 불필요하여 인건비의 절감 효과와 더불어, 중소 제조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소형 센서 장비들을 활용한 데이터 수집 기술로 효율적인 물류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여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술 또는 후술하는 기 설정된 임계값 또는 문턱값은 경영자를 비롯한 관리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값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버로부터 계수 오차가 크게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는 임계값의 이용은 제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품 계수 장치(10)는, 다수의 부품이 인접하여 있거나, 부품과 유사한 형태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에도 계수 대상 부품의 특징점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정밀한 계수를 수행하는 부품 계수 장치(10)의 제공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공장의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집계되는 제품의 수량을 객체 검출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를 통하여 자동으로 집계함에 따라서 바코드 스캔 등의 현장 작업자의 개입 없이도 공장 내 물류 관리 작업에 대한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된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먼저, 공장에서 제조되는 실제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로서, 부품 계수 장치의 계수 결과를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술한 S10 단계는, 앞서 설명한 부품 계수 장치와 TWI(Two-wire serial Interface)의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계수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공장에서 제조되는 실제 부품에 대한 물류 현황이 기재된 물류 보고서를 생성하는 물류 보고서 생성 단계(S20)가 수행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S20 단계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에 따라 물류 보고서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관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의 경과시까지 연속적으로 수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최종 갱신된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기초로 하는 물류 보고서가 생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흐름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과 같이, S10 단계의 수행 이후, S11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여, 마지막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마지막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분을 반영한 물류 보고서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밖에도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시, 물류 보고서의 송신 대상으로 설정된 주체의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포맷으로 가공된 물류 보고서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물류 보고서의 송신 대상으로, 경영자, 현장 관리자, 생산 직원, 및 고객사가 있을 때, 각 주체마다 저마다의 포맷으로 가공된 물류 보고서를 제공받아 볼 수 있도록 하는 물류 보고서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도 7의 200에서는 생산 직원용 물류 보고서가, 도 7의 210에서는 현장 관리자용으로 가공된 물류 보고서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즉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200 및 2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현장 관리자용 물류 보고서에는 물류 통계로 도시된 통계 데이터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생산 직원용 물류 보고서와는 차별화된 항목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개념의 물류 보고서 생성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물류 보고서는 일종의 문서 개념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각 주체 단말에서 접속되는 온라인 플랫폼의 개념으로 구현되어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주체 단말별로 조회 가능한 메뉴들을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여, 주체가 원하는 물류 보고서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게 열람하여 볼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생성된 물류 보고서를 기 설정된 송신 대상 주체 단말로 제공하는 물류 보고서 제공 단계(S30)가 수행되게 되는데, S30 단계는 S20 단계에서 물류 보고서가 생성되는 즉시 각 주체 단말로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S30 단계의 다른 예에서는, 경영자, 현장 관리자를 비롯한 주체로부터 물류 보고서의 발송 시간 주기가 설정(예를 들어 1시간 단위)됨으로써 정해진 물류 보고서의 발송 시간마다 생성된 물류 보고서가 각 주체 단말로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과 관련된 다른 실시 예에서는, S10 단계의 수행 시, 공장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싱 수단 및 장비 제어 수단과 통신하여, 실제 부품에 대한 제조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더 수집되도록 기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술한 센싱 수단 및 장비 제어 수단은, 공장에 설치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환풍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 수단 및 장비 제어 수단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TWI(Two-wire serial interface)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서버와 연동되어 각 센싱 수단 및 장비 제어 수단에서 감지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물류 보고서에, 부품 계수 장치에 의해 수집되는 계수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와 함께, 상술한 센싱 수단 및 장비 제어 수단으로부터 수집되는 제조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어 중소 제조 기업의 현황에 걸맞는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제조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부품 계수 장치의 위치 정보와 관련된 더욱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위치 정보는, 부품 계수 장치가 구비된 공장에 대한 지리적 위치 정보가 지도 상에 매핑된 제1 위치 정보와, 상술한 공장에서 부품 계수 장치의 실제 설치 영역이 설계 도면 상에 매핑된 제2 위치 정보가 포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실시 예를 도 8의 300 및 310에서 살펴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다수의 중소 제조 공장을 관리하는 주체가 원격지에서도 각 제조 공장의 물류 관리 현황을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게 되어, 관리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서버에 물류 보고서가 생성되기 이전 시점에, 접근 권한이 허여된 주체 단말로부터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의 조회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술한 요청이 수신된 시점까지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 현황을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일 주체 단말로부터 특정 공장의 부품 계수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도 6의 100과 같이 현재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의 결과값을 제공하여 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물류 보고서의 생성 시점 이전에도 접근 권한이 허여된 주체에게는 자유롭게 관리 중인 물류 데이터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류 관리의 편의를 더욱 증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S10 단계의 수행 시, 기 설정된 임계 기준에 벗어난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집되는 경우를 판별해낼 수도 있다.
이때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이라 함은, 각 부품마다 설정된 안전 재고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재고량이 감지되는 경우, 제조 작업 환경이 기 설정된 작업 환경 범위를 이탈한 경우 등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예로서, 도 10의 400을 참조하여 보면,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 발생 내역이 제공되는 실시 예로서,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를 날짜별로 정리하고,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가 감지된 발신자를 파악하며, 그에 대한 알림 타입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즉 이러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가 발생한 장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거나,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의 감지 결과로부터 제조 공정 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생산 작업 환경에 대한 개선안의 도출을 보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11의 500과 같이 접근 권한이 허여된 주체 단말에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의 실시간 감지에 따른 알림이 제공되도록 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행되도록 기능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종합하여 살펴보건대, 본 발명의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에 의하면,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 수단을 기반으로 연동된 여러 장비들과 통신하여 공장의 제조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중소 제조 기업에 걸맞는 물류 관리 자동화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 제조 기업의 생산성 효율 증가와 생산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1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2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2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2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부품 계수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계수 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계수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객체 검출 카메라;
    상기 객체 검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 내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부;
    데이터베이스 상에 기 저장되어 있는 계수 대상 부품 정보를 기초로, 검출된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 계수 대상 부품이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추정 부품 영역을 파악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면적 비율이 상기 계수 대상 부품 정보에 설정된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계수 대상 부품을 인식함으로써 실제 부품에 대한 계수를 수행하는 계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수부는,
    상기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이동 궤적 추적을 수행하여, 상기 추정 부품 영역에 대한 추적 궤적이 계수 라인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될 시,
    상기 추정 부품 영역이 검출된 프레임 수와, 상기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여 계수 대상 부품으로 인식된 프레임 수의 비율을 연산하고, 연산된 프레임 수의 비율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계수를 수행하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값이 최대가 되는 기준 픽셀을 추출한 뒤, 상기 기준 픽셀과의 높이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내인 높이값을 갖는 주변 픽셀들을 추정 부품 영역에 포함시키고,
    상기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은,
    공장에서 제조되는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로서 상기 부품 계수 장치의 계수 결과를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단계;
    수집된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공장에서 제조되는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물류 현황이 기재된 물류 보고서를 생성하는 물류 보고서 생성 단계; 및
    생성된 상기 물류 보고서를 기 설정된 송신 대상 주체 단말로 제공하는 물류 보고서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단계는,
    상기 공장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싱 수단 및 장비 제어 수단과 통신하여,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제조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더 수집되도록 기능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물류 보고서에 상기 계수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제조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제조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는,
    상기 부품 계수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부품 계수 장치가 구비된 공장에 대한 지리적 위치 정보가 지도 상에 매핑된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공장에서 상기 부품 계수 장치의 설치 영역이 설계 도면 상에 매핑된 제2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계수 대상 부품 정보로서, 상기 실제 부품을 촬영한 부품 이미지를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실제 부품에서 추출되는 특징점 정보인 제1 특징점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유사도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제1 특징점 정보와, 상기 추정 부품 영역에서 추출되는 특징점 정보인 제2 특징점 정보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보고서 생성 단계는,
    상기 물류 보고서의 송신 대상으로 설정된 주체의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포맷으로 가공된 물류 보고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보고서 생성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에 따라 상기 물류 보고서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관리하며,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의 경과 시까지 연속적으로 수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최종 갱신된 데이터 파라미터의 값을 기초로 하는 물류 보고서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서버는,
    상기 물류 보고서가 생성되기 이전 시점에, 접근 권한이 허여된 주체 단말로부터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의 조회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요청이 수신된 시점까지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 현황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단계의 수행 시,
    기 설정된 임계 기준에 벗어난 모니터링 데이터가 수집될 경우, 상기 접근 권한이 허여된 주체 단말에 이상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계수 장치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KR1020200143036A 2020-10-30 2020-10-30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KR10238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036A KR102386718B1 (ko) 2020-10-30 2020-10-30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036A KR102386718B1 (ko) 2020-10-30 2020-10-30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718B1 true KR102386718B1 (ko) 2022-04-14

Family

ID=8121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036A KR102386718B1 (ko) 2020-10-30 2020-10-30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7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21756A (zh) * 2023-06-26 2023-09-29 徐州天意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实时监测技术的双黄连生产线智能化监管方法
KR102628737B1 (ko) * 2023-02-13 2024-01-23 천왕희 지능형 건축 설계 장치 및 방법
KR102643333B1 (ko) * 2023-02-13 2024-03-04 정현석 지능형 알루미늄 부품 가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487A (ko) * 2001-08-29 2003-03-06 주식회사 하나엘 영상을 이용한 출입 이동 물체 계수 방법 및 장치
KR101176743B1 (ko) * 2011-02-23 2012-08-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객체 인식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정보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정보 컨텐츠 관리 서버
KR20130009985A (ko) * 2010-03-26 2013-01-24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전자 보고서의 생성 방법
KR20170089538A (ko) * 2016-01-27 2017-08-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자동 인식 방법
KR20200094011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현장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487A (ko) * 2001-08-29 2003-03-06 주식회사 하나엘 영상을 이용한 출입 이동 물체 계수 방법 및 장치
KR20130009985A (ko) * 2010-03-26 2013-01-24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전자 보고서의 생성 방법
KR101176743B1 (ko) * 2011-02-23 2012-08-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객체 인식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정보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정보 컨텐츠 관리 서버
KR20170089538A (ko) * 2016-01-27 2017-08-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자동 인식 방법
KR20200094011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현장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737B1 (ko) * 2023-02-13 2024-01-23 천왕희 지능형 건축 설계 장치 및 방법
KR102643333B1 (ko) * 2023-02-13 2024-03-04 정현석 지능형 알루미늄 부품 가공 시스템 및 방법
CN116821756A (zh) * 2023-06-26 2023-09-29 徐州天意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实时监测技术的双黄连生产线智能化监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718B1 (ko) 부품 계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US11087130B2 (en) Simultaneous object localization and attribute classification using multitask deep neural networks
Czerniawski et al. Automated digital modeling of existing buildings: A review of visual object recognition methods
Hamledari et al. Automated computer vision-based detection of components of under-construction indoor partitions
Kopsida et al. Real-time volume-to-plane comparison for mixed reality–based progress monitoring
Yeum et al. Vision‐based automated crack detection for bridge inspection
Konstantinou et al. Matching construction workers across views for automated 3D vision tracking on-site
EP4137901A1 (en) Deep-learning-based real-time proces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2020107951A1 (zh) 一种基于图像的商品结算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Liang et al. Image-based positioning of mobile devices in indoor environments
KR102373752B1 (ko) 복수 모델을 이용한 차량식별추적 방법, 및 시스템
CN113312969A (zh) 一种基于三维视觉的零部件识别与定位方法、***
Verma et al. Vision based object counting using speeded up robust features for inventory control
CN117151595A (zh) 一种商品库存管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hen [Retracted] E‐Commerce Logistics Inspection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Context of Big Data
KR20230060605A (ko) 폐기물 정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324804B1 (ko) 영상 내 객체의 컨텍스트 정보 생성을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
Panahi et al. Automated Progress Monitoring in Modular Construction Factories Using Computer Vision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US20230177324A1 (en) Deep-learning-based real-time proces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Xia et al. Automated manufacturability analysis in smart manufacturing systems: a signature mapping method for product-centered digital twins
Pietrini et al. Embedded Vision System for Real-Time Shelves Rows Detection for Planogram Compliance Check
CN112558554A (zh) 任务追踪方法和***
Deniziak et al. Iot-based smart monitoring system using automatic shape identification
CN112734337B (zh) 基于信息采集的物品监控管理方法及装置
Qi et al. A novel 3D expansion and corrosion method for human detection based on depth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