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366B1 -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366B1
KR102386366B1 KR1020210180628A KR20210180628A KR102386366B1 KR 102386366 B1 KR102386366 B1 KR 102386366B1 KR 1020210180628 A KR1020210180628 A KR 1020210180628A KR 20210180628 A KR20210180628 A KR 20210180628A KR 102386366 B1 KR102386366 B1 KR 102386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omposition
saponi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스킹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스킹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스킹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8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4Liqu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wash-water, milling fluid, fil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및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식물체에 적용하는 경우, 식물체에서 수확된 열매, 잎, 가지, 줄기 및 뿌리에서 사포닌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므로, 사포닌 생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식물 활성제 또는 비료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enhancing saponin production of plant-derived products}
본 발명은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및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식물체 유래 산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포닌(saponin)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트리테르펜 및 스테로이드계의 배당체의 총칭이다. 항산화, 항암, 콜레스테롤 저하, 당뇨 개선, 혈행 개선, 피로 개선 및 면역력 증진 등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가지며, 인삼, 홍삼 및 더덕 등의 뿌리 식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유익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물체에서 사포닌 함량을 증진시키려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특허 KR 10-2168131에 따르면, 일반적인 쌀의 경우, 사포닌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등록특허에서 생산된 쌀은 벼의 재배 시 사포닌 함유 살포액을 살포하여 쌀의 알곡 자체에 1g당 3.88mg/g과 3.26mg/g의 사포닌을 함유하도록 재배가 가능하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쌀 알곡에 포함된 사포닌 함량은 여전히 인삼이나 홍삼에 비해 낮다.
따라서, 사포닌을 고함량 함유할 수 있는 식물체 또는 상기 식물체에서 유래된 산물에서 사포닌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10-2168131 (2020년 10월 14일)
이에, 본 발명의 본 발명자들은 미네랄, 식물 추출물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물체 재배 시 살포하는 경우, 식물체 유래 산물, 구체적으로 열매, 잎, 가지, 줄기 및 뿌리에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상기 조성물을 적용하여 재배된 벼에서 수확된 쌀 알곡에서 사포닌 함량은 쌀 무게 g당 50mg을 초과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또는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식물체 유래 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에 대한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에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문구 또는 문장에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을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본 발명은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지는 미네랄 10~40 중량부;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주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0~20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의 분말 5~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은 물, 미네랄, 식물 추출물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의 분말로 이루어지며,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지는 미네랄 10~40 중량부;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주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0~20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의 분말 5~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은 식물체 유래 산물에서 사포닌 생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용어 "산물" 은 일정한 곳에서 생산되어 나오는 물건을 뜻하며,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은 식물체에서 생산되어 나오는 물건으로, 식물체 유래의 열매, 잎, 가지,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물체 유래의, 열매, 줄기 또는 뿌리일 수 있다.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적용하여 재배된 식물체 유래 산물은 감귤, 아스파라거스,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샤인머스켓, 복숭아,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및 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및 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벼 이삭 또는 쌀일 수 있다.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적용하여 재배된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함량은 산물 무게 g당 1 mg (1 mg/g)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산물 무게 g당 2.5 ~ 70 mg (mg 2.5 mg/g ~ 70 mg/g)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산물 무게 g당 18 ~ 60 mg (18 mg/g ~ 60 mg/g) 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사포닌" 은 양친매성 배당체(amphipathic glycoside)로서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트리테르펜 및 스테로이드계의 배당체의 총칭이다. 항산화, 항암, 콜레스테롤 저하, 당뇨 개선, 혈행 개선, 피로 개선 및 면역력 증진 등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가지며, 인삼, 홍삼 및 더덕 등의 뿌리 식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용어 "미네랄"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무기원소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슘(Ca)은 생물효소의 촉매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식물의 분열조직, 특히 뿌리 끝이 정상으로 자라는데 필요하며, 종자나 과실보다 특히 잎에 많이 들어 있다. 칼슘이 부족하면 특히 뿌리의 발육이 나쁘고 잎은 엷은 녹색을 띄게 된다. 또한, 칼슘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토양 또는 식물체에 적용하는 경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Al(알루미늄)은 가용성이 높아지면서 과잉흡수가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량 이상 초과하여 혼합하지 않도록 하며, 사용량을 초과하여 혼합하면 ' '알루미늄'이 인산과 결합하여 식물이 흡수할 수 없는 인산알루미늄 등 불용성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토양 또는 식물체에 적용하는 경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칼륨(K)은 대사를 촉진시키며, 빛에너지의 이용, 촉진, 광합성작용, 농작물 호흡작용, 질소의 흡수 등을 촉진하고 여러 가지 생리작용과 물질대사를 조절한다. 또한, 칼륨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토양 또는 식물체에 적용하는 경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마그네슘(Mg)은 모든 녹색식물에 꼭 필요한 성분이다. 여러 가지 효소, 특히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인다.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엽록소가 생성될 수 없으므로, 식물체가 누렇게 되고 광합성 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토양 또는 식물체에 적용하는 경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나트륨(Na)은 식물 효소의 활성제 역할을 하며,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저장성을 개선하도록 한다. 또한, 나트륨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토양 또는 식물체에 적용하는 경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황(S)은 아미노산을 구성하는 원소이므로 단백질의 생성에 관여한다. 황이 부족하면, 단백질 생성이 줄어들어 질소의 부족과 비슷한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황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토양 또는 식물체에 적용하는 경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인(P)은 식물의 생장과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필수 영양원소이다. 따라서, 농업에 있어서 주요 작물의 수확량이 증가되기 위해서는 식물이 가용할 수 있는 인의 유무가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된다. 또한, 인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토양 또는 식물체에 적용하는 경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전술한 미네랄 각 성분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미네랄은 C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l 40~50 중량부, K 80~90 중량부, Mg 100~110 중량부, Na 30~35 중량부, S 40~50중량부, 및 P 30~35 중량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Al(알루미늄)은 가용성이 높아지면서 과잉흡수가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량 이상 초과하여 혼합하지 않도록 하며, 40~5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륨(K)은 8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면 생리작용과 물질대사를 조절하기 어려우며,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면 과잉 흡수 등이 문제되기 때문에 80~9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마그네슘(Mg)은 10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면 식물체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이 낮거나 광합성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1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면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성분과의 조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100~11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나트륨(Na)은 3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시에는 식물의 생장 촉진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시에는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30~3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황(S)은 아미노산을 구성하는 원소이므로 단백질의 생성에 관여한다. 황이 부족하면, 단백질 생성이 줄어들어 질소의 부족과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40~5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인(P)은 사용량 미만으로 혼합하면 식물의 생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량을 초과하여 혼합하면 '철', '알루미늄'이 인산과 결합하여 식물이 흡수할 수 없는 인산철이나 인산알루미늄, 인산석회 등 불용성 화합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30~3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미네랄은 상기 언급한 것 이외에도 인산염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스트론튬(Sr)을 추가로 혼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스트론튬(Sr)은 C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Sr 6~7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C 30~35 중량부와 H 2~3 중량부가 추가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탄소(C)와 수소(H)는 공기 또는 물에서 자연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식물이 정상적인 생육을 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므로 인위적으로 혼합하여 토양에 직접 공급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탄소 및 수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분쇄한 미세분말을 5~20중량부 추가로 혼합하도록 하여, 상술한 미네랄 성분 이외의 부족한 미네랄 성분을 추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중화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천연광물인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는 알카리성으로 산성토양, 알칼리성 토양 어느 경우에도 토양에서 산알칼리도의 급격한 변화를 막아주어 식물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Na, K, Ca, Mg, Sr 등의 양이온으로 함유하는 함수규산염(hydrous aluminosilicates) 광물에 속하며, 미네랄을 다량으로 분출하며,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벤토나이트는 알루미늄 실리게이트의 광물로 이온교환성, 현탁성, 흡착성, 팽윤성등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갖는다. 다량의 미네랄을 용출하는 광물로, 식물체 또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미세분말의 크기는 5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일 수 있다. 미세분말의 크기가 100㎛를 초과하면 분말 내에 함유된 미네랄을 충분히 수득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고, 미세분말의 크기가 5㎛ 미만이면 천연암석이나 천연광물을 분쇄하여 미세분말의 형성 시 암석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이 파괴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분쇄한 미세분말을 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시에는 혼합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에는 다른 미네랄의 함량이 낮아져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5~2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료 조성물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물체 유래 산물", "사포닌", "사포닌 증진용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료"는 토지를 기름지게 하고 초목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비료는 토양의 생산력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고, 작물을 잘 생장시키기 위하여 토양 또는 식물에 투입하는 영양물질과 직접적으로는 작물의 영양물질이 되지는 않더라도 토양의 물리적 화학성 등을 개선하고 유용한 미생물들을 증진시키며, 토양 중에 식물에 이용될 수 없는 형태로 있는 양분을 이용이 가능한 형태로 바꾸어 주거나, 유독성 물질의 독성을 저감시키는 등 간접적으로 작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물질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은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므로, 수확된 식물체에서 유래된 산물에서 사포닌 생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식물체 유래 산물의 제조방법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또는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식물체 유래 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물체 유래 산물", "사포닌", "사포닌 증진용 조성물", "비료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1:1000~1:3000의 희석비율 의 희석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7~8일 간격으로 1회씩 총 6~12회 살포하여 적용할 수 있다. 초기에 살포 시에는 농작물(식물체)가 적응하도록 1:2500의 희석비율로 살포하고, 점차 농작물(식물체)이 적응하게 되면,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점진적으로 농도를 높여서 살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종을 옮겨 심을 때는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1:2000~1:3000의 비율, 구체적으로 1:2500의 희석 비율로 희석해 모종의 뿌리 부분을 충분히 담근 후 밭에 옮겨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종을 옮겨 심고, 뿌리가 안착하거나 속 잎이 나온 후에 1:1000~1:2000의 희석비율, 구체적으로 1:2000, 1:1500, 1:000의 희석비율로 희석하여 점차 농도를 높여가면서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씨앗을 파종할 때는 씨앗을 파종하고 7~10일 경과 후에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1:2000~1:3000의 비율, 구체적으로 1:2500의 희석비율로 희석하여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 재배 중인 농작물(식물체)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1:2000~1:3000의 비율, 구체적으로 1:2500의 희석비율로 희석하여 7~10일 간격으로 살포하여 농작물(식물체)을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에 적응하게 한다. 농작물(식물체)이 상기 조성물에 적응된 이후부터는 1:1000~1:2000의 비율, 구체적으로 1:2000, 1:1500, 1:000의 희석비율로 농도를 조금 높게 희석하여 7~8일 간격으로 1회씩 총 6~12회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물체에 따라, 상기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살포하는 횟수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벼와 같은 모종을 심는 식물체의 경우, 모종을 밭에 옮겨심은 후 7~8일 간격으로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농도를 높여가면서 통상 8~10회 정도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귤, 샤인머스켓, 복숭아, 황금향, 홍매향의 경우 과일 열매를 수확하기 전부터 7~8일 간격으로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농도를 높여가면서 10~12회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스파라거스의 경우 수확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7~8일 간격으로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농도를 높여가면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딸기의 경우 열매를 수확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7~8일 간격으로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농도를 높여가면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나 고구마 같은 뿌리 식물의 경우 7~8일 간격으로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농도를 높여가면서 총 7~9회, 구체적으로 8회 정도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식물체에 적용하는 경우, 식물체에서 수확된 산물에서 사포닌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므로, 사포닌 생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식물 활성제 또는 비료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제주감귤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아스파라거스 (줄기)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고추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방울토마토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미니 찰대추 토마토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샤인머스켓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복숭아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고구마 (뿌리)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황금향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홍매향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쌀 알곡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딸기 (열매)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무 (뿌리)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물 100kg,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진 미네랄 성분 20kg,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및 주목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5kg, 및 제올라이트 분말 10kg을 혼합하여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C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l 45중량부, K 85중량부, Mg 100 중량부, Na 35 중량부, S 45 중량부, 및 P 35 중량부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2.
물 100kg,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진 미네랄 성분 30kg,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및 주목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5kg, 및 제올라이트 분말 10kg을 혼합하여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C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l 45중량부, K 85중량부, Mg 100 중량부, Na 35 중량부, S 45 중량부, 및 P 35 중량부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3.
물 100kg,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진 미네랄 성분 40kg,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및 주목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5kg, 및 제올라이트 분말 10kg을 혼합하여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C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l 45중량부, K 85중량부, Mg 100 중량부, Na 35 중량부, S 45 중량부, 및 P 35 중량부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4.
물 100kg,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진 미네랄 성분 20kg,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및 주목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5kg, 및 벤토나이트 분말 10kg을 혼합하여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C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l 45중량부, K 85중량부, Mg 100 중량부, Na 35 중량부, S 45 중량부, 및 P 35 중량부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5.
물 100kg,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진 미네랄 성분 30kg,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및 주목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5kg, 및 벤토나이트 분말 10kg을 혼합하여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C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l 45중량부, K 85중량부, Mg 100 중량부, Na 35 중량부, S 45 중량부, 및 P 35 중량부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6.
물 100kg,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진 미네랄 성분 40kg,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및 주목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5kg, 및 벤토나이트 분말 10kg을 혼합하여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C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l 45중량부, K 85중량부, Mg 100 중량부, Na 35 중량부, S 45 중량부, 및 P 35 중량부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7.
물 100kg,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진 미네랄 성분 20kg, 및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및 주목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5kg을 혼합하여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네랄은 C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l 45중량부, K 85중량부, Mg 100 중량부, Na 35 중량부, S 45 중량부, 및 P 35 중량부로 구성되었다.
<실험예: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함량 측정>
실험예 1: 실시예 1을 이용하여 재배한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함량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벼의 경우, 모종의 뿌리가 안착한 후 1:2000의 희석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살포하였다. 이후 점진적으로 농도를 높여가면서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물에 희석하여 7~8일 간격으로 총 10회 살포하였다.
제주감귤, 샤인머스켓, 복숭아, 황금향, 홍매향을 생산하는 식물체의 경우 과일 열매를 수확하기 전부터 7~8일 간격으로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점차 농도를 높여가면서 10~12회 살포하였다. 아스파라거스의 경우 수확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7~8일 간격으로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점차 농도를 높여가면서 수확할 때까지 살포하였다.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딸기의 경우 열매를 수확할 때까지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점차 농도를 높여가면서 지속적으로 7~8일 간격으로 살포하였다. 무나 고구마 같은 뿌리 식물의 경우 7~8일 간격으로 1:2000, 1:1500, 1:1000의 희석비율로 점차 농도를 높여가면서 총 8회 살포하였다.
상기 식물체들에서 수확된 산물의 사포닌 함량을 도 1 내지 13과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상기 식물체에서 수확된 딸기와 무의 사포닌 함량은 낮은 편이였으며, 제주감귤, 아스파라거스,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샤인머스켓, 복숭아, 고구마, 향금향, 홍매향 및 쌀의 사포닌 함량은 높았다. 특히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쌀의 사포닌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 중에서 쌀의 사포닌 함량은 무게 1g 당 50.49 mg 으로 현저히 높았다.
NO 실험군 사포닌 함량(mg/g)
실험군 1 50.49
실험군 2 제주감귤 7.47
실험군 3 아스파라거스 5.44
실험군 4 고추 6.90
실험군 5 방울토마토 12.58
실험군 6 미니 찰대추 토마토 5.33
실험군 7 샤인머스켓 8.04
실험군 8 복숭아 9.61
실험군 9 고구마 18.33
실험군 10 황금향 21.64
실험군 11 홍매향 24.09
비교군 1 딸기 2.96
비교군 2 1.38
실험예 2: 실시예 2 내지 6 및 실시예7을 이용하여 재배한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함량 측정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7에서 제조한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주감귤, 아스파라거스,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샤인머스켓, 복숭아,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쌀, 딸기 및 무를 생산하는 식물체에 살포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 내지 6에서 제조한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살포하여 재배한 식물체에서 수확된 제주감귤, 아스파라거스,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샤인머스켓, 복숭아,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쌀, 딸기 및 무의 경우, 실시예 1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살포한 것과 유사한 수준의 사포닌 함량이 측정되었다.
그러나,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살포하여 재배한 식물체에서 수확된 제주감귤, 아스파라거스,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샤인머스켓, 복숭아,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쌀, 딸기 및 무의 경우, 실시예 1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살포한 것에 비해 사포닌 함량이 10~20% 정도 감소하였다.
실험예 3: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살포하지 않고, 재배한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함량 측정
제주감귤, 아스파라거스,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샤인머스켓, 복숭아,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쌀, 딸기 및 무를 생산하는 식물체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7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을 살포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배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식물체에서 수확한 제주감귤, 아스파라거스,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샤인머스켓, 복숭아,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쌀, 딸기 및 무에서 사포닌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측정하기 어려운 수준이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Ca, Al, K, Mg, Na, S 및 P로 이루어지는 미네랄 10~40 중량부;
    삼나무, 질경이, 소나무, 계피, 전나무, 주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줄기, 잎 및 나무 껍질로부터 열수 추출한 식물 추출물 10~20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의 분말 5~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은 식물체 유래 열매, 잎, 가지,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함량은 2.5 mg/g ~ 70 mg/g 인 것인,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함량은 18 mg/g ~ 60 mg/g 인 것인,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은 감귤, 아스파라거스, 고추, 방울토마토, 미니 찰대추 토마토, 샤인머스켓, 복숭아,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및 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 유래 산물은 고구마, 황금향, 홍매향 및 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7.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8. 제1항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또는 제7항의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식물체 유래 산물의 제조방법.
KR1020210180628A 2021-12-16 2021-12-16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KR10238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28A KR102386366B1 (ko) 2021-12-16 2021-12-16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28A KR102386366B1 (ko) 2021-12-16 2021-12-16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366B1 true KR102386366B1 (ko) 2022-04-15

Family

ID=8121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628A KR102386366B1 (ko) 2021-12-16 2021-12-16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3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717B1 (ko) * 2016-07-21 2017-07-06 최상일 식물생장 촉진용 조성물
JP2018084274A (ja) * 2016-11-22 2018-05-31 中国電力株式会社 塗料剥離用ナット
CN110396032A (zh) * 2019-09-03 2019-11-01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一种提高人参、西洋参品质的营养调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68131B1 (ko) 2020-02-26 2020-10-20 김동현 사포닌을 함유한 기능성 쌀 및 이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717B1 (ko) * 2016-07-21 2017-07-06 최상일 식물생장 촉진용 조성물
JP2018084274A (ja) * 2016-11-22 2018-05-31 中国電力株式会社 塗料剥離用ナット
CN110396032A (zh) * 2019-09-03 2019-11-01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一种提高人参、西洋参品质的营养调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68131B1 (ko) 2020-02-26 2020-10-20 김동현 사포닌을 함유한 기능성 쌀 및 이의 생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18084274 A1
보령시장신문 기사_2021.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vatt et al. Phosphite fertilizers: What are they? Can you use them? What can they do
ES2645083T3 (es) Uso de microorganismos y nutrientes sinérgicos para producir señales que facilitan la germinación y la colonización de raíces vegetales por hongos micorrizales en ambientes ricos en fósforo
Chaturvedi et al. Effect of zinc and iron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trawberry cv. Chandler
KR100612641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채소의 재배방법
Mostafa Impact of NPK fertilization and lithovit rates on growth, yield components and chemical constituents of Stevia rebaudiana Bert. Plant
Alkharpotly et al. Impact of soil humic acid soil application and seaweed extract foliar spray on growth, yield, and fruits quality of strawberry plants grown under Aswan conditions
Margal et al. Effect of seaweed extracts on crop growth and soil: A review
CN110073875A (zh) 一种富硒芒果的高产种植方法
Shaltout et al. Effect of foliar spray with K and Mn on the growth of Swietenia mahagoni (L.) Jacq. under different drought levels
KR102386366B1 (ko) 식물체 유래 산물의 사포닌 생성 증진용 조성물
Arafa et al. Effect of potassium fertilizer, biostimulants and effective microorganisms on growth, carbohydrates concentration and ion percentage in the shoots of potato plants
KR100842360B1 (ko) 고칼슘 양파 및 그 재배방법
Bhatti et al. Effect of different doses of urea and nano-urea on yield and quality of guava (Psidium guajava L.) cv. Lucknow-49
Tantawy et al. Efficiency of foliar application by chitosan and royal jelly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two garlic cultivars
Jat et al. A review on use of micronutrients in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 crops
KR101872494B1 (ko) 작물 생육 촉진용 영양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Belal Effect of some biostimulants of growth, yield and berry quality of King Ruby grapevines
Milivojević et al. Variation in health promoting compounds of blueberry fruit associated with different nutrient management practices in a soilless growing system
KR101002570B1 (ko) 기능성 사과 재배를 위한 베타카로틴 조성물
Ichwan et al. Influence of biostimulants and media compositions on growth and yield of Capsicum annuum L. under drought stress conditions
Sadeghi Chah-Nasir et al. Effect of Humic Acid and Amino Acid Foliar Application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ruit Quality of Tomato (Solanum lycopersicom L.)
Taha The complementary effect of biostimulants and nitrogen fertilizer on improving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squash (Cucurbita pepo L.)
Hassan Effect of different natural potassium fertilizer rates and microbial inoculants as well as foliar spray of calcium on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plants grown under organic fertilizer systems
CN108094177A (zh) 一种营养花椰菜的无土栽培方法
Galande et al. Studies on effects of graded levels of zinc and Trichoderma viride, Pseudomonas striata on yield and quality attributing characters i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