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471B1 -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471B1
KR102385471B1 KR1020200104653A KR20200104653A KR102385471B1 KR 102385471 B1 KR102385471 B1 KR 102385471B1 KR 1020200104653 A KR1020200104653 A KR 1020200104653A KR 20200104653 A KR20200104653 A KR 20200104653A KR 102385471 B1 KR102385471 B1 KR 102385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wire rod
bainite
heat treatment
retained auste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3118A (en
Inventor
이형직
박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0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471B1/en
Publication of KR2022002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471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73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 C21D9/5732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cooling of wires; of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응력 및 부식 환경에 노출되는 산업기계, 자동차 또는 구조물 등의 복잡한 형상의 부품으로 이용될 수 있는 선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되는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로, C: 0.20 내지 0.50%, Si: 0% 초과 0.5% 이하, Mn: 0.4 내지 1.4%, P: 0.030% 이하, S: 0.030% 이하, Al: 0.010 내지 0.050%, N: 0.010 내지 0.020%, Cr: 0.7 내지 1.4%, Mo: 0.1 내지 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부피분율로, 85%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15%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0.7 내지 1.5중량%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Disclosed herein are wire rods that can be used as parts of complex shapes such as industrial machines, automobiles, or structures exposed to various stress and corrosive environmen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wire rod having improved cold workability, by weight, C: 0.20 to 0.50%, Si: more than 0% and 0.5% or less, Mn: 0.4 to 1.4%, P: 0.030% or less, S: 0.030 % or less, Al: 0.010 to 0.050%, N: 0.010 to 0.020%, Cr: 0.7 to 1.4%, Mo: 0.1 to 0.5%, the remainder including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by volume fraction, 85% or more of bainite and 15% or less of retained austenite, and a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may satisfy a range of 0.7 to 1.5 wt%.

Description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및 그 제조방법{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응력 및 부식 환경에 노출되는 산업기계, 자동차 또는 구조물 등의 복잡한 형상의 부품으로 이용될 수 있는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rod having improved cold workab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o a wire rod that can be used as parts of complex shapes such as industrial machines, automobiles, or structures exposed to various stress and corrosion environmen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선재는 냉간 가공 공정을 통해 볼트, 볼 등 다양한 모양의 최종제품으로 제조된다. 냉간 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금형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상화 열처리를 통한 미세조직 제어로 선재의 강도를 낮추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보통 최종제품의 형상이 복잡할수록 높은 수준의 구상화율이 요구되고, 이를 위해서는 최소 1회 이상의 구상화 열처리가 요구된다. Wire rods are manufactured into final products of various shapes such as bolts and balls through a cold working process. In order to minimize the wear of the mold used in the cold working process, a method of lowering the strength of the wire rod by controlling the microstructure through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is used. Usually, the more complex the shape of the final product, the higher the spheroidization rate is required, and for this, at least one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is required.

구상화 열처리는 강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페라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으로 이루어진 강재를 일정 온도범위에서 15시간 이상으로 장시간 동안 유지해야 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어 제조원가 측면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다. Although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teel, it is costly and disadvantageous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because the steel made of ferrite and pearlite must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a certain temperature range for more than 15 hours.

선재 상태에서의 미세조직을 미세한 펄라이트 조직으로 만들거나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와 같은 저온 조직으로 만들 수 있으면 구상화 열처리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선재 냉각 방식으로는 냉각속도의 한계로 인해 전술한 미세한 펄라이트 조직이나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와 같은 저온 조직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If the microstructure in the wire rod state can be made into a fine pearlite structure or a low-temperature structure such as bainite or martensite,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ti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However, in a conventional wire rod cool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form the aforementioned fine pearlite structure or low-temperature structure such as bainite or martensit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ooling rat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8511호(공개일:2007년07월02일)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68511 (published on July 02, 2007)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금조성과 제조방법을 통해 미세조직을 제어함으로써 구상화 열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동시에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le shortening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time by controlling the microstructure through the alloy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는 중량%로, C: 0.20 내지 0.50%, Si: 0% 초과 0.5% 이하, Mn: 0.4 내지 1.4%, P: 0.030% 이하, S: 0.030% 이하, Al: 0.010 내지 0.050%, N: 0.010 내지 0.020%, Cr: 0.7 내지 1.4%, Mo: 0.1 내지 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부피분율로, 85%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15%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0.7 내지 1.5중량%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y weight, C: 0.20 to 0.50%, Si: more than 0% and 0.5% or less, Mn: 0.4 to 1.4%, P : 0.030% or less, S: 0.030% or less, Al: 0.010 to 0.050%, N: 0.010 to 0.020%, Cr: 0.7 to 1.4%, Mo: 0.1 to 0.5%, the remainder including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the volume As a fraction, it has a microstructure including 85% or more of bainite and 15% or less of retained austenite, and a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may satisfy a range of 0.7 to 1.5 wt%.

또한, 본 발명의 각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에 있어서, 부피분율로, 베이나이트 85 내지 95%,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내지 1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volume fraction, 85 to 95% of bainite and 5 to 15% of retained austenite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각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나이트의 래쓰 두께가 1㎛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tice thickness of the bainite may be 1 μm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각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에 있어서, 구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는 20㎛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may be 20㎛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각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에 있어서, 700 내지 800℃에서 12시간 이하로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heroidization rate may be 90% or more during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t 700 to 800° C. for 12 hours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각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에 있어서, 700 내지 800℃에서 12시간 이하로 구상화 열처리 시 임계 업셋율이 70% 이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itical upset rate may be 70% or more during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t 700 to 800° C. for 12 hours or less.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20 내지 0.50%, Si: 0% 초과 0.5% 이하, Mn: 0.4 내지 1.4%, P: 0.030% 이하, S: 0.030% 이하, Al: 0.010 내지 0.050%, N: 0.010 내지 0.020%, Cr: 0.7 내지 1.4%, Mo: 0.1 내지 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선재 압연하고, 700 내지 900℃에서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강재를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의 용융염 또는 용융납에 침지하여 10℃/s 초과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다음, 5분 이상 항온 열처리하는 단계 및 공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y weight, C: 0.20 to 0.50%, Si: more than 0% and 0.5% or less, Mn: 0.4 to 1.4%, P: 0.030% or less, S: 0.030% or less, Al: 0.010 to 0.050%, N: 0.010 to 0.020%, Cr: 0.7 to 1.4%, Mo: 0.1 to 0.5%, balance Fe and inevitable A step of wire-rolling a steel material containing impurities and winding it at 700 to 900°C, immersing the wound steel material in molten salt or molten lead at a temperature exceeding the martensitic transformation initiation temperature to a cooling rate of more than 10°C/s After cooling to a furnace, it may include a step of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for 5 minutes or more, and a step of air cooling.

또한, 본 발명의 각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융염 또는 용융납의 온도는 300 내지 400℃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 rod having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salt or molten lead may be 300 to 400 °C.

본 발명에 따르면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을 제어하여 선재의 기지조직을 베이나이트로 제어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구상화 열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동시에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alloy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to control the matrix structure of the wire rod to bainite, and by controlling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the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time is short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ld workability is improved, the wire ro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an provi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때문에 가령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여야만 하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덧붙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명확히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지,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를 예비적으로 배제하고자 사용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xamples. Therefore, for example, a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requires it to be singular. In addition, as used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includes" are used to clearly indicate that the features, steps, function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ther featur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use is not intended to preliminarily exclude the existence of elements, steps, function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특정 용어가 과도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가령,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should be regard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specific ter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unduly idealistic or formal sense. For example, a singular expression herei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의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bout", "substantially", etc.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in a precise sens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reasonable use by unconscionable infringers of the mentioned disclosure.

본 발명자들은 산업기계, 자동차 또는 구조물 등의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요구되는 냉간 가공성을 확보하면서도,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는 장시간의 구상화 열처리를 단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합금조성 및 미세조직을 제어함으로써 베이나이트가 기지조직이 되는 미세조직을 도출하는 것과 동시에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in depth a way to shorten the long-term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performed to secure workability while securing the cold workability required to manufacture parts of complex shapes such as industrial machines, automobiles, or structure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 be solved by controlling the alloy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to derive a microstructure in which bainite becomes a matrix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controlling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came to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는 중량%로, C: 0.20 내지 0.50%, Si: 0% 초과 0.5% 이하, Mn: 0.4 내지 1.4%, P: 0.030% 이하, S: 0.030% 이하, Al: 0.010 내지 0.050%, N: 0.010 내지 0.020%, Cr: 0.7 내지 1.4%, Mo: 0.1 내지 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y weight, C: 0.20 to 0.50%, Si: more than 0% and 0.5% or less, Mn: 0.4 to 1.4%, P: 0.030% or less, S: 0.030% Hereinafter, Al: 0.010 to 0.050%, N: 0.010 to 0.020%, Cr: 0.7 to 1.4%, Mo: 0.1 to 0.5%, the remainder may include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각 합금원소의 성분범위를 한정한 이유를 이하에서 서술한다. The reason for limiting the component range of each alloy element will be described below.

C의 함량은 0.20 내지 0.50중량%일 수 있다. The content of C may be 0.20 to 0.50 wt%.

C는 제품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원소이다. C의 함량이 0.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목표하는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 상변태가 빠르게 진행되어 베이나이트 상을 충분히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C 상한은 0.50중량%로 한정될 수 있다.C is an element added to secure product strength. When the content of C is less than 0.20% by weight, the target strength cannot be secured. However, when the content is excessi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errite and pearlite phase transformation proceeds rapidly to sufficiently form a bainite phase, and the upper limit of C may be limited to 0.50 wt%.

Si의 함량은 0중량% 초과 0.5중량% 이하일 수 있다. The content of Si may be greater than 0% by weight and less than or equal to 0.5% by weight.

Si은 강의 탈산을 위해서 유용할 뿐만 아니라, 고용 강화를 통해 강도 확보에도 효과적이어서 0중량% 초과하여 첨가된다. 강의 탈산 및 고용 강화를 통한 강도 강화를 위하여 Si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Si은 과다첨가 시 강재의 충격특성을 저하시킨다. 만약 그 함량이 0.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특성 및 냉간 가공성의 저하가 우려되므로 Si 상한은 0.5중량%로 한정될 수 있다. Si is not only useful for deoxidation of steel, but is also effective in securing strength through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so it is added in excess of 0 wt%. For strength enhancement through deoxidation and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of steel, the content of Si may be preferably 0.1 wt% or more. However, when Si is excessively added, the impact properties of the steel are deteriorated. If the content exceeds 0.5% by weight, the upper limit of Si may be limited to 0.5% by weight because there is concern about deterioration of impact properties and cold workability.

Mn의 함량은 0.4 내지 1.4중량%일 수 있다. The content of Mn may be 0.4 to 1.4% by weight.

Mn은 경화능을 향상시키고, 기지조직 내에 치환형 고용체를 형성하여 고용강화 효과를 나타내는 원소로 본 발명에서 0.4중량% 이상 첨가된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망간편석이 발생하여 선재 조직이 불균일해지고, 경화능이 커져 베이나이트 형성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Mn 상한은 1.4중량%로 한정될 수 있다.Mn is an element that improves hardenability and forms a substitutional solid solution in the matrix to exhibit a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ffect, and is added in an amount of 0.4 wt% or 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f the content is excessive, manganese segregation occurs and the wire rod structure becomes non-unifor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time is required to form bainite due to increased hardenability, so the upper limit of Mn may be limited to 1.4% by weight.

P 및 S의 함량은 0.030중량% 이하일 수 있다.The content of P and S may be 0.030% by weight or less.

P과 S은 강 제조과정 중에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원소로서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인성을 저하시키고 지연파괴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며, 특히 S은 저융점 유화물을 형성하여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P와 S는 가능한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P, S 상한은 0.030중량%로 한정될 수 있다. P and S are elements that are inevitably incorporated during the steel manufacturing process, and are segregated at grain boundaries to decrease toughness and reduce delayed fracture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P and S are not included as much as possibl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mit of P and S may be limited to 0.030% by weight.

Al의 함량은 0.010 내지 0.050중량%일 수 있다. The content of Al may be 0.010 to 0.050 wt%.

Al은 강력한 탈산 원소로서 강 중 산소를 제거해 청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강 중 고용된 질소와 결합하여 AlN을 형성함으로써 결정립을 미세화하게 한다. 그 결과, 강재의 연성 및 충격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을 적극적으로 첨가하여 0.010중량% 이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다만, Al 함량이 과다하여 0.050중량%를 초과하면 알루미나 개재물이 다량 생성되어 기계적 물성을 크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본 발명에서 Al 상한은 0.050중량%로 한정될 수 있다. As a strong deoxidizing element, Al not only improves the cleanliness by removing oxygen from the steel, but also refines the crystal grains by combining with nitrogen dissolved in the steel to form AlN. As a result, the ductility and impact toughness of the steel can be impro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uminum may be actively added to be added in an amount of 0.010% by weight or more. However, if the Al content is excessive and exceeds 0.050% by weight, a large amount of alumina inclusions are generated and there is a fear that mechanical properties are greatly reduced, so the upper limit of Al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mited to 0.050% by weight.

N의 함량은 0.010 내지 0.020중량%일 수 있다. The content of N may be 0.010 to 0.020 wt%.

N는 질화물을 형성하여 결정립을 미세하게 하여 강도 및 연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N의 함량은 0.010중량% 이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다만, N 함량이 과다하여 0.0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 중 고용되는 질소량이 증가하여 냉간 단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본 발명에서 N 상한은 0.020중량%로 한정될 수 있다. N is an element that improves strength and ductility by forming a nitride to make crystal grains fine. To this end, the content of 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0.010% by weight or more. However, when the N content is excessive and exceeds 0.020% by weigh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amount of nitrogen dissolved in the steel increases to deteriorate cold forgeability, and thus the upper limit of N may be limited to 0.020% by we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Cr의 함량은 0.7 내지 1.4중량%일 수 있다. The content of Cr may be 0.7 to 1.4% by weight.

Cr은 Mn과 함께 고용강화 및 경화능 향상에 유효하고, 부식 환경에서는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Cr은 첨가 시 상변태 거동에 크게 영향을 주며, 상대적으로 느린 냉각속도에서도 페라이트, 펄라이트 형성이 늦어지는 반면 베이나이트가 잘 형성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평형상태에서의 변태온도에도 영향을 준다. 아울러, Cr은 베이나이트 변태 시 탄화물의 핵으로 작용하여 베이나이트 내부에 탄화물 석출을 촉진하고 강도 및 충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0.7중량% 이상 첨가한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조대한 탄화물이 생성되거나 베이나이트 형성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 Cr 상한은 1.4중량%로 한정될 수 있다. Cr, together with Mn, is effective for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and hardenability improvement, and is an element that improves corrosion resistance in a corrosive environment. In addition, when Cr is added, it greatly affects the phase transformation behavior, and even at a relatively slow cooling rate, the formation of ferrite and pearlite is slowed, while bainite is well formed, and it also affects the transformation temperature in the equilibrium state. In addition, Cr acts as a nucleus of carbide during bainite transformation to promote carbide precipitation inside bainite and improve strength and impact properties, so that it is added in an amount of 0.7 wt% or 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the content is excessive, there is a problem that coarse carbide is generated or an excessive time is required to form bainite, so the upper limit of C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mited to 1.4% by weight.

Mo의 함량은 0.1 내지 0.5중량%일 수 있다. The content of Mo may be 0.1 to 0.5% by weight.

Mo은 경화능을 향상시키고 입계 산화 억제에 효과적인 원소이며, 특히 베이나이트 형성을 위한 열처리 과정에서 형성되는 Mo 탄화물(Mo을 포함하는 탄화물)은 강력한 수소 트랩 사이트로 작용하여 지연파괴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Mo는 첨가 시 상변태 거동에 크게 영향을 주며, 상대적으로 느린 냉각속도에서도 페라이트, 펄라이트 형성이 늦어지는 반면 베이나이트가 잘 형성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평형상태에서의 변태온도에도 영향을 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Mo은 0.1중량% 이상 첨가된다. 다만, Mo 함량이 과다하면 경화능이 과도하게 커져 베이나이트 형성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 Mo 상한은 0.5중량%로 한정될 수 있다.Mo is an element effective in improving hardenability and inhibiting intergranular oxidation. In particular, Mo carbide (carbide containing Mo) formed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for bainite formation acts as a strong hydrogen trap site to improve delayed fracture resistance. there is. In addition, when Mo is added, it greatly affects the phase transformation behavior, and even at a relatively slow cooling rate, the formation of ferrite and pearlite is slowed, while bainite is well formed, and it also affects the transformation temperature in the equilibrium state.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Mo is added in an amount of 0.1% by weight or more. However, if the Mo content is excessive, the hardenability becomes excessively larg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time is required to form bainite, so the upper limit of M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mited to 0.5% by weight.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The remaining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ron (Fe). However, since unintended impurities from raw materials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inevitably be mixed in the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this cannot be excluded. Since these impurities are known to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manufacturing processes, all details thereof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술한 합금조성의 선재는 부피분율로, 85%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15%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rod having the above alloy composition may have a microstructure including 85% or more of bainite and 15% or less of retained austenite by volume fraction.

잔류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부피분율로 15%를 초과하면 고용 탄소 함량이 낮아져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신선가공 중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나 강도가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직이 불균일해져 구상화 열처리 후 선재의 물성이 열위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일 예에 따른 선재는 바람직하게는 부피분율로 베이나이트 85 내지 95%,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내지 15%를 포함할 수 있다. If the retained austenite structure exceeds 15% by volume fraction,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s lowered and the retained austenite phase becomes unstable. Therefore, martensitic transformation occurs during wire drawing to greatly increase strength, and the structure becomes non-uniform. There is a risk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may be inferior. In this aspect, the wire rod according to an example may include 85 to 95% of bainite and 5 to 15% of retained austenite by volume fraction.

잔류 오스테나이트 내 고용 탄소 함량은 신선 가공 중 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경향에 영향을 미치며, 지나치게 과다하면 신선 가공 중 변형 쌍정(deformation twin)이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강재가 취화될 우려가 있다. The dissolved carbon content in retained austenite affects the transformation tendency from austenite to martensite during wire drawing, and if it is excessive, deformation twins are intensively formed during wire drawing, which may lead to brittleness of steel.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술한 미세조직을 구성하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0.7 내지 1.5중량%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만일 고용 탄소 함량이 0.7중량% 미만이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상 안정도가 낮아져 신선 가공 중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나기 쉬워 조직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고, 고용 탄소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신선 가공 중 변형 쌍정이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취화될 우려가 있다. 잔류 오스테나이트 내 고용 탄소는 베이나이트 변태가 일어나면서 고용한계를 초과하는 탄소가 오스테나이트로 확산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을 적절히 제어한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microstructure may satisfy the range of 0.7 to 1.5% by weight. If the dissolved carbon content is less than 0.7% by weight, the phase stability of retained austenite is lowered, so martensite transformation tends to occur during wire drawing,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structure becomes non-uniform. Twin crystals are formed intensively, and there is a risk of embrittlement. As the solid solution carbon in retained austenite undergoes bainite transformation, carbon exceeding the solid solution limit is diffused into austenite. In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this, the content of solid solution carbon in retained austenite is appropriately controlled.

베이나이트는 한 개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패킷(packet)과 블록(block)이라고 하는 하부 조직의 단위로 분할되어 생성된다. 패킷은 가장 조밀한 결정면이 서로 평행관계를 갖는 래쓰(lath)집단이고, 블록은 등가의 결정방위를 갖는 래쓰집단이며, 한 개의 패킷은 여러 개의 블록으로 분할된다.Bainite is produced by dividing one austenite grain into substructure units called packets and blocks. A packet is a lath group in which the densest crystal plan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 block is a lath group having an equivalent crystal orientation, and one packet is divided into several blocks.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미세조직을 구성하는 베이나이트의 래쓰 두께는 1㎛ 이하일 수 있다. 래쓰 두께가 1㎛를 초과하면 구상화 열처리 시간이 길어져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강의 합금조성, 제조공정 등의 조건을 조절하여 래쓰 두께가 1㎛ 이하가 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이나이트 래쓰 두께는 0.8㎛ 이하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tice thickness of bainite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microstructure may be 1 μm or less. If the lattice thickness exceeds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time is long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ditions such as the alloy composition of the steel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that the lattice thickness is 1㎛ or less. More preferably, the bainite lattice thickness may be 0.8 μm or less.

본 발명에 따르면 구(舊)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prior austenite grain size)는 20㎛ 이하일 수 있다. 결정립 크기가 지나치게 조대하면 구상화 열처리 시간이 길어져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를 20㎛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오스테나이트란 항온 열처리 이전의 선재 미세조직 내 오스테나이트를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may be 20 μm or less. If the grain size is too coarse,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time is long,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s. Therefore,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can be controlled to 20 μm or less. Here, the old austenite means austenite in the wire rod microstructure before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본 발명의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는 다양한 응력 및 부식 환경에 노출되는 산업기계, 자동차 또는 구조물 등의 복잡한 형상의 부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재는 1회 이상의 신선가공 및 구상화 열처리와 냉간 단조 등을 수행하여 다양한 형상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부품의 예로는 너트, 볼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열거된 예시일 뿐 특별히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parts of complex shapes such as industrial machines, automobiles, or structures exposed to various stress and corrosive environments. The wir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to parts of various shapes by performing one or more wire drawing,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cold forging, etc.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are only examples listed to aid understanding, and do not specifically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는 700 내지 800℃에서 12시간 이하로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pheroidization rate of 90% or more during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at 700 to 800° C. for 12 hours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는 700 내지 800℃에서 12시간 이하로 구상화 열처리 시 임계 업셋율이 70% 이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ritical upset rate of 70% or more when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t 700 to 800° C. for 12 hours or less.

다음으로, 본 발명의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rod having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선재는 상술한 합금조성을 가지는 강재를 선재 압연 - 권취 - 항온 열처리 - 공냉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wire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wire rod rolling - winding -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 air cooling of a steel material having the above-described alloy composition.

일 예에 따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20 내지 0.50%, Si: 0% 초과 0.5% 이하, Mn: 0.4 내지 1.4%, P: 0.030% 이하, S: 0.030% 이하, Al: 0.010 내지 0.050%, N: 0.010 내지 0.020%, Cr: 0.7 내지 1.4%, Mo: 0.1 내지 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선재 압연하고, 700 내지 900℃에서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강재를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의 용융염 또는 용융납에 침지하여 10℃/s 초과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다음, 5분 이상 항온 열처리하는 단계 및 공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according to an example is, by weight, C: 0.20 to 0.50%, Si: more than 0% and 0.5% or less, Mn: 0.4 to 1.4%, P: 0.030% or less, S: 0.030% Hereinafter, Al: 0.010 to 0.050%, N: 0.010 to 0.020%, Cr: 0.7 to 1.4%, Mo: 0.1 to 0.5%, the remainder is a steel material containing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the wire is rolled, and at 700 to 900 ° C. Winding up, immersing the wound steel material in molten salt or molten lead at a temperature exceeding the martensitic transformation initiation temperature, cooling it at a cooling rate of more than 10 ° C / s, and then performing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for 5 minutes or more and air cooling may include steps.

합금원소 함량의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편의상 생략한다.The explanation of the reason for limit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alloying element conten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u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먼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술한 합금조성을 갖는 강재를 선재 압연하고, 700 내지 900℃에서 권취할 수 있다. 권취온도가 700℃ 미만인 경우, 초석 페라이트 변태가 용이해져 베이나이트를 기지조직으로 하는 미세조직을 도출할 수 없다. 반면에 권취온도가 9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AGS)이 조대해져 상변태 후 베이나이트의 래쓰 두께가 1㎛를 초과하게 된다. 그 결과 구상화 열처리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공정 비용이 증가하므로 권취온도는 700 내지 9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el material having the above-described alloy composition may be wire-rolled and wound at 700 to 900°C. If the coiling temperature is less than 700 ℃, proeutectoid ferrite transformation becomes easy, and it is impossible to derive a microstructure having bainite as a matrix struct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iling temperature exceeds 900°C, the austenite grain size (AGS) becomes coarse, so that the lattice thickness of bainite exceeds 1 μm after phase transformation. As a result, since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time becomes longer and the process cost increases, the coi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set to 700 to 900°C.

이후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권취된 강재를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 온도(Ms)를 초과하는 용융염 또는 용융납에 침지하여 급냉시키고, 이 온도 범위에서 항온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항온 열처리 온도는 용융염 또는 용융납의 온도와 거의 동일하다. Afterward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und steel is immersed in a molten salt or molten lead exceeding the martensite transformation initiation temperature (Ms) so that martensite is not formed and quenched, and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can be performed in this temperature range. there is. At this time, the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almost the same as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salt or molten lead.

본 발명에서는 Cr과 Mo를 첨가하여 100℃/s 초과의 냉각속도 보다 훨씬 느린 냉각속도에서도 페라이트, 펄라이트 형성을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용융염 또는 용융납에 침지하여 10℃/s 초과의 냉각속도로 냉각할 수 있다. 만약 냉각속도가 10℃/s 이하이면 냉각 중에 초석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가 형성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용융염 또는 용융납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400℃일 수 있다. 항온 열처리 온도가 300℃ 미만이면 베이나이트 변태시간이 길어져 충분한 생산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미세조직이 불균일해지고,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고용 탄소 함량이 과도해져 냉간 신선 시 변형이 집중되어 취화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구상화 열처리 후 선재의 물성이 열위될 우려가 있다. 반면 항온 열처리 온도가 400℃를 초과하게 되면, 베이나이트 대신 미세한 펄라이트가 형성되어 구상화 열처리 시간이 길어져 공정 비용이 증가하므로 생산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탄소 함량이 너무 낮아 냉간 신선 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r and M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low down the formation of ferrite and pearlite even at a cooling rate much slower than a cooling rate of more than 100°C/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oled by immersion in molten salt or molten lead at a cooling rate of more than 10 °C/s. If the cooling rate is 10° C./s or less, proeutectoid ferrite and pearlite may be formed during cooling, which is not preferable.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salt or molten lead may be preferably 300 to 400 °C. If the isothermal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less than 300℃, the bainite transformation time becomes long and sufficient productivity cannot be secured. There is a risk of embrittlement. As a result, there is a risk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wire rod may be inferior after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temperature exceeds 400 ° C., fine pearlite is formed instead of bainite, and the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time increases, so the process cost increases, so productivity cannot be secured. In addition, since the carbon content of retained austenite is too low, martensite transformation may occur during cold drawing.

항온 열처리는 5분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항온 열처리가 5분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일부 미변태 오스테나이트가 후속되는 공냉 중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어 선재 미세조직 내에 베이나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 이외에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면 필요 이상으로 강도가 크게 증가할 뿐 아니라 조직이 불균일해지고, 구상화 특성도 열위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The isothermal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for 5 minutes or longer, and when the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is maintained for less than 5 minutes, some untransformed austenite is transformed into martensite during subsequent air cooling and martensite in addition to the bainite and retained austenite phases in the wire rod microstructure. can be formed. When martensite is formed, not only the strength is greatly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but also the structure becomes non-uniform,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spheroidization characteristic may be inferior, so this is not preferable.

이어서 항온 열처리되어 변태 완료된 선재를 공냉할 수 있다. Then, it is possible to air-cool the transformed wire rod by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의 미세조직은 부피분율로, 85%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15%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0.7 내지 1.5중량%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나이트의 래쓰 두께가 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구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20㎛ 이하일 수 있다.The microstructure of the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has a microstructure including 85% or more of bainite and 15% or less of retained austenite by volume fraction, and a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This 0.7 to 1.5% by weight range may be satisfied. In addition, the lattice thickness of the bainite may be 1 μm or less. In addition,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may be 20㎛ or les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matters reasonably inferred therefrom.

{실시예}{Example}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강재를 1050℃로 재가열하고 선재 압연한 다음,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권취하고, 용융염 또는 용융납에 침지하여 항온 열처리를 실시한 후 공냉하여 선재를 제조하였다. The steel material hav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was reheated to 1050 ° C., and then the wire rod was rolled, and then wound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2 below, immersed in molten salt or molten lead, subjected to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and then air-cooled to prepare a wire rod.

표 2의 베이나이트 부피분율과 구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는 화상 분석기(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잔류 오스테나이트 부피분율은 Cu-Kα X선 회절 분석기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베이나이트 래쓰 두께는 후방 산란전자 회절(Electron Back Scatter Diffraction, EBS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volume fraction of bainite and the grain size of prior austenite in Table 2 were measured using an image analyzer, the volume fraction of retained austenite was measured using a Cu-Kα X-ray diffraction analyzer, and the thickness of the bainite lattice was measured at the rear. It was measured using scattering electron diffraction (Electron Back Scatter Diffraction, EBSD).

또한, 표 1, 2의 선재를 30% 냉간 신선한 다음 750℃에서 대략 10시간 구상화 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이때의 구상화율과 임계 업셋율을 측정하였다. In addition, the wire rods in Tables 1 and 2 were cold-fresh 30% and then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750° C. for about 10 hours, and the spheroidization rate and critical upset rate were measured at this time.

업셋율은 업셋(upsetting)에 따른 시편 높이의 변화율을 의미하며, 상온에서 측정되었다. 임계 업셋율이란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 업셋율을 의미한다. The upset rate refers to the rate of change of the specimen height according to upset, and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The critical upset rate means the maximum upset rate at which cracks do not occur.

구상화율은 임의의 10 이상의 지점에서 SEM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다음, x5000 시야에서 관찰한 모든 탄화물 중 종횡비가 2.5 이하인 구상화 탄화물의 점유율을 측정하여 도출하였다. The spheroidization rate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occupancy of spheroidized carbides having an aspect ratio of 2.5 or less among all carbides observed in a x5000 field of view after photographing with an SEM electron microscope at any 10 or more points.

강종steel grade 조성(중량%)Composition (wt%) CC SiSi MnMn PP SS AlAl NN CrCr MoMo AA 0.380.38 0.30.3 1.21.2 0.0180.018 0.0200.020 0.0330.033 0.0100.010 1.21.2 0.30.3 BB 0.280.28 0.50.5 1.01.0 0.0200.020 0.0100.010 0.0350.035 0.0150.015 1.01.0 0.50.5 CC 0.300.30 0.40.4 0.70.7 0.0140.014 0.0110.011 0.0290.029 0.0120.012 0.90.9 0.20.2 DD 0.260.26 0.20.2 0.90.9 0.0110.011 0.0180.018 0.0310.031 0.0140.014 1.31.3 0.30.3 EE 0.450.45 0.30.3 0.70.7 0.0210.021 0.0090.009 0.0230.023 0.0110.011 0.80.8 0.20.2 FF 0.270.27 0.40.4 1.01.0 0.0090.009 0.0120.012 0.0340.034 0.0150.015 0.80.8 0.40.4 GG 0.410.41 0.30.3 0.80.8 0.0120.012 0.0150.015 0.0370.037 0.0130.013 1.11.1 0.30.3 HH 0.350.35 0.20.2 1.21.2 0.0130.013 0.0080.008 0.0250.025 0.0110.011 0.90.9 0.10.1 II 0.310.31 0.30.3 1.01.0 0.0200.020 0.0150.015 0.0360.036 0.0160.016 1.01.0 0.20.2

강종steel grade 구분division 권취
온도
(℃)
winding
temperature
(℃)
항온 열처리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잔류
오스테나이트
residual
austenite
베이나이트bainite 구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
(㎛)
Old austenite grain size
(μm)
구상
화율
(%)
conception
harmony
(%)
임계
업셋율
(%)
critical
upset rate
(%)
유지
온도
(℃)
maintain
temperature
(℃)
유지
시간
(min)
maintain
time
(min)
부피
분율
(%)
volume
fraction
(%)
고용
탄소
함량
employ
carbon
content
부피
분율
(%)
volume
fraction
(%)
래쓰
두께
(㎛)
rath
thickness
(μm)
AA 발명예1Invention Example 1 810810 370370 99 1212 0.90.9 8787 0.80.8 1414 9090 7070 BB 발명예2Invention example 2 865865 355355 1010 1111 1.11.1 8989 0.70.7 1818 9292 7272 CC 발명예3Invention example 3 770770 330330 1313 88 1.41.4 9292 0.60.6 1010 9595 7979 DD 발명예4Invention Example 4 845845 340340 1212 99 1.21.2 9090 0.60.6 1717 9292 7474 EE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660660 320320 1818 88 1.31.3 7777 0.50.5 99 8080 5959 FF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950950 350350 1515 1010 1.11.1 8989 1.31.3 3838 8282 6464 GG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830830 265265 3030 77 1.81.8 7373 0.60.6 1515 8585 6565 HH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780780 435435 1010 33 0.50.5 -- -- 1111 7373 5555 II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860860 345345 22 77 1.31.3 5353 0.70.7 2020 8282 6464 AA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855855 400400 2525 1313 0.60.6 8282 1.01.0 1919 7979 6060 BB 비교예7Comparative Example 7 865865 300300 3030 77 1.71.7 9696 0.40.4 1919 8787 6868 CC 비교예8Comparative Example 8 830830 405405 1010 1616 0.50.5 8686 1.01.0 1313 8181 6161

표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합금조성과 제조조건을 충족하는 발명예 1~4의 선재들은 부피분율로, 85%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15%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잔류 베이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0.7 내지 1.5중량% 범위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베이나이트 래쓰 두께가 1㎛ 이하이며, 구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는 20㎛ 이하이며, 700 내지 800℃에서 12시간 이하로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이 90% 이상으로 높고, 임계 업셋율이 70% 이상으로 냉간 가공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s 1 and 2, the wire rods of Inventive Examples 1 to 4 satisfying the alloy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microstructure containing 85% or more of bainite and 15% or less of retained austenite by volume fraction, , it can be seen that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bainite satisfies the range of 0.7 to 1.5 wt%. In addition, the bainite lattice thickness is 1 μm or less,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is 20 μm or less, the spheroidization rate is high as 90% or more during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at 700 to 800 ° C. for 12 hours or less, and the critical upset rate is 70% It can be seen that the cold workability is improved as described above.

이에 비해 비교예 1은 권취온도가 660℃로 700℃미만으로 초석 페라이트 변태가 용이해짐에 따라 충분한 양의 베이나이트를 형성하지 못하여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과 임계 업셋율도 저하되었다. In comparison, Comparative Example 1 did not form a sufficient amount of bainite as the proeutectoid ferrite transformation was facilitated at a coiling temperature of 660 ° C. and less than 700 ° C.

비교예 2는 권취온도가 950℃로 900℃를 초과하여 베이나이트 래쓰 두께가 1㎛를 초과하고, 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도 20㎛를 초과함에 따라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과 임계 업셋율이 저하되었다.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spheroidization rate and critical upset rate were lowered during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as the coiling temperature was 950 ° C. .

비교예 3은 항온 열처리 온도가 265℃로 300℃ 미만으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미세조직이 불균일하게 도출되었으며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고용 탄소 함량이 1.8중량%로 과도하여 냉간 신선 시 변형이 집중되어 취화되었다. 그 결과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과 임계 업셋율이 저하되었다. In Comparative Example 3, the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temperature was 265°C and less than 300°C, martensite was formed, and the microstructure was non-uniformly derived. . As a result, the spheroidization rate and critical upset rate were lowered during the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비교예 4는 항온 열처리 온도가 435℃로 400℃를 초과하여 미세조직으로 베이나이트 대신 미세한 펄라이트가 형성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탄소 함량이 너무 낮아 냉간 신선 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났다. 그 결과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과 임계 업셋율이 저하되었다. In Comparative Example 4, the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temperature was 435° C., exceeding 400° C., and fine pearlite was formed instead of bainite as a microstructure, and the carbon content of retained austenite was too low, so martensitic transformation occurred during cold drawing. As a result, the spheroidization rate and critical upset rate were lowered during the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비교예 5는 항온 열처리 유지시간이 2분으로 너무 짧아 베이나이트가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고, 미변태 오스테나이트가 공냉 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였다. 그 결과 미세조직이 불균일해져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과 임계 업셋율이 저하되었다. In Comparative Example 5, the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holding time was too short to 2 minutes, so that bainite was not sufficiently formed, and untransformed austenite was transformed into martensite during air cooling. As a result, the microstructure became non-uniform, and the spheroidization rate and critical upset rate were lowered during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비교예 6, 7은 본 발명의 합금조성 및 베이나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부피분율을 만족하였으나,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본 발명이 한정한 범위를 벗어났다. Comparative Examples 6 and 7 satisfy the allo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olume fractions of bainite and retained austenite, but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is outside the range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0.6중량%로 적은 비교예 6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상 안정도가 낮아졌고, 신선 가공 중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나 조직이 불균일해져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과 임계 업셋율이 저하되었다. 반면,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1.7중량%로 과다한 비교예 7은 신선 가공 중 변형 쌍정이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강재가 취하되었다. 그 결과,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과 임계 업셋율이 저하되었다. In Comparative Example 6, where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was 0.6 wt%, the phase stability of the retained austenite was lowered, and the martensitic transformation occurred during wire drawing and the structure was non-uniform. became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7, in which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was excessive at 1.7 wt%, deformed twins were intensively formed during wire drawing, and the steel material was withdrawn. As a result, the spheroidization rate and the critical upset rate were lowered during the spheroidization heat treatment.

비교예 8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과다한 경우로 고용 탄소 함량이 낮아져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상 안정도가 낮아지고, 신선 가공 중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나 조직이 불균일해져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과 임계 업셋율이 저하되었다. In Comparative Example 8, when the retained austenite fraction is excessive,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s lowered, and the phase stability of the retained austenite is lowered. became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not depart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Claims (8)

중량%로, C: 0.20 내지 0.50%, Si: 0% 초과 0.5% 이하, Mn: 0.4 내지 1.4%, P: 0.030% 이하, S: 0.030% 이하, Al: 0.010 내지 0.050%, N: 0.010 내지 0.020%, Cr: 0.7 내지 1.4%, Mo: 0.1 내지 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부피분율로, 85%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15%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0.7 내지 1.5중량% 범위를 만족하고, 구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20㎛ 이하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In wt%, C: 0.20 to 0.50%, Si: more than 0% and 0.5% or less, Mn: 0.4 to 1.4%, P: 0.030% or less, S: 0.030% or less, Al: 0.010 to 0.050%, N: 0.010 to 0.020%, Cr: 0.7 to 1.4%, Mo: 0.1 to 0.5%, the balance contains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As a volume fraction, it has a microstructure including 85% or more of bainite and 15% or less of retained austenite,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satisfies the range of 0.7 to 1.5 wt%, and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is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20㎛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부피분율로, 베이나이트 85 내지 95%,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내지 15%를 포함하는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The method of claim 1,
A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comprising 85 to 95% of bainite and 5 to 15% of retained austenite by volume fra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나이트의 래쓰 두께가 1㎛ 이하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The method of claim 1,
A wire rod having improved cold workability of which the lattice thickness of the bainite is 1 μm or les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700 내지 800℃에서 12시간 이하로 구상화 열처리 시 구상화율이 90% 이상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The method of claim 1,
A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with a spheroidization rate of 90% or more when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t 700 to 800°C for 12 hours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700 내지 800℃에서 12시간 이하로 구상화 열처리 시 임계 업셋율이 70% 이상인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
The method of claim 1,
A wire rod with improved cold workability with a critical upset rate of 70% or more when spheroidizing heat treatment at 700 to 800°C for 12 hours or less.
중량%로, C: 0.20 내지 0.50%, Si: 0% 초과 0.5% 이하, Mn: 0.4 내지 1.4%, P: 0.030% 이하, S: 0.030% 이하, Al: 0.010 내지 0.050%, N: 0.010 내지 0.020%, Cr: 0.7 내지 1.4%, Mo: 0.1 내지 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선재 압연하고, 700 내지 900℃에서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강재를 300 내지 400℃의 용융염 또는 용융납에 침지하여 10℃/s 초과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다음, 5분 이상 항온 열처리하는 단계; 및
공냉하여 부피분율로, 85%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15%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고용 탄소 함량이 0.7 내지 1.5 중량% 범위를 만족하고 구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20㎛ 이하인 선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간 가공성이 향상된 선재의 제조방법.
In wt%, C: 0.20 to 0.50%, Si: more than 0% and 0.5% or less, Mn: 0.4 to 1.4%, P: 0.030% or less, S: 0.030% or less, Al: 0.010 to 0.050%, N: 0.010 to 0.020%, Cr: 0.7 to 1.4%, Mo: 0.1 to 0.5%, the remainder of the steel including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the wire rolling, and winding at 700 to 900 ℃;
immersing the wound steel material in molten salt or molten lead at 300 to 400° C. and cooling at a cooling rate of more than 10° C./s, followed by constant temperature heat treatment for at least 5 minutes; and
It has a microstructure containing 85% or more of bainite and 15% or less of retained austenite by volume fraction by air cooling, the solid solution carbon content in the retained austenite satisfies the range of 0.7 to 1.5 wt%, and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 rod having improved cold workability, comprising: manufacturing a wire rod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or less.
삭제delete
KR1020200104653A 2020-08-20 2020-08-20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854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53A KR102385471B1 (en) 2020-08-20 2020-08-20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53A KR102385471B1 (en) 2020-08-20 2020-08-20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18A KR20220023118A (en) 2022-03-02
KR102385471B1 true KR102385471B1 (en) 2022-04-13

Family

ID=8081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53A KR102385471B1 (en) 2020-08-20 2020-08-20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471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8664A (en) * 1997-04-23 1998-11-10 Nippon Steel Corp Manufacture of high tensile strength steel product having high uniform elongation and low yield ratio
KR100742820B1 (en) 2005-12-27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Steel wire having excellent cold heading quality and quenching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090227B1 (en) * 2017-12-20 2020-03-17 주식회사 포스코 High strength steel wire rod and high strength steel with excellent delay fracture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18037B1 (en) * 2019-12-17 2021-10-27 주식회사 포스코 Steel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18A (en)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170B1 (en) Steel wire rod having high strength and excellent toughness
KR20180033202A (en) A moldable lightweight steel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product from said steel
KR20170143415A (en) Steel reinforc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18037B1 (en) Steel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14903B1 (en) Steel wire rod having high strength and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385471B1 (en)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91061B1 (en)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14729A (en) Plastic die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0059B1 (en) Steel reinforc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70739A (en) Die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05299B1 (en)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85470B1 (en)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67677B1 (en) Steel wire rod having enhanced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76112B1 (en) Wire having high streng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292524B1 (en) Steel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47917B1 (en) Steel wire having enhanced cold 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76115B1 (en) Wire rod having high strength and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676111B1 (en) Wire having high streng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463018B1 (en) Steel wire rod with excellent impact toughne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40083197A (en) Mold steel and heat treatment method
KR101560877B1 (en) Medium carbon sofr wire rod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70944B1 (en) Steel wire rod for cold forg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003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lloy stee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elongation
KR101141015B1 (e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ydrogen delayed fracture resistance qua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685824B1 (en) Wire rod for cold forg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