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284B1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284B1
KR102384284B1 KR1020150046369A KR20150046369A KR102384284B1 KR 102384284 B1 KR102384284 B1 KR 102384284B1 KR 1020150046369 A KR1020150046369 A KR 1020150046369A KR 20150046369 A KR20150046369 A KR 20150046369A KR 102384284 B1 KR102384284 B1 KR 10238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olume
touch
electronic devic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078A (ko
Inventor
이승윤
곽영훈
김동규
전유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284B1/ko
Priority to US15/088,595 priority patent/US10491735B2/en
Publication of KR2016011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는 전면의 메인영역과 상기 메인영역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조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과,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볼륨 제어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USING TOUCH SCREEN}
다양한 실시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볼륨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전자 장치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음성 통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등과 같은 메시지 전송, 영상통화,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재생, 인터넷, 음악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신저, 사전, 게임 등의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게 되었다.
또한, 전자 장치는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 지속적으로 개량되고 있다. 일례로, 종래에는 전자 장치의 전면을 이용하여 표시영역(예: LCD,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전자 장치의 측면에도 표시영역을 구비하는 추세이다.
종래의 전자 장치는 전면에 표시영역을 구비하고, 측면에는 볼륨 업/다운 키, 잠금 키 등의 하드웨어 키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의 측면에도 표시영역이 구비되면, 측면에 하드웨어 키를 구비하거나, 추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터치스크린의 측면을 이용하여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의 메인영역과 상기 메인영역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조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과, 통화모드에서 상기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볼륨 제어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면의 메인영역과 상기 메인영역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조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은 통화모드로 진입하는 동작과, 상기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볼륨 제어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의 측면을 이용하여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전자 장치의 측면에 형성되는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고, 볼륨 제어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잡는 사용자의 손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에 따라 적절하게 볼륨 제어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측면에 볼륨 조절을 위한 하드웨어 키가 없어지더라도 전자 장치의 측면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다 직관적인 액션을 통하여 기존의 볼륨 조절보다 효과적이고 쉽게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화 중 볼륨 조절 버튼을 찾아 볼륨을 조절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볼륨 제어 영역의 사용 모드에 따라 볼륨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탭 입력방식의 볼륨 업/다운 영역을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스와이프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볼륨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손 조작모드에 따라 볼륨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든 개념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 Mounted Device; HM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의 메인영역과, 측면의 보조영역으로 구분된 터치스크린과, 표시 또는/및 기능 운용에 대해 상기 메인영역과 상기 보조영역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거나, 종속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200은 전면의 메인영역 110과, 측면의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및 제2 보조영역 120b로 구분된 터치스크린 220과, 터치스크린 220이 안착되어 체결되는 본체 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 150에는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을 위한 부가 장치, 예컨대, 스피커, 마이크, 센서(예: 조도센서, 전면 카메라), 연결 인터페이스(예: 충전 포트, 데이터 입/출력 포트, 오디오 입/출력 포트), 물리적인 또는 소프트웨어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면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 200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보이는 면이고, 측면은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좌/우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선이나 점이 아닌 일정한 면적을 갖는 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200은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어느 한 측면에만 보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200은 양 측면 모두에 보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200은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왼쪽 측면에 제1 보조영역 120a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200은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오른쪽 측면에 제2 보조영역 120b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200은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제1 보조영역 120a 및 제2 보조영역 120b를 구비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220은 메인영역 110과 보조영역 120a 또는/및 120b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면부를 기준으로 왼쪽에 형성된 보조영역을 제1 보조영역 120a라 하고, 오른쪽에 형성된 보조영역을 제2 보조영역 120b라 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한 것으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제1 보조영역 120a와 제2 보조영역 120b가 메인영역 110의 세로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보조영역은 메인영역 110의 가로방향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200은 제어부 210, 터치스크린 220, 오디오 처리부 230, 인터페이스부 240, 통신부 250 및 저장부 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 2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0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 210은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터치스크린 220의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볼륨 제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영역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 200을 잡았을 때, 터치스크린 220의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면적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볼륨 제어 영역은 볼륨 업 영역과 볼륨 다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 210은 터치스크린 220의 하나의 보조영역(예: 도 1a의 120a 또는 도 1b의 120b)을 두 개로 나눠서 각각 볼륨 업 영역과 볼륨 다운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터치스크린 220의 하나의 보조영역(예: 도 1c의 120a)을 볼륨 업 영역으로 지정하고, 다른 하나의 보조영역(예: 도 1c의 120b)을 볼륨 다운 영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터치 영역과 볼륨 제어 영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 210은 상기 볼륨 제어 영역에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면,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220은 전자 장치 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패널이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 220은 전면의 메인영역(예: 도 1a 내지 도 1c의 110)과, 측면의 보조영역(예: 도 1a 내지 도 1c의 120a 및/또는 12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메인영역 110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 200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보이는 영역이고, 제1 보조영역 120a 및/또는 제2 보조영역 120b는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선이나 점이 아닌 일정한 면적을 갖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보조영역 120a 및/또는 제2 보조영역 120b는 메인영역 1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메인영역 110과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전자 장치 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패널은 전자 장치 2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벤디드 디스플레이,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표시패널의 화면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상기 표시패널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 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표시패널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패널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치패널은 하나의 터치 포인트(예: 싱글 터치)뿐만 아니라, 동시에 여러 개의 터치 포인트(예: 멀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미도시)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 210으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 210은 표시패널의 어느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 230은 제어부 210으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231로 전송하고, 마이크 232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 2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 230은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 21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 231을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 232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 210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 231은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 250으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 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231은 전자 장치 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 통화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음악 파일 재생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마이크 232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통신부 250(예: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23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 240은 전자 장치 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장치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 240은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 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장치 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 240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 250은 제어부 21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예: 무선 통신 시스템, 다른 전자 장치)와 음성통화, 화상통화 또는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 25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RF(Radio Frequency)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 25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 250은 이동통신모듈(예: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세대(3.5-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또는 4세대(4-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방송모듈(예: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 및 근거리통신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 260은 제어부 2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전자도서,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 260에는 전자 장치 200의 기능 운용에 따른 사용 빈도(예: 어플리케이션 사용빈도, 전화번호, 메시지,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 등) 및 중요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 260에는 터치스크린 220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 2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 SD(Secure Digital) 또는 XD(eXtream Digital) 메모리 등)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200은 인터넷 상에서 저장부 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전자 장치 200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양한 제스처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전자 장치 2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접촉 유무, 전자 장치 200의 방위/위치/가속/감속 등과 같은 전자 장치 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생체 센서 및 온/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볼륨 제어 방법은 도 2의 전자 장치 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10에서, 제어부 21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 200이 통화모드에 진입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 210은 사용자에 의해 통화버튼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통화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른 후 통화버튼을 누르지만, 통화버튼이 눌러진다고 해서 곧바로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되지 않고, 상대방이 통화버튼을 눌러야 비로소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때는,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통화버튼이 눌러지면 곧바로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된다. 즉, 제어부 210는 통화 연결과 상관없이 사용자에 의해 통화버튼이 눌러지는지 여부에 따라 통화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 210은 통화버튼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후, 터치스크린 220의 표시패널이 꺼지면, 통화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할 때는, 전자 장치 200을 손으로 잡게 되는데, 잡은 손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입력에 의한 전자 장치 20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화버튼이 눌러진 후, 제어부 210은 센서(예: 적외선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등)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200이 사용자의 귀에 가까이 근접했는지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 210은 센서에서 감지한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200이 사용자의 귀에 접촉 또는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표시패널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표시패널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이 비활성화되면, 표시패널이 꺼지게 된다. 이 경우, 터치패널로 공급되는 전력도 함께 차단되어, 터치패널을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210은 통화 연결과 상관없이 사용자가 전자 장치 200을 사용자의 귀에 접촉 또는 근접한지 여부에 따라 통화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 210은 통화버튼을 누른 후,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면, 통화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는, 통화버튼이 눌러진 상태라도, 상대방과 전화 연결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통화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 210는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대방이 통화버튼을 눌러야 비로소 상대방과 전화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때는, 통화버튼이 눌러지면 바로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210은 통화버튼이 눌러지더라도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지 않으면 통화모드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 210은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통화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에서 설명한 세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만 만족하더라도 통화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이 만족해야만 통화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 210은 표시패널이 꺼지고, 통화가 연결되면, 비로소 통화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동작 320에서, 제어부 210은 상기 통화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터치스크린 220의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 220은 전자 장치 200의 전면뿐 아니라, 측면에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 210은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터치스크린 220의 메인영역 110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시켜 메인영역 110은 비활성화하고, 터치스크린 220의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및 제2 보조영역 120b로는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및 제2 보조영역 120b는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220의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및 제2 보조영역 120b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200을 잡은 손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및 제2 보조영역 120b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 면적 등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를 제어부 210으로 전달하고,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신호를 기반으로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및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및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는 터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후술하는 동작 330 및 340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및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다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 다시 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동작 330 및 340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주기적으로 터치 영역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터치 영역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동작 330 및 34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제어부 210은 상기 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볼륨 제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볼륨 제어 영역은 볼륨을 업/다운하는 영역으로, 보조영역(예: 도 1c의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 제2 보조영역 120b)의 전체 또는 일부가 볼륨 제어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210은 터치스크린 220의 어느 하나의 보조영역(예: 도 1c의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 제2 보조영역 120b)만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거나, 터치스크린 220의 제1 보조영역 120a 및 제2 보조영역 120b를 모두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어느 하나의 보조영역(예: 도 1c의 제1 보조영역 120a)만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를 두 영역으로 나누어 하나의 영역을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을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도 1c의 제2 보조영역 120b만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보조영역 120a 및 제2 보조영역 120b를 모두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볼륨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는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340에서, 제어부 210은 상기 볼륨 제어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볼륨 업 영역에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면, 볼륨을 업 제어하고, 볼륨 다운 영역에 터치 이벤트가 입력되면, 볼륨을 다운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사용자가 왼손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았을 때, 검출되는 터치 영역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참조번호 410은 엄지손가락 및 엄지손가락과 이어지는 사용자 손이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20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도 4b는 터치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조번호 411은 엄지손가락이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되어 검출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12는 엄지손가락과 이어지는 사용자 손이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되어 검출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즉, 제1 보조영역 120a는 상부 및 하부 두 개의 터치 영역 411 및 412에서 터치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 2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의 개수가 2개이며, 2개의 터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터치 영역의 개수와 면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치 200을 잡은 손이 엄지손가락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엄지손가락이 전자 장치 200을 접촉하는 터치 영역의 개수가 다른 네 손가락이 전자 장치 200을 접촉하는 터치 영역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 200은 기준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엄지손가락은 다른 네 손가락에 비해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전자 장치 200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 200은 기준 터치 면적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터치 면적은 엄지손가락의 터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고, 다른 네 손가락의 터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된 터치 영역의 개수가 기준개수(예: 2개) 이하이고, 터치 영역의 면적이 기준 터치 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된 터치 영역의 개수가 2개로 기준개수 이하이고, 상기 터치 영역 중 하나의 터치 영역 412가 기준 터치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되는 손이 엄지손가락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참조번호 421은 검지손가락이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어 검출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22는 중지손가락이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어 검출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23은 약지손가락이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어 검출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24는 새끼손가락이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어 검출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즉, 제2 보조영역 120b는 네 개의 손가락이 닿는 위치 421 내지 424에서 터치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 2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의 개수가 4개이며, 4개의 터치 면적을 각각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 210은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된 터치 영역의 개수가 기준개수를 초과하고, 터치 영역의 면적이 기준 터치 면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된 터치 영역의 개수가 4개로 기준개수를 초과하고, 상기 터치 영역 421 내지 424의 면적이 기준 터치 면적 이하인 경우,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는 손이 엄지손가락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와 제2 보조영역 120b에 각각 접촉되는 터치 영역의 개수 및 면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치 200을 잡고 있는 손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와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의 개수가 동일하더라도,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이 기준 터치 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엄지손가락이 접촉된 보조영역이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 제2 보조영역 120b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기준 터치 면적을 초과하는 터치 영역이 접촉된 보조영역을 엄지손가락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 200을 잡을 때,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치 200을 잡고 있는 손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볼륨 제어 영역의 사용 모드에 따라 볼륨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볼륨 제어 영역을 결정할 때, 동작 510에서, 제어부 210은 볼륨 제어 영역의 사용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볼륨 제어 영역의 사용 모드는 터치스크린 220의 어느 하나의 보조영역만 볼륨 제어 영역으로 사용하는 '한 측면 사용모드'와, 터치스크린 220의 제1 보조영역 120a 및 제2 보조영역 120b를 모두 볼륨 제어 영역으로 사용하는 '양 측면 사용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한 측면 사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 520에서, 제어부 210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볼륨 제어 영역은 보조영역(예: 도 1c의 제1 보조영역 120a 또는 제2 보조영역 120b)의 전체 또는 일부가 볼륨 제어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1 보조영역 120a를 두 영역으로 나누어 하나의 영역을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을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영역 120a 및 제2 보조영역 120b를 모두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220의 한 측면에만 보조영역이 형성된 경우, 보조영역이 형성된 측면만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영역 110의 왼쪽 측면에만 보조영역이 형성된 경우,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메인영역 110의 오른쪽 측면에만 보조영역이 형성된 경우, 제어부 210은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220의 두 측면에 모두 보조영역이 형성된 경우, 전화 통화 시 일반적으로 많이 잡는 손을 오른손이라 보고, 오른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 210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볼륨을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영역 110의 왼쪽에 배치된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엄지손가락으로 볼륨을 제어할 수 있도록 메인영역 110의 오른쪽에 배치된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 200에 기본적인 설정이 왼손 모드에 맞춰있는 경우,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에 설정에 맞춰 왼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잡은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에 따라 볼륨 제어 영역으로 사용할 보조영역이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도 4b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 210은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잡은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 210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접촉된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제어부 210은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왼손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영역 110의 오른쪽에 배치된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 210은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인영역 110의 왼쪽에 배치된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탭 터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엄지손가락이 접촉된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제어부 210은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왼손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영역 110의 왼쪽에 배치된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 210은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인영역 110의 오른쪽에 배치된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스와이프 터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잡은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에 따라 볼륨 제어 영역으로 사용할 보조영역이 결정되는 경우, 제어부 210은 주기적으로 또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접촉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볼륨 제어 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 210은 통화 중에도 주기적으로 터치 영역을 검출하여, 전자 장치 200을 잡은 손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잡은 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볼륨 제어 영역을 다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 200에는 상기 조건들을 고려하여 볼륨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조건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볼륨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조건이 설정될 수도 있다.
동작 530에서,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 220에 대한 터치 이벤트는 한번 두드리기(Tapping), 두 번 두드리기(Double tapping), 미끄러지기(Sliding), 드래깅(Dragging), 플릭킹(Flicking), 스와이프(Swipe), 집기(Pinching), 공간 늘리기(Spread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이벤트는 근접 신호를 이용한 호버링(hovering) 이벤트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입력방식은 탭 터치와 스와이프 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30은 동작 520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터치 영역에 따라 볼륨 제어 영역이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볼륨 제어 영역에 따라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도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520에서 사용자의 오른손에 맞춰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탭 터치'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동작 520에서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스와이프 터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6a, 도 6b,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동작 540에서, 제어부 210은 볼륨 제어 영역에 터치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220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터치 포인트를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시에 여러 개의 터치 포인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또는 도 6b와 같이, 볼륨 업/다운 영역이 결정되면, 터치스크린 220은 전자 장치 200을 잡기 위해 접촉하고 있는 터치뿐만 아니라, 볼륨 제어를 위해 탭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220은 탭하는 터치 신호를 제어부 210으로 전달하고, 제어부 210은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탭하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작 550에서,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가 볼륨 업 영역에서 발생한 경우, 볼륨을 업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가 볼륨 다운 영역에서 발생한 경우, 볼륨을 다운시킬 수 있다. 다만,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의 볼륨 조절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볼륨을 업/다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볼륨 단계가 5인데, 볼륨 업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 210은 볼륨 단계를 6으로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볼륨 단계가 5인데, 볼륨 다운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 210은 볼륨 단계를 4로 하향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이벤트가 연속적으로 발생된 경우, 제어부 210은 볼륨 단계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양 측면 사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양 측면 사용모드인 경우,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에 내부적으로 오른손/왼손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오른손/왼손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후술하는 도 8을 통해 설명한다. 오른손/왼손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에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볼륨 업/다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0은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왼쪽에 형성된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형성된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 210은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왼쪽에 형성된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하고, 메인영역 110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형성된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볼륨 업/다운 영역의 설정이 끝나면, 제어부 210은 동작 540 및 동작 550을 수행하여,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업 또는 다운시킬 수 있다.
먼저,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이 '탭 터치'로 결정된 일례를 설명한다.
제어부 210은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된 보조영역을 두 영역으로 나누어 하나의 영역을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을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탭 입력방식의 볼륨 업/다운 영역을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왼손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은 경우 터치 영역에 따른 볼륨 업/다운 영역을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610은 엄지손가락이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된 터치 영역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620은 엄지손가락과 이어지는 손이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601 내지 603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이때, 제어부 210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접촉된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제2 보조영역 120b에서 가장 윗부분에 접촉된 터치 영역 601을 기준으로 볼륨 업/다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의 상단 측면부터 터치 영역 601의 위치까지를 볼륨 업 영역 650으로 설정하고, 터치 영역 601의 위치 미만부터 전자 장치 200의 하단 측면까지를 볼륨 다운 영역 66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도 6b는 오른손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은 경우 터치 영역에 따른 볼륨 업/다운 영역을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605 내지 608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제1 보조영역 120a에 접촉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630은 엄지손가락이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된 터치 영역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640은 엄지손가락과 이어지는 손이 제2 보조영역 120b에 접촉된 터치 영역을 나타낸다. 이때, 제어부 210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접촉된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에서 가장 윗부분에 접촉된 터치 영역 605를 기준으로 볼륨 업/다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의 상단 측면부터 터치 영역 605의 위치까지를 볼륨 업 영역 650으로 설정하고, 터치 영역 605 위치 미만부터 전자 장치 200의 하단 측면까지를 볼륨 다운 영역 66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한편,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이 '스와이프 터치'로 결정된 일례를 설명한다.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이 '스와이프 터치'인 경우, 제어부 210은 볼륨 제어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의 이동방향에 따라 볼륨을 업하거나, 다운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스와이프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볼륨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른손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은 경우, 제어부 210은 엄지손가락이 접촉된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제2 보조영역 120b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가 전면의 메인영역 110에서 후면의 바깥방향 720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륨 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은 표시패널이 설치된 전면과 대향되는 면으로서, 사용자 잡은 손바닥에 의해 가려지는 면일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 220은 전면의 메인영역 110에서 시작된 터치가 후면의 바깥방향 720으로 이동한 후 해제되는 경우, 발생한 터치 신호를 제어부 2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 전달된 터치 신호의 위치에 기초하여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궤적은 위치의 변화량으로, 제어부 210은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터치 신호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0은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터치 신호의 이동방향이 바깥방향 720인 것으로 판단하고, 볼륨 업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 210은 제2 보조영역 120b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가 후면에서 전면의 메인영역 110의 안쪽방향 710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륨 다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220은 후면에서 시작된 터치가 전면의 메인영역 110의 안쪽방향 710으로 이동한 후 해제되는 경우, 발생한 터치 신호를 제어부 2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 전달된 터치 신호의 위치에 기초하여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궤적에 기초하여 터치 신호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신호의 이동방향이 안쪽방향 710인 것으로 판단하고, 볼륨 다운할 수 있다.
즉,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의 이동방향이 바깥방향 720인 경우, 볼륨 업으로 인식하고, 터치 이벤트의 이동방향이 안쪽방향 710인 경우, 볼륨 다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의 이동방향이 상단방향인 경우, 볼륨 업으로 인식하고, 터치 이벤트의 이동방향이 하단방향인 경우, 볼륨 다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볼륨 업/다운과 연관된 이동방향은 전자 장치 200에 설정된 조건에 따른 것이며, 업/다운하는 방향이 한쪽방향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의 손 조작모드에 따라 볼륨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200에 오른손/왼손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동작 810에서,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에 설정된 모드가 오른손 모드인지 왼손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전자 장치 200에 오른손 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동작 820에서,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탭 터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 모드인 경우, 도 6b를 참고하여 제어부 210은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볼륨 업하도록 하고, 엄지손가락으로 볼륨 다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설정한 것으로,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 210은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볼륨 다운하도록 하고, 엄지손가락으로 볼륨 업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 822에서, 제어부 210은 볼륨 업 영역 또는 볼륨 다운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220은 제1 보조영역 120a 및 제2 보조영역 120b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 210으로 전달한다.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면,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작 824에서,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볼륨 업 영역에서 발생한 것인지 볼륨 다운 영역에서 발생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볼륨 업 영역(예: 제1 보조영역 120a)에서 발생한 경우, 볼륨을 업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볼륨 다운 영역(예: 제2 보조영역 120b)에서 발생한 경우, 볼륨을 다운시킬 수 있다.
동작 826에서,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의 그립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20 내지 824는 오른손 모드에서 동작하는 볼륨 제어 방법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은 손이 왼손으로 변경되었다면, 볼륨 제어 영역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 210은 주기적으로 터치 영역을 재검출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접촉한 터치 영역을 재검출할 수 있다. 만약, 재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그립 상태를 판단하였지만, 그립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동작 828에서, 제어부 210은 오른손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재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그립 상태를 판단하여, 그립 상태가 왼손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 210은 동작 850을 수행한다.
한편, 전자 장치 200에 왼손 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동작 850에서,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 210은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탭 터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손 모드인 경우, 도 6a를 참고하여 제어부 210은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볼륨 업하도록 하고, 엄지손가락으로 볼륨 다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설정한 것으로,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어부 210은 제1 보조영역 120a를 볼륨 다운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보조영역 120b를 볼륨 업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 210은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볼륨 다운하도록 하고, 엄지손가락으로 볼륨 업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 852에서, 제어부 210은 볼륨 업 영역 또는 볼륨 다운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220은 제1 보조영역 120a 및 제2 보조영역 120b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 210으로 전달한다.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면,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작 854에서,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볼륨 업 영역에서 발생한 것인지 볼륨 다운 영역에서 발생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볼륨 업 영역(예: 제2 보조영역 120b)에서 발생한 경우, 볼륨을 업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볼륨 다운 영역(예: 제1 보조영역 120a)에서 발생한 경우, 볼륨을 다운시킬 수 있다.
동작 856에서,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의 그립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850 내지 854는 왼손 모드에서 동작하는 볼륨 제어 방법으로, 전자 장치 200을 잡은 손이 오른손으로 변경되었다면, 볼륨 제어 영역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 210은 주기적으로 터치 영역을 재검출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접촉한 터치 영역을 재검출할 수 있다. 만약, 재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그립 상태를 판단하였지만, 그립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동작 858에서, 제어부 210은 왼손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재검출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그립 상태를 판단하여, 그립 상태가 오른손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 210은 동작 820을 수행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 210은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마이크 23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의 크기에 따라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음성을 인식할 때, 주변 소음은 잡음으로 인식하여 제거하여, 사용자의 목소리만 음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볼륨 조절 단계와 연관된 기준값이 정해져 있는 경우, 제어부 210은 순차적으로 볼륨을 조절하는 것이 아닌, 음성의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값의 볼륨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볼륨 조절 단계가 10단계이고, 1단계의 기준값은 1dB이며, 10단계의 기준값은 10dB일 수 있다. 현재 볼륨의 크기가 5dB에 해당하는데, 마이크 232로부터 입력된 음성의 크기가 3dB인 경우, 제어부 210은 볼륨의 크기를 5dB에서 4dB를 거치지 않고, 바로 3dB에 해당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 210은 상기 터치 영역에 따른 볼륨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방식과 음성의 크기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는 방식에 우선순위를 두어 우선순위가 높은 방식으로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에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따른 볼륨 제어 영역을 결정하는 방식과 음성의 크기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볼륨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부 210은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200이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 스피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0은 적외선 센서의 발광부에서 출력한 센싱신호가 수광부로 다시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 200이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210은 터치스크린 220에 스피커 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피커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 경우, 제어부 210은 스피커 231을 활성화시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210은 전자 장치 200의 설정에 따라 전자 장치 200이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 팝업창 표시 없이 자동으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전자 장치
210: 제어부 220: 터치스크린
230: 오디오 처리부 231: 스피커
232: 마이크 240: 인터페이스부
250: 통신부 260: 저장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면의 메인영역과 상기 메인영역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조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화모드 중 상기 보조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볼륨 제어 영역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보조영역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는 제2 보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륨 제어 영역의 모드가 양 측면 사용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조영역을 볼륨 업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보조영역을 볼륨 다운 영역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버튼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상기 통화버튼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후 상기 메인영역이 비활성화, 또는 통화 요청한 상대방과 통화 연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통화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메인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보조영역을 활성화시켜 상기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기 설정된 볼륨 제어 영역의 사용 모드를 판단하고, 한 측면 사용모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입력방식에 따라 상기 볼륨 제어 영역을 볼륨 업 영역과 볼륨 다운 영역으로 구분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륨 업 영역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볼륨을 업시키고, 상기 볼륨 다운 영역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볼륨을 다운시키는 전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입력방식에 따라 상기 볼륨 제어 영역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궤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궤적의 이동방향에 따라 볼륨을 업시키거나, 다운시키는 전자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영역의 개수 및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에 따라 상기 볼륨 업 영역과 상기 볼륨 다운 영역을 서로 상이하게 결정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영역의 개수 및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볼륨 업 영역과 상기 볼륨 다운 영역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11. 전면의 메인영역과 상기 메인영역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조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화모드 중 상기 보조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볼륨 제어 영역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볼륨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보조영역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는 제2 보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볼륨 제어 영역의 모드가 양 측면 사용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조영역을 볼륨 업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보조영역을 볼륨 다운 영역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통화버튼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상기 통화버튼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후 상기 메인영역이 비활성화, 또는 통화 요청한 상대방과 통화 연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통화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메인영역을 비활성화시키는 동작과,
    상기 보조영역을 활성화시켜, 상기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검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에 기 설정된 볼륨 제어 영역의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판단결과, 한 측면 사용모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보조영역을 볼륨 제어 영역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입력방식에 따라 상기 볼륨 제어 영역을 볼륨 업 영역과 볼륨 다운 영역으로 구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볼륨 업 영역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볼륨을 업시키고, 상기 볼륨 다운 영역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볼륨을 다운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터치 이벤트의 입력방식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입력방식에 따라 상기 볼륨 제어 영역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궤적을 산출하는 동작과,
    상기 산출된 궤적의 이동방향에 따라 볼륨을 업시키거나, 볼륨을 다운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삭제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 영역의 개수 및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에 따라 상기 볼륨 업 영역과 상기 볼륨 다운 영역을 서로 상이하게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보조영역에 접촉되는 터치 영역을 재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재검출된 터치 영역의 개수 및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볼륨 업 영역과 상기 볼륨 다운 영역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046369A 2015-04-01 2015-04-0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8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69A KR102384284B1 (ko) 2015-04-01 2015-04-0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088,595 US10491735B2 (en) 2015-04-01 2016-04-0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ume by us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69A KR102384284B1 (ko) 2015-04-01 2015-04-0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78A KR20160118078A (ko) 2016-10-11
KR102384284B1 true KR102384284B1 (ko) 2022-04-08

Family

ID=5701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369A KR102384284B1 (ko) 2015-04-01 2015-04-0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91735B2 (ko)
KR (1) KR102384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1111S1 (en) * 2015-10-29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7145297A (zh) * 2017-05-08 2017-09-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8958631B (zh) * 2018-07-09 2020-11-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CN112486346B (zh) 2019-09-12 2023-05-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按键模式设置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764675A (zh) * 2019-10-11 2020-0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782173A (zh) * 2020-06-29 2020-10-16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一种音量调节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342B1 (ko) * 2013-09-06 2014-06-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볼륨 제어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KR20100039194A (ko)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접촉 패턴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표시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KR20100042833A (ko) 2008-10-17 201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20036897A (ko) * 2009-06-19 2012-04-1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선택
KR20120060556A (ko) 2010-12-02 2012-06-12 홍바다 Xml로 작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서 구동하기 위한 플랫폼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102114312B1 (ko)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US9385168B2 (en) 2013-01-18 2016-07-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igh resolution low power consumption OLED display with extended lifetime
KR20150019165A (ko) *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TWI498805B (zh) * 2013-08-23 2015-09-01 Wistron Corp 具有側邊觸控組合快捷功能之電子裝置
US9483087B2 (en) * 2013-11-29 2016-11-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orientation mobile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unit therefor,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1461004B1 (ko) 2014-01-24 2014-11-13 박지훈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342B1 (ko) * 2013-09-06 2014-06-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볼륨 제어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78A (ko) 2016-10-11
US10491735B2 (en) 2019-11-26
US20160291928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1096B2 (en) Quick screen splitt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display UI, and storage medium
KR102384284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722494B2 (en) Method for limiting usage of application, and terminal
WO2019174611A1 (zh) 应用程序的设置方法及移动终端
US11184754B2 (en) Data sharing method and terminal
CN109032447B (zh) 一种图标处理方法及移动终端
WO2020220876A1 (zh) 应用界面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11941101B2 (en) Fingerprint unlocking method and terminal
US201201965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luetooth-enabled headset with a multitouch interface
WO2019169991A1 (zh) 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11324257B (zh) 一种应用程序图标排列方法及移动终端
US2013021507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60077627A1 (en) User interface for a device
CN107832067B (zh) 一种应用更新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3093420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使用を制限する方法、および端末
EP3091422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tering operational states based on an input type
WO2021088707A1 (zh) 应用程序界面的交互方法和电子设备
WO2018076384A1 (zh) 一种锁屏方法、终端及锁屏装置
CN110622105B (zh) 基于设备上下文执行至少一个操作的方法和装置
WO2018228143A1 (zh) 传感器按键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674867B1 (en) Human-computer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6616379B2 (ja) 電子機器
WO2017166209A1 (zh) 设置勿触区域的方法、装置、电子设备、显示界面以及存储介质
CN110297561B (zh) 控制方法及终端
KR2015006208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