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777B1 -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rgrated management of fire 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 Google Patents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rgrated management of fire 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777B1
KR102383777B1 KR1020200140537A KR20200140537A KR102383777B1 KR 102383777 B1 KR102383777 B1 KR 102383777B1 KR 1020200140537 A KR1020200140537 A KR 1020200140537A KR 20200140537 A KR20200140537 A KR 20200140537A KR 102383777 B1 KR102383777 B1 KR 10238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refighting
facility
terminal devic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동민
김흥규
Original Assignee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7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7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The system is for integrated provision of firefighting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ystem includes: a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a facility in accordance with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an inspector terminal device; a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extracting an object based on the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on the facility that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selects out of th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or collects from the facility and transmits, providing a fire inspection item related to the object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receiving an inspection result related to the fire inspection item through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and generating firefighting information; and a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providing unit associating the gene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on the facility, generating a sharing platform on a two- or three-dimensional space inside, outside, or inside and outside the facility, and providing the platform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Description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RGRATED MANAGEMENT OF FIRE 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A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ire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본 발명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연계하여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공유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ire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provide a shared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by linking fire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 공간정보 기반 실감 재난관리 맞춤형 콘텐츠 제공 기술개발사업의 연구비지원(과제번호 20DRMS-B146826-03)에 의해 수행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research fund support (task number 20DRMS-B146826-03)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s spatial information-based realistic disaster management customized content provis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일반적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시설물에는 소방 관련 법률에 의해 화재에 대비하여 소방시설이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소방시설의 종류에는 직접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설비, 소방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화재를 탐지하고 알려주는 위한 경보설비, 화재발생 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피난설비 및 화재 진압에 필요한 소화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소화용수 설비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소방시설에 대해서는 고장이나 오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마다 점검을 의무화하고 있다.In general, firefighting facilities are compulsorily installed in facilities over a certain size in preparation for fires according to fire-fighting laws. These types of firefighting facilities include firefighting facilities for directly extinguishing fires, alarm facilities for detecting and notifying fires to support firefighting activities, evacuation facilities used to prevent personal damage in case of fire, and firefighting equipment required for fire suppression. There are fire extinguishing water facilities for storing water. In addition, it is mandatory to inspect these firefighting facilities at regular intervals to check for malfunctions or malfunctions.

하지만 종래에는 이와 같은 소방관련 정보 등이 대부분 수기로 작성되어 오프라인 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점검자가 필요한 소방시설 정보나 점검내역을 확인하기 어렵고, 별도의 문서화 작업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most of this fire-related information is written by hand and managed offline, it is difficult for an inspector to check the necessary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r inspection details at the site, and it is difficult to create a database through separate documentation work. there was.

특히, 종래에는 점검자가 시설물 내부의 현장에서 다양한 소방시설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점검항목을 모두 숙지하기 정확하게 점검하기 어려우며, 복잡한 대형 시설물 등에서는 점검해야 할 소방설비가 누락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하나의 시설물의 소방시설을 여러 점검주체(점검업체)가 나누어 점검하거나, 하나의 점검주체가 여러 시설물의 소방시설을 점검하고 관리할 경우,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이 부재하기 때문에 효율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related art, it is difficult for an inspector to accurately check all the different inspection item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firefighting facilities at the site inside the facility, an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firefighting equipment to be checked may be omitted in complex large facilities. In addition, when multiple inspection entities (inspection companies) inspect the firefighting facilities of one facility separately, or when one inspection entity inspects and manages the firefighting facilities of multiple facilities, there is no platform that can manage them in an integrated way. There was a limit to lowering the efficiency.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 대형 시설물에는 실시간 원격 소방점검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나, 이는 한정적인 소방시설과 범위에서 제한적인 기능에 한하여 가능하며, 원격 소방점검의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점검자가 현장을 방문하여 네트워크 상의 상태와 실제 현장의 소방시설 상태를 대조하여 확인하는 과정은 필수적이며, 이를 공간정보 상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하거나, 관련 업체나 유관 기관과 연계하여 제공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To solve this difficulty, a real-time remote fire inspection system is being introduced in some large facilities, but this is possible only with limited functions in limited firefighting facilities and scope. It is essential to visit and check the state of the network and the state of the actual field firefighting facility,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it in an integrated manner on spatial information or to provide it in connection with related companies or related organizations.

결과적으로, 이러한 통합적인 관리의 부재로 인하여, 소방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우며, 대형 복합 시설물 등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현장에서 소방시설 위치와 점검기록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기 어렵기 때문에, 화재 진압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due to the absence of such integrated management,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use firefighting information, and when a fire occurs in large complex facilities, it is difficult t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and inspection records, etc. There was also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respond effectively.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1455호(공고일자: 2017.01.2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01455 (Announcement Date: 2017.01.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설물의 소방정보(소방시설 정보, 소방시설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 등)를 해당 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연동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firefighting information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firefighting facility inspection information,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etc.) of a facility in conjunction with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but it ha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시설물의 소방정보와 연계되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여 다양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sharing platform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linked to firefighting information of a facility and provide it to various users.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소방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점검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하는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시설물에 관한 소방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공간정보 제공부;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가 상기 공간정보 상의 소방시설 정보 중에서 선택하거나, 상기 시설물에서 수집하여 전송하는 상기 시설물의 소방관련 정보를 기초로, 객체를 추출하여 해당 객체에 관한 소방 점검항목을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소방 점검항목에 따른 점검결과를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소방정보를 생성하는 소방정보 관리부; 및 생성된 상기 소방정보를 상기 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공유 플랫폼을 생성하여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소방정보통합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integrally providing firefighting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acility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an inspector's terminal device ;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selects from th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or extracts an object based on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at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facility and returns a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related to the object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a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and generates firefighting information by receiving an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through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and firefighting information provided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by linking the gene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create a shared platform on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acility,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This is achieved by a system comprising an integration provid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소방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점검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하는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시설물에 관한 소방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가 상기 공간정보 상의 소방시설 정보 중에서 선택하거나, 상기 시설물에서 수집하여 전송하는 상기 시설물의 소방관련 정보를 기초로, 객체를 추출하여 상기 객체에 관한 소방 점검항목을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방 점검항목에 따른 점검결과를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소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소방정보를 해당 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공유 플랫폼을 생성하여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ntegrally providing firefighting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acility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an inspector's terminal device;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selects from among th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or extracts an object based on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at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facility, and returns a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related to the object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providing; generating firefighting information by receiving an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through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and linking the gene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creating a shared platform in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acility,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nd providing it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It is also achieved by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이때, 상기 소방관련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소방시설에 관한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이며, 상기 디지털 정보에서 소방 점검대상인 상기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객체에 해당하는 소방 점검항목을 검색하여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is digital information consisting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moving pictur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regarding the fire-fighting facility of the facility,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object as a target, search for a fire inspec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 provide it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상기 공유 플랫폼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반이거나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aring platform may be based o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or a mixture thereof.

상기 소방정보통합 제공부는, 상기 시설물의 실시간 화재상황 및 실시간 화재상황에 따른 대피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ion providing unit may provide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real-time fire situation of the facility and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al-time fire situation.

상기 소방정보통합 제공부는, 상기 공유 플랫폼을 상기 시설물과 관련되거나 상기 시설물에 위치하고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ion providing unit may provide the sharing platform to one or more user terminal devices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or located in the facility.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re achieved.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물의 소방정보(소방시설 정보, 소방시설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 등)를 해당 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연동하여, 시설물의 점검 현장에서 단말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효율적인 소방점검이 가능하고, 이를 기초로 통합적인 소방정보 관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inking firefighting information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firefighting facility inspection information,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etc.) of a facility with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efficient firefighting inspection is possible in real time through a terminal device at the inspection site of the facility And based on this,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물의 소방정보와 연계되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여, 해당 시설물과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에게 소방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소화 및 대피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linked to firefighting information of a facility, a sharing platform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can be built to share firefighting information to various users related to the facility, and firefighting information can be shared. It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providing fire extinguishing and evacuation information in case of occurr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와 연계된 시설물의 내부 공간 상에서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와 연계된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공간 상에서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veral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ire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fire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sharing platform on the internal space of a facility associated with firefigh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shared platform on the inside and outside space of a facility associated with firefigh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as those claim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various aspects, and the shap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or customs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체 시스템의 구성Whole system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ire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 점검자 단말장치(300), 사용자 단말장치(400) 및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100 , an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 a checker terminal device 300 , a user terminal device 400 , and a server 500 . may be included.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으로, 유선 및 무선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twork network capable of performing a series of data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s for data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and may be configured regardless of its communication mode, such as wired and wireless. can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무선랜(wireless LAN) 또는 이동통신망(mobile telecommunication)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통신망(100)은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망일 수 있다.For example, local area network (LAN),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wide area network (W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wireless LAN LAN)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telecommunication), etc., or may be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various types configured by being connected to a combination thereof.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config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nternet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World Wide Web (WWW) servic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은, 점검자 단말장치(300)에서 요청하는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시설물에 관한 소방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regarding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 func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은, 점검자 단말장치(300)가 상기 공간정보 상의 소방시설 정보 중에서 선택(클릭)하거나, 상기 시설물에서 수집(획득)하여 전송하는 상기 시설물의 소방관련 정보를 기초로, 객체를 추출하여 해당 객체에 관한 소방 점검항목을 점검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고, 상기 소방 점검항목에 따른 점검결과를 점검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수신하여 소방정보(예를 들면, 소방설비 정보, 소방설비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 등)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selects (clicks) from th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or collects (acquires) from the facility and transmits the fire-related information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extraction of the object, a fire inspection item related to the object is provided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fire inspection item is received through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to receive firefighting information (for example, , fire-fighting equipment information, fire-fighting equipment inspection information,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etc.) can be performed.

또한,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은, 생성된 상기 소방관련 정보를 해당 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공유 플랫폼을 생성하여 점검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links the generated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and provides a shared platform on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acility,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providing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

이때, 상기 시설물의 객체정보는 점검자 단말장치(300)가 해당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현장에서, GPS위치, 촬영, 녹음 또는 작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시설물의 소방시설에 관하여 수집(획득)한 정보일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된 정보는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collected (obtained) by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about the firefighting facility of the facility in any one of GPS location, shooting, recording, or writing method at the site inside or outside the facility. It may b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way may be digital information consisting of any one of loca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moving pictur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tex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은 해당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생성된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과 관련된 유관 기관(예를 들면, 소방 기관) 또는 해당 시설물 현장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장치(400)]와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유 플랫폼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로 구현되어 해당 시설물의 화재 발생시 실시간 화재현황 및 대피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은 도 2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uses a shared platform created on one or mor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acility, and related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facility (eg, fire department) or a terminal devic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located at the site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may perform a function of sharing. Such a sharing platform may be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to provide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real-time fire status and evacuation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the facility. 200) may be specifical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자 단말장치(300)는, 시설물 현장에서 소방관련 정보를 수집(획득)하여,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Next,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obtains) fire-related information at a facility site, and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of providing it to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It may be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function.

또한, 점검자 단말장치(300)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생성된 공유 플랫폼을 통해 소방정보(예를 들면, 소방설비 정보, 소방설비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 등)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provides firefighting information (eg, firefighting information (eg For example, it may perform a function of receiving fire-fighting equipment information, fire-fighting equipment inspection information,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etc.).

보다 구체적으로, 점검자 단말장치(3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해당 시설물 현장에서 점검자 단말장치(300)에 내장된 GPS모듈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산출방식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점검자 단말장치(3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방식으로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점검자 단말장치(300)에 구비된 마이크의 녹음방식으로 '오디오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점검자 단말장치(300)에 구비되는 입력수단(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보드, 마우스 등)을 이용한 작성방식으로 '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receives a satellite signal from the GPS module built in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at the facility site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and 'image and/or video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a photographing method using a camera provided in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 In addition, 'audio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a recording method of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and input means (eg, a touch screen, a touchpad, a keyboard, You can also obtain 'text information' by writing using a mouse, etc.).

이와 같은 GPS위치, 촬영, 녹음 또는 작성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현장에서 해당 시설물의 소방시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된 정보는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일 수 있다.With any one or a combination of such GPS location, shooting, recording, or writing methods, information about the firefighting facilities of the facility can be obtained at the site,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way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video It may be digital information consisting of any one of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점검자 단말장치(300)는, 위치정보를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해당 시설물에 관한 소방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공간정보 상의 소방시설 정보 중에서 희망하는 소방시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소방 점검항목에 따른 점검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reques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and receives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facility accordingly, and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You can choose the firefighting facility you want from among them.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inputting inspec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fire inspection items provided by the fire 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이러한 점검자 단말장치(300)에는 상기와 같은 디지털 정보를 입력(제공)할 수 있는 전용 웹(Web) 또는 앱(App) 프로그램(미도시됨)을 더 포함되어,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과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further includes a dedicated web or app program (not shown) capable of inputting (providing) the digita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e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may be linked with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생성된 공유 플랫폼을 통해 소방정보(예를 들면, 소방설비 정보, 소방설비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 등) 및/또는 화재 발생시 실시간 화재현황 및 대피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Next,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on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acility provided from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Receive firefighting information (eg, firefighting equipment information, firefighting equipment inspection information,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etc.) and/or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real-time fire status and evacuation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 fire through the sharing platform, and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ly It may be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capable communication fun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 과 접속한 후,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생성된 공유 플랫폼을 통해 소방설비 정보, 소방설비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소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화재 발생과 같은 재난상황에서, 현장의 소방설비 위치와 점검기록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화재진압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방 관련 기관과 업체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connects to the fire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nd then through the shared platform created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provided by the fire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You can receive firefighting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equipment information, firefighting equipment inspection information, and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there is. For example, it may be a terminal device of firefighting-related organizations and companies.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해당 시설물의 현장 공간에 머물고 있는 다수의 사람들이 소지한 단말장치일 수도 있다. 즉, 해당 시설물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시설물 공간에서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소지한 단말장치를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인식하여 실시간 화재현황 및 대피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강제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되는 재난정보에는 소방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는 대피로와 대피공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실시간 화재상황 및 실시간 화재상황에 따른 대피경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may be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plurality of people staying in the field space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That is, when an actual fire occurs in the facility, the terminal device owned by a plurality of people existing in the facility space is recognized as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and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real-time fire status and evacuation information is forcibly provided. may provide. At this time, the provided disast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n evacuation route and an evacuation space based on th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nd provide real-time fire situation and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al-time fire situation.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자 단말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통신망(100)을 통해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과 접속하여 시설물의 소방정보 및 소방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공간정보와 연계된 소방정보를 기반으로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생성된 공유 플랫폼을 공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 이러한 디지털 기기로는 공지된 모든 이동통신단말장치,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장치, 유선 단말장치, 고정형 단말장치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장치 등의 다양한 단말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는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MID(Mobile Internet Device),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 유/무선의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로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provide firefighting information and firefighting related information of facilities. A digital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including a function of sharing a sharing platform created o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based on firefighting information linked with spatial information. Various terminal devices such as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 multimedia terminal device, a wired terminal device, a fixed terminal device, and an IP (Internet Protocol) terminal device can be applied. Specifically, the terminal device includes a smart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obile Internet device (MID), a telematics terminal, a desktop, and a tablet. It is a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memory means such as a computer (tablet PC), notebook (note book), netbook (Net book), etc. and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to have computing power. It may be adopted as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또한, 이러한 점검자 단말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장치(400)에는 소방정보(소방설비 정보, 소방설비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 등)와 소방관련 정보(소방설비에 관한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입력)할 수 있도록, GPS모듈, 카메라 모듈, 마이크 모듈 및 입력장치(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전용 웹(Web) 및/또는 앱(App)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것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수단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어, 입력수단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include firefighting information (firefighting equipment information, firefighting equipment inspection information,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etc.) and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bout firefighting equipment, image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tex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with a GPS module, a camera module, a microphone module, and an input device (eg, keyboard, mouse, etc.) A display means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ings that are visually expressed through a dedicated web and/or an app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Here, the display means is LCD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ight emitting diode (LED),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ED),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 Dimension),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display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ouch screen, and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means may be performed.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 점검자 단말장치(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400)와 통신하는 운영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inally, the serv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an operation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and/or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 can

예를 들어, 서버(500)는 인터넷 사이트의 운영 서버일 수 있는데, 이때, 서버(500)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 점검자 단말장치(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400)를 연결하는 전용 웹(Web) 및/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500 may be an operating server of an Internet site, in this case, the server 500 is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and/or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 It can operate a dedicated web and/or app program to connect to, or perform a function that supports it.

또한, 서버(500)는 점검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점검자 단말장치(300)의 위치정보와 소방관련 정보(소방시설에 관한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를 기초로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에서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인 공간정보와 소방정보(소방설비 정보, 소방설비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 등)를 브라우징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5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input from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and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bout fire facilities, imag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text information). It is processed in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based on the basis, and it can perform a function to support browsing of spatial information and firefighting information (firefighting equipment information, firefighting equipment inspection information,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etc.) there is.

또한, 서버(500)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생성된 공유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 가상현실(VR) 및/또는 증강현실(AR)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Web XR Device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같이 웹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500 drives a virtual reality (VR) and/or augmented reality (AR) application to implement a shared platform created o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of the fire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It can perform a function that supports this, for example, it can provide an interface necessary to build an application on the web, such as the Web XR Device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에서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과 서버(500)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소방정보 통합관리 시스템(200)을 서버(5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Meanwhile, in FIG. 1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nd the server 500 are shown to be configured separately, bu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fire informa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can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server 500 .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의 구성Configuration of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e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that performs an important fun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looked a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은 공간정보 제공부(210), 소방정보 관리부(220), 소방정보통합 제공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210 , a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 an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 and a database 240 . ), a communication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60 may be included.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정보 제공부(210), 소방정보 관리부(220), 소방정보통합 제공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점검자 단말장치(300), 사용자 단말장치(400) 및/또는 서버(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와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210,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providing unit 230, the database 240, the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control unit 260 are the At least some of them may be program modu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 and/or the server 500 .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fire prevention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i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hardware components and/or software component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 Meanwhile, these program modules include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specific tasks to be described later or execute specific abstract data ty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제공부(210)는, 점검자 단말장치(300)에서 요청하는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시설물에 관한 소방설비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the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provides a function of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equipment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facility. can be done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 단말장치(300)가 요청하는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정보에 존재하는 시설물에 관한 소방설비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진단 단말장치(300)가 시설물의 내부 또는 외부 현장에서 직접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지만, 진단 단말장치(300)의 위치와는 별개로 특정 위치정보(예를 들면, 지도상에서 선택된 특정한 위치)에 따른 해당 시설물에 관한 소방설비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diagnostic terminal device 300 ,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equipment information on facilities existing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request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inside or outside site of may b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 관리부(220)는, 점검자 단말장치(300)가 상기 공간정보 상의 소방시설 정보 중에서 선택(클릭)하거나, 상기 시설물에서 수집(획득)하여 전송하는 상기 시설물의 소방관련 정보를 기초로, 객체를 추출하여 해당 객체에 관한 소방 점검항목을 점검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방정보 관리부(220)는 상기 소방 점검항목에 따른 점검결과를 점검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수신하여 소방정보(예를 들면, 소방설비 정보, 소방설비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 등)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Next,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clicks) from th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by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or collects (acquires) from the facility and transmits it. Based on the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 object may be extracted and a function of providing a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related to the object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receives the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through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and provides firefighting information (eg, firefighting equipment information, firefighting equipment inspection information,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etc.) It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to create.

보다 구체적으로, 점검자 단말장치(300)는 공간정보 제공부(210)에서 제공되는 해당 시설물의 공간정보 상의 소방시설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클릭)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시설물의 공간정보 상의 소방시설 정보 중에서 정보가 없거나 재등록이 필요한 소방시설에 대해서는 점검자 단말장치(300)는 시설물의 현장에서 GPS위치, 촬영, 녹음 또는 작성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해당 시설물의 소방관련 정보를 수집(획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된 소방관련 정보는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로 소방정보 관리부(220)에서 객체를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may select (click) any one of th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provided by the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210 . In addition, for a firefighting facility that does not have information or requires re-registration among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is a GPS location at the site of the facility, any one of shooting, recording, or writing method,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collect (obtain)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of the relevant facility, and the fire-related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way consists of any one of loca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tex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It may be used to extract an object from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s digital information.

이와 같은 소방관련 정보에서 소방 점검대상인 상기 객체를 인식(판별)하여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위치 정보'는 시설물에서 해당 소방시설의 위치와 주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는 GPS기반으로 추출된 좌표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에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공지의 위치기반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A process of recognizing (identifying) and extracting the object, which is a firefighting inspection target, from such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is as follows. First, 'location information' can extract the location and surrounding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facility from the facility, which uses a known location-based platform service that provides location-based information to map data using coordinates extracted based on GPS. can

이어서, '이미지 정보'와 '동영상 정보'에서 소방시설 객체를 추출할 수 있는데, 키워드를 이용해 미리 등록된 이미지의 제목이나 태그를 검색하거나 이미지(또는 동영상) 파일을 분석하여 색상 및 형태 특징을 기반으로 유사한 이미지를 찾아내는 기술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객체 추출기술은 이미지에서 사물의 객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배경과 같은 주변환경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로, 이미 자율주행자동차, CCTV 분야에서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을 제한 없이 채택할 수 있다.Then, firefighting facility objects can be extracted from 'image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Using keywords, search for the title or tag of a pre-registered image or analyze image (or video) files based on color and shape characteristics All techniques for finding similar images can be used. This image object extraction technology is a well-known technology that can automatically recognize an object in an image and analyz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the background. It can be adopted without restrictions.

이어서, '오디오 정보'는 시설물의 현장에서 점검자가 진단한 녹음파일을 음성분석 과정을 수행하여 소방시설 객체를 추출할 수 있는데, 녹음된 오디오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한 후, 음성 신호의 특징을 추출하여 텍스트 문자열로 변환(자연어 처리)할 수 있는 공지의 음성인식기술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Subsequently, 'audio information' can extract fire-fighting facility objects by performing a voice analysis process on the recorded file diagnosed by the inspector at the site of the facility. After removing noise from the recorded audio sig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signal are extracted Any well-known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that can be converted into text string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이어서, '텍스트 정보' 는 고층 건물 현장에서 점검자가 입력하거나, 작성한(기록한) 문서(문자)를 분석하여 소방시설 객체를 추출할 수 있는데, 공지된 텍스트를 인식(추출)하는 기술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련의 문자열을 의미 있는 어휘 분석의 단위(token)으로 구분하는 파싱(parsing) 기술과 문서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변환할 수 있는 문자인식(OCR)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text information' can be used to extract fire-fighting facility objects by analyzing documents (characters) input or written (recorded) by inspectors at the high-rise building site. can For example, a parsing technique for classifying a series of character strings into meaningful lexical analysis tokens and a character recognition (OCR) technique capable of recognizing and converting text in a document may be used.

한편, 이러한 추출과정을 통해 상기 소방관련 정보에서 소방 점검대상인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객체에 해당하는 소방 점검항목을 검색하여 점검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객체로는, 일례로 소화전, 스프링클러, 소화기, 화재 경보기, 방화벽 또는 완강기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소방시설(설비)를 제한 없이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rough this extraction process, an object to be inspected for firefighting is extracted from the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and a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object can be retrieved and provided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Such an object is, for example, It may be any one or more of a fire hydrant, a sprinkler, a fire extinguisher, a fire alarm, a firewall, or a stiffener.

또한, 상기 객체마다 해당되는 소방 점검항목을 제공받은 점검자 단말장치(300)는 해당 객체마다 제공받은 소방 점검항목에 따라 점검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점검결과를 점검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입력하면, 소방정보 관리부(220)는 점검결과를 수신하여 통합적인 소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provided with the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performs the inspection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provided for each object, and inputs the result of the inspection through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 ,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may receive the inspection result to generat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통합 제공부(230)는, 소방정보 관리부(220)에서 생성된 상기 소방정보를 해당 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공유 플랫폼을 생성하여 점검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ion provid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ociates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acility.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creating a shared platform in one or mor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nd providing it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 플랫폼은, 가상현실 기반 또는 증강현실 기반일 수 있으며, 외부의 다른 단말장치로 제공될 수 있는데, 상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400)와 같이, 소방 관련 기관과 업체의 단말 장치 및/또는 해당 시설물의 현장 공간에 머물고 있는 다수의 사람들이 소지한 단말장치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haring platform may be virtual reality-based or augmented reality-based, and may be provided as another external terminal device, like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may be a terminal device of fire-fighting-related organizations and companies and/or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plurality of people staying in the on-site space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이와 같은 공유 플랫폼은 해당 시설물의 실내 외의 공간영역과 실내 외의 사물을 가상 현실에 최적화되도록 모델링(modeling)과 렌더링(rendering) 과정을 통해 구현된 가상현실일 수 있다. 또한, 공유 플랫폼은 해당 시설물의 실제 이미지를 촬영하여 수집하여 생성한 증강현실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조합한 혼합현실일 수도 있다.Such a shared platform may be virtual reality implemented through modeling and rendering processes to optimize the indoor/outdoor spatial area of the facility and indoor/outdoor objects to virtual reality. In addition, the sharing platform may be augmented reality generated by capturing and collecting actual images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or may be a mixed reality combining such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즉, 점검자 단말장치(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400)가 해당 시설물의 위치를 선택하거나 해당 시설물에 위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 또는 증강현실 기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and/or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selects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or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facility, the virtual reality-based or augmented reality-based or shared platform configured by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perform a function that provides

또한, 소방정보통합 제공부(230)는 실시간 화재상황 및 실시간 화재상황에 따른 대피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시설물 공간에서 존재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소지한 단말장치를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인식하여 소방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는 대피로와 대피공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화재상황 및 실시간 화재상황에 따른 대피경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ion providing unit 230 may provide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real-time fire situations and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real-time fire situations. In case of an actual fire,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existing in the facility space is recognized as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and information such as an evacuation route and an evacuation space based on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is included in real time It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fire situation and real-time fire situ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40)는, 소방관련 정보, 소방정보, 공간정보,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유 플랫폼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일 수 있다.Next, the database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device that can store fire-related information, fire-fighting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or information of a shared platform composed of a combination thereof. can

한편,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40)는 소방정보 통합관리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40)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하거나 서버(5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24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240)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atabase 240 in FIG. 2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240 is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200 or included in the server 500 . The database 240 is a concept includ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refers not only to a narrow database, but also a database in a broad sense including a data record based on a file system, and even a simple set of logs. If data can be extracted by searching for it, it may be included in the database 240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이 점검자 단말장치(300), 사용자 단말장치(400) 및 서버(5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in the communication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and the server 500 . It can perform functions that make it possibl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공간정보 제공부(210), 소방정보 관리부(220), 소방정보통합 제공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공간정보 제공부(210), 소방정보 관리부(220), 소방정보통합 제공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inally, the control unit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210 , a fire 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 an integrated fire figh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 a database 240 , and a communication unit 250 . It can perform a function to control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two. That is, the control unit 2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of data from the outside or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thereby providing the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210 and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 ,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ion providing unit 230 , the database 24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respectively.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시설물 현장에서 해당 시설물의 소방시설을 점검하여 소방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소방정보를 공간정보와 연계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공유 플랫폼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process of generating firefighting information by checking the firefighting facilities of the corresponding facilities at the facility site and A process of creating a shared platform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by linking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with spatial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생성하기Creating fire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고층 건물 내부에서 해당 건물의 소방시설을 점검하여 소방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활용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 process of generating firefighting information by checking a firefighting facility of a corresponding building inside a high-rise building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the most representative application proces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정보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fire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점검자 단말장치(300)가 소방시설을 점검하고자 하는 고층 건물 내부로 들어가서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에 접속하면, 점검자 단말장치(300)의 GPS를 이용하여 해당 고층 건물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해당 고층 건물에 관한 소방시설 정보(11, 12, 13)를 포함하는 공간정보(10)를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when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enters into the high-rise building to inspect the firefighting facility and accesses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uses the GPS of the high-rise building. location information of , and accordingly, spatial information 10 including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11 , 12 , 13 regarding the high-rise building may be provided.

이어서, 점검자 단말장치(300)는 제공받은 공간정보(10) 상에 포함되는 화재 경보기(11), 스프링클러(12), 화재대비 유도등(13) 또는 제공받은 공간정보(10) 상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현장에는 존재하는 소방시설(14: 소화기)의 점검을 위하여, 해당 소방관련 정보를 수집(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소방관련 정보는, 해당 고층 건물의 소방시설에 관한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일 수 있는데, 일례로 공간정보(10) 상에 없지만 현장에 존재하는 소화기(14)를 촬영하여 해당 이미지를 소방관련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is not included in the fire alarm 11, sprinkler 12, fire preparedness guidance lamp 13 or the provided spatial information 10 included in the provided spatial information 10, but In order to inspect the firefighting facilities (14: fire extinguishers) existing at the site, it is possible to collect (obtain) the relevant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This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may be digital information consisting of any one of loca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tex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regarding the fire-fighting facilities of the high-rise building, for example, spatial information ( 10)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image as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fire extinguisher 14 that is not on the site but exists in the field.

이어서, 수집된 소방관련 정보를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로 전송하면, 이를 기초로 객체를 추출하여 해당 객체에 관한 소방 점검항목을 점검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소화기(14)의 이미지에서 객체인 소화기(14)를 인식(판별)하고 이를 추출하여, 해당 소화기에 관한 소방 점검항목을 검색한 후, 점검자 단말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Then, when the collected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an object may be extracted based on this and a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related to the object may be provided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 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er 14 as an object may be recognized (identified) from the image of the fire extinguisher 14 and extracted, searched for firefighting inspection items related to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n provided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

이어서, 점검자가 수신된 해당 소화기 점검항목에 따라 소화기(14)를 점검한 후, 그 점검결과를 점검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면, 해당 고층 건물의 공간정보와 공간정보 상의 객체정보와 상기 객체의 점검결과를 통합하여 소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n, after the inspector inspects the fire extinguisher 14 according to the received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item, and transmits the inspection result to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through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300, the space of the high-rise building Firefighting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integrating the object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and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object.

이와 같이 생성된 소방정보는 공간정보와 연계되어 해당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서 공유 플랫폼을 생성하여 점검자 단말장치(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5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The firefight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way is linked with spatial information to create a shared platform in any one or mor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acility, and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300 and/or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 which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소방정보와 연계된 공간 상에서 공유 플랫폼 제공하기Providing a shared platform in a space connected with firefighting informa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소방정보와 연계된 공간정보로 3차원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반의 공유 플랫폼을 생성하여, 화재 발생시 해당 고층 건물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활용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 process of creat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based sharing platform with spatial information linked to firefight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located in the high-rise building in case of a fire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a descrip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application proces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와 연계된 시설물의 내부 공간 상에서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sharing platform on the internal space of a facility associated with firefigh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정보와 연계된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공간 상에서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sharing platform on the inside and outside space of a facility linked to firefigh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에서 상기 소방정보를 해당 고층 건물의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고층 건물의 내부의 3차원 공간 상에 공유 플랫폼(20)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4 and 5,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links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high-rise building to create a shared platform 20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side the high-rise building. Thus,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

이러한 공유 플랫폼(20)은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화재 발생 시 소방 관련 기관과 업체의 단말 장치 및/또는 해당 시설물의 현장 공간에 머물고 있는 다수의 사람들이 소지한 단말장치인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공유 플랫폼(20)을 제공할 수 있다.Such a sharing platform 20 may be implemented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s shown as an example, and in the event of a fire, a number of people staying in the terminal device of firefighting-related organizations and companies and/or the on-site space of the facility The sharing platform 2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which is a terminal device possessed.

이어서, 공유 플랫폼(20)에는 소방시설 정보(11, 12, 13, 14)와 화재정보(21, 22)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공유 플랫폼은 고층 건물의 실내외의 공간과 실내외의 사물을 가상 현실에 최적화되도록 모델링(modeling)과 렌더링(rendering) 과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공유 플랫폼은 해당 고층 건물의 실제 이미지로 구현된 증강현실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조합한 혼합현실일 수도 있다.Subsequently, the sharing platform 20 may includ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11 , 12 , 13 , 14 and fire information 21 , 22 . Such a sharing platform virtualizes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indoor and outdoor objects of a high-rise building.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modeling and rendering processes to be optimized for reality. In addition, the sharing platform may be augmented reality implemented as an actual image of the high-rise building, or may be a mixed reality combining such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이어서,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공유 플랫폼(20)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화재정보(21, 22)에 따라, 불이 난 위치(21)와 대비경로(22)를 수신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안전한 대비경로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다. 이때, 고층 건물의 외부 공간은 별도의 공유 플랫폼(30)으로 구분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receives the fire location 21 and the preparation route 22 according to the real-time fire information 21 and 22 provided by the sharing platform 20 to suppress the fire, You can prepare quickly by using a safe preparation route. In this case, the external space of the high-rise building is divided into a separate shared platform 30 and visually provided, so that more efficient disast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200)은 시설물의 소방정보(소방시설 정보, 소방시설 점검정보, 소방활동 정보 등)를 해당 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연동하여, 시설물의 점검 현장에서 단말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효율적인 소방점검이 가능하고, 이를 기초로 통합적인 소방정보 관리가 가능하다.As a result, the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nks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firefighting facility inspection information, firefighting activity information, etc.) of the facility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at the inspection site of the facility Efficient firefighting inspection is possible in real time through the terminal device, and integ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is possible based on this.

또한, 시설물의 소방정보와 연계되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여, 해당 시설물과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에게 소방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소화 및 대피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building a sharing platform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linked to firefighting information of a facility, firefighting information can be shared with various users related to the facility, and fire extinguishing and evacuation information in case of fire can be expected to effectively provid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devi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ly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o it

10: 공간정보
20: 공유 플랫폼
100: 통신망
200: 소방정보 통합관리시스템
210: 공간정보 제공부
220: 소방정보 관리부
230: 소방정보통합 제공부
240: 데이터베이스
250: 통신부
260: 제어부
300: 점검자 단말장치
400: 사용자 단말장치
500: 서버
10: spatial information
20: Sharing Platform
100: communication network
200: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10: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230: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ed provision unit
240: database
250: communication department
260: control unit
300: inspector terminal device
400: user terminal device
500: server

Claims (10)

통신망 상에서 소방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점검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하는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시설물에 관한 소방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공간정보 제공부;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가 상기 공간정보 상의 소방시설 정보 중에서 선택하거나, 상기 시설물에서 수집하여 전송하는 상기 시설물의 소방관련 정보를 기초로, 객체를 추출하여 해당 객체에 관한 소방 점검항목을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소방 점검항목에 따른 점검결과를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소방정보를 생성하는 소방정보 관리부; 및
생성된 상기 소방정보를 상기 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공유 플랫폼을 생성하여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소방정보통합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관련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소방시설에 관한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이며,
상기 디지털 정보에서 소방 점검대상인 상기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객체에 해당하는 소방 점검항목을 검색하여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공유 플랫폼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반이거나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방정보통합 제공부는,
상기 시설물의 실시간 화재상황 및 실시간 화재상황에 따른 대피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소방정보통합 제공부는,
상기 공유 플랫폼을 상기 시설물과 관련되거나 상기 시설물에 위치하고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는,
키워드를 이용해 미리 등록된 이미지의 제목이나 태그를 검색하거나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을 분석하여 색상 및 형태 특징을 기반으로 유사한 이미지를 찾아내는 이미지 객체 추출 기술을 통해 상기 객체를 추출한 것이고,
상기 오디오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현장에서 점검자가 진단한 녹음파일로부터 잡음을 제거한 후,음성신호의 특징을 추출하여 텍스트 문자열로 변환하는 음성 분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를 추출한 것이며,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현장에서 점검자가 입력하거나 작성한 문서에 대해, 일련의 문자열을 의미 있는 어휘 분석의 단위(token)으로 구분하는 파싱(parsing) 기술과 문서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변환하는 문자인식(OCR) 기술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객체를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firefighting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in an integrated manner,
a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selects from th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or extracts an object based on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at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facility and returns a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related to the object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a firefight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providing firefight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an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through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and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ion for linking the gene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creating a shared platform on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acility,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nd providing it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provider
including,
The fire-related information is
It is digital information consisting of any one of loca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tex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regarding the firefighting facility of the facility,
Extracting the object that is a fire inspection target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searching for a fire inspec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 providing it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The sharing platform is based o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or is composed of a mixture thereof,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ion providing unit,
Provide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al-time fire situ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real-time fire situation,
The firefighting information integr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sharing platform to one or more user terminal devices related to or located in the facility;
The image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The object is extracted through image object extraction technology that searches for titles or tags of images registered in advance using keywords or analyzes image or video files to find similar images based on color and shape characteristics,
The audio information is
After removing the noise from the recorded file diagnosed by the inspector at the site of the facility, the object is extracted by performing a voice analysis process of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 text string,
The text information is
For documents input or written by the inspector at the site of the facility, a parsing technology that divides a series of strings into units of meaningful lexical analysis (tokens) and a character recognition (OCR) technology that recognizes and converts texts in documents 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is extracted by analyzing it throug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통신망 상에서 소방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점검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하는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시설물에 관한 소방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가 상기 공간정보 상의 소방시설 정보 중에서 선택하거나, 상기 시설물에서 수집하여 전송하는 상기 시설물의 소방관련 정보를 기초로, 객체를 추출하여 상기 객체에 관한 소방 점검항목을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방 점검항목에 따른 점검결과를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소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소방정보를 해당 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시설물의 내부와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 상에 공유 플랫폼을 생성하여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관련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소방시설에 관한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이며,
상기 디지털 정보에서 소방 점검대상인 상기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객체에 해당하는 소방 점검항목을 검색하여 상기 점검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공유 플랫폼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반이거나 이들의 혼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설물과 관련되거나 상기 시설물에 위치하고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공유 플랫폼은, 상기 시설물의 실시간 화재상황 및 실시간 화재상황에 따른 대피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는,
키워드를 이용해 미리 등록된 이미지의 제목이나 태그를 검색하거나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을 분석하여 색상 및 형태 특징을 기반으로 유사한 이미지를 찾아내는 이미지 객체 추출 기술을 통해 상기 객체를 추출한 것이고,
상기 오디오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현장에서 점검자가 진단한 녹음파일로부터 잡음을 제거한 후,음성신호의 특징을 추출하여 텍스트 문자열로 변환하는 음성 분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를 추출한 것이며,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현장에서 점검자가 입력하거나 작성한 문서에 대해, 일련의 문자열을 의미 있는 어휘 분석의 단위(token)으로 구분하는 파싱(parsing) 기술과 문서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변환하는 문자인식(OCR) 기술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객체를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s a method for providing firefighting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selects from among the firefighting facility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or extracts an object based on firefighting-related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at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facility, and returns a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related to the object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providing;
generating firefighting information by receiving an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inspection item through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and
Linking the generated firefighting inform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creating a shared platform in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acility,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nd providing it to the inspector's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fire-related information is
It is digital information consisting of any one of loca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tex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regarding the firefighting facility of the facility,
Extracting the object that is a fire inspection target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searching for a fire inspec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 providing it to the inspector terminal device,
The sharing platform is based o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or is composed of a mixture thereof, and is provided to one or more user terminal devices related to or located in the facility,
The sharing platform provides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al-time fire situ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real-time fire situation,
The image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The object is extracted through image object extraction technology that searches for titles or tags of images registered in advance using keywords or analyzes image or video files to find similar images based on color and shape characteristics,
The audio information is
After removing the noise from the recorded file diagnosed by the inspector at the site of the facility, the object is extracted by performing a voice analysis process of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 text string,
The text information is
For documents input or written by the inspector at the site of the facility, a parsing technology that divides a series of strings into units of meaningful lexical analysis (tokens) and a character recognition (OCR) technology that recognizes and converts texts in document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is extracted by analyzing it throug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6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
KR1020200140537A 2020-10-27 2020-10-27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rgrated management of fire 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KR102383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37A KR102383777B1 (en) 2020-10-27 2020-10-27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rgrated management of fire 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37A KR102383777B1 (en) 2020-10-27 2020-10-27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rgrated management of fire 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777B1 true KR102383777B1 (en) 2022-04-07

Family

ID=8121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537A KR102383777B1 (en) 2020-10-27 2020-10-27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rgrated management of fire 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77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3951A (en) * 2022-05-06 2022-09-09 中广核(北京)仿真技术有限公司 Fire alarm response support system for holographic digital nuclear power oper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6843158A (en) * 2023-08-10 2023-10-03 盐城师范学院 Comprehensive security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KR102615453B1 (en) * 2023-05-31 2023-12-19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Terminal device for ship management and ship manageme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478A (en) * 2012-05-29 2013-12-09 에이알비전 (주)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fire extinguish equipment inspection
KR20160118515A (en) * 2015-04-02 2016-10-12 (주)이공감 Fire monitor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KR101701455B1 (en) 2016-06-22 2017-02-06 (주)태양유니스 Remote fire fighting check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478A (en) * 2012-05-29 2013-12-09 에이알비전 (주)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fire extinguish equipment inspection
KR20160118515A (en) * 2015-04-02 2016-10-12 (주)이공감 Fire monitor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KR101701455B1 (en) 2016-06-22 2017-02-06 (주)태양유니스 Remote fire fighting check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3951A (en) * 2022-05-06 2022-09-09 中广核(北京)仿真技术有限公司 Fire alarm response support system for holographic digital nuclear power oper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615453B1 (en) * 2023-05-31 2023-12-19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Terminal device for ship management and ship management system
CN116843158A (en) * 2023-08-10 2023-10-03 盐城师范学院 Comprehensive security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CN116843158B (en) * 2023-08-10 2024-05-14 盐城师范学院 Comprehensive security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777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rgrated management of fire fighting inform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US10643291B2 (en) Media management system
Landwehr et al. Social media in disaster relief: Usage patterns, data mining tools, and current research directions
JP2015072612A (en) Early stage condition grasping method and device
Zhou et al. CloudFAS: Cloud-based building fire alarm system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Tsai et al. Enhancing usability of augmented-reality-based mobile escape guidelines for radioactive accidents
Khatoon et al. Social media-based intelligence for disaster response and management in smart cities
Yemelyanenko et al. Geoinformational system for risk assessment visualization
KR102515233B1 (en) Conversational Digital Twin Metho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of
Kapalo et al. Failing to plan is planning to fail: capturing the pre-incident planning needs of firefighters
Korkmaz Integrated seismic hazard evaluation and disaster management approach for Turkey
Jamonnak et al. VisualCommunity: a platform for archiving and studying communities
US115270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graffiti and tracking graffiti vandals
Schulz et al. Mashups for the emergency management domain
Ouellette et al. Spatiotemporal mapping of evacuee response
Careem et al. Demonstration of Sahana: free and open source disaster management
Alenezy et al. Fix-I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ublic Complaint Management System
Tomaszewski et al. Supporting humanitarian relief logistics operations through online geocollaborative knowledge management
KR102355680B1 (en) System for fire recovery management using recovery map based on information of fire site
Gilmore et al. Emergency infrastructure and locational extraction: Problematizing computer assisted dispatch systems as public good
Arruda et al. Requirements Engineering Practices and Challenges in the Context of Big Data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Early Insights from a Case Study
KR20200035748A (en) Fire legal service system
Hobbs et al. Improving Situational Awareness During Early Earthquake Response Using Existing Seismic Risk Models to Rapidly Estimate Damage
Abdullah et al. GIS Data Collection for Oil Palm (DaCOP) Mobile Application for Smart Phone
Quintero React: The riskmap evaluation and coordin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