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089B1 -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089B1
KR102383089B1 KR1020210038116A KR20210038116A KR102383089B1 KR 102383089 B1 KR102383089 B1 KR 102383089B1 KR 1020210038116 A KR1020210038116 A KR 1020210038116A KR 20210038116 A KR20210038116 A KR 20210038116A KR 102383089 B1 KR102383089 B1 KR 102383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excreta
air
toilet
exc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일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일넷
Priority to KR1020210038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89B1/ko
Priority to PCT/KR2021/012415 priority patent/WO20222031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8Passive dispensers, i.e. without moving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과 좌대가 구비되고, 내측 하부로 분뇨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좌대의 저면 또는 상단 내측 테두리부에 복수개의 세척수 분사노즐이 구비된 변기몸체; 상기 변기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용변 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기몸체 내부로 소정량의 세척수를 공급, 분사하도록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저장조; 상기 변기몸체의 분뇨배출구에 대응하는 상면 일측에 분뇨가 수집되는 분뇨받이가 하방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분뇨유입구가 구비되고, 내측에 저장수와 함께 고온성 미생물이 투입되어 내부로 유입된 분뇨를 고온성 미생물이 분해하도록 상기 변기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분뇨처리조;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와 연통되게 양단이 연결되어 분뇨처리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순환한 후에 다시 분뇨처리조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순환관; 상기 공기순환관을 통과하는 공기중 냄새와 수분을 제거하도록 공기순환관의 중간부에 개재되는 냄새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An Internal environment control system of thermophiles-toilet system}
본 발명은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뇨를 완전 분해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분뇨처리조 내부의 수분 조절과, 분뇨처리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내부공기의 폐순환시스템을 통해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제활동의 증가와 더불어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사람들의 생활환경이 더욱 편리하게 발전되고 있는 반면에, 지구의 환경은 날이 갈수록 점점 황폐화되거나 오염이 심해지면서 지구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물은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각종 산업시설의 증가로 인해 그 소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강우량이 줄어들거나 기후변화 등으로 저수량이 충분하지 않고, 지하수의 부족과 오염 등으로 식수 뿐만 아니라 공업용수 및 생활용수가 점점 부족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더욱이, 화장실 문화가 수세식으로 바뀌면서 대소변을 볼때마다 세척수를 흘러 보내는데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고 있어서 물 부족상태를 더욱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수세식을 이용하지 않은 국가나 지역의 경우 분뇨를 처리할 수 있는 적당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경우 분뇨로 인한 악취와 각종 질병 및 해충이 발생되면서 건강한 삶을 해치는 주요 원인으로까지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를 이용하되, 사용되는 물의 양은 최소화하고, 분료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자체적으로 완전 분해되도록 하여 분뇨의 배출과 분뇨의 처리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갖출 필요가 없고, 기반시설의 설치에 소요되는 엄청난 경제적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며, 분뇨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아 환경오염 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변기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변기에 연결되어 배설된 분뇨가 저장되는 분뇨처리조가 구비되되,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미생물의 먹이활동(또는 분해활동)을 통해 분뇨처리조 내부에 수집된 분뇨가 완전 분해가 이루어져 분뇨의 외부 배출이 필요없는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변기시스템에 적용되는 분뇨처리조 내부의 환경제어에 관련된 기술이다.
물론, 종래에도 수세식 변기에서 사용되는 물을 절약하기 위한 다양한 발명이 안출되어 특허출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안출된 물 절약형 수세식 변기는 세척수의 사용량을 일부 줄일 수는 있을지라도 배출된 분뇨가 정화처리시설로 이동되어 정화되는 방식을 유지하고 있어서 단지 변기 내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를 일부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나 장치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배출된 분뇨를 처리하기 별도의 시설이 구비되어야 하기에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는 없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고온성 미생물을 분뇨처리부에 투입하여 일정한 온도 및 수분조건만 만족시켜 줄 경우, 고온성 미생물의 왕성한 활동으로 수집된 분뇨를 완전분해할 수 있는 친환경 미생물 변기시스템을 개발하여 특허출원을 하였다(특허출원 10-2019-124348호(2019.10.08), 특허출원 제10-2020-0140977호(2020.10.18).
즉, 본 발명자의 ‘친환경 미생물 변기시스템’은 변기 하부에 분뇨처리조가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배출된 분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분뇨처리조의 내부에서 일정시간 잔류하는 동안 미생물의 활동을 통해 완전분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분뇨의 배출에 따른 불편함이 없고, 분뇨의 정화처리시설을 따로 갖출 필요가 없으며, 변기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세척수의 양이 많지 않아 분뇨처리조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가 자연증발로 인해 항상 적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자의 친환경 미생물 변기시스템은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로부터 배출된 분뇨가 미생물을 통해 완전분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디서나 그 사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변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분뇨처리조 내부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왕성한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온도와 수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가 개발한 친환경 변기시스템은 분뇨처리조의 내부가 항상 적정상태의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분뇨처리조 내부에 대한 수분관리가 필요하지만, 분뇨처리조의 내부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고온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변기의 사용 빈도가 적을 경우, 자연증발을 통해 수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변기의 사용자가 많아 분뇨처리조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 또는 소변의 양이 증가할 경우 강제로 수분을 조절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분뇨처리조 내부에서 외부로 강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연증발이 가속화됨으로써 적정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분뇨처리조에서 외부로 배기관이 설치될 필요가 있었다.
분뇨처리조에서 외부로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관의 설치로 분뇨처리조의 내부 수위를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적정환경으로 유지시키는 것은 가능하였지만, 고온상태가 유지되는 분뇨처리조의 내부에서 일정시간 체류하면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약간의 냄새가 화장실 내부로 유입되어 화장실의 쾌적한 환경을 저해하고, 또한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가 주변 사람들에게 좋지 않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점이 발견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 실용신안등록 제20-266218호(등록일: 2002.02.15) - 특허등록 제10-526201호(등록일:2005.10.27) - 실용신안등록 제20-356290호(등록일:2004.07.06) - 특허공개 제10-2016-132795호(공개일:2016.11.21) - 특허등록 제10-543555호(등록일:2006.01.09)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선행 출원인 미생물을 이용한 변기시스템이 갖는 일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뇨가 수집되어 분해되는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를 폐순환시스템으로 순환시키면서 분뇨처리조 내부의 적정한 수위유지와 냄새 저감 및 제거가 가능한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은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과 좌대가 구비되고, 내측 하부로 분뇨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좌대의 저면 또는 상단 내측 테두리부에 복수개의 세척수 분사노즐이 구비된 변기몸체; 상기 변기몸체에 설치되어 용변 후 변기몸체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 분사하도록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저장조; 상기 분뇨배출구에 대응하는 상면 일측에 분뇨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분뇨유입구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개방 가능한 분뇨받이가 구비되며, 내측에 일정량의 저장수 및 분뇨를 분해하는 고온성 미생물이 투입되어 상기 변기몸체의 하부에서 변기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분뇨처리조;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와 연통되게 양단이 연결되어 분뇨처리조 내부의 공기가 유입, 순환된 후에 다시 분뇨처리조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순환관; 상기 공기순환관을 통과하는 공기중 냄새와 수분을 제거하도록 공기순환관의 중간부에 설치되되, 냉매 또는 공기를 고압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순환관과, 상기 냉매순환관을 통해 공급된 냉매가 단열팽창이 이루어지면서 공기순환관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가 외표면에 접촉되어 응축되도록 하는 냉각핀과, 상기 냉각핀에서 응축된 응결수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응결수저장조를 구비하는 냄새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를 상기 냄새제거수단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가 빠져 나가는 상기 공기순환관에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냄새제거수단에서 냄새가 제거된 공기를 분뇨처리조로 공급하는 공기순환관에는 외부로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관이 연결 설치되되, 상기 배기관의 입구측에는 공기순환관의 공기를 배기관 또는 분뇨처리조 중 어느 일측으로 공기배출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배출 조절밸브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분뇨받이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하향 개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용변을 보는 동안 분뇨유입구를 밀폐하여 분뇨처리조에서 상방으로 냄새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뇨받이가 개방될 경우 상기 변기몸체 내부로 세척수 분사가 이루어져 분뇨받이에 수집된 분뇨가 세척수와 함께 분뇨처리조 내부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는 투입된 고온성 미생물의 서식환경 유지를 위해 저장수를 온도유지를 위한 히팅수단과, 저장수 또는 분뇨처리조의 내부 온도를 실시간 감시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저장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변기몸체 또는 세척수저장조의 외측에는 변기몸체의 내부로 세척수 분사 제어와, 상기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팅수단, 냄새제거수단, 송풍기 및 공기배출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조작부가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변기몸체 또는 뚜껑에는 뚜껑의 개폐동작을 감지하여 제어조작부로 신호를 보내는 뚜껑개폐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뚜껑이 열렸다 닫히는 것을 감지한 뚜껑개폐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조작부는 변기몸체 내부로 세척수분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분뇨처리조의 일측에는 상기 분뇨받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제어조작부로 신호를 보내는 분뇨받이 개폐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는 제어조작부의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주기별로 가동과 정지가 반복되면서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수집된 분뇨를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분뇨처리조는 경량재인 플라스틱 합성수지재의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에는 일정 두께의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분뇨처리조의 하단 일측에는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어조작부의 제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조작부에는, 용변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기몸체의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세척수 분사제어부와,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히팅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감시제어부와,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 저장수 수위를 감시하는 저장수 수위감시부와, 상기 변기몸체의 뚜껑 개폐상태를 감시하는 뚜껑개폐 감시부와, 상기 뚜껑의 개폐 상태 및 순환기 개폐부재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냄새제거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냄새제거수단 동작제어부와, 상기 분뇨처리조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반기 동작제어부와, 상기 공기순환관에 설치된 송풍기 및 공기배출 조절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송풍기동작제어부 및 공기배출 조절밸브 개폐제어부와, 상기 분뇨받이 개폐여부를 감시하는 분뇨받이 개폐감시부와,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 온도 또는 수위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와, 상기 배출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배출펌프 동작제어부와, 상기 각 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 제어부 및 각부의 제어명령을 전반적으로 처리 및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은 분뇨가 수집되어 분해되는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가 폐순환시스템으로 순환되면서 냄새제거수단을 통과하게 되고, 냄새제거수단을 통과한 공기는 다시 분뇨처리조로 유입됨으로써 분뇨처리조에서 일정기간 동안 잔류하면서 미생물에 의해 완전 분해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뇨의 냄새가 변기몸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어 쾌적한 화장실 및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로 인해 주변에 불쾌감을 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조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이 구비된 변기는 폐순환시스템 상에 냄새제거수단이 구비되어 분뇨처리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한 수위 증가시 적정한 수위를 유지시키는데 더욱 유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기간 사용된 후 분뇨처리조 내부에 일정량의 침전물이 쌓일 경우, 분뇨처리조 하단 일측에 일체로 구비된 배출펌프를 동작시켜 분뇨처리조 내부의 침전물을 간단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이용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이 설치된 미생물 좌변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이 설치된 미생물 좌변기에서 뚜껑이 개방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이 구비된 미생물 좌변기의 수직절단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상부측 좌변기의 변기몸체와 하부측 분뇨처리조의 분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에서 제어조작부의 주요 구성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분뇨처리조에서 침전물을 배출시키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이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으로 약칭함)은 고온성 미생물이 분뇨처리조에 투입된 후 분뇨처리조 상부에 설치된 변기몸체로부터 사용자가 배설한 분뇨가 유입되어 고온성 미생물에 의해 완전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에 적용된다.
특히, 분뇨가 수집되어 고온성 미생물에 의해 완전분해가 이루어지는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냄새제거수단이 설치된 공기순환관으로 순환시켜 냄새 제거와 수분을 제거하여 다시 분뇨처리조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미생물 변기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와 외부 배출공기에서 냄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주택이나 이동차량 등 어디서나 미생물 변기시스템을 설치하여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분뇨처리조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환경 제어시스템은 상방에 뚜껑과 좌대가 구비되고, 내측 하부에 분뇨배출구가 구비된 변기몸체; 상기 변기몸체의 내부로 용변 후 세척수를 공급, 분사하는 세척수저장조; 상기 변기몸체에서 낙하된 분뇨가 낙하되어 집합되도록 변기몸체의 하부에 변기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뇨처리조;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로 일정량의 저장수와 함께 투입되어 수집된 분뇨를 분해하는 고온성 미생물;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와 연통되게 양단이 연결되어 분뇨처리조 내부의 공기가 유입, 순환된 후에 다시 분뇨처리조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순환관; 상기 공기순환관을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와 수분을 제거하도록 공기순환관의 중간에 설치되는 냄새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냄새제거수단은 냉매(공기 포함)를 고압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순환관과, 상기 냉매순환관을 통해 공급받아 단열팽창이 이루어지면서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고 공기만 통과되도록 하는 냉각핀과, 상기 냉각핀에서 생성된 응결수가 따로 배출되어 저장되는 응결수저장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를 상기 냄새제거수단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가 빠져 나가는 상기 공기순환관에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냄새제거수단에서 냄새가 제거된 공기를 분뇨처리조로 공급하는 공기순환관에는 외부로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관이 연결 설치되되, 상기 배기관의 입구측에는 공기순환관의 공기를 배기관 또는 분뇨처리조 중 어느 일측으로 공기배출 경로를 조절하는 공기배출 조절밸브가 더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뇨받이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하향 개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용변을 보는 동안 분뇨유입구를 밀폐하여 분뇨처리조에서 상방으로 냄새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뇨받이가 개방될 경우 상기 변기몸체 내부로 세척수 분사가 이루어져 분뇨받이에 수집된 분뇨가 세척수와 함께 분뇨처리조 내부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는 투입된 고온성 미생물의 서식환경 유지를 위해 저장수의 적정온도(50~60℃) 유지를 위한 히팅수단과, 저장수 또는 분뇨처리조의 내부 온도를 실시간 감시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저장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변기몸체 또는 세척수저장조의 외측에는 변기몸체의 내부로 세척수 분사 제어와, 상기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팅수단, 냄새제거수단, 송풍기 및 공기배출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조작부가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변기몸체 또는 뚜껑에는 뚜껑의 개폐동작을 감지하여 제어조작부로 신호를 보내는 뚜껑개폐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분뇨처리조의 일측에는 상기 분뇨받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제어조작부로 신호를 보내는 분뇨받이 개폐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뚜껑개폐 감지센서 및 분뇨받이 개폐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조작부는 변기몸체의 내부로 세척수분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는 제어조작부의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주기별로 가동과 정지가 반복되면서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수집된 분뇨를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분뇨처리조는 경량재인 플라스틱 합성수지재의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에는 일정 두께의 단열재가 충진되어 분뇨처리조 내부의 온도변화를 줄이고, 상기 분뇨처리조의 하방 일측에는 일정기간 사용된 후 내부에 쌓이는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배출펌프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조작부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 및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 경우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은 변기의 하부에 분뇨가 수집되는 분뇨처리조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고온성 미생물이 저장수와 함께 일정량 투입되어 고온성 미생물의 분해활동으로 분뇨가 완전 분해되어 용변의 배설과, 배설된 분뇨의 수집 및 분뇨의 분해가 하나의 변기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미생물을 이용한 일체의 변기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언급되는 ‘고온성 미생물’은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인 특허출원 제10-2019-124348호(2019.10.08) 및 특허출원 제10-2020-0140977호(2020.10.18)에 개시된 고온성 미생물과 동일한 것을 이용하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 사용되는 ‘~부, ~수단’은 하나 이상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기계 또는 전기·전자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부품, 회로, 기구물 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리고, 상세한 설명 가운데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었거나 당업자가 공지된 기술을 토대로 용이하게 안출할 수 있는 변기의 일반적인 기술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술구성 위주로 상세한 설명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환경 제어시스템(T)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환경 제어시스템(T)이 구비된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환경 제어시스템(T)이 적용된 수세식 좌변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외관상태도와 내부 구성을 수직단면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환경 제어시스템(T)은 사용자 착석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변기몸체(10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변기몸체(100) 내부로 유입된 분뇨가 수집되어 내부에 채워진 고온성 미생물에 의해 완전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뇨처리조(400)와, 상기 분뇨처리조(400) 내부의 온도와 수위를 조절하도록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팅수단(420)과, 온도관리를 위한 온도센서(430) 및 세척수 유입에 따른 저장수의 수위를 감시하기 위한 수위센서(440)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변기몸체(100)의 내부로 용변 후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변기몸체(10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변기몸체(100)의 후방에 세척수 저장조(200)가 연결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공기를 인출, 순환시킨 후에 다시 분뇨처리조(40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공기순환관(510)의 양단이 분뇨처리조(4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순환관(510)의 중간부에는 냄새제거수단(500)이 설치되어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와 수분을 제거한 후 타측 공기순환관(510)으로 배출시켜 배기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다시 분뇨처리조(400)로 공급되도록 하여 폐순환 사이클을 통해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공기의 냄새제거 및 저장수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분뇨처리조(400)에서 냄새제거수단(500)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일측 공기순환관(510)에는 송풍기(152)가 설치되어 송풍기(152)의 동작으로 분뇨처리조 (400) 내부의 냄새 제거와 저장수의 수위조절이 신속하게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냄새제거수단(500)에서 냄새와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타측 공기순환관(510)에 배기관(150)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150)에 연결된 공기순환관(510)에는 공기배출 조절밸브(154)가 추가로 설치되어 공기배출 조절밸브(154)의 회전방향(개폐방향)에 따라 냄새제거수단에서 배출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분뇨처리조로 다시 공급하는 폐순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는 추가적으로 교반기(480)가 설치되어 분뇨처리조(400)에 수집된 분뇨의 분쇄 및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온성 미생물의 활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교반기(480)는 별도의 구동모터(482)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냄새제거수단(500)은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520)와, 상기 압축기(5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순환관(540)과, 상기 냉매순환관(540)을 통해 냉매를 공급받아 통과하는 공기가 접촉되어 순간 응결되도록 다수의 공기접촉 공간부를 갖는 냉각핀(530)과, 상기 냉각핀(530)에 접촉되어 생성된 응결수가 따로 배출되어 저장되는 응결수저장조(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냄새제거수단(500)은 냉각기(520)에서 냉각된 냉매가 공기순환관(510)의 중심부에 설치된 냉각핀(530)으로 공급되어 단열팽창하는 과정 중 공기순환관(510)을 통과하는 공기가 냉각핀(530)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순간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지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응결수 저장조(550)로 따로 배출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만 다시 공기순환관(510)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성분이 응결수와 함께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냄새제거수단(500)은 분뇨처리조(400)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냄새성분을 동시에 제거하여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차 있는 저장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변기몸체(100) 또는 세척수저장조(200)의 외측에는 제어조작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조작부(300)에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용변 후 변기몸체(100)의 내부로 세척수 분사와, 분뇨처리조(400) 내부의 온도감시 및 저장수의 수위감시와, 상기 송풍기(152) 및 공기배출 조절밸브(154)의 동작과 상기 냄새제거수단(500)의 동작제어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게 되며, 각 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이중실선은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통로, 냉각공기 또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통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관로를 표시하는 것이고, 단일 실선은 제어선을 표시한 것이며, 이점 쇄선은 전원공급라인을 표시한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환경 제어시스템(T)이 적용된 좌변기의 내부 구성을 단면도와 블럭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내부환경 제어시스템(T)은 공지된 좌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변기몸체(100)와, 상기 변기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부측 변기몸체(100)와 체결부재(250)로 일체로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부측 변기몸체(100)와 분리가능한 하부측 분뇨처리조(400) 및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수집되어 고온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는 분뇨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냄새제거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기몸체(100)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구조의 뚜껑(110)과, 사용자가 용변시 변기몸체(100)의 상단에 착석할 수 있도록 뚜껑(1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한 좌대(120)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몸체(100)의 후방측에는 용변 후 변기몸체(100) 내부로 일정량의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조(2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변기몸체(100)의 하부에는 상부측 변기몸체(100)와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분뇨처리조(400)가 설치되어 변기몸체(100)의 내부에서 분뇨배출구(130)를 통해 낙하된 분뇨가 분뇨처리조(4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면 일측에 분뇨유입구(402)가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측 변기몸체(100)와 하부측 분뇨처리조(400)는 체결부재(250)에 의해 상호간에 견고한 결합 및 밀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250)의 해제시에는 변기몸체(100)의 하부에서 분뇨처리조(400)만 따로 분리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후방측 하부에는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침전물이 쌓일 경우, 침점물의 배출시 이용 가능한 배출펌프(460)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폄프(460)에는 분뇨처리조(400)의 내측으로 흡입구(462)가 설치되고, 분뇨처리조(400)의 외측으로 배출구(464)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464)에는 마개(466)가 결합되어 침전물 배출시 마개(466)를 분리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후면에는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일정한 경로를 순환할 수 있도록 공기순환관(510)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공기순환관(510)의 중간부에 냄새제거수단(500)이 설치되어 분뇨처리조(400)에서 공기순환관(510)으로 유입된 공기가 냄새제거수단(500)을 경유하도록 구성되며, 분뇨처리조(400)에서 냄새제거수단(500)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일측 공기순환관(510)에는 공기의 강제 배출 및 순환을 위한 송풍기(152)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152)가 동작되는 경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공기가 강제로 냄새제거수단(500) 방향으로 배출되고, 냄새제거수단(500)을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핀(530)을 경유하면서 냄새가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 후 다시 분뇨처리조(4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냄새제거수단(500)은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내부에서 단열팽창이 이루어지는 냉각핀(530)을 통과하도록 하여 냉각핀을 통과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순간적으로 응결되어 응결수저장조(550)로 따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기중에 포함된 냄새 및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520)는 냉매를 고압상태로 압축시켜 냉매순환관(540)을 통해 냉각핀(530)으로 공급하고, 냉각핀(530)을 경유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520)로 유입, 압축되어 다수의 공기접촉부를 구비한 냉각핀(530)으로 재 공급되는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분뇨처리조(40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냄새를 신속하게 제거하게 된다.
상기 냉각핀(530)은 높은 압력상태의 냉매가 유입된 후에 단열팽창이 이루어지면서 그 표면에 접촉하는 고온다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순간적으로 응결(응축)시킬 수 있으며, 수분 및 냄새가 제거된 공기는 냉각핀(530)을 통과하여 공기순환관으로 배출, 공기순환관에 구비된 공기배출 조절밸브(154)의 개폐 상태에서 배기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분뇨처리조(400)로 재 공급된다.
한편, 상기 냉각핀(530)을 빠져나온 냄새가 제거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순환관(510)에는 배기관(150)의 입구측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150)의 입구측에는 공기배출 조절밸브(154)가 설치되어 제어조작부(300)의 설정된 제어명령에 따라 공기배출 조절밸브(154)가 자동으로 배기관(150)을 밀폐하거나 개방시키면서 냄새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되도록 하거나 분뇨처리조(400)로 공급하여 폐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변기몸체(400)의 내부로 용변 후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저장조(200)의 상면에는 제어조작부(300)가 구비되어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환경제어와, 세척수 분사제어 및 냄새제거수단(500)의 동작제어 및 송풍기(152)와 공기배출 조절밸브(154)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조작부(300)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변기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 뚜껑(110)이 개방된 상태에서 변기몸체(100)의 상면에 위치한 좌대(120)가 하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대(120) 상면에 착석하여 용변을 볼 경우, 사용자가 배출한 분뇨는 변기몸체(400)의 내부로 유입, 중앙 하부에 형성된 분뇨배출구(130)를 통과하여 분뇨처리조(400)로 낙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몸체(100)의 내측 중앙 하부에 구비된 분뇨배출구(130)에 대응하는 분뇨처리조(400)의 상면에는 분뇨가 유입되도록 관통된 분뇨유입구(402)가 형성되고, 상기 분뇨유입구(402)는 하방으로 회동가능한 분뇨받이(404)가 그 저면에 설치되어 평상시 밀폐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대(120)에 앉아 용변을 보는 동안 상기 분뇨유입구(402)에 설치된 분뇨받이(404)는 분뇨유입구(402)를 밀폐하여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공기가 상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사용자가 배설한 분뇨는 그 상면에 수집된다.
용변 후 사용자가 뚜껑(110)을 닫게 되면, 뚜껑(110)의 후단 또는 변기몸체(10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뚜껑개폐 감지센서(115)에서 뚜껑(110)의 밀폐상태를 감지하여 제어조작부(300)로 신호를 보내면, 제어조작부(300)에서는 세척수저장조(200)에 저장된 세척수가 변기몸체(100) 내부로 공급되도록 세척수분사 명령을 내리게 된다.
제어조작부(300)의 세척수 분사명령으로 좌대(120)의 저면 또는 변기몸체(100)의 상단 테두리 내측에 구비된 복수의 세척수 분사노즐(210)로 세척수가 공급되어 변기몸체(100)의 내부를 향해 분사, 변기몸체(100)의 내벽을 세척하게 된다.
복수의 세척수 분사노즐(21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변기몸체(100)의 내벽을 씻어내린 후에 분뇨유입구(402)를 밀폐하고 있는 분뇨받이(404) 상면으로 낙하되고, 세척수분사가 이루어질 때 제어조작부(300)의 신호를 받은 분뇨받이(404)는 하방으로 개방되면서 그 상면에 적재된 분뇨 및 세척수를 분뇨처리조(400)로 낙하되도록 한다.
변기몸체(100)의 내부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어조작부(300)에서 설정된 시간 또는 설정된 양만큼 소량만 분사되고, 세척수 분사가 마무리되면서 개방된 분뇨받이(404)는 자동으로 닫혀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와 변기몸체(100) 내부 사이를 차단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세척수분사가 이루어질 때 분뇨받이(404)가 하강되어 분뇨유입구(402)를 개방, 수집된 분뇨를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제어조작부(300)에 구비된 세척수 분사버튼을 누를 경우 그 신호에 따라 분뇨받이(404)가 개방되고, 분뇨받이(404)의 개방된 상태는 세척수가 분사가 마무리될때가지 계속 이어져 세척수 분사가 완료되면 그때 분뇨받이(404)가 닫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는 기 투입된 고온성 미생물(410) 및 저장수(450)가 일정량만큼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며, 분뇨처리조(400)로 유입된 분뇨는 일정기간 잔류하면서 고온성 미생물의 활동으로 완전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뇨처리조(400) 내부에 투입된 고온성 미생물은 서식에 적합한 최적의 온도(50~60℃)만 유지되면 최소 6월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기 때문에, 적어도 6개월마다 준비된 고온성 미생물을 일정량씩 보충만 할 경우 반 영구적으로 분뇨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온성 미생물(410)이 서식하는데 적정한 온도와 수분이 필요하여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는 일정온도로 발열이 이루어지는 히팅수단(420)과, 상기 히팅수단(420)의 가동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온도센서(430) 및 내부 수위를 감시하기 위한 수위센서(440)가 더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로 다량의 분뇨가 유입될 경우, 고온성 미생물(410)의 활동이 용이하도록 분뇨를 잘게 부수거나 뭉쳐진 분뇨를 분리하기 위해 구동모터(482)의 회전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교반기(48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센서(430)는 실시간으로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조작부(300)로 감지된 온도정보를 전송하고, 제어조작부(300)는 온도센서(430)에서 감지된 온도정보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히팅수단(420)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히팅수단(420)의 발열로 저장수(450)의 온도를 높이고, 온도센서(430)에서 감지된 온도정보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히팅수단(4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고온성 미생물이 활동하기 용이한 최적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440)는 사용자가 배출하는 분뇨의 양 및 세척수의 유입량에 따라 수위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설정된 기준수위 이상의 수위가 감지될 경우, 제어조작부(300)로 신호를 보내 공기순환관(510)에 설치된 송풍기(152)가 동작되도록 하여 분뇨처리조(400)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의 신속한 배출로 수분증발을 유도하여 분뇨처리조(400) 내부의 수위가 적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의 저장수(450)는 고온성 미생물의 서식환경에 필요한 고온 상태가 항상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송풍기(152)가 회전함으로써 고온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저장수(450)의 증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높아진 수위를 낮추게 되고, 저장수(450)가 기준수위 이하로 낮아질 경우에는 수위센서(440)의 신호를 받은 제어조작부(3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송풍기(152)의 동작은 정지되어 강제 배기가 중지된다.
이와 같이,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설치된 히팅수단(420)과 온도센서(430) 및 수위센서(440)를 통해 분뇨처리조(400) 내부의 환경이 고온성 미생물이 서식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분뇨처리조(400) 내부의 수위조절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152)의 동작과 공기배출 조절밸브(154)의 개폐동작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있는 뚜껑(110)이 개방된 상태와, 용변을 본 후 뚜껑(110)이 닫혀진 상태에서 그 동작과정이 각각 다르게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있는 동안, 뚜껑(110)이 열려진 상태에서 분뇨처리조(400)의 상부에 구비된 분뇨받이(404)는 닫혀진 상태가 되고, 이때 송풍기(152) 및 냄새제거수단이 동작되는 경우 공기배출 조절밸브(154)는 분뇨처리조로 통하는 공기순환관(510)을 막고 배기관의 입구를 개방하여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뚜껑(110)이 닫혀진 상태가 되면, 분뇨처리조 (400)의 상부에 구비된 분뇨받이(404)가 세척수 분사와 함게 개방되면서 수집된 분뇨가 분뇨처리조(400)로 낙하되는 동안 또는 세척수 분사가 마무리된 후 일정시간 동안 송풍기(152) 및 냄새제거수단(500)이 동작되는 경우, 공기배출조절밸브(154)는 분뇨처리조(400)로 통하는 공기순환관(510)의 통로를 개방하고 배기관(150)의 입구를 차단하여 분뇨처리조(400)의 내부공기가 공기순환관(510)을 통해 냉각핀(530)으로 공급된 후 냄새와 수분이 제거된 후에 다시 분뇨처리조(400)로 유입되는 폐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기관(150)이 냄새제거수단(50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순환관(51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공기순환관의 다른 위치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뇨처리조(400)는 내부에 투입된 고온성 미생물의 활발한 활동이 유지되도록 일정한 온도상태를 유지하는데 용이하도록 내외부 간에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일정 두께의 단열재(409)가 내부에 채워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뇨처리조(400)는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플라스틱 합성수지재의 내통(406)과 외통(408)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통(406)과 외통(408) 사이의 중공부에 일정 두께의 단열재(409)가 채워져 고온 상태를 유지하는 저장수(450)가 외부의 기온변화에 따라 빠르게 식는 것을 방지하여 히팅수단(420)의 가동시간을 최대한 줄여 전원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후방 하단에는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축적되는 일부 침전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출펌프(460)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펌프(460)는 제어조작부(300)의 조작을 통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의 분리 상태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교반기(480)와 히팅수단(420), 온도센서(430) 및 수위센서(440) 등이 분뇨처리조(400)에 일체로 구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분뇨처리조(400)에 일체로 구성된 상기 교반기(480)와 히팅수단(420), 온도센서(430) 및 수위센서(440) 등은 소정의 전원 및 제어신호선은 연결단자를 통해 세척수 저장조(200)측에 구비되는 제어조작부(300)와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상기 제어조작부(300)의 주요 구성 및 기능을 블럭도로 간단히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조작부(300)는 용변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기몸체의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세척수 분사제어부(310)와,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430)의 온도감지를 통해 히팅수단(4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감시제어부(320)와,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저장수 수위를 감시하는 저장수 수위감시부(3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조작부(300)에는 공기순환관(510)에 설치된 송풍기(152)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풍기 동작제어부(335)와, 상기 변기몸체(100)에 구비된 뚜껑(110)의 개폐상태를 감시하는 뚜껑개폐 감시부(340)와, 냄새가 제거된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순환관(510)에 설치되어 배기관(150) 또는 분뇨처리조(400) 중 어느 일측으로 공기공급을 제어하는 공기배출 조절밸브(154)의 개폐를 제어하기 공기배출조절밸브 개폐제어부(34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작제어부(300)에는 상기 뚜껑(110)의 개폐 상태 및 공기배출조절밸브(154)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냄새제거수단(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냄새제거수단 동작제어부(350)와, 상기 분뇨처리조(400)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48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반기 동작제어부(360)와, 분뇨유입구를 밀폐하고 있는 분뇨받이의 개폐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분뇨받이 개폐감시부(365)와, 상기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온도 또는 수위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370)와, 상기 각 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 제어부(380) 및 상기 배출펌프(4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배풀펌프 동작제어부(390)가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조작부(300)에는 상기 각부를 제어를 원활하게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프로그램이 내장된 중앙처리부(305)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조작부(300)에 구비되는 각 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세척수 분사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수동으로 세척수 분사버튼을 누르면, 그 신호를 수신하여 세척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세척수 분사제어부(310)는 대/소변을 구분하여 세척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세척수 분사제어부(310)에서 수행되는 세척수 분사제어명령은 중앙처리부(390)의 제어명령에 따라 다른 부위와 연동해서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세척수 분사제어부(310)는 뚜껑이 일정시간 개방된 후 닫히는 신호를 뚜껑개폐감시부(340)에서 감지한 경우,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일어난 것으로 간주하여 뚜껑개폐감시부(340)에서 뚜껑의 밀폐신호가 발생되면, 그 신호에 따라 세척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세척수 분사제어부(310)는 분뇨받이 개폐감시부(365)에서 분뇨받이의 하향 개방이 이루어진 것을 감지한 경우, 그 감지신호에 따라 세척수 분사신호를 발생하여 변기몸체 내부로 세척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시제어부(320)는 분뇨처리조 내부의 저장수의 수온을 감지한 온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수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내인지 실시간 감시하여 기준온도를 벗어나 하강할 경우, 히팅수단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중앙처리부로 신호를 보내 히팅수단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히팅수단의 발열로 저장수가 기준온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또한,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정보가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히팅수단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신호를 중앙처리부로 보내 히탕수단의 공급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위감시부(330)는 분뇨처리조 내부의 수위를 감시하여 변기의 사용빈도에 따라 세척수 유입이 많아 저장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를 초과할 경우, 중앙처리부(390)로 신호를 보내고, 중앙처리부(390)에서는 송풍기 동작제어부(335)로 신호를 보내 송풍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송풍기가 동작됨으로 인해서 분뇨처리조 내부의 저장수는 증발이 가속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의 증발작용으로 높아진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송풍기 동작제어부(335)에서 송풍기 동작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중앙처리부(390)에서는 냄새제거수단 동작제어부(350)로 신호를 보내 냄새제거수단이 동작되도록 하여 송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냉각핀을 경유하면서 응결되어 응결수로 배출되고 건조한 공기만 분뇨처리조로 유입되도록 하여 분뇨처리조 내부의 저장수 수위를 신속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송풍기 동작제어부(335)는 수위감시부(330)의 기준수위 초과 감지신호 이외에도 뚜껑의 개폐를 감시하는 뚜껑개폐감시부(340)의 신호에 따라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동안 뚜껑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뚜껑개폐감시부(340)는 뚜껑이 개방된 것을 감지하여 중앙처리부(390)로 신호를 보내면, 중앙처리부(390)는 송풍기 동작제어부(335)로 신호를 전달하고, 송풍기 동작제어부(335)에서 송풍기 동작신호가 출력되면 송풍기가 동작되어 분뇨처리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냄새제거수단의 동작을 통해 냄새가 제거된 공기가 분뇨처리조로 유입되는 폐순환 사이클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있는 동안 변기몸체 상부로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가 빠져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배출조절밸브 개폐제어부(345)는 상기 뚜껑개폐감시부(340)와, 송풍기동작제어부(335) 및 냄새제거수단 동작제어부(350)의 신호에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뚜껑개폐감시부(340)에서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신호를 감지한 경우, 송풍기 동작제어부(335)가 송풍기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냄새제거수단 동작제어부(350)는 냄새제거수단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공기배출조절밸브 개폐제어부(345)는 분뇨처리조로 통하는 공기순환관을 막고 배기관으로 통하는 공기배출로를 형성하여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가 냄새가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뚜껑개폐감시부(340)에서 뚜껑이 닫혀진 상태를 감지한 경우, 송풍기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냄새제거수단 동작제어부(350)의 신호에 따라 냄새제거수단이 동작될 경우, 상기 공기배출조절밸브 개폐제어부(345)는 분뇨처리조로 통하는 공기순환관을 열고 배기관을 막아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가 냄새가 제거된 상태에서 다시 분뇨처리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폐순환 사이클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분뇨받이 개폐감시부(365)는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변기몸체 외측에 별도로 구비된 분뇨받이 개폐부재(405)를 조작하여 분뇨받이(404)를 개방시킬 경우, 분뇨받이(404)의 개방신호가 중앙처리부(305)로 전달되고, 중앙처리부(305)는 세척수 분사제어부(310)로 신호를 보내 세척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변기몸체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는 변기몸체 내부를 세척한 후에 개방된 분뇨받이를 통해 분뇨처리조로 유입하게 된다.
상기 분뇨받이 개폐감시부(365)는 분뇨받이를 수동으로 개폐조작을 할 경우에 필요하지만,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세척수분사버튼을 누를 경우 세척수 분사와 함께 일정시간 자동으로 분뇨받이가 개방되도록 하는 자동 개폐방식을 채택할 경우 그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개방되는 경우 세척수 분사시간에 맞춰 그 개방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교반기 동작제어부(360)는 설정된 프로그램의 제어명령에 따라 일정 주기별로 교반기(480)가 동작되도록 하여 분뇨처리조(400)로 유입된 분뇨가 한 곳에 쌓이지 않고 분뇨처리조(400)의 바닥면에 골고루 분산되어 고온성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정보표시부(370)는 분뇨처리조 내부의 온도정보나 수위정보가 적정한지 여부를 표시하여 장치의 고장 발생으로 인해 고온성 미생물의 활동성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공급제어부(38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각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별도의 전원공급 및 차단버튼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전원공급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출펌프 동작제어부(390)는 일정기간 변기를 사용한 후, 고온성 미생물의 활동으로 일정량의 침전물이 생기는 경우, 그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제어조작부의 조작시 배출펌프(460)가 가동되도록 하여 분뇨처리조의 바다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배출펌프(460) 동작 전에 분뇨처리조(400)의 외부로 구비된 배출구(464)에 결합된 마개(466)를 열고, 배출구(464) 말단에 침전물 배출용기나 비닐봉투를 연결한 후에 배출펌프를 작동시키면 된다(도 8참조).
한편, 도 7에는 사용자가 변기몸체(100)에서 용변을 본 후의 동작과정이 간단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용변을 본 후 뚜껑(110)을 닫고 변기몸체(100) 외측에 구비된 분뇨받이 개폐부재(405)를 하방으로 조작하면, 분뇨받이 개폐감시부에서 분뇨받이(404)의 개방신호를 수신하여 중앙처리부로 신호를 보내고, 중앙처리부에는 세척수분사제어부로 신호를 보내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한다(분뇨받이의 동작을 수동으로 구성한 경우에 한함).
변기몸체(100)의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는 변기몸체(100)의 내벽을 씻어주면서 분뇨받이(404)의 상면으로 낙하되면서 하방으로 개방된 분뇨받이(404)의 상면을 씻어주면서 분뇨받이(404) 상면에 수집된 분뇨(W)와 함게 분뇨처리조(400)로 낙하된다.
뚜껑개폐 감지센서(115)를 통해 뚜껑(110)이 닫혀진 신호를 수신한 뚜껑개폐감시부는 중앙처리부로 신호를 출력하고, 중앙처리부에서는 송풍기동작제어부와 냄새제거수단 동작제어부 및 공기배출조절밸브 개폐제어부로 신호를 보내 송풍기(152)와 냄새제거수단(500) 및 공기배출 조절밸브(154)가 각각 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조절밸브 개폐제어부는 공기배출 조절밸브가 배기관(150)측 공기통로를 차단하고 분뇨처리조(400)로 순환되는 공기통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분뇨처리조(400)의 내부 공기가 냄새제거수단(500)을 거쳐 냄새가 제거된 후 다시 분뇨처리조(400)로 유입되는 폐순환 사이클이 수행되도록 하여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의 냄새제거와 함께 수분증발을 유도하여 저장수가 적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용변 후 분뇨처리조(400)의 내부로 새로운 세척수가 유입되어 저장수의 온도가 낮아질 경우, 상술한 온도센서(430)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히팅수단(420)이 발열되어 기준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8은 일정기간(최초 사용 후 6월~ 1년)후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일정량의 침전물(S)이 쌓여 있을 경우, 배출펌프(460)를 동작시켜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펌프(460)의 동작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펌프(460)의 배출구(464)에 배출용기(490)에 연결된 배출호스(4492)를 먼저 연결한 후 배출펌프(460)를 동작시키면 되고, 침전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배출구(464)에서 배출용기(490)만 분리하여 지정된 장소에 침전물을 버리면 된다.
상기 배출펌프(460)의 동작을 통해 분뇨처리조(400) 내부의 침전물을 배출시킨 후에는 처음 사용시와 마찬가지로 분뇨처리조(400)의 내부에 일정량의 고온성 미생물과 저장수를 새롭게 다시 채운 후에 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부호중 설명되지 않은 부호 105는 변기몸체(100)가 중공형으로 성형된 중공부를 나타내는데, 상기 중공부는 세척수를 저장하는데 이용하여 세척수 저장조의 보조탱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세척수 공급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환경 제어시스템은 미생물을 이용한 변기시스템에 사용됨으로써, 본 발명자가 안출한 기존의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효용성이 높은 미생물 변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미생물 변기시스템은 사용자가 배출한 분뇨를 외부로 따로 배출시키지 않고 자체적으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 과다한 세척수 사용을 줄여 물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실내나 이동식 컨테이너, 차량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분뇨의 냄새를 없애 쾌적한 실내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위주로 상세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가 간단한 변경을 통해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100 : 변기몸체 105 : 중공부
110 : 뚜껑 115 : 뚜껑 개폐감지센서
120 : 좌대 130 : 분뇨배출구
150 : 배기관 152 : 송풍기
154 : 공기배출조절밸브 200 : 세척수저장조
210 : 세척수 분사노즐 250 : 체결부재
300 : 제어조작부 305 : 중앙처리부
310 : 세척수분사부 320 : 온도감시제어부
330 : 수위감시부 340 : 뚜껑개폐 감시부
350 : 냄새제거수단 동작제어부 360 : 교반기 동작제어부
370 : 정보표시부 380 : 전원공급제어부
390 : 배출펌프 동작제어부
400 : 분뇨처리조 402 : 분뇨유입구
404 : 분뇨받이 405 : 분뇨받이 개폐부재
406 : 내통 407 : 분뇨받이 개폐감지센서
408 : 외통
409 : 단열재 410 : 고온성미생물
420 : 히팅수단 430 : 온도센서
440 : 수위센서 450 : 저장수
460 : 배출펌프 462 : 흡입구
464 : 배출구 466 : 마개
480 : 교반기 482 : 구동모터
490 : 배출용기 492 : 배출호스
500 : 냄새제거수단 510 : 공기순환관
520 : 압축기 530 : 냉각핀
540 : 냉매순환관 550 : 응결수 저장조
T :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S : 침전물 W : 분뇨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과 좌대가 구비되고, 내측 하부로 분뇨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좌대의 저면 또는 상단 내측 테두리부에 복수개의 세척수 분사노즐이 구비된 변기몸체; 상기 변기몸체에 설치되어 용변 후 변기몸체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 분사하도록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저장조; 상기 분뇨배출구에 대응하는 상면 일측에 분뇨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분뇨유입구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개방 가능한 분뇨받이가 구비되며, 내측에 일정량의 저장수 및 분뇨를 분해하는 고온성 미생물이 투입되어 상기 변기몸체의 하부에서 변기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분뇨처리조;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와 연통되게 양단이 연결되어 분뇨처리조 내부의 공기가 유입, 순환된 후에 다시 분뇨처리조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순환관; 상기 공기순환관을 통과하는 공기중 냄새와 수분을 제거하도록 공기순환관의 중간부에 설치되되, 냉매 또는 공기를 고압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순환관과, 상기 냉매순환관을 통해 공급된 냉매가 단열팽창이 이루어지면서 공기순환관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가 외표면에 접촉되어 응축되도록 하는 냉각핀과, 상기 냉각핀에서 응축된 응결수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응결수저장조를 구비하는 냄새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를 상기 냄새제거수단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분뇨처리조의 내부 공기가 빠져 나가는 상기 공기순환관에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냄새제거수단에서 냄새가 제거된 공기를 분뇨처리조로 공급하는 공기순환관에는 외부로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관이 연결 설치되되, 상기 배기관의 입구측에는 공기순환관의 공기를 배기관 또는 분뇨처리조 중 어느 일측으로 공기배출 경로를 조절하는 공기배출 조절밸브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받이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하향 개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용변을 보는 동안 분뇨유입구를 밀폐하여 분뇨처리조에서 상방으로 냄새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뇨받이가 개방될 경우 상기 변기몸체 내부로 세척수 분사가 이루어져분뇨받이에 수집된 분뇨가 세척수와 함께 분뇨처리조 내부로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는 투입된 고온성 미생물의 서식환경 유지를 위해 저장수의 온도유지를 위한 히팅수단과, 저장수 또는 분뇨처리조의 내부 온도를 실시간 감시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저장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변기몸체 또는 세척수저장조의 외측에는 변기몸체의 내부로 세척수 분사 제어와, 상기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팅수단, 냄새제거수단, 송풍기 및 공기배출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조작부가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몸체 또는 뚜껑에는 뚜껑의 개폐동작을 감지하여 제어조작부로 신호를 보내는 뚜껑개폐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분뇨처리조의 일측에는 상기 분뇨받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제어조작부로 신호를 보내는 분뇨받이 개폐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조작부는 뚜껑개폐 감지센서 또는 분뇨받이 개폐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변기몸체의 내부로 세척수분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는 제어조작부의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주기별로 가동과 정지가 반복되면서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수집된 분뇨를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처리조는 경량재인 플라스틱 합성수지재의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에는 일정 두께의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분뇨처리조의 하단 일측에는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어조작부의 제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처리조는 경량재인 플라스틱 합성수지재의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에는 일정 두께의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분뇨처리조의 하단 일측에는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상기 제어조작부의 제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가 더 설치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조작부에는,
    용변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기몸체의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세척수 분사제어부와,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히팅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감시제어부와,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 저장수 수위를 감시하는 저장수 수위감시부와, 상기 뚜껑개폐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 뚜껑 개폐여부를 감시하는 뚜껑개폐 감시부와, 상기 뚜껑 또는 분뇨받이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냄새제거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냄새제거수단 동작제어부와, 상기 분뇨처리조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반기 동작제어부와, 상기 공기순환관에 설치된 송풍기 및 공기배출 조절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송풍기동작제어부 및 공기배출 조절밸브 개폐제어부와, 상기 분뇨받이 개폐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분뇨받이 개폐여부를 감시하는 분뇨받이 개폐감시부와, 상기 분뇨처리조의 내부 온도 또는 수위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와, 상기 배출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출펌프 동작제어부와, 상기 각 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 제어부 및 각부의 제어명령을 전반적으로 처리 및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KR1020210038116A 2021-03-24 2021-03-24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KR102383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16A KR102383089B1 (ko) 2021-03-24 2021-03-24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PCT/KR2021/012415 WO2022203138A1 (ko) 2021-03-24 2021-09-13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16A KR102383089B1 (ko) 2021-03-24 2021-03-24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089B1 true KR102383089B1 (ko) 2022-04-08

Family

ID=8118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116A KR102383089B1 (ko) 2021-03-24 2021-03-24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3089B1 (ko)
WO (1) WO2022203138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809A (ja) * 1998-12-11 2000-06-20 Denso Corp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266218Y1 (ko) 2001-12-11 2002-02-27 박남영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KR200356290Y1 (ko) 2004-03-20 2004-07-15 임상호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절수형 변기 물 저장탱크
KR100526201B1 (ko) 2003-03-07 2005-11-02 박명호 재활용수와 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세식 변기의용수 공급장치
KR100543555B1 (ko) 2004-05-29 2006-01-20 김세창 순환식 오폐수 정화장치
JP2006129941A (ja) * 2004-11-02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臭装置、脱臭装置を用いたトイレ装置、脱臭装置を用いた空調装置、脱臭装置を用いた空調装置の運転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2017624A (ja) * 2010-07-09 2012-01-26 Toyohiko Sawada 仮設トイレ
KR20160132795A (ko) 2016-11-01 2016-11-21 김민구 세면대 절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226A (ja) * 2003-07-08 2005-02-03 Kaneyuki Suzuki 屎尿処理装置
KR100944954B1 (ko) * 2007-11-08 2010-03-03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분뇨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809A (ja) * 1998-12-11 2000-06-20 Denso Corp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266218Y1 (ko) 2001-12-11 2002-02-27 박남영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KR100526201B1 (ko) 2003-03-07 2005-11-02 박명호 재활용수와 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세식 변기의용수 공급장치
KR200356290Y1 (ko) 2004-03-20 2004-07-15 임상호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절수형 변기 물 저장탱크
KR100543555B1 (ko) 2004-05-29 2006-01-20 김세창 순환식 오폐수 정화장치
JP2006129941A (ja) * 2004-11-02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臭装置、脱臭装置を用いたトイレ装置、脱臭装置を用いた空調装置、脱臭装置を用いた空調装置の運転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2017624A (ja) * 2010-07-09 2012-01-26 Toyohiko Sawada 仮設トイレ
KR20160132795A (ko) 2016-11-01 2016-11-21 김민구 세면대 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138A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9581B (zh) 厕所装置
CN100415147C (zh) 一种免水冲生态厕所
JP2008504861A (ja) 移動式簡易トイレ
WO2014208991A1 (ko)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JP4928888B2 (ja) 洋風便器装置
KR20160081874A (ko) 발효 소멸 재래식 화장실
CN106223443A (zh) 一种***物资源化收集利用装置
KR102383089B1 (ko) 미생물 변기시스템의 내부환경 제어시스템
KR20060001827A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CN207436164U (zh) 一种水膜除臭防溅水节水型蹲便器和坐便器
KR20060076143A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100357052B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CN105819667A (zh) 分集式处理坐便器以及***物处理方法
KR102284146B1 (ko) 상하 분리형 미생물 변기
KR20230131613A (ko) 미생물 분뇨처리조가 구비된 변기
KR102548898B1 (ko) 분뇨처리조 냄새 제거장치
KR200380343Y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CN103541417A (zh) 免水冲回收型智能坐便器
KR101379439B1 (ko) 이동식 야외 화장실의 배설물 처리장치
CN111317390A (zh) 一种智能化生态厕所***
CN205774036U (zh) 分集式处理坐便器
JPH10195960A (ja) 吸込装置
CN212521610U (zh) 一种微生物降解免水冲坐便器
KR20040072518A (ko) 자동개폐식 변기를 이용한 이동식 화장실
CN218684057U (zh) 一种无水智能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