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478B1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478B1
KR102382478B1 KR1020170133542A KR20170133542A KR102382478B1 KR 102382478 B1 KR102382478 B1 KR 102382478B1 KR 1020170133542 A KR1020170133542 A KR 1020170133542A KR 20170133542 A KR20170133542 A KR 20170133542A KR 102382478 B1 KR102382478 B1 KR 102382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pen
sensed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826A (ko
Inventor
윤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478B1/ko
Priority to US16/103,346 priority patent/US10996771B2/en
Publication of KR2019004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receiv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ransmitted by the digitiser, e.g. tablet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전자 펜에 의해 발생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획득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전자 펜에 의해 발생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자 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대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자 펜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펜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근래에 보급되는 테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상에 접촉하거나 근접한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전자 펜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상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문서, 사진과 같은 영상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자 펜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상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된 문서 혹은 영상 이미지를 편집하는 기능에 대해서만 이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행 중이거나 전자 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환경에 있는 경우, 전자 펜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자 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환경에서도 전자 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활용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상술한 기술 개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자 펜을 통해 전자 장치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자 펜의 활용도가 증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전자 펜에 의해 발생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펜에 의해 발생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1 색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2 색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1 색상을 발광하고,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2 색상을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는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는 처리 동작 중 선택된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펜에 의해 발생한 제3 신호에 기초하여 필기(wri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터치하는 롱프레스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복수회 터치하는 더블탭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기설정된 패턴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펜은, 상기 전자 펜의 일 측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대응되는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신호에 의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 신호이면,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이면,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1 색상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2 색상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제1 색상을 발광하고,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발광부를 통해 제2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기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는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는 처리 동작 중 선택된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 신호이면,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필기(wri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터치하는 롱프레스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복수회 터치하는 더블탭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기설정된 패턴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펜은, 상기 전자 펜의 일 측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대응되는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 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대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자 펜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전자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의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의 제1 블록도,
도 6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의 제2 블록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예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3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4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5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6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전자 장치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장치로써,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 또는 전자 칠판과 같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한편,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가 실행된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전자 펜(200)이 접촉하거나 기설정된 임계거리 내에 근접하면, 전자 펜(200)의 위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신호가 감지된 지점을 전자 장치(100)이 접촉한 위치 혹은 근접한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 전자 펜(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패시브 타입으로 동작하거나 혹은 액티브 타입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패시브 타입은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수신된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즉, 패시브 타입은 자체적으로 전원 없이 동작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액티브 타입은 자체적인 전원을 통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같이, 전자 장치(100)가 패시브 타입 혹은 액티브 타입에 따른 동작 설명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전자 펜(200)의 위치가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내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전자 펜(200)이 위치하는 지점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선택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거나 혹은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편집, 공유 및 저장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같은 전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0)은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감지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10)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혹은 기저장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터치 스크린(110)는 전자 펜(22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감지하는 제1 레이어,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감지하는 제2 레이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 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터치 스크린(110)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이 터치 스크린(110)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전자 펜(200)에서 발생한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110)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의 의해 발생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110)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제1 신호인지 혹은 제2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해당 신호가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도록 설정된 제1 신호인지 아니면,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제2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1 신호이면, 프로세서(130)는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여기서,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검출된 오브젝트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오브젝트가 검출되면,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외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40)는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전송하며,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외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외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오브젝트가 검출되면,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150)로부터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추출할 수 있다. 저장부(150)로부터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가 추출되면,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50)로부터 추출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통신부(140) 및 저장부(150)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제2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110)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오브젝트가 검출되면, 프로세서(13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110)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UI는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이 같은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는 처리 동작 중 선택된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전자 펜(200)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터치 스크린(110)은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영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감지된 영역 내 포함된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검출된 오브젝트를 기정의된 인식 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여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검출된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터치 스크린(110)은 촬영할 라이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라이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된 라이브 이미지(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터치 스크린(110)은 복수의 지인별 이름,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주소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주소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주소 리스트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참조하여 신호가 감지된 영역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130)는 획득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거나 혹은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1 색상을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110)를 제어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2 색상을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110)은 제1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1 색상을 표시하고, 제2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2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1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1 색상을 발광하고, 제2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2 색상을 발광하도록 발광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본체에 구비된 발광부(190)는 제1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1 색상을 발광하며, 제2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2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이 같은, 발광부(190)에 대한 동작 설명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가 제3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제3 신호에 기초하여 필기(Wri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하는 롱프레스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복수회 터치하는 더블탭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기설정된 패턴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및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터치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전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전자 펜(200)에 의해 선택되면,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한 신호에 기초하여 기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거나 혹은 기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펜(200)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는, 전자 펜(200)에 구비된 버튼부(210)가 눌러짐에 따라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전자 펜(200)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지면, 전자 펜(200)은 제1 신호의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신호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동안, 전자 펜(200)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지면, 전자 펜(200)은 제1 신호에서 제2 신호의 주파수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은 전자 펜(200)은 전자 펜(200)의 일 측면에 구비된 발광부(220)를 통해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펜(200)에서 제1 신호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경우, 발광부(220)는 제1 신호와 관련하여 설정된 제1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펜(200)에서 제2 신호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경우, 발광부(220)는 제2 신호와 관련하여 설정된 제2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이 같은 전자 펜(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전자 펜(200)에서 발생한 신호를 감지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은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채널 전극부(110-1)를 포함한다. 이 같은 터치 스크린(110)은 채널 전극부(110-1)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터치 스크린(110) 상에 근접하거나 접촉한 전자 펜(200)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30)로 전달한다.
이 같은 채널 전극부(110-1)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극 그룹(111) 및 제2 전극 그룹(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그룹(111)은 제1 방향(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다.
제2 전극 그룹(112)은 제2 방향(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112-1, 112-2, 112-3, 112-4, 112-5, 112-6)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각각에 6개의 전극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그 이상 혹은 그 이하의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내의 전극의 형상이 단순한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각 전극의 형상은 보다 복잡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30)는 터치 스크린(110) 내에 포함된 채널 전극부(110-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110)에 근접하거나 접촉한 전자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은 프로세서(130)는 구동부(131), 수신부(132) 및 MCU(133)를 포함한다.
MCU(133)는 채널 전극부(110-1)에 포함된 제1 및 제2 전극 그룹(111,112)을 이용하여 전자 펜(200)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동부(131) 및 수신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송신 관련 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을 송신 구간, 전자 펜(2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을 수신 구간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MCU(133)는 송신 구간인 제1 시간 구간에서 제1 전극 그룹(111) 내 포함된 복수의 제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동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MCU(133)는 구동 신호 인가 이후, 수신 구간인 제2 시간 구간에서 제2 전극 그룹(112) 내 포함된 복수의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자 펜(200)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수신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131)는 송신 구간 동안 제1 전극 그룹(111) 내 포함된 복수의 제1 전극(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는, 구동부(121)는 정해진 개수(예를 들어, 2 ~ 5개) 단위의 전극에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해진 개수 단위의 전극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전극이거나 혹은 일정 패턴에 따라 분산 배열된 전극이 될 수 있다.
수신부(132)는 채널 전극부(110)를 통해 전자 펜(2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32)는 수신 구간 동안 채널 전극부(110-1)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을 통해 전자 펜(2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펜(2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한 수신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132)는 제1 및 제2 전극 그룹(111,112) 모두를 이용하여 전자 펜(2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132)는 각 전극 단위로 전자 펜(2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거나, 혹은 기설정된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자 펜(2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에 사용되는 전극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전극들일 수도 있고, 간격을 두고 배열된 전극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신부(132)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전자 펜(2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또는 신호의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방법에는 퓨리에(Fourier) 변환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같은 수신부(132)를 통해 신호 처리된 신호가 수신되면, MCU(133)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또는 수신된 신호의 패턴에 기초하여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의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CU(133)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제1 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이면, 전자 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1 신호로 판단한다. 한편, 전자 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제2 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이면, MCU(133)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2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MCU(133)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제3 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이면, 전자 펜(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3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MCU(133)는 수신부(132)를 통해 채널 전극부(110-1)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전극 그룹(111) 내 포함된 복수의 제1 전극에서 수신된 신호 간의 신호 세기 및 제2 전극 그룹(112) 내 포함된 복수의 제2 전극에서 수신된 신호 간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전자 펜(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그룹(111) 내 포함된 제1 전극(111-3)의 신호의 세기가 타 제1 전극의 신호의 세기보다 크고, 제2 전극 그룹(112) 내 포함된 제2 전극(112-2)의 신호의 세기가 타 제2 전극의 신호의 세기보다 크다면, MCU(133)는 제1 전극(111-3)과 제2 전극(112-2)이 교차하는 지점을 전자 펜(200)이 근접하거나 접촉한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자 펜(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의 해상도(resolution)와 전극간의 간격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좀 더 높은 해상도로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서, MCU(133)는 각 전극 그룹 내 포함된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내삽(interpolation)하는 방법으로 전자 펜(200)이 근접하거나 접촉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스위칭부(134)는 복수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구동부(131)와 연결하거나, 복수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수신부(132)와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34)는 MCU(133)의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 신호를 인가할 전극과 구동부(131)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위칭부(134)는 MCU(133)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MCU(133)의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구동 신호를 인가할 전극과 구동부(13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134)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전극을 접지 또는 플로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터치 스크린(110) 및 프로세서(130) 구성 외에 감지부(120), 통신부(140), 저장부(150), 입력부(160), 촬영부(170), 오디오 출력부(180) 및 발광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조도 센서(미도시), 온도 센서(미도시) 등을 통해 주변 환경의 밝기 및 외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0)는 압력 센서(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 터치 압력 혹은 전자 펜(200)의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감지부(120)는 움직임 센서(미도시), 지자기 센서(미도시), 중력 센서(미도시) 및 자이로 센서(미도시) 등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센서(Accelerometer Sensor)(미도시)는 이동하는 전자 장치(200)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이다.  그리고,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미도시)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위각을 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며, 중력 센서(Gravity Sensor)(미도시)는 중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지 탐지하는 센서로써,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들고 있는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여 방향을 감지한다.  마지막으로,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미도시)는 기존의 움직임 센서(미도시)에 각각 회전을 넣어 6축 방향을 인식하여 하여 좀더 세밀하고 정밀한 동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센서이다.
통신부(14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미도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미도시),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미도시) 등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 같은 통신부(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 장치(미도시)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써,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와이파이(WiFi),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i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단말 장치(미도시), 컨텐츠 서버(미도시) 및 웹 서버(미도시) 등과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실행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150)는 전자 펜(200)에서 출력되는 신호별 주파수 정보 혹은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선택 명령을 입력받아 프로세서(130)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다. 이 같은 입력부(16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 패드(Key Pad)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부(17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발광부(190)는 전자 펜(200)에서 발생한 신호의 타입에 따라 상이한 색상을 발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190)는 전자 펜(200)에서 발생한 제1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1 색상을 발광하고, 전자 펜(200)에서 발생한 제2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2 색상을 발광한다. 뿐만 아니라, 발광부(1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펜(200)에서 발생한 제3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3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광부(190)는 전자 펜(200)이 터치 스크린(110)에 근접하거나 접촉하지 않는 동안, 전자 장치(100)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제4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프로세서(130)는 CPU(135), GPU(136), ROM(137) 및 RAM(13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CPU(135), GPU(136), ROM(137) 및 RAM(138)은 버스(139)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35)는 저장부(150)를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또한 CPU(145)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GPU(136)는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GPU(136)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고, 연상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ROM(137)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35)는 ROM(137)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38)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35)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38)에 복사하고, RAM(138)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 같은 프로세서(130)는 전술한 각 구성들과 결합되어 단일칩 시스템(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30)의 동작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ROM(137), RAM(138) 또는 전자 장치(100)에 탈착/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전자 펜(2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200)는 버튼부(210) 및 발광부(220)를 포함한다.
버튼부(210)는 전자 펜(200)의 바디 영역의 일 측면에 구비되며, 전자 장치(100)로 송출할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구성이며, 발광부(220)는 전자 펜(200)에서 송출할 신호와 관련하여 설정된 색상을 발광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제1 신호의 주파수를 송출할 경우, 발광부(220)는 제1 신호와 관련하여 설정된 제1 색상을 발광한다. 한편, 제1 신호에서 제2 신호로 변경된 신호를 송출하기 위에서 버튼부(210)가 눌러지면, 발광부(220)는 제1 색상에서 제2 신호와 관련하여 설정된 제2 색상을 발광한다.
이 같은 전자 펜(200)는 자체적인 전원 없이 동작하는 패시브(Passive) 타입 혹은 자체적인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액티브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의 제1 블록도이다.
전자 펜(200)이 패시브 타입인 경우, 전자 펜(200)는 전술한 구성 외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진부(240)는 전도성 팁(미도시), 전도성 팁(미도시)에 연결된 인덕터(미도시) 및 커패시터(미도시)로 이루어진 병렬 연결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공진부(240)는 전도성 팁(미도시)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1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팁(미도시)은 예를 들어 금속성 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팁(미도시)은 비전도성 물질 내부에 존재하거나 전도성 팁(미도시)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진부(240)는 터치 스크린(11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전도성 팁(미도시)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을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공진을 위한 신호에 의해 전자 펜(200)이 활성화되면, 공진부(240)는 전도성 팁(미도시)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공진부(240)는 주파수의 신호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해당 색상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광부(220)로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공진부(240)는 버튼부(21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진부(240)는 터치 스크린(110)의 일 영역에 접촉한 전도성 팁(미도시)의 접촉 압력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부(240)는 기설정된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신호를 전도성 팁(미도시)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버튼부(210)가 눌러지면, 공진부(240)는 제1 신호에서 기설정된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제2 신호를 전도성 팁(미도시)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공진부(240)는 변경된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신호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색상을 발광하기 위한 신호를 발광부(220)로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부(220)는 공진부(240)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신호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의 제2 블록도이다.
전자 펜(200)이 액티브(Active) 타입인 경우, 전자 펜(200)는 전술한 버튼부(210) 및 발광부(220) 구성 외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부(240), 전원부(25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부(240)는 전도성 팁(미도시)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1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하며, 전원부(250)는 전자 펜(2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프로세서(260)는 버튼부(21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명령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파수의 신호를 공진부(240)를 통해 공진부(240)와 커패시턴스를 형성한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기저장된 주파수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한 주파수의 신호에 대응되는 색상을 발광하도록 발광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공진부(240)를 통해 기설정된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버튼부(210)가 눌러지면, 프로세서(260)는 제1 신호에서 기설정된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제2 신호를 공진부(24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변경된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신호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색상을 발광하도록 발광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부(220)는 공진부(240)를 통해 전자 장치(200)로 인가된 제2 신호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 및 전자 펜(2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어플리케이션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으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1 오브젝트(710)가 위치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1 신호이고, 검출된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710)이면,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제1 오브젝트(71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브젝트(710)에 대한 명칭을 제1 오브젝트(710)에 대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오브젝트(710)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브젝트(710)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UI(81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된 UI(8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브젝트(7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선택된 엘리먼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거나 혹은 저장부(150)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UI(8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 탑 정보"에 대한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탑"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된 UI(8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탑 관련 사용자 정보"에 대한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중 제1 오브젝트(710)와 관련된 영상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7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촬영할 라이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라이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 이미지의 제1 영역(72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된 라이브 이미지(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로 획득한다.
이 같이, 라이브 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브 이미지와 관련된 위치에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UI(91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된 UI(9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엘리먼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거나 혹은 저장부(150)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UI(9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지역 정보"에 대한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라이브 이미지와 관련된 위치에 있는 맛집, 관광 명소 등의 지역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된 UI(9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지역 관련 이미지"에 대한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라이브 이미지에 대한 정보에 기촤여 기저장된 복수의 영상 이미지 중 라이브 이미지와 관련된 지점에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 이미지(10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이미지(10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1 오브젝트(1010)가 위치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이고, 검출된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1010)이면, 전자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브젝트(1010)에 대한 정보를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UI(111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된 UI(11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브젝트(1010)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는 처리 동작 중 선택된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UI(11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편집"에 대한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브젝트(1010)와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UI(11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공유"에 대한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SNS(Social Netwoking Servic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오브젝트(1010)를 포함하는 영상 이미지(1000)를 SNS 서버로 업로딩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 이미지(1000)를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미도시)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영상 이미지(100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펜(200)으로부터 송출된 제2 신호가 감지되면, 영상 이미지(100)에 대한 정보를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UI(11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된 UI(111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공유"에 대한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미도시)로 디스플레이된 영상 이미지(1000)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미도시)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주변 기기(미도시) 각각을 나타내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주변 기기(미도시) 각각에 대응하는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주변 기기(미도시)로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이미지(1000)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어플리케이션은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지인별 이름,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주소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이 같은 주소록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1 오브젝트(1210)가 위치하는 영역(122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1220)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1220)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1 신호이고, 검출된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1210)이면, 전자 장치(10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장된 복수의 프로파일 정보 중 제1 오브젝트(1210)에 대응되는 프로파일 정보(1230)를 제1 오브젝트(1210)에 대한 검색 결과로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지인별 이름,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주소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주소 리스트가 전자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이 같은 주소록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1 오브젝트(1310)가 위치하는 영역(132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1320)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1320)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이고, 검출된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1310)이면, 전자 장치(10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브젝트(1310)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133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UI(133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편집" 관련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브젝트(1310)에 대응되는 프로파일 정보(134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프로파일 정보(1340)에 포함된 연락처, 주소 등을 편집하고, 편집이 완료되면,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편집이 완료된 프로파일 정보(1340)가 디스플레이된 영역(1350)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이면, 전자 장치(100)는 편집된 프로파일 정보(1350)를 저장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4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요청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맵 데이터(15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맵 데이터(151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맵 데이터(1510)에 표시된 목적지(도착) 지점(152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해당 신호가 감지된 지점(1520)을 판단한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이고, 감지된 지점이 목적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UI(153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UI(153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공유" 관련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주소 리스트(154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주소 리스트(154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주소 리스트(154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A 지인에 해당하는 제1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155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1550)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1550)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이고, 검출된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1560)이면,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복수의 프로파일 정보 중 제1 오브젝트(1560)에 대응되는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A 지인의 단말 장치(미도시)로 목적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4 예시도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5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어플리케이션은 웹 실행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요청한 웹 페이지(1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161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1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160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로부터 해당 신호가 감지된 영역(1620)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1620)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1 신호이고, 검출된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1610)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오브젝트(161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획득한 제1 오브젝트(16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제1 오브젝트(1610)에 대한 검색 결과(1630)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제1 오브젝트(1610)에 대한 검색 결과(1630)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 영역(164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의 타입을 판단한다.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중인 제1 오브젝트(1610)에 대한 검색 결과(1630)를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UI(165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UI(1650)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저장" 관련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브젝트(1610)에 대한 검색 결과(163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5 예시도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같이 동영상을 촬영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에서 발생한 제3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자 펜(200)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촬영 중인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서 전자 펜(20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펜(200)은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해당 신호가 텍스트 입력을 위한 제3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제3 신호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촬영 중인 화면 상에 “석양이 멀진 날!!”이라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을 촬영 중인 화면의 전면 상단에 배치된 LED(1720)를 통해 제3 신호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제3 색상의 빛을 발광시킨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전자 펜(200)에서 발생한 제3 신호와 상이한 신호가 감지되면, 촬영된 영상을 프리뷰(preview)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 기저장된 복수의 동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뷰 모드는 촬영된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동영상을 프리뷰 모드로 제공하거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동영상 중 텍스트가 기록된 동영상만을 프리뷰 모드로 제공하고, 나머지 동영상에 대해서 정지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동영상 중 현재 혹은 가장 최근에 촬영된 동영상만을 프레뷰 모드로 제공하고, 나머지 동영상에 대해서 정지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6 예시도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진 촬영 모드에서 촬영할 라이브 영상(1810)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라이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1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감지한다. 감지된 신호가 오브젝트 검출을 위한 제1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 내에서 오브젝트(1830)를 검출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라이브 영상(1810)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전면 상단에 배치된 LED(1720)를 통해 제1 신호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제1 색상의 빛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발광된 제1 색상의 빛을 통해 전자 펜(200)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1830)가 검출되면, 검출된 오브젝트(1830)에 포커싱되어 라이브 영상(1810)이 촬영되도록 촬영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1830)에 포커싱된 라이브 영상(18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혹은 피사체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여 변경된 라이브 영상(1810’)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된 오브젝트(1830’)를 포함하는 라이브 이미지(1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포커싱된 오브젝트(1830)를 기준으로 해당 오브젝트(1830)에 대한 트랙킹(tracking)을 수행하여 제2 지점으로 이동된 오브젝트(1830’)에 포커싱된 라이브 이미지(18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각 동작에서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감지한다(S1710). 이후,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신호에 의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해당 신호가 제1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20).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1 신호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S1730).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전송하여, 해당 서버(미도시)로부터 기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기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기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감지된 신호가 제1 신호가 아니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40). 판단 결과,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이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기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UI를 제공한다(S1750).
여기서, UI는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기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UI를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UI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기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는 처리 동작 중 선택된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740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3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제3 신호에 기초하여 필기(writing) 기능을 수행한다(S1760).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의 타입에 따라, 해당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상이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제1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1 색상을 터치 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제2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2 색상을 터치 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의 타입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본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상이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제1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의 본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제1 색상을 발광하고, 전자 펜(200)으로부터 제2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의 본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제2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의 터치 상태에 따라,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가 감지된 영역과 관련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을 통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하는 롱 프레스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복수회 터치하는 더블탭 입력,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기설정된 팬턴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및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감지된 사용자 사용자 입력을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펜(2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이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면, 전자 장치(2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가 감지된 영역의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200)으로부터 발생한 신호의 타입에 따라, 기검출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거나 혹은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자 펜(200)은 전자 펜(200)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전자 펜(20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변경된다. 또한, 전자 펜(200)은 전자 펜(200)의 일 측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대응되는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펜(200)는 전자 펜(200)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지면, 제1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를 발생하고, 발광부를 통해 제1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색상을 발광한다.
한편, 전자 펜(200)은 제1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를 발생하는 동안 전자 펜(200)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지면, 제1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에서 제2 주파수를 갖는 제2 신호를 발생하고, 발광부를 통해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색상을 발광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펜(200)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 송출할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전자 펜(200)의 일 측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발광하는 색상으로부터 신호의 변경 유무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터치 스크린
120 : 감지부 130,230 : 프로세서
140 : 통신부 150 : 저장부
160 : 입력부 170 : 촬영부
180 : 오디오 출력부 190,220 : 발광부
200 : 전자 펜 210 : 버튼부
240 : 공진 회로부 250 : 전도성 팁
260 : 접지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발광부;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전자 펜에 의해 발생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제1 색상을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펜에 의해 발생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을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1 색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2 색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1 색상을 발광하고,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제2 색상을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는 처리 동작 중 선택된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펜에 의해 발생한 제3 신호에 기초하여 필기(writing)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터치하는 롱프레스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복수회 터치하는 더블탭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기설정된 패턴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은,
    상기 전자 펜의 일 측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대응되는 색상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신호에 의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1 신호이면,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제1 색상을 발광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2 신호이면,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발광부를 통해 상기 제1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1 색상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지점에 제2 색상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제1 색상을 발광하고,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발광부를 통해 제2 색상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기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의 편집, 공유 및 저장하는 처리 동작 중 선택된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3 신호이면,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필기(writing)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터치하는 롱프레스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복수회 터치하는 더블탭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기설정된 패턴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기설정된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는,
    상기 전자 펜에 구비된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은,
    상기 전자 펜의 일 측면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해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대응되는 색상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70133542A 2017-10-13 2017-10-13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42A KR102382478B1 (ko) 2017-10-13 2017-10-13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103,346 US10996771B2 (en) 2017-10-13 2018-08-14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42A KR102382478B1 (ko) 2017-10-13 2017-10-13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826A KR20190041826A (ko) 2019-04-23
KR102382478B1 true KR102382478B1 (ko) 2022-04-05

Family

ID=6609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542A KR102382478B1 (ko) 2017-10-13 2017-10-13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96771B2 (ko)
KR (1) KR102382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1063B2 (en) 2018-07-18 2022-04-12 John J. King, JR. Smart pen device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smart pen device
US11294431B2 (en) 2019-08-02 2022-04-05 Dell Products L.P.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US11024224B2 (en) 2019-08-02 2021-06-0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operating condi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US10817082B1 (en) * 2019-08-02 2020-10-27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smart stylus
US11243578B2 (en) 2019-08-02 2022-02-08 Dell Products L.P. Gear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US11586243B2 (en) 2019-08-02 2023-02-2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rotational orien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KR20210029862A (ko) 2019-09-06 2021-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센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5023683A (zh) * 2019-12-11 2022-09-06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触控笔、终端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2554A1 (en) * 2011-03-07 2013-12-26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for association based ident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7805A (ja) 2000-09-01 2002-03-15 Nippon Signal Co Ltd:The 撮影メモ機能付きカメラ
US7555705B2 (en) 2003-09-10 2009-06-30 Microsoft Corporation Annotation management in a pen-based computing system
US8117548B1 (en) 2005-05-03 2012-02-14 Apple Inc. Image preview
TW200925942A (en) * 2007-12-10 2009-06-16 Mitac Int Corp Stylus device with multi-color switching
US8467991B2 (en) 2008-06-20 2013-06-18 Microsoft Corporation Data services based on gestur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device
KR100972335B1 (ko) 2008-08-25 2010-07-26 (주)디코인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노트
JP2011123833A (ja) * 2009-12-14 2011-06-23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電子ペン
US8427454B2 (en) * 2010-06-08 2013-04-23 Waltop Internationa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pen with a multi-functions tail part
US9547425B2 (en) 2012-05-09 2017-01-17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KR20130129563A (ko) * 2012-05-21 2013-1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칠판 시스템
KR20140001265A (ko) 2012-06-22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68604B1 (ko) * 2012-08-28 2020-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 인식장치 및 방법
KR102090269B1 (ko) * 2012-12-14 202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검색 방법,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KR102017696B1 (ko) 2013-01-29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JP5977697B2 (ja) 2013-03-14 2016-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9552138B2 (en) 2013-05-10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65171B2 (en) * 2013-12-12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ynamic application association with hand-written pattern
KR102180236B1 (ko) * 2014-02-20 2020-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95902B1 (ko) 2015-07-28 2016-02-24 채시환 색상 제어가 가능한 터치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2554A1 (en) * 2011-03-07 2013-12-26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for association based ident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826A (ko) 2019-04-23
US10996771B2 (en) 2021-05-04
US20190114070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478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425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lank area in screen
TWI591536B (zh) 執行無線顯示分享的方法、裝置以及電腦程式產品
KR102330829B1 (ko) 전자 장치에서 증강현실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61510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375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8098B1 (ko) 전자장치의 초점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22373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95712B1 (ko) 증강 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8026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40168054A1 (en) Automatic page turning of electronically displayed content based on captured eye position data
US20140152852A1 (en) Predetermined-area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3282867B (zh) 遥控器、显示装置、电视接收机、及遥控器用程序
JP6253127B2 (ja) 情報提供装置
CN107613283B (zh) 视频中的基于对象或区域的聚焦控制
US9207779B2 (en) Method of recognizing contactless user interface motion and system there-of
EP2824905B1 (en) Group recording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89074A (ko) 클램핑을 사용한 스크롤링의 변경
US9214043B2 (en) Gesture based map annotation
CN106133667A (zh) 用于管理电子设备的操作模式的***和方法
US10319345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artially obfuscating an object displayed thereon
CN103902218A (zh) 一种移动终端屏幕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KR20200101034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변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20008308A (ko) 조명 장치 제어 방법, 조명 장치 피팅 및 전자 장치
KR102078198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촬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