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055B1 -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055B1
KR102381055B1 KR1020190171421A KR20190171421A KR102381055B1 KR 102381055 B1 KR102381055 B1 KR 102381055B1 KR 1020190171421 A KR1020190171421 A KR 1020190171421A KR 20190171421 A KR20190171421 A KR 20190171421A KR 102381055 B1 KR102381055 B1 KR 10238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film
assembly structure
pip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531A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17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0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형태의 몸체와 플랜지부를 가지는 히팅 파이프 및 히팅 파이프 몸체 외주에 부착되는 필름 형태의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HEATING FILM ASSEMBLY OF MICROPARTICLE GENERATOR}
본 발명은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의 미세입자, 즉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것으로 흔히 말하는 흡연과 같은 기호 물질 흡입이 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궐련 형태의 담배가 이러한 기호 물질 흡입의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으나 최근에는 전자 담배라는 것도 또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자 담배는 흡입 물질이 액체 형태로 담긴 카트리지에 열이나 초음파를 가하여 흡입 물질을 증기로 기화시켜 미세 입자를 발생시키므로 연소를 시켜 연기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궐련 형태의 담배와는 방식 면에서 완전히 차별되며, 그로 인한 장점, 특히 연소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해 물질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97819에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위한 가열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열 조립체로 사용되는 히터는 중앙에 블레이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원통형인 궐련의 담뱃잎을 가열 온도 분포가 고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궐련의 외부에서 궐련을 가열하는 파이프형 히터를 가지는 미세입자 발생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97819
본 발명은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발열체인 필름 히터의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 형태의 몸체와 플랜지부를 가지는 히팅 파이프 및 히팅 파이프 몸체 외주에 부착되는 필름 형태의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몸체와 플랜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몸체와 플랜지부는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몸체와 플랜지부는 고 내열성 플라스틱 또는 SU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는, 히팅 파이프 상단에 플랜지를 구비하여, 필름 형태의 발열체를 접합, 부착 또는 접착 시에 히팅 파이프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히팅 파이프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가 구비하는 히팅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가 구비하는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가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히팅 파이프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가 구비하는 히팅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가 구비하는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가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는, 파이프 형상의 히팅 파이프(100)를 구비하며, 히팅 파이프(1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300), 하부 프레임(300)과 결합되며, 히팅 파이프(100)의 상부를 눌러 고정하는 커버(200)를 포함한다.
히팅 파이프(100)는 향미발생 기재를 중앙에 삽입할 수 있는 파이프 형태의 몸체(110)를 가지며, 몸체(110)의 외주에 필름 형태의 발열체(130)가 부착된다. 이때, 발열체(130)의 부착 시에 발열체(13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에 플랜지(120)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플랜지(120) 구조는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몸체(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몸체(110)와 플랜지(120)는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되어야 하며, 몸체(110)는 특히 열 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제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몸체(110)나 플랜지(120)는 SUS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플랜지(120)는 내열성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커버(200)는, 히팅 파이프(100)의 외주를 감쌀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를 구비한다. 이때, 히팅 파이프(100)와 커버(200)의 몸체(2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커버(200)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커버(200)의 상면(220)은 히팅 파이프(100)의 플랜지(120)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면(220)의 내주부에 하향 돌기(222)를 마련하여, 히팅 파이프(100)의 플랜지(120)를 하측, 즉 하부 프레임(300) 측으로 가압하여 히팅 파이프(1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200)의 하측에는 후술할 하부 프레임(300)의 후크(330)가 삽입되는 수용부(230)를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300)은, 히팅 파이프(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기류 패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원통형 공간(310)을 포함한다. 원통형 공간(310)에는 기류 패스(340)가 연결된다. 기류 패스(340)의 일 측에는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센서 수용부(3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 프레임(300)의 상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의 지지부(320)가 마련된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300) 상에 히팅 파이프(100)를 결합하고, 커버(200)와 하부 프레임(300)을 결합하면, 커버(200)가 히핑 파이프(100)를 가압하며 히팅 파이프(100)가 하부 프레임(300)의 지지부(320) 내로 좀 더 깊숙이 삽입된다. 지지부(320)의 외주에는 후크 형상의 돌기(330)가 마련되어, 커버(200)의 수용부(230)와 결합된다.
이렇게 히팅 파이프(100)의 조립 구조를 히팅 파이프(100), 커버(200), 하부 프레임(300)으로 모듈화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커버(200)와 하부 프레임(300)은 고열에 강한 SUS 재질이나, 초고열 내열성을 가지는 PEEK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EEK 재질로 제조될 경우, 유리섬유, 미네랄 등의 보강재를 추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버(200)와 하부 프레임(300)의 결합 방법으로 수용부(230)와 후크(330)를 예시로 들었으나, 커버(200)와 하부 프레임(300)은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체결 부재는 탭핑, 머신 등을 이용해 체결될 수 있다.
100: 히팅 파이프 110:몸체
120: 플랜지 130: 발열체
200: 커버 210: 몸체
220: 상면 222: 하향 돌기
230: 수용부 300: 하부 프레임
310: 원통형 공간 320: 지지부
330: 후크형 돌기 340: 기류 패스
350: 센서 수용부

Claims (4)

  1. 파이프 형태의 고 열전도성 재질의 몸체와, 몸체의 상단에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히팅 파이프; 및
    히팅 파이프 몸체 외주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필름 형태의 발열체;를 포함하되,
    히팅 파이프의 몸체는 필름 형태의 발열체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고, 히팅 파이프의 플랜지부는 필름 형태의 발열체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와 플랜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몸체와 플랜지부는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와 플랜지부는 고 내열성 플라스틱 또는 SU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KR1020190171421A 2019-12-20 2019-12-20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KR102381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421A KR102381055B1 (ko) 2019-12-20 2019-12-20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421A KR102381055B1 (ko) 2019-12-20 2019-12-20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31A KR20210079531A (ko) 2021-06-30
KR102381055B1 true KR102381055B1 (ko) 2022-03-31

Family

ID=7660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421A KR102381055B1 (ko) 2019-12-20 2019-12-20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742A1 (ko) * 2021-07-29 2023-02-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단열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단열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7054D0 (en) * 2011-09-06 2012-06-0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Heating smokeable material
PL3180998T3 (pl) 2012-12-28 2021-12-06 Philip Morris Products S.A. Zespół grzejny do układu wytwarzania aerozolu
ES2744185T3 (es) * 2015-02-11 2020-02-24 China Tobacco Yunnan Ind Co Ltd Generador de humo y método de ensamblaje para el mismo
KR101983040B1 (ko) * 2017-09-26 2019-05-30 전자부품연구원 단열 튜브 및 그를 이용한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KR102057216B1 (ko) * 2017-10-30 2019-12-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KR102141648B1 (ko) * 2017-10-30 2020-08-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4248B1 (ko) * 2018-04-24 2021-07-07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장치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31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6193B2 (ja) 電子蒸気吸入器
US20190090550A1 (en) Electronic cigarette
EP3078283B1 (en) Tobacco heating device
CN112165874A (zh) 气溶胶生成制品及其制造方法、以及气溶胶生成***
US20230210179A1 (en) A Cartridge for a Vapour Generating Device
KR102381055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JP2024001155A (ja) 組み立て方法及びエアロゾル化可能な材料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EP4099855A1 (en) A cartridge for a vapour generating device
KR102381037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히팅 파이프 조립 구조
JP2023504615A (ja) 係合要素を含むホルダ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デバイス
JP2023504997A (ja) バッフル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デバイス
KR20230073693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CN116634894A (zh) 气溶胶产生装置
KR20240073343A (ko) 단열구조를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TW202412649A (zh) 具有真空絕熱器的氣溶膠產生裝置
KR2023011886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