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243B1 - 충전커넥터 - Google Patents

충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243B1
KR102375243B1 KR1020200088060A KR20200088060A KR102375243B1 KR 102375243 B1 KR102375243 B1 KR 102375243B1 KR 1020200088060 A KR1020200088060 A KR 1020200088060A KR 20200088060 A KR20200088060 A KR 20200088060A KR 102375243 B1 KR102375243 B1 KR 10237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rminal
inner housing
installation space
re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631A (ko
Inventor
이헌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32)이 있는 충전하우징(10)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내부에 걸려 1차고정되는 충전터미널(T1)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너하우징(55)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외부를 감싼다. 또한,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면 리어홀더(80)가 상기 이너하우징(55)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에 연결된 상기 충전터미널(T1)을 2차고정시키며, 와이어시일(S1)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연결된 충전와이어(W)를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이너하우징(55)과 상기 리어홀더(8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 및 상기 리어홀더(80)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커넥터{Charging connector}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고,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은 이중으로 걸려 고정됨과 동시에 방수기능이 있는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에서는 구동원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되고, 배터리는 충전커넥터를 통해서 충전된다. 자동차에 설치된 충전커넥터는 인렛커넥터라고 하는데, 이러한 인렛커넥터는 충전스테이션에 설치된 플러그커넥터와 결합하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충전스테이션에서는 고전압이 제공되므로 전기연결의 안정성이 중요하다. 전기연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전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충전커넥터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충전커넥터의 뒤쪽에 일종의 커버인 리어홀더를 조립하여 터미널을 후방에서 한번 더 지지해주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충전스테이션은 외부환경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방수성능도 요구된다. 즉, 인렛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는 그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져야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 충전커넥터에는 방수시일이 설치된다. 방수시일은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가 바깥쪽으로 배출되는 입구 부분에도 설치되어서, 입구 부분과 와이어의 사이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때 방수시일은 리어홀더에 의해 압축되어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리어홀더가 충전커넥터에 조립되어 시일을 안쪽으로 압축하면, 리어홀더에 눌린 시일이 터미널을 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터미널이 충전커넥터의 내부에서 정위치를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들 사이가 정확하게 밀착되기 어렵고, 애초에 설계된 위치에서 벗어나 결과적으로 전기연결의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단락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일의 압축량을 줄이면 충전커넥터의 방수성능이 낮아진다. 또한 시일을 터미널이 삽입되는 입구 주변이 아니라 터미널을 직접 감싸도록 안쪽에 설치해서 커버가 시일을 누르지 않도록 하면 입구를 통해서 수분이 유입되어 역시 방수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시일이 커버에 의해 압축되는 과정에서 시일이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면, 시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되지 못하고 어느 한쪽의 압축량이 많아진다. 이렇게 되면 압축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쪽은 방수성능이 떨어져 수분이 유입될 수 있고, 충전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435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139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된 충전터미널의 뒤쪽을 리어홀더로 한번 더 고정하되, 리어홀더가 방수시일을 눌러 압축하더라도 방수시일의 압축력이 충전터미널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어홀더에 의해 방수시일이 압축될 때 방수시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이 있는 충전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내부에 걸려 1차고정되는 충전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성 재질인 이너하우징과, 상기 충전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에 연결된 상기 충전터미널을 2차고정시키는 리어홀더 및 와이어시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시일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에 연결된 충전와이어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상기 충전터미널의 후방부를 감싸되, 상기 이너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내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을 감싼 상태로 상기 충전터미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 안에서 상기 충전터미널과 상대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시일을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판이 있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걸려 상기 이너하우징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안쪽으로 이동되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판과 상기 와이어시일은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의 가압판에서 상기 이너시일과 접촉되는 표면의 반대편 표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마련된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이너하우징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터미널에서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에는 고정턱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있는 랜스부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이 1차고정되고,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는 상기 접촉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되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를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은 상기 이너하우징의 상단에 지지되어 2차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의 가압판에는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가 있고, 상기 결합돌부는 상기 와이어시일에 관통된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의 길이는 압축되기 전의 상기 와이어시일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와이어시일이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압축되면 상기 결합돌부의 끝부분이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과 상기 충전와이어의 연결부분을 감싸 상기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의 표면에는 터미널시일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시일은 상기 이너하우징을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고정턱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는 결합몸체와, 상기 와이어시일을 향한 상기 결합몸체의 뒤쪽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와이어시일과 마주보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과 면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에는 상기 충전터미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가 상기 충전터미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는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의 상단은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의 저면과 접촉하여 상기 충전터미널이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이 있는 충전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에 조립되는 절연성 재질인 이너하우징과, 상기 충전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이너하우징과 조립된 상기 충전터미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홀더 및 와이어시일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시일은 상기 충전터미널에 연결된 충전와이어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충전터미널은 충전하우징의 내부에서 걸려 1차고정되고, 충전터미널의 뒤쪽에는 리어홀더가 설치되어 충전터미널을 2차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충전터미널은 최소한 2군데에서 각각 고정되므로 충전터미널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전기적 연결안전성이 향상되며, 그에 따라 동작신뢰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충전하우징의 내부에는 이너하우징이 설치되어 충전터미널을 감싸고, 방수를 위한 와이어시일은 이너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한다. 이렇게 되면 리어홀더가 와이어시일을 후방에서 밀어 압축시키더라도, 와이어시일의 압축력은 이너하우징에만 전달될 뿐이고, 충전터미널은 와이어시일의 압축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따라서, 충전터미널은 일정한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상대터미널과의 연결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너하우징에는 가압판이 있어서 와이어시일을 리어홀더 방향으로 눌러주는데, 이때 가압판은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가압판과 와이어시일은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시일이 압축될 때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넥터의 방수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넥터에는 외부의 충전하우징 안쪽에 절연체인 이너하우징이 설치되어 충전터미널의 뒤쪽을 감싸준다. 이너하우징은 충전터미널이 커넥터의 내부에서 절연성 부품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주고, 특히 이너하우징은 충전터미널과 충전와이어의 연결부분을 감싸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주므로, 커넥터의 절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하우징은 충전터미널과는 별개물로, 별도로 사출성형된 후에 충전터미널의 뒤쪽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시일을 압축하고, 충전터미널을 커넥터의 내부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는 사출성형될 수 있는 이너하우징 쪽이 담당하고, 상대터미널과 조립되어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은 충전터미널 쪽이 담당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충전터미널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해져 가공성이 좋아지고, 충전터미널의 제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이너하우징에는 결합돌부가 리어홀더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이러한 결합돌부는 와이어시일에 관통된 결합홀을 통과하여 리어홀더와 접촉된다. 이렇게 되면 리어홀더가 커넥터에 조립될 때 리어홀더와 이너하우징 사이에서 와이어시일이 압축되지만, 결합돌부가 리어홀더에 닿을 때까지만 압축된다. 따라서 와이어시일의 과도한 압축이 방지되고, 와이어시일의 내구성 및 커넥터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충전하우징에서 충전터미널, 이너하우징 및 리어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충전터미널들 중 하나를 충전하우징에서 분리한 상태로 표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충전터미널에 이너하우징 및 와이어시일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이너하우징 및 와이어시일이 충전터미널에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일실시례를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방수기능이 있는 충전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의 내부에는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충전터미널(T1)이 설치되는데, 상기 충전터미널(T1)은 충전하우징(10)의 내부에서 걸려 1차고정되고, 충전터미널(T1)의 뒤쪽에는 리어홀더(80)에 의해 2차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는 방수시일에 의해 보호되어 방수기능을 갖게 되는데,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충전터미널(T1)의 고정구조와 방수구조를 중심으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에 구비되는 것이고, 자동차 쪽에 설치되는 인렛커넥터이거나, 또는 충전스테이션에 설치되는 플러그커넥터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가 인렛커네터인 것으로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충전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충전하우징(10)이 만든다. 상기 충전하우징(10)은 그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충전터미널(T1)을 비롯한 부품들이 내장된다. 상기 충전하우징(10)의 골격을 만드는 하우징몸체(11)는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안쪽에는 전후방향, 즉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되어 터미널설치공간(32)이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브라켓(12)이 있다. 상기 브라켓(12)은 충전커넥터를 자동차의 내부에 상기 충전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브라켓(12)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브라켓(12)에 체결하여 충전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하부에는 배수홀(19)이 있다. 상기 배수홀(19)은 상기 충전하우징(10)으로 유입된 물을 아래쪽으로 유도하여, 최종적으로는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배수홀(19)은 상기 충전커넥터의 방수성능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전방에는 충전부(20)가 있다. 상기 충전부(20)는 상대커넥터인 플러그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충전부(20)에는 별도의 커버가 결합되어서 충전을 할 때만 충전부(20)가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충전부(20)는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로 구성되는데, 서로 높이를 달리해서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충전부(21)는 교류전류로 충전되고, 제2충전부(25)는 직류전류로 충전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각각 별개의 플러그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들 제1충전부(21) 및 제2충전부(25)는 동시에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충전부(21)에는 교류연결공간(21)이 있고, 상기 제2충전부(25)에는 직류연결공간(25)이 있다. 여기에는 플러그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는데, 상기 교류연결공간(21)과 직류연결공간(25)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두께 방향(도 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몸체(11)를 관통해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충전부(21) 또는 제2충전부(25)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되거나, 서로 위치를 바꾸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충전와이어(W)와 센싱와이어(WS)가 뒤쪽으로 연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충전와이어(W)와 센싱와이어(WS)는 아래에서 설명될 충전터미널(T1)들과 센싱터미널(TS1, TS2)들에 각각 연결된 것으로, 플러그커넥터에서 공급된 전원을 배터리쪽으로 전달한다. 도면에는 상기 충전와이어(W)와 센싱와이어(WS)가 중간에 잘린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을 보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배면쪽에는 터미널삽입부(30)가 있다. 상기 터미널삽입부(30)는 상기 충전부(20)에 대응하는 것으로, 충전터미널(T1)이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상기 터미널삽입부(30)는 상기 충전부(30)와 마찬가지로, 제1삽입부(31)와 제2삽입부(35)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삽입부(31)에는 교류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충전터미널(T1)이 설치되고, 상기 제2삽입부(35)에는 직류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2충전터미널(T1)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충전터미널(T1)과 제2충전터미널(T1)을 충전터미널(T1)로 통칭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상기 제1삽입부(31)에는 제1터미널설치공간(32)이 있고, 상기 제2삽입부(35)에는 제2터미널설치공간(36)이 있다. 상기 제1터미널설치공간(32)과 제2터미널설치공간(36)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두께 방향(도 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몸체(11)를 관통해서 만들어진다. 이하에서는 제1터미널설치공간(32)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편의를 위해 터미널설치공간(32)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삽입부(31)의 표면에는 제1체결턱(33, 도 3참조)이 돌출되고, 제2삽입부(35)의 표면에는 제2체결턱(37, 도 2참조)이 돌출된다. 이들 제1체결턱(33)과 제2체결턱(37)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제1리어홀더(81) 및 제2리어홀더(85)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체결턱(33)에는 제1리어홀더(81)의 제1체결후크(83)가 걸리고, 상기 제2체결턱(37)에는 제2리어홀더(85)의 제2체결후크(87)가 걸린다.
도 3을 보면, 상기 제1삽입부(31)와 상기 제2삽입부(35)에는 각각 제1체결리브(34)와 제2체결리브(39)가 있다. 상기 제1체결리브(34)는 상기 제1삽입부(31)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서 돌출되는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리브(39)는 상기 제2삽입부(35)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리브(34)와 상기 제1체결리브(34)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80)의 제1체결슬릿(84) 및 제2체결슬릿(88)과 결합하여, 리어홀더(80)의 조립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하우징(10)에는 충전터미널(T1)이 삽입된다. 상기 충전터미널(T1)은 상기 제1삽입부(31)가 수납되는 제1충전터미널(T1)과, 상기 제2삽입부(35)에 수납되는 제2충전터미널(T1)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동일한 도면을 부여하고 충전터미널(T1)로 통칭하기로 한다.
상기 충전터미널(T1)과 함께 상기 충전하우징(10)에는 센싱터미널(TS1, TS2)이 삽입된다.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충전커넥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삽입된다.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한 개 또는 다수개가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삽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다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상기 제1삽입부(31)와 제2삽입부(35)에 각각 삽입되어, 제1삽입부(31)에 수납된 충전터미널(T1)의 온도와 제2삽입부(35)에 수된 충전터미널(T1)의 온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상기 충전터미널(T1)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이와 다른 방향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삽입부(31)에 삽입되는 센싱터미널(TS1)은 충전터미널(T1)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는데 반해, 상기 제2삽입부(35)에 삽입되는 센싱터미널(TS2)은 센싱통과홀(38)을 통해서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된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 중에서 제2삽입부(35)에 삽입되는 제2충전터미널(T1)은 2개의 부품(T1,T2)으로 구성되는데, 전방에 위치한 충전터미널(T1)과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연결터미널(T2)이 있다.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연결터미널(T2)은 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터미널(T1)은 상대적으로 고압의 전원이 공급되므로, 이를 허용하기 위해 제1충전터미널(T1)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터미널(T1)의 구조를 자세히 보면,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충전터미널(T1)의 골격은 원기둥형상의 몸체부(51)가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51)의 앞쪽에는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접촉부(도면부호 미부여)가 돌출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몸체부(51) 보다 직경이 작은 세장형(細長型)의 원통형상이다. 상기 접촉부는 상대터미널 쪽의 빈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에는 고정턱(52)이 있다. 상기 고정턱(52)은 상기 접촉부 보다 직경이 큰 부분으로, 대략 링형상이다. 상기 고정턱(52)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있는 랜스부(32a, 도 4 참조)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T1)이 상기 충전하우징(10)에 1차고정되게 한다. 상기 고정턱(52)이 상기 랜스부(32a)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상기 랜스부(32a)는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고정턱(52)을 걸어준다. 도 4에는 이와 같이 상기 랜스부(32a)가 상기 고정턱(52)을 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턱(52)은 생략되고, 상기 접촉부 자체가 터미널설치공간(32)의 내부에 걸릴 수도 있다.
상기 충전터미널(T1)의 몸체부(51)의 표면에는 터미널시일(S2)이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시일(S2)은 상기 이너하우징(55)을 향한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으로부터 상기 몸체부(51)의 고정턱(52)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시일(S2)은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상대터미널의 결합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수분이 뒤쪽, 즉 와이어시일(S1)이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전터미널(T1)의 몸체부(51)는 상기 접촉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있다.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너하우징(55)에 지지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충전터미널(T1)의 뒤쪽에 배치되는 이너하우징(55)의 앞부분이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을 지지하는 것이다. 도 7에는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이 표시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은 그 뒤쪽으로 이어지는 부분 보다 직경이 커서 단차가 만들어지고, 이 단차면이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이 된다. 그리고 이너하우징(55)은 리어홀더(80)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고정되므로, 충전터미널(T1)의 터미널설치공간(32)에 2차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충전터미널(T1)에는 이너하우징(55)에 조립된다.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설치되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외부를 감싼다.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하우징(10)의 내부에서 충전터미널(T1)을 감싸되,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시일(S1)을 사이에 두고 리어홀더(80)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충전터미널(T1)의 뒷부분을 감싸서 절연성을 높이고, 와이어시일(S1)이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또는 고르게 변형되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와이어시일(S1)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눌러 압축해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구성을 보면,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외부를 감싸는 결합몸체(도면부호 미부여)와, 상기 결합몸체에 구비되는 가압판(55')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몸체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내부에는 결합공간(56)이 있다. 상기 결합공간(56)은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간(56) 내부에는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충전와이어(W)가 위치하여 상기 결합몸체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결합몸체에는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56a)가 있다. 상기 개방부(56a)는 상기 충전터미널(T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몸체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 연속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개방부(56a)는 상기 결합몸체의 탄성변형을 쉽게 해준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충전터미널(T1)이 상기 결합공간(56)에 삽입될 때, 상기 개방부(56a)를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몸체가 탄성변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충전터미널(T1)이 상기 이너하우징(55)에 쉽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압판(55')은 상기 결합몸체 보다 직경이 큰 부분으로, 대략 판상구조이다. 상기 가압판(55')은 상기 와이어시일(S1)을 향한 상기 결합몸체의 뒤쪽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밀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와이어시일(S1)을 기준으로 앞쪽에는 가압판(55')이 있고, 뒤쪽에는 리어홀더(80)가 있다. 따라서 리어홀더(80)가 상기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하면서 상기 터미널삽입부(30)에 조립될 때, 상기 와이어시일(S1)의 양쪽은 각각 가압판(55')과 리어홀더(80)에 눌려 압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시일(S1)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충전와이어(W)의 연결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시일(S1)이 상기 이너하우징(55)과 상기 리어홀더(8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 및 상기 리어홀더(80) 사이에서 압축된다.
상기 가압판(55')은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마주보는 배면(55')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면접촉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가압판(55')의 배면(55')은 와이어시일(S1)과 최대한 넓은 면적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와이어시일(S1)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틀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후방부를 감싸는데, 상기 이너하우징(5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내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가압판(55')에는 걸림돌기(58)가 있고, 상기 걸림돌기(58)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함몰되어 있는 걸림홈(32b)에 끼워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8)는 상기 걸림홈(32b)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안될 뿐 아니라, 회전도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안에서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안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리어홀더(80)가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할 때 가해지는 압축력은 이너하우징(55)에만 전달되고, 충전터미널(T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어홀더(80)가 조립되더라도, 충전터미널(T1)은 일정한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상대터미널과의 연결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가압판(55')에는 상기 리어홀더(80)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57)가 있다. 상기 결합돌부(57)는 상기 와이어시일(S1)에 관통된 결합홀(S1b)을 통과하는 부분으로,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도 4를 보면, 상기 결합돌부(57)가 상기 와이어시일(S1)에 관통된 결합홀(S1b)을 통과하여, 리어홀더(80)와 접촉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리어홀더(80)가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될 때 리어홀더(80)와 이너하우징(55) 사이에서 와이어시일(S1)이 압축되지만, 결합돌부(57)가 리어홀더(80)에 닿을 때까지만 압축된다. 따라서 와이어시일(S1)의 과도한 압축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결합돌부(57)의 길이는 압축되기 전의 상기 와이어시일(S1)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와이어시일(S1)이 상기 리어홀더(80)에 의해 압축되면 상기 결합돌부(57)의 끝부분이 상기 결합홀(S1b)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8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상기 충전와이어(W)의 연결부분을 감싸 상기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해주고, 커넥터의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충전터미널(T1)과는 별개물로, 별도로 사출성형된 후에 충전터미널(T1)의 뒤쪽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하고, 충전터미널(T1)을 상기 충전하우징(10)의 내부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는 사출성형될 수 있는 이너하우징(55) 쪽이 담당하고, 상대터미널과 조립되어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은 충전터미널(T1) 쪽이 담당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충전터미널(T1)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터미널(T1)을 감싼 상태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 안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상대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터미널(T1)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너하우징(55) 또는 충전하우징(10)의 제조과정에서 허용오차를 넘는 오차가 발생해도 어느 정도 보상이 가능하고, 이너하우징(55)과 충전터미널(T1) 사이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한편, 도 7을 보면, 상기 와이어시일(S1)에는 상기 결합돌부(57)가 통과하는 결합홀(S1b)이 관통되고, 또한 충전와이어(W)가 통과하는 와이어홀(S1a)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시일(S1)에는 회전방지부(S1c)가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방지부(S1c)는 상기 이너하우징(55)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결합공간(56)에 끼워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시일(S1)의 회전이 방지되는데, 다만 상기 결합돌부(57)가 상기 결합홀(S1b)에 끼워지면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방지부(S1c)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를 보면, 충전터미널(T1)이 설치되는 터미널설치공간(32)의 안쪽으로 센싱터미널(TS1)의 일부가 노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는 센싱연결통로(32c)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센싱연결통로(32c)를 통해서 상기 센싱터미널(TS1)이 터미널설치공간(32) 쪽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싱터미널(TS1)의 일부는 상기 센싱연결통로(32c)를 통해서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센싱터미널(TS1)에는 접촉수단(60)이 있다. 상기 접촉수단(60)은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접촉하여, 상기 센싱터미널(TS1)에 접촉하여 센싱터미널(TS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촉수단(60)은 컨텍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컨텍스프링은 상기 센싱터미널(TS1)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온도를 센싱터미널(TS1)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접촉수단(60)은 라멜라 스프링(lamellae spring)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접촉수단(60)은 다양한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탄성력이 없는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터미널(TS1)은 충전터미널(T1)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 아니라, 충전터미널(T1)의 온도측정을 위한 것이므로, 온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터미널(TS1)이 측정한 충전터미널(T1)의 온도정보는 상기 센싱와이어(WS)를 통해서 제어부(미도시) 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충전터미널(T1)이 과열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를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거나, 충전커넥터의 작동을 멈출 수도 있다.
다음으로 리어홀더(80)를 보면, 상기 리어홀더(80)는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55)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에 연결된 상기 충전터미널(T1)을 2차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어홀더(80)는 상기 와이어시일(S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충전하우징(10)의 제1삽입부(31)와 제2삽입부(35)에 조립되어 충전터미널(T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리어홀더(80)는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로 구성된다. 상기 제1홀더는 상기 제1삽입부(31)에 결합되고, 제2리어홀더(85)는 상기 제1리어홀더(81)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삽입부(35)에 결합된다. 상기 제1리어홀더(81) 및 제2리어홀더(85)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별개물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는 서로 별개물이고,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상기 제2리어홀더(85)는 각각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제1리어홀더(81)의 제1홀더몸체(81a, 81b)에는 충전와이어(W)가 통과하는 제1와이어홀(82)이 관통되고, 상기 제1삽입부(31)의 제1체결턱(33)에 걸리는 제1체결후크(83)가 있다. 상기 제1홀더몸체(81a, 81b)에는 제1조립부(81a', 81b')가 있어서, 2개의 부품으로 된 제1홀더몸체(81a, 81b)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홀더몸체(81a, 81b)는 1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리어홀더(81)에는 제1체결슬릿(84)이 있다. 상기 제1체결슬릿(84)은 상기 제1리어홀더(81)가 상기 제1삽입부(31)에 조립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데, 상기 제1삽입부(31)의 제1체결리브(34)가 상기 제1체결슬릿(84)에 끼워진다. 상기 제1체결슬릿(84)은 상기 제1리어홀더(81)에 다수개가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제1체결슬릿(84)이 상기 제1리어홀더(81)에 있다.
상기 제1리어홀더(81)에는 제1센싱홀(84')이 있다. 상기 제1센싱홀(84')은 앞서 설명한 센싱터미널(TS1)에 연결된 센싱와이어(WS)가 통과하는 구멍으로, 제1리어홀더(81)가 상기 제1삽입부(31)에 조립되는 방향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센싱홀(84')이 상기 제1리어홀더(81)의 측면 쪽으로도 개방되어 상기 제1체결슬릿(84)에 연결된다.
상기 제2리어홀더(85)의 제2홀더몸체(85a,85b)에는 충전와이어(W)가 통과하는 제2와이어홀(86)이 관통되고, 상기 제2삽입부(35)의 제2체결턱(37)에 걸리는 제2체결후크(87)가 있다. 상기 제2홀더몸체(85a,85b)에는 제2조립부(85a',85b')가 있어서, 2개의 부품으로 된 제2홀더몸체(85a,85b)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홀더몸체(85a,85b)는 1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리어홀더(85)에는 제2체결슬릿(88)이 있다. 상기 제2체결슬릿(88)은 상기 제2리어홀더(85)가 상기 제2삽입부(35)에 조립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데, 상기 제2삽입부(35)의 제2체결리브(39)가 상기 제2체결슬릿(88)에 끼워진다. 상기 제2체결슬릿(88)은 상기 제2리어홀더(85)에 다수개가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제2체결슬릿(88)이 상기 제2리어홀더(85)에 있다.
상기 제2리어홀더(85)에는 제2센싱홀(88')이 있다. 상기 제2센싱홀(88')은 앞서 설명한 센싱터미널(TS2)에 연결된 센싱와이어(WS)가 통과하는 구멍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센싱홀(88')이 상기 제2리어홀더(85)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2센싱홀(88')은 상기 제2삽입부(35)의 센싱통과홀(38)에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B는 볼트로, 상기 제2리어홀더(85)를 제2삽입부(35)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볼트(B)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는 충전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작업자는 충전하우징(10)에 충전터미널(T1)을 조립하기 전에, 충전터미널(T1)과 이너하우징(55)을 조립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충전와이어(W)의 결합부위에 상기 이너하우징(55)을 끼워넣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개방부(56a)를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결합몸체를 벌리고, 벌어진 개방부(56a) 안쪽으로 충전터미널(T1)과 충전와이어(W)의 연결부분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충전와이어(W)에 와이어시일(S1)을 결합할 수 있는데, 상기 와이어시일(S1)의 와이어홀(S1a)을 와이어시일(S1)이 통과하도록 하면서 충전와이어(W)에 와이어시일(S1)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와이어(W)에는 와이어시일(S1)이 미리 끼워진 상태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와이어시일(S1)의 와이어홀(S1a) 주변이 절개되어 와이어홀(S1a)을 측면으로 개방시켜 충전와이어(W)를 끼울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이너하우징(55) 및 와이어시일(S1)이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을 상기 제1삽입부(31)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안에 충전터미널(T1)을 수납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있는 고정턱(52)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있는 랜스부(32a, 도 4 참조)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T1)이 상기 충전하우징(10)에 1차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터미널(T1)들이 모두 상기 제1삽입부(31) 및 제2삽입부(35)를 통해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고 나면, 센싱터미널(TS1, TS2)도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된다.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충전터미널(T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일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충전터미널(T1)은 상기 센싱연결통로(32c)를 통해서 터미널설치공간(32) 쪽으로 노출되므로, 상기 센싱터미널(TS1)의 일부는 상기 센싱연결통로(32c)를 통해서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접촉될 수 있다.
도 8(b)에서 보듯이,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센싱터미널(TS1, TS2)이 모두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면, 마지막으로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조립된다.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각각 상기 충전하우징(10)의 제1삽입부(31) 및 제2삽입부(35)에 조립되면, 도 8(c)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면, 그 과정에서 와이어시일(S1)이 압축된다.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상기 충전하우징(10)의 뒤쪽에 결합되면,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상기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리어홀더(81)가 상기 제1삽입부(31)에 조립되면, 상기 와이어시일(S1)은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상기 이너하우징(55)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때,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가압판(55')이 상기 와이어시일(S1)을 함께 눌러줄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시일(S1)을 기준으로 앞쪽에는 가압판(55')이 있고, 뒤쪽에는 리어홀더(80)가 있게 되므로 상기 제1리어홀더(81)가 상기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하면서 상기 터미널삽입부(30)에 조립될 때, 상기 와이어시일(S1)의 양쪽은 각각 가압판(55')과 상기 제1리어홀더(81)에 눌리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판(55')은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마주보는 배면(55')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면접촉되고, 상기 와이어시일(S1)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틀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시일(S1)의 방수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하우징(55)은 리어홀더(80)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고정되므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터미널설치공간(32)에 2차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안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리어홀더(80)가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할 때 가해지는 압축력은 이너하우징(55)에만 전달되고, 충전터미널(T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충전터미널(T1)은 일정한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상대터미널과의 연결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충전하우징 11: 하우징몸체
20: 충전부 30: 터미널삽입부
31: 제1삽입부 32: 제1터미널설치공간
35: 제2삽입부 36: 제2터미널설치공간
50: 충전터미널 52: 고정턱
55: 이너하우징 55': 가압판
56a: 개방부 80: 리어홀더
81: 제1리어홀더 85: 제2리어홀더
S1: 와이어시일 S2: 터미널시일
T1: 충전터미널 T2: 연결터미널
TS1,TS2: 센싱터미널

Claims (15)

  1.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이 있는 충전하우징;
    상기 터미널설치공간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내부에 걸려 1차고정되는 충전터미널;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성 재질인 이너하우징;
    상기 충전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충전터미널을 2차고정시키는 리어홀더;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에 연결된 충전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서 압축되는 와이어시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터미널에서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에는 고정턱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있는 랜스부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이 1차고정되고,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는 상기 접촉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되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를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은 상기 이너하우징의 상단에 지지되어 2차고정되는 충전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상기 충전터미널의 후방부를 감싸되, 상기 이너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내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충전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을 감싼 상태로 상기 충전터미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 안에서 상기 충전터미널과 상대이동 가능한 충전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시일을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판이 있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걸려 상기 이너하우징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안쪽으로 이동되는 정도가 제한되는 충전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판과 상기 와이어시일은 서로 면접촉되는 충전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가압판에서 상기 와이어시일과 접촉되는 표면의 반대편 표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마련된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이너하우징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충전커넥터.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가압판에는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가 있고, 상기 결합돌부는 상기 와이어시일에 관통된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와 접촉되는 충전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길이는 압축되기 전의 상기 와이어시일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와이어시일이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압축되면 상기 결합돌부의 끝부분이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에 접촉되는 충전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과 상기 충전와이어의 연결부분을 감싸 상기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충전커넥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의 표면에는 터미널시일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시일은 상기 이너하우징을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고정턱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는 충전커넥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는 결합몸체;
    상기 와이어시일을 향한 상기 결합몸체의 뒤쪽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와이어시일과 마주보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과 면접촉되는 충전커넥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에는 상기 충전터미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가 상기 충전터미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충전커넥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는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의 상단은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의 저면과 접촉하여 상기 충전터미널이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전커넥터.
  15.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이 있는 충전하우징;
    상기 터미널설치공간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터미널;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에 조립되는 절연성 재질인 이너하우징;
    상기 충전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이너하우징과 조립된 상기 충전터미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홀더;
    상기 충전터미널에 연결된 충전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서 압축되는 와이어시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터미널에서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에는 고정턱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있는 랜스부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이 1차고정되고,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는 상기 접촉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되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를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은 상기 이너하우징의 상단에 지지되어 2차고정되는 충전커넥터.
KR1020200088060A 2020-07-16 2020-07-16 충전커넥터 KR10237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60A KR102375243B1 (ko) 2020-07-16 2020-07-16 충전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60A KR102375243B1 (ko) 2020-07-16 2020-07-16 충전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631A KR20220009631A (ko) 2022-01-25
KR102375243B1 true KR102375243B1 (ko) 2022-03-16

Family

ID=8004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60A KR102375243B1 (ko) 2020-07-16 2020-07-16 충전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163738U (zh) * 2022-12-29 2023-06-09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放电枪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1985A (zh) 2013-03-19 2015-11-11 住友电装株式会社 车辆侧连接器
JP2016012421A (ja) * 2014-06-27 2016-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シール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354B1 (ko) 2011-03-28 2017-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1801396B1 (ko) 2011-08-29 2017-11-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2277839B1 (ko) * 2014-12-23 2021-07-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KR102361579B1 (ko) * 2015-07-28 2022-02-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JP6402145B2 (ja) * 2016-07-13 2018-10-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1985A (zh) 2013-03-19 2015-11-11 住友电装株式会社 车辆侧连接器
JP2016012421A (ja) * 2014-06-27 2016-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シー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631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0631B2 (en) Receptacle connector for charging inlet assembly
US8858258B2 (en) Two-part contact element for high-voltage plug-and-socket connector
US10784595B2 (en) Power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916632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9209550B2 (en) Battery wiring module
US8029319B2 (en) Shielded connector structure
US8408943B2 (en) Connector
US10454200B2 (en) Connector with locking wire holder
CN103682882B (zh) 连接器连接结构
EP3046189B1 (en) Connector insert
CN112753138B (zh) 阳型连接器及连接器装置
EP1077456A2 (en) Breaker device
KR102432326B1 (ko) 충전커넥터
EP2905846B1 (en) Terminal spacer
KR102375243B1 (ko) 충전커넥터
KR100733849B1 (ko) 암단자
US10096925B2 (en) Connector
US20180175344A1 (en) Housing member
WO2017217208A1 (ja) コネクタ
EP3863128B1 (en) Terminal equipped electric wire and method of fixing sensor
KR102150943B1 (ko) 센서박스가 구비된 온도감지식 안전플러그
KR102147488B1 (ko)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JP7226944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473480B1 (ko) 커넥터
CN116134684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