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719B1 -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ing plaster - Google Patents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ing pla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719B1
KR102372719B1 KR1020210131678A KR20210131678A KR102372719B1 KR 102372719 B1 KR102372719 B1 KR 102372719B1 KR 1020210131678 A KR1020210131678 A KR 1020210131678A KR 20210131678 A KR20210131678 A KR 20210131678A KR 102372719 B1 KR102372719 B1 KR 102372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emperature
aid
present
respon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현 filed Critical 김수현
Priority to KR102021013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7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59Accessories for dressings provided with visual effects, e.g. printed or colo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 A61B2562/0276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comprising a thermosensitive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53Wound bandages coloured or with decoration pattern or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4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sensing physical parameters
    • A61F2013/00953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sensing physical parameters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erature sensitive adhesive bandage which includes: an antibacterial layer cured by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liquid-coated with a component containing a metallic oxide; at least one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formed under the antibacterial layer and discolored according to temperature; a design print layer formed under the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and printed with characters or figures; a base layer formed under the design print layer; and a release peel layer disposed under the base layer, and having an adhesive layer applied on one surface, wherein a gauze is inter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peel layer.

Description

온도 반응형 반창고{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ING PLASTER}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ING PLASTER}

본 발명은 온도 반응형 반창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를 맞은 환자의 주사침 영역의 피부에 부착하여 피주사자의 체온 변화에 따라 정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온도 반응형 반창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kin of an injection needle area of a patient to determine whether it is normal according to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of a subject.

최근에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인 일명 'COVID-19'에 의한 바이러스로 많은 인명피해와 함께 경제적인 어려움에 전 세계가 직면해 있다. 'COVID-19'는 중국 우한시에서 처음 확인된 SARS-CoV-2의 감염증에 대한 명칭으로서, 전염성이 강하고, 감염되는 경우 고열과 마른 기침, 두통, 호흡곤란, 폐렴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치사율이 매우 높지는 않으나 폐포 손상에 따른 호흡 부전으로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병이다.The world is facing economic difficulties along with many casualties due to the virus caused by 'COVID-19', a novel coronavirus that has recently occurred. 'COVID-19' is the name of the SARS-CoV-2 infection first confirmed in Wuhan, China. It is highly contagious. Although this is not very high, it is a disease that can lead to death in severe cases due to respiratory failure due to alveolar damage.

호흡기 관련 질병인 'COVID-19'에 감염되면 먼저 발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계와 장치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예로써 비접촉 체온기나 안면인식 체온계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비접촉 체온기의 경우는 비용이 비싸다는 점과 함께 특정인이 발열 여부를 계속 체크를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면인식 체온계의 경우는 사람의 안면을 인식하면서 체온을 함께 측정하기 때문에 편리한 점은 있으나 상당히 고가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안면인식 체온계가 부정확하다는 언론 발표도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Since fever first occurs when infected with 'COVID-19', a respiratory-related disease, various machines and devices have been used to measure a person's body temperature. Examples include a non-contact thermometer or a face recognition thermometer. However, in the case of a non-contact thermomet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xpensive and that a specific person has to continuously check whether a fever is present. In addition, the face recognition thermometer is convenient because it measures body temperature while recognizing a person's fa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quite expensive. In addition,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recently, such as the press announcement that the facial recognition thermometer is inaccurate.

이러한 'COVID-19'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이 개발되어 있는데, 백신이 개발 속도가 빨라 부작용에 대한 검증이 종래의 백신에 비하여 덜 이루어졌고, 실제로 백신 주사 후에 발열, 오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백신 주사 후에 피주사자의 상태를 일정 기간동안 모니터링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특히 발열 여부를 통해 부작용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기도 한다.A vaccine has been developed to prevent this 'COVID-19' infection, but the vaccine development speed is fast, so side effects are less verified compared to conventional vaccines, and side effects such as fever and chills actually occur after vaccination are do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subject for a certain period after vaccination, and in particular, the occurrence of side effects is monitored through the presence of fever.

시온(示溫) 안료(또는 잉크)란 특정온도에서 명료가 변색하는 안료이며 분말상태이다. 기준 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색깔이 없어지기 시작했다가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투명해지고 다시 온도가 내려가면 원래의 색깔로 돌아가는지 여부에 따라 가역성, 비가역성으로 분류되는데, 가역성 시온안료는 원래의 색상으로 되돌아와 반복사용이 가능하지만 비가역성 시온안료는 1회용이다. 일반적으로 가역성 시온안료는 기준온도 -15℃에서 70℃의 범위를 갖는다. 최근에는 온도 반응형 안료를 이용한 스티커 형태의 체온 모니터링 수단이 개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티커를 피부에 부착하여 색의 변화 여부로 발열 여부를 체크하는 것인데, 스티커의 점착제가 주사바늘 통과 영역의 피부에 미칠 영향 때문에 실제로 발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백신 주사를 맞은 영역에는 부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Zion (示溫) pigment (or ink) is a pigment that changes color clearly at a specific temperature and is in a powder state. The color starts to disappear as it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becomes transparent when it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returns to its original color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It is classified into reversible and irreversible. It can be used repeatedly, but the irreversible Zion pigment is disposable. In general, the reversible Zion pigment has a reference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5°C to 70°C. Recently, a sticker-type body temperature monitoring means using a temperature-responsive pigment has been developed. Specifically, it is to attach a sticker to the skin and check whether there is a fever by color change. Because of the effect of the adhesive on the skin in the area where the needle passes, it is difficult to attach it to the area where the vaccine is injected, where the fever actually occurs the most.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백신 주사를 맞은 영역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고, 빠르고 정확한 발열 체크가 가능한 반창고 형태의 체온 감지 수단 개발 필요성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body temperature sensing means in the form of a bandag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kin in the area where the vaccine has been injected and can quickly and accurately check fever.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9053호(2009.06.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59053 (2009.06.10.)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4,377,160호(1983.03.22.)US Patent Publication No. 4,377,160 (March 22, 198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4319호(2004.02.27.)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44319 (2004.02.27.)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의 피부, 특히 백신 주사를 맞은 영역의 피부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상체온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온도 반응 반창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by attaching it to the skin of a person, in particular, the skin in the area where the vaccine has been injected, to provide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ge that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s normal body temperature is present for that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외부 광원에 의해 경화되고 금속산화물(metallic oxide)을 포함하는 성분이 액상 코팅 처리되는 항균층;an antibacterial layer cured by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liquid-coated with a component containing a metallic oxide;

상기 항균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변색층;at least one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formed under the antibacterial layer and discolored according to temperature;

상기 온도 변색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문자 또는 도형이 인쇄되는 디자인 인쇄층;a design print layer formed under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and on which characters or figures are printed;

상기 디자인 인쇄층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및a base layer formed under the design print layer; and

상기 베이스층 하부에 배치되되,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이형 박리층;을 포함하고,Doedoe disposed under the base layer, a release release layer in which an adhesive layer applied on one surface is formed; includes,

상기 접착층과 이형 박리층의 사이에는 거즈(gauze)가 개재될 수 있다.A gauz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peeling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변색층은,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사용자의 체온이 35도 이상에서 무색으로 변화되는 제1 온도 변색층;a first temperature-changing layer in which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changed to colorless at 35 degrees or higher;

사용자의 체온이 35도 초과 내지 37.5도 이하에서 변화되는 제2 온도 변색층; 및 a second temperature-changing layer in which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changed from more than 35 degrees to 37.5 degrees or less; and

사용자의 체온이 37.5도 이하에서 무색으로 유지되는 제3 온도 변색층;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third temperature-changing layer that maintains colorless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37.5 degrees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즈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uze may be form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sk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균층의 일면에는 외부의 전자파, 열 또는 광을 차단하는 차단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ing layer for blocking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s, heat or ligh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ntibacterial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층은 원형, 다각형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layer may include a pattern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piral shape, or a zigzag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층에는 루테늄(Ru), 금(Au), 백금(Pt), 은(Ag) 및 이들의 합금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ruthenium (Ru), gold (Au), platinum (Pt), silver (Ag), and alloy particles thereof may be dispersed in the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균층은 UV경화수지와 열경화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acterial layer may include a UV curing resin and a thermosetting resin.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점착제에 거즈가 부착되어서 백신 주사를 맞은 영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시적인 출혈을 멎도록 도와주고, 외부의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elp stop temporary bleeding that may occur in the area where the vaccine has been injected because gauze is attached to the adhesive, and can prevent infection by external pathoge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상이한 색상이 나타나므로 발열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user's body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fever is pres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제작사 또는 공급자를 명확하게 표현하거나 광고문구 등을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과 광고 및 홍보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learly express a manufacturer or a supplier or insert an advertisement text, so that it can bring convenience and advertisement and publicity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제품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도 변색층에 홀이 형성된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체온 별 색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제품 사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configuration of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configuration of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product form of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flowcharts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temperature-changeable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body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roduct photograph of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100)는,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에 의해 경화되고 금속산화물(metallic oxide)을 포함하는 성분이 액상 코팅 처리되는 항균층(110), 상기 항균층(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색되는 복수의 온도 변색층(120, 130, 140), 상기 온도 변색층(120, 130, 140)의 하부에 형성되고, 문자 또는 도형이 인쇄되는 디자인 인쇄층(150), 상기 디자인 인쇄층(150)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층(160), 상기 베이스층(160) 하부에 형성되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일부 영역에 부착된 거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점착제층에 이형지(180)가 부착된 형태로 제품화될 수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configuration of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bacterial layer 110 that is cured by a light source irradiated from the outside and is liquid-coated with a component containing a metallic oxide, the A plurality of temperature-changing layers (120, 130, 140) that are formed under the antibacterial layer 110 and change color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re formed under the temperature-changing layers (120, 130, 140), letters or The design printing layer 150 on which the figure is printed, the base layer 160 formed under the design printing layer 15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under the base layer 160, and a por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area. Includes gauze.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mercialized in a form in which a release paper 180 is attach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convenience of use.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온도 변색층(120, 130, 140)은, 사용자의 체온이 35도 이상에서 무색으로 변화되는 제1온도 변색층(140), 사용자의 체온이 35도 초과 내지 37.5도 이하에서 변화되는 제2온도 변색층(130) 및 사용자의 체온이 37.5도 이하에서 무색으로 유지되는 제3온도 변색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Her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changing layers (120, 130, 140) is a first temperature-changing layer 140 in which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changed to colorless at 35 degrees or more, and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greater than 35 degrees to 37.5 degrees or les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temperature-changing color-changing layer 130 and a third temperature-changing layer 120 maintaining colorless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37.5 degrees or less.

제1온도 변색층(140)과 제2온도 변색층(130)은 제1 시온잉크 조성물과 제2 시온잉크로 인쇄되어 온도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하고, 제3온도 변색층(120)은 제3 시온잉크 조성물로 인쇄되어 온도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시온잉크 조성물은 35도 이상에서 무색으로 변하는 브라운 시온잉크 조성물, 상기 제2시온잉크 조성물은 35도 초과 내지 37.5도 이하 이외에서 무색으로 변하는 그린 시온잉크 조성물과 상기 제3시온잉크 조성물은 37.5도 이하에서 무색으로 변하는 옐로우 시온잉크 조성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40 and the second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30 are printed with the first Zion ink composition and the second Zion ink to change color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 third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20 is the third It is printed with the Zion ink composition so that the color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first Zion ink composition is a brown Zion ink composition that changes colorless at 35 degrees or more, the second Zion ink composition is a green Zion ink composition that changes colorless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35 degrees to 37.5 degrees or less, and the third Zion ink composition The ink composition consists of a yellow Zion ink composition that turns colorless at 37.5 degrees or les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35도 이상에서 무색으로 변하는 브라운색은 35도 이하에는 브라운색을 띈다. 그에 의해 35도 이상에는 온도 반응형 반창고(100)는 그린색으로 나타난다. 만약 사용자의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35도 초과 내지 37.5도까지의 범위에서는 그린색으로 나타나고 37.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린색은 무색으로 변화하고 37.5도 이하에서 무색이었던 옐로우는 옐로우색으로 변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color that changes to colorless at 35 degrees or more takes on a brown color at 35 degrees or less. Accordingly, at 35 degrees or more,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100 appears in green color. If the user's body temperature rises, it appears green in the range of over 35 degrees to 37.5 degrees, and when it exceeds 37.5 degrees, the green color changes to colorless, and the yellow that was colorless at 37.5 degrees or less changes to yellow. .

상기 시온잉크 조성물은, 온도 감응 대역을 가지는 시온안료 20 내지 29중량%, 아크릴 레진 30 내지 40 중량%, 액상의 아크릴 모노머 20 내지 29 중량%, 첨가제 1 내지 15 중량% 및 광개시제 1 내지 15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각 조성물의 비는 동일하며, 다만 첨가되는 시온안료의 종류가 달라진다.The Zion ink composition comprises 20 to 29 wt% of a Zion pigment having a temperature sensitive zone, 30 to 40 wt% of an acrylic resin, 20 to 29 wt% of a liquid acrylic monomer, 1 to 15 wt% of an additive, and 1 to 15 wt% of a photoinitiator is made by mixing The ratio of each composition is the same, but the type of Zion pigment to be added is different.

항균층(110)은 외부의 세균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금속산화물이 액상으로 코팅되어 외부 광원, 예를 들어 자외선, 적외선 등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세리아, 망간산화물, BaTiO3, 아연산화물 및 철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layer 110 may include a metal oxide to prevent external bacterial infection, and the metal oxide may be coated in a liquid phase to be cured by an external light source, for example, ultraviolet or infrared rays. The metal oxid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lumina, zirconia, titania, ceria, manganese oxide, BaTiO 3 , zinc oxide, and iron oxide.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층(110)은 바람직하게는 산화아연(ZnO)을 포함하고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되는 UV경화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UV경화수지에는 열경화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경화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한 UV수지 100중량부에 200nm 내지 600nm의 광 파장영역을 가지는 광개시제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개시제는 a-hydroxy ketone계와 phenylglyoxylate계를 동일량으로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acterial layer 110 may include a UV-curing resin that preferably includes zinc oxide (ZnO) and is cured by ultraviolet rays. The UV curable resin may include a thermosetting resin. The UV curing resin may be prepared by mixing 1 to 5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having an optical wavelength range of 200 nm to 600 nm with 100 parts by weight of a UV resin mixed with any one or more of urethane acrylate, epoxy acrylate, and polyester acrylate. there is. Here, the photoinitiator may be applied alone or mixed in the same amount of a-hydroxy ketone-based and phenylglyoxylate-based.

상기와 같은 a-hydroxy ketone계 광개시제는 경화 후 투명성이 우수하고, phenylglyoxylate계 광개시제는 투명코팅의 표면경화 및 물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UV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게 되는데, 이상적으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The a-hydroxy ketone-based photoinitiator as described above has excellent transparency after curing, and the phenylglyoxylate-based photoinitiator is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because it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rface hardening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transparent coating. In addition, the UV resin is a mixture of any one or more of urethane acrylate, epoxy acrylate, and polyester acrylate. Ideally, 100 parts by weight of urethane acrylate, 10 to 30 parts by weight of epoxy acrylate, and polyester A mixture of 10 parts by weight to 20 parts by weight of acrylate is used.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UV수지를 혼합하여 적용하는 이유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반응성이 좋아 경화가 쉽고, 경화 후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황변현상이 적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mixing and applying a plurality of UV resins as described above is that, in the case of urethane acrylate, it is easy to cure due to good reactivity, can maintain flexibility after curing, and there is little yellowing.

또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고 반응성을 가지고 있어 고경도 및 연마성 등이 좋고, 경화가 쉽고, 유연성이 우수하며, 산소와의 접촉에도 경화가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poxy acrylate has high reactivity, high hardness and abrasiveness are good, curing is easy, it has excellent flexibility, and curing can be performed stably even in contact with oxygen.

또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반응성이 우수하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보다 점도가 낮아 안료 분산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UV수지의 특성을 살려 혼합하게 되면, 반경화 상태를 유지하며, 공기 중에 노출되어도 급속한 경화가 일어나지 않고, 부착 후 내구성이 약하여 쉽게 떨어지는 불편함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olyester acrylate, the reactivity is excellent and the viscosity is lower than that of urethane acrylate and epoxy acrylate, so that the pigment dispersibility is excellent. When the UV resin is mixed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V resin, the semi-cured state is maintained, rapid curing does not occur even when exposed to air, and the discomfort of easily falling off due to poor durability after attachment is improved.

베이스층(160)은 필름 또는 쉽게 찢어지지 않는 얇은 종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층(160)은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layer 160 may be formed of a film or thin paper that is not easily torn. Preferably, the base layer 160 may include polyvinyl chloride (PVC).

디자인 인쇄층(150)은 심미성 또는 무늬, 글자 등의 인식을 위한 패턴 등이 형성되며 다양한 재료를 도포하거나 첨가하여 표현되는 구분이다. 이러한 인쇄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크스크린 인쇄, 플렉소그래픽 인쇄, 그라비아 인쇄와 같이 다양한 인쇄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쇄층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디자인 인쇄층(150)은 일련번호, 상표명, 제조사명, 광고 문구 등을 삽입하여 기업의 광고 및 홍보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design print layer 150 is a division expressed by applying or adding a variety of materials to form a pattern for aesthetics or recognition of patterns, letters, and the like. This prin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printing methods such as silk screen printing, flexographic printing, and gravure printing may be applied. Of course, the printed layer may be omitted if necessary. In some cases, the design print layer 150 may be used for corporate advertisement and publicity by inserting a serial number, brand name, manufacturer name, advertisement text, and the like.

점착제층(170)은 압력에 따라 부착력을 가져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점착제층(170) 위에는 거즈(gauze, 200)가 부착되어 있고, 거즈가 부착되지 않은 영역의 점착제층은 피부에 부착이 가능한 영역이 된다. 거즈(200)는 사용자의 상처 부위를 보호하도록 피부에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70 is made of a detach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n adhesive force according to pressure. A gauze 200 is attach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70 ,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area to which the gauze is not attached becomes an area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the skin. The gauze 200 may be plac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to protect the user's wounded area.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에는 금속입자가 분산되어 혼합될 수 있다. 금속입자는 금(Au), 백금(Pt), 은(Ag) 및 이들의 합금 입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입자들은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체온이 온도 변색층(120, 130, 140)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합금 입자는 나노 크기의 금속 나노파우더로 사용될 수 있고 플라즈몬 효과를 통한 광 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tal particles may be dispersed and mix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metal particles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gold (Au), platinum (Pt), silver (Ag), and alloy particles thereof. Since the metal particles have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transfer body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changing layers 120 , 130 , and 140 . In one example, the alloy particles may be used as nano-sized metal nanopowders and may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absorption through the plasmon effect, so that conductivity may be improv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층(110)과 제3 온도 변색층(120) 사이에는 외부의 광원, 즉 전자파, 열 또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층(300)은 외부의 광원이 온도 변색층(120, 130, 140)으로 전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온변화를 보다 정확히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configuration of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s between the antibacterial layer 110 and the third temperature-changing layer 120 to block an external light source, that is, electromagnetic waves, heat or light. A blocking layer 300 may be formed for The blocking layer 300 fundamentally blocks the transmission of an external light source to the temperature-changing layers 120 , 130 , and 140 , so that a change in the user's body temperature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차단층(300)은 외부 광원을 차단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층(300)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원형, 다각형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턴(patter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을 통하여 상기 외부 광원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색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The blocking layer 3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an external light source. The blocking layer 300 may be formed in a pattern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piral shape, or a zigzag shape, for example. Through such a pattern, the external light source can be effectively blocked, and a change in color can be observed in an area where the pattern is not formed.

본 발명의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권취된 테이프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낱개로 이루어진 스티커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wound tape, or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ticker made of individual piec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낱개의 스티커 형태로 이루어진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제품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낱개로 이루어진 스티커 형태의 제품에는 텍스트부(20), 온도 반응형 반창고(100) 및 QR 코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스티커 형태 제품에는 QR 코드(50)가 형성되어 있고, 동일한 패턴의 QR 코드가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디자인 인쇄층에 형성될 수도 있다. 텍스트부에는 특정 병원에서 백신을 맞은 사람의 신상정보가 기록될 수 있고, 온도 반응형 반창고가 사용된 후에 일정 기간동안 QR 코드를 포함하는 낱개 스티커가 보관되어서 피주사자의 신상을 관리할 수 있고, 이러한 QR코드(50)를 통하여 피주사자의 동선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QR코드(50)는 해당 반창고를 부착한 사람이 누구이고, 어떤 이동경로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일 수도 있고, 또한 QR 코드에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반창고를 부착한 사람의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Figure 3 shows the product form of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in the form of individual stick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individual sticker-type product may include a text unit 20 ,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100 , and a QR code 50 . A QR code 50 is formed on one sticker type product, and the QR code of the same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design printing layer of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In the text sec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erson who received the vaccine at a specific hospital can be recorded, and after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ge is used, individual stickers containing the QR code are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 identity of the subject can be managed. Through this QR code 50,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movement line of the subject. In this way, the QR code 50 may be a means for determining who is the person who has attached the band-aid and what movement route it has, and, when entering his/her information in the QR code, attaching the band-aid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movement of a person.

이하에서는 전술한 온도 반응형 반창고(100)의 제조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100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베이스 필름을 준비한다(S10). 베이스 필름은 PVC 등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이어서, 베이스 필름 위에 디자인 인쇄층을 형성한다(S20). 인쇄층의 형성은 다양한 방법의 인쇄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디자인 인쇄층 위에 온도 변색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형성한다(S30). 이어서, 온도 변색층 위에 항균층을 형성한다(S40). 이어서, 인쇄층이 형성된 베이스층의 다른 면에 점착제를 형성한다(S50). 이어서 점착제층의 일부 영역에 거즈를 부착한다(S60). 마지막으로 접착층 위에 이형지를 부착한다(S70). 상기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제조과정은 순서가 변형되어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first, a base film is prepared (S10). The base film may be a polymer film made of PVC or the like. Then, a design print layer is formed on the base film (S20). The formation of the printed layer may be performed by various printing methods. Then, a temperature change layer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design print layer to form (S30). Then, an antibacterial layer is formed on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S40). Next, an adhesive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layer on which the printed layer is formed (S50). Then, gauze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60). Finally, a release paper is attached on the adhesive layer (S70).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order.

본 발명의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피부의 온도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점착제층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열 전도도가 낮아서 피부의 온도가 정확하게 온도 변색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 본 발명의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접착제층에 금속입자를 분산시켜 점착제층이 열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상용화된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점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10중량%의 금속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입자는 금(Au), 백금(Pt), 은(Ag) 등의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비용과 위생을 고려하면 의료용 스테인레스 스틸을 연마하여 제조된 분말이 가장 적당하다. It is important for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curately detect changes in skin temperature. However, sin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contains a polymer material and has low thermal conductivity, it prevents the temperature of the skin from being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Accordingly,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adhesive layer by dispersing the metal particles in th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consist of a generally known and compatibilized composition, but may contain metal particles in an amount of 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metal particles may be made of particles such as gold (Au), platinum (Pt), silver (Ag), etc., but in consideration of cost and hygiene, a powder prepared by grinding medical stainless steel is most suitable.

피부의 온도가 온도 변색층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은 온도 변색층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타공된 홀의 공간으로는 금속입자가 포함된 점착제가 압력에 의해 충진되고, 충진된 금속입자에 의해 피부의 열이 온도 변색층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effectively transferring the temperature of the skin to the temperature-changing layer is to provide a perforat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 the temperature-changing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metal particles is filled into the space of the perforated hole, and the heat of the skin is mor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by the filled metal particles.

아래에서 도 5와 도 6을 이용하여 타공된 홀을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구조와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including a perforated hol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도 변색층에 홀이 형성된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도 반응형 반창고(100)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형지(180), 거즈(200), 점착제층(170), 베이스층(160), 디자인 인쇄층(150), 제1온도 변색층(140), 제2온도 변색층(130), 제3온도 변색층(120) 및 항균층(110)을 포함한다. 이때 제1온도 변색층(140), 제2온도 변색층(130), 제3온도 변색층(120)에는 두께 방향으로 홀(190)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온도 변색층(120)과 항균층(110) 사이에는 홀이 형성되지 않은 보호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홀은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한데, 도트 패턴, 격자 패턴, 줄무늬 패턴 등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홀 내부에는 금속입자가 포함된 점착제 또는 금속입자가 단독으로 충진될 수 있다. 홀의 내부에 점착제가 충진되는 경우에는 홀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 패턴을 외부가 노출된 줄무늬 패턴 또는 격자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temperature-changeable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100 is sequentially stacked release paper 180 , gauze 200 , adhesive layer 170 , base layer 160 , design printing layer 150 , first temperature It includes a discoloration layer 140 , a second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30 , a third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20 , and an antibacterial layer 110 . At this time, holes 190 are formed in the first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40 , the second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30 , and the third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rotective layer in which no holes are formed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between the third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20 and the antibacterial layer 110 . The hole can be processed into various shapes, and can be formed in a dot pattern, a grid pattern, a stripe pattern, etc., and an adhesive containing metal particles or metal particles can be filled alone inside the hole.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illed inside the hol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hole pattern as a stripe pattern or a grid pattern with the outside exposed in order to prevent air bubbles from being formed inside the ho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도 변색층에 홀이 형성된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베이스 필름을 준비한다(S10). 이어서, 베이스 필름 위에 디자인 인쇄층을 형성한다(S20). 이어서, 디자인 인쇄층 위에 온도 변색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형성한다(S30). 이어서, 베이스 필름, 디자인 인쇄층, 온도 변색층에 타공을 실시한다(S40). 타공은 상기 적층체를 관통하는 블레이드나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타공된 온도 변색층 위에 항균층을 형성한다(S50).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디자인 인쇄층과 항균층 사이에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인쇄층이 형성된 베이스층의 다른 면에 점착제를 형성한다(S60). 이때, 점착제를 도포한 후에 테플론 재질의 롤러로 점착제에 압력을 가해서 점착제가 타공된 홀이 내부로 충진되도록 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또는 홀의 내부에 금속입자만을 충진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타공된 표면에 금속 입자를 뿌려 홀 내부로 금속 입자가 충진되도록 하고 베이스 필름 상부에 존재하는 금속입자를 닦아 낸 후에 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홀 내부에 충진되는 금속입자의 밀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이어서 점착제층의 일부 영역에 거즈를 부착한다(S70). 마지막으로 접착층 위에 이형지를 부착한다(S80). 5 is a sequential view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temperature-changing 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first, a base film is prepared (S10). Then, a design print layer is formed on the base film (S20). Next, a temperature-changeable layer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design print layer to form (S30). Then, a perforation is performed on the base film, the design print layer, and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S40). The perfo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blade or laser processing that penetrates the laminate. Next, an antibacterial layer is formed on the perforated temperature-changing layer (S5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rocess of forming a protective layer between the design print layer and the antibacterial layer may be added. Next, an adhesive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layer on which the printing layer is formed (S60). In this case, after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process of applying pressur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 a roller made of Teflon material so that the hole perforat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filled inside may be added. Alternatively, only metal particles can be filled inside the hole. In this case, the metal particles are sprayed on the perforated surface so that the metal particles are filled into the hole, and after wiping the metal particles present on the top of the base film, an adhesive is applied thereon. will be. In this cas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metal particles filled in the hole. Then, gauze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70). Finally, a release paper is attached on the adhesive layer (S8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체온 별 색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사용 전 온도(35도 이하)에서는 도 7의 (가)와 같이 브라운색을, 정상 체온의 범위(35~37.5도)에서는 도 7의 (나)와 같이 그린 색을, 발열이 있는 체온 범위(37.5도 초과)에서는 옐로우색으로,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body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own color as shown in FIG.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chang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from green to yellow in the body temperature range with fever (over 37.5 degree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반응형 반창고의 제품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온도 반응형 반창고는 권취된 이형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되어 있으며, 케이스 측부의 회전 레버를 돌려 하나씩 이형지에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8 is a product photograph of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wound release pap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an be used by separating the release paper one by one by turning a rotary lever on the side of the cas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within an equivalent rang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20 : 텍스트부 50 : QR 코드
100 : 온도 반응형 반창고 110 : 항균층
120 : 제3온도 변색층 130 : 제2온도 변색층
140 : 제1온도 변색층 150 : 디자인 인쇄층
160 : 베이스층 170 : 점착제층
180 : 이형지 190 : 홀
200 : 거즈 300 : 차단층
20: text part 50: QR code
100: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110: antibacterial layer
120: third temperature color-changing layer 130: second temperature color-changing layer
140: first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150: design printing layer
160: base layer 170: adhesive layer
180: Lee Hyung-ji 190: Hall
200: gauze 300: blocking layer

Claims (5)

항균층;
상기 항균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변색층;
상기 온도 변색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문자 또는 도형이 인쇄되는 디자인 인쇄층;
상기 디자인 인쇄층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하부에 형성되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에 부착된 거즈;를 포함하는 온도 반응형 반창고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는 금(Au), 백금(Pt), 은(Ag) 및 이들의 합금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반응형 반창고.
antibacterial layer;
at least one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formed under the antibacterial layer and discolored according to temperature;
a design print layer formed under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and on which characters or figures are printed;
a base layer formed under the design print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under the base layer; and
In the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comprising; gauze attach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gold (Au), platinum (Pt), silver (Ag) and alloy particles thereof are disper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변색층은,
사용자의 체온이 35도 이상에서 무색으로 변화되는 제1 온도 변색층;
사용자의 체온이 35도 초과 내지 37.5도 이하에서 변화되는 제2 온도 변색층; 및
사용자의 체온이 37.5도 이하에서 무색으로 유지되는 제3 온도 변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반응형 반창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a first temperature-changing layer in which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changed to colorless at 35 degrees or higher;
a second temperature-changing layer in which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changed from more than 35 degrees to 37.5 degrees or less; and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comprising a; a third temperature-changing layer in which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maintained as colorless at 37.5 degrees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층의 일면에는 외부의 전자파, 열 또는 광을 차단하는 차단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반응형 반창고.
The method of claim 1,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characterized in that a blocking layer for blocking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s, heat or ligh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ntibacterial layer.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원형, 다각형 나선형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반응형 반창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lock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ttern formed in a circular, polygonal spiral or zigzag shape, a temperature-responsive band-aid.
KR1020210131678A 2021-10-05 2021-10-05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ing plaster KR102372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678A KR102372719B1 (en) 2021-10-05 2021-10-05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ing pla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678A KR102372719B1 (en) 2021-10-05 2021-10-05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ing pla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719B1 true KR102372719B1 (en) 2022-03-08

Family

ID=8081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678A KR102372719B1 (en) 2021-10-05 2021-10-05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ing pla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719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7160A (en) 1980-12-19 1983-03-22 Romaine John W Compression bandage
KR200344319Y1 (en) 2003-12-22 2004-03-09 (주)선화데칼 Temperature susceptible sticker coated with uv coating film
KR20090059053A (en) 2007-12-05 2009-06-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Temperature indicator for cooling products
KR20110003844U (en) * 2009-10-13 2011-04-20 신경철 A band-aid with fever recognition
KR20120055949A (en) * 2010-11-24 2012-06-01 주식회사 필켐 Hydrogel patch
US20130046260A1 (en) * 2009-12-28 2013-02-21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rweten Schappelijk Onderzoek Tno Disinfecting wound dressing and process for preparing such
KR102283097B1 (en) * 2020-10-08 2021-07-28 이병진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er
KR102296980B1 (en) * 2020-08-24 2021-09-02 (주) 신흥머티리얼즈 Temperature sensing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7160A (en) 1980-12-19 1983-03-22 Romaine John W Compression bandage
KR200344319Y1 (en) 2003-12-22 2004-03-09 (주)선화데칼 Temperature susceptible sticker coated with uv coating film
KR20090059053A (en) 2007-12-05 2009-06-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Temperature indicator for cooling products
KR20110003844U (en) * 2009-10-13 2011-04-20 신경철 A band-aid with fever recognition
US20130046260A1 (en) * 2009-12-28 2013-02-21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rweten Schappelijk Onderzoek Tno Disinfecting wound dressing and process for preparing such
KR20120055949A (en) * 2010-11-24 2012-06-01 주식회사 필켐 Hydrogel patch
KR102296980B1 (en) * 2020-08-24 2021-09-02 (주) 신흥머티리얼즈 Temperature sensing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83097B1 (en) * 2020-10-08 2021-07-28 이병진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7049B2 (en) Temporary tattoos for indelible endorsement
US20100004564A1 (en) Wound measuring device
KR102372719B1 (en)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ing plaster
CA1114198A (en) Temperature indicators
Kareker et al. A review on denture marking systems: a mark in forensic dentistry
KR101546253B1 (en) Mask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3001240U (en) Temperature-sensing-type band-aid
KR102283097B1 (en) The temperature sensitive sticker
KR20120055949A (en) Hydrogel patch
US10083391B2 (en) Visually, optically and electronically readable frangible device for affixation to the skin
US20070010776A1 (en) Cosmetic bandage
CN204192848U (en) A kind of temperature sensing color changing is defervescence plaster used
WO2005014085A2 (en) Cosmetic bandage
CN201685500U (en) Medical infusion bottle hook label capable of subjecting to thermal transfer printing
DE19736520A1 (en) New adhesive plaster containing electronic information
CN110575307A (en) Temperature sensing discolours subsides of bringing down a fever
MX2011005409A (en) Packaging material for a pharmaceutical product.
KR20130134688A (en) Label for care of quality condition in product
KR20130136216A (en) Nano powder hydrogel patch
EP2407316B1 (en) Note pad containing carbonless color-developing material
CN110891647A (en) Self-reminding patch
KR102556311B1 (en) Temperature sensitive sticker
TWM543244U (en) Medical tape having tracking function
CN211156357U (en) Waterproof tattoo paste type infant wrist strap
US10810479B2 (en) Cutaneous information devices and methods to manufacture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