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618B1 -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 Google Patents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618B1
KR102372618B1 KR1020220007020A KR20220007020A KR102372618B1 KR 102372618 B1 KR102372618 B1 KR 102372618B1 KR 1020220007020 A KR1020220007020 A KR 1020220007020A KR 20220007020 A KR20220007020 A KR 20220007020A KR 102372618 B1 KR102372618 B1 KR 10237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tool
frame
roll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3432A (en
Inventor
조영주
김기현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618B1/en
Publication of KR2022001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4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5Test-benches with rotational drive means and loading means; Load or drive sim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가 형성된 검사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서 검사장치의 보관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고, 검사대의 전후방에 각각 다른 종류의 검사구를 장착시켜 동시 검사 작업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pection device having an inspection table having a roller formed thereon,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can be replaced. Simultaneous inspection work is possible by installing different types of inspection tools in the front and rear.

Description

롤러가 형성된 검사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having a roller-formed inspection table

본 발명은 검사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검사대에서 검사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p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by allowing an inspection tool to be replaced at an inspection table.

일반적으로 차량을 제작할 시에는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등을 포함하는 바디와, 엔진, 변속기, 서스펜션 등을 포함하는 부품들을 각각 제작한 이후 조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각 구성품들이 정확히 조립되어야만 완성된 차량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어서, 제작된 구성품에 대한 검사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when manufacturing a vehicle, a body including a door, a hood, a trunk lid, and the like, and parts including an engine, a transmission, a suspension, etc. are respectively manufactured and then assembled. At this tim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finished vehicle can be guaranteed only when each component is accurately assembled, so the inspection process for the manufactured components is very important.

특히 차량의 형상을 이루고 지지하게 되는 바디는 철판을 부분별로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된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프레임들은 성형 후 치수대로 정확하게 성형되었는지 검사가 필요하며, 검사를 통과한 구성품들만이 후공정으로 전달되어 조립 과정에 투입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ody, which forms and supports the shape of the vehicle,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frames manufactured by press-molding an iron plate for each part. Frames manufactured in this way need to be inspected to see if they are accurately molded to size after molding, and only components that have passed the inspection can be delivered to the post-processing process and put into the assembly process.

부품 검사를 위해 사용하는 장비가 검사구이다. 검사구는 각종 부품들을 안착 고정시킨 후, 안착된 부품이 설계된 것에 맞추어 형상이나 각종 홀 등이 형성되었는지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지그이다.The equipment used to inspect parts is an inspection tool. The inspection tool is a kind of jig that allows various parts to be seated and fixed, and then inspected whether the seated part has a shape or various holes according to the design.

도1은 종래의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검사장치는 부품이 안착 고정되는 검사구(2)와, 검사구(2)를 지지하는 소정 높이의 검사대(1)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형태이다. 따라서 일체형의 검사장치(1,2)를 검사를 위한 장소로 이동시켜 놓은 후 검사구(2)에 부품을 안착시켜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inspection apparatus.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inspection apparatus is a typ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2 on which the parts are seated and fixed, and the inspection table 1 of a predetermined height supporting the inspection tool 2 are integrally manufactured. Therefore, after moving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2) to a place for inspection, the parts are seated in the inspection port (2) to perform the inspection operation.

하지만 종래의 검사장치(1,2)는 검사구(2)와 검사대(1)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부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의 검사장치(1,2)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검사장치(1,2)를 보관하기 위해 상당한 넓이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spection apparatuses 1 and 2, since the inspection tool 2 and the inspection table 1 are integrally manufactured, in order to inspect other types of parts, the integrated inspection apparatus 1 as shown in FIG. ,2) must be provided separate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space is required to store the inspection devices 1 and 2 .

한편 검사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04576호(2017.02.02. '차량 도어프레임 검사용 지그') 등이 있다.Meanwhile,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inspection device,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04576 (2017.02.02. 'Jig for vehicle door frame inspec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검사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technique for remarkably reducing the space for storing the inspection device by allowing the inspection tool to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nspection table.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 대상 부품이 안착되는 검사구; 상기 검사구를 보관하는 보관대; 상기 보관대에서 인출된 상기 검사구를 지지하는 검사대; 및 상기 검사구를 상기 검사대에 고정시키는 검사구고정수단;을 포함한다.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spection sphere on which the parts to be inspected are seated; a storage stand for storing the inspection tool; an inspection table supporting the inspection tool pulled out from the storage table; and a test fixtur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est tool to the test table.

여기서, 상기 검사대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인접하게 복수개가 일직선 상에 설치되고, 둘레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롤러;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는 상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대는, 상기 검사대의 하부프레임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인접하게 복수개가 일직선 상에 설치되고, 둘레를 따라 롤러홈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롤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는 상단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구는 하단이 상기 보관대의 받침롤러에 형성된 롤러홈에 안착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단롤러 사이에 구속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검사구가 상기 보관대에서 인출되면 상기 검사구의 하단이 상기 검사대의 하부롤러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부롤러 사이에 구속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inspection table, the lower frame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 vertical frame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 plurality of lower rollers installed on a straight line adjacent to the vertical fram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having seating grooves formed along the periphery; and an upper roller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wherein the storage unit includes: a support frame installed horizontally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of the inspection table; a support fram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installed on a straight line adjacent to the support fram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roller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n upper roller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inspection tool is seated and supported in a roller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roller of the storage table, and the upper end is th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roller Linear movement is possible in a state constrained therebetween, and when the inspection tool is withdrawn from the storage table, the lower end of the inspection tool is seated and supported in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roller of the inspection table, and the upper end is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roller. In a constrained state, linear movement may be possible.

또한, 상기 검사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 지점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구에는 상기 고정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검사구가 상기 검사대에 장착되었을 시, 상기 검사구고정수단을 상기 검사구의 삽입홀과 상기 검사대의 고정홀을 연장하여 관통되도록 삽입하면 상기 검사구가 상기 검사대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hole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vertical frame on the inspection table, and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inspection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hole, so that when the inspection tool is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When the inspection tool fixing means is inserted so as to extend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inspection tool and the fixing hole of the examination table, the inspection tool can be fixed to the examination table.

또, 상기 검사대의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roller and the upper roller of the inspection table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so that the inspection tool can b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또, 상기 보관대에는 고리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대는, 상기 보관대의 고리걸림부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검사대와 상기 보관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구가 이동할 시, 상기 고리걸림부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검사대와 상기 보관대의 정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table has a hook stopper formed thereon, and the inspection table includes a fastening means fastened to the hook stopper portion of the storage table. The alignment state of the inspection table and the storage table can be maintained by the fastening means fastened to the hook stopper.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by using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와 검사구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검사장치의 보관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예컨대 4개 종류의 부품을 검사하고자 한다면, 종래에는 검사구와 검사대가 일체로 제작된 4대의 검사장치를 각각 준비해야만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한 대의 검사대와 4대의 검사구를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검사대 3대만큼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First,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ion table and the inspection sphere are not manufactured as one body, bu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spection sphere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save the storage space of the inspection device. For example, if four types of parts are to be inspected, conventionally, four inspection devices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and the inspection table are integrally prepared have to be prepar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inspection table and four inspection tools may be provi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ve space as much as three inspection tab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의 수직프레임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를 장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한 대의 검사대가 위치하는 작업 현장에서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검사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어서, 공간 활용도와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In addition,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unt the inspection tool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inspection table, respectively. Therefore, two workers can perform the inspection work at the same time at the job site where one inspection table is located,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work efficiency.

종래에는 검사구와 검사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한 대의 검사대에서 전방과 후방에 검사구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이유는 동시에 검사해야 하는 작업 스케줄이 바뀔 경우 대응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예컨대 종래의 일체형 검사장치에서 한 대의 검사대의 전방에는 A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에는 B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A 부품과 B 부품의 동시 검사는 가능하다. 하지만 작업 스케줄 변동에 따라 A 부품과 C 부품을 동시에 검사해야 한다면, 해당 검사장치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대의 검사대에 하나의 검사구만 일체로 제작된 형태인 것이다.Conventionally, since the inspection tool and the inspection table are manufactured in one piece, it was almost impossible to install the inspection tool in the front and the rear of one inspection table. The reason was that it was impossible to respond to a change in the work schedule to be inspected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type A inspection tool is provided in the front of one inspection table in the conventional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and a type B inspection tool is provided in the rear side of one inspection table. In this case, simultaneous inspection of parts A and B is possible. However, if parts A and C need to be inspected at the same time due to a change in the work schedule, the inspection equipment cannot be used. Therefore, in the prior art, only one inspection tool is integrally manufactured on one inspection table.

반면 본원발명과 같이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라면, 필요한 검사구를 언제든지 검사대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A-B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은 물론 A-C 부품, B-C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도 가능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spection tool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essary inspection tool can be mount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inspection table at any time and used. Inspection work is also possible.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와 보관대가 짝을 이루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검사구의 보관, 장착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만약 보관대가 없거나 검사대와 연동되는 구조로 제작되지 않았다면, 상당한 무게를 갖는 검사구를 작업자가 들어올려 검사대에 장착하거나 빼내야 하기 때문에, 검사구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pection table and the storage table are designed in pairs, the storage and mounting of the inspection tool is very easy. If there is no storage table or it is not manufact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inspection table, the operator must lift the inspection tool having a considerable weight to mount or remove it on the inspection table, so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inspection tool is very cumbersome, and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에서 검사구가 설치되는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대를 사용하고 있어서, 검사대를 보관대에 밀착시킨 후 검사구를 잡아당기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검사구를 검사대에 위치시킨 후 검사구고정수단을 통해 검사구를 고정시킴으로써 장착 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따라서 검사구 장착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검사구를 들어올려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서 안전사고의 위험도 없어지게 된다.However,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table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t which the inspection tool is installed on the inspection table is used. After placing it on the inspection table, all installation work is completed by fixing the inspection sphere through the inspection sphere fixing means.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install the inspection tool, and there is no need to lift and move the inspection tool, s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also eliminated.

도1은 종래의 일체형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의 (a)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b)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4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검사구가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보관된 검사구가 검사대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보관된 검사구가 검사대로 완전히 이동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의 (a)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에 검사구가 장착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b)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8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와 검사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view seen from the front of the inspection table in the inspection device shown in Figure 2, (b) is a view seen from the side.
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est tool is stored in the storage stand in the test device shown in Figure 2;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stored in the storage in the insp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2 is moving to the inspection tabl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stored in the storage stand in the insp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2 is completely moved to the examination table;
7 (a) is a view from the front of the inspection device shown in FIG. 2 in a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is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b) is a side view.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storage table and the inspection table are coupled by fastening means in the inspection device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nfiguration is not necessarily a configuration that is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used in combina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를 정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4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검사구가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5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보관된 검사구가 검사대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6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보관된 검사구가 검사대로 완전히 이동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7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에 검사구가 장착된 상태를 정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대(100), 보관대(200), 검사구(300) 및 검사구고정수단(400)을 포함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of the inspection table viewed from the front and side in the insp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2, and FIG. 4 is the insp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It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is stored in the storage stand,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that the inspection tool stored in the storage stand in the inspection device shown in Fig. 2 is moved to the inspection table,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stored in the storage stand has completely moved to the inspection table in the inspection device shown in FIG. and a side view. As shown in FIGS. 2 to 7 ,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pection table 100 , a storage table 200 , an inspection tool 300 , and an inspection tool fixing means 400 .

검사대(100)는 검사구(30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검사대(100)는 여러 종류의 검사구(300)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이러한 검사대(100)는 하부프레임(110), 다리부(140), 수직프레임(120), 상부프레임(130), 하부롤러(111) 및 상부롤러(131)를 포함한다.The inspection table 100 is provided to firmly support the inspection tool 300 in a state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In addition, the inspection table 100 is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various types of inspection tools 300 can be installed interchangeably. The inspection table 100 includes a lower frame 110 , a leg portion 140 , a vertical frame 120 , an upper frame 130 , a lower roller 111 , and an upper roller 131 .

하부프레임(11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며, 하부프레임(110)의 아래에는 하부프레임(110)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140)의 하단에는 이동바퀴(141)가 마련되어 있어서, 검사대(100)를 보관대(200)를 향하여, 또는 검사 작업 위치로 밀거나 끌어당길 경우 다리부(140) 하단의 이동바퀴(141)가 지면을 구르면서 상당한 무게의 검사대(100)가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물론 이동바퀴(141)에는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서, 검사대(100)의 이동이 필요치 않을 시 바퀴고정수단을 작동시켜 의도치 않게 이동바퀴(141)가 굴러가 검사대(1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The lower frame 110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leg portion 140 for stably supporting the lower frame 110 is provided under the lower frame 110 . In addition, a moving wheel 14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unit 140, and when the inspection table 100 is pushed or pulled toward the storage stand 200 or to the inspection work position, the moving wheel at the lower end of the leg unit 140 ( While the 141) rolls on the ground, the examination table 100 of considerable weight can move stably. Of course, the moving wheel 141 is provided with a wheel fixing means (not shown), so when the movement of the inspection table 100 is not required, the wheel fixing means is operated to unintentionally roll the moving wheel 141 and the inspection table 100 is moved. It can prevent the location from being changed.

하부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프레임(120)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수직프레임(120)은 검사구(300)가 쓰러지지 않도록 검사구(300)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수직프레임(120)의 일 지점에는 고정홀(1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추후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장착되었을 시 검사구(300)의 삽입홀(311)과 검사대(100)의 고정홀(121)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검사구고정수단(400)에 의해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the upper center of the lower frame 110, the vertical frame 120 is installed in a standing st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120 is provided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inspection sphere 300 so that the inspection sphere 300 does not fall. In addition, a fixing hole 121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vertical frame 120 . When the inspection tool 300 is later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100 , the insertion hole 311 of the inspection tool 300 and the inspection table 100 . ), the inspection sphere 3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inspection table 100 by the inspection sphere fixing means 400 fitted through the fixing hole 121 of the .

상부프레임(130)은 수직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수직프레임(120)의 전면과 후면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된 형태로 설치된다.The upper frame 130 is installed in a form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20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rtical frame 120 .

하부롤러(111)는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사구(300)를 받쳐주게 된다. 이러한 하부롤러(111)는 수직프레임(120)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수직프레임(120)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하부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하부롤러(111)는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하고 수직프레임(120)과 직교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부롤러(111)의 둘레에는 안착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롤러(111)의 안착홈(111a)에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검사구(300)가 하부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은 하부롤러(111)의 안착홈(111a)에 구속되어 수직프레임(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The lower roller 11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10 to support the inspection tool 300 . A plurality of the lower rollers 111 are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110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roller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frame 120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ertical frame 120 . In addition, the lower roller 111 is installed such that the rotation shaft is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120 , and a seating groove 111a is formed around the lower roller 111 .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inspection sphere body 31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1a of the lower roller 111, the inspection sphere 300 can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110, The lower end of the inspection tool body 310 is restrained by the seating groove 111a of the lower roller 111 to prevent sli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rtical frame 120 .

상부롤러(131)는 상부프레임(130)의 하부에서 수직프레임(12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부롤러(131)는 회전축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며, 수직프레임(120)의 전면과 후면 방향에서 각각 상부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복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롤러(131)와 수직프레임(120) 사이에 검사구본체(310)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검사구(300)가 상부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상부롤러(131)와 수직프레임(120) 사이에서 구속되어 전면이나 후면으로 쓰러지지 않게 된다.The upper roller 131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fram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30 . The upper roller 131 is installed such that the rotation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the upper rollers 131 are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3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rtical frame 120, respectively.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inspection sphere body 31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roller 131 and the vertical frame 120 , the inspection sphere 300 can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30 , and , the upper end of the inspection sphere body 310 is constrained between the upper roller 131 and the vertical frame 120 so as not to fall to the front or rear.

한편 검사대(100)에서 하부프레임(110)은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을 통해 다리부(140)와 결합되어 있어서, 높이조절수단의 조작을 통해 하부프레임(110) 및 하부롤러(111) 전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inspection table 100, the lower frame 110 is coupled to the leg 140 through a height adjusting means (not shown), so the lower frame 110 and the lower roller 111 as a whole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You can also adjust the height of

보관대(200)는 검사대(100)에 설치되는 검사구(300)를 보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보관대(200)는 받침프레임(210), 다리프레임(240), 지지프레임(220), 상단프레임(230), 받침롤러(211) 및 상단롤러(231)를 포함한다.The storage table 200 is provided to store the inspection tool 300 installed on the inspection table 100 . The storage table 200 includes a support frame 210 , a leg frame 240 , a support frame 220 , an upper frame 230 , a support roller 211 , and an upper roller 231 .

받침프레임(21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며, 받침프레임(210)의 아래에는 받침프레임(210)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리프레임(24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리프레임(240)의 하단에는 지지바퀴(241)가 마련되어 있어서 보관대(200)를 보관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바퀴(241)에도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서 보관대(200)가 의도치 않게 위치 변경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The support frame 210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leg frame 240 for stably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210 is provided under the support frame 210 . In addition, support wheels 241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frame 240 , so that the storage table 200 can be conveniently moved to the storage location. In addition, since a wheel fixing means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support wheel 241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rage table 200 from being unintentionally changed in position.

한편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은 검사대(100)의 하부프레임(11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나, 미세한 높이 차이는 검사대(100)의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을 통해 맞춰주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frame 210 of the storage table 200 should be designed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frame 110 of the inspection table 100 , but a slight difference in height is achieve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means (not shown) of the inspection table 100 . It is possible to match

받침프레임(210)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220)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20)은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검사구(300)가 쓰러지지 않도록 검사구(300)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다만 검사대(100)에서는 하부프레임(110) 위에 하나의 수직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수직프레임(120)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검사구(300)가 장착되도록 하여, 하나의 검사대(100)를 이용하여서는 총 2개의 검사구(300)를 이용한 검사 작업만 동시에 가능토록 하였다. 하지만 보관대(200)에 검사구(300)가 보관될 때에는 동시 작업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나의 보관대(200)에 3개 이상의 검사구(300)가 동시에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upport frame 22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10 in a standing st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frame 220 is provided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inspection sphere 300 so that the inspection sphere 300 does not fall down, like the vertical frame 120 of the inspection table 100 . However, in the inspection table 100, one vertical frame 120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inspection tool 300 i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ertical frame 120, respectively, so that one inspection table 100 ) was used to enable only the inspection work using a total of two inspection tools 300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simultaneous operation when the inspection tool 30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0 , it is also possible that three or more inspection tools 300 are simultaneously stored in one storage unit 200 .

이를 위해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의 크기는 검사대(100)의 하부프레임(110)의 크기보다 크게 설계되며, 받침프레임(210)의 상부에 복수의 지지프레임(22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지지프레임(220)이 설치되어 있어서 총 4개의 검사구(300)가 동시에 보관 가능한 구조를 도시하였다.To this end, the size of the support frame 210 of the storage stand 200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frame 110 of the examination table 100 ,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220 are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10 at regular intervals. can be installed with As shown in FIGS. 2 and 4 ,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support frames 22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210 of the storage stand 200 , so a total of four The inspection tool 300 shows a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at the same time.

상단프레임(230)은 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서 지지프레임(220)의 전면과 후면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upper frame 230 is installed in a direc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20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upport frame 220 .

받침롤러(211)는 받침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사구(300)를 받쳐주게 된다. 이러한 받침롤러(211)는 각 지지프레임(220)의 전면과 후면에서 지지프레임(220)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일직선상에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받침롤러(211)는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하고 지지프레임(220)과 직교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받침롤러(211)의 둘레에는 롤러홈(2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롤러(211)의 롤러홈(211a)에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검사구(300)가 받침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은 받침롤러(211)의 롤러홈(211a)에 구속되어 지지프레임(2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The support roller 21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10 to support the inspection tool 300 . A plurality of such support rollers 211 are installed on a straight line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220 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each support frame 220 . In addition, the support roller 211 is installed such that the rotation shaft is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orthogonal to the support frame 220 , and a roller groove 211a is formed around the support roller 211 .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inspection sphere body 310 is seated in the roller groove 211a of the support roller 211, the inspection sphere 300 can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10, The lower end of the inspection tool body 310 is restrained by the roller groove 211a of the support roller 211 to prevent sli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frame 220 .

상단롤러(231)는 상단프레임(230)의 하부에서 지지프레임(22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단롤러(231)는 회전축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며, 지지프레임(220)의 전면과 후면 방향에서 각각 상단프레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복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상단롤러(231)와 지지프레임(220) 사이에 검사구본체(310)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검사구(300)가 상단프레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상단롤러(231)와 지지프레임(220) 사이에서 구속되어 전면이나 후면으로 쓰러지지 않게 된다.The upper roller 231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frame 2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230 . The upper roller 231 is install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upper rollers 231 are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23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upport frame 220, respectively.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inspection sphere body 31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roller 231 and the support frame 220, the inspection sphere 300 can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230, and , the upper end of the inspection sphere body 310 is restrained between the upper roller 231 and the support frame 220 so as not to fall to the front or rear.

검사구(300)는 검사 대상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대(10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 이러한 검사구(300)는 직사각형 형태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검사구본체(310)를 포함한다.The inspection tool 300 is to support the parts to be inspected and i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inspection table 100 . The inspection sphere 300 includes an inspection sphere body 31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 a rectangular shape.

검사구본체(310)의 전방은 검사 대상 부품이 안착되는 부분이며, 후방은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 또는 보관대(200)의 지지프레임(220)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검사구본체(310)의 전방에는 검사 대상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검사 대상 부품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외곽 치수나 관통홀 치수 등을 검사하기 위한 기준자 등이 표시되어 있다. 검사 대상 부품의 종류에 따라 검사구본체(310)의 전방 형태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검사구(300)는 검사 대상 부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만큼 미리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The front of the inspection tool body 310 is a part on which the parts to be inspected are seated, and the rear is a part supported by the vertical frame 120 of the inspection table 100 or the support frame 220 of the storage table 200 . A seating part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art to be inspected in front of the inspection sphere body 310, and a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part to be inspected and a reference ruler for inspecting the outer dimension or through-hole dimension, etc. are displayed. has been Since the front shape of the inspection tool body 310 must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art to be inspected, the inspection tool 300 must be provided in advance as much as it corresponds to the type of the part to be inspected.

또한 검사구본체(310)의 일 지점에는 삽입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검사구본체(310)의 삽입홀(311)은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올바르게 장착되었을 시 수직프레임(120)에 형성된 고정홀(1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311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inspection sphere body 310 . The insertion hole 311 of the inspection sphere body 3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hole 121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120 when the inspection sphere 3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100 .

검사구고정수단(400)은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장착되었을 시, 검사구(300) 하단을 받치는 하부롤러(111)의 구름에 따라 검사구(300)가 수평이동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위치된 상태에서 검사구고정수단(400)을 삽입홀(311)과 고정홀(121)을 연장하여 관통하도록 끼워주면, 검사구(300)의 수평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검사구고정수단(400)은 예컨대 볼락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inspection tool fixing means 400 prevents the inspection tool 300 from moving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rolling of the lower roller 111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inspection tool 300 when the test tool 300 is mounted on the test table 100 . designed to prevent That is, when the test tool 300 is positioned on the test table 100 and the test tool fixing means 400 is inserted to extend through the insertion hole 311 and the fixing hole 121 , the horizontal alignment of the test tool 300 is performed. movement is restricted. This inspection tool fixing means 400 may be manufactur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ball lock pin.

한편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장착된 상태라는 것은, 검사구(300)에 검사 대상 부품을 안착시키고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이기 때문에 검사구(300)의 견고한 고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보관대(200)에 검사구(30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검사구(300)의 위치 고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는 아니하다. 하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보관대(200)의 지지프레임(220)에도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검사구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검사구(300)를 보관대(200)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300 is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100 means that the inspection target part is seated on the inspection tool 300 and the insp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inspection tool 300 is firmly fixed. Howev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ix the position of the inspection tool 300 in a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300 is seated on the storage table 200, a separate fixing means is not provided. However,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since a fixing hole is also formed in the support frame 220 of the storage table 200 ,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inspection tool 300 to the storage table 200 using the inspection tool fixing means 400 .

이하에서는 도5 및 도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검사대(100)에 검사구(300)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토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mounting the inspection tool 300 to the inspection table 100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설명하기에 앞서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대(200)에는 서로 다른 검사 대상 부품을 검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검사구(300)가 보관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즉 보관대(200)의 받침롤러(211)에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이 안착 지지된 상태이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상단롤러(231)와 지지프레임(220) 사이에 구속된 상태로 보관되고 있다.Before th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various types of inspection tools 300 capable of inspecting different parts to be inspected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0 as shown in FIGS. 2 and 4 .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test tool body 31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roller 211 of the storage table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test tool body 310 is constrained between the upper roller 231 and the support frame 220. It is stored as is.

이후 검사대(100)에 검사구(300)를 장착하기 위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를 이동시켜 보관대(200)에 밀착시킨다. 검사대(100)의 다리부(140) 하단에는 이동바퀴(141)가 마련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검사대(10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reafter, in order to mount the inspection tool 300 on the inspection table 100 , as shown in FIG. 5 , the inspection table 100 is mov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orage table 200 . A moving wheel 14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portion 140 of the inspection table 100 so that an operator can conveniently move the inspection table 100 .

여기서 검사대(100)에는 수직프레임(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300)를 장착시킬 수 있는데, 도5에서는 보관대(200)에 보관된 4개의 검사구(300) 중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한 검사구(300)를 검사대(100)의 전방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토록 한다.Here, the inspection table 100 can be equipped with an inspection tool 300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vertical frame 120, respectively. The process of mounting the located inspection tool 300 in front of the inspection table 100 will be described.

이를 위해 작업자는 검사대(100)를 이동시켜 수직프레임(120)의 전방 부분이 해당 검사구(300)가 보관된 지지프레임(220)의 전방과 맞닿도록 위치시킨다. 즉 검사대(100)의 하부롤러(111)와 보관대(200)의 받침롤러(211)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검사대(100)를 정위치 시키는 것이다. 필요시 작업자는 검사대(100)에 마련되어 있는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을 조절하여 하부롤러(111)의 높이와 받침롤러(211)의 높이를 맞춰줄 수 있다. 또한 검사대(100)의 정렬이 완료되면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이동바퀴(141)와 지지바퀴(241)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operator moves the inspection table 100 to pos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20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220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300 is stored. That is, the lower roller 111 of the inspection table 100 and the supporting roller 211 of the storage table 200 are aligned to position the inspection table 100 in a straight line. If necessary, the operator can adjust the height adjustment means (not shown) provided on the inspection table 100 to match the height of the lower roller 111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roller 211 . In addition, when the alignment of the inspection table 100 is completed, the movement of the moving wheel 141 and the support wheel 241 may be restricted through a wheel fixing means (not shown).

검사대(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정렬하는 과정을 마치면, 작업자는 해당 검사구(300)를 잡아 당겨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구(300)를 검사대(100)로 이동시킨다.When the alignment process is completed by moving the inspection table 100 to a desired position, the operator pulls the corresponding inspection tool 300 and moves the inspection tool 300 to the inspection table 100 as shown in FIG. 5 .

보관대(200)에 보관된 검사구(300)가 이동할 때에는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이 받침롤러(211)를 따라 일직선으로 이동하게 되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지지프레임(220)과 상단롤러(231)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보관대(200)를 먼저 빠져나온 검사구본체(310)의 하단 부분은 검사대(100)의 하부롤러(111)에 형성된 안착홈(111a)에 안착되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 부분은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과 상부롤러(131) 사이에 진입하면서 일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test tool 300 stored in the storage table 200 moves, the lower end of the test tool body 310 move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support roller 211, and the upper end of the test tool body 310 has a support frame 220 ) and the upper roller 231 move in a straight line in a supported state. Afterwards, the lower portion of the test tool body 310 that exits the storage table 200 firs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1a formed in the lower roller 111 of the test table 100, and the upper part of the test tool body 310 is It moves in a straight line while entering between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upper roller 131 of the inspection table 100 .

검사구(300)가 보관대(200)에서 빠져나와 검사대(100)에 진입하더라도,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은 여전히 하부롤러(111)의 안착홈(111a)에 구속되어 있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수직프레임(120)과 상부롤러(131) 사이에 구속되어 있어서 검사구(300)가 전방으로 미끄러지거나 후방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Even when the inspection tool 300 exits from the storage table 200 and enters the inspection table 100 , the lower end of the inspection tool body 310 is still constrained to the seating groove 111a of the lower roller 111 , and the inspection tool body The upper end of the 310 is restrain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upper roller 131, so that the inspection tool 300 is prevented from sliding forward or falling backward.

검사구(300)가 보관대(200)를 완전히 빠져나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에 정위치를 잡으면 작업자는 검사구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즉 도7의 (a)에 도시된 검사대(100)의 정면도와 (b)에 도시된 검사대(100)의 측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검사구고정수단(400)이 검사구본체(310)의 삽입홀(311)과 수직프레임(120)의 고정홀(121)을 연장하여 관통하도록 삽입되면, 검사구(3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하부롤러(111)를 따라 이동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nspection tool 300 completely exits the storage table 200 and takes the correct position on the inspection table 100 as shown in FIG. 100) to prevent it from moving. That is, as can be seen from the front view of the inspection table 100 shown in (a) of FIG. 7 and the side view of the inspection table 100 shown in (b) of FIG. When the insertion hole 311 and the fixing hole 121 of the vertical frame 120 are extended and inserted to penetrate,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inspection tool 300, it does not move along the lower roller 111 and is fixed. be able to keep

이렇게 검사구고정수단(400)을 이용한 검사구(300)의 고정 작업까지 마치면, 검사구(300)가 장착된 상태의 검사대(100)를 작업 공간으로 다시 이동시킨 후 검사 대상 부품을 검사구(300)에 장착시켜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fixing operation of the inspection tool 300 using the inspection tool fixing means 400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inspection table 100 in the state where the inspection tool 300 is mounted is moved back to the work space, and then the parts to be inspected are transferred to the inspection tool ( 300) to perform the inspection work.

여기서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300)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검사대(100)에서 두 개의 검사구(300)를 장착한 후 동시에 검사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inspection tools 300 can b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rtical frame 120 of the inspection table 100, respectively, and through this, two inspection tools 300 are mounted on one inspection table 100 and then inspected at the same time. work may be done.

그리고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검사 작업을 완료한 검사구(300)를 제거하고 다른 종류의 검사구(300)를 장착시켜 검사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작업자는 검사대(100)를 다시 이동시켜 보관대(200)의 비어 있는 받침롤러(211)에 제거 대상이 되는 검사구(300)를 밀어 넣고, 다시 보관대(200)의 다른 위치에 보관된 검사구(300)를 인출시켜 검사대(100)에 장착시켜 사용하면 된다.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300 is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100, if the operator wants to proceed with the inspection by removing the inspection tool 300 that has completed the inspection work and mounting another type of inspection tool 300, the operator By moving the inspection table 100 again, the inspection tool 300 to be removed is pushed into the empty support roller 211 of the storage table 200, and the inspection tool 300 stored in another position of the storage table 200 again. may be drawn out and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100 for use.

한편 보관대(200)와 검사대(100) 사이에서 검사구(3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보관대(200)와 검사대(100)의 정렬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물론 앞선 설명에서는 이동바퀴(141)와 지지바퀴(241)에 마련되어 있는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보관대(200)와 검사대(100)가 고정되도록 한다고 설명하였지만, 보관대(200)와 검사대(100)를 서로 연결하여 직접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체결수단(112)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inspection tool 300 between the storage table 200 and the inspection table 100 , the alignment state of the storage table 200 and the inspection table 100 must be maintained. Of course, in the previous description, it was explained that the storage table 200 and the inspection table 100 are fixed through the wheel fixing means (not shown) provided on the moving wheel 141 and the support wheel 241, but the storage table 200 and the inspection table (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fastening means 112 for directly fixing the 100)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의 하부프레임(110)에서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과 접촉하게 되는 지점에 체결수단(112)을 설치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8 , the fastening means 112 is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lower frame 110 of the inspection table 1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210 of the storage table 200 .

체결수단(112)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레버(112a)와 걸림고리(112b)를 갖는 버클 형태가 적용된 것을 도시하였다.The fastening means 112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but in this embodiment, a buckle form having a fastening lever 112a and a locking ring 112b is illustrated.

또한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에는 검사대(100)의 체결수단(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고리(112b)가 끼워지는 고리걸림부(250)를 설치한다. 검사대(100)가 보관대(200)에 밀착되는 위치는 어느 검사구(300)를 인출시키는지에 따라 수시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고리걸림부(250) 역시 받침프레임(210)에서 복수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210 of the storage table 200 is provided with a hook locking part 250 into which the locking ring 112b is fit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means 112 of the inspection table 100 . Since the position at which the inspection table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rage table 200 may vary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which inspection tool 300 is drawn out, the hook stopper 250 should also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support frame 210 . .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를 보관대(200)에 밀착시키고 체결수단(112)의 걸림고리(112b)가 보관대(200)의 고리걸림부(250)에 진입되도록 한 후, 도8의 (b)와 같이 체결레버(112a)를 내려 걸림고리(112b) 전방이 고리걸림부(250)에 걸리도록 하면, 걸림고리(112b)가 고리걸림부(250)에 걸려 견고하게 체결된다.As shown in (a) of FIG. 8, the inspection table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orage table 200 and the locking ring 112b of the fastening means 112 enters the hook stopper 250 of the storage table 200. Then, as shown in FIG. 8 (b), when the locking lever 112a is lowered so that the front of the locking ring 112b is caught on the hook locking part 250, the locking ring 112b is caught on the hook locking part 250 and is firmly caught. is tightly bound

이에 따라 검사구(300)를 이동시킬 때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보관대(200)와 검사대(100)는 체결수단(112)과 고리걸림부(250)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체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체결수단(112)과 고리걸림부(250)는 검사대(100)의 하부롤러(111)와 보관대(200)의 받침롤러(211)가 서로 정렬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적정한 위치에 설계되어야 한다.Accordingly,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when moving the inspection tool 300 , the storage table 200 and the inspection table 100 are firmly secured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means 112 and the hook stopper 250 , so the alignment state can keep Of course, the fastening means 112 and the hook stopper 250 are designed at appropriate positions so that the lower roller 111 of the inspection table 100 and the supporting roller 211 of the storage table 200 are fastened in a state where they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hould b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by using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와 검사구(3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검사장치의 보관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예컨대 4개 종류의 부품을 검사하고자 한다면, 종래에는 검사구(2)와 검사대(1)가 일체로 제작된 4대의 검사장치를 각각 준비해야만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한 대의 검사대(100)와 4대의 검사구(300)를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검사대(100) 3대만큼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First,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ion table 100 and the inspection tool 300 are not manufactured integrally, bu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3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inspection table 10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save the storage space of the inspection device. For example, if four types of parts are to be inspected, in the prior art, four inspection devices in which the inspection tool 2 and the inspection table 1 were integrally prepared had to be prepar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inspection table 100 and four inspection tools 300 may be provi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ve space as much as three inspection tables 10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300)를 장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한 대의 검사대(100)가 위치하는 작업 현장에서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검사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어서, 공간 활용도와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In addition,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ion tool 30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rtical frame 120 of the inspection table 100 , respectively. Therefore, two workers can perform the inspection work at the same time at the work site where one inspection table 100 is located, so space utilization and work efficiency are improved.

종래에는 검사구(2)와 검사대(1)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한 대의 검사대에서 전방과 후방에 검사구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이유는 동시에 검사해야 하는 작업 스케줄이 바뀔 경우 대응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예컨대 종래의 일체형 검사장치에서 한 대의 검사대의 전방에는 A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에는 B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A 부품과 B 부품의 동시 검사는 가능하다. 하지만 작업 스케줄 변동에 따라 A 부품과 C 부품을 동시에 검사해야 한다면, 해당 검사장치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대의 검사대(1)에 하나의 검사구(2)만 일체로 제작된 형태인 것이다.Conventionally, since the inspection tool (2) and the inspection table (1) are integrally manufactured, it was almost impossible to install the inspection tool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one inspection table. The reason was that it was impossible to respond to a change in the work schedule to be inspected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suppose that a type A inspection tool is provided in the front of one inspection table in the conventional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and a type B inspection tool is provided in the rear side of one inspection table. In this case, simultaneous inspection of parts A and B is possible. However, if parts A and C need to be inspected at the same time due to a change in the work schedule, the inspection equipment cannot be used. Therefore, in the prior art, only one inspection tool (2) is integrally manufactured on one inspection table (1).

반면 본원발명과 같이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라면, 필요한 검사구(300)를 언제든지 검사대(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A-B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은 물론 A-C 부품, B-C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도 가능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spection tool 3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inspection table 10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essary inspection tool 300 can be mount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inspection table 100 at any time and used, so that the Simultaneous inspection work as well as simultaneous inspection of AC parts and BC parts is possible.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와 보관대(200)가 짝을 이루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검사구(300)의 보관, 장착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만약 보관대(200)가 없거나 검사대(100)와 연동되는 구조로 제작되지 않았다면, 상당한 무게를 갖는 검사구(300)를 작업자가 들어올려 검사대(100)에 장착하거나 빼내야 하기 때문에, 검사구(300)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pection table 100 and the storage table 200 are designed in pairs, the storage and installation of the inspection tool 300 is very easy. If there is no storage table 200 or it is not manufactured in a structure interlocking with the inspection table 100, the operator must lift the inspection tool 300 having a considerable weight and mount it on the inspection table 100 or take it out, the inspection tool 300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is very cumbersome, and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에서 검사구(300)가 설치되는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대(200)를 사용하고 있어서, 검사대(100)를 보관대(200)에 밀착시킨 후 검사구(300)를 잡아당기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검사구(300)를 검사대(100)에 위치시킨 후 검사구고정수단(400)을 통해 검사구(300)를 고정시킴으로써 장착 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따라서 검사구(300) 장착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검사구(300)를 들어올려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서 안전사고의 위험도 없어지게 된다.However, in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ble 200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t which the inspection tool 300 is installed in the inspection table 100 is used, and the inspection table 100 is placed on the storage table 200. After the inspection tool 300 is positioned on the test table 100 with only one operation of pulling the test tool 300 after being in close contact, the installation work is completed by fixing the test tool 300 through the test tool fixing means 400 . is done Therefore, the inspection tool 300 is very easy to install, and there is no need to lift and move the inspection tool 300, so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also eliminat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검사대
110 : 하부프레임
111 : 하부롤러
111a : 안착홈
112 : 체결수단
112a : 체결레버
112b : 걸림고리
120 : 수직프레임
121 : 고정홀
130 : 상부프레임
131 : 상부롤러
140 : 다리부
141 : 이동바퀴
200 : 보관대
210 : 받침프레임
211 : 받침롤러
211a : 롤러홈
220 : 지지프레임
230 : 상단프레임
231 : 상단롤러
240 : 다리프레임
241 : 지지바퀴
250 : 고리걸림부
300 : 검사구
310 : 검사구본체
311 : 삽입홀
400 : 검사구고정수단
100: inspection table
110: lower frame
111: lower roller
111a: seating groove
112: fastening means
112a: fastening lever
112b: catch hook
120: vertical frame
121: fixing hole
130: upper frame
131: upper roller
140: leg
141: moving wheel
200: storage stand
210: support frame
211: support roller
211a: roller groove
220: support frame
230: upper frame
231: upper roller
240: leg frame
241: support wheel
250: hook hooking part
300: check sphere
310: inspection sphere body
311: insertion hole
400: inspection sphere fixing means

Claims (1)

검사 대상 부품이 안착되는 검사구;
상기 검사구를 보관하는 보관대;
상기 보관대에서 인출된 상기 검사구를 지지하는 검사대; 및
상기 검사구를 상기 검사대에 고정시키는 검사구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검사대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인접하게 복수개가 일직선 상에 설치되고, 둘레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롤러;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는 상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대는,
상기 검사대의 하부프레임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인접하게 복수개가 일직선 상에 설치되고, 둘레를 따라 롤러홈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롤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는 상단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구는 하단이 상기 보관대의 받침롤러에 형성된 롤러홈에 안착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단롤러 사이에 구속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검사구가 상기 보관대에서 인출되면 상기 검사구의 하단이 상기 검사대의 하부롤러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부롤러 사이에 구속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검사대의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an inspection sphere on which the part to be inspected is seated;
a storage stand for storing the inspection tool;
an inspection table supporting the inspection tool pulled out from the storage table; and
and a test tool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est tool to the test table.
The inspection stand,
a lower frame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 vertical frame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 plurality of lower rollers installed on a straight line adjacent to the vertical fram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having seating grooves formed along the periphery; and
Including; an upper roller installed on a straight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The storage stand,
a support frame installed horizontally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of the inspection table;
a support fram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installed on a straight line adjacent to the support fram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roller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t includes; an upper roller installed on a straight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The lower end of the inspection tool is seated and supported in a roller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roller of the storage table, and the upper end can move in a straight line while constrain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upper roller. The lower end of the sphere is seated and supported in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roller of the inspection table, and the upper end is capable of linear movement while constrain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roller,
The lower roller and the upper roller of the inspection table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so that the inspection tool can b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KR1020220007020A 2020-07-08 2022-01-1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KR102372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20A KR102372618B1 (en) 2020-07-08 2022-01-1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094A KR102354781B1 (en) 2020-07-08 2020-07-0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KR1020220007020A KR102372618B1 (en) 2020-07-08 2022-01-1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094A Division KR102354781B1 (en) 2020-07-08 2020-07-0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432A KR20220013432A (en) 2022-02-04
KR102372618B1 true KR102372618B1 (en) 2022-03-10

Family

ID=8004887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094A KR102354781B1 (en) 2020-07-08 2020-07-0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KR1020220007017A KR102372619B1 (en) 2020-07-08 2022-01-1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KR1020220007020A KR102372618B1 (en) 2020-07-08 2022-01-1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KR1020220007021A KR102372617B1 (en) 2020-07-08 2022-01-1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094A KR102354781B1 (en) 2020-07-08 2020-07-0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KR1020220007017A KR102372619B1 (en) 2020-07-08 2022-01-1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21A KR102372617B1 (en) 2020-07-08 2022-01-18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547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3077A (en) 2008-04-24 2009-11-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plate carrier
KR101770602B1 (en) 2016-08-30 2017-08-23 두성산업주식회사 System including oven and carrier for heat treatment
KR101783587B1 (en) 2017-06-15 2017-10-23 이문배 Method for manufacturing vision insp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097A (en) * 2002-03-25 2003-10-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ffering casette in LCD manufacture process and method for transffering casette using the same
KR101606937B1 (en) * 2009-08-28 2016-04-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deflection of bill stacking unit
KR20120016923A (en) * 2010-08-17 2012-02-27 한솔테크닉스(주) Cart separation system of lcm aging tester
KR101339169B1 (en) 2013-04-22 2013-12-09 (주)네온테크 Conveyor loader for the use of the sawing apparatus for semiconductor produc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3077A (en) 2008-04-24 2009-11-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plate carrier
KR101770602B1 (en) 2016-08-30 2017-08-23 두성산업주식회사 System including oven and carrier for heat treatment
KR101783587B1 (en) 2017-06-15 2017-10-23 이문배 Method for manufacturing vision insp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432A (en) 2022-02-04
KR20220006303A (en) 2022-01-17
KR102372619B1 (en) 2022-03-10
KR20220013431A (en) 2022-02-04
KR102372617B1 (en) 2022-03-10
KR20220013433A (en) 2022-02-04
KR102354781B1 (en)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669B1 (en) Modular stanchion system
CN103192208B (en) Pump truck underframe fixture for positioning and assembling shaft sleeve
EP3053710A1 (en) Pallet for conveying pieces or components along assembly lines
JP7082260B2 (en) Guide rails and guide rail systems for mobile objects
CN103394933A (en) Machining device
JP6417265B2 (en) Modular support system
KR102372618B1 (en) 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US9309053B2 (en) Conveyor system and associated product carrier
KR101416379B1 (en) Transmission loading device for vehicle
CN108061502B (en) Slippage detection mechanism and front air window opening size detection tool
KR101529228B1 (en) Cable robot for back heating
KR20170091713A (en) Tire uniformity testing system
CN211333088U (en) Computer auxiliary equipment convenient to overhaul
US20080083124A1 (en) Levelling bench arrangement, set of accessories for a levelling bench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a levelling bench for a particular vehicle model
US20040150148A1 (en) Support for automotive parts
KR102372623B1 (en) Inspection device that can replace the inspection tool equipped with a blocking rod
KR200394636Y1 (en) Rear Impact Bumper Dummy Loading Mechanism & Radiator Grill Dummy Loading Mechanism for Vehicle Inspection System
KR20060133621A (en) Rear impact bumper dummy loading mechanism & radiator grill dummy loading mechanism for vehicle inspection system
CN110186672B (en) Detection device for wheel axle
CN209319088U (en) A kind of one-stop elevator well frame fabricating tools platform of solid
CN207027426U (en) Workbench
CN203357083U (en) Machining equipment
KR20180001261U (en) Align device of lower block pipe
KR100619257B1 (en) Front-bumper dummy loading mechanism & rear bumoer dummy loading mechanism for vehicle inspection system
KR102393192B1 (en) Functionality Work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