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589B1 -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589B1
KR102372589B1 KR1020180010547A KR20180010547A KR102372589B1 KR 102372589 B1 KR102372589 B1 KR 102372589B1 KR 1020180010547 A KR1020180010547 A KR 1020180010547A KR 20180010547 A KR20180010547 A KR 20180010547A KR 102372589 B1 KR102372589 B1 KR 102372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ressure
hole
injection
molding materia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692A (ko
Inventor
임율성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5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0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2Barrel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498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658Injection unit
    • B29C2945/76668Injection unit bar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럴에 설치된 조절본체,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가 통과하도록 상기 조절본체에 형성된 통과공, 및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이 조절되도록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사출압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Apparatus for Injection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for Test, Method for Test}
본 발명은 사출압을 조절하기 위한 사출압 조절장치, EUROMAP 기준으로 사출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이다. 예컨대, 텔레비전,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제품에 있어서 커버, 케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을 통한 제품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거쳐 이루어진다. 우선, 안료,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이 첨가된 성형재료를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 상태로 만든다. 다음,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사출한 후에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다. 다음, 금형으로부터 응고된 성형재료를 추출한 후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들을 거쳐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사출제품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사출하기 위한 설비로, 사출장치가 이용된다.
상기 사출장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사출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장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사출하는 과정에서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사출장치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기 위해 요구되는 압력을 사출압이라 한다. 이러한 사출압은 상기 사출장치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에 기인한 것이다.
여기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EUROMAP 기준으로 상기 사출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출장치가 기준사출압 이상으로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사출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장치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해야 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사출하는 사출압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없도록 구현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사출장치에 대한 에너지 효율을 측정 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출장치가 기준사출압 이상의 사출압으로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사출하도록 조절하려면 별도의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할 것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테스트용 금형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사출장치의 사출압을 조절하는 것은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함에 있어 고도의 비용, 시간 등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불량품이 생산된 경우 다시 새로운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전방(前方)으로 이송하여 사출하는 사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으로 이송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조절하는 사출압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장치는 성형재료가 공급되는 배럴, 상기 배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사출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는 상기 배럴에 설치된 조절본체,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가 통과하도록 상기 조절본체에 형성된 통과공, 및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이 조절되도록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사출압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압 조절장치는 사출장치의 배럴에 설치된 조절본체;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가 통과하도록 상기 조절본체에 형성된 통과공; 상기 통과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조절본체에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이 조절되도록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사출압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는 상기 통과공을 형성하는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사출압이 조절되도록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사출압 및 목표사출압 간의 대소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과 동일하면,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사출장치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EUROMAP 기준으로 사출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 하기 위해, 사출압 조절장치가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하는 사출압을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 측정에 적용되는 기준사출압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기준사출압 이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할 필요 없게 되므로,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불량품이 생산된 경우 다시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사출압 조절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사출압 조절부재가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용융성형재료가 사출되는 사출압이 감소되도록 사출압 조절부재가 이탈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용융성형재료가 사출되는 사출압이 증대되도록 사출압 조절부재가 삽입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통과공이 폐쇄되도록 사출압 조절부재가 폐쇄홈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사출압 조절부재가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폐쇄홈에 어긋난 상태에서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사출압 조절부재가 폐쇄홈에 삽입되도록 안내면이 사출압 조절부재를 폐쇄홈 쪽으로 안내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발열기구가 삽입홈 쪽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압 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압 조절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하는 사출작업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테스트 하기 위한 것이다. 용융성형재료는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의 성형재료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기준사출압 이상으로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사출하는 조건에서, 사출작업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 기준사출압은 EUROMAP 기준으로 전력량을 테스트 하기 위해 갖춰야 할 최소한의 사출압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사출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장치(2)는 용융성형재료를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여 사출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장치(2)는 호퍼(미도시)로부터 성형재료가 공급되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성형재료를 이송하면서 성형재료를 용융시켜 계량할 수 있다. 상기 호퍼(미도시)는 성형재료가 상기 사출장치(2)로 공급되기 전, 성형재료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장치(2)는 계량된 용융성형재료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여 외부로 사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장치(2)는 배럴(21), 및 사출스크류(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럴(21, 이하 도 1에 도시됨)은 성형재료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배럴(21)은 상기 호퍼(미도시)를 통해 공급된 성형재료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배럴(21)에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저장된 성형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럴(21)은 상기 성형재료를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된 성형재료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용융되도록 상기 성형재료를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 성형재료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히터로부터 공급된 열 및 상기 사출스크류(22)가 상기 배럴(21)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다.
상기 배럴(21)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성형재료를 저장 및 가열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사출스크류(22, 이하 도 1에 도시됨)는 성형재료에 대한 계량 및 성형재료에 대한 이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사출스크류(22)는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공급된 성형재료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사출스크류(22)는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출스크류(22)는 상기 배럴(21)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공급된 성형재료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계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성형재료는 용융되어 용융성형재료가 될 수 있다.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계량이 완료되면, 상기 사출스크류(22)는 회전을 멈추고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계량된 용융성형재료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융성형재료는 사출될 수 있다.
상기 사출스크류(22)의 외면에는 상기 사출스크류(2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도록 복수개의 이송부재(미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들은 상기 사출스크류(22)가 1회전 할 때마다 동일한 양의 용융성형재료가 계량되도록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나란한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장치(2)는 구동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 이하 도 1에 도시됨)는 상기 사출스크류(22)를 회전 및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23)는 상기 사출스크류(22)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출스크류(22)는 상기 구동부(23)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배럴(21)의 내부에서 회전되거나,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계량된 용융성형재료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는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23)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가 설치된 작업공간에 마련된 콘센트 등의 전력공급수단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는 상기 사출장치(2)에 구비된 동력부(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동력부는 배터리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사출장치(2)를 통해 용융성형재료가 사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출압을 조절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사출압 조절장치(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사출장치(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사출스크류(22)가 계량된 용융성형재료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용융성형재료가 사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출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EUROMAP 기준으로 상기 사출장치(2)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 하기 위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가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하는 사출압을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 측정에 적용되는 기준사출압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기준사출압 이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할 필요 없게 되므로,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불량품이 생산된 경우 다시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배럴(2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배럴(21)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용융성형재료가 사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용융성형재료가 사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사출장치(2)의 사출압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용융성형재료가 사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조절본체(31), 연통공(32), 및 사출공(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31)는 상기 배럴(21)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조절본체(31)는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의 본체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31)는 상기 사출스크류(22)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사출압을 견디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32)은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연통공(32)은 용융성형재료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유로(流路)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연통공(32)은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저장된 용융성형재료는, 상기 사출스크류(22)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통공(32)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32)은 상기 조절본체(31)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32)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융성형재료는 상기 연통공(32)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저항력이 증대되어 유압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32)은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연통된 일측이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대해 대략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공(33)은 용융성형재료를 외부로 사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사출공(33)은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공(33)은 용융성형재료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사출공(33)은 외부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사출공(33)은 상기 배럴(21)의 내부로부터 상기 연통공(32)을 통해 유입된 용융성형재료를 외부로 사출시킬 수 있다.
상기 사출공(33)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융성형재료는 상기 사출공(33)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저항력이 증대되어 유압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사출공(33)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일측이 상기 연통공(32)의 타측에 대해 대략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통과공(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공(34)은 용융성형재료가 통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과공(34)은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34)은 용융성형재료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통과공(34)은 상기 연통공(32) 및 상기 사출공(33)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럴(21)의 내부는 상기 연통공(32), 상기 사출공(33), 및 상기 통과공(34)을 통해 외부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34)은 상기 연통공(32) 및 상기 사출공(3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저장된 용융성형재료는 상기 연통공(32), 상기 통과공(34), 및 상기 사출공(33)을 각각 통과하여 외부로 사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사출압 조절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사출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이 감소시켜 용융성형재료가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은 증대될 수 있다.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증대시켜 용융성형재료가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테스트용 금형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출압을 조절하는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통해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사출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사출압을 증가시키는 작업뿐만 아니라 사출압을 감소시키는 작업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기준사출압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EUROMAP 기준으로 상기 사출장치(2)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기준사출압보다 큰 사출압으로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하는 상태에서 전력량을 측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사출장치(2)의 에너지 효율이 높게 측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통과공(34)의 직경에 비해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장방형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삽입홈(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6)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삽입홈(36)은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6)은 상기 통과공(34)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6)을 통해, 외부 및 상기 통과공(34)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삽입홈(3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조절본체(3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삽입홈(36)에 삽입되어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통과공(34)을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삽입홈(36)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상기 삽입홈(36)에 삽입하여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략한 구조로 구현되어 수리, 교체 등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통과공(34)을 가리는 면적이 증대되어,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통과공(34)을 가리는 면적이 감소되어,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6)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의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이다. 상기 삽입홈(36)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6)을 형성하는 상기 조절본체(31)의 삽입면(311)에는 나사산(螺絲山)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본체(3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폐쇄홈(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쇄홈(37)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통과공(34)을 폐쇄하기 위한 홈이다. 상기 폐쇄홈(37)은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홈(37)은 상기 통과공(34)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36)에 대해 반대되는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삽입홈(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폐쇄홈(37)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통과공(34)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성형재료는 상기 통과공(34)이 폐쇄됨에 따라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에 의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소화 능력 테스트도 병행할 수 있다. 가소화 능력 테스트는 성형재료를 용융시킬 수 있는 양을 획득하기 위한 테스트로, 상기 통과공(34)을 폐쇄한 상태에서 용융성형재료를 계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작업자가 별도의 가소화 능력 테스트를 위한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가소화 능력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작업 및 가소화 능력을 테스트하는 작업을 전환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출장치(2)의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 측정 모드 및 가소화 능력 테스트 모드 간에 모드를 전환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폐쇄홈(37)은 상기 통과공(34)에 대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폐쇄홈(37)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홈(37)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가 상기 폐쇄홈(37)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에는 안내면(3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351)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에 형성된 면(面)이다. 상기 안내면(351)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폐쇄홈(37)에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351)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 단면의 직경이 감소되도록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직경이 작은 부분부터 상기 폐쇄홈(37)에 삽입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외부, 상기 사출장치(2) 등으로부터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에 충격, 진동이 가해져서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밀려난 경우에도,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의 선단부가 상기 폐쇄홈(37)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상기 폐쇄홈(37)에 삽입시키는 폐쇄작업에 대한 안정성 및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안내면(351)을 통해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수록 직경이 큰 부분이 점차 상기 폐쇄홈(37)에 삽입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안내면(351)을 통해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 및 상기 폐쇄홈(37)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어긋난 정도를 점차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 및 상기 폐쇄홈(37)을 별도로 정렬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상기 폐쇄홈(37)에 삽입하는 폐쇄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쇄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제한면(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면(38)은 상기 통과공(34)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통과공(34)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스크류(22)가 회전되면, 용융성형재료는 상기 사출스크류(22)를 통해 계량되어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용융성형재료의 유압(油壓)으로 인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한면(38)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됨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35)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용융성형재료에 의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도, 상기 제한면(38)을 통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가소화 능력 테스트를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어 상기 통과공(34)이 일부분 개방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가소화 능력 테스트에 대한 정확성 및 안정성을 더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한면(38)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통과공(34)을 폐쇄한 경우,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31)에 상기 폐쇄홈(37)이 형성된 경우, 상기 제한면(38)은 상기 폐쇄홈(37)을 둘러싸는 일면(一面)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조절본체(31)에 상기 통과공(34)의 일부를 가리도록 제한부재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한면(38)은 상기 제한부재에서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일면일 수도 있다. 상기 제한면(38)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의 외면 중에서 일부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발열기구(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기구(39)는 상기 조절본체(31)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발열기구(39)는 상기 삽입홈(36) 쪽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기구(39)는 용융성형재료가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홈(36) 쪽으로 누출되어 응고된 상태의 성형재료를 용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삽입홈(36) 쪽으로 누출되어 응고된 상태의 성형재료로 인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 측정 및 가소화 능력 테스트를 위해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를 사용한 뒤에, 상기 발열기구(39)를 통해 응고된 성형재료를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발열기구(39)가 상기 삽입홈(36) 쪽으로 누출되어 응고된 상태의 성형재료를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삽입홈(36) 쪽으로 누출된 성형재료를 제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상기 삽입홈(36) 쪽으로 누출된 성형재료를 제거하는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기구(39)는 상기 조절본체(31)에 내설될 수 있다. 상기 발열기구(39)는 전력을 소모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기구(39)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열기구(3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가 설치된 작업공간에 마련된 콘센트 등의 전력공급수단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발열기구(39)는 상기 사출장치(2)에 구비된 상기 동력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동력부는 배터리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사출압 획득부(4), 비교부(5), 전력량 획득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획득부(4)는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가 조절한 사출압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출압 획득부(4)는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에 설치되어 용융성형재료의 유압을 획득하는 센서로 구현됨으로써, 사출압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출압 획득부(4)는 상기 구동부(23)에 걸리는 부하 등을 획득함으로써, 사출압을 획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사출압 획득부(4)는 상기 구동부(23)가 모터 등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구동부(23)에 설치된 로드셀 등을 통해 사출압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출압 획득부(4)는 상기 구동부(23)가 유압실린더 등으로 구현된 경우, 유압실린더의 유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출압 획득부(4)는 상기 구동부(23)가 상기 사출스크류(22)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미는 힘을 상기 통과공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획득사출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5)는 상기 사출압 획득부(4)가 획득한 획득사출압과 목표사출압 간의 대소(大小)를 비교하는 것이다. 획득사출압은 상기 사출압 획득부(4)가 획득한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이다. 목표사출압은 작업자가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를 이용하여 조절하고자 하는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으로, 작업자에 의해 기설정된 사출압일 수 있다.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 측정 시, 목표사출압은 기준사출압 이상의 사출압일 수 있다. 상기 비교부(5)는 획득사출압과 목표사출압의 대소를 비교하여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에 비해 작은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과 동일한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을 초과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5)는 작업자가 획득사출압 및 목표사출압의 대소를 직접 비교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구현된 표시기구(미도시)에 획득사출압 및 목표사출압에 대한 비교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는 전력량 획득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 획득부(6)는 상기 비교부(5)가 획득사출압과 목표사출압 간의 대소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전력량 획득부(6)는 상기 구동부(23), 상기 히터 등 상기 사출장치(2)에 구비 가능한 기구들이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 획득부(6)는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 측정 시,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과 동일한 경우 상기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량 획득부(6)가 획득한 전력량을 통해, 작업자는 EUROMAP을 기준으로 한 상기 사출장치(2)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력량 획득부(6)는 상기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하여 상기 표시기구 등의 표시수단을 통해 소모된 전력량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 획득부(6)는 상기 비교부(5)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부(5)가 획득사출압 및 목표사출압의 대소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력량 획득부(6)는 상기 비교부(5)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에 비해 더 크거나 더 작다고 비교하면, 상기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하는 작업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 획득부(6)는 상기 비교부(5)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과 동일하다고 비교하면, 상기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상기 사출장치(2)에 대한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1)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한다(S10). 이러한 공정(S10)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상기 삽입홈(36)에 삽입하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공정(S10)은, 작업자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은 작업자가 얻은 경험, 과거에 테스트를 수행했을 때 얻은 데이터 등 귀납적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공정(S10)에서,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공정(S10)에서,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한다(S20). 이러한 공정(S20)은 상기 사출장치(2)가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하는 공정(S20)은, 상기 구동부(23)가 상기 사출스크류(22)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계량된 용융성형재료가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용융성형재료는 상기 배럴(21)의 내부로부터 상기 연통공(32), 상기 통과공(34), 및 상기 사출공(33)을 통해 외부로 사출될 수 있다. 상기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하는 공정(S20)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구동부(23)는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사출스크류(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사출압을 획득한다(S30). 이러한 공정(S30)은 상기 사출압 획득부(4)가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용융성형재료의 사출압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출압을 획득하는 공정(S30)은, 상기 사출압 획득부(4)가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용융성형재료의 유압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출압을 획득하는 공정(S30)은, 상기 사출압 획득부(4)가 상기 구동부(23)에 걸리는 부하 등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사출압을 획득하는 공정(S30)은, 상기 구동부(23)가 유압실린더로 구현된 경우 상기 사출압 획득부(4)가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출압을 획득하는 공정(S30)은, 상기 구동부(23)가 모터로 구현된 경우 로드셀 등을 통해 상기 구동부(23)에 걸리는 부하를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사출압을 획득하는 공정(S30)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출장치(2)는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하는 공정(S20)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획득사출압과 목표사출압 간의 대소를 비교한다(S40). 이러한 공정(S40)은 상기 비교부(5)가 획득사출압 및 목표사출압 간에 대소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획득사출압과 목표사출압을 비교하는 공정(S40)은, 상기 사출압 획득부(4)가 획득한 획득사출압과 EUROMAP 기준의 사출압을 만족하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기설정된 목표사출압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획득사출압과 목표사출압을 비교하는 공정(S40)은, 획득사출압 및 목표사출압을 비교하여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과 동일한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과 동일하면, 사출장치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한다(S50). 이러한 공정(S50)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전력량 획득부(6)가 상기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출장치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하는 공정(S50)은, 상기 구동부(23), 상기 히터 등을 포함하는 상기 사출장치(2) 전체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테스트용 금형을 제작 및 설치하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공정만으로 사출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테스트용 금형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출압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비할 때 사출압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공정을 통해 사출압을 증대시키는 작업뿐만 아니라 사출압을 감소시키는 작업도 수행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사출압을 EUROMAP 기준의 기준사출압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목표사출압을 기준사출압으로 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상기 사출장치(2)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기준사출압보다 큰 사출압으로 사출을 수행하면서 전력량을 획득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사출장치(2)의 에너지 효율이 높게 측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을 초과하면,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증대시키는 공정(S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60)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상기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증대시키는 공정(S60)은, 작업자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융성형재료가 사출되는 사출압은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을 초과하는 경우,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하는 사출압을 감소시키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상기 사출장치(2)의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용융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재조절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측정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에 비해 작으면,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감소시키는 공정(S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70)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에 비해 작은 경우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과공이 개방된 면적을 감소시키는 공정(S70)은, 작업자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융성형재료가 사출되는 사출압은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에 비해 작은 경우, 용융성형재료를 사출하는 사출압을 증대시키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상기 사출장치(2)의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사출압을 재조절하는 시간을 더 감소시킴으로써, EUROMAP 기준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측정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들(S20, S30, S40, S60, S70)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과 동일해질 때까지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테스트장치 2 : 사출장치
3 : 사출압 조절장치 4 : 사출압 획득부
5 : 비교부 6 : 전력량 획득부
21 : 배럴 22 : 사출스크류
23 : 구동부 31 : 조절본체
32 : 연통공 33 : 사출공
34 : 통과공 35 : 사출압 조절부재
36 : 삽입홈 37 : 폐쇄홈
38 : 제한면 39 : 발열기구
311 : 삽입면 351 : 안내면

Claims (11)

  1.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전방(前方)으로 이송하여 사출하는 사출장치(2);
    상기 사출장치(2)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으로 이송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조절하는 사출압 조절장치(3);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가 조절한 사출압을 획득하기 위한 사출압 획득부(4);
    상기 사출압 획득부(4)가 획득한 획득사출압과 목표사출압 간의 대소(大小)를 비교하는 비교부(5); 및
    상기 비교부(5)가 획득사출압과 목표사출압 간의 대소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하는 전력량 획득부(6)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장치(2)는 성형재료가 공급되는 배럴(21),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사출스크류(22)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배럴(21)에 설치된 조절본체(31),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가 통과하도록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된 통과공(34), 및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이 조절되도록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사출압 조절부재(35)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량 획득부(6)는 획득사출압과 목표사출압이 동일하면 상기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하고,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을 초과하면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목표사출압이 획득사출압을 초과하면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통과공(34)에 연통되도록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된 삽입홈(36)을 포함하고,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통과공(34)을 향하는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홈(36)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삽입되기 위한 폐쇄홈(37)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홈(37)은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통과공(34)이 폐쇄되도록 상기 통과공(34)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홈(36)에 대해 반대되는 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에는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폐쇄홈(37)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면(35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351)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 단면의 직경이 감소되도록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통과공(34)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가 상기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면(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압 조절장치(3)는 상기 조절본체(31)에 설치된 발열기구(39)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기구(39)는 상기 통과공(34)으로부터 상기 삽입홈(36)으로 누출되어 응고된 상태의 성형재료가 용융되도록 상기 삽입홈(36) 쪽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장치.
  8. 사출압이 조절되도록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사출압 및 목표사출압 간의 대소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과 동일하면,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사출장치(2)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을 초과하면,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증대시키는 단계; 및
    목표사출압이 획득사출압을 초과하면,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스트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사출장치(2)의 배럴(21)에 설치된 조절본체(31);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가 통과하도록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된 통과공(34);
    상기 통과공(34)에 연통되도록 상기 조절본체(31)에 형성된 삽입홈(36); 및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통과공(34)을 향하는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홈(36)에 삽입되어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사출압이 조절되도록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사출압 조절부재(35)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압 조절부재(35)는 사출압 획득부(4)에 의해 획득된 획득사출압이 목표사출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증대되어서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목표사출압이 획득사출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삽입홈(36)으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감소하여서 상기 통과공(34)이 개방된 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압 조절장치.
KR1020180010547A 2018-01-29 2018-01-29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 KR10237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47A KR102372589B1 (ko) 2018-01-29 2018-01-29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47A KR102372589B1 (ko) 2018-01-29 2018-01-29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692A KR20190091692A (ko) 2019-08-07
KR102372589B1 true KR102372589B1 (ko) 2022-03-08

Family

ID=6762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47A KR102372589B1 (ko) 2018-01-29 2018-01-29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310A (ko) 2022-04-14 2023-10-23 모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검사시스템 및 그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560A (ja) * 2000-12-27 2002-07-10 Nissei Asb Mach Co Ltd 射出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JP2003154564A (ja) * 2001-11-22 2003-05-27 Canon Electronics Inc 射出成形機
JP2015030240A (ja) * 2013-08-06 2015-02-16 東芝機械株式会社 電動機械および電動機械の電力監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7633A (en) * 1980-02-19 1981-09-16 Yamashiro Seiki Seisakusho:Kk Extrusion molding machine for high injection pressure
JP3000537B2 (ja) * 1992-07-06 2000-01-17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合成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H10156902A (ja) * 1996-12-03 1998-06-16 Niigata Eng Co Ltd 射出成形機及び樹脂の射出圧力制御方法並びに樹脂の射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560A (ja) * 2000-12-27 2002-07-10 Nissei Asb Mach Co Ltd 射出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JP2003154564A (ja) * 2001-11-22 2003-05-27 Canon Electronics Inc 射出成形機
JP2015030240A (ja) * 2013-08-06 2015-02-16 東芝機械株式会社 電動機械および電動機械の電力監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310A (ko) 2022-04-14 2023-10-23 모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검사시스템 및 그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692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8201A1 (en) Injection molding system
JP2009500197A (ja) キャビティへの溶融物の充填の監視及び/又は制御方法
KR101521708B1 (ko) 사출성형기
US9682508B2 (en) Molding machin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00086542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injection molding processes based on actual plastic melt pressure or cavity pressure
KR102372589B1 (ko) 사출압 조절장치,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
CN104875352A (zh) 注射成型机
JP5758968B2 (ja) プランジャを備えたインライン式射出成形機
CN114953379A (zh) 射出成形机以及射出成形机的检查方法
JP5661007B2 (ja) 射出装置およびその射出制御方法
CN103481479A (zh) 注塑成型机的压力控制装置
JP6075693B2 (ja) 射出成形機の計量工程の制御方法
JP4889574B2 (ja)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US11554525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11565452B2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037068A (ja) 樹脂材の射出成形方法
KR20210056905A (ko) 사출 장치 및 사출 장치의 가스 용해 방법
JP4367172B2 (ja) 射出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JP2013031952A (ja) トグル式射出成形機のセッティング方法及び成形方法
KR20170000285A (ko) 사출성형기, 그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5083656B2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チェックリングの強制開き動作
JP6075694B2 (ja) 射出成形機の射出充填工程の制御方法
WO2022259331A1 (ja) 射出装置
JP2598687Y2 (ja) 射出成形機の製品良否判定装置
JP2005335078A (ja) 射出成形機の射出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