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243B1 -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243B1
KR102371243B1 KR1020170080384A KR20170080384A KR102371243B1 KR 102371243 B1 KR102371243 B1 KR 102371243B1 KR 1020170080384 A KR1020170080384 A KR 1020170080384A KR 20170080384 A KR20170080384 A KR 20170080384A KR 102371243 B1 KR102371243 B1 KR 10237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inforcement structure
body reinforcement
rear body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3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1042A (en
Inventor
김주남
최지호
신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243B1/en
Publication of KR2019000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2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후방 차체 보강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는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며,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되도록 수납부가 형성되는 리어 플로어 패널;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멤버; 상기 사이드 멤버들의 하부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장착되는 후방 서브 프레임; 상기 수납부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들을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크로스 멤버; 상기 제1 크로스 멤버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의 시작 위치에서 양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 멤버들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는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과 연결되는 제2 크로스 멤버; 및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을 상기 사이드 멤버에 장착하도록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장착되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한다.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is disclosed.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floor panel disposed at the rear of a vehicle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a spare tire; side members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 rear sub-frame moun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under the side members; a first cross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connecting the side members in a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cross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cross member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both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 are connected to the side members at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first cross member is connected to a spare tire mounting bracket moun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 cross members; and a mounting unit mounted inside the side member to mount the rear sub-frame to the side member.

Description

후방 차체 보강 구조{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본 발명은 후방 차체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에 후방 사이드 멤버로 입력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하여 소음 및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distributing and supporting a load input to a rear side member while driving at the rear of a vehicle to minimize noise and vibration. .

종래 프레임 타입의 차체 멤버들을 서로 연결하여 차체를 구성한 이른바 스페이스 프레임 차체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고 엔진룸을 구성하는 전방 차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위치하고 승객실을 구성하는 중앙 차체 및,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에 위치하고, 트렁크 룸을 구성하는 후방 차체를 포함한다.The so-called space frame body, in which the body members of the conventional frame ty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body, is a front body that is located in the fro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constitutes the engine room, and is located in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constitutes the passenger compartment. It includes a center body and a rear body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constitutes a trunk room.

여기서, 후방 차체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차실 바닥 및 트렁크 룸의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은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 멤버를 통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각각의 상기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다.Here, the rear body includes a rear floor panel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o form a floor of a vehicle compartment and a floor of a trunk room. The rear floor panel is mounted through side member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rear floor panel is connected to a cross member connecting each of the side member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크로스 멤버는 상기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후방 서브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들은 상기 사이드 멤버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크로스 멤버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멤버를 통해 연결된다. The cross members are respectively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rear sub-frames mounted on the side members. These cross members are disposed between the side members and are connected through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cross me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방 차체구조에서는 후방 서브 프레임이 장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가 단순히 상기 크로스 멤버로만 지지되고, 상기 크로스 멤버는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하도록 리어 플로어 패널에 형성된 수납부로 인해 직선으로 사이드 멤버들을 연결하지 못함에 따라, 후방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사이드 멤버로 입력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하기가 어려워 차량의 전체적인 NVH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ar body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ide member is supported only by the cross member at the position where the rear sub-frame is mounted, and the cross member is straight due to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to accommodate the spare tire. As the side members are not connected,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distribute and support the load input to the side member through the rear sub-frame, so that the overall NVH performance of the vehicle is deteriorated.

또한, 후방 차체의 연결 강성 및 입력점 강성이 취약으로 인해 로드 노이즈(Road Noise)가 차량에 그대로 전달되어 승차감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weak connection rigidity and input point rigidity of the rear body, road nois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as it is, and ride comfort is deteriorated, which also includes problems such as lowering the commercial value of the vehicle.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prepar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로스 멤버를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과 연결하고, 후방 서브 프레임의 장착 위치에서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마운팅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에 사이드 멤버로 입력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연결 강성 및 입력점 강성 향상을 통해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a cross member with a spare tire mounting bracket, and mount it inside the side member 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rear sub frame. By mounting the unit, the rear body of the vehicle efficiently distributes the load input to the side members while driving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improves the NVH (Noise, Vibration, Harshness) performance of the vehicle by improving the connection rigidity and input point rigidit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inforcing structur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는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며,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되도록 수납부가 형성되는 리어 플로어 패널;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멤버; 상기 사이드 멤버들의 하부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장착되는 후방 서브 프레임; 상기 수납부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들을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크로스 멤버; 상기 제1 크로스 멤버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의 시작 위치에서 양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 멤버들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는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과 연결되는 제2 크로스 멤버; 및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을 상기 사이드 멤버에 장착하도록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장착되는 마운팅 유닛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rear floor pane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to receive a spare tire; side members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 rear sub-frame moun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under the side members; a first cross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connecting the side members in a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cross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cross member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both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 are connected to the side members at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first cross member is connected to a spare tire mounting bracket moun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 cross members; and a mounting unit mounted inside the side member to mount the rear sub-frame to the side member.

상기 제2 크로스 멤버는 상기 수납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ross member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an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상기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각각의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브라켓; 및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3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side members so as to face the front of the vehicle around the spare tire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1, and a second bracket; and a third bracke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ide member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pare tire mounting part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양측으로 벌어진“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may be formed in a “V” shape that is spread on both sides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pare tire mounting part.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크로스 멤버와 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End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connected to the second cross member may be bent upwardly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상기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크로스 멤버의 후면이 시작되는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may be mounted inside the side member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ross member starts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마운팅 유닛은 파이프 너트; 및 차량의 전, 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 너트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may include a pipe nut; and reinforcing members respectively moun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pipe nut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상기 파이프 너트는 하면이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면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pe nut may include a fixing plate having a lower surface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Support portions formed by bending upwards from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nut portion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은 상기 사이드 멤버의 폭 방향으로 양측 내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may be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sid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너트부를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감싼 상태로, 상기 너트부의 외측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respectively join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nut porti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nut portion is wrapp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보강부재들은 상기 너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맞닿는 면이 접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s may have surfa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nut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파이프 너트에 용접을 통하여 접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joined to the pipe nut through welding.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파이프 너트에 상기 보강부재들의 조립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may be mounted inside the sid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s are assembled to the pipe n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에 의하면, 크로스 멤버를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과 연결하고, 후방 서브 프레임의 장착 위치에서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마운팅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에 사이드 멤버로 입력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member is connected to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and the mounting unit is mounted inside the side member 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rear sub frame, so that the rear of the vehicle is It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distributing the load input to the side member while driving.

또한,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연결 강성과, 후방 서브 프레임이 장착되는 위치에서 사이드 멤버의 입력점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으로 전달되는 로드 노이즈(Road noise)를 최소화하고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connection rigidity between the side member and the cross member and the input point rigidity of the side member at the position where the rear subframe is mounted, road noise transmitted to the vehicle is minimized and the vehicle's NVH (Noise, Vibration) , Harshnes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erformance and market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에 크로스 멤버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멤버를 삭제하여 전체 중량을 줄이고,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overall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by eliminating the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cross members in the prior art.

또한, 사이드 멤버에 마운팅 유닛을 장착할 때, 마운팅 유닛을 먼저 조립한 후에 사이드 멤버에 장착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축소하고 사이클 타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unit is mounted on the side member, the mounting unit is first assembled and then mounted on the side member, thereby reducing the assembly process and reducing cycle tim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에서 마운팅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에서 하중 전달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1 .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in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load transmission path in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can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exist.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bar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means", "...part", and "...member"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of a comprehensive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t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에서 마운팅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1 , and FIG. 3 is a mounting unit in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는 리어 플로어 패널(10), 사이드 멤버(20), 후방 서브 프레임(30), 제1 크로스 멤버(40), 제2 크로스 멤버(50), 및 마운팅 유닛(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floor panel 10 , a side member 20 , a rear sub frame 30 , a first cross member 40 , and a second cross member 50 , and a mounting unit 60 .

먼저,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10)은 차량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리어 플로어 패널(10)에는 스페어 타이어(미도시)가 수납되도록 수납부(11)가 형성된다. First, the rear floor panel 1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e accommodating part 11 is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10 to accommodate a spare tire (not shown).

상기 사이드 멤버(20)는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1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The side members 2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10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30)은 후륜을 차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 멤버(20)들의 하부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후방 서브 프레임(30)에는 현가장치를 통해 후륜(Rear wheel)이 연결될 수 있다.The rear sub-frame 30 is mounted under the side members 2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o connect the rear wheel to the vehicle body. A rear wheel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ub-frame 30 through a suspens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크로스 멤버(40)는 상기 수납부(11)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20)들을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결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ross member 4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11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connects the side members 2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이러한 제1 크로스 멤버(40)는 상기 사이드 멤버(20)들의 사이를 연결하며, 직선의 빔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멤버(40)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ross member 40 connects between the side members 20 , is formed as a straight beam, and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member 40 .

상기 제2 크로스 멤버(50)는 상기 제1 크로스 멤버(40)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크로스 멤버(50)는 상기 수납부(11)의 시작 위치에서 양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 멤버(20)들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11)에 장착되는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13)과 연결된다.The second cross member 5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ross member 40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The second cross member 50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side members 20 at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and a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3 mounted to the accommodating part 11 and connected

여기서, 상기 제2 크로스 멤버(50)는 중앙부(51)와 연결부(53)를 포함한다.Here, the second cross member 50 includes a central portion 51 and a connecting portion 53 .

상기 중앙부(51)는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되도록 형성된 상기 수납부(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된다.The central portion 51 is formed to be round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1 formed to accommodate the spare tir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중앙부(51)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20)와 수직하게 연결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portions 53 integrally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51 and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ide members 20 .

한편, 상기 수납부(1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장착되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13)은 제1, 제2, 및 제3 브라켓(14, 15, 16)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3 mount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receiving part 11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14 , 15 , and 16 .

먼저,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4, 15)은 상기 수납부(11)에 형성되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12)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각 사이드 멤버(20)의 내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First,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4 and 15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side member 20 to face the front of the vehicle with the spare tire mounting portion 12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 as the center. is inclined toward the

이러한 제1, 및 제2 브라켓(14, 15)의 일단은 상기 중앙부(51)와 상기 연결부(53)의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12)를 중심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4 and 15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51 and the connecting portion 53,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round the spare tire mounting portion 12. there is.

즉, 상기 제1 브라켓(14)과 상기 제2 브라켓(15)은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12)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양측으로 벌어진“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bracket 14 and the second bracket 15 may be formed in a “V” shape that is spread on both sides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with the spare tire mounting part 12 as a center.

또한, 상기 제1 브라켓(14)과 제2 브라켓(15)은 상기 제2 크로스 멤버(50)와 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수납부(1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될 수 있다.Also, in the first bracket 14 and the second bracket 15 , an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ross member 50 may be bent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브라켓(16)은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12)를 중심으로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2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4, 15)과 일체로 연결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hird bracket 16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member 20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with the spare tire mounting portion 12 as the center,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4, 15) is integrated with

따라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브라켓(14, 15, 16)을 포함하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13)은 전체적인 형상이 “Y”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1)에 장착된다.Accordingly,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3 includ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14 , 15 and 16 has an overall shape of a “Y” shape, and the accommodating part 11 is formed in a “Y” shape. is mounted on

그리고 상기 마운팅 유닛(60)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30)을 상기 사이드 멤버(20)에 장착하도록 상기 사이드 멤버(20)의 내부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mounting unit 60 is mounted inside the side member 20 to mount the rear sub-frame 30 to the side member 20 as shown in FIGS. 1 and 2 .

이러한 마운팅 유닛(60)은 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크로스 멤버(50)의 후면이 시작되는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60 may be mounted inside the side member 20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ross member 50 starts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즉, 상기 마운팅 유닛(60)은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30)을 통하여 주행 중에 후륜으로부터 차체로 입력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13)과 상기 제2 크로스 멤버(50)로 분산시킬 수 있다.That is, the mounting unit 60 efficiently supports the load input from the rear wheel to the vehicle body while driving through the rear sub-frame 30 , and at the same time,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3 and the second cross member (50) can be dispersed.

여기서, 상기 마운팅 유닛(6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너트(61)와 보강부재(65)를 포함 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unit 60 may include a pipe nut 61 and a reinforcing member 65 as shown in FIG. 3 .

상기 파이프 너트(61)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형 파이프로 형성된다. 이러한 파이프 너트(61)에는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30)이 볼트 결합을 통해 조립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pipe nut 61 is formed as a conical pipe whose diameter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A thread may be formed in the pipe nut 61 so that the rear sub-frame 30 is assembled through bolt coupling.

이러한 파이프 너트(61)는 고정 플레이트(62), 지지부(63), 및 너트부(64)를 포함한다. This pipe nut 61 includes a fixing plate 62 , a support portion 63 , and a nut portion 64 .

상기 고정 플레이트(62)는 하면이 상기 사이드 멤버(20)의 내면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63)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62)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A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62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20 . The support part 63 is bent up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6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지지부(63)의 외측면은 상기 사이드 멤버(20)의 폭 방향으로 양측 내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63 may be mount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side member 20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너트부(64)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62)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30)의 볼트 결합 시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t part 64 is integrally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62 , and the bolts may be fastened when the rear sub-frame 30 is bolted togeth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65)는 차량의 전, 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 너트(6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65 i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ipe nut 61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65)는 상기 너트부(64)를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감싼 상태로, 상기 너트부(64)의 외측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62)의 상면, 및 상기 지지부(63)의 내측면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member 65 surrounds the nut part 64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nut part 64 ,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62 , and the support part 63 . may be respectively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보강부재(65)들은 상기 너트부(64)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맞닿는 면이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s 65 may be bonded to each other with the nut portion 64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상기 보강부재(65)는 상기 파이프 너트에 스폿 용접과 CO2 용접을 통하여 접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65 may be joined to the pipe nut through spot welding and CO2 welding.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마운팅 유닛(60)은 상기 파이프 너트(61)에 상기 보강부재(65)들의 조립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20)의 내부에 장착된다. The mounting unit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inside the side memb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s 65 are assembled to the pipe nut 61 .

상기 마운팅 유닛(60)에는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30)을 통해 전달된 하중이 입력됨에 따라, 하중의 입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유닛(60)은 상기 파이프 너트(61)와 보강부재(65)들을 통하여 자체 강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모든 방향으로 상기 너트부(64)를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62), 지지부(63), 및 보강부재(65)들을 통하여 하중의 입력점 강성을 높일 수 있다.As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rear sub-frame 30 is input to the mounting unit 60 , it may act as an input point of the load. Here, the mounting unit 60 improves its own rigidity through the pipe nut 61 and the reinforcing members 65 , and includes a fixing plate 62 and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nut part 64 in all directions of the vehicle. Through the (63) and the reinforcing members 65,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input point of the loa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에서 하중 전달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load transmission path in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후륜을 통하여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30)으로 전달된 하중은 상기 마운팅 유닛(60)을 통해 상기 사이드 멤버(20)로 입력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road surface to the rear sub-frame 30 through the rear wheels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is input to the side member 20 through the mounting unit 60 .

상기 마운팅 유닛(60)으로부터 입력된 하중의 일부는 상기 사이드 멤버(20)와 연결된 상기 제2 크로스 멤버(50)의 연결부(53)로부터 상기 중앙부(51)로 전달된다. 이와 동시에, 나머지 하중은 상기 중앙부(51)와 상기 연결부(53)의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4, 15)을 통하여 상기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13)으로 분산되어 효율적으로 상쇄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load input from the mounting unit 60 is transferr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53 of the second cross member 50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20 to the central portion 51 . At the same time, the remaining load is effectively offset by being distributed to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3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4 and 15 connected between the central part 51 and the connection part 53 . can b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 구조를 적용하면, 상기 제2 크로스 멤버(50)를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13)과 연결하고,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30)의 장착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20)의 내부에 상기 마운팅 유닛(60)을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에 상기 사이드 멤버(20)로 입력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he second cross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3 and the rear sub frame 30 is By mounting the mounting unit 60 inside the side member 20 at a mounting position of

또한, 상기 사이드 멤버(20)와 상기 제2 크로스 멤버(50)의 연결 강성과,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30)이 장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20)의 입력점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으로 전달되는 로드 노이즈(Road noise)를 최소화하고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connection rigidity between the side member 20 and the second cross member 50 and the input point rigidity of the side member 20 at the position where the rear subframe 30 is mounted,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ransmitted road noise and improve NVH (Noise, Vibration, Harshness) performance and marketability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에 크로스 멤버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멤버를 삭제하여 전체 중량을 줄이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verall weight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ross members.

또한, 상기 사이드 멤버(20)에 상기 마운팅 유닛(60)을 장착할 때, 상기 마운팅 유닛(60)을 먼저 조립한 후에 상기 사이드 멤버(20)에 장착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축소하고 사이클 타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unit 60 is mounted on the side member 20 , the mounting unit 60 is first assembled and then mounted on the side member 20 , thereby reducing the assembly process and reducing cycle tim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 : 리어 플로어 패널
11 : 수납부
12 :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
13 :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
14, 15, 16 : 제1, 제2, 및 제3 브라켓
20 : 사이드 멤버
30 : 후방 서브 프레임
40 : 제1 크로스 멤버
50 : 제2 크로스 멤버
51 : 중앙부
53 : 연결부
60 : 마운팅 유닛
61 : 파이프 너트
62 : 고정 플레이트
63 : 지지부
64 : 너트부
65 : 보강부재
10: rear floor panel
11: accommodating part
12: spare tire mounting part
13 : spare tire mounting bracket
14, 15, 16: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20: side member
30: rear sub frame
40: first cross member
50: second cross member
51: central part
53: connection part
60: mounting unit
61: pipe nut
62: fixed plate
63: support
64: nut part
65: reinforcing member

Claims (13)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며,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되도록 수납부가 형성되는 리어 플로어 패널;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멤버;
상기 사이드 멤버들의 하부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장착되는 후방 서브 프레임;
상기 수납부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들을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크로스 멤버;
상기 제1 크로스 멤버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의 시작 위치에서 양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 멤버들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는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과 연결되는 제2 크로스 멤버; 및
상기 후방 서브 프레임을 상기 사이드 멤버에 장착하도록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장착되는 마운팅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크로스 멤버는
상기 수납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각각의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브라켓; 및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3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a rear floor pane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to accommodate a spare tire;
side members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 rear sub-frame moun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under the side members;
a first cross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connecting the side members in a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cross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first cross member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both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 are connected to the side members at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are connected to a spare tire mounting bracket moun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 cross members; and
a mounting unit mounted inside the side member to mount the rear sub-frame to the side member; including,
The second cross member is
a central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an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including,
The spare tire mounting bracket is
First and second bracket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side members so as to face the front of the vehicle with the spare tire mounting part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as the center, and respectively connected between the central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 and
a third bracket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member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with the spare tire mounting portion as a center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스페어 타이어 장착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양측으로 벌어진“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V” shape that is spread on both sides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round the spare tire moun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크로스 멤버와 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and an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ross member is bent upwardly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크로스 멤버의 후면이 시작되는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unit is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ide member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ross member starts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파이프 너트; 및
차량의 전, 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 너트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unit is
pipe nut; and
Reinforcing members respectively moun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pipe nut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너트는
하면이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면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너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ipe nut
a fixing plate having a lower surfac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Support portions formed by bending upwards from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nut portion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은
상기 사이드 멤버의 폭 방향으로 양측 내면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sid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너트부를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감싼 상태로, 상기 너트부의 외측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각각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inforcing member is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nut part is join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nut part,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respec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nut part is wrapp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들은
상기 너트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맞닿는 면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inforcing members are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ly abutting surfaces are joined with the nut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파이프 너트에 용접을 통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inforcing member is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joined to the pipe nut through wel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파이프 너트에 상기 보강부재들의 조립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 구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ounting unit is
The rea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s are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sid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of the reinforcing members to the pipe nut is completed.
KR1020170080384A 2017-06-26 2017-06-26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1023712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384A KR102371243B1 (en) 2017-06-26 2017-06-26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384A KR102371243B1 (en) 2017-06-26 2017-06-26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42A KR20190001042A (en) 2019-01-04
KR102371243B1 true KR102371243B1 (en) 2022-03-04

Family

ID=6501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384A KR102371243B1 (en) 2017-06-26 2017-06-26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2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093A (en) * 2005-10-05 2007-04-19 Mazda Motor Corp Lower body structure for vehicle
JP2008056189A (en) * 2006-09-04 2008-03-13 Honda Motor Co Ltd Rear structure of vehicle bod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87B1 (en) * 2014-09-02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Mounting unit for sub-fr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093A (en) * 2005-10-05 2007-04-19 Mazda Motor Corp Lower body structure for vehicle
JP2008056189A (en) * 2006-09-04 2008-03-13 Honda Motor Co Ltd Rear structure of vehicl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42A (en)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004B1 (en) upper mounting parts structure of front strut assembly
KR101855766B1 (en)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JP4774976B2 (en) Rea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US10953922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2004155219A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JP2020050191A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US10953921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20140011132A (en) Rear package tray assembly
KR100448791B1 (en) a mounting part structure of floor and rear suspension in vehicles
JP5872962B2 (en) Auto body front structure
US8985605B2 (en) Rear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KR102371243B1 (en)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101982869B1 (en) Mounting bracket for trailing-arm
JP2013241041A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KR101509688B1 (en) Sub-frame for front suspension of automobile device for vehicle
KR102429001B1 (en) Sub frame reinforcing unit for vehicle
KR100992815B1 (en) Trailing arm mounting unit for vehicle
KR101326517B1 (en) Rear sub frame for automobile
JP6204159B2 (en) Car body rear structure
KR101189353B1 (en) A rear suspension arm mounting member structure
KR101916050B1 (en) Shock absorber reinforcement unit for vehicle
KR100539434B1 (en) Part maintenance type sub frame in vehicle
KR100391657B1 (en) rear suspention mounting parts structure of vehicle
KR102335348B1 (en)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KR20220136645A (en) Shock absorber reinforcement uni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