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917B1 -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917B1
KR102369917B1 KR1020200027893A KR20200027893A KR102369917B1 KR 102369917 B1 KR102369917 B1 KR 102369917B1 KR 1020200027893 A KR1020200027893 A KR 1020200027893A KR 20200027893 A KR20200027893 A KR 20200027893A KR 102369917 B1 KR102369917 B1 KR 102369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iring
bracket
applianc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638A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to KR102020002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1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1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측벽 및 하측벽을 구비한 덕트 케이싱(110)과,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120)를 포함하는, 다수의 덕트(100); 및 상기 덕트(100)의 1면 이상을 커버하도록 설치 가능하며, 그 상면, 하면, 또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배선개구(390)가 구비된 기구용 브라켓(300)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로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이 설치된 부분의 덕트(100)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덕트(100)의 외측이자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선공간(B)과 연통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본 발명은 배관배선기구와, 이에 연결되는 범용의 브라켓을 일체형으로 구비한,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 시공시 전기선, 통신선 등 배선 공사가 이루어진다.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의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미관상 좋지 못하기에, 다양한 형태로 배선을 감싸거나 보호하여 배선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배관배선기구 또는 덕트가 사용된다.
배관배선기구는, 벽체, 바닥, 천정슬라브, 기둥 등의 공사시 배관배선기구를 매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배관배선기구는, 매립되는 PVC 또는 주름관과 같은 배관과, 이러한 배관 내에 위치하는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데이터케이블 등 다양한 배선과, 여기에 필요한 전원수구, 스위치 등을 구비한 배선기구 박스를 의미한다.
배관배선기구를 매립하여 시공할 수도 있지만, PC(pre-cast) 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매립되는 구조체 배근이나 구조체의 위치, 시공 난이도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배관배선기구의 매립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PC 공법이 널리 사용되는바, 배관배선기구의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다.
배관배선기구 없이 배관이나 배선 덕트를 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배관은 아연도금강으로 형성되며, 배관이 배선을 감싸서 보호한다. 배관 자체의 크기는 크지 않은 편으로 비교적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배관 자체의 내구성이 높지 않아 안정성이 낮으며, 배선을 분기하거나 유지 보수를 위해 해체/재조립이 어렵고,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낮고 미관성 좋지 않다. 배관을 천정슬라브 등에 매달기 위한 별도 브라켓과 기구 설치를 위한 별도 브라켓이 각각 필요하다.
배선 덕트 역시 배관과 같이 배선을 감싸서 보호하는 구조이나 배관보다 크기가 크고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일반적인 배선 덕트는 단면이 ㅁ자이며 길게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부에는 탈착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되고, 좌우 측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개구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배선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잘 휘거나 좌우 측벽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PVC 재질로 이루어진다. 배선 덕트 내에 다양한 배선이 수납되며, 배선 일부가 외부로 분기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배선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배선이 측면의 개구부를 통과하게 하거나 또는 배선 덕트의 측면 일부를 떼어내고 배선이 분기된다.
그러나, 첫째, 배선 덕트에는 배선 분기 부분을 고려하여 좌우 측면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구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많이 유입된다. 특히, 배선 덕트가 지하주차장과 같이 먼지가 많은 공간에 설치될 경우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으로 인해 화재 위험이 있다. 습기가 유입되면 고장의 원인이 된다.
둘째, 지하주차장과 같은 장소에서 배선 덕트는 천정슬라브나 보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설치되는데(도 9 참조), 이 과정에서 배선 덕트를 지지하는 별도 브라켓이 추가로 필요하다. 필요한 브라켓만큼 시공성이 낮아진다.
셋째, 배선 덕트에서 분기된 배선을 이용하여 센서, 조명 기구, CCTV, 중계기, 스피커 등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구는 덕트와는 별개의 장소에서 천장 구조체에 매달리도록 설치되기에. 천정슬라브 등에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과는 또 다른 종류의 브라켓이 필요하다. 이들을 설치하는 작업의 난이도가 높음은 물론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특허문헌 1) KR10-2060032B1
(특허문헌 2) KR10-2018-0106840A
(특허문헌 3) KR10-1897592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관배선기구가 매립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종래의 배관이나 배선 덕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배관배선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과 부가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등 다양한 브라켓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배선이나 배선기구에 먼지나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덕트만으로 덕트 지지를 위한 브라켓과 센서, 조명 기구, CCTV, 중계기, 스피커 등 다양한 기구들의 설치가 모두 해결되는 일체형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시공성을 향상시켜 배관배선기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경제성을 상승시키며, 어떠한 구조의 배선 배치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 높은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좌우측벽 및 하측벽을 구비한 덕트 케이싱(110)과,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120)를 포함하는, 다수의 덕트(100); 및 상기 덕트(100)의 1면 이상을 커버하도록 설치 가능하며, 그 상면, 하면, 또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배선개구(390)가 구비된 기구용 브라켓(300)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로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이 설치된 부분의 덕트(100)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덕트(100)의 외측이자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선공간(B)과 연통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 따른 전후방에 덕트용 개구(A)를 형성하는 외벽체(310)가 위치하고, 상기 덕트용 개구(A)의 크기는 상기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덕트(100)의 외면 크기에 대응되고, 상기 외벽체(310) 내측으로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 내측에 상기 배선공간(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덕트(100) 상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고정용 브라켓(2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에 고정용 브라켓홈(130)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200)은 상측벽 및 좌우측벽을 구비한 ㄷ자 형태이고, 상기 상측벽에 고정홈(290)이 위치하고 상기 좌우측벽의 하측 말단에 덕트용 돌기(230)가 위치하며, 상기 덕트용 돌기(230)가 상기 고정용 브라켓홈(130)에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덕트(100)는 다수의 연결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50)의 하측면에는 하방으로 연결부재 돌기(155)가 위치하고,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하측벽에는 상방으로 연결부재홈(115)이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 돌기(155) 중 일부가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 돌기(155) 중 다른 일부가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과 상기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동일한 형태의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상기 부품의 다른 말단에는 상기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힌지(325)에 의해 회동 가능한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상기 2개의 부품 중 다른 하나의 일 말단에는 상기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중 일부와 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에 기구용 브라켓홈(131)이 위치하고,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양 말단에 외벽체 돌기(311)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체 돌기(311)는 상기 기구용 브라켓홈(131)에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덕트 조립체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하측에는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CCTV, 및 주차 가용 알림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설치되는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CCTV, 및 주차 가용 알림등 중 상기 어느 하나에 이르는 전기선 또는 통신선은 상기 덕트(100)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진행하다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개방된 상측, 상기 배선공간(B) 및 상기 배선개구(390)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배관을 사용하지 않고, 덕트 자체로 배선이 분기되며, 덕트 및 배선 관련 부가 기기의 시공에 필요한 다양한 브라켓들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덕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배관배선기구가 매립되지 않는 환경에서, 천정슬라브 등에 대한 지지와 다양한 기구의 설치가 모두 한 번의 시공으로 해결되는 덕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시공자는 상부 구조물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설치하면 족하다. 이에 따라 작업 난이도가 낮아지고 사용되는 부품 전체 개수가 감소하며 시공 기간이 단축된다.
또한, 기구용 브라켓에는 각종 기구가 바로 장착될 수 있어서 분기된 배선이 외부로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배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물질이나 습기로부터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일 실시예에서, 기구용 브라켓은 시공성을 고려하여 1개 또는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간단하게 탈거될 수 있기에, 기구 또는 배선 수리시 간편하게 해제하고 작업한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2개의 부품으로 기구용 브라켓을 형성하는 경우, 동일한 부품을 사출한 후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기에, 제품 단가가 낮고 작업성이 우수하며,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특히, 지하주차장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서 상부 구조물에 조립체를 매다는 방식으로 사용될 경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나, 상측은 물론 하측으로도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용 브라켓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기에, 건물 내 어디에서든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가 실제 설치되는 양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덕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덕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덕트가 다수 연결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기구용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기구용 브라켓을 형성하는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 1의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가 실제 시공된 사진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2 실시예로서 기구용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3 실시예에서 기구용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설명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조립체는 덕트(100)와 기구용 브라켓(300)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고정용 브라켓(200)을 더 포함한다.
덕트(100)는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데이터케이블 등의 배선(L)이 내측에 실장되는 공간이다.
덕트(100)는 다수 개가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위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을 연결하는 방식은 후술한다.
연결되는 덕트(100)의 개수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시공자가 원하는 만큼 확장될 수 있기에, 설치 공간에 따라 자유롭게 채택 가능하다.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 도 2에서는 덕트(100)가 7개 연결된 형태를 도시하며, 도 3은 2개, 도 5는 4개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90도 꺾이는 코너용 덕트, 또는 그 외의 어떠한 각도로도 꺾이는 굽은 형태의 덕트 채용도 가능하다. 코너용 덕트의 구조는 후술하는 일반적 덕트(100)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오직 덕트 케이싱(110)만 예를 들어 ㄱ자로 굽혀진 것일 수 있다.
고정용 브라켓(200)은 덕트(100)를 천정슬라브와 같은 상부 구조물에 매달기 위한 일체형 부품이다. 고정용 브라켓(200)은 상부 구조물에 매달 필요가 있는 부분에만 설치되며,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총 2개의 고정용 브라켓(20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된다.
고정용 브라켓(200)은 상측벽 및 좌우측벽을 구비한 ㄷ자 형태이고, 상측벽에 고정홈(290)이 위치하고 좌우측벽의 하측 말단에 덕트용 돌기(230)가 위치한다. 고정홈(290)에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280)가 삽입될 수 있어서, 상부 구조물에 체결된다.
덕트용 돌기(230)는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에 위치하는 고정용 브라켓홈(130)에 삽입 가능하여, 덕트(100) 중 원하는 위치에 고정용 브라켓(2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용 브라켓(200)이 움직일 수도 있다.
기구용 브라켓(300)은 덕트(100)에서 배선(L)이 분기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여기에 다양한 기구(D)들이 장착된다. 설치될 수 있는 기구(D)에는 제한이 없으나, 덕트 조립체가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경우, 중계기,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등 각종 센서, CCTV, 스피커 및 주차 가용 알림등 등일 수 있다.
기구(D)에 이르는 전기선 또는 통신선 등 배선(L)이 덕트(100)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진행하다가 덕트 케이싱(110)의 개방된 상측, 배선공간(B) 및 배선개구(390)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한 연결 방법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기구용 브라켓(300) 역시 부착되어야 하는 기구(D)가 필요한 곳에만 설치된다. 기구용 브라켓(300)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덕트(100)의 덮개(120)가 연결되지 않아 배선(L)이 통과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덕트(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덕트(100)는, 좌우측벽 및 하측벽을 구비한 덕트 케이싱(110) 및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120)를 포함한다.
덮개(120)가 장착될 경우 배선(L)이 모두 덕트(100) 내에 위치하게 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덮개(120)가 탈거될 경우 덕트(100)의 상측이 개방되어 배선(L)이 이를 통해 고정용 브라켓(300) 내 배선공간(B)으로 진입할 수 있다.
덮개(120)가 탈거될 경우, 탈거된 모든 상측면이 고정용 브라켓(300)에 의해 실질적으로 모두 감싸진다. 이 경우, 어떠한 배선(L)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이물질 유입 내지 습기 영향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중간의 2개의 단위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여기를 통하여 배선(L)이 분기되어 덕트(100) 외측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에 고정용 브라켓홈(130)이 위치한다. 여기에, 고정용 브라켓(200)의 덕트용 돌기(230)가 삽입된다. 고정용 브라켓(200)이 고정부재(280)에 의해 상부 구조물에 장착되어 매달릴 경우 고정용 브라켓홈(130)에 의해 덕트(100)가 매달리기에, 안정적 하중 분배를 위해, 고정용 브라켓홈(130)은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의 높이 상 중간 아래 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 케이싱(110)의 중앙에는 별도의 격벽(140)이 위치하여 덕트 케이싱(110) 내측 공간을 분할할 수 있어서 다양한 배선(L)을 상황에 맞추어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선과 통신선이 격벽(140)의 좌우에서 별도로 수납될 수 있다. 격벽(140)은 공간 분할과 동시에 덮개(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덕트(100)는 다수 개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어느 하나의 덕트(100)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덕트(100)에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재(150)가 사용된다.
연결부재(150)의 하측면에는 하방으로 연결부재 돌기(155)가 위치하고, 덕트 케이싱(110)의 하측벽에는 상방으로 연결부재홈(115)이 위치한다. 연결부재 돌기(155) 중 일부가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되고, 연결부재 돌기(155) 중 다른 일부가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됨으로써 덕트 케이싱(110)들이 연결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덕트(100)가 시공자가 원하는 만큼 연결될 수 있다. 격벽(140)에는 양측으로 연결부재 막이(116)가 위치하여, 연결부재(150)의 이탈을 추가로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기구용 브라켓(3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기구용 브라켓(300)은 덕트(100)의 1면 이상을 커버하도록 설치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기구용 브라켓(300)의 상면, 하면, 또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배선개구(3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나, 그 변형도 가능하여, 예를 들어 측면에 배선개구(39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배선개구(390)는 덕트(100)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배선(L)이 분기되어 덕트 조립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배선개구(390)에 직접 조명 등의 기구(D)가 부착된다면, 배선(L)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고 기구(D)에 직접 이어지게 된다(도 2 참조).
기구용 브라켓(300)은,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 따른 전후방에 덕트용 개구(A)를 형성하는 외벽체(310)가 위치한다. 여기서, 덕트용 개구(A)의 크기는 덕트(100)의 진행 방향(도 2의 우하단 방향)에서 덕트(100)의 외면 크기에 대응되어, 덕트(100)가 외벽체(310)에 의하여 단단히 지지되며 배선(L)의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덕트용 개구(A)에 맞추어져 덕트(100)가 결합된 형상이 도시된다.
덕트(100)의 외측과 기구용 브라켓(300)의 내측 사이에 배선공간(B)이 형성되며, 여기에서 배선(L)이 진행된다. 배선공간(B)은 덕트(100)의 개방된 상측과 연통한다. 덕트(100)를 타고 진행하던 배선(L)이 분기된 후 배선공간(B)에 진입하는 것이다. 배선공간(B)에는 배선개구(390)가 형성되기에, 분기된 배선(L)이 외부로 배출된다(도 8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기구용 브라켓(300)은 동일한 형태의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및 시공 편의성을 높이고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7은 1개의 개별 부품을 도시한다. 이 경우, 각 부품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다른 말단에는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함으로써, 시공자는 손쉽게 이를 체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어서,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유지 보수를 위한 해체 및 재조립이 편리하다.
도 1과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시공 계획에 따라 연결되어야 하는 단위 덕트(100)의 개수만큼 이들을 연결시키고, 덕트(100)가 상부 구조물과 연결되는 부분을 확인하고, 해당 부분에 고정용 브라켓(200)을 위치시킨다.
시공 계획에 따라 덕트(100)에서 배선(L)이 분기되어야 하는 부분을 확인하고, 해당 부분의 덮개(120)를 제거하며 기구용 브라켓(300)을 위치시킬 부분을 확인한다.
고정부재(280)를 이용하여 고정용 브라켓(200)을 천정슬라브와 같은 상부 구조물에 장착한다. 고정용 브라켓(200)의 장착으로 덕트(100)도 함께 장착되어 매달리게 된다.
배선(L)을 덕트(100) 내측을 통해 진행시킨다. 시공자는 덮개(120)를 탈착하면서 손쉽게 작업할 수 있다.
미리 확인된 분기 부분에서 배선(L)을 분기시킨다. 동시에, 해당 부분에 기구용 브라켓(300)을 장착하며 분기된 배선(L)을 배선개구(390)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품으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덕트(100)가 상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손쉽게 기구용 브라켓(300)을 장착할 수 있다.
배선(L)이 분기되면, 예시적으로 도시된 도 8과 같이 형성될 것이다. 즉, 덕트(100)를 통해 진행하던 배선(L)은, 덮개(120)가 탈거되어 개방된 덕트(100)의 상측으로 배출되고, 기구용 브라켓(300)과 덕트(100) 사이의 공간인 배선공간(B)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배선개구(390)를 통해 배출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선(L)이 기구용 브라켓(300)의 상측으로 배출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덕트(100)의 상측 및 배선공간(B)을 통과하여 기구용 브라켓(300)의 상부 배선개구(39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음, 기구용 브라켓(300)에 기구(D)를 장착하면서, 분기된 배선(L)을 중계기, 센서, CCTV, 조명, 스피커와 같은 기구(D)와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배선(L)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조립체가 실제 설치된 사진을 도시한다.
도 9의 (a)는 덕트(100)와 고정용 브라켓(200)이 상부 구조물에 장착된 사진이다. 도 9의 (b)와 (c)는 다수의 기구(D)가 설치된 사진이다. 여기에서는 조명기구와 CCTV가 장착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의 설명
도 10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구용 브라켓(300)의 형태가 상이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구용 브라켓(300) 역시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다만, 기구용 브라켓(300)을 구성하는 2개의 부품은 힌지(325)에 의해 회동 가능한 2개의 부품이다. 즉, 2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일 말단에는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한다.
힌지(325)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므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덕트(100)가 상부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손쉽게 설치 및 탈거가 가능하다.
제 3 실시예의 설명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구용 브라켓(300)의 형태 및 장착 방식이 상이하며, 이에 따라 고정용 브라켓(200)이 설치되는 방식이 약간 상이하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구용 브라켓(300)은 덕트(100)의 좌우측벽 중 일부와 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용 브라켓(300)은 하측면을 구비하되 상측면에 없고 좌우측면은 일부만 구비한다.
또한, 기구용 브라켓(300)은 양 말단에 외벽체 돌기(311)가 형성되며, 외벽체 돌기(311)는 덕트(100)의 기구용 브라켓홈(131)에 삽입 가능하다. 이러한 기구용 브라켓홈(131)은 고정용 브라켓홈(13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덕트 조립체에서는 기구용 브라켓(300)이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반하여 제 3 실시예에서는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기에, 설치 시간, 제조 난이도 및 제조 단가에서 장점이 있다. 다만, 배선(L)이 하측으로만 배출될 수 있으며, 분기되는 부분에서 덮개(120)가 없기에 배선(L)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는 차이가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덕트
110: 덕트 케이싱
115: 연결부재홈
116: 연결부재 막이
120: 덮개
130: 고정용 브라켓홈
131: 기구용 브라켓홈
140: 격벽
150: 연결부재
155: 연결부재 돌기
200: 고정용 브라켓
230: 덕트용 돌기
280: 고정부재
290: 고정홈
300: 기구용 브라켓
310: 외벽체
311: 외벽체 돌기
320: 연결체
325: 힌지
340: 연결체홈
390: 배선개구
A: 덕트용 개구
B: 배선공간
D: 기구
L: 배선

Claims (9)

  1. 좌우측벽 및 하측벽을 구비한 덕트 케이싱(110)과,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120)를 포함하는, 다수의 덕트(100); 및
    상기 덕트(100)의 네 면을 커버하도록 설치 가능하되, 그 하면에 배선개구(390)가 구비된 기구용 브라켓(300)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로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이 설치된 부분의 덕트(100)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덕트(100)의 외측이자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선공간(B)과 연통되고,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각 내면이 상기 덕트(100)의 각 외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배선공간(B)은 상기 덕트(100)의 상부 외측, 하부 외측, 및 측부 외측에 모두 형성되며,
    상기 덕트(100)의 내부를 진행하는 배선(L)이 덕트(100)의 개방된 상부 외측으로 분기된 후, 상기 덕트(100)의 측부 외측으로 진행하고, 이후 하부 외측으로 연장된 후, 상기 덕트(10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배선개구(390)를 통해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 외부에 위치한 기구(D)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100)의 하면 가공 없이도 상기 배선(L)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상기 기구(D)가 설치되고 상기 배선(L)에 연결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 따른 전후방에 덕트용 개구(A)를 형성하는 외벽체(310)가 위치하고,
    상기 덕트용 개구(A)의 크기는 상기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덕트(100)의 외면 크기에 대응되고,
    상기 외벽체(310) 내측으로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 내측에 상기 배선공간(B)이 형성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00) 상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고정용 브라켓(200)을 더 포함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에 고정용 브라켓홈(130)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200)은 상측벽 및 좌우측벽을 구비한 ㄷ자 형태이고, 상기 상측벽에 고정홈(290)이 위치하고 상기 좌우측벽의 하측 말단에 덕트용 돌기(230)가 위치하며,
    상기 덕트용 돌기(230)가 상기 고정용 브라켓홈(130)에 삽입 가능한,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00)는 다수의 연결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50)의 하측면에는 하방으로 연결부재 돌기(155)가 위치하고,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하측벽에는 상방으로 연결부재홈(115)이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 돌기(155) 중 일부가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 돌기(155) 중 다른 일부가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과 상기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이 연결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동일한 형태의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상기 부품의 다른 말단에는 상기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힌지(325)에 의해 회동 가능한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상기 2개의 부품 중 다른 하나의 일 말단에는 상기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중 일부와 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에 기구용 브라켓홈(131)이 위치하고,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양 말단에 외벽체 돌기(311)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체 돌기(311)는 상기 기구용 브라켓홈(131)에 삽입 가능한,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조립체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하측에 연결되는 기구(D)는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CCTV, 및 주차 가용 알림등 중 어느 하나이며,
    설치되는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CCTV, 및 주차 가용 알림등 중 상기 어느 하나에 이르는 상기 배선(L)은 상기 덕트(100)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진행하다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개방된 상측, 상기 배선공간(B) 및 상기 배선개구(390)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연결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KR1020200027893A 2020-03-05 2020-03-05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KR10236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93A KR102369917B1 (ko) 2020-03-05 2020-03-05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93A KR102369917B1 (ko) 2020-03-05 2020-03-05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638A KR20210112638A (ko) 2021-09-15
KR102369917B1 true KR102369917B1 (ko) 2022-03-03

Family

ID=7779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893A KR102369917B1 (ko) 2020-03-05 2020-03-05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088B1 (ko) * 2021-10-15 2024-04-1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주차 표시등
KR102526783B1 (ko) * 2022-05-24 2023-04-27 삼인싸이언스(주) 조인트덕트를 구비한 유틸리티 설비용 프로파일 조립체
CN115714343B (zh) * 2022-11-23 2023-06-27 广东宏际线管实业有限公司 组装式金属线槽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414B1 (ko) 2005-03-07 2007-01-26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크린룸 천정 설비실의 전선와이어 덕트 설치구조
KR100820085B1 (ko) *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보호커버
KR100994260B1 (ko) * 2008-11-10 2010-11-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연결구
KR101025532B1 (ko) 2010-05-28 2011-04-01 주식회사 투윈스컴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의 장착장치
JP2014158338A (ja) * 2013-02-14 2014-08-28 Kandenko Co Ltd 上下2段から成る電線収納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の布設工法
KR101712939B1 (ko) 2016-12-01 2017-03-09 주식회사 엘에스조명 배선 관로 설치물용 고정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961B2 (ja) * 1991-07-01 2000-06-19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配管用ダクト
KR100694487B1 (ko) * 2005-03-21 2007-03-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102373414B1 (ko) * 2019-08-30 2022-03-1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교차 배선 작업용 덕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414B1 (ko) 2005-03-07 2007-01-26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크린룸 천정 설비실의 전선와이어 덕트 설치구조
KR100820085B1 (ko) *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보호커버
KR100994260B1 (ko) * 2008-11-10 2010-11-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연결구
KR101025532B1 (ko) 2010-05-28 2011-04-01 주식회사 투윈스컴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의 장착장치
JP2014158338A (ja) * 2013-02-14 2014-08-28 Kandenko Co Ltd 上下2段から成る電線収納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の布設工法
KR101712939B1 (ko) 2016-12-01 2017-03-09 주식회사 엘에스조명 배선 관로 설치물용 고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638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917B1 (ko)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KR100619136B1 (ko) 덕트 지지장치
KR101703982B1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KR102169713B1 (ko)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
KR101599418B1 (ko)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US9057470B1 (en) Offset conduit body
KR100784175B1 (ko) 주차장용 멀티 덕트
KR100820649B1 (ko) 건축물용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JP4341618B2 (ja) 浴室換気乾燥装置
KR100726424B1 (ko) 감시카메라 고정장치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EP3636843A1 (en) Insulating panel system
JP2011250502A (ja) 金属ダクト用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及びその取付け方法
KR100985855B1 (ko)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 방법
KR102543824B1 (ko) 전장용 배선 전용관이 구비된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및 그 구성 방법
KR20180091419A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KR102587313B1 (ko) 전선관 연결구
US9966747B1 (en) Universal surface flush junction box
FI84534C (fi) Distributionsarrangemang foer el- och informationsledningar foer ett rumsutrymme.
JP2005213909A (ja) 支持材
KR102270664B1 (ko)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KR200402540Y1 (ko) 도관 설치구
KR101173222B1 (ko) 다회선 독립가변형 지중케이블 행거
KR101902773B1 (ko) 사각기둥 조명타워의 케이블 덕트 조립체
KR100435240B1 (ko) 금속 천정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