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936B1 - 헬멧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헬멧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936B1
KR102366936B1 KR1020210045661A KR20210045661A KR102366936B1 KR 102366936 B1 KR102366936 B1 KR 102366936B1 KR 1020210045661 A KR1020210045661 A KR 1020210045661A KR 20210045661 A KR20210045661 A KR 20210045661A KR 102366936 B1 KR102366936 B1 KR 10236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elmet
housing
unit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화
Original Assignee
이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화 filed Critical 이창화
Priority to KR102021004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86Airba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1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 A42B3/122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을 따라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따라 하방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구비하는 에어백 유닛; 상기 하우징을 헬멧의 상부면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서 연장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헬멧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후크를 구비하는 헬멧 결합 유닛; 개인용 이동 수단에 설치되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거리 정보가 기준 거리 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에어백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에어백이 상기 헬멧을 향해 하방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은, 하부면에서 상기 스트랩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전개 시, 상기 스트랩을 따라 상기 후크가 결합된 상기 헬멧의 모서리 영역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랩 가이드를 포함하는, 헬멧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헬멧 에어백 장치{HELMET AIRBAG DEVICE}
본 발명은 헬멧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시대 이전에는 도보나 가축을 이용하는데 그쳤던 이동 수단이 산업화 및 대량 생산 체제의 구축에 힘입어 기차, 버스, 승용차와 같은 다양한 이동 수단으로 개발 및 보급되었다.
기존 이동 수단들은 다수의 인력을 안전하게 이동 시키기 위해 사람들은 내부에 수용한체 이동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반면, 최근에는 다수의 사람들의 이동 수단뿐 아니라 개인에 대한 이동 수단들이 다수 제품화되어 보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오토바이, 자전거 및 전동 킥보드를 예로 들수 있다.
이러한 개인용 이동 수단들은 기존 자동차와 같은 이동 수단들에 비하여 그 크기 및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개인용 이동 수단들은 단순히 사람을 이동 시키는 수단을 넘어 개인적인 여가 생활을 이용 수단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수의 장점들을 갖더라도 자동차 대비 사고 발생 시 큰 부상이나 사망이어지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는, 개인용 이동 수단들이 사용자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이용되는 이유로 사고 발생 시, 모든 충격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가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인용 이동 수단들은 헬멧 착용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된다. 헬멧은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되어 딱딱한 외피와 부드러운 내피를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다.
헬멧의 대중화에 따라 개인용 이동 수단을 즐기는 사용자들의 치명적인 두부 부상에 대한 위험을 일부 예방할 수 있게 되었으나, 헬멧을 착용하고도 개방된 안면부나 다른 머리 부위에 대한 부상 위험성은 여전히 높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개인용 이동 수단의 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안면 부상을 최소로 할 수 있는 헬멧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에어백 장치는 측면을 따라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따라 하방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구비하는 에어백 유닛; 상기 하우징을 헬멧의 상부면에 결합시키도록 형성되는 헬멧 결합 유닛; 개인용 이동 수단에 설치되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거리 정보가 기준 거리 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에어백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에어백이 상기 헬멧을 향해 하방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방 정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도록 형성되는 제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일단이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 가이드는, 상기 도어의 최대 개방 시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각이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의해 형성되는 외각보다 더 작게 각도를 갖도록 상기 도어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헬멧 결합 유닛은, 양면이 접착층으로 형성되는 접착 플레이트 구조의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서 연장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 끝단에 설치되는 후크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은,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스트랩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트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은, 전개 시 운전자의 눈, 코 및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개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헬멧 에어백 장치에 의하면 개인용 이동 수단의 사고 발생 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헬멧을 감싸도록 에어백이 전개됨에 따라 운전자의 사고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 또는 스트랩 구조의 결합 수단을 통해 헬멧 부착을 실시하여 다양한 헬멧 구조에 대한 탈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백을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수단을 통해 헬멧에 대한 에어백의 전개 위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백에 개방홀을 구비하여 에어백 전개에 따른 추가적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헬멧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내부 구성 및 에어백(153) 전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전기적인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결합 유닛(133)의 구조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홀(153b)을 구비한 에어백(15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헬멧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개인용 이동 수단(B)은 오토바이, 자전거 및 퀵보드와 같이 운전자(D)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토바이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D)는 오토바이(B)를 탑승하여 신체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안전을 위해 운전자(D)의 머리 부분에는 헬멧(H)이 쒸어지고, 헬멧(H)의 상부면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헬멧 에어백 장치(1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오토바이(B)에는 헬멧 에어백 장치(100)과 통신 가능한 외부 단말기(T)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단말기(T)는 헬멧 에어백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근거리 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오토바이(B)에 외부 단말기(T)가 설치되면 운전자(D)의 수동 조작이나 자동 동작을 통해 헬멧 에어백 장치(100)와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이 후, 오토바이(B)의 운전 중 불의의 사고에 의해 자동차(C)와 충돌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오토바이(B)에 탑승한 운전자(D)는 사고 충격에 의해 오토바이(B)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때, 헬멧 에어백 장치(100)는 오토바이에 설치되는 외부 단말기(T)와의 통신 정보를 기초로하여 자동으로 사고를 감지하고, 내부에 장착된 에어백을 운전자(D)의 머리 둘레를 감싸도록 하방 전개시킬 수 있다.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운전자(D)의 머리 부분(안면부)은 하방으로 전개된 에어백에 의해 실시간으로 보호됨에 따라 두부, 안면 등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심각한 사고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은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간략한 동작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헬멧 에어백 장치의 세부적인 구조 및 동작 방법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헬멧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내부 구성 및 에어백 전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전기적인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 에어백 장치(100)는 개인용 이동 수단에 설치되는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에어백을 운전자 안면을 향해 하방으로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헬멧 에어백 장치(100)는, 하우징(110), 도어 유닛(120), 헬멧 결합 유닛(130), 에어백 유닛(150), 통신 유닛(170), 출력 유닛(180) 및 제어 유닛(19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본체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구비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로 구성하고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작은 면적은 갖고 양측면이 굴곡 구조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측면은 후술하는 에어백이 전개되기 위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이 4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예시로 하기에, 해당 개구는 하우징(110)의 각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유닛(120)은, 하우징(110)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도어 유닛(120)은 도어(121) 및 제한 가이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21)는, 하우징(110)의 개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처럼 도어(121)는 하우징(110)의 상부면의 양측에서 제한 가이드(123)로 결합되어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어(121)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일단이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개구의 폐쇄 시, 하우징(110)과 일체화되는 굴곡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한 가이드(123)는, 도어(121)의 개방 정도를 제한하도록 도어(121)와 하우징(110)을 결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제한 가이드(123)는 폐쇄 상태의 도어(121)가 에어백(153)의 전개 충격에 따라 개방되는 경우,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한 가이드(123)는, 힌지 또는 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b)에서와 같이, 내부 에어백(153)의 전개 시,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는 에어백(153)이 도어(121)를 충격하는 경우, 에어백(153)이 해당 충격에 따라 하방으로 전개될 수 있는 개방 각도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말해, 제한 가이드(123)는 도어(121)의 최대 개방 시 도어(121)와 하우징(11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각이, 도어(121)와 하우징(110)의 외면에 의해 형성되는 외각보다 더 작은 각도를 갖도록 도어(121)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한 가이드(123)가 힌지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어(121)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결합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어(121)는 에어백(153)의 전개 시 충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데, 하우징(110)에는 도어(121)의 일측이 슬라이딩 되어 수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이 구비되고, 해당 슬라이딩 홈에 도어(121)가 수용되어 개구를 폐쇄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에어백(153)의 전개 시 하부를 향해 연장된 도어(121)의 일측을 충격하고, 해당 충격에 의해 도어(121)는 슬라이딩 홈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 내부에 위치한 도어(121)의 끝단은 걸림턱과 같은 제한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홈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21)는 소정 거리 만큼 수평 이동하고, 전개된 에어백은 도어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다가, 도어(121)의 이동이 제한되는 위치에서 도어(121)의 하방 경사진 끝단을 따라 하방으로 전개 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유닛(120)은, 개구에 대응되는 개 수로 형성되어 다방향에서 에어백(153)을 운전자의 안면부를 향해 하방 전개시킬 수 있다.
헬멧 결합 유닛(130)은, 하우징(110)을 헬멧(H)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1 결합 유닛(131) 및 제2 결합 유닛(도 5, 1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 유닛(131)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결합 유닛은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제1 결합 유닛(131)은, 양면이 접착층으로 형성되는 접착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유닛(131)은 일면은 헬멧(H)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타면은 하우징(110)의 하우면에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 하지 않았으나 헬멧(H)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 유닛(131)의 일면은 패턴 구조 또는 굴곡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뿐만아니라, 헬멧(H)은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외관을 갖고 있으므로 이들에 모두 대응하기 위해 제1 결합 유닛(131)은 소정 두께를 가지고 양면의 중심부에는 압착되는 힘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는 형상 변형 재질의 변형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헬멧(H)과 하우징(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에 대하여 외력을 제공하면, 제1 결합 유닛(131)의 변형층이 외력에 의해 눌려져 헬멧(H)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로 변형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결합 유닛(131)은 공기 압착 구조의 흡착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헬멧(H)과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무 재질의 빨판과 같은 흡착판이 헬멧에 더 결합되고, 나사 돌림과 같은 수단을 통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착 구조를 더 가질 수도 있으며, 해당 흡착판은 복수로 구성되어 하우징(110) 하부면 복수의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 유닛(150)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개구를 따라 운전자 머리 둘레 방향으로 하방 전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백 유닛(150)은 인플레이터(151) 및 에어백(153)을 구비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151)는 도 3에서와 같이 다방향으로 복수의 에어백(153)과 연결되며, 점화 회로, 화약, 가스발생제가 장착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151)는 제어 유닛(190)으로부터 에어백(153) 전개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면 점화회로는 점화제에 전기점화를 일으키고, 그 순간 화약은 기폭하여 뜨거운 열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후, 뜨거운 열기는 가스발생제를 연소시켜 질소가스가 발생하며 해당 질소가스가 각각의 에어백에 전달되어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151)는 전자석(솔레노이드)을 이용한 밸브 개폐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가스 컨테이너 내부에 압축 가스가 밀폐되어 있고, 해당 컨테이너는 전자석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의 끝단에는 각각의 에어백(153)이 연결되어 있어 인플레이터(151)는 제어 유닛(190)의 제어에 따라 전자석을 구동시켜 밸브를 개방하는 경우, 가스 컨테이너 내부의 압축 가스가 에어백(153)으로 배출되어 팽창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에어백(153) 팽창을 위한 가스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실험 및 공정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인플레이터(151)의 구조 역시, 화약 점화 및 전자석 방식이 개별 또는 혼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에어백(153)은, 인플레이터(151)에 결합되어 인플레이터(151) 구동에 따라 팽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에어백(153)은 헬멧(H) 상부면에서 전개됨에 따라 운전자의 머리 둘레를 향하도록 하방 전개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도어 유닛(120)에 의해 하방 경사가 이루어지기는 하나, 인플레이터(151) 반대면을 향해 경사지는 형상을 가져 하방 전개를 보다 수월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에어백(153)은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구획부는 개별적으로 인플레이터(15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느 하나의 구획부가 손상되어 팽창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다른 구획부에 의해 팽창 전개될 수 있다.
통신 유닛(170)은, 개인용 이동 수단에 설치되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거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통신 유닛(170)은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여 외부 단말기와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거리 정보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 유닛(190)이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출력 유닛(180)은, 각 장치 구성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종 안내/알림 정보를 시각 정보 또는 청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유닛(180)은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LED 와 같은 구성을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출력 유닛(180)이 LED 및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 해당 출력 유닛(180)은 하우징(110)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자의 운전 상태에 따라 관련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현재의 속도, 네비게이션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출력하거나, 빠르게 달리다가 급격하게 속도가 줄어드는 경우 붉은 색 광을 발광하여 주변에 알릴 수도 있다. 사고 발생 시에도 사고 발생에 관한 내용을 음성이나 경고음을 발생하여 주위에 알릴 수도 있다.
제어 유닛(190)은,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표적으로 통신 유닛(170)을 통해 수신되는 거리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 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고 에어백 유닛(150)을 구동하여 헬멧(H)을 감싸도록 에어백을 하방으로 전개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190)은 사고 발생 판단 시, 기준 거리 정보뿐 아니라, 기준 시간 정보도 참고할 수 있다. 기준 시간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통해 수집되며 거리 정보가 기준 거리 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거리 정보의 발생 시간을 기준 기간 정보와 비교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 입력 유닛, 전원 유닛,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은, 장치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위치나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유닛은 하우징(110)의 상부면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헬멧 에어백 장치(100)를 수동으로 On/Off할 수도 있다.
전원 유닛은, 각 전기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무선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헬멧 에어백 장치(100)는 하우징(110) 외부면에 부착되는 태양광 유닛을 더 포함하고, 해당 태양광 유닛으로부터 수집되는 태양광 전기를 저장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센서 유닛은, 운전자의 자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활용될 수 있다. 해당 센서 유닛으로부터 자세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 유닛(190)은 상술한 거리 정보, 기준 시간 정보 및 자세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사고 발생 여부(에어백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헬멧 에어백 장치(100)에 의하면 개인용 이동 수단과의 거리, 시간, 자세 등을 고려하여 사고 발생 여부 및 에어백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되는 에어백(153)은 운전자의 머리 부분을 감싸도록 전개되어 부상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은 헬멧 에어백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제2 결합 유닛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결합 유닛(133)의 구조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 에어백 장치(100)는 제2 결합 유닛(133)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 유닛(133)은 하우징(110)에서 연장되는 스트랩(133a)과 스트랩(133a) 끝단에 설치되는 후크(133b)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술한 제1 결합 유닛(도 2, 131)은 하우징(110) 하부와 헬멧 상부면을 결합시키는 반면, 제2 결합 유닛(133)은 하우징(110)에서 연장되어 헬멧(H)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하우징(110)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권선 유닛이 더 구비되어 있고 스트랩(133a)은 해당 권선 유닛에 권선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권선 유닛에 권선된 스트랩(133a)을 잡아 당겨 끝단에 위치한 후크(133b)를 헬멧(H) 모서리에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스트랩(133a)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권선 유닛은 스트랩(133a)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권선력을 작용하여 헬멧(H)과 결합되는 스트랩(133a)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처럼 에어백(153)은 하우징을 향하는 하부면에 스트랩(133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트랩 가이드(153a)를 구비할 수 있다.
스트랩 가이드(153a)는 고리와 같은 구조로 스트랩(133a)을 감싸는 구조를 갖고 에어백(153)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153)이 팽창 전개되는 경우, 에어백(153)은 스트랩 가이드(153a)를 따라 운전자의 머리 둘레를 향해도록 안내될 수 있다. 스트랩(133a) 및 스트랩 가이드(153a)는 에어백(153)에 대응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결합 유닛(133) 및 스트랩 가이드(153a)를 통해, 헬멧 에어백 장치(100)와 헬멧(H)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에어백(153)의 하방 전개를 보다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홀(153b)을 구비한 에어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153)은 개방홀(153b)을 구비할 수 있다.
개방홀은, 에어백(153)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홀로,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153)의 전개 시 운전자의 눈, 코 및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홀(15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홀(153b)을 구비하는 경우, 에어백(153) 전개 시에도 운전자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뿐 아니라, 코와 입을 통해 원할한 호흡이 가능해져 에어백(153) 전개에 따른 추가적인 사고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헬멧 에어백 장치는 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머리, 안면 등을 보호할뿐 아니라, 추가적인 사고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들을 구비함으로써 안전성 및 효율성을 모두 갖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헬멧 에어백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헬멧 에어백 장치 170: 통신 유닛
110: 하우징 180: 출력 유닛
120: 도어 유닛 190: 제어 유닛
130: 헬멧 결합 유닛
150: 에어백 유닛

Claims (7)

  1. 측면을 따라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따라 하방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구비하는 에어백 유닛;
    상기 하우징을 헬멧의 상부면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서 연장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헬멧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후크를 구비하는 헬멧 결합 유닛;
    개인용 이동 수단에 설치되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거리 정보가 기준 거리 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에어백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에어백이 상기 헬멧을 향해 하방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은,
    하부면에서 상기 스트랩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전개 시, 상기 스트랩을 따라 상기 후크가 결합된 상기 헬멧의 모서리 영역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랩 가이드를 포함하는, 헬멧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개인용 이동 수단의 운전 상태에 관련된 안내/알림 정보를 시각 정보 또는 청각 정보로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헬멧 에어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부착되어 태양광 전기를 수집하도록 형성되는 태양광 유닛을 더 포함하는, 헬멧 에어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랩을 권선하고, 상기 스트랩의 끝단인 상기 후크가 상기 헬멧 모서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에 지속적인 권선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권선 유닛을 더 포함하는, 헬멧 에어백 장치.
  5. 측면을 따라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도어 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따라 하방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구비하는 에어백 유닛;
    상기 하우징을 헬멧의 상부면에 결합시키도록 형성되는 헬멧 결합 유닛;
    개인용 이동 수단에 설치되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거리 정보가 기준 거리 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에어백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에어백이 상기 헬멧을 향해 하방 전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의 일측이 슬라이딩되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슬라이딩 홈에 수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에어백의 전개 시 충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수평 이동된 위치에서 하방 경사진 끝단을 통해 충격하여 상기 에어백을 하방 안내하는, 헬멧 에어백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전개 시 운전자의 눈, 코 및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개방홀을 더 포함하는, 헬멧 에어백 장치.
KR1020210045661A 2021-04-08 2021-04-08 헬멧 에어백 장치 KR10236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61A KR102366936B1 (ko) 2021-04-08 2021-04-08 헬멧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61A KR102366936B1 (ko) 2021-04-08 2021-04-08 헬멧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936B1 true KR102366936B1 (ko) 2022-02-24

Family

ID=8047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61A KR102366936B1 (ko) 2021-04-08 2021-04-08 헬멧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9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162A (ja) * 1994-09-21 1996-04-09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付きヘルメット
KR0121371Y1 (ko) * 1994-07-26 1998-07-15 전성원 승객에어백 모듈
KR20170139975A (ko) * 2016-06-10 2017-12-20 (주)헥스하이브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KR20180034161A (ko) * 2016-09-27 2018-04-04 정혁 제어 가능한 탈부착형 에어백
CN212280117U (zh) * 2020-06-08 2021-01-05 广州市信安智囊科技有限公司 安全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371Y1 (ko) * 1994-07-26 1998-07-15 전성원 승객에어백 모듈
JPH0891162A (ja) * 1994-09-21 1996-04-09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付きヘルメット
KR20170139975A (ko) * 2016-06-10 2017-12-20 (주)헥스하이브 전방위 촬상용 영상 시스템 및 블랙박스
KR20180034161A (ko) * 2016-09-27 2018-04-04 정혁 제어 가능한 탈부착형 에어백
CN212280117U (zh) * 2020-06-08 2021-01-05 广州市信安智囊科技有限公司 安全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6629B (zh) 用于保护身体部分的***和方法
CN211048465U (zh) 安全带以及安全用具
US5456491A (en) Air bag received in a safety belt
US20220273067A1 (en) Emergency protective helmet
CN109153420A (zh) 用于两轮车辆的气囊安全***
JP2002020907A (ja) 自動膨張式胴衣
CN113924019B (zh) 保护用户的颅骨和颈椎区域免受迫近冲击的保护装置
CN106072901A (zh) 充气式防护服
US7073819B2 (en) Device for individual protection, comprising an airbag
KR102366936B1 (ko) 헬멧 에어백 장치
CN110290983A (zh) 用于对较大的乘员距离采取安全措施的双安全气囊***
KR20130062521A (ko) 벤트 조절수단을 갖는 상해 저감용 에어백 쿠션
JPH11129961A (ja) オートバイ用エアバッグ装置
US20230157399A1 (en) Sports helmet
CN212280117U (zh) 安全帽
KR20120092224A (ko) 헤드레스트 에어백 모듈
CN111557519A (zh) 安全帽及安全防护方法
KR20220058294A (ko) 낙상방지 알고리즘이 적용된 에어백의 교체가 가능한 세이프백
CN112189937A (zh) 一种气囊安全感应头盔及方法
JPH0891162A (ja) エアバッグ付きヘルメット
JP2019142420A (ja) 自動二輪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SE1950058A1 (en) Improved airbag system
CN214317157U (zh) 一种气帘护颈式安全帽
TWI386330B (zh) 車輛安全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