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921B1 - Kitchen utensil dispenser - Google Patents

Kitchen utensil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921B1
KR102366921B1 KR1020200072661A KR20200072661A KR102366921B1 KR 102366921 B1 KR102366921 B1 KR 102366921B1 KR 1020200072661 A KR1020200072661 A KR 1020200072661A KR 20200072661 A KR20200072661 A KR 20200072661A KR 102366921 B1 KR102366921 B1 KR 102366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appliance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kitchen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5305A (en
Inventor
안나은
Original Assignee
안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나은 filed Critical 안나은
Priority to KR102020007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921B1/en
Publication of KR20210155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47K10/3643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by pulling th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2010/3675Br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63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rotation br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8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tearing edges having movabl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는, 롤 형상의 주방 용품을 수용 가능하고, 상기 주방 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 구조물에 안치 가능한 브릿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capable of accommodating a roll-shaped kitchen appliance, and having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including a pull-out port for taking out the kitchen appliance; and a bridge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having the other end mounted on an external structure.

Description

주방 용품 디스펜서{KITCHEN UTENSIL DISPENSER}Kitchen appliance dispenser {KITCHEN UTENSIL DISPENSER}

본 발명은 주방 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 형상의 주방 용품을 인출구로 인출하기 위한 주방 용품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itchen applian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for withdrawing roll-shaped kitchen appliances to a drawer.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에 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포장을 할 때에 쿠킹 호일과 주방 랩(랩 필름), 키친 페이퍼(키친 타월) 등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쿠킹 호일, 주방 랩, 키친 페이퍼 등은 얇은 시트 형상으로 제작된 후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로 판매된다. 사용자는 롤 형태로 감겨진 시트를 구매한 수납박스 안에 그대로 넣고 필요한 양만큼 인출한 후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When cooking food in the kitchen or packaging for storing food, cooking foil, kitchen wrap (wrap film), kitchen paper (kitchen towel), etc. are used. Such cooking foil, kitchen wrap, kitchen paper, etc. are manufactured in a thin sheet shape and then sold in a rolled-up state. Users often put the rolled sheet into the purchased storage box, take out the required amount, and cut it for use.

주방 랩이나 쿠킹 호일은 식품 등을 포장할 때 별도의 도구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누구든지 사용하기 용이하고, 주방 랩은 투명한 재질로 내용물 확인이 쉬운 이점이 있고, 쿠킹 호일은 보온 및 열 차단이 가능한 이점이 있어 가정 및 요식 업체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주방 랩이나 쿠킹 호일은 수납박스를 서랍 및 수납함 등에 보관하다가 필요한 경우에 서랍 및 수납함으로부터 꺼내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Kitchen wrap or cooking foil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ool or skill to package food, so it is easy to use by anyone, and the kitchen wrap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heck the contents because it is a transparent material, and cooking foil has the advantage of keeping warmth and blocking heat. Because of its possible advantages, it is widely used in homes and restaurants. Kitchen wraps or cooking foils are often used to store storage boxes in drawers and storage boxes, and then take them out of the drawers and storage boxes when necessary.

키친 페이퍼는 주방에서 기름이나 물기 등을 손쉽게 닦아낼 수 있으므로 자주 사용된다. 키친 페이퍼는 주방에서 싱크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키친 페이퍼를 싱크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면, 요리 중에 음식물이 튀어 오염되거나, 설겆이 과정에서 물이 튀어 오염되기도 한다. 아울러 싱크대 위에는 여러 가지 주방 물품들이 혼재하기 때문에 키친 페이퍼를 찾기 어려울 때가 있으며, 찾는데 시간을 많이 허비하는 경우도 있다.Kitchen paper is often used because it can easily wipe off oil or water in the kitchen. Kitchen paper is often used in the kitchen by placing it on the sink. If you put kitchen paper on the sink and use it, food may splash and become contaminated while cooking, or water may splash and become contaminated during the washing-up process. In addition, there are times when it is difficult to find kitchen paper because various kitchen items are mixed on the sink, and there are times when it takes a lot of time to find it.

이처럼 롤 형상의 쿠킹 호일, 주방 랩, 키친 페이퍼 등은 주방에서 자주 사용 되는 주방 용품이지만, 서랍 및 수납함 등에 보관하거나 싱크대 상단에 방치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시에 기억하여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s such, roll-shaped cooking foil, kitchen wrap, and kitchen paper are kitchen utensils that are often used in the kitchen, but they are often stored in drawers and storage boxes or left at the top of the sink,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member to find them when using th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 형상의 주방 용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주방 용품을 찾는데 허비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주방 용품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roll-shaped kitchen appliances, minimize time wasted in finding kitchen appliances,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To provide a kitchenware dispen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롤 형상의 주방 용품을 수용 가능하고, 상기 주방 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 구조물에 안치 가능한 브릿지부를 구비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a roll-shaped kitchen appliance and having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including an outlet for taking out the kitchen appliance;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having a bridge portion that can be placed in an external structu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제1 주방 용품 및 상기 제2 주방 용품이 삽입되는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inserted so that directions in whic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and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are inserted are parallel to each other. can be plac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수납부가 이루는 상단부는 롤 형상의 제3 주방 용품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pper end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units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roll-shaped third kitchen applian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상단부는 상기 제3 주방 용품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upling upper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kitchen applian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수납부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3 주방 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제3 인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space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may form a third outlet for taking out the third kitchen applian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주방 용품을 커팅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인출구를 따라 배치된 제1 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제2 주방 용품을 커팅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인출구를 따라 배치된 제2 커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cutter part disposed along the first outlet for cutting the first kitchen applianc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ncludes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for cutting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2 It may include a second cutter disposed along the outl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상기 제1 수납부의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상기 제2 수납부의 제2 개구부를 덮는 제1 측면 패널; 및 상기 제1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상기 제1 수납부의 제3 개구부 및 상기 제2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상기 제2 수납부의 제4 개구부를 덮는 제2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first side panel covering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to whic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nto which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nd a second side panel covering a third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to whic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nd a fourth opening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nto which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패널은 상기 제1 수납부의 제1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1 거치 돌기 및 상기 제2 수납부의 제2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2 거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패널은 상기 제1 수납부의 제1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3 거치 돌기 및 상기 제2 수납부의 제2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4 거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side panel includes a first moun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to moun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protrusion that protrudes to mount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a mounting protrusion, wherein the second side panel includes a third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 moun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third protruding protrusion to accommodating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t may include 4 mounting protrusion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외부 구조물의 표면에서 상기 브릿지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미끄럼 억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억제면은 상기 외부 구조물의 표면 재료와 상이한 이질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억제면은 미끄럼을 억제하기 위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ridge portion may include a slip-inhibiting surface for suppressing the sliding of the bridge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external structure. The anti-skid surface may include a heterogeneous elastic material different from a surface material of the external structure. In addition, the slip-inhibiting surface may include irregularities for suppressing sli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바디부와, 이에 결합되고 외부 구조물에 안치 가능한 브릿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주방 용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주방 용품을 찾는데 허비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주방 용품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body part having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including an outlet, and a bridge part coupled thereto and capable of being placed in an external structure, contamination of kitchen appliances is prevented and time wasted in finding kitchen appliances is reduced. 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having a structure that minimizes and improves user convenience may be provid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의 제1 수납부의 좌측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의 제1 수납부의 우측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의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의 브릿지부의 걸이부의 저면에 미끄럼 억제면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ft case of a first receiving unit of 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ght case of the first receiving unit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are coupled to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at a slip-inhibiting surfac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part of the bridge part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1)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1)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a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1)에 롤 형상의 키친 페이퍼(80), 롤 형상의 쿠킹 호일 등의 주방 용품이 수납된 상태이고, 도 1b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1)에 주방 용품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1)의 분해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1A is a state in which kitchen utensils such as roll-shaped kitchen paper 80 and roll-shaped cooking foil are stored in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and FIG. is the stat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방 용품 디스펜서(1)는 인출구(11, 2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부(10, 20)를 갖는 바디부 및 브릿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0, 20)는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1A, 1B and 2 ,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may include a body portion having one or more receiving portions 10 and 20 including outlets 11 and 21 and a bridge portion 30 . can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formed separately or may be formed integrally.

제1 수납부(10)는 롤 형상의 쿠킹 호일 등과 같은 제1 주방 용품(미도시)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수납부(20)는 롤 형상의 제2 주방 용품(미도시)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irst kitchen appliance (not shown) such as a roll-shaped cooking foil.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roll-shaped second kitchen appliance (not shown).

제1 주방 용품 또는 제2 주방 용품은 키친 페이퍼, 쿠킹 호일, 주방 랩 등 주방에서 사용되는 롤 형상의 여하의 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방 용품과 제2 주방 용품은 동일한 종류일 수도 있고, 상이한 종류일 수도 있다.The first kitchen appliance or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may include any articles in the form of rolls used in the kitchen, such as kitchen paper, cooking foil, and kitchen wrap. The first kitchen appliance and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may be of the same kind or different kinds.

예를 들면, 제1 수납부(10)에 수납되는 제1 주방 용품은 쿠킹 호일이고, 제2 수납부(20)에 수납되는 제2 주방 용품은 주방 랩일 수 있다. 또는, 제1 주방 용품은 키친 페이퍼이고, 제2 주방 용품은 쿠킹 호일일 수 있다. 또는, 제1 주방 용품 및 제2 주방 용품이 모두 쿠킹 호일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kitchen applianc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may be a cooking foil, and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a kitchen wrap. Alternatively, the first kitchen appliance may be kitchen paper, and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may be a cooking foil. Alternatively, bot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and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may be cooking foils.

수납부(10, 20)는 쿠킹 호일, 주방 랩 등과 같이 원통으로 감겨 있는 롤 형상의 주방 용품이 내부에 안착 및 수납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수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 공간은 인출구(11, 21)를 통해 외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인출구(11, 21)가 배치된 수납부(10, 20)의 하단은 롤 형상의 주방 용품이 안치된 상태에서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U'자 또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units 10 and 20 may include a storage space therein so that a roll-shaped kitchen appliance wound into a cylinder, such as a cooking foil or a kitchen wrap, can be seated and accommodated therein. The storage space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space through the outlets 11 and 21 . The lower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in which the drawers 11 and 21 are disposed, have a 'U' or 'V'-shaped cross section so that the roll-shaped kitchenware can be easily pulled out in a state where it is placed. can be configured.

제1 수납부(10)는 제1 주방 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제1 인출구(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납부(20)는 제2 주방 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제2 인출구(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may include a first outlet 11 for taking ou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The second receiving unit 20 may include a second outlet 21 for taking out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일 실시예에서, 제1 인출구(11)는 제1 수납부(1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출구(21)는 제2 수납부(2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출구(11, 21)는 수납부(10, 20)의 하단의 길이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출구(11, 21)는 수납부(10, 20)의 하단의 길이 방향으로 일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outlet 11 may b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receiving unit 10 . In addition, the second outlet 21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 The outlets 11 and 21 may be formed through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 In addition, the outlets 11 and 21 may be formed over a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ends of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인출구(11)는 제1 수납부(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인출구(21)는 제2 수납부(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출구(11, 21)는 수납부(10, 20)의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출구(11, 21)는 수납부(10, 20)의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일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outlet 11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 and the second outlet 21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 The outlets 11 and 21 may be formed through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 In addition, the outlets 11 and 21 may be partial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

제1 인출구(11) 및 제2 인출구(21)의 위치는 도 1b에 도시된 각 수납부(10, 20)의 하단부로 한정되지 않으며, 수납부(10, 20)에 수납된 롤 형상의 주방 용품을 인출할 수 있는 여하의 위치라도 본 발명에서 인출구(11, 21)가 배치되는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The positions of the first outlet 11 and the second outlet 21 are not limited to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shown in FIG. Any position from which the article can be drawn out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in which the drawers 11 and 21 are dis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1 수납부(10)는 제1 주방 용품을 커팅하기 위하여 제1 인출구(11)를 따라 배치된 제1 커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납부(10)는 제2 주방 용품을 커팅하기 위하여 제2 인출구(21)를 따라 배치된 제2 커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ceiving unit 10 may include a first cutter unit 12 disposed along the first outlet 11 to cu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The second receiving unit 10 may include a second cutter unit 22 disposed along the second outlet 21 to cut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제1 커터부(12) 및 제2 커터부(22)는 호일 박스에 부착된 것과 같은 금속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인출구(11) 및 제2 인출구(21) 근방의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의 하단의 케이스가 톱니 또는 물결 패턴으로 가공되어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의 하단이 커터부(12, 22)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utter portion 12 and the second cutter portion 22 may include metal blades such as those attached to a foil box. Alternatively, the case of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near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11 and 21 is processed into a sawtooth or wave pattern to form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configured to serve as the cutter parts (12, 22).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는 제1 주방 용품 및 제2 주방 용품이 삽입되는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주방 용품은 후술하여 설명되는 제1 측면 패널(40)의 개구부(16a, 26a)를 통하여 제2 측면 패널(50)의 개구부(16b, 26b)를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주방 용품은 제2 측면 패널(50)의 개구부(16b, 26b)를 통하여 제1 측면 패널(40)의 개구부(16a, 26a)를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은 주방 용품이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 및 배치될 수 있다. 주방 용품이 수납부(10, 20)에 삽입되는 방향은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부(10, 20)의 개구부의 위치에 따라 수납부(10, 20)의 상방, 하방, 좌측 또는 우측 등 여하의 방향으로 주방 용품이 삽입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disposed so that directions in whic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and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are inserted are parallel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2 , the kitchen appliance may be inserted toward the openings 16b and 26b of the second side panel 50 through the openings 16a and 26a of the first side panel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the kitchen appliance may be inserted toward the openings 16a and 26a of the first side panel 40 through the openings 16b and 26b of the second side panel 50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be arranged and disposed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kitchen appliance is inser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kitchen appliance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 1B and 2 , and the receiving part 10 , 20)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kitchen appliance is inserted in any direction, such as upward, downward, left or right.

또한,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가 결합하여 이루는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의 결합 상단부는 롤 형상의 제3 주방 용품(9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수납부(10, 20)의 상단부가 주방 용품(90)을 안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upper end of the first receiving unit 10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20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receiving unit 10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20 is a roll-shaped third kitchen appliance 90 .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two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kitchen appliance 90 .

제3 주방 용품(90)은 제1 주방 용품 및 제2 주방 용품과 같이 키친 페이퍼, 쿠킹 호일, 주방 랩 등 주방에서 사용되는 롤 형상의 여하의 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주방 용품(90)은 제1 주방 용품 또는 제2 주방 용품과 동일한 종류일 수도 있고, 상이한 종류일 수도 있다.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may include any roll-shaped articles used in the kitchen, such as kitchen paper, cooking foil, and kitchen wrap, like the first kitchen appliance and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may be of the same type as the first kitchen appliance or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or may be of a different kind.

일 실시예에서,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의 결합 상단부는 제3 주방 용품을 안치하도록 측면에서 보면 대략'U'또는 'V'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상단부는 제3 주방 용품(9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13, 14, 23, 2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3, 14, 23, 24)를 구비함으로써 키친 페이퍼 등의 제3 주방 용품이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제3 주방 용품(90)의 인출시에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3 주방 용품(90)을 부드럽게 인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upling upp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include an approximately 'U' or 'V'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o accommodate the third kitchen appliance. The coupling upper e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13 , 14 , 23 , 24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 By providing the plurality of ribs 13 , 14 , 23 , and 24 , an area in which the third kitchen appliance such as kitchen pap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can be minimized. Since the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when 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is pulled out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can be smoothly pulled out.

제3 주방 용품(90)의 인출구(39)에 가깝게 위치하는 리브(14, 24)는 하단부로 갈수록 수납부(10, 2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더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주방 용품(90)의 인출구(39)에 멀리 위치하는 리브(13, 23)는 수납부(10, 2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리브(13, 14, 23, 24)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주방 용품의 인출시에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여하의 형상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The ribs 14 and 24 located close to the outlet 39 of 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receiving portions 10 and 20 toward the lower end thereof to be longer. In addition, the ribs 13 and 23 located far from the outlet 39 of 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length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s 10 and 20 . However,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ribs 13 , 14 , 23 , and 24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2 , and any shape capable of reducing contact resistance when the kitchen appliance is drawn ou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within

브릿지부(30)는 일단이 제1 수납부(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 구조물(미도시)에 안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릿지부(30)는 찬장 선반(미도시)에 안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브릿지부(30)는 찬장 이외에도 벽에 걸린 선반과 같은 플레이트 상에 안치될 수 있다.The bridge unit 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10 and the other end can be placed in an external structure (not shown). For example, the bridge unit 30 may be placed on a cupboard shelf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bridge unit 30 may be mounted on a plate, such as a shelf hung on a wall, in addition to a cupboard.

도 2를 참조하면, 브릿지부(30)는 걸이부(31), 측면 돌출부(32) 및 베이스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31)는 소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부(33)와 연결되고 외부 구조물에 안치될 수 있다. 측면 돌출부(32)는 베이스부(3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bridge part 30 may include a hook part 31 , a side protrusion part 32 , and a base part 33 . The hook part 31 is connected to the plate-shaped base part 3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may be placed in an external structure. The side protrusion 32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33 and extend.

일 실시예에서, 걸이부(31), 측면 돌출부(32) 및 베이스부(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걸이부(31), 측면 돌출부(32) 및 베이스부(33)는 분리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ok part 31, the side protrusion part 32 and the base part 33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nother embodiment, the hook part 31 , the side protrusion part 32 , and the base part 33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y assembled.

일 실시예에서, 걸이부(31)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부(33)의 적어도 일부에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걸이부(31) 및 베이스부(33)는 측면에서 볼 때 'ㄱ'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걸이부(31) 및 베이스부(33)의 형상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걸이부(31) 및 베이스부(33)의 형상은 외부 구조물에 안치될 수 있는 여하의 형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hook portion 31 may b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33). That is, the hook part 31 and the base part 33 may have a '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However, the shape of the hook part 31 and the base part 33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the shape of the hook part 31 and the base part 33 may be any shape that can be placed in an external structure. there is.

일 실시예에서, 측면 돌출부(32)의 하부에는 제1 수납부(10)와 결합 부재(나사, 스크류 등)를 통하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돌출부(32)의 상부가 베이스부(33)로부터 돌출되어, 제3 주방 용품(90)이 주방 용품 디스펜서(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crew hole for coupl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a coupling member (screw, screw, etc.) to a lower portion of the side protrusion 32 may be formed. The upper part of the side protrusion 32 protrudes from the base part 33 , so that 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

주방 용품 디스펜서(1)는 제1 측면 패널(40) 및 제2 측면 패널(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패널(40)은 제1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제1 수납부(10)의 제1 개구부(16a) 및 제2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제2 수납부(20)의 제2 개구부(26a)를 덮을 수 있다. 제2 측면 패널(50)은 제1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제1 수납부(10)의 제3 개구부(16b) 및 제2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제2 수납부(20)의 제4 개구부(26b)를 덮는 제2 측면 패널(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may include a first side panel 40 and a second side panel 50 . The first side panel 40 includes a first opening 16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into whic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nd a second opening 16a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into which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26a) can be covered. The second side panel 50 includes a third opening 16b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into whic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nd a fourth opening 16b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into which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nd a second side panel 50 covering 26b.

측면 패널(40, 50)은 수납부(10, 20)의 측면의 높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0, 20)의 측면에서 돌출된 측면 패널(40, 50)에 의해 제3 주방 용품(90)이 주방 용품 디스펜서(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side panels 40 and 50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on units 10 and 20 . 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by the side panels 40 and 50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

제1 측면 패널(40) 및 제2 측면 패널(50)는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측면 패널(40, 50)과 수납부(10, 20) 간의 결합은 돌출부와 오목부의 끼움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panel 40 and the second side panel 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receiving unit 10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20 .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panels 40 and 50 and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may be configured by fitting the protrusion and the concave part.

도 1b에 도시된 결합 상태에서 제1 측면 패널(40) 또는 제2 측면 패널(50)을 외측으로 가압하면 측면 패널(40, 50)과 수납부(10, 20)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측면 패널(40) 또는 제2 측면 패널(50) 중 하나가 수납부(10, 20)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면, 주방 용품을 측면의 개구부(16a, 26a 또는 16b, 26b)를 통하여 주방 용품 디스펜서(1)에 수납할 수 있다. 측면 패널(40, 50)을 수납부(10, 20) 측면에 가압하여 측면 패널(40, 50)이 수납부(10, 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주방 용품 디스펜서(1)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ide panel 40 or the second side panel 50 is pressed outwardly in the coupled state shown in FIG. 1B ,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panels 40 and 50 and the accommodation units 10 and 20 may be released. . When one of the first side panel 40 or the second side panel 50 is disengag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10, 20, the kitchen appliance is passed through the side opening 16a, 26a or 16b, 26b into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It can be stored in (1).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can be used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panels 40 and 50 are pressed against the sides of the receiving units 10 and 20 and the side panels 40 and 50 are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s 10 and 20. can

본 발명에서 측면 패널(40, 50)과 수납부(10, 20) 간의 결합은 돌출부와 오목부의 끼움 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 패널(40, 50)과 수납부(10, 20)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결합 해제할 수 있는 여하의 구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panels 40 and 50 and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is not limited to the fitting coupling of the protrusion and the concave part. Any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or disengaging may be included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측면 패널(40)은 제1 수납부(10)의 제1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1 거치 돌기(41) 및 제2 수납부(20)의 제2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2 거치 돌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 패널은 제1 수납부(10)의 제1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3 거치 돌기(51) 및 제2 수납부(20)의 제2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4 거치 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ide panel 40 has a first mounting protrusion 41 protruding to moun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 It may include a protruding second mounting protrusion 42 . The second side panel includes a third mounting protrusion 51 protruding to moun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a third protruding product protruding to mount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 4 may include a mounting protrusion 52 .

거치 돌기(41, 42, 51, 52)는 측면 패널(40, 50)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소정 면적을 갖는 2개의 플레이트가 'X'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플레이트는 측면 패널(40, 5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protrusions 41 , 42 , 51 , and 52 may protrud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ide panels 40 and 50 ,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wo plates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re disposed in an 'X' shape. The two plates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width as they move away from the side panels 40 and 50 .

거치 돌기(41, 42, 51, 52)가 없으면 측면 패널(40, 50)에 롤 형상의 주방 용품이 넓은 면에 걸쳐서 접촉하기 때문에, 측벽과의 접촉 저항에 의해 주방 용품의 인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주방 용품 디스펜서(1)의 측면 패널(40, 50)에 거치 돌기(41, 42, 51, 52)를 설치함으로써, 측벽과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어서, 주방 용품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Without the mounting protrusions 41, 42, 51, and 52, the roll-shaped kitchen appliances contact the side panels 40 and 50 over a wide surface, so that the kitchen appliances are not easily pulled out due to contact resistance with the side walls. it may not be By installing the mounting protrusions 41 , 42 , 51 , 52 on the side panels 40 and 50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 the contact resistance with the side wall can be reduced, so that the kitchen appliance can be drawn out smoothly.

거치 돌기(41, 42, 51, 52)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플레이트를 결합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 패널(40, 50) 자체의 측면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하는 등, 측면 패널(40, 50)의 표면과 주방 용품 사이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여하의 구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The shape of the mounting protrusions (41, 42, 51, 52)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combining the two plates as shown in FIG. Any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side panels 40 and 50 and the kitchen appliance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1)의 제1 수납부(10)의 좌측 케이스(10a)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1)의 제1 수납부(10)의 우측 케이스(10b)의 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ft case 10a of the first receiving part 10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ght case 10b of the first receiving part 10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수납부(10)는 좌측 케이스(10a) 및 우측 케이스(10b)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케이스(10a) 및 우측 케이스(10b)는 결합 부재 세트(17a와 17b, 18a와 18b, 19a와 19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수납부(20)도 제1 수납부(10)와 동일한 방식으로 2개의 케이스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의 제1 수납부(10)에 대한 설명은 제2 수납부(20)에 대하여도 참조될 수 있다.3A and 3B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left case 10a and the right case 10b. The left case 10a and the right case 10b may be coupled by a set of coupling members 17a and 17b, 18a and 18b, and 19a and 19b. Sinc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may also be formed by combining two cases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 may also be referred to.

좌측 케이스(10a)의 상단부에 제1 결합 부재(18a), 제2 결합 부재(17a) 및 제3 결합 부재(19a)가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케이스(10b)의 상단부에 제4 결합 부재(18b), 제5 결합 부재(17b), 제6 결합 부재(19b)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 세트(17a와 17b, 18a와 18b, 19a와 19b)의 위치는 케이스(10a, 10b)의 상단부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케이스(10a, 10b)의 구성에 따라 측면부 또는 그 외의 다른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A first coupling member 18a, a second coupling member 17a, and a third coupling member 19a may b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left case 10a. A fourth coupling member 18b, a fifth coupling member 17b, and a sixth coupling member 19b may b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right case 10b.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member sets 17a and 17b, 18a and 18b, 19a and 19b are not limited to the upper ends of the cases 10a and 10b, an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specific cases 10a and 10b, they are located on the sides or other parts. can be placed.

일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 세트(17a와 17b)는 홈을 갖는 돌출 부재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17a)는 홈을 갖고 홈의 단면적 작은 돌출 부재로 구성되고, 제2 결합 부재(17b)는 홈을 갖고 홈의 단면적이 큰 돌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17a)의 돌출 길이는 제2 결합 부재(17b)의 돌출 길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결합 부재(17b)의 홈 내에 제1 결합 부재(17a)의 돌출 부분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ngaging member sets 17a and 17b may be configured as a pair of protruding members having grooves. The first engaging member 17a may be composed of a protruding member having a groove and a small cross-sectional area of the groove,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17b may be composed of a protruding member having a groove and a lar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roove. A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7a may be greater than a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7b.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7a may be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7b.

일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 세트(19a와 19b)는 홈을 갖는 돌출 부재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결합 부재(19a)는 홈을 갖고 홈의 단면적 큰 돌출 부재로 구성되고, 제4 결합 부재(19b)는 홈을 갖고 홈의 단면적이 작은 돌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4 결합 부재(19b)의 돌출 길이는 제3 결합 부재(19a)의 돌출 길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3 결합 부재(19a)의 홈 내에 제4 결합 부재(19b)의 돌출 부재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ngaging member sets 19a and 19b may be configured as a pair of protruding members having grooves. The third engaging member 19a may be composed of a protruding member having a groove and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roove, and the fourth engaging member 19b may be composed of a protruding member having a groove and a small cross-sectional area of the groove. A protrusion length of the fourth coupling member 19b may be greater than a protrusion length of the third coupling member 19a.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rotrusion member of the fourth coupling member 19b can be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third coupling member 19a.

일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 세트(18a와 18b)는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홈을 갖고 관통홈 내에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케이스(10a)와 우측 케이스(10b)가 끼워 맞춤된 후에, 결합 부재 세트(18a, 18b)를 관통하는 스크류 나사 등의 고정 부재를 좌측 케이스(10a)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하여 결합 부재 세트(18a와 18b)의 관통홈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upling member sets 18a and 18b have a through-groove through which the screw passes and may include a thread in the through-groove. After the left case 10a and the right case 10b are fitted, a fixing member such as a screw screw passing through the engaging member sets 18a and 18b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left case 10a to thereby insert the engaging member set 18a. and 18b) through the through grooves.

도 3a 및 도 3b에는 결합 부재 세트(17a와 17b, 18a와 18b, 19a와 19b)에 의해 좌측 케이스(10a)와 우측 케이스(10b)가 결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측 케이스(10a)와 우측 케이스(10b)를 결합하기 위한 여하의 결합 구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3A and 3B, the left case 10a and the right case 10b are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 sets 17a and 17b, 18a and 18b, 19a and 19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 any coupling structure for coupling the left case 10a and the right case 10b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수납부(10, 20)가 별도의 2개의 케이스(10a, 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 1개의 케이스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modating parts 10 and 20 being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wo separate cases 10a and 10b,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by one case in another embodiment, Such an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1)의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도 4를 참조하면,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가 결합되는 경우에, 제1 수납부(10) 및 제2 수납부(20) 사이의 공간은 제3 주방 용품(90)을 인출하기 위한 제3 인출구(39)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주방 용품(90)을 인출하기 위한 제3 인출구(39)에는 다른 부분 보다 더 넓은 폭의 개구를 갖는 요홈부가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부에 배치된 요홈부에 의해 사용자가 키친 페이퍼 등을 손으로 잡거나 인출하는 동작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are couple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0 is the third kitchen appliance. A third outlet 39 for withdrawing the 90 may be formed. In the third outlet 39 for taking out the third kitchen appliance 90, a concave portion having an opening wider than the other portions may be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An operation of holding or withdrawing kitchen paper or the like by the user by the groove portion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can be made easier.

일 실시예에서, 제3 인출구(39)의 개구 형상은 파도 모양, 톱니 모양, 물결 모양 등 직선 이외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인출구(39)의 개구 형상을 파도 모양, 톱니 모양, 물결 모양 등 직선 이외의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키친 페이퍼 등의 주방 용품의 인출시에 주방 용품이 직선 이외의 형상에 의해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절취선 부분에서 커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pening shape of the third outlet 39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other than a straight line, such as a wave shape, a sawtooth shape, or a wave shape. By configuring the opening shape of the third take-out port 39 in a shape other than a straight line such as a wave shape, a sawtooth shape, or a wavy shape, a force that pulls the kitchen appliance by a shape other than a straight line acts when the kitchen appliance such as kitchen paper is taken out. Thus, the cutting can be made easily at the perforated line portion.

본 발명의 주방 용품 디스펜서(1)는 외부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장착 및 지지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브릿지부(30)를 주방의 찬장 선반 등의 외부 구조물에 거치하는 경우에, 브릿지부(30)의 걸이부(31)의 저면과 외부 구조물의 표면 사이에 미끄럼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브릿지부(30)는 외부 구조물의 표면에서 걸이부(31)의 저면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미끄럼 억제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being stably mounted and supported on an external structure. When the user mounts the bridge part 30 on an external structure such as a cupboard shelf in the kitchen, a sliding phenomenon may occur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part 31 of the bridge part 30 and the surface of the external structure. The bridge part 30 may include a slip-inhibiting surface for suppressing the slid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part 31 on the surface of the external structur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용품 디스펜서(1)의 브릿지부(30)의 걸이부(31)의 저면에 미끄럼 억제면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at the anti-slip surfac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part 31 of the bridge part 30 of the kitchen appliance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브릿지부(30)의 미끄럼 억제면은 외부 구조물의 표면 재료와 상이한 이질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이부(31)는 금속,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재질 등으로 형성되고, 걸이부(31)의 저면에 형성된 미끄럼 억제면은 이와 상이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 the anti-skid surface of the bridge part 30 may include a different elastic material from the surface material of the external structure. In one embodiment, the hook portion 31 is formed of a metal, glass, polycarbonate material, etc., the slip-inhibiting surfa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 portion 31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silicone material.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걸이부(31)의 미끄럼 억제면은 미끄럼을 억제하기 위한 도트 형태의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억제면을 복수개의 도트 형태의 요철로 구성함으로써 미끄럼 억제면의 구성 재료양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미끄럼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B , the slip suppression surface of the hook part 31 may include dot-shaped irregularities for suppressing slippage. By configuring the anti-slip surface with a plurality of dot-shaped irregularities, an effective anti-slip effect can be obtained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material constituting the anti-slip surfac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components such as the described devic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replaced or substitut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 제1 수납부 20: 제2 수납부
30: 브릿지부 40: 제1 측면 패널
50: 제2 측면 패널 11: 제1 인출구
21: 제2 인출고 12: 제1 커터부
22: 제2 커터부 13: 제1 리브
14: 제3 리브 23: 제2 리브
24: 제4 리브 16a: 제1 개구부
16b: 제3 개구부 26a: 제2 개구부
26b: 제4 개구부 10a: 제1 좌측 케이스
10b: 제1 우측 케이스 17a,17b, 18a, 18b, 19a, 19b: 결합 구조
39: 제3 인출구
10: first accommodating part 20: second accommodating part
30: bridge unit 40: first side panel
50: second side panel 11: first outlet
21: second withdrawal height 12: first cutter unit
22: second cutter unit 13: first rib
14: third rib 23: second rib
24: fourth rib 16a: first opening
16b: third opening 26a: second opening
26b: fourth opening 10a: first left case
10b: first right case 17a, 17b, 18a, 18b, 19a, 19b: coupling structure
39: 3rd exit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롤 형상의 주방 용품을 수용 가능하고, 상기 주방 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 구조물에 안치 가능한 브릿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는 제1 주방 용품을 수용하는 제1 수납부 및 제2 주방 용품을 수용하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제1 주방 용품 및 상기 제2 주방 용품이 삽입되는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수납부가 이루는 상단부는 롤 형상의 제3 주방 용품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
a body part capable of accommodating a roll-shaped kitchen appliance and having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including a pull-out port for taking out the kitchen appliance; and
A bridge part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having the other end mounted on an external structure
to provide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first kitchen appliance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disposed so that directions in whic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and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are inserted are parallel to each other,
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roll-shaped third kitchen appliance at an upper end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상기 제3 주방 용품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
4. The method of claim 3,
and wherein the upper end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kitchen applian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수납부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3 주방 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제3 인출구를 형성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
4. The method of claim 3,
A space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forms a third outlet for taking out the third kitchen applian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주방 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제1 인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제2 주방 용품을 인출하기 위한 제2 인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주방 용품을 커팅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인출구를 따라 배치된 제1 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제2 주방 용품을 커팅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인출구를 따라 배치된 제2 커터부를 포함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receiving unit includes a first outlet for taking ou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The second receiving unit has a second outlet for taking out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cutter part disposed along the first outlet to cu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The second receiving unit includes a second cutter unit disposed along the second outlet to cut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상기 제1 수납부의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상기 제2 수납부의 제2 개구부를 덮는 제1 측면 패널; 및
상기 제1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상기 제1 수납부의 제3 개구부 및 상기 제2 주방 용품의 삽입이 가능한 상기 제2 수납부의 제4 개구부를 덮는 제2 측면 패널
을 더 포함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
4.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side panel covering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to whic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nto which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nd
A second side panel covering a third opening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to which the first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nd a fourth opening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nto which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can be inserted.
A kitchenware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패널은 상기 제1 수납부의 제1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1 거치 돌기 및 상기 제2 수납부의 제2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2 거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패널은 상기 제1 수납부의 제1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3 거치 돌기 및 상기 제2 수납부의 제2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돌출된 제4 거치 돌기를 포함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side panel includes a first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 moun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 mount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
The second side panel includes a third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 mount the first kitchen applia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fourth mou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 mount the second kitchen applian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Kitchenware dispen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외부 구조물의 표면에서 상기 브릿지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미끄럼 억제면을 포함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ridge portion kitchen appliance dispenser comprising a slip-inhibiting surface for suppressing the bridge portion from sliding on the surface of the external struc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억제면은 상기 외부 구조물의 표면 재료와 상이한 이질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non-skid surface includes a heterogeneous elastic material different from a surface material of the external struc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억제면은 미끄럼을 억제하기 위한 요철을 포함하는 주방 용품 디스펜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nti-skid surface is a kitchen appliance dispenser comprising irregularities for suppressing slip.
KR1020200072661A 2020-06-15 2020-06-15 Kitchen utensil dispenser KR102366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61A KR102366921B1 (en) 2020-06-15 2020-06-15 Kitchen utensil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661A KR102366921B1 (en) 2020-06-15 2020-06-15 Kitchen utensil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305A KR20210155305A (en) 2021-12-22
KR102366921B1 true KR102366921B1 (en) 2022-02-23

Family

ID=7916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661A KR102366921B1 (en) 2020-06-15 2020-06-15 Kitchen utensil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92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243A (en) * 2004-01-26 2005-08-04 Sonoco Development Inc Dispenser for web material
KR101988483B1 (en) * 2018-07-26 2019-06-12 김경태 Kitchen paper towel hanger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243A (en) * 2004-01-26 2005-08-04 Sonoco Development Inc Dispenser for web material
KR101988483B1 (en) * 2018-07-26 2019-06-12 김경태 Kitchen paper towel hang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305A (en)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5521B2 (en) Optionally hangable container and dispensing method
US6161718A (en) Utensil basket
US4799744A (en) Cook's caddy
US11723456B2 (en) Adjustable shelf
KR102366921B1 (en) Kitchen utensil dispenser
KR101779874B1 (en) Spoon box for drawer with sink
EP3594418B1 (en) Water sink having brackets
JP2010148788A (en) Frying pan rack
JP2008253324A (en) Kitchen storage
CN107007859B (en) Embedded disinfection cabinet
KR20180003077U (en) Shelf multipurpose withdraw for sink
KR200489575Y1 (en) Kitchen Storage Device
KR200477675Y1 (en) Accessory holder for kitchen
JP2004290420A (en) Kitchen furniture equipped with vertical pocket
KR101898883B1 (en) Dispenser for keeping the cace of disposable kitchen supplies
KR200192746Y1 (en) Integrated top board of sink
KR200274677Y1 (en) kitchen utensils shelves
JP2020103690A (en) Drawer and kitchen floor cabinet equipped with the same
KR102355986B1 (en) Shelf assembly for kitchen
CN217938156U (en) Multifunctional bowl washing tank
JP5052185B2 (en) Kitchen storage
KR200170972Y1 (en) Sink
KR200226871Y1 (en) Supporter which contains castor
KR200490423Y1 (en) Kitchen Storage Device
CN211130792U (en) Multifunctional kitchen storage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