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836B1 -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836B1
KR102366836B1 KR1020210111215A KR20210111215A KR102366836B1 KR 102366836 B1 KR102366836 B1 KR 102366836B1 KR 1020210111215 A KR1020210111215 A KR 1020210111215A KR 20210111215 A KR20210111215 A KR 20210111215A KR 102366836 B1 KR102366836 B1 KR 102366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plate
depth
frame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윤
신유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한국섬유소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한국섬유소재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to KR1020210111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에 대한 깊이를 조절하는 기구에 있어서: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3)을 갖춘 본체(10); 상기 전방프레임(11)에 형성된 전방지지대(21)와 상기 후방프레임(13)에 형성된 후방지지대(23)를 갖춘 지지부재(20); 상기 전방지지대(21)와 상기 후방지지대(23)에 각각 연결되고, 본체(10)에 대한 위치변동을 허용하는 좌판부재(30); 및 상기 지지부재(20)와 상기 좌판부재(30)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링크(41)로 깊이를 변동하는 조절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부합하여 좌판의 깊이를 조절함에 단순한 구성을 기반으로 편리하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원가절감과 내구성 증대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Device for adjusting depth of chair seat}
본 발명은 의자의 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부합하여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의자가 사용되고 있으며,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신체 조건에 맞추기 위한 조절기능을 갖춘다. 다만 학교와 같이 다량으로 구비되는 의자의 경우 비용절감을 위해 합성수지재를 기반으로 하고 조절기능을 배제하기도 한다. 등판ㆍ좌판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부가하더라도 구성적 간편성과 내구성이 중요한 설계요소로 인식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0426959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189467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좌판이 안착부재에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된 좌판 프레임과, 좌판프레임에 결합된 쿠션부재로 이루어지되, 좌판의 좌우방향의 적어도 일측에는 좌판 프레임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좌판을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앞뒤로 움직여 간단히 고정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위치고정수단이 다수의 잇빨과 걸림 슬라이더의 맞물림 구조로서 작동이 다소 불편하고 내구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선행문헌 2는 좌대 상에 일정 길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좌판이 결합되되 이동시 좌판의 전방측을 상승시켜 좌판과 좌대 간 결합구속을 해제하고 고정시 전방측을 하강시켜 좌판과 좌대 간 결합 구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좌판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고정돌부와 함몰부의 맞물림 구조가 내구성 약화를 유발하고 좌판과 좌대 간의 구속을 단속하는 고정노브가 사용상 불편을 초래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0426959호 "의자 좌판의 길이 조절구조" (공개일자 : 2006.09.2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189467호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좌판을 가지는 의자" (공개일자 : 2020.07.06.)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부합하여 좌판의 깊이를 조절함에 단순한 구성을 기반으로 편리하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에 대한 깊이를 조절하는 기구에 있어서: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갖춘 본체; 상기 전방프레임에 형성된 전방지지대와 상기 후방프레임에 형성된 후방지지대를 갖춘 지지부재; 상기 전방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에 각각 연결되고, 본체에 대한 위치변동을 허용하는 좌판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좌판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링크로 깊이를 변동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재는 전방지지대 및 후방지지대 중의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구조를 적용하여 전방지지대 및 후방지지대 간의 거리변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좌판부재는 전방슬릿을 통하여 전방지지대와 가이드핀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조절부재의 조절링크는 일단의 중심부에서 후방프레임의 후방지지대와 연결되고, 타단의 회동부에서 좌판부재의 후방브라켓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조절부재는 전방지지대와 전방슬릿에 각각 인접하면서 상호 접촉되는 영역에 활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부합하여 좌판의 깊이를 조절함에 단순한 구성을 기반으로 편리하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원가절감과 내구성 증대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가 적용된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주요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도 1의 좌판부재가 후방으로 위치 변동한 상태의 모식도
도 4는 도 1의 좌판부재가 전방으로 위치 변동한 상태의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에 대한 깊이를 조절하는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집단시설 등에 다량으로 구비되는 합성수지재 기반의 의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좌판의 깊이(길이)는 사용자의 신체(다리) 조건에 부합하도록 수동 조작으로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3)을 갖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를 구성하는 전방프레임(11), 후방프레임(13), 중심봉(15) 등이 나타난다. 전방프레임(11)은 중심봉(15)을 통하여 다리와 연결되고 전체적인 하중을 지탱한다. 후방프레임(13)은 ㄴ자 형태로서 전방프레임(11)에 힌지로 연결되어 주로 사용자의 등판 틸팅으로 유발되는 하중을 지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20)가 상기 전방프레임(11)에 형성된 전방지지대(21)와 상기 후방프레임(13)에 형성된 후방지지대(23)를 갖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전방지지대(21)와 후방지지대(23)가 본체(10) 상에 나타난다. 전방지지대(21)는 전방프레임(11)의 상면에서 선단에 인접한 2개소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후방지지대(23)는 후방프레임(13)의 상면에서 선단에 인접한 2개소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후방지지대(23)는 사용자의 체중 외에 틸팅 하중을 받으므로 전방지지대(21)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두껍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전방지지대(21)와 후방지지대(23)는 합성수지재 기반의 프레임(11)(13)을 사출성형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방지지대(21)와 상기 후방지지대(23)에 각각 연결되는 좌판부재(30)가 본체(10)에 대한 위치변동을 허용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좌판부재(30)가 팔걸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쿠션대(35)를 갖춘 상태를 나타낸다. 좌판부재(30)는 지지부재(20)의 전방지지대(21)와 후방지지대(23)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좌판부재(30)가 후방지지대(23)에 연결되는 구조상 사용자 상체의 틸팅시 연동된다. 좌판부재(30)의 연동은 약간의 깊이 변동을 수반하기는 하지만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정도는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부재(40)가 상기 지지부재(20)와 상기 좌판부재(30)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링크(41)로 깊이를 변동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절부재(40)를 구성하는 조절링크(41)가 지지부재(20)와 좌판부재(30)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난다. 본체(10)의 프레임(11)(13)과 좌판부재(30)를 직결하지 않고 일측에 조절링크(41)를 개재하여 좌판부재(30)의 깊이 조절을 유발한다. 좌판부재(30)의 깊이는 중심봉(15)을 기준으로 전방ㆍ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전방지지대(21) 및 후방지지대(23) 중의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구조를 적용하여 전방지지대(21) 및 후방지지대(23) 간의 거리변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의 전방지지대(21)에 슬라이딩 구조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물론 후방지지대(23)에도 슬라이딩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등판의 틸팅시 후방프레임(13)이 기울어지면서 후방지지대(23)와 좌판부재(30)의 후방 이동과 경사 운동을 유발한다. 이 과정에서 전방지지대(21) 및 후방지지대(23) 간의 거리변동이 허용된다. 이러한 거리변동은 주로 등판의 틸팅운동에 관여하고 좌판부재(30)의 깊이변동은 크지 않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좌판부재(30)는 전방슬릿(31)을 통하여 전방지지대(21)와 가이드핀(2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좌판부재(30)에 형성되는 전방슬릿(31)과 전방지지대(21)에 결합되는 가이드핀(25)이 나타난다. 전방슬릿(31)은 좌판부재(30)의 2개소에서 전방지지대(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좁고 길게 형성된다. 전방지지대(21)는 전방슬릿(31)을 통과하여 쿠션대(35)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부(37)까지 도달한다. 전방지지대(21) 상에서 좌판부재(30)의 상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핀(25)은 전방지지대(21)의 임의적 이탈을 구속한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가이드핀(25)의 양단의 직경을 증대하고 회전 가능하게 좌판부재(30)에 접촉시키면 전방슬릿(31) 상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롤러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조절부재(40)의 조절링크(41)는 일단의 중심부(42)에서 후방프레임(13)의 후방지지대(23)와 연결되고, 타단의 회동부(43)에서 좌판부재(30)의 후방브라켓(3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조절부재(40)의 조절링크(41)가 중심부(42)와 회동부(43)를 갖춘 상태를 나타낸다. 2개소의 조절링크(41)는 각각의 후방지지대(23)의 내측으로 위치하여 상호 대향하고 있다. 조절링크(41)의 중심부(42)는 힌지축을 갖추며 후방프레임(13)의 후방지지대(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절링크(41)의 회동부(43)는 힌지축을 갖추며 좌판부재(30)의 저면에 형성된 후방브라켓(3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 3처럼 좌판부재(30)의 깊이를 짧게 하거나 도 4처럼 좌판부재(30)의 깊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좌판부재(30)를 파지하고 살짝 들어 올리면서 전방으로 당기면 조절링크(41)가 중심부(42)를 회전 중심으로 회동부(43)가 전방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전방지지대(21)가 전방슬릿(31) 상으로 슬라이딩된다. 조절링크(41)의 회동부(43)가 중심부(42)에 대하여 180˚ 로 회전할 때마다 도 3 또는 도 4의 상태로 반복적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조절부재(40)는 전방지지대(21)와 전방슬릿(31)에 각각 인접하면서 상호 접촉되는 영역에 활주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조절부재(40)의 활주부(45)가 전방지지대(21) 및 전방슬릿(31)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활주부(45)는 전술한 전방지지대(21)의 가이드핀(25)과 연계하여 슬라이딩 운동의 마찰력을 경감한다. 하측의 활주부(45)는 전방지지대(21)의 양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측의 활주부(45)는 전방슬릿(31)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전방지지대(21) 및 전방슬릿(31)의 활주부(45)는 마찰계수가 낮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예컨대 테프론 수지층)를 부가적으로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전방프레임
13: 후방프레임 15: 중심봉
20: 지지부재 21: 전방지지대
23: 후방지지대 25: 가이드핀
30: 좌판부재 31: 전방슬릿
33: 후방브라켓 35: 쿠션대
37: 요홈부 40: 조절부재
41: 조절링크 42: 중심부
43: 회동부 45: 활주부

Claims (5)

  1. 의자의 좌판에 대한 깊이를 조절하는 기구에 있어서: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3)을 갖춘 본체(10);
    상기 전방프레임(11)에 형성된 전방지지대(21)와 상기 후방프레임(13)에 형성된 후방지지대(23)를 갖춘 지지부재(20);
    상기 전방지지대(21)와 상기 후방지지대(23)에 각각 연결되고, 본체(10)에 대한 위치변동을 허용하는 좌판부재(30); 및
    상기 지지부재(20)와 상기 좌판부재(30)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링크(41)로 깊이를 변동하는 조절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좌판부재(30)는 전방슬릿(31)을 통하여 전방지지대(21)와 가이드핀(2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조절부재(40)의 조절링크(41)는 일단의 중심부(42)에서 후방프레임(13)의 후방지지대(23)와 연결되고, 타단의 회동부(43)에서 좌판부재(30)의 후방브라켓(33)과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재(40)는 전방지지대(21)와 전방슬릿(31)에 각각 인접하면서 상호 접촉되는 영역에 활주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전방지지대(21) 및 후방지지대(23) 중의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구조를 적용하여 전방지지대(21) 및 후방지지대(23) 간의 거리변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11215A 2021-08-23 2021-08-23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KR102366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215A KR102366836B1 (ko) 2021-08-23 2021-08-23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215A KR102366836B1 (ko) 2021-08-23 2021-08-23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836B1 true KR102366836B1 (ko) 2022-02-24

Family

ID=8047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215A KR102366836B1 (ko) 2021-08-23 2021-08-23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3454A (ko) 2022-12-05 2024-06-1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7U (ja) * 1991-06-27 1993-01-14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構造
JPH08308678A (ja) * 1995-05-18 1996-11-26 Kokuyo Co Ltd 椅 子
KR100426959B1 (ko) 2002-03-28 2004-04-13 한국과학기술원 평판형 광도파로의 제조방법
KR20080037029A (ko) * 2005-08-18 2008-04-29 가부시키가이샤 이토키 의자
JP2010094301A (ja) * 2008-10-16 2010-04-30 Okamura Corp 椅子
KR102189467B1 (ko) 2018-12-26 2020-12-11 주식회사 멀티밸런스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좌판을 가지는 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7U (ja) * 1991-06-27 1993-01-14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構造
JPH08308678A (ja) * 1995-05-18 1996-11-26 Kokuyo Co Ltd 椅 子
KR100426959B1 (ko) 2002-03-28 2004-04-13 한국과학기술원 평판형 광도파로의 제조방법
KR20080037029A (ko) * 2005-08-18 2008-04-29 가부시키가이샤 이토키 의자
JP2010094301A (ja) * 2008-10-16 2010-04-30 Okamura Corp 椅子
KR102189467B1 (ko) 2018-12-26 2020-12-11 주식회사 멀티밸런스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좌판을 가지는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3454A (ko) 2022-12-05 2024-06-1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좌판 조절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8201C (en) Child seat apparatus
US6709058B1 (en) Ergonomic chair
US9173498B2 (en) Adjustable armrest for a seating unit
US20020043871A1 (en) Seat for a reclining office chair
JP5976747B2 (ja) ティルティングタイプ椅子
JPH09503144A (ja) 背部分割型椅子
US5263767A (en) Adjustable chair
JPH04269913A (ja) リクライニング式椅子
KR102366836B1 (ko)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US20050140183A1 (en) Reclining chair with foot and leg rest
US10159347B2 (en) Tilt mechanism for a weight-responsive seating furniture
KR101603998B1 (ko) 요추의 지지위치가 가변되는 의자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JP2001046172A (ja) 椅 子
CN220069255U (zh) 一种用于椅背的滑动变轨机构
KR20190011032A (ko) 리클라이닝 체어
CN114451714B (zh) 一种椅座可调节坐具
JP4384003B2 (ja) 椅子におけるガススプリング操作装置
CN202211406U (zh) 椅背与坐垫倾仰连动装置
KR200415945Y1 (ko) 테이블 일체형 의자
KR20180009104A (ko) 좌식의자
JPH11113674A (ja) 椅 子
JP4491317B2 (ja) 椅子の座構造
CN111109916A (zh) 一种使椅背具有后仰功能的活动扶手以及椅子
JPS63428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